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17A -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17A
KR20240000317A KR1020220078539A KR20220078539A KR20240000317A KR 20240000317 A KR20240000317 A KR 20240000317A KR 1020220078539 A KR1020220078539 A KR 1020220078539A KR 20220078539 A KR20220078539 A KR 20220078539A KR 20240000317 A KR20240000317 A KR 20240000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hear
horizontal
key
continuous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원
Original Assignee
김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원 filed Critical 김승원
Publication of KR2024000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선시공 벽체 사이에 후시공 벽체의 시공에 따라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와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며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지하 연속벽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면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와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가 형성되고, 결합면의 수평방향 전단키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홈부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고, 결합면의 수직방향 전단키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가 제안된다. 또한, 그의 시공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DIAPHRAGM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하 연속벽체 단부의 수직 시공 이음부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구조의 설계와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직 시공 이음부에 전단키를 형성하고, 이음부에 작용하는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전단키의 벌어짐을 구속하여 전단키를 가진 이음부의 전단내력을 증진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과거 국내의 건축구조 설계기준은 지하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요구하지 않았지만 현행 건축구조 설계기준은 지하구조물의 내진설계를 요구하고 있다. 지하구조물의 횡방향 지진력은 지하외벽이 대부분 지지하게 된다. 노출 공간에서 시공되는 일반 철근콘크리트 지하외벽은 시공 이음부에 수평철근이 연속되지만, 지하외벽구조에 지중 연속벽 공법을 적용한 지하외벽은 지중 분할 시공에 의한 수직 이음부에 적절한 전단연결부를 갖지 않으면 지진에 취약하다.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도 11과 같이 지중 지하연속벽에 의한 지하외벽의 수직이음부로 인하여 지하외벽의 강도와 강성이 약해지고, 지진으로 인한 추가 수직 변위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지하구조물의 수평변위가 증가되어 지상구조물에 더 큰 지진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도 12와 같이 지중 연속벽의 시공 이음부에 수평 철근 또는 강재 앵커를 설치하여 수직 및 수평방향 미끄럼을 제어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이때, 도 12에서 [A]는 선시공 벽체를 위한 굴착구에 연결철근이 부착된 철판 보호상자 설치 후 콘크리트 타설을 나타내고, [B]는 후시공 벽체를 위한 굴착구 형성 후 철판 보호상자의 보호판 제거를 나타내고, [C]는 후시공 벽체의 콘크리트 타설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서는 시공 이음부에 수평 철근이나 강재앵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상세, 장치 및 시공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법은 공사비가 고가이고, 기대하는 구조성능을 갖기 위한 품질관리가 어렵고 신뢰성도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지중 연속벽 이음부의 상세와 시공이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기대한 구조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8504호 (2007년 9월 7일 등록)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은 풍하중에 의해 지상부 구조물로부터 횡력을 받게 되고, 지진하중에 의해 지상부 구조물 및 지하부 구조물로부터 횡력을 받게 된다. 지반이 연약할수록 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력은 증가한다. 연약지반에서는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은 지중 연속벽(지하 연속벽체)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지중 연속벽은 분할 시공을 하므로 수직 시공 이음부를 갖게 된다. 지진시에 지하 외벽은 면외 및 면내 하중을 받는다. 면외 하중은 지하 외벽 면에 직접 작용하는 횡력(토압, 수압 및 지진토압)에 의해 발생되고 면내 하중은 지하 외벽 면에 직접 작용하는 횡력과 지상부로부터 전달된 횡력에 의해 발생된다. 지중 연속벽은 면외 하중을 받는 경우에 이웃한 분할 벽체 간에 수평 미끄럼에 의해 면외 방향 수평 처짐량이 다르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지중 연속벽은 면내 하중을 받는 경우에 분할 시공 이음부에 수직 미끄럼에 의한 수직 변위가 발생되어 지하구조물은 이로 인해 수평변위가 증가된다. 지하구조물의 수평 변위의 증가는 지상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진력의 증가를 수반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면내 및 면외 전단력에 대해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지하 연속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예에서, 선시공 벽체 단부와 후시공 벽체 단부 사이의 이음부에 예컨대 철근, 강판, 스터드 등을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면내 및 면외 전단력에 대해 효율적으로 저항하는 지하 연속벽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선시공 벽체 사이에 후시공 벽체의 시공에 따라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와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며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지하 연속벽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면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와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가 형성되고, 결합면의 수평방향 전단키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홈부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고, 결합면의 수직방향 전단키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가 제안된다.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평돌부 전단키이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는 수평홈부 대응키이고,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방향 전단키는 수직돌부 전단키이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방향 전단키는 수직 대응키일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는 수평돌부 전단키와 수평홈부 대응키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는 결합면에서 맞물리도록 수평홈부 대응키와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수직돌부 전단키는 수직 이음부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는 수직홈부이고, 수직돌부 전단키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홈부 대응키 또는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되거나 혹은 수평홈부 대응키 및 수평돌부 전단키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고, 수직홈부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 또는 수평홈부 대응키가 형성되거나 혹은 수평돌부 전단키 및 수평홈부 대응키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수직 이음부의 수직방향 전단키에 지수판이 구비되고,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에 따라 지수판이 제2 수직 이음부의 수직방향 전단키에서 공유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수직돌부 전단키는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되고, 수직돌부 전단키 사이에 다수의 수평홈부 전단키 또는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되거나 혹은 수평홈부 전단키 및 수평돌부 전단키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고, 수직대응부 사이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 또는 수평홈부 전단키가 형성되거나 혹은 수평돌부 전단키 및 수평홈부 전단키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 따르면, 수평방향 전단키 및 수직방향 전단키는 사다리꼴 사면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수평방향 전단키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이고, 수직방향 전단키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45°각도일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수평방향 전단키의 돌출높이 내지 홈깊이는 35~100mm 범위이고, 사다리꼴의 밑면에 해당하는 수평방향 전단키의 폭은 100~300mm 범위이고, 수평방향 전단키의 주기간격은 150~400mm 범위이고, 사다리꼴의 밑면에 해당하는 수직방향 전단키의 폭은 연속벽체 두께의 1/10 ~ 1/3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간 결합면에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 전단저항부재의 공유없이 결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지중 연속 벽체는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의 철근과 결합되고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간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선시공 벽체 사이에 후시공 벽체의 시공에 따라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와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며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선시공 굴착구 내에 양단에 전단키 형성 지지틀이 결합된 제1 조립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선시공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선시공 굴착구 사이에 후시공 굴착구를 형성하고 전단키 형성 지지틀을 제거하여 제1 수직 이음부를 후시공 굴착구 측으로 노출시키는 단계; 및 후시공 굴착구 내에 제2 조립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제2 수직 이음부를 구비한 후시공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면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와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가 형성되고, 결합면의 수평방향 전단키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홈부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고, 결합면의 수직방향 전단키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이 제안된다.
