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697A -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697A
KR20230172697A KR1020220073187A KR20220073187A KR20230172697A KR 20230172697 A KR20230172697 A KR 20230172697A KR 1020220073187 A KR1020220073187 A KR 1020220073187A KR 20220073187 A KR20220073187 A KR 20220073187A KR 20230172697 A KR20230172697 A KR 20230172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optical connector
stopper
optical
fer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연
강경덕
조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폰즈
주식회사 케이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폰즈, 주식회사 케이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폰즈
Priority to KR1020220073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697A/ko
Publication of KR20230172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69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6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fibre stu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에 쉽고 빠르게 설치 가능하고, 구성품이 간단하여 단가 및 광 케이블의 설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광 커넥터 및 광 패치코드를 제공하고, 부품 결합 공정을 단일 결합 공정으로 단순화하고 설치과정의 부품 오동작 요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제품 전체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patch cord using of it}
본 발명은 광 커넥터 및 광 패치코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구성품이 간단하여 단가 및 광 케이블의 설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에 관한 것이다.
광 케이블(optical cable)은 신호를 전송하는 광 섬유(optical fiber) 및 광 섬유를 보호하는 아라미드 얀 (aramid yarn), 피복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 케이블은 공동주택, 빌딩(이하 '건물' 이라 함.) 등에 설치되어 공동주택의 각 가정, 빌딩의 각 사무실(이하 '내부'라 함.)등에 통신, 정보 등의 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노후화된 건물이나, 완공된 건물에 광 케이블을 포설할 경우 건물의 내부 설계를 변경해야 하므로 광 케이블을 건물의 내부에 구축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건물의 외벽에 광 케이블을 포설하고,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한 후 구멍을 통하여 광 케이블의 일부분을 건물의 내부로 인입시킨다.
광 케이블을 인입시키는 과정 중에 케이블이 파손되지 않도록 페룰과 광 섬유가 연결되는 부분은 부트, 스토퍼, 프레임 및 하우징 등에 의해 감싸진다. 이에 따라 인입되는 광 케이블의 단부 직경이 상당히 클 수 밖에 없으며 건물 벽에 형성된 구멍도 클 수 밖에 없었다.
일반적으로 작업 현장에서 케이블을 인입하고 탈피 시킨 후, 부츠, 스토퍼, 프레임, 페룰 및 하우징을 조립한다는 점에서, 케이블 절단시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할 수 있고 인입 과정에서 단부가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광 커넥터 구조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와 부트의 결합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설치 과정 또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성품이 간단하여 단가 및 광 케이블의 설치 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개선되어 케이블에 설치하는 설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광 커넥터 및 광 패치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3번 이상의 부품 결합 공정을 단일 결합 공정으로 단순화하고 설치과정의 부품 오동작 요소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제품 전체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 커넥터로, 케이블 단부에 광섬유 심선의 정렬을 위해 장착되는 페룰부;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는 상단 일부가 개방된 삽입관 구조로, 상기 삽입관 일측에 형성된 힌지 구조로 연결된 덮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상기 페룰부가 삽입된 상기 스토퍼 일측을 삽입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페룰부는, 상기 케이블 단부에서 동축으로 광섬유와 연결되어 페룰; 상기 페룰과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감싸는 링형 관; 및 상기 링형 관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일측에서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고, 케이블을 삽입하는 내측면이 원통형인 삽입관 구조로, 상단부가 개방되지 않은 후단 양측면에 힌지 돌기를 구비하는 베이스관과, 전면, 후면 및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구조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단 양측면에 형성되는 힌지 홀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 홀이 상기 힌지 