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363A -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 - Google Patents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363A
KR20240001363A KR1020220077760A KR20220077760A KR20240001363A KR 20240001363 A KR20240001363 A KR 20240001363A KR 1020220077760 A KR1020220077760 A KR 1020220077760A KR 20220077760 A KR20220077760 A KR 20220077760A KR 20240001363 A KR20240001363 A KR 20240001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ellfish
robot
underwater
underwate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문산성
김철원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포다이스
김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포다이스, 김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포다이스
Priority to KR1020220077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363A/en
Publication of KR2024000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36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8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6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 wireless system for controlling one or several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 B25J15/02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servo-actuated comprising articul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류 양식장의 수질과 패류의 상태를 분석하여 양식채롱의 청소 시기를 결정하고, 분사노즐과 브러쉬를 구비하는 로봇이 수중에서 고압의 해수를 분사하면서 브러싱하며 이동하면서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을 세척할 수 있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은, 패류 양식장에 투입되어, 패류 및 패류 양식채롱을 모니터링하며,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로부터 전송된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며,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이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게 하는 관제서버; 및 관리자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열람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an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farm and the condition of the shellfish to determine the cleaning time of the fish farm, and is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and a brush. This is about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that can clean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cages while the robot sprays high-pressure seawater and moves while brushing, and an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hat is introduced into a shellfish farm, monitors shellfish and shellfish farming cages, and performs cleaning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s; a control server that stores and analyz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and causes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o clean the fish farm; and a mobile device that allows the administrator to externally view the data analyzed from the control server.

Description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

본 발명은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류 양식장의 수질과 패류의 상태를 분석하여 양식채롱의 청소 시기를 결정하고, 분사노즐과 브러쉬를 구비하는 로봇이 수중에서 고압의 해수를 분사하면서 브러싱하며 이동하면서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을 세척할 수 있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an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farm and the condition of the shellfish to determine the cleaning time of the fish farm, and is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and a brush. This is about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that can clean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cages while the robot sprays high-pressure seawater and moves while brushing, and an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가리비는 이매패강 연체동물에 속하는 무척추 동물로 기본적으로 두 장으로 나뉜 패각을 가진다. 가리비의 껍데기는 부채처럼 생겼으면 표면에는 골판지처럼 골이 있다. 가리비는 전세계의 바다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연안에서 깊은 바다까지 널리 서식하고 있다. 우리나라 근해에서는 참가리비, 국자가리비, 비단가리비, 일월가리비, 해가리비, 고랑가리비, 흔한가리비 등 총 12종이 발견되며, 참가리비, 해만가리비 등이 양식되고 있다.Scallops are invertebrates belonging to the bivalve class of molluscs and basically have a shell divided into two pieces. The shell of a scallop is shaped like a fan, and the surface has grooves like cardboard. Scallops are distributed relatively evenly throughout the world's oceans and live widely from coastal areas to deep seas. A total of 12 species are found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including sea scallops, dipper scallops, silky scallops, sun and moon scallops, sea scallops, furrow scallops, and common scallops, and sea scallops and bay scallops are farmed.

가리비 양식은 해상에서 로프채롱식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노동집약적이며 전통적인 사육관리 방법으로 수행되고 있고 있다. 사육관리는 주로 관리선에서 수하작업, 채롱교체작업, 선별작업 및 수확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보조하기 위한 보조선박을 사용하여 선박 또는 육지로 이송하여 육지에서 분리작업과 선별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Scallop farming is carried out at sea using a rope-carriage method, and is carried out using labor-intensive and traditional farming and management methods. Breeding management is mainly carried out on management ships, including unloading, shell replacement, sorting, and harvesting. To assist with this, auxiliary vessels are used to transfer them to ships or land, and separation and sorting work is performed on land.

가리비 사육관리에 가장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모되는 과정은 채롱세척과 분망 및 선별작업으로 일반적으로 관리선박이나 보조선박 등에서 수작업과 간단한 기계식 장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작업 효율성이 매우 낮은 편이다. 또한, 양식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장비는 채롱을 세척하는 세척기, 가리비를 선별하는 선별기와 육상에서 가리비를 분리하고 고압세척기에 의한 채롱세척을 하는 장비 등이 도입되고 있으나 모두 채롱을 선박이나 육상으로 노출시켜 작업을 하기 때문에 가리비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작업인력과 비용이 많이 투입되는 단점이 있었다. The processes that consume the most cost and manpower in scallop breeding and management are cage washing, netting, and sorting, which are generally performed by hand and simple mechanical equipment on management vessels or auxiliary vessels, so work efficiency is very low. In addition, the equipment used in fish farms includes washing machines for cleaning scallops, sorters for sorting scallops, and equipment for separating scallops on land and washing scallops using high-pressure washers. However, all of them are operated by exposing the scallops to ships or land. Because it can cause a lot of stress to the scallops, it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 lot of manpower and money.

따라서, 가리비 양식장 및 어폐류 양식장의 사육관리와 생산원가에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채롱세척과 관리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more research on how to effectively solve the problems of scallop cleaning and management, which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breeding management and production costs in scallop farms and fish waste farm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936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3936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081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108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8860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2886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663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663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패류 양식장의 수질과 패류의 상태를 분석하여 양식채롱의 청소 시기를 결정하고, 수중에서 패류 양식채롱에 고압의 해수를 분사하면서 가리비 양식채롱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브러싱를 통해 제거할 수 있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nalyzing the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farm and the condition of the shellfish, determining the cleaning time of the shellfish culture cage, and spraying high-pressure seawater into the shellfish culture cage underwater to surface the scallop culture c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that can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through brush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은, 패류 양식장에 투입되어, 패류 및 패류 양식채롱을 모니터링하며,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로부터 전송된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며,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이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게 하는 관제서버; 및 관리자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열람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hat is introduced into a shellfish farm, monitors shellfish and shellfish farming cages, and performs cleaning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s; a control server that stores and analyz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and causes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o clean the fish farm; and a mobile device that allows the administrator to externally view the data analyzed from the control server.