하나의 예에서, 수직돌부 전단키는 수직 이음부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는 수직홈부이고, 수직돌부 전단키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홈부 대응키가 형성되고, 수직홈부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수직 이음부의 수직방향 전단키에 지수판이 구비되고,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에 따라 지수판이 제2 수직 이음부의 수직방향 전단키에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수직돌부 전단키는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되고, 수직돌부 전단키 사이에 다수의 수평홈부 전단키가 형성되고, 수직대응부 사이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수평방향 전단키 및 수직방향 전단키는 사다리꼴 사면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수평방향 전단키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이고, 수직방향 전단키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45°각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수직 이음부와 제2 수직 이음부 간 결합면에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 전단저항부재의 공유없이 결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지중 연속 벽체 시공방법은,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의 철근과 결합되고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간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전단키를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이음부에 적용하면 종래의 철근 연결방식보다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이음부의 전단강도와 전단강성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를 지하외벽구조에 적용하면 전단강도가 크면서 전단변형이 작은 지하구조물을 경제적으로 건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라, 이음부에 연결철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지중에서 연결철근을 보호하기 위한 복잡한 장치가 필요 없고, 이음부 연결철근도 추가하지 않으므로 접합 방식이 단순하여 시공성, 경제성 및 구조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 전단키를 이음부에 형성하기 위한 지지틀을 반복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단면에서 본 수직 이음부의 수평방향 전단키의 결합을 나타낸다.
도 4b 및 4c 각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수평단면에서 본 수직 이음부의 2방향 전단키의 결합을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 의해 구축된 지하층 내부 입면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Y-Y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와 종래의 일반 연결철근에 의해 결합된 연속벽체의 구조성능 비교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평방향 전단키의 경사부의 미끄럼에 의해 수직 이음부에 발생하는 벌어지려는 수평방향 힘을 나타낸다.
도 7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평방향 전단키의 경사부로 인한 수직 이음부 결합면에서의 벌어짐 힘과 테두리보의 길이방향 철근의 벌어짐 저항 원리를 나타내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전단력의 증가에 따른 전단키의 균열 발전과정을 나타낸다.
도 8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전단키를 가진 수직 이음부의 전단하중-전단변형 상관도를 나타낸다.
도 8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전단키의 각도영향에 따른 이음부의 전단 하중-변형 관계도를 나타낸다.
도 8d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직 이음부의 전단력-수직변위 상관도를 나타낸다.
도 8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직 이음부의 소요전단강도와 설계전단강도를 나타낸다.
도 9a 내지 9f 각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단계를 나타낸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벽체 철근조립체에 결합되는 전단키 형성 지지틀을 나타낸다.
도 11은 지진 시 지하 연속벽체에 의한 지하외벽의 거동을 나타낸다.
도 12는 종래의 지하 연속벽체의 시공 이음부에서 연결철근 이음방식의 공사순서를 나타낸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하 연속벽체]
우선,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지하 연속벽체를 살펴본다.
지하 연속벽체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 1a ~ 8e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후술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실시예 및 도 9b ~ 9f가 참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부호가 해당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경우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일 부호를 참작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를 나타내고, 도 1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를 나타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를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를 나타내고, 도 3a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를 나타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를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단면에서 본 수직 이음부의 수평방향 전단키의 결합을 나타내고, 도 4b 및 4c 각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수평단면에서 본 수직 이음부의 2방향 전단키의 결합을 나타낸다. 도 5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 의해 구축된 지하층 내부 입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도 5a의 Y-Y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와 종래의 일반 연결철근에 의해 결합된 연속벽체의 구조성능 비교 그래프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평방향 전단키의 경사부의 미끄럼에 의해 수직 이음부에 발생하는 벌어지려는 수평방향 힘을 나타내고, 도 7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평방향 전단키의 경사부로 인한 수직 이음부 결합면에서의 벌어짐 힘과 테두리보의 길이방향 철근의 벌어짐 저항 원리를 나타내는 부분 입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전단력의 증가에 따른 전단키의 균열 발전과정을 나타내고, 도 8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전단키를 가진 수직 이음부의 전단하중-전단변형 상관도를 나타내고, 도 8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전단키의 각도영향에 따른 이음부의 전단 하중-변형 관계도를 나타내고, 도 8d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직 이음부의 전단력-수직변위 상관도를 나타내고, 도 8e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직 이음부의 소요전단강도와 설계전단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는 선시공 벽체(1) 사이에 후시공 벽체(2)의 시공에 따라 선시공 벽체(1)의 제1 수직 이음부(10)와 후시공 벽체(2)의 제2 수직 이음부(20)가 결합되며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지하 연속벽체이다.
