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893A -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 Google Patents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893A
KR20230169893A KR1020230169934A KR20230169934A KR20230169893A KR 20230169893 A KR20230169893 A KR 20230169893A KR 1020230169934 A KR1020230169934 A KR 1020230169934A KR 20230169934 A KR20230169934 A KR 20230169934A KR 20230169893 A KR20230169893 A KR 20230169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oling
block
neck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식
장재효
Original Assignee
(주)인성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성금속 filed Critical (주)인성금속
Publication of KR2023016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22D17/2272Sprue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15Means for forcing the molten metal into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30Accessories for supplying molten metal, e.g. in 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45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automotive electronic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리크), 파팅부 불량, 미성형불량, 금형소착(마진부족)과 같은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Die cast structure for power distribution unit case}
본 발명은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기존의 화석연료가 아니라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자동차로서 최근 화석연료의 고갈 및 친환경자동차 개발경향에 부응하여 관련기술들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전기자동차에서는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저장하여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일반 상용전원을 통하여 배터리를 충전해야 한다.
이때 고전압인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전기차의 에너지 저장장치인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되는 회로가 전기자동차용 충전회로인 OBC(On-Board Charger)회로이다.
OBC회로는 완속충전회로로도 불리며, OBC회로에서는 교류인 상용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충전하며,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압은 전기자동차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공급되는 고전압의 직류이다.
전력변환회로인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회로는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여 주는 회로로서 OBC회로에서 출력되어 모터구동에 사용되는 고전압의 직류를 저전압인 12V로 변환하여 차량의 전장부품들에서 사용하는 12V의 저전압을 공급한다.
이처럼 차량용 배터리충전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행을 위해 차량탑 재형충전기(OBC, On-board Charger)와 저전압DC컨버터(LDC, Low voltage DC-DC Converter)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력분배장치(Power Distribution Unit)는 전기차 구동을 위한 메인 전력 계통의 부품들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분배시켜 줄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배터리나 PCU(Power Control Unit) 또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와 같은 전력 분배 제어대상 부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단자들과 퓨즈와 릴레이 등의 회로 부품들을 포함한다.
종래 전기차 전용 부품인 차량 탑 재형 충전기(On-board Charger), LDC(Low voltage DC-DC Converter), 전력분배장치(Power Distributi Unit)는 각각 개별 장치로 구성되어 각 개별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 장치별 하네스 케이블을 이용한 커넥터 연결로 고가의 커넥터 및 하네스 작업비용이 들며, 하네스 배선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952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7037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2-006747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3-00400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유닛을 위한 케이스(100)는,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조립되는 쿨링 블럭(30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에 조립되는 바텀 플레이트(400)를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평평하게 형성된 탑 바디(25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준방 좌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1 융기부(21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2 융기부(220)와, 상기 탑 바디(250)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3 융기부(230)와,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4 융기부(240)를 포함하며, 탑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는, 탑 용탕공급부(1210)와, 상기 탑 용탕공급부(12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키고, 상기 탑 바디(25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탑 프론트채널(1220)과, 상기 탑 프론트채널(12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탑 바디(25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탑 리어채널(1260)과, 상기 탑 바디(25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탑 사이드채널(1240)과, 상기 탑 바디(25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탑 사이드채널(1250)과, 복수개의 상기 탑 리어채널(126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탑 배출채널(1270)과, 복수개의 상기 탑 리어채널(126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탑 배출채널(1280)을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탑 프론트채널(1220)은, 좌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제 1 탑 프론트채널(1221); 및 우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제 2 탑 프론트채널(12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 프론트채널(1221)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제 1-3 탑 연결채널(1223c)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탑 프론트채널(1222)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2-1 탑 연결채널(1224a), 제 2-2 탑 연결채널(1224b), 제 2-3 탑 연결채널(122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탑 사이드채널(124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 및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 및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이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좌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 및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가 상기 제 3 융기부(230)의 좌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탑 사이드채널(125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제 2-1 탑 사이드채널(1251), 제 2-2 탑 사이드채널(1252), 제 2-3 탑 사이드채널(1253) 및 제 2-4 탑 사이드채널(125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 탑 사이드채널(1251) 및 제 2-2 탑 사이드채널(1252)이 상기 제 2 융기부(220)의 우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탑 리어채널(1260)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격된 제 1-1 탑 리어채널(1261), 제 1-2 탑 리어채널(1262), 제 1-3 탑 리어채널(1263), 제 1-4 탑 리어채널(1264) 및 제 1-5 탑 리어채널(126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 배출채널(1270)은 상기 제 1-1 탑 리어채널(1261)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1 탑 배출넥(1271)과, 상기 제 1-2 탑 리어채널(1262)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2 탑 배출넥(1272)과, 상기 제 1-3 탑 리어채널(1263)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3 탑 배출넥(1273)과, 상기 제 1-1 탑 배출넥(1271), 제 1-2 탑 배출넥(1272) 및 제 1-2 탑 배출넥(1273)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탑 리어넥(1275)과, 상기 제 1 탑 리어넥(1275)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1-1 탑 사이드넥(1276)과, 상기 제 1-1 탑 사이드넥(1276)의 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2 탑 사이드넥(1277)과, 상기 제 1-2 탑 사이드넥(1277)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3 탑 사이드넥(1278)과,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1278)의 중간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4 탑 사이드넥(1279)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탑 배출채널(1280)은, 상기 제 1-4 탑 리어채널(1264)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1 탑 배출넥(1281)과, 상기 제 1-5 탑 리어채널(1265)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2 탑 배출넥(1282)과, 상기 제 2-1 탑 배출넥(1281) 및 제 2-2 탑 배출넥(1282)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탑 리어넥(1285)과, 상기 제 2 탑 리어넥(1285)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2-1 탑 사이드넥(1286)과, 상기 제 2-1 탑 사이드넥(1286)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2 탑 사이드넥(1287)과, 상기 제 2-2 탑 사이드넥(1287)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2-3 탑 사이드넥(1288)과, 상기 제 2-3 탑 사이드넥(1288)의 중간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4 탑 사이드넥(128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유닛을 위한 케이스(100)는,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조립되는 쿨링 블럭(30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에 조립되는 바텀 플레이트(400)를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평평하게 형성된 탑 바디(25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준방 좌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1 융기부(21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2 융기부(220)와, 상기 탑 바디(250)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3 융기부(230)와,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4 융기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쿨링 블럭(300)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쿨링 프론트월(31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쿨링 리어월(32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좌측을 연결하는 제 1 쿨링 사이드월(33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우측을 연결하는 제 2 쿨링 사이드월(340)과,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단이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에 연결되고, 우측단이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에 연결되는 쿨링 미들월(35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을 연결하고,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를 상측으로 개구된 제 1 미들공간(361)과 하측으로 개구된 제 2 미들공간(362)으로 구획하는 쿨링 파티션(36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프론트월(3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켓(370)과, 상기 복수개의 포켓(370)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브릿지(390)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미들공간(361)과 연결되는 제 1 쿨링 관통부(321)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미들공간(362)과 연결되는 제 2 쿨링 관통부(322);를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를 제공한다.
쿨링 블럭다이캐스트구조는,
용탕이 공급되는 블럭 용탕공급부(1310)와, 상기 블럭 용탕공급부(13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키고, 상기 쿨링 블럭(30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럭 프론트채널(1320)과, 상기 블럭 프론트채널(13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럭 리어채널(1360)(139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블럭사이드채널(134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블럭사이드채널(1350)과, 복수개의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블럭 배출채널(1370)과, 복수개의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블럭 배출채널(1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럭 프론트채널(1320)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이 좌우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및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이 좌우 대칭이고, 상기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및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이 좌우 대칭이고,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이 각각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저면에 연결되어 용탕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분배유닛을 위한 케이스(100)는,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조립되는 쿨링 블럭(30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에 조립되는 바텀 플레이트(400)를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평평하게 형성된 탑 바디(25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준방 좌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1 융기부(21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2 융기부(220)와, 상기 탑 바디(250)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3 융기부(230)와,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4 융기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쿨링 블럭(300)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쿨링 프론트월(31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쿨링 리어월(32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좌측을 연결하는 제 1 쿨링 사이드월(33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우측을 연결하는 제 2 쿨링 사이드월(340)과,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단이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에 연결되고, 우측단이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에 연결되는 쿨링 미들월(35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을 연결하고,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를 상측으로 개구된 제 1 미들공간(361)과 하측으로 개구된 제 2 미들공간(362)으로 구획하는 쿨링 파티션(36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프론트월(3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켓(370)과, 상기 복수개의 포켓(370)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브릿지(390)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미들공간(361)과 연결되는 제 1 쿨링 관통부(321)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미들공간(362)과 연결되는 제 2 쿨링 관통부(322);를 포함하고,
바텀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는,
용탕이 공급되는 바텀 용탕공급부(1410)와, 상기 바텀 용탕공급부(14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키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바텀 프론트채널(1420)과, 상기 바텀 프론트채널(14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바텀 리어채널(1460)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바텀 사이드채널(1440)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바텀 사이드채널(1450)과, 복수개의 상기 바텀 리어채널(146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바텀 배출채널(1470)과, 복수개의 상기 바텀 리어채널(146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바텀 배출채널(1480)을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기포(리크), 파팅부 불량, 미성형불량, 금형소착(마진부족)과 같은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탑 플레이트 다이캐스팅을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내부에 소켓 및 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 높낮이를 갖는 쿨링 블럭 다이캐스팅을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바텀 플레이트 다이캐스팅을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탑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의 도면부호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쿨링 블럭의 도면부호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가 뒤집힌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텀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 시뮬레이션 및 평가표이다.
