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586A - 면도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면도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586A
KR20230173586A KR1020230067884A KR20230067884A KR20230173586A KR 20230173586 A KR20230173586 A KR 20230173586A KR 1020230067884 A KR1020230067884 A KR 1020230067884A KR 20230067884 A KR20230067884 A KR 20230067884A KR 20230173586 A KR20230173586 A KR 20230173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t
wedge
tip
dividing lin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US18/336,30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405857A1/en
Priority to EP23179746.5A priority patent/EP4292783A1/en
Publication of KR20230173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5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는 커팅 에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커팅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블레이드는 기판 첨단, 기판 첨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면 및 기판 첨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기판 및 기판 상에 적층되어 커팅 에지를 형성하고, 커팅 에지의 첨단을 형성하는 최종 첨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패싯, 최종 첨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패싯, 제 1패싯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패싯 및 제 2패싯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패싯을 형성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제 1패싯 및 제 3패싯은 면도 시 피부와 마주하도록 구성되고 제 2패싯 및 제 4패싯은 면도 시 피부와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제 1패싯과 제 3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1웨지와 최종 첨단을 분할하는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제 2패싯과 제 4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2웨지와 분할선 사이의 거리에 대해 ±20% 이내의 편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본 발명은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회용 면도기 또는 카트리지 교체형 면도기에서 사용되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는 얼굴, 신체의 잔털, 수염 등과 같은 체모를 절삭하여 제거하는 제품이다. 면도기의 구성은 크게 구분하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핸들과 사용자의 사용에 연동하는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 체모를 절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핸들에 연결되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수용된다. 면도기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없는 일회용 면도기 또는 핸들과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 교체형 면도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레이드는 면도기 카트리지의 면도 방향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체모를 절삭한다.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체모 절삭 시 체모와 블레이드 사이의 절삭 저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절삭력 수치 값이 작을수록 더 효율적으로 체모를 절삭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면도감을 제공한다. 블레이드는 모재로 사용되는 기판, 기판 상에 적층되는 금속 코팅층 및 금속 코팅층 상에 적층되는 수지 코팅층을 포함한다.
한편, 면도 시 블레이드의 절삭력 및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면도감은 기판의 두께 및 형상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의 절삭력은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기판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더 감소하여 효율적인 체모의 절삭이 가능해지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면도감을 제공한다. 또한, 피부 표면과 마주하는 일측면과 타측면을 구성하는 블레이드의 형상에 기초하여 블레이드의 절삭력이 변경된다.
그런데, 상술한 블레이드 기판의 두께 및 형상은 면도 시 절삭력 및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면도감에 많은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기판의 두께 감소는 절삭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면도감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커팅 에지를 기준으로 피부 표면과 마주하는 일측면과 일측면에 대향된 타측면까지의 거리가 동일한 대칭 형상을 가질 때, 피부 표면과 마주하는 일측면과 일측면에 대향된 타측면의 특성에 따라 블레이드의 절삭력 및 블레이드의 내구성 향상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코팅층의 두께가 상대적인 차이를 갖도록 비대칭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의 일측면으로부터 피부 표면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적층된 코팅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기판의 타측면에 적층되는 코팅층의 두께를 가감하여 비대칭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커팅 에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커팅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기판 첨단, 상기 기판 첨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면 및 상기 기판 첨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적층되어 상기 커팅 에지를 형성하고, 상기 커팅 에지의 첨단을 형성하는 최종 첨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패싯, 상기 최종 첨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패싯, 상기 제 1패싯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패싯 및 상기 제 2패싯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패싯을 