도 1a ~ 5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의 결합면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와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13, 23)가 형성된다. 예컨대, 선시공 벽체(1)의 양단의 제1 수직 이음부(10)는 서로 대칭되거나 서로 맞물리는 형상면을 가지며, 맞닿는 후시공 벽체(2)의 제2 수직 이음부(20) 각각과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면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면의 수직방향 전단키(13, 23)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 대응키(13b, 23b)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각각의 수직 이음부(10, 20)에서의 수평돌부 및 그에 맞물리는 수평홈부는 수평방향 전단키(11, 21)로 작용하고 각각의 수직 이음부(10, 20)에서의 수직돌부 및 그에 맞물리는 수직 대응키(13b, 23b)는 수직방향 전단키(13, 23)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2방향 전단키, 즉 수평방향 전단키(11, 21) 및 수직방향 전단키(13, 23)를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이음부(10, 20)에 적용하여 종래의 철근 연결방식보다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이음부(10, 20)의 전단강도와 전단강성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를 지하외벽구조에 적용하면, 전단강도가 크면서 전단변형이 작은 지하구조물을 경제적으로 건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 6층, 지하구조 총 높이 23.1m, 벽체의 두께 800mm, 콘크리트의 설계압축강도 30MPa인 지하 연속벽체에서 수직 시공 이음부(10, 20)에 작용하는 평균 수직전단력이 851 kN/m인 설계조건에서 연결철근에 의한 이음방식과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라 전단키에 의한 이음방식을 설계하여 다음 [표 1]에 시공성, 경제성 및 구조성능을 서로 비교하였고, 도 6의 그래프에 구조성능을 비교하였다. 다음 [표 1]의 비교와 같이 본 발명 방식은 이음부에 연결철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지중에서 연결철근을 보호하기 위한 복잡한 장치가 필요 없고, 이음부 연결철근도 추가하지 않으므로 접합 방식이 단순하여 시공성, 경제성 및 구조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2방향 전단키를 수직 이음부(10, 20)에 형성하기 위한 강재 형틀 및 지지틀은 반복 사용하므로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종래의 연결철근 이음방식과 본 발명의 2방향 전단키 이음방식의 비교]
구분 연결철근 이음방식
(종래 사용방식)
전단키 이음방식
(본 발명 방식)
향상된 부분
요구설계강도(소요설계강도) (kN/m) 851 851
이음부 연결철근 3-D19@150 필요 없음 경제성
이음부 연결철근의 지중 보호 장치 필요함 필요 없음 시공성
공칭전단강도(최대 전단강도) (kN/m) 1604 5188 구조성능
설계전단강도 (kN/m) 1203.3 2853 구조성능
설계전단강도에서의 수직전단변위 (mm) 18.1 2.41 구조성능
요구설계강도/설계전단강도 비 0.707 0.298 구조성능
요구설계강도에서 이음부 수직전단변위 (mm) 9.01 0.718 구조성능
요구설계강도에서 지하구조 추가 횡변위 (mm) 94.15 7.51 구조성능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의 단부에 2방향 전단키, 즉 수평방향 전단키(11, 21)와 수직방향 전단키(13, 23)를 형성하여 면내 수직전단력과 면외 수평전단력을 효율적으로 저항하도록 다음 원리를 적용한다.
도 7a에서와 같이 경사부가 있는 수평방향 전단키(11, 21)를 갖는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시공 이음부(10, 20)는 수직 전단력()이 작용할 때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경사면에서 마찰 저항능력()이 경사면에 작용하는 전단력()보다 큰 경우()에는 경사방향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아 수직 시공 이음부(10, 20)가 수평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경사면에서 마찰 저항능력()이 경사면에 작용하는 전단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경사방향으로 미끄럼이 발생하여 수직 시공 이음부(10, 20)에 수평 방향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발생된다. 이 수직 시공 이음부(10, 20)에 발생하는 벌어지려는 힘()을 억제하면 수평방향 전단키(11, 21)를 갖는 수직 이음부(10, 20)의 수직방향 전단저항능력이 최대화될 수 있다.
도 7b에서와 같이 해당 지하층의 지하외벽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를 가진 수직 이음부(10, 20)의 벌어지려는 힘들()은 상하 테두리보에 있는 길이방향철근들이 구속한다. 상하 테두리보의 길이방향 철근의 인장강도()는 를 만족해야 한다. 여기서 는 철근의 총단면적, 는 철근의 항복강도이다. 수평방향 전단키(11, 21)를 가진 수직 이음부(10, 20)의 벌어짐을 구속하는 길이방향철근은 도 5a 및 5b에서와 같이 지하 연속벽체 상부의 캡빔과 지하 각층 바닥에 있는 테두리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a ~ 3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이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는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일 수 있다. 도 1a, 1b, 3a 및 3c를 참조하면, 예컨대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 사이의 간격이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의 폭 정도이거나 혹은 그보다 작은 경우,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 사이의 수평방향 기저면은 상대적인 수평홈부, 예컨대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에 해당될 수 있고, 수평홈부에 맞물리는 나머지 수직 이음부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는 상대적인 수평돌부, 예컨대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일 수 있다. 예컨대, 상대적인 수평홈부 및 수평돌부도 수평방향 전단키(11, 21)로 동작할 수 있다.
게다가 도 1a ~ 3b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방향 전단키(13, 23)는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이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방향 전단키(13, 23)는 수직 대응키(13b, 23b)일 수 있다.
