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170A - 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170A
KR20230174170A KR1020230076117A KR20230076117A KR20230174170A KR 20230174170 A KR20230174170 A KR 20230174170A KR 1020230076117 A KR1020230076117 A KR 1020230076117A KR 20230076117 A KR20230076117 A KR 20230076117A KR 20230174170 A KR20230174170 A KR 20230174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evice
recharge
main body
cleaning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1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닝 순
리롱 이에
시앤즈 첸
웨이치앙 리
주캉 팡
Original Assignee
선전 인스니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인스니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인스니 이노베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17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47L11/283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5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related to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52Elements for displacement of the vacuum cleaner or the accessories therefor, e.g. wheels, casters or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docking at a fixed facility, e.g. base station or loading b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G05D2201/021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다기능 클리닝 장치 및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하며, 다기능 클리닝 장치는 장치 본체 및 장치 본체를 연결하는 재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장치 본체는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재충전 모듈 부근에는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정차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재충전 모듈과 도킹하여 충전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장치 본체와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각각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과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양자를 함께 사용하면 사용자의 더 많은 클리닝 작업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별도의 충전 홀더가 필요 없고,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저전력인 경우, 다기능 클리닝 장치의 재충전 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 클리닝 장치를 충전하면 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and a cleaning system, wherein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includes a device body and a recharge module connecting the device body, the device body can be used to perform a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and the recharge module A preset recharging station area is formed nearby. Here, the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allows the smart cleaning device to stop so that the smart cleaning device can dock with the recharge module and charge. Here a smart cleaning device is used to perform a second type of cleaning task. The device body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are used to perform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and the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respectively, and when used together, they can meet the user's demand for more cleaning operations. Additionally, the smart cleaning devic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harging holder, and if the smart cleaning device is low-power, the smart cleaning device can be charged using the recharge module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Description

다기능 클리닝 장치 및 클리닝 시스템 {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본 출원은 다기능 클리닝 장치 기술 분야에 속하며, 특히 다기능 클리닝 장치 및 클리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belongs to the field of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technology, and in particular relates to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s and cleaning systems.

종래 기술에서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일반적으로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클리닝 과정에서 많은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제조 업체는 일반적으로 스마트 클리닝 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충전 홀더를 제공하고,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충전 홀더에 도킹하여 충전 과정을 완성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가정은 종종 다양한 종류의 클리닝 작업을 완성하기 위해 다양한 클리닝 장치가 필요하고, 따라서 다양한 클리닝 장치는 모두 해당 충전 홀더 또는 충전 플러그와 일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품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업체의 경우, 제품 생산 비용이 높고,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가 다양한 클리닝 장치를 구입해야 하는 경우, 그에 일치하는 다양한 충전 홀더 또는 충전 플러그를 구입해야 하므로 구입 비용과 사용 비용이 높아진다.In the prior art, smart cleaning devices are generally used to perform cleaning tasks. Because smart cleaning devices consume a lot of electrical energy during the cleaning process, manufacturers usually provide a charging holder that can be used with the smart cleaning device,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docks on the charging holder to complete the charging process. However, users' homes often require various cleaning devices to complete different types of cleaning tasks, and therefore the various cleaning devices all need to be matched with the corresponding charging holders or charging plugs, which makes product configuration complicated, and for manufacturers, Product production costs are high, and for users, if the user needs to purchase a variety of cleaning devices, they must purchase a variety of matching charging holders or charging plugs, which increases the purchase cost and use cost.

본 출원은 다기능 클리닝 장치 및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다양한 클리닝 장치는 모두 해당 충전 홀더 또는 충전 플러그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복잡한 구성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is applica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system, and to solve the problem that in the prior art, various cleaning devices must all be equipped with a corresponding charging holder or charging plug, resulting in a complicated configuration of the produ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출원에서 채택한 기술 방안은 다기능 클리닝 장치로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는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를 연결하는 재충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재충전 모듈 부근에는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정차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상기 재충전 모듈과 도킹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The technical solution adopted in this applic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wherein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includes a device main body and a recharge module connecting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device main body performs a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can be used to A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is formed near the recharge module, where the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allows the smart cleaning device to stop so that the smart cleaning device can dock with the recharge module and charge. Here, the smart cleaning device is used to perform a second type of cleaning task.

본 출원은 또한 스마트 클리닝 장치 및 상술한 바와 같은 다기능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provides a cleaning system including a smart cleaning device and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본 출원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has at least the following beneficial effects.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클리닝 장치 및 클리닝 시스템에 있어서,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를 연결하는 재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는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재충전 모듈 부근에는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정차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상기 재충전 모듈과 도킹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장치 본체 및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각각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 및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양자를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의 더 많은 클리닝 작업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별도의 충전 홀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저전원인 경우, 다기능 클리닝 장치의 재충전 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 클리닝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클리닝 장치는 클리닝 기능과 충전 기능을 겸용하기 때문에 여분의 충전 홀더 구성을 절약하여 전체 클리닝 시스템의 구성을 최적화 함으로써 제조 업체와 사용자의 부담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In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vice main body performs a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through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including a device main body and a recharge module connecting the device main body. It can be used, and a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is formed near the recharge module. Here, the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allows the smart cleaning device to stop so that the smart cleaning device can dock with the recharge module to charge, where the smart cleaning device is used to perform a second type of cleaning task. . The device body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are used to perform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and the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respectively, and both can be used together to meet the user's demand for more cleaning operations. Additionally, the smart cleaning device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a separate charging holder, and if the smart cleaning device has low power, the smart cleaning device can be charged using the recharge module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Therefore, since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has both cleaning and charging functions,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burden on manufacturers and users by optimiz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cleaning system by saving on extra charging holder configuration.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 도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아래 설명에 첨부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의 경우 창조적인 노동이 없이도 이러한 첨부 도면을 기초로 다른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이 분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시스템의 입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시스템의 정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재충전 모듈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클리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1이다.
도 5는 도 2의 A-A 부분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재충전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본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클리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2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클리닝 장치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 및 재충전 모듈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 및 재충전 모듈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1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 및 재충전 모듈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2이다.
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necessary for explanation of the embodiments or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description below are on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accompanying drawings can be obtained based on these drawings without creative labor.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ront structure of a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loded structure of a rechar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1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of portion AA of Figure 2.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char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2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loded structure of a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xploded structure of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recharg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diagram 1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recharg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11 is a schematic diagram 2 show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device main body and the recharg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않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examples of the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identical or similar symbols from beginning to end represent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or components with identical or similar functions. .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re illustrative and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설명에서 "길이", "폭", "상", "하", "전", "후", "좌", "우", "수직", "수평", "상부", "저부", "내부", "외부" 등 용어는 첨부 도면에 표시된 것을 기준으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를 나타내며, 본 출원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언급된 장치 또는 구성 요소가 반드시 특정 방위를 가져야 하고 특정 방위로 구성되고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In the description of this application, "length", "width", "top", "bottom", "front", "back", "left", "right", "vertical", "horizontal", "top", " Terms such as "bottom", "inside", "outside", etc. indicate orientation or positional relationships based on what i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and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at the mentioned device or component It does not indicate or imply that it must necessarily have a specific orientation or be configured and operated in a specific orient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또한 "제1" 및 "제2"라는 용어는 설명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수를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 등으로 제한된 기능은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그러한 기능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복수"는 달리 명시적이고 구체적인 제한이 없는 한,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의미한다.Additionally, the term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dicating or implying the relative importance or implicit number of technical features indicated. Accordingly, functions limited to “first”, “second”, etc. may explicitly or implicitly include one or more such functions. In the description of this application, “plural” means two or more than two, unless otherwise explicitly and specifically limited.

