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684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684A
KR20230171684A KR1020220072144A KR20220072144A KR20230171684A KR 20230171684 A KR20230171684 A KR 20230171684A KR 1020220072144 A KR1020220072144 A KR 1020220072144A KR 20220072144 A KR20220072144 A KR 20220072144A KR 20230171684 A KR20230171684 A KR 20230171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protrusion
stator core
area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684A/ko
Publication of KR20230171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6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08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9Magnetic cores comprising laminations characterised by being fastened by caul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요크와 상기 요크에서 돌출된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축방향으로 형상이 상이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대로 적층되어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투스는 서로 접촉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와, 스테이터 코어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에 감기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는 요크와, 요크에서 축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테이터 코어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는 요크와 투스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할코어가 환형으로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분할코어들은 투스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분할코어는 서로 다른 형태로 진동할 수 있다. 이처럼 분할코어가 진동하면, 모터의 전체 소음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분할코어가 조립되어 스테이터 코어를 형성하게 되면, 축방향을 기준으로 분할코어들 사이의 결합구조가 없기 때문에 분할코어들의 축방향 위치에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모터의 전체소음을 줄이고, 분할코어들의 축방향 위치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요크와 상기 요크에서 돌출된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축방향으로 형상이 상이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대로 적층되어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투스는 서로 접촉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투스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투스의 타측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제1 돌기와 타측의 상기 투스의 제2 돌기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는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원주방향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상기 제1 면과 타측의 상기 투스의 상기 제2 면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제1 면에 수직인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는 제2 면에 수직인 제4 면을 포함하고, 원주방향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상기 제3 면과 타측의 상기 투스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원주방향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상기 제4 면과 타측의 상기 투스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형상 및 크기 동일한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은 형상 및 크기 동일한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축방향 길이와 상기 제2 영역의 축방향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제1 영역과 타측의 상기 투스의 제2 영역은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투스는 상기 로터를 대향하는 제5 면과, 슈를 이루는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각각 제7 면과 제8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7 면은 상기 로터와 대향하며 상기 제5 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8 면은 상기 제6 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투스는 상기 로터를 대향하는 제5 면과 상기 제5 면에 배치되는 음각의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의 반경방향 길이 또는 상기 제2 돌기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높이의 반경방향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제1 돌기와 타측의 상기 투스의 제2 돌기가 축방향으로 오버랩하는 영역의 원주방향 길이는 제1 영역의 축방향 길이 또는 제2 영역의 축방향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어의 투스의 슈가 서로 결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어의 투스의 슈가 축방향으로도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분할코어들의 축방향 위치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어의 요크 뿐만 아니라, 투스가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테이터 코어의 사시도,
도 3은 스테이터 코어의 평면도,
도 4는 스테이터 코어의 사시도,
도 5는 스테이터 코어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반경방향에서 바라본 스테이터 코어의 정면도,
도 7은 제1 영역을 이루는 제1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2 영역을 이루는 제2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노치가 형성된 스테이터 코어의 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어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스테이터 코어의 정면도,
도 11은 제1 스테이터 코어의 투스와 제2 스테이터 코어의 투스의 결합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샤프트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의 반지름을 갖는 원을 따라가는 방향을 원주 방향이라 부른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100), 로터(200), 스테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내측이라 함은 하우징(400)에서 모터의 중심인 샤프트(1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며, 외측이라 함은 샤프트(100)에서 하우징(400)의 방향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 반경방향은 샤프트(100)의 축중심을 기준으로 한다.
샤프트(100)는 로터(2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2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100)가 회전한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회전한다. 로터(200)는 로터코어(210)와 로터코어(210)에 배치되는 마그넷(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 스테이터 코어(310)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320) 및 코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330)은 인슐레이터(320)에 감길 수 있다. 인슐레이터(320)는 코일(330)과 스테이터 코어(310) 사이에 배치되어, 스테이터 코어(310)과 코일(330) 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코일(330)은 로터(200)의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도 2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스테이터 코어(310)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터 코어(310)는 요크(311)와 투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투스(312)는 요크(311)의 내주면에서 스테이터(300)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투스(312)는 복수 개일 수 있다. 투스(312)의 개수는 마그넷(220)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310)는 이러한 요크(311)와 투스(312)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할코어가 환형으로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투스(312)의 슈가 서로 맞물리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스테이터 코어(310)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된다.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서로 형상이 상이하다. 그리고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은 축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A1)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영역(A2)도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영역(A1)은 제1 돌기(313)를 포함한다. 제1 돌기(313)는 투스(312)의 슈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영역(A2)은 제2 돌기(314)를 포함한다. 제2 돌기(314)는 투스(312)의 슈의 타측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된다.
