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289U -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289U
KR20080005289U KR2020070007485U KR20070007485U KR20080005289U KR 20080005289 U KR20080005289 U KR 20080005289U KR 2020070007485 U KR2020070007485 U KR 2020070007485U KR 20070007485 U KR20070007485 U KR 20070007485U KR 20080005289 U KR20080005289 U KR 200800052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rill
main body
suction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4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베스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베스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베스툴코리아
Priority to KR20200700074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289U/ko
Publication of KR20080005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2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이나 벽 등의 천공작업 시 발생하는 각종 분진을 집진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공드릴에 장착되는 다양한 직경의 비트를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고, 천공작업 시 집진장치의 밀착력 및 분진의 흡입력을 최대화하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취시키도록 한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공간부(102)가 형성된 본체(101)와, 본체(101)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외향되게 일체로 형성된 제1밀착날개편(103)과, 본체(101)의 상부 일측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104)과, 본체(101)의 상부 타측에 진공청소기(Z)의 흡입호스(Za)를 연결하기 위해 결합 구성된 연결관(106)로 이루어진 통상의 천공드릴용 집진장치(100)에 있어서, 관통공(104)의 가장자리에 상향 돌출되게 환형의 결합편(105)을 본체(101)에 일체로 형성하고, 결합편(105)이 강제 끼움되도록 상부에 결합홈(11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분진흡입체(107)를 관통공(104)에 결합 구성하며, 분진흡입체(107)의 하부에 분진을 흡입토록 내외로 관통되게 방사상으로 수개의 흡입공(108)을 구성하며, 분진흡입체(107)의 하단에 진공 흡착 시 외향되게 만곡되어 분진흡입체(107)를 보다 천정이나 벽면에 밀착되도록 제2밀착날개편(109)을 일체로 형성하며, 분진흡입체(107)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개의 절개부(112)에 의해 분할 구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드릴의 비트 직경에 따라 확장 가능토록 상측으로 내향되는 밀폐날개편(111)을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고안에 의하면 천공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 및 파편 등의 비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실내공간의 오염을 방지하고, 별도로 마스크 및 보호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정밀도와 편의성을 배가시키며, 분진으로 인한 각종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다양한 직경의 비트를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취시키며, 집진장치(100)의 밀착력 및 분진의 흡입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집진장치, 본체, 관통공, 결합편, 분진흡입체, 흡입공, 제2밀착날개편, 결합홈, 밀폐날개편, 절개부

Description

천공드릴용 집진장치{Dust collector for working dril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사시도로서, 분진흡입체의 다른 실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집진장치 중 분진흡입체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례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8은 종래 천공드릴용 집진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및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0:(천공드릴용)집진장치 101:본체
102:내부공간부 103:제1밀착날개편
104:관통공 105:결합편
106:연결관 107:분진흡입체
108:흡입공 109:제2밀착날개편
110:결합홈 111:밀폐날개편
112:절개부 Z:진공청소기
Za:흡입호스
본 고안은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종 에어컨, 환풍기, 배관, 앵커작업 등을 행할 시 천정이나 벽 등을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게 되는바, 이때 발생하는 각종 분진의 비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토록 하고, 드릴의 비트 직경에 관계없이 두루 사용 가능토록 한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제공코자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에어컨 등의 배관작업 시 천정이나 벽을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게 되는데, 이때 드릴로 천공작업 시 분진이 비산되어 실내 공기를 혼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분진이 작업자의 호흡기로 직접 유입되어 각종 호흡기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호흡기 외에도 안구에 유입되어 각종 안(眼)질환을 발병시키게 되며, 이를 방지코자 무더운 여름이라도 사용자는 반드시 별도의 마스크 또는 보호안경을 착용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별도로 마스크 또는 보호안경을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근자에 들어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드릴의 비트가 천공되는 천정이나 벽면에 천공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천공드릴용 집진기(실용신안등록 제407544호, 공고일자 2006년1월31일)가 개발되었는바, 상기 종래 집진기(1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개(7)가 끼워지게 끼움공(2c)이 형성되고, 하단은 원주방향 내측으로 밀착부(9b)가 형성되며, 다수의 배출공(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흡착벽(2)과, 제1흡착벽(2)의 외주연부에 이격되어 통로(4)가 형성되며, 원주방향 외측으로 밀착부(9a)가 형성된 제2흡착벽(3)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와, 몸체(1)의 하단부에는 통로(4)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흡입식 