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551A -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551A
KR20240000551A KR1020237040043A KR20237040043A KR20240000551A KR 20240000551 A KR20240000551 A KR 20240000551A KR 1020237040043 A KR1020237040043 A KR 1020237040043A KR 20237040043 A KR20237040043 A KR 20237040043A KR 20240000551 A KR20240000551 A KR 2024000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bacco
sheet
mass
heating type
combus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 코이데
키미타카 우치이
다이스케 난조
모에카 나가야마
카츠노리 무라코시
테츠로 시부야
유이 나카야마
슌스케 요코테
šœ스케 요코테
마사키 로쿠가와
하지메 니시노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5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4Forming reconstituted tobacco products, e.g. wrapper materials, sheets, imitation leaves, rods, cakes; Forms of such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2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 A24B15/14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reconstituted tobacco made of tobacco and a binding agent not derived from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6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 A24B15/4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only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s
    • A24B15/403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only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s having only oxygen as hetero atoms
    • A24B15/406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only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s having only oxygen as hetero atoms in a five-member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3Lign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담배 원료를 포함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로서, 상기 담배 시트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파형 형상을 가지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Description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본 발명은,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소형 향미 흡인기(시가렛)에서는, 잎담배나 담배 시트를 포함한 담배 충전물을 연소하여 향미를 얻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연소형 향미 흡인기에 사용되는 담배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대체로서, 담배 시트 등의 향미원을 연소하는 대신에 가열하여 향미를 얻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가 제안되고 있다.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가열 온도는, 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연소 온도보다 낮고, 예를 들면 약 400℃ 이하이다. 이와 같이,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가열 온도는 낮기 때문에, 연량(煙量)을 증가시키는 관점에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에서는 향미원에 에어로졸 발생제를 첨가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제는 가열에 의해 기화되고, 에어로졸이 발생한다. 해당 에어로졸은 담배 성분 등의 향미 성분을 수반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충분한 향미를 얻을 수 있다.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는, 예를 들면, 담배 시트 등이 충전된 담배 함유 세그먼트와, 냉각 세그먼트와, 필터 세그먼트를 구비할 수 있다.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축방향 길이는, 가열 히터와의 관계로, 통상 연소형 향미 흡인기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축방향 길이보다 짧다. 이 때문에,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에서는, 가열 시 에어로졸 생성량을 담보하기 위하여, 짧은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구간 내에 다량의 담배 시트가 충전되어 있다. 짧은 구간 내에 다량의 담배 시트를 충전하기 위하여,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에는, 통상 팽창성(膨嵩性)이 낮은, 즉 고밀도의 담배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팽창성이란, 소정 질량의 담배 시트 조각을 일정 압력으로 일정 시간 압축했을 때의 체적을 나타내는 값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공 소60-45914호 공보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은, 가열 방식이나 히터의 가열 능력과 에어로졸의 생성을 생각했을 경우, 팽창성이 낮은(고밀도의) 담배 시트를 이용하면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총 열용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열 방법이나 히터의 능력에 따라서는, 담배 함유 세그먼트에 충전된 담배 시트가 에어로졸 생성에 충분히 기여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다. 해당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총 열용량을 저감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은,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총 열용량을 저감하기 위하여, (1) 담배 시트에 포함되는 담배 원료의 비열을 저감하는, (2) 팽창성이 높은(저밀도의) 담배 시트를 이용하는, 것을 검토했다. 그러나, (1)에 관해서는 담배 원료 자체의 비열 저감은 곤란하기 때문에, (2)에 의하여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총 열용량을 저감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되었다. 이 때문에,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팽창성이 높은(저밀도의) 담배 시트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팽창성이 높은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해당 담배 시트를 포함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양태 1
담배 원료를 포함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로서, 상기 담배 시트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파형 형상을 가지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양태 2
프룩탄을 더 포함하는, 양태 1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양태 3
상기 프룩탄이, 이눌린형 프룩탄, 레반형 프룩탄, 분기형 프룩탄, 프룩토 올리고당, 및 이러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양태 4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가, 몰 질량이 200~350g/mol인 포화 지방산, 해당 포화 지방산의 에스터, 및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 함유량이, 상기 시트의 건물 질량 당, 0.01~3질량%인,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양태 5
상기 포화 지방산 및 포화 지방산 에스터는, 각각 단품인, 양태 4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양태 6
충전물로서,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와,
종이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의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합계 함유량이 0.1~10질량%인,
담배 함유 세그먼트.
양태 7
충전물로서,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와,
에어로졸 발생제를 함유하는 종이를 포함하는,
담배 함유 세그먼트.
양태 8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를 포함한 담배 함유 세그먼트 혹은
양태 6 또는 7에 기재된 담배 함유 세그먼트
를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양태 9
양태 8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와,
상기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
를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양태 10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담배 원료와, 에어로졸 발생제와, 제1 성형제 및 제2 성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압연하여 압연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압연 성형품에 회전식 롤 칼날을 꽉 눌러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파형 형상을 부여하는 공정과,
필요에 따라서, 상기 압연 성형품에 상기 프룩탄을 첨가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방법.
양태 11
양태 4 또는 5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담배 원료와, 에어로졸 발생제와, 제1 성형제 및 제2 성형제와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압연하여 압연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압연 성형품에 회전식 롤 칼날을 꽉 눌러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파형 형상을 부여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팽창성이 높은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해당 담배 시트를 포함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두께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의 일례로서, (a)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를 가열 장치에 삽입하기 전 상태, (b)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를 가열 장치에 삽입하여 가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담배 세그먼트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담배 세그먼트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 담배 세그먼트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 담배 세그먼트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e] 담배 세그먼트의 한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참고예에 있어서의, 이눌린형 프룩탄 또는 프룩토오스의 함유량(질량%)과 관능 평가(향미 또는 향끽미 저해감)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참고예에 있어서의, 이눌린형 프룩탄 또는 프룩토오스의 함유량(질량%)과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 지속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이하, "담배 시트"라고 한다.)는, 담배 원료를 포함하고, 상기 담배 시트의 두께 방향의 단면은 파형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파형이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높은 팽창성을 가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총 열용량을 저감할 수 있어 담배 함유 세그먼트에 충전된 담배 시트를 에어로졸 생성에 충분히 기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에어로졸 발생제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 배합 비율을 소정 범위 내로 함으로써, 담배 시트의 팽창성이 보다 향상된다.
(담배 시트의 형상)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두께 방향의 단면이 파형 형상을 가진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를 평면 방향이 있는 한 방향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 그 단면의 형상이 파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평면 방향이 있는 한 방향은, 예를 들면 담배 시트의 긴 방향이어도 되고, 짧은 방향이어도 된다. 여기서 "파형"이란, 상하로 물결치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파봉(波峰)은 직선적인 형상이어도 되고, 곡선적인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물결은 규칙적이어도 되고, 불규칙적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담배 시트(1)는, 두께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물결(2)을 가진다. 물결(2)의 폭(w1)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10.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결(2)의 높이(w2)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5.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담배 시트(1)의 두께(w3)는, 100~1000㎛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결(2)은 톱니 형상(3)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물결(2)가 톱니 형상(3)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담배 시트의 혼합체에 있어서 톱니 형상의 선단과 선단이 접하는 것에 의하여 더 공극을 형성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팽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길이: 5.0~40.0㎜, 폭: 0.5~2.0㎜일 수 있다.
