KR20240002152A -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152A
KR20240002152A KR1020230032826A KR20230032826A KR20240002152A KR 20240002152 A KR20240002152 A KR 20240002152A KR 1020230032826 A KR1020230032826 A KR 1020230032826A KR 20230032826 A KR20230032826 A KR 20230032826A KR 20240002152 A KR20240002152 A KR 20240002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loading
pair
auxiliary device
load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일
장영재
김연태
한동화
이태형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02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는, 컨테이너 운반선에 구비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로서, 상기 컨테이너 운반선은, 선측외판과 선측내판으로 더블헐 구조를 이루는 선측판과, 선저외판과 선저내판으로 이중저 구조를 이루는 선저판과, 상갑판으로 이루어지는 선체의 내부에서 횡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카고홀드와, 상기 횡격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와, 상기 상갑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셀가이드는, 상기 하부셀가이드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컨테이너의 가이드 경로를 이루고,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카고홀드에 적용되어 상방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하며, 좌우 폭이 상기 컨테이너의 좌우 폭에 대응되고, 전후 길이가 상기 카고홀드의 입구의 전후 길이보다 작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수밀플레이트; 및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전체 중량을 줄여 경량화하도록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Container Stacking Assistance Device,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Loading/Unloading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운반선은, 컨테이너 선적 용량을 점점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이며, 선적 용량 증가와 동시에 운항 중 선적된 컨테이너의 안정성 확보가 중요한 요소로 주목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운반선은, 선체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카고홀드(cargo hold)에 셀 가이드(cell guide)라는 구조를 통해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선체의 상갑판 상에서 카고홀드의 입구에 설치되는 해치 코밍(hatch coaming)에 해치커버를 탑재한 후 해치커버 상에 컨테이너를 다단으로 적재하고 있다. 해치커버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는,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고홀드 사이의 공간 상부에 위치한 래싱 브리지(lashing bridge)에 각종 피팅(fitting)류를 이용하여 고박(lashing)하고 있다.
해치커버는, 상갑판의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카고홀드 내부로 이물질(해수나 강우 등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운반선의 종강도 보강에 기여하고 있다.
그런데 해치커버는, 고중량인 관계로 생산/운반/탑재가 용이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카고홀드의 입구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을 부가적으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이웃하는 카고홀드 사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그 공간만큼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없다.
최근에는 더 많은 컨테이너를 선적하면서 해치커버의 생산/운반/탑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치커버가 없는 오픈-탑(open-top) 개념의 소형 컨테이너 운반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소형 컨테이너 운반선에 오픈-탑 개념을 적용할 경우,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의 하중으로 인한 적재 하부 컨테이너의 파손 문제와 선박의 트림 및 안정성(Trim & Stability)의 문제로 카고홀드의 바닥으로부터 상갑판의 상부로 연속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수(단)를 일정 개수(예를 들면 12단) 이하로 제한할 수 밖에 없고, 선박 운항 시 거친 해상에서 선박의 갑판으로 해수가 다량 유입되는 그린워터(green water)를 방지하기 위해 선측판을 동일 선적 규모 컨테이너 운반선 대비 과도하게 높이고 선체 강도를 보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에서는 해치커버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테이너 하역 시 해치커버 상부의 컨테이너를 래싱 브리지에 각종 피팅(fitting)류로 고박/해체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과도한 작업시간과 안전 관리 등이 요구되므로 컨테이너 운반선 운용상의 비용으로 발생된다. 또한, 컨테이너 운반선의 운항 시 악천후로 인하여 과도한 선체운동이 발생하는 경우 하중으로 인하여 해치커버가 움직이거나, 갑판 또는 해치커버의 체결장치가 파손되거나, 래싱 브리지의 피팅류가 파단되거나, 해치커버와 선체의 상대변위가 발생하는 등 해치커버 및 래싱 시스템의 불완전한 요소로 인하여 래싱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붕괴되고 최종적으로는 적재된 컨테이너가 파손되거나 바다로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치커버가 없는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카고홀드의 바닥으로부터 상갑판의 상부로 연속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수(단)를 증가시켜 선적 용량을 증가시키고, 적재된 컨테이너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적재 컨테이너와 래싱 브리지간 피팅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는, 컨테이너 운반선에 구비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로서, 상기 컨테이너 운반선은, 선측외판과 선측내판으로 더블헐 구조를 이루는 선측판과, 선저외판과 선저내판으로 이중저 구조를 이루는 선저판과, 상갑판으로 이루어지는 선체의 내부에서 횡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카고홀드와, 상기 횡격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와, 상기 상갑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셀가이드는, 상기 하부셀가이드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컨테이너의 가이드 경로를 이루고,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카고홀드에 적용되어 상방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하며, 좌우 폭이 상기 컨테이너의 좌우 폭에 대응되고, 전후 길이가 상기 카고홀드의 입구의 전후 길이보다 작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수밀플레이트; 및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전체 중량을 줄여 경량화하도록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의 전체 면적 대비 20% 내지 50%에 해당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은, 대형 컨테이너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형 컨테이너 또는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에 의해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은, 상기 소형 컨테이너가 적재되었을 때, 상기 컨테이너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카고홀드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형 컨테이너 바닥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 각각의 양측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대형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제1피팅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 각각의 중간 부분 상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피팅부재를 적어도 일부 공유하여 상기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제2피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상기 제2피팅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되거나, 상기 제2피팅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2개씩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 상에 고이는 물이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상기 카고홀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홀의 주변에 설치되는 코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밍은,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상에 적재되는 상기 컨테이너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1피팅부재 및 상기 제2피팅부재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에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함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링은,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홀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측면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은, 상기에 기재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은, 해치커버가 없는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카고홀드의 바닥으로부터 상갑판의 상부로 연속하여 적재되는 컨테이너의 수(단)를 증가시켜 선적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적재 컨테이너와 래싱 브리지간 피팅 작업을 생략하도록 하여 과도한 피팅 작업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일부 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오픈-타입의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클로즈드-타입의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을 설명하기 위한 3차원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간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운반차량에 적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컨테이너 운반선에 적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다양한 위치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의 (a) 및 (b)는 탑브리지를 구성하는 사선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부재에 대한 구조해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도 27의 구조해석을 통해 얻어지는 도 3의 탑브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27의 구조해석을 통해 얻어지는 도 3의 탑브리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순서도이다.
도 38은 도 14 및 도 15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0 및 도 41은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물 가이드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내부 보강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의 (a) 내지 (c), 도 45의 (a) 내지 (c) 및 도 4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제1수밀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은 조립대 및 이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8은 조립대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9는 조립대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부분순서도이다.
도 50은 조립대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부분순서도이다.
도 51은 조립대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3부분순서도이다.
도 5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오픈-타입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이송에 적용되는 이송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오픈-타입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가변형 적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오픈-타입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가변형 적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5의 (a), (b) 및 (c)는 가변형 적치부재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의 일부 횡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오픈-타입의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 및 이에 구비되는 클로즈드-타입의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을 설명하기 위한 3차원 정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선체(10)의 내부와 외부에 컨테이너(C)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운송할 수 있으며, 해치커버가 없는 새로운 개념의 컨테이너 운반선으로서, 컨테이너(C)를 적재 및 지지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은 컨테이너(C)를 카고홀드(17) 바닥으로부터 상갑판(11) 상부 위에 적재된 양까지 포함하여 13단 이상 대량의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대형 컨테이너선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컨테이너(C)는 컨테이너 운반선(1)에 주로 적재되는 20ft 컨테이너(이하, '소형 컨테이너'이라 칭함) 또는 40ft 컨테이너(이하, '대형 컨테이너'이라 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ISO 규격에 따르면 선박용 컨테이너(C)로 상기에서 언급한 20ft 또는 40ft 이외에도 다양한 규격의 컨테이너(C)가 선박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원을 갖는 컨테이너(C)가 있으므로, 이하에서 언급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가 20ft 또는 40ft에 한정되는 의미로 사용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도 3 내지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일 수 있고,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일 수 있다.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구성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이 다소 유사하여, 이하에서는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위주로 설명하며,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상이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5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픈-타입은 카고홀드(17)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것이고, 클로즈드-타입은 카고홀드(17)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폐쇄된 것을 의미한다.
선체(10)는, 컨테이너 운반선(1)의 외관을 이룬다. 선체(10)는 상갑판(11), 선측판(12), 선저판(13)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선체(10)는, 선측판(12)이 선측외판(12a)과 선측내판(12b)으로 이루어지는 더블헐 구조와, 선저판(13)이 선저외판(13a)과 선저내판(13b)으로 이루어지는 이중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체(10)의 내부에는 컨테이너(C)가 적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체(10)의 내부에는 횡격벽(16)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수의 카고홀드(17)가 마련된다. 카고홀드(17) 내에는 횡격벽(16)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부셀가이드(31)가 설치되어 카고홀드(17) 내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고홀드(17)는 입구가 개방된 구조로서, 기존의 해치커버가 입구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할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카고홀드(17)의 입구에 거치되거나 카고홀드(1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카고홀드(17)의 입구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단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카고홀드(17)의 내부에 거치될 경우에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카고홀드(17)의 입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카고홀드(17)의 입구를 이루는 상갑판에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기존 래싱 브리지가 있는 컨테이너 운반선(1) 또는 카고홀드(17) 입구에 해치코밍이 있는 컨테이너 운반선(1)에 적용될 경우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 상부의 해치코밍에 거치될 수 있다.
선체(10)의 내부에서 선미(15)에 인접한 위치에는 엔진룸(R)이 마련될 수 있다. 엔진룸(R) 내에는 추진 엔진(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며, 추진 엔진은 프로펠러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연료인 액화가스를 소비하여 프로펠러의 회전을 구현한다.
선체(10)의 상갑판(11)에는 선실(A)이 마련된다. 선실(A)은 승선원의 거주공간이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층으로 나뉠 수 있고, 가장 상부 층에는 항해를 제어하는 조종실이 마련될 수 있다.
