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468A - 금속화 필름 콘덴서 - Google Patents

금속화 필름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468A
KR20230172468A KR1020237034223A KR20237034223A KR20230172468A KR 20230172468 A KR20230172468 A KR 20230172468A KR 1020237034223 A KR1020237034223 A KR 1020237034223A KR 20237034223 A KR20237034223 A KR 20237034223A KR 20230172468 A KR20230172468 A KR 20230172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lectrode
split electrode
metallization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카즈 후지시로
카즈유키 히아테
시게루 스즈키
타다카즈 이시와타
유야 하시모토
마사히로 나카타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7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46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2Wou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4Protection against electric or thermal overload
    • H01G2/16Protection against electric or thermal overload with fus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제 1 금속화 필름과,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과 대향하고 있는 위치에 배치된 제 2 금속화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화 필름은, 각각 제 1 및 제 2 유전체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전체 필름 상에는,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위치하고 메타리콘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절연 마진과, 상기 제 1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1 절연 마진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유전체 필름 상에는,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의 단부에 위치하고 메타리콘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다른 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절연 마진과, 상기 제 2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2 절연 마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부의 각각은, 마진부를 개재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극부의 복수의 영역에 포함되는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가로 퓨즈를 통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세로 퓨즈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전극부의 복수의 영역에 포함되는 제 2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가로 퓨즈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대향하고 있다.

Description

금속화 필름 콘덴서
본 발명은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6-310368호 공보(특허문헌 1)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를 개시한다.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필름 상에 금속 증착막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패턴에 있어서는, 슬릿을 통해 복수의 단위 콘덴서(분할 전극)가 형성되어 있다. 각 분할 전극은,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분할 전극과,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퓨즈(가로 퓨즈)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분할 전극은,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분할 전극과,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퓨즈(세로 퓨즈)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각 분할 전극에 가로 퓨즈 및 세로 퓨즈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절연 파괴에 기인하여 어느 하나의 분할 전극이 금속화 필름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었다고 해도, 다른 분할 전극에는 가로 퓨즈 또는 세로 퓨즈를 통해 전기가 흐른다. 따라서,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의하면, 절연 파괴에 기인하여 유효 전극 면적이 필요 이상으로 소실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6-310368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는, 각 분할 전극에 가로 퓨즈 및 세로 퓨즈가 형성되어 있다. 어느 하나의 분할 전극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분할 전극에 형성된 가로 퓨즈 및 세로 퓨즈의 모두가 단락 전류로 용단됨으로써, 금속화 필름으로부터의 상기 분할 전극의 전기적인 분리가 완료된다. 그러나, 분할 전극에 형성된 가로 퓨즈 및 세로 퓨즈의 모든 용단에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분할 전극의 주변의 분할 전극에 있어서도, 용단되기 전까지 절연 파괴가 진행된다. 즉,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의 보안성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유효 전극 면적이 필요 이상으로 소실되는 사태를 억제하면서, 보안성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로서, 제 1 금속화 필름과,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과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 2 금속화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화 필름은, 각각 제 1 및 제 2 유전체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전체 필름 상에는,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메탈리콘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절연 마진과, 상기 제 1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1 절연 마진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유전체 필름 상에는,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메탈리콘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절연 마진과, 상기 제 2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2 절연 마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부의 각각은, 마진부를 개재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극부의 복수의 영역에 포함되는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가로 퓨즈를 통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세로 퓨즈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전극부의 복수의 영역에 포함되는 제 2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가로 퓨즈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대향하고 있다.
제 1 분할 전극에 있어서는, 절연 파괴가 발생했다고 해도, 주위의 세로 퓨즈 및 가로 퓨즈의 모두가 용단할 때까지 전류가 억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에 솔리드 영역이 존재하면, 제 1 분할 전극의 주위의 세로 퓨즈 및 가로 퓨즈의 모두가 용단할 때까지 전류가 계속해서 흐른다(절연 파괴가 촉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는,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에 제 2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분할 전극에 있어서는, 가로 퓨즈가 용단되는 것만으로 절연 파괴에 기인하는 전류가 억제된다. 따라서,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의하면, 제 1 분할 전극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다고 해도,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의 가로 퓨즈가 비교적 단시간에 용단되기 때문에, 절연 파괴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의하면,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상기 제 1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1 절연 마진 사이의 폭 방향의 길이를 L로 규정한 경우, 상기 제 1 절연 마진으로부터 상기 L의 10 ~ 30% 이격된 영역에, 상기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 1 전기 도입부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 1 전기 도입부 부근은,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금속의 두께가 두껍다. 따라서, 제 1 전기 도입부에 인접하는 영역에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제 1 분할 전극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 세로 퓨즈 및 가로 퓨즈의 용단에 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는,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 1 전기 도입부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의하면, 제 1 분할 전극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 세로 퓨즈 및 가로 퓨즈의 용단에 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절연 파괴의 촉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의하면,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4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제 2 전극부의 복수의 영역은, 복수의 상기 제 2 분할 전극을 포함하며,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제 2 금속화 필름의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의 각각은, 제 1 금속화 필름의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다.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제 2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는, 제 1 금속화 필름의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 이외에 제 2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 이외의 부분에는, 솔리드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의하면, 제 2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제 2 분할 전극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마진부의 증가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제 5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분할 전극의 길이는,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분할 전극의 길이보다도 길다.
