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089A -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089A
KR20230170089A KR1020237039537A KR20237039537A KR20230170089A KR 20230170089 A KR20230170089 A KR 20230170089A KR 1020237039537 A KR1020237039537 A KR 1020237039537A KR 20237039537 A KR20237039537 A KR 20237039537A KR 20230170089 A KR20230170089 A KR 20230170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ode
information
base station
time domai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리
짜오화 루
위씬 왕
이찌엔 천
찌엔우 도우
준 이양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17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Abstract

본 발명은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빔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상기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빔포밍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함-;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을 확정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S300), -여기서,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6월 3일자로 중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제202110621837.8호의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통신에서, 전자파 신호는 송신단에서 전송을 시작하여 감쇠를 걸쳐 최종적으로 수신단에 도착하므로 수신단에서 수신된 전자파 신호의 효과는 좋지 않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에서 단말로 전자파 신호를 송신하면, 단말은 그 중의 일부 전자파 신호만 수신하고, 다른 일부 전자파 신호는 흡수, 산란 등에 의해 손실되므로 단말은 전체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전자파 신호를 송신할 때에도 기지국은 그 중의 일부 전자파 신호만 수신하고, 다른 일부 전자파 신호는 흡수, 산란 등에 의해 손실되므로 기지국은 전체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상기 어느 경우든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 품질을 떨어뜨리게 되며,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통신 효율을 악화시키게 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기재된 발명에 대해 개략적으로 기술한다. 이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이는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빔 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빔포밍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함-;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됨-;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지국에 적용되는 빔 처리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빔 타임도메인 정보 중의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을 확정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기지국 측의 신호 안내에 사용되는 제1 빔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된다.
제3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메모리, 제1 프로세서 및 제1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1 프로세서에서 운행이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1 측면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한다.
제4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메모리, 제2 프로세서 및 제2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2 프로세서에서 운행이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제2 측면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제5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측면에 따른 빔 처리 방법, 또는, 제2 측면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 및 장점은 후속 명세서에서 기술되며, 명세서를 통해 부분적으로 자명하게 되거나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을 통해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의 목적 및 기타 장점은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에 특별히 언급된 구조에 의해 구현되고 얻어진다.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제공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와 함께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해석하나,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에서 제1 빔을 형성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에서 제1 빔을 형성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 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신호 안내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신호 안내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에서 제1 빔을 형성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에서 제1 빔을 형성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 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일 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에서 제1 빔 식별 정보를 발송하기 전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출원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 본 출원을 제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비록 장치 개략도에 기능 모듈별로 구획하고, 흐름도에 로직 순서를 설명하였으나, 어떤 경우에 장치의 모듈 또는 흐름도의 순서와 다르게 도시되거나 기술된 단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명세서, 청구범위 및 상기 첨부 도면 중의 용어 "제1 ", "제2 "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서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확정할 수 있으므로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을 형성하는 조건에서, 제1 빔을 통해 기지국에서 발송 또는 수신한 전자파 신호를 안내할 수 있는 바, 즉, 전자파 신호의 안내를 통해 기지국 또는 단말은 목표 전자파 신호를 더 많이 수신할 수 있음으로써 무선 통신 품질을 강화하며,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타임도메인은 빔포밍 시간 정보에 의해 대응하여 확정되고,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타임도메인에 상응한 빔을 형성하여 상응한 시간에 신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잘못된 안내 또는 시그널링 스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의 예시에서,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네트워크 노드(100), 기지국(200) 및 단말(300)을 포함하며, 여기서, 단말(300)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각 단말(300)마다 기지국(200)과 서로 매칭되는 바, 즉, 기지국(200)은 각각의 단말(300)로 전자파 신호를 발송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각각의 단말(300)도 전자파 신호를 기지국(200)으로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노드(100)는 통신 기능을 가지므로 기지국(200)과 통신 연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00)는 기지국(200)으로부터 통신 내용을 수신할 수 있으며, 통신 내용을 기지국(20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의 기지국(200)과 네트워크 노드(100)는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200)과 네트워크 노드(100) 사이에서 통신할 수 있고, 또는, 관련 네트워크 중의 제어 유닛 또는 제어 센터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상 경우를 기지국(200)과 네트워크 노드(100)가 통신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단말(300)은 액세스 단말,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플랫폼,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단말은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전화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WLL)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비서(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휴대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 탑재 장치, 웨어러블 장치, 5G 네트워크 또는 5G 이상의 미래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200),즉 통신 기지국은 무선국의 한 형태에 속하며, 일정한 무선 커버리지 영역에서 이동전화 단말기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 송수신 무선국을 의미하며, 기지국의 주요 기능은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것인 바, 즉, 유선 통신망과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신호 전송을 구현하며, 본 실시예에서 기지국(200)은 구체적으로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0)는 다른 설정을 가질 수 있는데 네트워크 노드(100)는 4G 무선 통신 기술 또는 5G 무선 통신 기술의 다양한 프로토콜을 순응하는 스마트 패드에 적용되며, 이 스마트 패드는 통합된 것이고, 기지국 및 단말과의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동시에 알고리즘, 제어 등과 같은 성능이 통합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실제 응용 시나리오에서, 재구성 가능 스마트 표면(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RIS) 스마트 패드가 될 수 있거나 네트워크 노드(100)는 임의의 경우에서의 통신 매체가 될 수 있다. 이 통신 매체는 저장 기능이 통합된 것일 수 있으며, 저장 소자를 외부에 설치하거나 또는 내장할 수도 있다. 기지국(200)과 단말(300)이 통신하는 경우, 해당 통신 내용을 저장하여 예비용으로 준비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노드(1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정보, 미리 설정된 빔, 네트워크 노드(100)의 작업 모드 정보 및 네트워크 노드(100) 내의 빔에 대한 측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0)와 기지국(200) 또는 단말(300)과의 위치 관계는 랜덤이다. 이러한 경우에, 네트워크 노드(100)와 기지국(200), 네트워크 노드(100)와 단말(300) 사이의 상대 위치관계는 고정적이지 않으며, 복수의 단말(300)이 존재할 경우, 각 단말(300) 사이의 위치관계가 고정적이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노드(100)와 각 단말(300) 사이의 상대 위치관계도 고정적이지 않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0)의 위치정보 및 기지국(200)의 위치정보는 모두 확정된 것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네트워크 노드(100)와 기지국(200) 사이의 상대 위치관계는 고정적이며, 기지국(200)과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00)의 빔도 상응하여 확정될 수 있다.
