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100A -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 Google Patents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100A
KR20240000100A KR1020220076627A KR20220076627A KR20240000100A KR 20240000100 A KR20240000100 A KR 20240000100A KR 1020220076627 A KR1020220076627 A KR 1020220076627A KR 20220076627 A KR20220076627 A KR 20220076627A KR 20240000100 A KR20240000100 A KR 20240000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plantar fascia
arch
sole
c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주텍
Priority to KR102022007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100A/ko
Priority to PCT/KR2023/000879 priority patent/WO2023249189A1/ko
Publication of KR2024000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7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for sick or disabled persons, e.g. persons having osteoarthritis or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Rheu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바닥의 종아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인솔 중족부(발바닥의 중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는 인솔 전족부(발바닥의 전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 및 인솔 후족부(발바닥의 후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곡(彎曲)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솔 중족부의 내측 높이는 외측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부분에서 내측 부분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인솔 중족부의 내측에는 족저근막을 수용하기 위한 홈(groove)이 인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종아치의 만곡(彎曲) 형태로 인솔 전족부에서 인솔 후족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Insole for protecting foot's plantar fascia}
본 발명은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인솔(깔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압박을 줄여 발의 통증 및 피로를 감소시켜 족저근막염을 방지하거나 족저근막염 환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인솔에 관한 것이다.
발은 양쪽을 합치면 52개의 크고 작은 뼈들과, 수많은 관절, 힘줄, 인대, 신경, 혈관이 모여 우리 몸을 지탱하고 균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발의 이상과 변형은 무릎과 골반, 허리, 목에 이르기까지 골격계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인솔(insole: 깔창)은 신발 내부에 삽입되어 신발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보행이나 운동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착용자의 발을 보호함과 동시에 피로감을 덜어주는 수단이다.
인솔은 제2의 신발이라고 불리는 만큼 신발 못지않게 중요한 데, 신발을 구매할 때 처음 들어있는 인솔은 착용자의 발 상태를 온전히 반영하여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발의 이상이나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최근 족저근막염 환자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족저근막(Plantar Fascia)은 발바닥의 종골(calcaneus)과 중족골두에 부착된 부채꼴 모양으로 퍼져있는 넓은 구조의 인대로서, 발바닥을 지지하고, 발의 탄력성과 신축성을 부여하여 운동성을 부여한다.
족저근막염은 이러한 족저근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족저근막염은 비만, 오랜 기간 서 있거나 오래 걷는 일 혹은 달리는 행위, 갑작스럽게 강한 강도의 운동을 할경우,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플랫슈즈처럼 충격 흡수가 없는 신발을 자주 사용할 경우, 오래 앉아서 생활해서 혈액순환 저하와 영양 공급의 저하 등이 원인이다. 평발같은 경우에도 발병률이 높다. 족저근막염은 발바닥에 있는 쿠션 역할을 해주는 지방층이 줄어들고, 발뼈가 퇴행성으로 변형되어 발바닥 근막에 지속적인 자극을 주게 되어 염증이 생긴다.
이러한 족저근막염 환자 또는 족저근막의 통증이 있는 사람은 족부 전문가가 고객의 발 체형을 직접 분석하여 만든 맞춤형 인솔을 선호하는 데, 맞춤형 인솔은 고객의 발 상태를 반영하여 제작되므로 발 건강에 최적화될 수는 있으나, 맞춤형 인솔은 직접 매장에 방문하여야 하며,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작하므로 제작 시간, 비용면에서 부담이 되고 있다.
