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087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087A
KR20240002087A KR1020220079301A KR20220079301A KR20240002087A KR 20240002087 A KR20240002087 A KR 20240002087A KR 1020220079301 A KR1020220079301 A KR 1020220079301A KR 20220079301 A KR20220079301 A KR 20220079301A KR 20240002087 A KR20240002087 A KR 2024000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ssembled
display panel
hooks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연
이경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087A/ko
Priority to PCT/KR2023/006273 priority patent/WO2024005352A1/ko
Publication of KR2024000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복수개의 후크를 포함하는 미들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후크에 조립되는 조립홈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후크는 상기 조립홈에 조립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후크는 상기 미들 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된 상기 조립홈과 함께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과 접촉되는 상기 제1프레임의 양 끝단에 조립되는 한 쌍의 제2후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개시된 발명은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의 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 모니터나 텔레비전이 이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화면이 더 꽉차보이고, 디자인적으로 심플하도록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Bezel-less)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면, 프레임이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4면 테두리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는 구동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이 연결된다. 칩 온 필름은 제품 외관에서 보이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으로 접어서 정돈해야 된다. 칩 온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으로 접어서 정돈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패널 하단의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이격시켜 벌어지게 한 후, 디스플레이 패널과 프레임 사이의 공간으로 칩 온 필름을 넣은 후에 칩 온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으로 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칩 온 필름을 정돈하는 과정에서 칩 온 필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칩 온 필름의 정돈을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조립되는 프레임은 스크류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여 칩 온 필름의 정돈 후에, 프레임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조립한다. 그러나, 프레임이 스크류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조립되기 때문에, 스크류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조립되는 프레임에 사전에 조립해 놓아야 한다. 또한, 프레임이 스크류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조립되기 때문에, 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 좌측 및 우측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1프레임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으로 분리되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 테두리 외관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후크 조립되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복수개의 후크를 포함하는 미들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후크에 조립되는 조립홈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후크는 상기 조립홈에 조립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후크는 상기 미들 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된 상기 조립홈과 함께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과 접촉되는 상기 제1프레임의 양 끝단에 조립되는 한 쌍의 제2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는 구동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칩 온 필름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칩 온 필름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미들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향해 벤딩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칩 온 필름을 벤딩한 후에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2후크가 조립되는 후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후크는 일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된 상기 조립홈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후크홈에 조립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프레임의 끝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 사이에는 단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및 우측 끝단과 대응되는 상기 제1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후크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일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연장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단의 양 끝단과 대응되는 상기 미들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연장부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끝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및 우측 끝단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후크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일부는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은 상기 복수개의 제1후크가 조립되는 제1조립홈과, 상기 한 쌍의 제2후크가 조립되는 제2조립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홈과 상기 제2조립홈은 하나의 홈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립홈은 상기 복수개의 제1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조립홈은 상기 한 쌍의 제2후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미들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연결되어 구동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칩 온 필름 및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노출된 하단을 커버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단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칩 온 필름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기 전에 상기 미들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향해 벤딩되고, 상기 칩 온 필름이 벤딩된 후에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된다.
