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425A - 항-아밀로이드 베타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항-아밀로이드 베타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425A
KR20230171425A KR1020237031601A KR20237031601A KR20230171425A KR 20230171425 A KR20230171425 A KR 20230171425A KR 1020237031601 A KR1020237031601 A KR 1020237031601A KR 20237031601 A KR20237031601 A KR 20237031601A KR 20230171425 A KR20230171425 A KR 20230171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eq
aβpe3
human
anti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944B1 (ko
Inventor
판 랴오
메하 츠하야
앤드류 제이. 맥클루스키
네이선 제이. 브라운
Original Assignee
애브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브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애브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1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3Crossreactivity, e.g. for species or epitope, or lack of said crossre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3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aspects of specificity or valency
    • C07K2317/34Identification of a linear epitope shorter than 20 amino acid residues or of a conformational epitope defined by amino acid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개념은 재조합 인간화 및 단일클론 항체와 같은 항체, 항체의 제조 방법, 및 항체의 사용 방법, 예컨대 알츠하이머 질환(AD)과 같은 장애의 치료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뇌에서 아밀로이드-베타(Aβ) 플라크(plaque)로 향하고 이러한 플라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는 항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아밀로이드 베타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관련 출원의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10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 특허 출원 제63/263204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전자 서열 목록의 참조
본원에 개시된 아미노산 및 DNA 서열을 포함하는 서열 번호 1 내지 서열 번호 37을 포함하는 "ABV21397USO1_ST26.xml"이라는 명칭의 서열 목록은 이의 전체 내용이 본원에 인용되어 포함된다. 서열 목록은 XML 형식으로 전자적으로 제출되었다. 서열 목록은 2022년 10월 27일에 생성되었으며, 크기는 22,528 바이트이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다른 것 중에서도 항-아밀로이드 베타(Aβ) 항체 및 이의 제조 방법과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츠하이머 질환(AD)의 아밀로이드 가설은 Aβ의 제거(clearance)와 생산 사이의 불균형이 뇌에서 단백질 축적을 초래함을 시사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뉴런 및 시냅스 손실을 유발하여 AD의 임상적 징후를 구현하는 여러 다운스트림 사건을 개시한다(문헌[Selkoe and Hardy 2016]). AD 치료를 위한 최근의 약물 개발은 지난 20년 동안 시험되어 온 상이한 형태의 Aβ에 결합하는 여러 mAb를 이용하여 가용성의 단량체 형태의 Aβ와 불용성의 침착된 형태의 Aβ를 둘 다 감소시키는 화합물에 초점을 맞추었다(문헌[van Dyck 2018]). 수동 면역치료법은 주로, AD의 치료를 위해 항-Aβ mAb를 투여하는 접근법의 기저를 이루는데, mAb가 Aβ에 결합하여 단백질을 제거하는 데 일조하는 면역 반응을 자극시키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Aβ를 표적화하는 mAb는 AD에서 인지 및 기능 저하를 늦추는 데 있어서 효능을 실증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들 시험은 안전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더욱이, 이들 연구는 AD 진행을 늦추기 위해 표적화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특정 형태의 Aβ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여, 많은 사람들이 Aβ가 여전히 AD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적절한 표적임을 믿게 하였다(문헌[van Dyck 2018]); (문헌[Aisen, Cummings et al. 2020]). 실제로, 두 mAb 모두 Aβ를 표적화하는 아두카누맙(aducanumab)(NCT02484547)의 3상 시험 및 도나네맙(donanemab)(NCT03367403)의 2상 시험으로부터의 최근 결과는 이러한 부류의 화합물이 AD를 치료하는 데 효능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AD의 아밀로이드 가설 및 항-Aβ mAb의 최근 시험에서 관찰된 긍정적인 신호에 대한 과학적 지지를 고려하여, 새로운 항-Aβ mAb의 개발은 효과적인 AD 치료에 대한 연구에서 추가 기대를 제공한다.
항-Aβ mAb는 수많은 임상 시험에서 수천 명의 대상체에게 투여되어 왔다. 전반적으로, 이들은 내약성이 양호하며: 여러 mAb를 포함하여 Aβ를 표적화하는 능동 및 수동 면역 화합물을 검토하는 메타-분석은 거의 모든 유해 사례, 중증 이상 사례, 및 사망에 있어서 위약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도 없었음을 발견하였다(문헌[Penninkilampi, Brothers et al. 2017]). 이상 사례 데이터에 대한 하나의 예외는, 항-Aβ mAb를 투여받는 대상체가 아밀로이드-관련 영상 이상(ARIA: amyloid-related imaging abnormality)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점이었다.
ARIA는 MRI를 통해 검출되는 뇌혈관 이상에 적용되는 용어이다. ARIA는 2개 범주로 분류되는데: ARIA-E는 혈관성 부종(vasogenic edema), 고랑 삼출(sulcal effusion), 및 일시적 뇌이랑 팽창(occasional gyral swelling)과 관련된 영상 발견을 나타내는 한편, ARIA-H는 실질 미세출혈(parenchymal microhemorrhage) 및 헤모시데린(hemosiderin) 침착물을 반영하는 MRI 신호 이상을 포착한다(문헌[Sperling, Jack et al. 2011]). 두 유형 모두 항-Aβ mAb 시험에 기록되어 있지만, ARIA-E가 항-Aβ mAb 투여의 결과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문헌[Penninkilampi, Brothers et al. 2017], 문헌[Greenberg, Bacskai et al. 2020]). ARIA에 대한 정확한 기전(들)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뇌 혈관구조(cerebral vasculature)로부터 아밀로이드의 제거 또는 혈관 아밀로이드 침착 부위에서 염증 반응을 촉발함으로써 관련이 있을 수 있다(문헌[Greenberg, Bacskai et al. 2020]). ARIA에 대한 위험 인자는, Aβ 펩타이드의 N-말단을 표적화하는 mAb의 투여; 미세출혈의 과거 이력; 아포지질단백질 유전자의 ε4 대립유전자의 보유; 및 더 높은 용량의 약물을 포함하지만, 상승된 ARIA 위험이 적정 없이 절대 용량 수준 또는 더 높은 용량의 투여와 연관이 있는지의 여부는 불명확하다(문헌[van Dyck 2018], 문헌[Aisen, Cummings et al. 2020], 문헌[Greenberg, Bacskai et al. 2020]).
hu Aβ(AC-264713)[hu IgG1/K]로도 알려진 AC-264713은 특히 빠르고 불용성인 응집 형태의 Aβ인 아미노산 위치 3에서의 N-말단 절두(truncated), 피로글루타메이트-변형된 Aβ(AβpE3)에 결합하는 재조합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G1(IgG1) 카파 단일클론 항체(mAb)이다. AC-264713은 인간 AβpE3-42 원섬유에 0.7 nM의 반수 최대 유효 농도(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EC50)로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비(non)피로글루타메이트화된 전장 형태의 Aβ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이에, AD 뇌로부터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를 제거하기에 적합한 Aβ(AβpE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재조합 인간화 IgG1 카파 단일클론 항체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이 제공된다. 항체는 AβpE3-42 원섬유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하는 가변 중쇄 및 가변 경쇄를 구조적으로 포함한다. 단편 결정화 가능 영역(Fc: fragment crystallizable region)을 포함하는 중쇄 불변 영역 및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가 또한 제공된다.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에 의해 인코딩되는 바와 같이 이들 구조적 요소는 환자에서 AD를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중쇄(vH);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경쇄(vL)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가 본원에 기술되며,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항-인간 AβpE3 항체는 서열 번호 7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 번호 8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항-인간 AβpE3 항체는 각각의 중쇄가 서열 번호 9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중쇄, 및 각각의 경쇄가 서열 번호 10으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경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항-인간 AβpE3 항체는 IgG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항-인간 AβpE3 항체는 Fc 부분을 포함하는 인간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Fc 부분은 인간 IgG1, IgG2, IgG3, IgG4 또는 IgM 이소타입(isotype)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항-인간 AβpE3 항체는 카파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중쇄(vH);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경쇄(vL)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또한 본원에 기술되며,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이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중쇄(vH);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경쇄(vL)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장애의 치료 방법이 또한 본원에 기술되며,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신경퇴행성 장애는 알츠하이머 질환(AD)이다.
항-인간 AβpE3 항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가 또한 본원에 제공되며, 상기 항체는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H 사슬;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L 사슬을 포함하고;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이다.
항-인간 AβpE3 항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가 또한 본원에 제공되며, 상기 항체는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H 사슬;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L 사슬을 포함하고;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이다.
항-인간 AβpE3 항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진핵 숙주 세포가 또한 본원에 제공되며, 상기 항체는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H 사슬;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L 사슬을 포함하고;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진핵 숙주 세포는 포유류 숙주 세포이다.
항-인간 AβpE3 항체의 생산 방법이 또한 본원에 제공되며, (a) 포유류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인간 AβpE3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항-인간 AβpE3 항체가 본원에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항체는 각각의 중쇄가 서열 번호 37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중쇄, 및 각각의 경쇄가 서열 번호 10으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경쇄를 포함한다.
도 1은 인간 AβpE3-42 원섬유에의 AC-264713의 대표적인 결합을 도시한다. 인간 AβpE3-42 원섬유에의 AC-264713의 결합은 직접 결합 ELISA에서 평가되었다. 인간 AβpE3-42 원섬유로 코팅된 플레이트(50 ng/웰)는 단계 희석된 AC-264713과 함께 인큐베이션되었다. ELISA는 2회 반복되었고, 대표적인 그래프가 도시된다. Y 축 상에 플롯화된 것은 450 nm에서의 광학 밀도이다. 인간 AβpE3-42 원섬유에의 AC-264713 결합의 EC50 값은 0.7 nM이다.
도 2는 전두엽 피질로부터의 신선하게 냉동된 인간 AD 조직에서 AC-264713 및 비교물질 항체 Ab1에 의해 결합된 플라크 면적을 도시한다. 6명의 AD 공여자로부터의 조직이 분석되었고,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현되었다. AC-264713은 AD 뇌 조직 내 플라크에 농도-의존적 방식으로 결합하였다. 라인은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조합된 6명의 공여자의 데이터에 대한 적합도(fit)를 나타낸다.
도 3은 AC-264713이 비고정(unfixed) APPPS1-21 뇌 조직으로부터 hiPSC-유래 포식세포(phagocyte)에 의한 아밀로이드 플라크 제거를 자극함을 도시한다. hiPSC-유래 포식세포는 상이한 농도의 AC-264713과 함께 사전인큐베이션된 APPPS1-21 뇌 조직과 함께 공동배양되었다. 조직에 잔류한 아밀로이드 플라크는 티오플라빈 S를 사용하여 염색되고 정량화되었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현되고, 일원 ANOVA와 후속의 던넷 다중 비교 검정으로 분석되었다 *, p < 0.05.