이러한 맞춤형 인솔에 비해 기능성 인솔은 대량생산되는 기성품이므로 맞춤형 인솔에 비해 가격, 구입시간 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 대한민국 등록공개 제10-2022-0002787호 - 대한민국 등록공개 제10-2022-0002787호
본 발명은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압박을 줄여 발의 통증 및 피로를 감소시켜 족저근막염을 방지하거나 족저근막염 환자가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인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바닥의 종아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인솔 중족부(발바닥의 중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는 인솔 전족부(발바닥의 전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 및 인솔 후족부(발바닥의 후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곡(彎曲)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솔 중족부의 내측 높이는 외측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부분에서 내측 부분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인솔 중족부의 내측에는 족저근막을 수용하기 위한 홈(groove)이 인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종아치의 만곡(彎曲) 형태로 인솔 전족부에서 인솔 후족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상기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의 너비는 8 ~ 17 mm 이고, 홈의 깊이는 2 ~ 6 mm 인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의 안쪽 부분은 인솔 중족부의 중심선으로부터 5 ~ 10 mm 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의 하부에는 인솔 중족부의 종아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종아치 지지부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종아치 지지부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에서 발바닥의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이 결합되는 종골-입방골 아치(CCA)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는 CCA를 지지하기 위한 CCA 지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은 발바닥의 횡아치에 대응되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횡아치 지지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 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 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 후족부의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은 발바닥의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이 결합되는 종골-입방골 아치(CCA)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는 CCA를 지지하기 위한 CCA 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인솔 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 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고, 상기 인솔 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은 발바닥의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이 결합되는 종골-입방골 아치(CCA)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는 CCA를 지지하기 위한 CCA 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인솔 후족부의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기 인솔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는 인솔 사용시에 가해지는 발의 압력 분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에 의해 발색되는 감압필름을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솔은 인솔 중족부의 내측에 족저근막을 수용하기 위한 최적화된 홈(groove)이 인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솔 전족부에서 인솔 후족부까지 형성되고, 상기 최적화된 홈(groove)과 내측 종아치의 지지 부분을 적절하게 조화시킴으로써, 종아치가 무너지지 않게 지지되면서도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압박을 줄여 발의 통증 및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족부의 골격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족저근막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발의 "프로네이티드(pronated)", "뉴트럴(neutral)", "수피네이티드(supinated)" 형태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솔(나-유형)의 사시도(a), 정면도(b), 평면도(c), 절취 단면도(d) 및 저면도(e)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솔(라-유형)의 사시도(a), 정면도(b), 평면도(c), 절취 단면도(d) 및 저면도(e)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솔(마-유형)의 사시도(a), 정면도(b), 평면도(c), 절취 단면도(d) 및 저면도(e)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필름이 부착된 인솔로서, (a)감압필름 부착, (b)는 정상, (c) 수피네이티드(supinated) 상태로서 비정상, (d) 프로네이티드(pronated) 상태로서 비정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음과 같은 용어는 발과 관련한 정형외과적 표현과 메커니즘에 기반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수피네이티드(supinated)"는 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발이 외측(또는 원위) 방향으로 무너지거나 쓰러지는 3차원 운동 상태를 의미하고, 통상적으로 인버젼(inversion)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프로네이티드(pronated)"는 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발이 내측(또는 근위) 방향으로 무너지거나 쓰러지는 3차원 운동 상태를 의미하고, 통상적으로 이버젼(eversion)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레벨'은 발의 정형학적 증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0, 1, 2, 3 레벨로 분류한다. 3-레벨은 그 정도가 심각한 상태(+++), 2-레벨은 중간 상태(++), 1-레벨은 비교적 약한 상태(+), 0-레벨은 정상인 상태를 의미한다.
족부 정형학에 있어서, 족부 유형의 판정 기준 중 하나는 족부 이미지로부터 하퇴 이분선과 종골 이분선(calcaneal bisection line)의 관계이다. 종골(calcaneus)은 발뒤꿈치 뼈로서 종골 이분선은 종골을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이다.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종골 이분선의 기울어진 방향 및 각도에 따라 고객의 발은 정형학적으로 "프로네이티드(pronated)", "뉴트럴(neutral)", "수피네이티드(supinated)" 유형인지, 그 정도가 "온화(mild)", "보통(moderate)", "심각(severe)"인지 등을 판정하는 주요 기준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후족부 바루스(rearfoot varus)"는 발 뒷꿈치(heel) 부분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족골 이분선(calcaneal bisection)과 하퇴 이분선(lower leg bisection)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이 몸의 중심선으로부터 외측(또는 원위)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후족부 발구스(rearfoot valgus)"는 발 뒷꿈치(heel) 부분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족골 이분선(calcaneal bisection)과 하퇴 이분선(lower leg bisection)의 연장선이 만나는 지점이 몸의 중심선으로부터 내측(또는 근위)으로 모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족부 바루스(forefoot varus)"는 엄지 발가락(또는 제1 중족골두) 쪽이 새끼 발가락(또는 제5 중족골두) 쪽보다 상대적으로 위로 들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족부 발구스(forefoot valgus)"는 새끼 발가락(또는 제5 중족골두) 쪽이 엄지 발가락(또는 제1 중족골두) 쪽보다 상대적으로 위로 들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오랫동안 축적된 족부 정형학적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족부 유형은 일반적으로 하기 6가지 타입으로 분류될 수 있다.
