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802B1 - 다이캐스팅용 금형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용 금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7802B1 KR101627802B1 KR1020150178621A KR20150178621A KR101627802B1 KR 101627802 B1 KR101627802 B1 KR 101627802B1 KR 1020150178621 A KR1020150178621 A KR 1020150178621A KR 20150178621 A KR20150178621 A KR 20150178621A KR 101627802 B1 KR101627802 B1 KR 101627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vity
- mold
- molten metal
- runner
- di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97 Zn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5 investment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35 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hydride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76—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22D17/2272—Sprue 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탕이 고압으로 금형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용탕이 캐비티로 주입 전 용탕이 갖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충격감소수단을 런너에 구비하여 구비하여 금형에 작용하는 용탕충격을 감소시켜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금형에 용탕이 오버플로우되는 적절한 위치 선정을 통해 다이캐스팅된 제품의 버(burr) 제거를 위한 별도의 사상 작업이 필요없는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호간의 밀착면 사이에 주조제품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고정측 금형 및 가동측 금형과; 용탕을 상기 캐비티 내로 주입하기 위한 런너 및 게이트와; 상기 캐비티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벤트부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와 연통되는 출구측에 용탕이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로 진입되기 전 용탕이 갖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충격감소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호간의 밀착면 사이에 주조제품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고정측 금형 및 가동측 금형과; 용탕을 상기 캐비티 내로 주입하기 위한 런너 및 게이트와; 상기 캐비티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벤트부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와 연통되는 출구측에 용탕이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로 진입되기 전 용탕이 갖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충격감소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탕이 고압으로 금형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용탕이 캐비티로 주입 전 용탕이 갖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충격감소수단을 런너에 구비하여 금형에 작용하는 용탕충격을 감소시켜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금형에 용탕이 오버플로우되는 적절한 위치 선정을 통해 다이캐스팅된 제품의 버(burr) 제거를 위한 별도의 사상 작업이 필요없는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조란 금속을 금형에 주입한 후 응고시켜 소정의 형태로 만드는 공정을 말하며, 이러한 공정을 거쳐 성형된 제품을 주물이라 한다.
이러한 주조기술은 금속소재 가공기술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금속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다이캐스팅은 다이 주조라고도 하는데, 필요한 주조형상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기계가공된 강제(鋼製)의 금형(金型)에 용융금속(熔融金屬)을 주입하여 금형과 똑같은 주물을 얻는 정밀주조법이고, 그 제품을 다이캐스트 주물이라고 한다.
치수가 정확하므로 다듬질할 필요가 거의 없는 장점 외에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용되는 금속은 아연, 알루미늄, 주석, 구리, 마그네슘 등의 합금이며, 다이캐스트 주조기를 사용하여 공기압, 수압, 유압 등에 의해 주입하여 냉각 응고시킨다.
제품으로는 자동차부품이 많으며, 전기기기, 광학기기, 차량, 방직기, 건축, 계측기의 부품 등이 있다.