축방향으로 제1 돌기(313)와 제2 돌기(314)는 교대로 배치된다. 제1 돌기(313)는 원주방향으로 투스(3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 돌기(314)는 원주방향으로 투스(312)의 타측에 위치한다. 축방향으로 제1 돌기(313)와 제1 돌기(31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제2 돌기(314)와 제2 돌기(314)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돌기(313)와 제2 돌기(314)로 인하여 투스(312)의 슈의 양 측면은 지그재그 형태로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로터(200)와 대향하는 투스(312)의 내면에는 노치(315)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돌기(313)는 제1 면(S1)과 제3 면(S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S1)은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면(S3)은 제1 면(S1)에 수직인 평면일 수 있다. 반경방향에 바라보았을 때, 제1 돌기(313)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면(S1)은 제1 돌기(313)의 상면과 하면일 수 있고, 제2 면은 제1 돌기(313)의 측면일 수 있다.
로터(200)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돌기(313)의 내면은 투스(312)의 내면과 연속된 면일 수 있다.
제2 돌기(314)는 제2 면(S2)과 제4 면(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S2)은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면(S4)은 제2 면(S2)에 수직인 평면일 수 있다. 반경방향에 바라보았을 때, 제2 돌기(314)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면(S2)은 제2 돌기(314)의 상면과 하면일 수 있고, 제2 면(S2)은 제2 돌기(314)의 측면일 수 있다.
로터(200)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돌기(314)의 내면은 투스(312)의 내면과 연속된 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기(313)와 제2 돌기(314)로 인하여 반경방향에서 바라볼 때, 투스(312)의 양 측은 사각형의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반경방향에서 바라본 스테이터 코어(31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영역(A1)의 축방향 길이(L1)와 제2 영역(A2)의 축방향 길이(L2)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은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영역(A2)도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1 영역(A1)의 적층된 플레이트의 개수와 제2 영역(A2)의 적층된 플레이트의 개수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영역(A1)을 이루는 제1 플레이트(310a)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 영역(A2)을 이루는 제2 플레이트(310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영역(A1)은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310a)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310a)의 단부의 일측에는 제1 돌기(313)를 형성하는 돌출부(313a)가 마련된다. 제1 플레이트(310a)의 단부의 타측에는 제1 돌기(313)와 같은 돌출구조가 없어, 기준선을 기준으로 제1 플레이트(310a)는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310a)는 그 형상 및 크기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영역(A2)은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310b)가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10b)의 단부의 일측에는 제2 돌기(314)를 형성하는 돌출부(314a)가 마련된다. 제2 플레이트(310b)의 단부의 타측에는 제2 돌기(314)와 같은 돌출구조가 없어, 기준선을 기준으로 제2 플레이트(310b)도 비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310b)는 그 형상 및 크기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선이라 함은, 제1 플레이트(310a)의 원주방향 중심과 스테이터 코어(310)의 중심 또는 제2 플레이트(310b)의 원주방향 중심과 스테이터 코어(3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직선을 의미한다.
도 9는 노치(315)가 형성된 스테이터 코어(310)의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투스(312)는 제5 면(S5)과 제6 면(S6)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면(S5)은 로터(200)를 대향하는 투스(312)의 내면에 해당하고, 제6 면(S6)은 투스(312)의 슈를 이루는 면헤 해당한다.
