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641A -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641A
KR20230174641A KR1020220075819A KR20220075819A KR20230174641A KR 20230174641 A KR20230174641 A KR 20230174641A KR 1020220075819 A KR1020220075819 A KR 1020220075819A KR 20220075819 A KR20220075819 A KR 20220075819A KR 20230174641 A KR20230174641 A KR 20230174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lery data
background
output
display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641A/ko
Publication of KR2023017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80Recognising image objects characterised by unique random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갤러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 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감지된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 중 결정된 출력 영역 상에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은 상기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하여 상기 갤러리 데이터를 위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재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AL CONTROL METHOD THEREOF}
개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과 출력 컨텐츠를 고려하여 소정 영역에 상기 컨텐츠를 출력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를 분리하며, 분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하면 흔히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TV를 떠올렸으나, 디지털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여, 최근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종래 전통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장치 뒤쪽의 배경이 투과되어 보일 수 있다.
한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배경이 투과되어 보이는 상태에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경우에 종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과 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가 겹치는 문제로 인해 사용자의 입장에서 상기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을 고려하여 소정 영역에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갤러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 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감지된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 중 결정된 출력 영역 상에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은 상기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하여 상기 갤러리 데이터를 위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재처리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갤러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특정 모드 실행을 인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의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감지된 배경 내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 중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출력 영역에 갤러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은 상기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가 재처리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에도 불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컨텐츠의 식별력 저하를 방지 또는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특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과의 관련성이 있는 컨텐츠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갤러리 모드 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갤러리 모드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작하는 갤러리 모드 처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명의 편의상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탑-박스(STB: Set-top box),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on screen display)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박스(STB)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박스(STB)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및 마이크로폰(2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를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를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모드에서 사용자가 일 방향(예를 들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뒷면에 위치한 배경이 투과되어 보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특정 모드에 따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특정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경이 투과되어 보이는 상태에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과 출력되는 컨텐츠에 따라 컨텐츠 식별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상기 컨텐츠의 식별력 저하 방지 또는 개선되도록 출력하기 위한 처리 방법이 요구되는바, 이하에서는 그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배경이 투과되어 보이는 영역은 배경 영역, 상기 배경 내 객체가 위치한 영역을 객체 영역, 그리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영역을 출력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은 객체 영역 및 컨텐츠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의 출력 영역을 결정하되, 상기 출력 영역 결정이 어려운 경우에는 배경 영역, 객체 영역 또는 상기 컨텐츠를 가공 즉, 재처리하여 상기 출력 영역을 최종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특정 모드라 함은 예를 들어, 갤러리 모드(gallery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갤러리 모드는, 설정에 따라 특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상에 소정 컨텐츠가 출력되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하기 보다는 마치 갤러리나 인테리어(interior)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상기 갤러리 모드는, 디스플레이(180) 화면의 일 영역 상에 컨텐츠를 사용자의 입력이 없더라도 다른 동작 모드로 전환 전까지 계속하여 출력하는 동작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갤러리 모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또는 주변에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인식되는 경우에만 동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록 갤러리 모드가 온 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해당 모드 동작을 일시 정지 또는 중단할 수 있다. 이렇게 정지 또는 중단된 갤러리 모드는 사용자가 인식되면 다시 재개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갤러리 모드의 동작 정지나 중단이라 함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파워 오프 또는 완전 투과 모드로 디스플레이(180) 전 영역에 배경만 출력되는 경우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번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컨텐츠에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출력 가능한 모든 형태의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반드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저장되었거나 설정된 컨텐츠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소스를 통해 수집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장치(100)를 통해 출력 가능한 컨텐츠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컨텐츠는 반드시 동영상에 한정되지 않고 정지영상(스틸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등이나 그 조합과 같이 다양한 포맷으로 구현된 컨텐츠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갤러리 모드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갤러리 데이터(gallery data)'로 명명하여 설명하나, 그러한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갤러리 모드 처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갤러리 모드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동작하는 갤러리 모드 처리 화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180)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로세서는 도 5에 도시된 처리부(520) 또는 감지부(510)와 처리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프로세서는 후자 즉, 감지부(510)와 처리부(520)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는, 갤러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180),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 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510) 및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감지된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 중 결정된 출력 영역 상에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은 상기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하여 상기 갤러리 데이터를 위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재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도 5의 처리부(520)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감지부(510)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 즉,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배경에 대한 정보 즉, 배경 영역 정보와 객체 영역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감지부(510)는 상기 배경 영역에 대한 캡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경 영역은 객체 영역을 포함한다.