도 4는 단일 복강내 투여 후 72시간째에 APPPS1-21 마우스에서 AC-264713의 용량 의존적 표적 결합을 도시한다. 뇌에서 AC-264713(패널 A) 및 비교물질 항체 Ab1(패널 D)은 항-hIgG 면역조직화학을 사용하여 검출되었다. 인접 절편(section) 상에서의 총 표적 AβpE3은 AC-264713(패널 B) 또는 비교물질 항체 Ab1(패널 E)을 사용하여 염색되었다. 그 후에, 증가하는 용량에서 AC-264713(패널 C) 또는 비교물질 항체 Ab1(패널 F)에 의해 점유된 총 표적 %가 계산되었고, y-축 상에 제시된다. *P < 0.05(크루스칼-왈리스와 후속의 던넷 다중 비교 검정).
도 5는 암컷 마우스에서 단일 정맥내 용량 후 72시간째에 APPPS1-21 마우스에서의 용량-의존적 표적 결합과 뇌에서의 AC-264713 및 비교물질 항체 Ab1 노출의 상관관계를 도시한다. 개별 동물 뇌 노출과 AβpE3 점유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기호)는 비선형 적합도(Nonlinear Fits)(라인)와 함께 제시된다.
도 6은 AC-264713 마우스 전구체 항체 및 비교물질 항체 Ab2를 사용하여 연구된 APPPS1-21 마우스 모델에서 미세출혈에 미치는 AC-264713의 효과를 도시한다. (패널 A) 적혈구 정량화의 이미지이다. (패널 B) 프러시안 블루 정량화의 이미지이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현되었다. 염색 이미지는 미세출혈 유도에 대한 양성 대조군으로부터의 발견을 대표한다. 패널 A에서 흰색 화살표는 적혈구를 나타낸다. 패널 B에서 화살표는 프러시안 블루 염색 신호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원리의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이제 다양한 실시형태를 참조할 것이다. 그렇지만, 개시내용의 범위에 어떠한 제한도 의도되지 않으며, 본원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시내용의 이러한 변경 및 추가 변형은 개시내용이 관련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정상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관사 "a", "an" 및 "the"는 해당 관사의 문법적 대상의 하나 또는 하나 초과(즉,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예로서, "일 요소(an element)"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또는 하나 초과의 요소를 의미한다. 용어 "및/또는"은 관련된 나열 목록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하며, "/"로 약칭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포함하다(comprise)"는 이의 일반적인 의미에 더하여 표현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다(consist essentially of)" 및/또는 "~로 이루어지다(consist of)"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실시형태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그러므로, 표현 "포함하다"는 또한, 청구 대상이 구체적으로 나열된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이 추가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형태, 뿐만 아니라 청구 대상이 구체적으로 나열된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이 추가 요소를 포괄할 수 있고/있거나 포괄하거나, 청구 대상의 기본적인 신규 특징(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추가 요소를 포괄할 수 있는 실시형태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나열된 요소를 "포함하는" 방법, 키트 시스템 등과 같은 청구 대상은 또한, 예를 들어 청구 대상이 추가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로 이루어진" 방법, 키트, 시스템 등, 및 예를 들어 청구 대상이 해당 청구 대상의 기본적인 신규 특징(들)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추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방법, 키트, 시스템 등을 포괄한다.
본원에 사용된 "약"은 이것이 수식하는 수치값을 정성화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이러한 값을 허용 오차(margin of error) 내의 변수로서 의미한다. 데이터의 차트 또는 표에 주어진 평균값에 대한 표준 편차와 같이 어떠한 특정 허용 오차도 언급되어 있지 않을 때, 용어 "약"은 예를 들어 언급된 값과 범위의 ± 20%, ± 15% 또는 ± 10%, 일부 실시형태에서 ± 5%, ± 3% 또는 ± 2%를 포괄할 수 있는 범위가 포함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보편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개시내용의 실시형태는 뇌 내의 침착된 형태의 Aβ에 결합하여 단백질의 제거에 일조하는 면역 반응을 자극하는 항체, 및 예를 들어 AD의 치료에서 이러한 항체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AβpE3은 특히 빠르게 응집하는 것으로 보이는 Aβ 형태이다(문헌[Jawhar, Wirths et al. 2011]). AβpE3을 표적화하는 도나네맙이 인간 AD 뇌로부터의 빠른 플라크 제거를 달성하였고 AβpE3이 다른 형태의 Aβ에 비해 뇌 혈관구조에서 덜 우세한 점을 고려하여(문헌[Kuo, Emmerling et al. 1997]), ARIA에 대한 더 낮은 위험과 함께 빠른 플라크 제거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항-AβpE3 항체, 예컨대 AC-264713이 생성되었다.
AC-264713은 AβpE3에 결합하는 재조합 인간화 IgG1 카파 mAb이다. AC-264713의 기원은 AβpE3에 결합하는 뮤린 mAb이다. 뮤린 항체의 가변 도메인은 인간화된 다음, 인간 IgG1 중쇄 및 Ig 카파 경쇄 불변 영역과 융합되어 AC-264713을 생성하였다. 예를 들어 뮤린 mAb를 인간화시켜 인간화 mAb, 예컨대 본 개시내용의 항체를 제공하는 것은 제한 없이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는 2개의 가변 사슬을 포함하며, 1개는 중쇄이고 1개는 경쇄이다. 각각의 가변 사슬 상에는, 항체가 AβpE3에 결합하게 하는 3개의 CDR이 존재한다. 가변 중쇄 및 가변 경쇄 상에는, 총 6개의 상이한 CDR의 조합이 존재한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면역글로불린 부류 G1(IgG1)의 인간 Fc를 포함한 인간 중쇄 불변 영역을 함유한다. 본원에 기술된 항-AβpE3 항체는 푸코실화 또는 아푸코실화(afucosylate)될 수 있고, 시험관내 기능성, 면역안전성, 및 약물-유사 특성을 실증한다.
개시내용에 따른 항체는 인간 AβpE3-42 원섬유를 사용하여 하이브리도마 캠페인에서 식별된 항체의 인간화 및 책임 조작(liability engineering)을 통해 생성되었다. 인간화를 위한 항체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해, 원섬유성 AβpE3-42에 결합하는 항체의 능력이 평가되었다. 항-AβpE3 항체 AC-264713은 인간 및 시노몰구스 AβpE3과 교차-반응하지만, 마우스 또는 래트 AβpE3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항체"(Ab)는 특정 항원, 예를 들어 인간 AβpE3 원섬유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면역글로불린 분자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개념의 항-AβpE3 항체는 AβpE3에 결합하고 이로써 면역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개념의 항-AβpE3 항체는 경쇄 가변 도메인과 중쇄 가변 도메인 둘 다에서 초가변(hypervariable) 영역으로도 알려져 있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한다. 가변 도메인의 보다 고도로 보존된 부분은 프레임워크 영역(FR)이라고 한다.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항체의 초가변 영역을 묘사하는 아미노산 위치/경계는 문맥 및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정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가변 도메인 내 일부 위치는 이러한 위치가 한 세트의 기준 하에서는 초가변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한편, 상이한 세트의 기준 하에서는 초가변 영역 외부에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초가변 위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중 하나 이상은 또한 연장된 초가변 영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이러한 하이브리드 초가변 위치에서 변형을 포함하는 항체를 제공한다. 네이티브(native) 중쇄 및 경쇄의 가변 도메인은 각각, 대체로 β-시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4개의 FR 영역을 포함하고, 이는 3개의 CDR에 의해 연결되며 β-시트 구조를 연결하는 루프를 형성하고 일부 경우 이의 일부를 형성한다. 각각의 사슬 내 CDR은 FR 영역에 의해 함께 근접하게 유지되고, 다른 사슬로부터의 CDR과 함께 항체의 표적 결합 부위의 형성에 기여한다. 문헌[Kabat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Bethesda, Md. 1987)]을 참조하며, 이는 가변 도메인 내 CDR 서열을 식별하고 번호를 매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개시내용의 항체는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단일 사슬 항체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단일클론이고/이거나 유전적으로 조작되고/되거나 다르게는 자연상에서 변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항체의 불변 영역 중 모두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불변 영역은 IgA(예를 들어 IgA1 또는 IgA2), IgD, IgE, IgG(예를 들어 IgG1, IgG2, IgG3 또는 IgG4) 및 IgM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소타입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항-AβpE3 항체는 IgG1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항-AβpE3 항체는 IgG2를 포함한다. 더욱 다른 실시형태에서, 항-AβpE3 항체는 IgG4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항체의 "불변 영역"은 천연 불변 영역, 알로타입(allotype) 또는 변이체를 포함한다.
항-AβpE3 항체의 경쇄 불변 영역은 카파(κ) 경쇄 영역 또는 람다(λ) 영역일 수 있다. λ 경쇄 영역은 기지의 하위유형, 예를 들어, λ1, λ 2, λ3 또는 λ4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AβpE3 항체는 카파(κ) 경쇄 영역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단일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통해 생산된 항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일클론 항체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거나 이용 가능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임의의 진핵생물, 원핵생물 또는 파지 클론을 포함하는 단일 클론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유용한 단일클론 항체는 하이브리도마, 재조합 및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 또는 이들의 조합의 사용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알려진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키메라" 항체는 래트 또는 마우스 항체와 같은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으로부터 유래된 가변 서열 및 전형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 주형으로부터 선택되는 인간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을 갖는 항체를 지칭한다.
비-인간(예를 들어 뮤린) 항체의 "인간화" 형태는 적어도 하나, 전형적으로 2개의 가변 도메인을 실질적으로 모두 포함하며, 여기서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CDR 영역은 비-인간 면역글로불린의 것에 상응하고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FR 영역은 인간 면역글로불린 서열의 것이다. 인간화 항체는 또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Fc)의 적어도 일부, 전형적으로 인간 면역글로불린 공통(consensus) 서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내용의 항-AβpE3 항체는 2개의 전장 경쇄 및 2개의 전장 중쇄를 포함하는 전장(무손상(intact)) 항체 분자를 포함한다.
인간 IgG4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AβpE3 항체는 Fab 아암(arm) 교환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고된 S228P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Silva, JP et al.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90(9), 5462-5469 (2015)]를 참조한다.