형성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패싯 및 상기 제 3패싯은 면도 시 피부와 마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패싯 및 상기 제 4패싯은 면도 시 피부와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패싯과 상기 제 4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3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1웨지와 상기 최종 첨단을 분할하는 분할선 사이의 거리에 대해 ±20% 이내의 편차를 가지고 더 길거나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2패싯과 상기 제 4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3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1웨지와 상기 최종 첨단을 분할하는 분할선 사이의 거리에 대해 -15% ~ -20%의 편차를 가지고 더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패싯과 상기 제 4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3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1웨지와 상기 최종 첨단을 분할하는 분할선 사이의 거리에 대해 +15% ~ +20%의 편차를 가지고 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선은 상기 최종 첨단과 상기 기판 첨단을 연결하는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할선은 상기 최종 첨단으로부터 1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상기 블레이드의 제 1중심점과, 상기 최종 첨단으로부터 5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상기 블레이드의 제 2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종 첨단에서 상기 분할선과 상기 제 1패싯 사이의 각도는 30도 내지 70도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3패싯 사이의 각도는 100도 내지 170도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분할선 까지의 거리는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0.4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제 2웨지를 연결하는 웨지선과 상기 분할선의 교점과, 상기 최종 첨단 사이의 거리는 0.1 마이크로미터 내지 0.6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제 2웨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 첨단보다 상기 최종 첨단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제 2웨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최종 첨단으로부터 상기 기판 첨단보다 더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웨지는 상기 제 2웨지보다 상기 최종 첨단에 더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웨지는 상기 제 1웨지보다 상기 최종 첨단에 더 근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2패싯은 상기 분할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기저부는 상기 분할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 1패싯과 제 3패싯의 경계에 형성된 제 1웨지와 제 2패싯과 제 4패싯의 경계에 형성된 제 2웨지를 연결하는 웨지선과 최종 첨단으로부터 웨지선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분할선을 기준으로 피부 표면과 접촉되는 제 1웨지와 분할선 사이의 거리가 일정할 때 제 2웨지와 분할선 사이의 거리를 20% 이내의 편차를 갖도록 비대칭으로 커팅 에지를 형성함으로써, 절삭력을 감소하여 면도감을 향상할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면도기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판에 대한 최적 두께를 표시한 도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기판과 커팅 에지에 대한 제 1실시 예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블레이드의 기판과 커팅 에지에 대한 제 2실시 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는 일회용 면도기의 핸들과 분리 불가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카트리지 교체형 면도기의 핸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면도기(1)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500)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Ⅲ-Ⅲ 선의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1000)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도기(10)는 핸들(100), 핸들 결합부(300)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500)를 포함한다.
핸들(10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다. 핸들(100)은 핸들 바디(110) 및 핸들 헤더(130)를 포함한다.
핸들 바디(110)는 면도기(10)의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핸들 헤더(130)는 핸들 바디(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면도기 카트리지(50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핸들 바디(110)는 선택적으로 결합된 면도기 카트리지(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핸들 바디(110)는 일회용 면도기의 경우 면도기 카트리지(500)와 분리 불가하게 결합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핸들 헤더(130)는 면도기 카트리지(5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핸들 결합부(300)와 결합된다. 핸들 헤더(130)는 핸들 결합부(300)와 결합되어 고정된 축 또는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축에 대해 면도기 카트리지(500)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핸들 헤더(130)는 카트리지 교체형 면도기에서 핸들 결합부(3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핸들(100)에는 핸들 헤더(130)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수단(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수단을 조작하여 핸들 헤더(130)와 핸들 결합부(30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500)는 블레이드 하우징(510), 윤활 밴드(530), 클립(550) 및 블레이드(1000)를 포함한다.
블레이드 하우징(510)은 프레임(511), 가드(513) 및 캡(515)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드(513)는 프레임(511)을 중심으로 프레임(511)의 전방(양의 X축 방향)에 배치되고, 캡(515)은 프레임(511)을 중심으로 프레임(511)의 후방(음의 X축 방향)에 형성된다.
