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475A -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475A
KR20240001475A KR1020220078178A KR20220078178A KR20240001475A KR 20240001475 A KR20240001475 A KR 20240001475A KR 1020220078178 A KR1020220078178 A KR 1020220078178A KR 20220078178 A KR20220078178 A KR 20220078178A KR 20240001475 A KR20240001475 A KR 2024000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jection
raw material
injection nozzle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석
나국주
최세영
Original Assignee
물류와환경연구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물류와환경연구소(주) filed Critical 물류와환경연구소(주)
Priority to KR102022007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475A/ko
Publication of KR2024000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47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65G11/146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07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65G41/008Means for moving conveyor frames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frames mounted on wheels or caterpil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Confectioner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고체 입자 형태의 원료를 운송차량에 구비된 저장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원료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원료 이송장치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식 바퀴를 포함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질수 있도록 구비되는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송되는 원료를 상기 저장탱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단부에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주입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상하방향 길이 조절과 상기 이동식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주입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RAW MATERIAL TRANSFERING APPARATUS AND POSITION ADJUST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 입자 형태의 원료를 운송차량에 구비된 저장탱크로 이송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고소의 위치에 올라가지 않아도 주입노즐을 저장탱크의 맨홀 주입구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 입자 형태(분체, 또는 분립체)의 원료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공장이나 창고 등에서 원료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운송차량의 저장탱크 내부에 원료를 싣고 운반하게 된다.
참고로, 운송차량은, 철광석, 시멘트, 사료, 또는 곡물 등의 원료를 수요처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저장탱크를 구비하며, 원료를 포대(Silo)에 담을 필요 없이 외부와 격리된 저장탱크에 바로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운송차량은 탱크 로리(Tank lorry), 또는 벌크 트럭(Bulk truck)이라고도 불리우며,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원료가 주입되기 위한 맨홀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일측에 슈트(Chute)가 연결된 컨베이어(Conveyor)를 프레임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컨베이어의 타측에 원료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Hopper)를 마련하여, 호퍼로 원료가 투입되면 컨베이어를 지나 저장탱크 내부로 원료를 공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운송차량의 저장탱크 상부에 형성된 맨홀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된 슈트를 맨홀 상에 위치시킨 다음, 컨베이어를 작동시켜 저장탱크 내부로 원료를 공급하게 된다.
여기에서, 슈트로부터 원료가 낙하하게 되면서 다량의 분진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분진은 작업자 및 주변환경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저장탱크 상부로 올라가 맨홀 주입구에 슈트의 하단부 노즐이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조작하였으나, 고소의 위치에서 작업으로 인해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는 유독성 물질의 경우 작업자가 해당 물질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한편, 종래의 원료 이송장치는 가동이 중단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주기적인 세척작업(Wet cleaning)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원료 변경이나 원료 이송 중단 시 컨베이어 내 잔존하는 물질이 원료와 혼합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작업이 끝난 후 컨베이어 내부를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하여, 원료 변경 시마다 컨베이어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게 되면 세척 및 건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비효율적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0377호 "이동식 컨베이어"
본 발명은 고체 입자 형태의 원료를 운송차량에 구비된 저장탱크로 이송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고소의 위치에 올라가지 않아도 주입노즐을 저장탱크의 맨홀 주입구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내부로 고압유체를 분사하여 스크류 나사 사이 분진이나 이물질을 청소할 수 있는 원료 이송장치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체 입자 형태의 원료를 운송차량에 구비된 저장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원료 이송장치로서,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식 바퀴를 포함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질수 있도록 구비되는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송되는 원료를 상기 저장탱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단부에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주입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상하방향 길이 조절과 상기 이동식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주입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식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동무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식 바퀴는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및 우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전동무버는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및 우측 이동식 바퀴 각각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동무버를 제어하여 상기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주입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무선으로 상기 전동무버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식 바퀴의 외주면에 상기 전동무버에 포함된 롤러가 밀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무버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전동무버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상부에 연결되되, 복수개의 단위슈트가 겹쳐져 상하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슈트유닛; 및 일단이 상기 