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084A -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 Google Patents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084A
KR20230173084A KR1020237030857A KR20237030857A KR20230173084A KR 20230173084 A KR20230173084 A KR 20230173084A KR 1020237030857 A KR1020237030857 A KR 1020237030857A KR 20237030857 A KR20237030857 A KR 20237030857A KR 20230173084 A KR20230173084 A KR 20230173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track
support beam
motor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맥스 쏘렌
비외른 헬홀름
필립 코츠
Original Assignee
배 시스템즈 해그그룬스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 시스템즈 해그그룬스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배 시스템즈 해그그룬스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23017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44Moulded in one piece, with either smooth surfaces or surfaces having projections, e.g. incorporating reinfor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25Fina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43Transmission unit disposed in on near the vehicle wheel, or between the differential gear unit and th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46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moving together with the vehicle body, i.e. moving independently from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61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parallel to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2007/0092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axle being coaxial to the wheel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15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25Final drives
    • B62D55/13Final drives readily interchangeable mod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 차량(V)용 궤도 조립체(T1, T2)에 관한 것이다. 상기 궤도 조립체는 로드 휠들(RW), 구동 휠 부재(DW) 및 구동 휠 부재 작동을 위한 구동 장치(D)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궤도 지지 빔(10)과 상기 로드 휠들(RW) 및 구동 휠 부재 부재(DW) 주위에 배치된 무한 궤도(E)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장치(100), 상기 모터 장치(100)로부터 상기 구동 휠 부재(DW)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장치(200) 및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의 중심축(Z)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베어링 구성(20)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상기 구동 휠 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구동 장치(D)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구성(20)에 대한 베어링들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본 발명은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궤도 조립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에 관한 것이다.
궤도 차량은 한 쌍의 궤도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한 쌍의 궤도 조립체의 각 궤도 조립체는 궤도 지지 빔, 구동 휠 부재, 복수의 로드 휠 및 구동 휠 부재 및 복수의 로드 휠 위를 주행하는 무한 궤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로드 휠은 상기 궤도 지지 빔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궤도 차량의 구동 장치의 구동 유닛은 궤도 차량을 추진하기 위해 상기 무한 궤도를 구동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구동 휠 부재를 구동 및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WO2018222105A1은 궤도 조립체 쌍, 및 상기 궤도 조립체 쌍에 의해 현가식으로 지지되는 차체를 갖는 궤도식 차량을 개시한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는 복수의 로드 휠, 구동 휠 및 상기 구동 휠을 작동하기 위한 모터가 있는 구동 장치를 지지하는 궤도 지지 빔 및 상기 휠들 주위에 배치된 무한 궤도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는, 모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궤도 조립체의 주 연장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구동 휠의 주변부 내에 수용되도록 구동 휠에 대하여 배치된다. 모터의 고정자는 구동 휠과 모터를 지지하도록 배열된 포크 구성의 형태로 패스닝 장치를 통해 상기 궤도 지지 빔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구동 휠은 상기 모터의 회전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에 대한 개선 사항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궤도 조립체에 의해 구동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쉽고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하는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를 제공하여, 궤도 차량에 이용될 때 높은 작동 신뢰성 및 효율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궤도 조립체가 있는 궤도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이러한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첨부된 독립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및 궤도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궤도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종속항들에 정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궤도 조립체는 상기 차량의 차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궤도 조립체는 복수의 로드 휠, 구동 휠 부재 및 구동 휠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궤도 지지 빔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 부재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드 휠들 및 구동 휠 부재 부재 주위에 무한 궤도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 휠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장치, 상기 모터 장치로부터 상기 구동 휠 부재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장치 및 상기 구동 휠 부재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구동 휠 부재의 중심축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궤도 지지 빔에 베어링 구성이 배치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궤도 지지 빔에 대한 상기 구동 휠 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구동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구성에 대한 베어링들에 저널링(journaling)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궤도 조립체는 상기 궤도 지지 빔에 배치된 베어링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베어링 구성의 베어링들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베어링 구성에 의해 상기 궤도 지지 빔에 있는 베어링들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궤도 지지 빔에 배치된 상기 베어링 구성에 의해 현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궤도 지지 빔에 배치된 상기 베어링 구성은 상기 구동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궤도 지지 빔은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구성은 상기 구동 휠 부재의 상기 회전 및 지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관통홀은 궤도 지지 빔의 전방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궤도 지지 빔의 상기 전방부는 상기 베어링 구성을 위한 베어링 하우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의 드라이브 액슬이 본질적으로 구동 휠 부재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궤도 지지 빔에서 상기 베어링 구성에 의해 구동 장치가 지지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궤도 조립체에 의해 효율적이고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구동 유닛이 제공될 수 있으며, 궤도 차량에서 사용될 때 높은 작동 신뢰성 및 효율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기존의 궤도 조립체에 쉽고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 구동 휠 부재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궤도 지지 빔은 상기 궤도 조립체가 상기 차체에 연결될 때 상기 차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면 및 상기 차체를 향하도록 구성된 반대쪽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구동 휠 부재는 상기 궤도 지지 빔의 외측면에 대하여 배치된 외측 구동 휠 및 상기 궤도 지지 빔의 내측면에 대하여 배치된 내측 구동 휠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구성은 상기 외측 구동 휠과 내측 구동 휠 사이 중앙의, 상기 궤도 지지 빔의 관통홀에 배치된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기존 구동 휠 부재들이 상기 구동 장치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궤도 지지 빔은, 상기 궤도 조립체가 상기 차체에 연결될 때, 차량의 횡방향으로, 그리고 그것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반대쪽 궤도 조립체가 상기 차체에 연결될 때 반대쪽 궤도 조립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멀어지게 향하는 외측면과, 차량의 횡방향으로, 그리고 그것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헤 횡방향으로, 반대쪽 궤도 조립체를 향해 안쪽으로 향하는 반대쪽 내측면을 갖는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궤도 지지 빔의 외측면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는 상기 궤도 지지 빔의 내측면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 장치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가 상기 모터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에 대해 내부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장치 및 관련 부품과 같은 필수 부품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동 장치가 용이해진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를 지지 연결하도록 구성된 중앙 지지 바를 포함한다. 