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30A -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30A
KR20240000330A KR1020220114338A KR20220114338A KR20240000330A KR 20240000330 A KR20240000330 A KR 20240000330A KR 1020220114338 A KR1020220114338 A KR 1020220114338A KR 20220114338 A KR20220114338 A KR 20220114338A KR 20240000330 A KR20240000330 A KR 2024000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mage
area
inform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태
구본석
소병석
안태경
윤상기
이영철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719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49276A1/ko
Publication of KR2024000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며,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n electronic device providing image content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at projects an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개시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하나의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컨텐츠의 화질이 좋아지고 있어 가정 내에서도 대화면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가정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역시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크기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다만,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커질수록 대화면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 제조 과정상 문제 및 전자 장치를 구매하는 비용 증가로 인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제공하는 화면의 크기에는 한계가 존재하고, 가정내 이미 설치된 전자 장치 디스플레이로 인하여 설치 및 사용 환경에 제약이 발생한다. 또한, 컨텐츠의 유형, 가정 내의 환경, 가족 구성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크기 화면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존재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전자 장치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2 전자 장치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제2 전자 장치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전자 장치와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투사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전자 장치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투사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확대에 따라 음장 효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과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 타이밍과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 투사 타이밍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화면을 확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사면에서 제1 전자 장치가 측면 영역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컨텐츠 영상의 관심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복수의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전자 장치와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전자 장치와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그리고,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전자 장치와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제공하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200)는 벽 또는 스크린으로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등과 같은 영상 투사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100)는 메인(Main) 장치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200)는 세컨더리(Secondary) 장치로 동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가정 내의 벽에 설치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설치된 벽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의 일 영역 상에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컨텐츠의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나머지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제2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영상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오디오 역시 분할할 수 있으며, 분할된 오디오 중 일부는 제1 전자 장치(100)를 통해 출력하고, 분할된 오디오 중 다른 일부는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스피커(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입력 인터페이스(140), 메모리(15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제1 전자 장치(100)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구성이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10)는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때, 컨텐츠의 일부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연동하는 제2 전자 장치(200)와의 동기화를 위하여, 기설정된 색의 화면 또는 기설정된 패널으로 변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110)가 특정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120)는 다양한 음성 메시지 및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스피커(13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때,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컨텐츠의 오디오에 대해서는 추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스피커(120)는 제1 전자 장치(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전자 장치(100) 외부에 구비되어 제1 전자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를 포함하며 다양한 유형의 제2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BLE(Bluetooth Low Energy)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셀룰러 통신모듈, 3G(3세대) 이동통신 모듈, 4G(4세대) 이동통신 모듈, 4세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5G(5세대) 이동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할 때,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2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정보 및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제2 전자 장치(200)로 컨텐츠의 일부 영상 및 오디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유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모리(150)는 제1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관련된 인스트럭션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5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 컨텐츠 획득 모듈(320), AV 신호 분리 모듈(330), 영상 분석 모듈(340), 영상 분할 모듈(350), 오디오 변환 모듈(360), 오디오 후처리 모듈(370), AV 신호 합성 및 분배 모듈(380), 컨텐츠 출력 모듈(390) 및 컨텐츠 전송 모듈(395)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이 실행되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이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로 로딩(loading)할 수 있다. 여기서, 로딩이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불러들여 저장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한편, 메모리(150)는 비휘발성 메모리(ex: 하드 디스크,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50) 내의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2 전자 장치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고,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2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투사면에 대한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획득된 투사면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투사면 중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획득되는 영상 중 투사면 중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식별하고, 획득되는 영상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2 전자 장치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통해 제2 전자 장치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오디오의 채널을 제2 전자 장치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출력 사양에 대응되는 채널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를 변환된 채널로 매핑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변환된 채널별로 오디오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1 전자 장치에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고,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투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하고,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투사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과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영상 출력 타이밍 및 제2 전자 장치의 영상 투사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영상 출력 타이밍을 제2 전자 장치의 영상 투사 타이밍과 매칭될 수 있게 조정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입력되는 영상의 메타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 및 입력되는 영상을 분할하여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모듈(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 컨텐츠 획득 모듈(320), AV 신호 분리 모듈(330), 영상 분석 모듈(340), 영상 분할 모듈(350), 오디오 변환 모듈(360), 오디오 후처리 모듈(370), AV 신호 합성 및 분배 모듈(380), 컨텐츠 출력 모듈(390) 및 컨텐츠 전송 모듈(395) 중 적어도 하나)에 도시된 이 각종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로 로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60)가 복수의 구성을 통해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투사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면에서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과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를 포함하는 투사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획득된 투사면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투사면 중 제1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를 포함하는 투사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200)는 획득된 영상을 제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투사면 중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410) 및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420)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1 전자 장치(100)를 포함하는 투사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예로, 스마트 폰)을 통해 제1 전자 장치(100)를 포함하는 투사면을 촬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외부 휴대 단말과 연동하는 경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촬영 영상 포함)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제2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따른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는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투사면에서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은 기설정된 위치(예로, 중앙 영역 등)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가 d1인 경우,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d1)에 대응되는 제1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제1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510)과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520)을 식별할 수 있다. 특히,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제1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와 기 저장된 제1 전자 장치(100)의 크기 및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510)과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520)을 식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가 d1 보다 긴 d2인 경우,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d2)에 대응되는 제2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제2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610)과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620)을 식별할 수 있다.