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의하면, 제 1 금속화 필름과 제 2 금속화 필름이 폭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도 제 1 분할 전극이 제 2 분할 전극 이외의 영역(예를 들면, 솔리드 영역)과 대향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분할 전극 부근에서의 절연 파괴의 영향이 제 2 분할 전극 이외의 영역에 미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6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 및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마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상기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솔리드 영역은, 다른 쪽의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7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2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 전극 이외의 영역에는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제 8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는, 상기 제 1 분할 전극, 상기 제 2 분할 전극 및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는, 상기 제 1 분할 전극, 상기 제 2 분할 전극 및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대향하고,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대향하고 있다.
제 9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상기 제 8 관점에 관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 및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 및 상기 제 2 분할 전극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 전극 면적이 필요 이상으로 소실되는 사태를 억제하면서, 보안성의 저감을 억제할 수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3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4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5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6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7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8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9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10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세로 퓨즈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 5 ~ 8의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 9 ∼ 12의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13 ∼ 16의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 17, 18의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비교예 2 ∼ 5의 각 금속화 필름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1. 실시 형태 1]
<1-1. 금속화 필름 콘덴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 200)이 겹쳐진 상태로 권회(卷回)되어 있다. 즉,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과 금속화 필름(200)이 대향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을 단순히 "폭 방향"이라고도 칭하고, 금속화 필름의 흐름 방향(폭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을 단순히 "흐름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 200)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 200)의 흐름 방향의 일부분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100, 200)은, 유전체 필름(110, 210)을 각각 포함한다. 유전체 필름(110, 210)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polyvinylidene difluoride) 등의 각종 절연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유전체 필름(110, 21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5㎛ ~ 25㎛가 바람직하고, 1.5㎛ ~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전체 필름(110, 210)에 있어서, 한쪽 단부에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아연)이 증착된 영역인 전기 도입부(120, 220)가 각각 형성되고, 다른 쪽 단부에는 금속이 증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절연 마진(130, 23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 전기 도입부(120, 220)의 각각에는 메탈리콘 전극(20)(도 1)이 접속되어 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의 전기 도입부(120)와 금속화 필름(200)의 전기 도입부(220)가 반대측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금속화 필름(100, 200)이 중첩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금속화 필름(100, 200)이 권회되어 있다.
전기 도입부(120)와 절연 마진(130) 사이에는 전극부(135)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 도입부(220)와 절연 마진(230) 사이에는 전극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135, 235)는 각각 유전체 필름(110, 210)에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아연)을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135, 235) 및 전기 도입부(120, 220)를 형성하는 금속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아연(Zn), 주석(Sn), 구리(Cu) 등의 금속 재료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증착 전극(전극부(135, 235))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 200㎚가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 도입부(120, 220) 각각의 금속 증착막의 두께는 금속 증착 전극의 2배 내지 5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증착 전극의 두께는, 원하는 전기 특성이 얻어지도록, 금속 증착 전극 재료의 고유 저항에 따라 설정해도 된다.
전극부(135, 235)는 각각 마진부(170, 270)를 개재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금속화 필름(100)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120)로부터 절연 마진(130)을 향해,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솔리드 영역(160),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및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140)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솔리드 영역(160)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진부(17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또한, 솔리드 영역(160)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 간격으로 마진부(170)(일례로서, 마진부(270)의 일부인 마진부(161))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금속화 필름(100)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전기 도입부(120)에 인접하는 영역에,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140)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220)로부터 절연 마진(230)을 향해,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솔리드 영역(260),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및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240)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솔리드 영역(260)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진부(27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솔리드 영역(260)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 간격으로 마진부(270)(일례로서, 마진부(270)의 일부인 마진부(261))에 의해 구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전기 도입부(220)에 인접하는 영역에,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240)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금속화 필름(100)에 있어서, 제 1 분할 전극(140)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 분할 전극(150))과 가로 퓨즈(18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1 분할 전극(140))과 세로 퓨즈(182)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분할 전극(150)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솔리드 영역(160))과 가로 퓨즈(181)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 분할 전극(150))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에 있어서, 제 1 분할 전극(240)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 분할 전극(250))과 가로 퓨즈(281)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1 분할 전극(240))과 세로 퓨즈(282)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분할 전극(250)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솔리드 영역(260))과 가로 퓨즈(281)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 분할 전극(250))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는, 제 1 분할 전극(140, 240)에 있어서, 각각 세로 퓨즈(182, 28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만일 절연 파괴에 기인하여 제 2 분할 전극(150, 250)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었다고 해도, 제 1 분할 전극(140, 240)에는 각각 세로 퓨즈(182, 282)를 통해 전기가 흐른다. 그 결과,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의하면, 절연 파괴에 기인하여 유효 전극 면적이 필요 이상으로 소실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특별히 궁리를 하지 않고 제 1 분할 전극(140, 240)에 각각 세로 퓨즈(182, 282)가 형성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제 1 분할 전극(140, 240)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제 1 분할 전극(140, 240)에 형성된 가로 퓨즈(181, 281) 및 세로 퓨즈(182, 282) 모두가 대전류에 의해 용단됨으로써, 그 제 1 분할 전극(140, 240)의 전기적인 분리가 완료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는 영역에 솔리드 영역이 존재하면, 제 1 분할 전극(140, 240)에 형성된 가로 퓨즈(181, 281) 및 세로 퓨즈(182, 282)의 모든 용단에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분할 전극(140, 240) 주변의 영역에서도 절연 파괴가 촉진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의 제 1 분할 전극(140)은 금속화 필름(200)의 제 2 분할 전극(250)과 대향하고, 금속화 필름(200)의 제 1 분할 전극(240)은 금속화 필름(100)의 제 2 분할 전극(150)과 대향하고 있다. 제 2 분할 전극(250, 150)에 있어서는, 각각 가로 퓨즈(281, 181)가 용단되는 것만으로 절연 파괴에 기인하는 전류가 억제된다. 