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003A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003A
KR20150030003A KR20130109168A KR20130109168A KR20150030003A KR 20150030003 A KR20150030003 A KR 20150030003A KR 20130109168 A KR20130109168 A KR 20130109168A KR 20130109168 A KR20130109168 A KR 20130109168A KR 20150030003 A KR20150030003 A KR 20150030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ransmission
power
signal
transmission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440B1 (ko
Inventor
곽용준
이주호
김윤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440B1/ko
Priority to EP14844374.0A priority patent/EP3046373B1/en
Priority to JP2016542638A priority patent/JP6506294B2/ja
Priority to CN201480050123.4A priority patent/CN105532047B/zh
Priority to PCT/KR2014/008488 priority patent/WO2015037924A1/ko
Priority to US15/021,199 priority patent/US10264535B2/en
Publication of KR20150030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5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at the moment of starting communication in a multiple access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전송 시 간섭효과가 줄어들고,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AT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대 단말 통신 기술과 무선 셀룰라 통신 기술이 혼재되어 사용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절차와 다중화 절차를 포함하는 단말 동작,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기지국 동작, 및 이들의 장치에 대한 것이다.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들의 종류가 크게 다양해짐에 따라 새로이 등장하는 서비스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신기술에 대한 요구가 필요해지고 그에 따라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 안에서 새로운 방법 및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연구가 되고 있다.
단말 대 단말(Device to Device, D2D) 통신이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한 신 기술로 단말 대 단말 통신은 기본적으로 임의의 단말이 상기 단말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과의 직접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단말 대 단말 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단말은 주위에 어떠한 단말들이 존재하는지 발견(discovery)하는 발견 동작과, 통신이 필요한 단말과 직접적인 통신(Direct communication) 동작 등이 가능하게 된다.
단말 대 단말이 직접적인 통신을 수행하게 되면 기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무선 자원 사용하게 되므로 무선 자원 효율 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단말 주위에 있는 단말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지원되기 때문에 단말이 직접 원하는 단말에게 필요한 정보를 줄 수 있게 되어 광고 서비스, 사회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 등을 지원함에 있어서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현재 고등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하 LTE-A) 시스템에서도 단말 대 단말 기술에 대한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기술적인 논의가 진행 중이다.
그런데, 단말 대 단말 통신 기술은 넓은 영역에 산재되어 있는 여러 단말이 동시에 다른 단말에게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임의의 D2D 단말이 임의의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하는 경우 이에 따른 밴드 내 방출 전력이 상기 전송을 수신해야 하는 D2D 단말 이외의 단말들에게 무시하기 어려운 크기의 잡음의 효과를 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나 단말 대 단말 통신 기술과 무선 셀룰라 통신 기술이 혼재되어 사용되는 경우 시스템에서 D2D 기술을 사용하는 단말의 D2D 신호 전송으로 인한 밴드 내 방출 전력이 셀룰라 전송에 있어서 잡음으로 작용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D2D 기술을 사용하는 복수개의 단말 상호간, 혹은 D2D 기술을 사용하는 단말과 셀룰라 단말의 상호간에 있어서 밴드 내 방출 전력으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지원 방법은 단말로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자원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를 하는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를 지원하는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로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자원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전송 시 간섭효과가 줄어들고, 통신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시스템의 D2D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제공 됨에 따라 간섭이 줄어들고 통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이 지원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여 D2D 전송과 셀룰라 전송을 다중화 한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신호 전송 시 방출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대 단말의 통신에서 간섭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실시 예에 따른 PUCCH 수신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한 DRB 전력 오프셋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제2실시 예에 따른 밴드 내 송출 전력으로 인한 발견 신호의 수신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한 중심 주파수 DRB 전력 오프셋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제2실시 예에 다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 예는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단말의 단말 대 단말 발견 신호 전송에 있어서 추가적인 파워 오프셋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의 밴드 내 방출 (in-band emission)에 따른 잡음의 효과를 최소화하고 단말 발견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밴드 대 방출 전력에 따라 파워 오프셋을 설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OFDM 기반의 무선통신 시스템, 특히 3GPP EUTRA 표준을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의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 채널형태를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명세서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 또는 셀은 동일한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은 인접해 있는 단말을 찾는 단말 발견(discovery) 동작과 단말 과 단말이 직접 정보를 주고 받는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대 단말 통신이 지원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1)은 기지국(101)이 관장하는 셀(102) 안에 단말(103, 104)을 관장하고 있다. 기지국(101)이 단말(103, 104)을 관장한다는 것은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3)은 상기 기지국(101)과 단말-기지국 간 링크(106)를 이용하여 셀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4)는 기지국(101)과 단말-기지국 간 링크(107)를 이용하여 셀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셀룰라 통신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신호가 송수신 되는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03)과 단말(104)이 단말 대 단말 통신이 가능한 경우 단말들(103, 104)은 기지국(101)을 통하지 않고 단말 대 단말 링크(105)를 이용하여 발견 동작, 혹은 직접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LTE-A 시스템과 같은 셀룰라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단말 대 단말 (Device to Device: 이하 D2D라 지칭한다) 기술은 기본적으로 기존 셀룰라 시스템을 이용하는 단말에 피해가 가지 않는 방향으로 지원이 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D2D단말과 셀룰러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단말 상호간 간섭을 미치지 않게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셀룰라 단말(본 발명에서 셀룰라 단말은 단말 대 단말 통신이 아닌 기존 단말 대 기지국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을 지칭한다.)이 사용하는 무선 자원과 별도로 서로 겹치지 않는 자원을 D2D 통신을 위하여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혹은 셀룰라 단말이 사용하는 자원을 D2D 단말이 동일하게 사용하지만 최대한 서로에게 간섭을 주지 않도록 사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LTE 혹은 LTE-A 시스템이 사용하는 역방향, 순방향 듀플렉싱 방법으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requency Division Duplexing: 이하 FDD라 지칭한다.) 방법이 있다.