도 15는 도 14에 따른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 시뮬레이션의 개선 구조에 대한 평가표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시뮬레이션 3 및 시뮬레이션 5에 대한 비교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탑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서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의 도면부호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서 쿨링 블럭의 도면부호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5의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가 뒤집힌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텀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유닛은,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의 수용공간(111)에 전기차 전용 부품인 OBC(차량 탑 재형충전기), PDU(전력분배장치), LDC(저전압DC컨버터)를 수용하여 단일 모듈화 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100)는 내열성 및 강도가 우수한 절연 소재로 이루어지고, 전기차 전용 부품인 OBC, PDU, LDC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을 커버하여 밀폐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측벽에는 OBC, PDU, LDC와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복수의 연결단자들이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단자들은 BDU(Battery Disconnect Unit)입출력단자, PTC Heater 및 Air-conditioner 출력단자, LDC_OUT(-)출력단자, LDC_OUT(+)출력단자, 통신용 커넥터 입출력단자, AC_IN입력단자, EPT(Electronic Power Train)입출력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분배유닛을 위한 케이스(100)는,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조립되는 쿨링 블럭(30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에 조립되는 바텀 플레이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분배유닛는 상기 탑 플레이트(200) 및 쿨링 블럭(300) 사이 공간 또는 상기 쿨링 블럭(300) 및 바텀 플레이트(400) 사이 공간으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OBC, PDU 또는 LD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200) 및 쿨링 블럭(300) 사이 공간을 어퍼공간(101)이라 정의하고, 상기 쿨링 블럭(300) 및 바텀 플레이트(400) 사이 공간을 로어공간(102)이라 정의하며, 상기 어퍼공간(101)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순환시킨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 쿨링 블럭(300) 및 바텀 플레이트(4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 및 바텀 플레이트(400)는 전체적인 형상이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쿨링 블럭(300)은 일측에 OBC, PDU 또는 LDC와 같은 전장부품이 설치되고, 타측에 냉각수가 저장되기 때문에 상하 방향 높이를 갖는 형태이다.
상기 케이스(1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탑 뷰로 볼 때, 한쪽 방향이 더 긴 형태이다. 탑 뷰로 볼 때, 짧은 쪽 방향을 단방향이라 하고, 긴 쪽 방향으로 장방향이라 정의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 쿨링 블럭(300) 및 바텀 플레이트(400)는 각각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작되고, 기포(리크), 파팅부 불량, 미성형불량, 금형소착(마진부족) 등의 성형불량이 빈번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이캐스팅 성형 시 발생되는 상기와 같은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이캐스트 구조을 제공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평평하게 형성된 탑 바디(25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준방 좌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1 융기부(21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2 융기부(220)와, 상기 탑 바디(250)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3 융기부(230)와,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4 융기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좌우 방향이 전후 방향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전후 방향 길이가 200mm이고, 좌우 방향 길이가 226mm이다.
본 실시예에서 용탕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탑 플레이트(200)를 형성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에 따라 금형이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탑 플레이트(200)를 다이캐스팅하기 위한 탑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는, 탑 용탕공급부(1210)와, 상기 탑 용탕공급부(12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키고, 상기 탑 바디(25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탑 프론트채널(1220)과, 상기 탑 프론트채널(12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탑 바디(25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탑 리어채널(1260)과, 상기 탑 바디(25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탑 사이드채널(1240)과, 상기 탑 바디(25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탑 사이드채널(1250)과, 복수개의 상기 탑 리어채널(126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탑 배출채널(1270)과, 복수개의 상기 탑 리어채널(126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탑 배출채널(1280)을 포함한다.
상기 탑 용탕공급부(1210)이 상기 탑 프론트채널(1220) 보다 높게 배치되고, 용탕의 유동 시 자중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탑 프론트채널(1220)은 좌측 및 우측으로 분기된다. 좌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제 1 탑 프론트채널(1221)이라 하고, 우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제 2 탑 프론트채널(1222)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탑 프론트채널(1221) 및 제 2 탑 프론트채널(1222)이 좌우 대칭이다.
본 실시예에서 탑 플레이트 다이캐스트 구조는 제 1 탑 프론트채널(1221) 및 탑 바디(25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 1 탑 연결채널과, 상기 제 2 탑 프론트채널(1222) 및 탑 바디(25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 2 탑 연결채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탑 연결채널 및 제 2 탑 연결채널이 동수이다.
상기 제 1 탑 연결채널에 3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탑 연결채널에도 3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탑 연결채널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제 1-3 탑 연결채널(1223c)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탑 연결채널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 2-1 탑 연결채널(1224a), 제 2-2 탑 연결채널(1224b), 제 2-3 탑 연결채널(1224c)을 포함한다.
상기 제 1-3 탑 연결채널(1223c) 및 제 2-3 탑 연결채널(1224c)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및 제 2-2 탑 연결채널(1224b)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및 제 2-1 탑 연결채널(1224a)이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1 탑 연결채널(1223a)의 폭이 제 2-1 탑 연결채널(1224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및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후방에 상기 제 1 융기부(21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1 탑 연결채널(1224a)의 후방에 상기 제 2 융기부(22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전후 방향 길이(T1)가 상기 제 2 융기부(220)의 전후 방향 길이(T2) 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좌우 방향 길이가 상기 제 2 융기부(220)의 좌우 방향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제 1-3 탑 연결채널(1223c), 제 2-1 탑 연결채널(1224a), 제 2-2 탑 연결채널(1224b), 제 2-3 탑 연결채널(1224c)이 각각 상기 탑 바디(250)의 저면에 연결되어 용탕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제 1-3 탑 연결채널(1223c), 제 2-1 탑 연결채널(1224a), 제 2-2 탑 연결채널(1224b), 제 2-3 탑 연결채널(1224c)의 각 끝단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끝단 부분이 상기 탑 바디(250)와 접하게 배치된다.
다이캐스팅 후, 경화된 상기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제 1-3 탑 연결채널(1223c), 제 2-1 탑 연결채널(1224a), 제 2-2 탑 연결채널(1224b), 제 2-3 탑 연결채널(1224c)를 제거할 때, 상기 탑 바디(250)의 모서리에서 분리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가공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제 1-3 탑 연결채널(1223c), 제 2-1 탑 연결채널(1224a), 제 2-2 탑 연결채널(1224b), 제 2-3 탑 연결채널(1224c)의 각 끝단은 상측으로 하측으로 뾰족하게 경사진 부분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1 탑 연결채널경사부, 제 1-2 탑 연결채널경사부, 제 1-3 탑 연결채널경사부, 제 2-1 탑 연결채널경사부, 제 2-2 탑 연결채널경사부, 제 2-3 탑 연결채널경사부라 한다.
상기 제 1 탑 사이드채널(1240)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4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제 1 탑 사이드채널(1240)은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 및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 및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이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좌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 및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가 상기 제 3 융기부(230)의 좌측과 연결된다.
상기 탑 바디(250)는 좌측가장자리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탑 좌측체결부(251)와, 후방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탑 후방체결부(25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탑 좌측체결부(251)가 상기 제 3 융기부(230)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탑 바디(250)에서 좌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이 상기 탑 좌측체결부(251)과 연결되고, 상기 탑 좌측체결부(251)의 하측에 상기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가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탑 좌측체결부(251)를 형성시키기 위해 공급된 용탕이 상기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탑 좌측체결부(251)의 성형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 및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가 동일한 형상 및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가 상기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 및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와 달리 후방 좌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1 탑 사이드넥(1241a)과, 상기 제 1-1 탑 사이드넥(1241a)과 연결된 제 1-1 탑 사이드넥바디(124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탑 사이드넥(1241a) 및 제 1-1 탑 사이드넥바디(1241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1 탑 사이드넥바디(1241b)가 상기 제 1-1 탑 사이드넥(1241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2 탑 사이드넥(1242a)과, 상기 제 1-2 탑 사이드넥(1242a)과 연결된 제 1-2 탑 사이드넥바디(1242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2 탑 사이드넥(1242a) 및 제 1-2 탑 사이드넥바디(1242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2 탑 사이드넥바디(1242b)가 상기 제 1-2 탑 사이드넥(1242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3 탑 사이드넥(1243a)과,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1243a)과 연결된 제 1-3 탑 사이드넥바디(1243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1243a) 및 제 1-3 탑 사이드넥바디(1243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바디(1243b)가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1243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탑 뷰로 볼 때,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바디(1243b)는 후방 좌측으로 45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바디(1243b)의 경사방향은 상기 탑 용탕공급부(1210)에서 공급된 용탕의 진행방향으로 고려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탑 좌측체결부(251)의 형성 시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4 탑 사이드넥(1244a)과, 상기 제 1-4 탑 사이드넥(1244a)과 연결된 제 1-4 탑 사이드넥바디(124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4 탑 사이드넥(1244a) 및 제 1-4 탑 사이드넥바디(1244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4 탑 사이드넥바디(1244b)가 상기 제 1-4 탑 사이드넥(1244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탑 사이드채널(125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 2-1 탑 사이드채널(1251), 제 2-2 탑 사이드채널(1252), 제 2-3 탑 사이드채널(1253) 및 제 2-4 탑 사이드채널(12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탑 사이드채널(1251) 및 제 2-2 탑 사이드채널(1252)이 상기 제 2 융기부(220)의 우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 2-1 탑 사이드채널(1251), 제 2-2 탑 사이드채널(1252), 제 2-3 탑 사이드채널(1253) 및 제 2-4 탑 사이드채널(1254)이 동일한 형상 및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1 탑 사이드채널(1251)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2-1 탑 사이드넥(1251a)과, 상기 제 2-1 탑 사이드넥(1251a)과 연결된 제 2-1 탑 사이드넥바디(125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탑 사이드넥(1251a) 및 제 2-1 탑 사이드넥바디(1251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1 탑 사이드넥바디(1251b)가 상기 제 2-1 탑 사이드넥(1251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2 탑 사이드채널(1252)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2-2 탑 사이드넥(1252a)과, 상기 제 2-2 탑 사이드넥(1252a)과 연결된 제 2-2 탑 사이드넥바디(1252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2 탑 사이드넥(1252a) 및 제 2-2 탑 사이드넥바디(1252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2 탑 사이드넥바디(1252b)가 상기 제 2-2 탑 사이드넥(1252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3 탑 사이드채널(1253)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2-3 탑 사이드넥(1253a)과, 상기 제 2-3 탑 사이드넥(1253a)과 연결된 제 2-3 탑 사이드넥바디(1253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3 탑 사이드넥(1253a) 및 제 2-3 탑 사이드넥바디(1253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3 탑 사이드넥바디(1253b)가 상기 제 2-3 탑 사이드넥(1253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4 탑 사이드채널(1254)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2-4 탑 사이드넥(1254a)과, 상기 제 2-4 탑 사이드넥(1254a)과 연결된 제 2-4 탑 사이드넥바디(1245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4 탑 사이드넥(1254a) 및 제 2-4 탑 사이드넥바디(1254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4 탑 사이드넥바디(1254b)가 상기 제 2-4 탑 사이드넥(1254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리어채널(1260)은 상기 제 1 탑 사이드채널(1240)과 유사한 형태이다.