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747U -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747U
KR20240000747U KR2020220002520U KR20220002520U KR20240000747U KR 20240000747 U KR20240000747 U KR 20240000747U KR 2020220002520 U KR2020220002520 U KR 2020220002520U KR 20220002520 U KR20220002520 U KR 20220002520U KR 20240000747 U KR20240000747 U KR 202400007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arget guide
bottom plate
middle plat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김창훈
박상수
박천호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20002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747U/ko
Publication of KR20240000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74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fluid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부에 설치되는 보텀 플레이트와;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상방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들 플레이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방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탑 플레이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하단부 및 상단부가 상기 보텀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해 주는 복수의 타겟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상면에 올려지는 코어의 외면에 튜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피로도를 절감시킬 수 있고, 휴대성 및 보관 용이하며, 튜브를 코어에 장착하는데 수월하고, 작업 중 안전사고 및 장치파손에 의한 비용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Flexflo tube assembly device}
본 고안은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비작업 준비 과정에서의 작업자 피로도를 절감시키고, 휴대성 및 보관 용이하며, 튜브를 코어(CORE)에 장착하는데 수월하고, 단위 작업 중 최대한 중량물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부분을 줄여 설치자의 실수로 바닥에 떨어지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장치파손에 의한 비용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 과정 중 튜브 손상을 방지하여 정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특수공기구 부품 간소화로 인한 설치시간 감소 및 이에 따른 정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대부분 해외의 유전 및 가스전에서 생산되고, 액화(-162℃, 부피 1/600로 감소)하여 LNG 운반선을 통해 국내로 반입된다.
반입된 LNG는 소정의 과정을 거쳐 기화된 후, 공급관리소를 통해 발전소나 도시가스사 등으로 공급된다.
또한, 공급관리소에서는 공급가스 압력을 정압설비에 포함되어 있는 정압기를 통해 일정 압력(00834MPa)으로 감압하여 전국 각 지점의 발전소 및 도시가스 등 천연가스 수요처(사용처)로 공급한다.
이때, 공급관리소에서는 정압기를 이용하여 기화설비로부터 공급받은 기화가스를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시켜 천연가스 수요처로 공급한다.
상기 정압기는 유입측(1차측)과 배출측(2차측)의 압력차 및 그에 의해 작동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작동시킴으로써 그 다이어프램에 연동되는 밸브의 개도를 가변시켜 공급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압기는 가스의 공급압력을 고압에서 중압으로, 중압에서 저압으로 용도에 맞게 맞추어 감압, 공급하기 위하여 가스 배관 중 적절한 곳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또, 정압기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량의 변동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해 자동으로 2차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며, 자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평소 유지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또한, 정압기는 직동식 정압기와 파일롯트식 정압기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정압기 중 파일롯트 제어방식의 정압기는 2차측의 미세한 압력을 감지하여 다이어프램에 구동압력을 증폭시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일롯트식 정압기는 출구압력이 비교적 안정된 형태로 공급되는 우수한 특징이 있으며, 대량 수요처 및 지구 정압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정압기에는 밀폐기가 결합된다. 밀폐기의 상부에는 다이아프램이 결합되고, 2차 압력 상승, 하강시 다이아프램 하부압력에 따라 다이아프램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밀폐기와 다이아프램 사이의 간격을 벌이거나 줄여 가스 흐름을 차단하거나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밀폐기는 정비 등을 위하여 정압기로부터 분해시 밀폐기를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분해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20kg 이상의 중량물이며 원형이므로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정비 후 정압기에 고정이 어려워 조립 시간이 과다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정압기는 관리소별로 여러 제작사에 따라 여러 TYPE으로 나뉜다. 여러 TYPE 중 GROVE사의 플렉스플로(FLEXFLO)는 가스공급을 고무 튜브와 본체 코어의 수축 이완에 의해 압력이 조절된다.
이때, 상기 튜브는 플렉스플로 정압기의 핵심 부품으로 분해정비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통상의 정압기는 정압실이라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며, 점검 계획에 따라 2~3년을 주기로 분해 정비를 하고 있다.
정압기의 정비를 위해서는 정비하고자 하는 정압설비의 전,후단에 마련된 밸브를 오프시킨 후에 분해 정비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정압기는 가스히터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파이롯트 설정압력에 따라 1차측 압력 변동 및 공급유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2차측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가스수요량이 없을 경우 차단동작되어 2차측 압력의 상승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정압기는 바디 하우징 내에 코어가 구비되고, 상기 코어의 외측에 탄성재질의 튜브가 마련된다.