또한 도 1a, 1b, 3a 및 3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는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와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는 결합면에서 맞물리도록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와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와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는 벗갈아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a ~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는 수직 이음부(10, 20)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13b, 23b)는 수직홈부일 수 있다. 이때,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 또는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가 형성되거나 혹은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 및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 대응키(13b, 23b)인 수직홈부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 또는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가 형성되거나 혹은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 및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는 것은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 또는/및 수직 대응키(13b, 23b)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의 수평돌부에 대칭되는 배치 위치에 수평돌부가 배치되고 좌측 또는 우측의 수평홈부에 대칭되는 배치 위치에 수평홈부가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도 1a 내지 1b에서와 같이, 수평돌부 전단키(11a) 사이의 수평홈부가 수평홈부 대응키(11b)에 해당되고 수평홈부 대응키(21b) 사이의 수평돌부가 수평돌부 전단키(21a)에 해당되는 경우, 수직돌부 전단키(23a)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돌부 대응키(21a)와 수평홈부 대응키(21b)가 번갈아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13b)인 수직홈부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홈부 대응키(11b)와 수평돌부 전단키(11a)가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면, 수직돌부 전단키(13a)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돌부 대응키(11a)가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13b)인 수직홈부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홈부 대응키(11b)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가 수직 이음부(10, 20)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의 형상은 경사각을 갖는 등변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의 폭(사다리꼴 밑변)은 연속벽체 두께의 1/5 ~ 1/3 범위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1 수직 이음부(10)의 수직방향 전단키(13)에 지수판(도 10c 참조)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의 결합에 따라 지수판이 제2 수직 이음부(20)의 수직방향 전단키(23)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하나의 예에 따르면,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는 수직 이음부(10, 20)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 사이에 다수의 수평홈부 전단키(11b, 21b) 또는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가 형성되거나 혹은 수평홈부 전단키(11b, 21b) 및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13b, 23b) 사이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 또는 수평홈부 전단키(11b, 21b)가 형성되거나 혹은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 및 수평홈부 전단키(11b, 21b)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a 및 3b에서는 수직돌부 전단키(23a) 사이에 수평홈부 전단키(21b) 및 수평돌부 전단키(21a)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13b) 사이에 수평돌부 전단키(11a) 및 수평홈부 전단키(11b)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도 3a 및 3b에서와 같은 수평방향전단키(11, 21)의 배치를 도 2a 및 2b에서와 같이 수평방향 전단키(11, 21)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수직 이음부(10, 20)의 가장자리 양측의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 사이에 다수의 수평홈부 전단키(11b, 21b) 또는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가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13b, 23b) 사이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 또는 수평홈부 전단키(11b, 21b)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가 수직 이음부(10, 20)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의 형상은 경사각을 갖는 등변사다리꼴의 절반 형상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가 수직 이음부(10, 20)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각을 갖는 등변사다리꼴의 절반 형상인 경우 각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의 폭은 연속벽체 두께의 1/10 ~ 1/6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수평방향 전단키(11, 21) 및 수직방향 전단키(13, 23)는 사다리꼴 사면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경사면의 각도는 구조해석 결과에 따라 적절한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예컨대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일 수 있다. 즉, 사다리꼴 사변 경사각이 30~60°범위일 수 있다. 게다가, 도 2a 및/또는 2b를 참조하면, 수직방향 전단키(13, 23)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45°각도일 수 있다. 즉, 사다리꼴 사변 경사각이 45~60°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돌출높이 내지 홈깊이,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폭 및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주기간격은 구조해석 결과에 따라 적절한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 전단키(13, 23)의 폭도 마찬가지이다. 예컨대,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돌출높이 내지 홈깊이는 35~100mm 범위이고, 사다리꼴의 밑면에 해당하는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폭은 100~300mm 범위이고,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주기간격은 150~400mm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사다리꼴의 밑면에 해당하는 수직방향 전단키(13, 23)의 폭은 연속벽체 두께의 1/10 ~ 1/3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수직방향 전단키(13, 23)가 수직 이음부(10, 20)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수직방향 전단키(13, 23)의 폭은 연속벽체 두께의 1/5 ~ 1/3 범위이고, 수직방향 전단키(13, 23)가 수직 이음부(10, 20)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 수직방향 전단키(13, 23)의 폭은 연속벽체 두께의 1/10 ~ 1/6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간 결합면에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 전단저항부재의 공유없이 결합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벽체의 전단키 이음부에는 이 벌어짐을 억제하기 위해 각 전단키 형성부에 별도 전단저항부재로서 보강재(예컨대 철근, 스터드 및 강판 등)를 설치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전단키 요소에는 별도 전단저항부재로서의 보강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도 5a, 5b 및/또는 7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지중 연속 벽체는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1, 2)의 철근과 결합되고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간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a ~ 3b에서와 같은 수직 시공 이음부(10, 20)의 2방향 전단키의 형상과 도 5a 및 5b의 캡빔 및 테두리보 내부에 설치한 길이방향철근의 인장저항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방향 압축구속력으로 전단강도를 구할 수 있다. 수직 이음부의 공칭전단강도는 전단키의 전단 파괴면의 직접 전단강도와 압축구속력에 의한 전단마찰강도의 조합에 의해 구한다. 전단키의 전단 파괴면의 직접 전단강도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전단 파괴면의 면적이 클수록 증가한다. 압축구속력에 의한 마찰전단강도는 이음부의 압축 구속력과 전단마찰 면적이 클수록 증가한다.
도 8b의 그래프는 지상구조의 프리캐스트 부재의 수직이음부의 접합용 전단키에 대한 많은 실험 및 해석결과들을 분석하여 일반화한 하중-변형 관계도이다. 그래프에서 왼쪽 수직축은 전단력(또는 전단강도)의 크기, 아래 수평축은 전단변위의 크기를 나타낸다. 프리캐스트의 이음부는 조립시에 전단키의 결합부에 틈이 있을 수 있어 형상에 대한 구조적 불완전성을 갖고 있으나, 본 발명의 지하 연속벽체의 단부 이음부에 적용하는 전단키는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되므로 전단키의 결합부에 틈이 생기지 않아 형상에 대한 구조적 불완전성은 상대적으로 더 적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 연속벽체의 전단키를 가진 수직 이음부의 구조성능은 콘크리트강도, 전단키의 형상, 구속응력크기 및 구속응력 도입방법에 따라 발현된다.