상기 미들 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이 조립되는 복수개의 제1후크와, 상기 미들 프레임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양 끝단이 조립되는 한 쌍의 제2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제1후크에 조립되는 제1조립홈과, 상기 한 쌍의 제2후크에 조립되는 제2조립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후크에 조립되는 후크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후크 각각에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후크홈과,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2조립홈이 함께 조립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칩 온 필름의 정돈 시 칩온 필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칩 온 필름의 파손을 방지하여 품질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공정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을 조립하는데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아 디자인적으로 차별화 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은 조립되고 제2프레임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된 모습을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립홈이 제1조립홈과 제2조립홈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끝단이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된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제2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은 조립되고 제2프레임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끝단이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된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제2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은 조립되고 제2프레임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된 모습을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전면”, “후면”,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은 조립되고 제2프레임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curved display apparatus)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Bezel-less)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light emitting diode) TV,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V, 플라즈마(plasma) TV, 퀀텀 닷(quantum dot) TV, 및/또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탠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백라이트 유닛(미도시)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인 백라이트 유닛의 후면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되는 프레임(10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베젤이 없는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장치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되는 프레임(100)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4면 테두리를 커버할 수 있다. 바텀 섀시(20)의 후면에는 리어 커버(미도시)가 조립될 수 있다. 리어 커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텀 섀시(20)의 후면에는 구동 인쇄회로기판(30)이 장착될 수 있다. 구동 인쇄회로기판(3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동 인쇄회로기판(30)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신호를 영상 및 음향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구동 인쇄회로기판(30)이 바텀 섀시(20)의 후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구동 인쇄회로기판(30)은 도시되지 않은 리어 커버의 전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구동 인쇄회로기판(30)은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4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연결될 수 있다. 칩 온 필름(4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마련되어 벤딩이 가능한 필름 케이블과 드라이버 I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드라이버 IC는 필름 케이블을 통하여 구동신호와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수신하고, 필름 케이블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구동신호와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칩 온 필름(40)은 일측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측이 구동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참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는 미들 프레임(50)이 마련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50)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칩 온 필름(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향해 벤딩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프레임(1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압출 성형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베젤이 없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4면 테두리를 커버할 수 있다. 즉,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4면 테두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1프레임(110)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1프레임(110)에 안착되었을 때, 제1프레임(110)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1프레임(110)에 안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마련된 미들 프레임(50)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10) 하단의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은 별도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4면 테두리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10)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된 후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 테두리를 커버하는 제2프레임(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칩 온 필름(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향해 벤딩된 후에 미들 프레임(50)에 후크 조립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된 모습을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칩 온 필름(40)은 미들 프레임(50)에 의해 가이드 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즉, 칩 온 필름(40)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향해 벤딩되어 정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향해 벤딩된 칩 온 필름(40)은 바텀 섀시(20)의 후면에 장착된 구동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칩 온 필름(40)은 일단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구동신호와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칩 온 필름(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향해 벤딩되어 구동 인쇄회로기판(30)에 연결되면, 제2프레임(120)이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미들 프레임(50)에 후크 조립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 참조)
다음은 도 8 내지 도 14를 참고로 하여 제1프레임의 끝단과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후크 조립되는 모습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립홈이 제1조립홈과 제2조립홈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프레임(50)은 복수개의 후크(5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후크(51)는 제2프레임(120)이 조립되는 복수개의 제1후크(5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후크(53)는 미들 프레임(50)의 양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복수개의 제1후크(53)에 조립되는 조립홈(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프레임(120)이 미들 프레임(5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후크(53)에 의해 조립되기 때문에, 미들 프레임(50) 외에 별도의 브라켓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조립되는 제2프레임(120)이 스크류에 의해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되는 경우에는 스크류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이 사전에 프레임(100)에 조립되어야 하지만, 제2프레임(120)이 미들 프레임(50)에 직접 형성된 복수개의 제1후크(53)에 의해 조립되기 때문에, 스크류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 참조)