감지부(510)는 전술한 배경 영역 내 객체 감지 동작, 배경 영역에 대한 캡쳐 이미지 획득 동작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에는, 카메라/이미지 촬상 센서, ToF(Time of Flight) 센서와 같은 객체 인식 센서, 컬러 센서(color sensor), 각종 디텍팅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지부(510)는 비록 도 5에서는 처리부(520)와의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처리부(520)의 일 구성요소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유/무선 연결된 외부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51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도시하였으나, 센서의 타입이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처리부(520)는 연산부(530), 배경/컨텐츠 처리부(540), 제어부(5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처리부(500)는 SoC(System on Chip)으로, 메인보드(mainboard)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연산부(530)는 상기 감지부(51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 영역에 대하여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영역 또는 출력 후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530)는 메모리(미도시)로부터 상기 컨텐츠 또는 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연산 동작에 참조할 수 있다.
배경/컨텐츠 처리부(540)는 상기 연산부(530)를 통해 연산한 결과 산출된 출력 영역 또는 출력 후보 영역에 기초하여 컨텐츠 즉, 갤러리 데이터 및/또는 배경 영역이나 객체 영역에 대한 데이터를 가공 재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상기 처리부(520) 내 구성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처리부(520) 외에 감지부(510), 디스플레이부(180)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550)는 상기 처리부(520)와 독립된 구성요소로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체의 제어부(도 1의 컨트롤러(17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의 각 구성요소는 편의상 적어도 둘 이상의 구성요소로 분리 구현되거나 분리된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 모듈화되어 하나의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갤러리 모드를 처리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특정 모드 즉, 갤러리 모드를 처리 즉, 배경과 컨텐츠를 함께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프로세서는 컨텐츠 즉, 갤러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01).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한 갤러리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특정 모드 즉, 갤러리 모드 실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
상기에서, S101 단계와 S103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순서와 반대일 수도 있다.
상기 S101 단계에서, 갤러리 데이터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된 메모리로부터 독출될 수 있다.
상기 갤러리 데이터는 외부 소스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갤러리 데이터는 예를 들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 네트워크에 속하거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로그인한 사용자 단말, 또는 상기 서버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 등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갤러리 데이터는 다양한 외부 소스로부터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인공지능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또는 크롤링(crawling)되거나 그렇게 수집 또는 크롤링한 데이터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조합하여 가공 처리한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S103 단계 판단 결과, 현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행 모드가 갤러리 모드(예를 들어, 해당 모드 진입 또는 해당 모드로 모드 변경 요청)가 아니면, 계속하여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는 상기 S103 단계 판단 결과,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행 모드가 갤러리 모드이면, 다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 내 객체 정보(객체 영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5). 이 때, 상기 객체 영역 정보는, 도 5의 감지부(510)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S105 단계를 통하여 객체 영역 정보가 획득되면, 갤러리 데이터의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107).
실시 예에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출력 영역을 결정함에 있어서, 미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들을 먼저 추출하고, 추출된 복수의 출력 후보 영역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최종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출력 후보 영역이라 함은 예를 들어, 상기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overlap)되지 않고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버랩이란 일부 또는 전부가 겹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S107 단계를 통하여 결정된 출력 영역상에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9).
도 7과 8에서는 특히, 상기에서 갤러리 데이터의 출력 영역 결정(또는 출력 후보 영역 추출)이 어려운 경우, 그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즉, 도 7과 8에서는 객체 영역을 고려할 때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될 출력 영역 즉, 배경 내 객체를 고려할 때 갤러리 데이터를 출력할 만한 공간 확보가 어려운 경우의 처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7과 8에서는 기본적으로, 배경이나 객체 또는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어떠한 가공(예를 들어, 사이즈, 컬러, 해상도, 레이아웃 변경 등)도 없는 상태(로 데이터, raw data)에서, 배경 내 객체 영역과 오버랩(overlap)되지 않으면서 갤러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도 7과 8을 참조하면, 출력 영역 또는 출력 후보 영역은 기본적으로 갤러리 데이터가 배경 내 감지된 객체 즉, 객체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 영역 또는 출력 후보 영역은 갤러리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배경 내 적어도 하나의 객체와 오버랩 되는 경우에도 추출 및 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설명하고, 여기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갤러리 모드를 처리하기 위해 컨텐츠 즉, 갤러리 데이터를 재처리하는 실시 예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갤러리 데이터를 대신하여 배경을 재처리하는 실시 예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배경이 투과되어 보이는 디스플레이(180)상에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출력 후보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S201). 이 때,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추출된 출력 후보 영역 중에서 갤러리 데이터를 최종 출력할 영역 즉,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S203).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출력 영역상에 갤러리 데이터가 그대로 출력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출력 영역에 갤러리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갤러리 데이터의 재처리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5).
