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467A -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및 이러한 구동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및 이러한 구동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467A
KR20230171467A KR1020237039300A KR20237039300A KR20230171467A KR 20230171467 A KR20230171467 A KR 20230171467A KR 1020237039300 A KR1020237039300 A KR 1020237039300A KR 20237039300 A KR20237039300 A KR 20237039300A KR 20230171467 A KR20230171467 A KR 20230171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rive
layer
battery cell
driv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크로머
크리스티안 카르게스
토마스 하르슈
Original Assignee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171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4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2Trailers with one axle or two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벽 및 바닥벽을 구비하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을 갖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이 구동 배터리 하우징 내에는, 수직으로 그리고 서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셀을 갖는 배터리 셀 층 및 가스 제거층, 간격 층 또는 변형층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지지층이 배열되어 있다. 배터리 셀 층은 상부 접착제 층에 의해서는 덮개벽과 그리고 하부 접착제 층에 의해서는 지지층과 접착되어 있는데, 특히 넓은 면적에 걸쳐, 다시 말해 자신의 전체 표면에 걸쳐 접착되어 있다. 지지층은 또한 추가 층에 의해 바닥벽과도 접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및 이러한 구동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본 발명은, 구동 배터리 하우징을 갖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및 이와 같은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구동 장치를 갖는 자동차는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을 갖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 하나의 전기/전자 장치 및 하나의 냉각 장치가 그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을 구비하는 구동 배터리를 갖고 있다.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재차 차량 차체에서 바닥 어셈블리 아래에 장착되어 있다. 공지된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측면 빔(beam), 덮개 및 바닥을 구비한다. 측면 빔은 예를 들어 압출 프로파일 또는 주조 부품으로서 구현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구동 배터리에 특정의 강성 및 충돌 저항 능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 다른 세로 빔 및 가로 빔이 배터리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있다.
DE 10 2017 223 407 A1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세로 빔 그리고 이들 세로 빔 사이에서 진행하는 복수의 가로 빔을 갖고 있다. 또한,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상부 벽 및 하부 벽을 가지며, 이들 벽은 각각 적어도 외부 빔 구조, 즉 외부 세로 빔 및 외부 가로 빔과 연결되어 있다. 세로 빔 및 또한 가로 빔도 압출 프로파일로 형성되었다.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차체 바닥 아래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구동 배터리 또는 이와 같은 구동 배터리를 갖는 자동차를 제작하는 것이며, 이 경우 구동 배터리는 설치 공간당 더 높은 전력 밀도 및 그와 동시에 더 큰 강성 그리고 강도를 갖는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1 또는 12의 특징부를 구비하는 구동 배터리 또는 이와 같은 구동 배터리를 갖춘 자동차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특허 청구항들에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는 덮개벽 및 바닥벽을 구비하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을 갖고 있다. 구동 배터리 하우징 내에는, 수직으로 그리고 서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셀을 갖는 배터리 셀 층 및 가스 제거층, 간격 층 또는 변형층으로도 지칭될 수 있는 지지층이 배열되어 있다. 배터리 셀 층은 상부 접착제 층에 의해서는 덮개벽과 그리고 하부 접착제 층에 의해서는 지지층과 접착되어 있는데, 특히 넓은 면적에 걸쳐, 다시 말해 자신의 전체 표면에 걸쳐 접착되어 있다. 지지층은 또한 추가 접착제 층에 의해 바닥벽과도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는, 차량 좌표계 내에서 높이 방향으로, 다시 말해 Z-방향으로 매우 콤팩트한 그리고 설치 공간을 절약하는 구동 배터리가 제작되었다. 구동 배터리의 전체 높이와 관련하여, 배터리 셀은 상대적으로 높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는 구동 배터리의 저장 용량이 증가되었다. 덮개벽, 배터리 셀 층, 지지층 및 바닥벽이 서로 샌드위치 형태로 접착됨으로써, 구동 배터리가 전체적으로 높은 비틀림 강성 및 굽힘 강성을 갖게 되며, 결과적으로 구동 배터리 내에서는 또 다른 빔 구조가 필요치 않게 된다. 구동 배터리의 모든 층은 구동 배터리의 강성 및 강도에 기여한다. 구동 배터리는, 덮개벽이 상부에 형성되고 바닥벽이 하부에 형성되는 방식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벽은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 자동차의 하부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지지층이 간격 층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배터리 셀 층과 바닥벽 사이에는 특정의 거리가 존재하게 되고, 그 결과 볼라드(bollard) 위로 지나가는 경우에는, 다시 말해 아래로부터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변형 공간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지지층은, 변형에 의해서 충돌 에너지를 충분히 감소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지층의 접착에 의해, 이 지지층은 자신의 변형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구동 배터리의 강성 및 강도에 기여하게 된다.
상부 접착제 층 및/또는 하부 접착제 층 및/또는 추가 접착제 층은 발포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포성 재료는 구조적 폼으로도 지칭된다. 발포성 재료는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일 개선예에 따르면, 배터리 셀 층은 다수의 배터리 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배터리 셀은 배터리 셀 하우징 및 이 배터리 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셀 코일(cell coil)로 이루어진다. 배터리 셀 하우징의 상부 정면은 각각 덮개벽과 접착되어 있고, 배터리 셀 하우징의 하부 정면은 각각 지지층과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배터리 셀 하우징은 벌집 형태의 구조와 유사한 다중 챔버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이 다중 챔버 구조는 구동 배터리의 다른 층과의 접착에 의해서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배터리 셀 하우징은 벽이 얇고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강철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한 배터리 셀 하우징은 외측면에서 위·아래로 서로 접착될 수 있다.