상기 FDD에서는 순방향과 역방향을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순방향 전송과 역방향 전송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FDD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기존 셀룰라 통신 자원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 일발적으로 순방향과 역방향 자원 중에서 역방향 주파수 자원을 D2D로 사용하는 방법이 좀 더 우선시 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FDD 시스템에서 순방향 주파수 자원에는 역방향 주파수 자원에 비하여 좀 더 많은 종류의 신호들이 다중화 되어 있어서 D2D 통신 용도로 자원을 따로 할당하기가 역방향 자원에 비하여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셀룰라 단말만을 고려하는 FDD 시스템에서 통신 서비스의 특성상 순방향 트래픽이 역방향에 비하여 많은 경향이 있고, 또한 순방향으로 전송되는 오버헤드(overhead) 가 역방향에 비하여 많기 때문에 순방향 자원에 대한 주파수 사용 부담이 역방향 자원에 대한 주파수 사용 부담보다 일반적으로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순방향 자원을 D2D 통신 용도로 할당하여 사용하게 되면, 순방향 자원에 대한 부담이 더 커져서 순방향, 역방향 주파수 자원 사용의 균형을 맞추기가 어려워 질 수 있다.
상기의 이유로 FDD를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 D2D통신을 위하여 역방향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용은 역방향 주파수 자원을 D2D 자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장점에 대해 기술한 것일 뿐, 순방향 주파수 자원을 D2D 자원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단정짓는 것은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 문제는 역방향 자원에서 어떻게 기존 셀룰라 통신 자원과 D2D 통신 자원을 구분할 것인가의 문제일 수 있다. 기존 셀룰라 통신 자원과 D2D 통신 자원의 구분은 시간 다중화 (Time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TDM)와 주파수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FDM) 등의 직교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동일 자원을 재사용하는 비직교 방식을 통해서도 기존 셀룰라 통신 자원과 D2D 통신 자원의 구분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2D 통신은 기본적으로 기존 셀룰라 통신을 이용하는 단말에 피해가 가지 않는 방향으로 지원이 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단말 발견(Discovery) 동작에 대해서는 직교 방식이 선호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단말 발견 동작은 그 중에서도 TDM 방식이 좀 더 선호되고 있다.
실시 예에서 TDM 방식이 선호되는 이유는 TDM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D2D 자원이 할당된 구간에서는 기지국이 셀룰라 신호에 대한 수신이 필요 없어지게 되고 반대로 셀룰라 통신을 전송하는 구간에서는 D2D 전송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데, 따라서 D2D 전송이 셀룰라 통신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잡음과 같은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사용하여 D2D 전송과 셀룰라 전송을 다중화 한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식별번호 201, 202, 203는 시간적으로 셀룰라 서브프레임과 D2D 서브프레임이 TDM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식별번호 201의 구간에서는 셀룰라 통신이 설정되고 식별번호 202, 203 의 구간에서는 D2D 전송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식별번호 202, 203의 구간을 발견 구간(205)이라 칭할 수 있고, 상기 발견 기간이 발생하는 주기를 발견 주기(204)라 칭할 수 있다.
식별번호 202 및 2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발견 구간(205) 내에는 발견 신호들이 다중화되게 되는데, 발견 구간 내에도 순방향 셀룰라 통신의 HARQ를 위한 응답을 보낼 수 있도록 PUCCH(207, 208)가 함께 존재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식별번호 207과 208과 같이 발견 구간 내에 주파수 영역에서 양 끝부분에 PUCCH가 존재할 수 있다.