전단키의 균열 양상과 파괴모드
전단력 증가에 따른 전단키의 균열발생과정은 도 8a에서와 같이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단계 1 구간은 전단키에 균열은 발생되지 않고 이음부의 접촉면에 수직 미끄럼이 발생되는 과정이고, 단계 2 구간은 전단키에 대각선균열이 발생되는 과정이고, 단계 3 구간은 전단면(1과 4사이)의 파괴과정이다.
도 8a에서와 같이 대각선 균열과 같은 초기균열은 항상 돌출부의 아래쪽 면(3-4)에서 시작된다. 약 45도의 위쪽각도로 균열이 생성된다. 최대전단하중에서 대각선 균열의 폭이 증가된다. 최대하중이 발현된 후 전단키의 전단파괴는 중간부분의 갑작스런 미끄럼으로 인해 발생된다.
이음부의 전단력은 다음 2가지 주요 메커니즘에 의해 전달된다.
(1) 이음부 접촉면 사이의 마찰
(2) 전단키의 전단과 압축응력의 조합
마찰력의 크기는 구속응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도 8b와 같이 전단키에 대한 실험은 대부분 극한 전단하중 발생 후 단계 3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전단저항을 보여준다. 특히 구속응력이 없는 시험체에서는 마찰력이 없이 전단키에 의한 수직하중만 전달한다. 구속응력이 없거나 작은 경우에는 수직하중이 가해짐과 동시에 미끄럼이 발생한다.
도 8b의 그래프에서 각 점 위치(A~E)에서의 전단키의 거동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A점은 균열 발생이 시작되는 위치, B점은 최대균열이 발생되고 최대전단강도가 발현되는 위치, C점은 전단키의 전단 파괴면(그림 8a의 1-4)의 부분 파괴되는 위치, D점은 전단키의 전단 파괴면(그림 8a의 1-4)이 완전 파괴되는 위치, D점에서 E점사이의 선은 잔류 전단강도, 그리고 E점은 구속응력이 존재하는 동안 잔류전단강도의 흐름이 지속된다.
전단키의 구조거동은 전단키의 각도 영향을 받는다. 도 8c는 전단키가 없는 이음부, 전단키의 각도(α)가 45도인 수직 이음부와 전단키의 각도가 수직으로부터 60도인 수직 이음부에 대한 전단 하중-변형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음부에 전단키가 없는 경우의 전단강도가 전단키가 있는 이음부보다 전단내력이 작으며 변형이 크게 발생된다. 이음부에 전단키가 있는 경우에는 전단키의 각도가 작을수록 전단내력이 크고 전단변형이 작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서의 수직 이음부는 전단변형이 작으면서 전단강도가 큰 전단키의 형상이 요구되므로 45도 각도를 갖는 전단키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설계조건에 따라서 30도에서 60도 사이의 각도를 갖는 전단키에 의한 이음부를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강도 30MPa, 두께 800mm인 지중연속벽에서 전단키 높이 225mm, 깊이 75mm, 경사각도 45도, 수직간격 300mm이고 중앙에 수직방향 전단키를 갖는 수직 이음부의 수직 전단변형은 최대전단강도에서 테두리보의 횡방향철근에 의한 구속응력의 크기(0.5~2MPa)에 따라서 약 5~7mm 정도 발생된다. 설계실무에서는 소요전단강도는 일반적으로 최대설계강도의 60% 이하의 수준에서 설계되므로 소요전단강도에 대한 전단변형은 대부분 탄성거동구간 안에 있다. 콘크리트강도와 구속응력이 클수록 전단키를 가진 이음부의 최대전단강도와 전단강성은 증가된다.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와 설계기준 구속응력의 크기는 설계목표성능(요구성능)에 따라서 결정한다.
앞에 기술한 전단 하중-변형 관계들을 도 8d에서와 같이 단순하게 일반화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전단키를 가진 이음부에 대한 구조설계를 쉽고 안전하게 구현할 수 있다. A점은 탄성수직 변위범위에서의 최대 탄성전단강도가 발현되는 위치, B점은 이음부의 최대 전단강도가 발현되는 위치, 도 8d에서 C점은 도 8b의 E점 높이의 수평 연장선과 B점에서 B-D구간 곡선의 아래로 볼록한 곡선과의 접선의 연장선과 교차하는 점으로 재 정의한다. C점에서 E점사이의 수평선은 잔류 전단강도, E점의 아랫방향 수직선은 구속응력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에 전단력 전달능력을 상실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8d에 있는 그래프의 각 점에 해당하는 전단 강도와 변위는 관련 구조계산 및 해석에 의해 설정한다.