돌기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바디를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덮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삽입관의 양쪽 측면에 잠금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 돌기와 대응되는 상기 덮개의 양쪽 측면에 잠금 홀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의 상기 삽입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잠금 홀이 상기 잠금 돌기에 끼움 결합되어,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잠금 돌기는, 상단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하단면이 상기 삽입관 측면에 수직한면을 형성하는 쐐기형 구조인 것일 수 있고, 상기 덮개 고정부는, 상단 내측면에 중심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관에 삽입된 케이블 상단을 고정하는 내측면 상단 고정부와, 상기 내측면 상단 고정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삽입관의 개방된 부분에 돌출되어 수용되는 막대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내측면 상단 고정부와 막대형 돌출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 구조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베이스관은, 상기 덮개 고정부와 접촉하는 양쪽 측면의 높이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높이보다 작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관은, 내측면이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 고정부가 양 측면 및 상단을 감싸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관의 내측면 직경이 양 측면을 덮지 않는 부분의 내측면 직경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페룰 외부 둘레면을 따라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면 상기 플랜지와 상기 걸림턱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단부에 직접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광섬유 심선의 정렬을 위해 장착되는 페룰부와,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는 상단 일부가 개방된 삽입관 구조로, 상기 삽입관 일측에 형성된 힌지 구조로 연결된 덮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 내부로 삽입된 상기 케이블 상단에서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페룰부가 삽입된 상기 스토퍼 일측을 삽입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시키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광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패치코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일부 구간 동안 나선형의 컬부를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에 의하면, 구성품이 간단하여 단가 및 광 케이블의 설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광 커넥터 및 광 패치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에 의하면, 종래의 광 커넥터의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운 스토퍼 및 부트를 포함하는 결합 구조와 달리, 페룰, 덮개 개폐형 스토퍼, 프레임 및 하우징의 간단한 결합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부품수가 작고 결합 공정을 단일 결합 공정으로 단순화할 수 있는 광 커넥터 및 광 패치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에 의하면, 스토퍼에 스프링 안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구비할 필요 없기 때문에, 스프링에 의한 오동작 요소를 제거하고, 제품 전체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에 구비되는 스토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에 구비되는 스토퍼의 일 구성인 베이스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에 구비되는 스토퍼의 일 구성인 덮개 고정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용 광 커넥터 설치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가 장착된 케이블의 페룰에서 페룰 캡을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와 프레임의 결합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의 프레임과 하우징의 결합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컬부를 형성한 광 패치코드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케이블(100)은 광 커넥터(2) 및 케이블(1)을 포함하여 구비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는, 건물 내외부로 광 통신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건물 외부에서 건물 내부로 인입되는 케이블(1)에 탈착 가능한 접속부품으로, 페룰부, 스토퍼(24), 프레임(26) 및 하우징(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는 케이블(1) 단부에 광섬유 심선의 정렬을 위해 장착되는 페룰부와, 상기 케이블(1)을 삽입하는 상단 일부가 개방된 삽입관 구조로, 상기 삽입관 일측에 형성된 힌지 구조로 연결된 덮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1)을 고정시키는 스토퍼(24)와, 상기 페룰부가 삽입된 상기 