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3886A -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3886A
KR20160023886A KR1020167002127A KR20167002127A KR20160023886A KR 20160023886 A KR20160023886 A KR 20160023886A KR 1020167002127 A KR1020167002127 A KR 1020167002127A KR 20167002127 A KR20167002127 A KR 20167002127A KR 20160023886 A KR20160023886 A KR 20160023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rb
user equipment
transmit
pr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1967B1 (ko
Inventor
젠 왕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2Aspects of the step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제1 사용자 장비가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호 전송을 위한 전력을 조절할 수 있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특히,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실제 네트워크에서, 기기 간(Device-to-Device, 약칭하여 "D2D") 통신은 기기 간의 직접 통신을 가리킨다. 기기 간 근접 서비스(Device to Device Proximity Service, 약칭하여 "D2D ProSe")에서, 신호 전송을 위해, 신호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전력을 사용하여 상이한 물리 자원 블록을 통해 송신된다. 예를 들어, 발견 신호(discovery signal)가 D2D 사이에 전송될 때, 발견 신호는 최대 전력을 사용하여 상이한 물리 자원 블록들을 통해 송신되고, 보통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신호도 또한 일반적으로 동일한 전력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신호의 송신 전력이 유연하게 조정될 수 없고, 따라서, 하나의 신호의 전송은 다른 신호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 네크워트 통신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신호 전송을 위한 전력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제1 사용자 장비가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 측면의 제1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2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5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전력과 상기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6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최대 송신 전력, 상기 제1 전력, 및 상기 제2 전력 중 가장 낮은 전력이다.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8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제4, 제5, 제6, 및 제8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001
,
Figure pct00002
, 및
Figure pct000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04
는 PRB의 위치 번호(position number)이고,
Figure pct00005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taget receive power threshold)이고,
Figure pct00006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power increment value)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고,
Figure pct00007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path loss compensation coefficient)이다.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0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008
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009
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010
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이다.
제2, 제3, 제5, 제6, 및 제7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1 가능하는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제3, 제5, 제6, 및 제7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2 가능하는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offset value)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상기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제3, 제5, 제6, 및 제7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3 가능하는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미리 구성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후보 송신 전력을 지시한다.
제1 측면을 참조하여, 제1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1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제1 내지 제14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17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제1 내지 제18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신호는 기기 간(device-to-device, 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2 측면에 따르면,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이 제공된다.
제2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전력과 상기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상기 제1 전력, 및 상기 제2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상기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011
,
Figure pct00012
, 및
Figure pct000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14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015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016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017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8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다음 항목: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2 내지 제9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0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제2 측면의 제2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2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제2 측면의 제1 내지 제1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3 측면에 따르면, 제1 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RB)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 및 상기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가 제공된다.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전력과 상기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제3 측면의 제2 내지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최대 송신 전력, 상기 제1 전력, 및 상기 제2 전력 중 가장 낮은 전력이다.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2, 제4, 제5, 제6, 및 제8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018
,
Figure pct00019
, 및
Figure pct000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21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022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023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고,
Figure pct00024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다.
제3 측면의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0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025
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026
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027
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이다.
제3 측면의 제2, 제3, 제5, 제6 및 제7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2, 제3, 제5, 제6 및 제7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상기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2, 제3, 제5, 제6 및 제7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1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미리 구성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후보 송신 전력을 지시한다.
제3 측면을 참조하여, 제1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한다.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1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1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제3 측면의 제17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제3 측면의 제1 내지 제18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제4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 상기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전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기지국이 제공된다.
제4 측면을 참조하여,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측면을 참조하여,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전력과 상기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제4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5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상기 제1 전력, 및 상기 제2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4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7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7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8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028
,
Figure pct00029
, 및
Figure pct000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31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032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033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034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8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9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다음 항목: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4 측면의 제2 내지 제9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0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제4 측면의 제2 내지 제10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1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4 측면의 제11 가능한 구현 방식을 참조하여, 제12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제4 측면의 제1 내지 제1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여, 제13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이상에서의 기술적 해결방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RB)을 결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고;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의 송신 전력이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고,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필요한 첨부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한다. 명백히, 이하의 설명에서의 첨부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보여줄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자(이하, 당업자라고 함)라면 창의적인 노력 없이 이들 첨부도면에 따라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방안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히,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력 없이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해결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전지구 이동 통신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reless, WCDMA) 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유니버설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 세계 상호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준이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상이한 시스템에서 상이한 네트워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및 LTE-A에서의 무선 액세스 네크워크상의 네트워크 요소는, eNB (eNodeB, evolved NodeB)를 포함하고, WCDMA에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상의 네트워크 요소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및 NodeB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전 세계 상호운용성)와 같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해결방안과 유사한 해결방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일한 차이점은 기지국 내의 관련 모듈이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들은 eNodeB와 NodeB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더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Telephone), 핸드셋(handset), 휴대형 장비(portable equipment),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장비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이동 전화(또는, "셀룰러"폰이라고 함),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 등일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또한 휴대형(portable), 소형(pocket-sized), 핸드헬드형(handheld), 컴퓨터 내장형(computer built-in), 또는 차량 장착형(in-vehicle)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10. 제1 사용자 장비가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는 또한, 자원 사용 상황에 따라,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사전 구성(pre-configuration)에 따라,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 있다.