AβpE3에 대한 친화성이 높은 항-AβpE3 항체는 치료 및 진단 용도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개념은 AβpE3에 대해 높은 결합 친화성을 갖는 항체를 고려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항-AβpE3 항체는 적어도 약 25 nM의 친화성으로 AβpE3에 결합하지만, 예를 들어, 적어도 약 20 nM, 15 nM, 10 nM, 7 nM, 6 nM, 5 nM, 4 nM, 3 nM, 2 nM, 1 nM, 0.1 nM, 0.01 nM 또는 심지어 더 높은 친화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약 1 pM 내지 약 10 nM, 약 100 pM 내지 약 10 nM, 약 100 pM 내지 약 1 nM, 약 100 pM 내지 약 2 nM의 범위의 친화성 또는 전술한 값 중 임의의 값 사이의 범위의 친화성으로 인간 AβpE3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은 2개의 전장 중쇄 및 2개의 전장 경쇄를 갖는 단일클론 항-AβpE3 항체를 제공하며, 2개의 상이한 가변 영역으로 된 2개 세트 내에 6개의 상이한 상보성-결정 영역(CDR)으로 된 2개 세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AβpE3에 결합하는 재조합, 아푸코실화, 인간화, IgG1 카파 단일클론 항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하기 서열을 포함하는 6개의 CDR을 포함하며: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는 서열 번호 1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vH CDR1, 서열 번호 2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vH CDR2; 서열 번호 3으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vH CDR3, 서열 번호 4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vL CDR1, 서열 번호 5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vL CDR2; 및 서열 번호 6으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vL CDR3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는 서열 번호 7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번호 7과 적어도 98%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EVQLQESGPGLVKPSQTLSLTCTFSGFSLSTSGMGVSWIRQPPGKGLEWLAHIYWDDDKRYNPYMKRRLTISKDTSKNQVSLKISSVTAADTAVYYCARRADDYDVGFAYWGQGTLVTVSS(서열 번호 7).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는 서열 번호 8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번호 8과 적어도 98%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DIQMTQSPSSVSASVGDRVTITCLASQTIGTWLAWYQQKPGKSPKLLIYAATSLADGVPSRFSGSGSGTDFTLTISSLQPEDFATYYCQQLYSSPFTFGQGTKLEIK(서열 번호 8).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는 서열 번호 9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번호 9와 적어도 98%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중쇄를 포함한다(불변 영역은 볼드체이며: 가변 중쇄 도메인은 밑줄표시되어 있고; CDR은 밑줄표시 볼드체 이탤릭체 로 되어 있음(출현 순서대로 각각 서열 번호 1 내지 3으로 제시된 바와 같음)):
EVQLQESGPGLVKPSQTLSLTCTFS GFSLSTSGMGVS WIRQPPGKGLEWLA HIYWDDDKRYNPYMKR RLTISKDTSKNQVSLKISSVTAADTAVYYCAR RADDYDVGFAY WGQGTLVTVSSASTKGPSVFPLAPSSKSTSGGTAALGCLVKDYFPEPVTVSWNSGALTSGVHTFPAVLQSSGLYSLSSVVTVPSSSLGTQTYICNVNHKPSNTKVDKKVEPKSCDKTHTCPPCPAPELLGGPSVFLFPPKPKDTLMISRTPEVTCVVVDVSHEDPEVKFNWYVDGVEVHNAKTKPREEQYNSTYRVVSVLTVLHQDWLNGKEYKCKVSNKALPAPIEKTISKAKGQPREPQVYTLPPSREEMTKNQVSLTCLVKGFYPSDIAVEWESNGQPENNYKTTPPVLDSDGSFFLYSKLTVDKSRWQQGNVFSCSVMHEALHNHYTQKSLSLSPGK(서열 번호 9).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는 C-말단 리신이 절두된 중쇄, 예를 들어 C-말단 리신이 절두/제거된 서열 번호 9로 제시된 바와 같은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는 서열 번호 10으로 제시된 바와 같은 아미노산 서열, 또는 서열 번호 10과 적어도 98%의 서열 동일성을 갖는 서열을 포함하거나 갖는 경쇄를 포함한다(불변 영역은 볼드체이며: 가변 중쇄 도메인은 밑줄표시되어 있고; CDR은 밑줄표시 볼드체 이탤릭체 로 되어 있음(출현 순서대로 각각 서열 번호 4 내지 6으로 제시된 바와 같음)):
DIQMTQSPSSVSASVGDRVTITC LASQTIGTWLA WYQQKPGKSPKLLIY AATSLAD GVPSRFSGSGSGTDFTLTISSLQPEDFATYYC QQLYSSPFT FGQGTKLEIKRTVAAPSVFIFPPSDEQLKSGTASVVCLLNNFYPREAKVQWKVDNALQSGNSQESVTEQDSKDSTYSLSSTLTLSKADYEKHKVYACEVTHQGLSSPVTKSFNRGEC(서열 번호 10).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형태는 또한 서열 번호 9의 중쇄 서열을 인코딩하는 핵산, 및 서열 번호 10의 경쇄 서열을 인코딩하는 핵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서열 번호 9로 제시된 바와 같은 성숙 중쇄 서열은 서열 번호 13으로 제시된 핵산 서열에 의해 인코딩될 수 있다(불변 영역은 볼드체의 서열에 의해 인코딩되고; 가변 중쇄 도메인은 밑줄표시되어 있는 서열에 의해 인코딩되고; CDR은 밑줄표시 볼드체 이탤릭체 로 되어 있는 서열에 의해 인코딩됨):
GAAGTGCAGCTGCAAGAGTCCGGCCCGGGCTTGGTCAAGCCGTCGCAGACCCTCAGCCTTACTTGCACCTTCTCG GGATTCTCGCTGTCCACTAGCGGCATGGGCGTGTCG TGGATCAGGCAGCCTCCTGGCAAAGGGCTGGAGTGGCTTGCC CACATCTACTGGGACGATGACAAGAGATACAACCCCTATATGAAGCGC CGCCTGACCATCAGCAAGGACACCTCCAAAAACCAAGTCTCGCTGAAGATCTCCTCCGTGACCGCCGCGGATACCGCCGTGTACTACTGCGCCCGG CGGGCCGACGACTATGACGTGGGATTTGCGTAC TGGGGACAGGGGACCCTGGTCACCGTGTCCTCCGCCTCAACTAAGGGACCCAGCGTGTTCCCTCTCGCCCCATCATCGAAGTCCACTAGTGGCGGGACCGCTGCTCTCGGTTGTCTGGTTAAGGACTACTTCCCGGAACCCGTCACCGTATCATGGAACTCCGGTGCACTGACATCCGGCGTGCACACCTTCCCGGCCGTGCTGCAAAGCTCCGGACTGTACTCCCTGTCGAGCGTGGTCACTGTGCCCTCATCAAGCCTGGGTACTCAGACGTACATTTGCAACGTGAACCACAAGCCGTCCAACACCAAGGTCGACAAGAAAGTGGAGCCGAAGTCCTGCGACAAGACCCATACTTGCCCGCCGTGCCCAGCCCCTGAGCTGCTGGGTGGACCGAGCGTGTTCCTGTTCCCACCTAAACCCAAGGACACCCTGATGATTAGCCGCACCCCCGAAGTGACCTGTGTGGTCGTGGATGTGTCCCACGAAGATCCCGAAGTCAAGTTCAATTGGTACGTGGACGGCGTCGAAGTGCATAACGCCAAGACTAAGCCCCGCGAGGAACAGTACAACAGCACCTACCGGGTGGTGTCCGTGCTCACTGTCCTGCACCAAGACTGGCTGAACGGAAAGGAGTACAAGTGCAAAGTGTCCAACAAGGCACTGCCAGCGCCCATCGAGAAAACGATCAGCAAGGCCAAGGGCCAGCCGAGAGAACCTCAGGTCTACACCCTGCCGCCATCCCGGGAAGAAATGACCAAGAACCAAGTGTCCCTTACCTGTCTCGTGAAGGGATTCTACCCTTCCGACATCGCCGTGGAGTGGGAGTCCAATGGACAGCCGGAGAACAACTACAAGACTACCCCTCCTGTGCTGGACTCCGATGGATCTTTCTTCCTGTACTCGAAGCTCACCGTGGATAAGTCGCGGTGGCAACAGGGGAATGTGTTCAGCTGCTCCGTGATGCACGAAGCTCTGCATAACCACTACACTCAGAAGTCGCTGTCACTCTCCCCCGGGAAA(???번호 13).
일부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서열 번호 10으로 제시된 바와 같은 성숙 경쇄 서열은 서열 번호 14로 제시된 핵산 서열에 의해 인코딩될 수 있다(불변 영역은 볼드체의 서열에 의해 인코딩되고; 가변 경쇄 도메인은 밑줄표시되어 있는 서열에 의해 인코딩되고; CDR은 밑줄표시 볼드체 이탤릭체 로 되어 있는 서열에 의해 인코딩됨):
GACATCCAGATGACCCAGTCCCCGTCCTCGGTGTCAGCGTCAGTGGGGGACAGGGTCACGATCACTTGC CTGGCCAGCCAGACCATTGGCACTTGGCTGGCC TGGTATCAGCAGAAGCCCGGAAAGTCACCGAAGCTGTTGATCTAC GCCGCAACTTCCCTGGCCGAT GGCGTGCCCTCGCGGTTCTCCGGTTCCGGGTCGGGAACTGACTTTACCCTGACCATTAGCTCTCTGCAACCTGAGGACTTCGCCACCTACTACTGT CAGCAACTGTACTCCTCGCCGTTCACC TTCGGACAAGGCACCAAGTTGGAAATCAAGCGGACTGTGGCGGCACCCAGCGTGTTCATCTTTCCTCCATCCGACGAACAGCTGAAGTCCGGTACCGCTAGCGTGGTCTGTCTCCTGAACAACTTCTACCCGCGCGAGGCCAAGGTCCAGTGGAAGGTCGACAACGCGCTCCAGAGCGGCAACAGTCAGGAATCCGTGACCGAACAGGACTCCAAGGATTCGACCTACTCGCTGTCCTCCACTCTCACCCTGTCCAAAGCCGATTACGAGAAGCACAAAGTGTACGCTTGCGAAGTGACCCATCAAGGCCTTAGCAGCCCCGTGACAAAGTCCTTCAATCGGGGAGAGTGC(서열 번호 14).
유전적 코드에서 코돈 축퇴(codon degeneracy)의 결과, 서열 번호 9의 중쇄 서열, 서열 번호 10의 경쇄 서열, 서열 번호 11의 중쇄 서열 및 서열 번호 12의 경쇄 서열을 각각 인코딩하는 서열 번호 13, 14, 15 및 16으로 제시된 바와 같은 서열과 상이한 핵산 서열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고려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는 인간 CH1, 인간 힌지(hinge), 인간 CH2 및 인간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인간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인코딩된 중쇄 불변 영역은 Fc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Fc 부분은 인간 IgG1, IgG2, IgG3, IgG4 또는 IgM 이소타입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Fc는 IgG1이고, 알로타입은 z, 비(non)-a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경쇄는 카파 경쇄이다.