본 출원에서 "장착", "상호 연결", "연결", "고정" 등의 용어는 별도의 명시적 규정 및 제한이 없는 한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 연결, 착탈식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이 될 수 있으며, 두 가지 구성 요소 내부의 연통 또는 두 가지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도 있다. 당업자의 경우, 특정 상황에 따라 본 출원에서 상술한 용어의 특정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mounted", "interconnected", "connected", "fixed", etc. should be understood in a broad sense unless otherwise explicitly defined and limited, such as fixed connection, removable connection, or integral connection. It may be a connection, a mechanical connection or an electrical connection, a direct connection or an indirect connection through an intermediate medium, and it may also be a communication within two components or an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two compon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pecific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above in this application can be understood depending on the particular situation.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를 제공한다.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장치 본체(10) 및 장치 본체(10)를 연결하는 재충전 모듈(20)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10)는 제1 유형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재충전 모듈(20) 부근에는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30)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정차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상기 재충전 모듈(20)과 도킹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1 to 3 and 5,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includes a device body 10 and a recharging module 20 connecting the device body 10, wherein the device body 10 can be used to perform a first type cleaning operation; , a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30 is formed near the recharge module 20. Here, the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30 allows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to stop so that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can dock with the recharge module 20 and charge, wher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200 is used to perform a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본 출원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has at least the following beneficial effects.

