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628A -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628A
KR20230169628A KR1020220070004A KR20220070004A KR20230169628A KR 20230169628 A KR20230169628 A KR 20230169628A KR 1020220070004 A KR1020220070004 A KR 1020220070004A KR 20220070004 A KR20220070004 A KR 20220070004A KR 20230169628 A KR20230169628 A KR 20230169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re
sprinkler head
guid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선우
Original Assignee
장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선우 filed Critical 장선우
Priority to KR102022007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9628A/ko
Publication of KR2023016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미세한 소방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작동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는 급수배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중앙으로 소방수가 통과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프레임과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화재 시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상단부가 결린 상태에서 소방수가 퍼지도록 안내하는 디플렉터;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리테이너 링이 걸려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는 감열체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하강하게 되는 상하부 커플링; 상기 디플렉터의 중앙에 형성된 홈 부분에 일부가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도록 안내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디플렉터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커플링을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 링 부근에서 소방수가 미세하게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Sprinkler head to prevent micro-flow of fire water}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한 소방수의 흐름을 차단하여 작동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기 소화의 이점으로 고층 빌딩, 고층 아파트, 극장, 백화점 등은 소방법으로 스프링클러(SPRINKLER)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에 대한 기본적인 요건은 한국 산업규격(KS) 규격번호 KSBISO6182-1내지 10으로 규정되어 있다.
스프링클러는 감열체의 형태, 살수분포 형태, 설치위치, 감도특성 및 특수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열을 감지하는 감열체가 조립되어 있고, 이 감열체가 미리 정해진 온도에서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방수구(오리피스)가 개방되어 설계영역의 전체에 구체화된 분무형태와 일정한 양의 물을 자동으로 방출하도록 설계된다.
아울러, 스프링클러 설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배관이음쇠를 통하여 급수배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데, 천장 위에 형성된 공간의 높이가 구조물마다 각기 다르기 때문에 상, 하 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스프링클러 헤드는, 도 1을 참고하면, (a)는 작동 전을 (b)는 작동 후를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스프링클러 헤드는 급수배관에 배관이음쇠를 통하여 연결되는 몸체를 포함한다. 몸체에는 다른 부품들이 지지될 수 있도록 프레임이 조립되어 있다. 몸체와 프레임 사이에는 디플렉터가 조립되어 있고, 디플렉터는 화재 시, 디스크 스프링 타입의 시트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단부가 프레임 하단부에 걸린 상태로 소방수가 퍼져 화재를 진압하도록 안내한다. 프레임 하단부에는 디플렉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부 커플링이 리테이너 링을 매개로 조립되어 있고, 상하부 커플링의 하부에는 중간에 퓨즈가 설치된 감열체가 설치되고, 중앙에는 록킹 스크류가 상하부 커플링에 조립되어 있다.
이때, 감열체에 전달된 열이 퓨즈에 전달되어 퓨즈가 녹으면서 상부 커플링과 하부 커플링 사이에 있는 리테이닝 링이 벌어지면서 감열체가 낙하되면서 소방수가 분출되는 구조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스프링클러 헤드는 감열체 작동 시 미세하게 흐르는 소방수가 감열체에 묻어 퓨즈에 전달될 열을 빼앗아 퓨즈가 녹는(용융)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열전달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화재 진압이 되지 않아 대형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22-0021230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부에서 감열체를 강하게 밀어 내도록 구성되어 미세하게 흐를 수 있는 소방수가 감열체에 묻어 퓨즈의 녹는 시간을 지연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는, 급수배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중앙으로 소방수가 통과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프레임과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화재 시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상단부가 결린 상태에서 소방수가 퍼지도록 안내하는 디플렉터;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리테이너 링이 걸려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는 감열체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하강하게 되는 상하부 커플링; 상기 디플렉터의 중앙에 형성된 홈 부분에 일부가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도록 안내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디플렉터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커플링을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 링 부근에서 소방수가 미세하게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는 돔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는 상부의 제1 직경부와 하부의 제2 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경부보다 상기 제2 직경부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은 링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의 내측면은 상기 상하부 커플링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디플렉터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은 단면이 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은 고무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는, 가이드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서 탄성수단이 상하부 커플링과 리테니어링을 미는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미세한 소방수가 감열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클러 헤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일부 구성요소인 가이드와 탄성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일부 구성요소인 가이드와 탄성수단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10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몸체(101), 프레임(102), 디플렉터(106), 상하부 커플링(107, 109), 가이드(104), 탄성수단(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1)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급수배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중앙으로 소방수가 통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1)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급수배관에 배관이음쇠 등의 연결구를 통하여 연결되고,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수를 제공받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01)의 상단부 외면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이하 부분에는 일부분이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에 프레임(102)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에 따라 몸체(101)와 프레임(102)이 조립된 부분은 이중관을 구성하게 된다. 