항-Aβ pE3 항체를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발현 시스템 및 항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개념은 항-AβpE3 항체에 대한 면역글로불린 경쇄 및 중쇄 유전자를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분자, 이러한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 및 개시내용의 항-AβpE3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숙주 세포를 포괄한다.
개시내용의 항-AβpE3 항체는 숙주 세포에서 면역글로불린 경쇄 및 중쇄 유전자의 재조합 발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항체를 재조합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 숙주 세포는, 경쇄 및 중쇄가 숙주 세포에서 발현되고 선택적으로 숙주 세포가 배양되는 배지로 분비되며 이러한 배지로부터 항체가 회수될 수 있도록, 항체의 면역글로불린 경쇄 및 중쇄를 인코딩하는 DNA 단편을 운반하는 하나 이상의 재조합 발현 벡터로 형질주입(transfect)된다.
이러한 항-AβpE3 항체를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먼저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을 인코딩하는 DNA 단편이 수득된다. 이들 DNA는 경쇄 및 중쇄 가변 서열을 인코딩하는 생식계열 DNA 또는 cDNA의 증폭 및 변형에 의해, 예를 들어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일단 항-AβpE3 항체-관련 VH 및 VL 분절을 인코딩하는 DNA 단편이 수득되면, 이러한 DNA 단편은 표준 재조합 DNA 기법에 의해 추가로 조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변 영역 유전자를 전장 항체 사슬 유전자, Fab 단편 유전자 또는 scFv 유전자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들 조작에서, VL-인코딩 또는 VH-인코딩 DNA 단편은 항체 불변 영역 또는 가요성 링커와 같은 또 다른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또 다른 DNA 단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은 2개의 DNA 단편에 의해 인코딩된 아미노산 서열이 프레임 내에 남아 있도록 2개의 DNA 단편이 결합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VH 영역을 인코딩하는 단리된 DNA는 중쇄 불변 영역(CH1, CH2, CH3 및 선택적으로 CH4)을 인코딩하는 또 다른 DNA 분자에 VH-인코딩 DNA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전장 중쇄 유전자로 전환될 수 있다. 인간 중쇄 불변 영역 유전자의 서열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예를 들어, 문헌[Kabat, E.A., et al., 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i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 Publication No. 91-3242] 참조), 이들 영역을 포괄하는 DNA 단편은 표준 PCR 증폭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중쇄 불변 영역은 IgG1, IgG2, IgG3, IgG4, IgA, IgE, IgM 또는 IgD 불변 영역일 수 있지만, 특정 실시형태에서 IgG1 또는 IgG4이다. Fab 단편 중쇄 유전자의 경우, VH-인코딩 DNA는 중쇄 CH1 불변 영역만 인코딩하는 또 다른 DNA 분자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VL 영역을 인코딩하는 단리된 DNA는 경쇄 불변 영역, CL을 인코딩하는 또 다른 DNA 분자에 VL-인코딩 DNA를 작동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전장 경쇄 유전자(뿐만 아니라 Fab 경쇄 유전자)로 전환될 수 있다. 인간 경쇄 불변 영역 유전자의 서열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예를 들어, 문헌[Kabat, et al., 1991,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Fifth Edition,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 Publication No. 91-3242] 참조), 이들 영역을 포괄하는 DNA 단편은 표준 PCR 증폭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경쇄 불변 영역은 카파 또는 람다 불변 영역일 수 있지만, 특정 실시형태에서 카파 불변 영역이다.
항-AβpE3 항체를 발현시키기 위해,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득된 부분 또는 전장 경쇄 및 중쇄를 인코딩하는 DNA는 유전자가 전사 및 번역 제어 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발현 벡터에 삽입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은 벡터 내의 전사 및 번역 제어 서열이 항체 유전자의 전사 및 번역을 조절하는 의도된 기능의 역할을 하도록 항체 유전자가 벡터에 결찰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발현 벡터 및 발현 제어 서열은 사용된 발현 숙주 세포와 상용성이도록 선택된다. 항체 경쇄 유전자 및 항체 중쇄 유전자는 별도의 벡터에 삽입될 수 있거나, 보다 전형적으로는 유전자 둘 다 동일한 발현 벡터에 삽입된다.
항체 유전자는 표준 방법(예를 들어 항체 유전자 단편 및 벡터 상의 상보적 제한 부위의 결찰, 또는 제한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평활 단부(blunt end) 결찰)에 의해 발현 벡터에 삽입된다. 항-AβpE3 항체-관련 경쇄 또는 중쇄 서열을 삽입하기 전에, 발현 벡터는 이미 항체 불변 영역 서열을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AβpE3 단일클론 항체-관련 VH 및 VL 서열을 전장 항체 유전자로 전환시키는 하나의 접근법은 중쇄 불변 영역 및 경쇄 불변 영역을 이미 인코딩하는 발현 벡터에 각각 삽입하여 VH 분절이 벡터 내의 CH 분절(들)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VL 분절이 벡터 내의 CL 분절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재조합 발현 벡터는 숙주 세포로부터 항체 사슬의 분비를 용이하게 하는 신호 펩타이드를 인코딩할 수 있다. 항체 사슬 유전자는 신호 펩타이드가 항체 사슬 유전자의 아미노 말단에 프레임 내에 연결되도록 벡터에 클로닝될 수 있다. 신호 펩타이드는 면역글로불린 신호 펩타이드 또는 이종성 신호 펩타이드(즉, 비-면역글로불린 단백질로부터의 신호 펩타이드)일 수 있다.
항체 사슬 유전자에 더하여, 개시내용의 재조합 발현 벡터는 숙주 세포에서 항체 사슬 유전자의 발현을 제어하는 조절 서열을 운반한다. 용어 "조절 서열"은 항체 사슬 유전자의 전사 또는 번역을 제어하는 프로모터, 인핸서 및 다른 발현 제어 요소(예를 들어 폴리아데닐화 신호)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항체 사슬 유전자 및 조절 서열에 더하여, 개시내용의 재조합 발현 벡터는 부가적인 서열, 예컨대 숙주 세포에서 벡터의 복제를 조절하는 서열(예를 들어 복제 기점) 및 선택성 마커 유전자를 운반할 수 있다. 선택성 마커 유전자는 벡터가 도입된 숙주 세포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경쇄 및 중쇄의 발현을 위해, 중쇄 및 경쇄를 인코딩하는 발현 벡터(들)는 표준 기법에 의해 숙주 세포에 형질주입된다. 용어 "형질주입"의 다양한 형태는 외인성 DNA를 원핵 또는 진핵 숙주 세포로 도입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기법, 예를 들어, 전기천공법, 리포펙션, 칼슘-인산염 침전, DEAE-덱스트란 형질주입 등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원핵 또는 진핵 숙주 세포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를 발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적절하게 접히고 면역학적으로 활성인 항체의 최적 분비의 진핵 세포, 예를 들어 포유류 숙주 세포에서 항체의 발현이 수행된다. 개시내용의 재조합 항체를 발현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포유류 숙주 세포는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 세포)(예를 들어 문헌[Kaufman and Sharp, 1982, Mol. Biol. 159:601-621]에 기술된 바와 같은 DHFR 선택성 마커와 함께 사용되는 문헌[Urlaub and Chasin, 1980, Proc. Natl. Acad. Sci. USA 77:4216-4220]에 기술된 DHFR- CHO 세포), NSO 골수종 세포, COS 세포 및 SP2 세포를 포함한다. 항체 유전자를 인코딩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가 포유류 숙주 세포에 도입될 때, 항체는 숙주 세포에서 항체의 발현 또는 숙주 세포가 성장하는 배양 배지로의 항체의 분비를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숙주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생산된다. 항체는 표준 단백질 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배양 배지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숙주 세포는 또한 Fab 단편 또는 scFv 분자와 같은 무손상 항체의 일부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차에 대한 변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개시내용의 항-AβpE3 항체의 경쇄 또는 중쇄(둘 다는 아님)를 인코딩하는 DNA를 숙주 세포에 형질주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재조합 DNA 기술은 또한 AβpE3에 결합하는 데 필요하지 않은 경쇄 및 중쇄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인코딩하는 DNA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절두된 DNA 분자로부터 발현된 분자 또한 개시내용의 항체에 의해 포괄된다.
개시내용의 항-AβpE3 항체의 재조합 발현을 위해, 숙주 세포는 개시내용의 2개의 발현 벡터로 동시에 형질주입될 수 있으며, 제1 벡터는 중쇄 유래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하고 제2 벡터는 경쇄 유래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한다. 2개의 벡터는 동일한 선택성 마커를 함유할 수 있거나, 이들 벡터는 각각 별도의 선택성 마커를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중쇄 폴리펩타이드와 경쇄 폴리펩타이드를 둘 다 인코딩하는 단일 벡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일단 항-AβpE3 항체의 하나 이상의 부분을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가 수득되면, 예를 들어, 상이한 CDR 서열을 갖는 항체, Fc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감소된 항체, 예를 들어 LALA 돌연변이를 갖는 항체 또는 상이한 하위부류의 항체를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추가 변경 또는 돌연변이가 코딩 서열에 도입될 수 있다. 추가의 변경 및/또는 돌연변이는 항체를 인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코딩 서열에 제한 없이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도입되어 달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예를 들어, 추가의 항-AβpE3 항체, 예컨대 Fc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감소된 항-AβpE3 항체 및/또는 상이한 하위부류의 항-AβpE3 항체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개시내용의 항-AβpE3 항체는 또한 화학적 합성에 의해 또는 무세포(cell-free) 플랫폼을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항-Aβ pE3 항체의 정제
일단 개시내용의 폴리펩타이드가 재조합 발현에 의해 생산되면, 이는 단백질 정제를 위해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일단 단리되면, 항-AβpE3 항체는 추가로 정제될 수 있다.
조성물
본 개시내용의 항체는 대상체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조성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항체 조성물은 본 개시내용의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다.
대상 항체의 특성의 요약
AC-264713에 의해 예시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대상 항체의 특성은 하기를 포함한다:
인간 AβpE3 원섬유에 대한 높은 친화성 결합, 예를 들어 약 2.5 nM 이하, 2 nM 이하, 1.5 nM 이하, 1 nM 이하, 0.9 nM 이하, 0.8 nM 이하, 0.7 nM 이하, 0.6 nM 이하, 약 0.5 nM 이하, 0.4 nM 이하, 약 0.3 nM 이하, 약 0.2 nM 이하, 약 0.1 nM 이하 또는 약 0.05 nM 이하, 또는 약 0.05 nM과 약 2.5 nM 사이의 EC50에 대한 값의 임의의 범위의, 예를 들어 실시예 1의 직접 결합 ELISA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인간 AβpE3-42 원섬유에 대한 EC50.
