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118U -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118U
KR20240000118U KR2020220001697U KR20220001697U KR20240000118U KR 20240000118 U KR20240000118 U KR 20240000118U KR 2020220001697 U KR2020220001697 U KR 2020220001697U KR 20220001697 U KR20220001697 U KR 20220001697U KR 20240000118 U KR20240000118 U KR 202400001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access
access point
ship
mobile wireless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원종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1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118U/ko
Publication of KR20240000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2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mass transport vehicles, e.g. buses, trains or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선박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를 구현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구역에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구현해주어 와이-파이(WI-F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한 경로 정보를 추종하여 목적지로 자율 이동을 하며, 목적지에서 이전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를 확인하여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하여 무선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 선박의 무선 네트워크 불가지역으로 무선 네트워크 확장 시 무선 네트워크 선정구역으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에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 서버 및 메인 컨트롤 서버와 연동하며,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위치를 확인하며, 무선 네트워크 확장시 메인 컨트롤 서버에 무선 네트워크 확장지역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을 포함하여,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Mobile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of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를 구현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구역에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구현해주어 와이-파이(WI-F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스마트 선박은 수많은 동적 스마트 장비가 다양한 구역에서 활동하며 데이터를 중앙 수집 장치로 보내게 될 것이다. 건조단계에서 필요구역에 케이블 설치 등을 통해 구역을 확정하게 되면 선박의 제한적인 환경으로 인해 변경이 어렵다. 따라서 20년 이상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선박은 업그레이드하거나,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컨대, 선박의 설계단계에서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가 필요한 구역을 결정하고, 도면 반영 및 케이블 포설(LAN Cable 포설)을 통해 공유기(AP)가 필요한 구역에 공유기를 설치한다. 여기서 공유기 설치는 설치 구역 및 위치에 따라 자재 및 시공 시수가 다수 소요된다.
공유기 설치 구역이 한번 결정되어 선박 건조가 완료되면 추가 및 변경이 거의 불가능하여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도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특히, 초기 사양이 확정되면 업그레이드가 불가하고, 지정된 구역에서만 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만약, 선박의 전 구역을 무선 통신 구역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수백대 이상의 공유기(AP)가 필요하다.
또한, 공유기 설치시 공유기별 파워 케이블과 랜 케이블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해서, 공유기 설치의 복잡함도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기존 선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변적이고 효율적이며 설치가 용이한 자동 무선 AP 구성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하기의 <특허문헌 1> 에는 기존 선박에 설치된 무선 통신 중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기술은 이동전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모바일 신호를 와이-파이 신호로 변환하여 선박 내의 각 이동전화 단말기와 이동전화 기지국 간의 무선통신을 중계함으로써, 선박 내의 무선통신 중계 장치 간에 신호가 중첩 증폭되어 수신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도 무선통신 중계장치를 선박에서 자유롭게 이동형으로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33367(2015.11.30. 공개)(선박용 무선통신 중계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발생하는 문제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선박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를 구현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구역에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구현해주어 와이-파이(WI-F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박에서 원하는 지역에 유동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는,
수신한 경로 정보를 추종하여 목적지로 자율 이동을 하며, 목적지에서 이전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를 확인하여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하여 무선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
선박의 무선 네트워크 불가지역으로 무선 네트워크 확장 시 무선 네트워크 선정구역으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에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 서버;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와 연동하며,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위치를 확인하며, 무선 네트워크 확장시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에 무선 네트워크 확장지역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휠 베이스 기반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형 로봇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
상기 본체의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중계해주며,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주행 센서;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휠 및 주행 센서를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을 제어하며, 목적지에서 주변 액세스포인트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주변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최종 목적지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상기 목적지에 도착한 후,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통신을 통해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시, 상기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상기 주행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지하면서 경로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는,
선박의 3D 모델링 정보와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는,