120. 제1 사용자 장비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장비는,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절대 위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는,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색인 번호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 장비는 또한, 시간-주파수 자원에서의 전술한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상대 위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는,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에 상대적인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130. 제1 사용자 장비가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결정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의 송신 전력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의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므로, 특정 송신 전력이 네트워크 통신의 성능 요건에 따라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설정될 수 있고, 신호의 송신 전력은 유연하게 결정될 수 있어, 네트워크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송신 전력은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전력이고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크거나 작은 전력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RB)은 하나의 PRB일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PRB, 예를 들어, 2개, 3개, 5개, 또는 10개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 쌍(PRB pair)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호는 기기 간(device-to-device, D2D)에서의 발견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D2D에서의 직접 통신 신호일 수 있거나, 또한 제1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또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는,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상응하게,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때, 단계 120에서,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210. 제1 사용자 장비가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RB)를 결정한다.
221. 제1 사용자 장비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222. 제1 사용자 장비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230. 제1 사용자 장비가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도 2에서의 단계 201은 도 1에서의 단계 110에 대응하고, 단계 230은 도 1에서의 단계 130에 대응한다는 것이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유의해야 할 것은, 도 1의 단계 130에서의 송신 전력은,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송신 전력일 수도 있고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단계 222에서의 최대 송신 전력은 송신 전력의 최대값이다. 즉,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송신 전력은 최대 송신 전력과 같을 수 있거나, 또는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지국에 의해 전달된 메시지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며,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제1 사용자 장비는,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므로, 제2 PRB를 통해 전송되는 제2 신호에서 제1 신호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이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낮다. 제1 PRB와 제2 PRB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이 더 낮게 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제1 PRB와 제2 PRB 사이의 거리에 따라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장비는 그 메시지에 따라 전력을 결정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2 신호는 D2D에서의 발견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D2D에서의 직접 통신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신호가 D2D에서의 발견 신호 또는 직접 통신 신호일 때, 제1 신호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일 수 있다. 제1 신호가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일 때, 제2 신호는 D2D에서의 발견 신호 또는 직접 통신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또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전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전술한 전력 정보는 하나의 메시지에 실려 반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전력 정보는 복수의 메시지에 실려 반송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은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제1 신호는 송신 전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의 송신 전력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의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므로, 제1 신호의 PRB의 송신 전력은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와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 사이의 거리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신호의 송신 전력은 제1 신호와 제2 신호 사이의 간헙을 줄이기 위해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은 제2 PRB에 상대적인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제1 PRB와 제2 PRB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이 더 낮게 하여, 제2 PRB를 통해 전송되는 제2 신호에서, 제1 PRB를 통해 전송되는 제1 신호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을 감소시키고, 네트워크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2 신호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될 수 있거나,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제2 PRB는 하나의 PRB일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PRB, 예를 들어, 2개, 3개, 5개, 또는 10개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 쌍(PRB pair)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제2 신호는 하나의 PRB를 점용하여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PRB를 점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가 PRB의 위치에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전력 구성 정보가 PRB의 위치에 무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 미터 정보 둘 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제1 사용자 장비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하나의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솔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상이한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력 정보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 미터 정보 둘 다를 포함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한다.
이에 상응하게,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제1 전력, 및 제2 전력 중 가장 낮은 전력이다.
이에 상응하게,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상응하게,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035
,
Figure pct00036
, 및
Figure pct0003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38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039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target)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040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고,
Figure pct00041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042
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043
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이고,
Figure pct00044
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Figure pct00045
는 동적 시그널링(dynamic signaling) 제어 파라미터일 수 있거나, 또는 준정적 시그널링(semi-static signaling)일 수 있거나, 또는 정적 시그널링(static signaling) 제어 파리미터일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은 또한 각 PRB에 대해 동적 전력 제어(dynamic power control)를 구별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46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고(degraded)
Figure pct00047
로 대체된다. 시스템이 발견 신호에 대해 동적 전력 제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Figure pct00048
또는
Figure pct00049
는 0과 같다.