주입노즐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풀거나 감기 위한 권취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취수단를 구동하여 상기 주입노즐의 상하방향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하부에 구비되는 영상촬영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단위슈트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되, 신장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슈트의 내경은 상부에 위치하는 단위슈트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슈트유닛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는 상단 플랜지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하여 연결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식 바퀴의 외주면에 전동무버의 롤러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동무버의 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상기 주입부에 구비된 영상촬영수단으로 촬영된 상기 주입노즐의 위치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이동식 바퀴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주입노즐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상기 주입부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는,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이동식 바퀴를 구비하고 별도의 운반차에 임시 연결되어 운송차량에 근접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동 무버를 포함하여, 별도의 운반차 없이 운송차량 근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원료 이송장치의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주입부의 주입노즐 부근에 영상촬영수단을 설치하고 프레임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영상촬영수단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고소의 위치에 올라가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주입노즐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 커버가 힌지 회전되어 컨베이어 하우징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에서 주입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입노즐이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하우징 커버 상에 복수개의 분사노즐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에서 이송부 하단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송부 하단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부(100)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체 입자 형태의 원료를 운송차량에 구비된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원료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송차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료를 저장(또는, 적재)하여 운송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구비되며, 저장탱크 내부는 하나 이상의 격벽으로 구획되어 복수개의 공간을 가질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단일의 공간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의 상부에는 원료가 주입되기 위한 맨홀(주입구)이 형성되어 있고, 맨홀은 별도의 해치에 의해 밀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운송차량은 공지된 기술 사항으로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고체 입자 형태의 원료를 운송차량에 구비된 저장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식 바퀴(130)를 포함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부(100)와, 베이스부(100)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질수 있도록 구비되는 컨베이어부(210)를 포함하는 이송부(200)와, 이송부(200)에 연결되어 컨베이어부(210)로부터 이송되는 원료를 저장탱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주입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료 이송장치(10)는 별도의 운반차(예컨데, 지게차 등)에 임시 연결되어 운송차량 근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 강도를 가지도록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이동식 바퀴(130), 및 바닥 고정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100)는, 프레임(110) 상에 이송부(200)가 경사지게 설치되고, 프레임(11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이동식 바퀴(130)를 구비하여 운송차량에 근접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바닥 고정대(150)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시에 베이스부(100) 측으로 눕혀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원료 이송장치(100)의 이동 시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강관(또는, 각관)을 용접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바퀴(130)는, 프레임(110)이 대략 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프레임(110)의 네 모서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식 바퀴(130)의 설치위치 및 개수 등은 당업자가 설계 가능한 범위에서 필요에 다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 상에는 하나 이상의 후크 고리(111)를 설치하여, 와이어나 로프 등을 통해 운반차와 연결되어 운송차량 근처, 또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레임(110) 상에는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작업발판(113)이 구비될 수 있다.
바닥 고정대(150)는, 이동식 바퀴(130)가 임의로 회전되어 베이스부(1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식 바퀴(130)와 유사하게, 프레임(110)의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닥 고정대(150)는, 그 길이방향에서 다단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조절수단(미부호)을 구비하여 바닥(또는, 지면)에 밀착되도록 길이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베이스부(100)는,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이동식 바퀴(13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동무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동무버(170)는 이동식 바퀴(130)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되어 이동식 바퀴(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동무버(170)는, 도면에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케이스 내부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식 바퀴(13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마찰력에 의해 이동식 바퀴(130)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바퀴(13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좌우측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무버(17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좌우측 이동식 바퀴(130)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부(100)의 좌측 및 우측 이동식 바퀴(130)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좌우측 전동무버(170)의 회전력 전달을 제어하여 원료 이송장치의 직진운동뿐만 아니라 회전운동도 제어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전동무버(170)의 좌우측 회전을 상이하게 제어하면 그에 따라 원료 이송장치는 좌우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주입부(300)의 평면상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된다.