기지국(200) 및 네트워크 노드(100)는 각각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 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자기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비-휘발성 고체-상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 방식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대해 원격으로 배치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예들은 인터넷, 회사 인트라넷, 랜(LAN),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응용 시나리오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진화 및 새로운 응용 시나리오가 나타남에 따라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방안이 유사한 기술문제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도 1에 도시된 토폴로지 구조가 본 출원의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고,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 부재를 조합하거나, 또는 다른 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토폴로지에서, 기지국(200) 또는 네트워크 노드(100)는 각자에 저장된 빔 처리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빔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빔 처리 방법의 각 실시예를 제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빔 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방법은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00: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며,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빔포밍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동시에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발송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정보를 발송할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에서 관련 네트워크의 제어 유닛 또는 제어 센터를 통해 정보를 발송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과 기지국 측은 일정 연관성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하나의 설비에 속하며, 빔은 기지국과 정렬되어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통신 신호를 안내하고; 기지국 측은 기지국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기타 설비 또는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기지국 측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때 기지국이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 있고, 또한 기지국 측의 다른 설비 또는 제어 유닛이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빔 식별 정보는 단말과 정렬되는 빔을 지시하되, 네트워크 노드에서 제1 빔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제1 빔 식별 정보로 표기된 빔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와 단말 사이가 서로 협력하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빔포밍 시간 정보는 기지국과 해당 단말이 빔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하는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는 바, 즉, 구체적인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므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신호 전송을 안내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하나의 기지국이 서로 다른 단말과 각각 대응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제1 빔 식별 정보 및 복수의 빔포밍 시간 정보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한 세트의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하나의 단말과 대응하며, 상응하게, 네트워크 노드는 한 세트의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획득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및 해당 세트의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과 각각 대응한다. 임의의 하나의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협력 방식은 유사하므로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이하에서 관련 실시예의 설명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및 하나의 단말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S200: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을 확정한다.
단계 S300: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성하며, 여기서, 제1 빔은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빔 식별 정보에 의해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확정할 수 있으므로 제1 타임도메인에 제1 빔이 형성될 수 있는 조건에서, 제1 빔을 통해 기지국 또는 수신한 전자파 신호를 안내할 수 있는 바, 즉, 전자파 신호의 안내를 통해 기지국 또는 단말은 목표 전자파 신호를 더 많이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무선 통신 품질을 강화하며,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1 타임도메인이 빔포밍 시간 정보에 의해 대응하여 확정되고, 빔포밍 시간 정보가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응된 빔을 형성하여 상응한 시간에 신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잘못된 안내 또는 시그널링 스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 식별 정보는 빔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며, 빔 지시 정보는 제1 빔을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지시하며, 이 경우, 단계 S300은 단계 S310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310: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단말과 정렬하는 제1 빔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빔 식별 정보가 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빔 지시 정보가 제1 빔을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지시하므로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빔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제1 빔 및 제1 빔과 정렬되는 제1 단말을 동시에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1 빔을 통해 제1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전자파 신호를 안내할 수 있어 제1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빔 지시 정보는 명시적으로 제1 빔을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집적 지시하거나, 또는 암시적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빔 식별 정보의 배열 위치로 제1 빔을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암시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00은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320: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빔 지시 정보를 획득하며, 빔 지시 정보는 제1 빔을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지시한다.
단계 S330: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단말과 정렬하는 제1 빔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빔 지시 정보는 제1 빔을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지시하므로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지시 정보를 동시에 획득한 경우에 제1 빔 및 제1 빔과 정렬하는 제1 단말을 확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경우, 제1 빔을 통해 제1 단말과 기지국 사이에서 전자파 신호를 안내할 수 있으므로 제1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처리 방법은 단계 S400을 더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400: 제1 타임도메인에서 기지국과 정렬하는 제2 빔을 형성하며, 제2 빔은 네트워크 노드와 기지국 사이의 상대 위치관계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정렬하는 제2 빔을 형성하여 기지국에서 상응한 단말로 발송하는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안내하거나 또는, 상응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발송하는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안내한다. 이로써 기지국과 상응한 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 품질을 강화하고,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빔 및 제2 빔을 통해 안내하는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는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제1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으로, 기지국에서 단말로 상응한 다운 링크 전자파 신호를 송신하고, 제2 빔을 통해 기지국과 정렬하므로 제2 빔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 안내하고, 즉, 네트워크 노드에서 안내된 신호를 수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1 빔을 통해 단말과 정렬하므로 제1 빔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신된, 기지국에서 발송한 신호를 추가로 단말에 안내함으로써 단말의 신호 수신량을 높일 수 있다.