발견 구간(205) 내에서 PUCCH 이외에 발견 신호들이 다중화 되게 되는데, 식별번호 206의 부분에서 복수개의 발견 신호를 위한 자원, 즉 발견 자원 블록(Discovery Resource block, 이하 DRB)이 시간-주파수 영역으로 다중화 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DRB는 임의의 크기의 시간-주파수 단위로 정해 질 수 있고 식별번호 206과 같이 발견 구간 안에서 복수개의 DRB가 격자 모양을 이루면서 다중화 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DRB는 하나의 서브프레임과 12개의 서브케리어(하나의 RB)로 PRB와 동일하게 정해질 수 있다. 임의의 단말은 상기 다중화 된 DRB 안에서 하나의 DRB에 자신의 발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DRB에는 복수 개의 단말이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은 임의의 규칙 또는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하여 상기 단말의 발견신호를 전송할 DRB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임의의 단말은 상기 결정된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은 식별번호 211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1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2는 식별번호 212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2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3은 식별번호 213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3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4는 식별번호 214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4의 발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DRB의 대응 관계는 상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서 상기와 같이 상기 단말 1 내지 4는 동일한 시간 구간(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발견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각 단말은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즉, 상기 단말 1은 상기 단말2 내지 4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상기 단말 2은 상기 단말 1,3 및 4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상기 단말 3은 상기 단말 1,2 및 4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상기 단말 4은 상기 단말1 내지 3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동일 시간 구간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들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발견 구간에서 DRB의 위치가 달라지는 시간-주파수 호핑 (time-frequency hopping)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식별번호 221 내지 224처럼 DRB 1내지 4의 위치가 이전 발견 구간과 다른 위치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단말 1 내지 4는 서로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발견 구간에 따라서 DRB의 위치를 시간과 주파수 전체적으로 다른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임의의 단말이 이전 발견 구간에서 수신하지 못하는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다음 발견 구간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간-주파수 호핑 방법은 단말에 설정된 방법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등을 포함하는 방법 중 하나 이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D2D 발견 신호와 셀룰라 전송과의 다중화, 그리고 발견 구간 내에서 발견 신호 자원들끼리의 다중화, 마지막으로 발견 구간에 따라서 동일한 DRB의 위치를 바꾸어 가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하기에서는 D2D 동작에 있어서 밴드 내 방출 전력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를 기술한다.
실시 예에서 단말은 하나의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송신하는데, 전체 주파수 대역 내에서 임의의 주파수 블록을 이용하여 전송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주파수 블록 이외에 다른 대역에서도 상기 주파수 블록에서 사용되는 전송 전력에 대하여 상대적인 값을 가지는 임의의 전송 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밴드 재 방출 전력이라고 한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단말 1이 DRB 1(211)에서 23dBm으로 발견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동일 서브프레임 내에서 DRB 1(211) 이외의 다른 DRB로는 DRB 1의 송신 전력과 예를 들어 30dB 차이를 가지는 -7dBm의 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하는 전력은 해당 영역에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에게 추가적인 잡음 또는 간섭의 효과로 작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이용하여 밴드 내 방출 전력의 성질을 기술한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신호 전송 시 방출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예에서 전체 밴드 내에서 밴드 내 방출 전력이 어떠한 방식으로 발생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있다. 실시 예에서 도시된 도면은 밴드 내 방출 전력의 요구 사항으로 실시 예에서 보여지는 값보다 작아야 하는 값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며, 현실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도면과 동일한 밴드 내 방출 전력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의 가로축(301)이 PRB 인덱스, 즉 주파수 축을 보여주고 있으며, 세로축(302)이 상대적인 송신 전력의 크기 보여주고 있다.
식별번호 303과 같이 실시 예에서 할당된 주파수인 PRB #7에서 임의의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전 대역에 식별번호 307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같이 -30dB 크기의 송신 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식별번호 304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할당된 주파수 근처의 2 내지 3개의 PRB에서는 송신 전력이 상기 -30dB보다 큰 값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할당된 주파수 근처의 2 내지 3개의 PRB에서 계단식으로 형성되는 송신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식별번호 30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체 대역 중간에 위치하는 PRB #24 및 #25 중 적어도 하나에 에서는 반송파 누출(carrier leakage)에 따른 추가적인 방출 전력이 생겨서 상기 -30dB보다 큰 값의 송신 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식별번호 306과 같이 할당 주파수의 이미지 주파수, 즉 중간 주파수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존재하는 주파수에도 IQ imbalance에 따른 추가적인 방출 전력이 생겨서 상기 -30dB보다 큰 값의 송신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PRB#7이 할당 주파수 이므로 PRB #42에서 상기 IQ imbalance에 따른 추가적인 방출 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임의의 단말이 임의의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상기 설명한 요인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상기 임의의 DRB가 전송되는 대역 이외의 대역에도 밴드 내 방출 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 혹은 발견 신호 자원 인근에 위치하여 전송되는 PUCCH 전송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 대 단말의 통신에서 간섭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단말 402는 단말 401과 단말 404로 임의의 주파수 자원 1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고 있다. 또한 다른 단말 405는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주파수 자원 1과 다른 주파수 자원 2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고 있다.