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기 탑 리어채널(1260)은 제 1-1 탑 리어채널(1261), 제 1-2 탑 리어채널(1262), 제 1-3 탑 리어채널(1263), 제 1-4 탑 리어채널(1264) 및 제 1-5 탑 리어채널(126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탑 리어채널(1261), 제 1-2 탑 리어채널(1262), 제 1-3 탑 리어채널(1263), 제 1-4 탑 리어채널(1264), 제 1-5 탑 리어채널(1265)이 상기 탑 바디(25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탑 후방체결부(252)가 상기 탑 바디(250)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3 탑 리어채널(1263)이 탑 후방체결부(252)와 연결되고, 상기 탑 후방체결부(252)의 하측에 상기 제 1-3 탑 리어채널(1263)이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탑 후방체결부(252)를 형성시키기 위해 공급된 용탕이 상기 제 1-3 탑 리어채널(1263)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탑 후방체결부(252)의 성형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 1-1 탑 리어채널(1261), 제 1-2 탑 리어채널(1262), 제 1-3 탑 리어채널(1263), 제 1-4 탑 리어채널(1264) 및 제 1-5 탑 리어채널(1265)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탑 리어채널(1261)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1 탑 리어넥(1261a)과, 상기 제 1-1 탑 리어넥(1261a)과 연결된 제 1-1 탑 리어넥바디(126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탑 리어넥(1261a) 및 제 1-1 탑 리어넥바디(1261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1 탑 리어넥바디(1261b)가 상기 제 1-1 탑 리어넥(1261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2 탑 리어채널(1262)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2 탑 리어넥(1262a)과, 상기 제 1-2 탑 리어넥(1262a)과 연결된 제 1-2 탑 리어넥바디(1262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2 탑 리어넥(1262a) 및 제 1-2 탑 리어넥바디(1262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2 탑 리어넥바디(1262b)가 상기 제 1-2 탑 리어넥(1262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3 탑 리어채널(1263)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3 탑 리어넥(1263a)과, 상기 제 1-3 탑 리어넥(1263a)과 연결된 제 1-3 탑 리어넥바디(1263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3 탑 리어넥(1263a) 및 제 1-3 탑 리어넥바디(1263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3 탑 리어넥바디(1263b)가 상기 제 1-3 탑 리어넥(1263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3 탑 리어넥(1263a)이 상기 탑 후방체결부(252)의 하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탑 후방체결부(252)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4 탑 리어채널(1264)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4 탑 리어넥(1264a)과, 상기 제 1-4 탑 리어넥(1264a)과 연결된 제 1-4 탑 리어넥바디(126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4 탑 리어넥(1264a) 및 제 1-4 탑 리어넥바디(1264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4 탑 리어넥바디(1264b)가 상기 제 1-4 탑 리어넥(1264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5 탑 리어채널(1265)은 상기 탑 바디(250)와 연결된 제 1-5 탑 리어넥(1265a)과, 상기 제 1-5 탑 리어넥(1265a)과 연결된 제 1-5 탑 리어넥바디(1265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5 탑 리어넥(1265a) 및 제 1-5 탑 리어넥바디(1265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5 탑 리어넥바디(1265b)가 상기 제 1-5 탑 리어넥(1265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탑 배출채널(1270)이 제 1-1 탑 리어채널(1261), 제 1-2 탑 리어채널(1262), 제 1-3 탑 리어채널(1263)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탑 배출채널(1280)이 제 1-4 탑 리어채널(1264) 및 제 1-5 탑 리어채널(1265)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탑 배출채널(1270)은 상기 제 1-1 탑 리어채널(1261)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1 탑 배출넥(1271)과, 상기 제 1-2 탑 리어채널(1262)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2 탑 배출넥(1272)과, 상기 제 1-3 탑 리어채널(1263)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3 탑 배출넥(1273)과, 상기 제 1-1 탑 배출넥(1271), 제 1-2 탑 배출넥(1272) 및 제 1-2 탑 배출넥(1273)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탑 리어넥(1275)과, 상기 제 1 탑 리어넥(1275)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1-1 탑 사이드넥(1276)과, 상기 제 1-1 탑 사이드넥(1276)의 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2 탑 사이드넥(1277)과, 상기 제 1-2 탑 사이드넥(1277)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3 탑 사이드넥(1278)과,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1278)의 중간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4 탑 사이드넥(1279)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탑 배출넥(1271), 제 1-2 탑 배출넥(1272), 제 1-3 탑 배출넥(1273), 제 1 탑 리어넥(1275), 제 1-1 탑 사이드넥(1276), 제 1-2 탑 사이드넥(1277), 제 1-3 탑 사이드넥(1278) 및 제 1-4 탑 사이드넥(1279)이 상기 제 1-1 탑 리어넥(1261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탑 바디(250) 내부에 충분한 압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탑 배출채널(1280)은 상기 제 1-4 탑 리어채널(1264)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1 탑 배출넥(1281)과, 상기 제 1-5 탑 리어채널(1265)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2 탑 배출넥(1282)과, 상기 제 2-1 탑 배출넥(1281) 및 제 2-2 탑 배출넥(1282)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탑 리어넥(1285)과, 상기 제 2 탑 리어넥(1285)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2-1 탑 사이드넥(1286)과, 상기 제 2-1 탑 사이드넥(1286)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2 탑 사이드넥(1287)과, 상기 제 2-2 탑 사이드넥(1287)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2-3 탑 사이드넥(1288)과, 상기 제 2-3 탑 사이드넥(1288)의 중간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4 탑 사이드넥(1289)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탑 배출넥(1281), 제 2-2 탑 배출넥(1282), 제 2 탑 리어넥(1285), 제 2-1 탑 사이드넥(1286), 제 2-2 탑 사이드넥(1287), 제 2-3 탑 사이드넥(1288) 및 제 2-4 탑 사이드넥(1289)이 상기 제 1-4 탑 리어넥(1264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탑 바디(250) 내부에 충분한 압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쿨링 블럭(300)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쿨링 프론트월(31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쿨링 리어월(32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좌측을 연결하는 제 1 쿨링 사이드월(33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우측을 연결하는 제 2 쿨링 사이드월(340)과,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단이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에 연결되고, 우측단이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에 연결되는 쿨링 미들월(35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을 연결하고,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를 상측으로 개구된 제 1 미들공간(361)과 하측으로 개구된 제 2 미들공간(362)으로 구획하는 쿨링 파티션(36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프론트월(3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켓(370)과, 상기 복수개의 포켓(370)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브릿지(390)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미들공간(361)과 연결되는 제 1 쿨링 관통부(321)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미들공간(362)과 연결되는 제 2 쿨링 관통부(32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켓(370)은 하측을 향해 개구되고 나머지 면이 폐쇄된다. 이는 상기 포켓(370)의 개구방향은 다이캐스팅을 위한 것으로서, 실 사용시에는 상기 포켓(370)의 개구방향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쿨링 블럭(30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쿨링 프론트월(31), 쿨링 리어월(320), 쿨링 미들월(350)은 수직하게 세워지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 및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은 수직하게 세워지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미들월(350) 사이 간격이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의 간격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미들월(350) 사이는 상하 방향으로 일부가 개구된 쿨링 공간(301)이 형성된다.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구획된 상기 제 1 미들공간(361) 및 제 2 미들공간(36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미들공간(361)은 상측에 조립되는 탑 플레이트(200)를 통해 상기 쿨링 공간(301)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미들공간(362)은 바텀 플레이트(400)를 통해 상기 쿨링 공간(301)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200)가 상기 쿨링 블럭(300)의 상측면에 조립되어 상기 제 1 미들공간(361) 및 쿨링 공간(301)이 상측을 차폐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가 상기 쿨링 블럭(300)의 하측면에 조립되어 상기 제 2 미들공간(362) 및 쿨링 공간(302)이 하측을 차폐한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 및 쿨링 바디(300)의 조립을 통해 상기 개구된 포켓(370)이 폐쇠된다.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가 상측에 구획된 제 1 미들공간(361)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가 하측에 구획된 제 2 미들공간(362)과 연통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 1 미들공간(361), 쿨링 공간(301) 및 제 2 미들공간(362)을 통해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로 토출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 2 미들공간(362), 쿨링 공간(301) 및 제 1 미들공간(361)을 통해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로 토출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 및 제 2 쿨링 관통부(322)에 각각 냉매관이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 및 제 2 쿨링 관통부(322)를 통해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 또는 제 2 쿨링 관통부(322) 중 어느 하나로 냉매가 공급되고, 나머지 하나를 통해 냉매가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가 쿨링 프론트월(310)의 좌우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가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 및 제 1 쿨링 사이드월(3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쿨링 파티션(360)은,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가 상측에 위치되게 하고,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가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쿨링 리어월(320) 및 쿨링 미들월(350)을 연결한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쿨링 파티션(360)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쿨링 파티션(360)의 좌측단이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의 하단과 연결되고, 우측단이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의 하단과 연결되며, 좌우 중간부분이 상승하여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를 감싸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로 유동되는 냉매가 상기 쿨링 파티션(3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로 유동되는 냉매가 상기 쿨링 파티션(36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를 형성시키기 위해 금형에 제 1 슬라이더(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를 형성시키기 위해 금형에 제 2 슬라이더(미도시)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켓(370)은 10개가 배치되고, 각 포켓 내부에 포켓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포켓(370)은 제 1 포켓(371), 제 2 포켓(372), 제 3 포켓(373), 제 4 포켓(374), 제 5 포켓(375), 제 6 포켓(376), 제 7 포켓(377), 제 8 포켓(378), 제 9 포켓(379) 및 제 10 포켓(38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포켓(371), 제 2 포켓(372), 제 3 포켓(373), 제 4 포켓(374), 제 5 포켓(375), 제 6 포켓(376), 제 7 포켓(377), 제 8 포켓(378), 제 9 포켓(379) 및 제 10 포켓(380)가 전후 방향에 대해 2개의 행을 형성하고, 좌우 방향에 대해 5개의 열을 형성한다.