진공청소기와 연결되는 호스(5), 끼움공(2c)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며 천공드릴이 삽입되게 천공드릴삽입구멍(8)이 형성된 마개(7)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종래 집진기(10)는 천공작업 시 천공부위에 흡착시켜 발생되는 각종 분진이나 파편의 비산을 방지하고 분진 등을 진공청소기로 흡입할 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상기 종래 집진기(10)는 마개(7)에 형성된 천공드릴삽입구멍(8)이 하나로 지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직경의 비트를 수용하기 곤란하였고, 별도로 비트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 사용할 수 있도록 절취선(8a)이 마개(7)에 형성되어 있으나, 원하는 크기에 맞춰 절취선(8a)을 따라 천공드릴삽입구멍(8)을 형성하고 난 후에 다른 직경의 비트를 수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비트 직경에 따라 이에 부합되는 천공드릴삽입구멍(8)이 형성된 마개(7)도 다양하 게 여러 개 구비하고 있어야 되며, 비트의 직경이 바뀔 때마다 마개(7)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제1흡착벽(2)의 하단에 형성된 밀착부(9b)는 원주방향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제1흡착벽(2) 내부로 삽입되는 드릴의 비트 회전에 의해 밀착부(9b) 일부분이 찢어지는 등의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집진기(10)의 천정이나 벽면으로의 밀착력을 저하시키고, 진공흡입력 역시 감소시키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며, 또 밀착부(9b)가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어 제1흡착벽(2)과 밀착부가 이루는 만곡공간부(A)상에 분진 등이 고여서 분진의 일부가 진공정소기로 흡입이 되지 않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코자 종래 천공드릴용 집진기를 적극 개량하여 새로운 구성을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일반 진공청소기를 연결하여 에어컨 등의 배관작업에 필요한 천정 및 벽의 천공작업 시 천공드릴에 장착되는 다양한 직경의 비트를 호환성 있게 수용할 수 있고, 천공작업 시 집진장치의 밀착력 및 분진의 흡입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취시키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분진흡입체를 교체, 결합형이나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하단에 밀착날개편를 외향 돌출되게 구성하고, 상단에는 절개부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비트를 두루 수용토록 확장 가능한 밀폐날개편을 방사상으로 수개 일체로 형성한 천공드릴용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및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사시도 및 분진흡입체의 다른 실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집진장치 중 분진흡입체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로서, 상기 도면들을 통하여 본 고안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본 고안은 드릴을 사용하여 천정이나 벽에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 및 파편을 집진하여 분진발생을 최대로 억제하고, 파편의 비산을 방지토록 한 천공드릴용 집진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천공드릴용 집진장치(100)는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공간부(102)가 형성된 본체(101) 하단부 가장자리에 내부공간부(102)가 진공 흡착될 시 천정이나 벽면에 본체(101)가 흡착되도록 제1밀착날개편(103)을 외향되게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101)의 상부 일측에는 가장자리에 상향 돌출된 환형의 결합편(105)이 형성된 관통공(104)을 형성하며, 상부 타측에는 진공청소기(Z)의 흡입호스(Za)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106)을 결합 구성한다.
상기 관통공(104)에는 원통형상의 분진흡입체(107)를 결합 구성하되, 상기 분진흡입체(107)는 하부에 천공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토록 내외로 관통된 흡입공(108)을 방사상으로 수개 구성하고, 하단에 진공 흡착 시 외향되게 만곡되어 분진흡입체(107)를 보다 천정이나 벽면에 밀착되도록 제2밀착날개편(109)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104)의 결합편(105)이 강제 끼움되는 결합홈(110)을 형성하며, 상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개의 절개부(112)에 의해 분할 구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드릴의 비트 직경에 따라 확장 가능한 밀폐날개편(111)을 일체로 구성한다.
상기 밀폐날개편(111)은 분진흡입체(107)의 상단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내향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집진장치(100)의 실제 제품에서 절개부(112)의 간격은 도면에서와 같이 넓게 구성하지 않고 아주 협소하게 구성하므로 진공청소기(Z)를 작동시키면 강한 흡입력에 의해 분진흡입체(107) 내부의 분진이 본체(101)의 내부공간부(102)로 흡입될 시 외부 공기는 협소한 절개부(112)상으로 아주 미세한 양만이 유입되어 집진장치(100)가 천정이나 벽면에 밀착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분진흡입체(107)는 드릴 비트의 다양한 직경을 두루 수용할 수 있으나, 비트의 직경이 아주 작아지게 되면 밀폐날개편(111)의 상단부 직경(d)이 비트의 직경보다 크므로 천공작업 시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대량으로 유입되므로 도 3의 분진흡입체(107)의 다른 실례에서와 같이 밀폐날개편(111)의 상단부 직경(ds)이 좁은 작은 치수의 분진흡입체(107)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날개편(111)의 상단부 직경이 상이한 분진흡입체(107)를 관통공(104)의 결합편(105)에서 분리, 결합 가능토록 교체형으로 구성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례로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상기 관 통공(104)의 결합편(105)과 분진흡입체(107)의 결합홈(110) 없이 본체(101)와 분진흡입체(107)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106) 일측은 본체(101)에 강제 끼움 및 나사 결합으로 결합 구성하고, 타측은 진공청소기(Z)의 흡입호스(Za)의 단부를 강제 끼움식으로 연결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천공드릴용 집진장치(100)로서, 각종 에어컨, 환풍기, 배관, 앵커작업 등을 행할 시 천정이나 벽 등을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각종 분진 및 파편의 비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드릴의 비트 직경에 관계없이 두루 사용 가능토록 한 것으로 하기에서 이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토록 한다.