선박의 3D 모델링을 이용하여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액세스포인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액세스포인트와 목적지까지의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무선 네트워크 선정구역에 설치할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개수 및 위치를 포함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를 구현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구역에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유동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에서 전원 및 랜 케이블 추가 공사 없이, 원하는 지역에 유동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에서 필수 네트워크 설치 구역 외에 필요시마다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구현이 가능하여, 선박 건조단계에서 무선 네트워크 구현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개념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복수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 - 130), 메인 컨트롤 서버(300), 모니터링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 - 130)의 구성 및 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 하나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수신한 경로 정보를 추종하여 목적지로 자율 이동을 하며, 목적지에서 이전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AP)와의 신호강도를 확인하여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휠 베이스 기반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형 로봇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1), 상기 본체(101)에 내장되며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107), 상기 본체(101)의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휠(102), 상기 본체(101)의 상부에 장착되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중계해주며,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103), 상기 본체(10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주행 센서(104), 상기 본체(101)에 내장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경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휠 및 주행 센서를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을 제어하며, 목적지에서 주변 액세스포인트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주변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최종 목적지로 결정하는 제어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107)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장치(10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상기 목적지에 도착한 후,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통신을 통해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하며,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시, 상기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상기 주행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지하면서 경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 서버(300)는 선박(1)의 무선 네트워크 불가지역으로 무선 네트워크 확장 시 무선 네트워크 선정구역으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에 전송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메인 컨트롤 서버(300)는 선박의 3D 모델링 정보와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선박의 3D 모델링을 이용하여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액세스포인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액세스포인트와 목적지까지의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무선 네트워크 선정구역에 설치할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개수 및 위치를 포함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모니터링 단말(200)은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300)와 연동하며,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위치를 확인하며, 무선 네트워크 확장시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300)에 무선 네트워크 확장지역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1)의 무선 AP가 구현되지 않은 환경에 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관리자(사용자)는 모니터링 단말(200)을 이용하여 메인 컨트롤 서버(300)에 접속하고, 네트워크 필요 구역을 설정한다(S11). 여기서 구역 설정은 도 3과 같은 선박(1)의 3D 모델링 정보에서 특정 지역을 마킹하거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방법으로 간단하게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구역을 설정한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200)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구역이 설정되면, 메인 컨트롤 서버(300)는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선박(1)의 3D 모델링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구역 정보(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액세스포인트(AP)(예를 들어, 10)를 검색한다(S12).
이어, 목적지에 가장 근접한 액세스포인트(10)가 검색되면, 검색된 액세스포인트와 목적지까지의 직선거리를 산출하고, 통상의 경로 설정 방식으로 경로를 생성한다(S13). 여기서 경로 생성은 통상의 내비게이션 등과 같은 장비에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생성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무선 네트워크 선정구역에 설치할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개수 및 위치 등을 포함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계획을 수립한다(S14). 즉, 새롭게 구축할 무선 네트워크 구역에 설치할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개수를 산정하고, 각각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목적지 위치를 설정하며, 이동 대상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에 생성한 경로 정보를 전송한다(S14).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목적지 위치 설정을 위해, 목적지에 가장 근접한 현재 설치된 액세스포인트의 정보를 획득하고, 목적지와 액세스포인트와의 직선거리를 이용하여 목적지와의 거리와 레벨 차이 정보를 획득한다.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멀티브리지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선정된 충전소에서 충전을 진행하며(S21),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300)로부터 호출 정보를 수신하고 경로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경로 정보를 추종하여 목적지로 자율 주행을 한다(S22).
예컨대,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배터리(107)를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어부(106)에서 수신한 경로 정보를 기초로 휠(102)을 구동시켜 목적지로의 자율 주행을 한다. 목적지까지의 자율 주행 시에는 장착된 주행 센서(104)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 정보를 인지하면서 목적지까지의 자율 주행을 하여 목적지로 이동을 한다(S23). 여기서 주행 센서(104)는 장애물 검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센서로서, 저가형 3D 스캐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목적지에 도달하면, 이전 설치된 액세스포인트와의 통신을 통해 신호강도를 측정한다(S24).
이어, 측정한 신호 강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신호 강도를 비교하여, 측정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하면서 최종 목적지로 이동을 한다(S25 - S26).
즉,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상기 경로 정보를 기초로 목적지에 도착한 후,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AP)와 통신을 통해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을 하면서 최종 목적지로 이동을 한다. 여기서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시, 상기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의 목적지 이동이 완료되면, 해당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는 현재 위치에서 안테나(103)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중계(WIFI 서비스)를 수행한다.
구축할 무선 네트워크 구역에 상기와 같이 첫 번째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100)의 이동이 완료되고 Way point가 확보되면, 메인 컨트롤 서버(300)는 다음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예를 들어, 110)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이동시켜 최종 목적지에 안착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처음 설정한 무선 네트워크 구역에 적절하게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자율 주행을 통해 이동시켜 무선 네트워크를 유동적으로 구축한다.