선체(10)의 상갑판(11) 상에서 선실(A)의 후방에는 엔진케이싱(I)이 마련된다. 엔진케이싱(I)은 추진 엔진에서 발생하는 배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돌을 가지며, 비상발전기나 소화시설 등이 마련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선체(10)의 상갑판(11)에서 선실(A)과 엔진케이싱(I)을 제외한 부분에는 컨테이너(C)가 적재될 수 있다. 컨테이너(C)의 적재를 위해서 상갑판(11)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탑브리지(20)가 마련된다.
탑브리지(20)는,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선수(14)로부터 선미(15)까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탑브리지(20)의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부셀가이드(3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탑브리지(20)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이 적용되는 래싱 브리지가 아니라, 상부셀가이드(32)가 적용되는 셀가이드 시스템이다.
상부셀가이드(32) 각각은, 탑브리지(20)의 상단으로부터 상갑판(11)까지 연장되고, 카고홀드(17)의 내부에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31) 각각과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셀가이드(32)는 하부셀가이드(31)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컨테이너(C)의 가이드 경로를 이룬다. 크레인(CR_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상부셀가이드(32)의 내부로 인입시켜 하강시킬 때,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상부셀가이드(3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가이드 경로 내로 인입되어 하강될 수 있다.
상부셀가이드(32)는, 크레인(CR)으로 이송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승강을 가이드 하고, 탑브리지(20)에 마련된 상부 셀가이드(32)와 횡격벽(16)에 설치된 하부셀가이드(31)가 각각 연결되어 컨테이너(C) 하역 시 해치커버 탑재나 래싱 작업 등의 추가적인 작업없이 연속적인 선적 또는 양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상부셀가이드(32)는 선체(10)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횡방향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탑브리지(20)는, 양측에 상부셀가이드(32)가 설치됨으로써, 상부셀가이드(32)가 컨테이너(C)를 지지 고정할 수 있어, 기존의 래싱 시스템(래싱 로드, 래싱바 등의 체결장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1~4단(tier) 레벨로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전후에서 컨테이너(C)의 전도 방지를 방지하고, 리퍼(reefer) 컨테이너(C)에 구비되는 컨트롤 유닛 등의 유지보수 및 모니터링을 위한 접근 및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컨테이너 운반선(1)의 운항 시 상갑판(11) 상부의 컨테이너(C)를 직접 지지함에 따라 적재된 컨테이너(C)가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종래 대형 컨테이너 운반선의 문제점인 운항 시 악천후로 인하여 과도한 선체운동이 발생하는 경우 하중으로 인하여 해치커버가 움직이거나, 갑판 또는 해치커버의 체결장치가 파손되거나, 래싱 브리지의 피팅류가 파단되거나, 해치커버와 선체의 상대변위가 발생하는 등 해치커버 및 래싱시스템의 불완전한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래싱 시스템이 연속적으로 붕괴되고 최종적으로는 적재된 컨테이너(C)가 파손되거나 바다로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존의 래싱 브리지의 경우 래싱 시스템이 적용되기 때문에 래싱 작업을 위해 작업자 환경 규정상 폭이 충분히 필요한 반면, 본 실시예의 탑브리지(20)는 래싱 시스템을 생략하고 셀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래싱 브리지가 설치된 복잡한 구조를 단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탑브리지(20)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기존의 래싱 브리지가 설치된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 대비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 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컨테이너 운반선(1)의 동일 제원 대비 설계 융통성(선체 길이, 기타 래싱 시스템이 없어짐으로 인한 최적화 가능)을 확보하거나, 컨테이너(C)의 선적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탑브리지(20)는, 다수의 수직부재(21)와 다수의 수평부재(22)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수직부재(21) 중에서 선체(10) 좌우측의 상갑판(11) 상에 2개씩 배치되는 외곽수직부재(21a)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수직부재(21) 중에서 외곽수직부재(21a)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을 기준으로 2배에 해당되는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셀가이드(32)는, 외곽수직부재(21a),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및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각각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탑브리지(20)는, 선체(10)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컨테이너(C)의 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셀가이드(32)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횡방향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2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브리지를 구성하는 사선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부재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
도 27의 (a)는 다수의 수직부재(21)와 다수의 수평부재(22)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탑브리지(20)이고, 도 27의 (b)는 다수의 사선부재(23)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비교 실시예의 탑브리지(20-1)이다.
구조해석 결과, 사선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하중이 높은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이에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탑브리지(20)의 다른 실시예의 탑브리지(20a)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탑브리지(20)의 또 다른 실시예의 탑브리지(20b)를 얻을 수 있었다.
도 2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탑브리지(20a)는, 탑브리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수직부재(21) 및 다수의 수평부재(22)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하기 위해, 다수의 사선부재(23)가 더 설치된다.
상기한 다수의 사선부재(23)는, 선체(10) 좌우측의 상갑판(11) 상에 2개씩 배치되는 외곽수직부재(21a) 각각의 하단 및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중간수직부재(21b)의 하단으로부터 선체(10)의 중심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의 탑브리지(20b)는, 탑브리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수직부재(21) 및 다수의 수평부재(22)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하기 위해, 다수의 플레이트부재(24)가 더 설치된다.
상기한 다수의 플레이트부재(24)는,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중 외곽수직부재(21a) 각각에 인접되는 1개의 중간수직부재(21b)와의 사이 및 다수의 중간수직부재(21b) 중 선체(1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2개의 중간수직부재(21b) 사이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탑브리지(20, 20a, 20b)는, 상부셀가이드(32)를 최상부까지 설치하거나 최상부보다 낮게 또는 높게 선주 요구에 따라 맞춤식으로 설치함에 따라 전도로 인한 컨테이너(C)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선주의 요구에 따라 상갑판(11) 상부로 단(Tier) 수를 맞춤식 설계 가능하며, 선체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을 통합한 단위 블록으로 제작이 가능해 경량화 및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탑브리지(20, 20a, 20b)는 상기한 셀가이드 시스템에 더하여 최상단에 기존 래싱 시스템을 추가 적용할 수 있도록 래싱 시스템의 고정장치인 래싱아이(lashing eye), 래싱링(lashing ring), 래싱플레이트(lashing plate), 플러그(plug), 콘(co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추가 배치되어 적재 컨테이너(C)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셀가이드 시스템이 적용된 탑브리지(20)가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 열(row), 또는 하나의 열(row)의 좌우측 일부 구간에서 기존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래싱 시스템이 적용된 래싱 브리지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이 적용된 탑브리지(20)와 기존의 래싱 시스템이 적용된 래싱 브리지가 혼재하는 하이브리드 형 브리지를 가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구비될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해치커버가 없는 컨테이너 운반선(1)에 구비되며,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고홀드(17)에 적용되어 상방에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적재 및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프레임(111), 하부프레임(112), 지지대(113), 돌출부재(120), 보강프레임(130), 제1피팅부재(141), 제2피팅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상부프레임(111), 하부프레임(112) 및 지지대(113)가 상호 결합되어 전체 형상이 직사각 박스 형태인 본체(110)를 이룰 수 있다.
상부프레임(111)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11)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배치되고,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2)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고,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112)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배치되고,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과,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제2단축프레임(1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은, 양단부가 후술할 지지대(113)의 하단에 연결되어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갖다가 절곡되어 중간 부분에서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113)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에 높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상부프레임(111)의 사각 모서리 각각과 하부프레임(112)의 사각 모서리 각각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20)는, 카고홀드(17)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 가능하도록 상하부프레임(111, 112) 또는 지지대(113)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20)는,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되거나 카고홀드(1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되도록, 지지대(113) 각각의 하단에서 길이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120)가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될 경우, 지지대(113)를 통해 전달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하중을 상갑판(11)에 전달할 수 있다.
돌출부재(120)가 후술할 위치조절부재(40)를 이용하여 카고홀드(1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될 경우,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은, 돌출부재(120)가 거치되는 부분에서 돌출부재(120)가 통과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재(120)는, 상갑판(11)에 형성된 홈을 통과한 후, 카고홀드(17) 내부의 횡격벽(16)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는 후술할 위치조절부재(40)에 거치되고, 지지대(113)를 통해 전달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하중을 횡격벽(16)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래싱 브리지가 설치되는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 또는 카고홀드(17) 입구에 해치코밍이 있는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에 적용될 경우에는, 돌출부재(120)가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 상부 해치코밍에 거치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130)은, 상부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분과 하부프레임(11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중간 부분을 연결하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상면에 적재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130)은,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제1수평보강재(131)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제2수평보강재(132)와, 제1수평보강재(131)의 일단과 제2수평보강재(13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수직보강재(133)와, 제1수평보강재(131)의 타단과 제2수평보강재(132)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2수직보강재(도면부호 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플레이트(151), 제2플레이트(152), 보강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51)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중 어느 하나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중 어느 하나와, 이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대(113)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틀에 설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152)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중 다른 하나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중 다른 하나와, 이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대(113)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틀에 설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160)는,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각각의 외측면과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160)는,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각각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각각을 사이에 두고 제1수직보강재(133)와 제2수직보강재 각각과 마주하도록,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과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에 연결되는 중간보강부재(161)와, 중간보강부재(161)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113) 사이에 배치되되,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의 절곡되는 부분에서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과 연결되는 제1,2보강부재(162, 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이 절곡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편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보강프레임(130),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보강부재(160) 전부 또는 일부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유사 기술과는 다르게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하중을 자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제1피팅부재(141)는, 상부프레임(111)의 사각 모서리 각각의 상단에 마련되며, 대형 컨테이너(C) 또는 소형 컨테이너(C) 적재 시 고정용으로 사용되거나, 크레인(CR)으로 이송 시 권양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피팅부재(142)는, 상부프레임(111)의 중간 부분 상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며, 소형 컨테이너(C) 적재 시 고정용으로 사용되거나, 크레인(CR)으로 이송 시 제1피팅부재(141)와 함께 권양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제1피팅부재(141)는, 상부프레임(111)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피팅부재(142)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중간 부분의 상단에 마련되며, 길이 방향으로 2개 배치되는 소형 컨테이너(C) 적재 시 하중에 의한 좌굴 현상으로 내측으로 기울어지더라도 마주하는 2개의 소형 컨테이너(C)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1피팅부재(141)의 높이 대비 5mm 내지 15mm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피팅부재(141) 및 제2피팅부재(142)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유사 기술과는 다르게 상면에 소형 컨테이너(C) 및 대형 컨테이너(C)를 혼재하여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를 병렬로 연결하는 커플링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부재(170)는, 서로 인접 배치되는 둘 이상의 상하부프레임(111, 112)을 연결할 수 있다. 커플링부재(170)는, 상부프레임(111)의 양측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제1커플링부재(171)와, 하부프레임의 양측 각각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제2커플링부재(1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2커플링부재(171, 172)는, 힌지형 스페이서일 수 있다.