제2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으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상응한 업링크 전자파 신호를 송신하고, 제1 빔을 통해 단말과 정렬하므로 제1 빔에 의해 단말로부터 발송된 신호를 네트워크 노드로 안내하고, 즉, 네트워크 노드에서 안내된 신호에 수신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빔을 통해 기지국과 정렬하므로 제2 빔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에서 수신된, 단말에서 발송한 신호를 추가로 기지국으로 안내함으로써 기지국의 신호 수신량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타임도메인은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대응하여 확정되며, 범포임 시간 정보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전송 신호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하므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응한 빔을 형성하여 안내하므로 기지국과 단말이 신호 전송하는 과정에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잘못된 안내 또는 시그널링 스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지국 또는 단말에서 전자파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제1 빔 및 제2 빔이 아직 형성되지 않으면, 네트워크 노드는 이미 발송한 전자파 신호에 대해 정상적으로 안내할 수 없으며, 또는, 기지국 또는 단말에서 전자파 신호의 송신을 완료한 경우, 이때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관련된 안내 대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만약 제1 빔 및 제2 빔을 즉각적으로 철회하지 않았다면, 즉, 제1 빔이 여전히 단말과 정렬된 상태이고 제2 빔이 여전히 기지국과 정렬된 상태일 때 관련 없는 신호를 잘못 안내할 수 있으며, 또는, 타임도메인 분할 조건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서로 다른 빔으로 서로 다른 단말과 정렬하되, 단말에 대해 신호 안내를 한번 수행할 때마다 빔 스위칭을 한번 수행하고, 빔을 스위칭할 때마다 통지하므로 빈번한 스위칭으로 인해 시그널링 스톰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빔 및 제2 빔이 제1 타임도메인에서만 형성되도록 한정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기지국과 단말이 신호 전송하는 과정에 안내를 수행하므로 신호 안내의 준비 부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잘못된 안내 또는 시그널링 스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빔포밍 시간 정보는 빔포밍 부호를 포함하며, 빔포밍 부호는,
N1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부호, -N1은 1 내지 14 사이의 임의의 정수임-;
하나의 OFDM 부호 및 N2개의 연속 OFDM 부호, -N2는 2, 4 또는 7임-;
두 개의 연속 OFDM 부호 및 다른 두 개의 연속 OFDM 부호;
하나의 OFDM 부호, 및 하나의 OFDM 부호와 4개의 OFDM 부호가 이격된 다른 하나의 OFDM 부호;
연속 두 개의 타임 슬롯 상에 각각 분포된 두 개의 제1 빔 부호, -두 개의 제1 빔부호는 각자의 타임 슬롯 상의 위치가 서로 대응하며, 제1 빔부호는 하나의 OFDM부호, 및 하나의 OFDM부호와 4개의 OFDM부호가 이격된 다른 하나의 OFDM부호를 포함함-;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형을 포함한다.
빔포밍 부호는 부호 형식으로 빔포밍 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것과 같으며; 부호 형식으로 빔 형성된 시간을 표시하므로 빔 스위칭 지연을 부호의 등급으로 낮출 수 있는 바, 즉, 네트워크 노드를 이용하여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통신 지연을 낮출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빔포밍 부호는 OFDM 기술에 의해 설정되며, OFDM 기술에서 최소 주파수 도메인 유닛을 서브 반송파로, 최소 타임도메인 유닛을 OFDM 부호로 정의할 수 있고, 주파수 도메인 자원을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자원 블록(Resource Block)을 정의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자원 블록은 특정 개수의 연속 서브 반송파로 정의되고, 대역폭 블록(Bandwidth Part, BWP)도 정의하였으며, 하나의 대역폭 블록은 하나의 반송파 상에 또 다른 특정 개수의 연속 자원 블록으로 정의되고; 타임도메인 자원을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타임 슬롯(slot)을 또한 정의하며, 하나의 타임 슬롯은 또 다른 특정 개수의 연속 OFDM 부호로 정의된다.
상기 각 빔포밍 부호에 대하여, 각 빔포밍 부호는 구체적인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으며, 피팅(fitting)된 채널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하, 예시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예시 1:
N1 개의 연속 OFDM 부호에 대하여, 해당 빔포밍의 시간은 단말에서 기지국으로 연결되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PUSCH의 전송 시간은 N1 개의 연속된 OFDM 부호이고, 즉, 해당 빔포밍의 시간 내에 네트워크 노드는 대응되는 빔을 형성하여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에 로딩되는 전자파 신호를 단말에서 네트워크 노드를 걸쳐 기지국에 도착하게 안내하며; 이와 유사하게 N1 개의 연속 OFDM 부호 동안 시간을 차지하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또한 N1 개의 연속 OFDM 부호 동안 시간을 차지하는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및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한 1개의 OFDM 부호 동안 시간을 차지하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을 전송하는데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또한 2개의 OFDM 부호 동안 시간을 차지하는 CSI-RS를 전송하는데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한 4개의 OFDM 부호 동안 시간을 차지하는 코드 분할 다중의 유형이 cdm8-FD2-TD4인 CSI-RS을 전송하는데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또한 1개 내지 4개의 OFDM 부호 동안 시간을 차지하는 측정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하나의 OFDM 부호 및 N2 개의 연속 OFDM 부호에 대해, 해당 빔포밍의 시간은 mini형 타임 슬롯 전송 채널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개의 OFDM 부호는 mini형 타임 슬롯의 PDCCH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N2 개의 연속된 OFDM 부호는 mini형 타임 슬롯의 PDSCH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mini형 타임 슬롯의 PUSCH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2개의 연속 OFDM 부호 및 다른 2개의 연속 OFDM 부호에 대하여, 해당 빔포밍의 시간은 4개의 OFDM 부호 동안 시간을 차지하는 CSI-RS을 위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의 연속 OFDM 부호는 CSI-RS을 로딩하는 한 세트의 OFDM 부호를 위해 서비스 제공하고, 다른 2개의 연속 OFDM 부호는 CSI-RS를 로딩하는 다른 한 세트의 OFDM 부호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CSI-RS를 로딩하는 4개의 OFDM 부호는 두 세트의 OFDM 부호로 구성되고, 각 세트마다 2개의 연속 OFDM 부호를 포함한다.
하나의 OFDM 부호 및 하나의 OFDM 부호와 4개의 OFDM 부호가 이격된 다른 하나의 OFDM 부호에 대하여, 해당 빔포밍의 시간은 트래킹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for tracking, TRS)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하나의 OFDM 부호는 TRS을 로딩하는 바로 이전 OFDM 부호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OFDM 부호는 TRS를 로딩하는 바로 다음의 OFDM 부호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TRS를 로딩하는 모든 OFDM 부호는 2개의 OFDM 부호를 포함하고, 바로 다음 FDM 부호와 바로 이전 OFDM 부호 사이에는 4개의 OFDM 부호가 떨어져 있다.