실시 예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 404의 경우 단말 402로부터의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단말 402에서 단말 404로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손실(407)은 다른 신호의 전송 손실(403, 406)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단말 405로부터 단말 404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단말 402와의 거리에 비해 길기 때문에 전송 손실(406)은 반대로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단말 404가 단말 405의 발견 신호를 상기 주파수 자원 2를 이용하여 수신하여야 하는 상황에서 단말 402의 단말이 상기 주파수 자원 1을 통하여 송신하는 발견신호로부터 발생하는 밴드 내 방출 전력으로 인해, 식별번호 407의 전송 손실을 고려하여 수신되는 수신 전력이 주파수 자원 2를 통하여 수신되는 단말 405의 발견 신호보다 크거나 혹은 비슷하게 형성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결국 단말 404가 단말 405에 의해 송신되는 발견 신호를 제대로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D2D 발견 동작의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문제는 또한 주파수 자원 2가 도 3의 식별번호 304, 305, 306의 위치와 같이 밴드 내 방출 전력이 큰 주파수 위치인 경우 더 심각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밴드 내 방출 전력을 고려하여 필요한 DRB 위치에 추가적인 전력 오프셋을 설정하여 밴드 내 방출 전력 효과로 인한 성능 저하를 줄이고 전체적인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고 하기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PUCCH 수신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한 DRB 전력 오프셋 설정 방법
도 3의 식별번호 304에서 보이듯이 발견 신호가 전송되는 DRB에 가까울수록 밴드 내에 발생하는 송출 전력이 큰 값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PUCCH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에 가까이 위치하는 DRB에서 발견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상기 발견 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송출 전력이 셀 내의 PUCCH 수신에 있어서 추가적인 잡음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추가적인 잡음의 효과에 따라 PUCCH 수신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서 제시하는 PUCCH 수신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한 DRB 전력 오프셋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식별번호 501, 502 및 503는 시간적으로 셀룰라 서브프레임과 D2D 서브프레임이 TDM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식별번호 501의 구간에서는 셀룰라 통신이 설정되고 식별번호 502 및 503 의 구간에서는 D2D 발견 신호들의 전송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식별번호 502, 503의 구간을 발견 구간(505)이라 칭하고 상기 발견 기간이 발생하는 주기를 발견 주기(504)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발견 구간(505) 내에는 발견 신호들이 다중화되게 되는데, 발견 구간 내에도 순방향 셀룰라 통신의 HARQ를 위한 응답을 보낼 수 있도록 기존 PUCCH가 함께 존재하게 되는데 식별번호 507 및 508과 같이 발견 구간 내에 주파수 영역에서 양 끝부분에 PUCCH가 존재할 수 있다. 발견 구간 내에서 PUCCH 이외의 자원들에 발견 신호들이 다중화 되게 되는데, 식별번호 506의 부분에서 복수개의 발견 신호를 위한 자원인 DRB 들이 시간-주파수 영역으로 다중화 될 수 있다.
하나의 DRB는 임의의 크기의 시간-주파수 단위로 정해 질 수 있고 식별번호 506과 같이 발견 구간 안에서 복수개의 DRB가 격자 모양을 이루면서 다중화 하게 될 수 있다. 상기 DRB의 격자 모양은 실시 예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임의의 규칙 및 기지국이 설정한 규칙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상기 단말의 발견신호를 전송할 DRB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단말은 상기 결정된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말은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DRB를 직접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지국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DRB를 선택하여 상기 단말에 알려주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 1은 식별번호 511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1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2은 식별번호 512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2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3은 식별번호 513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3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4은 식별번호 514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4의 발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 1 내지 4는 동일한 시간 구간(동일 서브프레임)에서 발견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각 단말은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즉, 식별번호 502의 발견 구간에서는 상기 단말 1은 상기 단말2 내지 4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상기 단말 2는 단말 1,3 및 4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상기 단말 3은 단말 1,2 및 4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고, 상기 단말 4는 단말1 내지 3의 발견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시간-주파수 호핑 (time-frequency hopping)방법을 통하여 임의의 단말이 동일 시간 구간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데 식별번호 503의 발견 구간에서는 식별번호 521, 522, 523, 524처럼 DRB의 위치가 이전 발견 구간과 다른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시간-주파수 호핑 방법은 기설정된 규칙 및 기지국이 설정한 방법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시간-주파수 호핑에 의해 각기 다른 상기 단말 1은 단말 2,3 및 4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단말 2는 단말 1 및 3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단말 3은 단말 1,2 및 3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단말 4는 단말 1 및 3의 발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단말 2와 단말 4는 식별 번호 502와 503의 발견 구간에서 서로를 발견할 수 없게 되지만 시간-주파수 호핑으로 다음 발견 구간에서는 서로를 발견할 수 있다. 이렇듯, 발견 구간이 변화함에 따라서 DRB의 위치를 시간과 주파수 전체적으로 다른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임의의 단말이 이전 발견 구간에서 수신하지 못하는 다른 단말의 발견 신호를 다음 발견 구간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서 상기 단말들은 기지국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의 수신을 통하여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의 전송 손실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데, 임의의 단말과 기지국과의 전송 손실이 매우 작은 경우, 상기 단말의 밴드 내 방출이 기지국으로 매우 크게 도달할 수 있어서 기지국이 수신해야 하는 PUCCH의 수신 성능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나 상기 기지국과의 전송 손실이 작은 단말이 발견 신호의 전송으로 사용하는 DRB가 PUCCH근처에 위치하여 도 3의 식별번호 304에서와 같이 밴드 내 방출 값이 커지는 경우에 그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지국과 근접하여 기지국과의 전송 손실이 작은 단말이 사용하는 DRB가 PUCCH를 전송하는 자원의 근처에 위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다른 전송 전력을 가져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기지국과의 거리 및 단말에 할당된 DRB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다른 발견신호 전송 전력을 할당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실시 예에서 단말이 발견 신호를 전송할 때의 전송 전력은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해질 수 있다.