인간 AβpE3 원섬유에 대한 높은 특이성 결합, 예를 들어 인간 AβpE11-40 원섬유와의 어떠한 유의한 교차-반응도 없고, 인간, 원숭이, 개, 토끼, 래트 및 마우스를 포함한 모든 종으로부터의 Aβ1-40과의 어떠한 유의한 교차-반응도 없음.
사이토카인 방출 검정에 의해 결정되는 양호한 면역안전성.
일부 실시형태에서, 개시내용의 항체는 예를 들어,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함유하는 AD 뇌에 0.4 μg/mL의 EC50으로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결합함을 나타내는 한편,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존재하지 않는 비-AD 인간, 래트 또는 시노몰구스 원숭이 뇌 조직에는 결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및 프레세닐린 1(presenilin 1)에 대한 인간 이식유전자를 발현하는 APPPS1-21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는 연구로부터의 데이터는 AC-264713이 단일 주사 후 뇌에 진입하고 Aβ 플라크에 결합함을 나타내었다. AC-264713은 또한 AD를 갖는 공여자로부터의 인간 뇌 조직 내 아밀로이드 플라크에 결합한다. 부가적으로, 시험관내 데이터는 AC-264713의 단편 결정화 가능(Fc) 부분이 hiPSC-유래 포식세포를 통해 매개되는 플라크 제거를 촉발하는 완전(full) 이펙터 기능을 가짐을 실증하였다. APPPS1-21 마우스를 사용하는 급성 미세출혈 모델에서 평가되었을 때, AC-264713은 미세출혈을 유도하지 않았다. 종합하자면, 데이터는 완전 이펙터 기능을 갖는 AC-264713, 즉, 항-인간 AβpE3 원섬유 단일클론 항체가 AD 뇌로부터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제거함을 지지한다.
사용 방법
실시형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방법은 AD를 갖는 환자를 개시내용의 항-AβpE3 항체로 치료하는 단계를 수반한다.
예를 들어 AD 및 AD와 관련된 Aβ 플라크의 발증을 치료하는 것과 관련하여 "저해하는", "감소시키는" 또는 이들 용어의 임의의 변화형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임의의 측정 가능한 저하 또는 완전 저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 최대 약, 또는 적어도 약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99% 이상 또는 이로부터 유래 가능한 임의의 범위의 Aβ 플라크 부하(load)의 저하(제거), 또는 AD를 갖는 환자에서 Aβ 플라크의 발증의 감소 및 이러한 환자의 치료가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
본원에 기술된 발명의 개념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특정한 특질 및 특성을 강조하는 하기 실시예는 예시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실시예 1: 재조합 Aβ 단백질에 결합하는 식별된 재조합 하이브리도마 mAb의 패널
직접 결합 ELISA를 이용하여, mAb의 식별되고 재조합적으로 발현된 패널이 인간 AβpE3-42 원섬유에 결합하는 능력 및 인간 Aβ1-40, 인간 Aβ1-42 또는 인간 AβpE11-40에 대한 교차-반응성을 평가하였다. 인간, 원숭이, 개 및 토끼 사이의 100% 서열 동일성으로 인해, 결합 연구는, 이들 이들 종의 대표로서 인간 Aβ1-40 및 Aβ1-42로 수행하였다. 재조합 인간 Aβ 단백질을 0.2 M 탄산염-중탄산염 완충액에 희석시켰다. Aβ 단백질을 0.1 mM / 0.2 mM 스톡 용액으로부터 1 μg/mL의 작업 농도로 희석시키고, 웰당 50 μL(50 ng/웰)를 96-웰의 절반 영역 고결합 ELISA 플레이트(half area high-binding ELISA plate)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4℃에서 100 rpm에서 진탕하면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코팅 후, 플레이트를 자동 플레이트 세척기를 사용하여 190 μL/웰의 1x PBS로 4회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를 190 μL/웰의, DPBS 중 2% BSA로 블로킹하고(block), 실온(RT)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ELISA용 시약을 DPBS 중 0.25% BSA에 희석시켰다.
ELISA에서 시험된 Aβ 펩타이드의 목록
희석 플레이트에서 스톡 용액으로부터 67 nM 또는 100 nM의 작업 1x 초기 농도까지 mAb의 패널에 대한 희석액을 제조하고, 각각의 mAb에 대한 8-점 5x 희석 시리즈를 수행하였다. 블로킹을 위한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자동 플레이트 세척기를 사용하여 190 μL/웰의 1x PBS로 4회 세척하였다. 검출을 위해 1:10,000 희석에서 항-마우스 IgG-HRP를 제조하고, 50 μL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RT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x PBS로 4회 세척 후, 50 μL의 TMB 기질(Life Technology, 002023)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발색될 때까지 RT에서 약 5분 내지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웰당 50 μL의 2 N 황산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켰다.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판독기 상에서 판독하여 450 nm에서의 흡광도(OD450)를 수득하였다. Aβ 단백질에 대한 mAb의 결합(EC50)을 GraphPad Prism 8.4.3에서 비선형 회귀(nonlinear regression)(4-모수 용량-반응 곡선 모델: Y = 하한(Bottom) + (상한하한(TopBottom))/(1+10^((LogIC50-X) *힐경사(Hillslope))))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단일클론 항체(mAb) AC-233661은 AβpE3-42 종에 대한 특이성 및 선택성을 보여주었고, 인간화를 위해 선택되었다. AC-264713은 AC-233661의 인간화 버전이다.
일부 경우, AC-264713은 비교물질 항체를 사용하여 특징화된다. 비교 목적을 위해 실험에 포함되는 항체에 대한 아미노산 서열은 아래에 기술된다:
항체
실시예 2: 결합 특이성 및 에피토프 식별
A. 인간 Aβ pE3-42 원섬유에의 결합 특이성
항-마우스 IgG-HRP 대신에 항-인간 IgG-HRP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인간 AβpE3-42 원섬유에 대한 AC-264713을 평가하였다. 인간 AβpE3-42 원섬유에의 AC-264713 결합의 EC50 값은 0.7 nM이다. 도 1은 인간 AβpE3-42 원섬유에의 AC-264713의 대표적인 결합을 도시한다.
B. 에피토프 식별
아미노산 3으로부터 출발하여 각각의 아미노산을 치환하는 글리신 점 위치 변화를 갖는 N-말단 3 내지 16개 아미노산 길이로부터 10개의 비오틴화된 펩타이드를 아래 나열된 바와 같이 C-말단에서 비오틴으로 생성하였다.
글리신 위치 돌연변이화된 Aβ 펩타이드의 목록
펩타이드에 결합하는 AC-264713의 능력을 직접 결합 ELISA에 의해 평가하였다. 결합에서의 손실은 AC-264713이 AβpE3-42 원섬유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잔기가 필요함을 나타낸다. 재조합 인간 Aβ 비오틴화된 펩타이드를 증류수에서 희석시켰다. Aβ 펩타이드를 2 μg/mL의 작업 농도로 희석시키고, 웰당 50 μL(100 ng/웰)를 96-웰의 절반 영역 고결합 ELISA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4℃에서 100 rpm에서 진탕하면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코팅 후, 플레이트를 자동 플레이트 세척기를 사용하여 190 μL/웰의 1x PBS로 4회 세척하였다. 플레이트를 190 μL/웰의, DPBS 중 2% BSA로 블로킹하고, RT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ELISA용 시약을 DPBS 중 0.25% BSA에 희석시켰다.
희석 플레이트에서 스톡 용액으로부터 67 nM 또는 100 nM의 작업 1x 초기 농도까지 AC-264713에 대한 희석액을 제조하고, mAb에 대한 8-점 5x 희석 시리즈를 수행하였다. 블로킹을 위한 인큐베이션 후, 플레이트를 자동 플레이트 세척기를 사용하여 190 μL/웰의 1x PBS로 4회 세척하였다. AC-264713 검출을 위해 1:10,000 희석에서 항-인간 IgG-HRP를 제조하고, 50 μL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RT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PBS로 4회 세척 후, 50 μL의 TMB 기질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발색될 때까지 RT에서 약 5분 내지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웰당 50 μL의 2 N 황산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켰다. 플레이트를 ClarioStar 플레이트 판독기 상에서 판독하여 450 nm에서의 흡광도(OD450)를 수득하였다. Aβ 단백질에 대한 AC-264713의 결합(EC50)을 GraphPad Prism 8.4.3에서 비선형 회귀(4-모수 용량-반응 곡선 모델: Y = 하한 + (상한하한)/(1+10^((LogIC50-X) *힐경사)))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3개의 독립적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아래 표에 요약되어 있다.
에피토프 파인더 ELISA EC 50 값 - AC-264713에 대한 글리신 위치 돌연변이화된 Aβ 펩타이드 결합 EC 50
글리신 돌연변이체 펩타이드에 대한 AC-264713의 결합 분석은 잔기 피로(pyro) 3, 4 및 5가 결합에 중요함을 나타낸다. 흥미롭게도, AC-264713은 E3-16에 결합하되 pE3-16과 비교하여 3배 감소된 결합력(binding potency)으로 결합하며, 이는 재조합 Aβ 펩타이드 제조에서 글루타메이트로부터 피로글루타메이트로의 자발적 전환으로 인한 것일 수 있었다.
실시예 3 AD 뇌 조직에서 아밀로이드 플라크에의 AC-264713의 결합
비고정(unfixed) 20 μm 조직 절편을 인간 카데바 AD 뇌의 대뇌 피질로부터 동결정지제(cryostat)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유리 슬라이드 상에 해동-봉입시켰다. 그 후에, 0.3% H2O2를 함유하는 Tris-완충 식염수(TBS)에서 10분 동안 조직 절편을 인큐베이션하였다. TBS로 3회 세척 후, 절편을 3% 밀크(milk)를 함유하는 TBS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에, 비오틴화된 AC-264713을 샘플에 첨가하고,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TBS로 3회 세척 후, 1:400 ABC Elite에서 1시간 동안, 후속의 DAB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면역반응성을 시각화하였다.
슬라이드 스캐너를 사용하여 모든 샘플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HALOTM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v3.1.1076.423에서 면적 정량화 모듈(Area Quantification module)을 사용하여 AD 샘플(n = 6) 내 비오틴화된 AC-264713의 IR을 정량화하였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회백질을 묘사하고, 염색 조건에 대해 맹검인 관찰자에 의해 "역치"를 결정하였다. 역치는 DAB 신호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식되고 배경/비특이적 염색이 분석으로부터 배제되도록 설정되었다. 일단 적절한 역치가 설정되면, 소프트웨어는 양성 신호를 함유하는 관심 면적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Prism 버전 9.1.0(Graph Pad Software)을 사용하여 비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변 경사 모델, IR에 의해 덮인 면적 % = 하한 + (X힐경사)*(상한-하한)/(X힐경사 + EC50힐경사)을 사용하였고, 상기 하한을 0(zero)으로 고정시키고, 상한을 플라크에 의해 덮인 전형적인 총 면적으로서 10%로 고정시켰다. 6명 전원의 공여자에 대한 데이터를 조합 데이터 적합에서 분석하였다.