따라서,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의하면, 제 1 분할 전극(140, 240)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다고 해도, 제 1 분할 전극(140, 240)에 각각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250, 150)의 가로 퓨즈(281, 181)가 각각 즉시 용단되기 때문에, 절연 파괴의 촉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의하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1-2. 특징>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의 제 1 분할 전극(140)은 금속화 필름(200)의 제 2 분할 전극(250)과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의하면, 제 1 분할 전극(140)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다고 해도, 제 1 분할 전극(140)에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250)의 가로 퓨즈(281)가 즉시 용단되기 때문에, 절연 파괴의 촉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의하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전기 도입부(120)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제 1 분할 전극(14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전기 도입부(120) 부근은,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금속의 두께가 두껍다. 따라서, 전기 도입부(120)에 인접하는 영역에 제 1 분할 전극(140)이 형성되어 있으면, 제 1 분할 전극(140)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 세로 퓨즈(182) 및 가로 퓨즈(181)의 용단에 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전기 도입부(120)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제 1 분할 전극(14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의하면, 제 1 분할 전극(140)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 경우에, 세로 퓨즈(182) 및 가로 퓨즈(181)의 용단에 보다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절연 파괴의 촉진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에 의하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2.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와 비교하여, 각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의 분할 전극의 배치 등이 상이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변형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2-1. 금속화 필름 콘덴서의 구성>
도 4는,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A, 200A)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A, 200A)의 흐름 방향의 일부분만이 나타나 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A, 200A)이 겹쳐진 상태로 권회되어 있다. 즉,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A)과 금속화 필름(200A)이 대향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100A, 200A)은, 유전체 필름(110A, 210A)을 각각 포함한다. 유전체 필름(110A, 210A)에 있어서, 한쪽 단부에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아연)이 증착된 영역인 전기 도입부(120A, 220A)가 각각 형성되고, 다른 쪽 단부에는 금속이 증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인 절연 마진(130A, 23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전기 도입부(120A)와 절연 마진(130A) 사이에는 전극부(13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기 도입부(220A)와 절연 마진(230A) 사이에는 전극부(235A)가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135A, 235A)는 각각 유전체 필름(110A, 210A)에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아연)을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극부(135A, 235A)는 각각 마진부(170A, 270A)를 개재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금속화 필름(100A)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120A)로부터 절연 마진(130A)을 향해,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A)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A)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및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140A)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화 필름(100A)에 있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전기 도입부(120A)에 인접하는 영역에,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140A)이 흐름 방향으로 나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A)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220A)로부터 절연 마진(230A)을 향해,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A)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및 솔리드 영역(26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솔리드 영역(260A)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진부(270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금속화 필름(100A)에 있어서, 제 1 분할 전극(140A)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 분할 전극(150A))과 가로 퓨즈(181A)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1 분할 전극(140A))과 세로 퓨즈(182A)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분할 전극(150A)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1 분할 전극(140A) 및 제 2 분할 전극(150A))과 가로 퓨즈(181A)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 분할 전극(150A))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A)에 있어서, 제 2 분할 전극(250A)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솔리드 영역(260A))과 가로 퓨즈(281A)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 분할 전극(250A))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A)의 제 1 분할 전극(140A)은 금속화 필름(200A)의 제 2 분할 전극(250A)과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의하면, 제 1 분할 전극(140A)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다고 해도, 제 1 분할 전극(140A)에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250A)의 가로 퓨즈(281A)가 즉시 용단되기 때문에, 절연 파괴의 촉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A)에 있어서 제 1 분할 전극(140A)의 영역이 1열 형성되어 있을 뿐, 금속화 필름(200A)에 있어서는 제 1 분할 전극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솔리드 영역(260A)을 넓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의 초기의 정전 용량을 높게 할 수 있다.
<2-2. 특징>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A)의 제 1 분할 전극(140A)은 금속화 필름(200A)의 제 2 분할 전극(250A)과 대향하고 있다. 따라서,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의하면, 제 1 분할 전극(140A) 부근에서 절연 파괴가 발생한다고 해도, 제 1 분할 전극(140A)에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250A)의 가로 퓨즈(281A)가 즉시 용단되기 때문에, 절연 파괴의 촉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A)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A)의 각각은, 금속화 필름(100A)의 제 1 분할 전극(140A)에 대향하고 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200A)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A)의 제 1 분할 전극(140A)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 이외에 제 2 분할 전극(250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제 1 분할 전극(140A)에 대향하고 있는 위치 이외의 부분에는, 솔리드 영역(260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에 의하면, 금속화 필름(200A)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제 2 분할 전극(250A)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마진부(270A)의 증가에 수반하는 정전 용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3.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 및 상기 실시 형태는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3-1>
상기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는, 제 1 분할 전극의 폭 방향의 길이와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의 폭 방향의 길이는 대략 동일했다. 그러나, 제 1 분할 전극의 폭 방향의 길이와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의 폭 방향의 길이는, 반드시 대략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의 폭 방향의 길이가 제 1 분할 전극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도 5는, 제 1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2)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A, 200A2)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200A2)에 있어서의 제 2 분할 전극(250A2)의 폭 방향의 길이는, 금속화 필름(100A)에 있어서의 제 1 분할 전극(140A)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A2)에 의하면, 금속화 필름(100A)과 금속화 필름(200A2)이 폭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도 제 1 분할 전극(140A)이 제 2 분할 전극(250A2) 이외의 영역(예를 들면, 솔리드 영역)과 대향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 1 분할 전극(140A) 부근에서의 절연 파괴의 영향이 제 2 분할 전극(250A2) 이외의 영역에 미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서로 대향하고 있는 2매의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 퓨즈의 위치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한쪽의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의 퓨즈 용단시의 열이 다른 쪽의 금속화 필름의 퓨즈에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2>
도 6은 제 2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J)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J, 200J)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J)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J)의 1열의 제 1 분할 전극(140J)과, 금속화 필름(200J)의 2열의 제 2 분할 전극(250J)이 대향하고 있다. 제 1 분할 전극(140J)에 대향하고 있는 제 2 분할 전극(250J)을 2열 형성함으로써, 금속화 필름(100J)의 제 1 분할 전극(140J)과 금속화 필름(200J)의 솔리드 영역이 대향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3-3>
상기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 더 추가되어도 된다.