프로세서는 상기 판단 결과 만약 갤러리 데이터의 재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갤러리 데이터의 재처리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S207). 이 때, 상기 재처리 변수는 예를 들어, 크기(사이즈), 해상도, 컬러, 레이아웃 등을 포함하여, 재처리 과정에 기준 또는 참조되는 팩터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재처리 변수에 기초하여 갤러리 데이터를 재처리할 수 있다(S209).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출력 영역에 재처리된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1).
도 8에서는 도 7과 달리, 갤러리 데이터를 재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배경을 재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경 재처리라 함은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 전체 또는 배경의 일부에 대한 재처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배경의 일부라 함은 상기 배경 내 포함된 객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배경의 일부로서 객체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대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갤러리 모드에서 배경 재처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1).
프로세서는 상기 S301 단계 판단 결과 만약 배경 재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경 재처리를 위한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S303).
프로세서는 상기 S303 단계에서 결정된 변수에 기초하여 배경을 재처리할 수 있다(S305).
프로세서는 상기 S305 단계에서 배경 재처리가 완료되면, 미리 결정된 출력 영역을 통하여 갤러리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상기 S305 단계에서 배경 재처리가 완료되면, 미리 결정된 출력 영역을 통하여 갤러리 데이터를 출력하기 전에, 상기 재처리 완료된 배경을 기준으로 출력 영역의 변경이 필요한지 재판단할 수 있다(S307).
프로세서는 상기 S307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상기 배경 재처리에도 불구하고 미리 결정된 출력 영역을 변경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재처리된 배경을 기준으로 출력 영역을 재결정한다(S309).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도 7과 도 8의 단계들이 반복적으로 또는 번갈아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S309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재처리된 배경에 대한 최종 출력 영역이 결정되면, 결정된 출력 영역에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11).
도 8에서 프로세서는 배경 재처리 전에 이미 갤러리 데이터를 출력할 출력 영역을 1차 결정한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1차 결정된 출력 영역은 출력 후보 영역이거나 상기 배경 재처리 전에 상기 출력 영역 또는 출력 후보 영역이 결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의 갤러리 데이터 재처리와 도 8의 배경 재처리는 개별적으로 둘 중 어느 하나만 수행되거나 둘 다 수행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번갈아 또는 각 재처리 과정이 미리 정한 횟수만큼 반복하였음에도 출력 영역 결정이 어려운 경우 다른 재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의 갤러리 데이터 재처리와 도 8의 배경 재처리의 선후는 임의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도 7과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에 대해 재처리 수행에도 불구하고 상기 출력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한 재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한 재처리를 위하여 상기 감지부를 통해 배경에 대한 캡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배경에 대한 캡쳐 이미지가 획득되면, 획득된 캡쳐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내 객체 영역과 비객체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비객체 영역은 배경 내 객체 영역이 아닌 부분 즉, 상기 객체 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배경 내 객체 영역과 비객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비객체 영역에 대한 재처리는 해상도 변경, 컬러 변경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갤러리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 상에 출력해야 할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인 경우의 그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인 경우에 갤러리 모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갤러리 모드가 실행되면,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인지 판단할 수 있다(S401).
프로세서는 상기 S401 단계 판단 결과,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이면, 각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출력 영역을 판단하여 식별할 수 있다(S403).
프로세서는 상기 S403 단계 식별 결과 적어도 하나의 출력 영역에 대한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재처리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S405).
프로세서는 상기 S405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적어도 하나의 출력 영역에 대한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재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해당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재처리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S407).
프로세서는 상기 S407 단계에서 결정된 재처리 변수에 따라 해당 갤러리 데이터를 재처리할 수 있다(S409).