AD 뇌 조직(n=6)에서, AC-264713은 0.4 μg/ml(신뢰 구간: 0.1 내지 0.7 μg/ml)의 EC50으로 0.5 내지 100 μg/mL(도 2) 범위에서 농도-의존적 방식으로 플라크에 결합한다. 비교를 위해, AD 뇌 조직에 결합하는 비교물질 항체 Ab1에 대한 EC50은12 μg/ml(도 2. 신뢰 구간: 8 내지 17 μg/ml)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AC-264713과 Ab1 둘 다에 대한 힐 계수는 1에 근접하였다(각각 1.5 및 0.8).
도 2는 전두엽 피질로부터의 신선하게 냉동된 인간 AD 조직에서 AC-264713 및 비교물질 항체 Ab1에 의해 결합된 플라크 면적을 도시한다.
실시예 4 hiPSC-유래 포식세포에 의한 비고정 APPPS1-21 뇌 조직으로부터의 자극된 아밀로이드 플라크 제거
검정 프로토콜
비고정 20 μm 관상뇌(coronal brain) 조직 절편을 동결정지제 상에서 21월령 APPPS1-21 마우스로부터 제조하고, 12 mm 폴리-D-리신-코팅된 유리 커버슬립 상에 해동-봉입하였다. 건조된 조직 절편을 PBS로 간단히 세척하고, PBS 중 0, 또는 용량 a, 용량 b 또는 용량 c(여기서 0 μg/ml < 용량 a < 용량 b < 용량 c)의 AC-264713과 함께 4℃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간 유도 만능 줄기세포(hiPSC)-유래 포식세포의 첨가 직전에, 조직 절편을 PBS로 3회 세척하였다.
hiPSC-유래 포식세포를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생성하였다(문헌[van Wilgenburg, Browne et al. 2013], 문헌[Haenseler, Sansom et al. 2017]). 간략하게는, 해리된 hiPSC를 EB 분화 배지[Revitacell, 50 ng/ml 인간 VEGF, 50 ng/ml 인간 BMP-4(Peprotech) 및 20 ng/ml SCF(R&D Systems)가 보충된 mTeSR-1]에서 조혈 배아체(EB: embryoid body)로 응집시켰다. EB를 EB 유지 배지[100 U/ml 페니실린,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Thermo-Fisher), 2 mM 글루타맥스, 55 μM 2-머캅토에탄올, 100 ng/mL 재조합 인간 M-CSF 및 25 ng/mL 재조합 인간 IL-3이 보충된 X-VIVO 15]를 함유하는 T75 배양 플라스크에서 유지시켰다. 포식세포 현탁액을 EB 플라스크로부터 수확하고, 포식세포 배양 배지[100 U/ml 페니실린/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Thermo-Fisher), 2 mM 글루타맥스, 55 μM 2-머캅토에탄올, N-2 보충제(Thermo-Fisher) 및 100 ng/ml 재조합 인간 M-CSF가 보충된 Advanced DMEM/F12]에서 항체-처리된 APPPS1-21 조직 절편 상에 0.4 x 106개 세포/0.5 ml의 밀도로 37℃/5% CO2에서 72시간 동안 직접 배양하였다.
iPSC-유래 포식세포와 함께 공동-배양 후, 조직 절편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고정시키고, 원섬유 플라크를 0.025% 티오플라빈 S로 표지하였다. 형광 이미지를 슬라이드 스캐너를 사용하여 획득하고, HALO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v3.1.1076.423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원섬유 플라크 면적의 측정을 위해, 대조군-처리 조직 절편으로부터의 형광 이미지를 역치설정(threshold)하여 치밀 플라크를 강조하고, 후속적인 조직 절편을 동일한 매개변수로 역치설정하였다. 데이터는 절편당 총 조직 면적의 백분율로서 표현되는 치밀 플라크에 의해 점유된 측정 면적(역치설정된 면적)으로서 보고된다.
Prism 버전 8.4.3(Graph Pad Software)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치밀 플라크 면적 측정을 일원 ANOVA와 후속의 던넷 다중 비교 검정에 의해 분석하여, 각각의 AC-264713 치료군(용량 a, 용량 b 및 용량 c)의 평균을 대조군(0 μg/ml)의 평균과 비교하였다. 그룹당 n = 6개의 조직 절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264713은 용량 a, 용량 b 또는 용량 c에서 hiPSC-유래 포식세포와 공동-배양 후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면적 퍼센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야기하였다(n=6, 농도 a 내지 c μg/ml과 0 μg/ml의 비교에 대한 조정된 p-값 < 0.0001).
실시예 5 APPPS1-21 마우스에서 생체내 AC-264713 노출 및 표적 결합(PK/TB)
APPPS1-21 동물에서의 항체 노출 및 표적 결합 생체내 연구를 실시하여 AC-264713 투여 후 뇌 및 혈청 분포뿐만 아니라 생체내 플라크 결합 잠재력(binding potential)을 결정하였다.
동물
8.5 내지 12.5개월령의 APPPS1-21(B6.Cg-Tg(Thy1-APPSw,Thy1-PSEN1*L166P)21Jckr))(문헌[Radde, Bolmont et al. 2006])을 PK/TB 연구에 사용하였다. 오리지널 브리더 마우스를 Fa. Koesler(독일)와의 라이센스 계약 하에 Mathias Jucker의 실험실에 의해 수득하였다. 마우스를 Charles River Laboratories(독일 슐츠펠트 소재)에서 사육하고, AbbVie Deutschland GmbH의 동물사육장으로 전달하고 실험 실행을 위해 에이징시켰다. 동물의 건강 및 쾌적함을 수의사가 제어하였다. 마우스는 12:12시간 암/실 주기로 온도- 및 습도-제어실에서 물과 사료에 자유롭게 접근하였다.
생체내 방법
이 연구를 위해, AC-264713뿐만 아니라 비교물질 항체 Ab1을 용량 1 내지 4의 범위로 시험하고, 꼬리 정맥을 통해 정맥내 투여하였다. 각각의 용량에 대해 3 마리의 암컷 동물을 사용하였다. 조사된 시점은 p.a. 72시간째였다. 연구 종료 시, 혈액을 72시간째에 심장 천자에 의해 채혈하고, 혈청을 단리하였다. 후속적으로, 동물을 1000 U/L 헤파린이 있는 저온 PBS로 10분 동안 관류시키고, 뇌를 절제하고, 중간-시상면에서(mid-sagittally) 절반으로 자르고, 우측 대뇌 반구를 면역조직화학용으로 준비하였다. 좌측 피질, 전뇌의 나머지 및 소뇌를 단리하고, 액체 질소에서 별도로 급속 냉동시키고, 좌측 피질을 ELISA를 이용한 AC-264713의 정량화에 사용하였다.
조직 가공, 면역조직화학 및 표적 결합의 분석
면역조직화학에 이용되는 우측 대뇌반구를 10% 포르말린에서 24시간 동안 적하-고정시킨 다음, 70% 에탄올로 교체하였다. 조직을 정돈하고, 샘플을 표준 에탄올 시리즈와 후속의 자일렌으로 탈수시키고, 파라핀으로 포매하였다(ASP300, Leica). 대뇌 반구를 시험 물품 및 용량에 기반하여 무작위화하고, 4개의 무작위화된 반구를 함유하는 파라핀 블록을 생성하였다. 4 μm 파라핀 절편을 제조하고, 자동화 염색기 상에서 시트레이트-완충액-기반 열-유도 항원 회수 용액 및 3,3'-디아미노벤지딘(DAB)-기반 검출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생체내-투여된 AC-264713 및 비교물질 항체 Ab1의 검출을 위해, 인간 IgG(H+L)을 검출하는 비오틴화된 당나귀 항-인간 F(ab')2 단편(Jackson Immuno)을 3.7 μg/mL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면역염색을 위해 0.35 μg/mL의 AC-264713 또는 0.26 μg/mL 농도의 비교물질 항체 Ab1을 적용함으로써 AβpE3 표적 면적을 결정하였다.
이미지를 P1000 스캐너로 수집하였다. 각각의 분자에 대해 AβpE3에의 결합을 정량화하기 위해, 인접 절편의 플라크에서 AC-264713 또는 비교물질 항체 Ab1 IR에 기반한 AβpE3의 총 표적 면적을 정의(define)함으로써 AC-264713 또는 비교물질 항체 Ab1에 의해 점유된 면적을 정규화하였다. 이를 위해, HALOTM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에서 면적 정량화 모듈을 사용하여 1개의 뇌당 3개의 매칭된 절편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절편에 대해, 피질을 묘사하였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동물의 치료에 대해 맹검인 관찰자에 의해 "역치"를 결정하였다. 역치는 hIgG 또는 AC-264713 또는 비교물질 항체 Ab1 면역반응성의 양성 갈색 DAB 신호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식되고 배경/비특이적 염색이 분석으로부터 배제되도록 설정되었다. 일단 적절한 역치가 설정되면, 소프트웨어는 hIgG 또는 AC-264713 또는 비교물질 항체 Ab1에 대한 양성 면역반응성을 함유하는 관심 면적(피질)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그 후에, 피질 내 hIgG IR 면적을 AC-264713 IR 또는 Ab1 IR로 정규화하고, 값을 GraphPadPrism(버전 8, GraphPad Software)에서 플롯화하고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 표현되고, 일원 ANOVA와 후속의 크루스칼-왈리스 다중 비교 검정으로 분석되었다.
혈청 및 뇌에서 AC-264713 수준의 평가
인간 IgG1을 검출하는 전기화학발광 면역검정을 사용하여 AC-264713 및 비교물질 항체 Ab1에 대해 혈청 및 뇌 샘플을 분석하였다. 간략하게는, 혈청을 PBS 또는 적절한 농도의 샘플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PBS로 희석시켜 모든 샘플에서 1% 혈청의 최종 농도를 달성하였다. 희석 인자는 예상되는 분석물 수준에 따라 선택되었다. 샘플을 3개의 희석물에서 측정하고, 이로부터 적어도 2개의 희석물은 허용되는 측정 범위에 있었다. 희석된 샘플을 인간 IgG1을 포착하는 비오틴화된 항체 ab99757(0.5 μg/mL)로 사전코팅된 스트렙타비딘 플레이트 상에 로딩하였다. 플레이트를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TTBS(Tris Tween 완충 식염수)로 세척하고, 인간 IgG1을 설포-태깅된 EB89 항체(1 μg/mL)로 검출하였다.
