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784U - 음료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음료 디스펜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0784U KR20240000784U KR2020230001083U KR20230001083U KR20240000784U KR 20240000784 U KR20240000784 U KR 20240000784U KR 2020230001083 U KR2020230001083 U KR 2020230001083U KR 20230001083 U KR20230001083 U KR 20230001083U KR 20240000784 U KR20240000784 U KR 2024000078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xing flow
- beverage dispenser
- hole
- tank
- receiving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8 laser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CXJVPUVTGWSNB-UHFFFAOYSA-N nitroge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N]=O JCXJVPUVTGWS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 B01F23/236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specially adapted for aerating or carbonating beverages for aerating or carbonating within receptacles or tanks, e.g. distribution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2—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 B01F23/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 B01F23/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using flow-mixing means for introducing the gases, e.g. baffles by circulating the flow in guiding constructions or conduits being at least partially immersed in the liquid, e.g. in a closed circu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20—Jet mixers, i.e. mixers using high-speed fluid streams
- B01F25/23—Mixing by intersecting j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4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neumatic pressure, overpressure, gas or air pressure in a closed receptacle or circuit syste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1—Carbonating by injecting CO2 in the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57—Carbonators
- B67D1/0069—Details
- B67D1/0073—Carbonating by spraying the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14—Mixing of ingredients for non-alcoholic beverages; Dissolving sugar in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3—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음료 디스펜서를 개시하며,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탱크, 밸브 노즐, 혼합 유동 부재 및 혼합 유동캡을 포함하며, 탱크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가스 주입 홀을 구비하고; 밸브 노즐은 탱크의 하부에 구비되며; 혼합 유동부재는 혼합 유동부, 제1 튜브부 및 제2 튜브부를 포함하며; 혼합 유동부와 제1 튜브부는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혼합 유동부에는 개구부를 갖는 혼합 유동 챔버가 구비되며, 제1 튜브부의 상단은 혼합 유동 챔버와 연통되고, 제1 튜브부의 하부에는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액체 유입구가 구비되며, 제2 튜브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제2 튜브부의 상단은 혼합 유동 챔버와 연통되고, 제2 튜브부의 하부에는 밸브 노즐과 연통되는 액체 유출구가 구비되며; 혼합 유동캡은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혼합 유동부에 연결되어 개구부를 커버하며, 혼합 유동캡에는 수용공간과 혼합 유동 챔버를 연통시키는 가스 유입 홀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는 단면적이 다른 가스 유입 홀의 혼합 유동캡을 교체함으로써 가스 주입량과 혼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음료 기구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료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음료 디스펜서와 같은 음료와 가스를 혼합하는 종래의 혼합 장치는 일반적으로 가스와 액체를 용량이 비교적 큰 하나의 혼합 용기에 직접 주입하고, 비교적 높은 가스 압력을 이용하여 가스를 음료에 주입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가스와 음료의 혼합 효과가 좋지 않다. 또한, 일부 혼합 장치는 가스와 음료의 유동성을 이용하여 가스와 음료의 접촉을 증가시켜 가스를 음료에 혼합시키지만, 종래의 가스 유동 방식의 혼합 장치는 내부에 많은 부품이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장치의 전체 크기가 비교적 커서 설치가 불편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안의 내용 부분에 간단한 형식의 일련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는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 부분에서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본 출원의 [고안의 내용] 부분은 보호를 청구하는 기술방안의 주요 특징 및 필수적인 기술적 특징을 한정하려는 의미는 결코 없으며, 보호를 청구하는 기술방안의 보호 범위를 확정하고자 하는 의미는 더욱 아니다.