(담배 원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에 포함되는 담배 원료로서는, 담배 성분이 포함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담배 분말이나 담배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담배 분말로서는, 예를 들면 잎담배, 중골, 잔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이들을 소정 크기로 재각함으로써, 담배 분말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담배 분말의 크기로서는, 건식 레이저 회절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누적 90% 입자 지름(D90)이 200㎛이상인 것이, 한층 더 팽창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담배 원료가 담배 분말인 경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담배 분말의 비율은, 45~9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93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8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담배 추출물로서는, 예를 들면 잎담배를 조쇄하고, 이것을 물 등의 용매와 혼합·교반함으로써 잎담배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물 추출물을 감압 건조하여 농축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담배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가열 시 연량 증가의 관점에서, 더 에어로졸 발생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라이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1,3-뷰테인다이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담배 시트에 에어로졸 발생제가 포함되는 경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발생제의 비율은, 4~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의 비율이 4질량% 이상인 것에 의하여, 양의 관점에서 가열 시에 충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의 비율이 50질량% 이하인 것에 의하여, 열용량의 관점에서 가열 시에 충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의 비율은, 6~4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3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2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형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형상 담보의 관점에서, 더 성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특히, 담배 시트의 에어로졸 발생제의 보지 성능과 파형 형상의 유지 성능을 충분히 양립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제1 성형제 및 제2 성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성형제와 제2 성형제는 성형제의 종류가 달라도 되고, 성형제의 종류는 동일하고 형태는 달라도 된다. 제1 성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다당류, 단백, 합성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다당류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도체, 천연 유래 다당류를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메틸 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벤질 셀룰로오스, 트리틸 셀룰로오스, 시아노 에틸 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복시 에틸 셀룰로오스, 아미노 에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에터류;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폼산 셀룰로오스, 프로피온산 셀룰로오스, 뷰티르산 셀룰로오스, 벤조산 셀룰로오스, 프탈산 셀룰로오스, 토실 셀룰로오스 등의 유기산 에스터; 질산 셀룰로스, 황산 셀룰로오스, 인산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쿠산틴산염 등의 무기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유래 다당류로서는, 예를 들면, 구아검, 타라검, 로커스트빈검, 타마린드종자검, 펙틴,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 카라야검, 가티검, 아라비노갈락탄, 아마씨검, 카시아검, 사일리움씨드검, 아르테미시아씨드검 등의 식물 유래 다당류; 카라기난, 한천, 알긴산, 알긴산 프로필렌글라이콜 에스터, 퍼셀라란, 참가사리 추출물 등의 해조류 유래 다당류; 잔탄검, 겔란검, 커들란, 풀루란, 아그로박테륨숙시노글라이칸, 웰란검, 마크로포모프시스(macrophomopsis)검, 람산검 등의 미생물 유래 다당류; 키틴, 키토산, 글루코사민 등의 갑각류 유래 다당류; 전분, 전분 글라이콜산나트륨, α화 전분, 덱스트린 등의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단백으로서는, 예를 들면, 밀 글루텐, 호밀 글루텐 등의 곡물 단백을 들 수 있다. 합성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 인산,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폴리 바이닐 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제2 성형제로서는, 제1 성형제와는 다르지만, 제1 성형제와 같은 다당류, 단백, 합성 폴리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담배 시트에 제1 성형제가 포함되는 경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제1 성형제의 비율은, 0.1~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성형제의 비율이 0.1질량% 이상인 것에 의하여, 원료의 혼합체를 시트 모양으로 용이하게 성형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성형제의 비율이 15질량% 이하인 것에 의하여,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에 요구되는 기능을 담보하기 위한 다른 원료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성형제의 비율은, 0.1~1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7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담배 시트에 제2 성형제가 포함되는 경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제2 성형제의 비율은, 0.1~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성형제의 비율이 0.1질량% 이상인 것에 의하여, 원료의 혼합체를 시트 모양으로 용이하게 성형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2 성형제의 비율이 15질량% 이하인 것에 의하여,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에 요구되는 기능을 담보하기 위한 다른 원료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성형제의 비율은, 0.1~1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1~7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성형제와 제2 성형제가 성형제의 종류가 동일하고 형태가 다른 경우, 예를 들면 제1 성형제가 분말, 제2 성형제가 용액 또는 슬러리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담배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성형제로서 성형제를 분말로서 직접 혼합하고, 한편, 제2 성형제로서 성형제를 물 등의 용매에 분산 또는 팽윤시켜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도, 종류가 다른 2개의 성형제를 사용한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강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물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보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제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 펄프, 섬유 합성 셀룰로오스 등의 섬유 물질, 펙틴 현탁수 등 건조하면 막을 형성하는 표면 코팅 기능을 가진 액상 물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담배 시트에 보강제가 포함되는 경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보강제의 비율은, 4~4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범위 내의 경우,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에 요구되는 기능을 담보하기 위한 다른 원료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제의 비율은, 4.5~3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3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보습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품질 보지의 관점에서,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말티톨, 락티톨, 만니톨, 환원 맥아당 물엿 등의 당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이용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된다.
담배 시트에 보습제가 포함되는 경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보습제의 비율은, 1~1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범위 내의 경우,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에 요구되는 기능을 담보하기 위한 다른 원료를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비율은, 2~1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10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타 성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상기 담배 원료,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 상기 성형제(제1 및 제2 성형제), 상기 보강제, 상기 보습제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향료, 정미료 등의 향미료, 착색제, 습윤제, 보존료, 무기 물질 등의 희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성)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의 팽창성은, 190cc/10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팽창성이 190cc/100g 이상인 것에 의하여,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총 열용량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담배 함유 세그먼트에 충전된 담배 시트가 에어로졸 생성에 의하여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해당 팽창성은 210cc/100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30cc/100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해당 팽창성 범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800cc/100g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해당 팽창성은, 담배 시트를 0.8㎜×20㎜ 사이즈로 재각하여, 22℃, 60%의 조화실 내에서 48시간 존치한 후, DD-60A(상품명, 보그바르트사제)에서 측정되는 값이다. 측정은, 재각된 담배 시트 15g을 내경 60㎜의 원통형 용기에 넣어 3㎏ 하중으로 30초 압축했을 때의 용적을 구하는 것으로 실시한다.
[담배 시트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는, 예를 들면 담배 원료, 에어로졸 발생제, 제1 성형제, 및 제2 성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압연하여 압연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압연 성형품에 회전식 롤 칼날을 꽉 눌러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파형 형상을 부여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형 형상을 부여하는 처리를 립 링 처리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1) 물, 담배 원료, 에어로졸 발생제, 제1 및 제2 성형제, 및 보강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
(2) 해당 혼합물을 복수의 압연 롤러에 투입해 압연하여, 압연 성형품을 얻는 공정.
(3) 압연 성형품에 대하여 회전식 롤 칼날을 꽉 눌러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파형 형상을 부여하는 공정.
회전식 롤 칼날에 의하여 단책 형상으로 절단된 시트는, 롤로부터 박리될 때에 저항력이 가해짐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 형상 및 톱니 형상이 부여된다. 또한, 압연 성형품을 회전식 롤 칼날에 의하여 절단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압연 롤러 상의 압연 성형품을 닥터 나이프로 박리함으로써, 롤로부터 박리될 때에 저항력이 가해져, 마찬가지로 파형 형상 및 톱니 형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담배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 목적에 따라, 압연 롤러의 표면을 가온 또는 냉각하여도 되고, 압연 롤러의 회전수를 조정하여도 된다. 또한, 압연 롤러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평량의 담배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 등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팽창성이 높은 담배 시트 등이 충전된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구비하기 때문에,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총 열용량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담배 함유 세그먼트에 충전된 담배 시트가 에어로졸 생성에 의하여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 등이 충전된 담배 함유 세그먼트(5)와 둘레 상에 천공(11)을 가지는 통 모양의 냉각 세그먼트(6)와 센터 홀 세그먼트(7)와 필터 세그먼트(8)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는, 담배 함유 세그먼트, 냉각 세그먼트, 센터 홀 세그먼트 및 필터 세그먼트 이외에도, 다른 세그먼트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축방향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상, 7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상, 6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둘레 길이는 16㎜ 이상,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 2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 이상, 2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담배 함유 세그먼트의 길이는 20㎜, 냉각 세그먼트의 길이는 20㎜, 센터 홀 세그먼트의 길이는 8㎜, 필터 세그먼트의 길이는 7㎜인 양태를 들 수 있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의 길이는 4㎜ 이상, 10㎜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 가능하다. 또한, 그 때의 필터 세그먼트의 통기 저항은, 세그먼트 당 15㎜H2O/seg 이상, 60㎜H2O/seg 이하가 되도록 선택된다. 이들 개개의 세그먼트 길이는, 제조 적성, 요구 품질 등에 따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센터 홀 세그먼트를 이용하지 않고, 냉각 세그먼트의 하류 측에 필터 세그먼트만을 배치하여도,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담배 함유 세그먼트)
담배 함유 세그먼트(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가 권지(이하, 래퍼라고도 한다) 내에 충전되어 있다. 담배 시트를 권지 내에 충전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담배 시트를 래퍼로 싸도 되고, 통 모양의 래퍼 내에 담배 시트를 충전하여도 된다. 담배 시트의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과 같이 긴 방향을 가지는 경우, 담배 시트는 해당 긴 방향이 래퍼 내에서 각각 불특정 방향이 되도록 충전되어 있어도 되고, 담배 함유 세그먼트(5)의 축방향 또는 해당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정렬시켜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냉각 세그먼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 세그먼트(6)는 통 모양 부재(10)로 구성되는 양태를 들 수 있다. 통 모양 부재(10)는 예를 들면 두꺼운 종이를 원통형으로 가공한 지관이어도 된다.
통 모양 부재(10) 및 후술하는 마우스피스 라이닝 페이퍼(15)에는, 양자를 관통하는 천공(11)이 설치되어 있다. 천공(11)의 존재에 의하여, 흡인 시에 바깥 공기가 냉각 세그먼트(6) 내에 도입된다. 이것에 의하여, 담배 함유 세그먼트(5)가 가열됨으로써 생성한 에어로졸 기화 성분이 바깥 공기와 접촉하고, 그 온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액화하여, 에어로졸이 형성된다. 천공(11)의 지름(지름 길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5㎜ 이상, 1.5㎜ 이하여도 된다. 천공(1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여도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천공(11)은 냉각 세그먼트(6)의 둘레 상에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천공(11)으로부터 도입되는 바깥 공기량은, 사용자에 의하여 흡인되는 기체 전체의 체적에 대하여 85체적% 이하가 바람직하고, 80체적%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바깥 공기량의 비율이 85체적% 이하인 것에 의하여, 바깥 공기에 의해 희석되는 것에 의한 향미의 저감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다르게 말하면 벤틸레이션 비율이라고도 한다. 벤틸레이션 비율 범위의 하한은, 냉각성의 관점에서, 55체적% 이상이 바람직하고, 60체적%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 세그먼트는, 구겨지고, 주름지고, 개더 가공된, 또는 작게 접힌 적절한 구성 재료의 시트를 포함하는 세그먼트여도 된다. 이러한 요소의 단면 프로필은, 랜덤으로 향한 채널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또한, 냉각 세그먼트는, 세로 방향 연재 튜브 다발을 포함하여도 된다. 이러한 냉각 세그먼트는, 예를 들면, 주름 잡고, 개더 또는 작게 접힌 시트 재료를 권지로 권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냉각 세그먼트의 축방향 길이는, 예를 들면 7㎜ 이상, 28㎜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18㎜일 수 있다. 또한, 냉각 세그먼트는, 그 축방향 단면 형상으로서 실질적으로 원형일 수 있고, 그 직경은 예를 들면 5㎜ 이상, 10㎜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약 7㎜일 수 있다.
