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872A -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872A
KR20240000872A KR1020220077610A KR20220077610A KR20240000872A KR 20240000872 A KR20240000872 A KR 20240000872A KR 1020220077610 A KR1020220077610 A KR 1020220077610A KR 20220077610 A KR20220077610 A KR 20220077610A KR 20240000872 A KR20240000872 A KR 2024000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using
locking
locking member
join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모
Original Assignee
김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모 filed Critical 김덕모
Priority to KR102022007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872A/ko
Publication of KR2024000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는 한 쌍의 배관이 양단에 각각 끼워지는 관형의 하우징, 관형으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관, 삽입관의 관통공 내주면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1위치와 외주면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관 관통공에 설치되어 제1위치에서 배관의 홈부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볼부재, 삽입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삽입공 관통공의 외주면을 폐쇄하는 락킹위치와 개방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락킹부재 및 락킹부재를 상기 락킹위치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락킹부재가 락킹위치에 있는 경우 배관의 홈부에 삽입되어 있는 볼부재는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해제위치에서 볼부재는 배관의 홈부로부터 이탈되어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SMALL DIAMETER PIPE JOINT ASSEMBLY}
본 발명은 2개의 배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배관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소형 배관용 조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두 개의 스틸 또는 스테인레스 배관을 상호 연결할 때는 주로 용접 방식을 사용하였지만, 작업의 불편함으로 인하여 용접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배관 조인트(joint)가 개발되어 왔다. 더욱이 용접 방식은 배관의 일부 구간을 교체하는 등 유지, 보수의 관점에서는 매우 불편하기 때문에, 기계적 결합구조를 이용한 배관 이음이 사용되고 있다.
소형 배관 이음에서 최근 개발된 방식이 압착 방식이다. 압착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의 조인트 본체에 파이트를 끼워 넣고, 파이프의 외주면과 조인트의 내주면 사이에 스테인리스링과 고무링을 개재하여 압착하는 방식이다. 압착시 파이프가 오므라들면서 조인트와 결착된다. 용접 방식과 비교하면 훨씬 간단하게 배관 이음이 가능하지만, 압착 결합을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용설비가 필요하다. 또한 배관과 조인트가 전체 영역, 즉 고리형의 모든 지점에서 고르게 압착되어야 하지만, 일부분이 압착되지 않고 뜨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용설비가 마모되거나 하면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
압착 방식 전에 주로 사용되었던 커플링 방식에서는 반원형으로 생긴 한 쌍의 커플링으로 배관 이음부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감싸게 한 후, 한 쌍의 커플링을 상호 체결한다. 커플링 방식은 대형 배관에는 적합하지만, 가정용 소형 배관에는 흔히 말하는 '가성비'가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과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배관과 조인트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여 누수 걱정이 없는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는, 단부의 외주면에 오목한 고리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배관을 상호 결합시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배관이 양단에 각각 끼워지는 관형의 하우징; 관형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관통공 내주면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1위치와, 외주면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삽입관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배관의 홈부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볼부재; 상기 삽입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관형으로 형성되며,상기 삽입공 관통공의 외주면을 폐쇄하는 락킹위치와 개방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락킹부재; 및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락킹위치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락킹부재가 락킹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배관의 홈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볼부재는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볼부재는 상기 배관의 홈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락킹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볼부재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볼부재가 상기 배관의 홈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고리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이탈홈부가 마련되어,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가압면이 상기 볼부재 위에 배치되며,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이탈홈부가 상기 볼부재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가 상기 락킹부재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플랜지부를 눌러서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1위치로 탄성가압되어 있는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는 상기 배관의 삽입 깊이가 제한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걸림턱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상기 배관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과 배관 사이에 개재되며, 환형으로 두께가 얇은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단고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절단고리는 제1두께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제2두께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걸림턱의 반대편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두께보다 두꺼운 제3두께로 형성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관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배관의 단부는 상기 절단고리의 가압부를 눌러서 상기 절단부가 파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매우 간단하게 배관을 상호 연결 및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배관 이음이 매우 견고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절단고리를 활용하여 배관 시공 후 누수 등이 발생했을 때 시공과정에서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의 압착 방식의 배관 조인트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3은 배관과 결합전 초기상태, 도 4는 배관과 결합을 위한 준비상태, 도 5는 배관이 하우징에 삽입되는 중간 상태, 도 6은 배관이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관통공과 볼부재의 크기 비교를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절단고리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절단고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절단고리가 배관의 가압에 의하여 끊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배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가정용 수도 배관 등 소형 배관에 주로 사용되지만, 반드시 소형 배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의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3은 배관과 결합전 초기상태, 도 4는 배관과 결합을 위한 준비상태, 도 5는 배관이 하우징에 삽입되는 중간 상태, 도 6은 배관이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100, 이하 '배관 조인트'라 함)에 의하여 연결되는 배관(1,2)의 단부 외주면에는 고리형 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관의 후단에는 조인트에 삽입되는 정도를 안내하기 위한 경계선이 표시될 수 있다. 