위에 언급한 문제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하며,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가스 주입 홀을 구비하는 탱크;
상기 탱크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밸브 노즐; 및
혼합 유동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유동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갖는 혼합 유동 챔버를 구비하는 혼합 유동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단은 상기 혼합 유동 챔버와 연통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액체 유입구가 구비되는 제1 튜브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단은 상기 혼합 유동 챔버와 연통되고, 하부에는 상기 노즐과 연통되는 액체 유출구가 구비되는 제2 튜브부; 및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상기 혼합 유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며,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혼합 유동 챔버를 연통시키는 가스 유입 홀이 구비되는 혼합 유동캡; 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음료를 따를 때 탱크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고, 탱크의 음료와 가스는 혼합 유동부의 혼합 유동 챔버에서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어, 가스가 혼합된 음료를 따를 수 있고, 이 조작 과정은 간단하며; 또한, 탈착 가능한 혼합 유동캡을 설치하여 단면적이 다른 가스 유입 홀을 갖는 혼합 유동캡을 교체함으로써 가스주입량 및 가스 혼합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음료 디스펜서의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세척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스 유입 홀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 유입구의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혼합 유동캡은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혼합 유동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혼합 유동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유입 홀은 상기 차단부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단부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차단부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튜브부와 상기 제2 튜브부는 나란히 모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튜브부와 상기 제2 튜브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혼합 유동부와 일체로 성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혼합 유동부는 상기 제1 튜브부와 연통되는 제1 홀 및 상기 제2 튜브부와 연통되는 제2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튜브부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2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튜브부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 노즐은 상기 탱크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노즐은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에 구비되는 밸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본체의 하단에는 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 코어에는 복수의 제트 홀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트 홀은 각각 상기 토출구 및 상기 액체 유출구와 연통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밸브 코어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모두 상기 제3 연장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면은 상기 밸브 본체의 내표면과 접촉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3 연장부의 외주면은 모두 상기 밸브 본체의 내표면과 간극이 있고, 상기 복수의 제트 홀은 상기 제1 연장부에 구비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탱크 본체의 하부에는 장착부가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2 튜브부의 하단은 상기 장착부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상단은 상기 장착부의 외측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의 중심에는 흐름 제한 홀이 구비되며, 상기 흐름 제한 홀은 각각 상기 액체 유출구 및 상기 제트 홀과 연통되며, 상기 흐름 제한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튜브부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또는,
상기 제2 튜브부의 하단은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며 상기 밸브 본체에 진입하도록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탱크는 상단 개구부를 갖는 탱크 본체 및 상기 상단 개구를 덮는 커버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주입 홀은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 본체의 외표면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본체에는 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 본체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회전하여 상기 요홈에 진입하고 상기 커버 본체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제1 개스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개스킷은 상기 탱크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사이에 끼임 설치되며, 또는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제2 개스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개스킷은 개구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혼합 유동부와 상기 혼합 유동캡 사이에 끼임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탱크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중 하나에는 자성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자기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자기 센서를 통해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상기 커버 본체가 상기 탱크 본체에 대해 잘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본 출원의 아래 첨부 도면은 여기에서 본 출원의 일부분으로서 본 출원을 이해하는데 사용된다. 첨부 도면에서 나타내는 본 발출원의 실시 형태 및 그 설명은 본 출원의 원리를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여기서 브라켓 및 체결부재는 제외되었다.
도 3은 도 2의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는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여기서 탱크 본체, 커버 본체, 압력 센서 등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커버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음료 디스펜서의 밸브 본체의 밸브 코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여기서 브라켓 및 체결부재는 제외되었다.