이로써 쉬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 이로써 쉬운 축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기존 구동 휠 부재들이 상기 구동 장치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는 상기 구동 휠 부재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쉬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쉬운 축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기존 구동 휠 부재들이 구동 장치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는 드라이브 액슬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 부재는 상기 드라이브 액슬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는 상기 모터 장치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액슬을 통해 상기 구동 휠 부재로 상기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궤도 지지 빔에 대한 상기 구동 휠 부재의 상기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구동 장치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이 상기 베어링 구성에 대한 베어링들에 저널링되도록 상기 구동 장치의 베어링의 저널링이 제공된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는데, 전체 구동 장치가 상기 드라이브 액슬을 통해 베어링에 지지되고 저널링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은 상기 베어링 구성의 베어링들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은 상기 베어링 구성에 의해 상기 궤도 지지 빔의 베어링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쉬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 이로써 쉬운 축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작동을 위해 기존 구동 휠 부재들이 구동 장치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액슬은 상기 궤도 지지 빔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구동 유닛의 트랜스미션 장치 내로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내측부를 가지며, 상기 드라이브 액슬을 통해 연장되는 상기 중앙 지지 바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쉬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의 단부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에 상기 단부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구동 유닛과 브레이크 장치의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의 상기 단부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액슬로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의 기어 캐리어의 일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 지지 바는 기어 캐리어의 일부분과 함께 따라서 드라이브 액슬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기어 캐리어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단부는 나사 결합 구성에 의해 상기 기어 캐리어의 상기 일부분에 패스닝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의 상기 단부는 상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기어 캐리어의 상기 일부분의 나사산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 조인트 부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액슬은 상기 베어링 구성에 대하여 상기 궤도 지지 빔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측 구동 휠은 상기 궤도 지지 빔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구동 휠은 상기 궤도 지지 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라이브 액슬의 상기 외측부는 상기 궤도 지지 빔의 외측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드라이브 액슬의 상기 내측부는 상기 궤도 지지 빔의 내측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는데, 전체 구동 장치가 상기 궤도 지지 빔을 통해 연장되는 상기 드라이브 액슬을 통해 베어링에 지지 및 저널링된다. 이로써 기본적으로 기존의 구동 휠의 활용이 용이해진다. 구동 휠들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스플라인 연결부(splines connection)를 통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는 상기 궤도 지지 빔에 대한 상기 구동 장치의 조립과 상기 궤도 지지 빔으로부터 상기 구동 장치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외측 단부에 대하여 배치되는 패스닝 부재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구동 장치의 쉬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의 상기 모터 장치 및 트랜스미션 장치는 구동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드라이브 액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액슬의 외측부에 대하여 베어링들에 피벗 가능하게 저널링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회전을 본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토크 아암을 포함한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구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구동 및/또는 주차와 관련된 제동 기능과 관련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효율적인 기능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하우징 구성에 대한 상기 드라이브 액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액슬의 내측부에 대하여 베어링들에 피벗 가능하게 저널링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 유닛의 상기 하우징 구성의 회전을 본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토크 아암을 포함한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컴팩트한 구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구동 유닛, 즉 모터 장치 및 트랜스미션 장치의 효율적인 기능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무한 궤도의 종방향 및 횡방향에 본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무한 궤도의 주변부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축 방향으로 컴팩트한 브레이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궤도 조립체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 장치는 모터 하우징 및 상기 구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는 전기식 모터 또는 유압식 모터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의 모터 하우징에 고정 연결되도록 구성된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에 대한 모터 액슬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액슬은 상기 드라이브 액슬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효율적인 작동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의 청구항들 중 하나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궤도 조립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궤도 차량은 좌측 궤도 조립체, 우측 궤도 조립체 및 차체를 포함하고, 상기 궤도 조립체는 현가 장치에 의해 상기 차체에 현가식으로(suspendedly) 배치된다.
상기 궤도 차량은 하나 이상의 궤도 차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궤도 차량은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보다 많은 궤도 차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유닛들은 서로 굴절식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궤도 차량은 제1 차량 유닛과 굴절 조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차량 유닛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차량 유닛을 포함하는 굴절식 궤도 차량이며, 상기 차량 유닛 각각은 차체 및 각각의 차체에 현가식으로 연결된 궤도 조립체 쌍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는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문자는 여러 관점에서 유사한 부분을 지칭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조립체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굴절식 궤도 차량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궤도 조립체들이 있는 궤도 차량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의 한 쌍의 궤도 조립체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b는 도 3a의 궤도 조립체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조립체를 위한 구동 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조립체의 궤도 지지 빔에 연결되고 구동 휠 부재가 구비되는 도 4a의 구동 장치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b의 궤도 지지 빔의 전방부와 상기 구동 장치의 드라이브 액슬의 일부분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조립체의 궤도 지지 빔에 연결되고 구동 휠 부재가 구비되는 구동 장치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조립체의 궤도 지지 빔에 연결되고 구동 휠 부재가 구비되는, 도 5의 구동 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구동 장치의 구동 유닛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구동 장치의 브레이크 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조립체의 궤도 지지 빔의 전방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방부 내에 배치된 베어링 구성이 있는 도 9a의 궤도 지지 빔의 전방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어링 구성의 베어링들에 저널링된 드라이브 액슬의 일부분의 단면과 함께 궤도 지지 빔의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 내에 배치된 베어링 구성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a의 궤도 지지 빔의 전방부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궤도 지지 빔"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면-맞물림 수단, 예를 들어 무한 궤도 뿐만 아니라 구동휠 부재와 로드 휠들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구조적 요소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궤도 조립체"라는 용어는 궤도 지지 빔, 구동 휠 부재 및 로드 휠들 뿐만 아니라 주변의 무한 궤도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의 유닛을 의미하며, 이 유닛은 지면-맞물림 수단을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차량을 추진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궤도 차량의 구동 구성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이하에서 "궤도 조립체 쌍"이라는 용어는 차량의 차량 유닛의 마주보는 궤도 조립체들을 의미하며, 하나의 궤도 조립체는 우측 궤도 조립체를 구성하고 반대쪽 궤도 조립체는 좌측 궤도 조립체를 구성한다.
이하에서 "굴절식 차량"이라는 용어는 적어도 전방 및 후방 차량 유닛이 있는 차량을 의미하는데, 이들 차량 유닛들은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이하에서 "차체"라는 용어는 궤도 차량의 궤도 조립체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차량의 임의의 구조물을 의미하며 차량 샤시를 포함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차체"라는 용어는 차량 프레임, 하나 이상의 빔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차체"라는 용어는 차량의 섀시 및 바디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중심축"이라는 용어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구동 휠 부재를 언급할 때, 궤도 조립체의 구동 휠 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축을 의미하고, 따라서 상기 궤도 조립체의 무한 궤도의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에 수직인 축을 의미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V)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궤도 차량(V)은 차체(B)를 포함하며, 이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차량(V)의 섀시 및 바디워크를 포함한다.