제1 돌기(313)와 제2 돌기(314)는 각각 제7 면(S7)과 제8 면(S8)을 포함한다. 제7 면(S7)은 로터(200)와 대향하는 면으로 제5 면(S5)과 연속되는 면에 해당한다. 제8 면(S8)은 코일이 권선되는 슬롯을 형성하는 면의 일부로서 투스(312)의 제6 면(S6)과 연결된다. 제8 면(S8)은 투스(312)의 제6 면(S6)과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투스(312)의 내면에는 음각 형태의 복수 개의 노치(31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노치(315)는 코깅토크를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코깅 토크는 진폭과 주파수를 갖는 파동의 형태로 나타나고, 코깅 메인 차수란, 모터의 단위 회전(1회전) 당 코깅 토크 파형의 진동 횟수를 의미한다. 코깅 메인 차수가 커지면, 코깅 토크 파형의 진동 횟수가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코깅 토크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코깅 메인 차수는 마그넷(220)의 개수와 투스(312)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코깅 메인 차수를 늘리면 코깅 토크를 줄일 수 있지만, 마그넷(220)의 개수와 투스(312)의 개수는 고정되기 때문에, 코깅 메인 차수도 고정된다.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투스(312)의 형상 변경(음각의 노치(315))을 통해 코깅 메인 차수을 늘림으로써, 주파수를 크게 하여 코깅 토크 크기를 줄이고자 한다.
제1 돌기(313)의 반경방향 길이(D1)와 제2 돌기(314)의 반경방향 길이(D2)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313)의 반경방향 길이(D1)와 제2 돌기(314)의 반경방향 길이(D2)는 노치(315)의 반경방향 깊이(D3)보다 작을 수 있다. 노치(315)의 반경방향 깊이(D3)는 스테이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5 면(S5)을 지나는 원주상에서 노치(315)의 바닥까지 최단거리일 수 있다.
제1 돌기(313)의 반경방향 길이(D1) 또는 제2 돌기(314)의 반경방향 길이(D2)가 노치(315)의 반경방향 깊이(D3)보다 크게 되면,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어(310)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는 있으나, 슬롯의 공간이 즐어들어 코일의 점적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0은 이웃하는 스테이터 코어(310)가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 스테이터 코어(310)의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와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는 맞물릴 수 있다. 스테이터(300)의 조립 과정에서,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요크(311)와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요크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와 제2 스테이터의 투스(312)가 서로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제1 돌기(313)의 축방향 사이의 공간으로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제2 돌기(314)가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와 제2 스테이터의 투스(312)가 서로 접촉하면, 축방향으로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제1 돌기(313)와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제2 돌기(314)는 오버랩하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서로 접촉한다.
오버랩하는 영역의 원주방향 길이(L3)는 적어도 1mm이상일 수 있다. 다만, 축방향으로 오버랩하는 영역의 원주방향 길이(L3)는 제1 영역(A1)의 축방향 길이(L1) 또는 제2 영역(A2)의 축방향 길이(L1)보다 작을 수 있다. 축방향으로 오버랩하는 영역의 원주방향 길이(L3)는 제1 영역(A1)의 축방향 길이(L1) 또는 제2 영역(A2)의 축방향 길이(L1)보다 크면,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와 제2 스테이터의 투스(312)가 맞물리기 어렵고, 맞물리는 과정에서, 투스(312)가 변형될 위험이 있다.
도 11은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와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의 결합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와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가 맞물리면,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의 제1 돌기(313)의 제1 면(S1)이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의 제2 돌기(314)의 제2 면(S2)과 면 접촉한다. 이때,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의 제1 돌기(313)의 제3 면(S3)은 원주방향으로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와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의 제2 돌기(314)의 제4 면(S4)은 원주방향으로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의 제1 돌기(313)의 제1 면(S1)이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의 제2 돌기(314)의 제2 면(S2)과 면 접촉하면서, 축방향으로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위치와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위치가 고정된다. 때문에 축방향으로 스테이터 코어(310)간의 위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의 제1 돌기(313)의 제1 면(S1)과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의 제2 돌기(314)의 제2 면(S2)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의 제1 돌기(313)의 제3 면(S3)과 제2 스테이터 코어(310B) 사이 또는,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의 제2 돌기(314)의 제4 면(S4)과 제1 스테이터 코어(310A) 사이에도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는 제1 스테이터 코어(310A)의 투스(312)와 제2 스테이터 코어(310B)의 투스(312)가 맞물린 상태에서, 제1 돌기(313)와 제2 돌기(314)의 접촉영역(P)마다 용접이 진행될 수 있다.