뇌 샘플의 분석을 위해, 일반적인 검정 절차는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실험 전에, 뇌 조직을 균질화 완충액(50 mM Tris(pH 7.5), 150 mM NaCl, 1 mM NaF, 1 mM Na2VO4, 1 mM EDTA(pH 7.5), 0.25% Na 데옥시콜레이트, 1% NP-40 및 1x 프로테아제 저해제 정제)에서 1:5로 균질화시켰다. 분석을 위해, 희석 인자는 적절하게 조정되었고, CSF 샘플에 대해서는 1:40이었고, 뇌 균질물에 대해서는 1:4였다.
AC-264713 또는 Ab1을 시험 샘플과 동일한 농도의 생물학적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대조군 샘플 및 각각의 표준 곡선의 작제에 사용하였다. 혈청 샘플의 분석을 위해, 표준 곡선은 31 내지 7500 ng/mL의 농도 범위를 포괄하는 7개의 표준점에 기반하였다. CSF 및 뇌에 대해, 11개의 표준점을 사용하여 0.023 내지 1330 ng/mL의 농도 범위를 포괄하는 표준 곡선을 생성하였다. 분석물 둘 다에 대해 각각 혈청에 대한 LLOQ는 31 ng/mL였고, 뇌에 대해서는 0.152 ng/g이었다.
생체내 표적 결합력에 대한 데이터 분석
Prism 버전 9.1.0(Graph Pad Software)을 사용하여 피질 항체 농도의 함수로서 정규화된 IR 신호의 비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변 경사 모델, 면역반응성에 의해 덮인 면적 % [정규화] = 하한 + X*(상한-하한)/(X + EC50)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상한을 100%로 고정시켰다.
hIgG 염색된 절편의 이미지 분석은 피질에서 시험 물품 AC-264713 및 비교물질 항체 Ab1의 플라크로의 용량 의존적 증가 및 국재화(localization)를 보여주었다. 피질에서 AβpE3 면역반응성 플라크의 분석 및 Ab1 IR 또는 AC-264713 IR에 대한 hIgG IR의 정규화 또한 AC-264713뿐만 아니라 비교물질 항체 Ab1의 플라크 덮임(coverage)의 용량 의존적 증가를 보여주었다(도 4).
측정된 모든 농도는 정량화 한계 내에 있었다. 농도는 시험된 모든 용량에서 피질과 혈청 둘 다에서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AC-264713의 평균화된 농도는 피질에서 0.0016 내지 0.29 μg/g 및 혈청에서 4.5 내지 352 μg/mL 범위였다. 혈청에 대한 조직의 비율(T/S)은 0.03% 내지 0.08%였다.
관찰된 개별 동물 뇌 농도와 IR에 의해 정량화된 바와 같은 표적 결합의 상관관계의 확인 시(도 5), AC-264713은, 0.28 μg/g(신뢰 구간: 0.13 내지 1.2 μg/g)의 EC50의 더 낮은 결합력으로 결합하는 비교물질 항체 Ab1과 비교하여 AβpE3에 0.031 μg/g(신뢰 구간: 0.016 내지 0.065 μg/g)의 EC50으로 결합한다.
실시예 6 APPPS1-21 마우스를 사용한 급성 미세출혈 모델에서 AC-264713의 평가
AC-264713 마우스 전구체 항체가 APPPS1-21 마우스를 사용한 급성 미세출혈 모델에서 미세출혈을 유도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생체내 연구를 실시하였다.
동물
15 내지 17개월령의 APPPS1-21 마우스를 미세출혈 연구에 사용하였다. 마우스를 Charles River Laboratories(미국 윌밍턴주 소재)에서 사육하고, AbbVie Bioresearch Center의 동물사육실로 운반하고, 에이징시키고, 실험 실시를 위해 Cambridge Research Center(CRC) 동물사육실로 전달하였다. 마우스는 12:12시간 암/실 주기로 온도- 및 습도-제어실에서 물과 사료에 자유롭게 접근하였다. CRC 동물사육실의 동물을 12시간:12시간 명암 주기로 개별적으로 환기되는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그룹으로 나누고, 사료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게 하였다. 투여 전 적어도 72시간 동안 마우스가 적응되게 하였다.
생체내 방법
미세출혈 연구를 이전에 기술된 모델(문헌[Janssens, Hermans et al. 2021])에서 일부 수정하여 수행하였다. 15월령에서, AβpE3은 뇌 혈관구조에서 검출 가능하지만, APPPS1-21 마우스에서의 일부 다른 N-말단 Aβ 종만큼은 풍부하지 않다. 마우스(n=4, 성별 혼합)에게 단일 용량의 AC-233661을 또는 복강내 주사를 통해 제공하였다. 마우스 IgG를 음성 대조군(n=4, 성별 혼합)으로서 사용하였고, AD 환자에서 ARIA를 야기한 mu IgG2a/k를 갖는 비교물질 항체 Ab2를 양성 대조군(n = 5)으로서 사용하였다. 음성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을 둘 다 복강내 주사를 통해 투여하였다. 주사 후 3일째에, 또는 중증 이상 반응이 관찰되자 마자(어느 것이든 먼저 것), 마우스를 소듐 펜토바르비탈로 안락사시키고, PBS로 관류시키고, 뇌를 신속하게 제거하였다.
미세출혈에 대한 조직학 분석
그 후에, 우측 대뇌반구를 10% 포르말린에서 24시간 동안 적하-고정시킨 다음, 30% 수크로스를 함유하는 PBS로 교체하였다. 50 μm 두께에서 일련의 관상(coronal) 절편을 각각의 대뇌반구의 문측 단부(rostal end)로부터 미측 단부(caudal end)까지 냉동 슬라이딩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적혈구 정량화를 위해, 모든 12번째 절편을 유리 슬라이드 상에 봉입하고, 헤마톡실린으로 대조염색하였다.
프러시안 블루 염색을 사용하여 헤모시데린 침착물을 염색하였다. 모든 12번째 절편을 유리 슬라이드 상에 봉입하였다. 그 후에, 절편을 PBS에서 재수화시키고, 0.25% Triton-X-100을 함유하는 PBS에서 침투시켰다. 포화된 NaCl 및 0.01 M NaOH를 함유하는 80% 에탄올에서 인큐베이션 후, 절편을 포화된 NaCl, 0.01 M NaOH 및 0.5% Congo Red를 함유하는 80% 에탄올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에, 슬라이드를 80% 에탄올 및 생리 식염수에서 세척하고, 후속의 0.12 M HCl 중 2% 포타슘 페로시아나이드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PBS에서 세척한 후, 슬라이드를 탈수시키고, 커버-슬립을 덮고, 스캔하였다.
일단 슬라이드 스캐너를 사용하여 스캔한 후, HALOTM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에서 면적 정량화 모듈을 사용하여 뇌 절편을 분석하였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전체 절편을 묘사하고, 동물의 치료에 대해 맹검인 관찰자에 의해 "역치"를 결정하였다. 역치는 적혈구 또는 프러시안 블루 신호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인식되고 배경/비특이적 염색이 분석으로부터 배제되도록 설정되었다. 일단 적절한 역치가 설정되면, 소프트웨어는 양성 신호를 함유하는 관심 면적(전체 절편)의 백분율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동물에 대해, 600 μm 간격의 일련의 절편 세트로부터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비교물질 항체 Ab2는 3일 내에 유의한 미세출혈을 유도하였다. 대조적으로, AC-264713 치료된 APPPS1-21 마우스의 마우스 전구체 항체는 이 기간 동안 건강한 채로 남아 있었고, 적혈구 및 헤모시데린 침착물은 음성 대조군 mIgG2a/k 항체와 필적할 만하였다(도 6).
실시예의 요약
AC-264713은 직접 결합 ELISA에서 인간 AβpE3-42 원섬유에 0.7 nM의 EC50으로 결합한다. AC-264713은 또 다른 인간 피로글루타메이트-변형 Aβ 종 AβpE11-40과 교차-반응하지 않았다. AC-264713은 또한 인간, 원숭이, 개, 토끼, 래트 및 마우스를 포함한 모든 종으로부터의 Aβ1-40과 교차-반응하지 않았다. 부가적으로, 피로(pyro), 3, 4 및 5에서의 아미노산 잔기는 AbpE3-42에의 AC-264713의 결합에 중요할 수 있다. 비고정 뇌 조직 상에서의 면역염색은 AC-264713이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함유하는 AD 뇌에 0.4 μg/ml의 EC50으로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결합하는 한편,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존재하지 않는 비-AD 인간, 래트 또는 시노몰구스 원숭이 뇌 조직에는 결합하지 않음을 실증하였다. AC-264713이 농도 a 내지 c에서 생체외 식세포작용 검정에서 시험되었을 때, 이는 hiPSC-유래 포식세포를 활성화시켜 플라크를 제거하였다. AC-264713은 단일 IV 주사 후 APPPS1-21 마우스 내로 전신 주사된 후 3일째에, 이는 노출 시 뇌 및 혈청에서 용량-의존적 증가로 검출되었고, 플라크에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결합되었다. APPPS1-21 마우스를 사용한 급성 미세출혈 모델에서, AC-264713 마우스 전구체 항체는 단일 IP 주사 후 3일 내에 미세출혈을 야기하지 않았다. 종합하자면, 시험관내 및 생체내 데이터는, 말초 투여 후 뇌에서 아밀로이드 플라크에 결합하고 소교세포의 식세포작용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완전 이펙터 기능을 갖는 AC-264713, 즉, 항-AβpE3 단일클론 항체의 제안된 작용 방식을 예시한다. 전술한 내용은 AD 뇌로부터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제거함으로써 알츠하이머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AC-264713의 적합성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실시형태
다양한 구체적 실시형태가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일부는 아래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개념(들)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1.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중쇄(vH);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경쇄(vL)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로서,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인, 항-인간 AβpE3 항체.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서열 번호 7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 번호 8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3.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서열 번호 9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 번호 10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4. 실시형태 1에 있어서, IgG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5. 실시형태 4에 있어서, Fc 부분을 포함하는 인간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Fc 부분은 인간 IgG1, IgG2, IgG3, IgG4 또는 IgM 이소타입(isotype)인, 항-인간 AβpE3 항체.
6. 실시형태 5에 있어서, 카파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7. 실시형태 1의 항-인간 AβpE3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실시형태 1의 항-인간 AβpE3 항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장애의 치료 방법.
9. 실시형태 8에 있어서, 신경퇴행성 장애는 알츠하이머 질환(AD)인, 치료 방법.
10. 항-인간 AβpE3 항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로서, 상기 항체는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H 사슬;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L 사슬을 포함하며;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11. 실시형태 10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
12. 실시형태 11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진핵 숙주 세포.