(센터 홀 세그먼트)
센터 홀 세그먼트는 1개 또는 복수의 속이 빈 부분을 가지는 충전층과 해당 충전층을 덮는 이너 플러그 래퍼(내측 권지)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홀 세그먼트(7)는, 속이 빈 부분을 가지는 제2 충전층(12)과 제2 충전층(12)을 덮는 제2 이너 플러그 래퍼(13)로 구성된다. 센터 홀 세그먼트(7)는, 마우스피스 세그먼트(9)의 강도를 높이는 기능을 가진다. 제2 충전층(12)은, 예를 들면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섬유가 고밀도로 충전돼 트리아세틴을 포함하는 가소제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질량에 대하여, 6질량% 이상, 20질량% 이하 첨가되어 경화된 내경 φ1.0㎜ 이상, φ5.0㎜ 이하인 로드로 할 수 있다. 제2 충전층(12)은 섬유의 충전 밀도가 높기 때문에, 흡인 시는, 공기나 에어로졸은 속이 빈 부분만을 흐르게 되고, 제2 충전층(12) 내에는 거의 흐르지 않는다. 센터 홀 세그먼트(7) 내부의 제2 충전층(12)이 섬유 충전층인 것에서, 사용 시 외측으로부터의 촉감은,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일으키게 하는 일이 적다. 또한, 센터 홀 세그먼트(7)가 제2 이너 플러그 래퍼(13)를 가지지 않고, 열성형에 의해 그 형태가 유지되고 있어도 된다.
(필터 세그먼트)
필터 세그먼트(8)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수 또는 복수의 충전층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충전층의 외측은 한 장 또는 복수매의 권지로 권장되어도 된다. 필터 세그먼트(8)의 세그먼트 당 통기 저항은, 필터 세그먼트(8)에 충전되는 충전물의 양, 재료 등에 의하여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충전물이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섬유인 경우, 필터 세그먼트(8)에 충전되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섬유의 양을 증가시키면, 통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충전물이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섬유인 경우,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섬유의 충전 밀도는 0.13~0.18g/㎤일 수 있다. 또한, 통기 저항은 통기 저항 측정기(상품명: SODIMAX, SODIM제)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필터 세그먼트(8)의 둘레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6~25㎜인 것이 바람직하고, 20~2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1~23㎜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8)의 축방향 길이는 4~10㎜를 선택 가능하고, 그 통기 저항이 15~60㎜H2O/seg가 되도록 선택된다. 필터 세그먼트(8)의 축방향 길이는 5~9㎜가 바람직하고, 6~8㎜가 보다 바람직하다. 필터 세그먼트(8)의 단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일 수 있다. 또한, 필터 세그먼트(8)에는 향료를 포함한 파괴성 캡슐, 향료 비즈, 향료를 직접 첨가하여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터 홀 세그먼트(7)와 필터 세그먼트(8)는 아우터 플러그 래퍼(외측 권지)(14)로 접속할 수 있다. 아우터 플러그 래퍼(14)는, 예를 들면 원통형의 종이일 수 있다. 또한, 담배 함유 세그먼트(5)와 냉각 세그먼트(6)와 접속된 센터 홀 세그먼트(7) 및 필터 세그먼트(8)란, 마우스피스 라이닝 페이퍼(15)에 의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은, 예를 들면 마우스피스 라이닝 페이퍼(15)의 내측면에 아세트산 비닐계 풀 등의 풀을 발라, 상기 3개의 세그먼트를 넣어 감는 것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그먼트는 복수의 라이닝 페이퍼로 여러 차례로 나누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와 해당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상기 가열 장치 이외에,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의 일례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와,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외측으로부터 가열하는 가열 장치(16)를 구비한다.
도 3(a)은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를 가열 장치(16)에 삽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은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를 가열 장치(16)에 삽입하여 가열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가열 장치(16)는, 보디(17)와 히터(18)와 금속관(19)과 전지 유닛(20)과 제어 유닛(21)을 구비한다. 보디(17)는 통 모양의 오목부(22)를 가지고, 오목부(22)의 내측 측면으로서, 오목부(22)에 삽입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히터(18) 및 금속관(19)이 배치되어 있다. 히터(18)는 전기 저항에 의한 히터일 수 있고, 온도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 유닛(21)으로부터의 지시에 의하여 전지 유닛(20)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히터(18)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히터(18)로부터 발생된 열은,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관(19)을 통하여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로 전달된다.
도 3(b)에 있어서는,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의 외주와 금속관(19)의 내주 사이에 틈새가 있지만, 실제는,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려는 목적에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의 외주와 금속관(19)의 내주 사이에 틈새는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장치(16)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4)의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외측으로부터 가열하지만, 안쪽으로부터 가열하는 것이어도 된다.
가열 장치에 의한 가열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 4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이상 3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온도는 가열 장치의 히터의 온도를 나타낸다.
또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에는, 향끽미 저해감(자극) 또는 불쾌감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향끽미 저해감이란, 흡입 시 구강이나 목에의 자극을 의미한다. 이하, 향끽미 저해감 또는 불쾌감을 저감시킨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양태]
본 양태에 있어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는, 프룩탄을 포함한다. 해당 담배 시트를 흡연에 제공하면, 프룩탄이 열분해하여 지속적으로 단 향기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지속적인 단 향기는, 흡연 행동의 초기부터 후기까지 계속하여 향끽미 저해감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프룩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눌린형 프룩탄, 레반형 프룩탄, 분기형 프룩탄, 프룩토 올리고당,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코스트 억제의 관점에서, 이눌린형 프룩탄이 바람직하다
이론에 구속되지 않지만, 본 양태의 프룩탄이 캐러멜화 반응에 의하여 단 향기를 발생시키려면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고 추정된다.
프룩탄은, 복수의 단당류가 결합해 형성되어 있고, 한편 단당류 및 이당류 보다 큰 분자 구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프룩탄이 캐러멜화 반응을 일으킨 때에는, 단당류, 이당류 등의 비교적 작은 분자의 당으로 분해한 후, 이러한 단당류나 이당류가 캐러멜화 반응을 일으켜 단 향기를 발생시킨다고 하는 다단계 분해 공정을 거친다고 생각된다. 한편, 단당류나 이당류가 캐러멜화 반응을 일으키는 때에는, 그러한 당이 캐러멜화 반응을 일으켜 단 향기를 직접 발생시킨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프룩탄은, 단당류나 이당류에 비해, 분해 공정이 많은 만큼 늦은 속도로 단 향기를 발생시키고, 또한 장시간에 걸쳐서 단 향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양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프룩탄의 캐러멜화 반응에 관한 특징에 의하여, 흡연 행동의 초기부터 후기까지 계속하여 향끽미 저해감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담배 시트 100질량%에 대한 프룩탄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5질량%, 0.3~3.5질량%, 또는 0.5~3질량%로 할 수 있다. 향끽미 저해감을 억제하는 관점이나 향끽미 저해감 억제의 지속성의 관점에서는, 프룩탄 함유량은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룩탄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향미가 저감되어 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향끽미 저해감의 억제 및 그 지속성과 향미를 양립하는 관점에서는, 프룩탄 함유량은 0.5~3질량%가 바람직하다.
본 양태에 있어서, 담배 원료는, 담배잎, 숙성제 담배잎, 가공제 담배잎, 담배 충전물, 비 담배재,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담배잎, 숙성제 담배잎, 및 가공제 담배잎>
"담배잎"이란, 수확된 담배의 잎이, 후술하는 숙성을 거치기 전의 것의 총칭이다. 또한, 숙성의 한 양태에는 큐어링이 포함된다. 이것에 대하여, 숙성을 거친 담배잎으로서, 담배 제품으로 이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후술하는 담배살이나, 담배 시트, 담배 과립 등)로 가공되기 전의 것을 "숙성제 담배잎"이라고 칭한다. 또한, 숙성제 담배잎을, 담배 제품으로 이용되는 여러 가지 형태로 가공한 것을 "가공제 담배잎"이라고 칭한다.
담배 제품으로 이용되는 가공제 담배잎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숙성제 담배잎을 소정의 크기로 자른 "담배살"을 들 수 있다. 또한, 숙성제 담배잎을 소정의 입경이 되도록 분쇄한 것(이하, "담배 세분"이라고도 한다.)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는 "담배 시트"나, 과립 형상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는 "담배 과립"을 들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담배 세분"도 가공제 담배잎의 한 형태이다.
비 담배재로서는, 식물의 뿌리(비늘 뿌리(비늘 줄기), 덩이 뿌리(고구마류), 구근 등을 포함한다), 줄기, 덩이 줄기, 피(경피, 나무 껍질 등을 포함한다), 잎, 꽃(꽃잎, 암술, 수술 등을 포함한다), 혹은 종실, 또는 수목의 줄기나 가지 등을 들 수 있다.
프룩탄을 포함하는 담배 시트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의 몇 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담배 시트를 조제하여, 외부로부터 프룩탄을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연 성형품에 프룩탄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연 성형품은, 파형 형상이 부여되기 전이어도 후여도 된다.
