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279A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72279A KR20230172279A KR1020220072948A KR20220072948A KR20230172279A KR 20230172279 A KR20230172279 A KR 20230172279A KR 1020220072948 A KR1020220072948 A KR 1020220072948A KR 20220072948 A KR20220072948 A KR 20220072948A KR 20230172279 A KR20230172279 A KR 202301722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lock pin
- rotation
- charging
- electric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5/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with reciprocation along the axis of rotation, e.g. gearings with helical grooves and automatic reversal or ca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 F16H2063/3056—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he final output mechanisms comprising elements moved by electrical or magnetic force using cam or crank gea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기어로 형성된 기어부로 형성된 구동부; 복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회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연결되어 제1방향 직선 운동하는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에서 연장되어 풀림위치와 잠금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락핀으로 형성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2기어의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연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서 편중되어 형성된 제3회전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가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가 직선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 외부 장치와 잠금되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자동차는 배터리의 전기를 기반으로 모터를 작동시켜 구동되는 전기자동차를 의미하며,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주기적인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차체의 일 측에 충전인렛이 설치된다.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는 충전인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아웃렛을 통해 충전되며, 충전인렛 및 충전아웃렛에는 고전압의 전기가 통전된다. 따라서 충전인렛과 충전아웃렛이 충전 중에 임의로 해제되는 경우 화재, 사용자 부상 등의 2차 사고가 발생된 가능성이 높아 충전 중 충전인렛과 충전아웃렛의 해제를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함께 설치된다.
이때 잠금장치에는 충전 시에만 충전인렛과 충전아웃렛을 잠금시킬 수 있도록 락핀을 풀림위치에서 잠금위치로 왕복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가 설치되는데, 락핀이 잠금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대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발생되는 경우 락핀이 잠금위치에서 해제되어 안전성 및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락핀을 이동시키고, 잠금된 후 락핀의 이탈을 방지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가 보다 안정적인 잠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기어로 형성된 기어부로 형성된 구동부; 복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회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연결되어 제1방향 직선 운동하는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에서 연장되어 풀림위치와 잠금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락핀으로 형성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2기어의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연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서 편중되어 형성된 제3회전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가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가 직선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풀림위치에서 정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외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역방향 회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는 상기 연동바디의 일 측에 돌출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의 정방향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디는 상기 제3회전축이 관통된 상태로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연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락핀이 상기 풀림위치와 상기 잠금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인 제3기어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락핀을 상기 잠금위치에서 이탈시키는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커버로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락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라켓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는 서로 연동되는 기어부, 제2기어 및 제3기어를 통해 락핀의 이동 제한하는 동시에 비상 시에 잠금위치에서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여 보다 간소화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원가를 절감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해제부는 가져 비상 시 외력을 통해 락핀을 잠금위치에서 해제시켜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동부의 제2회전축에서 연장한 연장선과, 제3회전축에서 연장한 연장선 사이에 일정 각을 형성하여 임의의 외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스토퍼가 방지단에 맞닿아 멈추도록 하여 락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임의적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제3회전축은 제2회전축으로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보다 이동한 위치에 위치되어 임의의 외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락핀 고정력을 확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3A-3A 방향의 단면도, 도 3(b)는 도 1의 3B-3B 방향의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하우징을 제외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5는 도 4(b)의 해제부의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6A-6A 방향의 단면사시도, 도 6(b)는 도 5의 6B-6B 방향의 단면사시도.
도 7(a)는 도 4(a)의 일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풀림상태의 일 측면도.
도 2(a)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3(a)는 도 1의 3A-3A 방향의 단면도, 도 3(b)는 도 1의 3B-3B 방향의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하우징을 제외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다른 방향 사시도.
도 5는 도 4(b)의 해제부의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6A-6A 방향의 단면사시도, 도 6(b)는 도 5의 6B-6B 방향의 단면사시도.