도 1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90”는, 이송부(200) 상단으로 작업자가 접근하기 위해 마련되는 사다리(190)로서, 베이스부(100) 상에서 이송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을 따라 계단식으로 구비되어 이송부(200), 또는 주입부(300)의 점검이나 유지보수 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주입부(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300)는 단부에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주입노즐(310)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400)는 주입노즐(310)의 상하방향 길이 조절과 이동식 바퀴(130)의 회전을 제어하여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주입부(300)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좌측 및 우측 전동무버(170)를 제어하여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주입부(300)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동무버(170)는, 제어부(400)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송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이동식 바퀴(130)의 외주면에 전동무버(170)에 포함된 롤러가 밀착된 상태에서만 제어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전동무버(170)가 구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400)는 작업자가 무선으로 전동무버(170)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400)의 구성 및 역할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전동무버(1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동무버(170)는 별도의 연결부재(171)를 통해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프레임(110)으로부터 하향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71)는, 전동무버(17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110)에 결합됨으로써, 전동 무버(170)가 이동식 바퀴(130)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71)는 프레임(110)에 볼트체결 방식 또는 용접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전동무버(170)는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171)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Bar) 형태의 강관(또는, 각관)으로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식 바퀴(130)의 외주면에 전동무버(170)가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동무버(170)는, 별도의 운반차 없이 운송차량 근처로 이동되기 위해서, 또는 운송차량 근처로 이동되고 난 다음에 미세 위치 조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이동식 바퀴(130)를 구비하여, 운반차에 연결된 상태로 운송차량 근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동식 바퀴(130)의 외주면 일측에 밀착되는 전동무버(170)를 구비하여, 운송차량 근처로 이동되고 난 다음에도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원료 이송장치는, 전동무버(170)를 이용하여 별도의 운반차 없이 운송차량 근처로 이동될 수 있음은 당연할 수 있다.
상술한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은, 이동식 바퀴(130)의 외주면에 전동무버(170)의 롤러가 밀착된 상태에서 제어부(400)를 통해 전동무버(170)의 모터를 구동시키며, 제어부(4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수단(410)을 통해 주입부(300)에 구비된 영상촬영수단(311a)으로 촬영된 주입노즐(310)의 위치 영상을 확인하고, 제어부(400)를 통해 이동식 바퀴(130)를 회전시키거나 주입노즐(31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주입부(300)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 커버(211b)가 힌지 회전되어 컨베이어 하우징(211)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송부(200)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원료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프레임(110) 상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측이 프레임(110)에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부(2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베이스부(100) 상에 설치되어 상향 경사지도록 회동가능한 컨베이어부(210)와, 컨베이어부(21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대적으로 하향 배치된 단부측 외주면에 결합되어 원료가 투입되는 호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부(210)는, 컨베이어 하우징(211)과, 컨베이어 하우징(211)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에 의해 원료를 이송하는 스크류 나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하우징(211)은, 하우징 본체(211a)와, 하우징 본체(211a)의 일측면을 개폐할 수 있는 하우징 커버(211b)를 포함하며,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본체(211a)는,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대적으로 하향 배치된 단부 쪽에는 호퍼부(230)와 연결되어 원료를 공급받기 위한 연통구(미부호)가 형성되고, 반대측 단부에는 주입부(300)로 원료를 보내기 위한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211b)는, 하우징 본체(211a) 내부의 스크류 나사(213) 등의 장치들에 대한 유지보수 및 세척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 본체(211a)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회동에 의해 하우징 본체(211a)의 일측면을 개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원료의 이송작업이 끝난 다음,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를 세척하거나 유지보수 등의 점검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때, 하우징 본체(211a)의 일측면에 힌지 결합된 하우징 커버(211b)를 회전시켜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 및 점검할 수 있다.
호퍼부(23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여 임시 수용된 원료를 이송부(200)로 공급하는 호퍼 용기(231)와, 호퍼 용기(231)와 연통되어 베이스부(100) 상에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투입구(233)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 용기(231)는, 하우징 본체(211a)의 투입구(233) 측에서 상부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증가되게 형성되어 원추(또는, 깔대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호퍼 용기(231) 내부에는, 메쉬 형태의 격자망(231a)을 구비하여, 이송부(200)로 원료가 과도하게 공급되어 컨베이어 하우징(211)의 연통구가 막히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스크류 나사(213)의 회전에 의해 원료가 부서지거나 튕겨져나와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투입구(233)는, 원통 형태를 갖고, 호퍼 용기(231)와 연통되어 베이스부(100) 상에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투입구(233)는, 베이스부(100) 상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료의 혼합이나 원료 투입속도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세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부(200)는 호퍼부(230)의 투입구(233)를 개폐하는 덮개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소재로 제조되는 덮개는 상당한 무게로 인해 투입구(233)의 개폐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위험이 높다.