13. 실시형태 12에 있어서, 포유류 숙주 세포인, 진핵 숙주 세포.
14. 항-인간 AβpE3 항체의 생산 방법으로서, (a) 실시형태 13의 포유류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인간 AβpE3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 방법.
15. 항-인간 AβpE3 항체로서, 각각의 중쇄가 서열 번호 37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중쇄, 및 각각의 경쇄가 서열 번호 10으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경쇄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이 목적을 수행하고 언급된 결론 및 이점, 뿐만 아니라 이에 내재된 것을 수득하도록 잘 개조됨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 기술된 특정 실시형태는 대표적이고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며,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두려는 것이 아니다. 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발명의 사상 내에 포괄된 그 안의 변화 및 다른 용도를 당업자에게 알게 될 것이다.
참조문헌
Aisen, P. S., J. Cummings, R. Doody, L. Kramer, S. Salloway, D. J. Selkoe, J. Sims, R. A. Sperling and B. Vellas (2020). "The Future of Anti-Amyloid Trials." J Prev Alzheimers Dis 7(3): 146-151.
Greenberg, S. M., B. J. Bacskai, M. Hernandez-Guillamon, J. Pruzin, R. Sperling and S. J. van Veluw (2020). "Cerebral amyloid angiopathy and Alzheimer disease - one peptide, two pathways." Nat Rev Neurol 16(1): 30-42.
Haenseler, W., S. N. Sansom, J. Buchrieser, S. E. Newey, C. S. Moore, F. J. Nicholls, S. Chintawar, C. Schnell, J. P. Antel, N. D. Allen, M. Z. Cader, R. Wade-Martins, W. S. James and S. A. Cowley (2017). "A Highly Efficient Human Pluripotent Stem Cell Microglia Model Displays a Neuronal-Co-culture-Specific Expression Profile and Inflammatory Response." Stem Cell Reports 8(6): 1727-1742.
Janssens, J., B. Hermans, M. Vandermeeren, E. Barale-Thomas, M. Borgers, R. Willems, G. Meulders, C. Wintmolders, D. Van den Bulck, A. Bottelbergs, L. Ver Donck, P. Larsen, D. Moechars, W. Edwards, M. Mercken and B. Van Broeck (2021). "Passive immunotherapy with a novel antibody against 3pE-modified Abeta demonstrates potential for enhanced efficacy and favorable safety in combination with BACE inhibitor treatment in plaque-depositing mice." Neurobiol Dis 154: 105365.
Jawhar, S., O. Wirths and T. A. Bayer (2011). "Pyroglutamate amyloid-beta (Abeta): a hatchet man in Alzheimer disease." J Biol Chem 286(45): 38825-38832.
Kuo, Y. M., M. R. Emmerling, A. S. Woods, R. J. Cotter and A. E. Roher (1997). "Isolation,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quantitation of A beta 3-pyroglutamyl peptide from neuritic plaques and vascular amyloid deposit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37(1): 188-191.
Penninkilampi, R., H. M. Brothers and G. D. Eslick (2017). "Safety and Efficacy of Anti-Amyloid-β Immunotherapy in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Neuroimmune Pharmacol 12(1): 194-203.
Radde, R., T. Bolmont, S. A. Kaeser, J. Coomaraswamy, D. Lindau, L. Stoltze, M. E. Calhoun, F. Jaggi, H. Wolburg, S. Gengler, C. Haass, B. Ghetti, C. Czech, C. Holscher, P. M. Mathews and M. Jucker (2006). "Abeta42-driven cerebral amyloidosis in transgenic mice reveals early and robust pathology." EMBO Rep 7(9): 940-946.
Selkoe, D. J. and J. Hardy (2016). "The amyloid hypothesis of Alzheimer's disease at 25 years." EMBO Mol Med 8(6): 595-608.
Sperling, R. A., C. R. Jack, Jr., S. E. Black, M. P. Frosch, S. M. Greenberg, B. T. Hyman, P. Scheltens, M. C. Carrillo, W. Thies, M. M. Bednar, R. S. Black, H. R. Brashear, M. Grundman, E. R. Siemers, H. H. Feldman and R. J. Schindler (2011). "Amyloid-related imaging abnormalities in amyloid-modifying therapeutic trials: recommendations from the Alzheimer's Association Research Roundtable Workgroup." Alzheimers Dement 7(4): 367-385.
van Dyck, C. H. (2018). "Anti-Amyloid-beta Monoclonal Antibodies for Alzheimer's Disease: Pitfalls and Promise." Biol Psychiatry 83(4): 311-319.
van Dyck, C. H. (2018). "Anti-amyloid-β monoclonal antibodies for Alzheimer's disease: pitfalls and promise." Biol Psychiatry 83(4): 311-319.
van Wilgenburg, B., C. Browne, J. Vowles and S. A. Cowley (2013). "Efficient, long-term production of monocyte-derived macrophages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under partly-defined and fully-defined conditions." PLoS One 8(8): e71098.

Claims (15)

  1.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중쇄(vH);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가변 경쇄(vL)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로서,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인, 항-인간 AβpE3 항체.
  2. 제1항에 있어서, 서열 번호 7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및 서열 번호 8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중쇄가 서열 번호 9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중쇄, 및 각각의 경쇄가 서열 번호 10으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경쇄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4. 제1항에 있어서, IgG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5. 제4항에 있어서, Fc 부분을 포함하는 인간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Fc 부분은 인간 IgG1, IgG2, IgG3, IgG4 또는 IgM 이소타입(isotype)인, 항-인간 AβpE3 항체.
  6. 제5항에 있어서, 카파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7. 제1항의 항-인간 AβpE3 항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제1항의 항-인간 AβpE3 항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장애의 치료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신경퇴행성 장애는 알츠하이머 질환(AD)인, 치료 방법.
  10. 항-인간 AβpE3 항체를 인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로서, 상기 항체는 (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H 사슬; 및 (ii) 3개의 CDR을 포함하는 vL 사슬을 포함하며;
    vH CDR1은 GFSLSTSGMGVS(서열 번호 1)이고;
    vH CDR2는 HIYWDDDKRYNPYMKR(서열 번호 2)이고;
    vH CDR3은 RADDYDVGFAY(서열 번호 3)이고;
    vL CDR1은 LASQTIGTWLA(서열 번호 4)이고;
    vL CDR2는 AATSLAD(서열 번호 5)이고;
    vL CDR3은 QQLYSSPFT(서열 번호 6)인, 폴리뉴클레오타이드.
  11. 제10항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는 벡터.
  12. 제11항의 벡터로 형질전환된 진핵 숙주 세포.
  13. 제12항에 있어서, 포유류 숙주 세포인, 진핵 숙주 세포.
  14. 항-인간 AβpE3 항체의 생산 방법으로서, (a) 제13항의 포유류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b) 항-인간 AβpE3 항체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산 방법.
  15. 항-인간 AβpE3 항체로서, 각각의 중쇄가 서열 번호 37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중쇄, 및 각각의 경쇄가 서열 번호 10으로 제시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2개의 경쇄를 포함하는, 항-인간 AβpE3 항체.
KR1020237031601A 2021-10-28 2022-10-28 항-아밀로이드 베타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KR102655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63204P 2021-10-28 2021-10-28
US63/263,204 2021-10-28
PCT/US2022/078913 WO2023077091A1 (en) 2021-10-28 2022-10-28 Anti-amyloid beta antibodi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425A true KR20230171425A (ko) 2023-12-20
KR102655944B1 KR102655944B1 (ko) 2024-04-12

Family

ID=8615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601A KR102655944B1 (ko) 2021-10-28 2022-10-28 항-아밀로이드 베타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802149B2 (ko)
EP (1) EP4259657A1 (ko)
JP (1) JP2024512855A (ko)
KR (1) KR102655944B1 (ko)
AR (1) AR127498A1 (ko)
AU (1) AU2022377057A1 (ko)
CA (1) CA3236199A1 (ko)
TW (1) TW202334200A (ko)
WO (1) WO202307709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653A (ko) * 2015-07-16 2018-03-23 프로비오드룩 아게 항-피로글루타메이트화된 아밀로이드 베타 인간화 항체
WO2020193644A1 (en) * 2019-03-26 2020-10-01 Janssen Pharmaceutica Nv ANTIBODIES TO PYROGLUTAMATE AMYLOID-ß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59942A1 (en) * 2009-04-27 2010-10-07 Novartis Ag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for therapeutic antibodies specific for the il-12 receptore betai subunit
WO2012136552A1 (en) 2011-04-08 2012-10-11 H. Lundbeck A/S ANTIBODIES SPECIFIC TO PYROGLUTAMATED Αβ
US9023995B2 (en) * 2011-11-16 2015-05-0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Anti IL-36R antibodi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0653A (ko) * 2015-07-16 2018-03-23 프로비오드룩 아게 항-피로글루타메이트화된 아밀로이드 베타 인간화 항체
WO2020193644A1 (en) * 2019-03-26 2020-10-01 Janssen Pharmaceutica Nv ANTIBODIES TO PYROGLUTAMATE AMYLOID-ß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36199A1 (en) 2023-05-04
KR102655944B1 (ko) 2024-04-12
JP2024512855A (ja) 2024-03-21
AU2022377057A1 (en) 2024-05-09
EP4259657A1 (en) 2023-10-18
US20230203143A1 (en) 2023-06-29
WO2023077091A1 (en) 2023-05-04
US11802149B2 (en) 2023-10-31
TW202334200A (zh) 2023-09-01
AR127498A1 (es)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8111B2 (en) Alpha-synuclein antibodies and uses thereof
CA2690435C (en) Humanized antibodies to amyloid beta
AU2009245354C1 (en) Antibodies to receptor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RAGE) and uses thereof
KR102508933B1 (ko) 알파-시누클레인에 대한 항체 및 그 용도
US20220356249A1 (en) Human anti-semaphorin 4d antibody
CA3046857A1 (en) Monoclonal anti-alpha-synuclein antibodies for preventing tau aggregation
TW201400505A (zh) 人類化tau抗體
JP7254931B2 (ja) 抗アルファ-シヌクレイン抗体およびその使用
CN116249717A (zh) 识别分拣蛋白的抗体
CN106831983B (zh) 针对淀粉状蛋白β的人源化抗体
KR102655944B1 (ko) 항-아밀로이드 베타 항체 및 이의 사용 방법
WO2019161384A1 (en) Tau single domain antibodies
US20220049009A1 (en) Anti-Abeta Antibodies
US20230203139A1 (en) Tau single domain antibodies
AU2013202799B2 (en) Humanized antibody against amyloid beta
NZ720141B2 (en) Anti-phf-tau antibodies and their 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