물론 프레임(102)도 원통형 형태로 이루어져 중앙으로 소방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디플렉터(106)는,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몸체(101)에 나사 결합되는 프레임(102)과 몸체(101) 사이에 배치되고, 화재 시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102)의 하단에 상단부가 결린 상태에서 소방수가 퍼지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디플렉터(106)의 상단에는 서포트 링이 조립되어 있고, 서포트 링에 의해 디플렉터(106)는 하강한 다음 프레임(102)의 하단부의 턱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디플렉터(106)는 소방수가 중앙 하측 방향으로만 분출되지 않고 사방으로 퍼져 분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디플렉터(106)의 하부 내측과 몸체(101)의 하단부 사이에는 디스크 스프링 형태의 시트(103)가 설치되어 상하부 커플링(107, 109)이 제거되면 디플렉터(106)가 하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디플렉터(106)의 하부 중앙에는 소방수가 부딪혀 측면 쪽으로 향하여 분출될 수 있도록 터닝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터닝부는 하부에서 볼 경우에는 중앙에 홈(106a)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커플링(107, 109)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프레임(102)의 하단부에 리테이너 링(108)이 걸려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는 감열체(111, 112)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 커플링(107, 109)은 상부 커플링(107)과 하부 커플링(109)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 커플링(107)과 하부 커플링(109)의 단부 사이에 도 4의 (a)와 같이 리테이너 링(108)이 위치하게 되고, 리테이너 링(108)은 프레임(102)의 단부에 형성된 홈에 걸려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하부 커플링(107, 109)은 프레임(102)에 매달려 지지되는 상태이다.
이때, 상기 상부 커플링(107)의 하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내측으로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그 부분에는 록킹 스크류(11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플링(109)은 하단부는 록킹 스크류(110)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감열체(111, 112)에 열이 전달되어 퓨즈(113)가 녹게 되면 상하부 커플링(107, 109)과 리테이너 링(108)이 프레임(102)의 하단부로부터 이탈되어 떨어지게 되고, 디플렉터(106)가 하강함과 동시에 소방수가 사방으로 분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104)는,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디플렉터(106)의 중앙에 형성된 홈(106a) 부분에 일부가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104)는 후술하는 탄성수단(115)이 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탄성수단(115)이 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고 작동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104)는 돔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104)는 상부의 제1 직경부(104a)와 하부의 제2 직경부(104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경부(104a)보다 상기 제2 직경부(104b)의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104)가 상기 디플렉터(106)의 홈(106a)에 삽입되면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방향으로 약간의 유격이 있는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작동 시, 모두 디플렉터(106)로부터 분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탄성수단(115)은,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가이드(104)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104)에 의해 디플렉터(106)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커플링(107, 109)을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 링(108) 부근에서 소방수가 미세하게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115)은 링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115)의 내측면은 상기 상하부 커플링(107)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디플렉터(106)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115)과 가이드(104)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몸체(101)의 외면에 급수배관과 연결을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101)와 프레임(102)이 나사 결합되는 부분에는 조립을 위한 툴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02)의 하부 일부에도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02)의 하부에는 상부 감열체(111)와 하부 감열체(112)가 조립되어 있다. 하부 감열체(112)의 내측 일부와 록킹 스크류(110) 사이에 퓨즈(113)가 위치하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평면도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a)의 평면도를 참고하면, 디플렉터(106)의 상측으로 돌출된 중앙의 홈(106a)이 도시되어 있다. 홈(106a)의 하부측에 가이드(104)가 삽입되고, 가이드(104)의 외면에 탄성수단(115)이 설치되어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디플렉터(106)와 상부 커플링(107)이 서로 멀어지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b)를 참고하면, 상부로부터 몸체(101), 프레임(102), 그리고 상하부 감열체(111, 112)가 순서대로 위치하고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a)의 작동 전의 상태에서는 리테이너 링(108)이 상하부 커플링(107, 109)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프레임(102)의 홈에 걸려 지지되는 상태이다. 이때 가이드(104)의 일부는 디플렉터(106)의 중앙의 홈(106a)에 일부가 삽입되어 있고, 가이드(104)의 외면에는 탄성수단(115)으로서 링형태의 판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수단(115)은 제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상부 커플링(107)과 리테이너 링(108)은 도면 상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 부분으로 흐를 수 있는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b)의 작동 후를 보면 화재 발생 시, 퓨즈(113)가 녹게 되면 종래와 같이 작동하여 감열체(111, 112), 상하부 커플링(107, 109), 리테이너 링(108)이 모두 하강하고 동시에 가이드(104)와 탄성수단(115) 또한 함께 하강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디플렉터(106)가 하강하여 프레임(102) 하단부에 걸린 상태로 소방수가 디플렉터(106)의 안내에 따라 사방으로 소방수를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100)의 일부 구성요소인 가이드(104)와 탄성수단(115)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a)와 (b)는 각각 상하부에서 바라본 것이다. 