도 3은 도 2의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는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다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여기서 탱크 본체, 커버 본체, 압력 센서 등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5의 커버 본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음료 디스펜서의 밸브 본체의 밸브 코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의 부분 구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본 출원에 대한 보다 철저한 이해를 위해 다양한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본 출원은 하나 또는 복수의 디테일이 없더라도 실시에 이를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타 실시예에서, 본 출원과의 혼돈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본 분야에서 공지된 일부 기술특징은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아래의 설명에서 상세한 설명을 제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 형태의 실시는 본 분야의 기술자가 잘 알고 있는 특정 디테일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본 출원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와 같지만,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 이외에도, 본 출원은 기타 실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뿐, 본 출원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단수 형식은 앞뒤 문장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복수 형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하다"를 사용할 경우, 이는 상술한 특징, 완전체,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조립체가 존재함을 명확히 나타내는 것이며,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특징, 완전체, 단계, 동작, 요소, 조립체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추가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인용되는 "제1" 및 "제2"와 같은 서수는 특정 순서와 같은 다른 의미 없이 단지 식별자일 뿐이다. 또한, 예를 들어, 용어 "제1 부재” 자체는 "제2 부재"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용어 "제2 부재" 자체는 "제1 부재"의 존재를 암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 "하", "전", "후", "좌", "우", "내", "외" 및 유사한 표현은 설명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부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와 같은 실시 형태들은 다양한 형식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는 본 출원이 더욱 철저하고 완벽하게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실시 형태의 기술사상이 본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게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 형태는 가스와 음료를 효과적으로 혼합할 수 있는 음료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혼합 가스는 식품 등급의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이들의 혼합 가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혼합되는 음료는 커피, 차, 유제품 및 주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직 방향", "상측", "하측", "상부", "하부" 등과 같이 음료 디스펜서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방향 용어는 수직 상태에 있는 음료 디스펜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음료 디스펜서는 수직 상태로 배치 및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100)는 주로 탱크(110), 밸브 노즐(120), 혼합 유동부재(130) 및 혼합 유동캡(140)을 포함한다.
탱크(110)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15) 및 수용공간(115)과 연통되는 가스 주입 홀(118)을 수용한다. 가스 주입 홀(118)은 탱크(110)에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수용공간(115)을 가압한다. 밸브 노즐(120)은 탱크(1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음료를 더 혼합하고 가스 혼합 음료를 토출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탱크(110)는 상단 개구부를 갖는 탱크 본체(111)와, 상기 상단 개구부를 덮는 커버 본체(112)를 포함한다. 탱크 본체(111)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원기둥 형상을 나타낸다. 커버 본체(112)는 탱크 본체(111)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가스 주입 홀(118)은 커버 본체(112)에 구비되며, 커버 본체(112)를 열고 탱크(110)에 음료를 주입하고, 밸브 노즐(120)은 탱크 본체(111)의 바닥에 구비된다. 가스 주입 홀(118)은 상류의 가스 소스 및 밸브와 연결되어 음료를 구동하고 혼합 유동을 위해 가스를 공급하는 동시에 분배 후 수용공간(115)의 내부 압력을 방출하는 데 사용된다. 가스는 질소,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 및 이산화탄소의 혼합 가스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 본체(111)의 외표면에는 돌출부(113)가 구비되고, 커버 본체(112)에는 요홈(114)이 구비되며, 탱크 본체(111)는 돌출부(113)가 회전함에 따라 요홈(114)에 진입하여 커버 본체(112)에 연결되며, 따라서, 탱크 본체(111)와 커버 본체(112)사이의 장착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체결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돌출부(113)와 요홈(114)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하나를 초과하고, 탱크 본체(111)와 커버 본체(112)사이의 연결이 비교적 견고하도록 돌출부(113)와 요홈(114)의 위치는 서로 대응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탱크 본체(111)에는 자성 부재(170)가 구비되며(도 5를 참조), 커버 본체(112)에는 자기 센서(180)가 구비되며(도 2를 참조), 자기 센서(180)을 이용하여 자성 부품(170)의 자장을 검출하여 커버 본체(112)가 탱크 몸체(111)에 대응되게 잘 설치되었는지 판단하며, 커버 본체(112)가 제자리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후속 공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자기 센서(180)의 개수는 하나일 수 있고, 자성 부재(170)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이며, 예를 들어 자성 부재(170)의 개수는 돌출부(113)의 개수와 동일하다. 