종래기술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에도 덮개가 구비되는데, 덮개의 상당한 무게로 인해 투입구(233)의 개폐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프레임(110) 상에 돌출된 투입구(233) 주변에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핸드레일(115)을 설치하고, 핸드레일(115)에 덮개부(235)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나아가 거치부로 위치가 이동되는 덮개가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링크 및 가이드(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호퍼부(230)의 구조, 링크 및 가이드 등에 대한 상세한 도면 및 설명은, 생략되더라도 당업자라면 충분히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도면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에서 주입부(300)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입노즐(310)이 하향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입부(300)는, 이송부(200)의 외주면 일측에 결합되어 이송부(200)로부터 이송되는 원료를 저장탱크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주입노즐(310)과, 주입노즐(3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하방향 길이가 가변되는 슈트유닛(330)과, 슈트유닛(330)의 길이가 가변되게 구동하는 구동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노즐(310)은, 후술하는 슈트유닛(3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운송차량에 구비된 맨홀에 밀착,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입노즐(310)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단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들어 원추 형태(Cone-shaped)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주입노즐(310)은, 또한, 외주면에 하단 플랜지(311)를 형성하여 슈트유닛(330)의 길이 가변과정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슈트유닛(330)은, 복수개의 단위슈트(330a)가 겹쳐져 상하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텔리스코픽 형태(Telescopic ty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슈트(330a)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되, 신장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슈트(330a)의 내경이 상부에 위치하는 단위슈트(330a)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슈트유닛(3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역방향 깔대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슈트유닛(330)을 통해 저장탱크 내부로 원료가 주입될 때, 단위슈트(330a) 내면과 원료의 접촉을 줄여주기 위함이며, 단위슈트(330a)의 내면 및 단위슈트(330a)들 사이에 원료가 잔존하게 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슈트유닛(330)은, 복수개의 단위슈트(330a) 중 상하로 신장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최하측에 위치하는 단위슈트(330a)에 주입노즐(310)이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최하측에 위치하는 단위슈트(330a)와 주입노즐(310)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슈트유닛(330)은, 컨베이어부(210)의 배출구에 마련된 연통배관(250)에 상단이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도록 신장될 수 있으며, 슈트유닛(330)의 상단에는 상단 플랜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주입부(300)는, 주입노즐(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 플랜지(311)에 고정되고, 슈트유닛(330)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는 상단 플랜지(331)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하여 연결되는 가이드바(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단 플랜지(331)에는 가이드바(333)가 상대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 관통된 연결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바(330)의 하단은 주입노즐(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단 플랜지(311)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바(333)는 하단이 주입노즐(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단 플랜지(311)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상단은 슈트유닛(33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상단 플랜지(331)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직 관통된 연결구조로 형성하여, 고정된 상단 플랜지(331)를 따라 상기 가이드바가 상하 이동되면, 상기 하단 플랜지(311)가 상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슈트유닛(330)의 상하방향 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가이드바(333)는 주입부(300)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바(333)는 주입노즐(310), 또는 슈트유닛(33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350)는, 슈트유닛(330)의 길이가 가변되게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W)를 풀거나 감기 위한 권취수단(351)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수단(351)은 윈치(winch) 등 다양한 수단일 수 있다.
와이어(W)는, 일단이 상기 주입노즐(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단 플랜지(311) 상에 연결되고, 타단이 슈트유닛(330)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플랜지(331)를 경유하여 권취수단(351)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권취수단(351)은 컨베이어부(210)의 상단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부(100)의 프레임(110)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권취수단(351)은, 전술한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슈트유닛(33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슈트유닛(330)의 하단에 형성된 주입노즐(310)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권취수단(351)를 구동하여 주입노즐(310)의 상하방향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부(350)는, 슈트유닛(330)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플랜지(331)와 권취수단(351) 사이에 하나 이상의 도르래(3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W)의 감기는 방향을 복수회 전환시켜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 슈트유닛(330)의 길이가 가변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주입부(300)의 주입노즐(310)이 저장탱크의 맨홀에 정확하게 위치됨을 파악하여, 원료 이송과정에서 외부로 원료가 누출되는 방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부(300)는 주입노즐(3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 카메라 등의 영상촬영수단(311a)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주입노즐(310)의 하부인 하단 플랜지(311)의 하면에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수단(311a)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410)(도 1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10)으로는 일반적인 모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수단(410)은 상기 프레임(110)상에 고정식으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110)과 별도로 구비되거나 전술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작업자가 고소의 위치에 올라가지 않고, 아래에서 디스플레이수단(410)를 통해 주입노즐(3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베이스부(100)의 위치와 슈트유닛(330)의 길이 가변량을 용이하면서 정확하게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하우징 커버(211b) 상에 복수개의 분사노즐(51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에서 이송부(200) 하단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송부(200) 하단을 사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 시스템(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척 시스템(500)은,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로 고압유체를 분사하여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 나사(213)에 고착된 분진이나 이물질을 청소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고압유체는 압축 공기 또는 고압 분사 물 또는 세척액 등일 수 있다.