특히, 인접한 배터리 셀 하우징은 발포성 재료에 의해 외측면에서 위·아래로 접착될 수 있다. 발포성 재료는 폴리우레탄 폼일 수 있다.
배터리 셀은 소위 원형 셀, 다시 말해 원통형일 수 있거나 또한 소위 각기둥 형상의 셀, 다시 말해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일 수도 있다.
상호 분리된 배터리 셀 하우징을 갖는 실시예에 대해 대안적으로, 배터리 셀 층은 또한 다수의 수직 챔버를 갖는 - 덮개벽 또는 바닥벽의 평면에 대해 횡 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진행하는 - 일체로 형성된 다중 챔버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다수의 수직 챔버 내에는 각각 하나의 셀 코일 또는 또한 복수의 셀 코일이 수용되어 있다. 이 경우 다중 챔버 구조의 상부 정면은 덮개벽과 접착되어 있고, 다중 챔버 구조의 하부 정면은 지지층과 접착되어 있다. 다중 챔버 구조는 예를 들어 압출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개별 챔버는 예를 들어 벌집과 유사하게 정사각형의 또는 다른 다각형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체형으로 형성된 다중 챔버 구조는 더 적은 중량에서 구동 배터리에 훨씬 더 큰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서는 동일한 면적에 더 많은 수의 셀 코일이 수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개선예에 따르면, 구동 배터리는 상부 접착제 층 및/또는 하부 접착제 층 내부에 매립된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을 갖고 있다.
접착제 층 내에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이 보호된 상태로 - 예를 들어 부식으로부터 보호된 상태로 - 수용되어 있다. 그와 동시에, 이로 인해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이 위에서 설명된 구동 배터리의 강성 및 강도에 기여할 수 있다.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접촉 극에 의해 상부 접착제 층 내부에 매립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이 특히 우수하게 보호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특히, 이 경우에는 바닥벽이 충돌할 때에 더 우수하게 보호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배터리 셀 내에서 지지층을 향하고 있는 측에는 가스 제거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배터리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터리 셀의 가스 제거 개구는 아래쪽으로 정렬되며, 덮개벽의 방향으로는 그리고 이로써 탑승자 공간의 방향으로는 정렬되지 않는다. 아래쪽으로는 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더 많은 공간이 존재하며, 이로써 가스가 탑승자 공간의 방향으로 흘러가는 상황이 더 우수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배터리 셀의 가스 제거 개구가 배터리 셀의 하부 면에, 다시 말해 지지층을 향하고 있는 하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지지층 내에서는 바람직하게 각각 가스 제거 개구의 영역에 리세스, 즉 가스 제거 공간 또는 자유 공간이 제공되어 있다. 인접한 리세스가 가스 제거 채널을 통해 서로 적절하게 연결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배터리 셀로부터 빠져나가는 가스는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지지층은 발포성 재료, 특히 발포성 플라스틱, 예를 들어 발포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포성 재료는 가볍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접한 층과 완전히 접착되는 경우에는 구동 배터리의 강성 및 강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발포성 재료는 변형에 의해 충돌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데 매우 우수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개선예에 따르면, 덮개벽은 배터리 셀 층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 교환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벽은 구동 배터리가 장착된 경우에 탑승자 공간을 위한 온도 조절 표면으로서도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르면, 지지층은 배터리 셀 층의 온도 조절을 위한 열 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배터리 셀 사이에는 열 교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열 교환 장치는 배터리 셀의 외측면에, 다시 말하자면 정면이 아닌 외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셀 간 온도 조절로도 지칭된다.
외측면을 통한 온도 조절에 의해서는 더 높은 온도 조절 성능이 실현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구동 배터리는 원하는 목표 작동 온도에 더욱 신속하게 도달하게 되고 전력 소비가 증가된 상태에서는 그에 상응하게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목표 작동 온도는 초과되지 않는다.
덮개벽과 바닥벽은 바람직하게는 플랜지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플랜지 연결부에 있는 상응하는 밀봉부에 의해서는 유체 밀봉 방식의 구동 배터리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벽 및/또는 바닥벽은 홈통(trough)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홈통의 구성 부품일 수 있다.
바닥벽의 내측에는 예를 들어 운모 판과 같은 열 보호층이 배열될 수 있다. 바닥벽은 열 보호층과 접착될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는 열 보호층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열 보호층은 재차 바람직하게는 지지층과 접착되어 있다.
열 보호층은, 특히 배터리 셀로부터 뜨거운 가스가 방출되는 경우에 바닥벽을 위한 열 보호부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특히 바닥벽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장점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황은 배터리 셀의 가스 제거 개구가 배터리 셀의 하부 면에, 예를 들어 하부 정면에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장점이 될 수 있다.
덮개벽 및/또는 바닥벽은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또는 강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덮개벽 및/또는 바닥벽은 또한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탄소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덮개벽 및/또는 바닥벽의 내측에는 각각 예를 들어 코팅 형태의 전기 절연 층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덮개벽 및/또는 바닥벽에 대한 전기 절연이 필요하고 덮개벽 및/또는 바닥벽이 전기 전도성인 경우에 장점이 된다.