그 밖에,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은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크기 정보, 해상도 정보, 스피커 정보 등) 및 제2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스피커 정보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획득 모듈(320)은 다양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로, 컨텐츠 획득 모듈(320)은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획득 모듈(320)은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예로, HDMI 단자 등)를 통해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획득 모듈(320)은 제1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AV 신호 분리 모듈(330)은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AV 신호 분리 모듈(330)은 영상 신호를 영상 분석 모듈(340)로 입력하고,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변환 모듈(360)로 입력할 수 있다.
영상 분석 모듈(340)은 AV 신호 분리 모듈(330)을 통해 입력된 영상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분석 모듈(340)은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 및 투사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의 확대 비율, 크롭 영역, 주요 오브젝트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석 모듈(340)은 투사면의 종횡비 및 크기를 바탕으로 입력되는 영상의 확대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55인치이고, 투사면의 크기가 110인치인 경우, 영상 분석 모듈(340)은 확대 비율 2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내의 주요 오브젝트를 제1 전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경우, 영상 분석 모듈(340)은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주요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주요 오브젝트의 표시 영역을 제1 전자 장치(100)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영상의 크롭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분할 모듈(350)은 영상 분석 모듈(340)에 의해 획득된 분석 결과 및 투사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분할 모듈(350)은 영상 분석 모듈(340)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은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에 의해 식별된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되며, 제2 영역은 투사면 정보 획득 모듈(310)에 의해 식별된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즉,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영상 분할 모듈(350)은 영상 분석 모듈(340)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할 제1 영역의 영상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할 제2 영역의 영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분할 모듈(350)은 제1 영역에 대한 영상을 출력할 제1 영상 신호와 제2 영역에 대한 영상을 출력할 제2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영상 분할 모듈(350)은 분할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할 영상에 대한 정보(예로, 밝기, 색, 명암비 등)를 결정하고,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할 영상에 대한 정보(예로, 밝기, 색, 명암비 등)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영상 분할 모듈(350)은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할 영상 중 제1 영역(즉,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에 대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밝기(예로 검정색)를 가지는 빛을 투사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할 모듈(350)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경계가 이질적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분할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 영역에 대해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분할 모듈(350)은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경계 영역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평균 픽셀을 표시하도록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할 모듈(350)은 제2 영역의 경계 영역에 대해 제1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휘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가 제2 전자 장치(200)보다 휘도가 밝으므로, 영상 분할 모듈(350)은 제2 영역의 경계 영역에 대해 제1 영역(또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가까워질수록 휘도가 점점 증가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분할 모듈(350)은 제2 영역의 경계 영역을 제1 영역 방향으로 확장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오버랩되도록 제2 영역을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변환 모듈(360)은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채널을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출력 사양에 대응되는 채널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채널이 2.1 채널이고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출력 사양이 5.1 채널구성이 가능한 경우, 오디오 변환 모듈(360)은 오디오 신호를 2.1 채널에서 5.1 채널로 업스케일링하여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1 전자 장치(100)가 5.1 채널의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의 채널이 5.1 채널이고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출력 사양이 2.1 채널인 경우, 오디오 변환 모듈(360)은 오디오 신호를 5.1 채널에서 2.1 채널로 다운스케일링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변환 모듈(360)은 제2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신호를 변환된 채널로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가 복수의 채널 중 우퍼 채널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오디오 변환 모듈(360)은 제2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따라 우퍼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오디오 후처리 모듈(370)은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변환된 채널별로 오디오 신호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후처리 모듈(370)은 영상의 확대 따른 음장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변환된 채널별로 오디오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0) 상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의 좌상단의 제1 지점(710)에서 오디오(예로, 총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투사면까지 영상이 확대된 경우, 제1 지점(710)에서 계속해서 오디오가 발생한다면, 오디오가 화면의 좌상단이 아닌 중앙에서 발생한 것처럼 들리므로, 영상과 오디오 사이에 괴리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 후처리 모듈(370)은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분석한 결과(예로, 확대 비율 등)에 기초하여 제1 지점(710)이 아닌 투사면의 좌상단인 제2 지점(720)에서 오디오가 발생할 수 있도록 채널별로 오디오 신호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후처리 모듈(370)은 후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할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출력할 제2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AV 신호 합성 및 분배 모듈(380)은 영상 분할 모듈(350)에 의해 획득된 제1 영상 신호 및 제2 영상 신호와 오디오 후처리 모듈(370)에 의해 획득된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2 오디오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V 신호 합성 및 분배 모듈(380)은 제1 전자 장치(100)가 제공할 제1 컨텐츠로서 제1 영상 신호와 제1 오디오 신호를 합성할 수 있고, 제2 전자 장치(200)가 제공할 제2 컨텐츠로서 제2 영상 신호와 제2 오디오 신호를 합성할 수 있다.