전방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 1 포켓(371), 제 2 포켓(372), 제 3 포켓(373), 제 4 포켓(374), 제 5 포켓(375)이 배치되고, 후방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 6 포켓(376), 제 7 포켓(377), 제 8 포켓(378), 제 9 포켓(379) 및 제 10 포켓(380)이 배치된다.
전방에 배치된 제 1 포켓(371), 제 2 포켓(372), 제 3 포켓(373), 제 4 포켓(374), 제 5 포켓(375)을 전방 포켓그룹이라 하고, 후방에 배치된 제 6 포켓(376), 제 7 포켓(377), 제 8 포켓(378), 제 9 포켓(379) 및 제 10 포켓(380)을 후방 포켓그룹이라 정의한다.
상기 브릿지(390)는,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전방 포켓그룹을 연결하는 프론트브릿지와, 상기 쿨링 리어월(320) 및 후방 포켓그룹을 연결하는 리어브릿지와, 전방 포켓그룹 및 후방 포켓그룹을 연결하는 미들브릿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브릿지, 리어브릿지 및 미들브릿지 사이 사이에 냉매가 유동되는 슬릿 또는 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브릿지는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제 1 포켓(371)을 연결하는 제 1 프론트브릿지(391)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제 2 포켓(372)을 연결하는 제 2 프론트브릿지(392)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제 3 포켓(373)을 연결하는 제 3 프론트브릿지(393)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제 4 포켓(374)을 연결하는 제 4 프론트브릿지(394)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제 5 포켓(375)을 연결하는 제 5 프론트브릿지(395)를 포함한다.
상기 리어브릿지는,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제 6 포켓(376)을 연결하는 제 1 리어브릿지(351)와,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제 7 포켓(377)을 연결하는 제 2 리어브릿지(352)와,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제 8 포켓(378)을 연결하는 제 3 리어브릿지(353)와,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제 9포켓(379)을 연결하는 제 4 리어브릿지(354)와,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제 10 포켓(380)을 연결하는 제 5 리어브릿지(355)를 포함한다.
상기 미들브릿지는, 상기 제 1 포켓(371) 및 제 6 포켓(376)를 연결하는 제 1 미들브릿지(381)와, 상기 제 2 포켓(372) 및 제 7 포켓(377)를 연결하는 제 2 미들브릿지(382)와, 상기 제 3 포켓(373) 및 제 8 포켓(378)를 연결하는 제 3 미들브릿지(383)와, 상기 제 4 포켓(374) 및 제 9 포켓(378)를 연결하는 제 4 미들브릿지(384)와, 상기 제 5 포켓(371) 및 제 10 포켓(380)를 연결하는 제 1 미들브릿지(385)를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390)는, 상기 전방 포켓그룹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사이드브릿지와, 상기 후방 포켓그룹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 사이드브릿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브릿지는,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 및 제 1 포켓(371)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1 사이드브릿지(331)와, 상기 제 1 포켓(371) 및 제 2 포켓(372)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2 사이드브릿지(332)와, 상기 제 2 포켓(372) 및 제 3 포켓(373)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3 사이드브릿지(333)와, 상기 제 3 포켓(373) 및 제 4 포켓(374)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4 사이드브릿지(334)와, 상기 제 4 포켓(374) 및 제 5 포켓(375)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5 사이드브릿지(335)와, 상기 제 5 포켓(375) 및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6 사이드브릿지(336)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사이드브릿지는,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 및 제 6 포켓(376)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1 사이드브릿지(341)와, 상기 제 6 포켓(376) 및 제 7 포켓(377)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2 사이드브릿지(342)와, 상기 제 7 포켓(377) 및 제 8 포켓(378)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3 사이드브릿지(343)와, 상기 제 8 포켓(378) 및 제 9 포켓(379)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4 사이드브릿지(344)와, 상기 제 9 포켓(379) 및 제 10 포켓(380)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5 사이드브릿지(345)와, 상기 제 10 포켓(380) 및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6 사이드브릿지(34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에 따라 금형이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쿨링 블럭(300)을 다이캐스팅하기 위한 다이캐스트구조는, 블럭 용탕공급부(1310)와, 상기 블럭 용탕공급부(13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키고, 상기 쿨링 블럭(30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럭 프론트채널(1320)과, 상기 블럭 프론트채널(13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럭 리어채널(1360)(139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블럭사이드채널(134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블럭사이드채널(1350)과, 복수개의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블럭 배출채널(1370)과, 복수개의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블럭 배출채널(1380)을 포함한다.
상기 블럭 용탕공급부(1310)이 상기 블럭 프론트채널(1320) 보다 높게 배치되고, 용탕의 유동 시 자중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블럭 프론트채널(1320)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이 좌우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및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이 좌우 대칭이고, 상기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및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이 좌우 대칭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이 각각 상기 쿨링 블럭(300)의 쿨링 프론트월(310) 저면에 연결되어 용탕을 공급한다.
다이캐스팅 후, 경화된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을 제거할 때, 상기 쿨링 블럭(300)의 모서리에서 분리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가공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의 각 끝단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뾰족하게 경사진 부분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경사부, 제 2 블럭 연결채널경사부, 제 3 블럭 연결채널경사부, 제 4 블럭 연결채널경사부, 제 5 블럭 연결채널경사부라 한다.
상기 쿨링 블럭(300)는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의 좌측가장자리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제 1 블럭좌측체결부(1347) 및 제 2 블럭좌측체결부(1348)와,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제 1 블럭우측체결부(1357), 제 2 블럭우측체결부(1358), 제 3 블럭우측체결부(135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블럭좌측체결부(1347), 제 2 블럭좌측체결부(1348)가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블럭우측체결부(1357), 제 2 블럭우측체결부(1358), 제 3 블럭우측체결부(1359)가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의 하단에 연결된다.