제1커플링부재(171)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에 고정되어 제1,2보강부재(162, 163) 각각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커플링부재(172)는,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에 고정되어 제1,2보강부재(162, 163) 각각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제1커플링부재(171)는, 본체(110)를 병렬로 연결 시 이웃하는 본체(110)의 상부를 연결하고, 제2커플링부재(172)는, 본체(110)를 병렬로 연결 시 이웃하는 본체(110)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2커플링부재(171, 172)는, 병렬로 연결된 본체(1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2커플링부재(171, 172)에 의해 병렬로 연결했을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갭은 상부셀가이드(3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2커플링부재(171, 172)를 이용하여 병렬로 연결할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각각의 제1,2플레이트(151, 152)에 의해 폐쇄된 구조가 되고, 일정 간격의 갭을 통해 제1,2커플링부재(171, 172)를 체결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제1,2커플링부재(171, 172)에 대응되는 위치의 제1,2플레이트(151, 152)에 홀(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거나, 상하부프레임(111, 112)에 별도 조작 공간을 마련하거나,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크레인으로 이송 시, 본체(110)가 병렬로 연결되지 않고 단독으로 이송되거나, 본체(110)가 제1,2커플링부재(170)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제1,2커플링부재(170)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 병렬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횡방향으로 2개 이상이 복수로 연결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러한 갭은 상부셀가이드(32)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싱글 타입 및 멀티 타입을 포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싱글 타입인 경우,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의 크기(폭 및 길이)를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멀티 타입인 경우,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 및 길이에 1 내지 n배(n은 자연수)의 폭 및 길이를 갖되 카고홀드(17)의 입구보다 작은 평단면을 갖는다.
상기에서,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크레인(CR)으로 이송할 때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홀수 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레인(CR)에 부착되는 스프레더(SR)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이송할 때,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에서 가운데 위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에 스프레더(SR)를 연결하기 때문에 홀수 개로 연결해야만 이송 시 무게 중심을 쉽게 맞출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병렬로 연결되는 개수는 크레인(CR)의 운용 하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본체(110)를 수직으로 연결 및/또는 지지하는 적치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치부재(180)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차량(TR)이나 육상(2)에 적치되는 제1상태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에 적치되는 제2상태로 전환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적치부재(180)는, 지지대(113) 각각의 측면에서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적치다리(181)와, 적치다리(181) 각각의 하단에 마련되며, 본체(110)를 다단으로 적치할 때 상부에 적치되는 본체(110)에 마련된 제1피팅부재(141)와 체결되는 제3피팅부재(18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치다리(181)는, 제1피팅부재(141)와 제3피팅부재(182)를 이용하여 본체(110)를 다단으로 적치했을 때, 하부에 적치되는 본체(110)에 마련된 한 쌍의 제2피팅부재(142)가 상부에 적치되는 본체(110)의 하부프레임(112)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적치다리(181)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상하로 적치했을 때, 상부에 적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밑 부분과 하부에 적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윗 부분이 맞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하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될 때 접촉 마찰로 인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적치부재(180)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연결 및/또는 지지가 가능한 기능으로, 육상(2)에서 제작 또는 적치 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는 기능과, 육상(2)에서 운반차량(TR)으로 복수 개를 운반 시 상하로 적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각각이 지지되고 연결되는 기능과, 컨테이너 운반선(1)의 일부 셀(18)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복수 개 적치하여 보관할 경우에도 각각이 지지되고 연결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치부재(18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카고홀드(17) 입구에 설치했을 때, 카고홀드(17) 입구의 해치코밍(도면부호 미도시) 또는 하부셀가이드(31)에 맞닿는 구조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재(120)의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치부재(180)를 구성함으로써,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카고홀드(17) 입구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설치 또는 제거하기 위해 탑브리지(20) 사이로 승강시킬 때 상부셀가이드(32)에도 맞닿게 되어 안정적으로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크레인(CR)에 의해 이웃하는 탑브리지(20) 사이를 승강할 때, 상부셀가이드(32)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컨테이너 양하 작업 시 또는 컨테이너 선적 작업 전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상갑판(1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외곽수직부재(21a) 사이에 적치하여 보관될 수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중간수직부재(21b) 사이에 적치하여 보관될 수 있고, 2개 이상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2개 이상의 수직부재(21) 사이에 적치하여 보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컨테이너 운반선(1)에 적치하여 보관함으로써, 육상에 별도 적치 장소가 필요 없으며, 컨테이너(C)의 하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제1,2커플링부재(171, 172)에 의해 병렬로 연결하면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사이에 갭이 생기게 되는데, 크레인(CR)에 의해 이웃하는 탑브리지(20) 사이를 승강할 때, 상부셀가이드(32)가 갭에 삽입되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체(110)의 좌우가 제1,2플레이트(151, 152)로 밀폐되고, 본체(110)의 상하전후가 개방된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대비하여, 전체적인 형상 및 기능 그리고 구성이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유사할 수 있고, 다만 수밀부재(153)가 더 구성되는 것이 다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설명하도록 하는데, 수밀부재(153)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도 8 내지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도 3 내지 도 7 및 도 14에 도시된 것을 인용함)하였고, 이에 따라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다른 구성 요소인 수밀부재(153)와 이로 인하여 달라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수밀부재(153)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카고홀드(17)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하고, 그 상부에 컨테이너(C)를 적재했을 때, 카고홀드(17) 내부로 물(해수나 강우)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수밀플레이트(153a), 제2수밀플레이트(153b), 제3수밀플레이트(15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밀플레이트(153a)는, 상부프레임(111)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 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상부를 통해 카고홀드(17)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수밀플레이트(153b)는, 상부프레임(111)의 제1단축프레임(111b), 지지대(113), 돌출부재(120)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방측 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전후방부를 통해 카고홀드(17)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수밀플레이트(153b)의 하단부는 돌출부재(120)의 형상에 대응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로 인해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 상에 위치된다.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에 적용되는 돌출부재(120)는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에 적용되는 돌출부재(120)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대(113) 각각에 마련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되거나, 이웃하는 지지대(113)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수밀플레이트(153c)는, 상부프레임(111)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수밀플레이트(153a) 상에 고이는 물을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측면을 이루는 제2수밀플레이트(153b)로 유도하여 카고홀드(17)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제3수밀플레이트(153c)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제1,2피팅부재(141, 142)에 고정했을 때 손상되지 않도록,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보다 큰 폭의 간격을 가지거나, 제3수밀플레이트(153c)의 높이를 제1피팅부재(141) 및 제2피팅부재(142) 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즉,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와 달리 상부의 폭이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밀부재(153)가 마련되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카고홀드(17)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하고, 그 상부에 컨테이너(C)를 적재한 상태에서, 컨테이너(C)의 측벽으로 물이 흘러내리게 되면, 제1수밀플레이트(153a) 상에 물이 고이게 되고, 고인 물은 제3수밀플레이트(153c)에 의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측면으로 넘쳐 카고홀드(17)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제2수밀플레이트(153b)를 통해 상갑판(11)으로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 오픈-타입 및 커플링부재(170)에 의한 오픈-타입의 병렬 연결형, 단순 클로즈드-타입 및 커플링부재(170)에 의한 클로즈드-타입의 병렬 연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픈-타입은 카고홀드(17)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비수밀형일 수 있으며, 클로즈드-타입은 카고홀드(17)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폐쇄된 수밀형 또는 밀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본체(110)의 좌우가 제1,2플레이트(151, 152)로 밀폐되고, 본체(110)의 상하전후가 개방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2플레이트(151, 152)를 생략하거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타입에 적용된 제2수밀플레이트(153b)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에 제2수밀플레이트(153b)가 적용되는 경우,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에 적용되는 돌출부재(120)는 복수 개의 지지대(113) 각각에 마련되는 분리형으로 구성되거나, 이웃하는 지지대(113)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재(120)는 제2수밀플레이트(153b)의 설치와 상관 없이 분리형 또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직사각 박스 형태인 본체(110)의 상측, 전후방측 및 좌우방측이 밀폐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측이 밀폐되고, 본체(110)의 전후방측 및 좌우방측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고 다른 하나가 밀폐된 세미 클로즈드-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본체(110)의 좌우방측이 개방되는 경우 제1,2플레이트(151, 152)가 생략되고, 전후방측이 개방되는 경우 제2수밀플레이트(153b)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3수밀플레이트(153c)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 상에 고인 물을 제2수밀플레이트(153b)를 통해 상갑판(11)으로는 유도하지만, 제2수밀플레이트(153b)가 생략된 경우 제3수밀플레이트(153c)에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을 추가 구성하여 상갑판(11)으로 직접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ISO 컨테이너(C)와 동일 운용 방식으로 운용 가능하며, 크레인(CR)으로 운용하여 적재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고, 육상에서 운반차량(TR)으로 적재 운송 가능하여 생산 및 물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기존의 6Row 해치커버 기준 중량을 25%정도 경량화(예를 들어, 15K 기준 약 600톤 경량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은, 도 22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위치를 조절하고,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적재 단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40)는, 카고홀드(17) 내부의 다수의 셀(18) 각각에서 이웃하는 하부셀가이드(3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카고홀드를 구획하는 횡격벽(16)의 수직방향 임의의 위치에 적어도 1곳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40)는, 상갑판(11)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카고홀드(17) 내부로 하강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40)는, 고정형 스토퍼(41), 슬라이딩형 스토퍼(42),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위치조절부재(40)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형 스토퍼(41)일 수 있다.