연속 2개의 타임 슬롯 상에 각각 분포된 2개의 제1 빔 부호에 대하여, 해당 빔포밍의 시간은 TRS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며, 예를 들어, 바로 이전 타임 슬롯 상의 2개의 OFDM 부호는 TRS를 로딩하는 하나의 타임 슬롯 상의 2개의 OFDM 부호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바로 다음의 타임 슬롯 상의 2개의 OFDM 부호는 TRS의 다른 하나의 타임 슬롯 상의 2개의 OFDM 부호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되, 여기서, TRS를 로딩하는 모든 OFDM 부호는 2개의 연속 타임 슬롯 상에 분포되고, 각 타임 슬롯 상의 TRS는 동일한 OFDM 부호 위치에 로딩되며, 각 타임 슬롯 상에 로딩되는 TRS의 모든 OFDM 부호는 하나의 OFDM 부호 및 4개의 OFDM 부호가 이격된 다른 하나의 OFDM 부호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네트워크 노드 내의 연관 빔은 제1 빔 및 제2 빔을 포함하며, 모든 스페이스 도메인 필터로 또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작동 유닛의 작동 파라미터의 조합으로 칭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노드의 각 빔은 네트워크 노드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스 도메인 필터를 사용하여 일일이 대응하고, 하나의 스페이스 도메인 필터는 하나의 빔과 대응하거나, 또는 각 빔은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작동 유닛의 작동 파라미터의 조합과 일일이 대응하며, 하나의 작동 파라미터의 조합으로 하나의 빔과 대응할 수 있다.
제2 빔에 대하여, 네트워크 노드와 기지국 사이의 상대 위치가 고정적인 경우, 제2 빔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여러 빔으로부터 확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기지국 사이의 상대 위치가 고정 상태이므로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가 확정되는 경우에 이 정보에 의해 기지국의 상응한 위치를 확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과 정렬하는 고정 빔을 직접 확정할 수 있다. 이 조건에서, 제1 타임도메인에 따라 상응한 빔을 확정할 필요가 없이 미리 설정된 빔에서 직접 확정하며, 네트워크 노드가 고정 빔에 의해 기지국과 정렬하여 신호를 안내하므로 네트워크 노드의 실행 단계를 단축하고 네트워크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제2 빔에 대하여, 네트워크 노드와 기지국 사이의 상대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은 경우, 제2 빔은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2 빔 식별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기지국 사이의 상대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은 상태이기에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의 위치를 확정할 수 없으므로 고정 빔에 의해 기지국과 정렬할 수 없다. 이 조건에서, 제1 빔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유사하게,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2 빔 식별 정보를 통해 제2 빔을 확정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빔에 의해 기지국과 정렬하도록 함으로써 신호를 안내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를 더 포함하고,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가 빔포밍 주기를 표시하는 경우, 단계 S300은 단계 S34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340: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을 주기적으로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는 빔포밍 주기를 표시하는 바, 즉, 빔포밍의 시간은 주기적이며, 또한 타임 슬롯을 단위로 기술하면, 빔은 각 주기 내의 오프셋 타임 슬롯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은 각 주기의 오프셋 타임 슬롯 상의 모든 OFDM 부호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각 주기의 오프셋 타임 슬롯 상의 특정 OFDM 부호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각 주기의 오프셋 타임 슬롯 상의 협상한 OFDM 부호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각 주기의 오프셋 타임 슬롯 상의 기지국에 의해 미리 지정된 OFDM 부호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각 주기의 오프셋 타임 슬롯 상의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미리 확정된 OFDM 부호 상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를 획득하므로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을 주기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빔 식별 정보를 획득한 경우, 마찬가지로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2 빔을 주기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제 응용에서, 기지국에서 네트워크 노드로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를 발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네트워크 노드로 제1 빔 식별 정보를 여러 번 발송할 필요없이 제1 빔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에 한번만 통지할지라도 네트워크 노드는 여전히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제1 빔을 여러 번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1 빔은 각 주기의 오프셋 타임 슬롯 내에서만 형성되므로 각 주기 내의 나머지 시간을 나머지 서비스에게 할당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른 단말의 정렬에 필요한 다른 빔을 형성하도록 할당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9의 예시에서, 단계 S300은 단계 S350 내지 단계 S36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S350: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획득하며, 빔포밍 트리거 정보는 제1 시간 간격을 포함한다.
단계 S360: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 및 제2 빔을 각각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빔포밍 트리거 정보는 기지국에서 트리거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표시하는 바, 즉 기지국에서 트리거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에게 해당 빔포밍 및 해당 빔포밍의 시점을 통지한다. 여기서, 빔포밍의 시점은 빔포밍을 트리거하는 시점에 따라 확정되고, 빔포밍의 시점은 빔포밍을 트리거 하는 시점과 설정된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확정되며,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발송하는 것 외에, 트리거 방식은 트리거 이벤트의 통지, 트리거 시그널링의 발송, 트리거 신호의 송신 또는 트리거 이벤트의 발생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빔포밍 트리거 시점을 Ta로, 빔포밍의 시점을 Tb로, 제1 시간 간격을 Tf로 표기하면, Ta의 값을 통해 Tb 값을 확정할 수 있으며, Tb=Ta+Tf의 관계식을 만족한다. 여기서, 제1 시간 간격은 기지국에 의해 스스로 설정되며, 또한 실제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하여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도 있고, 또한 프로토콜을 통해 미리 확정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제1 시간 간격은 기지국에 의해 설정되고, 설정된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빔포밍 트리거 정보는 제1 시간 간격을 포함할 수 있고, 빔포밍 트리거 시점은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발송하는 시점이다.
일 실시예에서, 빔포밍 트리거 정보의 영향을 받아 빔포밍 트리거 시점이 확정된 경우, 빔포밍의 시점은 상응하게 확정될 수 있으므로 실제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특정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수신하므로 제1 타임도메인의 특정 시점에서 제1 빔 및 제2 빔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한 시점은 현재 시나리오에서 필요하는 시점으로서, 현재 시나리오에서 상응한 빔을 형성하는 타임도메인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다.
어느 한 경우에, 기지국에서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발송하는 시점은 네트워크 노드에서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이므로 기지국은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발송하는 방식으로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발송하는 시점을 간접적으로 지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빔포밍 시점이 빔포밍 트리거 시점에 따라 확정되는 경우, 제1 시간 간격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없이 실제 상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시점Ta에서 네트워크 노드가 대응된 빔포밍을 수행하도록 트리거하며, 네트워크 노드는 시점Tb에서 대응되는 빔을 형성하되, 여기서, 시점Tb는 시점Ta에 의해 확정된다.
도 10의 예시에서, 빔 처리 방법은 단계 S500 내지 단계 S700을 더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500: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빔 작업 모드를 기지국으로 발송한다.