도 7은 제 3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B)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B, 200B)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100B)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120B)로부터 절연 마진(130B)을 향해,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140B)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B)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및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140B)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분할 전극(140B)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2 분할 전극(150B))과 가로 퓨즈(181B)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어, 제 1 분할 전극(140B))과 세로 퓨즈(182B)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분할 전극(150B)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면, 제 1 분할 전극(140B))과 가로 퓨즈(181B)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면, 제 2 분할 전극(150B))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B)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220B)로부터 절연 마진(230B)을 향해,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B)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솔리드 영역(260B) 및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B)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분할 전극(250B)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면, 솔리드 영역(260B))과 가로 퓨즈(281B)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흐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예를 들면, 제 2 분할 전극(250B))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금속화 필름(100B)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100A)과 비교하여, 전기 도입부(120B)에 인접하는 영역이,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140B)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으로 변경되어 있다. 추가된 각 제 1 분할 전극(140B)은, 금속화 필름(200B)에 있어서의 제 2 분할 전극(250B)과 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3-4>
도 8은 제 4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C)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C, 200C)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100C)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예와 비교하여,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C)이 흐름 방향으로 나열되는 영역이, 전기 도입부(120C)에 인접하는 영역에 2열 추가되어 있다. 금속화 필름(200C)에 있어서는, 추가된 제 2 분할 전극(150C)과 대향하고 있는 영역에 솔리드 영역(260C)이 추가되어 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C)에 의하면, 도 7에 나타나는 예와 비교하여, 전기 도입부(120C)에 인접하는 영역에 제 1 분할 전극(140C)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금속화 필름 콘덴서(10C)의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다.
<3-5>
도 9는 제 5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D)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D, 200D)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100D, 200D)에 있어서는,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금속화 필름(100D)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120D)로부터 절연 마진(130D)을 향해,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D)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150D)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및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140D)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D)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220D)로부터 절연 마진(230D)을 향해,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D)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250D)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 및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240D)이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D)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D)의 제 1 분할 전극(140D)과 금속화 필름(200D)의 제 2 분할 전극(250D)이 대향하고, 금속화 필름(100D)의 제 2 분할 전극(150D)과 금속화 필름(200D)의 제 1 분할 전극(240D)이 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3-6>
상기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는, 제 1 분할 전극(140, 140A) 및 제 2 분할 전극(150, 150A)의 각각의 형상은 직사각형이었다. 그러나, 제 1 분할 전극(140, 140A) 및 제 2 분할 전극(150, 150A)의 각각의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분할 전극 및 제 2 분할 전극의 형상은, 예를 들면, 마름모꼴(이른바 피시네트 형상)이어도 되고, 육각형(이른바 허니콤 형상)이어도 된다.
도 10은 제 6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E)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E, 200E)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100E)에 있어서는, 제 1 분할 전극(140E) 및 제 2 분할 전극(150E)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분할 전극(140E) 및 제 2 분할 전극(150E)의 각각의 형상은 마름모꼴이다. 제 1 분할 전극(140E)은,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 가로 퓨즈(181E)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흐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 세로 퓨즈(182E)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분할 전극(150E)은,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 가로 퓨즈(181E)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흐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금속화 필름(200E)에 있어서는, 제 1 분할 전극(240E) 및 제 2 분할 전극(250E)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분할 전극(240E) 및 제 2 분할 전극(250E)의 각각의 형상은 마름모꼴이다. 제 1 분할 전극(240E)은,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 가로 퓨즈(281E)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흐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 세로 퓨즈(282E)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분할 전극(250E)은,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 가로 퓨즈(281E)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흐름 방향으로 인접하는 영역과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E)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E)의 제 1 분할 전극(140E)과 금속화 필름(200E)의 제 2 분할 전극(250E)이 대향하고, 금속화 필름(100E)의 제 2 분할 전극(150E)과 금속화 필름(200E)의 제 1 분할 전극(240E)이 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나는 예에 있어서, 제 2 분할 전극(150E) 및 제 2 분할 전극(250E)의 형상이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도 11은 제 7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F)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F, 200F)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F)에 있어서는, 도 10에 나타나는 예와 비교하여, 제 2 분할 전극(150E) 및 제 2 분할 전극(250E)이 각각 제 2 분할 전극(150F, 250F)으로 변경되어 있다. 제 2 분할 전극(150F, 250F)의 각각의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금속화 필름(100F)과 금속화 필름(200F)이 흐름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도, 금속화 필름(100F)의 제 1 분할 전극(140F)이 금속화 필름(200F)의 솔리드 영역과 대향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3-7>
상기 실시 형태 1, 2에 적용되는 기술은, 직렬 접속 타입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2는 제 8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G)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G1, 100G2, 200G)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G)는 직렬 접속 타입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이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G)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G1)과 금속화 필름(200G)의 좌측 절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와, 금속화 필름(100G2)과 금속화 필름(200G)의 우측 절반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콘덴서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10G)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G1)의 제 2 분할 전극(150G1)과 금속화 필름(200G)의 제 1 분할 전극(240G1)이 대향하고, 금속화 필름(100G1)의 제 1 분할 전극(140G1)과 금속화 필름(200G)의 제 2 분할 전극(250G1)이 대향하고 있다. 또한, 금속화 필름(100G2)의 제 1 분할 전극(140G2)과 금속화 필름(200G)의 제 2 분할 전극(250G2)이 대향하고, 금속화 필름(100G2)의 제 2 분할 전극(150G2)과 금속화 필름(200G)의 제 1 분할 전극(240G2)이 대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된다.