고정형 스토퍼(41)는, 다수의 셀(18) 각각에서 이웃하는 하부셀가이드(3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돌출부재(120)에 대응되도록 횡격벽(16)의 수직방향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돌출부재(120)가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부재(4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형 스토퍼(42)일 수 있다.
슬라이딩형 스토퍼(42)는, 다수의 셀(18) 각각에서 이웃하는 하부셀가이드(31) 사이의 횡격벽(16)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42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형 스토퍼(42)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승강 시에 좌우로 이동시켜 돌출부재(120)가 거치되도록 하거나(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됨), 중간으로 이동시켜 돌출부재(1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또한, 위치조절부재(40)는, 도 24, 도 25 및 도 2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회전하는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일 수 있다.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는, 다수의 셀(18) 각각에서 이웃하는 하부셀가이드(31)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한 쌍이 배치되되, 돌출부재(120)가 통과하는 위치 부근의 횡격벽(16)에 회전 가능하도록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승강 시에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돌출부재(120)가 거치되도록 하거나(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됨),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돌출부재(1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됨).
도 26에서 (a)는 힌지형 스토퍼(43c)의 측면도로서 회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b)는 힌지형 스토퍼(43c)의 평면도로서 돌출부재(1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c)는 힌지형 스토퍼(43c)의 평면도로서 돌출부재(1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조절부재(40)는, 고정형 스토퍼(41), 슬라이딩형 스토퍼(42),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 등 다양한 스토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스토퍼는 병행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형 스토퍼(41)가 횡격벽(16)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된 경우, 슬라이딩형 스토퍼(42) 또는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를 고정형 스토퍼(41)의 위쪽 또는 아래쪽 위치의 횡격벽(16)에 적어도 1곳 이상 설치하여, 카고홀드(17) 내부의 다수의 셀(18) 각각에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적어도 2개 이상 설치 가능하게 한다.
다른 예로서, 고정형 스토퍼(41)가 횡격벽(16)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슬라이딩형 스토퍼(42) 또는 힌지형 스토퍼(43a, 43b, 43c)를 횡격벽(16)에 적어도 1곳 이상 설치하여, 카고홀드(17) 내부의 다수의 셀(18) 각각에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적어도 1개 이상 설치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은, 카고홀드(17) 내 횡격벽(16)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하부셀가이드(31)와, 이에 상하 대응하는 탑브리지(20, 20-1, 20a, 20b)에 설치된 상부셀가이드(32)가 연결된다. 이러한 카고홀드(17)의 바닥으로부터 상갑판(11)의 상부로 연속하여 컨테이너(C)를 적재할 수 것은 기존의 소형 컨테이너 운반선의 오픈-탑(open-top)과 유사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반선(1)은 셀가이드(31, 32) 중앙부에 위치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및 상갑판(11)에 설치되는 탑브리지(20, 20-1, 20a, 20b), 상부셀가이드(32)의 역할로 인하여, 컨테이너(C)를 카고홀드(17) 바닥으로부터 상갑판(11) 상부 위에 적재된 양까지 포함하여 13단 이상 대량으로 적재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반선(1)은,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을 생략하고, 탑브리지(20)에 상부셀가이드(32)가 마련되는 셀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30 및 도 3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C)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이 기존 대비 차별화됨을 밝히고자 한다.
도 30의 (a)는,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인터널 래싱(Internal lashing) 시 소켓파운데이션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것으로, 자중에 의한 압축 하중과 선체 운동에 의한 횡방향 하중은 모멘트 성분으로 소켓파운데이션부에 추가 압축 하중으로 작용함을 도시하고 있다.
도 30의 (b)는,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익스터널 래싱(External lashing) 시 소켓파운데이션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것으로, 자중에 의한 압축 하중과 선체 운동에 의한 횡방향 하중은 모멘트 성분으로 소켓파운데이션부에 추가 압축 하중으로 작용하되, 인터널 래싱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중이 감소함을 도시하고 있다.
도 30의 (c)는,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도 3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도 선체 운동 하중이 해치커버 및 래싱 시스템에 불완전 요소로 작용하여 해치커버 움직임과 갑판 스툴 및 해치커버와 선체의 상대변위를 발생하여, 소켓파운데이션부가 손상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소켓파운데이션부가 손상은 컨테이너 붕괴 및 유실의 주요 원인이 된다.
도 31은, 탑브리지(20)에 상부셀가이드(32)가 마련되는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 및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적용 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의 소켓파운데이션부로서 제1,2피팅부재(141, 142)에 작용하는 하중을 도시한 것으로, 자중에 의한 압축 하중과 선체 운동에 의한 횡방향 하중은 상부셀가이드(32)에서 흡수하여 추가 압축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선체 운동에 의한 하중에 대하여 선체 일반 구조 강도와 동일하게 여유분을 확보 가능하고, 선체 상대변위 영향이 미미하며, 하중 쏠림으로 인한 적재 컨테이너(C)의 파손 및 래싱 시스템의 붕괴 이로 인한 컨테이너(C)의 도미노 붕괴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 운반선(1)은,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을 생략하고, 탑브리지(20)에 상부셀가이드(32)가 마련되는 셀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32 내지 도 3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과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컨테이너(C)의 적재 안정성을 비교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이 기존 대비 차별화됨을 밝히고자 한다.
도 32는, 기존의 래싱 브리지에 적용되는 기존의 래싱 시스템에서, 선체의 상갑판 상부 해치커버 위로 컨테이너(C)를 12단 적재하고, 컨테이너(C)를 래싱 시스템을 이용하여 3단 래싱했을 때, 랙킹 포스(racking force), 코너 포스트 포스(corner post force), 트위스트락 포스(twistlock force)를 계산해서 얻어진 테이블이다.
랙킹 포스(racking force)는 선체 롤링(rolling)의 영향으로 적재된 컨테이너(C)가 경사방향으로 받는 힘이고, 코너 포스트 포스(corner post force)는 적재된 컨테이너 4 모서리(post)에 상, 하로 받는 힘이고, 트위스트락 포스(twistlock force)는 선체의 움직임으로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연결부재(twistlock)에 걸리는 힘이다.
도 33은, 탑브리지(20)에 상부셀가이드(32)가 마련되는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위로 컨테이너(C)를 12단 적재하고, 셀가이드 시스템을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기준 4단까지 적용했을 때, 랙킹 포스(racking force), 코너 포스트 포스(corner post force), 트위스트락 포스(twistlock force)를 계산해서 얻어진 테이블이다.
도 34는, 도 32 및 도 33의 테이블에 근거하여, 기존의 래싱 시스템과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에서, 랙킹 포스(racking force), 코너 포스트 포스(corner post force), 트위스트락 포스(twistlock force)의 해석 결과에 대한 테이블이다.
도 3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운반선의 롤링(rolling) 운동 시 적재된 컨테이너(C)가 좌우 운동할 때 운동가속도의 최대치에서 걸리는 코너 포스트 포스를 해석한 결과, 허용치 848kN 대비하여, 기존 래싱 시스템(컨테이너 3단 래싱 브리지)의 경우에는 해치커버 상부의 적재된 컨테이너 최하단에서 927.5kN으로 허용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 컨테이너 붕괴 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반면, 본 발명 셀가이드 시스템(본 발명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 4단까지 셀가이드로 지지하는 구조)의 경우에는 적재된 컨테이너의 4단까지 셀가이드가 운동가속도를 흡수함에 따라 최대값이 805.7kN의 허용치 이하로 컨테이너 붕괴 위험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컨테이너(C)를 12단 적재하고, 1단으로부터 10단까지 소형 컨테이너(20ft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동일한 조건에서, 기존 래싱 시스템에서는 해치커버 상부 20ft 컨테이너 적재 시 래싱이 없지만(만약 한쪽 면에만 래싱 시에는 래싱하지 않는 것 보다 악조건 발생),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컨테이너 5단까지 셀가이드로 지지하는 구조)에서는 셀가이드가 컨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기존의 래싱 시스템과 달리 순수 횡방향으로 하중 전달이 가능(카고홀드 내부와 동일한 하중 전달)하여, 트위스트락 허용 하중(Min. breaking 500kN(인당), 420kN(전단))에서 본 발명의 설계 안전계수가 기존의 설계 안전계수보다 약 8배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셀가이드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20ft 컨테이너 적재 황천 항해 조건에서 기존의 래싱 시스템 대비 월등한 안정성 확보가 예상된다.
도 3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순서도이다.
도 35 및 도 3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하역방법에 이용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운반선(1)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고홀드(17)에 적용되어 상방에 컨테이너(C)를 적재하도록, 컨테이너(C)의 폭 및 길이에 1 내지 n배(n은 자연수)의 폭 및 길이를 갖되 카고홀드(17)의 입구보다 작은 평단면을 갖는 상하부프레임(111, 112)과, 상하부프레임(111, 112)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대(113)와, 카고홀드(17)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 가능하도록 상하부프레임(111, 112) 또는 지지대(113)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20)와, 서로 인접 배치되는 둘 이상의 상기 상하부프레임(111, 112)을 연결하는 커플링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구비되고, 컨테이너 운반선(1)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육상(2)의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 운반선(1)으로 선적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카고홀드(17) 내부에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카고홀드(17) 내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완료한다(단계 S11).
커플링부재(170)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병렬로 연결한다(단계 S12).