단계 S600: 빔 작업 모드에 따라 기지국에서 발송한 제1 표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700: 제1 표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빔 작업 모드로부터 제1 빔 작업 모드를 확정하여 적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1 표시 정보를 획득하므로 기지국이 네트워크 노드에 대한 구체적인 작업 모드 지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실제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1 표시 정보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작업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네트워크 노드의 작업 모드를 제어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 자체를 제어하지 않은 상태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작업 모드를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빔 작업 모드는 미리 설정된 디폴트 빔 작업 모드를 포함하며, 제1 표시 정보가 디폴트 빔 작업 모드를 지시하거나 또는 비여 있음을 지시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디폴트 빔 작업 모드를 확정하여 적용하고,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디폴트 빔 작업 모드만 적용하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 디폴트 빔 작업 모드를 기지국으로만 발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디폴트 빔 작업 모드를 적용하므로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작동 유닛들의 업무 분할이 더욱 명확하며,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노드에 투입된 할당량을 감소하여 네트워크 할당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초기 작업 모드를 미리 설정된 디폴트 빔 작업 모드로 설정하여 초기 작업 모드를 파라미터 확정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네트워크 노드의 작업 상태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빔 작업 모드는 여러 작업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작업 파라미터는,
작업 모드 지속 시간;
작업 모드 스위칭 시점;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면적;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재질 파라미터 또는 재질;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형상;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방향;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법선 및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빔 사이의 협각;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유닛 개수;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작업 모드 지속 시간은 작업 모드의 지속 시간 길이 또는 지속 시간 범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작업 모드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으로 나타낼 수 있고; 빔포밍의 시간 길이 또는 빔포밍의 시간 범위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빔포밍 시작 지점과 종료 시점일 수 있다.
작업 모드 스위칭 시점은 예를 들어 작업 모드 시작 시점, 작업 모드 종료 시점, 또는 빔포밍의 시작 시점, 빔포밍의 종료 시점일 수 있다.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면적은,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작업면의 면적, 단말로부터 발송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작업면의 면적,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작업면의 면적과 단말로부터 발송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작업면의 면적의 비, 단말로부터 발송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작업면의 면적과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작업면의 면적의 비일 수 있다.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재질 파라미터 또는 재질인 경우, 예를 들어 재질 파라미터는 전자파 흡수 계수, 전자파 손실 계수, 전도율, 전자파 안내 계수일 수 있으며, 재질은 초전도 재료, 낮은 초전도 재료, 높은 초전도 재료 또는 중간 초전도 재료일 수 있다.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형상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원형, 포물면, 오목면, 평면 또는 투면일 수 있다.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방향은, 예를 들어 작업면이 위를 향하거나, 작업면이 아래를 향하거나 또는 작업면이 기지국을 향할 수 있다.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법선과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빔 사이의 협각은 예를 들어 예각, 직각 또는 둔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파 신호를 안내하는 작업면의 유닛 개수는, 예를 들어 1, 2 또는 4로 설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빔 작업 모드가 상응한 작업 파라미터와 각각 대응하며, 상응한 작업 파라미터를 통해 관련된 빔 작업 모드를 추가 확정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1 표시 정보는 명시적일 수 있는 바, 즉 제1 표시 정보를 통해 상응한 빔 작업 모드를 직접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암시적일 수도 있는 바, 즉 제1 표시 정보를 통해 작업 파라미터를 직접 지시하여 상응한 빔 작업 모드를 간접적으로 지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0 이전에 단계 S8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800: 제1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발송하여 기지국이 제1 서비스 정보 및 획득된 하나의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의 목표 빔 정렬위치에 따라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도록 하며, 여기서, 제1 서비스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빔과 각 빔의 정렬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발송하여 기지국이 제1 서비스 정보에 의해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 바, 즉 기지국이 제1 서비스 정보에 의해 제1 빔 식별 정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정하도록 하여 기지국 프로세스의 수행 난의도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빔 식별 정보는 제1 암시 정보를 포함하며, 제1 암시 정보는 하나의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의 목표 빔 정렬위치를 표시한다. 네트워크 노드가 제1 암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제1 서비스 정보가 네트워크 노드 내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1 암시 정보 및 제1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목표 빔 정렬위치와 대응하는 단말과 정렬하는 제1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응용에서 기지국은 확정된 제1 빔의 관련 정보를 발송하지 않고 목표 빔 정렬위치를 네트워크 노드로 직접 발송할 수 있는데, 즉 네트워크 노드는 목표 빔 정렬위치에 따라 제1 빔을 간접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00 이전에 단계 S9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900: 제2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발송하여 기지국이 제2 서비스 정보 및 획득된 제1 빔 테스트 파라미터에 따라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도록 하며, 여기서, 제2 서비스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템플릿 빔과 각 템플릿 빔의 테스트 값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비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발송하여 기지국이 제2 서비스 정보에 의해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는 바, 즉 기지국이 제2 서비스 정보에 의해 제1 빔 식별 정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정하도록 하여 기지국 프로세스의 수행 난의도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빔 식별 정보는 제2 암시 정보를 포함하고, 제2 암시 정보는 템플릿 빔에 대한 제1 빔 테스트 파라미터를 포함하며, 네트워크 노드가 제2 암시 정보를 획득한 경우, 제2 서비스 정보가 네트워크 노드 내에 이미 저장되어 있으므로 제1 빔 테스트 파라미터 및 제2 서비스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 테스트 파라미터와 대응하는 제1 빔을 형성할 수 있는데, 즉 제1 빔 테스트 파라미터와 대응하는 템플릿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응용에서, 기지국은 확정된 제1 빔의 관련 정보를 발송하지 않고 템플릿 빔에 대한 상응 빔 테스트 파라미터를 네트워크 노드로 직접 발송할 수 있는데, 즉 네트워크 노드는 템플릿 빔에 대한 상응 빔 테스트 파라미터에 의해 제1 빔을 간접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 빔 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적용되며, 이 방법은 단계 S1000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000: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빔 타임도메인 정보 중의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을 확정하도록 하고, 네트워크 노드가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하며, 제1 빔은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빔 식별 정보에 의해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확정하도록 하므로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을 형성한 조건에서 제1 빔을 통해 기지국에서 발송 또는 수신한 전자파 신호를 안내할 수 있다. 