장치 본체(10) 및 상기 장치 본체(10)를 연결하는 재충전 모듈(20)을 포함하는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10)는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재충전 모듈(20) 부근에는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30)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정차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상기 재충전 모듈(20)과 도킹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여기서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장치 본체(10) 및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각각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 및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양자를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의 더 많은 클리닝 작업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별도의 충전 홀더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저전원인 경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재충전 모듈(20)을 이용하여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클리닝 기능과 충전 기능을 겸용하여 여분의 충전 홀더를 구성하는 것을 절약하기에 전체 클리닝 시스템의 구성을 최적화 함으로써 제조 업체와 사용자의 부담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Through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which includes a device body 10 and a recharge module 20 connecting the device body 10, the device body 10 performs a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It can be used, and a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30 is formed near the recharge module 20. Here, the preset recharge station area 30 allows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to stop so that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can dock with the recharge module 20 and charge, where the smart cleaning device ( 200) is used to perform a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The device body 10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are used to perform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and the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respectively, and both are used together to meet the user's demand for more cleaning operations. You can do it. In addition,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does not need to be equipped with a separate charging holder, and when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s low-power,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uses the recharge module 20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200) can be charged. Therefore,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combines both cleaning and charging functions to save on constructing an extra charging holder, which is advantageous in reducing the burden on manufacturers and users by optimiz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tire cleaning system.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클리닝 로봇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바닥 청소 로봇, 쓸고 밀기 일체형 로봇, 바닥 밀기 로봇, 바닥 쓸기 로봇, 바닥 세척 로봇 또는 공기 정화 로봇 등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또한 휴대용 클리닝 장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휴대용 바닥 세척 청소기, 휴대용 진공 청소기 또는 휴대용 바닥 밀기 청소기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유형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may be a cleaning robot. For exampl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may be a floor cleaning robot, an integrated sweeping and pushing robot, a floor pushing robot, a floor sweeping robot, a floor washing robot, or an air purifying robot. You can.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may also be a portable cleaning device, for exampl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may be a portable floor washing cleaner, a portable vacuum cleaner, a portable floor push cleaner, etc.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freely set the type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according to actual demand.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재충전 모듈(20)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정차하도록 하는 데 사용되며, 또한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정차하는 동안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재충전 모듈(20)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에 충전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can be used with a smart cleaning device 200, and the recharge module 20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allows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to stop. Also, whil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s stopped, the recharging module 20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can be used to provide a charging maintenance service to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 및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 모두 영역 클리닝 장치이며,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 클리닝 작업과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제2 유형 클리닝 작업 모두 클리닝 대상 영역으로 향하며, 사용자는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와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를 이용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oth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are area cleaning devices, with the first type cleaning task of the device main body 10 and the second type of smart cleaning device 200. All cleaning operations are directed to the cleaning target area, and the user can use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 클리닝 작업은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제2 유형 클리닝 작업과 다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 클리닝 작업은 공간 공기 정화 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제2 유형 클리닝 작업은 표면 클리닝 작업을 포함한다. 이리 하여,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공간 공기 정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표면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며, 따라서 공간 내 먼지, 냄새 가스 및 바닥의 먼지 부스러기를 전방위적으로 클리닝하여 실내 환경의 청결도를 전방위적으로 향상시킨다. 여기서, 표면 클리닝 작업은 바닥 청소, 진공 청소, 바닥 닦기, 바닥 세척 및 바닥 밀기 중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장치 본체(10)는 공간 공기 정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공기 정화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은 공간 공기 정화 작업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은 기타 클리닝 작업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device body 10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device body 10 includes a space air purification operation, and the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ncludes a surface cleaning operation. In this way,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and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is used to perform a space air purification task,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Performs surface cleaning work, thus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indoor environment in all directions by cleaning dust, odor gases, and dust particles on the floor in the space. Here, the surface cleaning operation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floor cleaning, vacuuming, floor mopping, floor washing, and floor pushing. Accordingly, the device main body 10 of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includes an air purification module to perform space air purification work.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device body 10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 space air purification operation, and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device body 10 may further include other cleaning operation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set according to actual demand.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 클리닝 작업은 표면 클리닝 작업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제2 유형 클리닝 작업은 공간 공기 정화 작업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표면 클리닝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 클리닝 메커니즘을 통해 표면 클리닝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표면 클리닝 작업에는 바닥 청소, 진공 청소, 바닥 닦기, 바닥 세척 및 바닥 밀기 중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표면 클리닝 메커니즘에는 바닥 청소 메커니즘, 진공 청소 메커니즘, 바닥 닦기 메커니즘, 바닥 세척 메커니즘 및 바닥 밀기 메커니즘 중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이 포함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device body 10 includes a surface cleaning operation, and the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ncludes a space air purification operation. Correspondingly,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includes a surface cleaning mechanism and performs a surface cleaning operation through the surface cleaning mechanism. Here, the surface cleaning operation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floor sweeping, vacuuming, floor mopping, floor washing, and floor pushing. Here, the surface cleaning mechanism include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a floor cleaning mechanism, a vacuum cleaning mechanism, a floor mopping mechanism, a floor washing mechanism, and a floor pushing mechanism.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 클리닝 작업은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제2 유형 클리닝 작업과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 클리닝 작업과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제2 유형 클리닝 작업은 모두 표면 클리닝 작업을 포함하며, 표면 클리닝 작업은 바닥 청소, 진공 청소, 바닥 닦기, 바닥 세척 및 바닥 밀기 중 한 가지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 본체(10)의 제1 유형 클리닝 작업과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제2 유형 클리닝 작업은 모두 공간 공기 정화 작업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device body 10 may be the same as the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for example,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device body 10 Both the type cleaning operation and the second type cleaning operat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nclude a surface cleaning operation, wherein the surface cleaning operation include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floor cleaning, vacuum cleaning, floor mopping, floor washing, and floor pushing. Includes. In addition, both the first type cleaning operation of the device body 10 and the second type cleaning operat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nclude a space air purification operation.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고정식 클리닝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공기 정화 장치, 아로마 테라피 장치, 공기 가습 장치, 공기 건조 장치, 스피커 장치, 조명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클리닝 로봇에 쓰레기 회수, 및/또는 걸레 클리닝, 및/또는 수분 보충 등의 유지보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일 수 있다. 이리 하여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충전을 위해 도킹될 수 있도록 고정된 위치에 정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또한 이동식 클리닝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표면 클리닝 로봇, 공기 정화 로봇, 휴대용 진공 청소기, 휴대용 바닥 청소기, 휴대용 바닥 닦기 청소기, 휴대용 바닥 세척 청소기, 휴대용 바닥 밀기 청소기 또는 운전식 클리닝 장치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may be a stationary cleaning device. For example,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may be an air purifying device, an aromatherapy device, an air humidifying device, an air drying device, and a speaker device. , a lighting device, or a base station device (used to provide maintenance services such as garbage collection, and/or mop cleaning, and/or moisture replenishment to the cleaning robot). In this way,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can be stopped at a fixed location so that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can be docked for charging. In other embodiments,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may also be a mobile cleaning device, for example,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may be a surface cleaning robot, an air purifying robot, a portable vacuum cleaner, a portable floor cleaner, a portable floor cleaner, etc. It may be a mop cleaner, a portable floor scrubber, a portable floor push cleaner or a drive-through cleaning device.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비교적 낮은 위치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에 안정적으로 도킹할 수 있도록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충전 효과를 확보한다. 이 재충전 모듈(20)과 함께 사용되는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클리닝 로봇 또는 휴대용 클리닝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클리닝 로봇인 경우, 재충전 모듈(20)은 베이스(21), 베이스(21)에 설정된 한 쌍의 충전 접점(22), 베이스(21)를 고정 연결하는 재충전 회로 기판(23) 및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24)는 클리닝 로봇을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로 유도하여 복귀시키는 데 사용되며, 더 나아가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한 쌍의 충전 접점(22)과 도킹하여 충전된다.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휴대용 클리닝 장치인 경우, 재충전 모듈(20)은 베이스(21) 및 베이스(21)의 측벽에 설정된 한 쌍의 충전 접점(22)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클리닝 장치는 베이스(21)에 정차하여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한 쌍의 충전 접점(22)과 도킹하여 충전을 진행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charge module 2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so that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can stably dock with the recharge module 20 at a relatively low position, thereby achieving a charging effect. secur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used with this recharging module 20 may be a cleaning robot or a portable cleaning device. Here, when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s a cleaning robot, the recharge module 20 includes a base 21, a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set on the base 21, and a recharge circuit board that fixedly connects the base 21. (23) and may include a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24). The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24 is used to guide the cleaning robot to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and return it, and further docks with a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of the recharge module 20 to charge it. do. When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s a portable cleaning device, the recharge module 20 may include a base 21 and a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set on a side wall of the base 21. The portable cleaning device can stop at the base 21 and dock with a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of the recharge module 20 to proceed with charging.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재충전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제1 재충전 모듈(20a) 및 제2 재충전 모듈(2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재충전 모듈(20a) 및 제2 재충전 모듈(20b)은 모두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과 도킹되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재충전 모듈(20a) 및 상기 제2 재충전 모듈(20b)은 모두 상기 장치 본체(10)에 연결되며, 제1 재충전 모듈(20a)은 클리닝 로봇과 도킹 충전하는 데 적합하고, 제2 재충전 모듈(20b)은 휴대용 클리닝 장치와 도킹 충전하는데 적합하며, 따라서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복수의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에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4,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may include one or more recharge modules 20, and in some embodiments,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includes a first recharge module 20a and a second recharge module 20a. It may include a recharge module (20b). Both the first recharge module 20a and the second recharge module 20b can be docked with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to perform charging. For example, the first recharge module 20a and the second recharge module 20b are both connected to the device body 10, and the first recharge module 20a is suitable for docking and charging with a cleaning robot. , the second recharge module 20b is suitable for docking and charging with a portable cleaning device, and thus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can provide a charging service to a plurality of smart cleaning devices 200.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 및 상기 장치 본체(1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21) 및 상기 장치 본체(10)는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베이스(21)가 상기 장치 본체(10)를 지지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장치 본체(10)의 측부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장치 본체(10)의 좌측, 우측, 앞쪽 또는 뒤쪽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1)는 나사 결합, 자석 흡착, 스냅 결합, 접착제 결합 또는 일체형 사출 성형 등 방식을 통해 상기 장치 본체(10)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장치 본체(10)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2 and 5, in some embodiments, the recharging module 20 and the device body 10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ase 21 and the device body 10 are They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base 21 supports the device main body 10. In another embodiment, the recharge module 20 is connected to a side of the device body 10, for example, the recharge module 20 is located on the left, right, front or rear of the device body 10. Connected, the base 21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device body 10 through screw coupling, magnetic attraction, snap coupling, adhesive coupling, or integrated injection molding. The recharge module 20 does not need to support the device body 10.