이해해야 할 것은, 시스템이 각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50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고, 예를 들어,
Figure pct00051
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52
는 0, 0.4, 0.6, 0.7, 0.8, 0.9, 등일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각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경로 손실 보상 계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53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고, 예를 들어,
Figure pct00054
로 대체될 수 있다.
Figure pct00055
은, 시스템에 의해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과 기준 신호의 검출된 수신 전력 사이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취득되는, 기지국에서 UE까지의 경로 손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력 구성 정보는 복수 유형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의 대응하는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다시 말해, 제1 사용자 장비는 전력 구성 정보 내의 전력을 결정하며,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의 위치에 대응하고, 사용자 장비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의 위치에 따라 대응하는 전력을 결정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장비는 제1 구성 정보에서 기준 송신 전력을 획득하며, 기준 송신 전력은 모든 PRB에 대해 구성된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높은 전력, 예를 들어 Pmax일 수 있고, 오프셋 값은 기준 송신 전력에 상대적인 각 PRB의 오프셋 값이다. 다시 말해, 오프셋 값은 기준 송신 전력에 상대적인 각 PRB의 제1 전력의 감소값(decrement value), 예를 들어 Poffset(j)이다. 각 PRB에 대해, 제1 사용자 장비는 Pmax - Poffset(j)를 사용하여 각 PRB의 제1 전력을 취득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오프셋 값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에 상대적인 오프셋 값이고,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Pue_max이다. 다시 말해, 오프셋 값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에 상대적인 각 PRB의 제1 전력의 감소값, 예를 들어 Poffset이다. 각 PRB에 대해, 제1 사용자 장비는 Pue_max - Poffset를 사용하여 각 PRB의 제1 전력을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미리 구성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후보 송신 전력을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메시지에 실려 반송되는 전력 정보를 획득하며, 전력 정보는 모든 PRB의 위치와 일대일 대응관계에 있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는, 각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에서 각 PRB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을 찾아낸다.
이상에서는 제1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전력 정보에 따라, 1사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제1 사용자 장비는 또한,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둘 이상의 PRB인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기지국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기지국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신호 전송 방법은 사용자 장비의 관점에서 설명되는 것에 대응한다는 것이다. 간략함을 위해, 자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개략 흐름도이다. 도 3에서의 방법은 도 1에서의 방법에 대응하므로, 자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반복 설명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310.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며,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된다.
320. 기지국이 제1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고, 기지국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를 전송한다. 이렇게 하여, 신호의 송신 전력은 PRB의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고, 네트워크 성능은 향상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PRB)는 하나의 PRB일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PRB, 예를 들어, 2개, 3개, 5개, 또는 10개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 쌍(PRB pair)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신호는 기기 간(D2D)의 발견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D2D에서의 직접 통신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전력 정보를 반송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전력 정보는 하나 메시지에 실려 반송될 수 있거나, 복수의 메시지에 실려 반송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사용자 장비는 그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시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적어도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기지국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신호의 송신 전력은 PRB의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제1 신호에 의해 제1 PRB를 통해 전송되는 제2 신호에서 유발되는 간섭이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한 위치에서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은 그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있고, 전송되는 제1 신호에 의해 다른 위치에서 전송되는 제2 신호에서 유발되는 간섭을 줄일 수 있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2 신호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될 수 있거나, 제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해해야 할 것은, 제2 PRB가 하나의 PRB일 수 있거나, 복수의 PEB, 를 들어, 2개, 3개, 5개, 또는 10개일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물리 자원 블록 쌍(PRB pair)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제2 신호는 하나의 PRB를 점용하여 전송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PRB를 점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2 신호는 D2D에서의 발견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D2D에서의 직접 통신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 또는 제2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신호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 것이다. 제1 신호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일 때, 제2 신호는 발견 신호 또는 D2D에서의 직접 통신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에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일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일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전력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전력을 가리를 지시한다. 기지국은 또한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력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한다.
이에 상응하게,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056
,
Figure pct00057
, 및
Figure pct0005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59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060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061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062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Figure pct00063
는 동적 시그널링 제어 파라미터일 수 있거나, 또는 준정적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또는 정적 시그널링 제어 파리미터일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은 또한 각 PRB에 대해 동적 전력 제어를 구별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64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어(degraded)
Figure pct00065
로 대체된다. 시스템이 발견 신호에 대해 동적 전력 제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Figure pct00066
또는
Figure pct00067
는 0과 같다.
이해해야 할 것은, 시스템이 각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68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고, 예를 들어,
Figure pct00069
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70
는 0, 0.4, 0.6, 0.7, 0.8, 0.9, 등일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각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경로 손실 보상 계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71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고, 예를 들어,
Figure pct00072
로 대체될 수 있다.