필요에 따라, 자성 부재(170)는 커버 본체(112)에 구비될 수 있고, 자기 센서(180)는 탱크 본체(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자기 센서(180)의 개수는 돌출부(113)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112)에는 수용공간(115)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90)가 더 구비되며, 저압 경고, 가스 주입 압력 제어, 비상 정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커버 본체(112)의 중심 위치에는 분무기(119)가 더 구비되고, 분무기(119)는 상류의 입수관 및 밸브와 연결된다. 분무기(119)에는 수용공간(115)과 연통되는 복수의 분수홀(193)이 구비되며, 음료수 받기가 완성된 후, 분무기(119)를 통해 탱크 본체(111)를 세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수홀(193)의 개수는 4개 내지 6개이며, 예를 들어 4개, 5개 또는 6개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분수홀(193)의 개수는 4개 미만 또는 6개 초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개 또는 7개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디스펜서(100)는 제1 개스킷(150)을 더 포함하며, 제1 개스킷(150)은 환형 개스킷으로 구성되며 탱크 본체(1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탱크 본체(111) 및 커버 본체(112)사이에 끼임 장착되어 탱크 본체(111) 및 커버 본체(112)사이의 간극에 대해 밀봉을 하여 수용공간(115)에서의 가스 또는 액체 누출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유동부재(130)는 혼합 유동부(131), 제1 튜브부(132) 및 제2 튜브부(133)를 포함한다. 혼합 유동부(131)와 제1 튜브부(132)는 모두 수용공간(115)에 구비되고, 제2 튜브부(13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공간(115)에 구비된다. 혼합 유동부(131)에는 개구부(139)를 갖는 혼합 유동 챔버(138)가 구비된다. 제1 튜브부(132)의 상단은 혼합 유동 챔버(138)와 연통되고, 제1 튜브부(132)의 하부에는 수용공간(115)과 연통되는 액체 유입구(134)가 구비되어 액체 유입구(134)와 탱크(110)의 탱크 본체(111)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 액체 유입구(134)는 아래로 향하고 탱크(110)의 탱크 본체(111) 하부에 위치하며, 따라서 탱크(110)의 음료를 가능한 한 모두 토출할 수 있다. 제2 튜브부(133)의 상단은 혼합 유동 챔버(138)와 연통되고, 제2 튜브부(133)의 하부에는 액체 유출구(135)가 구비되며, 액체 유출구(135)는 밸브 노즐(120)과 연통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튜브부(132)와 제2 튜브부(133)는 나란히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튜브부(132)와 제2 튜브부(133) 중 적어도 하나는 혼합 유동부(131)와 일체로 성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튜브부(132)와 제2 튜브부(133)는 혼합 유동부(131)와 일체로 성형되어 가공이 용이하고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혼합 유동부(131)는 제1 튜브부(132)와 연통되는 제1 홀(136)과 제2 튜브부(133)와 연통되는 제2 홀(137)을 갖는다. 제1 홀(136)과 제2 홀(137)은 모두 관통홀로 구성된다. 제1 홀(136)의 단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제1 튜브부(132)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고, 제2 홀(137)의 단면적은 제2 튜브부(133)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홀(136) 및 제2 홀(137)은 원형 관통홀로 구성되고, 제1 튜브부(132) 및 제2 튜브부(133)는 모두 원형의 튜브형 구조이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1 홀(136)의 내경은 제1 튜브부(132)의 내경보다 작고 제2 홀(137)의 내경은 제2 튜브부(133)의 내경보다 작다.
도 3 및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혼합 유동캡(140)은 혼합 유동 챔버(138)의 개구부(139)에서 분리 가능하게 혼합 유동부(131)에 연결되어 개구부(139)를 커버한다. 혼합 유동캡(140)에는 탱크(110)의 수용 공간과 혼합 유동부(131)를 연통시키는 가스 유입 홀(143)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스와 음료의 혼합비율은 단면적이 다른 가스 유입 홀(143)의 혼합 유동캡(140)을 교체하는 것으로 조절할 수 있어 음료 내 가스 주력 정도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스 유입 홀(143)의 단면적은 액체 유입구(134)의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다. 혼합 유동부(131)는 탱크(110)의 탱크 본체(111)의 상측에 위치하고, 탱크(110)에서 음료의 가장 높은 액위는 가스 유입 홀(143)의 하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혼합 유동부(131)의 혼합 유동 챔버(138)에서 가스의 유속은 탱크(110)의 수용공간(115)(구체적으로 수용공간(115)중의 가스)과 혼합 유동 챔버(138)의 압력차 및 가스 유입 홀(143)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음료와 가스의 비율은 각각의 압력과 각각의 유량의 동적 균형에 따라 달라진다. 선택적으로, 가스 유입 홀(143)은 원형 관통홀이고, 가스 유입 홀(143)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5mm 내지 0.5mm이며, 예를 들어 0.05mm, 0.1mm, 0.2mm, 0.3mm, 0.4mm 또는 0.5mm일 수 있으며; 액체 유입구(134)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12mm이고, 예를 들어 4mm, 6mm, 8mm, 10mm 또는 12mm일 수 있다. 작업자의 식별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가스 유입 홀(143)의 혼합 유동캡(140)은 레이저 인쇄 방식으로 식별될 수 있다.