도 8d의 그래프에서 는 최대전단강도, 은 최대전단강도()에 강도저감계수()를 곱하여 구한 설계전단강도이다. 강도저감계수는 관련 구조설계기준에 따른다. 는 요구설계강도이며 설계전단강도()보다 작아야한다. 요구설계강도에 상응하는 변위()는 요구설계강도가 설계전단강도보다 작게 설계되었다면, 요구설계강도()는 O-A선상에 있으므로 직선보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전단강도가 설계기준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즉 요구설계강도가 설계전단강보다 큰 경우의 요구설계강도에 상응하는 변위()는 각 점사이의 기울기에 따른 직선보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앞의 기술 내용은 다음과 같이 분절 프리캐스트 접합부의 공칭전단강도 산출 공식 AASHTO와 독일 권장공식 등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식 A) --- AASHTO 권장 공식
(식 A1)
(식 A2)
(식 A3)
(식 A4)
식 A2의 은 전단키의 전단파괴면에서의 직접전단강도
식 A3의 는 전단키의 전단파괴면에서의 마찰전단강도
식 A4의 는 전단키의 전단파괴면을 제외한 평탄면에서의 마찰전단강도
(식 B) --- 독일 수정 공식
(식 B1)
(식 B2) 은 전단키의 전단파괴면에서의 직접전단강도
(식 B3) 은 수직 이음부 전체 면적에서의 마찰전단강도
고려하는 층의 벽 높이에 범위에 있는 전단키의 전단 파괴면들의 면적 합계
고려하는 층의 벽 높이에 범위에 있는 전단키의 전단 파괴면()들을 제외한 평탄면의 면적 합계
, 수직 이음부의 전체 면적(지중 연속벽 두께 x 해당 층 벽 높이)
구속 응력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이음부의 마찰계수
이음부 전단키의 형상 영향계수
중간층의 경우, 해당 층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시공이음부의 구속 응력은 다음과 같이 상부 및 하부 테두리보의 길이방향 철근의 단면적에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를 곱하여 구한 인장강도의 50%를 수직 시공 이음부(10, 20)의 수직단면적( 벽두께 x 층고)으로 나누어 구한다.
수직이음부의 안전성 검토
앞에서 기술한 방법에 의해 산정된 지하연속벽의 수직 시공 이음부의 설계전단강도는 구조설계기준의 설계원칙()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소요전단강도 이상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식에 대한 정의는 도 8e 참고).
(식 1)
또는 (식 2)
또는 (식 3)
여기서,
층 번호
총 층수
각층 벽의 평균 수직 소요전단강도(요구전단강도) (kN/m)
각층의 층고 (m)
전단 접합부 번호(층 수직 전단력에 저항하는 접합부 번호)
전단 접합부 총 개수
전단 접합부 평균 설계전단강도 (kN/m)
전단 접합부 유효길이 (m)
수직 이음부에서 수평방향 전단키는 지진에 의해 발생되는 이음부의 길이방향 전단력에 저항하는 구조요소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수평방향 전단키의 수직으로부터의 경사각도(α)는 30~60도, 깊이()는 35~100mm, 높이()는 100~300mm, 수직간격()은 150~400mm 범위에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수판 설치(A형상 적용시), 시공성(형틀제거, 이음부면의 청소 등), 구조성능(전단강도, 변위, 연성능력), 경제성, 시공신뢰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경사각도(α)는 45도 내외 정도, 깊이()는 75mm 내외 정도, 높이()는 225mm 내외 정도, 수직간격()은 300mm 내외 정도가 적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직 이음부에서 수직방향 전단키는 지하 외벽 면에 직각방향으로 직접 작용하는 횡력(토압, 수압 및 지진토압)을 받을 때 이웃한 분할 벽체 간에 수평 처짐을 같게 하여 이음부의 수평이탈을 방지하는 구조요소이다. 도 4b 및 4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수직방향 전단키의 높이(, 사다리꼴 밑변길이)는 벽두께(Thk)의 1/4정도로 하고, 깊이()는 형틀제작 단순화, 지수판설치(A형상-수직방향 전단키를 중앙에 배치하는 경우- 적용시), 형틀제거 등을 고려하여 수평방향 전단키의 깊이()와 같게 하고, 수직방향 전단키의 수직으로부터의 경사각도()는 30~45도 범위로 할 수 있다.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모습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을 도 9a 내지 9f 그리고 도 10a 내지 10c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지하 연속벽체의 실시예 및 도 1a ~ 8e가 참조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부호가 해당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경우 다른 도면에 도시된 동일 부호를 참작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f 각각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의 단계를 나타내고,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서 벽체 철근조립체에 결합되는 전단키 형성 지지틀을 나타낸다.
하나의 예에 따른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선시공 벽체(1) 사이에 후시공 벽체(2)의 시공에 따라 선시공 벽체(1)의 제1 수직 이음부(10)와 후시공 벽체(2)의 제2 수직 이음부(20)가 결합되며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은 선시공 벽체 형성단계(도 7a 및 7b), 전단키형성 지지틀 제거단계(도 7c 및 7d 참조) 및 후시공 벽체 형성단계(도 7d 및 7e)를 포함한다. 선시공 벽체 형성단계(도 7a 및 7b)에서는 벤토나이트 용액과 같은 안정액(B)이 채워져 있는 선시공 굴착구(Hex) 내에 양단에 전단키 형성 지지틀(F)이 결합된 제1 조립 철근망(Cs)을 삽입 후 콘크리트(Con'c) 타설하여 선시공 벽체(1)를 형성한다. 전단키형성 지지틀 제거단계(도 7c 및 7d 참조)에서는 선시공 굴착구(Hex) 사이에 후시공 굴착구(Hex)를 형성하고 전단키 형성 지지틀(F)을 제거하여 제1 수직 이음부(10)를 후시공 굴착구(Hex) 측으로 노출시킨다. 후시공 벽체 형성단계(도 7d 및 7e)에서는 후시공 굴착구(Hex) 내에 제2 조립 철근망(Cs)을 삽입 후 콘크리트(Con'c) 타설하여 제2 수직 이음부(20)를 구비한 후시공 벽체(2)를 형성한다. 도면부호 G는 지반을 나타낸다.