Figure pct00073
은, UE에 의해 계산을 통해 취득되는, 기지국에서 UE까지의 경로 손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UE까지의 경로 손실은 시스템에 의해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과 기준 신호의 검출된 수신 전력 사이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비가, 전력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제1 사용자 장비에 전술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송신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074
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075
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076
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신호 전송 방법은,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기지국이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제1 전력, 및 제2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077
,
Figure pct00078
, 및
Figure pct0007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080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081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082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083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084
에 따라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085
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이고,
Figure pct00086
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Figure pct00087
는 동적 시그널링 제어 파라미터일 수 있거나, 또는 준정적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또는 정적 시그널링 제어 파리미터일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은 또한 각 PRB에 대해 동적 전력 제어를 구별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88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어(degraded)
Figure pct00089
로 대체된다. 시스템이 발견 신호에 대해 동적 전력 제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Figure pct00090
또는
Figure pct00091
는 0과 같다.
이해해야 할 것은, 시스템이 각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92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고, 예를 들어,
Figure pct00093
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94
는 0, 0.4, 0.6, 0.7, 0.8, 0.9, 등일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각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경로 손실 보상 계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95
는 하나의 값으로 저하되고, 예를 들어,
Figure pct00096
로 대체될 수 있다.
Figure pct00097
은, UE에 의해 계산을 통해 취득되는, 기지국에서 UE까지의 경로 손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UE까지의 경로 손실은 시스템에 의해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과 기준 신호의 검출된 수신 전력 사이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취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다음 항목: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구성 정보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을 포함하는 경우, 기지국은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을 결정한다.
또는, 전력 구성 정보는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기지국은, 전력 구성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건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전력 구성 정보 내에 기준 송신 전력을 구성하며, 기준 송신 전력은 모든 PRB에 대해 구성되는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높은 전력, 예를 들어 Pmax일 수 있고, 오프셋 값은 기준 송신 전력에 상대적인 각 PRB의 오프셋 값이다. 다시 말해, 오프셋 값은 기준 송신 전력에 상대적인 각 PRB의 제1 전력의 감소값, 예를 들어 Poffset(j)이다. 각 PRB에 대해, 기지국은 Pmax - Poffset(j)에 기초한 각 PRB의 제1 전력을 취득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기지국은 전격 구성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오프셋 값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에 상대적인 오프셋 값이고,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Pue_max이다. 다시 말해, 오프셋 값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에 상대적인 각 PRB의 제1 전력의 감소값, 예를 들어 Poffset이다. 각 PRB에 대해, 기지국은 Pue_max - Poffset를 사용하여 각 PRB의 제1 전력을 취득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인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사용자 장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도 3을 참조하여 기지국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의해야 하는 것은 도 1 내지 도 3에서의 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당업자의 이해를 도우려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 구체적인 값 또는 구체적인 시나리오로 한정하는 아니다. 명백히, 당업자는 도 1 내지 도 3에 제공되는 예에 따라 등가적인 수정 또는 변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 내지 도 3의 예이며, 도 4에서의 신호는 발견 신호이고, 도 4는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발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410. 사용자 장비가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는, 자원 사용 상황에 따라,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사전 구성(pre-configuration)에 따라,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 또는 복수의 PRBㅇ일 수 있다.
420.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 PRB의 위치에 따라 메시지를 결정하고, 그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사용자 장비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Figure pct00098
,
Figure pct00099
, 및
Figure pct00100
중 적어도 하나이고,
Figure pct00101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102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03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430.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발견 신호의 송신 전력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서만 결정되고, 후보 송신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04
에 따라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105
는 UE에 의해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106
은 UE에 의해 계산을 통해 취득되는 서빙 기지국에서 UE까지의 경로 손실이고,
Figure pct00107
= 시스템에 의해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 - UE에 의해 검출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이다.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복수의 PRB인 경우, 발견 신호의 송신 전력은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서만 결정되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1 PRB은 제j PRB 내지 제(j+1) PRB이고, 후보 송신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08
에 따라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109
는 UE에 의해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110
은 UE에 의해 계산을 통해 취득되는, 서빙 기지국에서 UE까지의 경로 손실이고,
Figure pct00111
= 시스템에 의해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 - UE에 의해 검출된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이다.