이러한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대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537493호(공고일자: 2005.12.19.)에는 "가압식 다이캐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이캐스팅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통상의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부측에 설치 고정되고 용탕이 주입되기 위한 용탕 주입구가 형성된 상부금형, 상부금형의 하부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의 하부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금형의 하부면을 밀폐시키는 금형덮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부금형과 금형덮개는 플런저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금형덮개는 하부금형이 그 내부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하부금형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고압의 용탕이 금형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금형에 강한 압력으로 충돌하게 되고, 이러한 용탕충격에 의해 금형이 변형 및 파손됨으로써 금형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가스를 배출할 목적으로 형성되는 오버플로우가 통상 제품의 외곽에 설치되어 다이캐스팅 후 볼트홀 가공, 언더컷부 가공 등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후가공 이외에도 오버플로우로 인해 발생된 버(burr)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사상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탕이 고압으로 금형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금형에 작용하는 용탕충격을 감소시켜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이캐스팅용 금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이캐스팅된 제품의 오버플로우로 인해 발생된 버(burr) 제거를 위한 별도의 사상 작업이 필요없는 다이캐스팅용 금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호간의 밀착면 사이에 주조제품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고정측 금형 및 가동측 금형과; 용탕을 상기 캐비티 내로 주입하기 위한 런너 및 게이트와; 상기 캐비티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벤트부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와 연통되는 출구측에 용탕이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로 진입되기 전 용탕이 갖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충격감소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기 충격감소수단은 상기 런너의 내측에서 상기 용탕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런너의 내부 단면적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형성된 스로틀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기 충격감소수단은 상기 런너의 내측에서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용탕의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유도경사면이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용탕충돌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기 주조제품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경사측벽을 갖는 제품이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주조제품의 경사측벽에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상기 게이트는, 상기 런너의 출구와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를 상호 연결하되, 용탕이 상기 캐비티의 경사부를 따라 흘러 들어가도록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기 벤트부는,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어 상기 캐비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용탕이 유입되는 칠벤트런너 및 오버플로우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캐비티와 상기 칠벤트런너 및 상기 오버플로우로의 연결부는 상기 주조제품의 다이캐스팅 후 절삭가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후가공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가공부가 절삭가공되는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된 용탕에 의해 형성된 버(burr)가 후가공과 동시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기 후가공부는 일정 직경의 홀가공이 요구되는 상기 주조제품의 원형홀 내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상기 후가공부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절삭가공이 요구되는 상기 주조제품의 언더컷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용탕이 고압으로 금형의 캐비티 내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용탕이 캐비티로 주입 전 용탕이 갖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충격감소수단을 런너에 구비하여 금형에 작용하는 용탕충격을 감소시켜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용탕이 오버플로우되는 위치를 후가공이 요구되는 위치로 선정하여 다이캐스팅된 제품의 버(burr) 제거를 위한 별도의 사상 작업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금형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런너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너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이캐스팅된 주조제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이캐스팅된 주조제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금형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런너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런너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이캐스팅된 주조제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이캐스팅된 주조제품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금형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금형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런너의 주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고정측 금형(10)과, 가동측 금형(20)과, 런너(30)와, 게이트(40)와, 벤트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이캐스팅으로 성형되는 주조제품(60)은 테두리(61)와, 상기 테두리(61)에서 하부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경사측벽(62)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을 예로 들었다.
상기 고정측 금형(10)은 상기 가동측 금형(20)과 더불어 주조제품의 형상 성형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측 몰드베이스(11)의 요부에 주조제품의 형상에 대응되게 볼록한 고정측 코어(12)가 고정되고, 상기 고정측 코어(12)의 일측으로 벤트부(50)의 일구성인 고정측 칠벤트(52)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측 금형(10)에는 정류코어(23)가 삽입되기 위한 슬리브(13), 캐비티 중심핀(14), 캐비티 외곽핀(15) 및 특정 부위에 가스몰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빼기핀(16) 등이 구비되는데 상기의 구성은 다이캐스팅용 금형 분야에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동측 금형(20)은 상기 고정측 금형(10)과의 밀착면 사이에 주조제품 형상의 캐비티(C)를 갖는 구성으로 가동측 몰드베이스(21)의 요부에 주조제품의 형상에 대응되게 함돌된 가동측 코어(22)가 고정되고, 상기 가동측 코어(22)의 일측으로 벤트부(50)의 일구성인 칠벤트런너(51)가 형성되며, 상기 칠벤트런너(51)의 단부에 가동측 칠벤트(53)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가동측 금형(20)에는 정류코어(23), 코어중심핀(24), 코어외곽핀(25) 및 밀핀(미도시) 등이 구비되는데 상기의 구성은 다이캐스팅용 금형 분야에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런너(30)는 탕구를 통해 유입된 용탕의 이동통로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티(C)의 주입구(C1)와 연통되는 출구측에 용탕이 상기 캐비티(C)의 주입구(C1)로 진입되기 전 용탕이 갖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충격감소수단(31)이 구비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소수단(31)으로서 상기 런너(30)의 내측에서 상기 용탕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런너(30)의 내부 단면적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형성된 스로틀바디(311)를 도시하였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감소수단(31)으로서 상기 런너(30)의 내측에서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용탕의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유도경사면이 형성된 2개의 용탕충돌돌기(312, 312a, 312b)를 도시하였다.