궤도 차량(V)은 차량(V)을 구동하기 위한 좌측 궤도 조립체(T1) 및 우측 궤도 조립체를 포함하는데, 도 1a에는 좌측 궤도 조립체(T1)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는 구동 휠 부재(DW), 텐션 휠(TW), 로드 휠 세트(RW) 및 상기 휠들 위를 주행하도록 배치된 무한 궤도(E)를 포함한다. 무한 궤도(E)는 따라서 상기 휠들 주위에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구동 휠 부재(DW)는 전방에 배치되고, 텐션 휠(TW)은 후방에 배치되며 로드 휠들(RW)은 구동 휠 부재(DW)와 텐션 휠(TW)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개시에 따른 궤도 차량은 구동 휠 부재, 텐션 휠 및 로드 휠들의 임의의 적절한 배치 구조를 갖는 궤도 조립체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텐션 휠이 전방에 배치되고, 구동 휠 부재가 후방에 배치되고 로드 휠들은 이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의 무한 궤도(E)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에 의해 구동, 따라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궤도 차량(V)의 각각의 궤도 조립체(T1)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작동, 따라서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D)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D)는 구동 휠 부재(DW)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 차량(V1)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궤도 차량(V1)은 제1 차량 유닛(V1a)과, 굴절 조인트(Y)를 통해 제1 차량 유닛(V1a)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차량 유닛(V1b)을 포함하는 굴절식 궤도 차량(V1)이다. 상기 차량 유닛(V1a, V1b) 각각은 차체(B)와, 상기 차체(B)에 현가식으로 연결된 궤도 조립체 쌍(T1)을 포함하고, 각각의 차량 유닛(V1a, V1b)의 좌측 궤도 조립체(T1)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는 구동 휠 부재(DW), 텐션 휠(TW), 로드 휠 세트(RW) 및 상기 휠들 위를 주행하도록 배열된 무한 궤도(E)를 포함한다. 무한 궤도(E)는 따라서 상기 휠들 주위에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구동 휠 부재(DW)는 전방에 배치되고, 텐션 휠(TW)은 후방에 배치되며 로드 휠들(RW)은 구동 휠 부재(DW)와 텐션 휠(TW)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궤도 차량(V1)의 각각의 차량 유닛들(V1a, V1b)의 각각의 궤도 조립체의 무한 궤도(E)는 구동 휠 부재(DW)에 의해 구동, 따라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궤도 차량(V1)의 차량 유닛들(V1a, V1b)의 각각의 궤도 조립체(T1)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작동, 따라서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D)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D)는 구동 휠 부재(DW)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궤도 차량 V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a는 궤도 차량의 궤도 조립체 쌍(T1, T2)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의 좌측 궤도 조립체(T1)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궤도 차량(V)은 좌측 궤도 조립체(T1), 우측 궤도 조립체(T2) 및 차체(B)를 포함한다. 좌측 및 우측 궤도 조립체(T1, T2)는 궤도 조립체 쌍(T1, T2)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궤도 차량(V)은 상기 차량 본체(B)와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 사이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상기 차체(B)를 현가식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궤도 조립체(T1, T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는, 차체(B)에 조립될 때, 차량(V)의 종방향 연장부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 종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 궤도 조립체들(T1, T2)은 현가 장치(S1, S2)에 의해 상기 차체에 현가식으로 배치된다(예를 들어, 도 3a 참조). 본 개시에 따른 현가 장치는 상기 차체를 현가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현가 장치일 수 있다.
상기 궤도 조립체 쌍(T1, T2)의 좌측 및 우측 궤도 조립체(T1, T2)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로드 휠(도 2에는 미도시), 구동 휠 부재(DW) 및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D)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궤도 지지 빔(10)을 포함한다. 좌측 궤도 조립체(T1)는 복수의 로드 휠, 구동 휠 부재(DW) 및 구동 장치(D)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궤도 지지 빔(10)을 포함한다. 우측 궤도 조립체(T2)는 복수의 로드 휠, 구동 휠 부재(DW) 및 구동 장치(D)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궤도 지지 빔(10)을 포함한다. 상기 궤도 조립체 쌍(T1, T2)의 좌측 및 우측 궤도 조립체(T1, T2)는 상기 로드 휠과 구동 휠 부재(DW) 주위에 배치되는 무한 궤도(E)를 포함한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의 궤도 지지 빔(10)은, 궤도 조립체가 차체(B)에 조립될 때, 차량(V)의 종방향 연장부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된 종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 장치(S1, S2)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 구성을 갖는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S1, S2)는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현가 장치(S1, S2)는 좌측 궤도 조립체(T1)와 우측 궤도 조립체(T2) 사이의 상기 차량의 전방부에서 궤도 차량(V)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방 리프 스프링 요소(S1)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리프 스프링 요소(S1)는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의 궤도 지지 빔(10)에 대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궤도 조립체(T1, T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방 리프 스프링 요소(S1)는 제1 단부에서 좌측 궤도 조립체(T1)의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되고 반대쪽 제2 단부에서 우측 궤도 조립체의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된다. 전방 리프 스프링 요소(S1)의 제1 단부는 좌측 궤도 조립체(T1)의 구동 장치(D) 및 구동 휠 부재에 대하여 좌측 궤도 조립체(T1)의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 부분에 연결된다. 전방 리프 스프링 요소(S1)의 제2 단부는 상기 우측 궤도 조립체(T1)의 구동 장치 및 구동 휠 부재에 대하여 우측 궤도 조립체(T2)의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 부분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전방 리프 스프링 요소(S1)는 차체의 각 측면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2중 벤딩 부분과 차체 아래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된 아래 부분을 갖는 2중 벤딩 부분/전이부를 갖는 U자형 구성(S1A)을 가지며, 차체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방 리프 스프링 요소(S1)는 제1 벤딩 부분에 대하여 배치된 제1 부착 부재(S1-1) 및 U자형 구성(S1A)의 반대쪽 제2 벤딩 부분에 대하여 배치된 제2 부착 부재(S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착 부재(S1-1) 및 제2 부착 부재(S1-2)는 상기 차체에 대한 부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도 3a에 도시되지 않음). U자형 구성(S1A)은 차체의 각 측면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좌측 및 우측 궤도 조립체(T1, T2)의 궤도 지지 빔(10)에 부착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현가 장치(S1, S2)는 좌측 궤도 조립체(T1)와 우측 궤도 조립체(T2) 사이의 상기 차량의 전방부에서 궤도 차량(V)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후방 리프 스프링 요소(S2)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리프 스프링 요소(S2)는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의 궤도 지지 빔(10)에 대하여 좌측 및 우측 궤도 조립체(T1, T2) 사이에 배치된다. 후방 리프 스프링 요소(S2)는 제1 단부에서 좌측 궤도 조립체(T1)의 궤도 지지 빔(10)의 후방 부분에 연결되고 반대쪽 제2 단부에서 우측 궤도 조립체의 궤도 지지 빔(10)의 후방 부분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후방 리프 스프링 요소(S2)는 차체의 각 측면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2중 벤딩 부분과 차체 아래에서 연장되도록 배치된 아래 부분을 갖는 2중 벤딩 부분/전이부를 갖는 U자형 구성(S2A)을 가지며, 차체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후방 리프 스프링 요소(S2)는 제1 벤딩 부분에 대하여 배치된 제1 부착 부재(S2-1) 및 U자형 구성(S2A)의 반대쪽 제2 벤딩 부분에 대하여 배치된 제2 부착 부재(S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착 부재(S2-1) 및 제2 부착 부재(S2-2)는 상기 차체에 대한 부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도 3a에 도시되지 않음). U자형 구성(S2A)은 차체의 각 측면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좌측 및 우측 궤도 조립체(T1, T2)의 궤도 지지 빔(10)에 부착된다.