① 가-유형: 후족부가 보상되지 않는 바루스(uncompensated rearfoot varus)이고, 전족부가 가장 높은 3-레벨 발구스(forefoot valgus)이고, 아치의 높이가 3-레벨이며, 전체적으로 3-레벨 수피네이티드(supinated) 유형(S+++);
② 나-유형: 후족부가 발구스(rearfoot valgus)이고, 전족부가 플렉스블한 발구스(forefoot valgus)이고, 아치의 높이가 1-레벨이며, 전체적으로 1-레벨의 프로네이티드(pronated) 유형(P+);
③ 다-유형: 후족부가 보상되지 않는 바루스이고, 전족부가 중립(neutral)이고, 아치의 높이가 중간의 2-레벨이며, 전체적으로 뉴트럴(neutral, normal) 유형(N);
④ 라-유형: 후족부가 보상된 바루스이고, 전족부가 중립이고, 아치의 높이가 1-레벨이며, 전체적으로 2-레벨의 프로네이티드 유형(P++);
⑤ 마-유형: 후족부가 보상되지 않는 바루스이고, 전족부가 2-레벨 바루스이고, 아치의 높이가 2-레벨이며, 전체적으로 2-레벨의 수피네이티드 유형(S++);
⑥ 바-유형: 후족부가 보상된 바루스(compensated rearfoot varus)이고, 전족부가 바루스이고, 아치의 높이가 0-레벨이며, 전체적으로 3-레벨의 프로네이티드 유형(P+++).
본 발명자는 족저근막의 보호에 최적화된 기능성 인솔을 개발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축적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연구하였고, 상기 6가지 족부 유형 중 나-유형(1-레벨의 프로네이티드 유형, P+), 라-유형(2-레벨의 프로네이티드 유형, P++), 마-유형(2-레벨의 프로네이티드 유형, S++)에서 족저근막염 환자의 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유형에 최적화된 인솔을 개발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나-유형, 라-유형, 마-유형에 각각 최적화된 인솔들의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솔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을 참고하여 족부의 뼈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부(foot)는 발을 이루고 있는 뼈와 이의 역할에 따라 정형학적으로 전족부(forefoot, FF), 중족부(midfoot, MF), 후족부(rearfoot, RF)로 구분된다. 전족부를 구성하는 뼈는 중족골(metatarsal)과 지골(phalanges)로 구성된다. 중족골은 발바닥과 발등을 이루는 5개의 뼈로 각각 지골(발가락 뼈)에 연결되어 있다. 중족골은 엄지발가락부터 순서대로 제1, 2, 3, 4, 5 중족골이라 한다. 중족부를 구성하는 뼈는 안쪽부터 제1설상골(내측설상골)(medial cuneiform), 제2설상골(중간설상골)(intermediate cuneiform), 제3설상골(lateral cuneiform)을 포함하고 3개의 설상골은 주상골(navicuar)과 연결된다. 입방골(cuboid)은 중족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후족부를 구성하는 뼈는 거골(talus), 종골(calcaneus)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발바닥은 평평하지 않고 우묵하게 들어간 것을 아치(arch)를 가지는 데, 이러한 아치는 종아치(longitudinal arch)와 횡아치(transverse arch)로 구분되고, 종아치는 다시 내측 종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 외측 종아치(lateral longitudinal arch)로 구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10)을 나타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1-레벨의 프로네이티드 유형(P+)에 맞게 설계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20)을 나타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2-레벨의 프로네이티드 유형(P++)에 맞게 설계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30)을 나타낸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2-레벨의 수피네이티드 유형(S++)에 맞게 설계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솔(10, 20, 30)은 인솔 전족부(FF), 인솔 중복부(MF), 인솔 후족부(RF)로 구분되어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인솔 전족부"는 발바닥의 전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 "인솔 중족부"는 발바닥의 중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 "인솔 후족부"는 발바닥의 후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솔 중족부(MF)는 발바닥의 종아치(내측 및 외측)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인솔 전족부(FF) 및 인솔 후족부(RF)에 비해 높은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인솔 중족부(MF)는 인솔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만곡(彎曲)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솔 중족부(MF)는 발바닥의 내측 종아치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인솔의 횡방향을 기준으로 내측 높이(h1)는 외측 높이(h2)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부분에서 내측 