스토퍼(24) 일측을 삽입하는 프레임(26)과, 상기 프레임(26)을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시키는 하우징(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는, 종래의 광 커넥터(2)의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운 스토퍼(24) 및 부트를 포함하는 결합 구조와 달리, 페룰(21), 덮개 개폐형 스토퍼(24), 프레임(26) 및 하우징(27)의 결합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부품수가 작아 종래의 3번 이상의 부품 결합 공정을 단일 결합 공정으로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스토퍼(24)에 스프링 안착을 위한 별도의 구조를 구비할 필요 없다는 점에서 스프링에 의한 오동작 요소를 제거할 수 있고, 제품 전체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의 각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부는 케이블(1) 단부에서 동축으로 광섬유와 연결되는 페룰(21)과, 페룰(21)과 상기 케이블(1)의 일부분을 감싸는 링형 관(22)과, 상기 링형 관(22)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페룰(21)(Ferrule)은 광커넥터 등의 접속에서 광섬유 심선의 정렬(alignment)을 위해 사용되는 길고 가는 실린더 튜브 형태로 정중앙에 구멍을 갖는 부품을 말하는 것으로, 케이블(1)의 광섬유 접속 특성상 페룰(21)은 변형 등에 강하고 정확한 형상을 유지해야 하고, 광섬유 심선의 손상 방지 및 외형유지를 위해 강한 재질 및 탄성이 있는 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질은 스테인레스 강 금속계열, 플라스틱-폴리머 계열 및 세라믹 계열인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21)의 외부 둘레면에는 플랜지(23)가 구비될 수 있고, 플랜지(23)의 외부 둘레면 직경은 4mm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23)를 기준으로 페룰(21)의 일측은 케이블(1)과 연결될 수 있다. 광 섬유의 적어도 일부분은 페룰(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링형 관(2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페룰(21)과 케이블(1)이 연결된 부분을 감싼다. 링형 관(22)은 압착되어 페룰(21)과 케이블(1)을 연결하고, 링형 관(22)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케이블(1)의 광섬유를 감싸는 아라미드 얀의 적어도 일부분은 링형 관(22)과 페룰(21) 일측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고, 아라미드 얀의 고정으로 페룰(21)을 피복(12) 내의 광 섬유(11) 부분에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아라미드 얀은 광섬유를 감싸는 케이블 자켓 안쪽에 있는 노란색 섬유 타입 소재로서, 매우 강하고 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번들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3)를 기준으로 페룰(21)의 타측은 프레임(26)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페룰(21)의 외부 둘레면과 프레임(26)의 내부면은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프레임(26)의 내부에는 페룰(21)이 관통하는 단차가 형성되고, 단차의 일면에는 플랜지(23)가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24)의 전면 일부분 또한 프레임(26)의 일측 내부로 삽입된다. 스토퍼(24)와 프레임(26)이 접하는 부분에 형성된 걸림돌기(도시하지 않음)가 걸림홈(도시하지 않음)에 걸리면서 스토퍼(24)와 프레임(26)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26)과 스토퍼(24)의 결합으로 탄성부재(28)는 플랜지(23)와 스토퍼(24)의 막대형 돌출부(후술) 사이에서 압축된다. 탄성부재(28)의 탄성력에 의해 플랜지(23)는 단차에 밀착되어 프레임(26)의 내부면에 탄력적으로 접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는 걸림홈에 탄력으로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27)의 내부에는 프레임(26)과 스토퍼(24)의 일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7)은 어댑터(도시하지 않음) 또는 단말기(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될 수 있다.
페룰 캡(29)은 페룰 캡 본체(291) 및 손잡이(292)를 포함할 수 있다. 페룰 캡 본체(291)는 프레임(26) 타측 내부에 배치되어 페룰(21)의 타측을 감싸고 있다. 페룰 캡 본체(291)는 페룰(21)과 광 섬유(11)를 먼지, 빗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페룰 캡 본체(291)는 단차의 타면에 말착되어 플랜지(23)와 단차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292)이는 캡 본체(291)와 연결되어 있고, 그 외부 둘레면 직경은 캡 본체(291)의 외부 둘레면 직경보다 작다. 손잡이(292)의 길이는 캡 본체(291)의 길이보다 길다. 손잡이(292)를 당기면 캡 본체(291)는 페룰(21)에서 분리될 수 있고, 손잡이의 끝단 말단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손쉽게 페룰 캡(29)을 페룰(21)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그립볼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7)이 어댑터, 단말기 등에 결합될 때 페룰 캡(29)은 페룰(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를 구성하는 스토퍼(24)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에 구비되는 스토퍼(24)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2)에 구비되는 스토퍼(24)의 일 구성인 베이스관(24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2)에 구비되는 스토퍼(24)의 일 