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949A -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 Google Patents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949A
KR20240001949A KR1020220078902A KR20220078902A KR20240001949A KR 20240001949 A KR20240001949 A KR 20240001949A KR 1020220078902 A KR1020220078902 A KR 1020220078902A KR 20220078902 A KR20220078902 A KR 20220078902A KR 20240001949 A KR20240001949 A KR 20240001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dhesive
lid
packaging
wrapp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21102B1 (ko
Inventor
함지혜
Original Assignee
함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지혜 filed Critical 함지혜
Priority to KR102022007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1102B1/ko
Publication of KR2024000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1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1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69Op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를 본체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병의 폐기시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본체 외측면에 잔류한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병의 재활용시 접착제 제거라는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여 재활용의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킨 일회용 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Disposable bottle that is easy to remove packaging and adhesives}
본 발명은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를 본체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병의 폐기시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본체 외측면에 잔류한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병의 재활용시 접착제 제거라는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여 재활용의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킨 일회용 병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용기는 대부분 그 표면에 용기에 함유된 물질의 광고문구나, 성분 및 함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포장지가 부착되어지는데, 통상 포장지는 용기 몸체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용기와 동일한 재활용 처리 공정을 거칠 수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포장지는 양면이 코팅된 종이나, 필름형태의 면에 인쇄내용을 인쇄하여 형성되며, 용기에 접착하기 위해 유성 성분의 접착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 일회용 용기는 그 재질이 폴리에스터수지인 것이 대부분인 반면 부착물인 포장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크로라이드재 수지필름이어서 용기의 재활용시 이를 분리 하여야만 하는것이 불가피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용기와 그 용기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필름, 즉 포장지를 분리하는 경우 용기와 포장지의 비중이 동일하기 때문에 비중분리법으로의 분리작업은 불가능하고, 더구나 전술한 바와같이,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인 경우에는 포장지가 접착제에 의해 용기의 외면에 완전히 고정된 채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작업이 매우 난해하며, 수작업 및 고가의 장비에 의존할수 밖에 없어 그에따른 작업시간, 인건비등의 과다소모로 인해 채산성이 맞지 않아 용기 재활용 측면의 견지에서 보아 실현 불가능한 문제에 직면하여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포장지는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띠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외면에서 이를 분리, 제거하기가 곤란하고 번거로우며, 그대로 재활용 소재와 혼합하여 세척할 경우, 재활용될 소재에 이물질이 함유되게 되므로서 소재의 질을 떨어뜨리고, 상기의 이물질이 많을 경우에는 애써 분리한 소재를 폐기해야만 하여 용기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용기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먼저, 용기 본체에서 포장지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분류해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회용 용기의 사용자의 경우 용기를 재활용 처리할 때 먼저, 용기를 감싼 포장지의 제거를 위하여 포장지 일부분을 별도 칼이나 가위 등으로 절단하고, 접착제에 의해 용기에 부착된 부분은 포장지를 잡고 강제적으로 뜯어내었는데, 이때, 접착제의 과도한 접착력에 의해, 용기 본체로부터 뜯겨나가지 못한 포장지의 잔여물이 용기 본체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위에 상당한 양으로 잔류하게 된다. 이 경우, 고착된 잔여물은 사람의 손으로만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별도 약품처리나 세척을 해야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재활용 업체에서는 용기에서 포장지를 일일이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 업무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며, 용기를 재활용하는데 불필요하게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것이 현실이고, 이는 재활용의 취지에서 비춰볼 때에도 합리적이지 못하였다.