배터리 셀로 열을 방출하거나 공급하기 위한 개선된 열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부, 하부 및/또는 추가 접착제 층이 열 전도성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배터리는 자동차 차체의 바닥 어셈블리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 경우 바닥 어셈블리는 좌측 세로 빔 및 우측 세로 빔을 구비하며, 이 경우 구동 배터리 또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바닥 어셈블리에 아래로부터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덮개벽은 바닥 어셈블리의 하나의 바닥을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형성한다. 바닥벽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하부 바닥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배터리는, 자동차의 운전 동작을 위해 구동 배터리가 차체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그리고 자동차의 충돌 부하 경우를 위해 구동 배터리가 차체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고 바닥 어셈블리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설명된 바와 같은 구동 배터리를 갖춘 자동차, 특히 승용차 또는 트럭과 관련이 있다.
자동차는 전기 구동 장치를 갖고 있다. 자동차의 차체는 좌측 세로 빔 및 우측 세로 빔을 갖는 바닥 어셈블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차체 세로 빔은 사이드 스커트(side skirt) 또는 외부, 하부 세로 빔으로도 지칭된다. 구동 배터리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경우 구동 배터리 또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바닥 어셈블리에 아래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장착된 구동 배터리 또는 장착된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바닥 어셈블리의 하나의 바닥을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형성한다.
이로 인해서는, 구동 배터리가 바닥 어셈블리의 바닥을 대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자동차, 즉 차체, 특히 바닥 어셈블리는 더욱 가벼워지고, 더 적은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서는 차량 높이 방향(Z-방향)으로의 설치 공간이 줄어들 수 있거나 더 높은 배터리 셀이 설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배터리는 실질적으로 바닥 어셈블리의 전체 폭에 걸쳐, 다시 말하자면 실질적으로 좌측 세로 빔과 우측 세로 빔 사이에 있는 전체 설치 공간에 걸쳐 연장된다.
이로 인해서는, 구동 배터리 내에 충분한 배터리 셀이 수용될 수 있고, 바닥 어셈블리의 바닥의 충분히 큰 부분이 교체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자동차의 전방 차축과 후방 차축 사이에 있는 한 영역에서 또는 가급적 큰 영역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에너지 하우징은 (탑승자 공간의) 전방 정면 벽으로부터 또는 전방 정면 벽 아래로부터 좌측 휠 하우스(wheel house) 및 우측 휠 하우스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된다. 또한,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자동차의 제2 좌석 열 아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적어도 전방 차체 필러(A-필러)(body pillar)와 후방 차체 필러(특히 C-필러) 사이에 있는 한 영역으로부터 진행할 수 있고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르면, 구동 배터리와 바닥 어셈블리는 상호 작용하여 자동차의 탑승자 공간의 유체 밀봉된 바닥을 형성한다. 특히, 다만 구동 배터리 하우징과 바닥 어셈블리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만 아래쪽으로 탑승자 공간의 유체 밀봉이 이루어진다 - 구동 배터리 하우징이 없으면 바닥 어셈블리는 유체 밀봉된 바닥을 가질 수 없거나, 바닥 어셈블리 단독으로는 아래쪽으로 유체 밀봉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바닥 어셈블리의 연속적인 유체 밀봉된 바닥의 기능을 대체한다. 이와 같은 관계에서 "유체 밀봉"이라는 용어는 또한, 바닥 어셈블리 또는 구동 저장 하우징이 바닥 어셈블리와 상호 작용하여 케이블 부싱(cable bushing), 배수구 등을 위한 폐쇄 가능한 개구를 구비한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다. "유체 밀봉"은 특히 "액체 밀봉"을 의미한다.
구동 배터리 하우징과 바닥 어셈블리 사이에 밀봉부 또는 밀봉 접착제가 적절하게 배열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장착된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바닥 어셈블리를 아래쪽으로 완전히 밀봉하게 된다.
밀봉부는 예를 들어 부틸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부는 플랫 씰(flat seal), 립 씰(lip seal) 또는 프로파일 씰(profile seal)로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또한 동시에 장착 플랜지일 수도 있는 원주 밀봉 플랜지를 구비하며, 이때 이 밀봉 플랜지는 바닥 어셈블리에 대하여 구동 저장 하우징을 밀봉하기 위한 연속적인 원주 밀봉 표면을 갖고 있다.