도시되지 않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현가 장치는 차량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된 부분들을 갖는 리프 스프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리프 스프링 장치는 L자형 리프 스프링 부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리프 스프링 부재는 차체에 부착되는 제1 부분, 궤도 지지 빔에 부착되는 제2 부분 및 이들 사이의 전이 부분을 가지며, 압축 응력 및 인장 응력이 상기 전이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 휠 부재(DW)는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의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의 상기 중심축(Z)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의 구동 장치(D)는 상기 무한 궤도의 종방향에 본질적으로 직교하고 상기 무한 궤도(E)의 횡방향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주 연장 방향을 갖는다.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의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장치(100), 상기 모터 장치(100)로부터 상기 구동 휠 부재(DW)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장치(200) 및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장치(100)는 전기식 모터 또는 유압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치(100)는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의 구동 장치(D)는 각각의 궤도 조립체(T1, T2)의 구동 장치(D)를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를 제공하기 위한 파워 공급 장치(40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파워 공급 장치(400)는 구동 장치(D)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한, 즉 상기 구동 장치(D)의 모터 장치(100)에 파워를 공급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파워 공급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파워 공급 장치(400)는 내연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내연기관은 디젤 엔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대안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파워 공급 장치(400)는 배터리 공급 장치 및/또는 연료 전지 장치, 예를 들어 수소 연료 전지와 같은 에너지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파워 공급 장치(400)는 고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너레이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동 장치(D)를 제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는 제너레이터 유닛으로부터 고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구동 장치(D)의 상기 모터 장치(100)를 위한 구동 전압, 즉 교류 전압으로 상기 고전압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파워 공급 장치(400)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파워, 즉 전압을 예를 들어 각각의 구동 장치(D)에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D.C. 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 유닛 및 후방 차량 유닛을 갖는 굴절식 궤도 차량 형태의 궤도 차량의 경우, 이러한 파워 공급 장치(400)는 전방 차량 유닛 또는 후방 차량 유닛, 또는 전방 차량 유닛과 후방 차량 유닛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a는 상기 구동 장치(D)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구동 장치(D)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베어링에서 저널링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5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작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베어링들에 저널링된 상기 구동 장치(D)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상기 구동 휠 부재(DW)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구동 장치(D)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베어링들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은 궤도 조립체가 상기 차체(B)에 연결될 때 차체(B)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면(10a) 및 상기 차체 쪽을 향하도록 구성된 반대쪽 내측면(10b)을 갖는다. 여기서, 궤도 조립체가 상기 차체(B)에 연결될 때 차체(B)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면(10a) 및 상기 차체 쪽을 향하도록 구성된 반대쪽 내측면(10b)을 갖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을 지칭할 때, 이는 우측 및 좌측 궤도 조립체, 따라서 우측 및 좌측 구동 휠 부재 사이에 배치된, 차체(B), 예를 들어 차량 샤시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궤도 지지 빔(10)은 차량(V)의 횡방향으로, 그리고 그것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반대쪽 궤도 조립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멀어지게 향하는 외측면(10a)과, 차량(V)의 횡방향으로, 그리고 그것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반대쪽 궤도 조립체를 향해 안쪽으로 향하는 내측면(10b)을 갖는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차량(V)의 좌측 궤도 조립체(T1)의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은 궤도 차량(V)의 우측 궤도 조립체(T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차량(V)의 우측 궤도 조립체(T2)의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은 궤도 차량(V)의 좌측 궤도 조립체(T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차량(V)의 좌측 궤도 조립체(T1)의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은 궤도 차량(V)의 우측 궤도 조립체(T2)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차량(V)의 우측 궤도 조립체(T2)의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은 궤도 차량(V)의 좌측 궤도 조립체(T1)를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휠 부재(DW)는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에 대하여 배치된 외측 구동 휠(DW1) 및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에 대하여 배치된 내측 구동 휠(DW2)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구동 장치(D)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단면은 축 방향, 즉 축 Z 방향이다.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베어링에 저널링된다.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 액슬(4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휠 부재(DW)는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휠 부재(DW)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스플라인 연결부(splines connection)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구동 장치(D)를 위한 궤도 조립체는 상기 구동 장치(D)의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배치된 베어링 구성(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베어링 구성(20)과 결부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궤도 지지 빔(10)은 상기 베어링 구성(20)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전방부(12)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는 관통홀(H)을 갖는다. 상기 관통홀(H)의 중심은 구동 장치(D) 및 구동 휠 부재(DW)가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될 때 중심축(Z)에 대응할 것이다.
각각의 구동 장치(D)를 위한 상기 궤도 조립체는 따라서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배치된 베어링 구성(2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베어링 구성의 베어링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베어링 구성(20)에 의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베어링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배치된 상기 베어링 구성(20)에 의해 현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배치된 상기 베어링 구성(20)은 상기 구동 장치(D)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구성(20)은 상기 구동 휠 부재(D)의 회전 및 지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관통홀(H)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9a는 상기 궤도 조립체의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9b는 상기 전방부 내에 배열된 베어링 구성이 있는 도 9a의 궤도 지지 빔의 전방부의 단면도이며, 도 9c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상기 베어링 구성의 베어링들에 저널링된 상기 드라이브 액슬(20)의 일부분과 함께,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와 상기 전방부(12) 내에 배열된 베어링 구성(20)의 단면도이다. 도 9d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도 9a의 궤도 지지 빔의 전방부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베어링 구성(20)은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의 상기 관통홀(H)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구성(20)은 테이퍼형 롤러 베어링 장치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구성(20)은 제1 롤러 베어링(22) 및 반대쪽 제2 롤러 베어링(24)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제1 롤러 베어링(22) 및 제2 롤러 베어링(24)은 상기 구동 장치(D)의 용이한 티핑 토크(tipping torque)를 최적화하기 위해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의 상기 관통홀(H) 내에 서로에 대하여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 베어링(22) 및 제2 롤러 베어링(24)은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의 상기 관통홀(H) 내에서 서로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베어링 구성(20)의 상기 롤러 베어링들(22, 24)에 소정의 프리텐션(pre-tension)이 있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테이퍼형 롤러 베어링 장치는 상기 제1 롤러 베어링(22) 및 반대쪽 제2 롤러 베어링(24)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9a-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은 상기 베어링 구성(20)을 위한 베어링 하우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베어링 하우징(12)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2)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통합 부분이거나 예를 들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잔류 부분에 부착, 예를 들어 용접될 수 있다. 로드 휠들(RW) 및 텐션 휠(TW)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상기 잔류 부분은, 도 3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로드 및 텐션 휠 부분(14)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어링 하우징(12)은 구동 휠 부재(DW)가 여기에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중심축(Z)에 대응하는 중심축이 있는 원통형 구성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어링 하우징(12)은 상기 궤도 조립체가 궤도 차량의 차체에 조립될 때 횡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향하는 외측면(12o)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어링 하우징(12)은 상기 관통홀(H)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외측면(12o)에 대향하는 내측면(12i)을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외측면(12o)은 반경 방향 외측면(12o)이고, 상기 내측면(12i)은 반경 방향 내측면(12i)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어링 하우징(12)은 관통홀(H)의 개구의 외측면에 대한 축방향 외측면(12a)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외측면(12a)은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와 동일한 방향, 즉 차체(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어링 하우징(12)은 관통홀(H)의 개구의 내측면에 대한 축방향 내측면(12b)을 가지며, 상기 축방향 측면(12a)은 축방향 외측면(12a)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과 동일한 방향, 즉 차체(B)를 향한다.