후보 송신 전력
Figure pct00112
는 동일한 방식으로 취득된다. 사용자 장비는,
Figure pct00113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제j PRB 및 제(j+1)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Figure pct00114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제j PRB 및 제(j+1)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Figure pct00115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제j PRB 및 제(j+1)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Figure pct00116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제j PRB 및 제(j+1)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Figure pct00117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제j PRB 및 제(j+1)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거나, 또는
Figure pct00118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제j PRB 및 제(j+1)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Figure pct00119
Figure pct00120
Figure pct00121
Figure pct00122
각각에 대응하는 자연수(선형수, linear number)이다.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UE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및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이 고려되며,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느 최대 송신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23
에 따라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124
는 UE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125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 장비는
Figure pct00126
,
Figure pct00127
, 및
Figure pct00128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전력으로 선택한다.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복수의 PRB인 경우, UE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 및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 모두가 고려되며, 신호를 송신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29
에 따라 결정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 장비는
Figure pct00130
,
Figure pct00131
, 및
Figure pct00132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전력으로 선택한다.
사용자 장비는, 복수의 RPB에 대응하는 복수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복수의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후보 송신 전력의 최소값 또는 평균값이 복수의 RPB의 각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디 송신 전력으로 사용된다.
440. 사용자 장비가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최대 송신 전력에 따라,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발견 신호를 전송한다.
종래의 기기간 근접 서비스(Device to Device Proximity Service, 약칭하여 "D2D ProSe")에서, 신호가 전송될 때, 신호는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방식으로 보통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와 함께 멀티플렉싱된다. D2D 간에 전송되는 신호의 서브프레임 포맷이 보통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서브프레임 포맷과 상이하기 때문에, D2D 신호를 수신한 때, 사용자 장비는 업링크 신호에 의해 야기되는 캐리어 간 간섭(intra-carrier interference)을 겪을 수 있다. 발견 신호를 전송할 때, 종래의 UE는 발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최대 전력을 사용하고,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은 위치에 따라 조정될 수 없어; 결과적으로, UE에서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제어 신호 송신에 대한 신뢰성이 감소되고, 시스템 전체의 성능이 더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 전력이 발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송신 전력은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어, 제어 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 5는 신호가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신호인 경우를 보여주며,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제어 신호 파라미터에 따라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510. 사용자 장비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신호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또는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이다.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의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도 또한, 수신된 사용자 장비의 자원 사용 상황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사전 구성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 또는 복수의 PRB일 수 있다.
520.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의 위치에 따라 메시지를 결정하고, 그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한다. 사용자 장비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에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취득한다. 신호가 PUSCH 신호인 경우, 예를 들어,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Figure pct00133
,
Figure pct00134
, 및
Figure pct00135
중 적어도 하나이고,
Figure pct00136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37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신호 전력 조절량이고,
Figure pct00138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다. 신호가 PUCCH 신호인 경우,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Figure pct00139
Figure pct00140
중 적어도 하나이며,
Figure pct00141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42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신호 전력 조절량이다.
530. 기지국이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신호가 PUSCH 신호인 경우, 송신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43
에 따라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144
는 UE에 의해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145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46
은 UE에 의해 계산을 통해 취득되는 서빙 기지국에서 UE까지의 경로 손실이고,
Figure pct00147
는 송신률(transmission rate)에 따라 변화하는 전력 조정량이고,
Figure pct00148
는 UE에 의해 제j PRB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신호 전력 조정량이다.
또는,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복수의 PRB인 경우, 신호가 PUSCH 신호인 경우, 송신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49
에 따라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150
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수이다.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이고, 신호가 PUCCH 신호인 경우, 후보 송신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51
에 따라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152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PL은 기지국과 UE 사이의 경로 손실이고;
Figure pct00153
는 PUCCH 포맷과 관련된 전력 조정값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54
는 HARQ 정보에서의 비트 수이고;
Figure pct00155
은 그것이 스케줄링 요청 정보인지를 지시히고;
Figure pct00156
는 HARQ 정보에서의 비트 수이고,
Figure pct00157
는 PUCCH 포맷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전력 조정량이고;
Figure pct00158
는 업링크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여 결정되는 전력 조정량이다.
540. 사용자 장비가 신호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장비는, 최대 송신 전력에 따라,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한다.