상기한 단계 S12에서,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크레인(CR)으로 이송할 때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홀수 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크레인(CR)에 부착되는 스프레더(SR)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이송할 때,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가운데 위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스프레더(SR)를 연결하기 때문에 홀수 개로 연결해야만 이송 시 무게 중심을 쉽게 맞출 수 있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이송한다(단계 S13).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카고홀드(17)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한다(단계 S14).
단계 S14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육상(2)에 보관된 상태에서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로 이송된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완료한다(단계 S15).
이하에서는,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컨테이너(C)를 육상(2)으로 양하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양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16).
크레인(CR)으로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카고홀드(17) 입구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카고홀드(17)의 입구를 개방한다(단계 S17).
단계 S17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병렬로 연결된 상태로 상갑판(11)의 임의의 장소로 이송하여 상갑판(11) 상에 적치 보관할 수 있고, 육상(2)으로 이송하여 육상(2)에 적치 보관할 수 있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카고홀드(17) 내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양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18).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이 상갑판(11), 선측판(12), 선저판(13)이 외관을 이루는 선체(10)와, 선체(10)의 내부에서 횡격벽(16)에 의해 구획되는 카고홀드(17)와, 횡격벽(16)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31)와,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고,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열(row)로 배치되는 탑브리지(20)와, 하부셀가이드(31) 각각과 연결되며, 탑브리지(2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셀가이드(32)를 포함할 경우, 상부셀가이드(32)는, 커플링부재(170)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단계 S12)에서,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단계 S14)하거나, 카고홀드(17)의 입구로부터 제거(단계 S17)할 때, 병렬로 연결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사이의 갭에 삽입되어 승강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운반선(1)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의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하역방법에 이용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를 적재하는 컨테이너 운반선(1)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카고홀드(17)에 적용되어 상방에 컨테이너(C)를 적재하도록, 컨테이너(C)의 폭 및 길이에 1 내지 n배(n은 자연수)의 폭 및 길이를 갖되 카고홀드(17)의 입구보다 작은 평단면을 갖는 상하부프레임(111, 112)과, 상하부프레임(111, 112)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대(113)와,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 가능하도록 상하부프레임(111, 112) 또는 지지대(113)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가 구비되고, 컨테이너 운반선(1)에서,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육상(2)의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 운반선(1)으로 선적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카고홀드(17) 내부에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카고홀드(17) 내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완료한다(단계 S21).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카고홀드(17)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한다(단계 S22).
단계 S22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육상(2)에 보관된 상태에서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로 이송되거나, 컨테이너 운반선(1)의 상갑판(11)의 임의의 장소에 보관된 상태에서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로 이송된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선적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컨테이너(C)의 적재를 완료한다(단계 S23).
이하에서는,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운반선(1)의 컨테이너(C)를 육상(2)으로 양하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양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24).
크레인(CR)으로 이용하여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카고홀드(17) 입구로부터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되, 제거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육상(2)으로 내리거나 상갑판(11)의 임의의 장소로 이송하여 카고홀드(17)의 입구를 개방한다(단계 S25).
단계 S25에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상갑판(11)의 임의의 장소로 이송하여 상갑판(11) 상에 적치 보관할 수 있고, 육상(2)으로 이송하여 육상(2)에 적치 보관할 수 있다.
크레인(CR)을 이용하여 카고홀드(17) 내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양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단계 S26).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운반선(1)이 상갑판(11), 선측판(12), 선저판(13)이 외관을 이루는 선체(10)와, 선체(10)의 내부에서 횡격벽(16)에 의해 구획되는 카고홀드(17)와, 횡격벽(16)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31)와,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의 좌우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설치되고, 선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열(row)로 배치되는 탑브리지(20)와, 하부셀가이드(31) 각각과 연결되며, 탑브리지(20)의 양측에 설치되는 상부셀가이드(32)를 포함할 경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는, 카고홀드(17)의 입구를 개방하는 단계 S25에서, 상갑판(1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탑브리지(20) 사이에 적치하여 보관되거나 육상(2)에 적치하여 보관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는 도 14 및 도 15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는 도 14에 도시된 좌우가 플레이트(151, 152)로 밀폐되고 상하전후가 개방된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또는 도 15에 도시된 좌우가 플레이트(151, 152)로 밀폐되고 상부와 전후방측이 수밀부재(153)로 밀폐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와 비교하여,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적어도 2개 이상 폭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멀티-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라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차별화될 수 있다.
즉,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가 컨테이너(C)를 1열로 적재하는 싱글-타입이라 가정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는 컨테이너(C)를 폭 방향으로 적어도 2열 이상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멀티-타입이라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는,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단위 본체(110a)와, 이웃하는 단위 본체(110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90)로 이루어지는 본체, 및 카고홀드(17)의 임의의 위치에 거치 가능하도록 단위 본체(110a) 각각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위 본체(110a)는 전술한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본체(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본적인 구성을 가짐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여기서는 설명의 중복을 회피하기 위해 동일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멀티-타입으로 구성됨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위 본체(110a)는, 폭이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고, 길이가 카고홀드(17)의 입구보다 작은 평단면을 갖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 및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 사이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대(113)가 상호 결합되어 전체 형상이 직사각 박스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13)는 단위 본체(110a)의 사각 모서리 각각을 연결하고, 돌출부재(120)는 지지대(113) 각각의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단위 본체(110a)는, 하부셀가이드(31)의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90)는, 하부셀가이드(31)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며, 이웃하는 단위 본체(110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90)는, 단위 본체(110a)가 전술한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의 본체(110)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경우, 이웃하는 단위 본체(110a)에서 제1장축프레임(111a)에 넓이 단위의 부재를 덧대어 용접하거나, 마주보는 2개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하나의 구성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연결부(190)의 하부(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100b) 내부)는 구조적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길이 또는 폭방향의 보강재, 예를 들어 스티프너(stiffener) 등의 보강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90)는, 단위 본체(110a)가 전술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본체(110)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할 경우, 이웃하는 단위 본체(110a)에서 제1장축프레임(111a)에 넓이 단위의 부재를 덧대어 용접하거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의 상면을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다 볼 때 하나의 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연결부(190) 및 제3수밀플레이트(153c)의 하부(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100b) 내부)는 구조적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길이 또는 폭방향의 보강재, 예를 들어 스티프너(stiffener) 등의 보강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본체(110)의 상부와 전후방측이 수밀부재(153)로 밀폐되는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 역시 단위 본체(110a)의 상부와 전후방측이 수밀부재(153)로 밀폐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의 수밀부재(153)는, 단위 본체(110a) 각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와, 단위 본체(110a) 각각의 전후방측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돌출부재(120)의 형상에 대응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 상에 위치되는 제2수밀플레이트(153b)와, 단위 본체(110a) 각각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단위 본체(110a) 각각의 제1수밀플레이트(153a) 상에 고이는 물이 단위 본체(110a) 각각의 제2수밀플레이트(153b)로 유도하는 제3수밀플레이트(15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의 수밀부재(153)가 구성될 때, 연결부(190)는 이웃하는 단위 본체(110a)의 제1수밀플레이트(153a) 사이를 연결하는 수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90)의 수밀플레이트는, 별개로 마련되어 이웃하는 단위 본체(110a)의 제1수밀플레이트(153a)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거나, 제1수밀플레이트(153a)가 연장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3수밀플레이트(153c)가 단위 본체(110a) 각각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단위 본체(110a)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단위 본체(110a)의 좌측 상부 가장자리와 우측에 배치되는 단위 본체(110a)의 우측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수밀플레이트(153c)는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위 본체(110a)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본체의 상부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는, 연결부(190)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홈(1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95)은, 하부셀가이드(31) 또는 하부셀가이드(31)에 연결되어 상갑판(11)의 상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부셀가이드(3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 적재보조장치(100b)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는, 상부프레임(111)의 상면에 마련되어 상부프레임(111)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C)를 고정하기 위한 피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팅부재는, 전술한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피팅부재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즉, 피팅부재는, 대형 컨테이너(C)를 고정하기 위한 제1피팅부재(141)와, 소형 컨테이너(C)를 고정하기 위한 제2피팅부재(142)를 포함하고, 이때 제2피팅부재(142)는 제1피팅부재(141)를 적어도 일부 공유하여 소형 컨테이너(C)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b)는,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되는 단위 본체(110a)가 연결부(19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데, 이때 단위 본체(110a)는 크레인(CR)으로 이송할 때 중앙부의 단위 본체(110a)에 마련되는 제1,2피팅부재(141, 142)를 권양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홀수 개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부셀가이드(32)가 구비되는 탑브리지(20, 20-1, 20a, 20b)를 마련함으로써, 상부셀가이드(32)로 컨테이너(C)를 지지 고정할 수 있어, 기존의 래싱 시스템(래싱 로드, 래싱바 등의 체결장치)을 생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재 비용 절감은 물론 래싱 작업에 소모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컨테이너 운반선(1)의 운항 시 상갑판(11) 상부의 컨테이너(C)를 직접 지지함에 따라 적재된 컨테이너(C)가 파손되거나 유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탑브리지(20, 20-1, 20a, 20b)에 마련된 상부셀가이드(32)와 횡격벽(16)에 설치된 하부셀가이드(31)가 각각 연결되어 컨테이너(C) 하역 시 해치커버 탑재나 래싱 작업 등의 추가적인 작업없이 연속적인 선적 또는 양하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 가능하도록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100b)를 구성함으로써,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된 상태에서 선체(10)의 종강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갑판(11) 상부로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적재 하중을 선체(10)에 전달할 수 있어 카고홀드(17) 바닥으로부터 상갑판(11) 상부 위에 적재된 양을 포함하여 13단 이상 대량의 컨테이너(C)를 적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크레인(CR)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 이송 가능하면서 자체 적치가 가능하도록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100b)를 구성함으로써, 컨테이너 운반선(1)의 카고홀드(17) 입구에 거치를 위한 핸들링이 용이하고, 컨테이너 운반선(1) 또는 육상(2)에서 보관이 편리할 수 있고, 육상(2)에서 운반차량(TR)으로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100b)가 보강프레임(130),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보강부재(160) 전부 또는 일부를 구비함으로써,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100b)의 상면에 컨테이너(C)의 코너 캐스팅과 대응되는 제1,2피팅부재(141, 142)를 마련함으로써, 상면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ft의 소형 컨테이너(C) 및 40ft의 대형 컨테이너(C)를 혼재하여 적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탑브리지(20, 20-1, 20a, 20b)를 래싱 브리지가 생략되고 상부셀가이드(32)와 횡격벽(16)에 설치된 하부셀가이드(31)가 각각 연결 된 셀가이드 시스템으로 형성함으로써, 기존 래싱 브리지 대비 폭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래싱 브리지가 설치된 복잡한 구조를 단순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기존의 래싱 브리지가 설치된 기존의 컨테이너 운반선 대비 카고홀드(17) 사이의 상갑판(11) 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컨테이너 운반선(1)의 동일 제원 대비 설계 융통성(선체 길이, 기타 래싱 시스템이 없어짐으로 인한 최적화 가능)을 확보하거나, 컨테이너(C)의 선적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100b)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재(40)를 마련함으로써, 카고홀드(17)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100b)를 1개 이상 설치할 수 있어, 컨테이너(C) 적재의 유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은 본 발명의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물 가이드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는, 카고홀드(17) 내부로 물(해수나 강우)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물 가이드구조물(114a, 114b, 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가이드구조물(114a, 114b, 115)은, 상부프레임(111)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상부에 컨테이너(C)가 적재된 상태에서 컨테이너(C)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해수나 강우)을 상갑판(11)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가이드구조물(114a, 114b, 115)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1)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에 마련되는 한 쌍의 차단벽(114a, 114b)이거나,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1)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에 마련되는 트렌치(115)일 수 있다.