프레임(511)의 중앙부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511)은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1000)를 종방향(Y축 방향)으로 수용한다. 프레임(511)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1000)가 배치될 때, 각 블레이드(1000)는 다른 블레이드(1000)들에 대해 횡방향(X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가드(513)는 면도 시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밀착하여 피부 표면을 당겨 블레이드(1000)에 의한 면도 효과를 향상시킨다. 가드(513)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피부 표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양각 또는 음각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가드(513)의 상면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가드(513)가 윤활 물질을 포함할 경우, 체모가 블레이드(1000)에 닿기 전에 면도를 돕기 위한 보조제를 피부에 미리 도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캡(515)에는 면도기 카트리지(500) 상부에 노출되는 윤활 밴드(530)가 배치될 수 있다. 윤활 밴드(530)는 윤활 물질을 포함하며, 면도 시 블레이드(1000)가 지나간 피부 표면에 윤활 물질이 도포되도록 한다. 윤활 물질은 면도 후의 피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550)은 프레임(511)의 양측을 감싸며 블레이드 하우징(510)에 결합된다. 클립(550)은 블레이드(1000)가 블레이드 하우징(5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판(1500)에 대한 최적 두께를 표시한 도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블레이드(1000)의 기판(1500)과 커팅 에지(1600)에 대한 제 1실시 예의 확대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블레이드(1000)의 기판(1500)과 커팅 에지(1600)에 대한 제 2실시 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000)는 기저부(1100), 절곡부(1200) 및 에지부(1300)를 포함하고, 기저부(1100), 절곡부(1200) 및 에지부(1300)는 각각 블레이드(1000)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기저부(1100), 절곡부(1200) 및 에지부(1300)는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블레이드(1000)를 형성한다. 도 4에서는 기저부(1100), 절곡부(1200) 및 에지부(1300)가 전체적으로 연결된 일체형 블레이드(1000)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서 블레이드(1000)는 에지부(1300)가 용접되어 부착되는 강대날(welded blade)이거나, 또는 절곡부(1200)를 포함하지 않는 일자형 블레이드일 수도 있다.
기저부(1100)는 블레이드 하우징(1510)에 의해 지지된다.
절곡부(1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기저부(1100)와 에지부(1300) 사이에 배치되며 기저부(1100)와 에지부(1300)를 상호 연결한다. 절곡부(1200)는 기저부(1100)로부터 전방(양의 X축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에지부(1300)는 기저부(1100)로부터 절곡된 절곡부(1200)의 절곡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에지부(1300)는 면도 시 체모를 절삭하는 영역이고, 에지부(1300)의 첨단에는 커팅 에지(1600)가 형성된다.
블레이드(1000)는 기판(1500)과 기판(1500)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코팅층(1700)을 포함한다. 기판(1500)은 블레이드(1000)의 기본 구조를 형성하고, 블레이드(1000)를 제조하는 모재로 사용된다. 기판(1500)은 기판 첨단(1510), 제 1면(1530) 및 제 2면(1550)을 포함한다. 기판 첨단(1510)은 기판(1500) 상에 코팅층(1700)의 형성 시 최종 첨단(1720)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기판(1500)은 스텐인리스 재질 등의 금속 재료가 주로 사용되지만, 실리콘 또는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500)의 최적 두께의 수치 값이 도표로 나타나고 있다. 블레이드(1000)의 제조 또는 사용 시 T1 내지 T25의 두께 값의 수치가 중요하다. 여기서, Tx는 기판 첨단(1510)으로부터 x마이크로미터 떨어진 영역에서의 기판(1500)의 두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T1은 기판 첨단(1510)으로부터 1마이크로미터 떨어진 영역에서의 기판(1500)의 두께 값을 표현한 것이다. T1 내지 T25를 의미하는 이격 거리와 두께는 마이크로미터 단위를 사용한다.
도 6의 표는, 대표적으로 블레이드(1000)의 커팅 에지(1600) 형성 시 기판(1500)의 두께 중 물리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T4, T16, T20 및 T25의 값을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기판(1500)은 기판 첨단(1510)으로부터 4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거리에서 측정된 두께(T4)가 0.99 내지 2.37 마이크로미터이고, 기판(1500)은 기판 첨단(1510)으로부터 16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거리에서 측정된 두께(T16)가 3.04 내지 7.41 마이크로미터인 수치 값 범위를 갖는다.