상기 튜브를 코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등의 일반 수공구를 사용하여 해체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코어 및 튜브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FLEXFLO TYPE 정압설비의 튜브 정비를 위해서는 튜브를를 코어에 장착하는 단위작업이 있으며, 튜브를 코어에 장착하는데 상당히 많은 힘이 소요된다.
이 작업을 위해서 휴대성이 결여된 부피가 큰 특수공기구를 이용하여 실시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정압설비 정비 시 튜브 외의 정비작업을 위한 기타수공구를 준비하여 차량에 적재하는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부피가 큰 특수공기구는 비효율적이다.
또한, 기존 특수공기구는 바디(BODY)에 튜브를 넣어둔 상태에서 코어를 위에서 아래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코어를 바닥면으로부터 특정높이로 들어올려야 하는 위험성이 있으며, 코어와 튜브가 잘 결합되었는지 별도로 전등 등을 이용하여 상태점검을 해야하는 문제점도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21-0001561호(2021년 07월 08일)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9-0000332호(2019년 02월 11일)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22-0001625호(2022년 07월 01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2734호(2017년 02월 21일)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정압기의 정비작업 준비 과정에서의 작업자 피로도를 절감시키고, 휴대성 및 보관 용이하며, 튜브를 코어(CORE)에 장착하는데 수월하고, 단위 작업 중 최대한 중량물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부분을 줄여 설치자의 실수로 바닥에 떨어지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장치파손에 의한 비용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 과정 중 튜브 손상을 방지하여 정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특수공기구 부품 간소화로 인한 설치시간 감소 및 이에 따른 정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는, 복수의 파이프 조립홀을 구비하고 바닥부에 설치되는 보텀 플레이트와; 복수의 파이프 통과공을 구비하고,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상방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들 플레이트와; 복수의 파이프 조립홀을 구비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방부에 설치되는 탑 플레이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파이프 통과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단부 및 상단부가 상기 보텀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해 주는 복수의 타겟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상면에 올려지는 코어의 외면에 튜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타겟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파이프 조립홀에 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복수의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파이프 조립홀에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부는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한다.
또,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의 상방부와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의 하방부에는 상호 결합부를 고정 핀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복수의 핀홀을 더 형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텀 플레이트는, 상면 양측에 설치되고, 정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와 상기 튜브 측으로 빛을 조사시켜 LED형 조명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보텀 플레이트는, 상면 일측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텀 플레이트는, 상면 중앙에 설치되고, 테프론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상면에 올려지는 코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코어 손상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미들 플레이트는, 상기 파이프 통과공 내에 설치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를 따라 승강될 때,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와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에 의하면, 정압기의 정비작업 준비 과정에서의 작업자 피로도를 절감시키고, 휴대성 및 보관 용이하며, 튜브를 코어(CORE)에 장착하는데 수월하고, 단위 작업 중 최대한 중량물을 상부로 들어올리는 부분을 줄여 설치자의 실수로 바닥에 떨어지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장치파손에 의한 비용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작업 과정 중 튜브 손상을 방지하여 정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특수공기구 부품 간소화로 인한 설치시간 감소 및 이에 따른 정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의 분해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하고자 하는 코어와 튜브의 분리상태 정단면도.
도 4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5의 (a)~(c)는 본 고안 장치 중 탑 플레이트와 미들 플레이트 및 보텀 플레이트의 정단면 및 평면도.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의 분해상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의 조립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장치를 이용하여 조립하고자 하는 코어와 튜브의 분리상태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a)~(c)는 본 고안 장치 중 탑 플레이트와 미들 플레이트 및 보텀 플레이트의 정단면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보텀 플레이트(1)와 미들 플레이트(2), 탑 플레이트(3), 복수의 타겟 가이드 파이프(4) 및 유압 실린더(6)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고안 장치의 구성요소 중 상기 보텀 플레이트(1)는, 소정 두께를 갖는 철재 판체 또는 스테인레스 판체 등을 이용하여 정비 대상 정압기의 코어(30) 및 튜브(20)의 지름보다 비교적 큰 지름을 갖는 원판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 중심점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원주 상에는 후술하는 타겟 가이드 파이프(4) 중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들을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파이프 조립홀(1a)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각각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5의 (c) 참조).