구성인 덮개 고정부(25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4)는 페룰(21)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케이블(1)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장치로서, 케이블(1)을 삽입하는 상단 일부가 개방된 삽입관 구조로, 상기 삽입관 일측에 형성된 힌지로 연결된 덮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 내부로 삽입된 상기 케이블(1)을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에 적용되는 스토퍼(24)는 종래의 양쪽으로 케이블(1)을 감싸고, 내측면에 스프링의 걸림턱 구조를 구비하고 후단부에 연결되는 부트를 연결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와 달리, 케이블(1)을 삽입하여 안착시키는 내측면이 원통형 구조가 형성된 관형 구조로, 일측 단부에서 힌지 구조에 의해 회동하는 덮개 구조를 구비하여 삽입된 케이블(1)을 덮개 구조의 손쉬운 회전 동작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스토퍼(24)는 케이블(1)을 안정적으로 인입시키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부트도 필요없이, 페룰(21)이 장착된 케이블(1)을 쉽고 빠르게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4)는, 일측에서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고, 케이블(1)을 삽입하는 내측면이 원통형인 삽입관 구조로, 상단부가 개방되지 않은 후단 양측면에 힌지 돌기(245)를 구비하는 베이스관(240)과, 전면, 후면 및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구조의 바디(251)와, 상기 바디(251)의 후단 양측면에 형성되는 힌지 홀(255a, 255b)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 홀(255a, 255b)이 상기 힌지 돌기(245)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바디(251)를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관(240)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1)을 고정하는 덮개 고정부(25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에 적용되는 스토퍼(24)는 내측면이 원통형으로 상단 일부가 개방된 삽입관 구조의 베이스관(240)과, 베이스관(240) 상단에서 일측에 힌지 구조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의 덮개 고정부(250)로 구성되는 간단한 구조로서, 힌지 구조는, 베이스관(240) 일측 양쪽 측면에 힌지 돌기(245)를 구비하고, 이에 대응되는 덮개 고정부(250)의 양쪽 측면에 형성된 힌지 홀(255a, 255b)이 끼움 결합되어 덮개 고정부(250)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베이스관(240)에 삽입된 케이블(1)을 덮개 고정부(250)가 회동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2)에 구비되는 스토퍼(24)의 일 구성인 베이스관(240)의 평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2)에 구비되는 스토퍼(24)의 일 구성인 베이스관(240)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관(240)은, 상단면 일부가 개방된 관형 구조로 내측면은 원통형 구조이고, 외측면은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케이블(1)이 삽입되는 내측면은 케이블 모양과 유사한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고, 외측면은 사용자가 미끄러지지 않고 쉽고 단단하게 잡을 수 있는 각진 구조를 갖는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베이스관(240)은 덮개 고정부(250)로 덮히는 몸체부(242)와 몸체부(242)에서 동축으로 연장되고, 몸체부(242)의 원통 형상의 중공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하우징(27)에 삽입되는 삽입부(241)와, 삽입부(241)에서 동축으로 일부 돌출된 원통 형상의 헤드(243)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헤드(243)의 외측면은 프레임(26)에 삽입되어 프레임(26) 내부에 걸쳐져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243a)을 구비할 수 있고, 헤드(234) 및 삽입부(241)의 상단부는 케이블을 쉽게 삽입 안착시킬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몸체부(242)의 말단 일부를 제외하고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관(240)은, 상기 덮개 고정부(250)와 접촉하는 몸체부(242)의 양쪽 측면의 높이가 접촉하지 않는 삽입부(241)의 측면의 높이보다 작도록 하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바디(251)와 접촉부의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덮개 고정부(250)가 바디(251)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안착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몸체부(242)의 말단 양쪽 측면에는 힌지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힌지 돌기(245)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241)와 인접한 몸체부(242)의 전단 양쪽 측면에는 덮개 고정부(250)를 고정하여 잠그기 위한 잠금 돌기(2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돌기(244)는 상단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하단면이 상기 삽입관 측면에 수직한면을 형성하는 쐐기형 구조일 수 있다. 