원주 밀봉 플랜지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평면에, 다시 말해 차량 좌표계의 xy-평면에 평행한 하나의 평면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서는, 밀봉 상태가 더 우수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 따르면, 바닥 어셈블리는 전방 가로 빔 구조 및 후방 가로 빔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동 배터리는 좌측 세로 빔에 그리고 우측 세로 빔에 그리고 또한 전방 가로 빔 구조에 그리고 후방 가로 빔 구조에도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앞에서 언급된 밀봉 플랜지는 세로 빔 및 가로 빔 구조의 상응하는 플랜지 밀봉 표면에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어셈블리는 전방 가로 빔 구조와 후방 가로 빔 구조 사이에 하나 이상의 추가 가로 빔을 갖고 있으며, 이 추가 가로 빔은 각각 좌측 세로 빔 및 우측 세로 빔과 연결되어 있거나 좌측 세로 빔과 우측 세로 빔 사이에서 진행한다. 추가 가로 빔은 시트 가로 빔 또는 힐 플레이트 가로 빔(heel plate cross bea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 어셈블리가 복수의 추가 가로 빔을 갖고, 이들 추가 가로 빔 사이에 각각 자유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바닥 어셈블리는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시트 가로 빔(들)은 바람직하게는 B-필러에 이르기까지 정면 벽 뒤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으며, 전방 시트 열의 고정, 다시 말해 전방 시트의 고정을 위해 그리고 횡 방향으로 바닥 어셈블리의 충돌 저항을 위해 이용된다. 힐 플레이트 가로 빔은 통상적으로 제2 시트 열의 전방 단부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으며, 제2 시트 열의 고정을 위해 그리고 마찬가지로 횡 방향으로 바닥 어셈블리의 충돌 저항을 위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배터리는 특히 나사 연결에 의해서 추가 가로 빔에 장착되어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구동 배터리는 접착 연결에 의해서 가로 빔과 연결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는, 구동 배터리를 갖는 바닥 어셈블리의 전체 강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으며, 운전 동작 중에 자동차의 진동 거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서는 측면 충돌 시 구동 배터리가 좌굴(buckling)에 대항해서 가로 빔 또는 가로 빔 구조를 지지하게 된다.
또 다른 일 개선예에 따르면, 바닥 어셈블리는 전방 가로 빔 구조와 후방 가로 빔 구조 사이에 또는 전방 가로 빔 구조와 추가 가로 빔 사이에 바닥 패널을 구비하지 않는다 -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바닥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바닥 패널 없이 형성되거나 바닥 패널이 없다. 따라서, 바닥 어셈블리의 더 큰 영역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라는 표현은, 관통 개구를 형성하는 자유롭고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바닥 어셈블리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바닥 어셈블리는 좌측 세로 빔과 우측 세로 빔 사이에 하나 이상의 추가 세로 빔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추가 세로 빔은 전방 가로 빔 구조 및/또는 후방 가로 빔 구조와 연결되어 있다. 추가 세로 빔은 예를 들어 중앙에 배열될 수 있고, 이곳에서 중앙 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결국에는 바닥 패널을 구비하지 않는다.
바닥 패널은 통상적으로 단일 쉘 부품, 특히 평평한 부품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중공 프로파일 등을 갖거나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차체 빔을 형성하지 않는 단일 층 부품이다.
바람직하게는, 우측 세로 빔과 좌측 세로 빔 사이에 있는 그리고 전방 가로 빔 구조와 후방 가로 빔 구조 사이에 있는 표면의 40 내지 85%가 개방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바닥 패널 없이 그리고 가로 빔 없이 형성되어 있다.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덮개벽,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또는/및 하부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배터리 셀 층 및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층이 서로 겹쳐서 배열되어 있다(배열 단계). 대안적으로는, 바닥벽, 지지층,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또는/및 하부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및 배터리 셀 층이 서로 겹쳐서 배열되어 있다(배열 단계). 그 다음에는, 또 다른 일 공정 단계(충전 단계)에서, 개별 층과 배터리 셀 사이의 중간 공간이 액체 폼 전구체, 특히 2성분 혼합물 또는 다성분 혼합물로 충전된다. 또 다른 일 공정 단계(발포 단계)에서는, 2성분 혼합물 또는 다성분 혼합물, 다시 말해 발포 전구체가 충전 공정 후에 반응하여 발포성 물질, 특히 폴리우레탄 폼을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바닥벽,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또는/및 하부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배터리 셀 층 및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층이 서로 접착되거나, 덮개벽, 지지층,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또는/및 하부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및 배터리 셀 층이 서로 접착된다.
이로 인해서는, 배열 단계에 참여한 구동 배터리의 개별 층의 접착이 특히 간단하게 그리고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액체 폼 전구체로 충전할 때에는 바닥벽 또는 덮개벽이 바람직하게는 아래에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배터리 셀 층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층이 상응하게 그 위에 적층/배열된다.
이로 인해서는, 액체 폼 전구체가 중력에 의해서 위로부터 아래로 흐를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적절하게 분포된다.
설명된 방법은 여기에 설명된 모든 구동 배터리의 제조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이 방법은 위에 배열된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또는 아래에 배열된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또는 배터리 셀의 양 측면에 배열된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을 갖는 구동 배터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배터리 셀의 외측면에 그리고/또는 정면에 본원에서 설명된 상이한 열 교환기 시스템을 갖춘 구동 배터리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발포 단계 동안에 참여한 층이 특히 상응하는 공구를 통해 서로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층은 폼에 의해 상호 밀려나지 않게 되고, 접착 효과는 개선된다.