공개실용 20-2020-0000522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뚜껑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를 본체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병의 폐기시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본체 외측면에 잔류한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병의 재활용시 접착제 제거라는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여 재활용의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킨 일회용 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 및 병 뚜껑의 둘레에 감기는 폐쇄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포장지를 포함하는 일회용 병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결합되어 뚜껑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하면서 본체의 둘레면에서 포장지를 이격시키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본체의 둘레면과 포장지 사이에 개재되어 뚜껑의 회전에 따라, 본체와 포장지 사이 공간을 회전이동하며 본체와 포장지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의 상단은 뚜껑에 결합되고, 하단은 포장지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는 합성수지로서, 뚜껑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퍼는 금속재질로서, 뚜껑에 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뚜껑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를 본체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병의 폐기시 포장지를 의식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본체 외측면에 잔류한 접착제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병의 재활용시 접착제 제거라는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여 재활용의 용이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병의 전체적인 외관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병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병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뚜껑이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 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뚜껑의 회전에 의해 스크래퍼가 접착제를 제거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체에서 포장지가 분해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포장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이하, 일회용 병이라 함)은 병에 밀봉된 내용물을 개봉하기 위해 병 뚜껑(20)을 병 본체(10)로부터 회전 분리시킬 때 본체(10)에 접착 고정된 포장지(30)의 분리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특히, 포장지(30)의 표면에 잔류한 접착제(31) 또한 포장지(30)와 함께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완료된 병의 재활용을 위해 포장지(30) 및 접착제(31)를 의식적으로 제거할 필요 없이도, 병의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병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병의 분리 배출을 간편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병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20), 뚜껑(20)의 둘레에 감기는 폐쇄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포장지(30) 및 상기 뚜껑(20)에 결합되어 뚜껑(20)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하면서 본체(10)의 둘레면에서 포장지(30)를 이격시키는 스크래퍼(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본체(10)는 병, 캔 등의 다양한 용기 구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단에 주둥이를 구성한 통상의 병 구조로 이루어지고, 뚜껑(20)의 경우, 주둥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의 내부를 개폐하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장지(30)는 본체(10)의 둘레에 감기는 단일의 폐쇄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특정 부위에서, 본체(10)에 접착점을 형성하여 본체(10)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포장지(30)는 병에 수용된 음료 성분 및 함량, 광고문구, 상표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도록 본체(10) 외측에 감싸지되, 병에 밀봉된 내용물의 개봉 전 뚜껑(20)이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본체(10)의 외측을 감싸 접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포장수단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되, 뚜껑(20)의 회전조작시 접착제(31)의 제거에 의해,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포장지(30)의 본체(10)와 접하는 내측면에는 접착제(31)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접착 형성되어 포장지(30)와 본체(10)가 서로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31)는 포장지(30)와 대응되는 본체(10)의 전체적인 면적에 형성되지 아니하고, 둘레면의 일정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지(30)가 본체(10)에 감겨 접착 고정되어 있을 때, 포장지(30)와 본체(10) 사이로는 접착제(31)의 형성 지점을 제외한 구간에 일정 틈이 마련되며, 이 틈으로 후술 될 스크래퍼(40)가 개재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스크래퍼(40)는 뚜껑(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본체(10)의 둘레면과 포장지(30) 사이 틈으로 개재됨으로써 뚜껑(20)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스크래퍼(40)는 본체(10) 또는 포장지(30)와 별도의 접착점을 형성하지 아니한 채, 뚜껑(20)의 회전에 따라, 본체(10)와 포장지(30) 사이 공간을 회전이동하며 본체(10)와 포장지(30)를 이격시키게 되는데, 이때, 스크래퍼(40)는 본체(10)와 포장지(30) 사이의 접착제(31)를 절단하거나, 본체(10)에 잔류한 접착제(31)를 본체(10)로부터 긁어 제거함으로써 서로 접착 고정된 본체(10)와 포장지(30)를 이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크래퍼(40)는 적정 강도를 가지는 재질, 예컨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제조 과정에서 합성수지재 뚜껑(20)에 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합성수지로서 제조과정에서 뚜껑(2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스크래퍼(40)는 뚜껑(20)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단은 포장지(30)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노출되는 충분한 길이를 갖춤으로써 본체(10)의 둘레면에 충분한 접촉면적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스크래퍼(40)는, 뚜껑(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상단부(41), 본체(10)의 둘레면에 접촉되며 상하 직선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되, 하단은 포장지(30)의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단부(42) 및 상기 상단부(41)와 하단부(42)를 연결하되, 본체(10)의 상부 외측면에 접촉하도록 호 형태로 만곡지는 만곡부(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통상, 본체(10)는 가장 큰 직경을 차지하는 하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 주둥이를 향해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되는 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바, 본체(10)의 상부 외측면은 하부와 다르게 만곡진 반 구 형태를 띄는 특징이 있다.