상기 스로틀바디(311) 및 상기 용탕충돌돌기(312)는 용탕이 상기 캐비티(C)로 진입되기 전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고 용탕의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함으로써 용탕이 갖는 충격량이 감소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고정측 코어(12)에 작용하는 용탕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캐스팅용 금형의 주요부 측단면도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런너(30)의 내부로 흐르는 용탕이 상기 충격감소수단(31)을 거쳐 용탕충격이 감소된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40)를 통해 캐비티(C)의 주입구(C1)로부터 상기 주조제품의 경사측벽(62)에 대응되는 상기 캐비티(C)의 경사부를 따라 흘러 들어가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상기 게이트(40)는 상기 런너(30)의 출구와 상기 캐비티(C)의 주입구(C1)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티(C)의 주입구(C1)가 상기 캐비티(C)의 경사부 상단에 위치되고 용탕이 상기 경사부를 따라 흘러 들어가도록 상기 캐비티(C)의 주입구(C1)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40)의 타입은 패드 게이트(Pad gate) 타입, 사이드 게이트(Side gate) 타입, 엔드 게이트(End gate) 타입, 스쿠프 게이트(Scoop gate) 타입, 스플릿 게이트(Split gate) 타입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40)를 사이드 게이트 타입으로 채택하였을 경우 상기 고정측 코어(12)에 용탕이 바로 충돌하여 금형에 소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게이트(40)가 상기 캐비티(C)의 주입구(C1) 상부를 커버하는 엔드 게이트 타입으로 형성되는데, 그로 인해 용탕이 상기 캐비티(C)의 경사부를 따라 흘러 들어가게 되어 용탕이 상기 고정측 코어(12)에 직접 충돌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금형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벤트부(50)는 상기 캐비티(C)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벤트부(50)의 구성으로 상기 캐비티(C)의 출구(C2)와 연통되어 상기 캐비티(C)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용탕이 유입되도록 상기 가동측 금형(20)에 형성된 칠벤트런너(51)와, 상기 칠벤트런너(51)의 단부에 상하 설치된 고정측 칠벤트(52) 및 가동측 칠벤트(53)를 설치하여 두 블록(block) 사이에 0.5~1.2mm 정도의 간격을 두어 가스빼기를 하거나, 진공펌프(미도시)를 이용하여 가스빼기를 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상기 벤트부(50)의 다른 구성으로 상기 주조제품(60)의 특정 위치에 상기 캐비티(C)와 연통되어 상기 캐비티(C)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용탕이 유입되는 오버플로우로(54)를 형성하여 가스빼기를 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캐비티(C)와 상기 칠벤트런너(51) 및 상기 오버플로우로(54)의 연결부는 상기 주조제품(60)의 다이캐스팅 후 절삭가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후가공부(6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가공부(63)로서 상기 칠벤트런너(51)가 연결되는 연결부(631)는 상기 게이트(40)가 연결된 반대방향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가공부(63)로서 상기 오버플로우로(54)가 연결되는 연결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직경의 홀가공이 요구되는 상기 주조제품(60)의 볼트홀 등과 같은 원형홀(632) 내측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후가공부(63)로서 상기 오버플로우로(54)가 연결되는 연결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만으로는 성형이 불가능하고 내측으로 일정 깊이 절삭가공이 요구되는 상기 주조제품(60)의 내측베어링 접합부 등과 같은 언더컷부(633)일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후가공부(63)는 공차가 적용되는 부분으로서 후가공이 요구되는 부분일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후가공부(63)가 후가공에 의해 절삭가공되는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된 용탕에 의해 형성된 버(burr)가 후가공과 동시에 제거됨으로써 별도의 사상작업이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다이캐스팅용 금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 캐비티