다이캐스팅 후에, 상기 제 1 블럭좌측체결부(1347), 제 2 블럭좌측체결부(1348), 제 1 블럭우측체결부(1357), 제 2 블럭우측체결부(1358) 및 제 3 블럭우측체결부(1359)에 홀가공 또는 나사가공이 실시되고, 미도시된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체결결합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 포켓그룹 및 후방 포켓그룹의 중간에 상기 제 1 블럭좌측체결부(1347) 및 제 2 블럭우측체결부(1358)가 배치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쿨링 파티션(360)의 좌측에 상기 제 2 블럭좌측체결부(1348)가 배치되고, 우측에 상기 제 3 블럭우측체결부(1359)가 배치된다.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블럭우측체결부(1357), 제 2 블럭우측체결부(1358), 제 3 블럭우측체결부(1359)가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블럭우측체결부(1357)가 상기 제 2 블럭우측체결부(1358)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블럭사이드채널(1340)은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에 1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블럭사이드채널(1350)은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에 1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블럭우측체결부(1357) 및 제 2 블럭우측체결부(1358) 사이에 상기 제 2 블럭사이드채널(1350)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블럭사이드채널(1340)이 상기 제 1 블럭좌측체결부(1347)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블럭사이드채널(1340)은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과 연결된 제 1 블럭사이드넥(1341)과, 상기 제 1 블럭사이드넥(1341)과 연결된 제 1 블럭사이드넥바디(1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블럭사이드넥(1341) 및 제 1 블럭사이드넥바디(1342)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블럭사이드넥바디(1342)가 상기 제 1 블럭사이드넥(1341)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블럭사이드넥바디(1342)의 볼륨이 상기 제 1 블럭사이드넥(1341)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블럭사이드채널(1350)은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과 연결된 제 2 블럭사이드넥(1351)과, 상기 제 2 블럭사이드넥(1351)과 연결된 제 2 블럭사이드넥바디(1352)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블럭사이드넥(1351) 및 제 2 블럭사이드넥바디(1352)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블럭사이드넥바디(1352)가 상기 제 2 블럭사이드넥(1351)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블럭사이드넥바디(1352)의 볼륨이 상기 제 2 블럭사이드넥(1351) 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과,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 및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이 상하 방향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쿨링 블럭(300)의 다이캐스팅 시 용탕 및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성형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쿨링 블럭(300)의 포켓(370)이 상하 방향으로 높이를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 및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를 통해 용탕 및 가스를 배출시킬 경우, 포켓공간을 갖는 각 포켓(370)의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 및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기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은, 제 1-1 블럭 리어채널(1361), 제 1-2 블럭 리어채널(1362), 제 1-3 블럭 리어채널(1363), 제 1-4 블럭 리어채널(1364) 및 제 1-5 블럭 리어채널(136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블럭 리어채널(1361), 제 1-2 블럭 리어채널(1362), 제 1-3 블럭 리어채널(1363), 제 1-4 블럭 리어채널(1364), 제 1-5 블럭 리어채널(1365)이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1 블럭 리어채널(1361), 제 1-2 블럭 리어채널(1362), 제 1-3 블럭 리어채널(1363), 제 1-4 블럭 리어채널(1364) 및 제 1-5 블럭 리어채널(1365)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상기 제 1-1 블럭 리어채널(1361), 제 1-2 블럭 리어채널(1362), 제 1-3 블럭 리어채널(1363), 제 1-4 블럭 리어채널(1364) 및 제 1-5 블럭 리어채널(1365)이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쿨링 블럭의 다이캐스팅 시 발생되는 가스 및 용탕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1 블럭 리어채널(1361)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과 연결된 제 1-1 블럭 리어넥(1361a)과, 상기 제 1-1 블럭 리어넥(1361a)과 연결된 제 1-1 블럭 리어넥바디(136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블럭 리어넥(1361a) 및 제 1-1 블럭 리어넥바디(1361b)의 하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1 블럭 리어넥바디(1361b)가 상기 제 1-1 블럭 리어넥(1361a) 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2 블럭 리어채널(1362)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과 연결된 제 1-2 블럭 리어넥(1362a)과, 상기 제 1-2 블럭 리어넥(1362a)과 연결된 제 1-2 블럭 리어넥바디(1362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2 블럭 리어넥(1362a) 및 제 1-2 블럭 리어넥바디(1362b)의 하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2 블럭 리어넥바디(1362b)가 상기 제 1-2 블럭 리어넥(1362a) 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3 블럭 리어채널(1363)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과 연결된 제 1-3 블럭 리어넥(1363a)과, 상기 제 1-3 블럭 리어넥(1363a)과 연결된 제 1-3 블럭 리어넥바디(1363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3 블럭 리어넥(1363a) 및 제 1-3 블럭 리어넥바디(1363b)의 하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3 블럭 리어넥바디(1363b)가 상기 제 1-3 블럭 리어넥(1363a) 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4 블럭 리어채널(1364)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과 연결된 제 1-4 블럭 리어넥(1364a)과, 상기 제 1-4 블럭 리어넥(1364a)과 연결된 제 1-4 블럭 리어넥바디(136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4 블럭 리어넥(1364a) 및 제 1-4 블럭 리어넥바디(1364b)의 하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4 블럭 리어넥바디(1364b)가 상기 제 1-4 블럭 리어넥(1364a) 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5 블럭 리어채널(1365)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과 연결된 제 1-5 블럭 리어넥(1365a)과, 상기 제 1-5 블럭 리어넥(1365a)과 연결된 제 1-5 블럭 리어넥바디(1365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5 블럭 리어넥(1365a) 및 제 1-5 블럭 리어넥바디(1365b)의 하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5 블럭 리어넥바디(1365b)가 상기 제 1-5 블럭 리어넥(1365a) 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1 블럭 리어넥(1361a), 제 1-2 블럭 리어넥(1362a), 제 1-3 블럭 리어넥(1363a), 제 1-4 블럭 리어넥(1364a) 및 제 1-5 블럭 리어넥(1365a)의 각 상측면이 상기 블럭 리어월(320)의 상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1 블럭 리어넥(1361a), 제 1-2 블럭 리어넥(1362a), 제 1-3 블럭 리어넥(1363a), 제 1-4 블럭 리어넥(1364a) 및 제 1-5 블럭 리어넥(1365a)의 각 후단이 높고, 전단이 낮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은 제 2-1 블럭 리어채널(1391), 제 2-2 블럭 리어채널(1392), 제 2-3 블럭 리어채널(1393), 제 2-4 블럭 리어채널(1394) 및 제 2-5 블럭 리어채널(1395)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블럭 리어채널(1391), 제 2-2 블럭 리어채널(1392), 제 2-3 블럭 리어채널(1393), 제 2-4 블럭 리어채널(1394) 및 제 2-5 블럭 리어채널(1395)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1 블럭 리어채널(1391), 제 2-2 블럭 리어채널(1392), 제 2-3 블럭 리어채널(1393), 제 2-4 블럭 리어채널(1394) 및 제 2-5 블럭 리어채널(1395)이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 보다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쿨링 블럭의 다이캐스팅 시 발생되는 가스 및 용탕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2-1 블럭 리어채널(1391)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과 연결된 제 2-1 블럭 리어넥(1391a)과, 상기 제 2-1 블럭 리어넥(1391a)과 연결된 제 2-1 블럭 리어넥바디(139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블럭 리어넥(1391a) 및 제 2-1 블럭 리어넥바디(1391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1 블럭 리어넥바디(1391b)가 상기 제 2-1 블럭 리어넥(1391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2 블럭 리어채널(1392)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과 연결된 제 2-2 블럭 리어넥(1392a)과, 상기 제 2-2 블럭 리어넥(1392a)과 연결된 제 2-2 블럭 리어넥바디(1392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2 블럭 리어넥(1392a) 및 제 2-2 블럭 리어넥바디(1392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2 블럭 리어넥바디(1392b)가 상기 제 2-2 블럭 리어넥(1392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3 블럭 리어채널(1393)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과 연결된 제 2-3 블럭 리어넥(1393a)과, 상기 제 2-3 블럭 리어넥(1393a)과 연결된 제 2-3 블럭 리어넥바디(1393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3 블럭 리어넥(1393a) 및 제 2-3 블럭 리어넥바디(1393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3 블럭 리어넥바디(1393b)가 상기 제 2-3 블럭 리어넥(1393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4 블럭 리어채널(1394)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과 연결된 제 2-4 블럭 리어넥(1394a)과, 상기 제 2-4 블럭 리어넥(1394a)과 연결된 제 2-4 블럭 리어넥바디(139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4 블럭 리어넥(1394a) 및 제 2-4 블럭 리어넥바디(1394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4 블럭 리어넥바디(1394b)가 상기 제 2-4 블럭 리어넥(1394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5 블럭 리어채널(1395)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과 연결된 제 2-5 블럭 리어넥(1395a)과, 상기 제 2-5 블럭 리어넥(1395a)과 연결된 제 2-5 블럭 리어넥바디(1395b)를 포함한다.
상기 제 2-5 블럭 리어넥(1395a) 및 제 2-5 블럭 리어넥바디(1395b)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5 블럭 리어넥바디(1395b)가 상기 제 2-5 블럭 리어넥(1395a)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1 블럭 리어넥(1391a), 제 2-2 블럭 리어넥(1392a), 제 2-3 블럭 리어넥(1393a), 제 2-4 블럭 리어넥(1394a) 및 제 2-5 블럭 리어넥(1395a)의 각 하측면이 상기 블럭 리어월(320)의 하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2-1 블럭 리어넥(1391a), 제 2-2 블럭 리어넥(1392a), 제 2-3 블럭 리어넥(1393a), 제 2-4 블럭 리어넥(1394a) 및 제 2-5 블럭 리어넥(1395a)의 각 후단이 낮고, 전단이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1 블럭 리어채널(1361) 및 제 2-1 블럭 리어채널(1291) 사이에 상기 제 1 쿨링 관통부(321)가 배치되고, 상기 제 1-3 블럭 리어채널(1363) 및 제 2-3 블럭 리어채널(1293) 사이에 상기 제 2 쿨링 관통부(32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블럭 배출채널(1370)은, 상기 제 1-1 블럭 리어채널(1361)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1 블럭 배출넥(1111)과, 상기 제 1-2 블럭 리어채널(1362)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2 블럭 배출넥(1112)과, 상기 제 2-1 블럭 리어채널(1391)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1 블럭 배출넥(1121)과, 상기 제 2-2 블럭 리어채널(1392)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2 블럭 배출넥(1122)과, 상기 제 1-1 블럭 배출넥(1111) 및 제 1-2 블럭 배출넥(1112)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어퍼블럭 리어넥(1371)과, 상기 제 2-1 블럭 배출넥(1121) 및 제 2-2 블럭 배출넥(1122)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로어블럭 리어넥(1372)과, 상기 제 1 어퍼블럭 리어넥(1371) 및 제 1 로어블럭 리어넥(1372)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1 수직블럭 리어넥(1373)과, 상기 제 1 수직블럭 리어넥(1373)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1-1 블럭사이드넥(1374)과, 상기 제 1-1 블럭사이드넥(1374)의 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2 블럭사이드넥(1375)과, 상기 제 1-2 블럭사이드넥(1375)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3 블럭사이드넥(1376)과, 상기 제 1-3 블럭사이드넥(1376)의 중간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4 블럭사이드넥(137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직블럭 리어넥(1373)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어퍼블럭 리어넥(1371)로 유동된 용탕을 상기 제 1 블럭사이드넥(1374)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용탕의 자중을 이용하여 유동을 월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1-1 블럭사이드넥(1374), 제 1-2 블럭사이드넥(1375), 제 1-3 블럭사이드넥(1376) 및 제 1-4 블럭사이드넥(1377)이 쿨링 블럭(300)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용탕의 자중을 이용하여 유동을 월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어퍼블럭 리어넥(1371), 제 1 로어블럭 리어넥(1372), 제 1 수직블럭 리어넥(1373), 제 1-1 블럭사이드넥(1374), 제 1-2 블럭사이드넥(1375), 제 1-3 블럭사이드넥(1376), 제 1-4 블럭사이드넥(1377)이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블럭 배출채널(1380)은, 상기 제 1-3 블럭 리어채널(1363)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3 블럭 배출넥(1113)과, 상기 제 1-4 블럭 리어채널(1364)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4 블럭 배출넥(1114)과, 상기 제 1-5 블럭 리어채널(1365)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5 블럭 배출넥(1115)과, 상기 제 2-3 블럭 리어채널(1393)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1 블럭 배출넥(1123)과, 상기 제 2-3 블럭 리어채널(1393)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3 블럭 배출넥(1123)과, 상기 제 2-5 블럭 리어채널(1365)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5 블럭 배출넥(1125)과, 상기 제 1-3 블럭 배출넥(1113), 제 1-4 블럭 배출넥(1114) 및 제 1-5 블럭 배출넥(115)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어퍼블럭 리어넥(1381)과, 상기 제 2-3 블럭 배출넥(1123), 제 2-4 블럭 배출넥(1124) 및 제 2-5 블럭 배출넥(1125)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로어블럭 리어넥(1382)과, 상기 제 2 어퍼블럭 리어넥(1381) 및 제 2 로어블럭 리어넥(1382)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 2 수직블럭 리어넥(1383)과, 상기 제 2 수직블럭 리어넥(1383)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2-1 블럭사이드넥(1384)과, 상기 제 2-1 블럭사이드넥(1384)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2 블럭사이드넥(1385)과, 상기 제 2-2 블럭사이드넥(1385)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2-3 블럭사이드넥(1386)과, 상기 제 2-3 블럭사이드넥(1386)의 중간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2-4 블럭사이드넥(1387)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직블럭 리어넥(1383)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어퍼블럭 리어넥(1381)로 유동된 용탕을 상기 제 2 블럭사이드넥(1384)으로 안내하기 때문에, 용탕의 자중을 이용하여 유동을 월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 2-1 블럭사이드넥(1384), 제 2-2 블럭사이드넥(1385), 제 2-3 블럭사이드넥(1386) 및 제 2-4 블럭사이드넥(1387)이 쿨링 블럭(300) 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용탕의 자중을 이용하여 유동을 월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는 상기 제 5 포켓(375)의 개구면에 밀착되어 제 5 포켓공간을 밀폐시키는 제 5 밀폐부(401)와, 상기 제 10 포켓(380)의 개구면에 밀착되어 제 10 포켓공간을 밀폐시키는 제 10 밀폐부(402)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바텀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에 따라 금형이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다이캐스팅하기 위한 다이캐스트구조는, 바텀 용탕공급부(1410)와, 상기 바텀 용탕공급부(14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키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바텀 프론트채널(1420)과, 상기 바텀 프론트채널(14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바텀 리어채널(1460)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바텀 사이드채널(1440)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바텀 사이드채널(1450)과, 복수개의 상기 바텀 리어채널(146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바텀 배출채널(1470)과, 복수개의 상기 바텀 리어채널(146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바텀 배출채널(1480)을 포함한다.
