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39U - 다층 구조체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39U
KR20240000339U KR2020240000272U KR20240000272U KR20240000339U KR 20240000339 U KR20240000339 U KR 20240000339U KR 2020240000272 U KR2020240000272 U KR 2020240000272U KR 20240000272 U KR20240000272 U KR 20240000272U KR 20240000339 U KR20240000339 U KR 202400003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layer
frame
layer structure
structu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40000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환
Original Assignee
이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환 filed Critical 이영환
Priority to KR2020240000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339U/ko
Publication of KR20240000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Extraordinary structures, e.g. with suspended or cantilever parts supported by masts or tower-like structures enclosing elevators or stairs;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체는, 지하로부터 지상까지 연속 형성된 하나 이상의 코어 골조, 하나 이상의 코어 골조 사이에 배치되고 지하로부터 지상까지 연속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브 골조, 및 코어 골조 및 서브 골조와 고정 결합되고 다층 구조체의 각 층을 구분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래브를 포함하고, 다층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독립적으로 증축 가능한 서브 구조체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층 구조체{MULTILAYER STRUCTURE}
본 개시는 다층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구조체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어바니즘(Urbanism)은 마을 및 도시와 같은 지역의 주민들이 건축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를 나타낸다. 한편, 어바니즘은 다른 의미에서 도시 계획과 동의어이며 어바니스트(Urbanist)는 도시 계획자를 나타낸다. 어바니즘이라는 용어는 19세기 후반에 스페인 엔지니어이자 건축가인 일데폰스 세르다가 도시의 공간적 조직화에 초점을 맞춘 자율적 활동을 만들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20세기 초 중앙 집중식 건축, 복합 용도 이웃, 사회 조직 및 네트워크가 부상됨에 따라 어바니즘이 함께 출현하게 되었다.
어바니즘은, 도시 구조의 물리적 설계 및 관리에 중점을 둔 도시 계획이나, 도시 생활과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인 도시 사회학과 같은 학문의 직접적인 구성 요소이다. 많은 건축가, 계획가, 지리학자 및 사회학자는 도시 계획 등을 위해 다양한 이론과 접근 방식을 통해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조사한다. 최근 도시 인구 집중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많은 인원의 사람들이 각자의 영역을 확보하면서도 공간적으로 조직화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루즈핏 어바니즘(Loose Fit Urbanism)을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층에 서브 구조체가 독립적으로 증축 가능하도록 구성된 다층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체는, 지하로부터 지상까지 연속 형성된 하나 이상의 코어 골조, 하나 이상의 코어 골조 사이에 배치되고 지하로부터 지상까지 연속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브 골조, 및 코어 골조 및 서브 골조와 고정 결합되고 다층 구조체의 각 층을 구분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래브를 포함하고, 다층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독립적으로 증축 가능한 서브 구조체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 구조체의 각 층의 체적은 서브 구조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 구조체의 각 층의 높이는 13m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층을 가지고 독립된 주거 형태로 증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래브의 내측에 형성되고 코어 골조 또는 서브 골조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어 서브 구조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층 구조체는 독립적으로 증축 가능한 서브 구조체를 통해 많은 수의 인원을 공간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으므로, 루즈핏 어바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층 구조체는 100% 이상의 용적율을 바탕으로 각 층의 서브 구조체가 증축됨으로써 거주하는 사람들의 공간적인 여유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종래 지면 상의 건물들이 하나의 다층 구조체 내에서 복수의 서브 구조체로 편입됨으로써 건물 각자의 영역을 확보하면서도 공간적으로 더욱 조직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체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에 배치된 다층 구조체를 나타낸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도면의 위쪽은 그 도면에 도시된 구성의 "상부" 또는 "상측", 그 아래쪽은 "하부" 또는 "하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의 상부와 하부의 사이 또는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측부" 또는 "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상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한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개방된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 방향을 "외측"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 "외측" 등과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그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체(100)의 개념도이다.
다층 구조체(100)는 지면 또는 구조물 상에 세워진 구조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층 구조체(100)는 지면(미도시) 위쪽으로 형성되는 상부 구조(superstructure)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층 구조체(100)의 적어도 일부는 지면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지면 아래로 배치되는 다층 구조체(100)의 일부분은 높이가 20 ~ 30m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구조체(100)는 하나 이상의 층(110, 120, 130, 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구조체(100)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독립적으로 증축 가능한 서브 구조체(예를 들어, 도 4의 410, 42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 구조체(100)의 각 층(110, 120, 130, 140)에는 독립된 주거 형태로 증축된 서브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서브 구조체는 1층 또는 2층 이상의 단독 주택일 수 있다.
다층 구조체(100)의 각 층(110, 120, 130, 140)의 체적은 서브 구조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층(110, 120, 130, 140)의 체적은 증축되는 서브 구조체의 체적에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 구조체(100)의 각 층의 높이는 대략 12 ~ 14m에 해당할 수 있다.