도2 와 도5 및 도10 과 도1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에는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장치 본체(10)에는 제1 전기 연결부(26)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재충전 모듈(20)에는 제2 전기 연결부(27)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와 상기 제2전기 연결부(27)는 전기적 연결된다. 이리 하여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 및 상기 제2 전기 연결부(27)를 통해 상기 장치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는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제2 전기 연결부(27)와 서로 도통할 수 있고, 물론,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는 포인트 투 포인트 접촉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전기 연결부(27)와 도통될 수도 있다. 상기 재충전 모듈(20)에는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전원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접속하여 상기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에 전력을 공급하며, 더 나아가 상기 재충전 모듈(20) 및 상기 장치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하여 양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확보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에는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장치 본체(10)에는 전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 본체(10)는 전원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접속하여 상기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에 전력을 공급하고, 더 나아가 상기 재충전 모듈(20) 및 상기 장치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한다.2 and 5 and 10 and 11, in some embodiments, the recharging module 20 is configured with a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and the device body 10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26) is set, and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27 is set in the recharge module 20, and the first electric connection part 26 and the second electric connection part 27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recharging module 20 thus supplies power to the device body 10 via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26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27 . Here,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6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7 by a cable, and of course,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6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7 through a point-to-point contact method. It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7. The recharge module 20 is set with a power inte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and the recharge module 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power interface to connect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to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Power is supplied, and fur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recharge module 20 and the device main body 10 to ensure that both operate normally. In another embodiment, the device main body 10 is set with a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the device main body 10 is set with a power interface, and the device main body 10 is externally connected through the power interface. It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and further to supply power to the recharge module 20 and the device body 10.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 본체(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중 설정되고,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장치 본체(10)에서 지면에 근접하는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 본체(10)의 공중 공간은 수용 공간(101)을 형성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30)은 상기 수용 공간(101) 내에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10)의 공중 부분의 지면에 대한 공중 거리는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최대 높이 치수보다 길고, 상기 수용 공간(101)은 외부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수용 공간(101)은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를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2, 3 and 5, the device body 10 is at least partially suspended in the air, and the recharge module 20 is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device body 10 that is close to the ground, The air space of the device main body 10 forms a receiving space 101, and the preset recharging station area 30 is set within the receiving space 101. Here, the aerial distance of the aerial part of the device main body 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longer than the maximum height dimens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the accommodating space 101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the accommodating space 101 is used to accommodat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베이스(21)는 상기 장치 본체(10)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10)를 지지하여 상기 장치 본체(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면에 대향되게 공중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21)와 상기 장치 본체(10) 사이에는 상기 수용 공간 (1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 공간(101)은 캐비티 입구(102)를 구비하며, 상기 캐비티 입구(102)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설정되고,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캐비티 입구(102)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여 설정된다.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상기 캐비티 입구(102)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101) 내에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10)의 공중 부분의 지면에 대한 공중거리는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최대 높이 치수보다 길기에 상기 수용 공간(101)이 충분히 큰 부피를 구비하여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수용 캐비티 내에 수용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더 나아가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상기 재충전 모듈 (20)의 한 쌍의 충전 접점(22)과 도킹하여 충전을 용이하게 하거나,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 공간(101)은 상기 캐비티 입구(102)에 대향하는 측벽, 및 상기 캐비티 입구(102)와 상기 측벽 사이에 연결된 하단 벽(104)을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충전 접점(22)은 상기 측벽 또는 상기 하단 벽(104)에 설정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base 21 of the recharging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device body 10 and supports the device body 10 so that the device body 10 i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It is set in the air opposite to . The receiving space 101 is formed between the base 21 and the device body 10. The receiving space 101 has a cavity entrance 102, the cavity entrance 102 is set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base 21 is set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cavity entrance 102. .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may enter the receiving space 101 through the cavity entrance 102. The aerial distance of the aerial part of the device body 10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longer than the maximum height dimens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101 has a sufficiently large volume so that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t becomes easy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cavity. Furthermor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docks with a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of the recharge module 20 to facilitate charging, or to facilitate storage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and reduce the occupied space. You can. Here, the receiving space 101 has a side wall facing the cavity entrance 102 and a bottom wall 104 connected between the cavity entrance 102 and the side wall, and the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 is set on the side wall or the bottom wall 104.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장치 본체(10)의 측부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장치 본체(10)의 좌측, 우측, 앞쪽 또는 뒤쪽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21)는 나사 결합, 자석 흡착, 스냅 결합, 접착제 결합 또는 일체형 사출 성형 등 방식을 통해 상기 장치 본체(10)의 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장치 본체(10)를 지지할 필요가 없다. 당업자는 실제 수요에 따라, 즉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가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10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용 캐비티 구조를 취소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recharge module 20 is connected to a side of the device body 10, for example, the recharge module 20 is located on the left, right, front or rear of the device body 10. Connected, the base 21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device body 10 through screw coupling, magnetic attraction, snap coupling, adhesive coupling, or integrated injection molding. The recharge module 20 does not need to support the device body 10.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cancel the receiving cavity structure according to actual demand, that is, when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does not serve to accommodate the smart cleaning device 100.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베이스(21) 및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24)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장치 본체(10)의 지면에 근접하는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21)는 상기 장치 본체(10) 설정을 지지하여 상기 본체(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면에 대향하여 공중에 매달리며, 상기 베이스(21)와 상기 장치 본체(10)는 둘러싸여 수용 공간(101)을 형성한다. 상기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24)는 상기 베이스(21)에 장착되며, 상기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24)는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에 재충전을 유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3 and 6, the recharge module 20 includes a base 21 and a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24, and the base 21 is adjacent to the ground of the device main body 10. connected to the bottom. The base 21 supports the devic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is at least partially suspended in the air against the ground, and the base 21 and the device main body 10 are surrounded by a receiving space ( 101). The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24 is mounted on the base 21, and the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24 is used to provide a service for inducing recharging to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센터링 신호 송신기(201), 제1 신호 송신기(202), 제2 신호 송신기(203) 및 한 쌍의 충전 접점(22)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신호 송신기(201), 상기 제1 신호 송신기(202), 상기 제2 신호 송신기(203) 및 상기 한 쌍의 충전 접점(22)은 모두 상기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센터링 신호(201)는 상기 장치 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신호 송신기(202) 및 상기 제2 신호 송신기(203)는 각각 상기 센터링 신호기(201)의 좌우 양측에 위치한다. 상기 센터링 신호기(201)는 센터링 유도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를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30) 내로 직선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한쌍의 충전 접점(22)과 도킹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신호 송신기(202)는 죄측 유도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2 신호 송신기(203)는 우측 유도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며, 여기서, 상기 죄측 유도 신호와 상기 우측 유도 신호는 모두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상기 센터링 유도 신호를 찾을수 있도록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In this embodiment, the recharging module 20 includes a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201, a first signal transmitter 202, a second signal transmitter 203 and a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wherein the centering signal The transmitter 201,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202,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203, and the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are al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The centering signal 201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evice main body 10, and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202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203 are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ing signal 201, respectively. The centering signal 201 transmits a centering guidance signal to guid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to move in a straight line into the preset recharging station area 30 and dock with the pair of charging contacts 22.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202 is used to transmit a left guidance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203 is used to transmit a right guidance signal, where both the left guidance signal and the right guidance signal are It is used to guid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to find the centering guidance signal.