상기 베어링 구성(20)은 도 9b 및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하우징(12)의 상기 내측면(12i)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 하우징(12), 즉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상기 전방부(12)는 상기 베어링 구성(20)을 위한 윤활유를 수용하기 위한 윤활유 수용 부재(12L)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D)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베어링 구성(20)에 대하여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의 상기 관통홀(H)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D)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상기 구동 휠 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구동 장치(D)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구성(20)의 베어링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드라이브 액슬(40)은 스플라인 연결부에 의해 베어링 구성(2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구동 장치(D)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의 상기 관통홀(H)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드라이브 액슬(40)의 일부분(40a)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외측 구동 휠(DW1)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40)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
구동 장치(D)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의 상기 관통홀(H)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드라이브 액슬(40)의 일부분(40b)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에 대하여 상기 관통홀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내측 구동 휠(DW2)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40)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관통홀(H)을 통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전방부(12) 내의 베어링에 상기 저널링을 위해 상기 베어링 구성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중앙부(40c)가 있는 횡방향 연장부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부(40c)을 갖는 상기 횡방향 연장부를 갖는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궤도 지지 빔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 내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외측 연장부(40a)를 갖는다. 상기 중앙부(40c)을 갖는 상기 횡방향 연장부를 갖는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궤도 지지 빔으로부터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 내로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내측 연장부(40b)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의 상기 내측 연장부(40b)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로부터의 토크가 상기 드라이브 액슬(40)로 전달되도록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대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구성(20)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관통홀(H)에, 상기 외측 구동 휠(DW1)과 내측 구동 휠(DW2) 사이의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외측 구동 휠(DW1) 및 내측 구동 휠(DW2)은 서로로부터 축(Z)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며, 상기 궤도 지지 빔의 상기 전방부(12)는, 상기 관통홀(H)이 상기 축(Z)과 동축으로 상기 외측 구동 휠(DW1)과 내측 구동 휠(DW2)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측 구동 휠(DW1)과 내측 구동 휠(DW2) 사이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상기 외측부(12)의 상기 관통홀(H)에서 상기 외측 구동 휠(DW1)과 내측 구동 휠(DW2) 사이에서 지지된다. 상기 구동 장치(D)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상기 외측부(12)의 상기 관통홀(H)에서 상기 외측 구동 휠(DW1)과 내측 구동 휠(DW2) 사이에서 지지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베어링 구성(20)으로 상기 구동 장치(D)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상기 외측부(12)의 상기 관통홀(H)에서 상기 외측 구동 휠(DW1)과 내측 구동 휠(DW2) 사이에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 구성(20)은 상기 외측 구동 휠(DW1)과 내측 구동 휠(DW2) 사이의 중앙에서, 상기 궤도 지지빔(10)의 상기 관통홀(H) 내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장치(100)와, 상기 모터 장치(100)로부터 상기 구동 휠 부재(DW)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장치(200)와, 구동 휠 부재(DW)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30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 장치(100)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가 모터 장치(100)와 브레이크 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대해 내부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 장치(100)는 전기식 모터 또는 유압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치(100)는 상기 모터 장치(100)와 관련된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 장치(100)는 상기 구동을 위한 모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100)의 상기 모터 하우징(1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고정자(120a)와, 상기 고정자(120a)에 대한 모터 액슬(140)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회전자(120b)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모터 장치(100)를 위한, 즉 상기 모터(120)의 회전자(120a), 따라서 상기 모터 액슬(140)을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를 제공하도록 파워 공급 장치, 예를 들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파워 공급 장치(400)가 구성될 수 있다.
모터 장치는 상기 모터 액슬(140)의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모터 장치(100)의 상기 모터 하우징(110)에 배치된 베어링 구성(B100)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구성(B100)은 딥 그루브 볼 베어링 장치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모터 액슬(140)은, 모터 액슬(140)이 모터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스플라인 연결부에 의해 베어링 구성(B1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모터 액슬(140)은, 상기 모터 액슬(140)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액슬(40)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와 관련된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유닛(M)은 토크 아암(220)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5 참조). 상기 구동 유닛(M)의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토크 아암(220)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5 참조). 상기 구동 장치(D)의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토크 아암(220)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도 5 참조).