여기서,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은, 해상에 위치한 선박에 배치되어 깨끗한 해수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펌프부; 해상에 위치한 선박에 배치되어, 로봇 본체부를 수중으로 투하하고, 로봇 본체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크레인부; 상기 크레인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펌프부로부터 압축된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봇 본체부는, 로봇 하우징, 상기 로봇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 주변 해수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수질 센서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패류 양식채롱 주변 해수의 상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 상태, 패류 양식채롱 내부의 패류의 크기 및 밀도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펌프부로부터 압축된 해수를 공급받는 호스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부의 압축된 해수를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부, 상기 분사노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분사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압축된 해수로 브러싱을 수행하여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봇 하우징이 패류 양식채롱으로부터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로봇 하우징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개폐부 및 상기 로봇 본체부와 상기 관제서버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includes a compression pump unit disposed on a ship located at sea to compress and supply clean seawater; A crane unit disposed on a ship located at sea, dropping the robot main body into the water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main body; A robot body unit connected to the crane unit, receiving compressed seawater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and performing cleaning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wherein the robot main unit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obot housing and the robot housing. , a water quality sensor unit that measures the water quality of the seawater around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farm in real tim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bot housing, the condition of the seawater around the shellfish culture farm, the state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culture farm, and the shellfish inside the shellfish culture farm. An underwater camera unit that captures the size and density of the water in real time, a hose uni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obot housing and supplied with compressed seawater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and a hose unit disposed inside the robot housing to compress the hose unit. A spray nozzle unit that sprays seawater onto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a brush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spray nozzle un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by performing brushing with compressed sea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unit. ,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obot housing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robot housing so that the robot housing can be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connects the robot main body and the contro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desirable to include.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로봇 하우징의 내측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노즐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내측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분사노즐부,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호스부에서 공급된 압축된 해수를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에 분사하는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와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노즐 본체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하는 노즐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jection nozzle unit includes a first injection nozzle unit dispos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robot housing, a second spray nozzle portion dispos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robot housing, and a nozzle to provide compression supplied from the hose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nozzle body that sprays the seawater onto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a nozzle rotating part that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nozzle body and allows the nozzle body to reciproc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여기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로봇 본체부로부터 전송되는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에서 전송된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하는 데이터 학습부; 상기 데이터 학습부에서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된 내용을 기반으로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시기 및 수질의 위험도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이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의 제어 상황을 관리자가 열람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 server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robot main body;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 database unit that converts the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into a database; a data learning unit that learns the database created in the database unit by artificial intelligence;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cleaning time and water quality risk of shellfish farming cages based on the content learn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ata learning unit;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tank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and a manager terminal unit through which the manager can view the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and the control status of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by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로봇 본체부의 자동개폐부를 개폐하여 상기 로봇 본체부를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 상부에 안착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수질 센서부에서 패류 양식채롱 주변의 수질을 측정하고, 상기 수중 카메라부에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을 촬영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관제서버에서 전송된 수질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여부를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관제서버에서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에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4 단계; 상기 로봇 본체부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압축펌프부의 압축된 해수를 상기 호스부를 통해 공급받아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에 분사하며 브러싱을 행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로봇 본체부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에 도달하면 상기 자동개폐부를 열어 상기 로봇 본체부를 패류 양식채롱으로부터 제거하고 해상에 위치한 선박으로 끌어올리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robot main body connected to the crane, and places the robot main body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cage. The first step of seating; A second step of measuring the water quality around the shellfish farming cage by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photograph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by the underwater camera unit, and transmitting the images to the control server;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shed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erver to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cage; A fifth step of receiving compressed seawater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through the hose unit while moving the robot main body to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culture cage and spraying it on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cage to perform brushing; And when the robot main body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 sixth step of opening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to remove the robot main body from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hoisting it to a ship located at se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류 양식채롱의 세척을 자동화시켜 패류 양식에 필요한 인건비와 운영비를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ramatically reducing labor and operating costs required for shellfish farming by automating the cleaning of shellfish farming cages.

또한, 본 발명은 패류 양식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패류의 대량폐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ass mortality of shellfish by monitoring the situation of shellfish farms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은 패류 양식채롱의 세척을 수중에서 실시하기 때문에 해수 밖으로의 노출을 기피하는 패류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ress of shellfish that avoid exposure to seawater because the shellfish farming cages are washed under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가 패류 양식채롱에 안착된 것을 나타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가 패류 양식채롱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의 입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의 단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의 단면을 펼친 모습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부를 나타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부가 상부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부가 하부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부를 나타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부가 연장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부가 상부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부가 하부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빅데이터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서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robot body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ran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obot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shows that the robot body part is seated in a shellfish farming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b) shows the robot body portion being separated from the shellfish farming c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Figure 7(a)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robo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bo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c)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robo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unfolded cross-section of the robot main bod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a) shows a spray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shows a spray nozzle unit rotated up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c) shows a spray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jection nozz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rotated downward.
Figure 9(a) shows a br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b) shows an extended br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c) shows an extended br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rotated upward, and Figure 9(d) shows the brus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d downward.
Figure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big data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rol server and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flowchart of an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기에 나타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In the drawings shown belo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Meanwhile,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embodiments. Hereinafter, terms are used sole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dditionally, terms such as “…module” and “…unit”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은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 관제서버(20) 및 모바일 디바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패류는 가리비, 굴, 전복, 진주조개, 꼬막 등 양식 가능한 모든 종류의 패류를 포함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a control server 20, and a mobile device 3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that cleans shellfish farming cages, where shellfish includes all types of shellfish that can be farmed, such as scallops, oysters, abalone, pearl clams, and cockles.

본 발명의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은 패류 양식장에 투입되어, 패류 및 패류 양식채롱을 모니터링하며,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은 압축펌프부(미도시), 크레인부(100) 및 로봇 본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nto a shellfish farm, monitors shellfish and shellfish farming cages, and cleans the shellfish farming cages.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2,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pression pump unit (not shown), a crane unit 100, and a robot body unit 200.

본 발명의 압축펌프부는 해상에 위치한 선박에 배치되어 깨끗한 해수를 로봇 본체부(200)에 고압으로 압축하여 공급한다. 압축펌프부는 모터와 펌프를 구비하여, 깨끗한 해수를 펌프로 끌어올려 고압으로 압축하여 로봇 본체부(200)의 호스부(240)로 전달한다. 압축펌프부는 별도의 압축펌프 통신부를 구비하여, 관제서버(20)의 제어부(8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을 한다.The compression pump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 ship located at sea and supplies clean seawater to the robot body 200 by compressing it at high pressure. The compression pump unit is equipped with a motor and a pump, pumps up clean seawater, compresses it at high pressure, and delivers it to the hose unit 240 of the robot main unit 200. The compression pump unit has a separate compression pump communication unit and operates by receiving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800 of the control server 20.