다층 구조체(100)는 독립적으로 증축 가능한 서브 구조체를 통해 많은 수의 인원을 공간적으로 조직화할 수 있으므로, 루즈핏 어바니즘(Loose Fit Urbanism)을 구현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층 구조체(100)는 100% 이상의 용적율을 담을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용적율을 바탕으로 각 층의 서브 구조체가 증축될 수 있고, 거주하는 사람들은 공간적인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체(200)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100)와 대응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구조체(200)는 하나 이상의 코어 골조(210), 하나 이상의 서브 골조(220), 하나 이상의 슬래브(230), 하나 이상의 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골조(210)는 지하로부터 지상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 골조(210)는 하나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 골조(210)는 축공간을 형성하는 기본 뼈대 중의 하나일 수 있다. 코어 골조(210)는 다층 구조체(200)의 각 하부 구성을 지탱하는 수직재일 수 있다. 코어 골조(210)는 철근 및/또는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골조(210)는 다층 구조체(200)의 모서리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코어 골조(210)는 다층 구조체(200)를 지탱하기 용이한 임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골조(220)는 하나 이상의 코어 골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골조(220)는 지하로부터 지상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골조(220)는 하나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골조(220)는 다층 구조체(200)의 하중이 분산되도록 코어 골조(210)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브 골조(220)는 코어 골조(210) 사이에 배치되어 다층 구조체(200)의 각 하부 구성을 지탱하는 수직재일 수 있다. 서브 골조(220)는 철근 및/또는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슬래브(230)는 다층 구조체(200)의 각 층을 구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래브(230)는 코어 골조(210) 및 서브 골조(22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래브(230)는 코어 골조(210) 및 서브 골조(22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코어 골조(210) 및/또는 서브 골조(220)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보 상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230)는 한 장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또는 들보)는 슬래브(2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보는 코어 골조(210) 또는 서브 골조(220)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는 코어 골조 또는 서브 골조 중 적어도 하나 사이를 건너질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는 다층 구조체(200)의 각 층에 증축된 서브 구조체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는 다층 구조체(200)의 층간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구조체(200)의 하부 구성, 즉 코어 골조(210), 서브 골조(220), 슬래브(230), 및 보의 구조, 배열 관계, 또는 강도는, 다층 구조체(210)의 적어도 하나의 층 상에 증축된 서브 구조체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 구조체(200)는 서브 구조체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벽식 구조, 무량판 구조, 라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다층 구조체(200)에는 외측 벽체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층 구조체(200)는 각 층에 증축된 서브 구조체를 감싸도록 형성된 외측 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체(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300)는 도 1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100) 및 도 2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200)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될 수 있다. 도 3에서, 서브 구조체(312, 322)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다층 구조체(300)의 기본 골조로부터 이격되어 도시되었다.
다층 구조체(300)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서브 구조체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 구조체(300)의 제1 층(310)에는 서브 구조체가 증축되지 않는 반면, 제2 층(320)에는 서브 구조체가 증축될 수 있다. 다층 구조체(300)에서, 코어 골조(도 2의 210), 서브 골조(도 2의 220), 슬래브(도 2의 230) 등이 우선 형성되고, 이후 각 층(예를 들어, 도면 부호 310, 320)에 서브 구조체(예를 들어, 도면 부호 312, 322)가 추가적으로 증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서브 구조체(312, 322)는 후속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구조체(300)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서브 구조체가 증축되지 않고, 다층 구조체(300)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공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 구조체(300)의 제1 층(310)에는 조경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층(310)에는 조경 설계에 필요한 생태 적수 처리 시스템, 빗물 차집 시스템, 오수 정화 시스템, 점적 관수 시스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구조체(410, 420)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서브 구조체(410, 420)는 도 3에 도시된 서브 구조체(312, 322)와 대응될 수 있다.