배관은 직관, 곡관, T형관 등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규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조인트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0), 삽입관(20), 락킹부재(30) 및 스프링(4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의 관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는 배관(1,2)이 각각 끼워져 연결된다. 하우징(10)의 중앙부 양측에는 배관(1,2)이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도록 단차지게 걸림턱(11)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양단에는 후술할 삽입관(20) 및 락킹부재(30)가 설치되는 장착공간부(12)가 마련되며, 장착공간부의 내경은 삽입관 및 락킹부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삽입관(20)도 중공의 관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측 장착공간부(1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삽입관(20)의 일단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고리형의 플랜지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삽입관(2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21)이 마련된다. 대략 60°각도 간격으로 6개 또는 45°각도 간격으로 8개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은 삽입관(2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관통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관통공(21)의 직경이다. 도 7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20)의 관통공(21)은 대략 항아리 형태로, 관통공 중앙부 쪽의 직경(f)이 내주면과 외주면 쪽의 직경(d)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뒤에 설명하겠지만, 볼부재(29)의 직경(g)은 관통공 중앙부의 직경(f) 보다는 작지만 내주면 및 외주면 쪽의 직경(d)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삽입관(20)의 복수의 관통공(21)에는 구형의 볼부재(29)가 안착된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볼부재(29)의 직경(g)이 관통공(21)의 중앙부 직경(f) 보다는 작아서 관통공(21) 내에 삽입될 수 있지만, 관통공(21)의 내주면 및 외주면 쪽 직경(d) 보다는 커서 관통공(21)으로부터 이탈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부재(29)는 관통공 내에서 유격이 있게 설치되어 이동가능하므로 관통공의 내주면과 외주면 쪽으로 돌출될 수는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볼부재(29)가 관통공(21)의 내주면 쪽으로 돌출된 위치를 제1위치라하며, 도 5와 같이 외주면 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제2위치라고 한다. 볼부재(29)가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 위치 이동하는 것은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락킹부재(30)도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 내에서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락킹부재(30)의 선단부(31) 내경은 삽입관(2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고, 선단부(32)의 외경은 하우징(10)의 장착공간부(12)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삽입관(20)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선단부(31)의 앞쪽에는 가압면(32)이 형성되고, 가압면(32)의 뒤쪽에는 이탈홈부(33)가 형성된다. 선단부(31)의 후단으로는 연결부(34)가 하우징(10)의 외측까지 연장 형성된다. 연결부(34)의 끝에는 플랜지부(35)가 마련된다. 플랜지부(35)의 직경은 하우징(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플랜지부(35)를 가압하여 락킹부재(30)를 하우징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스프링(40)은 락킹부재(30)와 삽입관(20)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락킹부재(30)의 선단부와 삽입관(20)의 플랜지부(22) 사이에 지지된다. 삽입관(20)은 하우징(10) 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고, 락킹부재(30)는 배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바, 스프링(40)은 락킹부재(30)를 하우징(10)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락킹부재(30)를 누르면 락킹부재(30)가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40)이 압축된다.
플랜지부(21)와 장착공간부(12)의 내벽(13) 사이에는 고리형의 오링(50)과 간격부재(60)가 설치된다. 본 예에서 오링(50)은 2개 마련되어 배관(1,2)을 밀폐한다. 즉 배관(1,2)이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배관(1,2)의 외주면과 하우징(10)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오링을 2개 설치하여 틈새를 밀폐한다. 오링(50) 사이에는 간격부재(60)를 설치하여 장착공간부(12)가 여백 없이 충전되도록 하여, 장착공간부(12) 내에서 삽입관(20)이 하우징(10)의 중앙쪽으로 밀리지 않고 위치고정되도록 한다. 다만, 간격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오링의 개수를 늘려서 간격부재를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의 규격에 따라서 오링과 간격부재의 설치 개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배관 조인트(100)에 배관(1,2)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배관(1)과 조인트 어셈블리(100)를 연결하기 전의 상태이다. 조인트 어셈블리(100)의 스프링(40)은 락킹부재(30)를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며, 락킹부재(30)의 선단부 가압면(32)은 관통공(21) 위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면(31)이 관통공(21) 외주면 쪽을 막고 있으므로, 볼부재(29)는 관통공(21)의 내주면 쪽으로 돌출된 위치, 즉 제1위치에 놓여져 있다. 락킹부재(30)의 가압면이 관통공(21) 위에 놓여진 상태를 락킹부재가 락킹위치에 있다고 명명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락킹부재(30)의 플랜지부(35)를 누르면, 락킹부재(30)는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도 4와 같이 락킹부재(30)의 이탈홈부(33)가 관통공(21) 위에 놓이게 된다. 락킹부재(30)가 이렇게 눌려 있는 상태를 해제위치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이후 배관(1)을 하우징(10) 내측으로 삽입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이 볼부재(29)를 밀어 올려서 볼부재(29)는 락킹부재(30)의 이탈홈부(33) 내로 삽입된다. 만약 락킹부재(30)가 락킹위치에 있으면 가압면이 관통공(21)을 막고 있으므로 볼부재(29)가 배관(1) 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는 바 배관을 하우징 내에 삽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배관을 하우징에 삽입할 때에는 사용자는 락킹부재를 눌러서 해제위치로 이동시켜야 한다.