상기 바텀 용탕공급부(1410)가 상기 바텀 프론트채널(1420) 보다 높게 배치되고, 용탕의 자중을 통해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바텀 프론트채널(1420)은 좌측 및 우측으로 분기된다. 좌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제 1 바텀 프론트채널(1421)이라 하고, 우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제 2 바텀 프론트채널(1422)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바텀 프론트채널(1421) 및 제 2 바텀 프론트채널(1422)이 좌우 대칭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텀 플레이트 다이캐스트 구조는 제 1 바텀 프론트채널(1421) 및 바텀 플레이트(40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 1 바텀 연결채널과, 상기 제 2 바텀 프론트채널(1422) 및 바텀 플레이트(40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제 2 바텀 연결채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텀 연결채널 및 제 2 바텀 연결채널이 동수이다.
상기 제 1 바텀 연결채널에 2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바텀 연결채널에도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바텀 연결채널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 1-1 바텀 연결채널(1423a) 및 제 1-2 바텀 연결채널(1423b)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바텀 연결채널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제 2-1 바텀 연결채널(1424a) 및 제 2-2 바텀 연결채널(1424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2 바텀 연결채널(1423b) 및 제 2-2 바텀 연결채널(1424b)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1 바텀 연결채널(1423a) 및 제 2-1 바텀 연결채널(1424a)이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바텀 연결채널(1423a), 제 1-2 바텀 연결채널(1423b), 제 2-1 바텀 연결채널(1424a), 제 2-2 바텀 연결채널(1424b)이 각각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저면에 연결되어 용탕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제 1-1 바텀 연결채널(1423a), 제 1-2 바텀 연결채널(1423b)제 2-1 바텀 연결채널(1424a), 제 2-2 바텀 연결채널(1424b)의 각 끝단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진 끝단 부분이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접하게 배치된다.
다이캐스팅 후, 경화된 상기 제 1-1 바텀 연결채널(1423a), 제 1-2 바텀 연결채널(1423b), 제 2-1 바텀 연결채널(1424a), 제 2-2 바텀 연결채널(1424b)를 제거할 때,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모서리에서 분리가 용이하고, 이를 통해 가공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1 바텀 연결채널(1423a), 제 1-2 바텀 연결채널(1423b), 제 2-1 바텀 연결채널(1424a), 제 2-2 바텀 연결채널(1424b)의 각 끝단은 상측으로 하측으로 뾰족하게 경사진 부분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1 바텀 연결채널경사부, 제 1-2 바텀 연결채널경사부, 제 2-1 바텀 연결채널경사부, 제 2-2 바텀 연결채널경사부라 한다.
상기 제 1 바텀 사이드채널(1440)은 전후 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4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제 1 바텀 사이드채널(1440)은 제 1-1 바텀 사이드채널(1441), 제 1-2 바텀 사이드채널(1442), 제 1-3 바텀 사이드채널(1443) 및 제 1-4 바텀 사이드채널(144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바텀 사이드채널(1441), 제 1-2 바텀 사이드채널(1442) 및 제 1-4 바텀 사이드채널(1444)가 동일한 형상 및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1 바텀 사이드채널(1441)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1 바텀 사이드넥과, 상기 제 1-1 바텀 사이드넥과 연결된 제 1-1 바텀 사이드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바텀 사이드넥 및 제 1-1 바텀 사이드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1 바텀 사이드넥바디가 상기 제 1-1 바텀 사이드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2 바텀 사이드채널(1442)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2 바텀 사이드넥과, 상기 제 1-2 바텀 사이드넥과 연결된 제 1-2 바텀 사이드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2 바텀 사이드넥 및 제 1-2 바텀 사이드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2 바텀 사이드넥바디가 상기 제 1-2 바텀 사이드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3 바텀 사이드채널(1443)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3 바텀 사이드넥과, 상기 제 1-3 바텀 사이드넥과 연결된 제 1-3 바텀 사이드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3 바텀 사이드넥 및 제 1-3 바텀 사이드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3 바텀 사이드넥바디가 상기 제 1-3 바텀 사이드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4 바텀 사이드채널(1444)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4 바텀 사이드넥과, 상기 제 1-4 바텀 사이드넥과 연결된 제 1-4 바텀 사이드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4 바텀 사이드넥 및 제 1-4 바텀 사이드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4 바텀 사이드넥바디가 상기 제 1-4 바텀 사이드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 바텀 사이드채널(145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제 2-1 바텀 사이드채널(1451), 제 2-2 바텀 사이드채널(1452), 제 2-3 바텀 사이드채널(1453) 및 제 2-4 바텀 사이드채널(14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바텀 사이드채널(1451), 제 2-2 바텀 사이드채널(1452), 제 2-3 바텀 사이드채널(1453) 및 제 2-4 바텀 사이드채널(1454)이 동일한 형상 및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1 바텀 사이드채널(1451)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2-1 바텀 사이드넥과, 상기 제 2-1 바텀 사이드넥과 연결된 제 2-1 바텀 사이드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바텀 사이드넥 및 제 2-1 바텀 사이드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1 바텀 사이드넥바디가 상기 제 2-1 바텀 사이드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2 바텀 사이드채널(1452)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2-2 바텀 사이드넥과, 상기 제 2-2 바텀 사이드넥과 연결된 제 2-2 바텀 사이드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2-2 바텀 사이드넥 및 제 2-2 바텀 사이드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2 바텀 사이드넥바디가 상기 제 2-2 바텀 사이드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3 바텀 사이드채널(1453)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2-3 바텀 사이드넥과, 상기 제 2-3 바텀 사이드넥과 연결된 제 2-3 바텀 사이드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2-3 바텀 사이드넥 및 제 2-3 바텀 사이드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3 바텀 사이드넥바디가 상기 제 2-3 바텀 사이드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2-4 바텀 사이드채널(1454)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2-4 바텀 사이드넥과, 상기 제 2-4 바텀 사이드넥과 연결된 제 2-4 바텀 사이드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2-4 바텀 사이드넥 및 제 2-4 바텀 사이드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4 바텀 사이드넥바디가 상기 제 2-4 바텀 사이드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기 바텀 리어채널(1460)은 제 1-1 바텀 리어채널(1461), 제 1-2 바텀 리어채널(1462), 제 1-3 바텀 리어채널(1463), 제 1-4 바텀 리어채널(1464) 및 제 1-5 바텀 리어채널(146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바텀 리어채널(1461), 제 1-2 바텀 리어채널(1462), 제 1-3 바텀 리어채널(1463), 제 1-4 바텀 리어채널(1464), 제 1-5 바텀 리어채널(1465)이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1 바텀 리어채널(1461), 제 1-2 바텀 리어채널(1462), 제 1-3 바텀 리어채널(1463), 제 1-4 바텀 리어채널(1464) 및 제 1-5 바텀 리어채널(1465)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전방에서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바텀 리어채널(1461)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1 바텀 리어넥과, 상기 제 1-1 바텀 리어넥과 연결된 제 1-1 바텀 리어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바텀 리어넥 및 제 1-1 바텀 리어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1 바텀 리어넥바디가 상기 제 1-1 바텀 리어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2 바텀 리어채널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2 바텀 리어넥과, 상기 제 1-2 바텀 리어넥과 연결된 제 1-2 바텀 리어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2 바텀 리어넥 및 제 1-2 바텀 리어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2 바텀 리어넥바디가 상기 제 1-2 바텀 리어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3 바텀 리어채널(1463)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3 바텀 리어넥과, 상기 제 1-3 바텀 리어넥과 연결된 제 1-3 바텀 리어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3 바텀 리어넥 및 제 1-3 바텀 리어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3 바텀 리어넥바디가 상기 제 1-3 바텀 리어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4 바텀 리어채널(1464)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4 바텀 리어넥과, 상기 제 1-4 바텀 리어넥과 연결된 제 1-4 바텀 리어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4 바텀 리어넥 및 제 1-4 바텀 리어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4 바텀 리어넥바디가 상기 제 1-4 바텀 리어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5 바텀 리어채널(1465)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와 연결된 제 1-5 바텀 리어넥과, 상기 제 1-5 바텀 리어넥과 연결된 제 1-5 바텀 리어넥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제 1-5 바텀 리어넥 및 제 1-5 바텀 리어넥바디의 상측면이 연결되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5 바텀 리어넥바디가 상기 제 1-5 바텀 리어넥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바텀 배출채널(1470)이 제 1-1 바텀 리어채널(1461), 제 1-2 바텀 리어채널(1462), 제 1-3 바텀 리어채널(1463)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바텀 배출채널(1480)이 제 1-4 바텀 리어채널(1464) 및 제 1-5 바텀 리어채널(1465)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바텀 배출채널(1470)은 상기 제 1-1 바텀 리어채널(1461)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1 바텀 배출넥(1471)과, 상기 제 1-2 바텀 리어채널(1462)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2 바텀 배출넥(1472)과, 상기 제 1-3 바텀 리어채널(1463)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3 바텀 배출넥(1473)과, 상기 제 1-1 바텀 배출넥(1471), 제 1-2 바텀 배출넥(1472) 및 제 1-2 바텀 배출넥(1473)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바텀 리어넥(1475)과, 상기 제 1 바텀 리어넥(1475)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1-1 바텀 사이드넥(1476)과, 상기 제 1-1 바텀 사이드넥(1476)의 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2 바텀 사이드넥(1477)과, 상기 제 1-2 바텀 사이드넥(1477)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3 바텀 사이드넥(1478)과, 상기 제 1-3 바텀 사이드넥(1478)의 중간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4 바텀 사이드넥(1479)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바텀 배출넥(1471), 제 1-2 바텀 배출넥(1472), 제 1-3 바텀 배출넥(1473), 제 1 바텀 리어넥(1475), 제 1-1 바텀 사이드넥(1476), 제 1-2 바텀 사이드넥(1477), 제 1-3 바텀 사이드넥(1478) 및 제 1-4 바텀 사이드넥(1479)이 상기 제 1-1 바텀 리어넥(1461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 내부에 충분한 압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바텀 배출채널(1480)은 상기 제 1-4 바텀 리어채널(1464)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1 바텀 배출넥(1481)과, 상기 제 1-5 바텀 리어채널(1465)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2 바텀 배출넥(1482)과, 상기 제 2-1 바텀 배출넥(1481) 및 제 2-2 바텀 배출넥(1482)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바텀 리어넥(1485)과, 상기 제 2 바텀 리어넥(1485)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2-1 바텀 사이드넥(1486)과, 상기 제 2-1 바텀 사이드넥(1486)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2 바텀 사이드넥(1487)과, 상기 제 2-2 바텀 사이드넥(1487)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2-3 바텀 사이드넥(1488)과, 상기 제 2-3 바텀 사이드넥(1488)의 중간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4 바텀 사이드넥(1489)를 포함한다.