1. 임의의 정해진 값, 예를 들어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
2.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망에서 시그널링을 통하여 정해준 값
3. 기지국과의 전송 손실을 고려하여 설정한 값
4. 기타 상기 방법들의 조합으로 설정된 값
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송 전력에서 DRB의 위치에 따라서 추가적인 전력 오프셋(power offset)을 다르게 가져가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식별번호 513과 같이 상기 단말 3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DRB가 PUCCH가 위치하는 주파수 영역에서 멀리 위치하는 경우는 기존의 발견 신호 전송 전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식별번호 523과 같이 상기 단말 3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DRB가 PUCCH가 위치하는 자원영역의 주파수 영역 바로 옆 혹은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는 추가적인 전력 오프셋(음수값)을 설정하여 상기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밴드 내 송출이 PUCCH에 주는 영향을 줄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셋 값을 주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Tx_Power(i) = Tx_power_ref + IE_Offset(i)
Tx_Power(i)는 i DRB 위치에서의 전송 전력이고, Tx_power_ref는 기준 전송 전력이다. 여기서 i는 PUCCH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에서 떨어진 정도를 나타내는데, PUCCH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의 바로 옆에 위치한 DRB의 경우는 i=1, 그 다음 옆에 위치한 경우는 i=2, 이런 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IE_Offset(i)의 값은 i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 예를 들어서 IE_Offset(1) = -12, IE_Offset(2) = -7, IE_Offset(3) = -2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는 DRB가 위치하는 자원 영역과 PUCCH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의 위치 관계에 따라 DRB 위치에서 전송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 DRB 위치에 따른 파워 오프셋 값, 즉 IE_Offset(i) 값은 모든 단말이 미리 정해진 값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기지국이 SIB 시그널링이나 단말 별로 상위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된 값을 알려줘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프셋을 설정하는 단말은 모든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 될 수도 있고, 혹은 기지국에 가까운, 즉 기지국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의 수신을 측정된 단말, 기지국 간의 전송 손실이 일정 값보다 작은 단말만 상기 오프셋을 설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도 상기 오프셋 값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거리는 단말 또는 기지국이 측정한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값을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특히 기지국의 기준 신호를 이용한 전송 손실의 측정에 따라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는 상기 언급된 전력 제어를 통해 기준 전송 전력 (Tx_Power_ref)을 설정하고 DRB의 위치에 따라서 전력 오프셋을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 전송 전력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Tx_Power_ref = min{Max_Tx_Power, f(D2D), g(PL_eNB)}
상기 수학식에서 Max_Tx_Power는 송신 D2D 단말의 최대 가용 전력이며, f(D2D)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발견 신호의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 정해지는 전송 전력이며, g(PL_eNB) 는 기지국과 단말의 전력 손실(PL_eNB)에 따라서 정해지는 전송 전력이다. 상기 g(PL_eNB)는 아래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g(PL_eNB) = Rx_Power_eNB + PL_eNB
상기에서 Rx_Power_eNB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전력의 목표값이다. 상기 Rx_Power_eNB 값과 IE_Offset_ref 값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해 줄 수 있다.
도 6은 제1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실시 예에서 전력 오프셋 정보를 기지국기 단말에게 시그널링을 통하여 알려주는 방법을 가정한다.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 전력 오프셋 정보는 단말에 기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601에서 기지국 동작을 시작한다.
단계 602에서 상기 기지국은 전력 오프셋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오프셋 정보는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UCCH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과 DRB의 위치 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PUCCH의 인접한 자원 영역에서 DRB가 전송될 경우, 다른 DRB에 비해 보다 큰 음의 오프셋 값을 설정할 수 있따.
단계 603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설정된 전력 오프셋 정보를 상기 단말에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SIB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및 dynamic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설정된 전력 오프셋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단계 604에서 상기 기지국 동작을 마친다.
도 7은 제1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01에서 단말 동작을 시작한다.
단계 702에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파워 오프셋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계 702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단계 702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파워 오프셋 관련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기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파워 오프셋 관련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703에서 상기 단말이 임의의 발견 구간에서 자신의 발견 신호를 전송할 DRB를 설정한다. 상기 DRB 설정은 단말 혹은 기지국의 DRB 위치 결정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으며 시간-주파수 호핑의 적용에 따라서 매 전송 DRB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단계 704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설정된 DRB의 위치에 따라서 파워 오프셋을 설정한다. 상기 파워 오프셋 정보는 단계 702에서 수신한 정보 또는 기 설정된 단말의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705에서 상기 단말은 기준 전송 전력을 설정한다. 상기 기준 전송 전력은 상기 기지국이 전달한 신호 및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706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준 전송 전력과 파워 오프셋을 이용하여 최종 전송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최종 전송 전력은 상기 기준 전송 전력에 상기 설정된 오프셋 값을 더하는 방식으로 설정 될 수 있다.