본 발명의 크레인부(100)은 해상에 위치한 선박에 배치되어, 로봇 본체부(200)를 수중으로 투하하고, 상기 로봇 본체부(200)의 위치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200)가 상하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본체부(200)는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크레인부(100)은 로봇 본체부(200)와 연결된 케이블을 내리거나 당겨서 로봇 본체부(200)를 수중으로 투하하고 로봇 본체부(200)의 상하 이동을 조절한다. 크레인은 동력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운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크레인은 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종류로 분류되는데, 굴절식 크레인은 고철, 파지 작업 등에 물건의 이동에 주로 쓰이며 차량 이동시 크레인 붐을 최소화하여 차량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실용성이 높은 크레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부(100)는 붐을 최소화하여 선박에 장착이 가능한 굴절식 크레인을 사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부(100)의 개략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크레인부(100)은 유압식 피스톤으로 크레인부(100)을 굴절시키는 턴테이블(110), 상기 턴테이블(110)과 연결되는 제1 붐(120), 상기 제1 붐(120)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연장되는 제2 붐(130), 상기 제2 붐(130)의 내부로 수납되거나 연장되는 제3 붐(140), 상기 제3 붐(140)에 연결되어 크레인부(100)을 굴절시키는 제1 굴절붐(150), 상기 제1 굴절붐(150)과 연결되는 제2 굴절붐(160), 크레인부(100)의 끝단에 위치하여 크레인부(100) 작업을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말단부(180) 및 상기 제2 굴절붐(160) 및 말단부(180) 사이를 절연시켜 연결하는 절연붐(1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붐(120), 제2 붐(130) 및 제3 붐(140)은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턴테이블(110)의 유압식 피스톤과 제1 굴절붐(150) 및 제2 굴절붐(160)의 굴절장치 및 유압식 피스톤에 의해서 로봇 본체부(200)과 연결된 케이블을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다. 크레인부(100)는 별도의 크레인 통신부를 구비하여, 관제서버(20)의 제어부(8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받아 작동을 한다.The crane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a ship located at sea, drops the robot main body 200 into the water, and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robot main body 200. Figure 3 shows the robot body 200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robot main body 2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cage, and the crane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lowers or pulls the cable connected to the robot main part 200. The robot body 200 is dropped into the water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obot body 200 is controlled. A crane is a device whose purpose is to suspend and transport heavy objects using power. Cran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to suit the purpose. Articulated cranes are mainly used for moving objects such as scrap metal and scraping work, and are highly practical cranes because they minimize the crane boom when moving a vehicle, allowing efficient use of vehicle loading sp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ane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rticulated crane that can be mounted on a ship by minimizing the boom.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rane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crane uni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rntable 110 that bends the crane unit 100 with a hydraulic piston, a first boom 120 connected to the turntable 110, and the first boom. A second boom 130 housed or extended inside of (120), a third boom 140 housed or extended inside the second boom 130, and a crane unit connected to the third boom 140. The first articulated boom 150 that bends (100), the second articulated boom 160 connected to the first articulated boom 150, and are located at the end of the crane part 100 to perform the work of the crane part 100. It may include a distal end 180 to which a cable is connected, and an insulating boom 170 that insulates and connects the second articulated boom 160 and the distal end 180. The first boom 120, second boom 130, and third boom 140 are adjustable in length, and the hydraulic piston of the turntable 110 and the first articulated boom 150 and the second articulated boom 160 The cable connected to the robot body 200 can be lowered or raised by the refractive device and hydraulic piston. The crane unit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rane communication unit and operates by receiving control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800 of the control server 20.

본 발명의 로봇 본체부(200)는 크레인부(100)와 연결되어, 압축펌프부로부터 압축된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200)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봇 본체부(200)은 로봇 하우징(210), 수질 센서부(220), 수중 카메라부(230), 호스부(240), 분사노즐부(250), 브러쉬부(260), 자동개폐부(270) 및 로봇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obot body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rane unit 100 and receives compressed seawater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cage.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robot main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5, the robot body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bot housing 210, a water quality sensor unit 220, an underwater camera unit 230, a hose unit 240, a spray nozzle unit 250, and a brush.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unit 260, an automatic opening/closing unit 270, and a robot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본 발명의 로봇 하우징(210)은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을 감싸는 로봇 본체부(200)의 케이스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200)가 패류 양식채롱에 안착된 것을 나타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200)가 패류 양식채롱에서 분리된 것을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 하우징(210)은 패류 양식채롱을 둘러쌀 수 있도록 원형의 형태이며, 2개의 반원인 제1 로봇 하우징(210a) 및 제2 로봇 하우징(210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로봇 하우징(210a)의 일단과 상기 제2 로봇 하우징(210b)의 일단은 자동개폐부(27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자동개폐부(270)는 상기 제1 로봇 하우징(210a) 및 제2 로봇 하우징(210b)이 결합되고 분리되게 한다.The robot housing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of the robot body 200 that surrounds an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cage. Figure 6(a) shows the robot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hellfish culture cage. 6(b) shows that the robot main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shellfish farming shed. As shown in FIGS. 6(a) to 6(b), the robot housing 210 has a circular shape to surround the shellfish farming shed, and is comprised of two semicircles, the first robot housing 210a and the second robot housing 210a. It includes a robot housing (210b), and one end of the first robot housing (210a) and one end of the second robot housing (210b) are connected to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and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is connected to the first robot housing (210a). 1 The robot housing 210a and the second robot housing 210b are coupled and separated.

본 발명의 수질 센서부(220)는 로봇 하우징(2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 주변 해수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질 측정을 위해 다항목 수질 센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다항목 수질 센서는 해수의 수온, 전도도, pH, 용존 산소량(Dissolved Oxygen,DO), 염도, 부유 물질량(Suspended Solids, SS), 수심, 클로로필, 산화환원전위(Oxidatation-Reduction Potential, ORP), 탁도, 암모니아, 염화물, 질산염 등을 측정한다. 수질 센서부(220)는 상기 다항목 수질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로봇 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20)로 전송한다.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obot housing 210 and measures the water quality of the seawater around the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shed in real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item water quality sensor can be used to measure water quality. The multi-item water quality sensor includes seawater temperature, conductivity, pH, dissolved oxygen (DO), salinity, suspended solids (SS), and water depth. , chlorophyll,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RP), turbidity, ammonia, chloride, nitrate, etc. are measured.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220 transmits the measurement data of the multi-item water quality sensor to the control server 20 through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수중 카메라부(230)는 로봇 하우징(2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패류 양식채롱 주변 해수의 상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 상태, 패류 양식채롱 내부의 패류의 크기 및 밀도를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상기 수질 센서부(220)의 수질 데이터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수중 카메라부(230)는 패류 양식채롱 주변 해수의 상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 상태를 촬영하여 로봇 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2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질 측정부(220)의 수질 데이터와 수중 카메라부(230)의 영상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하여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여부 및 청소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중 카메라부(230)는 패류 개체 밀도와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이미지 센싱 기능을 구비하여, 패류 개체 밀도 및 크기에 대한 데이터를 로봇 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로봇 본체부(200)에 의해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가 시작되고. 분사노즐부(250)에서 고압의 해수를 분사하고 브러쉬부(260)는 고속으로 브러쉬(143)를 회전시켜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 과정은 수중 카메라부(150)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어 로봇 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20)로 전송된다. The underwater camera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bot housing 210, and monitors the condition of the seawater around the shellfish culture cage, the state of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culture cage, and the size and density of shellfish inside the shellfish culture cage in real time. Take pictures. In addition to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220, the underwater camera unit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photographs the state of the seawater around the shellfish aquaculture farm and the state of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aquaculture farm, and sends it to the control server (20) through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 and send it 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quality data of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unit 220 and the image data of the underwater camera unit 230 are analyzed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termine whether and when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shed. In addition, the underwater camera unit 230 is equipped with an image sensing function that can measure the density and size of shellfish objects, and transmits data on the density and size of shellfish objects to the control server 20 through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Then, cleaning of the shellfish farming shed begins by the robot main body 200. High-pressure seawater is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unit 250, and the brush unit 260 rotates the brush 143 at high spe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tank. This process is carried out by the underwater camera unit 150. It is filmed in real time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 through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호스부(240)는 로봇 하우징(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압축펌프부로부터 고압의 깨끗한 해수를 공급받는다. 호스부(240)는 제1 로봇 하우징(210a)에 연결되는 제1 호스부(240a)와 제2 로봇 하우징(210b)에 연결되는 제2 호스부(240b)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부(240)는 크레인부(100)의 케이블과 같이 묶일 수 있거나 크레인의 케이블과 분리되어 압축펌프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hose unit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obot housing 210 and receives high-pressure clean seawater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The hose unit 240 may include a first hose unit 240a connected to the first robot housing 210a and a second hose unit 240b connected to the second robot housing 210b. The hose unit 240 may be bundled with the cable of the crane unit 100 or may be separated from the cable of the crane and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pump unit.