상기에서 상부프레임(111)은,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에 의해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차단벽(114a, 114b) 각각은, 제1장축프레임(111a)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장축프레임(111a)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차단벽(114a, 114b) 각각의 높이는 컨테이너(C)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1피팅부재(141) 및 제2피팅부재(142) 보다 낮다.
상기에서, 제1피팅부재(141)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양측 상단에 마련되어 대형 컨테이너(C)를 고정할 수 있고, 제2피팅부재(142)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중간 부분 상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제1피팅부재(141)를 적어도 일부 공유하여 소형 컨테이너(C)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차단벽(114a, 114b) 중에서, 외측 차단벽(114a)은 일측의 적치부재(180) 상단에 설치되는 제1피팅부재(141)와 보강프레임(1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피팅부재(142) 및 제2피팅부재(142)와 타측의 적치부재(180) 상단에 설치되는 제1피팅부재(14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외측 차단벽(114a)은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되, 제1피팅부재(141)와 제2피팅부재(14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차단벽(114a, 114b) 중에서, 내측 차단벽(114b)은 일측의 지지대(113) 끝단으로부터 타측의 지지대(113)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제1,2피팅부재(141, 142)와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내측 차단벽(114b)은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마련되되, 제1피팅부재(141) 및 2피팅부재(142)와는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차단벽(114a, 114b)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상부에 컨테이너(C)가 적재된 상태에서 컨테이너(C)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해수나 강우)을 상갑판(11)으로 유도하는 수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차단벽(114a, 114b)에 고이는 물은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되어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13) 및 돌출부재(120) 쪽으로 유도되어 지지대(113) 및 돌출부재(120)의 벽면을 타고 상갑판(11)으로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카고홀드(17)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트렌치(115)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상면에 일정 깊이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트렌치(115)는, 'V'자형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V'자형 홈은 일측 및 타측의 지지대(113)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렌치(115)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상부에 컨테이너(C)가 적재된 상태에서 컨테이너(C)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해수나 강우)을 상갑판(11)으로 유도하는 수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트렌치(115)에 고이는 물은 카고홀드(17) 입구의 상갑판(11)에 거치되어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13) 및 돌출부재(120) 쪽으로 유도되어 지지대(113) 및 돌출부재(120)의 벽면을 타고 상갑판(11)으로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카고홀드(17)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내부 보강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상부에 적재되는 컨테이너(C)의 하중을 분산하는 내부 보강구조물(134, 135, 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보강구조물(134, 135, 136)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 상에 컨테이너(C)가 적재되었을 때, 상갑판(11)에 거치되는 돌출부재(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거나, 수밀부재(153)의 상판을 이루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보강구조물(134, 135, 136)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갑판(11)에 거치되는 돌출부재(120) 각각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1스티프너(134)일 수 있다.
제1스티프너(134)는, 돌출부재(120)의 내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재(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돌출부재(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보강구조물(134, 135, 136)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부재(153)의 상판을 이루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의 내측에 마련되는 제2스티프너(135) 및 제3스티프너(136)일 수 있다.
제2스티프너(135)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의 내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심선을 따라 배치되는 수직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스티프너(136)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의 내측에서 제2스티프너(135)와 직교하며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3스티프너(135, 136)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제1수밀플레이트(153a)의 좌굴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44의 (a) 내지 (c), 도 45의 (a) 내지 (c) 및 도 4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제1수밀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 및 도 45 각각의 (a)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사시도이고, 도 44 및 도 45 각각의 (b)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평면도이고, 도 44 및 도 45 각각의 (c)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폭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6의 (a)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폭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6의 (b)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길이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4의 (a) 내지 (c), 도 45의 (a) 내지 (c) 및 도 4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에서 수밀부재(153)의 상판을 이루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1수밀플레이트(153a)는, 상부프레임(11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부프레임(111)은,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에 의해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4의 (a) 내지 (c) 및 도 4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밀플레이트(153a)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전체 중량을 줄여 경량화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홀(154)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154)은, 제1수밀플레이트(153a)의 전체 면적 대비 20% 내지 50%에 해당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154) 각각은, 소형 컨테이너(C)가 적재되었을 때, 컨테이너(C)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홀(154)을 통해 카고홀드(17)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형 컨테이너(C) 바닥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수밀플레이트(153a)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홀(154)은, 도 4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팅부재(14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되거나, 도 4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팅부재(142)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2개씩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홀(154)의 주변에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 상에 고이는 물이 홀(154)을 통해 카고홀드(17)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코밍(15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코밍(155)의 높이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C)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제1피팅부재(141) 및 제2피팅부재(142) 보다 낮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수밀플레이트(153a)에 복수 개의 홀(154)을 형성함에 따라 구조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보강하기 위해 복수 개의 홀(154) 각각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링(156)이 설치될 수 있다.
카링(156)은 제1수밀플레이트(153a)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복수 개의 홀(154)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밀플레이트(153a)는, 상면에 고이는 물이 제2수밀플레이트(153b)을 통해 상갑판(11)으로 용이하게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제1수밀플레이트(153a)는, 제2피팅부재(142)로부터 양측의 제1피팅부재(141) 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수밀플레이트(153a)는, 제2피팅부재(142)로부터 경사지거나, 제2피팅부재(142)의 부근에는 수평면을 이루고 수평면이 끝나는 시점부터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7은 조립대 및 이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8은 조립대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49는 조립대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부분순서도이고, 도 50는 조립대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부분순서도이고, 도 51는 조립대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3부분순서도이다.
도 47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조립대(200)를 이용하여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개별 구성품은 전술한 바에 따른다.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상부를 구성하는 상판(101); 좌우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측판(102); 상판(101)과 한 쌍의 제1측판(10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130); 전후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2측판(103); 대형 컨테이너(C) 또는 소형 컨테이너(C) 적재 시 고정용으로 사용되거나, 크레인(CR)으로 이송 시 권양용으로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제1피팅부재(141); 소형 컨테이너(C) 적재 시 고정용으로 사용되거나, 크레인(CR)으로 이송 시 제1피팅부재(141)와 함께 권양용으로도 사용되는 복수 개의 제2피팅부재(142); 및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다단으로 적치할 때 상부에 적치되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에 마련된 제1피팅부재(141)와 체결되는 복수 개의 제3피팅부재(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는 조립대(200)를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조립대(200)를 이용한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S31에서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크기에 대응되는 정반(210)과, 제1,2피팅부재(141, 142)를 고정하기 위해 정반(210) 상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조립대(200)를 준비한다.
상기에서, 복수 개의 지그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2피팅부재(141, 142)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 설치되는 제1피팅부재(141)에 대응되도록 정반(210)의 사각 모서리 각각에 1개씩 설치되고,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중간 부분에서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제2피팅부재(142)에 대응되도록 정반(210)의 중간 부분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한 쌍씩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지그 각각은,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조립 제작함에 있어 기준 위치가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그 각각은, 예를 들어, 제1피팅부재(141)와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제3피팅부재(182)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단계 S32에서는, 정반(210)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지그 각각에 제1,2피팅부재(141, 142)를 고정 세팅한다.