이때,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의 결합면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와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13, 23)가 형성된다. 결합면의 수평방향 전단키(11, 21)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면의 수직방향 전단키(13, 23)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 대응키(13b, 23b)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예에서,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는 수직 이음부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수직 대응키(13b, 23b)는 수직홈부일 수 있다. 이때,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홈부 대응키(11b, 21b)가 형성되고, 수직홈부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제1 수직 이음부(10)의 수직방향 전단키(13)에 지수판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의 결합에 따라 지수판이 제2 수직 이음부(20)의 수직방향 전단키(23)에서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는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돌부 전단키(13a, 23a) 사이에 다수의 수평홈부 전단키(11b, 21b)가 형성되고, 수직대응부 사이에 다수의 수평돌부 전단키(11a, 2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수평방향 전단키(11, 21) 및 수직방향 전단키(13, 23)는 사다리꼴 사면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수평방향 전단키(11, 21)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이고, 수직방향 전단키(13, 23)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45°각도일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제1 수직 이음부(10)와 제2 수직 이음부(20) 간 결합면에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 전단저항부재의 공유없이 결합될 수 있다.
도 5a, 5b 및/또는 9f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지중 연속 벽체 시공방법은,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1, 2)의 철근과 결합되고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10, 20) 간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할 수 있다.
지하 연속벽체의 수직 시공이음부가 효율적인 전단강도와 전단강성을 갖도록 다음 2종류의 2방향 전단키를 갖는 수직 이음부의 결합면을 갖는 지하 연속벽체를 구성하였다.
예컨대, 한 종류는 도 1a 내지 2b에서과 같은 형상으로 수직방향 전단키(13, 23)는 이음부 단부의 중앙에 두고, 수평방향 전단키(11, 21)는 중앙부의 수직방향 전단키(13, 23)에 의해 양쪽으로 분리할 수 있다.
다른 한 종류는 도 3a 내지 3b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수직방향 전단키(13, 23)가 양단부에 위치하고 그 사이에 수평방향 전단키(11, 21)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a ~ 3b에서와 같은 전단키의 형상은 선시공 벽체(1)의 양단부에 도 10a~10c에서와 같은 전단키형성 지지틀(F)에 의해 형성되고, 그 사이의 후시공 벽체(2)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후시공 벽체(2)의 양단부는 선시공 벽체(1)의 형상대로 채워져 서로 밀착된다. 예컨대 전단키형성 지지틀(F)은 전단키 형상을 만드는 강재형틀과 강재형틀을 지지하는 지지틀의 결합일 수 있다.
선시공 벽체(1) 단부의 전단키 돌출부와 후시공 벽체(2) 단부의 전단키 돌출부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결합된다. 수직 방향 전단키(13, 23)는 이웃한 분할 벽체의 면외 방향 처짐을 같게 하기 위한 수단이며, 수평방향 전단키들(11, 21)은 수직방향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 1a 내지 2b에 있는 2방향 전단키 형상 A(수직방향 전단키가 수직 이음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시공이음부는 지하층 내부에서 보면 수평 방향 전단키(11, 21)의 사다리꼴 이음부가 보이고, 도 3a 내지 3b에 있는 2방향 전단키 형상 B(수직방향 전단키가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시공이음부는 수직방향 전단키(13, 23)의 이음부 수직선이 보이게 된다.
도 1 내지 3b에 나타낸 2방향 전단키를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형틀부분과 굴착구 단부 지지틀을 목적에 맞게 도 10a 내지 10c에서와 같이 조합하여 사용한다. 도 10c에 있는 형틀 타입 3은 지수판을 설치할 경우에 사용한다. 형틀과 단부 지지틀은 강판, 강관, 볼트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도 9a 내지 9f는 A형상 전단키를 가진 지하 연속벽체의 이음부를 형성하기 위한 시공과정의 하나의 예이다.
(순서-1) 도 9a를 참조하면, 선시공 벽체(1)를 설치하기 위한 굴착구(Hex)를 만들고, 이때 굴착구는 굴착시 붕괴되지 않도록 안정액(B)을 채우면서 만들고, 선시공 굴착구안의 양단부에 전단키 형성 지지틀(F)을 굴착구 하부까지 삽입하고 조립 철근망을 삽입한다.
(순서-2) 도 9b를 참조하면, 선시공 굴착구 안에 트레미공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순서-3) 도 9c를 참조하면, 선시공 지중 벽체가 양생되면 후시공 벽체(2) 설치를 위한 굴착구를 만들고 전단키 형성 지지틀(F)을 빼낸다.