또한, 기판(1500)은 기판 첨단(1510)으로부터 20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거리에서 측정된 두께(T20)가 3.56 내지 8.64 마이크로미터이고, 기판(1500)은 기판 첨단(1510)으로부터 25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거리에서 측정된 두께(T25)가 4.21 내지 10.89 마이크로미터인 수치 값 범위를 갖는다. 블레이드(1000)가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블레이드(1000)의 모재가 되는 기판(1500)의 형상은 블레이드(1000)의 전반적인 형상과 면도 성능, 내구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기판 첨단(1510)과 상대적으로 근접한 기판(1500) 영역에서 두께, 예컨대, T1 내지 T25의 값은 이러한 블레이드(1000)의 특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면(1530)과 제 2면(1550)은 기판 첨단(1510)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을 향해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 1면(1530)은 면도 시 피부 표면과 접촉하는 일측면에 해당되고, 제 2면(1550)은 일측면에 대향된 타측면에 해당된다. 제 1면(1530)과 제 2면(1550) 상에는 코팅층(1700)이 형성된다.
커팅 에지(1600)는 에지부(1300)의 첨단 영역에 형성되고, 기판(1500)과 기판(1500) 상에 코팅 형성된 코팅층(1700)의 형성에 기초하여 형성된다. 팅 에지(1600)는 면도 시 실질적으로 체모를 절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커팅 에지(1600)의 적어도 일부분은 블레이드 하우징(1510)의 상부로 노출되어 면도 시 체모와 접촉된다.
코팅층(17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커팅 에지(1600), 최종 첨단(1720), 제 1패싯(1730), 제 2패싯(1750), 제 3패싯(1770) 및 제 4패싯(1790)을 포함한다. 코팅층(1700)은 하드 코팅과 수지 코팅을 기본 구조로 갖는다.
블레이드(1000)를 구성하는 코팅층(1700)은 CrC 혹은 Cr를 기반으로 하는 물질을 사용하고 있으나, 반대로 설명 한다면 Carbon을 포함하고 있는 층, 혹은 Boron을 포함하고 있는 층, 혹은 Nitrogen을 포함하고 있는 층, 혹은 Oxide를 포함하고 있는 물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물질층을 의미한다. 그리고, 코팅층(1700)의 텍스쳐는 코팅이 결정질인지 비정질인지 또는 나노크리스탈층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최종 첨단(1720)은 커팅 에지(1600)의 첨단을 형성한다. 최종 첨단(1720)은 면도 시에 피부 표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 1패싯(1730)은 커팅 에지(1600)의 첨단을 형성하는 최종 첨단(1720)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다. 제 2패싯(1750)은 최종 첨단(1720)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고 제 1패싯(1730)에 대향되어 형성된다. 제 3패싯(1770)은 제 1패싯(173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 4패싯(1790)은 제 2패싯(1750)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시된 제 1패싯(1730), 제 2패싯(1750), 제 3패싯(1770) 및 제 4패싯(1790)은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록한 형상 또는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세하게 제 1패싯(1730) 및 제 3패싯(1770)은 면도 시 피부 표면과 마주하도록 구성되고, 제 2패싯(1750) 및 제 4패싯(1790)은 면도 시 피부 표면과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 1패싯(1730) 및 제 3패싯(1770)은 피부 표면과 마주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패싯(1750)이 피부 표면과 마주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70)의 경계에는 제 1웨지(W1)가 형성되고, 제 2패싯(1750)과 제 4패싯(1790)의 경계에는 제 2웨지(W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웨지(W1)는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70)의 가상 연장선의 교차점에 해당되고, 제 2웨지(W2)는 제 2패싯(1750)과 제 4패싯(1790)의 가장 연장선의 교차점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000)는 비대칭의 커팅 에지(1600) 형상을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선(S)은 최종 첨단(1720)을 분할한다. 구체적으로 분할선(S)은 제 1웨지(W1)와 제 2웨지(W2)를 연결하는 가상선을 웨지선(W)이라고 할 때 최종 첨단(1720)을 지나며 웨지선(W)과 수직한 가상선에 해당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000)의 비대칭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에 대해 -15% 내지 -20% 만큼 더 짧거나 +15% 내지 +20% 만큼 더 길수 있다.