본 발명의 분사노즐부(250)는 로봇 하우징(210)의 내측에 배치되어, 호스부(120)의 고압의 깨끗한 해수를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에 분사한다. 분사노즐부(250)는 복수의 분사노즐를 구비하고, 복수의 분사노즐은 로봇 하우징(210)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200)의 입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200)의 단면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 본체부(200)의 단면을 펼친 모습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사노즐부(250)는 상기 로봇 하우징(210)의 내측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노즐부(250a)와 상기 로봇 하우징(210)의 내측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분사노즐부(25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분사노즐부(250a) 및 제2 분사노즐부(250b)를 두어 고압의 해수를 브러쉬부(260)의 상부와 하부에서 동시에 분사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해수를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에 분사하여 이물질 제거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분사노즐부(250a)의 수압을 제2 분사노즐부(250b)의 수압과 다르게 하여 채롱의 오염 상태를 비대칭적으로 세척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노즐부(250a)의 수압을 제2 분사노즐부(250b)의 수압보다 크게 하여 채롱의 상부에 큰 수압을 받게 하고 채롱의 하부에 작은 수압을 받게 하여 오염물질을 채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부(250)를 나타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부(250)가 상부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사노즐부(250)가 하부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사노즐부(250)는 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호스부(240)에서 전달된 고압의 깨끗한 해수를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에 분사하는 노즐 본체(251), 상기 노즐 본체(251)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게 상기 노즐 본체(251)와 일단이 연결된 노즐 회전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251)를 노즐 회전부(252)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고압의 해수를 분사하여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분사노즐부(250)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구동모터는 노즐 본체(251)가 노즐 회전부(252)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하는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spray nozzle unit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robot housing 210 and sprays high-pressure clean seawater from the hose unit 120 into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tank. The spray nozzle unit 250 includes a plurality of spray nozzles, and the plurality of spray nozzl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robot housing 210. Figure 7(a)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robot main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bot main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c) is an unfolded cross-section of the robot main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7(a) to 7(c), the spray nozzle unit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pray nozzle unit 250a disposed on the upper inner side of the robot housing 210 and the robot housing. It may include a second injection nozzle portion 250b disposed at the inner lower portion of 210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injection nozzle unit 250a and a second injection nozzle unit 250b to spray high-pressure seawater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rush unit 260 at the same time, thereby spraying a sufficient amount of seawater into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tank. Spraying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In addition, the water pressure of the first spray nozzle unit 250a can be changed from the water pressure of the second spray nozzle unit 250b to asymmetrically clean the contaminated condition of the salon. For example, the water pressure of the first spray nozzle unit 250a is made greater than the water pressure of the second spray nozzle unit 250b,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saloon receives a large water pressure and the lower part of the saloon receives a small water pressure, so that contaminants are carried out. It is also possible to effectively separate it from . Figure 8(a) shows the injection nozzle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b) shows the injection nozzle unit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d upward. 8(c) shows the injection nozzle unit 250 rotated down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8(a) to 8(c), the spray nozzle unit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nozzle and sprays high-pressure clean seawater delivered from the hose unit 240 into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tank. It may include a nozzle body 251, and a nozzle rotating part 252,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nozzle body 251 so that the nozzle body 251 can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moving the nozzle body 251 up and down based on the nozzle rotating part 252, high-pressure seawater can be sprayed in various direction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culture cage. The injection nozzle unit 250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and the drive motor allows the nozzle body 251 to perform a reciprocating motion in which the nozzle body 251 rotat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nozzle rotation unit 252.

본 발명의 브러쉬부(260)는 분사노즐부(25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분사노즐부(250)에서 분사하는 고압의 해수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브러쉬부(260)는 복수의 브러쉬(263)를 구비하고, 로봇 하우징(210)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브러쉬부(260)는 제1 분사노즐부(250a)와 제2 분사노즐부(250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러쉬부(260)는 전면에 브러쉬(263)가 위치하고, 브러쉬(263)는 브러쉬부(260) 내부에 내장된 회전하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브러쉬(263)의 회전에 의해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부(260)를 나타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부(260)가 연장된 모습을 나타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부(260)가 상부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고,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러쉬부(260)가 하부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브러쉬부(260)는 전면에 위치한 브러쉬(263)가 회전하여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 본체(261), 상기 브러쉬 본체(261)가 패류 양식채롱 표면과 근접되게 연장되는 브러쉬 연장부(262), 상기 브러쉬 본체(261)와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브러쉬 본체(261)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하는 브러쉬 회전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중에 위치한 패류 양식채롱을 효율적으로 청소하기 위해서 브러쉬부(260)는 회전하는 브러쉬(263)가 전후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브러쉬(263)가 전후로 이동하는 것은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에 브러쉬(263)를 근접시키기 위한 것으로 브러쉬 연장부(262)를 통해서 브러쉬(263)는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에 밀접하게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하는 브러쉬(263)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하여 패류 양식채롱 청소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브러쉬부(260)는 내부에 2개의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제1 구동모터는 브러쉬(263)을 회전시키고, 브러쉬 본체(261)는 제2 구동모터를 통해 브러쉬 회전부(144)를 중심으로 상하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The brush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pray nozzle unit 250,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with high-pressure sea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unit 250. The brush unit 260 includes a plurality of brushes 263 and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robot housing 210. The brush unit 260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injection nozzle unit 250a and the second injection nozzle unit 250b. The brush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rush 263 located on the front, and the brush 263 is driven by a rotating motor built into the brush unit 260, and the rotation of the brush 263 produces shellfish farm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chalong can be removed. Figure 9(a) shows the brush unit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b) shows the brush unit 260 exte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c) shows the brush unit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d upward, and Figure 9(d) shows the brush unit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d downward. It shows appearance. 9(a) to 9(d), the brush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ush body 261 in which the brush 263 located on the front rotat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The brush body 261 has a brush extension portion 262 that extends close to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brush body 261, so that the brush body 261 reciprocat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It may include a rotating part 264. In order to efficiently clean the shellfish farming cage located underwater, the brush unit 260 allows the rotating brush 263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r up and down. The brush 263 moves back and forth to bring the brush 263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culture cage. The brush 263 can be brought closer to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culture cage through the brush extension 262.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cleaning shellfish farming can be increased by causing the rotating brush 263 to reciproc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brush unit 26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drive motors inside, the first drive motor rotates the brush 263, and the brush body 261 rotates the brush rotation unit 144 through the second drive motor. It can reciprocate up and down around the center.