이는 덮개 고정부(250)가 회동에 의해 바디(251)의 측면이 상기 잠금 돌기(244)의 경사면을 따라 쉽게 미끄러져 내려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디(251)의 잠금 홀(254)을 베이스관(240)의 잠금 돌기(244)에 쉽게 끼움 결합되어 덮개 고정부(250)를 베이스관(240)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에 적용되는 스토퍼(24)의 저면부는 4각형 홈이 다수개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프레임(26) 및 하우징(27)과 스토퍼(24)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손으로 잡았을 경우 미끄럼을 방지하고 그립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2)에 구비되는 스토퍼(24)의 일 구성인 덮개 고정부(250)의 평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따른 광 커넥터(2)에 구비되는 스토퍼(24)의 일 구성인 덮개 고정부(250)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고정부(250)는, 전면, 후면 및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구조의 바디(251)와, 상기 바디(251)의 후단 양측면에 형성되는 힌지 홀(255a, 255b)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 홀(255a, 255b)이 상기 힌지 돌기(245)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바디(251)를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관(240)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1)을 고정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덮개 고정부(250)는, 베이스관(240)의 말단 측면에 구비된 힌지 돌기(245)에 끼움 결합되도록 말단에 반원형 돌출면에 형성된 힌지 홀(255a, 255b)이 구비되고, 전면, 후면 및 하면이 개방된 덮개 구조를 형성하고, 상면의 내측면에는 베이스관(240)에 삽입되는 케이블(1)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일정 두께를 갖는 상단 고정부(252, 253)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 고정부는 덮개 고정부(250)의 상단 내측면에 부착되는 내측면 상단 고정부(253)와, 내측면 상단 고정부(253)에서 연장되어 베이스관(240)의 상단 개방된 부분에 수용되는 막대형 돌출부(25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덮개 고정부(250)의 바디(251) 측면 하단에는 베이스관(240)에 형성된 잠금 돌기(244)와 대응되는 잠금 홀(254)을 형성하여, 덮개 고정부(250)가 베이스관(240)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잠금 홀(254)이 상기 잠금 돌기(244)에 끼움 결합되어 삽입된 상기 케이블(1)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고정부(250)의 내측면 상단 고정부(253)와 막대형 돌출부(252)의 케이블(1)과 접촉하는 내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케이블(1)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1)과 접촉하는 면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홈구조의 형상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 구조일 수도 있고, 고정된 케이블(1)이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홈구조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다. 도 5의 (b)에서 예시된 내측면 상단 고정부(253)에 형성된 홈구조는 내측면 상단 고정부(2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두개의 직사각형 홈구조가 형성되어 있고, 막대형 돌출부(252)의 내측면에는 하나의 직사각형 홈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9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 구성 부품의 결합 프로세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입용 광 커넥터(2) 설치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24)가 장착된 케이블(1)의 페룰(21)에서 페룰 캡(29)을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24)와 프레임(26)결합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의 프레임(26)과 하우징(27)의 결합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를 구비하는 광 케이블 설치방법은 건물의 외벽에 구축된 케이블(1)을 건물 내부로 인입시켜 광 커넥터(2)를 결합하는 것으로, 건물 외벽에 구멍 형성하고, 케이블(1)을 구멍으로 인입시키고, 케이블(1)에 스토퍼(24) 결합시키고, 스토퍼(24)와 프레임(26) 결합시킨 후, 최종적으로 프레임(26)과 하우징(27) 결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커넥터(2)를 이용하게 되면, 종래의 부트 결합에 의한 2 내지 3개의 광 케이블 설치과정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광 케이블 설치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토퍼(24)의 쉽고 빠른 고정 구조 및 부트의 생략으로 설치 공정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케이블의 설치 과정을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케이블(100)은 탄성부재(28)가 배치되어 있고, 캡(29)이 감싸고 있는 페룰(21)이 결합된 케이블(1)과, 스토퍼(24), 프레임(26) 및 하우징(27)이 별도로 포장된 상태로 설치 현장에 공급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부에 위치한 케이블(1)을 건물(300)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해 건물에 구멍(400)을 형성할 수 있다. 구멍(400)은 창문틀(401)에 형성된다. 그러나 구멍(400)은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구멍(400)의 직경은 4mm 내지 5mm일 수 있다.