단계 S33에서는, 상판(101)을 복수 개의 지그에 세팅된 제1,2피팅부재(141, 142) 상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상판(101)은 제1,2피팅부재(141, 142)과 볼팅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상판(101)은,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11)의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폭이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고, 길이가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직사각 형태의 판재로 형성되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와, 제1수밀플레이트(153a) 상에 고이는 물이 카고홀드(17)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3수밀플레이트(15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판(101)은, 조립대(200)를 사용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조립대(200)로 이송하여 제1,2피팅부재(141, 142)와 조립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조립대(200)에서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조립대(200)에서 상판(101)을 조립하는 단계 S33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31에서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을 제1,2피팅부재(141, 142) 상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은, 제1,2피팅부재(141, 142)과 볼팅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32에서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를 제1,2피팅부재(141, 142)에 조립된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상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제1수밀플레이트(153a)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33에서는, 한 쌍의 제3수밀플레이트(153c) 각각을 제1수밀플레이트(153a)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수직되게 각각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3수밀플레이트(153c)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와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한 쌍의 제3수밀플레이트(153c)는, 제1수밀플레이트(153a)와 용접 조립하지 않고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에 용접 조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34에서는, 한 쌍의 제1측판(102) 각각을 상판(101)의 길이 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1측판(102)은 상판(101)과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한 쌍의 제1측판(102)은,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좌우를 밀폐시키는 직사각 형태의 판재로 형성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와, 제1장축프레임(111a)과 같이 대형 컨테이너(C)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과,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제3피팅부재(182)와 결합되는 적치다리(181)와,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의 외측면과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161, 162, 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1측판(102)은, 조립대(200)를 사용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조립대(200)로 이송하여 상판(101)과 조립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조립대(200)에서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조립대(200)에서 한 쌍의 제1측판(102)을 조립하는 단계 S34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41에서는,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을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은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42에서는,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을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이 조립된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에 위치시키되,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의 반대편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은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43에서는, 적치다리(181)를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과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이 조립된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의 양측단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적치다리(181)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44에서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161, 162, 163)를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의 외측면과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예정된 간격으로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복수 개의 보강부재(161, 162, 163)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5에서는, 보강프레임(130)을 상판(101)에 조립된 한 쌍의 제1측판(102) 사이에 위치시키되, 중간 부분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보강프레임(130)은 상판(101)과 한 쌍의 제1측판(102)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보강프레임(130)은,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 상부에 적재되는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하중에 의한 좌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보강재(131, 132, 133)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한 쌍의 플레이트(151, 152)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6에서는, 한 쌍의 제2측판(103)을 상판(101)에 조립된 한 쌍의 제1측판(102)의 양측에 각각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2측판(103)은 상판(101)과 한 쌍의 제1측판(102)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한 쌍의 제2측판(103)은, 소형 컨테이너(C) 또는 대형 컨테이너(C)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과,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과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단축프레임(112b)과, 컨테이너(C)의 하중을 카고홀드(17) 주변의 상갑판(11)에 전달하며 제1단축프레임(111b)과 제2단축프레임(112b)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지지대(113)와, 지지대(113)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갑판(11)에 거치되는 돌출부재(120)와,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전후를 밀폐시키는 직사각 형태의 판재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수밀플레이트(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제2측판(103)은, 조립대(200)를 사용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조립대(200)로 이송하여 상판(101)에 조립된 한 쌍의 제1측판(102)과 조립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조립대(200)에서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조립대(200)에서 한 쌍의 제2측판(103)을 조립하는 단계 S36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61에서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 각각을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의 양단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 각각은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62에서는, 한 쌍의 제2단축프레임(112b) 각각을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의 양단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2단축프레임(112b) 각각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63에서는, 지지대(113)를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 각각의 일단 및 타단과 한 쌍의 제2단축프레임(112b) 각각의 일단 및 타단에 위치시키되, 적치다리(18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지지대(113)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 한 쌍의 제2단축프레임(112b), 적치다리(181)의 내측면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64에서는, 돌출부재(120)를 지지대(113)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돌출부재(120)는 지지대(113)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65에서는, 한 쌍의 제2수밀플레이트(153b)를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 지지대(113), 돌출부재(120) 각각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제2수밀플레이트(153b)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111b), 지지대(113), 돌출부재(120) 각각에 용접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S37에서는, 제3피팅부재(182)를 상판(101)에 조립된 한 쌍의 제1측판(102) 각각의 양측단에 조립되는 적치다리(181)의 끝단부에 위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에서, 제3피팅부재(182)는 적치다리(181)에 볼팅 방식으로 조립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오픈-타입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이송에 적용되는 이송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2의 (a) 및 (b) 각각은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전방 및 후방 각각의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송결합부(300)는,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를 외팔 크레인 등의 이송 수단으로 이송할 때 적어도 2개 이상 묶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송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오픈-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a)의 구성은 전술한 바에 따른다.
이러한 이송결합부(300)는, 도 5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6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브라켓(310), 제1체결부재(320), 제2브라켓(330), 제2체결부재(340), 제1스페이서(350), 제2스페이서(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각각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51)는 프레임(111)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플레이트(152)는 프레임(111)의 타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151)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중 어느 하나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중 어느 하나와, 이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대(113)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 틀에 설치되고, 제2플레이트(152)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111a) 중 다른 하나와, 한 쌍의 제2장축프레임(112a) 중 다른 하나와, 이들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지지대(113)에 의해 형성되는 타측 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부재(160)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제1플레이트(151)와 제2플레이트(152) 각각의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간보강부재(161)와, 중간보강부재(161)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113) 사이에 배치 설치되는 제1,2보강부재(162, 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브라켓(310)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제1플레이트(151)에 설치되는 중간보강부재(161), 제1보강부재(162) 및 제2보강부재(163) 각각의 전방면 상부 측에 힌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브라켓(310)은,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와 묶어서 이송할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마련되는 제1체결부재(32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제1브라켓(310)에는, 제1체결부재(320)와 체결되는 제1체결홈(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320)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제2플레이트(152)에 설치되는 중간보강부재(161), 제1보강부재(162) 및 제2보강부재(163) 각각의 전방면 상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체결부재(320)는,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와 묶어서 이송할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마련되는 제1브라켓(310)을 고정 체결할 수 있다. 제1체결부재(320)는, 제1브라켓(310)의 제1체결홈(31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310)을 고정 체결시킬 수 있다.
제2브라켓(330)은,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제2플레이트(152)에 설치되는 중간보강부재(161), 제1보강부재(162) 및 제2보강부재(163) 각각의 후방면 상부 측에 힌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2브라켓(330)은,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와 묶어서 이송할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마련되는 제2체결부재(340)에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제2브라켓(330)에는, 제2체결부재(340)와 체결되는 제2체결홈(33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340)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제1플레이트(151)에 설치되는 중간보강부재(161), 제1보강부재(162) 및 제2보강부재(163) 각각의 후방면 상부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2브라켓(330)의 제2체결홈(33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브라켓(330)을 고정 체결시킬 수 있다.
제2체결부재(340)는,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와 묶어서 이송할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마련되는 제2브라켓(330)을 고정 체결할 수 있다. 제2체결부재(340)는, 제2브라켓(330)의 제2체결홈(330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브라켓(330)을 고정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제1플레이트(151)에 설치되는 보강부재(610)에는 제1브라켓(310)과 제2체결부재(340)가 마련되고, 제2플레이트(152)에 설치되는 보강부재(610)에는 제2브라켓(330)과 제1체결부재(320)가 마련됨으로써,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외팔 크레인 등의 이송 수단으로 이송할 때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각각의 좌우측 보강부재(610)에 마련되는 제1브라켓(310)과 제1체결부재(320) 및/또는 제2브라켓(330)과 제2체결부재(340)로 체결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브라켓(310), 제1체결부재(320), 제2브라켓(330), 제2체결부재(340)를 이용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를 묶어서 이송할 때 흔들림 등에 의해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의 하단부가 충돌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이송결합부(300)는, 도 5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350), 제2스페이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350)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제1플레이트(151)에 설치되는 중간보강부재(161), 제1보강부재(162) 및 제2보강부재(163) 각각의 전방면 하부 측에 힌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350)는,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와 묶어서 이송할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마련되는 제2스페이서(360)와 마주하여 접촉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360)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서 제2플레이트(152)에 설치되는 중간보강부재(161), 제1보강부재(162) 및 제2보강부재(163) 각각의 전방면 하부 측에 힌지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360)는,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와 묶어서 이송할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마련되는 제1스페이서(350)와 마주하여 접촉될 수 있다.
상기한 제1스페이서(350)와 제2스페이서(360) 각각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서로 마주하여 접촉되었을 때 이웃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 상호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송결합부(300)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53은 본 발명의 오픈-타입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가변형 적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54는 본 발명의 오픈-타입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가변형 적치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55의 (a), (b) 및 (c)는 가변형 적치부재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가 바닥에 적치되었을 때, 가변형 적치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5의 (b)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가 상하로 적치되었을 때, 가변형 적치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5의 (c)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가 상하로 적치된 후 트위스트락이 설치되었을 때, 가변형 적치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가변형 적치부재(180a)는, 전술한 본 발명의 오픈-타입 또는 클로즈드-타입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100, 100a)에 마련되는 적치부재(180)의 다른 실시예일 수 있다.
가변형 적치부재(180a)는, 적치부재(180)과 마찬가지로 프레임(111, 112)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는 지지대(113)가 상호 결합되어 전체 형상이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인 본체(110)의 사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본체(110)를 수직으로 연결 및/또는 지지할 수 있다.
가변형 적치부재(180a)는, 체결형 적치다리(181a), 가변형 피팅부재(182a)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형 적치다리(181a)는, 지지대(113) 각각의 측면에서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체결형 적치다리(181a)는, 전술한 적치부재(180)의 적치다리(181)와 다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체결형 적치다리(181a)는 가변형 피팅부재(182a)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고, 전술한 적치부재(180)의 적치다리(181)는 제3피팅부재(182)가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크기를 갖는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체결형 적치다리(181a)는, 본체(110)가 바닥에 놓일 경우 가변형 피팅부재(182a)가 적치다리(181a)의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직접 바닥과 접촉되지만, 전술한 적치다리(181)는 고정된 제3피팅부재(182)가 바닥에 접촉되는 것이 다르다.