본 발명의 자동개폐부(270)는 로봇 하우징(210)의 외측에 배치되어, 로봇 하우징(210)이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으로부터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로봇 하우징(210)를 자동으로 개폐한다. 로봇 하우징(210)은 제1 로봇 하우징(210a) 및 제2 로봇 하우징(210b)으로 분리되어 있고, 제1 로봇 하우징(210a)의 일단과 제2 로봇 하우징(210b)의 일단은 자동개폐부(270)와 연결되어 있다. 자동개폐부(270)는 로봇 하우징(210)의 개폐를 위해 유압장치를 구비한다. 유압장치(hydraulic system)는 유체의 압력에너지를 힘이나 동력과 같은 기계적 일로 변환시켜주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유압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압력을 발생시켜 유체인 오일을 압축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에서 압축된 오일의 압력, 유량, 흐름의 방향을 조절하는 밸브 및 상기 펌프에서 전달된 유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시켜 피스톤을 작동시켜 상기 제1 로봇 하우징(210a)과 제2 로봇 하우징(110b)을 개폐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자동개폐부(270)는 분사노즐부(250)와 브러쉬부(260)가 작동 상태일 때는 잠금 기능을 유지하며, 분사노즐부(250)와 브러쉬부(260)가 작동 중단의 상태일 때는 풀림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자동개폐부(270)의 개폐 제어는 제어부(800)의 인공지능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관리자는 필요한 경우 자동개폐부(270)를 수동으로 개폐 제어를 할 수 있다.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obot housing 210 and automatically opens and closes the robot housing 210 so that the robot housing 210 can be contact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ing shed. The robot housing 210 is separated into a first robot housing 210a and a second robot housing 210b, and one end of the first robot housing 210a and one end of the second robot housing 210b are provided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 is connected to.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is equipped with a hydraulic device to open and close the robot housing 210. A hydraulic system is a device that converts the pressure energy of a fluid into mechanical work such as force or power. The hydraul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that generates power, a pump that compresses oil as a fluid by generating pressure with the power of the motor, a valve that controls the pressure, flow rate, and direction of flow of the oil compressed in the pump, and the pump. It consists of an actuator that converts the fluid energy transmitted from the to mechanical energy and operates a piston to open and close the first robot housing (210a) and the second robot housing (110b).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unit 270 maintains the locking function when the spray nozzle unit 250 and the brush unit 260 are in an operating state, and has an unlocking function when the spray nozzle unit 250 and the brush unit 260 are in an operational state. can be maintained.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manager can manu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if necessary.

본 발명의 로봇 통신부는 로봇 본체부(200)와 관제서버(20)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한다. 수질 센서부(220)의 수질 측정 데이터, 수중 카메라부(220)의 영상 데이터는 로봇 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20)로 전송되고, 관제서버(20)의 제어 신호는 로봇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어 로봇 본체부(20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로봇 통신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관제서버(20)와 통신을 하는데, 여기서 무선 통신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ommunic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robot main body 200 and the control server 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data from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220 and the image data from the underwater camera unit 220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 through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erver 20 is received through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robot.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200.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server 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r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es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5G,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It may include the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wifi, Bluetooth, etc.

본 발명의 관제서버(20)는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로부터 전송된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이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서버(20)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제서버(20)는 서버 통신부(300), 데이터 저장부(400), 데이터베이스부(500), 데이터 학습부(600), 데이터 분석부(700), 제어부(800) 및 관리자 단말부(9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제서버(20)는 선상에 위치한 선박에 내부에 위치할 수 있거나, 파도나 진동으로부터 안전한 육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서버(20)는 통신장치와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을 제어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and analyz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and allows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to clean the fish farm. Figure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control ser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0, the control serv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00, a data storage unit 400, a database unit 500, a data learning unit 600, a data analysis unit 700, and a control unit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800) and a manager terminal unit 900. The control server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inside a ship located on board, or may be located on land safe from waves or vibration. The control serve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puter devic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device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program that controls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본 발명의 서버 통신부(300)는 로봇 본체부(200)로부터 전송되는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서버 통신부(300)는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에 전송하고, 서버 통신부(300)는 데이터 분석부(700)에서 분석된 데이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의 제어 상황을 모바일 디바이스(30)에 전송한다. 서버 통신부(300)는 무선통신에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 무선통신의 종류는 상기의 로봇 통신부의 무선통신의 종류와 동일한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robot main unit 200. In addition,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to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and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00 transmits the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700 to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The control status of the cleaning robot module 1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30.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00 transmits or receives data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부(400)는 서버 통신부(300)에서 전송된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400)는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원시 데이터뿐만 아니라, 하기의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생성한 데이터베이스도 저장하여, 본 발명의 패류 양식과 관련한 데이터 허브를 구성할 수 있다.The data storage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00.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400 stores not only raw data of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but also a database created in the database unit 500 below, and can form a data hub related to shellfish farm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데이터 베이스부(500)는 데이터 저장부(400)의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든다. 데이터 저장부(400)에 저장된 다항목의 수질 데이터, 수질 및 양식채롱의 영상 데이터, 양식채롱 내부의 패류의 밀도 및 크기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500)는 인공지능이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간별, 양식채롱별 등 여러 항목으로 분류하고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빅데이터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는 양식되는 패류, 패류 양식장에 관련된 방대한 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데, 이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는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 및 분석되는 빅데이터이다. The database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database by processing the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400 into a form that can be learn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database unit 500 stores multi-item water quality data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400, water quality and image data of the aquaculture shed, and data on the density and size of shellfish inside the aquaculture shed by time and form so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recognize them. It is classified into various items, such as by chaelong, and processed into a database. Figure 11 is a conceptual diagram of big data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large amount of data related to farmed shellfish and shellfish farms, and this massive database is big data that is learned and analyz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의 데이터 학습부(600)는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한다. 인공지능은 데이터베이스부(500)에서 가공한 데이터베이스 학습하게 되는데, 이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은 패류 양식장의 수질, 패류의 성장에 관한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게 된다.The data learning unit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he database created in the database unit 500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s from the database processed by the database unit 500, and through this learn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ccumulates massive data on the water quality of the shellfish farm and the growth of shellfish.

본 발명의 데이터 분석부(700)는 데이터 학습부(600)에서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된 내용을 기반으로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시기 및 수질의 위험도를 분석한다. 데이터 학습부(600)에서 학습된 내용에 의해 데이터 분석부(700)는 패류 양식장의 수질의 정도를 판단하고 수질이 패류의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이 준다고 판단하면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분석부는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주기를 판단하여 차후의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수중 카메라부(230)에서 수집된 패류 개체 밀도와 크기를 분석하여 패류 양식장의 상태 및 패류의 성장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data analysis unit 7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cleaning time and water quality risk of the shellfish farming shed based on the content learn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ata learning unit 600. Based on the content learned in the data learning unit 600, the data analysis unit 700 determines the degree of water quality in the shellfish farm, and if it determines that the water qualit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health of the shellfish, it can decide to clean the shellfish farm. . In addition, the data analysis unit can determine the cleaning cycl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determine the cleaning tim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status of the shellfish farm and the degree of growth of the shellfish can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density and size of shellfish collected by the underwater camera unit 230.