서브 구조체(410, 420)는 다층 구조체의 각 층에 증축될 수 있다. 서브 구조체(410, 420)는 하나 이상의 층을 갖는 독립된 주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구조체(410, 420)는 복층 형태의 단독 주택에 해당할 수 있다. 서브 구조체(410, 420) 각각은 다층 구조체 상에 증축되는 골조, 벽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구조체(410, 420)는 복합 골조 건물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브 구조체(410, 420)는 복층형 건축물 구조로서 하층부, 상층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에 배치된 다층 구조체(500)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다층 구조체(500)는 도 1의 다층 구조체(100), 도 2의 다층 구조체(200), 도 3의 다층 구조체(300)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될 수 있다. 도 5에서, 서브 구조체(520, 530)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다층 구조체(500)의 기본 골조(510)로부터 이격되어 도시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다층 구조체(500)는 마을 또는 도시의 건축 환경과 상호 공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구조체(500)는 주변 건물(540)과 인접하도록 건축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층 구조체(500)는 주변 건물(540)의 일조권이 확보될 수 있도록, 주변 건물(54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층 구조체(500)는 도시 인구 집중 현상에 대한 대안으로서, 많은 인원의 사람들이 각자의 영역을 확보하면서도 공간적으로 조직화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층 구조체(500)는 용적율이 100%를 상회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도시 공간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지면 상의 건물(예를 들어, 도면 부호 540)들이 다층 구조체(500)의 각 층에 증축될 수 있으므로, 도시 공간에서 건축물이 없는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지면 상의 건물들은 하나의 다층 구조체(500) 내에서 복수의 서브 구조체(520, 530)로 편입됨으로써 각자의 영역을 확보하면서도 공간적으로 더욱 조직화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200: 다층 구조체
210: 코어 골조
220: 서브 골조
230: 슬래브
312, 322: 서브 구조체

Claims (4)

  1. 다층 구조체로서,
    지하로부터 지상까지 연속 형성된 코어 골조;
    상기 지하로부터 상기 지상까지 연속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브 골조; 및
    상기 코어 골조 및 상기 서브 골조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다층 구조체의 각 층을 구분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슬래브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골조는,
    상기 슬래브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하로부터 상기 지상까지 연속 형성된 제1 수직재 및 상기 슬래브의 일단부에 대향하는 타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하로부터 상기 지상까지 연속 형성된 제2 수직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재 및 상기 제2 수직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슬래브 중 최상층에 대응하는 슬래브의 상부를 가로질러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다층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는, 독립적으로 증축 가능한 복수의 서브 구조체가 형성되고,
    상기 다층 구조체의 제1 층의 체적은, 상기 복수의 서브 구조체 중 단층을 가진 서브 구조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다층 구조체의 제2 층의 체적은, 상기 복수의 서브 구조체 중 복수의 층을 가진 서브 구조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은 서로 상이한 층인, 다층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체의 각 층의 높이는 13m에 해당하는, 다층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층을 가지고 독립된 주거 형태로 증축되는, 다층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코어 골조 또는 상기 서브 골조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구조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
    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체.
KR2020240000272U 2021-08-17 2024-02-08 다층 구조체 KR202400003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40000272U KR20240000339U (ko) 2021-08-17 2024-02-08 다층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2557U KR20230000399U (ko) 2021-08-17 2021-08-17 다층 구조체
KR2020240000272U KR20240000339U (ko) 2021-08-17 2024-02-08 다층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557U Division KR20230000399U (ko) 2021-08-17 2021-08-17 다층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39U true KR20240000339U (ko) 2024-02-23

Family

ID=853262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557U KR20230000399U (ko) 2021-08-17 2021-08-17 다층 구조체
KR2020240000272U KR20240000339U (ko) 2021-08-17 2024-02-08 다층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557U KR20230000399U (ko) 2021-08-17 2021-08-17 다층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00399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399U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52558A1 (en) Waffle box building technology
JP2012251343A (ja) 防災機能を有するpc人工地盤と集落としての自治機能とを備えた集合住宅街区システム
CN103452219A (zh) 一种蜂窝钢暗梁组合楼盖
ES2369947B1 (es) Sistema de construcción modular.
KR20240000339U (ko) 다층 구조체
JP5674269B2 (ja) 構造物
Khazai et al. Intermediate shelters in Bam and permanent shelter reconstruction in villages following the 2003 Bam, Iran, earthquake
CN202202415U (zh) 一种矩形钢管混凝土异形柱与钢梁框架边节点
JP2004251056A (ja) 建物の構造
US20210032855A1 (en) Construction System
KR102154215B1 (ko)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KR101266215B1 (ko) 내진 성능이 향상된 중복도 격간벽구조 시스템
JP7334384B2 (ja) ユニット建物
JP3494372B2 (ja) 建 物
Ji et al. Exploring attributes of vernacular Assam type house design techniques in contemporary setting
JP3170692U (ja) 補強ユニットを備えたトラス式構造体
EP4089244A1 (en) Expandable, removable and reusable modular high-rise building made up of prefabricated elements
RU62623U1 (ru) Мал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го типа
Ali et al. Stone masonry residential buildings
JP4004946B2 (ja) 外壁パネルを用いた建物の建築方法
Sharma et al. Exploring Technological Innovations in Indian Housing Sector
Shroff et al. Pre-Fabricated Architecture For Urban Adaptability: Factory Built Constructions–Sustainable & Flexible Urban Solutions
Pronk et al. Slimline floor an invention by Pronk and Lichtenberg
Xie et al. Slimline floor an invention by Pronk and Lichtenberg
Pape Structural Building Design Selection for Sukup Hall, Elings Hall, and the Advanced Teaching and Research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