배관(10)을 하우징(10)의 걸림턱(11)까지 삽입하면, 배관(10)의 홈부(13)가 관통공(21)의 하부에 놓이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플런저(35)를 놓으면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락킹부재(30)는 다시 락킹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가압면(32)이 관통공(21) 위에 놓이게 된다. 볼부재(29)는 배관(1)의 홈부(3)에 삽입되면서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6의 상태에서는 복수의 볼부재(29)가 배관의 홈부(3)와 삽입관(20)의 관통공(21)에 걸쳐 있고, 락킹부재에 의하여 볼부재(29)가 배관의 홈부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즉, 볼부재(29)가 도어락처럼 배관과 하우징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락킹부재를 누른 상태에서 배관을 하우징의 걸림턱까지 깊게 삽입하고 락킹부재를 놓으면 배관과 조인트 어셈블리가 결합된다. 위의 방식으로 조인트 어셈블리의 양단에 배관을 끼워 넣기만 하면 매우 간단하게 관이음을 할 수 있다. 반대로 유지보수를 위해 관과 조인트 어셈블리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한 과정을 반대로 하면 된다. 즉 락킹부재를 다시 누른 상태에서 배관을 빼내기만 하면 간단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이렇게 조인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면 배관을 매우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도, 배관이 매우 견고하게 하우징에 결합된다. 6~8개의 볼부재가 배관과 하우징의 양측에 함께 걸려 있기 때문에 락킹부재를 누르지 않고서는 배관과 조인트 어셈블리를 억지로 분리할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배관(10)이 조인트 어셈블리(100)의 하우징(10) 내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를 마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어셈블리(100)를 사용하지만 배관 결합이 잘되지 않았다는 것은 배관을 하우징의 걸림턱(11) 근처까지 완전히 삽입시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준점까지 배관을 하우징에 삽입하지 않으면 볼부재(29)가 배관의 홈부에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배관과 하우징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관을 설치한 후 누수 등이 발견되었을 때, 설치 시공상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한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절단고리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절단고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0은 절단고리가 배관의 가압에 의하여 끊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절단고리를 구비하는 점에서 앞에서 설명한 예와 구별된다. 또한 절단고리가 하우징의 걸림턱 쪽에 추가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배관(1)에서 홈부(3)가 형성된 위치가 절단고리의 두께만큼 뒤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외의 다른 모든 구성요소는 앞의 예와 동일한 바, 절단고리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절단고리(70)는 고리형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의 내측에서 걸림턱(11)에 접촉하게 배치된다. 배관(1)이 하우징(10)에 삽입시키면 배관(1)의 선단이 절단고리(70)를 걸림턱(11) 쪽으로 가압하게 되는 구조이다.
절단고리(70)는 제1두께로 형성되는 본체부(71)를 구비하며, 본 예에서는 원주방향을 따라 4개의 본체부(71)가 배치된다. 본체부(71)들 사이에는 절단부(72)와 가압부(73)가 형성된다. 절단부(72)는 제1두께보다 훨씬 얇은 제2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단부(72)는 절단고리(70)의 선단부가 아니라 후단부 쪽, 즉 걸림턱과 배관 사이에서 배관쪽에 배치된다. 가압부(73)는 절단부(772)로부터 연장되는데, 걸림턱(11)의 반대편쪽 즉 배관쪽으로 돌출된다. 가압부(73)의 두께는 제2두께보다 더 두꺼운 제3두께로 형성된다.
도 10의 (a)는 배관(1)이 하우징에 삽입되면서 절단고리(70)에 접촉된 상태이며, (b)는 배관(1)이 더 진행하여 절단고리(70)를 가압하면서 절단부(72)를 끊고 기준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이다.