이에 스크래퍼(40)의 하단부(42)는 직선 형태로서 원통형 본체(10)의 하부 둘레면을 상하로 가로질러 밀착되어짐으로써 회전시 본체(10)에 형성된 접착제(31)를 절단 내지 제거하게 되며, 하단부(42)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만곡부(43)의 경우 만곡진 반 구 형태의 본체(10) 외측면에 균일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호 형태로 절곡되는 구조로서, 스크래퍼(40)의 회전시 스크래퍼(40) 상부가 본체(10)에서 이격되지 아니하고, 본체(10)에 접촉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스크래퍼(40)가 본체(10)의 외측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하며 접착제(31)를 절단 내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하단부(42)는 본체(10)의 둘레면에서 접착제(31)를 긁어내거나 또는 본체(10)와 포장지(30) 사이의 접착제(31)를 절단할 수 있는 선에서 얇은 박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단부(42)의 하단이 포장지(30)의 하부로 충분한 길이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래퍼(4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접착제(31)에 의한 회전저항에 의해 쉽게 뚜껑(20)을 회전시키지 못하더라도, 포장지(30) 하부로 노출된 하단부(42)를 동시에 손으로 잡고 돌리는 것이 가능해져, 뚜껑(20)의 개방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 편의가 대폭 향상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접착제(31)에 의해 스크래퍼(40)에 회전저항이 가해지게 되면 불측의 사유로 스크래퍼(40)가 절곡 변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스크래퍼(40)의 하단이 포장지(30)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등 그 하단 높이가 높아져 접착제(31)와의 비접촉 구간을 형성하게 되는 영향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접착제(31)의 하부가 완전히 제거되지 아니하여, 포장지(30)가 본체(10)에 그대로 접착 고정되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하단부(42)가 포장지(30) 하부로 충분한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래퍼(40)가 절곡 변형되더라도 스크래퍼(40)의 길이보상이 가능케 됨으로, 접착제(31)의 제거효율을 보장한다.
상단부(41)의 경우 별도의 접착수단을 통해 뚜껑(20)에 접착 고정되거나, 뚜껑(20)과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는 일체형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포장지(30)와 본체(10)가 접착제(31)에 의해 서로 부착 고정되고, 이렇게 서로 부착 고정된 본체(10)와 포장지(30)를 스크래퍼(40)가 절단, 제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포장지(30)를 접착제(31) 없이 열수축 방식으로 본체(10)에 라벨링하게 되는 경우, 스크래퍼(40)는 포장지(30)와 본체(10) 사이 틈에 개재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본체(10)와 포장지(30) 사이를 강제로 이격시켜 본체(10)의 외측면에 열수축된 포장지(30)를 이완시켜 본체(10)에서 박리를 유도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경우에 따라, 포장지(3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30)의 절단을 위한 절단편(32)이 형성되어 상기 절단편(32)을 기준으로 포장지(30)의 경로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음을 밝힌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은 뚜껑(20)을 개방함으로써 포장지(30)가 본체(10)로부터 제거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개방 전에는 본체(10)의 둘레면에 형성된 접착제(31)와 본체(10)의 둘레면에 접촉된 스크래퍼(40)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31)와 스크래퍼(40)는 본체(10)의 둘레면에 180도 위상차를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뚜껑(20)의 회전에 의해 스크래퍼(40)가 회전할 때 접착제(31)에 접촉되기 전까지 충분한 길이의 호 궤도를 그리며 포장지(30)를 이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10)의 개방을 위해 뚜껑(20)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뚜껑(20)과 일체구성인 스크래퍼(40)가 뚜껑(20)과 연동해, 포장지(30)와 본체(10) 사이의 틈에서 본체(10)에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31)를 향해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뚜껑(20)을 180도 회전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40)가 포장지(30)와 본체(10) 사이의 접착제(31)에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며 뚜껑(20)을 180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스크래퍼(40)가 접착제(31)를 절단하게 되면서 포장지(30)를 본체(10)에 접착 고정한 접착제(31)의 접착력을 파괴함으로써 본체(10)에서 포장지(30)가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뚜껑(20)의 개방은 적어도 본체(10) 주둥이에서 뚜껑(20)의 회전을 수 회 반복하여야 하는바, 뚜껑(20)의 회전이 반복되면 이에 따라, 스크래퍼(40)가 포장지(30)와 본체(10) 사이 틈에서 함께 반복적으로 회전하면서 본체(10)의 외측면을 긁음 작용하여 잔류한 접착제(31)를 제거하고, 본체(10)의 둘레면에 밀착 구성된 포장지(30)를 이완시켜 둘레면에서 강제로 이격시게 된다.