10 고정측 금형
11 고정측 몰드베이스
12 고정측 코어
20 가동측 금형
21 가동측 몰드베이스
22 가동측 코어
30 런너
31 충격감소수단
311 스로틀바디
312 용탕충돌돌기
40 게이트
50 벤트부
51 칠벤트런너
54 오버플로우로
60 주조제품
61 테두리
62 경사측벽
63 후가공부
10 고정측 금형
11 고정측 몰드베이스
12 고정측 코어
20 가동측 금형
21 가동측 몰드베이스
22 가동측 코어
30 런너
31 충격감소수단
311 스로틀바디
312 용탕충돌돌기
40 게이트
50 벤트부
51 칠벤트런너
54 오버플로우로
60 주조제품
61 테두리
62 경사측벽
63 후가공부
Claims (7)
- 상호간의 밀착면 사이에 주조제품 형상의 캐비티를 갖는 고정측 금형 및 가동측 금형과; 용탕을 상기 캐비티 내로 주입하기 위한 런너 및 게이트와; 상기 캐비티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벤트부를; 포함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 런너는,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와 연통되는 출구측에 용탕이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로 진입되기 전 용탕이 갖는 충격량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용탕의 흐름을 변화시키는 충격감소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충격감소수단은 상기 런너의 내측에서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용탕의 유동방향에 대해 경사진 유도경사면이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용탕충돌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제품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경사측벽을 갖는 제품이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주조제품의 경사측벽에 대응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위치되며,
상기 게이트는, 상기 런너의 출구와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를 상호 연결하되, 용탕이 상기 캐비티의 경사부를 따라 흘러 들어가도록 상기 캐비티의 주입구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 -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부는,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어 상기 캐비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용탕이 유입되는 칠벤트런너 및 오버플로우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캐비티와 상기 칠벤트런너 및 상기 오버플로우로의 연결부는 상기 주조제품의 다이캐스팅 후 절삭가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후가공부에 배치되어 상기 후가공부가 절삭가공되는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된 용탕에 의해 형성된 버(burr)가 후가공과 동시에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부는 일정 직경의 홀가공이 요구되는 상기 주조제품의 원형홀 내측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부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 절삭가공이 요구되는 상기 주조제품의 언더컷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용 금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8621A KR101627802B1 (ko) | 2015-12-14 | 2015-12-14 | 다이캐스팅용 금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8621A KR101627802B1 (ko) | 2015-12-14 | 2015-12-14 | 다이캐스팅용 금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7802B1 true KR101627802B1 (ko) | 2016-06-07 |
Family
ID=5619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8621A KR101627802B1 (ko) | 2015-12-14 | 2015-12-14 | 다이캐스팅용 금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80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7257B1 (ko) * | 2019-05-10 | 2019-10-28 | 이주성 | 진공 다이캐스팅 장치 |
KR102027000B1 (ko) | 2019-07-23 | 2019-11-14 | 장세현 | 다이 캐스팅 금형 및 이의 제작 방법 |