개별 층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이들 층과 별개로 형성되어 있는 층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는, 구동 배터리의 사전 설정된 치수가 더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접착제 층 및 경우에 따라 하부 접착제 층 및 경우에 따라 추가 접착제 층은 구동 배터리의 수직 방향(차량 좌표계 내에서는 z-방향)으로 정의된 치수를 갖게 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공정 단계에서는, 발포 단계 후에 바닥벽 또는 대안적으로 덮개벽이 예를 들어 추가 접착제 층 - 이 층은 바람직하게는 발포성 재료가 아님 - 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바닥벽 또는 덮개벽의 부착). 마찬가지로, 간격 층이 배열 단계에서 이미 배열되지 않은 경우, 이 간격 층은 바람직하게는 발포성 재료가 아닌 하부 접착제 층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닥벽 또는 대안적으로 덮개벽은 배열 단계에서 이미 배열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바닥벽 및 덮개벽을 포함하는 구동 배터리의 모든 층은 배열 단계에서 서로 겹쳐서 배열된다. 그 다음에 발포 단계가 실행된다. 이때, 발포 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배터리의 모든 층이 서로 조여지거나 서로 압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발포 중에 개별 층은 상호 밀려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구동 배터리의 모든 층이 발포에 의해 서로 접착된 후에는 그 다음에 추가 층을 부착하기 위한 추가 단계가 필요치 않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개선예들은, 만일 가능하고 합리적이라면 서로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이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배터리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체에 구동 배터리를 장착하기 전의 차체 및 구동 배터리를 갖춘 자동차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및 장착된 구동 배터리를 갖춘 자동차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는 구동 배터리가 없는 차체를 갖는 자동차의 아래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및 장착된 구동 배터리를 갖춘 자동차의 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배터리(1)가 단면도로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동 배터리(1)는 승용차의 차체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구동 배터리(1)는 승용차의 전기 구동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소위 고전압 저장 장치이다. 구동 배터리(1)는 복수의 층으로부터 샌드위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위로부터 시작할 때, 구동 배터리(1)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의 부분으로서의 덮개벽(35)을 갖고 있다. 덮개벽(35)은 상부 접착제 층(9)을 통해 배터리 셀 층(5)의 상부 면과 평탄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셀 층(5)의 하부 면은 하부 접착제 층(11)을 통해 지지층(7)과 평탄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층(7)은 재차 자신의 하부 면에서 추가 접착제 층(13)을 통해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의 바닥벽(33)과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 셀 층(5)은 다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다. 각각의 배터리 셀(51)은 재차 알루미늄 또는 강철로 이루어진 배터리 셀 하우징(53)으로 구성되며, 이 배터리 셀 하우징 내에는 셀 코일(55)이 수용되어 있다. 배터리 셀(51)은 원통 형상을 갖는 소위 원형 열이다. 배터리 셀(51)이 배터리 셀 층(5) 내에 세로로, 다시 말해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들 배터리 셀은 자신의 외측면에 의해 서로 인접하게 된다. 배터리 셀(51)의 상부 정면은 각각 접착제 층(9)과 그리고 이로써 덮개벽(35)과 연결되어 있다. 배터리 셀(51)의 하부 정면은 각각 접착제 층(11)과 그리고 이로써 지지층(7)과 연결되어 있다.
상부 접착제 층(9) 내에는, 더 이상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이 매립되어 있으며, 이 시스템은 배터리 셀(51)의 극을 서로 적절하게 연결한다. 접착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의 도체 트랙을 둘러싸고 있다. 배터리 셀(51)의 2개의 극은 배터리 셀(51)의 상부 정면에 위치한다.
배터리 셀(51)의 하부 정면에는 가스 제거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셀(51)의 가스 제거 개구에 대해 상호 보완적으로, 리세스 또는 가스 제거 공간이 지지층(7) 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에 상응하게, 접착제 층(11)도 리세스를 갖고 있다. 리세스가 가스 제거 채널을 통해 서로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배터리 셀(51)로부터 빠져나가는 가스는 지지층(7)의 가스 제거 채널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지지층(7)은 발포성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고 변형 가능하다. 이때, 자동차 내에 장착된 구동 배터리(1)가 바닥에 충돌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바닥벽(33)은 지지층(7)과 함께 변형되고, 이로써 배터리 셀 층(5)을 보호하기 위한 변형에 의해 충돌 에너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의 접착제 층(9, 11, 13)은 폴리우레탄 폼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구동 배터리(1)가 차체(10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차체(100)는 도 1에 완전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실질적으로는 다만 차체(100)의 바닥 어셈블리(105)만 도시되어 있다. 차체(100) 또는 바닥 어셈블리(105)는 좌측 사이드 스커트(107) 및 우측 사이드 스커트(108), 다시 말해 세로 빔을 갖는다. 구동 배터리(1)는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을 가지며, 이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 구동 배터리(1)의 후면 영역에 부착된 추가 하우징을 제외하고는 - 자신의 전체 연장부에 걸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고 있다. 구동 배터리 하우징(3) 내에는 배터리 셀 층(5)이 수용되어 있다. 추가 하우징 내에는 예를 들어 파워 전자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구동 배터리(1)는, 나사 연결부(121, 123)를 사용해서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로 접착 연결부에 의해서 바닥 어셈블리(105)에 아래로부터 장착된다.
도 3에는, 차체(100)의 y-방향 및 z-방향을 따른 매우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단면은 자동차의 탑승자 공간(109)을 통과한다. 도 2에서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에는 측면 스커트(107, 108)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측면 스커트에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이 나사 연결부(121)에 의해 아래로부터 장착되어 있다. 특히,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은 자신의 원주 플랜지(34, 36)에서 이들 사이에 배열된 밀봉부(19)와 함께 바닥 어셈블리(105)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단면도에는 바닥 어셈블리(105)의 가로 빔(115, 116, 117, 118)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동 에너지 저장 하우징(3)은 나사 연결부(123)에 의해서 가로 빔(115, 116, 117, 118)과 연결되어 있고 추가로 접착되어 있다.