부분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세 개의 아치(내측 종아치, 외측 종아치, 횡아치) 중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내측 종아치가 일반적인 족부 구조에서 외측 종아치에 비해 높게 형성됨으로써 내측 종아치 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상기 인솔 중족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족저근막을 수용하기 위한 홈(groove)(11, 21, 31)이 인솔의 종방향을 따라 인솔 전족부(FF)에서부터 인솔 후족부(RF)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11, 21, 31)은 내측 종아치의 형태와 같이 만곡(彎曲)된 아치 형태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홈(11, 21, 31)에 있어서 중앙 부분이 가장 높으며 인솔 전족부(FF)와 인솔 후족부(RF)로 갈수록 홈의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구조를 가진다. 족저근막은 인솔에서 높게 형상된 내측 종아치에 대응되는 부분이 아닌 홈(11, 21, 31)에 수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이나 운동시, 인솔에 의해 족저근막이 과도하게 압력 또는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11, 21, 31)의 횡단면은 도 4 내지 도6 에 보이는 바이 마름모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11, 21, 31)의 너비는 착용하는 인솔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데, 홈(11, 21, 31)의 폭은 본 발명자가 획득한 임상학적 데이터에 기반하면 바람직하게는 8 ~ 17 mm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5 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홈(11, 21, 31)의 폭이 넓을수록 인솔의 내측 종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적어져 발의 아치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워지고, 홈(11, 21, 31)의 폭이 좁을수록 족저근막의 충분한 수용이 어려울 수 있다. 홈(11, 21, 31)의 깊이는 본 발명자가 획득한 임상학적 데이터에 기반하면 바람직하게는 2 ~ 6 mm 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5 mm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11, 21, 31)의 안쪽 부분은 임상학적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때 바람직하게는 인솔 중족부의 중심선(M)으로부터 5 ~ 10 mm 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솔 전반적인 뼈대는 일반적인 인솔 재료로 이용되는 합성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인솔 재료는 예컨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라텍스일 수 있고, 이들의 발포 성형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와 같이 인솔의 재료가 가요성이 있는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인솔 중족부의 만곡되어 돌출된 구조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인솔의 하부에는 인솔 중족부의 종아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종아치 지지부(12, 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아치 지지부(12, 22)의 재료는 상기 인솔 재료와 비교하면 더욱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아치 지지부(12, 22)의 재질은 예컨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족부 정형학적으로 발바닥의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이 연결되는 위치에는 오목한 아치(arch) 즉, 종골-입방골 아치(caclneual cuboid arch, CCA)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솔에는 종골-입방골 아치(CCA)를 수용, 지지하기 위한 CCA 지지부(13, 33)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CCA 지지부(13, 33)는 발바닥의 외측 부분을 더욱 지지함으로써 발이 바깥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CCA 지지부(13, 33)는 인솔 중족부(MF)와 인솔 후족부(RF)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CCA 지지부(13, 33)는 주변에 비해 좀 더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횡아치는 엄지발가락에서 시작하여 새끼발가락쪽으로 형성되는 아치로서, 횡아치가 무너지면 발바닥 통증이 발생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솔에는 발바닥의 횡아치가 무너지지 않고 견딜 수 있도록 횡아치를 지지하기 위한 횡아치 지지부(14, 24, 3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인솔 전족부는 내측과 외측의 높이가 같은 수평 구조일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인솔 전족부는 