탱크(110)에 가스를 주입한 후, 탱크(110)의 수용공간(115)의 가스 압력은 혼합 유동부재(130)의 압력보다 크며, 따라서 가스는 음료가 액체 유입구(134)를 통해 제1 튜브부(132)에 진입하도록 추진하며, 가스는 혼합 유동캡(140)의 가스 유입 홀(143)을 통해 혼합 유동 챔버(138)에 진입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혼합 유동부재(130)가 액체 유출구(135)를 통해 외부 환경과 연통될 때(즉, 음료 디스펜서가 토출 대기 중이거나 가스 혼합 음료를 토출하는 상태일 때), 탱크(110)의 수용공간(115)의 가스 압력은 유체 튜브의 압력보다 크다. 음료와 가스는 혼합 유동 챔버(138)에서 혼합되어 가스 혼합 음료를 형성할 수 있다. 가스 혼합 음료는 액체 유출구(135), 밸브 노즐(1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탱크(11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유동캡(140)은 차단부(141) 및 차단부(141)에 연결되는 연결부(142)를 포함한다. 차단부(141)는 혼합 유동 챔버(138)에 구비되어 개구부(139)를 차단한다. 연결부(142)는 혼합 유동캡(140)의 편리한 장착 또는 분해를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 유동 챔버(138)의 외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차단부(141)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연결부(142)는 차단부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가스 유입 홀(143)은 차단부(141)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 차단부(14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142)는 절두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142)의 소두단은 차단부(141)의 외주 가장자리와 연결된다. 가스 유입 홀(143)은 연결부(142)의 소두단 내측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부(142)는 절두원추형인 가이드면(144)을 구비하고, 가스 유입 홀(143)은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면(144)의 중심선에 위치하며, 따라서 수용공간(115)의 가스가 가스 유입 홀(143)을 통해 혼합 유동 챔버(138)에 진입하기에 편리하다.
당업자는 차단부(141)와 연결부(142)의 형상이 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차단부(141)와 연결부(142)가 기타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42)는 대체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노즐(120)은 탱크(110)의 탱크 본체(111)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밸브 노즐(120)은 밸브 본체(121) 및 밸브 본체(121)에 설치되는 밸브 코어(122)를 포함하며, 밸브 본체(121)의 하단에는 토출구(128)가 구비된다. 밸브 코어(122)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트 홀(124)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트 홀(124)은 관통홀로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가스 혼합 음료를 통과시킨다. 상기 복수의 제트 홀(124)은 각각 액체 유출구(135) 및 토출구(128)와 연통되므로, 액체 유출구(135)에서 나오는 가스 혼합 음료는 순차적으로 제트 홀(124) 및 토출구(128)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빈 컵을 밸브 노즐(120)의 아래쪽에 위치시키면, 다량의 작은 기포를 포함하는 가스 혼합 음료가 컵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코어(122)는 제1 연장부(125), 제2 연장부(126) 및 제3 연장부(127)를 포함하고, 제1 연장부(125) 및 제2 연장부(126)는 모두 제3 연장부(127)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부(125) 및 제2 연장부(126)는 모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 판상 구조이고, 제3 연장부(127)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 구조 또는 계단 기둥 형상 구조이다. 밸브 코어(122)가 밸브 본체(1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연장부(125)의 외주면은 밸브 본체(121)의 내표면에 접촉하고, 제2 연장부(126)의 외주면 및 제3 연장부(127)의 외주면은 모두 밸브 본체(121)의 내표면과 간극이 존재한다. 