가이드(104)는 제2 직경부(104b)가 제1 직경부(104a)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단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04)의 외면에는 링 형태의 판스프링이 탄성수단(115)으로 설치될 수 있다. 탄성수단(115)의 외측면은 상부측의 디플렉터(106)에 밀착하게 되고, 탄성수단(115)의 내측면은 하부측의 상부 커플링(107)에 밀착하게 되며, 디플렉터(106)와 상부 커플링(107)이 서로 밀어내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200)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전번 실시예와 다른 점은 탄성수단(215)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이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215)은 고무 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번 실시예의 링 형태의 판스프링 대신에 고무 링을 사용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물론 가이드(204)는 그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역할 또한 동일하다. 즉 가이드(204)는 탄성수단(215)이 위치를 잡아 정확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제1 직경부(204a)와 제2 직경부(204b)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수단(215)인 고무 링 또한 디플렉터(106)와 상부 커플링(107)을 서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200)의 일부 구성요소인 가이드(204)와 탄성수단(215)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204)의 외면에는 탄성수단(215)이 고무 링이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클러 작동 전에는 고무 링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단면이 타원형으로 변형되어 있게 되고, 스프링클러 작동 후에는 원래 형태로 복귀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200 : 스프링클러 헤드
101 : 몸체 102 : 프레임
103 : 시트 104, 204 : 가이드
106 : 디플렉터 107 : 상부 커플링
108 : 리테이너 링 109 : 하부 커플링
110 : 록킹 스크류 111 : 상부 감열체
112 : 하부 감열체 115, 215 : 탄성수단

Claims (8)

  1. 급수배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중앙으로 소방수가 통과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나사 결합되는 프레임과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화재 시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상단부가 결린 상태에서 소방수가 퍼지도록 안내하는 디플렉터;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리테이너 링이 걸려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는 감열체가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하강하게 되는 상하부 커플링;
    상기 디플렉터의 중앙에 형성된 홈 부분에 일부가 삽입되어 중앙에 위치하도록 안내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에 의해 디플렉터의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커플링을 미는 힘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 링 부근에서 소방수가 미세하게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돔형으로 이루어진,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부의 제1 직경부와 하부의 제2 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경부보다 상기 제2 직경부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링 형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의 내측면은 상기 상하부 커플링에 밀착되고, 외측면은 상기 디플렉터에 밀착되는,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단면이 타원형으로 변형될 수 있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고무 링으로 이루어진,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KR1020220070004A 2022-06-09 2022-06-09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KR20230169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004A KR20230169628A (ko) 2022-06-09 2022-06-09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004A KR20230169628A (ko) 2022-06-09 2022-06-09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628A true KR20230169628A (ko) 2023-12-18

Family

ID=89309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004A KR20230169628A (ko) 2022-06-09 2022-06-09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96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230A (ko)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파라텍 스프링클러 헤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230A (ko) 2020-08-13 2022-02-22 주식회사 파라텍 스프링클러 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344A (en) Fire protection sprinkler
US4596289A (en) Quick response automatic fire sprinkler head
KR20090095613A (ko) 은폐형 스프링클러
CA2663780C (en) Extended coverage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KR102165877B1 (ko) 드라이 펜던트 타입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US6962208B2 (en) Compact pendant sprinkler head
US2591872A (en) Automatic sprinkler
KR20220003026A (ko) 은폐 가능한 윈도우 스프링클러
JP4272266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具
KR20230169628A (ko) 소방수의 미세 흐름을 방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헤드
KR20200089396A (ko) 나선형 유로가 형성된 디플렉터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헤드
CN111699025A (zh) 喷洒头
JP201610665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90096027A (ko) 스프링클러 헤드
US4785888A (en) Decorative quick response sprinkler
JP4302125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具
JP201019398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4334556B2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具
KR101804301B1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장치
JP2000153005A (ja) スプリンクラヘッド取付具
JP608763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200922601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102651264B1 (ko)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
KR102620438B1 (ko) 플러쉬 타입 스프링클러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