여기서, 상기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24)는 센터링 신호 송신기(201), 제1 신호 송신기(202) 및 제2 신호 송신기(203)를 포함한다. 상기 센터링 신호 송신기(201), 상기 제1 신호 송신기(202) 및 상기 제2 신호 송신기(203)는 모두 적외선 송신기이다. 상기 제1 신호 송신기(202)에 의해 송신되는 좌측 유도 신호는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전방 좌측 전면 영역에 투사되는 원거리 적외선 신호이고, 상기 제2 신호 송신기(203)에 의해 송신되는 우측 유도 신호는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전방 우측 전면 영역에 투사되는 원거리 적외선 신호이다. 상기 센터링 신호 송신기(201)가 송신하는 센터링 유도 신호는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전방 우측 정면 영역에 투사되는 근거리 적외선 신호이고,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상술한 좌측 전면 영역 또는 우측 전면 영역에 나타났을 경우, 수신된 좌측 유도 신호 또는 우측 유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와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상대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를 상기 앞쪽 영역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센터링 유도 신호를 찾도록 유도하고, 상기 센터링 유도 신호의 유도하에 상기 재충전 모듈(20)과 도킹된다.Here, the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24 includes a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201, a first signal transmitter 202, and a second signal transmitter 203. The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201,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202,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203 are all infrared transmitters. The left guida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202 is a far-field infrared signal projected to the front left front area of the recharge module 20, and the right guida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203 is a far-field infrared signal projected to the front right front area of the recharge module 20. The centering guidance signal transmitted by the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201 is a short-range infrared signal projected to the front right front area of the recharge module 20,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s projected to the left front area or the right front area described above. When it appear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and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received left guiding signal or right guiding signal. Accordingly,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s moved toward the front area to find the centering guidance signal, and is docked with the recharge module 20 under the guidance of the centering guidance signal.

도 7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는 지면에 근접하는 일측에 적어도 2개의 지지부(10d)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10d)가 상기 장치 본체(10)의 설정을 지지하여 상기 장치 본체(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면에 대향하여 공중에 매달린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0d)는 2개, 3개, 4개 또는 5개 이상일 수 있으며, 실제 수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10)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면에 대향하여 공중에 매달리고, 또한 상기 장치 본체(10)의 지면에 근접하는 일측에 재충전 모듈(2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장치 본체(10)와 지면 사이에 수용 공간(101)을 형성하며,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는 상기 재충전 모듈(20)과 도킹하기 위해 수용 공간(101) 내에 진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another embodiment, the device main body 10 has at least two support parts 10d set on one side close to the ground, and the at least two support parts 10d are connected to the device main body 10. ) so that the device body 10 is at least partially suspended in the air against the ground. Here, the number of support parts 10d may be 2, 3, 4, or 5 or more, and can be set independently according to actual demand. The device body 10 is at least partially suspended in the air facing the ground, and the recharging module 20 is connected to a side of the device body 10 that is close to the ground, so that the device body 10 is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device body 10 and the ground. A receiving space 101 is formed,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can enter the receiving space 101 to dock with the recharging module 20.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상기 수용 공간(101)의 수평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제1 연통 구조(101a) 및 제2 연통 구조(101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통 구조(101a) 및 제2 연통 구조(101b)는 모두 상기 수용 공간(101)과 연통하여 설정됨으로써, 상기 1 연통 구조(101a) 및 제2 연통 구조(101b)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101) 내에서 공기 대류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 구조(101a)는 관통 홀 어레이 구조 또는 개구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구조(101b)는 관통 홀 어레이 구조 또는 개구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통 구조(101a) 및 제2 연통 구조(101b)는 대략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연통 구조(101a) 및 제2 연통 구조(101b)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수용 공간(101) 내에 공기 대류를 형성하여 상기 수용 공간(101)을 공기 건조시키는 데 용이하다. 이로 하여, 상기 수용 공간(101)을 공기 건조시켜 상기 수용 공간(101)을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여 세균 오염의 번식을 방지한다. 설령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가 젖은 걸레 또는 습기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101) 내에 유입되더라도, 공기 대류를 통해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의 걸레 또는 본체의 공기 건조를 용이하게 한다.Referring to FIG. 8, in some embodiments,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has a first communication structure 101a and a second communication structure 101b formed on both horizontally opposite sides of the accommodation space 10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structure 101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tructure 101b are both set in communication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01, so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structure 101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tructure 101b Air convection is form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01. Here, the first connection structure 101a may be a through-hole array structure or an opening structure. The second connection structure 101b may have a through-hole array structure or an opening structure. The first communication structure 101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tructure 101b are located approximately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structure 101a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tructure 101b are set. By doing so, it is easy to air-dry the accommodation space 101 by forming air convection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101. In this way, the accommodation space 101 is air-dried to keep the accommodation space 101 dry and clean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bacterial contamination. Even i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101 with a wet mop or moisture, air drying of the mop or main body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is facilitated through air convection.

도 2,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 본체(10)는 순차적으로 연통하여 설정된 공기 입구 구조(12), 공기 진입 통로(13), 장착 캐비티(14) 및 공기 배출 통로(15), 및 상기 설정 캐비티(14) 내에 장착된 팬 장치(16), 및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 내에 장착된 필터 어셈블리(17)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7)는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 내에 위치하면서 상기 공기 입구 구조(12)를 커버하도록 설정된다.Referring to FIGS. 2, 5, and 9, the device main body 10 includes an air inlet structure 12, an air entry passage 13, a mounting cavity 14, and an air discharge passage 15 set in sequential communication. , and a fan device 16 mounted within the setting cavity 14, and a filter assembly 17 mounted within the air entry passage 13. The filter assembly (17) is positioned within the air inlet passageway (13) and is configured to cover the air inlet structure (12).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는 대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 모양인 메인 하우징(18)을 포함한다. 상기 공기 입구 구조(12)는 상기 메인 하우징(18)을 관통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 장착 캐비티(14) 및 공기 배출 통로(15)는 모두 상기 메인 하우징(18)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7)는 대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 모양이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17)는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17)는 상기 공기 입구 구조(12)를 커버하도록 설정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17)가 상기 공기 입구 구조(12)로부터 유입되는 기체를 필터링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필터링된 기체가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 정화 효과를 구현한다. 여기서, 상기 팬 장치(16)는 상기 공기 입구 구조(12로부터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로 외부 부피를 구동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장착 캐비티(14) 및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장치 본체(10)는 음성 제어 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의 공기 배출구는 상기 음성 제어 모듈(50)이 위치한 측을 향하며,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의 공기 배출구를 경과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음성 제어 모듈(50)에 방열 효과가 있어, 상기 음성 제어 모듈(50)에 대하여 빠른 냉각 효과를 가질 수 있어, 상기 음성 제어 모듈(50)의 안정적인 작동을 확보하는 데 유리하고,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는 음성 제어 모듈(5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evice body 10 includes a main housing 18 that is generally hollow and cylindrical in shape. The air inlet structure 12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main housing 18. The air entry passage 13, the mounting cavity 14,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are all formed inside the main housing 18. The filter assembly 17 is generally hollow cylindrical in shape, the filter assembly 17 being received within the air inlet passage 13, and the filter assembly 17 covering the air inlet structure 12. By being set, the filter assembly 17 can filter the gas flowing in from the air inlet structure 12, and further, the filtered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to achieve an air purifying effect. Here, the fan device 16 can drive external volume from the air inlet structure 12 into the air inlet passage 13, which exits through the mounting cavity 14 and the air outlet passage 15. The device body 10 includes a voice control module 50, and the air outlet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faces the side where the voice control module 50 is located,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 The air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air outlet of 15) has a heat dissipation effect on the voice control module 50 and can have a rapid cooling effect on the voice control module 50. It is advantageous to ensure stable operation, and the service life is extended.In another embodiment, the device body 10 may not include the voice control module 50.

