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772A -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772A
KR20230171772A KR1020220072330A KR20220072330A KR20230171772A KR 20230171772 A KR20230171772 A KR 20230171772A KR 1020220072330 A KR1020220072330 A KR 1020220072330A KR 20220072330 A KR20220072330 A KR 20220072330A KR 20230171772 A KR20230171772 A KR 2023017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dust collecting
dust
drilling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선
Original Assignee
김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선 filed Critical 김정선
Priority to KR102022007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772A/ko
Publication of KR2023017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1/00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정 구조를 갖는 집진장치에 진공청소기를 연결하여 벽 등의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후면 중앙에는 천공드릴의 회전축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홀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측 일정 지점에는 소정 흡입수단의 장착을 위한 결합홀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다.

Description

천공드릴용 집진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PUNCHING DRILL}
본 발명은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가 연결되는 특정 구조의 집진장치를 매개로 벽 등의 천공작업 시에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 등의 설치 시에는 배관 작업을 위해 천장이나 벽 등에 드릴을 사용하여 일정 직경의 홀을 천공하게 된다.
이때, 드릴을 이용한 천공작업 시에는 분진이 임의적으로 비산되면서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분진이 인체의 호흡기 내로 직접 유입되면서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우려도 있게 된다.
이에, 작업자는 별도의 마스크나 보호안경 등의 보호장구를 착용한 상태로 작업을 하기도 하는데, 이는 별도의 보호장구를 반드시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작업자가 보호장구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드릴을 이용한 천공작업 시 분진을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집진장치가 고안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집진장치들은 다량의 분진 발생하는 경우 빈번하게 수집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는 문제점, 천공드릴 및 집진장치 상호 간의 사이에 임의적인 틈이 발생하면서 분진이 임의로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 집진장치 자체가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잦은 고장이 발생되거나 제품의 단가가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6999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199673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28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특정 구조를 갖는 집진장치에 진공청소기를 연결하여 벽 등의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후면 중앙에는 천공드릴의 회전축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홀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측 일정 지점에는 소정 흡입수단의 장착을 위한 결합홀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전면은 벽면에 밀착 시 수축되는 자바라 형태의 밀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상기 결합홀에 장착된 소정 흡입수단의 동작 시 외부로부터 일정 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홀의 직경은 상기 결합홀의 직경과 비교하여 1/8 내지 1/12 범위의 치수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몸체의 하측부분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측을 향해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경사면의 후단 측에 위치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천공드릴을 이용한 벽 등의 천공작업 시 특정 구조의 집진장치에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수단을 연결하여 분진이 수집되도록 하므로서, 천공작업 시 임의적인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분진에 의한 주변의 오염이 방지되면서 깔끔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됨과 아울러, 분진에 작업자 노출됨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점 등이 해소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적용하여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적용하여 천공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는, 특정 구조를 갖는 집진장치의 몸체(10)에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수단(200)을 연결하여 벽(300) 등의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을 용이하게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는, 벽(300) 등의 천공작업을 위한 천공드릴(100)의 회전축(110) 및 천공수단(120)이 관통되어 내장되는 특정 형상의 몸체(10)가 고무나 실리콘,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매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천공드릴(100)을 통한 천공작업 시 작업자가 몸체(10) 내부의 천공지점에 대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10)의 후면 중앙에는 천공작업을 위한 천공드릴(100)의 회전축(110)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홀(12)이 외측을 향해 대략 관형태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외주면 하측 일정 지점에는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수단(200)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홀(14)이 외측을 향해 대략 관형태를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천공드릴(100)의 회전축(110)이 관통하는 관통홀(12)의 직경은 상기 회전축(110)의 직경에 비하여 대략 1 내지 2밀리미터[mm] 정도 큰 치수로 설계되어, 상기 회전축(110) 및 관통홀(12)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결합홀(14)에 장착된 소정 흡입수단(200)의 동작 시 외부로부터 일정 량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몸체(10) 외주면의 상측 부분의 일정 지점에는 상기 결합홀(14)에 장착된 소정 흡입수단(200)의 동작 시 외부로부터 일정 량의 공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공기유입홀(16)이 외측을 향해 대략 관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관통홀(12) 및 공기유입홀(16)을 통해 일정 량의 공기가 해당 몸체(1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의 분진이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수단(200)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수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0)에 형성되는 공기유입홀(16)의 직경은 상기 흡입수단(200)이 장착되는 결합홀(14)의 직경과 비교하여 대략 1/8 내지 1/12 범위(가장 바람직하게는 1/10)의 치수를 이루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는 전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개방된 전면의 테두리 부분은 대략 자바라 형태를 이루는 밀착부(20)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한 벽면과의 접촉 시 상기 밀착부(20)의 수축과 함께 견고한 밀착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외력의 해제 시에는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서는 하측부분의 직경이 확장되면서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18)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몸체(10)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홀(14)은 상기 경사면(18)의 후단 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천공작업 시 상기 몸체(10) 내부에 비산되는 분진이 상기 경사면(18)을 따라 원활하게 상기 결합홀(14) 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하측부분은 외주면의 일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경사면(18')이 기울어진 평면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전체 직경이 전단에서 후단을 향해 일정 비율로 확대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원뿔형태를 이루면서 자연스럽게 경사면(18")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적용하여 벽(300) 등의 대상지점에 천공작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상기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몸체(10) 후면에 구비된 관통홀(12)에 천공드릴(100)의 회전축(110)을 관통 설치하여 상기 회전축(110) 단부에 구비된 천공드릴의 천공수단(120)이 상기 몸체(10)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하측 부분에 구비된 결합홀(14)에는 진공청소기 등으로 제공되는 흡입수단(200)의 호스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상기 몸체(10) 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입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 전단에 자바라 형태로 구비된 밀착부(20)를 천공을 위한 벽(300) 등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해당 천공드릴(100)을 동작시켜 벽면의 일정 지점에 상기 천공수단(100)을 매개로 한 천공작업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벽(300) 등의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각종 분진은 상기 몸체(10) 내에서 비산되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결합홀(16)을 통해 연결된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수단(200)을 동작시킴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에서 비산되는 다량의 분진은 자연스럽게 상기 결합홀(14)을 통해 몸체(10) 외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흡입수단(200)에 수집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흡입수단(2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가 분진과 함께 상기 결합홀(14)을 통해 흡입수단(200) 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천공드릴(100)의 회전축(110)이 관통 설치된 관통홀(12)의 틈 및 상기 공기유입홀(16)을 통해서는 일정 량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몸체(10) 내에는 자연스러운 공기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홀(14)을 통해 각종 분진이 원활하게 이동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몸체(10)의 하측부분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측을 향해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18)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홀(14)은 상기 경사면(18)의 후단 측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의 각종 분진은 상기 경사면(18)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결합홀(14) 측으로 유도되면서 상기 흡입수단(200) 측으로 흡입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통해서는 천공드릴(100)을 이용한 벽(300) 등의 천공작업 시 임의로 발생하는 분진이 공기 중으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진공청소기 등의 흡입수단(200)을 매개로 깔끔하게 수집 처리될 수 있게 되므로, 벽(300) 등의 천공작업 시 임의적인 분진발생에 따른 주변의 오염이 방지됨과 동시에 분진이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도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몸체, 12: 관통홀,
14: 결합홀, 16: 공기유입홀,
18,18',18": 경사면, 20: 밀착부,
100: 천공드릴, 110: 회전축,
120: 천공수단, 200: 흡입수단,
300: 벽.