도 7(a)는 도 4(a)의 일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풀림상태의 일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걸림바디를 기준으로 구분하면 걸림바디가 하우징의 가장 내측으로 위치되어 외부 장치와 전혀 걸림이 발생되지 않은 풀림위치와 하우징의 외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외부 장치와 걸림이 발생되는 잠금위치로 구분된다.
또한 정방향은 락핀이 풀림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이동 시에 연동바디가 회전하는 방향이며, 역방향은 정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1의 3A-3A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의 3B-3B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하우징을 제외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b)의 해제부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6A-6A 방향의 단면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5의 6B-6B 방향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7(a)는 도 4(a)의 일 측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풀림상태의 일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10)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기어로 형성된 기어부(220)로 형성된 구동부, 복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2기어(510)와, 상기 제2기어(510)에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회동되는 연동부(500) 및 상기 연동부(500)에 연결되어 제1방향 직선 운동하는 이동바디(321)와, 상기 이동바디(321)에서 연장되어 풀림위치와 잠금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락핀(320)으로 형성된 이동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500)는 상기 제2기어(510)의 제2회전축(511)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연동바디(520)와, 상기 이동바디(321)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서 편중되어 형성된 제3회전축(530)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510)가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300)가 직선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복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인 제3기어(222)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220)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락핀(320)을 상기 잠금위치에서 이탈시키는 해제부(600) 및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111)이 형성된 하우징바디(110)와, 상기 수용공간(111)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커버(120)로 형성된 하우징(1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10)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해 차체에 형성된 충전 인렛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아웃렛이 결합되면 락핀(320)을 이동시켜 충전 아웃렛과 걸림 고정되어 충전 인렛과 충전 아웃렛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바디(110)와, 내측으로 모터(210), 구동부(200) 및 이동부(300) 등 락핀(320)의 이동에 관여하는 각 구성이 설치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된 하우징바디(110)의 일 측에 결합되는 커버(120)로 형성되어 각 구성이 안정적으로 설치 및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바디(110)에는 일 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1)의 내측으로는 각 구성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미리 설계된 위치에 형성된 제1설치리브(112)와, 해제부(600)의 제1,2바디(510.520)가 연결되는 설치홀(113)과, 하우징(100))이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12)와, 제1,2버스바(240,420)가 외부 장치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바디(110)의 일 측에서 연장된 연결부(115)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바디(110)에는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위치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각 구성의 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미리 설계된 위치에 형성된 제1설치리브(112)와, 하우징(100))이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형성되는 고정부(112)와, 제1,2버스바(420,240)가 외부 장치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우징바디(110)의 일 측에서 연장된 연결부(115)로 형성된다.
또한 수용공간(111)의 내측으로는 연동부(500)가 안착되는 제3설치리브(116)가 형성되어 회전하는 연동부(5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동시에 제3설치리브(116)의 일 측에 요입된 방지단(1161)을 형성하여, 락핀(320)이 잠금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스토퍼(540)의 일 측면과 맞닿아 연동바디(520)의 회전 즉, 락핀(3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커버(120)에도 필요에 따라 제1설치리브(112)와 대응하여 각 구성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제2설치리브(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2설치리브(112,121)는 바(Bar), 호 등의 형상으로 대응 구성에 맞춰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10)는 락핀(320)과 함께 연동되는 연동바디(52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제3설치리브(116)를 구비하여 락핀(320)이 미리 설계된 일정 길이 이상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한다.
구동부(200)는 모터(210)와, 모터(210)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되는 기어부(220)와, 모터(210)에 연결되어 연결부(115)까지 연장된 제2버스바(240)로 형성되어 모터(210)의 회전을 설계된 위치에 설계된 속도를 갖도록 쉽게 변환시키는 동시에 모터(210)와 외부 장치를 쉽게 연결시켜 모터(210)의 제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한다.
이때 기어부(220)는 모터(210)의 회전축에서 연장된 회전연결부(211)와 직접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기어(221)와, 제1기어(221)에 맞물려 회전하는 복수의 기어로 형성되고, 이때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제3기어(222)는 해제부(600)와 연결되어 비상 시 락핀(320)을 잠금위치에서 쉽게 이탈시킨다.