도 2,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재충전 모듈(20),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 상기 장착 캐비티(14) 및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는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베이스(21) 및 상기 메인 하우징(18)은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 설정된다.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베이스(21)는 상기 메인 하우징(18)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는 상기 메인 하우징(18)의 하부에 근접하여 설정되며,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는 상기 메인 하우징(18)의 상부에 근접하여 설정되고, 상기 장착 캐비티(14)는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와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21)와 상기 장치 본체(10) 사이에는 칸막이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와 상기 수용 공간(101)을 분리하여 상기 팬 장치(16)의 흡인력 작용으로 인해 먼지 부스러기가 상기 수용 공간(101) 내에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재충전 모듈(20),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 상기 장착 캐비티(14) 및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가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 설정되고,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의 공기 배출구 높이를 증가시켜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의 공기 배출구가 더 높은 위치에 있게 함으로써 공기 배출 기류가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2, 5, and 9, the recharge module 20, the air entry passage 13, the mounting cavity 14,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are arranged sequenti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do. Here, the base 21 and the main housing 18 of the recharge module 20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base 21 of the recharge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housing 18, the air inlet passage 13 is set close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housing 18,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is set close to the top of the main housing (18), and the mounting cavity (14) is located between the air inlet passage (13) and the air outlet passage (15). A partition is set between the base 21 and the device main body 10, and the partition separates the air inlet passage 13 and the receiving space 101, thereby causing air to flow through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device 16. This prevents dust particles from entering the receiving space 101. The recharge module 20, the air entry passage 13, the mounting cavity 14,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ir discharge port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By increasing the height so that the air outlet of the air outlet passage 15 is at a higher position, the influence of the air outlet airflow on the user can be reduced.

도 2,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재충전 모듈 (20)의 횡단면 치수,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의 횡단면 치수,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횡단면 치수 및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의 횡단면 치수는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되었다. 여기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횡단면 치수는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의 횡단면 치수보다 크고,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의 횡단면 치수는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횡단면 치수보다 크며, 상기 장착 캐비티(14)의 횡단면 치수는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의 횡단면 치수보다 크다.2, 5 and 9,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the recharge module 20,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the air inlet passage 13,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the mounting cavity 14 and the air outlet passage 15.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were set to decrease sequenti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recharge module 20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air inlet passage 13,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air inlet passage 13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mounting cavity 14, and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air inlet passage 13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mounting cavity 14.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cavity 14 is larger than that of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의 횡단면 치수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변화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장치 본체(10)의 횡단면 치수는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상기 재충전 모듈(20)에 근접할수록 증가하여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의 하단이 상기 재충전 모듈(20)에 적합하도록 하고,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의 횡단면 치수는 상기 음성 제어 모듈(50)에 근접하여 상기 수직 방향을 따라 감소되어 상기 공기 정화 모듈의 상단이 상기 음성 제어 모듈(50)에 적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무게 중심이 상기 재충전 모듈(20)에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되어,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가 비교적 안정된 위치에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어 지면으로 넘어질 가능성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는 구조가 컴팩트하고, 부피가 비교적 작으며, 포장 및 수납이 용이하고, 점유 공간을 절약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device body 10 is set to change gradu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device body 10 approaches the recharge module 2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creases so that the bottom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fits into the recharging module 20, and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air purification module decreas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s it approaches the voice control module 50 to fit the air purification module 50. Ensure that the top of is suitable for the voice control module 50. Therefo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is relatively close to the recharging module 20, so that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is in a relatively stable position and there is no possibility of falling to the ground when touched by the user. It decreases. 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100 has a compact structure, a relatively small volume, is easy to package and store, and saves space.

여기서,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의 횡단면 치수가 상기 장치 캐비티(14)의 횡단면 치수보다 크고, 상기 장치 캐비티(14)의 횡단면 치수가 상기 공기 배출 통로(15)의 횡단면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는 상대적으로 비교적 넓은 공간을 구비하고 있어 비교적 큰 공기량을 도입할 수 있으며, 공기 흐름은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은 공기 속도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17)를 통과하여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로 유입될 수 있다. 이리 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17)가 통과하는 가스를 충분히 필터링할 수 있고, 정화 효과가 우수하며, 필터 어셈블리(17)가 쉽게 손상되지 않아 공기 흐흠이 공기 진입 통로(13), 장착 캐비티(14) 및 공기 배출 통로(15)를 경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흐름이 점진적으로 압축되어 최종적으로 빠르게 배출된다.Here, since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air inlet passage 13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device cavity 14, and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device cavity 14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air outlet passage 15, The air entry passage 13 has a relatively wide space, so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air can be introduced, and the air flow passes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7 at a relatively low air speed to the air entry passage 13. ) can flow in. In this way, the filter assembly 17 can sufficiently filter the passing gas, the purification effect is excellent, and the filter assembly 17 is not easily damaged, so that air fumes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air entry passage 13 and the mounting cavity 14. )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15, the air flow is gradually compressed and finally quickly discharged.