<3-8>
상기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 한쪽의 금속화 필름의 제 2 분할 전극과, 다른 쪽의 금속화 필름의 제 2 분할 전극이 대향해도 된다.
도 13은 제 9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H)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H, 200H)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H)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H)의 제 2 분할 전극(150H)과, 금속화 필름(200H)의 제 2 분할 전극(250H)이 대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금속화 필름(100H)과 금속화 필름(200H)의 폭 방향의 위치 관계가 다소 어긋나도, 서로의 솔리드 영역끼리 대향하고 있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14는 제 10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I)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I, 200I)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I)에 있어서는, 금속화 필름(100I)의 제 2 분할 전극(150I)과, 금속화 필름(200I)의 제 2 분할 전극(250I)이 대향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금속화 필름(100I)과 금속화 필름(200I)의 폭 방향의 위치 관계가 다소 어긋나도, 서로의 솔리드 영역끼리 대향하고 있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3-9>
상기 실시 형태 1, 2에 적용되는 기술은, 유전체 필름의 한쪽 면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유전체 필름의 양면에 금속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3-10>
세로 퓨즈가 형성되어 있는 제 1 분할 전극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금속화 필름(100)의 전기 도입부(120)와 절연 마진(110) 사이의 폭 방향의 거리를 L로 했을 때, 절연 마진(110)으로부터 L의 10 ∼ 40% 이격된 영역에, 제 1 분할 전극(1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 30% 이격된 영역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 1 분할 전극(140)이 전기 도입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절연 파괴에 기인하여 제 2 분할 전극(150)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었다고 해도, 전기가 절연 마진(110)에 가까운 위치까지 흐르고, 그 위치에 있어서 제 1 분할 전극(140)에 각각 세로 퓨즈(182)를 통해 전기가 흐른다. 따라서, 유효 전극 면적이 필요 이상으로 소실되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제 1 분할 전극(150)의 위치가 절연 마진(110)과 너무 가까우면,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안성이 저하된다. 그렇기 때문에, 제 1 분할 전극(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절연 마진(110)으로부터 길이 L의 10 ~ 30% 이격된 영역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은, 예를 들어 제 2 금속화 필름(200)에 제 1 분할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3-11>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각 금속화 필름에는, 각각 전기 도입부와 절연 마진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들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3-12>
상기 각 설명에 있어서, 제 1 전극부에 포함되는 각 제 1 분할 전극은, 흐름 방향의 양쪽에 세로 퓨즈가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한쪽에만, 세로 퓨즈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3-13>
제 1 및 제 2 금속화 필름에 솔리드 영역을 형성하는 경우, 한쪽의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솔리드 영역은, 다른 쪽의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제 2 분할 전극 또는 솔리드 영역과 대향하고 있는 한, 솔리드 영역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한쪽의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솔리드 영역은, 다른 쪽의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제 1 분할 전극과 대향하고 있지 않으면 된다. 또한, 솔리드 영역을 형성하면, 정전 용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3-14>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 금속화 필름(100, 200)에 형성되어 있는 흐름 방향의 열의 수를 적절히 변경하고 있지만(예를 들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6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각 열의 폭도 적절히 조정 가능하다.
[4. 실시예 등]
<A. 시험 1>
<A-1.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나는 분할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2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나는 분할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3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는, 도 7에 나타나는 분할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었다. 실시예 4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분할 전극 패턴이 형성되어 있었다.
도 16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10K)에 포함되는 금속화 필름(100K, 200K)의 평면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화 필름 콘덴서(10K)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100A)은, 도 4에 있어서의 금속화 필름(100A)(실시예 2에 있어서의 한쪽의 금속화 필름)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금속화 필름(200K)에 있어서는, 전기 도입부(220K)와 절연 마진(230K) 사이에 솔리드 영역(260K)만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 ∼ 4 및 비교예의 각각에 있어서, 유전체 필름으로서는 두께 2.3㎛×폭 30㎜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했다. 또한, 세로 퓨즈 및 가로 퓨즈의 각각의 폭은 0.2㎜로 하고, 마진부의 폭은 0.1㎜로 했다.