또한 제2버스바(240)는 모터(210)의 연결되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하우징바디(110)에 인서트된 상태로 연결부(115)까지 연장되되, 연결부(115)의 내측에서 노출되어 커넥터 등이 결합됨에 따라 외부 장치와 쉽게 연결된다.
이때 외부 장치는 회로기판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모터(210)를 제어하므로, 연결부(115)의 내측으로는 제1버스바(420)도 함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300)는 연동부(500)의 연결되어 제2기어(510)의 회전에 따라 제2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외부 장치와 걸림 및 해제된다. 이를 위해 이동부(300)는 외부 장치와 걸림 고정되는 락핀(320)과, 락핀(320)의 수용공간(111)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브라켓(330)과, 락핀(320)의 이동 시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되는 수분, 이물질을 방지하는 씰(340)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락핀(320)은 연동부(500)와 연결되어 제2기어(510)의 회전 즉 모터(210)의 회전을 락핀(320)의 제2방향 직선 운동을 변환시키는 이동바디(321)와, 수용공간(111)의 내외측을 이동하며 외부 장치와 걸림 고정되는 걸림바디로 형성되고, 이동바디(321)에는 일 측에 돌출되어 가이드홈(3311)에 안착되어 락핀(320)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3211)와, 제3회전축(530)과 연결된 상태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연동홀(3212)이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브라켓(330)은 락핀(320)의 이동방향 즉 제2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공간(111)에 제1,2설치리브(112,12)에 안착되어 락핀(320)을 수용공간(11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가이드면(331)과, 가이드브라켓(330)이 안정적으로 수용공간(11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지지면(332)으로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면(331)에는 보다 락핀(320)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가이드리브(3211)의 양 측을 지지하여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311)이 더 형성되고, 지지면(332)에는 관통홀(3321)이 형성되어 락핀(320)이 하우징(100)바디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씰(340)은 관통홀(3321)의 일 측에 락핀(3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10)는 모터(210)의 회전을 보다 간소화된 구조로 락핀(320)의 제2방향 직선 이동으로 변화하여 제품의 조립 작업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회로부(400)는 내부로 회로가 형성되고, 회로 중 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로 형성된 회로기판(410)과, 연결단자를 통해 회로와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락핀(320)의 위치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는 제1버스바(420)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회로기판(410)의 락핀(320)과 대향하는 일 측면에는 락핀(320)의 일 측에 형성된 인식부(323)를 감지하는 부분을 구비하여 락핀(320)의 이동에 따른 인식부(323)와 감지 부분의 거리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서 제1버스바(420)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모터(210)가 제어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차량 충전 시 충전 아웃렛이 충전 인렛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연동부(500)는 기어부(220)와, 연결된 제2기어(510)와 제2기어(510)의 회전 중심축인 제2회전축(511)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연동바디(520)와, 이동바디(321)와 연동바디(520)를 연결시키는 제3회전축(530)으로 형성되어 모터(210)의 회전운동을 락핀(320)의 제2방향 운동을 용이하게 변환시키는 동시에 락핀(320)의 과도한 이동 및 잠금위치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기어(510)는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치에 의해 기어부(220)와 연결되어 모터(210)의 회전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제2기어(510)의 회전 중심축인 제2회전축(511)은 연동바디(520)로 연장되어 연동바디(520) 또한 함께 회동시킨다.