세척 시스템(500)은,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211b)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되는 분사노즐(510)과, 컨베이어 하우징(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복수개의 분사노즐(510)로 고압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배관(530)과, 공급배관(530)으로 고압유체를 공급하는 고압유체공급원(미도시)과, 공급배관(530)으로부터 분기되어 복수개의 분사노즐(510)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분기배관(55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분사노즐(510)은, 컨베이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211a)의 일측면을 개폐하는 하우징 커버(211b)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급배관(530)은, 전술한 고압유체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전달받게 되는데, 운송차량에 설치된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생성된 고압유체를 전달할 수도 있고, 원료 이송장치의 베이스부(100) 상에 별도의 압축기를 구비하여 단독으로 생성한 고압유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급배관(530)은, 또한, 컨베이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복수개의 분사노즐(51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세척 시스템(500)은, 복수개의 분사노즐(510)들을 제어하여 컨베이어부(210) 내부로 분사되는 고압유체를 조절하는 세척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제어부는 제어부(400)와 동일한 장치에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척 시스템(500)은, 복수개의 분사노즐(510) 각각에 연결된 분기배관(550) 상에는 제어부(400)와 연결되는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400)를 통해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로 고압유체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에 의한 노즐의 개폐 제어는 일반적인 기술에 해당하여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공급배관(530)으로 공급되는 고압유체는 복수개의 분사노즐(510)을 통해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로 분사되되,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하우징(211)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주입부(300)측 단부에서 반대측 단부로 순차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전술한 제어부(400)에 의해 분사노즐(510)에 구비되는 밸브 개폐가 제어되어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복수개의 분사노즐(510)들은 전체가 일시에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역방향 순서로 분사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는 세척의 목적에 합치되도록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컨베이어 하우징(211)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상대적으로 하향 배치된 단부측에는 배출배관(270)이 연결될 수 있다. 배출배관(270)은,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로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에 컨베이어 하우징(211)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배관(27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유닛(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세척 시스템(500)은, 복수개의 분사노즐(510)을 통해 컨베이어부(210) 내부로 고압유체가 공급되게 되면, 컨베이어 하우징(211) 내부에 잔존하는 분진이나 이물질이 컨베이어 하우징(211)에 연결된 배출배관(27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 이송장치 이송부(200)의 컨베이어가 잔여 원료를 다 이송하여 이송작업이 완료되고 작동이 중단되고 난 후, 상기 세척 시스템(500)을 가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컨베이어부(210)의 스크류 나사(213)를 가동하여 원료 없이 공회전을 하게 한다. 나아가 이러한 공회전은 기존의 이송을 위한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스크류 나사(213)의 가동 없이도 세척 시스템(500)이 가동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세척 시스템(500)이 가동되고 난 후 또는 가동 중에 상기 스크류 나사(213)가 가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는, 프레임(110)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이동식 바퀴(130)를 구비하고 별도의 운반차에 임시 연결되어 운송차량에 근접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바퀴(13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동 무버를 포함하여, 별도의 운반차 없이 운송차량 근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원료 이송장치의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주입부(300)의 주입노즐(310) 부근에 영상촬영수단(311a)을 설치하고 프레임(110)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수단(410)를 통해 영상촬영수단(311a)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고소의 위치에 올라가지 않고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주입노즐(31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 상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내부로 고압유체를 분사하여 스크류 나사(213) 사이 분진이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부
110: 프레임
111: 후크 고리
113: 작업발판
115: 핸드레일
130: 이동식 바퀴
150: 바닥 고정대
170: 전동무버
171: 연결부재
190: 사다리
200: 이송부
210: 컨베이어부
211: 컨베이어 하우징 211a: 하우징 본체
211b: 하우징 커버
213: 스크류 나사
230: 호퍼부
231: 호퍼 용기 231a: 격자망
233: 투입구
235: 덮개부
250: 연통배관
270: 배출배관
300: 주입부
310: 주입노즐
311: 하단 플랜지 311a: 영상촬영수단
330: 슈트유닛 330a: 단위슈트
331: 상단 플랜지
333: 가이드바
350: 구동부
351: 권취수단
353: 도르래
400: 제어부
410: 디스플레이수단
500: 세척 시스템
510: 분사노즐
530: 공급배관
550: 분기배관
W: 와이어

Claims (9)