이처럼 지그재그 형태의 일측의 투스(312)의 제1 돌기(313)와 타측의 투스(312)의 제2 돌기(314)가 맞물리면서, 접착제의 도포영역 또는 용접영역이 증가하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310)간의 결합력을 크게 높이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또는 가전용 등 다양한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샤프트
200: 로터
210: 로터 코어
220: 마그넷
300: 스테이터
310: 스테이터 코어
311: 요크
312: 투스
313: 제1 돌기
314: 제2 돌기
310A: 제1 스테이터 코어
310B: 제2 스테이터 코어
320: 인슐레이터
330: 코일
A1: 제1 영역
A2: 제2 영역

Claims (10)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 로터; 및
    상기 로터와 대응되게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결합된 인슐레이터 및 상기 인슐레이터 상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요크와 상기 요크에서 돌출된 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는 축방향으로 형상이 상이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교대로 적층되어 배치되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투스는 서로 접촉하는 모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투스의 일측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투스의 타측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제1 돌기와 타측의 상기 투스의 제2 돌기는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서로 접촉하는 모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는 축방향과 수직인 평면상에 배치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원주방향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상기 제1 면과 타측의 상기 투스의 상기 제2 면은 접촉하는 모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제1 면에 수직인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는 제2 면에 수직인 제4 면을 포함하고,
    원주방향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상기 제3 면과 타측의 상기 투스는 이격되어 배치되고,
    원주방향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상기 제4 면과 타측의 상기 투스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모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형상 및 크기 동일한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영역은 형상 및 크기 동일한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모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축방향 길이와 상기 제2 영역의 축방향 길이는 동일한 모터.
  7. 제1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제1 영역과 타측의 상기 투스의 제2 영역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모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는 상기 로터를 대향하는 제5 면과, 슈를 이루는 제6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각각 제7 면과 제8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7 면은 상기 로터와 대향하며 상기 제5 면과 연결되고, 상기 제8 면은 상기 제6 면과 연결되는 모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스는 상기 로터를 대향하는 제5 면과 상기 제5 면에 배치되는 음각의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의 반경방향 길이 또는 상기 제2 돌기의 반경방향 길이는 상기 높이의 반경방향 깊이보다 작은 모터.
  10. 제1 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일측의 상기 투스의 제1 돌기와 타측의 상기 투스의 제2 돌기가 축방향으로 오버랩하는 영역의 원주방향 길이는 제1 영역의 축방향 길이 또는 제2 영역의 축방향 길이 보다 작은 모터.
KR1020220072144A 2022-06-14 2022-06-14 모터 KR202301716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144A KR20230171684A (ko) 2022-06-14 2022-06-14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144A KR20230171684A (ko) 2022-06-14 2022-06-14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684A true KR20230171684A (ko) 2023-12-21

Family

ID=8932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144A KR20230171684A (ko) 2022-06-14 2022-06-14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6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3471B2 (ja) ステータ
WO2018043026A1 (ja) 表面磁石型モータ
KR101135251B1 (ko) Eps모터 스테이터의 분할 코어
JP2017022970A (ja) 単相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及びそのロータ
JP6461381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および、回転電機の固定子の製造方法
WO2013121611A1 (ja) ロータコア、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4297929B2 (ja)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WO2011121983A1 (ja) 回転電気機械
JP3137510B2 (ja) 同期機の固定子,その製造方法並びにティース片及びヨーク片
JP2019516336A (ja) パワーターミナルおよびそれを含むモーター
JP2017060394A (ja) 単相永久磁石モータ
JP3205347U (ja) 単相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及びそのロータ
CN109546832B (zh) 无刷直流电机及其双离合变速器
JP6498536B2 (ja) コアおよび回転電機
JP2019126102A (ja) 回転子および回転電機
JP5911018B2 (ja) 電機子およびその電機子を備えた回転電機
EP3846320A1 (en) Motor
KR20230171684A (ko) 모터
US20220158515A1 (en) Stator
JP2018133850A (ja) 回転電機
KR20010003882A (ko)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및 그 제조방법
JP5256835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及び回転電機
JP2020022225A (ja) 電動モータ
JP6007122B2 (ja) ステータ、モ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KR20230100112A (ko) 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