복수개의 후크(51)는 제1프레임(110)의 양 끝단과, 제2프레임(120)의 양 끝단이 조립되는 한 쌍의 제2후크(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후크(55)는 미들 프레임(50)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0)은 제1프레임(110)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한 쌍의 제2후크(55)에 조립되는 후크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은 제2프레임(120)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조립홈(121)이 한 쌍의 제2후크(55)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프레임(120)에 형성된 조립홈(121) 중 제2프레임(12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조립홈(121)은 한 쌍의 제2후크(55)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120)에 형성된 조립홈(121) 중 제2프레임(120)의 양 끝단 사이에 형성된 조립홈(121)은 복수개의 제1후크(53)에 조립될 수 있다. 즉, 조립홈(120)은 하나의 홈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홈(121)은 복수개의 제1후크(53)가 조립되는 제1조립홈(123)과, 한 쌍의 제2후크(55)가 조립되는 제2조립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조립홈(121)은 제2프레임(120)의 양 끝단 사이에 복수개의 제1후크(53)와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는 제1조립홈(123)과, 제2프레임(120)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조립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조립홈(123)은 복수개의 제1후크(5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조립홈(123)은 하나의 홈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조립홈(123)은 한 쌍의 제2조립홈(123)과 분리되도록 하나의 홈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끝단이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된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제2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되었을 때, 제1프레임(110)의 양 끝단은 각각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0)은 제1프레임(110)의 양 끝단이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측 및 우측 끝단과 대응되는 제1프레임(110)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측 끝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측 하단 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우측 끝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우측 하단 일 수 있다. 따라서, 제1프레임(110)의 연장부(111)는 제1프레임(110)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서 각각 미들 프레임(50)을 향해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10)의 좌측 끝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11)는 우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110)의 우측 끝단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11)는 좌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 참조)
연장부(11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테두리를 커버하는 제1프레임(110)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모서리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참조)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1프레임(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120)이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조립홈(121)은 미들 프레임(50)의 한 쌍의 제2후크(55)에 조립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후크(55)는 일부는 제2프레임(12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조립홈(121)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프레임(110)의 후크홈(113)에 조립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후크(55)는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제2후크(55)는 각각 일부는 제1프레임(110)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프레임(120)에 조립되기 때문에, 제2프레임(120)이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되었을 때, 제1프레임(110)의 끝단과 제2프레임(120)의 끝단 사이에는 단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2프레임(120)이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되었을 때, 제1프레임(110)의 끝단인 연장부(111)와 제2프레임(120)의 끝단은 접촉하게 되는데, 접촉되는 제1프레임(110)의 끝단과 제2프레임(120)의 끝단이 하나의 제2후크(55)에 조립되기 때문에, 제1프레임(110)의 끝단과 제2프레임(120)의 끝단 사이에는 단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은 조립되고 제2프레임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끝단이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된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제2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의 한 쌍의 제2후크에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끝단이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탠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 패널(10)과,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되는 프레임(200) 등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과 모든 구성이 동일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되는 프레임(200)의 구성과, 제1프레임(210)의 끝단 및 제2프레임(220)이 조립되는 미들 프레임(60)의 구성은 일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는 미들 프레임(60)이 마련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은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은 디스플레이 패널(10) 하단의 양 끝단과 대응되는 미들 프레임(60)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칩 온 필름(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향해 벤딩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하도록 한다.
프레임(2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압출 성형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베젤이 없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4면 테두리를 커버할 수 있다. 즉,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단, 하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4면 테두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제1프레임(210)에 안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1프레임(210)에 안착되었을 때, 제1프레임(110)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1프레임(210)에 안착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마련된 미들 프레임(60)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은 외부로 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10) 하단의 미들 프레임(60)에 조립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별도로 마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4면 테두리를 커버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210)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된 후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 테두리를 커버하는 제2프레임(220)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칩 온 필름(40)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면을 향해 벤딩된 후에 미들 프레임(50)에 후크 조립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210)에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안착되었을 때, 제1프레임(210)의 양 끝단은 각각 미들 프레임(50)에 조립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은 제1프레임(210)의 양 끝단이 미들 프레임(60)에 조립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 하단의 양 끝단과 대응되는 미들 프레임(60)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 참조)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제1프레임(2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220)이 미들 프레임(60)에 조립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조립홈(221)은 미들 프레임(60)의 한 쌍의 제2후크(65)에 조립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후크(65)는 일부는 제2프레임(22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조립홈(221)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프레임(210)의 후크홈(211)에 조립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후크(65)는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제2후크(65)는 각각 일부는 연장부(67)에 형성되어 제1프레임(210)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프레임(220)에 조립될 수 있다. 즉, 미들 프레임(60)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후크(65)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제2후크(65)는 각각 일부는 제1프레임(210)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프레임(220)에 조립되기 때문에, 제2프레임(120)이 미들 프레임(60)에 조립되었을 때, 제1프레임(210)의 끝단과 제2프레임(220)의 끝단 사이에는 단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2프레임(220)이 미들 프레임(60)에 조립되었을 때, 제1프레임(210)의 끝단과 제2프레임(220)의 끝단은 접촉하게 되는데, 접촉되는 제1프레임(210)의 끝단과 제2프레임(220)의 끝단이 하나의 제2후크(65)에 조립되기 때문에, 제1프레임(210)의 끝단과 제2프레임(220)의 끝단 사이에는 단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프레임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레임은 조립되고 제2프레임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이 미들 프레임에 조립된 모습을 후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탠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디스플레이 패널(70)과, 디스플레이 패널(70)이 안착되는 프레임(300) 등을 포함하는 모든 구성은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70)이 평면인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70)의 형상이 사각 형상의 평면인 점이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구성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7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미들 프레임(80) 및 프레임(300)의 형상이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미들 프레임(40) 및 프레임(100)의 형상과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개시된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70 : 디스플레이 패널