상기 토크 아암(220)은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의 회전에 대하여 토크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크 아암(220)은 상기 중심축(Z)을 중심으로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의 회전을 본질적으로 방지하도록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크 아암(220)은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에 부착되거나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크 아암(220)은 상기 중심축(Z)을 중심으로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의 회전을 본질적으로 방지하도록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크 아암(220)은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토크 아암(220)이, 토크 아암(220)의 티핑 토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구동 휠 부재(DW)의 베어링들에서 저널링의 중심에 대하여 궤도 지지 빔(10)에 작용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토크 아암(220)은, 상기 구동 유닛(M), 따라서 트랜스미션 장치(200)가 상기 궤도 조립체에 조립될 때, 궤도 차량의 후방 방향을 향하는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토크 아암(22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을 따라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예를 들어, 도 5 및 도 9 참조).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기어 장치(26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 장치(260)는 궤도 조립체를 구동하기 위해, 따라서 상기 궤도 조립체를 갖는 궤도 차량을 구동하기 위해 모터 장치(100)로부터 상기 구동 휠 부재(DW)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기어 장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어 장치(260)는 플래너터리 기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모터 액슬(140)은, 상기 모터 액슬(140)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액슬(40)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의 상기 기어 장치(26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의 상기 기어 장치(260)는, 상기 기어 장치(260)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액슬(40)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기어 장치(260)는 제1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2)은 모터 장치(100)로부터의 토크 전달과 관련하여 높은 기어 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고/저 플래너터리 기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기어 장치(260)는 제2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4)은 제1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2)으로부터 구동 휠 부재(DW)로 토크를 전달하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구동 휠 부재의 기어 변경을 제공하기 위한 플래너터리 기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2)은 모터(100)로부터의 속도 변화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2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4)에 토크를 전달하는 것과 관련된 높은 기어 위치와, 상기 제2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4)에 토크를 전달하는 것과 관련하여 모터의 속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낮은 기어 위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상기 기어 장치(260)의 베어링을 제공하도록 배치된 베어링 구성(B260)을 포함한다(도 6 참조). 제1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2)은 제1 베어링 구성(B262)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어링 구성(B262)은 니들 롤러 베어링 장치이다. 제2 플래너터리 기어 구성(262)은 제2 베어링 구성(B264)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베어링 구성(B264)은 니들 롤러 베어링 장치이다(도 7 참조).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상기 기어 장치(260)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통해 상기 모터 장치(100)로부터 상기 구동 휠 부재(DW)로 상기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로부터 내측 구동 휠(DW2)을 통해, 상기 베어링 구성(20)과 관련하여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관통홀(H)을 통해, 상기 외측 구동 휠(DW1)을 통해 그리고 추가로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주요 부분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 장치(100) 및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구동 유닛(M)에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 (D)는 상기 모터 장치(100) 및 트랜스미션 장치(200)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M)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장치 (D)의 모터 장치(100) 및 트랜스미션 장치(200) 구동 유닛(M)을 제공한다. 구동 유닛(M)은 하우징 구성(M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구성(M10)은 상기 모터 하우징(110) 및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유닛(M)은, 상기 구동 유닛(M)의 상기 하우징 구성(M10)에 대한 드라이브 액슬(40)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액슬(40)의 일부분에 대하여 베어링에 피벗 가능하게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베어링 구성(B20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의 상기 일부분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유닛(M)의 베어링을 제공하기 위해, 여기에서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에 대하여, 상기 구동 유닛(M)의 상기 하우징 구성에 배치된 베어링 구성(B200)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구성(B200)은 테이퍼형 롤러 베어링 장치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이 상기 하우징 구성, 즉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스플라인 연결부에 의해 베어링 구성(B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장치(D) 내에 동축으로 배열된 중앙 지지 바(3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축 방향으로, 즉 상기 축 Z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종방향 연장부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와 브레이크 장치(300)를 지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구동 유닛(M)과 브레이크 장치(300)를 지지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심 지지 바(30)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의 중심축(Z)과 동축으로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와 브레이크 장치(300)의 상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구동 유닛(M)과 브레이크 장치(300)의 상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와 브레이크 장치(300)를 연결하기 위한 축방향 힘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구동 유닛(M)과 브레이크 장치(300)를 연결하기 위한 축방향 힘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제1 단부(42) 및 반대쪽 제2 단부(44)를 갖는다. 상기 제1 단부(42)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에 대하여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관통홀(H)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40)의 상기 부분(40a)의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단부(44)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에 대하여 궤도 지지 빔(10)의 관통홀(H)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40)의 상기 부분(40b)의 단부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드라이브 액슬(40)의 제1 단부(42)에서 돌출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32)와, 드라이브 액슬(40)의 제2 단부(44)에서 돌출하도록 구성된 반대쪽 제2 단부(34)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제2 단부(34)를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 및 브레이크 장치(300)의 상기 연결을 제공하도록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는, 상기 제2 단부(34)를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 및 브레이크 장치(300)의 상기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는 상기 제2 단부(34)를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상기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의 기어 캐리어의 일부분(264P)에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 및 브레이크 장치(300)의 상기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는 상기 기어 캐리어의 상기 일부분(264P)과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의 상기 기어 캐리어의 상기 일부분(264P)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대한 상기 중앙 지지 바의 상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기어 캐리어의 상기 부분(264P)의 나사산 개구(264T)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 결합 부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 따라서 상기 구동 유닛(M)의 상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조립동안,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는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나사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나사산 개구(264T)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는 나사 결합 구성에 의해 상기 기어 캐리어의 상기 부분(264P)에 패스닝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는 상기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기어 캐리어의 상기 부분(264P)의 나사산 개구(264T)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 결합 부재를 포함하거나 이에 의해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중앙 지지 바의 제2 단부는 나사산 개구일 수 있고 상기 기어 캐리어의 일부분은 상기 중앙 지지 바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나사 결합 부재 형상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중앙 지지 바(30)와 드라이브 액슬(40) 사이에 토크 전달이 없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튜브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중앙 지지 바(30)를 위한 관통홀을 제공하는, 튜브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드라이브 액슬(40)로의 상기 중앙 지지 바(30)를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중앙 지지 바(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튜브 구성을 갖는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중공형 브레이크 액슬(340)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중공형 브레이크 액슬(340)은 상기 중심축(Z)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 상기 중공형 브레이크 액슬(340)은 브레이크 액슬(340)이 드라이브 액슬(40)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드라이브 액슬(40)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공형 브레이크 액슬(340)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브레이크 액슬(340)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드라이브 액슬 주위에 스플라인 연결부에 의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동 장치 (D)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패스닝 장치(F)가 제공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F)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와 관련된 상기 구동 장치(D)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외측 단부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F)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와 브레이크 장치(30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대하여 상기 중앙 지지 바(30)를 축방향으로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스닝 장치(F)는 상기 구동 유닛(M)과 브레이크 장치(30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대하여 상기 중앙 지지 바(30)를 축방향으로 홀딩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스닝 장치(F)는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통해 배열될 때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부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1 패스닝 부재(F1)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제1 패스닝 부재에 의해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패스닝 부재(F1)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조인트 부재, 예를 들어 볼트 조인트 부재이며,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단부(32)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단부(32)는 상기 중공형 드라이브 액슬(40)의 단부(42)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제1 패스닝 부재(F1)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패스닝 부재(F1)는 상기 구동 장치(D)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상기 구동 장치(D)의 조립 및 상기 궤도 지지 빔(10)으로부터 상기 구동 장치(D)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외측 단부에 대하여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패스닝 부재(F1)는, 상기 중앙 지지 바(30)가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에 연결될 때, 상기 구동 장치(D), 즉 상기 구동 유닛(M) 및 브레이크 장치(300)의 연결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중앙 지지 바(30)에 대하여 장력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패스닝 부재(F1)는, 상기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가 상기 기어 장치(260)의 상기 부분(264P)과 상기 중앙 지지 바(30)의 상기 제2 단부(34) 사이에 나사 결합을 제공하는 나사 결합 장치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때, 베어링 구성(20)을 포함하는 상기 구동 장치(D)가 쉽고 효율적인 연결을 위해 함께 당겨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중앙 지지 바(30)에 대한 장력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스닝 장치(F)는 브레이크 장치(300)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2 패스닝 부재(F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패스닝 부재(F2)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으로부터 축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의 일부분(40a)의 단부에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패스닝 부재(F2)는 브레이크 액슬(340)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잠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브레이크 액슬(340)에 대하여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의 둘레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패스닝 장치(F)는 상기 제2 패스닝 부재(F2)에 대하여 상기 드라이브 액슬(40)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3 패스닝 부재(F3)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3 패스닝 부재(F3)는 상기 브레이크 액슬(340)의 단부와 상기 제2 패스닝 부재(F2) 사이에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패스닝 부재(F2)는 링 형상이고 그 둘레 주위에 분포된 잠금 리세스 세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3 패스닝 부재(F3)는 링 형상이고 그 둘레에 분포된 돌출 및 벤딩가능 잠금 요소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요소 세트의 잠금 요소들은, 상기 제2 패스닝 부재를 향해 벤딩될 때, 상기 제2 패스닝 부재(F2)의 리세스에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와 관련된 브레이크 부품을 위한 브레이크 하우징(310)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브레이크 부재들을 위한 인클로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10)을 포함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하우징(31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을 향하도록 구성된 제1 단부(316)와, 상기 궤도 지지 빔(10)으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구성된 반대쪽 제2 단부(318)을 갖는다.