D2D 기술에서, D2D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서브프레임 포맷이 보통의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의 서브프레임 포맷과 상이하기 때문에, 업링 신호를 수신할 대, 기지국은 D2D 신호에 의해 야기되는 캐리어 간 간섭을 겪을 수 있어, 제어 신호의 송신 신뢰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력은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제어 신호의 송신 전력은 유여하게 조정될 수 있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유의해야 할 것은, 도 4 및 도 5에서의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도움을 주려는 것이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맹백히, 당업자는 도 4 및 도 5에서의 예에 따라 등가적인 수정 또는 변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전술한 프로세스의 순서 번호는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기능 및 프로세스의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한정으로도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을 상세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장비(600)는 제1 결정 유닛(610), 제2 결정 유닛(620), 및 전송 유닛(6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결정 유닛(610)은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RB)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제2 결정 유닛(620)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장비(600)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전송 유닛(630)은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장비는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의 위치에 따라 신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특정 송신 전력이 네트워크 통신의 성능 요건에 따라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설정될 수 있고, 신호의 송신 전력이 유연하게 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해해야 할 것은, 송신 전력은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전력이고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크거나 작은 전력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제1 전력, 및 제2 전력 중 가장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159
,
Figure pct00160
, 및
Figure pct0016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162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163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64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고,
Figure pct00165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66
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167
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168
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며, 미리 구성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후보 송신 전력을 지시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며, 전력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둘 이상의 PRB인 경우,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장비는 도 1 내지 도 5의 방법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각각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의 방법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700)는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버스 시스템(730), 및 송수신기(7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 메모리(720), 및 송수신기(740)는 버스 시스템(730)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710)는, 버스 시스템(730)을 사용하여 메모리(720)에 저장된 코드를 호출하여,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RB)을 결정하고;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장비(700)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수신기(740)는 결정된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장비는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PRB의 위치에 따라 신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특정 송신 전력이 네트워크 통신의 성능 요건에 따라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위치에서 설정될 수 있고, 신호의 송신 전력이 유연하게 결정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 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710)에 적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7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710)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된 논리 회로에 의해, 또는 프로세서(710) 내의 소프트웨어의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710)는 범용 프로세서(general-purpose processor),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개별 게이트(discrete gate),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transistor logic device),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discrete hardware component)일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각각의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 등의 종래기술에서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7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메모리(720)에서 정보를 읽어, 프로세서(710)의 하드웨어와의 조합으로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데이터 버스에 더해, 버스 시스템(730)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여러 상이한 유형의 버스를 버스 시스템(730)으로 통칭하여 표시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송신 전력은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전력이고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크거나 작은 전력일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제1 전력, 및 제2 전력 중 가장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며,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며,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169
,
Figure pct00170
, 및
Figure pct0017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172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173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74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고,
Figure pct00175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다.
구체적으로, 제2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176
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177
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178
은 기지국과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며, 미리 구성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후보 송신 전력을 지시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송신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며, 전력 정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둘 이상의 PRB인 경우,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자 장비는 도 1 내지 도 5의 방법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각각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의 방법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와 관련된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기지국은 제1 결정 유닛(810) 및 전송 유닛(8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결정 유닛(810)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되고; 전송 유닛(820)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은 PRB의 위치에 따라 신호의 송신 전력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기지국(800)은 제1 결정 유닛(810), 전송 유닛(820), 제2 결정 유닛(830), 및 제3 결정 유닛(840)을 포함한다. 제1 결정 유닛(810)은 도 8의 제1 결정 유닛(810)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제2 결정 유닛(830)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3 결정 유닛(840)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800)에 의해 결정되며,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제1 전력, 및 제2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800)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800)에 의해 결정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며,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800)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며,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800)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179
,
Figure pct00180
, 및
Figure pct0018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Figure pct00182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183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84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185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다음 항목: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둘 이상의 PRB인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기지국(800)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유의해야 할 것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기지국은 도 1 내지 도 5의 방법 실시예에서 기지국에 의해 구현되는 각각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의 방법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관련된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것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00)은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버스 시스템(1030), 및 송수신기(104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010), 메모리(1020), 및 송수신기(1040)는 버스 시스템(1030)을 사용하여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10)는, 버스 시스템(1030)을 사용하여 메모리(1020)에 저장된 코드를 호출하여,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되고; 송수신기(1040)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전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지국은 PRB의 위치에 따라 신호의 송신 전력을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어,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은 프로세서(1010)에 적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10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010) 내의 하드웨어의 통합된 논리 회로에 의해, 또는 프로세서(1010) 내의 소프트웨어의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1010)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각각의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임의 접근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 등의 종래기술에서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10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20)에서 정보를 읽어, 프로세서(1010)의 하드웨어와의 조합으로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데이터 버스에 더해, 버스 시스템(1030)은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여러 상이한 유형의 버스를 버스 시스템(1030)으로 통칭하여 표시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포함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010)는,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고; 프로세서(1010)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기지국(1000)에 의해 결정되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1000)에 의해 결정되고,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1000)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제1 전력, 및 제2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1000)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며, 제1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1000)에 의해 결정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며,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1000)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며, 제2 전력은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기지국(1000)에 의해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186
,
Figure pct00187
, 및
Figure pct0018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Figure pct00189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190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91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192
는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전력 구성 정보는 다음 항목: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 기준 송신 전력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및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중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하나의 PRB인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제1 PRB가 둘 이상의 PRB인 경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기지국(1000)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이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대상(object)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고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 세 가지 경우: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 모두 존재하는 경우, 및 B만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또는(or)" 관계를 나타낸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전술한 프로세스에서의 시퀀스 번호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서의 실행 시퀀스를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프로세스의 실행 시퀀스는 기능 및 프로세스의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어떠한 한정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예들을 조합하여, 유닛들 및 알고리즘의 단계들을 전자적인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적인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능들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방안의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당업자는 각각의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기술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당업자는, 편의 및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자세한 동작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에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기재된 장치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논리 기능 분할일 뿐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는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feature)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정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자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separate part)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분리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물리적인 유닛이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해결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그 기능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방안, 또는 종래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재된 방법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로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탈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 ROM,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식일 뿐이며, 본 발명을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쉽게 알아낼 수 있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68)

  1. 제1 사용자 장비가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hysical resource block, PRB)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가 상기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전력과 상기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인, 신호 전송 방법.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최대 송신 전력, 상기 제1 전력, 및 상기 제2 전력 중 가장 낮은 전력인, 신호 전송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제3항, 제5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193
    ,
    Figure pct00194
    , 및
    Figure pct0019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196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197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198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power increment value)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고,
    Figure pct00199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인, 신호 전송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200

    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201
    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202
    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인, 신호 전송 방법.