20 : 바텀 섀시
30 : 구동 인쇄회로기판
40 : 칩 온 필름
50, 60, 80 : 미들 프레임 51 : 복수개의 후크
53 : 복수개의 제1후크 55, 65 : 한 쌍의 제2후크
67 : 연장부
100, 200, 300 : 프레임
110, 210, 310 : 제1프레임 111 : 연장부
113, 211 : 후크홈
120, 220, 320 : 제2프레임 121, 221 : 조립홈
123 : 제1조립홈 125 : 제2조립홈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복수개의 후크를 포함하는 미들 프레임; 및
    상기 복수개의 후크에 조립되는 조립홈을 포함하고,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후크는,
    상기 조립홈에 조립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제1후크; 및
    상기 미들 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된 상기 조립홈과 함께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과 접촉되는 상기 제1프레임의 양 끝단에 조립되는 한 쌍의 제2후크;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는 구동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칩 온 필름이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칩 온 필름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미들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향해 벤딩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칩 온 필름을 벤딩한 후에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2후크가 조립되는 후크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후크는 일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된 상기 조립홈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후크홈에 조립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프레임의 끝단과 상기 제2프레임의 끝단 사이에는 단차 발생이 방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및 우측 끝단과 대응되는 상기 제1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후크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일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연장부에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단의 양 끝단과 대응되는 상기 미들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연장부에 조립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 끝단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및 우측 끝단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후크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일부는 상기 연장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조립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2프레임에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은 상기 복수개의 제1후크가 조립되는 제1조립홈과, 상기 한 쌍의 제2후크가 조립되는 제2조립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홈과 상기 제2조립홈은 하나의 홈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립홈은 상기 복수개의 제1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조립홈은 상기 한 쌍의 제2후크와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단, 좌측 및 우측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1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마련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미들 프레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에 연결되어 구동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칩 온 필름; 및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노출된 하단을 커버하도록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하단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칩 온 필름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기 전에 상기 미들 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향해 벤딩되고, 상기 칩 온 필름이 벤딩된 후에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미들 프레임에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프레임은 상기 제2프레임이 조립되는 복수개의 제1후크와, 상기 미들 프레임의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양 끝단이 조립되는 한 쌍의 제2후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제1후크에 조립되는 제1조립홈과, 상기 한 쌍의 제2후크에 조립되는 제2조립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제2후크에 조립되는 후크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후크 각각에는 상기 제1프레임의 상기 후크홈과, 상기 제2프레임의 상기 제2조립홈이 함께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79301A 2022-06-28 2022-06-28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2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01A KR20240002087A (ko) 2022-06-28 2022-06-28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3/006273 WO2024005352A1 (ko) 2022-06-28 2023-05-0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01A KR20240002087A (ko) 2022-06-28 2022-06-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087A true KR20240002087A (ko) 2024-01-04

Family

ID=8938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301A KR20240002087A (ko) 2022-06-28 2022-06-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2087A (ko)
WO (1) WO20240053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91B1 (ko) * 2006-12-19 2014-0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모듈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65069B1 (ko) * 2007-06-07 2014-0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납 용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797594B1 (ko) * 2010-08-06 2017-11-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3645B1 (ko) * 2020-08-25 202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4822299B (zh) * 2021-11-18 2023-09-22 广东中强精英电子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352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74766B (zh) 显示装置
US9291853B2 (en) Display device
US9338905B2 (en) Curved display apparatus
US10884276B2 (en) Display device with simplified appearance structure and improved coupling arrangement
US20130208507A1 (en) Display apparatus
KR20130007311A (ko)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10128722A1 (en) Double-Side Display Panel with Backlight Module Used Therein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JP2005195613A (ja) 平板表示装置
EP3255624B1 (en) Display device
KR201800671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7156399A (ja) 携帯用表示装置
KR102227016B1 (ko) 표시장치
CN109244117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400020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264400B1 (en) Back plate for use in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uch a back plate
JP2011203706A (ja) モールド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KR20060082471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90391442A1 (en) Display apparatus
EP394981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furniture provided with same
JPH1039779A (ja) 平面表示装置
KR102218044B1 (ko) 표시장치
US1176222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along a flexible circuit board guide
JP4996736B2 (ja) 映像表示装置
KR102091113B1 (ko) 슬림형 대화면 시현기
KR101090752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