상기 제2 단부(318)은 상기 궤도 조립체에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조립 및 상기 궤도 조립체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패스닝 장치(F)에 접근하기 위한 중앙 개구(O)를 갖는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개구(O)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요소(closure element)(330)를 포함한다. 상기 폐쇄 요소(330)는 상기 패스닝 장치(F)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방 위치와 상기 인클로저가 제공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40)의 외측부(40a)에 대하여 베어링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10)은,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가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연결될 때 드라이브 액슬(40)의 외측부(40a)에 대하여 베어링에 저널링이 제공되도록 브레이크 액슬(340)에 대한 베어링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브레이크 액슬(340)과 관련하여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10)의 베어링들에 상기 저널링을 제공하기 위해 베어링 구성(B300)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구성(B300)은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10)에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 구성(B300)은 제1 베어링 부재(B301)와, 상기 제1 베어링 부재(B301)로부터 축방향 거리에 배치된 제2 베어링 부재(B3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베어링 부재(B301) 및 제2 베어링 부재(B302) 중 하나에는 축방향으로 브레이크 하우징(310)을 홀딩하기 위한 플랜지 구성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베어링 부재(B301) 및 제2 베어링 부재(B30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브레이크 액슬(340)에 대한 상기 하우징(310)의 특정한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베어링 부재(B301)는 상기 브레이크 액슬(340)에 대한 상기 하우징(310)의 특정한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베어링부재(B302)에는 브레이크 하우징(310)을 축방향으로 브레이크 하우징(310)을 홀딩하기 위한 플랜지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베어링 부재(B301)는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10)의 제1 지지부(312)에 대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 베어링 부재(B302)는 상기 제1 지지부(312)의 축방향 반대쪽에,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10)의 제2 지지부(314)에 대하여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어링 부재(B301)는 원통형 롤러 베어링 부재이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베어링 부재(B302)는 원통형 롤러 베어링 부재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중심축(Z)을 중심으로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회전을 본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토크 아암(320)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토크 아암(320)은 브레이크 하우징(310)에 부착되거나 브레이크 하우징(310)의 일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크 아암(320)은 상기 중심축(Z)을 중심으로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10)의 회전을 본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상기 토크 아암(320)은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제동 작용과 관련하여 토크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토크 아암(32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토크 아암(320) 및 그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300)의 이동은 상기 무한 궤도(E)의 종방향으로 제어된 이동이 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상기 토크 아암(320)의 상기 이동 가능한 연결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 및 토크 아암(320) 중 하나에 대하여 배치된 핀 부재(10P) 및 상기 궤도 지지 빔(10) 및 토크 아암(320)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배치된 타원형 리세스(oval recess)에 의해 제공되도록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핀 부재(10P)는 상기 무한 궤도(E)의 종향향으로, 따라서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종방향으로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상기 토크 아암(320),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300)의 이동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타원형 리세스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타원형 리세스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종방향으로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토크 아암(320)의 제어된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타원형 리세스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종방향으로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핀 부재(10P), 따라서 토크 아암(320)의 가이드된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핀 부재(10P)는 한쪽 단부가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반대쪽 단부가 상기 타원형 리세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무한 궤도(E)의 종방향으로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토크 아암(320),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300)의 이동이 용이해지고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해, 즉 본질적으로 방지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310) 내에 배치되는 마찰 요소 세트(350)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마찰 요소 세트(350)는 상기 중공형 브레이크 액슬(340) 주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드라이브 액슬(40) 주위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서비스 제동 기능을 위해 상기 궤도 차량의 제동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마찰 요소 세트(350)에 대하여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마찰 요소 세트(350) 상에 작용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브레이크 피스톤 장치(360)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마찰 요소 세트(350)에 대하여 그리고 스프링 장치(380)에 대하여 배치된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 장치(37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장치는 상기 주차 브레이크 피스톤 장치(370) 상에 작용하도록, 이는 결국 주차 제동 기능을 위해 상기 궤도 차량의 주차 제동 작용에 기초하여 상기 마찰 요소 상에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거나 철저하게 하도록 의도하는 것은 않는다. 명백하게, 많은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그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설명되었으며, 그에 따라 당업자가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그리고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수정으로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7)

  1. 궤도 차량(V)용 궤도 조립체(T1, T2)로서, 상기 궤도 조립체는 상기 차량의 차체(B)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궤도 조립체는 복수의 로드 휠(RW), 구동 휠 부재(DW) 및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D)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궤도 지지 빔 (1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 부재(DW)는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로드 휠들(RW) 및 구동 휠 부재(DW) 주위에 무한 궤도(E)가 배치되며,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장치(100), 상기 모터 장치(100)로부터 상기 구동 휠 부재(DW)로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장치(200) 및 상기 구동 휠 부재(DW)를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의 상기 중심축(Z)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베어링 구성(20)이 배치되며,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해 상기 구동 휠 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구동 장치(D)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구성(20)의 베어링들에 저널링되도록 구성되는, 궤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지지 빔(10)은, 상기 궤도 조립체가 상기 차체(B)에 연결될 때, 상기 차체(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외측면(10a) 및 상기 차체를 향하도록 구성된 반대쪽 내측면(10b)을 가지며, 상기 구동 휠 부재(DW)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에 대하여 배치된 외측 구동 휠(DW1) 및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에 대하여 배치된 내측 구동 휠(DW2)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구성(20)은 상기 궤도 지지 빔의 관통 홀에, 상기 외측 구동 휠(DW1)과 내측 구동 휠(DW2) 사이 중앙에 배치되는, 궤도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에 대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 장치(100)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가 상기 모터 장치(100)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대해 내부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궤도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D)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와 브레이크 장치(300)를 지지 연결하도록 구성된 중앙 지지 바(30)를 포함하는, 궤도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구동 휠 부재(DW)의 중심축(Z)과 동축으로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궤도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D)는 드라이브 액슬(40)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 부재(DW)는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통해 상기 모터 장치(100)로부터 상기 상기 구동 휠 부재(DW)로 상기 토크를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장치 (D)의 베어링의 저널링은 상기 구동 장치(D)의 상기 드라이브 액슬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상기 구동 휠 부재(DW)의 상기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구성(20)의 베어링에 저널링되도록 제공되는, 궤도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와 브레이크 장치(300)의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궤도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으로부터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 내로 돌출하는 내측부(40b)를 갖고,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을 관통하는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궤도 조립체.