본 발명의 제어부(800)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700)에서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이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게 제어한다. 제어부(800)는 인공지능에 의해 압축펌프부, 크레인부(100) 및 로봇 본체부(200)의 작동 제어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에 의해 모든 작업이 제어되기 때문에 수동 작업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그렇지만, 관리자는 수동 작업이 필요할 때는 관리자 단말부(900)를 통해 직접 제어부(800)를 설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압축펌프부에 제어 신호를 보내 압축펌프부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800)의 인공지능은 크레인부(100)의 턴테이블(110), 제1 굴절붐(150) 및 제2 굴절붐(160)을 조정하여 로봇 본체부(200)가 수중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패류 양식채롱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800)는 자동개폐부(270)를 제어하여, 로봇 하우징(210)이 적절하게 열고 닫힐 수 있도록 한다. 로봇 하우징(210) 내측에는 물체 또는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센서가 패류 양식채롱을 인식하면 자동개폐부(270)가 작동되도록 제어부(800)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0)는 분사노즐부(250) 및 브러쉬부(260)의 작동, 회전 각도 등을 제어하게 수중에 위치한 패류 양식채롱이 깨끗하게 청소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800)는 인공지능에 의해 패류 양식채롱에 붙은 이물질의 밀도를 측정하여 청소의 강도를 결정하여 분사노즐부(250)의 수압, 분사노즐부(250)의 회전 각도, 브러쉬부(260)의 회전 속도, 브러쉬 연장부(262)의 길이, 브러쉬부(260)의 회전 각도, 분사노즐부(250) 및 브러쉬부(260)의 작동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tank based on the content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700. The control unit 80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ion pump unit, the crane unit 100, and the robot main unit 200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ince all operations are control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manual work is almost unnecessary. However, when manual work is required, the manager can directly set or adjust the control unit 800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unit 900.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ion pump unit by send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mpression pump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control unit 800 adjusts the turntable 110, the first articulated boom 150, and the second articulated boom 160 of the crane unit 100 so that the robot body 200 moves up and down in the water. Be sure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cages thoroughly.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so that the robot housing 210 can be opened and closed appropriately. A sensor that detects an object or movement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obot housing 210, and when the sensor recognizes a shellfish farming container, 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800 to operat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operation and rotation angle of the spray nozzle unit 250 and the brush unit 260, so that the shellfish culture cage located in the water can be cleaned. The control unit 800 determines the intensity of cleaning by measuring the density o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shellfish farming cag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termines the water pressure of the spray nozzle unit 250, the rotation angle of the spray nozzle unit 250, and the brush unit 260. The rotation speed, the length of the brush extension part 262, the rotation angle of the brush part 260, the operating time of the spray nozzle part 250 and the brush part 260, etc. can be controlled.

본 발명의 관리자 단말부(900)는 데이터 분석부(700)에서 분석된 데이터 및 제어부(800)에 의한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의 제어 상황을 관리자가 열람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부(900)를 통해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수질 데이터,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분석부(700)에서 분석된 데이터 및 제어부(800)의 제어 상황을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부(900)를 통해 패류 양식장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확인하고 패류의 양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부(900)를 통해 본 시스템에 필요한 지시를 하고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unit 9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anager to view the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700 and the control status of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by the control unit 800. The manager can check water quality data and video data coming in real time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unit 900, and can also check and control the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700 and the control status of the control unit 800. The manager can check all data related to the shellfish farm and check the status of shellfish farming through the manager terminal unit 900. The administrator can give necessary instructions to the system and change settings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unit 900.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30)는 관리자가 관제서버(20)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열람할 수 있게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관제서버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패류 양식장의 근처에 있지 않더라고 관제서버(20)에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0)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부(900)와 같은 환경으로 동일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30)는 전용앱이나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등일 수 있다. The mobile devic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n administrator to view data analyzed from the control server 20 from the outside. Figure 1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rol server and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2, even if the manager is not near the shellfish farm,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control server 20 is sent to the same environment as the manager terminal unit 900 through the manager's mobile device 30. You can check the same information. The mobile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martphone, tablet PC, laptop PC, etc., on which a dedicated app or program is install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은 하기의 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inafter, an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13 is a flowchart of an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six steps.

제1 단계(S10) : 크레인(100)에 연결된 로봇 본체부(200)의 자동개폐부(270)를 개폐하여 로봇 본체부(200)를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First step (S10): Opening and closing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of the robot main unit 200 connected to the crane 100 and seating the robot main unit 200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cage.

제2 단계(S20) : 수질 센서부(220)에서 패류 양식채롱 주변의 수질을 측정하고, 상기 수중 카메라부(230)에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을 촬영하여, 관제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Second step (S20):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220 measures the water quality around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the underwater camera unit 230 captures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server 20. step

제3 단계(S30) : 관제서버(20)에서 전송된 수질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Third step (S30):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cage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20.

제4 단계(S40) : 관제서버(20)에서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에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Fourth step (S40): A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cage from the control server 20 to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제5 단계(S50) : 로봇 본체부(200)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축펌프부에서 압축된 해수를 호스부(240)를 통해 공급받아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에 분사하며 브러싱을 행하는 단계Fifth step (S50): As the robot body unit 200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culture cage, compressed seawater is supplied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through the hose unit 240, and sprayed onto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cage to perform brushing. step