외측(16)에 비해 내측(15)이 좀더 높게 형성되고, 엄지발가락 부위는 제1 중족골두로부터 연장(Morton's Extension)되어 좀더 높게 형성됨으로써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무너지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이 프로네이티드 유형(P++)인 경우에는 상기 인솔 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발바닥의 후족부가 발의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이 수피네이티드 유형(S++)인 경우에는 상기 인솔 후족부의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는 발바닥의 후족부가 발의 바깥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 따른 인솔 구조를 다시 설명하면, 인솔 중족부는 내측 족근저막에 과긴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Plantar Fascia Groove)(11)이 형성되어 있다. 인솔 후족부는 발이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Eversion)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에 비해 내측이 완만한 경사로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인솔 전족부(FF)에서 내측(15)은 외측(16)에 비해 좀더 높게 형성되고, 엄지발가락 부위는 제1 중족골두로부터 연장(Mortons Extension)되어 좀더 높게 형성되며, CCA 지지부(13)는 1-레벨의 비교적 낮은 지지부일 수 있다. 발의 종아치 부분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종아치 지지부(14)가 인솔 하부 중앙 쪽에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따른 인솔 구조를 다시 설명하면, 인솔 중족부는 내측 족근저막에 과긴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Plantar Fascia Groove)(21)이 형성되어 있다. 인솔 후족부는 발이 안쪽으로 쓰러지는 것(Eversion)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에 비해 내측이 완만한 경사로 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인솔 전족부는 내측(25)이 외측(26)에 비해 좀더 높게 형성되고, 엄지발가락 부위는 제1 중족골두로부터 연장(Morton's Extension)되어 좀더 높게 형성되어 있다. 발의 종아치 부분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종아치 지지부(22)가 인솔 하부 중앙 쪽에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따른 인솔 구조를 다시 설명하면, 인솔 중족부는 내측 족근저막에 과긴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측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Plantar Fascia Groove)(31)이 형성되어 있다. 인솔 후족부는 내측(medial)에 비해 외측(lateral)이 약간 경사지게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인솔 전족부는 외측과 내측이 수평되게 형성되고, CCA 지지부(33)는 2-레벨의 다소 높은 지지부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인솔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는 인솔 사용시에 가해지는 발의 압력 분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에 의해 발색되는 감압필름을 더 포함될 수 있다. 감압필름은 필름 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해당 부분에서 발색이 일어나는 필름으로, 발색 여부 및 발색 강도에 따른 압력 분포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감압필름은 PET 등과 같은 필름기재 상에 발색제가 충진된 마이크로캡슐 층과, 현색제 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임계 압력 이하에서는 마이크로캡슐 막에 의해 발색제와 현색제가 분리되어 있다가, 임계 압력 이상의 압력에 의해 마이크로캡슐이 깨지면서 발색제와 현색제가 서로 화학반응함으로써 발색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마이크로캡슐 막은 예컨대 폴리우레아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고, 마이크로캡슐 막의 두께 등을 조절함으로써 임계 압력은 증감될 수 있다.
상기 감압필름은 인솔에 부착된 상태이거나, 미부착 상태로 고객에 배송된 후에 고객에 의해 인솔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감압필름은 예컨대 1장의 필름으로 인솔의 전체 크기에 맞게 부착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솔의 전족부 및 후족부에 분리되어, 즉 2장의 필름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인솔을 구매한 고객은 상기 감압필름이 부착된 인솔을 신발에 끼워넣고 일정 시간 보행한 후 발색된 감압필름 또는 인솔 이미지(사진)에서 색채 변화를 통한 압력 분포를 평가함으로써 주문된 인솔이 고객의 족부 유형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필름이 부착된 인솔로서, (a)감압필름 부착, (b)는 정상, (c) 수피네이티드(supinated) 상태로서 비정상, (d) 프로네이티드(pronated) 상태로서 비정상을 나타낸다.