  12.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13.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상기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14. 제3항,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미리 구성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후보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신호 전송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17. 제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인, 신호 전송 방법.
  18. 제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인, 신호 전송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기기 간(device-to-device, 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전송 방법.
  21.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전력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전력과 상기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인, 신호 전송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상기 제1 전력, 및 상기 제2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인, 신호 전송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29. 제22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203
    ,
    Figure pct00204
    , 및
    Figure pct002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206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207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208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209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인, 신호 전송 방법.
  30. 제22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아래 항목: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중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인, 신호 전송 방법.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인, 신호 전송 방법.
  34. 제2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신호 전송 방법.
  35. 제1 신호의 하나 이상의 제1 물리 자원 블록(PRB)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 및
    상기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 및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40.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전력과 상기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인, 사용자 장비.
  41.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최대 송신 전력, 상기 제1 전력, 및 상기 제2 전력 중 가장 낮은 전력인, 사용자 장비.
  42.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43.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44. 제37항, 제39항, 제40항, 제41항, 및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210
    ,
    Figure pct00211
    , 및
    Figure pct002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213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214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215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이고,
    Figure pct00216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인, 사용자 장비.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은 아래 식:
    Figure pct00217

    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위 식에서,
    Figure pct00218
    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이고,
    Figure pct00219
    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비 사이의 경로 손실인, 사용자 장비.
  46. 제37항, 제38항, 제40항, 제41항, 및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47. 제37항, 제38항, 제40항, 제41항, 및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상기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48. 제37항, 제38항, 제40항, 제41항, 및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4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 이하의 전력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미리 구성된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미리 구성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후보 송신 전력을 지시하는, 사용자 장비.
  5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 및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51. 제3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인, 사용자 장비.
  52. 제3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이고;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결정되는, 사용자 장비.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인, 사용자 장비.
  54. 제35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인, 사용자 장비.
  55.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위치에 따라 전력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결정 유닛 - 상기 전력 정보는 제1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명령하는 데 사용됨 -;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상기 전력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기지국.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57.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결정 유닛;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결정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전력 및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전력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전력과 상기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인, 기지국.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 상기 제1 전력, 및 상기 제2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인, 기지국.
  61.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1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1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1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
  62.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제2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지원되는 최대 송신 전력과 제2 전력 중 더 낮은 전력이고, 상기 제2 전력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
  63. 제56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파라미터 정보는
    Figure pct00220
    ,
    Figure pct00221
    , 및
    Figure pct002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Figure pct00223
    는 PRB의 위치 번호이고,
    Figure pct00224
    는 제j PRB를 통해 발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타겟 수신 전력 임계값이고,
    Figure pct00225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는 경로 손실 보상 계수이고,
    Figure pct00226
    는 상기 제j PRB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해 사용되는 전력 증가값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전력 제어 파라미터인, 기지국.
  64. 제56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구성 정보는 아래 항목: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전력;
    기준 송신 전력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에 대응하는 오프셋 값
    중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65. 제57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하나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후보 송신 전력인, 기지국.
  66. 제57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는 둘 이상의 PRB이고;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의 각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최대 송신 전력은, 상기 제1 사용자 장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PRB를 통해 상기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후보 송신 전력 중에서 가장 낮은 전력인, 기지국.
  68. 제55항 내지 제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기기 간(D2D) 발견 신호, D2D 직접 통신 신호,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신호, 및 사용자 장비에서 기지국으로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기지국.