[제2 양태]
 본 양태에 있어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는,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양태에 있어서 담배 시트는 오리엔트종 유래 재료를 포함하여도 된다. 그 경우, 상기 담배 원료에 대한 오리엔트종 유래 재료의 함유량은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리엔트종 유래 재료의 함유량이 이 범위이면 불쾌감을 보다 저감 시킨 끽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상기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그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이다.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는, 몰 질량이 200~350g/mol인 포화 지방산, 해당 포화 지방산의 에스터, 및 이러한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포화 지방산은, 흡연 시의 불쾌감을 저감한다. 상기 포화 지방산의 에스터는, 알코올과 몰 질량이 200~350g/mol인 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므로, 알코올의 몰 질량에 의해 해당 에스터의 몰 질량은 변동한다. 해당 에스터의 몰 질량은 일 양태에 있어서 210~1300g/mol이다. 포화 지방산의 에스터는, 일반적으로 지방산보다 증기압이 낮기 때문에 흡연 시의 불쾌감 저감 효과를 흡연의 시종에 걸쳐서 지속시킨다. 이하, 흡연 시의 불쾌감 저감 효과를 간단하게 불쾌감 저감 효과라고도 한다.
상기 효과가 주효하다는 관점에서, 상기 포화 지방산 에스터의 몰 질량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240g/mol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g/mol 이상이다. 그 상한치는 1140g/mol 이하, 1112g/mol 이하, 300g/mol 이하, 또는 290g/m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의 함유량은, 상기 담배 원료의 건물 합계 질량 당(건물 질량을 100질량%로 하여) 0.01~3질량%이다. 해당 함유량이 하한치 미만이면 불쾌감 저감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또 상한치를 넘으면 이취감이 증대한다. 이 관점에서, 함유량의 하한치는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며, 그 상한치는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이다. 건물 질량이란, 후술하는 매체를 제외한 질량이며, 바람직하게는 해당 조성물을 100℃에서 5시간 건조했을 때의 잔류물의 질량이다.
포화 지방산 및 상기 에스터에 있어서의 지방산 부위의 탄소수는 12~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1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이 범위이면, 불쾌감 저감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에 있어서의 포화 지방산의, 물에 대한 용해도는, 바람직하게는 0.15㎎/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g 이하이다. 또 그 하한치는 한정되지 않고 0㎎/g여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05㎎/g 이상이다.
상기 포화 지방산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옥탄산, 데칸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및 노나데칸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입수 용이성 및 불쾌감 저감 효과 발현의 관점에서,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또는 노나데칸산이 바람직하다. 해당 포화 지방산은 혼합물이어도 되지만, 혼합물이 아닌 단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양태에 있어서 단품(단일 화합물)이란, 화합물이 순품인 경우, 또는 화합물이 불가피적으로 함유되는 불순물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 양태에 있어서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만으로 이루어진다. 해당 포화 지방산이 단품이면, 본 발명의 담배 조성물을 시트 등의 성형물로 할 경우에, 성형물에 있어서의 포화 지방산의 분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포화 지방산의 에스터(이하 간단하게 "에스터"라고 한다)의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로서는, 전술한 포화 지방산의 알킬 에스터 및 당에스터를 들 수 있다. 알킬 부위는, 메틸기 등의 탄소수 1~10의 직쇄상, 분기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부위는, 자당 등의 이당류 유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상기 에스터의 예로서는, 팔미트산 자당 에스터 및 팔미트산 메틸을 들 수 있다. 해당 에스터에 있어서의 포화 지방산 부위는, 전술한 이유로부터 단품인 포화 지방산에서 유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에스터에 있어서의 알코올 부위는, 단품일 필요는 없지만 전술한 이유로부터 단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터는 유화제로서의 기능도 가진다.
일 양태에 있어서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는, 상기 포화 지방산과 상기 에스터를 포함한다. 이 경우, 불쾌감 저감 효과를 보다 지속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용하는 담배 원료등에 의해,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의 종류를 적당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양태는 범용적이라고 하는 이점도 구비한다.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의 일부 또는 전부는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가 분말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트 등의 성형체로 한 경우에 성형체에 있어서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의 분산성이 향상된다. 그 사이즈는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D50는 바람직하게는 30~1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이다. 또한, 상기 분산성의 관점에서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는, 왁스나 천연 유지에 비해 결정화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담배 시트는 액당을 포함하여도 된다. 액당이란 액상의 당이다. 담배 시트가 액당을 포함하면, 흡연 시의 불쾌감의 저감과 동시에 단맛이 향상된다. 이 관점에서, 액당의 함유량은, 담배 조성물 중의 건물 질량 당, 바람직하게는 3~1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8질량%이다.
담배 시트는 천연 식물성 향료를 포함하여도 된다. 담배 시트가 천연 식물성 향료를 포함하면, 불쾌감 저감 효과에 더불어, 단맛이 향상된다. 이 관점에서, 천연 식물성 향료의 함유량은, 담배 조성물 중의 건물 질량 당, 바람직하게는 0.5~3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3질량%이다. 천연 식물성 향료로서는 담배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리코리스가 바람직하다. 리코리스란 콩과 감초속인 스페인 감초 유래 감미료이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담배 시트에 포함되는 니코틴의 양은 한정되지 않지만, 일 양태에 있어서 담배 시트의 건물 질량 당, 2질량%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니코틴의 양이 증가하면 흡연 시의 불쾌감이 증대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 양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불쾌감 저감 효과가 주효하므로, 니코틴 양이 상기 범위인 경우에 본 양태의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상기 니코틴 양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는 3질량% 이하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상기 니코틴의 양을 1.5질량% 이하로 할 수 있다. 니코틴 양이 상기 범위이면 보다 마일드인 향끽미를 줄 수 있다. 상기 니코틴 양의 하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는 0.1질량% 이상이다. 담배 시트에 포함되는 니코틴은 상기 담배 원료에서 유래해도 되고, 다른 성분에서 유래하여도 된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담배 시트는, 전술한 에어로졸 발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제의 양은, 담배 시트의 건물 질량 당, 바람직하게는 12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질량% 이하이다. 또한, 그 하한치는 한정되지 않고 0질량%이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다. 에어로졸 발생제의 양이 상한치를 넘으면 시트 제조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고, 하한치 미만이면 연기 감량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담배 시트가 바인더를 포함하면, 시트의 강도가 향상된다. 바인더는 섬유끼리 등을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이다. 바인더로서는, 해당 분야에 있어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는, 검류, 수식 셀룰로오스, 및 수식 전분 등의 증점 다당류를 들 수 있다. 바인더의 양은 용도에 따라 적당히 조제되지만, 예를 들면 담배 시트의 건물 질량 당, 1~10질량% 정도로 할 수 있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담배 시트는 임의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물을 조제할 때에,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혼합하여, 해당 첨가제는 배합된 혼합물로 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그 때, 분말인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이용하여, 그 분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담배 시트는, 에어로졸 발생제의 분산성이 양호해진다. 분산성이 양호하다는 것은,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혼합 공정은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의 융점 이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 공정은 10~50℃에서 실시할 수 있다.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슬러리"라고도 한다)은, 이하의 공정을 구비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배 원료 또는 섬유상 담배 재료와 일부 또는 전부가 분말인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와 매체를, 상기 분말이 분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혼합하여 슬러리로 하는 공정.
해당 방법에서는,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가 분말 상태를 유지한 채로 슬러리를 조제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성형체로 한 때에 성분(B)의 분산성이 향상된다. 해당 분말의 사이즈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가 분말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분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매체로서는, 물 및 친수성 유기용매를 들 수 있지만, 취급상, 가장 바람직한 매체는 물이다.
본 방법은, 우선, 실온에서 고체 재료를 분쇄 등에 의해 분말로 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물을 얻는다. 한편, 매체 등의 실온에서 액체 또는 페이스트상인 재료를 혼합하여 액체 혼합물을 얻는다. 그리고 분말 혼합물과 액체 혼합물을 혼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말상의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매체 중에 양호하게 분산시키는 관점에서, 슬러리의 25℃에서의 점도는, 100,000~200,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는 B형 점도계(Brookfield제 DV-I prime)를 이용하고, 스핀들 No. LV4를 이용하여, 회전수 1.0rpm으로 측정한다.
[제3 양태]
본 양태에 있어서 담배 함유 세그먼트(이하 간단하게 "담배 세그먼트"라고도 한다)는, 종이, 또는 에어로졸 발생제를 함유하는 종이를 포함한다. 본 양태에 있어서의 담배 세그먼트의 개요를 도 4a에 나타낸다. 담배 세그먼트(20A)는, 담배 충전물(21)과 그 주위를 권장 하는 래퍼(22)를 구비한다. 담배 충전물(21)은, 상기 담배 시트(T)와 종이(P)를 포함한다. 해당 도면에서는, 담배 시트(T)는 이것을 재단하여 얻은 스트랜드상이며, 종이(P)도 스트랜드 형상이다. 스트랜드는, 담배 시트(T)와 종이(P)를 적층한 시트를 재단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양태를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담배 시트(T)의 파형 형상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4b는, 시트상의 담배 충전물(21)을 나선형으로 래퍼(22) 내에 충전하는 양태를 나타낸다. 시트상의 담배 충전물(21)은, 담배 시트(T)와 종이(P)를 적층한 시트여도 되고, 담배 시트(T)와 종이(P)의 측면끼리 또는 측면 근방부를 접합하여 얻은 시트여도 된다.