이상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에서 무선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를 구현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구역에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에서 전원 및 랜 케이블 추가 공사 없이, 원하는 지역에 유동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선박에서 필수 네트워크 설치 구역 외에 필요시마다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구현이 가능하여, 선박 건조단계에서 무선 네트워크 구현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110 - 130: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
101: 본체
102: 휠
103: 안테나
104: 주행 센서
105: 배터리 충전장치
106: 제어부
107: 배터리
200: 모니터링 단말
300: 메인 컨트롤 서버

Claims (9)

  1. 수신한 경로 정보를 추종하여 목적지로 자율 이동을 하며, 목적지에서 이전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를 확인하여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하여 무선 데이터를 중계해주는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
    선박의 무선 네트워크 불가지역으로 무선 네트워크 확장 시 무선 네트워크 선정구역으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에 전송하는 메인 컨트롤 서버; 및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와 연동하며, 설치된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위치를 확인하며, 무선 네트워크 확장시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에 무선 네트워크 확장지역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휠 베이스 기반의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형 로봇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전원을 공급해주는 배터리;
    상기 본체의 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어, 데이터를 무선으로 중계해주며,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통신을 수행하는 안테나;
    상기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주행 센서; 및
    상기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휠 및 주행 센서를 이용하여 목적지로 이동을 제어하며, 목적지에서 주변 액세스포인트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여 주변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최종 목적지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4. 청구항 4에서,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5. 청구항 1에서,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목적지에 도착한 후,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통신을 통해 신호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자율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6. 청구항 5에서,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와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시, 상기 주변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호강도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7. 청구항 3에서, 상기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는,
    상기 주행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지하면서 경로 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8. 청구항 1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는,
    선박의 3D 모델링 정보와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설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선박의 3D 모델링 정보와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설치 위치 정보를 기초로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 네트워크 구축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9. 청구항 1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 서버는,
    선박의 3D 모델링을 이용하여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액세스포인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액세스포인트와 목적지까지의 직선거리를 산출하여 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무선 네트워크 선정구역에 설치할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개수 및 위치를 포함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KR2020220001697U 2022-07-11 2022-07-11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KR202400001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97U KR20240000118U (ko) 2022-07-11 2022-07-11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97U KR20240000118U (ko) 2022-07-11 2022-07-11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18U true KR20240000118U (ko) 2024-01-18

Family

ID=8971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697U KR20240000118U (ko) 2022-07-11 2022-07-11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118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367A (ko) 2014-05-19 2015-11-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용 무선통신 중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367A (ko) 2014-05-19 2015-11-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용 무선통신 중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1750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EP1675321B1 (en) Controller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70030442A (ko) 드론 기지국과 드론 기지국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709685B1 (ko) 선박을 위한 이동통신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5086262A (ja) 無線中継ロボット
KR20040018550A (ko) 셀룰러 무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JP2007006395A (ja) 移動端末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KR20220045311A (ko) V2x 네트워크 핸드오버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87302B2 (ja) 通信制御装置
KR20160121038A (ko) 선내 위치 및 경로 안내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그가 적용되는 선박
KR20240000118U (ko) 선박의 이동형 무선 액세스포인트장치
JPWO2019054205A1 (ja) 移動ロボットシステム
JP4748106B2 (ja) アンテナビーム制御方法及びアンテナビーム制御装置並びに移動通信システム
CA26718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o wireless networks in underground edifices
KR20070086830A (ko) 이동 단말, 및 이동객체를 통해 운반되는 복수의이동국들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KR101861514B1 (ko) 개인환경서비스를 위한 휴대폰과 생활기기, 서비스 서버를 이용한 장치 프로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4735546B2 (ja) 位置情報認識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665829B2 (ja) 車上無線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用いた車両無線通信システム
JP6440410B2 (ja) 無線中継ネットワーク
KR100888676B1 (ko) 무선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동 로봇, 이동 로봇을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성능 향상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KR101819062B1 (ko) 지하철 진출입 기반의 비콘 수신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105492A (ko) 중계기를 구비하는 무인 이동체 및 이를 이용한 중계 방법
JP201901690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管理局、移動体基地局、及び移動体基地局制御方法
JP2008135874A (ja) 無線中継装置及び方法
KR1013894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과 근거리 무선통신의 연동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