상세하게, 제 1웨지(W1)를 형성하는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70)은 면도 시 피부 표면에 마주 보거나 또는 접촉되는 영역에 해당되고, 제 2웨지(W2)를 형성하는 제 2패싯(1750)과 제 4패싯(1790)은 피부 표면과 이격되고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70)에 대향된 영역에 해당된다.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다.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상대적으로 ±20% 이내의 편차를 가진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상대적으로 -15% 내지 -20% 만큼 더 짧거나 +15% 내지 +20% 만큼 더 길수 있다.
도 5는 대칭형의 커팅 에지(1600) 형상을 기준으로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상대적으로 -20% 및 +20% 이내의 편차를 갖는 거리, 즉 -20% 및 +20% 이내의 편차를 가지고 더 얇거나 두껍게 코팅이 형성된 블레이드(1000)를 도시하고 있다. 반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가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상대적으로 -15% 내지 -20% 이내 만큼 더 짧은 블레이드(1000)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가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상대적으로 +15% 내지 +20% 이내 만큼 더 긴 블레이드(1000)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보다 더 길게 또는 더 짧게 형성된다.
도 5 및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상세하게 제 1면(1530)으로부터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70)을 형성하는 코팅층(1700)의 두께를 기준으로 제 2면(1550)으로부터 제 2패싯(1750)과 제 4패싯(1790)을 형성하는 코팅층(1700)의 두께가 ±20% 이내의 편차를 가지고 더 두껍거나 얇은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와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는 동일한 거리를 가질 수 없음에 따라 제 1면(1530)으로부터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70)을 형성하는 코팅층(1700)의 두께를 기준으로 제 2면(1550)으로부터 제 2패싯(1750)과 제 4패싯(1790)을 형성하는 코팅층(170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가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에 대해 동일한 거리를 가지지 않음에 따라 기판(1500) 상에 비대칭 코팅층(1700)이 형성된다. 비대칭 코팅층(1700)의 형성 시 제 1웨지(W1) 및 제 2웨지(W)의 위치는 기판 첨단(1510)과 최종 첨단(1720) 사이에서 위치 변경된다. 예를 들어, 비대칭 코팅층(1700)의 형성 시 제 1웨지(W1)과 제 2웨지(W2)는 기판 첨단(1510)에 더 가까울 수 있고, 최종 첨단(1720)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 또한, 제 1웨지(W1)는 제 2웨지(W2)보다 최종 첨단(1720)에 더 가깝거나 더 멀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를 기준 고정하고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가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에 ±20% 편차를 가지고 더 길거나 짧게 할 때, 비대칭 코팅층(1700)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제 1웨지(W1)를 형성하는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70)은 면도 시 피부와 마주 또는 접촉되는 영역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면(1530)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1700) 대비 상대적으로 제 2면(1550)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1700)의 두께를 감소하도록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를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에 대해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선(S) 기준으로 좌측의 코팅층(1700)의 두께 대비 상대적으로 우측의 코팅층(1700)의 두께가 얇아지면 절삭력 강화와 함께 편안한 면도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기판 첨단이 충분히 두꺼워질 때 도 8과 같이 우측면이 더 두꺼운 코팅층(1700)을 갖는 블레이드(100) 대비 내구성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좌측의 코팅층(1700) 대비 우측의 코팅층(1700)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는 의미는 최종 첨단(1720)을 형성하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000)의 효과적인 최초 삽입(cut-in)으로 인하여 면도 시 초기 터깅(tugging)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피부에 따가움을 줄여 편안한 면도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두꺼워진 좌측의 코팅층(1700)을 통해, 면도 시 최종 첨단(1720)이 피부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면(1530)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1700) 대비 상대적으로 제 2면(1550)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1700)의 두께를 증가하도록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를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에 대해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분할선(S) 기준으로 좌측의 코팅층(1700)의 두께 대비 상대적으로 우측의 코팅층(170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내구성 및 절삭력이 강화된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면도 시 블레이드(1000)의 좌측면보다 블레이드(1000)의 우측면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우측면의 코팅층(1700)이 두꺼워질 경우 상대적으로 블레이드(1000)의 강화되고, 특히 기판 첨단(1510)이 얇을 경우 내구성 상승의 요인이 된다. 그리고, 우측면의 블레이드(1000)가 두꺼워질 경우, 체모에 최초 삽입(cut-in)된 커팅 에지(160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웨지(W1) 및 제 2웨지(W2)를 따라 체모를 파고 들면서 더 벌려주는 작용을 하여 체모에 대한 절삭 저항을 보다 저감할 수 있으므로 면도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분할선(S)은 최종 첨단(1720)과 기판 첨단(1510)을 연결하는 직선이다. 또한, 분할선(S)은 최종 첨단(1720)으로부터 1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블레이드(1000)의 제 1중심점(C1)과 최종 첨단(1720)으로부터 5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블레이드(1000)의 제 2중심점(C2)을 연결하는 직선일 수 있다.