이때, AV 신호 합성 및 분배 모듈(380)은 제1 및 제2 영상 신호와 제1 및 제2 오디오 신호를 동기화시킬 수 있으며,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의 출력 차이(예로, 해상도, 게인값 등)에 따라 제1 및 제2 영상 신호와 제1 및 제2 오디오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컨텐츠 출력 모듈(390)은 AV 신호 합성 및 분배 모듈(380)로부터 출력된 제1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출력 모듈(390)은 제1 컨텐츠의 제1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1 컨텐츠의 제1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 모듈(395)은 AV 신호 합성 및 분배 모듈(380)로부터 출력된 제2 컨텐츠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컨텐츠의 제2 영상 신호를 투사면으로 투사함으로써 영상의 나머지 일부를 투사할 수 있으며, 제2 컨텐츠의 제2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제2 전자 장치(200)와 연동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전에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영상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화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과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투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810). 이때,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은 흰색의 화면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색(예로, 노란색 등)의 화면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820). 구체적으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과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포함하는 투사면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을 제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S830).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은 제1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사양, 제2 전자 장치(200)의 프로젝션부 사양, 외부 환경(예를 들어, 실내조명 환경 등) 등에 의해 서로 다른 밝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영상 속에 포함된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의 밝기 비율(또는 밝기 차이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밝기 비율(또는 밝기 차이값)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의 밝기가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의 밝기보다 1.25배 밝은 경우,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의 밝기를 20% 감소시키거나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의 밝기를 25% 증가시키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밝기와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의 밝기를 동일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 타이밍과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영상 투사 타이밍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투사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910). 이때,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하는 화면은 삼각형 변 하나씩 추가되는 화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920). 구체적으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하는 화면과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하는 화면을 포함하는 투사면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200)는 촬영된 영상을 제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영상 출력 타이밍 및 제2 전자 장치(200)의 영상 투사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S930).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은 통신 환경 등에 의해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패턴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100)는 영상 속에 포함된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 사이에서 패턴이 동일하게 변경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패턴이 동일하게 변경되지 않으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영상 속에 포함된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 사이의 패턴이 변화하는 시간차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시간차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의 영상 출력 타이밍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의 영상 투사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이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보다 1초 빠른 경우,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의 영상 출력 타이밍을 1초 느리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S1010).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투사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투사면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투사면 중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통해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전자 장치(200)와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한다(S1020).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는 획득되는 영상 중 투사면 중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1 영역으로 식별하고, 획득되는 영상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2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한다(S1030).
뿐만 아니라, 제1 전자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오디오의 채널을 제2 전자 장치(200)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출력 사양에 대응되는 채널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를 변환된 채널로 매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변환된 채널별로 오디오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투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출력하는 화면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투사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과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는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2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0)의 영상 출력 타이밍 및 제2 전자 장치(200)의 영상 투사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0)는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시청하는 동안 시청자의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 외부의 배경 영역에 대해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200)가 특정 색이나 패턴을 가지는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1 모드(예로, 집중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대화면으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가 영상의 일부를 표시하고, 제2 전자 장치(200)가 영상의 나머지 일부를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2 모드(예로, 확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외부 오디오 장치(예로, 사운드 바)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컨텐츠의 영상은 제1 전자 장치(100)와 제2 전자 장치(200)가 분할하여 재생하고, 컨텐츠의 오디오는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동하여 재생하는 제3 모드(예로, 사운드 강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컨텐츠에는 영상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자 장치(100)는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100)는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장면별로 영상을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로, 컨텐츠의 제1 장면에 대해 영상 분할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1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의 제1 장면에서 영상 및 오디오를 분할하여 제2 전자 장치(200)와 함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의 제2 구간에 대해 영상 유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가 포함된 경우, 제1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의 제2 장면에서 제1 전자 장치(100)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에 포함된 장면별로 영상을 확대하여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는 장면의 유형이 특성에 따라 다양한 화면 사이즈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여 더욱 생동감 있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비율은 유지하면서 크기를 확대하여 제1 전자 장치(100)가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전자 장치(200)가 영상의 나머지 일부를 투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의 원본은 유지하고, 제2 전자 장치(200)가 영상을 좌우 또는 상하로 확대한 