Claims (4)

  1. 전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갖는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후면 중앙에는 천공드릴의 회전축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홀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주면 하측 일정 지점에는 소정 흡입수단의 장착을 위한 결합홀이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전면은 벽면에 밀착 시 수축되는 자바라 형태의 밀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상기 결합홀에 장착된 소정 흡입수단의 동작 시 외부로부터 일정 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유입홀의 직경은 상기 결합홀의 직경과 비교하여 1/8 내지 1/12 범위의 치수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측부분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측을 향해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홀은 상기 경사면의 후단 측에 위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KR1020220072330A 2022-06-14 2022-06-14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KR20230171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30A KR20230171772A (ko) 2022-06-14 2022-06-14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30A KR20230171772A (ko) 2022-06-14 2022-06-14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772A true KR20230171772A (ko) 2023-12-21

Family

ID=8932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30A KR20230171772A (ko) 2022-06-14 2022-06-14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77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289U (ko) 2007-05-07 2008-11-12 주식회사베스툴코리아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KR101199673B1 (ko) 2005-01-12 2012-11-08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천공 공구용 집진기구
KR20180126999A (ko) 2017-05-19 2018-11-28 홍종주 드릴용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673B1 (ko) 2005-01-12 2012-11-08 가부시키 가이샤 미야나가 천공 공구용 집진기구
KR20080005289U (ko) 2007-05-07 2008-11-12 주식회사베스툴코리아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KR20180126999A (ko) 2017-05-19 2018-11-28 홍종주 드릴용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674A (en) Dust collector assembly for drilling tools
RU2356701C1 (ru) Пылеуловитель, используемый при сверлении объектов
US5993305A (en) Air-drafting dust remover for power sander
KR20180126999A (ko) 드릴용 집진장치
EP0799674A1 (en) Dust collector
JP2008126376A (ja) 工作機械用集塵装置
CN210758494U (zh) 一种新型手电钻
JPWO2016129268A1 (ja) 吸塵ドリル及び吸塵ユニット
GB2335032A (en) A dust collection device
JP2007168186A (ja) 集塵カバー
KR20230171772A (ko)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JP4235248B2 (ja) 掃除装置
JP2006076092A (ja) 穿孔工具
KR100531204B1 (ko) 햄머드릴의 분진방지 장치
KR100512190B1 (ko) 집진기능을 갖는 연삭장치
GB2247852A (en) Dust collecting attachment for power drills
KR101515583B1 (ko) 석면 집진장치
RU2805650C2 (ru) Система отсоса пыли шлифовального станка с оптической системой визуа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области обработки в проходящем свете
CN211734680U (zh) 一种制鞋缝纫设备
KR200359145Y1 (ko) 드릴용 분진포집장치
JP2000005969A (ja) 切削工具用切屑飛散防止方法及び装置
CN216152738U (zh) 一种钻孔装置
JPH0711147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表面の剥離装置
JP3666187B2 (ja) 穿孔工具の集塵カップ
KR20080005289U (ko)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