상기 복수의 제트 홀(124)은 제1 연장부(125)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제트 홀(124)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10)의 탱크 본체(111)의 하부에는 장착부(116)가 구비되고, 제2 튜브부(133)의 하단은 장착부(116)에 삽입 연결되고, 밸브 본체(121)의 상단은 장착부(116)의 외측에 끼움 설치되며, 장착부(116)의 중심에는 흐름 제한 홀(117)이 구비되며, 흐름 제한 홀(117)은 각각 액체 유출구(135) 및 제트 홀(124)과 연통되며, 가스 혼합 음료의 유량을 제한하고, 따라서 안정적인 저항/유속을 제공하여 음료와 가스의 혼합/폼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흐름 제한 홀(117)의 단면적은 제2 튜브부(133)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장착부(116)는 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환형 벽(191) 및 환형 벽(191)의 내측에 구비되고 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로 벽(192)을 포함하며, 환형 벽(191)의 상단은 수용공간(115)에 구비되고, 환형 벽(191)의 하단은 수용공간(115)의 외부에 위치하며 흐름 제한 홀(117)은 가로 벽(192)에 구비되고, 가로 벽(192)의 중심에 구비된다. 제2 튜브부(133)의 하단은 환형 벽(191)의 내측에 삽입 연결되고, 밸브 본체(121)의 상단은 환형 벽(191)의 외측에 끼움 설치된다.
따라서, 액체 유출구(135)에서 나오는 가스 혼합 음료는, 흐름 제한 홀(117)을 거쳐 밸브 노즐(120)에 진입하고, 밸브 노즐(120)에서 제1 연장부(125)에 구비되는 제트 홀(124)을 통해 제2 연장부(126)에 분사되며, 이어서 제2 연장부(126)의 외주면과 밸브 본체(121)의 내표면 사이의 간극, 제3 연장부(127)의 외주면과 밸브 본체(121)의 내표면 사이의 간극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마지막으로 토출구(128)를 통해 토출되며, 따라서 가스와 음료의 혼합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혼합 음료가 나오기 전에 유량을 정류하여 스플래시를 피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디스펜서(100)는 제2 개스킷(160)을 더 포함하고, 제2 개스킷(160)은 개구부(139)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혼합 유동부(131)와 혼합 유동캡(140)에 끼임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혼합 유동부(131)와 혼합 유동캡(140)의 연결부(142) 사이에 끼임 설치되어 혼합 유동부(131)와 혼합 유동캡(140) 사이의 간극에 대해 밀봉하여, 혼합 유동 챔버(138)의 가스 또는 액체가 혼합 유동부(131)와 혼합 유동캡(140) 사이의 간극을 거쳐 수용공간(115)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혼합 유동캡(140)의 분해 및 세척이 용이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디스펜서(100)는 브라켓(194)을 더 포함하고, 브라켓(194)은 판형 구조로 구성되며,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195)를 통해 커버 본체(112)로 연결되며, 브라켓(194)은 체결부재를 통해 기타 모듈과 연결되어 음료 디스펜서(100)를 기타 모듈에 장착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음료 디스펜서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 노즐(220)의 장착 위치를 제외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음료 디스펜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음료 디스펜서(100)와 거의 동일한 구조 및/또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기능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소자는 여기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간결성을 위해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 및/또는 도시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 밸브 노즐(220)은 제2 튜브부(233)의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탱크 본체(211)의 하부에는 장착부(216)가 설치되고, 장착부(216)는 제2 튜브부(233)의 형상과 서로 매칭되는 관통홀로 구성되며, 제2 튜브부(233)의 하단은 장착부(216)를 관통하여 밸브 노즐(220)의 밸브 본체(221)에 진입하도록 연장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의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문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문에서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는 특징은 단독으로 또는 기타 특징과 결합하여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해당 특징이 해당 다른 실시예에 적용되지 않거나 달리 설명이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
본 출원은 상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 형태는 예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의 교시에 따라 더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됨을 이해해야 한다.