장착된 구동 에너지 저장 하우징(3)은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바닥 어셈블리(105)의 바닥을 형성하고, 좌측 사이드 스커트(107)와 우측 사이드 스커트(108) 사이에서 바닥 어셈블리(105)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밀봉부(19)에 의해서는 탑승자 공간(109)이 아래쪽으로 밀봉되어 있다.
구동 배터리(1)의 샌드위치 형태의 구조 및 층의 상호 접착에 의해, 구동 배터리(1)는 높은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서는, 장착된 구동 배터리(1)가 바닥 어셈블리(105)와 상응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자동차는 전체적으로 더 높은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갖게 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구동 배터리(1)는 전술된 구조에 의해서 차체 구조 기능을 특히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는, 구동 배터리(1) 없이 다만 바닥 조립체(105)만 아래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어셈블리(105)는 전방 휠 하우스 뒤에 또는 전방 차축 뒤에 소위 전방 정면 벽을 갖는 전방 가로 빔 구조(111)를 가지며, 이 전방 정면 벽은 전방으로 차량 전방 단부에 이르기까지 탑승자 공간을 제한하고, 사이드 스커트(107과 108)의 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또한, 바닥 어셈블리(105)는 후방 휠 하우스 앞에 또는 후방 차축 앞에 후방 가로 빔 구조(113)를 가지며, 이 후방 가로 빔 구조는 사이드 스커트(107과 108)의 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자동차의 제2 시트 열을 형성하는 후방 뒷좌석(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바닥 어셈블리(105)는 또한 전방 가로 빔 구조(111)와 후방 가로 빔 구조(113) 사이에, 전방 시트 열의 그리고 차체(100)의 B-필러의 영역에 있는 시트 가로 빔(115, 116, 117)과 같은 추가 가로 빔을 구비한다. 후방 시트 열의 영역에는, 마찬가지로 추가 가로 빔을 형성하는 힐 플레이트 가로 빔(118)이 배열되어 있다. 모든 가로 빔(115, 116, 117, 118)은 좌측 사이드 스커트(107)와 우측 사이드 스커트(108) 사이에서 진행한다. 사이드 스커트(107과 108) 사이에 그리고 개별 가로 빔 구조(111과 113) 사이에 또는 추가 가로 빔(115, 116, 117, 118) 사이에 있는 영역은 개방되어 있다. 바닥 어셈블리(105)는 이들 빔 사이에 바닥 패널이 없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구동 배터리(1)가 장착된 바닥 어셈블리(105)가 비스듬하게 위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사이드 스커트(107과 108) 사이에 있는 그리고 바닥 어셈블리(105)의 전방 가로 빔 지지 구조(111)와 후방 가로 빔 구조(113) 사이에 있는 해칭된 표면은, 바닥 어셈블리(105)의 개별 빔 사이의 개방된 영역에 있는 구동 배터리(1)의, 특히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의 그리고 추가 하우징(37)의 상부 면을 지시한다. 구동 배터리(1)의 상부 면은 해칭된 영역에서 탑승자 공간(109)의 바닥을 형성하고, 이로써 종래의 바닥 패널을 대체한다. 도 5에서 더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배터리(1)는 정면 벽을 갖는 전방 가로 빔 구조(111)로부터 사이드 스커트(107, 108)의 후방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후방 가로 빔 구조(113)까지, 다시 말하자면 제2 시트 열을 형성하는 뒷좌석 아래에 있는 바닥 어셈블리(105)의 후방 휠 하우스까지 연장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의 장착 밀봉 플랜지(36)가 바닥 어셈블리(105)의 상응하는 구성 부품에 원주 밀봉 방식으로 둘레에 걸쳐 인접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구동 배터리 하우징(3)과 바닥 어셈블리(105)는 상호 작용하여 자동차의 탑승자 공간(109)의 유체 밀봉된 바닥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주 방향 조립 밀봉 플랜지(36)는 밀봉 평면에 위치된다.
차체의 종래의 바닥 어셈블리와 비교할 때, 바닥 어셈블리(105)는 바닥 패널을 갖고 있지 않으며, 이로써 인접한 가로 빔/가로 빔 구조 사이에 자유 공간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자유 공간은 구동 배터리 하우징(3) 또는 추가 하우징(37)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 가로 빔 구조(111)와 힐 플레이트 빔(118) 사이에 있는 바닥 어셈블리(105)의 65%는 사이드 스커트(107, 108)와 가로 빔 구조(111, 113) 사이의 구동 배터리 하우징(3) 없이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구동 배터리(1)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3)에 추가하여,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의 후방 영역에서, 즉 뒷좌석 아래의 영역에서, 다시 말해 힐 플레이트 가로 빔(118) 뒤에서 구동 배터리 하우징(3) 상에 부착되어 있는 추가 하우징(37)을 구비한다. 추가 하우징(37) 내에는, 예를 들어 파워 전자 장치와 같은 구동 배터리(1)의 전기 및 전자 구성 요소가 수용되어 있다. 추가 하우징(37)은 힐 플레이트 가로 빔(118)과 후방 가로 빔 구조(113) 사이의 중간 공간 내로 돌출한다.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의 일 상부 면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배터리 하우징은 하우징 하부(33) 및 하우징 상부(35)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하우징 하부(33)는 하우징 하부 플랜지(34)를 구비하고, 하우징 상부(35)는 하우징 상부 플랜지(36)를 구비하며, 이 경우 하우징 하부(33)와 하우징 상부(35)는 하우징 하부 플랜지(34) 및 하우징 상부 플랜지(36)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하우징 상부 플랜지(36)는 바닥 어셈블리(105)에 구동 배터리 하우징(33)을 장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우징 상부 플랜지(36)와 하우징 하부 플랜지(34) 사이에는 밀봉부(37)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상부 플랜지(36)와 바닥 어셈블리(105) 사이에도 밀봉부(19)가 배열되어 있다.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은 조립 밀봉 플랜지(34, 36)를 거쳐 나사 연결부(21)를 통해 바닥 어셈블리(105)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 에너지 저장 하우징(3) 또는 하우징 상부(35)는 나사 연결부(23)를 통해 가로 빔(115, 116, 117, 118)과 연결되어 있다.