프로세서는 재처리된 갤러리 데이터를 포함하여 복수의 갤러리 데이터를 각 해당 출력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11).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갤러리 데이터 또는 해당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재처리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한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출력 후보 영역에 대응하는 갤러리 데이터가 주요 갤러리 데이터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당 출력 후보 영역에 대응하는 갤러리 데이터가 주요 갤러리 데이터이면, 모든 갤러리 데이터에 대하여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해당 출력 후보 영역에 대응하는 갤러리 데이터가 주요 갤러리 데이터가 아니면, 해당 갤러리 데이터에 대해서만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거나 해당 갤러리 데이터는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재처리는 예를 들어, 원래 예정된 출력 영역이 아닌 다른 갤러리 데이터의 출력 영역으로의 위치 변경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라는 갤러리 데이터가 제1 출력 영역, 제2 출력 영역, 제3 출력 영역에 할당되었다고 가정할 때, 현재 상태에서는 A와 C에 대한 재처리가 요구되나, A를 직접 가공하지 않고 C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될 상기 제3 출력 영역에 할당하고, 원래 제3 출력 영역에 할당되었던 C 갤러리 데이터는 원래 A가 출력될 제1 출력으로 할당 즉, 서로 출력 위치만 변경하면 되는 경우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복수 개의 갤러리 데이터가 존재하고 그 중 일부만 갤러리 데이터서 자격을 갖추거나 나머지는 무시하거나 갤러리 데이터에서 배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 개의 갤러리 데이터 일부만이 자격을 못 갖춘 경우, 반대로 해당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재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전술한 도 6 내지 9와 달리, 배경과 갤러리 데이터의 관련성을 참고하여 갤러리 모드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배경 내 객체 사이의 관련성을 판단하고, 판단된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기 갤러리 데이터의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관련성은 다양한 변수에 기초하여 배경 내 객체가 투과되어 보이는 상황에서 출력될 갤러리 데이터가 얼마나 조화로운지를 객관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배경 캡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501). 상기 배경 캡쳐 이미지를 도 5의 감지부(510) 또는 외부 이미지 센서 등을 통해 획득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상기 S501 단계에서 획득된 배경 캡쳐 이미지를 분석하여 배경과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관련성을 판단할 수 있다(S503).
프로세서는 상기 S503 단계에서 판단 결과 만약 배경과 갤러리 데이터의 관련성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배경 내 적어도 하나의 객체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S505).
프로세서는 상기 S505 단계에서 추출된 배경 내 적어도 하나의 객체 이미지에 대한 재처리 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S507).
프로세서는 상기 S507 단계에서 결정된 재처리 변수에 따라 객체 이미지를 재처리할 수 있다(S509).
프로세서는 상기 S509 단계에서 재처리된 객체 이미지가 포함된 배경과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 10에서는 갤러리 데이터가 이미 결정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어, 상기 S501 단계에서 획득된 배경 캡쳐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출력할 갤러리 데이터를 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정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서 메모리를 액세스하여 저장된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분석된 배경에 관련성이 임계치 이상인 갤러리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에서 분석된 배경과 임계치 이상 관련성이 있는 갤러리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갤러리 데이터 중 가장 높은 관련성 값을 가진 갤러리 데이터 또는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재처리 없이 디스플레이(180)상에 출력 가능한 갤러리 데이터, 외부 소스로부터 수집된 갤러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분석된 배경과 임계치 이상 관련성이 있는 갤러리 데이터가 메모리로부터 읽어 들일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S505 단계와 같이, 배경 내 객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배경 캡쳐 이미지에 대한 기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출력 영역 또는 상기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에 가장 어울릴만한 객체 이미지를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 이미지를 필요한 경우 재처리 등을 통해 갤러리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소정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0)가 도시되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디스플레이(1110)를 통해 배경(1120)이 투과되어 보이고, 갤러리 데이터(1130)가 상기 디스플레이(1110)의 소정 영역을 통해 제공되나, 상기 소정 영역 즉, 갤러리 데이터(1130) 출력 영역은 상기 배경(1120) 내 객체 영역과 오버랩되어, 식별력이 저하되고 있다.
반면, 도 11의 (b)를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100)의 디스플레이(1110)를 통하여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은 영역에 갤러리 데이터(1150)이 출력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르면,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식별력 저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경을 미관을 해치지도 않을 수 있다.