100: 음료 디스펜서 110: 탱크
111/211: 탱크 본체 112: 커버 본체
113: 돌출부 114: 요홈
115: 수용공간 116/216: 장착부
117: 흐름 제한 홀 118: 가스 주입 홀
119: 분무기 120: 밸브 노즐
121/221: 밸브 본체 122/222: 밸브 코어
124: 제트 홀 125: 제1 연장부
126: 제2 연장부 127: 제3 연장부
128/228: 토출구 130: 혼합 유동부재
131: 혼합 유동부 132/232: 제 1 튜브부
133/233: 제2 튜브부 134/234: 액체 유입구
135/235: 액체 유출구 136: 제1 홀
137: 제2 홀 138: 혼합 유동 챔버
139: 개구부 140: 혼합 유동캡
141: 차단부 142: 연결부
143: 가스 유입 홀 144: 가이드면
150: 제1 개스킷 160: 제2 개스킷
170: 자성 부재 180: 자기 센서
190: 압력 센서 191: 환형 벽
192: 가로 벽 193: 분수홀
194: 브라켓 195: 체결부재
111/211: 탱크 본체 112: 커버 본체
113: 돌출부 114: 요홈
115: 수용공간 116/216: 장착부
117: 흐름 제한 홀 118: 가스 주입 홀
119: 분무기 120: 밸브 노즐
121/221: 밸브 본체 122/222: 밸브 코어
124: 제트 홀 125: 제1 연장부
126: 제2 연장부 127: 제3 연장부
128/228: 토출구 130: 혼합 유동부재
131: 혼합 유동부 132/232: 제 1 튜브부
133/233: 제2 튜브부 134/234: 액체 유입구
135/235: 액체 유출구 136: 제1 홀
137: 제2 홀 138: 혼합 유동 챔버
139: 개구부 140: 혼합 유동캡
141: 차단부 142: 연결부
143: 가스 유입 홀 144: 가이드면
150: 제1 개스킷 160: 제2 개스킷
170: 자성 부재 180: 자기 센서
190: 압력 센서 191: 환형 벽
192: 가로 벽 193: 분수홀
194: 브라켓 195: 체결부재
Claims (12)
- 음료 디스펜서에 있어서,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가스 주입 홀을 구비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하부에 구비되는 밸브 노즐; 및
혼합 유동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유동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갖는 혼합 유동 챔버를 구비하는 혼합 유동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단은 상기 혼합 유동 챔버와 연통되고, 하부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액체 유입구가 구비되는 제1 튜브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고, 상단은 상기 혼합 유동 챔버와 연통되고, 하부에는 상기 밸브 노즐과 연통되는 액체 유출구가 구비되는 제2 튜브부; 및
상기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상기 혼합 유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며,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혼합 유동 챔버를 연통시키는 가스 유입 홀이 구비되는 혼합 유동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입 홀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 유입구의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유동캡은 차단부 및 상기 차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혼합 유동 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차단하며,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혼합 유동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스 유입 홀은 상기 차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차단부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부와 상기 제2 튜브부는 나란히 모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튜브부와 상기 제2 튜브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혼합 유동부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유동부는 상기 제1 튜브부와 연통되는 제1 홀 및 상기 제2 튜브부와 연통되는 제2 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1 튜브부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고, 상기 제2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튜브부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노즐은 상기 탱크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밸브 노즐은 밸브 본체 및 상기 밸브 본체에 구비되는 밸브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본체의 하단에는 토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 코어에는 복수의 제트 홀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트 홀은 각각 상기 토출구 및 상기 액체 유출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코어는 제1 연장부, 제2 연장부 및 제3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는 모두 상기 제3 연장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외주면은 상기 밸브 본체의 내표면과 접촉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외주면 및 상기 제3 연장부의 외주면은 모두 상기 밸브 본체의 내표면과 간극이 있고, 상기 복수의 제트 홀은 상기 제1 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의 하부에는 장착부가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제2 튜브부의 하단은 상기 장착부에 삽입 연결되고, 상기 밸브 본체의 상단은 상기 장착부의 외측에 끼움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의 중심에는 흐름 제한 홀이 구비되며, 상기 흐름 제한 홀은 각각 상기 액체 유출구 및 상기 제트 홀과 연통되며, 상기 흐름 제한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튜브부의 내표면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또는,