Claims (26)

  1. 덮개벽(35) 및 바닥벽(33)을 구비하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을 갖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1)로서,
    상기 구동 배터리 하우징(3) 내에는, 수직으로 그리고 서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셀(51)을 갖는 배터리 셀 층(5) 및 지지층(7)이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배터리 셀 층(5)은 상부 접착제 층(9)에 의해서는 덮개벽(35)과 그리고 하부 접착제 층(11)에 의해서는 지지층(7)과 접착되어 있는데, 특히 넓은 면적에 걸쳐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층(7)은 또한 추가 접착제 층(13)에 의해 바닥벽(33)과도 접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층(5)은 다수의 배터리 셀(51)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배터리 셀(51)은 셀 코일(55)이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배터리 셀 하우징(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 셀 하우징(53)의 상부 정면(57)은 각각 덮개벽(35)과 접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배터리 셀 하우징(53)의 하부 정면(58)은 각각 지지층(7)과 접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층은 다수의 수직 챔버를 갖는 다중 챔버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수직 챔버 내에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셀 코일이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다중 챔버 구조의 상부 정면은 덮개벽과 접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다중 챔버 구조의 하부 정면은 지지층과 접착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착제 층(9) 내부에 그리고/또는 상기 하부 접착제 층(11) 내부에 매립된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을 더 갖고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은 2개의 접촉 극에 의해 상부 접착제 층(9)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배터리 셀(51) 내에서 지지층(7)을 향하고 있는 측에는 가스 제거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7) 내에서 배터리 셀(51)의 가스 제거 개구의 영역에 각각 리세스가 제공되어 있으며, 특히 인접한 리세스는 가스 제거 채널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7)은 발포성 재료, 특히 발포성 플라스틱, 예를 들어 발포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벽(35)은 배터리 셀 층(5)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 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7)은 배터리 셀 층(5)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열 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터리 셀(51) 사이에 열 교환 장치가 제공되어 있거나, 배터리 셀(51)의 외측면에 열 교환 장치가 제공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벽(35) 및 바닥벽(33)은 플랜지 연결부(34, 3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써 특히 유체 밀봉 방식의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을 형성하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33)의 특히 내측에 열 보호층, 특히 운모 판이 제공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33) 및/또는 덮개벽(35)의 특히 내측에 전기 절연 층이 제공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33) 및/또는 덮개벽(35)은 알루미늄으로부터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강철 재료 또는 섬유 보강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배터리(1)는 자동차 차체의 바닥 어셈블리(105)에 장착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 어셈블리(105)는 좌측 세로 빔(107) 및 우측 세로 빔(108)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배터리(1) 또는 구동 배터리 하우징(3)은 바닥 어셈블리(105)에 아래로부터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벽(35)은 바닥 어셈블리(105)의 하나의 바닥을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형성하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동 배터리 및 차체를 포함하는, 자동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는 좌측 세로 빔(107) 및 우측 세로 빔(108)을 갖는 바닥 어셈블리(105)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배터리(1)는 바닥 어셈블리(105)에 아래로부터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장착된 구동 배터리(1)는 바닥 어셈블리(105)의 하나의 바닥을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형성하는, 자동차.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배터리(1)와 바닥 어셈블리(105)는 상호 작용하여 자동차의 탑승자 공간(109)의 유체 밀봉된 바닥을 형성하며,
    이 경우에는 특히 다만 구동 배터리 하우징(1)과 바닥 어셈블리(5)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만 탑승자 공간(109)의 유체 밀봉이 이루어지는, 자동차.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배터리(1)는, 자동차의 운전 동작을 위해 구동 배터리(1)가 차체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그리고 자동차의 충돌 부하 경우를 위해 구동 배터리(1)가 차체 강성을 증가시키도록 구현되어 있고 바닥 어셈블리(105)와 연결되어 있는, 자동차.