상기 제 2-1 바텀 배출넥(1481), 제 2-2 바텀 배출넥(1482), 제 2 바텀 리어넥(1485), 제 2-1 바텀 사이드넥(1486), 제 2-2 바텀 사이드넥(1487), 제 2-3 바텀 사이드넥(1488) 및 제 2-4 바텀 사이드넥(1489)이 상기 제 1-4 바텀 리어넥(1464a)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 내부에 충분한 압력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5에 도시된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 시뮬레이션 및 평가표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구조 시뮬레이션의 개선 구조에 대한 평가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쿨링 블럭 다이캐스트 구조를 도출하기 위해, 4가지 방법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먼저, 도 14 (a)는 블럭 프론트채널(1320)을 5개로 구성하고, 블럭 리어채널을 단층으로 구성한 결과이고, 도 14 (b)는 블럭 프론트채널(1320)을 5개로 구성하되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및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를 높이를 갖는 줄게이트를 구성하고, 블럭 리어채널을 단층으로 구성한 결과이고, 도 14 (c)는 블럭 프론트채널(1320)을 5개로 구성하고, 블럭 리어채널을 높낮이 차를 갖는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 및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로 구성한 결과이고, 도 14 (d)는 블럭 프론트채널(1320)을 1개로 구성하고, 블럭 리어채널을 높낮이 차를 갖는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 및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로 구성한 결과이다.
도 14의 평가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4 (c)에 해당하는 시뮬레이션 3의 결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5는 시뮬레이션 3 및 시뮬레이션 5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15 (b)는 시뮬레이션 3과 같이 블럭 프론트채널(1320)을 5개로 구성하고, 블럭 리어채널을 높낮이 차를 갖는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 및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로 구성하되,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및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의 폭을 축소한 결과이다.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및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의 폭을 축소할 경우, 미성형을 감소시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6은 시뮬레이션 3 및 시뮬레이션 5에 대한 비교결과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시뮬레이션 3 및 시뮬레이션 5의 필링시퀸스가 유사하고, 가스 잔량은 시뮬레이션 5가 유리하며, 가스 압력 또한 시뮬레이션 5가 유리하고, 수축은 시뮬레이션 3 및 시뮬레이션 5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트 구조는 상기 시뮬레이션 5를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케이스 200 : 탑 플레이트
300 : 쿨링 블럭 310 : 쿨링 프론트월
320 : 쿨링 리어월 330 : 제 1 쿨링 사이드월
340 : 제 2 쿨링 사이드월 350 : 쿨링 미들월
360 : 쿨링 파티션 370 : 포켓
390 : 브릿지 400 : 바텀 플레이트
1210 : 탑 용탕공급부 1220 : 탑 프론트채널
1240 : 제 1 탑 사이드채널 1250 : 제 2 탑 사이드채널
1260 : 탑 리어채널 1270 : 제 1 탑 배출채널
1280 : 제 2 탑 배출채널 1310 : 블럭 용탕공급부
1320 : 블럭 프론트채널 1340 : 제 1 블럭사이드채널
1350 : 제 2 블럭사이드채널 1360 : 블럭 리어채널
1370 : 제 1 블럭 배출채널 1380 : 제 2 블럭 배출채널
1410 : 바텀 용탕공급부 1420 : 바텀 프론트채널
1440 ; 제 1 바텀 사이드채널 1450 : 제 2 바텀 사이드채널
1460 : 바텀 리어채널 1470 : 제 1 바텀 배출채널
1480 : 제 2 바텀 배출채널

Claims (10)

  1. 전력분배유닛을 위한 케이스(100)는,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조립되는 쿨링 블럭(30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에 조립되는 바텀 플레이트(400)를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평평하게 형성된 탑 바디(25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준방 좌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1 융기부(21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2 융기부(220)와, 상기 탑 바디(250)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3 융기부(230)와,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4 융기부(240)를 포함하며,
    탑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는, 탑 용탕공급부(1210)와, 상기 탑 용탕공급부(12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키고, 상기 탑 바디(25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탑 프론트채널(1220)과, 상기 탑 프론트채널(12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탑 바디(25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탑 리어채널(1260)과, 상기 탑 바디(25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탑 사이드채널(1240)과, 상기 탑 바디(25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탑 바디(25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탑 사이드채널(1250)과, 복수개의 상기 탑 리어채널(126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탑 배출채널(1270)과, 복수개의 상기 탑 리어채널(126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탑 배출채널(1280)을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 프론트채널(1220)은,
    좌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제 1 탑 프론트채널(1221); 및 우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제 2 탑 프론트채널(122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 프론트채널(1221)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1-1 탑 연결채널(1223a), 제 1-2 탑 연결채널(1223b), 제 1-3 탑 연결채널(1223c)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탑 프론트채널(1222)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 2-1 탑 연결채널(1224a), 제 2-2 탑 연결채널(1224b), 제 2-3 탑 연결채널(1224c)을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 사이드채널(124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 및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탑 사이드채널(1241) 및 제 1-2 탑 사이드채널(1242)이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좌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 1-3 탑 사이드채널(1243) 및 제 1-4 탑 사이드채널(1244)가 상기 제 3 융기부(230)의 좌측과 연결된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탑 사이드채널(125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격된 제 2-1 탑 사이드채널(1251), 제 2-2 탑 사이드채널(1252), 제 2-3 탑 사이드채널(1253) 및 제 2-4 탑 사이드채널(1254)를 포함하고,
    상기 제 2-1 탑 사이드채널(1251) 및 제 2-2 탑 사이드채널(1252)이 상기 제 2 융기부(220)의 우측과 연결된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탑 리어채널(1260)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격된 제 1-1 탑 리어채널(1261), 제 1-2 탑 리어채널(1262), 제 1-3 탑 리어채널(1263), 제 1-4 탑 리어채널(1264) 및 제 1-5 탑 리어채널(126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 배출채널(1270)은
    상기 제 1-1 탑 리어채널(1261)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1 탑 배출넥(1271)과, 상기 제 1-2 탑 리어채널(1262)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2 탑 배출넥(1272)과, 상기 제 1-3 탑 리어채널(1263)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1-3 탑 배출넥(1273)과, 상기 제 1-1 탑 배출넥(1271), 제 1-2 탑 배출넥(1272) 및 제 1-2 탑 배출넥(1273)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탑 리어넥(1275)과, 상기 제 1 탑 리어넥(1275)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1-1 탑 사이드넥(1276)과, 상기 제 1-1 탑 사이드넥(1276)의 전단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2 탑 사이드넥(1277)과, 상기 제 1-2 탑 사이드넥(1277)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1-3 탑 사이드넥(1278)과, 상기 제 1-3 탑 사이드넥(1278)의 중간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제 1-4 탑 사이드넥(1279)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탑 배출채널(1280)은,
    상기 제 1-4 탑 리어채널(1264)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1 탑 배출넥(1281)과, 상기 제 1-5 탑 리어채널(1265)에 연결되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 제 2-2 탑 배출넥(1282)과, 상기 제 2-1 탑 배출넥(1281) 및 제 2-2 탑 배출넥(1282)과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탑 리어넥(1285)과, 상기 제 2 탑 리어넥(1285)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 2-1 탑 사이드넥(1286)과, 상기 제 2-1 탑 사이드넥(1286)의 전단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2 탑 사이드넥(1287)과, 상기 제 2-2 탑 사이드넥(1287)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제 2-3 탑 사이드넥(1288)과, 상기 제 2-3 탑 사이드넥(1288)의 중간에서 우측으로 연장된 제 2-4 탑 사이드넥(1289)를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6. 전력분배유닛을 위한 케이스(100)는,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조립되는 쿨링 블럭(30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에 조립되는 바텀 플레이트(400)를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평평하게 형성된 탑 바디(25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준방 좌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1 융기부(21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2 융기부(220)와, 상기 탑 바디(250)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3 융기부(230)와,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4 융기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쿨링 블럭(300)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쿨링 프론트월(31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쿨링 리어월(32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좌측을 연결하는 제 1 쿨링 사이드월(33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우측을 연결하는 제 2 쿨링 사이드월(340)과,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단이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에 연결되고, 우측단이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에 연결되는 쿨링 미들월(35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을 연결하고,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를 상측으로 개구된 제 1 미들공간(361)과 하측으로 개구된 제 2 미들공간(362)으로 구획하는 쿨링 파티션(36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프론트월(3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켓(370)과, 상기 복수개의 포켓(370)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브릿지(390)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미들공간(361)과 연결되는 제 1 쿨링 관통부(321)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미들공간(362)과 연결되는 제 2 쿨링 관통부(322);를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쿨링 블럭다이캐스트구조는,