KR1020167002127A 2014-03-20 2014-03-20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KR101881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3800 WO2015139278A1 (zh) 2014-03-20 2014-03-20 发送信号的方法、用户设备和基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886A true KR20160023886A (ko) 2016-03-03
KR101881967B1 KR101881967B1 (ko) 2018-07-25

Family

ID=5276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127A KR101881967B1 (ko) 2014-03-20 2014-03-20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78185B2 (ko)
EP (1) EP3007503B1 (ko)
JP (1) JP6230140B2 (ko)
KR (1) KR101881967B1 (ko)
CN (1) CN104488333B (ko)
WO (1) WO20151392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14725A1 (en) * 2014-10-24 2016-04-28 L. Derek Green Method for a Vehicle Misfuelling Alert System
KR20180084459A (ko) *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 전력 분배망 최적 설계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05695A (ko) * 2018-01-12 2020-09-0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61721B (zh) * 2016-01-11 2020-05-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上行功率控制的方法及终端
WO2017146448A1 (ko) * 2016-02-25 2017-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기
CN108271175B (zh) * 2017-01-03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和通信设备
CN109151969B (zh) * 2017-06-16 2022-04-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送功率的确定方法及装置、终端
CN109842927B (zh) * 2017-11-24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CN110149689B (zh) * 2018-02-11 2022-03-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的方法和装置
CN112137579A (zh) * 2019-06-28 2020-12-29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监护设备的信号传输处理方法、设备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7560A (ja) * 2007-07-05 200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ピアツーピア通信のためのリソース決定装置及び方法
JP2012507975A (ja) * 2008-11-04 2012-03-29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受信機利得設定に基づく送信パワー制御
KR20150030003A (ko) * 2013-09-11 2015-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09013937A (es) 2007-07-02 2010-04-30 Entress Ab Nuevo uso de compuestos quimicos farmacologicamente activos conocidos.
US9072060B2 (en) * 2008-06-03 2015-06-3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ower control to mitigate interference
CN102264123B (zh) * 2010-05-26 2014-07-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pdsch功率分配方法及装置
CN110049573B (zh) 2012-01-17 2022-09-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和通信装置及通信系统
CN103313395B (zh) * 2012-03-06 2016-09-0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中继传输系统中多用户多输入多输出的实现方法以及装置
US9066303B2 (en) * 2012-06-25 2015-06-23 Hitachi, Ltd. Power control in LTE-advanced heterogeneous networks
CN103281768B (zh) * 2013-06-14 2016-05-0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crs功率的确定方法和设备
WO2015137856A1 (en) * 2014-03-13 2015-09-1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20170007897A1 (en) * 2015-07-12 2017-01-12 Jim Schwanke Baseball Tra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7560A (ja) * 2007-07-05 200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ピアツーピア通信のためのリソース決定装置及び方法
JP2012507975A (ja) * 2008-11-04 2012-03-29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受信機利得設定に基づく送信パワー制御
KR20150030003A (ko) * 2013-09-11 2015-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전송 신호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14725A1 (en) * 2014-10-24 2016-04-28 L. Derek Green Method for a Vehicle Misfuelling Alert System
KR20180084459A (ko) * 2017-01-17 2018-07-25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 전력 분배망 최적 설계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05695A (ko) * 2018-01-12 2020-09-0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데이터 송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785560B2 (en) 2018-01-12 2023-10-1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07503A1 (en) 2016-04-13
EP3007503B1 (en) 2021-06-30
US20160174231A1 (en) 2016-06-16
KR101881967B1 (ko) 2018-07-25
CN104488333B (zh) 2019-06-11
WO2015139278A1 (zh) 2015-09-24
EP3007503A4 (en) 2016-09-21
JP6230140B2 (ja) 2017-11-15
JP2016531503A (ja) 2016-10-06
CN104488333A (zh) 2015-04-01
US10278185B2 (en)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69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20160023886A (ko) 신호 전송 방법,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
KR102352689B1 (ko) 전력 제어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US20160219532A1 (en) Power control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2422915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단말 기기
US201903068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communication parameter
US10601460B2 (en) D2D signal frequency hopping method and base station
KR101720600B1 (ko) 정보 송신 방법, 기지국, 및 사용자 장비
KR20200103038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10568096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LTE-U carrier inform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2389979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디바이스
EP3550895A1 (en) Downlink transmission method, base station and terminal device
US11622376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device
JP2020522941A (ja) 信号伝送方法、端末デバイスおよ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CN110710242B (zh) 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JP6516385B2 (ja) 信号送信方法、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KR20190113910A (ko) 다운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00037771A (ko)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KR20170064537A (ko) 통신 장치 및 불연속 송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