추가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화면을 확대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1 전자 장치(100)는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영상(1110)을 원본 비율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수평 방향으로 영상 확장을 위한 플래그 정보가 포함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의 추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추가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의 좌우 주변에 추가 영상(112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영상과 추가 영상은 하나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화면은 기존의 영상(1110)에 비해 수평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의 영상(1210)을 원본 비율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수직 방향으로 영상 확장을 위한 플래그 정보가 포함되면, 제1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의 추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추가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 위쪽 주변에 추가 영상(122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영상과 추가 영상은 하나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나의 화면은 기존의 영상(1110)에 비해 수직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 장치(200)가 영상의 수평 방향에 영상을 투사할지, 수직 방향에 영상을 투사할지 여부는 장면의 유형이나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영상의 비율은 유지하면서 화면을 확장함으로써, 시청자는 컨텐츠의 일부 장면에서 더욱 확장된 영상으로 생동감있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전자 장치(200)가 컨텐츠의 일부를 투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영상이나 정보를 투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장치(100)는 장면 인식을 위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인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나 영상을 제2 전자 장치(200)가 투사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전자 장치(200)는 현재 제1 전자 장치(100)가 제공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나 연관 영상(예로, 광고 영상 등)을 투사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100)는 메타 데이터와 같은 부가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에 직접 전달하지 않고, 컨텐츠를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나 영상을 제2 전자 장치(200)가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이 투사면의 중앙 영역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전자 장치(100)는 투사면의 다양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1310)이 투사면의 측면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투사면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투사면 중 제1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자 장치(200)는 투사면의 측면 영역에 위치한 제1 전자 장치(100)를 포함하는 투사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200)는 획득된 영상을 제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0)는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투사면 중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1310) 및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1320)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제1 전자 장치(100)가 컨텐츠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 영상의 관심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0)는 입력되는 컨텐츠 영상의 관심 영역(주요 물체나 인물이 위치하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 및 제1 전자 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컨텐츠 영상의 관심 영역에 기초하여 컨텐츠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에 컨텐츠 영상의 관심 영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관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는 컨텐츠의 관심 영역(예로, 태양이 위치하는 영역)(1410)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전자 장치(200)는 관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420)을 투사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자 장치(100)는 관심 영역의 위치에 따라 컨텐츠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컨텐츠 영상의 일부 영역을 크롭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입력되는 컨텐츠의 영상을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할 제1 영역 및 제2 전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할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전자 장치(100)는 입력되는 컨텐츠의 영상을 세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할 제1 영역(1510), 제2 전자 장치(200-1)가 디스플레이할 제2 영역(1520-1) 및 제2 전자 장치(200-2)가 디스플레이할 제3 영역(1520-2)으로 컨텐츠의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전자 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컨텐츠 영상을 세 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휴대 단말(예로, 스마트 폰, 노트북 PC, 태블릿 PC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을 세 개이상으로 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디스플레이할 제1 영역, 제2 전자 장치(200)가 디스플레이할 제2 영역 및 휴대 단말 장치(예로, 스마트 폰 등)가 디스플레이할 제3 영역으로 컨텐츠의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전자 장치(100)가 메인 장치로서, 제2 전자 장치(200)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2 전자 장치(200)가 메인 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동작의 주체가 제1 전자 장치(100)가 아닌 제2 전자 장치(200)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전자 장치와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우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1610). 이때,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정보(예로, 크기, 해상도, 주사율 등)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예로, 제품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투사면을 촬영할 수 있다(S1620). 이때, 투사면은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전자 장치(100)가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투사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S1630). 구체적으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사면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제1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1640).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650).
제1 전자 장치(100)가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나머지 일부를 투사할 수 있다(S1660).
또한, 도 1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동작의 주체가 제1 전자 장치(100)나 제2 전자 장치(200)가 아닌 외부의 제어 장치(예로, 셋탑 박스 또는 스마트 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통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전자 장치와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가 컨텐츠를 제공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우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제어 장치(1700)로 전송할 수 있다(S1710). 이때, 제1 전자 장치(100)에 대한 정보는 제1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정보(예로, 크기, 해상도, 주사율 등) 및 제1 전자 장치(100)의 식별 정보(예로, 제품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제어 장치(1700)로 전송할 수 있다(S1720). 이때, 제2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정보는 제2 전자 장치(200)의 프로젝션부에 대한 정보(예로, 크기, 해상도, 밝기 등) 및 제2 전자 장치(200)의 식별 정보(예로, 제품명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0)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730). 예를 들어, 제어 장치(1700)는 제어 장치(1700) 또는 제2 전자 장치(200)가 촬영한 투사면 영상에 기초하여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200)를 통해 획득된 제1 전자 장치(100) 및 제2 전자 장치(200) 사이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0)는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S1740).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7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사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제어 장치(1700)는 제1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1 전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1750). 그리고, 제1 전자 장치(100)는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760).