즉, 전자파 신호의 안내를 통해 기지국에서 전자파 신호를 수신하는 량을 높일 수 있으므로 무선 통신 품질을 강화하며, 무선 통신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타임도메인은 빔포밍 시간 정보에 의해 대응하여 확정되고,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응한 빔을 형성하는 것을 통해, 즉 네트워크 노드는 상응한 시간에 신호 안내를 수행하여 잘못된 안내 또는 시그널링 스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단계 S1000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단계 S100 내지 S300과 비교할 때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고, 두 실시예의 차이점은 수행 주체가 다른 것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본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기지국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내용의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기지국과 단말이 매칭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위치정보, 통신 능력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단말과의 채널 전송 능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상응한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확정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네트워크 노드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으므로 관련 정보에 의해 제1 빔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네트워크 노드에 대응되는 관련 정보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에서 제1 빔 식별 정보를 얻는 방식도 제한적이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를 더 포함하며,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는 빔포밍의 주기를 표시하고,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 및 제2 빔을 각각 주기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즉, 네트워크 노드가 각 주기 내의 오프셋 타임 슬롯 상에 상응한 빔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노드는 각 주기 내의 남은 시간을 남은 서버스에 할당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다른 단말과 정렬에 필요한 다른 빔을 형성하도록 할당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단계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340과 비교할 때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고, 두 실시예의 차이점은 수행 주체가 다른 것이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본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기지국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는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내용의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제1 시간 간격을 포함하는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 및 제2 빔을 각각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현재 시나리오에서 상응한 빔을 형성하는 타임도메인의 요구를 만족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단계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350 내지 단계S360과 비교할 때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고, 두 실시예의 차이점은 수행 주체가 다른 것이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본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기지국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내용의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빔포밍 시간 정보는 빔포밍 부호를 포함하며, 빔포밍 부호는,
N1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부호, -N1은 1 내지 14 사이의 임의의 정수임-;
하나의 OFDM 부호 및 N2 개의 연속 OFDM 부호, -N2는 2, 4 또는 7임-;
두 개의 연속 OFDM 부호 및 다른 두 개의 연속 OFDM 부호;
하나의 OFDM 부호, 및 하나의 OFDM 부호와 4개의 OFDM 부호가 이격된 다른 일 OFDM 부호;
연속 2개의 타임 슬롯 상에 각각 분포된 2개의 제1 빔 부호, -2개의 제1 빔부호는 각자의 타임 슬롯 상의 위치가 서로 대응하며, 제1 빔부호는 하나의 OFDM 부호, 및 하나의 OFDM 부호와 4개의 OFDM 부호가 이격된 다른 하나의 OFDM 부호를 포함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포함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빔 형성 부호는 상기 관련 실시예의 빔포밍 부호와 비교할 때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고, 두 실시예의 차이점은 수행 주체가 다른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련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본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기지국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는 상기 관련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내용의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빔 처리 방법은 단계 S1100을 더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100: 빔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단말과 정렬하는 제1 빔을 형성하도록 하며, 빔 지시 정보는 제1 빔이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지시한다.
본 실시예의 단계 S1100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320 내지 단계S330와 비교할 때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고, 두 실시예의 차이점은 수행 주체가 다른 것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본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기지국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내용의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빔 처리 방법은 단계 S1200을 더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200: 제2 빔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빔 식별 정보에 따라 기지국과 정렬하는 제2 빔을 확정하도록 하고, 네트워크 노드가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2 빔을 형성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기지국 사이의 상대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은 상태이기에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의 위치를 확정할 수 없으므로 고정 빔에 의해 기지국과 정렬할 수 없다. 이 조건에서, 제1 빔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유사하게,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2 빔 식별 정보를 통해 제2 빔을 확정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빔에 의해 기지국과 정렬하도록 함으로써 신호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2의 예시에서, 빔 처리 방법은 단계 S1300 내지 단계 S1400을 더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300: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송된,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빔 작업 모드를 획득한다.
단계 S1400: 빔 작업 모드에 따라 제1 표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제1 표시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빔 작업 모드로부터 제1 빔 작업 모드를 확정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단계 S1300 내지 단계 S1400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계 S500 내지 단계 S700와 비교할 때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고, 두 실시예의 차이점은 수행 주체가 다른 것이다. 여기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본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기지국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내용의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도 13의 예시에서 단계 S1000의 "제1 빔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기 전에" 단계 S1500 내지 단계 S1800를 더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1500: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정보, 단말의 위치정보 및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송된 제1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며, 제1 서비스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빔과 각 빔의 정렬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한다.
단계 S1600: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에 따라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의 목표 빔 정렬위치를 확정한다.
단계 S1700: 목표 빔 정렬위치 및 제1 서비스 정보에 따라 목표 빔 정렬위치와 대응되는 목표 빔을 확정한다.