상기 제2 튜브부의 하단은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 본체에 진입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상단 개구부를 갖는 탱크 본체 및 상기 상단 개구부를 덮는 커버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주입 홀은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탱크 본체의 외표면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 본체에는 요홈이 구비되며, 상기 탱크 본체는 상기 돌출부를 통해 회전하여 상기 요홈에 진입하고 상기 커버 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제1 개스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개스킷은 상기 탱크 본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사이에 끼임 설치되며, 또는
상기 음료 디스펜서는 제2 개스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개스킷은 상기 개구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혼합 유동부와 상기 혼합 유동캡 사이에 끼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중 하나에는 자성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탱크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자기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자기 센서를 통해 상기 자성 부재의 자기장을 검출하여 상기 커버 본체가 상기 탱크 본체에 대해 잘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222932080.7U CN218683765U (zh) | 2022-11-01 | 2022-11-01 | 饮料机 |
CN202222932080.7 | 2022-11-0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784U true KR20240000784U (ko) | 2024-05-08 |
Family
ID=8560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30001083U KR20240000784U (ko) | 2022-11-01 | 2023-05-30 | 음료 디스펜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39693A1 (ko) |
KR (1) | KR20240000784U (ko) |
CN (1) | CN218683765U (ko) |
TW (1) | TWM651079U (ko) |
-
2022
- 2022-11-01 CN CN202222932080.7U patent/CN218683765U/zh active Active
-
2023
- 2023-05-30 KR KR2020230001083U patent/KR20240000784U/ko unknown
- 2023-08-18 TW TW112208802U patent/TWM651079U/zh unknown
- 2023-10-31 US US18/499,064 patent/US20240139693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M651079U (zh) | 2024-02-01 |
US20240139693A1 (en) | 2024-05-02 |
CN218683765U (zh) | 2023-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73862B1 (en) | Beverage dispense head | |
US11912558B2 (en) | Beverage dispense head assembly | |
CN112166085A (zh) | 用于后混合饮料分配的方法和装置 | |
KR101067748B1 (ko) | 거품분출 튜브용기 | |
US6401981B1 (en) | Sanitary beverage dispensing spout | |
JP3696592B2 (ja) | 円錐状のジェット充填管およびこのような管を備えた充填設備 | |
AU2021219633A1 (en) | Beverage dispensing nozzle | |
CN107380692B (zh) | 一种可计量倒出液体的容器盖 | |
KR20240000784U (ko) | 음료 디스펜서 | |
KR20100110269A (ko) | 음료를 분배하기 위한 분배장치 | |
KR20160001967U (ko) |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 |
CN209528893U (zh) | 气泡饮品装置 | |
CN108889158B (zh) | 一种适用于高粘性浓缩液体的安全混合器 | |
CN209966126U (zh) | 饮料机 | |
JP2010042827A (ja) | ポンプ式吐出容器 | |
KR101910060B1 (ko) | 거품분출 튜브용기 | |
CN109700315B (zh) | 饮料机和使用其制备混气饮料的方法 | |
CN210631082U (zh) | 水溶液碳化设备的盖板及水溶液碳化设备 | |
KR20180008500A (ko) |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이송 유닛 및 그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 |
CN217338238U (zh) | 一种碳化罐 | |
JP2013133134A (ja) | 泡噴出容器 | |
US12017192B1 (en) | Carbonation mixing nozzles | |
CN219229629U (zh) | 一种用于净饮机的出水组件及净饮机 | |
CN213244879U (zh) | 皂液机的泡沫发生装置 | |
CN220345497U (zh) | 一种液体密封混合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