이와 같은 상기 보텀 플레이트(1)는 본 고안 장치의 바닥판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정비 및 조립 대상 코어(30)를 지지해 주는 받침판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미들 플레이트(2)는, 상기 보텀 플레이트(1)와 마찬가지로 소정 두께를 갖는 철재 판체 또는 스테인레스 판체 등을 이용하여 정비 대상 정압기의 코어(30) 및 튜브(20)의 지름보다 비교적 큰 지름을 갖는 원판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 중심점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원주 상에는 후술하는 타겟 가이드 파이프(4) 중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가 통과되거나 또는 슬리브(9)가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통과공(2a)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각각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5의 (b) 참조).
뿐만 아니라,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상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6) 몸체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도면 부호 기입 생략한 실린더 고정홈 및 실린더 고정용 볼트 통과공 등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미들 플레이트(2)는,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6)의 고정기능과 더불어 유압 실린더(6)의 승강 작동시 그 방향 및 높이 변화량에 대응하여 후술하는 타겟 가이드 파이프(4) 중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을 따라 승강되며, 튜브(2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튜브(20)가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상면에 올려지는 코어(30)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튜브 가압판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탑 플레이트(3)는, 상기한 보텀 플레이트(1) 및 상기 미들 플레이트(2)와 마찬가지로 소정 두께를 갖는 철재 판체 또는 스테인레스 판체 등을 이용하여 정비 대상 정압기의 코어(30) 및 튜브(20)의 지름보다 비교적 큰 지름을 갖는 원판 형태로 성형한 것으로, 중심점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원주 상에는 후술하는 타겟 가이드 파이프(4) 중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파이프 조립홀(3a)이 정해진 각도를 두고 각각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도 5의 (a) 참조).
뿐만 아니라, 상기 탑 플레이트(3)의 저면 중앙에는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6)의 로드 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도면 부호 기입 생략한 실린더 로드 고정홈 및 볼트 통과공 등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탑 플레이트(3)는 본 고안 장치의 상판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유압 실린더(6)의 로드 고정판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복수의 타겟 가이드 파이프(4)는, 예를 들어 3~4개의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와 3~4개의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가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복수의 타겟 가이드 파이프(4)들은,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상기 파이프 통과공(2a)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단부 및 상단부가 각각 상기 보텀 플레이트(1) 및 상기 탑 플레이트(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6)의 작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승강을 안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는, 소정 지름 및 높이를 갖게 제작된 중공형 금속 파이프로써, 저단부에 볼트 등을 구비하고,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상기 파이프 조립홀(1a)에 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들은, 후술하는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와 결합된 상태에서 본 고안 장치의 기둥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들의 높이는, 조립 대상 정압기의 상기 코어(30) 높이보다는 비교적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6)에 의해 상기 미들 플레이트(2)가 후술하는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들을 따라 하강하며 튜브(20)를 강압적으로 상기 코어(30)의 외부에 조립시킬 때, 최소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들의 상단면에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저면이 접촉되기 전에 상호 조립이 완료되고, 이후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저면이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들의 상단면에 접촉되는 순간 더 이상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들의 높이를 상기 코어(30) 높이보다는 낮게 제한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는,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의 외경보다 비교적 작은 내경을 가진 금속 파이프(중공형이 아닌 금속 봉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를 정해진 높이를 갖게 절단한 것으로, 상단부에 볼트 등을 구비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3)의 상기 파이프 조립홀(3a)에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됨은 물론 하방부는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 전술한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들과 결합된 상태에서 본 고안 장치의 기둥 기능을 수행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6)의 작동에 부응하여 승강 작동하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승강 가이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의 상방부와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의 하방부에는 각각 복수의 핀홀(43)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더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의 상방부 및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의 하방부에 각각 복수의 핀홀(43)을 형성한 이유는, 외경이 작은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의 하방부가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의 상방부 내로 삽입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6)의 충분하지 않은 양정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타겟 가이드 파이프(4)의 전체 높이는,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의 상부 내로 삽입되는 상기 상부 타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의 높이에 의해 가변될 수 있는데,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만큼 상기 상부 타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의 하방부를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 내로 삽입한 다음, 상기 복수의 핀홀(43) 중 서로 일치된 위치에 있는 상기 핀홀에 도시 생략한 고정 핀을 삽입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와 상기 상부 타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를 가진다.