<A-2. 제조 방법>
실시예 1 ∼ 4 및 비교예의 각각을, 공통의 방법에 의해 제조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4 및 비교예의 각각에 있어서는, 유전체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는 분할 전극 패턴의 형상이 상이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 ∼ 4 및 비교예에 공통되는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두께 2.3㎛의 PP(폴리프로필렌) 필름 롤에, 알박사제 권취식 진공 증착 장치(EWE-060)를 사용하여, 오일 마스킹으로 절연 마진 및 분할 전극 패턴을 형성했다.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필름 상에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아연을 증착하여 필름 상에 헤비에지(heavy edge)(전기 도입부)를 형성했다. 이로써, Al 금속막 저항이 20Ω/□, Zn 금속막 저항이 5Ω/□인 전극 패턴이 형성된 금속화 필름 롤을 얻었다. 제작한 금속화 필름 롤을 30㎜ 폭으로 슬리터(slitter)로 재단하고, 절연 마진 폭 2.0㎜, 헤비에지 폭 1.5㎜의 소자 권취용의 금속화 필름의 작은 권취 릴을 제작했다. 가이도세이사쿠쇼사 메탈라이즈드 금속화 필름 콘덴서 전자동 권취기(3KAW-N2)로, 제작한 작은 권취 릴을 이용하여, 정전 용량이 약 50㎌가 되도록 소자 감기를 행하고, 프레스, 편평화 처리를 했다. 편평화한 소자는, 소자 단면에 메탈리콘 용사를 행하고, 필름 전극 취출부를 형성 후, 진공 고온하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소자를 경화시켰다. 메탈리콘 용사부에 리드를 장착하고, 수지 케이스에 넣어, 간극에 에폭시 수지를 충전하고,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평가용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 소자를 얻었다.
<A-3. 시험 방법>
실시예 1 ~ 4 및 비교예의 각 금속화 필름 콘덴서 소자에 관하여, 정전 용량, 보안성 및 용량 감소율을 측정했다. 보안성에 관해서는, 115℃ 환경에 있어서 10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 소자에 800V의 전압을 100시간 인가하고, 쇼트 고장난 금속화 필름 콘덴서 소자의 개수를 셈으로써 평가했다. 용량 감소율은, 쇼트 고장나지 않은 나머지 금속화 필름 콘덴서 소자의 부하 전후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감소율(부하 전부터 부하 후까지의 정전 용량의 감소량/부하 전의 정전 용량)을 말한다.
정전 용량의 측정은, 다음 방법으로 행했다. 히오키덴키가부시키가이샤제 LCR 하이 테스터 3522-50에, 4단자 프로브 9140을 장착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 소자의 2개의 단자(리드선)를 4단자 프로브 9140로 잡고, LCR 하이 테스터 3522-50의 내장 전원에 의해, 0.1V, 1kHz의 교류 전압을 인가했다. 표시값이 안정되었을 때, 정전 용량값을 판독했다. 또한, 여기에 기재한 것 이외의 측정 조건에 대해서는, JIS C 5101-16: 2009의 "4.2.2 정전 용량"에 준했다.
또한, 쇼트 고장의 판정에 있어서는, 절연 저항이 100kΩ 이하인 것을 쇼트 고장인 것으로 판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저항계의 측정 한계 하한을 초과할 정도로 저저항인 경우(값이 표시되지 않음)에 쇼트 고장인 것으로 판정했다.
또한, 절연 저항의 측정은, 다음 방법으로 행했다. 히오키덴키가부시키가이샤제 초절연 저항계 DSM8104에 차폐 상자 SME-8350을 접속했다. 차폐 상자 내에 금속화 필름 콘덴서 소자를 넣고, 500V의 직류 전압을 인가했다. 1분 경과시의 절연 저항값을 판독했다. 또한, 여기에 기재한 것 이외의 측정 조건에 대해서는, JIS C 5101-16: 2009의 "4.2.4 절연 저항"에 준했다.
상기와 같이, 절연 마진 및 분할 전극은 오일 마스킹에 의해 형성하지만, 그 때문에, 완성된 금속화 필름의 표면에는 오일이 다소 잔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극의 형상에 다양한 변형이 있지만, 이에 따라 오일의 잔류량에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솔리드 영역에는 오일이 놓여 있지 않기 때문에, 마진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 비해, 오일 잔류량이 적다.
그리고, 오일의 잔류량은 필름의 미끄럼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2매의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 오일의 잔류량에 차이가 있으면, 금속화 필름을 권회했을 때에 편차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편차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나 IR(절연 저항)과 같은 전기적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나타내는 비교예와 같이, 한쪽의 금속화 필름이 솔리드 영역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같이, 2개의 금속화 필름의 전극의 배치의 밸런스가 잡혀 있지 않은 구성의 경우, 오일의 잔류량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전기적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해지기 쉽다. 이 점을 검증하기 위해, IR의 편차 개수를 산출했다. 편차 개수는, 편의상, 100개의 IR을 측정했을 때에, 3σ 이상 편차가 있는 것의 개수를 말한다.
<A-4. 시험 결과>
시험 결과는,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았다.
비교예와 비교하여, 실시예 1 ~ 4의 각각은 보안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보안성은, 가장 중요한 항목이기 때문에, 다른 평가 항목보다도 우선되어야 한다.
IR 편차 개수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비교예는 2개의 금속화 필름의 전극의 배치의 밸런스가 잡혀 있지 않기 때문에, IR 편차의 개수가 많다. 즉, 불균형이 많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실시예 2와 같이, 한쪽의 금속화 필름의 전체에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솔리드 영역이 폭 방향의 오른쪽 반면 또는 왼쪽 반면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는 것도, 다른 실시예 1, 3, 4에 비하면 IR 편차가 발생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로부터, IR 편차에 관해서는, 2매의 금속화 필름의 양쪽에 전극부가 형성되고, 이들이 폭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실시예 2와 같이, 편차 개수가 100개 중 1개 정도이면, 품질에는 문제없는 것으로 본 발명자에 의해 확인되고 있다.