제어 장치(1700)는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1770).제1 전자 장치(100)가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나머지 일부를 투사할 수 있다(S1780).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 프로젝션부(212), 메모리(213), 통신 인터페이스(214), 조작 인터페이스(215), 입출력 인터페이스(216), 스피커(217), 마이크(218), 전원부(219), 구동부(220) 또는 센서부(2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구성은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새로운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GPU(graphics-processing unit)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advanced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RISC) machines)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메모리(213)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를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212)는 이미지를 외부로 투사하는 구성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션부(212)는 다양한 투사 방식(예를 들어, CRT(cathode-ray tube) 방식, LCD(Liquid Crystal Display) 방식,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방식, 레이저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CRT 방식은 기본적으로 CRT 모니터와 원리가 동일하다. CRT 방식은 브라운관(CRT) 앞의 렌즈로 상을 확대시켜서 스크린에 이미지를 표시한다. 브라운관의 개수에 따라 1관식과 3관식으로 나뉘며, 3관식의 경우 Red, Green, Blue의 브라운관이 따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LCD 방식은 광원에서 나온 빛을 액정에 투과시켜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LCD 방식은 단판식과 3판식으로 나뉘며, 3판식의 경우 광원에서 나온 빛이 다이크로익 미러(특정 색의 빛만 반사하고 나머지는 통과시키는 거울)에서 Red, Green, Blue로 분리된 뒤 액정을 투과한 후 다시 한 곳으로 빛이 모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DLP 방식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식이다. DLP 방식의 프로젝션부는 광원, 컬러 휠, DMD 칩, 프로젝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에서 출력된 빛은 회전하는 컬러 휠을 통과하면서 색을 띌 수 있다. 컬러 휠을 통화한 빛은 DMD 칩으로 입력된다. DMD 칩은 수많은 미세 거울을 포함하고, DMD 칩에 입력된 빛을 반사시킨다. 프로젝션 렌즈는 DMD 칩에서 반사된 빛을 이미지 크기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레이저 방식은 DPSS(Diode Pumped Solid State) 레이저와 검류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색상을 출력하는 레이저는 DPSS 레이저를 RGB 색상별로 3개를 설치한 후 특수 거울을 이용하여 광축을 중첩한 레이저를 이용한다. 검류계는 거울과 높은 출력의 모터를 포함하여 빠른 속도로 거울을 움직인다. 예를 들어, 검류계는 최대 40 KHz/sec로 거울을 회전시킬 수 있다. 검류계는 스캔 방향에 따라 마운트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로젝터는 평면 주사를 하므로 검류계도 x, y축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212)는 다양한 유형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212)는 램프, LED, 레이저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부(212)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용도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따라 4:3 화면비, 5:4 화면비, 16:9 와이드 화면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고, 화면비에 따라 WVGA(854*480), SVGA(800*600), XGA(1024*768), WXGA(1280*720), WXGA(1280*800), SXGA(1280*1024), UXGA(1600*1200), Full HD(1920*1080) 등의 다양한 해상도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2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의 제어에 의해 출력 이미지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션부(212)는 줌, 키스톤, 퀵코너(4코너)키스톤, 렌즈 시프트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212)는 스크린과의 거리(투사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즉, 스크린과의 거리에 따라 줌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줌 기능은 렌즈를 이동시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하드웨어 방식과 이미지를 크롭(crop) 등으로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줌 기능이 수행되면, 이미지의 초점의 조절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은 수동 포커스 방식, 전동 방식 등을 포함한다. 수동 포커스 방식은 수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하고, 전동 방식은 줌 기능이 수행되면 프로젝터가 내장된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의미한다. 줌기능을 수행할 때, 프로젝션부(212)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디지털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부(220)를 통해 렌즈를 이동하여 줌 기능을 수행하는 광학 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212)는 키스톤 보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면 투사에 높이가 안 맞으면 위 혹은 아래로 화면이 왜곡될 수 있다. 키스톤 보정 기능은 왜곡된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좌우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평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왜곡이 발생되면 수직 키스톤을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퀵코너(4코너)키스톤 보정 기능은 화면의 중앙 영역은 정상이지만 모서리 영역의 균형이 맞지 않은 경우 화면을 보정하는 기능이다. 렌즈 시프트 기능은 화면이 스크린을 벗어난 경우 화면을 그대로 옮겨주는 기능이다.