제6 단계(S60) : 로봇 본체부(200)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에 도달하면 자동개폐부(270)를 열어 로봇 본체부(200)를 패류 양식채롱으로부터 제거하고 해상에 위치한 선박으로 끌어올리는 단계Step 6 (S60): When the robot main body 200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open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to remove the robot body 200 from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lift it to a ship located at sea.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의 제1 단계(S10)는 크레인(100)에 연결된 로봇 본체부(200)의 자동개폐부(270)를 개폐하여 로봇 본체부(200)를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 상부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수질 센서부(220)와 수중 카메라(23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로봇 본체부(200)를 패류 양식채롱 상부에 안착을 시켜야 한다. 제어부(800)는 크레인부(100)를 작동시켜 크레인부(100)의 케이블에 연결된 로봇 본체부(200)를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에 안착시킨다.The first step (S10) of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and clos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section 270 of the robot body 200 connected to the crane 100 to open and close the robot body 200. This is the step of placing it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cage. In order to operate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220 and the underwater camera 230, the robot main unit 200 must be seated on the top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The control unit 800 operates the crane unit 100 to seat the robot main unit 200 connected to the cable of the crane unit 100 in the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shed.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의 제2 단계(S20)는 수질 센서부(220)에서 패류 양식채롱 주변의 수질을 측정하고, 상기 수중 카메라부(230)에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을 촬영하여, 관제서버(2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수질 센서부(200)는 양식채롱 주변의 수질을 다항목 수질 센서로 측정하고, 수중 카메라는 패류 양식채롱 주변 해수의 상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 상태, 패류 양식채롱 내부의 패류의 크기 및 밀도 촬영하여 로봇 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20)로 수질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In the second step (S20) of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quality around the shellfish farming shed is measured by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220, and the shellfish cultivation is performed by the underwater camera unit 230. This is the step of photograph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chapel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control server (20).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200 measures the water quality around the shellfish culture pond using a multi-item water quality sensor, and the underwater camera measures the state of the seawater around the shellfish culture pond, the state of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culture pond, and the size and density of shellfish inside the shellfish culture pond. The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ar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20 through the robot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의 제3 단계(S30)는 관제서버(20)에서 전송된 수질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관제서버(20)의 서버 통신부(300)를 통해 수신된 수질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400)에 저장되고,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 학습부(600)에 의해 학습되고 최종적으로는 데이터 분석부(700)에 의해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시기 및 수질의 위험도가 분석하여,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third step (S30) of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cage based on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20. . The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00 of the control server 20 ar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400,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learned by the data learning unit 600, and finally the data analysis unit. By (700), the cleaning tim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the risk of water quality can be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o proceed with cleaning the shellfish farming cage.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의 제4 단계(S40)는 관제서버(20)에서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10)에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진행 여부를 결정되면 제어부(800)는 압축펌프부, 크레인부(100) 및 로봇 본체부(2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The fourth step (S40) of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leaning the shellfish farming cage from the control server 20 to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10. It's a step. W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proceed with cleaning the shellfish farming shed, the control unit 8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mpression pump unit, the crane unit 100, and the robot main unit 200.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의 제5 단계(S50)는 로봇 본체부(200)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압축펌프부에서 압축된 해수를 호스부(240)를 통해 공급받아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에 분사하며 브러싱을 행하는 단계이다. 압축펌프부는 깨끗한 해수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호스부(240)를 통해 공급한다. 분사노즐부(250)에서는 고압의 해수를 분사하며 동시에 브러쉬부(260)는 브러싱을 실시하여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에 있는 이물질이 깨끗하게 제거되게 청소한다. 청소가 완료되면 로봇 본체부(200)를 양식채롱의 하부로 이동시켜 계속해서 청소를 실시한다.In the fifth step (S50) of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body unit 200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farming tank and pumps seawater compressed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into the hose unit 240. This is the step of spraying and brushing the shellfish in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tank. The compression pump unit compresses clean seawater at high pressure and supplies it through the hose unit 240. The spray nozzle unit 250 sprays high-pressure seawater, and at the same time, the brush unit 260 performs brushing to cleanly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cage. Once cleaning is completed, the robot main body 200 is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food storage and cleaning continues.

본 발명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의 제6 단계(S60)는 로봇 본체부(200)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에 도달하면 자동개폐부(270)를 열어 로봇 본체부(200)를 패류 양식채롱으로부터 제거하고 해상에 위치한 선박으로 끌어올리는 단계이다. 로봇 본체부(200)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에 도달하면 청소 작업이 완료된 것이다. 만약 청소 작업이 더 필요하다면, 로봇 본체부(200)을 패류 양식채롱의 상부 방향으로 올리면서 청소 작업을 반복할 수 있다. 로봇 본체부(200)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에 도달하여 청소 작업이 완료되면, 자동개폐부(270)를 열어 로봇 본체부(200)을 패류 양식채롱으로부터 분리하고 크레인부(100)를 작동시켜 로봇 본체부(200)를 선박으로 끌어올린다. 상기의 모든 과정은 모두 인공지능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관리자는 필요하다면 수동으로 전환하여 상기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In the sixth step (S60) of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obot main body 200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art 270 is opened and the robot main body 200 is opened. ) is removed from the shellfish farming shed and hoisted onto a ship located at sea. When the robot main body 200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the cleaning work is completed. If more cleaning work is needed, the cleaning work can be repeated while raising the robot main body 200 toward the top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When the robot main unit 200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the cleaning work is completed,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270 is opened to separate the robot main unit 200 from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the crane unit 100 is operated to lift the robot. The main body 200 is pulled up onto the ship. All of the above processes can be control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administrator can control the above processes by switching to manual if necessary.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bu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form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his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 :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
20 : 관제서버
30 : 모바일 디바이스
100 : 크레인부
110 : 턴테이블
120 : 제1 붐
130 : 제2 붐
140 : 제3 붐
150 : 제1 굴절붐
160 : 제2 굴절붐
170 : 절연붐
180 : 말단부
200 : 로봇 본체부
210 : 로봇 하우징
210a : 제1 로봇 하우징
210b : 제2 로봇 하우징
220 : 수질 센서부
230 : 수중 카메라부
240 : 호스부
240a : 제1 호스부
240b : 제2 호스부
250 : 분사노즐부
250a : 제1 분사노즐부
250b : 제2 분사노즐부
251 : 노즐 본체
252 : 노즐 회전부
260 : 브러쉬부
261 : 브러쉬 본체
262 : 브러쉬 연장부
263 : 브러쉬
264 : 브러쉬 회전부
270 : 자동개폐부
300 : 서버 통신부
400 : 데이터 저장부
500 : 데이터베이스부
600 : 데이터 학습부
700 : 데이터 분석부
800 : 제어부
900 : 관리자 단말부
N : 패류 양식채롱
S : 선박
10: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20: Control server
30: mobile device
100: Crane section
110: turntable
120: 1st boom
130: 2nd boom
140: 3rd boom
150: 1st articulated boom
160: 2nd articulated boom
170: Insulated boom
180: distal end
200: Robot main body
210: robot housing
210a: first robot housing
210b: second robot housing
220: Water quality sensor unit
230: Underwater camera unit
240: hose part
240a: first hose part
240b: second hose part
250: Spray nozzle part
250a: First injection nozzle part
250b: Second injection nozzle part
251: nozzle body
252: nozzle rotating part
260: Brush part
261: Brush body
262: Brush extension
263: brush
264: Brush rotating part
270: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Server communication department
400: data storage unit
500: Database section
600: Data learning unit
700: Data analysis department
800: Control unit
900: Administrator terminal
N: Shellfish farming shed
S: ship

Claims (5)