도 4c는, 시트상의 담배 충전물(21)을 작게 접어 래퍼(22) 내에 충전하는 양태를 나타낸다. 시트상의 담배 충전물(21)은, 담배 시트(T)와 종이(P)를 적층한 시트여도 되고, 담배 시트(T)와 종이(P)의 측면끼리 또는 측면 근방부를 접합하여 얻은 시트여도 된다.
도 4d는, 각(刻)상의 담배 충전물(21)을 래퍼(22) 내에 충전하는 양태를 나타낸다. 해당 도면에서는, 담배 시트(T)로부터 얻은 각과 각상 종이(P)를 각각 준비하여 이들을 충전하는 양태를 나타냈다. 각은, 담배 시트(T)와 종이(P)를 적층한 시트를 재각한 것이어도 된다.
도 4e는, 시트상의 담배 충전물(21)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부터 압축하여 둥글게 하고, 이것을 래퍼(22) 내에 충전하는 양태를 나타낸다. 시트상의 담배 충전물(21)은, 담배 시트(T)와 종이(P)를 적층한 시트여도 되고, 담배 시트(T)와 종이(P)의 측면끼리 또는 측면 근방부를 접합하여 얻은 시트여도 된다.
(1) 종이
(1-1) 제3-1 양태
담배 세그먼트는 제3-1 양태로서, 충전물로서 담배 시트와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합계 함유량이 0.1~10질량%인 종이를 포함한다. 해당 충전물이란, 담배 세그먼트용 충전물이다. 리그닌이란 나무 등에 포함되는 고분자 페놀 화합물이다. 헤미셀룰로오스란 세포벽에 포함되는 불용성 다당류이다. 이 합계량이 이 범위라면, 흡연 시의 이취(섬유취 등)를 저감할 수 있다. 즉 본 양태에서는, 본래의 향끽미를 크게 저해하지 않고 향끽미를 희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주효하다. 이 관점에서,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합계 함유량의 상한은 9. 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는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미셀룰로오스의 정량]
1) 종이를, 용매로서 물을 이용한 용매 추출에 제공하여, 잔사를 분리한다. 액체 질소 등을 이용하여 해당 잔사를 동결 분쇄하여 시료 A라고 한다.
2) 시료 A와 효소를 반응시켜, 반응 생성물을 회수한다.
3) 반응 생성물을 가수 분해하여, 가수 분해물에 관하여 파장 490㎚로 흡광도 측정을 실시하고, 헤미셀룰로오스를 정량한다.
공정 1)은, 예를 들면, Thermo ScientificTM DionexTM ASETM 고속 용매 추출 시스템(제품번호: ASE-350)을 사용할 수 있다.
공정 2)는,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50㎎의 시료 A를 스크류 병에 넣어 초순수(ML-Q수) 8.5ml와 판크레아틴 용액 0.5ml를 더하여, 40℃, 125rpm에서 16시간 진탕한다. 판크레아틴 용액이란, pH6.4의 0.1M 인산 완충액 100ml에 8g의 판크레아틴을 더하여 1시간 교반한 후, 8000rpm으로 30분 원심 분리한 상청이다. 이어서ml-Q수를 이용하여 상기 시료 액체를, 15ml의 원심관으로 옮겨, 8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 하여, 상청을 제거한다. 이 세정을 3회 반복하여 실시한다. 세정 후, 5% 황산 수용액 10ml를 더하여, 100℃에서 2.5시간 가수 분해를 실시한다. 가수 분해 반응 종료 후, 시료를 실온까지 방냉한다. 이어서, 침전물을 여과하여 분리하고, 여액을 250ml의 메스 플라스크로 회수한다. 여과지 상의 잔사를 ML-Q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250ml로 정용한다. 이 용액을 헤미셀룰로오스 측정용 시료로 한다. 해당 시료 500㎕를 20ml시험관으로 옮겨, 5%페놀 수용액 500㎕와 농황산 2.5ml를 더하여, 10초간 격렬하게 교반한다. 해당 시료를 실온에서 20분 이상 방치하고,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490㎚로 흡광도 측정을 실시하여, 헤미셀룰로오스를 정량한다.
[리그닌의 정량]
i) 상기 시료 A를 준비한다.
ii) 시료 A를 산 수용액에서 환류하고, 환류 처리 후의 시료를 여과하여 분리한다.
iii) 여과하여 분리한 시료를 건조 후, 칭량하여 리그닌 양으로 한다.
공정 ii), iii)는, 구체적으로 이하와 같이 실시할 수 있다.
100㎎의 시료 A를 스크류 병에 넣어 72% 황산 4ml를 더하여 황산에 시료를 완전하게 잠기게 하여, 30℃, 200rpm에서 4시간 진탕한다. 이어서, 희석 후의 황산 농도가 4%가 되도록 초순수(ML-Q수) 157.2ml를 더하여 나스 플라스크로 옮겨, 110℃의 오일 배스에서 2시간 가열 환류를 실시한다. 실온까지 방냉 후, 여과를 실시하고, 로터리 건열기로 건조하여 칭량한다.
본 양태에서 사용하는 종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05~0.8(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6(g/㎤)이다. 밀도는 공지된 방법으로 측정되지만, 하기 식으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 (g/㎤)=무게(g)/면적(㎠)/두께(㎝)
본 양태에서 사용하는 종이의 함유량은, 상기 담배 시트의 건물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7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5~40질량%이다. 종이의 함유량이 해당 범위이면, 본래의 향끽미를 저해하는 일 없이, 향끽미를 적정한 레벨로 희석할 수 있다. 건물 질량이란, 일 양태에 있어서 담배 시트를 100℃에서 5시간 건조했을 때의 잔류물의 질량이다.
본 양태에서 사용되는 종이는,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합계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래퍼 등의 담배 용지나, 상질 인쇄 용지, 중질 인쇄 용지 등의 인쇄 용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취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비도공지 또는 미도공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양태에서 이용되는 종이는, 후술하는 에어로졸 발생제를 포함하여도 되고,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그 양은, 제3-2 양태에서 설명하는 범위여도 되고, 이외의 범위여도 된다.
(1-2) 제3-2 양태
담배 세그먼트는, 제3-2 양태로서, 충전물로서 담배 시트와 에어로졸 발생제를 함유하는 종이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제란, 가열에 의하여 기화하여 냉각되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혹은 무화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재료이다. 본 양태에서는 에어로졸 발생제를 포함하는 종이를 이용하므로, 연량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향끽미를 희석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주효하다. 에어로졸 발생제로서는 전술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양은, 상기 종이의 건물 질량 당, 바람직하게는 3~2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질량%이다. 에어로졸 발생제의 양이 상한치를 넘으면 담배 세그먼트에 주름 등이 발생할 수 있고, 하한치 미만이면 연기 감량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함침 또는 분무 등에 의하여, 에어로졸 발생제를 종이에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를 첨가한 종이의 함유량은, 상기 담배 시트의 건물 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7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5~40질량%이다.
본 양태에서 사용되는 종이는, 한정되지 않고, 제3-1 양태에서 설명한 종이여도 된다. 본 양태에서 사용되는 에어로졸 발생제를 첨가하기 전의 종이의 밀도는, 제3-1 양태에서 설명하는 범위여도 되고, 이외의 범위여도 된다. 또 본 양태에서 이용되는 종이에 포함되는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양은 한정되지 않고, 제3-1 양태에서 설명하는 범위여도 되고, 이외의 범위여도 된다.
(1-3) 형상 등
어느 양태에 있어서도, 종이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담배 시트와 혼합되기 쉬운 형상이면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종이는, 시트, 각, 또는 스트랜드이다. 또한,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종이와 담배 시트와의 형상은 같고,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종이의 각과 담배 시트의 각을 사용한다.
또한, 종이에는 멘톨 등의 해당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향료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담배 라미나(잎담배)를 호소카와 미크론 ACM기로 건식 분쇄하여, 담배 분말을 얻는다. 해당 담배 분말에 관하여, 매스터사이저(Mastersizer)(상품명, 스펙트리스 주식회사 말번·파날리티칼 사업부제)를 이용하여, 건식 레이저 회절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누적 90% 입자 지름(D90)을 측정한 바, 200㎛였다.
상기 담배 분말을 담배 원료로서 이용하여, 담배 시트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담배 원료 70질량부와, 에어로졸 발생제로서의 글라이세린 12질량부와, 제1 성형제로서의 분말상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4질량부와, 제2 성형제로서의 물로 팽윤시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1질량부와, 보강제로서의 섬유상 펄프 5질량부와, 향료로서의 코코아 가루 8질량부를 혼합하여, 압출 성형기에서 혼련한다. 혼련물을 2쌍의 금속제 롤에서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압연 성형품을 얻는다. 해당 압연 성형품에 대하여 제면용 회전식 롤 칼날을 꽉 눌러,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파형 형상을 부여한다. 또한 길이가 20㎜가 되도록 절단하여, 건조함으로써, 길이: 20㎜, 폭: 0.8㎜의 담배 시트를 얻는다. 해당 담배 시트의 두께 방향 단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얻어진 담배 시트에 관하여, 팽창성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담배 시트를 22℃, 60%의 조화실 내에서 48시간 존치한 후, DD-60A(상품명, 보그바르트사제)로 팽창성을 측정한다. 측정은, 담배 시트 15g을 내경 60㎜의 원통형 용기에 넣어 3㎏ 하중으로 30초 압축했을 때의 용적을 구하는 것으로 실시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에 있어서 팽창성은, 후술하는 비교예 1의 팽창성 값을 기준으로, 해당 기준치에 대한 팽창성의 증가율(%)로 나타냈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압연 성형품을 제작한다. 그 후, 복수의 링형의 회전 칼날로 단책 형상으로 절단한다. 또한 길이가 20㎜가 되도록 절단함으로써, 길이: 20㎜, 폭: 0.8㎜의 파형 형상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담배 시트를 얻는다. 얻어진 담배 시트에 관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팽창성을 측정한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표 1에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담배 시트인 실시예 1의 담배 시트에서는, 파형 형상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비교예 1의 담배 시트와 비교하여 팽창성이 향상됐다.