한편, 프로젝션부(212)는 사용자 입력없이 자동으로 주변 환경 및 프로젝션 환경을 분석하여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212)는 센서(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적외선 센서, 조도 센서 등)를 통해 감지된 제2 전자 장치(200)와 스크린과의 거리, 현재 제2 전자 장치(200)가 위치하는 공간에 대한 정보, 주변 광량에 대한 정보 등을 바탕으로 줌/키스톤/포커스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212)는 광원을 이용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션부(212)는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함으로써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션부(212)는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212)는 구현 예에 따라 면발광 LED를 이용하여 광원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면발광 LED는 광원이 고르게 분산하여 출력되도록 LED의 상측에 광학 시트가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 LED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를 통해 광원이 출력되면 광원이 광학 시트를 거쳐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광학 시트를 통해 분산된 광원은 디스플레이 패널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212)는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밍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인터페이스(215)(예를 들어, 터치 디스플레이 버튼 또는 다이얼)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광원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젝션부(212)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부(212)는 사용자 입력 없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에 의해 분석된 컨텐츠를 바탕으로 디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션부(212)는 현재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컨텐츠 유형, 컨텐츠 밝기 등)를 바탕으로 광원의 세기를 출력하도록 LED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션부(2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의 제어에 의해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출력되기로 식별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출력이 결정된 컨텐츠의 프레임별 색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획득된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프레임별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의 주요 색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요 색상에 기초하여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가 조절할 수 있는 색온도는 웜 타입(warm type) 또는 콜드 타입(cold type)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될 프레임(이하 출력 프레임)이 화재가 일어난 장면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현재 출력 프레임에 포함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주요 색상이 적색이라고 식별(또는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식별된 주요 색상(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에 대응되는 색온도는 웜 타입일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프레임의 색상 정보 또는 주용 색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인공 지능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제2 전자 장치(200)(예를 들어, 메모리(213))에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공 지능 모델은 제2 전자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외부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21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에 포함된 롬(ROM)(예를 들어,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메모리(213)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제2 전자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제2 전자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2 전자 장치(2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제2 전자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고, 제2 전자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 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13)는 제2 전자 장치(2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13)에는 제2 전자 장치(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3)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모리(213)는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Hard Disk) 등과 같은 자기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213)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메모리(213)에 저장된 각종 소프트웨어 모듈을 실행하여 제2 전자 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메모리(213)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에 의해 액세스되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메모리(213)라는 용어는 저장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제2 전자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4)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 인터페이스(214)는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기타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 블루투스 모듈은 각각 와이파이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모듈이나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모듈은 가시 광선과 밀리미터파 사이에 있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기술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기타 통신 모듈은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4G(4th Generation), 5G(5th Generation)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LAN(Local Area Network) 모듈, 이더넷 모듈,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또는 UWB(Ultra Wide-Band)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인터페이스(215)는 다양한 유형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인터페이스(215)는 물리적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리적 버튼은 기능키(function key), 방향키(예를 들어, 4방향 키) 또는 다이얼 버튼(dial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복수의 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물리적 버튼은 하나의 키(one key)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 버튼이 하나의 키로 구현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200)는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하나의 키가 임계 시간 이상 눌려지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인터페이스(215)는 비접촉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접촉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물리적인 힘이 제2 전자 장치(200)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물리적인 힘에 관계없이 제2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인터페이스(215)는 사용자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 인터페이스(215)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인터페이스(215)는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인터페이스(215)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방식은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임계 거리 이내로 사용자 신체가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 센서를 접촉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상술한 조작 인터페이스(215)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외부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원격 제어 장치는 제2 전자 장치(200)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장치(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의 전용 제어 기기)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제2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휴대용 통신 기기는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제2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휴대용 통신 기기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마이크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는 외부 장치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사용자 음성을 제2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음성은 오디오 데이터 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수신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자 장치(20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2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200)는 STT(Speech To Text) 기능을 이용하여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제2 전자 장치(200)에서 직접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에 따라, STT(Speech To Text) 기능은 외부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디지털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어 명령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제어 명령 데이터(이때, 텍스트 데이터도 포함될 수 있음.)