분할선(S)과 제 1패싯(1730) 사이의 각도(α)는 최종 첨단(1720)에서 30도 내지 70도 사이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는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0.4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0.4 마이크로미터 값을 갖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20% 이내의 편차를 가지고 더 길거나 짧을 수 있다. 예컨대,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0.24 마이크로 미터 내지 0.48 마이크로미터 값을 가지면서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더 길수도 있으며, 또는 0.16 마이크로미터 내지 0.32 마이크로미터 값을 가지면서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더 짧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0.4 마이크로미터 값을 갖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15% ~ -20%의 편차를 가지면서 더 짧을 때 0.16 마이크로미터 내지 0.34 마이크로미터로 더 짧은 거리를 갖는다. 반면, 보다 바람직하게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0.4 마이크로미터 값을 갖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 대비 +15% ~ +20%의 편차를 가지면서 더 길 때 0.23 마이크로미터 내지 0.48 마이크로미터로 더 긴 거리를 갖는다.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70) 사이의 내부 각도(θ)는 100도 내지 170도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웨지(W1)와 제 2웨지(W2) 중 적어도 하나는 기판 첨단(1510)보다 최종 첨단(1720)에 더 가깝게 형성된다. 반면, 제 1웨지(W1)와 제 2웨지(W2) 중 적어도 하나는 최종 첨단(1720)으로부터 기판 첨단(1510)보다 더 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1웨지(W1)가 제 2웨지(W2)보다 최종 첨단(1720)에 더 근접하여 형성되거나, 반대로 제 2웨지(W2)가 제 1웨지(W1)보다 최종 첨단(1720)에 더 근접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000)의 기저부(1100)는 분할선(S)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나, 커팅 에지(1600) 영역은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에 의해 커팅 에지(1600) 영역은 비대칭으로 형성되고, 특히 제 1패싯(1730)과 제 2패싯(1750)은 분할선(S)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1000)의 커팅 에지(1600) 영역의 비대칭 형상은 다양한 조건 및 수치 값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와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로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1)에 대해 ±20% 이내의 편차를 가지고 더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1면(1530) 상에 형성된 코팅층(1700)의 두께 대비 상대적으로 제 2면(1550) 상에 형성된 코팅층(1700)의 두께를 더 두껍거나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블레이드(1000)의 커팅 에지(1600)는 면도에 적합한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패싯(1730)과 제 3패싯(1750)의 경계에 형성된 제 1웨지(W1)와 제 2패싯(1750)과 제 4패싯(1790)의 경계에 형성된 제 2웨지(W2)를 연결하는 웨지선(W)과 최종 첨단(1720)을 지나면서웨지선(W)과 수직한 분할선(S)을 기준으로 피부 표면과 마주하는 제 1웨지(W1)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가 일정할 때 제 2웨지(W2)와 분할선(S) 사이의 거리(D2)를 20% 이내의 편차를 갖도록 비대칭으로 커팅 에지(1600)를 형성함으로써, 절삭력을 감소시키고 면도감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100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00: 면도기 카트리지 510: 블레이드 하우징
1000: 블레이드 1300: 에지부
1500: 기판 1510: 기판 첨단
1530: 제 1면 1550: 제 2면
1600: 커팅 에지 1720: 최종 첨단
1730: 제 1패싯 1750: 제 2패싯
1770: 제 3패싯 1790: 제 4패싯
S: 분할선 W: 웨지선
W1: 제 1웨지 W2: 제 2웨지

Claims (17)

  1. 커팅 에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커팅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를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기판 첨단, 상기 기판 첨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면 및 상기 기판 첨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면을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적층되어 상기 커팅 에지를 형성하고, 상기 커팅 에지의 첨단을 형성하는 최종 첨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 1패싯, 상기 최종 첨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 2패싯, 상기 제 1패싯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3패싯 및 상기 제 2패싯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4패싯을 형성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패싯 및 상기 제 3패싯은 면도 시 피부와 마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패싯 및 상기 제 4패싯은 면도 시 피부와 이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패싯과 상기 제 4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3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1웨지와 상기 최종 첨단을 분할하는 분할선 사이의 거리에 대해 ±20% 이내의 편차를 가지고 더 길거나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패싯과 상기 제 4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3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1웨지와 상기 최종 첨단을 분할하는 분할선 사이의 거리에 대해 -15% ~ -20%의 편차를 가지고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3. 