  21.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덮개벽,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및 배터리 셀을 서로 겹쳐서 배열하는 단계,
    개별 층과 배터리 셀 사이의 중간 공간을 액체 폼 전구체, 특히 2성분 혼합물 또는 다성분 혼합물로 충전하는 단계,
    충전 과정 후에 발포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서 그리고 이로써 덮개벽,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및 배터리 셀 층을 서로 접착시키는 발포성 재료의 형성에 의해서 발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단계에서 추가로 지지층이 배열되거나, 상기 발포 단계 후에 상기 지지층이 배터리 셀 층과 접착되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단계에서 추가로 바닥벽이 배열되거나, 상기 발포 단계 후에 상기 바닥벽이 지지층과 접착되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4.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바닥벽, 지지층, 배터리 셀 층 및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을 서로 겹쳐서 배열하는 단계,
    개별 층과 배터리 셀 사이의 중간 공간을 액체 폼 전구체, 특히 2성분 혼합물 또는 다성분 혼합물로 충전하는 단계,
    충전 과정 후에 발포 전구체의 반응에 의해서 그리고 이로써 바닥벽, 지지층,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 셀 접촉 시스템, 및 배터리 셀 층을 서로 접착시키는 발포성 재료의 형성에 의해서 발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 단계에서 추가로 덮개벽이 배열되거나, 상기 발포 단계 후에 바닥벽이 지지층과 접착되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단계 동안에는 참여한 층이 특히 상응하는 공구를 통해 서로 압착되거나 조여지는,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237039300A 2021-07-23 2022-07-22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및 이러한 구동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301714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19168.8 2021-07-23
DE102021119168.8A DE102021119168A1 (de) 2021-07-23 2021-07-23 Antriebs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derartiger Antriebsbatterie
PCT/EP2022/070695 WO2023002047A1 (de) 2021-07-23 2022-07-22 Antriebs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derartiger antriebsbatter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467A true KR20230171467A (ko) 2023-12-20

Family

ID=8300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300A KR20230171467A (ko) 2021-07-23 2022-07-22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및 이러한 구동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74449A1 (ko)
KR (1) KR20230171467A (ko)
CN (1) CN117480669A (ko)
DE (1) DE102021119168A1 (ko)
WO (1) WO2023002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4178A1 (de) * 2022-02-22 2023-08-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triebsbatterie für ein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mit derartiger Antriebsbatterie
DE102022118977B3 (de) 2022-07-28 2023-10-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Unterbodenschutzvorrichtung zur Anordnung unterhalb einer Traktionsbatterie am Unterboden eines zumindest teilweise elektrisch antreibbaren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0751A1 (de) * 2007-02-27 2008-08-28 Daimler Ag Batteriegehäuse
DE102008059960B4 (de) * 2008-12-02 2013-07-04 Daim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tterie,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 Batterie und Batterieverbund aus zwei derartigen Batterien
JP2010186715A (ja) 2009-02-13 2010-08-26 Mitsubishi Heavy Ind Ltd 組電池の放熱構造及び組電池
JP5537111B2 (ja) 2009-09-30 2014-07-02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装置
DE102015219280A1 (de) * 2015-10-06 2017-04-06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mit Vergussmasse
DE102016220092A1 (de) * 2016-10-14 2018-04-19 Robert Bosch Gmbh Halbzeug zur Kontaktierung von Bauteilen
DE102017223407A1 (de) 2017-12-20 2019-06-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Antriebsbatterie
DE102018133426B4 (de) 2018-12-21 2022-07-14 KÖNIG METALL GmbH & Co. KG Mehrteiliges multifunktionales batteriegehäuse
DE102019102049A1 (de) * 2019-01-28 2020-07-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r Bodenbaugruppe und einer Speicherzellenbaugruppe
DE102019204863A1 (de) * 2019-04-05 2020-10-08 Audi Ag Formteil, insbesondere Unterschutz für eine Fahrzeugbatterie, mit einer Aluminiumschaumkomponente und Herstellverfahren
DE102019123845A1 (de) * 2019-09-05 2021-03-1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Bodengruppe für einen Kraftwa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119168A1 (de) 2023-01-26
WO2023002047A1 (de) 2023-01-26
CN117480669A (zh) 2024-01-30
EP4374449A1 (de) 2024-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5299B2 (ja) 電池搭載構造
US10780767B2 (en) System for absorbing and distributing side impact energy utilizing an integrated battery pack
KR20230171467A (ko)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및 이러한 구동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US11518227B2 (en) Battery box with reinforcement element
CN109383258B (zh) 用于制造电力驱动车辆的方法
CN110945713A (zh) 用于电动车辆的电池盒底板以及对应的车辆车身
EP4039517A1 (en) Lower structure of automobile
CN115621603A (zh) 包括电池的电池单元支撑矩阵的电动车辆的结构电池
CN113147901B (zh) 车辆的底板构造
CN113320372A (zh) 用于储能系统的屏障组件和利用屏障组件的车辆
CN114940056B (zh) 车辆
KR20230172026A (ko) 자동차용 구동 배터리 및 이러한 구동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00017818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
US20220294060A1 (en) Battery Box with Frame Reinforcing Element
KR20230170767A (ko) 차체 및 구동 에너지 저장 장치를 갖춘 자동차
US20240109407A1 (en) Structural assembly and vehicle having structural assembly
CN220884027U (zh) 车体的化学仓、车体和车辆
US20240116572A1 (en) Vehicle structural assembly
US20230026490A1 (en) Structural Battery for an Electric Vehicle
GB2623971A (en) Structural member
CN117774666A (zh) 用于电动车辆的电池包
WO2023147813A1 (de) 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 oder nutzfahrzeug
JP2023165296A (ja) 車両
CN116888814A (zh) 用于机动车的驱动电池壳体
CN115923935A (zh) 下车体结构及汽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