도 10의 (a)상태에서는 배관(1)이 하우징에 삽입되면서 절단고리(70)에 접촉만된 상태이다. 절단고리(70)에서 배관(1)쪽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가압부(73)와 배관(1)의 선단이 상호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배관(1)을 더 밀어 넣으면 두껍게 형성된 가압부(73)가 후단으로 밀리면서 얇은 두께의 절단부(72)가 끊어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배관(1)의 선단은 절단고리(70)의 본체부(71)와 접촉된 상태가 된다. 배관(1)이 절단고리(70)의 본체부(71)와 접촉되는 지점이 기준지점이며, 배관이 기준지점까지 삽입되면 조인트 어셈블리(100)의 볼부재(29)가 배관의 홈부(3)에 삽입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고리를 설치해 놓으면 추후 누수 등이 발생했을 때, 배관과 조인트 어셈블리를 분리해 보면, 절단고리가 끊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절단고리가 끊어져 있으면 배관을 조인트 어셈블리의 기준지점까지 완전히 삽입한 것이므로 누수 등의 문제가 시공상의 문제인지 기계적 결함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매우 간단하게 배관을 연결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결합력을 가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인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10 ... 하우징 20 ... 삽입관
29 ... 볼부재 30 ... 락킹부재
40 ... 스프링, 50 ... 오링
60 ... 간격부재 70 ... 절단고리

Claims (5)

  1. 단부의 외주면에 오목한 고리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배관을 상호 결합시켜 연결하기 위한 배관 조인트로서,
    상기 한 쌍의 배관이 양단에 각각 끼워지는 관형의 하우징;
    관형으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관통공 내주면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1위치와, 외주면에 대하여 돌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상기 삽입관 관통공에 설치되어,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배관의 홈부에 삽입 가능한 복수의 볼부재;
    상기 삽입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 관통공의 외주면을 폐쇄하는 락킹위치와 개방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락킹부재; 및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락킹위치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락킹부재가 락킹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배관의 홈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볼부재는 상기 홈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볼부재는 상기 배관의 홈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덮어서 폐쇄하는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의 후단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볼부재가 상기 배관의 홈부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고리형의 공간을 제공하는 이탈홈부가 마련되어,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락킹위치에서 상기 가압면이 상기 볼부재 위에 배치되며,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이탈홈부가 상기 볼부재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부가 상기 락킹부재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플랜지부를 눌러서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락킹위치로 탄성가압되어 있는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해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는 상기 배관의 삽입 깊이가 제한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걸림턱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상기 배관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과 배관 사이에 개재되며, 환형으로 두께가 얇은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절단고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고리는
    제1두께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제2두께를 가지며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절단부와, 상기 절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걸림턱의 반대편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두께보다 두꺼운 제3두께로 형성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관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면 상기 배관의 단부는 상기 절단고리의 가압부를 눌러서 상기 절단부가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KR1020220077610A 2022-06-24 2022-06-24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KR20240000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610A KR20240000872A (ko) 2022-06-24 2022-06-24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610A KR20240000872A (ko) 2022-06-24 2022-06-24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872A true KR20240000872A (ko) 2024-01-03

Family

ID=8953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610A KR20240000872A (ko) 2022-06-24 2022-06-24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8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0285A (en) Articulated ball connector for use with pipeline
US5368070A (en) Radial seal fluid couplers
JPS6143596B2 (ko)
RU2536461C2 (ru) Муфта с активируемым уплотнением
CA3061531C (en) Quick-insertion coupling joint
US3425717A (en) Tube coupling assembly
JP4263454B2 (ja) 差込式管継手
EP1748242A1 (en) Clamping ring for a high tensile strength coupling
SU948298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единени труб
KR20240000872A (ko) 소형 배관 조인트 어셈블리
GB2391916A (en) An undersea hydraulic coupling member with seal retainer
JP2010174905A (ja) シール材
JP5455382B2 (ja) 管継手およびシール材
US12000755B2 (en) Watertight testing device for a pipe joint part
JP2007092887A (ja) マルチコネクタ
RU2644603C2 (ru) Жидкостная муфта
TWM587240U (zh) 通用型按壓式快速接頭
JPS62237193A (ja) 管接合装置
CN212226304U (zh) 一种污水管道连接装置
JP2011033056A (ja) 管継手
JP3386406B2 (ja) 管継手
JP7017441B2 (ja) 管継手
CN108662327B (zh) 一种软管快速锁紧密封装置
JP2020101449A (ja) 管継手の水圧試験装置及び水圧試験方法
JPH10122465A (ja) 管継手の耐震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