한편, 상기 유압 실린더(6)는 몸체 내에서 실린더 로드가 유체의 유입 및 토출 방향을 포함하여 유압에 대응하여 인입 및 인출되는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탑 플레이트(3)의 저면과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상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압 실린더(6)는 몸체의 저부가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고, 실린더 로드의 상단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3)의 저면 중앙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 방향으로 설치해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유압 실린더(6)는,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상면에 올려지는 코어(30)의 외면에 튜브(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미들 플레이트(2)에 승강력을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의 (a)(b)는 본 고안이 적용된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유압 실린더(6)의 실린더 로드를 최대한 몸체의 내부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도 4의 (a)와 같이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상면에 상기 코어(30)를 올려놓고, 상기 코어(30)의 상부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저면 사이의 공간부로 상기 튜브(20)를 밀어넣음과 동시에 상기 튜브(20)를 상기 코어(30)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6)를 작동시켜 상기 미들 플레이트(2)를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코어(30)의 상면에 올려있던 상기 튜브(20)가 상기 유압 실린더(6)에서 제공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타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 하강하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압력에 의해 상기 튜브(20)가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코어(30)의 외면에 자동 결합되게 된다.
물론, 상기 유압 실린더(6)의 작동 높이 및 압력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타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를 따라 하강하던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저면이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의 상단와 접촉되는 순간 도시 생략한 압력센서 및 제어부 등의 압력 검출 및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6)의 작동은 자동으로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2)의 하강도 자동으로 정지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6)에서 발생되는 압력이 상기 미들 플레이트(2) 및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1)의 접촉부 사이에 과다하게 가해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손상되는 것을 자동으로 방지할 수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보텀 플레이트(1)는 적어도 하나의 LED형 조명기구(11)를 더 구비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LED형 조명기구(11)들은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상면 양측에서 중앙 상방부를 향해 설치된 형태를 갖고, 본 고안 장치를 이용하여 정비대상 정압기의 상기 코어(30) 외면에 상기 튜브(20)를 조립 등을 하고자 할 때, 점등 작동시켜 작업자가 본 고안 장치를 이용하여 정비중인 상기 정압기의 상기 코어(30) 및 상기 튜브(20)의 현재 상태 및 조립 과정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보텀 플레이트(1)는 상면 일측에 수평계(10)를 내장 설치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일측 상면에 수평계(10)를 내장 설치해 주게 되면, 본 고안 장치를 특정 장소에 설치하고 정압기를 정비하고자할 때, 상기 수평계(10)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수평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정확히 확인하고,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저면 등에 구비될 수 있는 수평조절장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수평상태를 정확히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보텀 플레이트(1)는, 상면 중앙에 코어 손상 방지판(7)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 손상 방지판(7)은 우수한 내약품성, 내열성, 소수성을 가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섬유인 테프론[Teflon]을 이용하여 소정 지름과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상면 중앙에 상기 코어 손상 방지판(7)을 더 설치하게 되면, 상기 코어(30)가 금속 판체로 성형된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상면에 직접 올려지지 않고 상기 코어 손상 방지판(7)의 상면에 올려지는 형태를 가지게 되므로 금속재로 성형된 상기 코어(30)의 저면이 금속 판체로 성형된 상기 보텀 플레이트(1)의 상면에 직접 올려짐으로 인해 발생되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미들 플레이트(2)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 통과공(21) 내에 각각 슬리브(9)들을 설치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미들 플레이트(2)에 형성된 복수의 파이프 통과공(21)에 각각 슬리브(9)들을 더 설치하고,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를 상기 슬리브(9) 내로 삽입되게 설치하게 되면, 상기 미들 플레이트(2)가 상기 유압 실린더(6)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를 따라 하강될 때,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들이 상기 플레이트(2)의 파이프 통과공(21)에 끼워진 상태에서 하강할 때 발생되는 상호간 마찰력 대비,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가 상기 슬리브(9)의 내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크게 줄게 된다.