이러한 체결형 적치다리(181a)는, 몸체부(181a1), 개구부(181a2), 고정부(181a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81a1)는, 가변형 피팅부재(182a)가 이동 가능한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81a1)는,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81a2)는, 몸체부(181a1)의 하단에 형성되되, 가변형 피팅부재(182a)의 스테커(182a1) 또는 상하층으로 적치되는 본체(110)를 고정시키는 트위스트락(183)의 상부가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0)는 전술할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1), 하부프레임(112) 및 지지대(113)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트위스트락(183)은, 상부가 상층의 컨테이너(C)의 하면에 마련되는 코너 캐스팅에 체결되고, 하부가 하층의 컨테이너(C)의 상면에 마련되는 코너 캐스팅에 체결되어 상하층의 컨테이너(C)를 고정시키는 일반적인 트위스트락일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개구부(181a2)는, 트위스트락(183)의 상부 구조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81a3)는, 몸체부(181a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181a3)는, 가변형 피팅부재(182a)의 스테커(182a1)가 상하 이동 시 흔들림을 방지하면서 가변형 피팅부재(182a)의 가이드바(182a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181a3)는, 몸체부(181a1)의 내부면에 고정 설치되고, 중앙부에 가변형 피팅부재(182a)의 가이드바(182a3)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가변형 피팅부재(182a)는, 체결형 적치다리(181a) 각각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변형 피팅부재(182a)는, 도 5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바닥에 놓여 외력이 가해지면 체결형 적치다리(181a) 내부로 들어가게 되어 직접 바닥과 접촉되지 않아 파손될 가능성이 낮다.
또한, 가변형 피팅부재(182a)는, 도 5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가 들어올려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중력에 의해 체결형 적치다리(181a)의 하단 외부로 돌출되어 하층의 본체(110)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1피팅부재(141)와 체결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변형 피팅부재(182a)는, 도 5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층으로 적치되는 본체(110)를 고정시키기 위해 트위스트락(183)을 설치할 때, 트위스트락(183)에 의해 체결형 적치다리(181a)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형 피팅부재(182a)는, 스테커(182a1), 스토퍼(182a2), 가이드바(182a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커(182a1)는, 본체(110)를 상하로 다층 적치했을 때, 체결형 적치다리(181a)의 개구부(181a2)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하층의 본체(110)의 상면에 마련된 제1피팅부재(141)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퍼(182a2)는, 스테커(182a1)가 체결형 적치다리(181a)의 몸체부(181a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테커(182a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82a2)는, 체결형 적치다리(181a)의 몸체부(181a1)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커(182a1)가 상하로 이동할 때 몸체부(181a1)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한 스테커(182a1)는, 상하층의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트위스트락(183)을 설치할 때, 개구부(181a2)를 통해 삽입되는 트위스트락(183)의 상부 구조에 의해 몸체부(181a1)의 내부로 밀려 올라갈 수 있으나, 스토퍼(182a2)에 의해 몸체부(181a1)로부터 이탈되지는 않는다.
가이드바(182a3)는, 스테커(182a1)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되되, 체결형 적치다리(181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182a3)는, 스테커(182a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형 적치다리(181a)의 고정부(181a3)에 구비되는 구멍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변형 적치부재(180a)는 전술한 적치부재(180)와 대비해 볼 때, 전술한 적치부재(180)의 경우 적치다리(181)의 하단에 제3피팅부재(182)가 고정되기 때문에 본체(110)가 바닥에 놓일 때 제3피팅부재(182)가 바닥과 접촉되지만, 본 실시예의 가변형 적치부재(180a)의 경우 제3피팅부재(182)에 대응되는 가변형 피팅부재(182a)가 체결형 적치다리(181a)에 고정되지 않고 외력에 의해 가변되기 때문에 본체(110)가 바닥에 놓일 때 체결형 적치다리(181a)가 바닥과 접촉됨으로써, 제1피팅부재(141)와 결합되는 가변형 피팅부재(182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컨테이너 운반선 2: 육상
10: 선체 11: 상갑판
12: 선측판 12a: 선측외판
12b: 선측내판 13: 선저판
13a: 선저외판 13b: 선저내판
14: 선수 15: 선미
16: 횡격벽 17: 카고홀드
18: 셀 20, 20-1, 20a, 20b: 탑브리지
21: 수직부재 21a: 외곽수직부재
21b: 중간수직부재 22: 수평부재
23: 사선부재 24: 플레이트부재
31: 하부셀가이드 32: 상부셀가이드
40: 위치조절부재 41: 고정형 스토퍼
42: 슬라이딩형 스토퍼 42a: 레일
43a, 43b, 43c: 힌지형 스토퍼
100, 100a, 100b: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101: 상판 102: 제1측판
103: 제2측판 110, 110a: 본체
111: 상부프레임 111a: 제1장축프레임
111b: 제1단축프레임 112: 하부프레임
112a: 제2장축프레임 112b: 제2단축프레임
113: 지지대 114a, 114b, 115: 물 가이드구조물
114a: 외측 차단벽 114b: 내측 차단벽
115: 트렌치 120: 돌출부재
130: 보강프레임 131: 제1수평보강재
132: 제2수평보강재 133: 제1수직보강재
134, 135, 136: 내부 보강구조물 134: 제1스티프너
135: 제2스티프너 136: 제3스티프너
141: 제1피팅부재 142: 제2피팅부재
151: 제1플레이트 152: 제2플레이트
153: 수밀부재 153a: 제1수밀플레이트
153b: 제2수밀플레이트 153c: 제3수밀플레이트
154: 홀 155: 코밍
156: 카링 160: 보강부재
161: 중간보강부재 162: 제1보강부재
163: 제2보강부재 170: 커플링부재
171: 제1커플링부재 172: 제2커플링부재
180: 적치부재 181: 적치다리
182: 제3피팅부재 180a: 가변형 적치부재
181a: 체결형 적치다리 181a1: 몸체부
181a2: 개구부 181a3: 고정부
182a: 가변형 피팅부재 182a1: 스테커
182a2: 스토퍼 182a3: 가이드바
183: 트위스트락 190: 연결부
195: 가이드홈 200: 조립대
210: 정반 300: 이송결합부
310: 제1브라켓 310a: 제1체결홈
320: 제1체결부재 330: 제2브라켓
330a: 제2체결홈 340: 제2체결부재
350: 제1스페이서 360: 제2스페이서
C: 컨테이너 A: 선실
I: 엔진케이싱 R: 엔진룸
CR: 크레인 SR: 스프레더
TR: 운반차량

Claims (9)

  1. 컨테이너 운반선에 구비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로서,
    상기 컨테이너 운반선은, 선측외판과 선측내판으로 더블헐 구조를 이루는 선측판과, 선저외판과 선저내판으로 이중저 구조를 이루는 선저판과, 상갑판으로 이루어지는 선체의 내부에서 횡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카고홀드와, 상기 횡격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하부셀가이드와, 상기 상갑판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셀가이드는, 상기 하부셀가이드와 일체로 연결되어 연속적인 컨테이너의 가이드 경로를 이루고,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기 카고홀드에 적용되어 상방에 컨테이너가 적재되도록 하며,
    좌우 폭이 상기 컨테이너의 좌우 폭에 대응되고, 전후 길이가 상기 카고홀드의 입구의 전후 길이보다 작고,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수밀플레이트; 및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의 전체 중량을 줄여 경량화하도록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의 전체 면적 대비 20% 내지 50%에 해당되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대형 컨테이너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며, 소형 컨테이너 또는 상기 대형 컨테이너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한 쌍의 제1단축프레임에 의해 사각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은,
    상기 소형 컨테이너가 적재되었을 때, 상기 컨테이너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카고홀드 내부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형 컨테이너 바닥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 각각의 양측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대형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제1피팅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장축프레임 각각의 중간 부분 상단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피팅부재를 적어도 일부 공유하여 상기 소형 컨테이너를 고정하는 제2피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은,
    상기 제2피팅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되거나, 상기 제2피팅부재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2개씩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 상에 고이는 물이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상기 카고홀드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홀의 주변에 설치되는 코밍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밍은,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상에 적재되는 상기 컨테이너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제1피팅부재 및 상기 제2피팅부재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에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형성함에 따른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홀 각각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카링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링은,
    상기 제1수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홀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가 구비되는 컨테이너 운반선.
KR1020230032826A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20240002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060 2022-06-28
KR1020220079060 2022-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152A true KR20240002152A (ko) 2024-01-04

Family

ID=89542465

Famil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785A KR20240002149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26A KR20240002152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724A KR20240002147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20A KR20240002151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28A KR20240002153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08A KR20240002150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692A KR20240002141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698A KR20240002144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707A KR20240002145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715A KR20240002146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696A KR20240002143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36A KR20240002154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779A KR20240002148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694A KR20240002142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785A KR20240002149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724A KR20240002147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20A KR20240002151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28A KR20240002153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08A KR20240002150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692A KR20240002141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698A KR20240002144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707A KR20240002145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715A KR20240002146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696A KR20240002143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836A KR20240002154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779A KR20240002148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0230032694A KR20240002142A (ko) 2022-06-28 2023-03-13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4) KR2024000214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142A (ko) 2024-01-04
KR20240002153A (ko) 2024-01-04
KR20240002144A (ko) 2024-01-04
KR20240002145A (ko) 2024-01-04
KR20240002150A (ko) 2024-01-04
KR20240002141A (ko) 2024-01-04
KR20240002143A (ko) 2024-01-04
KR20240002148A (ko) 2024-01-04
KR20240002149A (ko) 2024-01-04
KR20240002147A (ko) 2024-01-04
KR20240002151A (ko) 2024-01-04
KR20240002154A (ko) 2024-01-04
KR20240002146A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1443B1 (en) Transport linking frames
EA001289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и выгрузки груз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 с агрегатом тележки на палубе
KR20230129344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20240002152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2530035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EP4316973A1 (en) Auxiliary container loading apparatus, container carrier comprising same, and container unloading method
WO2017064449A1 (en) Vehicle shipping crate and method of loading vehicles into a ship
CN104870337A (zh) 符合iso标准的集装箱
WO1999015437A1 (en) Side-loading cargo container
CN117377613A (zh) 货柜堆叠协助装置、具有货柜堆叠协助装置的货柜载具及货柜装载和卸除方法
EP2686234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cargo in cargo vessel
JPS6345435Y2 (ko)
JPS5826231Y2 (ja) モジュ−ル運搬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