이때 연동바디(520)는 회동 시 락핀(320)과 대향하는 외주는 호의 형상을 가지도록 락핀(32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2개의 연동바디(520)가 대향 배치되어 내측으로 이동바디(321)가 결합되는 연동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동공간의 내측으로는 2개의 연동바디(520)의 내측면을 연결시키는 제3회전축(530)이 형성되어 제3회전축(530)이 이동바디(321)에 일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연동홀(3212)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락핀(320)의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3회전축(530)은 락핀(320)이 잠금위치에 있는 경우 제2회전축(511)에서 편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임의의 외력에 의해 락핀(320)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회전축(511)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제1연장선(E1)과, 제2회전축(511)과 제3회전축(530)의 중심을 연결한 제2연장선(E2)이 일정 사이각(Θ)을 갖도록 형성하여 락핀(320)이 잠금위치에서 해제되는 방향으로 임의의 외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연동부(500)가 정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하여 락핀(320)의 무단 이탈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제3회전축(530)은 제2회전축(511)보다 정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도의 사이각(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각(Θ)이 10도보다 너무 큰 경우에는 이동바디(321)와 연동바디(52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증가하여 파손의 위험성이 있으며, 0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역방향 회동의 가능성이 증가되어 락핀(3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연동바디(520)의 외측으로는 돌출되어 락핀(320)이 잠금위치에 도달하면 방지단(1161)에 지지되는 스토퍼(540)가 형성되어 락핀(320)의 이동 방향으로 제한하여 연동부(500) 및 이동부(300)가 과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10)는 연동부(500)를 구비하여 락핀(320)의 과도한 이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임의의 외력에 의해 락핀(320)이 잠금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해제부(600)는 외력을 기어부(220)로 전달하는 전달부(610)와,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기어와 연결되는 연장부(620)로 형성되어 락핀(320)이 잠금위치에서 신속히 이탈될 필요가 있는 경우 외력을 통해 쉽게 잠금위치에서 이탈시켜 충전 아웃렛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비상 시 사용자 충전기와 전기자동차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전압에 의한 2차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고장 등의 이유로 충전 아웃렛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도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정리 하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10)는 연동부(500)를 구비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를 통해 모터(210)의 회전 운동을 락핀(320)의 직선 운동을 변화시켜 원가를 절감시켜 제품의 생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연동부(500)의 제2회전축(511)에서 연장된 제1연장선(E1)과, 제3회전축(530)에서 연장된 제2연장선(E2)이 약 10도 정도의 각도를 갖도록 제3회전축(530)이 정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어 락핀(320)의 잠금위치에서 임의의 외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락핀(320)의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100 하우징 110 메인바디
111 수용공간 112 제1설치리브
114 고정부 115 연결부
116 제3설치리브 1161 방지단
120 커버 121 제2설치리브
200 구동부 210 모터
211 회전연결부
220 기어부 222 제3기어
240 제2버스바
300 이동부
320 락핀 321 이동바디
3211 가이드리브 3212 연동홀
322 걸림바디 323 인식부
330 가이드브라켓 331 가이드면
3311 가이드홈
332 지지면 3321 관통홀
340 씰
400 회로부
410 회로기판 420 제1버스바
500 연동부
510 제2기어 511 제2회전축
520 연동바디 521 연동플레이트
522 연동공간
530 제3회전축 540 스토퍼
600 해제부
610 전달부 620 연장부
E1 제1연장선 E2 제2연장선
Θ E1과 E2의 사이각
100 하우징 110 메인바디
111 수용공간 112 제1설치리브
114 고정부 115 연결부
116 제3설치리브 1161 방지단
120 커버 121 제2설치리브
200 구동부 210 모터
211 회전연결부
220 기어부 222 제3기어
240 제2버스바
300 이동부
320 락핀 321 이동바디
3211 가이드리브 3212 연동홀
322 걸림바디 323 인식부
330 가이드브라켓 331 가이드면
3311 가이드홈
332 지지면 3321 관통홀
340 씰
400 회로부
410 회로기판 420 제1버스바
500 연동부
510 제2기어 511 제2회전축
520 연동바디 521 연동플레이트
522 연동공간
530 제3회전축 540 스토퍼
600 해제부
610 전달부 620 연장부
E1 제1연장선 E2 제2연장선
Θ E1과 E2의 사이각
Claims (6)
-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기어로 형성된 기어부로 형성된 구동부;
복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일정 각도 회동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에 연결되어 제1방향 직선 운동하는 이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에서 연장되어 풀림위치와 잠금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락핀으로 형성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2기어의 제2회전축에 연결되어 회동되는 연동바디와, 상기 이동바디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서 편중되어 형성된 제3회전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가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이동부가 직선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풀림위치에서 정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외력이 발생한 경우에도 역방향 회전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연동바디의 일 측에 돌출되어 미리 설정된 각도 이상의 정방향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디는