단계 707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설정된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단계 708에서 상기 단말은 동작을 종료한다.
실시예 2. 인접 기지국에 의한 전력 제어
도 3의 식별번호 305에 보이듯이 밴드 내 송출 전력은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DRB의 경우 다른 DRB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중심 주파수를 포함하는 DRB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다른 DRB를 사용하는 다른 발견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밴드 내 송출 전력에 따라서 수신 성능이 다른 DRB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결하기 위하여 도 8에서 본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밴드 내 송출 전력으로 인한 발견 신호의 수신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한 중심 주파수 DRB 전력 오프셋 설정 방법을 기술한다.
도 8은 제2실시 예에 따른 밴드 내 송출 전력으로 인한 발견 신호의 수신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한 중심 주파수 DRB 전력 오프셋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식별번호 801, 802, 803는 시간적으로 셀룰라 서브프레임과 D2D 서브프레임이 TDM 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식별번호 801의 구간에서는 셀룰라 통신이 설정되고 식별번호 804의 발견 주기로 설정되는 식별번호 802, 803 의 발견 구간에서는 D2D 발견 신호들의 전송이 설정된다. 상기 발견 구간 내에는 발견 신호들이 다중화되게 되는데, 발견 구간 내에도 순방향 셀룰라 통신의 HARQ를 위한 응답을 보낼 수 있도록 기존 PUCCH가 함께 존재하게 되는데 식별번호 807과 808과 같이 발견 구간 내에 주파수 영역에서 양 끝부분에 PUCCH가 존재할 수 있다.
발견 구간 내에서 PUCCH 이외의 자원들에 발견 신호들이 다중화 되게 되는데, 식별번호 806의 부분에서 복수개의 발견 신호를 위한 자원인 DRB 들이 시간-주파수 영역으로 다중화 된다. 하나의 DRB는 임의의 크기의 시간-주파수 단위로 정해 질 수 있고 식별번호 806과 같이 발견 구간 안에서 복수개의 DRB가 격자 모양을 이루면서 다중화 하게 되는 것이다. 단말은 임의의 규칙에 의하여 상기 단말의 발견신호를 전송할 DRB가 정해지게 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정해진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에서 임의의 단말이 전송하는 DRB는 단말이 직접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면 기지국이 선택하여 알려주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서 단말 1은 식별번호 811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1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2은 식별번호 812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2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3은 식별번호 813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3의 발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4은 식별번호 814의 DRB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 4의 발견 신호를 송신한다.
시간-주파수 호핑 (time-frequency hopping)방법이 적용되면 식별번호 803의 발견 구간에서는 식별번호 821, 822, 823 및 824처럼 DRB의 위치가 이전 발견 구간과 다른 서브프레임, 그리고 다른 주파수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일례로 802의 발견 구간에서 811의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 1은 803의 발견 구간에서 821의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식별번호 821에서 단말 1은 중간 주파수에 위치한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중간 주파수에 위치한 DRB는 다른 DRB에서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밴드 내 송출 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발견 신호 수신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중간 주파수에 위치한 DRB에서 다른 DRB에서 사용하는 전송 전력과 동일한 전송 전력을 사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발견 신호의 수신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 에서는 중간 주파수에 위치한 DRB를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있어서 단말은 추가적인 전력 오프셋(830)을 설정하여 좀 더 높은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Tx_Power(i) = Tx_power_ref + IE_Offset(i)
Tx_Power(i)는 i DRB 위치에서의 전송 전력이고, Tx_power_ref는 기준 전송 전력이다. 여기서 i는 DRB의 위치이며 일례로 IE_Offset(i)는 중간 주파수를 포함하는 DRB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일정 양수 값을 갖고 그렇지 않은 DRB에서는 0의 값을 갖는다.
상기에서 중간 주파수를 포함하는 DRB 위치에서의 파워 오프셋 값, 즉 IE_Offset(i) 값은 모든 단말이 미리 정해진 값을 사용하거나, 기지국이 SIB 시그널링이나 단말 별로 상위 시그널링을 통하여 설정된 값을 알려줘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프셋을 설정하는 단말은 모든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이 될 수도 있고, 혹은 기지국에 가까운, 즉 기지국의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의 수신을 측정된 단말, 기지국 간의 전송 손실이 일정 값보다 작은 단말만 상기 오프셋을 설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특히 기지국의 기준 신호를 이용한 전송 손실의 측정에 따라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는 상기 언급된 전력 제어를 통해 기준 전송 전력 (Tx_Power_ref)을 설정하고 DRB의 위치에 따라서 전력 오프셋을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 전송 전력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Tx_Power_ref = min{Max_Tx_Power, f(D2D), g(PL_eNB)}
상기 수학식에서 Max_Tx_Power는 송신 D2D 단말의 최대 가용 전력이며, f(D2D)는 상기 단말이 전송하는 발견 신호의 서비스 종류에 따라서 정해지는 전송 전력이며, g(PL_eNB) 는 기지국과 단말의 전력 손실(PL_eNB)에 따라서 정해지는 전송 전력이다. 상기 g(PL_eNB)는 아래와 같이 정해질 수 있다.
g(PL_eNB) = Rx_Power_eNB + PL_eNB
상기에서 Rx_Power_eNB는 기지국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전력의 목표값이다. 상기 Rx_Power_eNB 값과 IE_Offset_ref 값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해 줄 수 있다.