를 제2 전자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획득된 제어 명령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하나의 어시스턴스(또는 인공지능 비서, 예로, 빅스비TM 등)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복수의 어시스턴스를 통해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 장치(200)는 어시스턴스에 대응되는 트리거 워드 또는 리모컨에 존재하는 특정 키를 바탕으로 복수의 어시스턴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스크린 인터렉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크린 인터렉션이란, 제2 전자 장치(200)가 스크린(또는 투사면)에 투사한 이미지를 통해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식별하고, 기 결정된 이벤트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이벤트는 특정 위치(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UI가 투사된 위치)에 특정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는 이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 결정된 오브젝트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 지시봉 또는 레이저 포인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투사된 UI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 결정된 오브젝트가 식별되면, 투사된 UI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스크린에 UI를 표시하도록 가이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자 장치(2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서 식별되면, 사용자가 투사된 UI를 선택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투사되는 UI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ite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200)는 기 결정된 이벤트가 투사된 UI의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센서(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적외선 센서, 뎁스 카메라, 거리 센서 등)를 통해 공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공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위치(UI가 투사된 위치)에서 기 결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특정 위치에 대응되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출력 하기 위한 구성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외부 장치로부터 오디오 및 이미지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 제어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MHL (Mobile High- Definition Link), USB (Universal Serial Bus), USB C-type, DP(Display Port), 썬더볼트 (Thunderbolt), VGA(Video Graphics Array)포트, RGB 포트, D-SUB(Dsubminiature) 및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신호만을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 구현되거나, 오디오 신호 및 이미지 신호를 모두 입출력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자 장치(200)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는 USB C-type을 통해 외부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거나 전원 어뎁터를 통해 콘센트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전자 장치(200)는 DP를 통해 외부 장치(예를 들어, 노트북이나 모니터 등)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고, 이미지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신호는 무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고, 이미지 신호는 유선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217)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특히, 스피커(217)는 오디오 출력 믹서, 오디오 신호 처리기,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믹서는 출력할 복수의 오디오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디오 출력 믹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및 다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예: 외부로부터 수신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합성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스피커 또는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음향 출력 모듈은 본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음향 출력 모듈의 진동판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고 방사되는 음향은 음도관(waveguide)을 통과하여 본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고, 복수의 음향 출력 유닛이 본체의 외관에 대칭 배치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 즉 360도 전 방향으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다.
마이크(218)는 사용자 음성이나 기타 소리를 입력 받아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구성이다. 마이크(218)는 활성화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218)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상측이나 전면 방향, 측면 방향 등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이크(218)는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증폭하는 앰프 회로, 증폭된 사용자 음성을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회로,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 회로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19)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제2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219)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전원부(219)는 커넥터(230)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219)는 220V의 DC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전자 장치(200)는 USB 전원 코드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거나 무선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전원부(219)는 내부 배터리 또는 외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219)는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전원부(219)는 220V의 DC 전원 코드, USB 전원 코드 및 USB C-Type 전원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내부 배터리의 전력을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219)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USB 전원 코드, USB C-Type 전원 코드, 소켓 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제2 전자 장치(200)와 외부 배터리의 연결이 수행되면, 전원부(219)는 외부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전원부(219)는 외부 배터리로부터 바로 전력을 공급받거나, 외부 배터리를 통해 내부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된 내부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전원부(219)는 상술한 복수의 전력 공급 방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소비 전력과 관련하여, 제2 전자 장치(200)는 소켓 형태 및 기타 표준 등을 이유로 기설정된 값(예로, 43W) 이하의 소비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전자 장치(200)는 배터리 이용 시에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제2 전자 장치(200)는 전원 공급 방법 및 전원 사용량 등을 바탕으로 소비 전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구동부(220)는 제2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을 구동할 수 있다. 구동부(220)는 물리적인 힘을 생성하여 제2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220)는 제2 전자 장치(2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의 이동(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의 이동) 또는 구성의 회전(예를 들어, 프로젝션 렌즈의 회전) 동작을 위해 구동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220)는 프로젝션부(222)의 투사 방향(또는 투사 각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20)는 제2 전자 장치(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220)는 제2 전자 장치(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 부재(209)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0)는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 부재(209)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부(22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21)는 제2 전자 장치(200)의 기울기를 센싱하는 기울기 센서, 이미지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울기 센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일 수 있고,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또는 뎁스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기울기 센서는 움직임 센서로 기재될 수 있다. 또한, 센서부(221)는 기울기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이외에 댜앙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21)는 조도 센서, 거리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센서는 ToF(Time of Flight)일 수 있다. 또한, 센서부(221)는 라이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외부 기기로부터 조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정보는 외부 기기에서 설정된 밝기 정보 또는 색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제2 전자 장치(2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예를 들어, 동일한 홈/회사 네트워크에 포함된 IoT 기기) 또는 제2 전자 장치(200)와 동일한 네트워크는 아니지만 제2 전자 장치(200)와 통신 가능한 기기(예를 들어, 원격 제어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20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포함된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외부 조명 기기(IoT 기기)는 조명 정보(예를 들어,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2 전자 장치(20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자 장치(200)는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조명 기기로부터 수신된 조명 정보가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하는 정보를 포함하면, 제2 전자 장치(200)는 붉은색 조명을 50의 밝기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심장 박동 수, 혈압, 호흡, 심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6)를 통해 생체 정보를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외부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현 예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가 수면하고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 중(또는 수면 준비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1)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광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는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제2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제2 전자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전자 장치(2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화면 데이터를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고, 휴대 단말 장치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2 전자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어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미라캐스트(Miracast), Airplay, 무선 DEX, Remote PC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휴대 단말 장치와 연결을 수행하여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음악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200)는 다양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2 전자 장치(200)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하거나, 제2 전자 장치(200)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검색하여 무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전자 장치(2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를 제2 전자 장치(200) 근처에 위치시킨 후 휴대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기 설정된 제스처가 감지되면(예로, 모션 탭뷰), 제2 전자 장치(2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로, 휴대 단말 장치에서 