CN113165050A (zh) * | 2018-09-19 | 2021-07-23 |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 螺旋的生产、用于螺旋的永久模具和螺旋 |
KR20220021578A (ko) * | 2020-08-14 | 2022-02-22 | 이명숙 | 흡기 매니폴드 제조용 다이캐스트 금형 |
CN115258019A (zh) * | 2022-09-28 | 2022-11-01 | 宁波百易东和汽车部件有限公司 | 一种铝制车架及其成型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90699A (ko) * | 2003-10-01 | 2006-08-14 | 캐스트 센터 피티와이. 엘티디. | 캐스팅 주형용 벤트 어셈블리 |
KR101061947B1 (ko) * | 2009-04-06 | 2011-09-05 | 정태중 | 다이캐스팅 금형 장치 |
KR101242058B1 (ko) * | 2010-04-02 | 2013-03-11 | 홍기원 | 다이캐스팅금형장치 |
JP2013184165A (ja) * | 2012-03-05 | 2013-09-19 | Direct 21 Corp | ダイカスト装置 |
-
2015
- 2015-12-14 KR KR1020150178621A patent/KR1016278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90699A (ko) * | 2003-10-01 | 2006-08-14 | 캐스트 센터 피티와이. 엘티디. | 캐스팅 주형용 벤트 어셈블리 |
KR101061947B1 (ko) * | 2009-04-06 | 2011-09-05 | 정태중 | 다이캐스팅 금형 장치 |
KR101242058B1 (ko) * | 2010-04-02 | 2013-03-11 | 홍기원 | 다이캐스팅금형장치 |
JP2013184165A (ja) * | 2012-03-05 | 2013-09-19 | Direct 21 Corp | ダイカスト装置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65050A (zh) * | 2018-09-19 | 2021-07-23 | 弗劳恩霍夫应用研究促进协会 | 螺旋的生产、用于螺旋的永久模具和螺旋 |
KR102037257B1 (ko) * | 2019-05-10 | 2019-10-28 | 이주성 | 진공 다이캐스팅 장치 |
KR102027000B1 (ko) | 2019-07-23 | 2019-11-14 | 장세현 | 다이 캐스팅 금형 및 이의 제작 방법 |
KR20220021578A (ko) * | 2020-08-14 | 2022-02-22 | 이명숙 | 흡기 매니폴드 제조용 다이캐스트 금형 |
KR102405213B1 (ko) | 2020-08-14 | 2022-06-07 | 이명숙 | 흡기 매니폴드 제조용 다이캐스트 금형 |
CN115258019A (zh) * | 2022-09-28 | 2022-11-01 | 宁波百易东和汽车部件有限公司 | 一种铝制车架及其成型设备 |
CN115258019B (zh) * | 2022-09-28 | 2022-12-27 | 宁波百易东和汽车部件有限公司 | 一种铝制车架及其成型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7802B1 (ko) | 다이캐스팅용 금형 | |
CN101497117B (zh) | 模具和制造铸造制品的方法 | |
KR20090088864A (ko) | 몰드 | |
KR102135398B1 (ko) | 조향 모터 하우징 커버 제작용 다이캐스팅 금형의 게이트 구조 | |
US797162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e casting of parts | |
KR20200052931A (ko) | 차량 바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캐스팅 몰드 및 장치 | |
CN104936721B (zh) | 具有冒口的功能性连接的、用于制造铸件,特别是气缸体和气缸盖的方法和铸模 | |
KR101039315B1 (ko) | 고진공 다이캐스팅용 금형장치 | |
US8997834B2 (en) | Method for producing of hollow die cast products | |
JP4876684B2 (ja) | 射出成形用金型 | |
JP2005334909A (ja) | ダイキャスト方法 | |
KR101393614B1 (ko) | 사출성형 금형장치 | |
KR101016614B1 (ko) | 단조금형의 이젝팅 장치 | |
JP4637609B2 (ja) | チルベント入れ子 | |
JP4773555B2 (ja) | ダイキャスト成形型 | |
KR100437693B1 (ko) | 알루미늄 차륜의 다이 캐스팅 성형장치 | |
CN203737979U (zh) | 一种用于加工汽车减震系统部件的模具结构 | |
KR20130102818A (ko) | 런너형성부를 구비한 다이캐스팅금형장치 | |
CN216461578U (zh) | 汽车涡轮增压器壳体零件用浇注机 | |
CN104249141B (zh) | 铸造零件及铸造零件的制造方法 | |
KR102396175B1 (ko) | 슬라이드 코어와 코어 홀더 사이의 이형제 및 냉각수 배출이 가능한 다이캐스팅 가동금형 | |
CN203737928U (zh) | 一种用于同时加工多个汽车减震系统部件的模具结构 | |
CN215619693U (zh) | 瓶盖注塑模具 | |
US9278388B2 (en) |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of a thin-walled article in metal | |
KR102099854B1 (ko) | 다이캐스팅 주조의 밸브 가이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