[참고예 1a]
1. 흡연용 조성물 시트의 조제
공지의 초조법으로 제조된 담배 시트(흡연용 조성물 시트)를 준비한다. 해당 담배 시트를 래퍼로 충전하여 흡연용 세그먼트로 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을 조제한다.
2. 프룩탄 또는 프룩토오스 함유 흡연용 조성물 시트의 조제
프로필렌글라이콜과 물의 혼합액(프로필렌글라이콜:물=1:9(질량비)): 90g에 대하여, 이눌린형 프룩탄(후지니혼세이토사제, 제품명 Fuji FF): 10g을 더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이눌린형 프룩탄의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1.과 동일한 담배 시트를 준비하고, 해당 담배 시트의 전체에 널리 퍼지도록, 이눌린형 프룩탄의 용액을 시린지를 이용하여 첨가함으로써, 첨가 후의(이눌린형 프룩탄을 함유하는) 흡연용 조성물 시트 전체에 대한 이눌린형 프룩탄 함유량이 0.5, 1.0, 2.0, 3.0, 또는 3.5질량%인 각 시트를 얻었다.
또한, 프로필렌글라이콜과 물의 혼합액(프로필렌글라이콜:물=1:9(질량비)): 90g에 대하여, 프룩토오스(핫포쇼쿠산주식회사사제, 제품명: 과당): 10g을 더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하여, 프룩토오스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1.과 동일한 담배 시트를 준비하여, 해당 담배 시트의 전체에 널리 퍼지도록, 프룩토오스 용액을 시린지를 이용하여 첨가함으로써, 첨가 후의(프룩토오스를 함유하는) 흡연용 조성물 시트 전체에 대한 프룩토오스의 함유량이 0.5, 1.0, 2.0, 3.0, 또는 3.5질량%인 각 시트를 얻는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프룩탄 함유 흡연용 조성물 시트 또는 프룩토오스 함유 흡연용 조성물 시트를 래퍼로 충전하여 흡연용 세그먼트로 하고, 도 2에 나타내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을 조제했다.
상기 이눌린형 프룩탄은, 프룩탄의 일종이며, 이눌린형 프룩탄을 함유하는 흡연용 조성물 시트는 본원의 실시예에 상당한다. 한편, 상기 프룩토오스는 단당류의 일종이며, 프룩토오스를 함유하는 흡연용 조성물 시트는 본원의 비교예에 상당한다.
3. 향미 및 향끽미 저해감 평가
상기 1 또는 2와 같이 조제한 각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을, 도 3에 나타내는 비연소 외부 가열형 흡연 시스템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준비한 각 향미 흡인 물품에 관하여, 충분히 훈련된 1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하여 향미 및 향끽미 저해감의 평가를 실시했다. 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향미"란, 담배 유래의 향미와 이눌린형 프룩탄 또는 프룩토오스 유래의 단 향미를 조합한 향미를 의미한다.
각 흡연 시험용 두루마리의 향미 및 향끽미 저해감의 평가는, 각 패널리스트가 하기 표 1a의 5단계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여 10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하기 표 1a의 기준에 있어서는, 이눌린형 프룩탄 또는 프룩토오스를 포함하지 않는 시트와 비교하여 동등한 것을 3으로 하고 있다. 평균치가 소수 제2위의 값을 가지는 경우는 소수 제2위를 사사오입 하는 것에 의하여 점수를 산출했다. 평가 결과를 표 2a 및 3a 및 도 5에 나타낸다.
[표 1a]
[표 2a]
[표 3a]
상술한 바와 같이, 이눌린형 프룩탄을 함유하는 흡연용 조성물 시트는 본원의 실시예에 상당하고, 한편, 프룩토오스를 함유하는 흡연용 조성물 시트는 본원의 비교예에 상당한다.
표 2a 및 도 5의 결과로부터, 이눌린형 프룩탄 함유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라, 향끽미 저해감의 수치가 감소하여 향끽미 저해감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눌린형 프룩탄 함유량이 3.0질량% 이상이면, 향끽미 저해감의 수치가 1이 되어, 지극히 강력하게 향끽미 저해감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향끽미 저해감을 억제하는 점에서는, 이눌린형 프룩탄 함유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이눌린형 프룩탄 함유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라, 향미가 저감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미를 중시하는 경우, 향미 수치로서는 1.5 이상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향미와 향끽미 저해감의 억제 효과를 양립하는 관점에서는, 이눌린형 프룩탄 함유량은 0.5~3질량%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표 3a 및 도 5의 결과로부터, 프룩토오스의 첨가에 의해서도 일정한 향끽미 저해감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표 2a 및 도 5에 나타낸 이눌린형 프룩탄에 비해, 프룩토오스는 향끽미 저해감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고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룩토오스에 관하여, 패널리스트로부터는, 향끽미 저해감이 흡연 후반이 되어 많아진다(향끽미 저해감의 억제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는 코멘트가 있었기 때문에, 하기 실시예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눌린형 프룩탄 및 프룩토오스에 관하여,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 지속성에 관하여 비교 실험을 실시했다.
[참고예 2a]
1.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 지속성 평가
상기 참고예 1a의 "2. 프룩탄 또는 프룩토오스 함유 흡연용 조성물 시트의 조제"와 동일하게 하여 조제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을, 도 2에 나타내는 비연소 외부 가열형 흡연 시스템에 설치했다.
이와 같이 하여 준비한 각 향미 흡인 물품에 관하여, 충분히 훈련된 1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하여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 지속성 평가를 실시했다. 각 흡연 시험용 두루마리의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 지속성 평가는, 흡연 후반까지의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 및 흡연 후의 향끽미 저해감이 남지 않는 것에 관하여, 각 패널리스트가 하기 표 4a의 5단계의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여 10명의 패널리스트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평균치가 소수 제2위의 값을 가지는 경우는 소수 제2위를 사사오입 하는 것에 의하여 점수를 산출했다.
하기 표 4a의 기준에 있어서, 이눌린형 프룩탄 함유량 차이에 의한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 지속성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프룩토오스를 2.0질량% 포함하는 시트와 비교하여 동등한 것을 3으로 하고 있다. 또한, 프룩토오스 함유량 차이에 의한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 지속성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이눌린형 프룩탄을 2.0질량% 포함하는 시트와 비교하여 동등한 것을 3으로 하고 있다.
평가 결과를 표 5a 및 6a 및 도 6에 나타낸다.
[표 4a]
[표 5a]
[표 6a]
표 5a 및 도 6의 결과로부터, 이눌린형 프룩탄은, 0.5~3.5질량% 중 어느 함유량에 있어서도, 비교 대상의 2.0질량%의 프룩토오스에 비하여,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 6a 및 도 6의 결과로부터, 프룩토오스는, 0.5~3.5질량% 중 어느 함유량에 있어서도, 비교 대상의 2.0질량%의 이눌린형 프룩탄에 비하여,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의 지속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눌린형 프룩탄은, 캐러멜화 반응에 의하여 단 향미를 발생시키기까지 열분해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천천히 장시간에 걸쳐서 단 향미를 발생시킨다고 생각된다. 한편, 프룩토오스는, 캐러멜화 반응에 의하여, 단시간에 단 향미를 발생시킨다고 생각된다. 단 향미에 의하여 향끽미 저해감은 억제되므로, 이러한 단 향미의 발생시간의 차이에 의하여,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의 지속성의 차이가 발생하였다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눌린형 프룩탄은 프룩토오스보다도 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부터, 본 예의 담배 재료는, 흡연 행동의 초기부터 후기까지 계속하여 향끽미 저해감이 억제되는(향끽미 저해감 억제 효과의 지속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예 1b]
성분(A)으로서, 초조 담배 시트를 준비했다. 해당 시트는 담배 재료와 에어로졸 발생제로서 15질량%의 베지터블 글라이세린을 함유하고 있다. 성분(B)으로서 표 1b에 나타내는 포화 지방산을 준비하고, 해당 시트에 분무했다. 담배 조성물(초조 담배 시트와 성분(B)의 합계)의 건물 질량 당 성분(B)의 첨가량은, 표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예를 들면 예 A1에서는, 담배 조성물의 건물 질량 당 옥탄산의 첨가량은 1.0질량%였다.
[표 1b]
상기 시트를 건조한 후, 복수의 슬릿을 설치한 후에 감아 올려 담배 로드를 얻는다. 이 때, 슬릿의 긴 방향이 담배 세그먼트의 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했다. 해당 담배 로드를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의 비연소 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 물품을 제조했다. 각 세그먼트의 길이는 이하와 같다.
담배 세그먼트: 12㎜
센터 홀부: 8㎜
지관: 20㎜
아세테이트 필터: 40㎜
외경 3.2㎜, 내경 1.3㎜의 속이 빈 원통 히터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해당 비연소 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 물품을 가열하여, 흡연 시험을 실시했다.