(순서-4) 도 9d를 참조하면, 후시공 굴착구안에 조립 철근망을 삽입한다
(순서-5) 도 9e를 참조하면, 후시공 굴착구 안에 트레미공법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순서-6) 도 9f를 참조하면, 모든 지하 연속벽체이 완성된 후에 지하구조물이 들어설 지반을 굴착하고 바닥구조를 연결할 연결철근을 펴고, 각층 바닥구조의 외곽보에 길이방향 철근과 이외 필요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선시공 벽체(1)와 후시공 벽체(2)의 이음부에 있는 수평방향 전단키들(11, 21)은 선시공 벽체(1)의 돌출면과 오목면은 후시공 벽체(2)의 오목면과 돌출면을 공유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a 및 5b의 캡빔 또는 테두리보 안에 있는 길이방향 철근의 횡구속력은 연속벽과 테두리보(또는 캡빔) 사이 콘크리트 접촉면과 연결철근에 의한 전단마찰력을 통해 2방향 전단키를 가진 지하 연속벽체 수직 시공이음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 선시공 벽체 2: 후시공 벽체
10: 제1 수직 이음부 20: 제2 수직 이음부
11, 21: 수평방향 전단키 11a, 21a: 수평돌부 전단키
11b, 21b: 수평홈부 대응키 또는 수평홈부 전단키
13, 23: 수직방향 전단키 13a, 23a: 수직돌부 전단키
13b, 23b: 수직 대응키

Claims (19)

  1. 선시공 벽체 사이에 후시공 벽체의 시공에 따라 상기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와 상기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며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지하 연속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면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와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홈부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면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는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이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는 상기 수평홈부 대응키이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는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이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는 상기 수직 대응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는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와 상기 수평홈부 대응키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서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는 상기 결합면에서 맞물리도록 상기 수평홈부 대응키와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4.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는 수직 이음부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직 대응키는 수직홈부이고,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상기 수평홈부 대응키 또는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수평홈부 대응키 및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부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 또는 상기 수평홈부 대응키가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 및 상기 수평홈부 대응키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 수직 이음부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에 지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에 따라 상기 지수판이 상기 제2 수직 이음부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에서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6.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는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 사이에 다수의 상기 수평홈부 전단키 또는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수평홈부 전단키 및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수직대응부 사이에 다수의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 또는 상기 수평홈부 전단키가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 및 상기 수평홈부 전단키가 대칭 배치구조로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7. 청구항 1에서,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 및 수직방향 전단키는 사다리꼴 사면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이고,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45°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8. 청구항 7에서,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의 돌출높이 내지 홈깊이는 35~100mm 범위이고, 사다리꼴의 밑면에 해당하는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의 폭은 100~300mm 범위이고,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의 주기간격은 150~400mm 범위이고,
    사다리꼴의 밑면에 해당하는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의 폭은 연속벽체 두께의 1/10 ~ 1/3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간 결합면에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 전단저항부재의 공유없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10.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지중 연속 벽체는 상기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상기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의 철근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간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11. 청구항 9에서,
    상기 지중 연속 벽체는 상기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상기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의 철근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간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12. 선시공 벽체 사이에 후시공 벽체의 시공에 따라 상기 선시공 벽체의 제1 수직 이음부와 상기 후시공 벽체의 제2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며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선시공 굴착구 내에 양단에 전단키 형성 지지틀이 결합된 제1 조립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기 선시공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선시공 굴착구 사이에 후시공 굴착구를 형성하고 상기 전단키 형성 지지틀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수직 이음부를 상기 후시공 굴착구 측으로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후시공 굴착구 내에 제2 조립 철근망을 삽입 후 콘크리트 타설하여 상기 제2 수직 이음부를 구비한 상기 후시공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면에 수직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방향 전단키와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직방향 전단키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의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평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평홈부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면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중 어느 하나에서의 수직돌부 전단키와 나머지 하나에서의 수직 대응키의 맞물림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는 수직 이음부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직 대응키는 수직홈부이고,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상기 수평홈부 대응키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부는 좌우 양측에 다수의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제1 수직 이음부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에 지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의 결합에 따라 상기 지수판이 상기 제2 수직 이음부의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에서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15. 청구항 12에서,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는 수직 이음부의 가장자리 양측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직돌부 전단키 사이에 다수의 상기 수평홈부 전단키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대응부 사이에 다수의 상기 수평돌부 전단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16. 청구항 12에서,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 및 수직방향 전단키는 사다리꼴 사면형상의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방향 전단키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60°각도이고,
    상기 수직방향 전단키의 경사면은 돌출경사각이 수직으로부터 30~45°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17. 청구항 1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 수직 이음부와 상기 제2 수직 이음부 간 결합면에서 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별도 전단저항부재의 공유없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18. 청구항 1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지중 연속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의 철근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간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19. 청구항 17에서,
    상기 지중 연속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연속벽체의 상단을 캡핑하는 캡빔 및 연속벽체의 내측 테두리에 형성된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빔 및 테두리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선시공 및 후시공 벽체의 철근과 결합되고 상기 수직전단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제1 및 제2 수직 이음부 간의 벌어짐을 억제하며 구속시키기 위한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1020220078539A 2022-06-23 2022-06-27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KR20240000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894 2022-06-23
KR20220076894 2022-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17A true KR20240000317A (ko) 2024-01-02

Family

ID=8951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539A KR20240000317A (ko) 2022-06-23 2022-06-27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04B1 (ko) 2004-06-30 2007-09-14 박길석 지하 연속벽 시공방법 및 톱니형 합벽 지하 연속벽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04B1 (ko) 2004-06-30 2007-09-14 박길석 지하 연속벽 시공방법 및 톱니형 합벽 지하 연속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2479B2 (ja) 柱部材、ufc製プレキャスト型枠および当該ufc製プレキャスト型枠を用いた柱部材の耐震補強方法
US11261596B2 (en) Precast wall having increased pouring resistance
US8196368B2 (en) Ductile seismic shear key
KR101337001B1 (ko)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CN108999288B (zh) 一种预制装配式梁柱节点
JP2016199861A (ja) 杭基礎構造
JP2018003308A (ja) 杭基礎の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139761B1 (ko) 건축물용 보강 벽
JP2008031682A (ja) 建築物仮受け時の耐震支持構造及び建築物仮受け時の耐震支持方法
JP4873981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JPH1018308A (ja) 建物基礎地盤の液状化防止構造
KR20240000317A (ko) 지하 연속벽체 및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JP5459661B2 (ja) 耐震補強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耐震補強方法
KR101094097B1 (ko) 콘크리트 매설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스페이서 모듈
JP2009121051A (ja) 建物の建て替え工法
KR100671463B1 (ko) 옹벽용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
CN209923936U (zh) 一种基坑工程中立柱与支撑梁、板交接处节点结构
JP5551943B2 (ja) 地盤改良体を用いた基礎構造
JP6374762B2 (ja) せん断力伝達構造群、せん断力伝達構造の構築方法
US20220064894A1 (en) Foundation wall system
JP2011226169A (ja) 地中連続壁と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
JP2012149394A (ja) シールドトンネル
JP5414514B2 (ja) 基礎構造、及び当該基礎構造を備える免震構造物
KR200424733Y1 (ko) 프리캐스트 타입 에이치형 강
JP2017186760A (ja) 杭基礎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