    용탕이 공급되는 블럭 용탕공급부(1310)와, 상기 블럭 용탕공급부(13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키고, 상기 쿨링 블럭(30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럭 프론트채널(1320)과, 상기 블럭 프론트채널(13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럭 리어채널(1360)(139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블럭사이드채널(134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블럭사이드채널(1350)과, 복수개의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블럭 배출채널(1370)과, 복수개의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블럭 배출채널(1380)을 더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블럭 프론트채널(1320)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이 좌우 중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및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이 좌우 대칭이고, 상기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및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이 좌우 대칭이고,
    상기 제 1 블럭 연결채널(1321), 제 2 블럭 연결채널(1322), 제 3 블럭 연결채널(1323), 제 4 블럭 연결채널(1324), 제 5 블럭 연결채널(1325)이 각각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저면에 연결되어 용탕이 공급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블럭 리어채널(1360)(1390)은,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 1 블럭 리어채널(1360);
    상기 쿨링 리어월(32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 블럭 리어채널(1390);을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10. 전력분배유닛을 위한 케이스(100)는, 탑 플레이트(200)와, 상기 탑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와 조립되는 쿨링 블럭(300)과, 상기 쿨링 블럭(3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쿨링 블럭(300)에 조립되는 바텀 플레이트(400)를 포함하고,
    상기 탑 플레이트(200)는, 평평하게 형성된 탑 바디(25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준방 좌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1 융기부(210)와, 상기 탑 바디(250)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2 융기부(220)와, 상기 탑 바디(250)의 후방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3 융기부(230)와, 상기 제 1 융기부(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융기되는 제 4 융기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쿨링 블럭(300)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쿨링 프론트월(31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쿨링 리어월(32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좌측을 연결하는 제 1 쿨링 사이드월(330)과,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의 우측을 연결하는 제 2 쿨링 사이드월(340)과,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에 배치되고, 좌측단이 상기 제 1 쿨링 사이드월(330)에 연결되고, 우측단이 상기 제 2 쿨링 사이드월(340)에 연결되는 쿨링 미들월(35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을 연결하고,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리어월(320) 사이를 상측으로 개구된 제 1 미들공간(361)과 하측으로 개구된 제 2 미들공간(362)으로 구획하는 쿨링 파티션(360)과, 상기 쿨링 미들월(350) 및 쿨링 프론트월(3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포켓(370)과, 상기 복수개의 포켓(370)들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브릿지(390)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미들공간(361)과 연결되는 제 1 쿨링 관통부(321)와, 상기 쿨링 프론트월(3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2 미들공간(362)과 연결되는 제 2 쿨링 관통부(322);를 포함하고,
    바텀 플레이트 다이캐스트구조는,
    용탕이 공급되는 바텀 용탕공급부(1410)와, 상기 바텀 용탕공급부(1410)에서 다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키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바텀 프론트채널(1420)과, 상기 바텀 프론트채널(1420)과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후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바텀 리어채널(1460)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좌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1 바텀 사이드채널(1440)과,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의 우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400)를 형성시킨 후 남는 용탕이 배출되는 복수개의 제 2 바텀 사이드채널(1450)과, 복수개의 상기 바텀 리어채널(1460) 중 일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1 바텀 배출채널(1470)과, 복수개의 상기 바텀 리어채널(1460)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남는 용탕이 배치되는 제 2 바텀 배출채널(1480)을 포함하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KR1020230169934A 2023-04-19 2023-11-29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KR20230169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51492 2023-04-19
KR1020230051492 2023-04-19
KR1020230052014 2023-04-20
KR20230052014 2023-04-20
KR1020230054054A KR102609606B1 (ko) 2023-04-19 2023-04-25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054A Division KR102609606B1 (ko) 2023-04-19 2023-04-25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893A true KR20230169893A (ko) 2023-12-18

Family

ID=8915697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054A KR102609606B1 (ko) 2023-04-19 2023-04-25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KR1020230169929A KR20230169891A (ko) 2023-04-19 2023-11-29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KR1020230169934A KR20230169893A (ko) 2023-04-19 2023-11-29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054A KR102609606B1 (ko) 2023-04-19 2023-04-25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KR1020230169929A KR20230169891A (ko) 2023-04-19 2023-11-29 성형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096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260B1 (ko) 2019-06-26 2020-03-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차의 급속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270373B1 (ko) 2019-05-28 2021-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제어장치
KR20220067472A (ko)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버스바 분산 전력감지모듈이 내장된 전기차 전력분배장치
KR20230040085A (ko) 2021-09-15 2023-03-22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전기차 전력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6720A (ko) * 2015-12-04 2017-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부품용 케이스의 다이캐스팅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부품용 케이스의 다이캐스팅 제조방법
KR101627802B1 (ko) * 2015-12-14 2016-06-07 대림정밀공업(주) 다이캐스팅용 금형
KR20190051105A (ko) * 2017-11-06 2019-05-15 동양산업주식회사 다이캐스팅을 이용한 클러치 하우징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02862B1 (ko) * 2017-12-13 2019-07-23 주식회사 세광정밀 다이캐스팅 일체형 수냉식 배터리팩 냉각장치의 제조방법
KR102139572B1 (ko) * 2020-02-04 2020-07-30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전기차 전력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373B1 (ko) 2019-05-28 2021-06-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차의 완속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제어장치
KR102095260B1 (ko) 2019-06-26 2020-03-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차의 급속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충전 제어장치 및 방법
KR20220067472A (ko) 2020-11-17 2022-05-24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버스바 분산 전력감지모듈이 내장된 전기차 전력분배장치
KR20230040085A (ko) 2021-09-15 2023-03-22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전기차 전력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891A (ko) 2023-12-18
KR102609606B1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2683B2 (en) Traction battery thermal plate with longitudinal channel configuration
US10186737B2 (en) Traction battery integrated thermal plate and tray
CN103797610B (zh) 具有新型冷却结构的电池组
US9786969B2 (en) Magnetically controlled traction battery thermal plate
CN105390771B (zh) 具有热装置的牵引电池组件
JP2019006395A (ja) 車載用バッテリー
CN109478611A (zh) 电池子模块载体、电池子模块、电池系统和汽车
KR100948003B1 (ko) 우수한 냉각 효율성의 중대형 전지팩
EP2187473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box holding battery module and railway vehicle equipped with battery box
US943785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battery arrangement and modular system
CN107946689A (zh) 具有外部热管理系统的电池系统
US9368845B2 (en) Traction battery thermal plate with multi pass channel configuration
CN104868183A (zh) 牵引电池热系统
CN102511091A (zh) 具有带有热管理部件的电池单元托盘的电池模块
JP2016134244A (ja) 車載用バッテリー
CN101589490A (zh) 包括机械及热调节系统的电池
CN104868197B (zh) 车辆
CN102544621B (zh) 车辆用蓄电池的冷却结构
JP2011100619A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防水ケース
US20190225110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cooling a traction battery of a vehicle using fuel
JP6757222B2 (ja) 電池パック
KR20240043732A (ko) 배터리 통합냉각장치
KR102609606B1 (ko) 전력분배유닛 케이스를 위한 다이캐스트 구조
CN105390634B (zh) 用于牵引电池总成的倾斜的电池单元结构的支撑结构
KR102074542B1 (ko) 전해질 혼합 장치를 갖는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