전압: 인가 전압 3.0V로 설정
온도 프로파일: 320℃ 일정
예비 가열 시간(흡연 개시 전): 히터를 권부에 삽입 후, 30초 가열
충분히 훈련된 패널리스트 10명에 의해, Visual Analog Scale(카테고리 척도)법에 의하여, 성분(B)을 첨가하지 않고 제조한 비연소 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 물품(하기 비교 참고예 참조)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결과를 표 1b에 나타낸다. 득점차가 낮을 수록 불쾌감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참고 비교예 1b]
성분(B)을 이용하지 않은 이외에는, 참고예 1b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연소 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 물품을 제조했다.
[참고예 2b]
이하의 재료를 준비했다.
성분(A): 담배 라미나(오리엔트종 이외), 담배 라미나(오리엔트종)
성분(B): 팔미트산, 자당 팔미트산에스터
그 외: 리코리스, 액당, 침엽수 펄프, 글라이세린, 바인더(구아검)
이하의 순서로, 비연소 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 물품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1) 담배 라미나를 랩 밀로 분쇄하여, 원료 입경 D90=100㎛의 담배 세분을 얻었다.
2) 과립상의 팔미트산 및 자당 팔미트산에스터를 랩 밀로 분쇄하여, 파우더를 얻었다.
3) 침엽수 펄프를 랩 밀로 분쇄했다.
4) 이러한 분말상의 재료를 Ken 믹서에 넣어, 교반 혼합했다.
5) 믹서 내에, 물, 글라이세린, 리코리스, 액당, 바인더 등 액체 또는 페이스트상 재료를 디스퍼서(Primix사제)에 넣고, 30분간 혼합했다.
6) 이 혼합물에, 상기 펄프를 더하여 디스퍼서(Primix사제)로 30분간 분산시킨다.
7) 상기 4)로 얻은 분말의 혼합물을 6)의 분산액에 더하여, 디스퍼서(Primix사제)로 30분간 혼합했다.
8) 상기 7)로 얻은 혼합물을 철판에 캐스트했다.
9) 상기 캐스트막이 형성된 철판을 80℃ 설정 통풍 건조기에 넣어, 30분 건조한 후, 철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시트상의 담배 조성물을 얻었다. 해당 시트의 두께는 150㎛, 평량은 150g/㎡였다.
10) 시트상 담배 조성물을 슈레더에 넣어 1㎜×10㎜의 각상 담배 조성물을 얻었다.
11) 소정 양의 각상 담배 조성물을 φ7×20㎜의 사이즈로 권지로 감아올려, 단권을 제조했다.
12) 단권을 담배 로드로서 이용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비연소 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 물품을 얻었다.
13) 해당 비연소 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 물품을, 가열 디바이스(니뽄 다바코 산교 주식회사제 PloomS)에 삽입하고, 가열하여, 흡연 평가에 제공했다. 충분히 훈련된 패널리스트에 의한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 결과를 표 2b에 나타냈다.
[참고 비교예 2b]
각 성분의 배합량을 표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한 이외에는, 참고예 2b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연소 가열형 담배 향미 흡인 물품을 제조하여, 평가했다.
[표 2b]
상기로부터, 본 예의 담배 제재에 의해, 흡연 시의 불쾌감이 저감 되는 것이 분명하다.
[참고 비교예 1c]
공지의 초조법으로 제조된 담배 시트를 준비했다. 해당 담배 시트를 래퍼로 충전하여 담배 세그먼트로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을 조제한다. 해당 물품에 관하여, 충분히 훈련된 패널리스트 10명(평균 연령 40세)에 의해 흡연 시험을 실시했다.
[참고예 1c, 참고 비교예 2c]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합계 함유량이 0.1~10질량%인 종이(재료 1~7)와, 해당 함유량이 10질량%를 넘는 종이(재료 8~10)를 준비했다. 참고 비교예 1c에서 준비한 것과 동일한 담배 시트 및 각 종이를, 각각 폭이 0.3~2.0㎜, 길이가 3~50㎜가 되도록 재각했다. 종이의 재각물과 담배 시트의 재각물을, 질량비로 80:20이 되도록 혼합하여, 참고 비교예 1c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을 조제하여, 흡연 시험에 제공했다. 참고 비교예 1c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향끽미, 연량에 관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1: 크게 감소
2: 감소
3: 변함 없음(기준)
4: 증가
5: 크게 증가
섬유취에 관해서는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1: 없음(기준)
2: 매우 낮음
3: 낮음
4: 중간 정도
5: 강함
[표 1c]
[참고예 2c, 참고 비교예 3c]
담배 시트와 재료 5를, 표 2c에 나타내는 양으로 블렌드한 이외에는, 참고예 1c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을 조제하여, 흡연 시험을 실시했다.
[표 2c]
[참고예 3c]
담배 시트와 재료 5를, 표 3c에 나타내는 양으로 블렌드했다. 다만, 재료 5에는, 건조 질량에 대하여, 에어로졸 발생제로서 글라이세린을 10질량% 첨가했다. 해당 블렌드를 사용한 이외에는 참고예 1c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을 조제하여, 흡연 시험을 실시했다.
[표 3c]
[헤미셀룰로오스의 정량]
1) 종이를 Thermo Scientific™ Dionex™ ASE™ 고속 용매 추출 시스템(제품번호: ASE-350) 이용한 용매 추출(용매: 물)에 제공하여, 잔사를 분리했다. 액체 질소 등을 이용하여 해당 잔사를 동결 분쇄하여 시료 A를 얻었다.
2) 시료 A 50㎎을 스크류 병에 넣어 초순수(ML-Q수) 8.55ml 판크레아틴 용액 0.5ml을 더하여 40℃, 125rpm에서 16시간 진탕했다. 다음으로 ML-Q수를 이용하여 상기 시료 액체를, 15ml 원심관으로 옮겨, 8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이 세정을 3회 반복하여 실시한다. 세정 후, 5% 황산 수용액 10ml를 더하여, 100℃에서 2.5시간 가수 분해를 실시하였다. 가수 분해 반응 종료 후, 시료를 실온까지 방냉하였다. 다음으로, 침전물을 여과하여 구별하여, 여액을 250ml의 메스 플라스크에 회수했다. 여과지 상의 잔사를 ML-Q수로 충분히 세정한 후, 250ml에 정용(定容)했다. 이 용액을 헤미셀룰로오스 측정용 시료로 했다.
3) 해당 시료 500㎕를 20ml 시험관으로 옮겨, 5%페놀 수용액 500㎕와 농황산 2.5ml를 더하여 10초간 격렬하게 교반했다. 해당 시료를 실온에서 20분 이상 방치하고,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490㎚로 흡광도 측정을 실시하여, 헤미셀룰로오스를 정량했다.
[리그닌의 정량]
i) 상기 시료 A를 준비했다.
ii) 시료 A 100㎎을 스크류 병에 넣어, 72% 황산 4ml를 더하여 황산에 시료를 완전하게 잠기게 하고, 30℃, 200rpm에서 4시간 진탕했다. 그 다음에, 희석 후의 황산 농도가 4%가 되도록 초순수(ML-Q수) 157.2ml를 더하여 나스 플라스크로 옮겨, 110℃의 오일 배스 안에서 2시간 가열 환류를 실시했다.
iii) 환류 처리한 것을 실온까지 방냉 후, 여과를 실시하고, 로터리 건열기로 건조하고 칭량하여, 리그닌 양으로 했다.
본 예의 담배 세그먼트는, 향끽미를 적당히 희석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다.
이하에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1] 담배 원료를 포함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로서, 상기 담배 시트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파형 형상을 가지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2] 상기 담배 시트가 에어로졸 발생제를 더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3]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가, 글라이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및 1,3-뷰테인다이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2]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4] 상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상기 에어로졸 발생제의 비율이 4~50질량%인, [2] 또는 [3]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5] 상기 담배 시트가, 제1 성형제 및 제2 성형제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6] 상기 제1 성형제가, 다당류, 단백 및 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5]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7] 상기 제2 성형제가, 상기 제1 성형제와는 상이한, 다당류, 단백 및 합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5] 또는 [6]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8] 상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성형제의 비율이 0.1~15질량%인,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9] 상기 담배 시트 100질량%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성형제의 비율이 0.1~15질량%인, [5]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를 포함하는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11] [10]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와,
상기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
를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12]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담배 원료, 에어로졸 발생제, 제1 성형제, 및 제2 성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압연하여 압연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압연 성형품에 회전식 롤 칼날을 꽉 눌러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파형 형상을 부여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방법.
[1a] 프룩탄을 포함하는 담배 재료.
[2a] 상기 프룩탄이, 이눌린형 프룩탄, 레반형 프룩탄, 분기형 프룩탄, 프룩토 올리고당, 및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a]에 기재된 담배 재료.
[3a] 상기 담배 재료 전체에 대한 상기 프룩탄 함유량이, 0.5~3질량%인, [1a] 또는 [2]에 기재된 담배 재료.
[4a] 담배 시트 또는 담배 조각을 더 포함하는, [1a] 내지 [3a]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담배 재료.
[5a] [1a] 내지 [4a]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담배 재료를 포함하는, 가열형 흡연 물품.
[1b] (A) 담배 재료와,
(B)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포함한 담배 조성물로서,
상기 성분(B)이, 몰 질량이 200~350g/mol인 포화 지방산, 해당 포화 지방산의 에스터, 및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해당 조성물 중 건물 질량 당, 성분(B)을 0.01~3질량% 함유하는, 담배 조성물.
[2b] 성분(B)에 있어서의 포화 지방산 및 포화 지방산 에스터는, 각각 단품인, [1b]에 기재된 조성물.