<B. 시험 2>
<B-1.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에서는, 실시예 5 ∼ 14 및 비교예 2 ∼ 5를 사용하여, 제 1 분할 전극의 위치를 변경했을 때의 보안성 및 용량 감소성에 대해 검토를 했다. 또한, 도 17 ~ 도 21에는 부호는 부여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위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격자상의 흰 부분은 마진부, 진한 그레이의 부분은 전기 도입부를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 ~ 8에서는, 각각, 제 1 금속화 필름(도면의 상측)에,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된 1개의 영역(이하에서는, 제 1열 영역이라고 함)과, 흐름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 2 분할 전극이 형성된 5개의 영역(이하에서는, 제 2열 영역이라고 함)이, 폭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금속화 필름(도면의 하측)에는, 6개의 제 2 영역만이 폭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5 ~ 8은, 폭 방향에 있어서, 제 1열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가 상이하다. 여기서는, 폭 방향으로 배열되는 6개의 열 영역 중, 전기 도입부에 가장 가까운 영역의 위치를 (1), 가장 이격되어 있는 영역의 위치를 (6)으로 하고, 실시예 5 ~ 8에 있어서의 제 1열 영역을, 각각, (1), (3), (5), (6)의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9 ∼ 12에서는, 제 1 금속화 필름의 구성은, 각각, 실시예 5 ~ 8과 동일하다. 한편, 제 2 금속화 필름에는, 1개의 제 2열 영역만이, 제 1 금속화 필름의 제 1열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열 영역 이외는 솔리드 영역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 ∼ 16에서는, 제 1 금속화 필름의 구성은, 각각, 실시예 5 ~ 8과 동일하다. 한편, 제 2 금속화 필름에는, 1개의 제 1열 영역과, 5개의 제 2열 영역이, 폭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 13 ∼ 16에서는, 제 2 금속화 필름의 제 1열 영역을, 각각, (6), (4), (2), (1)의 위치에 배치하고 있고, 제 1 금속화 필름의 제 2열 영역과 대향하도록 하고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7에서는, 제 1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 위치 (6)에 제 1열 영역이 형성되고, 위치 (1), (4), (5)에 제 2열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2), (3)에는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금속화 필름에는, 위치 (1)에 제 1열 영역이 형성되고, 위치 (2), (3), (6)에 제 2열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4), (5)에는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패턴과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패턴은,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8에서는, 제 1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 위치 (5)에 제 1열 영역이 형성되고, 위치 (2), (4), (6)에 제 2열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1), (3)에는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2 금속화 필름에는, 위치 (2)에 제 1열 영역이 형성되고, 위치 (1), (3), (5)에 제 2열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 (4), (6)에는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패턴과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 패턴은,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으로 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 2 ∼ 5에서는, 제 1 금속화 필름의 구성은, 각각, 실시예 5 ~ 8과 동일하다. 한편, 제 2 금속화 필름에는 마진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5 ∼ 18 및 비교예 2 ∼ 5의 재료, 치수, 제조 방법은, 시험 1과 동일하다.
<B-2. 시험 결과>
다음으로, 실시예 5 ∼ 18 및 비교예 2 ∼ 5 에 대하여, 시험 1에서 실시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보안성 및 용량 감소성의 시험을 실시했다. 단, 보안성에 대해서는 20개의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대해 시험을 행하고, 쇼트 고장나지 않은 나머지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대해, 용량 감소율을 측정했다. 결과는 이하와 같다.
표 2에 의하면, 제 2 금속화 필름의 전극부가 솔리드 영역으로 형성되어 있는 비교예는, 제 1 분할 전극이 어느 위치에 있어도, 쇼트 고장난 개수가 많아 보안성이 낮았다. 한편, 실시예 5 ∼ 18은, 쇼트한 개수가 적고, 보안성이 높았다. 특히, 제 1 금속화 필름의 제 1 분할 전극이 위치 (6) 이외에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 5 ~ 7, 9 ~ 11, 13 ~ 15, 17은 보안성이 높았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분할 전극의 수, 솔리드 영역의 크기에 따른 보안성의 차이는 그다지 없었다.
표 3에 의하면, 제 1 분할 전극이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되고, 또한 솔리드 영역이 적은 실시예 5 ~ 8은, 정전 용량의 감소율이 커지고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3 ∼ 16은, 솔리드 영역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제 1 분할 전극이 제 2 금속화 필름에도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로써, 정전 용량의 감소율이 적게 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점은, 실시예 17, 18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으로부터, 제 2 금속화 필름의 일부에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고, 또한 제 2 금속화 필름에도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정전 용량의 감소율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단, 실시예 5 ~ 8이어도, 비교예와 비교하여 보안성은 높기 때문에, 실용에는 견딜 수 있다.