따라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2)가 상기 유압 실린더(6)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42)을 따라 하강될 때, 상기 미들 플레이트(2)가 마찰없이 원활히 승강 작동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보텀 플레이트 1a : 파이프 조립홀
2 : 미들 플레이트 2a : 파이프 통과공
3 : 탑 플레이트 3a : 파이프 조립홀
4 : 타겟 가이드 파이프 41 :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
42 :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 42 : 핀홀
6 : 유압 실린더
7 : 코어 손상 방지판
9 : 슬리브
10 : 수평계
11 : LED형 조명기구
20 : 튜브
30 : 코어

Claims (7)

  1. 바닥부에 설치되는 보텀 플레이트와;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상방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들 플레이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방부에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탑 플레이트와;
    상기 미들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하단부 및 상단부가 상기 보텀 플레이트 및 상기 탑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승강을 안내해 주는 복수의 타겟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탑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상면에 올려지는 코어의 외면에 튜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미들 플레이트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타겟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보텀 플레이트에 저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미들 플레이트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복수의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탑 플레이트에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부는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복수의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의 상방부와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의 하방부에는 상호 결합부를 고정 핀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복수의 핀홀을 더 형성한 것을 포함하는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텀 플레이트는,
    상면 양측에 설치되고, 정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코어와 상기 튜브 측으로 빛을 조사시켜 LED형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텀 플레이트는,
    상면 일측에 내장 설치되고,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텀 플레이트는,
    상면 중앙에 설치되고, 테프론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텀 플레이트의 상면에 올려지는 코어의 손상을 방지하는 코어 손상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들 플레이트는,
    상기 타겟 가이드 파이프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파이프 통과공을 더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파이프 통과공 내에는 상기 미들 플레이트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를 따라 승강될 때, 상기 상부 타겟 가이드 파이프와의 마찰력을 줄여주는 슬리브;를 더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KR2020220002520U 2022-10-28 2022-10-28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KR202400007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520U KR20240000747U (ko) 2022-10-28 2022-10-28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520U KR20240000747U (ko) 2022-10-28 2022-10-28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747U true KR20240000747U (ko) 2024-05-08

Family

ID=91071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520U KR20240000747U (ko) 2022-10-28 2022-10-28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747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34Y1 (ko) 2015-08-12 2017-02-2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안전밸브 분해 조립용 리프터
KR20190000332U (ko)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다이어프램 조립용 지그
KR20210001561U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 코어의 분해 조립용 지그
KR20220001625U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f 정압기 ssv 설치 및 분해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34Y1 (ko) 2015-08-12 2017-02-2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안전밸브 분해 조립용 리프터
KR20190000332U (ko)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의 다이어프램 조립용 지그
KR20210001561U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정압기 코어의 분해 조립용 지그
KR20220001625U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f 정압기 ssv 설치 및 분해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00747U (ko) 플렉스플로 튜브 조립장치
KR200489042Y1 (ko) 정압기의 차단밸브 분해 및 조립용 리프터
KR200445873Y1 (ko) 정압기의 차단밸브 분해 및 조립용 리프터
KR101525442B1 (ko) 수평구조의 파일럿밸브가 구비되는 증기 감압밸브
KR20210001561U (ko) 정압기 코어의 분해 조립용 지그
CN207261757U (zh) 用于连接到流体容器的内阀和用于均衡压力差的内阀
JP2008089081A (ja) アキュムレータおよび塗装装置
US4092087A (en) Air operated pump
CN2418328Y (zh) 流量控制阀
KR101405313B1 (ko) 고속 압력 밸브
KR200482734Y1 (ko) 정압기의 안전밸브 분해 조립용 리프터
KR20220001625U (ko) Pf 정압기 ssv 설치 및 분해용 지그
KR20080002364U (ko) 예비 유압식 방진기의 점검장치
CN212273083U (zh) 直行程调节阀的阀位限定支架和直行程调节阀
KR200495199Y1 (ko) 정압기 차단밸브 분해 및 조립용 리프트장치
CN211501691U (zh) 高温高压多级调节阀
KR101202819B1 (ko) 체크 밸브 일체형 스톱 밸브
CN220286551U (zh) 一种燃气管道用杠杆式调压器
CN220365954U (zh) 带平衡桶的流量调节阀
CN213225017U (zh) 一种支撑环压装工装
CN217301626U (zh) 一种节流阀
CN220101239U (zh) 一种地面防喷器控制装置辅助司钻台
CN215172266U (zh) 一种先导式蒸汽减压阀
JP2002132352A (ja) 弁部カセット型ガバナ
KR200497423Y1 (ko) 정압기의 통합 정비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