도 2,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에 근접하는 측에 수용 공간(101)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101)은 외부와 연결되며, 상기 수용 공간(101)은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를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에 근접하는 상기 장착 캐비티(14)는 일단이 개방단이며,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에 근접하는 상기 수용 공간(101)은 일단이 폐쇄단이고, 상기 공기 입구 구조(12)는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의 내측 벽을 관통하여 설정되어 먼지 부스러기가 상기 수용 공간(101) 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Referring to FIGS. 2, 5, and 9, the recharge module 20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101 on a side adjacent to the air entry passage 13, and the accommodating space 101 is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01 is used to accommodate the smart cleaning device 200. The mounting cavity 14 adjacent to the air entry passage 13 has an open end, the receiving space 101 adjacent to the air entry passage 13 has a closed end, and the air inlet structure (12) is set to penetrate the inner wall of the air entry passage 13 to prevent dust particles from entering the receiving space 101.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베이스(21)와 상기 장치 본체(10) 사이에는 칸막이가 설정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와 상기 수용 공간(101)을 분리하여, 상기 흡기 통로(13)가 상기 수용 공간(101)에 근접하는 일단이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팬 장치(16)의 흡인력에 의해 먼지 부스러기가 상기 수용 공간(101) 내에 진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공기 입구 구조(12)는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의 내측벽을 관통하여 설정되며, 따라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의 측부로부터 상기 공기 진입 통로(13)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artition is set between the base 21 and the device main body 10, and the partition separates the air entry passage 13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01, and the intake passage 13 ) so that one end close to the receiving space 101 is closed to prevent dust particles from entering the receiving space 101 due to the suction force of the fan device 16. The air inlet structure 12 is set to penetrate the inner wall of the air inlet passage 13, so that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passage 13 from the side of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 본체(10)에는 제1 전기 연결부(26)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재충전 모듈(20)에는 제2 전기 연결부(27)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와 상기 제2 전기 연결부(27)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10 and 11,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26 is set in the device body 10,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27 is set in the recharge module 20,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27 is set in the device body 10.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6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27 are electrically connected.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2 전기 연결부(27)에 도통될 수 있다. 상기 재충전 모듈(20)에는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재충전 모듈(20)에는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고,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전원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접속하여 상기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에 전력을 공급하며, 더 나아가 상기 재충전 모듈(20) 및 상기 장치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하여 양자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확보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10)에는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이 설정되고, 상기 장치 본체(10)에는 전원 인터페이스가 설정되며, 상기 장치 본체(10)는 전원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접속하여 상기 전력 공급 회로 기판(25)에 전력을 공급하고, 더 나아가 상기 재충전 모듈(20) 및 상기 장치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26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27 through a cable. The recharging module 20 is equipped with a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The recharge module 20 is set with a power inte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and the recharge module 2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power interface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and further supplies power to the recharge module 20 and the device main body 10 to ensure that both operate normally. In another embodiment, a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is set in the device main body 10, a power interface is set in the device main body 10, and the devic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power interface. Connected to supply power to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25, and further supply power to the recharge module 20 and the device body 10.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는 또한 포인트 투 포인트 접촉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전기 연결부(27)에 도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 본체(10)에는 제1 도킹단(261)이 설정되고,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는 상기 제1 도킹단(261)의 단면에 설정되며, 상기 재충전 모듈(20)에는 제2 도킹단(262)이 설정되고, 상기 제2 전기 연결부(27)는 상기 제2 도킹단(262)의 단면에 설정된다. 상기 제1 도킹단(261)은 상기 제2 도킹단(262)에 도킹 고정되고,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와 상기 제2 전기 연결부(27)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의 베이스(21)에는 상기 제2 도킹단이 설정되어 있다. 상기 재충전 모듈(20)은 상기 장치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에서 상기 재충전 모듈(20)을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제조업체의 경우, 상기 장치 본체(10)에 상기 제1 도킹단(261) 및 상기 제1 전기 연결부(26)를 미리 남겨둘 수 있고, 상기 재충전 모듈(20)에 제2 도킹단(262) 및 제2 전기 연결부(27)를 미리 남겨두어 상기 장치 본체(10)를 단독으로 단일 장치로 판매하거나 상기 장치 본체(10)를 상기 재충전 모듈(20)과 조합하여 판매할 수 있어 제조업체의 제품 조합을 풍부하게 하고, 사용자의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1,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26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27 through a point-to-point contact method. Here, a first docking stage 261 is set in the device main body 10,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26 is set in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docking stage 261, and the recharge module 20 has a A second docking end 262 is set,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27 is set on a cross section of the second docking end 262. The first docking end 261 is docked and fixed to the second docking end 262,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26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art 27 contact each othe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Here, the second docking stage is set at the base 21 of the recharge module 20. The recharge module 2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evice main body 10, so that the recharge module 20 can b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In the case of the manufacturer, the device main body 10 The first docking stage 261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26 may be left in advance at (10), and the second docking stage 262 and the second electric connection part 27 may be left in the recharge module 20. By leaving in advance, the device body 10 can be sold alone as a single device, or the device body 10 can be sold in combination with the recharge module 20, thereby enriching the product combination of manufacturers and meeting user demand. It can be adjusted flexibly depending on the

본 출원은 또한 스마트 클리닝 장치(200) 및 상술한 바와 같은 다기능 클리닝 장치(100)를 포함하는 클리닝 시스템을(300)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also provides a cleaning system (300) including a smart cleaning device (200) and a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상술한 내용은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출원을 제한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교체 및 개선 등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The above-described content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is not used to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All modifications, equivalent replacements and improvements made within the spirit and principles of this application shall be included 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application.

Claims (15)