단계 S1800: 목표 빔에 따라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정보, 단말의 위치정보 및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송된 제1 서비스 정보에 따라 목표 빔을 확정하며, 또한 목표 빔에 따라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고, 기지국 자신의 위치정보가 필요없이 제1 빔 식별 정보를 확정하므로 실제 응용에서 기지국은 이에 의해 제1 빔 식별 정보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 프로세스의 수행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1 서비스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 내에 미리 저장되므로 기지국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서비스 정보를 바로 획득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정보 및 단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한정되지 않은 바, 예를 들어, 포지셔닝 기준 신호를 발사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확정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빔의 정렬위치가 상응한 빔과 대응하고, 상응한 빔을 통해 위치를 정렬하므로 관련 빔의 작업 모드를 추가로 확정할 수 있으므로 기지국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는 명시적일 수 있는 바, 즉 제1 빔 식별 정보를 통해 상응한 빔을 직접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암시적일 수도 있는 바, 즉 제1 빔 식별 정보를 통해 빔 정렬위치를 직접 지시하여 상응한 빔을 간접적으로 지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 내에 적어도 한 세트의 템플릿 빔을 포함하며, 단말의 각 세트 템플릿 빔에 대한 테스트 값과 그의 관측 위치는 대응 관계를 가지고, 서로 다른 관측 위치는 서로 다른 테스트 값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상기 대응 관계는 제2 서비스 정보의 형식으로 네트워크 노드에 저장되는데, 즉 각 세트 고정 빔의 테스트 값과 관측 위치에 정렬된 네트워크 노드의 빔은 대응 관계를 가진다. 이 경우, 기지국에서 단말의 템플릿 빔에 대한 테스트 값을 획득한 경우, 획득된 제2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응한 템플릿 빔을 확정할 수 있어 나아가 상응한 템플릿 빔에 따라 제1 빔 식별 정보를 확정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의 단계 S800 및 단계 S900과 비교할 때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고, 실시예들 사이의 차이점은 수행 주체가 다른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의 단계 S800 및 단계 S900의 수행 주체는 네트워크 노드이고, 본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기지국이다. 본 실시예의 기술원리 및 기술효과는 상기 실시예의 단계 S800 및 단계 S900에 따른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내용의 불필요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도 14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메모리, 제1 프로세서 및 제1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1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1 프로세서 및 제1 메모리는 제1 버스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네트워크 노드로 예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일부로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 들은 모두 동일한 발명 구상에 속하므로 구현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다. 그러므로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빔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명령어는 제1 메모리에 저장되며, 제1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각 실시예의 빔 처리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기재된 도 2의 방법에 따른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 도 3의 방법에 따른 단계 S310, 도 4의 방법에 따른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0, 도 5의 방법에 따른 단계 S400, 도 8의 방법에 따른 단계 S340, 도 9의 방법에 따른 단계 S350 내지 단계 S360, 도 10의 방법에 따른 단계 S500 내지 단계 S700, 단계 S800 또는 단계 S900을 수행한다.
한편, 도 1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하며, 상기 기지국은 제2 메모리, 제2 프로세서 및 제2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2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제2 프로세서 및 제2 메모리는 제2 버스 또는 기타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의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지국으로 예시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기지국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들은 모두 동일한 발명 구상에 속하므로 구현원리 및 기술효과가 같다. 그러므로 여기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의 빔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명령어는 제2 메모리에 저장되며, 제2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각 실시예의 빔 처리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기재된 도 11의 방법에 따른 단계 S1000, 단계 S1100, 단계 S1200, 도 12의 방법에 따른 단계 S1300 내지 단계 S1400 또는 도 13의 방법에 따른 단계 S1500 내지 단계 S1800를 수행한다.
전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분리된 부품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한 장소에 위치하거나,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필요에 따라 모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은 하나의 제1 프로세서, 제2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 예를 들어, 상기 장치 실시예의 하나의 제1 프로세서 또는 제2 프로세서에서 상기 실시예의 빔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기재된 도 2의 방법에 따른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 도 3의 방법에 따른 단계 S310, 도 4의 방법에 따른 단계 S320 내지 단계 S330, 도 5의 방법에 따른 단계 S400, 도 8의 방법에 따른 단계 S340, 도 9의 방법에 따른 단계 S350 내지 단계 S360, 도 10의 방법에 따른 단계 S500 내지 단계 S700, 단계 S800 또는 단계 S900, 또는, 도 11의 방법에 따른 단계 S1000, 단계 S1100, 단계 S1200, 도 12의 방법에 따른 단계 S1300 내지 단계 S1400 또는 도 13의 방법에 따른 단계 S1500 내지 단계 S1800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빔 처리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빔 처리 방법은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빔포밍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함-;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됨-;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방안에 의하면,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빔 식별 정보에 의해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확정할 수 있으므로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빔을 형성한 조건에서, 제1 빔을 통해 기지국에서 발송 또는 수신한 전자파 신호를 안내할 수 있는 바, 즉, 전자파 신호의 안내를 통해 기지국 또는 단말은 목표 전자파 신호를 더 많이 수신할 수 있음으로써 무선 통신의 품질을 강화하며, 무선 통신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타임도메인이 빔포밍 시간 정보에 의해 대응하여 확정되고,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노드는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응한 빔을 형성하여 상응한 시간에 신호를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잘못된 안내 또는 시그널링 스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상술 방법들의 일부 또는 전부 단계, 시스템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의 적정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어셈블리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중앙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소프트웨어로서, 또는 하드웨어로서,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와 같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저장 매체(또는 비일시적 매체) 및 통신 매체(또는 일시적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분포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용어 "컴퓨터 저장 매체"라는 용어는 정보(예컨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착탈식 및 비착탈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DVD) 또는 다른 광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상, 본 출원의 구현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기 구현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범주에서 다양하고 균등한 변형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균등한 변형과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25)

  1.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빔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빔포밍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는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함-;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됨-; 를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는 빔 지시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을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지시하며;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기 제1 단말과 정렬하는 제1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빔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빔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을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지시함-; 및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 및 상기 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기 제1 단말과 정렬하는 제1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2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빔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상기 기지국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되며, 상기 제2 빔은 기지국과 정렬하는 빔 처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빔은,
    상기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제2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여러 빔으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하는 빔 처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는 빔포밍 부호를 포함하며, 상기 빔포밍 부호는,
    N1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상기 N1은 1 내지 14 사이의 임의의 정수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N2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상기 N2는 2, 4 또는 7임-;
    두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다른 두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상기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와 4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가 이격된 다른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연속 두 개의 타임 슬롯에 각각 분포된 두 개의 제1 빔 부호, -상기 두 개의 제1 빔부호는 각자의 타임 슬롯 상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빔 부호는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상기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와 4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가 이격된 다른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를 포함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타임도메인 정보는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는 빔포밍 주기를 표시하며;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는,
    상기 빔포밍 타임 슬롯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기 제1 빔을 주기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는,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빔포밍 트리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빔포밍 트리거 정보는 제1 시간 간격을 포함함-; 및