우선 집진장치(100) 본체(101)의 상부 일측 관통공(104)에 분진흡입체(107)를 결합할 시 분진흡입체(107)의 결합홈(110)에 관통공(104)의 결합편(105)이 끼움되도록 강제로 결합하고, 본체(101)의 상부 타측에 연결관(106)을 결합한 후 흡입수단으로 특히, 근자에 각 가정마다 구비되어 있는 가정용 진공청소기(Z)의 흡입호스(Za)를 연결관(106)의 단부에 연결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가정용 진공청소기(Z)를 대신하여 업소용 진공청소기(Z) 및 산업용 진공흡입장치 등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후 드릴링 할 곳에 상기 진공청소기(Z)와 연결 설치된 집진장치(100)의 분진흡입체(107)의 내부가 정확하게 위치토록 대고, 진공청소기(Z)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하여 가동시키게 되면 강한 흡입력이 흡입호스(Za)를 타고 집진장치(100)의 본 체(101) 내부공간부(102)에 작용하게 되고, 내부공간부(102)가 진공에 가까워지면서 본체(101)가 천정 또는 벽면에 밀착되며, 이때 본체(101) 하부의 제1밀착날개편(103)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밀착이 이루어지며, 본체(101)와 높이가 동일한 분진흡입체(107)의 하단에 형성된 제2밀착날개편(109)이 외향되게 만곡되면서 벽면에 밀착이 이루어지며, 이 상태에서 드릴의 비트를 분진흡입체(107)의 상단부 밀폐날개편(111) 가운데로 밀어 넣으며 분진흡입체(107) 내부도 진공에 가까워지게 되는데, 이는 밀폐날개편(111)이 비트에 접하면서 아주 미세한 양의 외부 공기만 절개부(112)를 통해 분진흡입체(107)로 유입되어 흡착력이 보다 배가되기 때문이며, 다음 드릴을 작동시키면 벽면에 드릴링을 행하면 되는 것이다.
드릴의 비트에 의해 드릴링이 이루어지면서 발생되는 각종 분진 및 파편은 진공청소기(Z)로부터 흡입호스(Za)를 통해 작용하는 흡입력이 본체(101)의 내부공간부(102)에 강하게 작용하면서 분진흡입체(107)의 하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흡입공(108)을 통해 분진흡입체(107) 내부에 강하게 작용하므로 분진흡입체(107) 내부에서 흡입공(108)을 관통하여 본체(101)의 내부공간부(102)를 거쳐 연결관(106)에 연결 설치된 흡입호스(Za)를 타고 진공청소기(Z) 내부로 유입되며, 이로 인하여 분진흡입체(107) 상부에 형성된 절개부(112)나 기타 공간상으로 비산되지 않게 되므로 분진으로 인한 실내공간의 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사용자가 별도로 분진으로 인한 각종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마스크 및 보호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정밀도 향상은 물론이고,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 천공드릴용 집진기(10)에서는 밀착부(9b)가 내향되어 있고, 정 해진 천공드릴삽입구멍(8)이 형성된 마개(7)를 사용함에 따라 상술한바와 같이 다소의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100)는 우선 분진흡입체(107)의 하단에 형성된 제2밀착날개편(109)이 외향되게 만곡되어 있어서 드릴링으로 발생된 분진이 분진흡입체(107)의 내부 어디에도 고여 있거나 남아있지 않고, 분진흡입체(107)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절개부(112)에 의해 수개 상측으로 내향되게 구성된 밀폐날개편(111)에 의해 드릴의 비트 직경이 다양하더라도 일일이 교체하지 않고 비트만 교환하면 되므로 작업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며, 만에 하나라도 비트의 직경이 아주 작은 소형 비트를 사용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면 본체(101)의 결합편(105)에 결합된 결합홈(110)이 형성된 분진흡입체(107)를 간단하게 분리하여 밀폐날개편(111) 상단부 직경이 작은 것으로 바꿔 다시 본체(101)에 결합하는 간단한 교체작업만 해주면 보다 편리하게 천공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100)는 내부공간부(102)와 진공청소기(Z)의 흡입호스(Za)가 연통되게 연결 설치된 본체(101)의 관통공(104)에 하단에 외향으로 만곡되는 제2밀착날개편(109)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단에 방사상의 절개부(112)에 의해 분할된 밀폐날개편(111) 수개를 일체로 형성한 분진흡입체(107)를 결합 구성하거나 일체로 성형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천공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 및 파편 등의 비산을 보다 효율 적으로 방지하여 분진으로 인한 실내공간의 오염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별도로 마스크 및 보호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정밀도 향상과 편의성을 배가시키며, 분진으로 인한 각종 호흡기질환 및 안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 교체 없이도 천공드릴에 장착되는 다양한 직경의 비트를 호환성 있게 사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고취시키며, 집진장치(100)의 밀착력 및 분진의 흡입력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천공작업을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공간부(102)가 형성된 본체(101)와, 본체(101)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외향되게 일체로 형성된 제1밀착날개편(103)과, 본체(101)의 상부 일측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104)과, 본체(101)의 상부 타측에 진공청소기(Z)의 흡입호스(Za)를 연결하기 위해 결합 구성된 연결관(106)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천공드릴용 집진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천공드릴용 집진장치(100)는