또한, 제 1 금속화 필름의 제 1 분할 전극은, 솔리드 영역의 크기나 제 1 분할 전극의 수에 관계없이, 위치 (5)에 가까워질수록, 정전 용량의 감소가 억제되어 있다. 단, 위치 (6)이 되면, 위치 (5)에 비해 정전 용량의 감소율이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7, 18과 같이 제 1 금속화 필름과 제 2 금속화 필름의 전극 패턴이 폭 방향으로 대칭인 것도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금속화 필름은, 다양한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이용할 수 있다. 금속화 필름 콘덴서는 이하의 각종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즉, (1) 휴대 단말기(휴대 전화, 휴대 음악 플레이어, 스마트폰, 태블릿형 단말기, 웨어러블 기기 등), (2) 퍼스널 컴퓨터, (3) 디지털 카메라, (4) 가전 제품(텔레비전, DVD 레코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5) 카 내비게이션, (6) 발전용 파워 컨디셔너(태양광, 풍력 등), (7) LED 조명, (8) 자동차(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등), (9) 철도 차량, (10) 건설 기계, (11) 산업 기기, (12) 기타 각종 인버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고주파 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나 전력의 용도 등으로 이용되는 콘덴서에 이용할 수 있다.
10 금속화 필름 콘덴서, 20 메탈리콘 전극, 100, 200 금속화 필름, 110, 210 유전체 필름, 120, 220 전기 도입부, 130, 230 절연 마진, 135, 235 전극부, 140, 240 제 1 분할 전극, 150, 250 제 2 분할 전극, 160, 260 솔리드 영역, 161, 170, 261, 270 마진부, 181, 281 가로 퓨즈, 182, 282 세로 퓨즈.

Claims (9)

  1. 금속화 필름 콘덴서로서,
    제 1 금속화 필름과,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 2 금속화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금속화 필름은 각각 제 1 및 제 2 유전체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전체 필름 상에는,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메탈리콘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절연 마진과, 상기 제 1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1 절연 마진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유전체 필름 상에는,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고 메탈리콘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절연 마진과, 상기 제 2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2 절연 마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전극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부의 각각은 마진부를 개재하여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부의 복수의 영역에 포함되는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가로 퓨즈를 통해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세로 퓨즈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전극부의 복수의 영역에 포함되는 제 2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과 가로 퓨즈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영역은 접속되어 있지 않고,
    상기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대향하고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도입부와 상기 제 1 절연 마진 사이의 폭 방향의 길이를 L로 규정한 경우,
    상기 제 1 절연 마진으로부터 상기 L의 10 ∼ 40% 이격된 영역에, 상기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기 도입부에 인접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 1 분할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금속화 필름 콘덴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부의 복수의 영역은 복수의 상기 제 2 분할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화 필름 콘덴서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복수의 상기 제 2 분할 전극의 각각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상기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분할 전극의 길이는,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분할 전극의 길이보다도 긴, 금속화 필름 콘덴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 및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 중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마진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상기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솔리드 영역은, 다른 쪽의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2 전극부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2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에 대향하고 있으며,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 전극 이외의 영역에는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는, 상기 제 1 분할 전극, 상기 제 2 분할 전극 및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는, 상기 제 1 분할 전극, 상기 제 2 분할 전극 및 솔리드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대향하고,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은,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대향하고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 및 상기 제 2 분할 전극과, 상기 제 2 금속화 필름에 형성된 상기 제 1 분할 전극 및 상기 제 2 분할 전극이,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금속화 필름 콘덴서.
KR1020237034223A 2021-04-15 2022-04-15 금속화 필름 콘덴서 KR20230172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9362 2021-04-15
JPJP-P-2021-069362 2021-04-15
PCT/JP2022/017969 WO2022220302A1 (ja) 2021-04-15 2022-04-15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468A true KR20230172468A (ko) 2023-12-22

Family

ID=8364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223A KR20230172468A (ko) 2021-04-15 2022-04-15 금속화 필름 콘덴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64650A (ko)
KR (1) KR20230172468A (ko)
CN (1) CN117121138A (ko)
WO (1) WO202222030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368A (ja) 1993-04-22 1994-11-04 Shizuki Denki Seisakusho:Kk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5870A (ja) * 2003-09-05 2005-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4957308B2 (ja) * 2007-03-19 2012-06-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5228591B2 (ja) * 2008-04-15 2013-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6074623B2 (ja) * 2012-01-06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5903659B2 (ja) * 2012-04-17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と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CN108701542B (zh) * 2016-03-28 2021-04-16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薄膜电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0368A (ja) 1993-04-22 1994-11-04 Shizuki Denki Seisakusho:Kk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64650A (ja) 2022-10-27
CN117121138A (zh) 2023-11-24
WO2022220302A1 (ja)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262B2 (en) Film capacitor
US20110149472A1 (en) Method of connecting busbars with capacitor and product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KR20090045141A (ko) 금속화 필름 콘덴서
US9536663B2 (en) Metallized film capacitor
KR20230172468A (ko) 금속화 필름 콘덴서
US20160126016A1 (en) Film capacitor
JP4923589B2 (ja)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JP6383933B1 (ja) 金属化フィルム、版ロール
US8830652B2 (en) Humidity resistant electronic components
JP4946493B2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
CN112670083A (zh) 一种锌铝加厚金属化聚丙烯薄膜
JP2016207823A (ja) フィルムコンデンサ素子
CN112366082A (zh) 一种直流支撑电容器用元件
JP6330139B2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2023157801A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CN102084444A (zh) 箔膜自愈式有感电容器
KR20230088700A (ko) 금속화 필름 및 필름 콘덴서
KR102495439B1 (ko) 금속화 필름, 금속화 필름 롤, 판 롤
KR102063782B1 (ko) 필름 커패시터
JP6040592B2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5824654B2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5903647B2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KR200355759Y1 (ko) 콘덴서
JP2015198232A (ja)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6610382B2 (ja) コンデン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