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은 상기 베어링 구성(20)에 대하여 상기 궤도 지지 빔(10)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외측 구동 휠(DW1)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40)의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측 구동 휠(DW2)은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드라이브 액슬(40) 일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궤도 조립체.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 바(30)는 상기 구동 장치(D)의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대한 상기 구동 장치(D)의 조립 및 상기 궤도 지지 빔(10)으로부터 상기 구동 장치(D)의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외측 단부에 대하여 배치되는 패스닝 부재(F1)에 의해 제거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궤도 조립체.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D)의 상기 모터 장치(100) 및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는 구동 유닛(M)을 제공하는, 궤도 조립체.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에 대한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외측면(10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액슬(40)의 외측부에 대하여 베어링들에 피벗 가능하게 저널링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중심축(Z)을 중심으로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의 회전을 본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토크 아암(320)을 포함하는, 궤도 조립체.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M)은, 상기 구동 유닛(M)의 하우징 구성에 대하여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의 내측면(10b)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액슬(40)의 내측부와 관련하여 베어링들에 피벗 가능하게 저널링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동 유닛(M)은 상기 중심축(Z)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 유닛(M)의 상기 하우징 구성의 회전을 본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궤도 지지 빔(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토크 아암(220)을 포함하는, 궤도 조립체.
  14. 제3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상기 무한 궤도(E)의 종방향 및 횡방향에 본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무한 궤도(E)의 주변부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궤도 조립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장치(100)는 모터 하우징(110) 및 상기 구동을 위한 모터(120)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120)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터는 전기식 모터 또는 유압식 모터이고,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100)의 모터 하우징(110)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고정자(120a) 및 상기 고정자에 대한 모터 액슬(140)의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자(120b)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액슬(140)은 상기 드라이브 액슬(40)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미션 장치(20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궤도 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궤도 조립체(T1, T2)를 포함하는, 궤도 차량(V).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 차량은 좌측 궤도 조립체(T1), 우측 궤도 조립체(T2) 및 차체(5)를 포함하고, 상기 궤도 조립체들(T1, T2)은 현가 장치(S1, S2)에 의해 상기 차체에 현가식으로 배치되는, 궤도 차량(V).
KR1020237030857A 2021-03-25 2022-03-24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KR202301730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2150354-5 2021-03-25
SE2150354A SE545227C2 (en) 2021-03-25 2021-03-25 Track assembly for a tracked vehicle
PCT/SE2022/050288 WO2022203588A1 (en) 2021-03-25 2022-03-24 Track assembly for a tracked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084A true KR20230173084A (ko) 2023-12-26

Family

ID=8339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857A KR20230173084A (ko) 2021-03-25 2022-03-24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66279A1 (ko)
EP (1) EP4313739A1 (ko)
KR (1) KR20230173084A (ko)
CN (1) CN117241991A (ko)
CA (1) CA3214648A1 (ko)
SE (1) SE545227C2 (ko)
WO (1) WO20222035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118A1 (de) * 1969-12-11 1971-06-16 Wuelfel Eisenwerk Raupenkettenantrieb fuer Fahrwerke
US4029166A (en) * 1975-05-13 1977-06-14 Caterpillar Tractor Co. Final sprocket drive for track-type vehicles
DE2831458C2 (de) * 1978-07-18 1983-03-24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Radantrieb für Arbeitsmaschinen, insbesondere für Kettenfahrzeuge
DE3146661C2 (de) * 1981-11-25 1986-10-30 Kern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7500 Karlsruhe Fahrzeug mit variabler Fahrwerksgeometrie
AU2003262630A1 (en) * 2002-08-14 2004-03-03 Clark Equipment Company Drive for crawler track
JP4527778B2 (ja) * 2005-08-01 2010-08-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ドラム回転装置
DE102010014650A1 (de) * 2010-04-12 2011-10-13 Liebherr-Werk Biberach Gmbh Elektrisches Raupenfahrwerk sowie dessen Verwendung für eine selbstfahrende Arbeitsmaschine
SE539473C2 (sv) * 2013-05-08 2017-09-26 BAE Systems Hägglunds AB Fjädringsanordning för bandgående fordon
SE538232C2 (sv) * 2013-05-08 2016-04-12 BAE Systems Hägglunds Aktiebolag Drivenhet för bandgående fordon och fordon försett med drivenhet
JP2017215002A (ja) * 2016-06-01 2017-12-07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走行用減速機およびそのハウジング
DE102017207126A1 (de) * 2016-07-25 2018-01-25 Deere & Company Antriebsanordnung mit einem rotierenden Gehäuse angeschlossen an eine Ausgangsschnittstelle
US10889341B2 (en) * 2017-05-19 2021-01-12 Joy Global Surface Mining Inc Crawler drive system
SE541794C2 (en) * 2017-05-31 2019-12-17 Bae Systems Haegglunds Ab Tracked vehicle having motor coaxially arranged with drive wheel
SE542468C2 (sv) * 2018-05-28 2020-05-12 Komatsu Forest Ab Bandställ innefattande bandbärarbalk anordnad med hus för en transmission samt bandfordon innefattande bandstället
CN210478859U (zh) * 2019-09-19 2020-05-08 洛阳合能电气有限公司 一种履带底盘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45227C2 (en) 2023-05-30
CA3214648A1 (en) 2022-09-29
SE2150354A1 (en) 2022-09-26
WO2022203588A1 (en) 2022-09-29
CN117241991A (zh) 2023-12-15
EP4313739A1 (en) 2024-02-07
US20240166279A1 (en)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30519B1 (en) Tracked vehicle having motor coaxially arranged with drive wheel
KR20230173084A (ko)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KR20230173654A (ko)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KR20230173089A (ko)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US20240166275A1 (en) Brake arrangement for a tracked vehicle
KR20240010710A (ko) 궤도 차량용 궤도 조립체
US20240166184A1 (en) Brake arrangement for a tracked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