도 12의 (a)는 원본 사이즈의 갤러리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의 (b)는 제1 사이즈(축소)의 갤러리 데이터를 그리고 도 12의 (c)는 제2 사이즈(확대)의 갤러리 데이터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도 12의 (b)의 제1 사이즈는 예를 들어, 재처리 가능한 최소 사이즈를 나타내며, 이는 갤러리 데이터로서 기능할 수 있는 최소 사이즈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3은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갤러리 모드 실행 중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후보 영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영역 중 최적의 후보 영역을 갤러리 데이터의 출력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으나, 만약 복수의 출력 후보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존재하는 출력 후보 영역 중 가장 큰 출력 후보 영역(1340)을 출력 영역으로 결정하여, 결정된 출력 영역에서 갤러리 데이터가 소정 시간 단위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출력 후보 영역은 배경 내 객체와 겹치지 않고 다각형, 원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을 참조하여 출력 후보 영역을 선정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갤러리 모드 실행에 따라 발생 가능한 번-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달리, 도 13은 사용자가 갤러리 모드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갤러리 데이터 출력 가능 영역(1340)이 표시되면, 상기 출력 가능 영역(1340)에서 임의의 영역(1310, 1320, 1330)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에 따라 해당 출력 영역(1310, 1320 또는 1330)에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비록 제1 내지 제3 출력 영역(1310-1330)은 모두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영역이나, 각 영역에서의 갤러리 데이터의 크기, 해상도, 컬러 등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를 수 있다.
그 밖에, 도 13은 복수 개의 갤러리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복수 개의 갤러리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여야 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갤러리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 가능한 출력 후보 영역을 선정한 후에 선정된 출력 후보 영역에 모든 갤러리 데이터가 동시에 출력 가능한 경우에는 최종 출력 영역(1340)으로 결정하고, 도 13과 같이 예를 들어, 3개의 갤러리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상의 결정된 출력 영역(고정)에 갤러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번-인 문제 해소를 위하여 픽셀 단위로 주기적으로 위치 조절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 전면에 위치한 센서(또는 감지부(510)를 통해 사람이나 물체가 감지되면, 감지된 대상에 따라 맞춤형 갤러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대상과 맞춤형 갤러리 데이터는 세트로 미리 정의되어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사용자 A가 나타나면 그를 식별하고, 갤러리 모드를 실행하여, 사용자 A와 관련된 갤러리 데이터(예를 들어, 스포츠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 A가 계속하여 머무르면 상기 제공된 갤러리 데이터와 연관된 갤러리 데이터를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A가 만약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실행 중인 갤러리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사용자 B가 접근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배경에 어울리는 예술작품을 갤러리 데이터로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갤러리 데이터는 긴급 재난 문자, 유투브 어플리케이션, 넷플릭스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동영상, 정지 영상, 오디오 전용, 텍스트 전용, 이메일, 일정 정보 등 포맷과 데이터의 속성에 한계가 없다.
도 14는 예를 들어, 배경 재처리와 관련된 것으로,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배경에 대한 캡쳐 이미지 파일을 획득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이미지로부터 도 14의 (b)와 같이 객체 이미지(1410)를 추출하고,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컬러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도 14의 (c)와 같이 상기 추출된 객체 이미지(1410)의 컬러를 변경하여, 최종적으로 도 14의 (d)와 같이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도 14의 (d)는 예를 들어, 도 14의 (a)의 배경 캡쳐 이미지 파일에 도 14의 (c)에서 재처리된 객체 이미지 파일을 병합한 파일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비록 추출된 객체 이미지를 예로 하였으나, 상기 객체 이미지가 아닌 배경이 재처리의 대상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객체 이미지의 컬러와 갤러리 데이터의 컬러 유사도 판단을 통한 컬러 재처리에 대해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사이즈, 배경 및 갤러리 데이터를 고려할 때, 해당 갤러리 데이터를 출력하기 어려운 경우 처리 방법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도 15의 (a)에서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체 배경 중 디스플레이(1510) 사이즈만큼 일부만 커버하고 있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 영역이 배경 내 객체 영역과 일부 오버랩이 되고 있다.