도 9는 제2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서 전력 오프셋 정보를 기지국기 단말에게 시그널링을 통하여 알려주는 방법을 가정한다. 다른 실시 예의 경우에 전력 오프셋 정보는 단말에 기 설정될 수 있다.
단계 901에서 기지국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 902에서 상기 기지국은 전력 오프셋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력 오프셋 정보는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가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중간 주파수 대역에서 양의 오프셋 값을 가질 수 있다.
단계 903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설정된 전력 오프셋 정보를 상기 단말에 시그널링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지국은 SIB 시그널링, RRC 시그널링, 및 dynamic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설정된 전력 오프셋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시그널링한다.
단계 904에서 기지국 동작을 마친다.
도 10은 제2실시 예에 다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계 1001에서 단말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 1002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파워 오프셋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계 1002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단계 1002가 수행되지 않을 경우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파워 오프셋 관련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기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파워 오프셋 관련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003에서 상기 단말이 임의의 발견 구간에서 자신의 발견 신호를 전송할 DRB를 설정한다. 상기 DRB 설정은 단말, 혹은 기지국의 DRB 위치 결정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시간-주파수 호핑의 적용에 따라서 매 전송 DRB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단계 1004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설정된 DRB의 위치에 따라서 파워 오프셋을 설정한다. 상기 파워 오프셋 정보는 단계 1002에서 수신한 정보 또는 기 설정된 단말의 설정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005에서 상기 단말은 기준 전송 전력을 설정한다. 상기 기준 전송 전력은 상기 기지국이 전달한 신호 및 상기 단말에 기 설정된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1006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준 전송 전력과 파워 오프셋을 이용하여 최종 전송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최종 전송 전력은 상기 기준 전송 전력에 상기 설정된 오프셋 값을 더하는 방식으로 설정 될 수 있다.
단계 1007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설정된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발견 신호 전송을 수행한다.
단계 1008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동작을 종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은 송수신부(1110)와 제어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110)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임의의 노드들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1110)는 단말과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20)는 기지국의 동작을 위해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20)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20)는 기지국 관련 정보 관리부(11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기지국 관련 정보 관리부(1121)는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의 발견 신호 전송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기지국 관련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 관련 정보 관리부(1121)는 DRB의 위치에 따른 파워 오프셋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20)는 인접 기지국의 D2D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D2D 통신을 위한 송신/수신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송신/수신 구간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은 송수신부(1210)와 제어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210)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부(1210)는 서빙 기지국의 D2D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22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해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20)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D2D 정보에 기반하여 D2D 통신 수행을 위한 발견 신호의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20)는 전력 제어부(12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력 제어부(1221)는 기지국으로부터 DRB에 따른 파워 오프셋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D2D 통신 수행을 위한 발견 신호의 전송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발견 신호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상기한 바 있으니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2D 통신과 무선 셀룰라 통신이 혼재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발견 신호의 전송 전력을 제어하여 상기 무선 셀룰라 통신에 간섭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 기지국
102 : 셀
103, 104: 단말

Claims (20)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이 인접한 경우 마이너스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전송 대역폭 내에서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대역폭 내의 중간 주파수 인근에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포함될 경우 플러스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6.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지원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자원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지원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지원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이 인접한 경우 마이너스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지원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전송 대역폭 내에서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지원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 대역폭 내의 중간 주파수 인근에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포함될 경우 플러스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지원 방법.