    상기 제1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기 제1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제1 서비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 측으로 발송하여 상기 기지국 측이 상기 제1 서비스 정보 및 획득된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목표 빔 정렬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빔과 각 빔의 정렬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하는 빔 처리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는 제1 암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암시 정보는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목표 빔 정렬위치를 표시하며;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암시 정보 및 상기 제1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기 목표 빔 정렬위치와 대응되는 단말과 정렬하는 제1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내 각 빔과 각 빔의 정렬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하는 빔 처리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지국 측으로부터 발송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제2 서비스 정보를 상기 기지국 측으로 발송하여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 서비스 정보 및 획득된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템플릿 빔의 한 세트 테스트 값에 따라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2 서비스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내의 템플릿 빔과 상기 템플릿 빔의 각 세트 테스트 값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하는 빔 처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는 제2 암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암시 정보는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템플릿 빔의 한 세트 테스트 값을 표시하며;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신호를 안내하는 제1 빔을 형상하는 단계는,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템플릿 빔의 한 세트 테스트 값 및 상기 제2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기 제1 빔 테스트 파라미터와 대응되는 제1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빔 작업 모드를 상기 기지국 측으로 발송하는 단계;
    상기 빔 작업 모드에 따라 상기 기지국 측에서 발송한 제1 표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상기 빔 작업 모드로부터 제1 빔 작업 모드를 확정하여 적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14. 기지국에 적용되는 빔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빔 식별 정보 및 빔 타임도메인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빔 타임도메인 정보 중의 빔포밍 시간 정보에 따라 제1 타임도메인을 확정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기지국 측의 신호 안내에 사용되는 제1 빔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신호 안내용 빔의 형성에 대응되는 시간을 표시하며, 상기 제1 빔은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확정되는 빔 처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빔 지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 및 상기 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제1 단말과 정렬하는 상기 제1 빔을 형상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빔을 상기 제1 단말과 정렬하도록 지시하는 빔 처리 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2 빔 식별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빔 식별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과 정렬하는 제2 빔을 확정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타임도메인에서 상기 제2 빔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시간 정보는 빔포밍 부호를 포함하며, 상기 빔포밍 부호는,
    N1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상기 N1은 1 내지 14 사이의 임의의 정수임-;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N2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상기 N2는 2, 4 또는 7임-;
    두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다른 두 개의 연속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상기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와 4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가 이격된 다른 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연속 두 타임 슬롯에 각각 분포된 두 개의 제1 빔 부호, -상기 두 개의 제1 빔부호는 각자의 타임 슬롯 상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제1 빔 부호는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 및 상기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와 4개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가 이격된 다른 일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부호를 포함함-; 중의 적어도 하나의 유형을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송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빔 작업 모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작업 모드에 따라 제1 표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서 지원하는 상기 빔 작업 모드로부터 제1 빔 작업 모드를 확정하여 적용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기 전에,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정보, 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송된 제1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비스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빔과 각 빔의 정렬위치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함-;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위치정보 및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목표 빔 정렬위치를 확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빔 정렬위치 및 상기 제1 서비스 정보에 따라 상기 목표 빔 정렬위치와 대응되는 목표 빔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빔에 따라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는 제1 암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암시 정보는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목표 빔 정렬위치를 표시하는 빔 처리 방법.
  21.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로 발송하기 전에,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템플릿 빔의 한 세트 테스트 값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발송된 제2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비스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내의 각 템플릿 빔과 각 상기 템플릿 빔의 테스트 값 사이의 대응 관계를 표시함-;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템플릿 빔의 한 세트 테스트 값 및 상기 제2 서비스 정보에 따라,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템플릿 빔의 한 세트 테스트 값과 대응되는 목표 빔을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목표 빔에 따라 제1 빔 식별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처리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제1 빔 식별 정보는 제2 암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암시 정보는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템플릿 빔의 한 세트 테스트 값을 표시하는 빔 처리 방법.
  23. 제1 메모리, 제1 프로세서, 및 제1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1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네트워크 장치.
  24. 제2 메모리, 제2 프로세서, 및 제2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2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로세서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기지국.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처리 방법, 또는,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2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빔 처리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237039537A 2021-06-03 2022-05-23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301700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621837.8A CN115441916A (zh) 2021-06-03 2021-06-03 波束处理方法及网络设备、基站、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2110621837.8 2021-06-03
PCT/CN2022/094470 WO2022253030A1 (zh) 2021-06-03 2022-05-23 波束处理方法及网络设备、基站、计算机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089A true KR20230170089A (ko) 2023-12-18

Family

ID=84272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537A KR20230170089A (ko) 2021-06-03 2022-05-23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88964A1 (ko)
EP (1) EP4351199A1 (ko)
KR (1) KR20230170089A (ko)
CN (1) CN115441916A (ko)
WO (1) WO20222530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6361140B2 (en) * 2015-11-24 2019-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ireless device, radio-network nod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managing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7689855B (zh) * 2016-08-05 2022-07-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号发送、接收方法和设备
US11096172B2 (en) * 2018-04-27 2021-08-17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diversity for data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beams
CN111385812B (zh) * 2018-12-29 2022-02-11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管理方法及装置
US11539412B2 (en) * 2019-07-30 2022-12-2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m recovery for antenna array
US20220295297A1 (en) * 2019-07-31 2022-09-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ime-domain beam-swee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88964A1 (en) 2024-03-14
CN115441916A (zh) 2022-12-06
EP4351199A1 (en) 2024-04-10
WO2022253030A1 (zh)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888B2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cellular network us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 therefor
KR10233755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02619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base station, and method for receiv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user equipment
CN109286956B (zh) 处理切换的装置及方法
KR201500300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3963781A1 (en) Configured grant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mapping rules
US104627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140559B2 (en) Inter-network access management for shared spectrum systems
US20210153199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ommunication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CN111586708A (zh) 一种传输探测参考信号的方法、装置和系统
US11770808B2 (en) Resource indicating method, apparatus, access network device, terminal and system
KR20230170089A (ko) 빔 처리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기지국,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20210377872A1 (en) Power control parameters indication
EP3652999B1 (e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1385865B (zh) 随机接入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WO2023226047A1 (zh) 信道传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4170946A1 (en)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involved in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WO2024028848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uplink waveform switching
WO2024028390A1 (e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JP2024503078A (ja) マルチスロット物理アップリンク共有チャネルでの単一トランスポートブロック送信のための衝突処理、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多重化及び反復
CN116848905A (zh) 通信装置及通信方法
WO2023208512A1 (en) Methods, communications device,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CN116887180A (zh) 终端定位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6965118A (zh) 通信装置以及通信方法
CN115276925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