예컨대, 압력 분포가 인솔 전족부, 후족부의 중심에 형성된 경우(도 14의 (b))에는 주문된 인솔은 정상 범위로 고객의 족부 유형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정하고, 도 7의 (c), (d)와 같이 압력 분포가 인솔의 어느 한쪽에 쏠려 있는 경우에는 주문된 인솔은 비정상 범위로 고객의 족부 유형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10, 20, 30: 인솔 11, 21, 31: 족저근막을 수용하기 위한 홈
12, 22: 종아치 지지부 13, 33: CCA 지지부
14, 24, 34: 횡아치 지지부

Claims (13)

  1. 발바닥의 종아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인솔 중족부(발바닥의 중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는 인솔 전족부(발바닥의 전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 및 인솔 후족부(발바닥의 후족부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곡(彎曲)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솔 중족부의 내측 높이는 외측 높이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부분에서 내측 부분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인솔 중족부의 내측에는 족저근막을 수용하기 위한 홈(groove)이 인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 종아치의 만곡(彎曲) 형태로 인솔 전족부에서 인솔 후족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의 너비는 8 ~ 17 mm 이고, 홈의 깊이는 2 ~ 6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저근막을 수용하는 홈의 안쪽 부분은 인솔 중족부의 중심선으로부터 5 ~ 10 mm 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의 하부에는 인솔 중족부의 종아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종아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치 지지부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에서 발바닥의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이 결합되는 종골-입방골 아치(CCA)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는 CCA를 지지하기 위한 CCA 지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발바닥의 횡아치에 대응되는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횡아치 지지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 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 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거나,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발바닥의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이 결합되는 종골-입방골 아치(CCA)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는 CCA를 지지하기 위한 CCA 지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인솔 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 전족부의 내측 부분이 외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은 발바닥의 종골(calcaneus)과 입방골(cuboid)이 결합되는 종골-입방골 아치(CCA)에 대응되는 인솔 부분에는 CCA를 지지하기 위한 CCA 지지부가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솔 후족부의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는 인솔 사용시에 가해지는 발의 압력 분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에 의해 발색되는 감압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KR1020220076627A 2022-06-23 2022-06-23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KR20240000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627A KR20240000100A (ko) 2022-06-23 2022-06-23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PCT/KR2023/000879 WO2023249189A1 (ko) 2022-06-23 2023-01-18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627A KR20240000100A (ko) 2022-06-23 2022-06-23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00A true KR20240000100A (ko) 2024-01-02

Family

ID=89380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627A KR20240000100A (ko) 2022-06-23 2022-06-23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0100A (ko)
WO (1) WO2023249189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87A (ko)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오성제화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9222B2 (ja) * 2015-07-15 2019-11-20 株式会社村井 インソール及び靴
WO2018155741A1 (ko) * 2017-02-24 2018-08-30 박경우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KR102101945B1 (ko) * 2018-09-05 2020-04-17 주식회사 알푸스 반-맞춤형 인솔 및 반-맞춤형 인솔 선정 방법
JP6663975B1 (ja) * 2018-12-27 2020-03-13 株式会社 菊星 インソール及び履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787A (ko) 2020-06-30 2022-01-07 주식회사 오성제화 족저근막염 및 척추 교정용 인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189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602B2 (en) Basketball insole
US8468721B2 (en) Footwear with integrated biased heel fit device
US5408761A (en) Sport shoe and support system
US4476858A (en) Shoe-foot interface
US5174052A (en) Dynamic stabilizing inner sole system
US6105283A (en) Shoe insole for correction, control, and underfoot comfort
EP0925000B2 (en) Shoe having an internal chassis
US8756836B2 (en) Foot support
US20170027277A1 (en) Customizable Component Insole System
US7120958B2 (en) Mass producible custom-made shoe inserts
US20090119947A1 (en) Orthopedic Foot Appliance
US20040103561A1 (en) Footwear with orthopedic component system
US20110099842A1 (en) Motion control insole with muscle strengthening component
US20010032400A1 (en)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US7041075B2 (en) Orthotic foot devices for bare feet and methods for stabilizing feet
US4272899A (en) Footwear
KR102101945B1 (ko) 반-맞춤형 인솔 및 반-맞춤형 인솔 선정 방법
TW202007297A (zh) 鞋用內底
CN108652125B (zh) 一种全包裹式亚健康矫正鞋
WO2010134661A1 (ko) 신발 제조용 라스트
KR20240000100A (ko) 족저근막 보호용 인솔
JP2008029611A (ja) 矯正中敷きと該矯正中敷きを用いた矯正靴
US20110035967A1 (en) Orthopedic shoe
US10349701B2 (en) Footwear having a sole formed with a cavity receiving a highly viscous gel
US20220117768A1 (en) Ankle brace with rear heel calcaneal stabilizing depr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