다기능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는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연결되는 재충전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 본체는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재충전 모듈 부근에는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정차하도록 하여,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상기 재충전 모듈과 접속하여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는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In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includes a device main body and a recharging module connected to the device main body, wherein the device main body is capable of performing a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and a preset recharging station area is formed near the recharging module; , The preset recharging station area allows the smart cleaning device to stop, allowing the smart cleaning device to connect to the recharging module and charge, and the smart cleaning device performs a second type of cleaning operation.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장치 본체는 적어도 일부가 행잉 설치되고, 상기 재충전 모듈은 상기 장치 본체에서 지면에 근접하는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행잉 공간은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은 상기 수용 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장치 본체의 행잉 부분의 지면에 대한 행잉 거리는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의 최대 높이 치수보다 크고, 상기 수용 공간은 외부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수용 공간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device main body is installed hanging, the recharge module is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device main body close to the ground, the hanging space of the device main body forms a receiving space, and the preset A recharging station area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the hanging distance of the hanging portion of the devic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greater than the maximum height dimension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the receiving spac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 space is smart cleaning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by accommodating the device.
제2항에 있어서,상기 재충전 모듈은 베이스 및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장치 본체의 지면에 근접하는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장치 본체를 베어링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치 본체가 적어도 일부 지면에 대하여 행잉되게 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장치 본체가 둘러싸여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 위에 장착되며, 상기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는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를 위하여 재충전 유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charge module includes a base and a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the base is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device main body close to the ground, and the base is provided to bear the device main body. The main body is hung with respect to at least part of the ground, the base and the device main body are surrounded to form the receiving space, the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is mounted on the base, and the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smart cleaning device.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 recharge induction service for.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장치 본체의 지면에 근접하는 일측에 적어도 2개의 지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지지부는 상기 장치 본체를 베어링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치 본체가 적어도 일부 지면에 대하여 행잉되게 하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two support parts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evice main body close to the ground, and the at least two support parts are provided to bear the device main body, so that the device main body hangs at least parti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는 상기 수용 공간의 수평으로 마주하는 양측에 각각 제1 연통 구조와 상기 제2 연통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연통 구조와 상기 제2 연통 구조는 모두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제1 연통 구조와 상기 제2 연통 구조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공기 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forms a first communication structure and a second communication structure on horizontally opposite sides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both the first communication structur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tructure are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an accommodation space, wherein air convection is formed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structure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장치 본체는 순차적으로 연통 구비되는 입기홀 구조, 입기 채널, 장착 캐비티, 배기 채널 및 상기 장착 캐비티 내에 구비된 팬 장치, 및 상기 입기 채널 내에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입기 채널 내에 위치하고 입기홀 구조를 커버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vice main body includes an inlet hole structure provided in communication sequentially, an inlet channel, a mounting cavity, an exhaust channel, a fan device provided in the mounting cavity, and a filter assembly provided in the inlet channel, The filter assembly is located in the inlet channel and is provided to cover the inlet hole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상기 재충전 모듈, 상기 입기 채널, 상기 장착 캐비티 및 상기 배기 채널이 수직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recharge module, the intake channel, the mounting cavity, and the exhaust channel are sequentially arrang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상기 재충전 모듈의 횡단면 치수, 상기 입기 채널의 횡단면 치수, 상기 장착 캐비티의 횡단면 치수 및 상기 배기 채널의 횡단면 치수는 수직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the recharge module,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the intake channel,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the mounting cavity, and the cross-sectional dimensions of the exhaust channel are sequentially redu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제7항에 있어서,상기 재충전 모듈은 상기 입기 채널에 근접하는 일측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 공간은 외부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입기 채널에 근접하는 상기 장착 캐비티는 일단이 개방단이며, 상기 입기 채널에 근접하는 상기 수용 공간은 일단이 폐쇄단이고, 또한 상기 입기홀 구조는 입기 채널의 내측 벽을 관통하여 구비되어, 먼지, 부스러기를 끌어 들여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echarge module forms an accommodating space on one side adjacent to the dressing channel, the accommodating spac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e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es the smart cleaning device, and is connected to the dressing channel. The adjacent mounting cavity has an open end at one end, the receiving space adjacent to the intake channel has a closed end, and the intake hole structure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inner wall of the intake channel to attract dust and debris.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events entry into the receiv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장치 본체에는 제1 전기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재충전 모듈에는 제2 전기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전기 연결부와 상기 제2 전기 연결부는 전기적으로 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ical connection, the recharge module is provided with a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장치 본체에는 제1 접속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접속단의 단면에 구비되며, 상기 재충전 모듈에는 제2 접속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접속단의 단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접속단과 상기 제2 접속단이 접속 고정될 경우, 상기 제1 전기 연결부와 상기 제2 전기 연결부가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 연결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vic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en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art is provided on a cross s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nd, the recharge module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nection end,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is provided. The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o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end, and when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are connected and fixed, the first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ical connection portion contact each other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by:
제1항에 있어서,상기 재충전 모듈은 베이스 및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재충전 유도 신호 송신 어셈블리는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를 위하여 재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harge module includes a base and a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the bas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evice main body, the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recharge induction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base.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provides a recharge service for the smart cleaning device.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재충전 모듈은 센터링 신호 송신기, 제1 신호 송신기, 제2 신호 송신기 및 한 쌍의 충전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신호 송신기, 상기 제1 신호 송신기, 상기 제2 신호 송신기 및 상기 한 쌍의 충전 접점은 모두 상기 전력 공급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센터링 신호 송신기는 상기 장치 본체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신호 송신기 및 상기 제2 신호 송신기는 각각 상기 센터링 신호 송신기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센터링 신호 송신기는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상기 한 쌍의 충전 접점과 접속하기 위해 상기 미리 설정된 재충전 스테이션 영역 내로 직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센터링 유도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1 신호 송신기는 좌측 유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신호 송신기는 우측 유도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좌측 유도 신호 및 상기 우측 신호는 모두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가 상기 센터링 유도 신호를 찾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13.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recharging module includes a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a first signal transmitter, a second signal transmitter and a pair of charging contacts, wherein the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and the pair of charging contacts are bot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ircuit board, the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evice main body,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and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are loca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respectively, and the centering signal transmitter is a centering guidance signal that guides the smart cleaning device to move along a straight line into the preset recharging station area to connect with the pair of charging contacts. Transmitting, the first signal transmitter transmits a left guidance signal, the second signal transmitter transmits a right guidance signal, and both the left guidance signal and the right signal allow the smart cleaning device to transmit the centering guidance signal.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by encouraging people to look for it.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다기능 클리닝 장치의 제1 유형의 클리닝 작업은 공간 공기 정화 임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클리닝 장치의 제2 유형의 클리닝 작업은 표면 클리닝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클리닝 장치.
1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first type of cleaning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comprises a space air purification task and the second type of cleaning task of the smart cleaning device comprises a surface cleaning task. A multi-functional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클리닝 시스템에 있어서,상기 클리닝 시스템은 스마트 클리닝 장치 및 제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의 다기능 클리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 시스템.

In the cleaning system, the cleaning system includes a smart cleaning device and the multi-function cleaning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14.

KR1020230076117A 2022-06-17 2023-06-14 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KR2023017417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690278.0 2022-06-17
CN202210690278.0A CN117281432A (en) 2022-06-17 2022-06-17 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170A true KR20230174170A (en) 2023-12-27

Family

ID=8919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117A KR20230174170A (en) 2022-06-17 2023-06-14 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74170A (en)
CN (1) CN117281432A (en)
WO (1) WO2023241345A1 (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701B1 (en) * 2004-10-27 2006-12-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Robot cleaner system and Method for return to external charge apparatus
KR20100128839A (en) * 2009-05-29 2010-12-0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Robot cleaner external charging apparatus and robot cleaner system having the same
JP2013013539A (en) *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Dust collector for indoor use, and program for making the dust collector function
KR20210003543A (en) * 2019-07-02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Robot cleaner station
KR20210110427A (en) * 2020-02-28 2021-09-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Docking Station with Air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with it
CN216132075U (en) * 2021-08-23 2022-03-25 卡富环球有限公司 Air duct assembly and air purifier
CN117287783A (en) * 2022-06-17 2023-12-26 深圳以内创新科技有限公司 Air purifying apparatus
CN218651651U (en) * 2022-10-31 2023-03-21 深圳以内创新科技有限公司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system
CN218651650U (en) * 2022-10-31 2023-03-21 深圳以内创新科技有限公司 Maintenance base station and cleaning robo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1345A1 (en) 2023-12-21
CN117281432A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253B2 (en) Electronics
JP6721151B2 (en) Vacuum cleaner system
CN117281434A (en) Intelligent base station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KR20100087820A (en) Robot system having changable module
CN111419125A (en) Multifunctional floor sweeping robot
KR20060134368A (en) Charging equipment for robot cleaner
CN212879151U (en) Floor sweeping robot and floor sweeping robot system
CN114060938A (en) Floor typ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KR20230174170A (en) 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CN205107553U (en) Wireless vertical type vacuum cleaner
CN212879153U (en) Floor sweeping robot and floor sweeping robot system
KR200291206Y1 (en) Rechargeable battery-operated vacuum cleaner
KR101253619B1 (en) Charging Equipment for Robot Cleaner
TW202412694A (en) Multifunctional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system
WO2022078255A1 (en) Management room for sweeping robot, and sweeping robot system
TW201828871A (en) Electronic device
KR20060027702A (en) Multi-robot cleaner
US20240138640A1 (en) Maintenance base station and cleaning robot system
CN212879150U (en) Floor sweeping robot and floor sweeping robot system
CN212879147U (en) Floor sweeping robot and floor sweeping robot system
CN218128412U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surface cleaning system
CN218817100U (en) Blowing and sucking integrated machine and blowing and sucking integrated equipment
CN212879148U (en) Floor sweeping robot and floor sweeping robot system
KR20050033937A (en) Rechargeable battery-operated vacuum cleaner
CN219720573U (en) Modularized separable floor sweeping rob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