케이블(1)을 건물 외부에서 구멍(400)을 통해 내부로 유입시킨다. 페룰(21)의 타측을 페룰 캡(29)이 감싸고 있으므로 페룰(21)은 보호된 상태로 외벽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광 커넥터(2)의 하우징(27)이 구멍을 통과해야 하므로 구멍의 직경은 하우징(27)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해야 했다. 즉, 구멍(400)의 직경은 8.5mm 초과하여 형성되어야 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페룰(21)만이 구멍을 통과하므로 구멍의 직경은 4mm 내지 5mm의 크기로 형성되어도 케이블(1)은 건물 외부에서 구멍을 충분히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23)의 직경이 구멍(400)의 직경과 같거나 작으므로 케이블(1)의 일부분은 건물 외부에서 구멍을 통해 내부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페룰(21)과 케이블(1)이 링(22)으로 결합되어 있어 건물 내부에서 페룰(21)을 당겨도 페룰(21)은 케이블(1)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룰캡을 페룰(21)에서 제거한 후, 케이블(1)을 스토퍼(24)에 삽입하고, 페룰부가 노출되도록 페룰부 후단으로 연장되는 케이블(1)에 스토퍼(24)를 안착시키고, 스토퍼(24)의 덮개 고정부(250)를 회동시켜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서 페룰캡이 제거되어 페룰부가 노출되도록 케이블을 스토퍼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플랜지(23)에 형성된 표시부(231)와 프레임(26)에 형성된 표시부(261)를 일치시킨 뒤 프레임(26)과 페룰(21)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표시부(231)와 조립 설정홈(26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결합하면 프레임(26)과 페룰(21)은 정 위치에서 서로 결합된다. 즉, 프레임 (26)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플랜지(23)의 둘레면에 형성된 홈(232)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플랜지(23)의 일면은 프레임(26)의 내부 둘레면에 형성된 단차 일면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6) 내부로 페룰(21)을 삽입하고, 스토퍼(24)의 헤드(243) 및 삽입부(241)가 프레임(26)의 일측 내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24)의 헤드(243)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프레임(26)의 걸림홈에 걸리면서 스토퍼(24)와 프레임(26)은 서로 결합된다. 이때 탄성부재(28)는 스토퍼의 스토퍼(24)를 구성하는 베이스관(240)의 헤드(243)와 플랜지(23) 사이에서 압축되며 페룰(21)의 타측은 프레임(26)의 타측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종래에는 스토퍼(24)를 구성하는 베이스관 등의 헤드부가 더 연장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탄성부재가 헤드부 내측으로 안착 또는 삽입되어 헤드부 내측에 형성된 단차에 탄성 지지되는 구조로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스토퍼(24)를 구성하는 베이스관(240)의 헤드(243) 단부에 탄성부재가 직접 지지되는 구조로 구조를 변경하여 탄성부재가 스토퍼의 조립과정에서 연장된 헤드부 단부 내부로 삽입되지 못하고 끼임 등의 조립 불량이 발생되어 탄성부재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제거했다는 점에서도 종래 소개된 광 커넥터의 구조와 구별된다. 즉,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플랜지(23)와 스토퍼(24)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 되고 일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나서, 프레임(26)의 타측을 하우징(27) 내부에 결합하여 광 커넥터(2)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처럼, 광 커넥터(2)의 조립 완료로 광 케이블(100)이 설치가 완료된다. 광 커넥터(2)가 어댑터(도시하지 않음) 또는 단 말기(도시하지 않음) 등과 연결되어 광 케이블(100)은 건물 내부로 광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컬부를 형성한 광 패치코드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패치코드는 케이블(1); 및 상기 케이블(1)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광섬유 심선의 정렬을 위해 장착되는 페룰부와, 상기 케이블(1)을 삽입하는 상단 일부가 개방된 삽입관 구조로, 상기 삽입관 일측에 형성된 힌지로 연결된 덮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 내부로 삽입된 상기 케이블(1)을 고정시키는 스토퍼(24)와, 상기 페룰부가 삽입된 상기 스토퍼(24) 전단 일측을 삽입하는 프레임(26)과, 상기 프레임(26)을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고정시키는 하우징(27)을 구비하는 광 커넥터(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1) 일부 구간은 나선형 구조의 컬부(1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광 섬유를 이용하는 광 케이블(1) 또는 광 패치코드에서는 광 케이블 배선시 원활한 작업을 위해 어느 정도의 광섬유 여유 길이기 필요하기 때문에, 인입 케이블의 일부 구간을 나선형 구조의 컬부(1c)를 형성함으로써, 인입 케이블 길이를 효율적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수 있다.