    관통공(104)의 가장자리에 상향 돌출되게 본체(101)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의 결합편(105)과,
    관통공(104)에 결합 구성되며, 결합편(105)이 강제 끼움되도록 상부에 결합홈(11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분진흡입체(107)와,
    분진흡입체(107)의 하부에 분진을 흡입토록 내외로 관통되게 방사상으로 수개 구성된 흡입공(108)과,
    분진흡입체(107)의 하단에 진공 흡착 시 외향되게 만곡되어 분진흡입체(107)를 보다 천정이나 벽면에 밀착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밀착날개편(109)과,
    분진흡입체(107)의 상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수개의 절개부(112)에 의해 분할 구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드릴의 비트 직경에 따라 확장 가능토록 상측으로 내향되게 일체 구성된 밀폐날개편(1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1)와 분진흡입체(107)를 일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KR2020070007485U 2007-05-07 2007-05-07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KR200800052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485U KR20080005289U (ko) 2007-05-07 2007-05-07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485U KR20080005289U (ko) 2007-05-07 2007-05-07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289U true KR20080005289U (ko) 2008-11-12

Family

ID=4132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485U KR20080005289U (ko) 2007-05-07 2007-05-07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28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56B1 (ko) 2019-02-18 2019-10-04 김순석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
KR20230171772A (ko) 2022-06-14 2023-12-21 김정선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856B1 (ko) 2019-02-18 2019-10-04 김순석 집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천공장치
KR20230171772A (ko) 2022-06-14 2023-12-21 김정선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674A (en) Dust collector assembly for drilling tools
KR20180126999A (ko) 드릴용 집진장치
MY122942A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CN105642947B (zh) 一种电钻除尘装置
CN106308681B (zh) 气尘分离装置及吸尘器
JP5270940B2 (ja) 吸引式掃除機
EP1084008A1 (en) Dust collection device
KR20080005289U (ko)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JPH09225718A (ja) 回転穿孔工具用集塵具
CN211840636U (zh) 除尘组件以及激光切割装置
KR200407544Y1 (ko) 천공드릴용 집진기
KR20110010426U (ko) 천공 드릴용 집진기
KR102392181B1 (ko) 분진제거기능이 구비된 홀쏘장치
CN210389697U (zh) 一种钻孔集尘集水装置
EP3277458A1 (en) A cutting jig
CN210499444U (zh) 一种数控车床加工废屑收集装置
US10010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debris
JPS59147617A (ja) 塵埃吸引装置の吸取口
WO2019033526A1 (zh) 油雾分离装置
JP2009019794A (ja) ドレンパン及びこのドレンパンを備えた空調機用室内機
CN206066732U (zh) 一种吸尘接头及含其的吸尘器
CN211302446U (zh) 一种平头机除尘装置
KR200461207Y1 (ko) 지퍼백 형상의 분진 수집 필터
TW201542937A (zh) 具有混合氣體功能之水驅動裝置
KR20230171772A (ko) 천공드릴용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