패류 양식장에 투입되어, 패류 및 패류 양식채롱을 모니터링하며,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로부터 전송된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하며,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이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게 하는 관제서버; 및
관리자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외부에서 열람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An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hat is installed in a shellfish farm, monitors shellfish and shellfish farming cages, and performs cleaning of shellfish farming cages;
a control server that stores and analyz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and causes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o clean the fish farm; and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comprising a mobile device that allows an administrator to externally view the data analyzed from the control ser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은,
해상에 위치한 선박에 배치되어 깨끗한 해수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펌프부;
해상에 위치한 선박에 배치되어, 로봇 본체부를 수중으로 투하하고, 로봇 본체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크레인부; 및
상기 크레인부와 연결되어, 상기 압축펌프부로부터 압축된 해수를 공급받아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본체부;를 포함하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In claim 1,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A compression pump unit placed on a ship located at sea to compress and supply clean seawater;
A crane unit disposed on a ship located at sea, dropping the robot main body into the water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robot main body; and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comprising a robot body unit connected to the crane unit, receiving compressed seawater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and performing cleaning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봇 본체부는, 로봇 하우징, 상기 로봇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 주변 해수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수질 센서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패류 양식채롱 주변 해수의 상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 상태, 패류 양식채롱 내부의 패류의 크기 및 밀도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수중 카메라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압축펌프부로부터 압축된 해수를 공급받는 호스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호스부의 압축된 해수를 패류 양식채롱의 표면에 분사하는 분사노즐부;
상기 분사노즐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분사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압축된 해수로 브러싱을 수행하여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쉬부;
상기 로봇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로봇 하우징이 패류 양식채롱으로부터 접촉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로봇 하우징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자동개폐부;
상기 로봇 본체부와 상기 관제서버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In claim 2,
The robot main unit includes a robot housing, a water quality sensor uni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obot housing, and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seawater around the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shed in real time;
An underwater camera uni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robot housing to capture, in real time, the state of seawater around the shellfish farm, the state of foreign matter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 and the size and density of shellfish inside the shellfish farm;
A hose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obot housing and receiving compressed seawater from the compression pump part;
A spray nozzle unit disposed inside the robot housing and spraying the compressed seawater of the hose unit onto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 brush unit disposed adjacent to the spray nozzle unit and performing brushing with compressed seawater sprayed from the spray nozzle uni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shell;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robot housing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robot housing so that the robot housing can be in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shellfish farming shed;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connects the robot main body and the contro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로봇 본체부로부터 전송되는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에서 전송된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수질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하는 데이터 학습부;
상기 데이터 학습부에서 인공지능에 의해 학습된 내용을 기반으로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시기 및 수질의 위험도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이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게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데이터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의 제어 상황을 관리자가 열람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
In claim 3,
The control server is,
a server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robot main unit;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a database unit that converts the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into a database;
a data learning unit that learns the database created in the database unit by artificial intelligence;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cleaning time and water quality risk of shellfish farming cages based on the content learn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ata learning unit;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tank based on th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and
An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comprising a manager terminal unit that allows the manager to view the data analyzed by the data analysis unit and the control status of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by the control unit.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의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에 연결된 로봇 본체부의 자동개폐부를 개폐하여 상기 로봇 본체부를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 상부에 안착시키는 제1 단계;
상기 수질 센서부에서 패류 양식채롱 주변의 수질을 측정하고, 상기 수중 카메라부에서 패류 양식채롱 표면의 이물질을 촬영하여,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제2 단계;
상기 관제서버에서 전송된 수질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 여부를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관제서버에서 상기 수중 클리닝 로봇모듈에 패류 양식채롱의 청소를 수행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제4 단계;
상기 로봇 본체부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압축펌프부의 압축된 해수를 상기 호스부를 통해 공급받아 수중의 패류 양식채롱에 분사하며 브러싱을 행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로봇 본체부가 패류 양식채롱의 하부에 도달하면 상기 자동개폐부를 열어 상기 로봇 본체부를 패류 양식채롱으로부터 제거하고 해상에 위치한 선박으로 끌어올리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기반의 수중 클리닝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수중 클리닝 방법.
In the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the AI-based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of any one of claims 1 to 4,
A first step of opening and closing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robot main body connected to the crane and seating the robot main part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water shellfish farming cage;
A second step of measuring the water quality around the shellfish farming cage by the water quality sensor unit, photograph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by the underwater camera unit, and transmitting the images to the control server;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shed based on the water quality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A fourth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erver to the underwater cleaning robot module to clean the shellfish farming cage;
A fifth step of receiving compressed seawater from the compression pump unit through the hose unit while moving the robot main body to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culture cage and spraying it on the underwater shellfish culture cage to perform brushing; and
When the robot main body reaches the lower part of the shellfish farming cage, a sixth step of opening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unit to remove the robot main body from the shellfish farming cage and hoisting it to a ship located at sea; AI-based underwater cleaning comprising a. Underwater cleaning method using a robotic system.
KR1020220077760A 2022-06-24 2022-06-24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 KR202400013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760A KR20240001363A (en) 2022-06-24 2022-06-24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760A KR20240001363A (en) 2022-06-24 2022-06-24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363A true KR20240001363A (en) 2024-01-03

Family

ID=8953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760A KR20240001363A (en) 2022-06-24 2022-06-24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363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814A (en) 2006-07-28 2008-01-31 조남혜 High pressure washer for seawater
KR20110028860A (en) 2009-09-14 2011-03-22 영덕군 Movable cleaning apparatus for fishing net
KR101539364B1 (en) 2013-05-20 2015-07-2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Cleaning apparatus for fishing tools
KR20210106636A (en)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인 Continuous Shellfish collec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814A (en) 2006-07-28 2008-01-31 조남혜 High pressure washer for seawater
KR20110028860A (en) 2009-09-14 2011-03-22 영덕군 Movable cleaning apparatus for fishing net
KR101539364B1 (en) 2013-05-20 2015-07-2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Cleaning apparatus for fishing tools
KR20210106636A (en) 2020-02-21 2021-08-31 주식회사 인 Continuous Shellfish collec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652095U (en) Novel multifunctional underwater robot
CN104627328B (en) Fishing ship of garbage on water
KR100723304B1 (en) Device for harvesting of and tending to shells and for cleaning of an associated shell collector in water
CN103907574A (en) Underwater precious marine product fishing and catching device
JP2016202094A (en) Automated mass production device of shell-fish software shell
US202303633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ultivation and harvesting of aquatic animals
CN104914903B (en) A kind of intelligent cage culture system and application method
KR101358547B1 (en) Underwater navigation platform
CN114009407B (en) Automatic catching device for deep water live fish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CN106719492A (en) A kind of pair of ship is worked continuously and moldeed depth sea shellfish collection system and its fishes method
US2023010014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grading, and/or harvesting aquatic animals
CN213306903U (en) Novel high-pressure airflow net cage self-cleaning device
CN203952177U (en) Sub sea treasure is adopted device for catching
CN112931318A (en) Intelligent aquaculture management system for ocean large yellow croakers with edge cloud coordination
CN109881653A (en) A kind of water surface floating biology cleaning plant and its method for cleaning
CN114342854A (en) Automatic underwater fish screening system
KR20240001363A (en)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water Cleaning Robot System And Cleaning Method by the Same
CN108887239A (en) A kind of pump suction type finishing device
WO1998058535A1 (en) Equipment for cleaning of net and cage
CN112945608A (en) Sediment capturing device for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and capturing method thereof
CN110144864A (en) A kind of garbage on water filter device and its working method
CN114982705B (en) Automatic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method for marine attachments on bulkhead of culture cabin
CN113661967A (en) Automatic sea cucumber catching robot
JP2009011969A (en) Shellfish sorting method
CN220607182U (en) Aquatic products processing cleaning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