도 15의 (b)에서는 도 15의 (a)와 달리, 배경의 해상도를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함으로써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역이 배경 내 객체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도 15의 (b)의 해상도 변경과 달리 센서를 통해 후면에 대한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 사이즈를 변경하여 유사한 처리를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갤러리 모드가 실행 중인 경우에, 반드시 하나의 갤러리 데이터만 계속하여 출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상에 출력되는 갤러리 데이터가 특별한 입력이 없어도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되는 갤러리 데이터에 따라서 전술한 과정이 반복 수행되거나 변경 전 갤러리 데이터에 대해 기수행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배경의 동시 출력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동시 출력 적합도에 따라 해당 갤러리 데이터의 해당 배경에 대한 출력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우선순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시 출력 적합도가 제1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갤러리 데이터 및/또는 배경 내 객체를 재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경 내 객체 정보 기반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오버랩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출력 후보 영역 존재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갤러리 데이터의 해당 배경에 대한 출력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우선순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각 객체 정보 사이의 매칭 적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매칭 적합도에 따라 해당 갤러리 데이터의 해당 배경에 대한 출력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우선순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감지된 배경 내 각 객체에 대한 정보 사이의 매칭 적합도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련성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매칭 적합도가 제2 임계치 이상인 배경 내 객체가 존재하면, 해당 객체의 주변에 상기 출력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경 내 모든 객체 정보가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매칭 적합도가 상기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갤러리 데이터에 대해 재처리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또는 상기 배경 내 적어도 하나의 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재처리 필요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갤러리 데이터의 해당 배경에 대한 출력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우선순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또는 상기 배경 내 객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재처리 필요 여부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관련성을 연산하고, 상기 판단 결과 재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객체가 포함된 배경에 대한 캡쳐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술한 동시 출력 적합도, 출력 후보 영역 존부, 매칭 적합도, 재처리 필요 여부 등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배경 내 객체 사이의 관련성을 연산하고,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갤러리 모드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출력 우선순위나 가중치는 해당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출력 영역 결정, 갤러리 데이터 또는 배경 내 객체의 재처리 여부 등의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도 6 내지 10에서, 개별 도면에서 개시된 내용은 독립적으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적어도 둘 이상 도면에 개시된 내용들이 결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고, 각 도면에 개시된 내용들 중 전부 또는 일부가 서로 결합되어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외부 입사광에도 불구하고 입력 영상에 대한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외부 입사광, 패널의 휘도 설정값, 입력 영상의 평균화상레벨 등 다양한 팩터들 또는 그 조합을 고려하여 입력 영상에 대응하는 패널의 최적 투과율을 설정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시인성이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30 : 방송 수신부
135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140 : 메모리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 170 : 컨트롤러
173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180 : 디스플레이
185 : 스피커 190 : 전원 공급 회로
510 : 감지부 520 : 처리부
530 : 연산부 540 : 배경/컨텐츠 처리부

Claims (15)

  1. 갤러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 내 객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감지된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 중 결정된 출력 영역 상에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은 상기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하여 상기 갤러리 데이터를 위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재처리하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처리된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모드 실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모드가 실행되었으면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한 재처리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에 대해 재처리 수행에도 불구하고 상기 출력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만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모든 갤러리 데이터 또는 해당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재처리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한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복수 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갤러리 데이터에 대한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출력 후보 영역에 대응하는 갤러리 데이터가 주요 갤러리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출력 후보 영역에 대응하는 갤러리 데이터가 주요 갤러리 데이터이면, 모든 갤러리 데이터에 대하여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당 출력 후보 영역에 대응하는 갤러리 데이터가 주요 갤러리 데이터가 아니면, 해당 갤러리 데이터에 대해서만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거나 해당 갤러리 데이터는 제거하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경 내 객체에 대한 재처리를 위하여 상기 감지부를 통해 배경에 대한 캡쳐 동작을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배경에 대한 캡쳐 이미지가 획득되면, 획득된 캡쳐 이미지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배경 내 객체 영역과 비객체 영역을 식별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된 배경 내 객체 영역과 비객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하여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컬러, 사이즈, 해상도 및 레이아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경을 통해 상기 재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배경 내 객체 사이의 관련성을 판단하고, 판단된 관련성에 기초하여 상기 갤러리 데이터의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15. 갤러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특정 모드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를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배경의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감지된 배경 내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 후보 영역 중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출력 영역에 갤러리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은 상기 배경 내 객체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갤러리 데이터가 출력 가능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출력 후보 영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갤러리 데이터와 상기 배경 내 객체 중 적어도 하나가 재처리되도록 제어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0075819A 2022-06-21 2022-06-2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KR20230174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819A KR20230174641A (ko) 2022-06-21 2022-06-2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819A KR20230174641A (ko) 2022-06-21 2022-06-2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641A true KR20230174641A (ko) 2023-12-28

Family

ID=8938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819A KR20230174641A (ko) 2022-06-21 2022-06-21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6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6634B (zh) 显示装置及操作显示装置的方法
KR20110066901A (ko)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기록 매체
US10110843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CN101674435A (zh) 图像显示设备和检测方法
US20230405435A1 (en) Home trai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performing same
KR202400100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46067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889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채널 맵 관리 방법
KR20230174641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
US20170285767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818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58092B1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와 콘텐츠를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콘텐츠 공유 방법
KR201600047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87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44943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65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88321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6020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322538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231598A1 (en) Display device
KR202400166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KR1026502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1759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게임 영상 화질 최적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