특정 컨텐츠 또는 음악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휴대 단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200)와 기 설정 거리 이하로 가까워지거나(예로, 비접촉 탭뷰) 휴대 단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200)와 짧은 간격으로 두 번 접촉되면(예로, 접촉 탭뷰), 제2 전자 장치(200)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 또는 음악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고 있는 화면과 동일한 화면이 제2 전자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휴대 단말 장치와 제2 전자 장치(200) 간 연결이 구축되면, 휴대 단말 장치에서는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1 화면이 출력되고, 제2 전자 장치(200)에서는 제1 화면과 상이한 휴대 단말 장치에서 제공되는 제2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이며,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제2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화면과 제2 화면은 휴대 단말 장치에 설치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로 상이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1 화면은 제2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형식의 UI를 포함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제2 전자 장치(2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전자 장치(200)가 외부 장치와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입력이 없는 경우 제2 전자 장치(200)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가 대기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조건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조건들에 의해 대기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200)는 블루 스크린 형태의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제2 전자 장치(2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서 특정 오브젝트의 형태만을 추출하여 비정형 오브젝트를 획득하고, 획득된 비정형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미도시)내에는 a-si TFT(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미도시)는 터치 센서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three-dimensional dispal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을 하우징하는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베젤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전자 장치(200)는 셔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셔터부(미도시)는 셔터, 고정 부재, 레일 또는 몸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셔터는 프로젝션부(212)에서 출력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는 셔터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일은 셔터 및 고정 부재를 이동시키는 경로일 수 있다. 여기서, 몸체는 셔터 및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동작의 주체가 제1 전자 장치(100)가 아닌 도 18에서 설명한 제2 전자 장치(200)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TV)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 120: 스피커
130: 통신 인터페이스 140: 입력 인터페이스
150: 메모리 16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Claims (20)

  1.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전자 장치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며,
    상기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제1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투사면에 대한 영상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획득된 투사면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면 중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을 식별하는 제1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되는 영상 중 상기 투사면 중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식별하고, 상기 획득되는 영상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으로 식별하는 제1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제1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오디오의 채널을 상기 제2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출력 사양에 대응되는 채널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상기 변환된 채널로 매핑하는 제1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변환된 채널별로 오디오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는 제1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투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기설정된 색의 화면과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상기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1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투사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과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상기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영상 출력 타이밍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영상 투사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제1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은 메타 데이터에 영상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분할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제1 전자 장치.
  11. 영상을 투사하는 제2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1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2 전자 장치가 영상을 투사하는 투사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투사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중 제1 영역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의 일부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중 제2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투사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획득된 투사면에 대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면 중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되는 영상 중 상기 투사면 중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1 영역으로 식별하고, 상기 획득되는 영상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상기 제2 영역으로 식별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구비된 거리 센서를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와 상기 투사면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투사면의 크기 및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오디오의 채널을 상기 제2 전자 장치 및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출력 사양에 대응되는 채널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상기 변환된 채널로 매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면에 투사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변환된 채널별로 오디오에 대한 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투사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기설정된 색의 화면과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상기 기설정된 색의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화면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투사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과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투사하는 상기 기설정된 패턴으로 변화하는 화면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영상 출력 타이밍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영상 투사 타이밍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영상은 메타 데이터에 영상의 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플래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입력되는 영상을 분할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제어 방법.
KR1020220114338A 2022-06-23 2022-09-08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00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7194 WO2023249276A1 (ko) 2022-06-23 2023-05-25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7125 2022-06-23
KR1020220077125 2022-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30A true KR20240000330A (ko) 2024-01-02

Family

ID=8951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338A KR20240000330A (ko) 2022-06-23 2022-09-08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7526B (zh) 电子设备及方法
JP5996602B2 (ja) 投影システム及びその投影方法
US10061479B2 (en)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power source control method
US201902658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1431909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4003645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08375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4714769B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20240000330A (ko)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635607A (zh) 图像投影装置以及图像投影方法
KR20200025481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276A1 (ko) 영상을 투사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00327A (ko)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포함하며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401600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30157217A (ko) 슬라이딩 가능한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04896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40000336A (ko) 영상을 크롭하여 투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3249274A1 (ko)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션부를 포함하며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220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들
KR2024006955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433346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12619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20152112A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4002817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0328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