이와 같이, 스크래퍼(40)에 의해 접착제(31)가 제거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지(30)는 경로가 절단되거나 혹은 절단 잔여물을 발생시키지 않은 원통형으로 말린 구조로서 본체(10)의 상단이나 하단으로 그대로 분리시켜 재활용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포장지(30)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포장지(30)가 적어도 두 부분으로 절단되거나 혹은, 더 많은 조각으로 분절됨으로 인해 재활용을 어렵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착제(31)와 스크래퍼(40)가 본체(10)의 둘레면에서 적어도 180도 위상차를 두고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31)와 스크래퍼(40)를 서로 중첩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접착제(31)는 포장지(30)와 스크래퍼(4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본체(10)의 둘레면에까지 일정 부분 확장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접착제(31)에 의해, 스크래퍼(40)와 포장지(30)가 모두 본체(10)의 둘레면에 접착 고정되어지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스크래퍼(40)가 회전되면 그 즉시 접착제(31)에 균열이 발생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접착제(31)를 절단시키게 되는 한편, 뚜껑(20)을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포장지(30)가 스크래퍼(40)에 그대로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로 제거가 가능해지므로, 재활용의 편의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병은 뚜껑(20)의 회전조작만으로 포장지(30)를 본체(10)에서 분리시킴으로써 병의 폐기시 포장지(30)를 의식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번거로운 행위를 원천적으로 생략시킬 수 있고, 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개봉함에 따라 강제적으로 포장지(30)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지(30)를 제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고 하더라도, 사용 후에는 필연적으로 포장지(30)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본체(10) 외측면에 잔류한 접착제(31)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병의 재활용시 접착제(31) 제거라는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고, 불순물을 포함하지 아니한 순도 높은 재활용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뚜껑
30: 포장지
40: 스크래퍼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 및 뚜껑의 둘레에 감기는 폐쇄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포장지를 포함하는 일회용 병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결합되어 뚜껑의 회전시 이와 함께 회전하면서 본체의 둘레면에서 포장지를 이격시키는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본체의 둘레면과 포장지 사이에 개재되어 뚜껑의 회전에 따라, 본체와 포장지 사이 공간을 회전이동하며 본체와 포장지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의 상단은 뚜껑에 결합되고, 하단은 포장지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합성수지로서, 뚜껑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금속재질로서, 뚜껑에 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KR1020220078902A 2022-06-28 2022-06-28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KR102721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902A KR102721102B1 (ko) 2022-06-28 2022-06-28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902A KR102721102B1 (ko) 2022-06-28 2022-06-28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949A true KR20240001949A (ko) 2024-01-04
KR102721102B1 KR102721102B1 (ko) 2024-10-22

Family

ID=8954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902A KR102721102B1 (ko) 2022-06-28 2022-06-28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11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346U (ja) * 1991-09-05 1993-03-23 東洋紡績株式会社 ラベル付容器
KR20200000522U (ko) 2018-08-30 2020-03-10 연기만 원형 및 원형과 접한 4방향 커팅라인(Cutting Line)이 형성된 비닐포장지
KR20220066450A (ko) * 2020-11-16 2022-05-24 한영대학교산학협력단 라벨 부재가 부착된 음료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346U (ja) * 1991-09-05 1993-03-23 東洋紡績株式会社 ラベル付容器
KR20200000522U (ko) 2018-08-30 2020-03-10 연기만 원형 및 원형과 접한 4방향 커팅라인(Cutting Line)이 형성된 비닐포장지
KR20220066450A (ko) * 2020-11-16 2022-05-24 한영대학교산학협력단 라벨 부재가 부착된 음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1102B1 (ko) 202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87966A (en) Flexible container with snip-off and reseal features
US3108708A (en) Sealed plastic containers
US20240158150A1 (en) One-touch-removable container packaging film, and container comprising same
JPH068950A (ja) 誘導シール蓋つきのキャップ
WO2011100394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removable membrane
CN1295119C (zh) 开启装置
KR20240001949A (ko) 포장지 및 접착제 제거가 용이한 일회용 병
KR102444588B1 (ko) 분리가 용이한 연속형 띠라벨지
KR20200002518U (ko) 라벨 제거가 용이한 페트병
JP2531916B2 (ja) 容器用蓋
US20210276763A1 (en) PET Bottle for Efficient Recycling Comprising an Easily Removable Label and a Cap without a Retainer Ring
JP2004042928A (ja) 液体収納容器
CA2513800C (en) One-piece double-chamber container
JP4866837B2 (ja) 容器
JP2004025591A (ja) ラベル剥離装置
KR102721103B1 (ko) 탄성재질 포장지의 원터치 제거가 가능한 일회용 병
US20090136701A1 (en) Stretch sleeve label
EP3124392A1 (en) Overcap having means which facilitate the opening of a container and the subsequent direct consumption of the content thereof
KR102763566B1 (ko) 캡의 구조적 텐션을 통하여 임의 누출 방지가 가능한 보틀 실링 시스템
JP5272208B2 (ja) プルリング付き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747756B1 (ko) 페트병 라벨지
KR100439445B1 (ko) 외측포일덮개를구비한용기및마개
KR19980081035A (ko) 웰드 주입 부재 및 캡
JP3840279B2 (ja) 分別廃棄性に優れた容器蓋
KR20230140057A (ko) 분리가 용이한 음용수 용기용 라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