상기 제3회전축이 관통된 상태로 일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연동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락핀이 상기 풀림위치와 상기 잠금위치 사이에서 직선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인 제3기어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기어부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락핀을 상기 잠금위치에서 이탈시키는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일 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부에 결합되는 커버로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락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라켓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2948A KR102710417B1 (ko) | 2022-06-15 | 2022-06-15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2948A KR102710417B1 (ko) | 2022-06-15 | 2022-06-15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72279A true KR20230172279A (ko) | 2023-12-22 |
KR102710417B1 KR102710417B1 (ko) | 2024-09-26 |
Family
ID=89309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2948A KR102710417B1 (ko) | 2022-06-15 | 2022-06-15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0417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85325A (ja) * | 2007-09-28 | 2009-04-23 | Kitz Corp | 減速装置および電動アクチュエータ |
CN108110539A (zh) * | 2017-12-29 | 2018-06-01 |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充电插座用电子锁止装置 |
WO2019073855A1 (ja) * | 2017-10-10 | 2019-04-18 |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 車両インレット用ポート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装置 |
KR20210035438A (ko) * | 2019-09-24 | 2021-04-01 |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
KR20210035436A (ko) * | 2019-09-24 | 2021-04-01 |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
KR20220043264A (ko) * | 2020-09-29 | 2022-04-05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액츄에이터 조립체 |
-
2022
- 2022-06-15 KR KR1020220072948A patent/KR1027104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85325A (ja) * | 2007-09-28 | 2009-04-23 | Kitz Corp | 減速装置および電動アクチュエータ |
WO2019073855A1 (ja) * | 2017-10-10 | 2019-04-18 | 株式会社 村上開明堂 | 車両インレット用ポート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装置 |
CN108110539A (zh) * | 2017-12-29 | 2018-06-01 | 河南天海电器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充电插座用电子锁止装置 |
KR20210035438A (ko) * | 2019-09-24 | 2021-04-01 |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
KR20210035436A (ko) * | 2019-09-24 | 2021-04-01 |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
KR20220043264A (ko) * | 2020-09-29 | 2022-04-05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액츄에이터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0417B1 (ko) | 2024-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036109B (zh) | 用于电动车辆充电连接器的锁定装置 | |
AU752819B2 (en) | Electrical plug and socket device comprising a fixing unit | |
JP5608488B2 (ja) |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 |
US20170047681A1 (en) | Service plug unit, device unit, and power cutting-off system for electric car comprising same | |
US20150295355A1 (en) | Locking device for locking electrical plugs | |
US8373390B2 (en) | Safety device for cutting-off high voltage for hybrid electric vehicle | |
CN104124093B (zh) | 转向锁定装置 | |
JP6494371B2 (ja) |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 | |
US20120295463A1 (en) | Low-insertion-force connector assembly | |
SK50452010A3 (sk) | Auto lock mechanism | |
US20020141084A1 (en) | Outside rearview mirror for a motor vehicle | |
KR20230172279A (ko)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
JP5052321B2 (ja) |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 |
KR102710416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
KR20230172276A (ko)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
KR102710418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
KR100944960B1 (ko) | 고전압 커넥터 | |
KR102710415B1 (ko) | 전기자동차 충전용 액추에이터 | |
JP4814022B2 (ja) | 電気接続箱 | |
KR20220168387A (ko) | 전기차량의 충전설비 플러그 록킹-언록킹 장치 | |
EP3404776B1 (en) | Lever fitting-type connector | |
JP2021172224A (ja) | ロック装置 | |
CN112969833B (zh) | 锁定装置 | |
CN218876872U (zh) | 锁止装置以及汽车 | |
WO2023054169A1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