  1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를 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이 인접한 경우 마이너스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전송 대역폭 내에서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대역폭 내의 중간 주파수 인근에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포함될 경우 플러스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를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 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단말로 전송 자원 할당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결정된 자원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상향 링크 전송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이 신호를 전송할 신호 전송 자원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송신된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과 상기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 영역이 인접한 경우 마이너스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 자원 할당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전송 대역폭 내에서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반으로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전송 대역폭 내의 중간 주파수 인근에 상기 결정된 신호 전송 자원 영역이 포함될 경우 플러스 오프셋 값을 포함하여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30109168A 2013-09-11 2013-09-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89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168A KR102089440B1 (ko) 2013-09-11 2013-09-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EP14844374.0A EP3046373B1 (en) 2013-09-11 2014-09-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ignal power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6542638A JP6506294B2 (ja) 2013-09-11 2014-09-11 無線通信システムの端末で送信信号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CN201480050123.4A CN105532047B (zh) 2013-09-11 2014-09-11 控制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的发射信号功率的方法和设备
PCT/KR2014/008488 WO2015037924A1 (ko) 2013-09-11 2014-09-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021,199 US10264535B2 (en) 2013-09-11 2014-09-11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ignal power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168A KR102089440B1 (ko) 2013-09-11 2013-09-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003A true KR20150030003A (ko) 2015-03-19
KR102089440B1 KR102089440B1 (ko) 2020-03-16

Family

ID=5266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168A KR102089440B1 (ko) 2013-09-11 2013-09-1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64535B2 (ko)
EP (1) EP3046373B1 (ko)
JP (1) JP6506294B2 (ko)
KR (1) KR102089440B1 (ko)
CN (1) CN105532047B (ko)
WO (1) WO201503792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886A (ko) * 2014-03-20 2016-03-03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5049B2 (ja) 2014-01-27 2018-11-21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無線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6364196B2 (ja) * 2014-01-30 2018-07-2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US10206215B2 (en) * 2014-03-11 2019-0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ssign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to-device direct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US9717092B2 (en) * 2014-04-03 2017-07-25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310415A1 (en) * 2014-11-10 2017-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2d operation approaches in cellular networks
US10390249B2 (en) 2015-04-03 2019-08-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pilot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7736064B (zh) * 2015-07-03 2021-12-3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终端之间发送信号的方法及其设备
EP4243326A3 (en) * 2015-08-12 2023-1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EP3665968A1 (en) * 2017-08-11 2020-06-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 of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s for nr open loop uplink power control
JP6516385B2 (ja) * 2017-10-11 2019-05-22 華為終端有限公司 信号送信方法、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KR102469972B1 (ko) * 2017-12-27 2022-11-2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장치, 컴퓨터 장치 및 저장 매체
EP3811690B1 (en) * 2018-06-20 2022-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assive mu-mimo
CN108924790B (zh) * 2018-06-27 2021-10-2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通道配置方法及相关装置
WO2020167000A1 (en) 2019-02-13 2020-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e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101212A1 (en) * 2020-02-06 2022-12-14 Lenovo (Singapore) Pte. Ltd. Power control using at least one power control parameter
CN112188467B (zh) * 2020-09-29 2022-05-03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用户属性的终端发现方法
US20230345378A1 (en) * 2022-04-25 2023-10-26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resource power offs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5625A1 (en) * 2008-06-03 2009-12-3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ower control to mitigate interferen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968B1 (ko) 2007-07-05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자원 결정 방법및 장치
KR20090062435A (ko) * 2007-12-13 200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할당방법 및 시스템
US9084201B2 (en) * 2008-01-2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Power headroom manag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934462B2 (en) 2009-10-07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exploitation of well-connected nodes in peer-to-peer wireless networks
US8504052B2 (en) 2010-05-06 2013-08-06 Nokia Corporation Measurements and fast power adjustments in D2D communications
US8359038B2 (en) 2010-06-15 2013-01-22 Nokia Corporation Channel access for local heterogeneous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CN102088736B (zh) 2011-01-14 2017-02-22 北京邮电大学 一种基于用户位置列表的d2d用户对选择复用多个蜂窝用户资源的方法
KR20130065373A (ko) 2011-12-09 2013-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2d 그룹 통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GB2498713A (en) * 2012-01-18 2013-07-31 Renesas Mobile Corp Power control for transmission of a discovery signal for a specific communication mode
CN103079260B (zh) * 2012-12-28 2016-03-09 浙江大学 分数频率复用蜂窝小区的d2d用户功率控制及资源分配方法
CN103249007B (zh) * 2013-05-24 2015-09-02 北京邮电大学 Imt-a系统中的d2d多播通信建立与其无线资源分配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5625A1 (en) * 2008-06-03 2009-12-31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ower control to mitigate interferen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g-Hsun Tsai, et al., "Intelligent resource management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s in heterogeneous networks", WPMC, 2012 15th internation symposium on, IEEE, pages 75-79, (2012.09.2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886A (ko) * 2014-03-20 2016-03-03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US10278185B2 (en) 2014-03-20 2019-04-30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Signal sending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440B1 (ko) 2020-03-16
JP6506294B2 (ja) 2019-04-24
EP3046373A4 (en) 2017-05-03
US10264535B2 (en) 2019-04-16
WO2015037924A1 (ko) 2015-03-19
EP3046373B1 (en) 2020-11-04
CN105532047B (zh) 2019-09-03
US20160227493A1 (en) 2016-08-04
EP3046373A1 (en) 2016-07-20
CN105532047A (zh) 2016-04-27
JP2016536922A (ja) 2016-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44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425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signal power control and discovery signal resource multiplex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291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and multiplexing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EP3654575B1 (en) Optimization of search space and sounding reference signal placement for improved decoding timeline
CN107113552B (zh) 无线通信系统中d2d信号传输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终端
JP6963026B2 (ja) 複数の搬送波が設定された端末の電力割当方法及び上記方法を利用する端末
KR20170042294A (ko)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d2d 및 셀룰러 동작
JP2019068486A (ja) 無線セルラー通信システムでd2d通信遂行のための電力制御及び多重化方法及び装置
KR20150007753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단말의 단말 대 단말 발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187769B2 (en) Connectivity supporting method for D2D communication and wireless device
KR201700746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d2d 신호 전송 지원을 위한 기지국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2102346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having dual transmission capability and frequency prioritization
KR20150143135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