[3b] 성분(B)의 포화 지방산 및 상기 에스터에 있어서의 지방산 부위의 탄소수가 12~20인, [1b] 또는 [2b]에 기재된 조성물.
[4b] 상기 조성물 중 건물 질량 당, 1~10질량%의 액당을 더 포함하는, [1b] 내지 [3b]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5b] 성분(A) 중에, 10질량% 이하인 오리엔트종 유래 재료를 포함하는, [1b] 내지 [4b] 중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6b] 상기 조성물 중 건물 질량 당, 0.5~3질량%의 천연 식물성 향료를 더 포함하는, [1b] 내지 [5b]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7b] 상기 조성물 중 건물 질량 당, 2질량% 이상의 니코틴을 함유하는, [1b] 내지 [6b]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8b] 상기 조성물 중 건물 질량 당, 1.5질량% 이하의 니코틴을 함유하는, [1b] 내지 [6b]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9b] 상기 조성물 중 건물 질량 당, 12질량% 이하의 에어로졸 발생제를 더 포함하는, [1b] 내지 [8b]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10b] [1b] 내지 [9b]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담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시트.
[11b] 성분(A)과, 일부 또는 전부가 분말인 성분(B)과, 매체를, 상기 분말이 분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혼합하여 슬러리로 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1b] 내지 [10b]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담배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b] 상기 슬러리의 점도를 100,000~200,000(mPa·s)으로 하는 것을 더 구비하는, [11b]에 기재된 제조 방법.
[1c] 충전물로서,
담배 재료와,
종이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의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합계 함유량이 0.1~10질량%인,
가열용 담배 세그먼트.
[2c] 충전물로서,
담배 재료와,
에어로졸 발생제를 함유하는 종이를 포함하는,
가열용 담배 세그먼트.
[3c] 상기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합계 함유량이 9. 0질량% 이하인, [1c]에 기재된 담배 세그먼트.
[4c] 상기 종이의 함유량이, 상기 담배 재료의 건물 질량에 대하여 5~70질량%인, [1c] 또는 [3c]에 기재된 담배 세그먼트.
[5c] 상기 종이의 함유량이, 상기 담배 재료의 건물 질량에 대하여 15~40질량%인,
[4c]에 기재된 담배 세그먼트.
[6c] 상기 종이의 밀도가 0.05~0.8[g/㎤]인, [1c] 내지 [5c]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담배 세그먼트.
[7c] 상기 종이의 함유량이, 상기 담배 재료의 건물 질량에 대하여 5~75질량%인, [2c] 또는 [6c]에 기재된 담배 세그먼트.
[8c] 상기 종이가 에어로졸 발생제를 포함하는, [1c] 또는 [3c] 내지 [6c]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담배 세그먼트.
[9c] 상기 [1c] 내지 [8c]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담배 세그먼트를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물품.
[10c] 담배 재료에, 상기 종이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1c] 내지 [8c]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담배 세그먼트의 제조 방법.
1 담배 시트
2 물결
3 톱니 형상
4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5 담배 함유 세그먼트
6 냉각 세그먼트
7 센터 홀 세그먼트
8 필터 세그먼트
9 마우스피스 세그먼트
10 통 모양 부재
11 천공
12 제2 충전층
13 제2 이너 플러그 래퍼
14 아우터 플러그 래퍼
15 마우스피스 라이닝 페이퍼
16 가열 장치
17 보디
18 히터
19 금속관
20 전지 유닛
21 제어 유닛
22 오목부
20A 담배 함유 세그먼트
21 충전물
22 래퍼
T 담배 시트
P 종이

Claims (11)

  1. 담배 원료를 포함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로서, 상기 담배 시트의 두께 방향의 단면이 파형 형상을 가지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룩탄을 더 포함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프룩탄이, 이눌린형 프룩탄, 레반형 프룩탄, 분기형 프룩탄, 프룩토 올리고당, 및 이들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첨가제가, 몰 질량이 200~350g/mol인 포화 지방산, 해당 포화 지방산의 에스터, 및 이들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 함유량이, 상기 시트의 건물(乾物) 질량 당, 0.01~3질량%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 및 포화 지방산 에스터는, 각각 단품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6. 충전물로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와,
    종이를 포함하고,
    상기 종이의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의 합계 함유량이 0.1~10질량%인,
    담배 함유 세그먼트.
  7. 충전물로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와,
    에어로졸 발생제를 함유하는 종이를 포함하는,
    담배 함유 세그먼트.
  8.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를 포함한 담배 함유 세그먼트 혹은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담배 함유 세그먼트
    를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8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와,
    상기 담배 함유 세그먼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
    를 구비하는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담배 원료와, 에어로졸 발생제와, 제1 성형제 및 제2 성형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압연하여 압연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압연 성형품에 회전식 롤 칼날을 꽉 눌러 단책(短冊)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파형 형상을 부여하는 공정과,
    필요에 따라서, 상기 압연 성형품에 상기 프룩탄을 첨가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방법.
  11.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된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담배 원료와, 에어로졸 발생제와, 제1 성형제 및 제2 성형제와, 포화 지방산계 첨가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조제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압연하여 압연 성형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압연 성형품에 회전식 롤 칼날을 꽉 눌러 단책 형상으로 절단하면서 파형 형상을 부여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방법.
KR1020237040043A 2021-04-26 2022-04-26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KR20240000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74180 2021-04-26
JP2021074180 2021-04-26
JP2021113314 2021-07-08
JPJP-P-2021-113314 2021-07-08
JP2021170059 2021-10-18
JPJP-P-2021-170059 2021-10-18
JP2021208018 2021-12-22
JPJP-P-2021-208018 2021-12-22
PCT/JP2022/018913 WO2022230886A1 (ja) 2021-04-26 2022-04-26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用たばこ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並びに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551A true KR20240000551A (ko) 2024-01-02

Family

ID=8384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043A KR20240000551A (ko) 2021-04-26 2022-04-26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49767A1 (ko)
EP (1) EP4331389A1 (ko)
JP (1) JPWO2022230886A1 (ko)
KR (1) KR20240000551A (ko)
WO (1) WO20222308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5914B2 (ja) 1983-09-26 1985-10-12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しわ付シ−トたばこの製造法
JP5015269B2 (ja) * 2007-12-27 2012-08-2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炭素質加熱源を備えた非燃焼型喫煙物品
US9950858B2 (en) * 2015-01-16 2018-04-24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derived cellulose material and products formed thereof
EP3610734A1 (en) * 2015-05-29 2020-02-19 Philip Morris Products S.a.s. Method of making tobacco cut filler
US20180255834A1 (en) * 2015-09-16 2018-09-13 Ad Beauty Gmbh A method and a dispensing arrangement for treating a flow of vaporized liquid provided by an e-cigarette and an e-cigarette for the oral intake of vaporized liquid containing an additional composition
WO2018215479A1 (en) * 2017-05-24 2018-11-29 Philip Morris Products S.A. Homogenised botanical material comprising a basic ph modifier
JP6670981B2 (ja) * 2017-09-05 2020-03-25 日本製紙パピリア株式会社 水分散性シート
JP7373389B2 (ja) * 2018-12-20 2023-11-0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軽い中空セグメント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物品
CN111084405B (zh) * 2020-02-19 2022-05-10 太湖集友广誉科技有限公司 一种再造烟草薄片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30886A1 (ko) 2022-11-03
EP4331389A1 (en) 2024-03-06
WO2022230886A1 (ja) 2022-11-03
US20240049767A1 (en)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20567A (ja) タバコ組成物
CN110573031B (zh) 包含碱性pH调节剂的均质化植物性材料
WO1995020330A1 (fr) Article a fumer
UA126676C2 (uk) Виріб, що нагрівається та генерує аерозоль, який містить гомогенізований рослинний матеріал
US20240049766A1 (en) Tobacco sheet for non-combustion-heating-type flavor inhaler, non-combustion-heating-type flavor inhaler, and non-combustion-heating-type flavor inhalation system
WO2022138262A1 (ja) たばこ組成物、たばこ含有セグメント、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具、及び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KR20240000551A (ko)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WO2022230885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用たばこシート、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及び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JP2023530842A (ja) エアロゾル生成材料
CN117241683A (zh) 非燃烧加热型香味抽吸器用烟草片及其制造方法、非燃烧加热型香味抽吸器以及非燃烧加热型香味抽吸系统
WO2023068214A1 (ja) 香味吸引物品用材料、加熱型香味吸引物品、及び香味吸引物品用材料の製造方法
WO2023053635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用たばこシート、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及び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WO2023068213A1 (ja) 香味吸引物品用材料、加熱型香味吸引物品、及び香味吸引物品用材料の製造方法
WO2023068216A1 (ja) 香味吸引物品用材料、加熱型香味吸引物品、及び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WO2023119760A1 (ja) たばこスラ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たばこ製品の製造方法
WO2023053634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用たばこ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並びに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WO2022230867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用たばこシート、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及び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WO2023053633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用たばこシート、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及び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システム
WO2023067834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器用たばこシートの製造方法
WO2022230500A1 (ja) 飽和脂肪酸系添加剤を含むたばこ組成物
KR20240067127A (ko)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와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KR20240067119A (ko)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KR20240067126A (ko)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
CN118139537A (zh) 香味抽吸物品用材料、加热型香味抽吸物品及加热型香味抽吸系统
KR20240067130A (ko)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용 담배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기, 및 비연소 가열형 향미 흡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