1: 케이블
2: 광 커넥터
21: 페룰
22: 링형 관
23: 플랜지
24: 스토퍼
26: 프레임
27: 하우징
28: 탄성부재
29: 페룰 캡
100: 광 케이블
240: 베이스관
250: 덮개 고정부

Claims (12)

  1. 케이블 단부에 광섬유 심선의 정렬을 위해 장착되는 페룰부;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는 상단 일부가 개방된 삽입관 구조로, 상기 삽입관 일측에 형성된 힌지 구조로 연결된 덮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스토퍼;
    상기 페룰부가 삽입된 상기 스토퍼 일측을 삽입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을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페룰부는,
    상기 케이블 단부에서 동축으로 광섬유와 연결되어 페룰;
    상기 페룰과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감싸는 링형 관; 및
    상기 링형 관 외측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측에서 상단부 일부가 개방되고, 케이블을 삽입하는 내측면이 원통형인 삽입관 구조로, 상단부가 개방되지 않은 후단 양측면에 힌지 돌기를 구비하는 베이스관과,
    전면, 후면 및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구조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후단 양측면에 형성되는 힌지 홀을 구비하되, 상기 힌지 홀이 상기 힌지 돌기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바디를 회동시켜 상기 베이스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덮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삽입관의 양쪽 측면에 잠금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잠금 돌기와 대응되는 상기 덮개의 양쪽 측면에 잠금 홀을 형성하고, 상기 덮개의 상기 삽입관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잠금 홀이 상기 잠금 돌기에 끼움 결합되어,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기는,
    상단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고, 하단면이 상기 삽입관 측면에 수직한면을 형성하는 쐐기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고정부는,
    상단 내측면에 중심 길이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관에 삽입된 케이블 상단을 고정하는 내측면 상단 고정부와, 상기 내측면 상단 고정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삽입관의 개방된 부분에 돌출되어 수용되는 막대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 상단 고정부와 막대형 돌출부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홈 구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관은,
    상기 덮개 고정부와 접촉하는 양쪽 측면의 높이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높이보다 작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관은,
    내측면이 원통형 구조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 고정부가 양 측면 및 상단을 감싸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관의 내측면 직경이 양 측면을 덮지 않는 부분의 내측면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토퍼의 단부에 직접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11.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 양쪽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광섬유 심선의 정렬을 위해 장착되는 페룰부와, 상기 케이블을 삽입하는 상단 일부가 개방된 삽입관 구조로, 상기 삽입관 일측에 형성된 힌지 구조로 연결된 덮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삽입관 내부로 삽입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페룰부가 삽입된 상기 스토퍼 일측을 삽입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내부로 삽입하여 고정 시키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광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패치코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일부 구간 동안 나선형의 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패치코드.
KR1020220073187A 2022-06-16 2022-06-16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 KR20230172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187A KR20230172697A (ko) 2022-06-16 2022-06-16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187A KR20230172697A (ko) 2022-06-16 2022-06-16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697A true KR20230172697A (ko) 2023-12-26

Family

ID=8932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187A KR20230172697A (ko) 2022-06-16 2022-06-16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6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5102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integrated installation tools
US7228047B1 (en) Breakout and connector assemblies for use with high count fiber optic cables
EP2495590B1 (en) Optical connector
KR101105664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WO2006019161A1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CN101299085A (zh) 包括转换器的加固连接器系统
US8985876B2 (en) Ferrule holder
US20080175540A1 (en) Optical Connector Suitable for Field Assembly
US20080175545A1 (en) Optical Connector Suitable for Field Assembly
KR20230172697A (ko) 광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광 패치코드
KR101548705B1 (ko) 통합형 광 스플리터
JP4800085B2 (ja) 光クロージャ
JP4652263B2 (ja) 光クロージャ、光ケーブル分岐方式
KR101132835B1 (ko) 광 커넥터
KR100970441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JP6527718B2 (ja) プラグ側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システム
JP4141684B2 (ja) 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コード及びコネクタ付き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255803B2 (ja) 光コネクタ
WO2008147115A1 (en) Optical cable fixing clip for optical connector and opening device for the same
KR20100048952A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20110056632A (ko) 융착형 광 컨넥터
KR101900325B1 (ko) 현장 조립형 광 점퍼 코드
WO2023105836A1 (ja) 光ケーブル構造及び光ケーブル構造の製造方法
KR102512811B1 (ko) 현장조립형 융착 광섬유 커넥터
WO2008108582A1 (en) Field-installable opt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