  1. 고체 입자 형태의 원료를 운송차량에 구비된 저장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원료 이송장치로서,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적어도 둘 이상의 이동식 바퀴를 포함하여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질수 있도록 구비되는 컨베이어부를 포함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컨베이어부로부터 이송되는 원료를 상기 저장탱크 내부로 공급할 수 있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단부에 상하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주입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상하방향 길이 조절과 상기 이동식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주입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식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동무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바퀴는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및 우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전동무버는 상기 베이스부의 좌측 및 우측 이동식 바퀴 각각에 접촉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동무버를 제어하여 상기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주입부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가 무선으로 상기 전동무버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바퀴의 외주면에 상기 전동무버에 포함된 롤러가 밀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무버가 구동되는, 원료 이송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동무버는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원료 이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상부에 연결되되, 복수개의 단위슈트가 겹쳐져 상하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슈트유닛; 및
    일단이 상기 주입노즐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풀거나 감기 위한 권취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권취수단를 구동하여 상기 주입노즐의 상하방향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하부에 구비되는 영상촬영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더 포함하는, 원료 이송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단위슈트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원통형태로 이루어지되, 신장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단위슈트의 내경은 상부에 위치하는 단위슈트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료 이송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주입노즐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단 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슈트유닛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는 상단 플랜지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관통하여 연결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는, 원료 이송장치.
  9. 청구항 1에 따른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식 바퀴의 외주면에 전동무버의 롤러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동무버의 모터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상기 주입부에 구비된 영상촬영수단으로 촬영된 상기 주입노즐의 위치 영상을 확인하고,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이동식 바퀴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주입노즐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운송차량의 저장탱크와 상기 주입부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는,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
KR1020220078178A 2022-06-27 2022-06-27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 KR20240001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78A KR20240001475A (ko) 2022-06-27 2022-06-27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78A KR20240001475A (ko) 2022-06-27 2022-06-27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475A true KR20240001475A (ko) 2024-01-03

Family

ID=8953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78A KR20240001475A (ko) 2022-06-27 2022-06-27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4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7Y1 (ko) 2002-10-24 2003-01-14 김승문 이동식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7Y1 (ko) 2002-10-24 2003-01-14 김승문 이동식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72017B2 (en) Methods and systems to transfer proppant for fracking with reduced risk of production and release of silica dust at well site
AU2002309460B2 (en) Containerised handling of bulk materials and apparatus therefor
US9776813B2 (en) Mobile dry material storage
US20160031658A1 (en) Proppant Discharge and Storage System
CN101203446B (zh) 容器
CA3019053A1 (en) Transport, loading and storage system for granular materials
CN108858722A (zh) 一种用于镁碳砖制品的生产线及其工艺
CA3105632A1 (en) Skid mounted storage system with collapsible silo for flowable material
KR20240001475A (ko)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위치 조정방법
KR20240001476A (ko) 원료 이송장치 및 상기 원료 이송장치의 세척방법
KR101557433B1 (ko) 포터블형 시멘트 하역설비
JPS59501588A (ja) ばら材料を荷卸し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692206B1 (ko) 곡물이나 사료의 자동 상차 장치
US20230013683A1 (en) Storage Silo Apparatus with an Integrated Vertical Conveyor
CA2820204A1 (en) Mobile dry material storage
KR20000008320A (ko) 벌크 화물선내의 선창 표면 세척 및 코팅용내장장치
US20220106106A1 (en) Bulk material receiving, conveying, storing, and dispensing
EP0714364B1 (en) Hopper for dusty materials
JP2013534613A (ja) フィーダー装置
CN206327940U (zh) 一种新型链斗提升装驳作业系统
KR102631064B1 (ko) 적재물 압송 배출장치
CN109896227A (zh) 一种矿用提升机
US3251584A (en) Concrete preparation plant
ITBO20080511A1 (ko)
JP3211761B2 (ja) ばら物用アンロー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