제 1항에 있어서,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3패싯의 경계에 형성되는 제 1웨지와 상기 최종 첨단을 분할하는 분할선 사이의 거리에 대해 +15% ~ +20%의 편차를 가지고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은 상기 최종 첨단과 상기 기판 첨단을 연결하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선은 상기 최종 첨단으로부터 1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상기 블레이드의 제 1중심점과, 상기 최종 첨단으로부터 5 마이크로미터 이격된 상기 블레이드의 제 2중심점을 연결하는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분할선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첨단에서 상기 분할선과 상기 제 1패싯 사이의 각도는 30도 내지 70도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3패싯 사이의 각도는 100도 내지 170도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분할선 까지의 거리는 0.2 마이크로미터 내지 0.4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제 2웨지를 연결하는 웨지선과 상기 분할선의 교점과, 상기 최종 첨단 사이의 거리는 0.1 마이크로미터 내지 0.6 마이크로미터 사이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제 2웨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판 첨단보다 상기 최종 첨단에 더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지와 상기 제 2웨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최종 첨단으로부터 상기 기판 첨단보다 더 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웨지는 상기 제 2웨지보다 상기 최종 첨단에 더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웨지는 상기 제 1웨지보다 상기 최종 첨단에 더 근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싯과 상기 제 2패싯은 상기 분할선을 기준으로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분할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KR1020230067884A 2022-06-17 2023-05-25 면도기 카트리지 KR20230173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336,307 US20230405857A1 (en) 2022-06-17 2023-06-16 Razor cartridge
EP23179746.5A EP4292783A1 (en) 2022-06-17 2023-06-16 Razor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4329 2022-06-17
KR1020220074329 2022-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586A true KR20230173586A (ko) 2023-12-27

Family

ID=89378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884A KR20230173586A (ko) 2022-06-17 2023-05-25 면도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5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0126B1 (en) Multi-blade razor head with improved performance
AU2005222582B8 (en) Shaving razor with additional trimming blade
US7047646B2 (en) Wet shaving cartridge with four blade edges
EP2272639B1 (en) Razor cartridge with inter-blade guard
US20060123640A1 (en) Personal shaving razor
US11400610B2 (en) Skin adapter
EP1345739B1 (en) Shaving head and shaver provided with such a shaving head
US20210031390A1 (en) Razors and razor cartridges
US20230364818A1 (en) Razor blade having an asymmetrical edge
KR20230173586A (ko) 면도기 카트리지
EP4292783A1 (en) Razor cartridge
KR20230173587A (ko) 면도기 카트리지
US20230405856A1 (en) Razor cartridge
KR20230173582A (ko) 면도기 카트리지
WO2007043735A1 (en) Razors having a convex razor blade
WO1996032232A1 (en) Multi-directional dynamic shaving system
WO1992006826A1 (en) Double-curved razor blade
KR200166341Y1 (ko) 경사진면도날을갖는면도기
EP4324608A1 (en) Razor blade
KR20220056102A (ko) 비대칭 면도날
EP4306274A1 (en) Razor blade and razor cartridge including the same
US20240051164A1 (en) Razor cartridge
JP2003111985A (ja) かみそり
JPH0436793Y2 (ko)
KR20240008271A (ko) 면도기 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