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080A - 세척 장치, 자동차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세척 장치, 자동차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080A
KR20230169080A KR1020237030009A KR20237030009A KR20230169080A KR 20230169080 A KR20230169080 A KR 20230169080A KR 1020237030009 A KR1020237030009 A KR 1020237030009A KR 20237030009 A KR20237030009 A KR 20237030009A KR 20230169080 A KR20230169080 A KR 20230169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leaning
flow path
cleaning device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닉 대니엘 윈트제스
Original Assignee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엠씨아이 (미러 컨트롤스 인터내셔널)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30169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08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7/931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4813Hou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9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2007/4975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sensor obstruction by, e.g. dirt- or ice-coating, e.g. by reflection measurement on front-screen
    • G01S2007/4977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sensor obstruction by, e.g. dirt- or ice-coating, e.g. by reflection measurement on front-screen including means to prevent or remove the ob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가 제공된다. 이 세척 장치는 광학기기의 외측면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부를 포함한다. 이 세척 장치는 적어도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일시적으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 이 커버는 광학기기의 외측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 세척 장치는 커버가 외측면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커버가 외측면을 덮지 않는 릴리징 위치 사이에서 커버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커버링 위치에서 릴리징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 시, 커버는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각각의 제1 부분을 덮고 상기 외측면의 각각의 제2 부분을 덮지 않는 연속적인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 세척 장치는 커버링 위치 및 연속적인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일분 사이에 흐름 경로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상기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로 세척액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세척 장치, 자동차 및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기기의 외측면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부를 포함하는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는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지붕에 장착된 카메라의 유리창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공지된 세척 장치는 상기 외측면에 세척액을 분무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셋업을 갖는 시스템의 단점은 분무에 의해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해 비교적 높은 압력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비교적 많은 세척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특히 복잡한 시스템을 수반하지 않는 방식으로 외측면의 모든 영역에 도달하고 그것을 비교적 양호하게 세척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이러한 종래의 셋업의 다른 단점은, 예를 들어 주행 중 바람으로 인해, 세척액의 일부가 날아갈 수 있고 그러면 세척될 외측면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세척액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세척액이 비교적 빨리 고갈될 수 있고 및/또는 사용될 비교적 많은 양의 세척액을 저장하기 위해 비교적 큰 세척액 저장소가 필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가 외부 환경으로 배출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대기 오염 및/또는 수질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대안의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기기의 외측면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 기술의 세척 장치의 단점 중 적어도 하나가 보완된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세척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및/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세척액이 환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및/또는 비교적 효과적인 및/또는 비교적 효율적인 방식으로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를 제공하며, 세척 장치는 광학기기의 외측면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세척 장치는 적어도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일시적으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광학기기의 외측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세척 장치는 커버가 외측면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커버가 외측면을 덮지 않은 릴리징 위치 사이에서 커버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고, 커버는 커버링 위치에서 릴리징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때, 커버가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각각의 제1 부분을 덮고 상기 외측면의 각각의 제2 부분을 덮지 않는 연속적인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세척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커버링 위치 및 연속적인 중간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들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흐름 경로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상기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로 세척액이 흐르도록 한다.
특히, 세척 장치는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상기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상기 부분 사이에 상기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세척 장치가 공급된 세척액, 특히 세척 액체가 상기 흐름 경로를 통해 외측면의 상기 부분 위로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상기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상기 부분 사이에 상기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는 흐름 경로가 작은 슬롯형 공간으로 형성되고 세척액이 특히 비교적 긴 거리에 걸쳐 상기 외측면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외측면의 상기 부분 위를 흐르는 세척액의 경로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있는 먼지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세척 장치가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액은 종래의 카메라 분무 시스템의 경우에서와 같이, 세척액이 외측면과 처음 접촉하는 단일 위치 상에 있는 먼지에 힘을 가할 뿐만 아니라, 외측면의 상기 부분 위로 흐르는 세척액의 경로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있는 먼지에도 힘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커버링 위치 및 연속적인 중간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그룹 중 복수의 위치에 있을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그룹 중 각각 및 모든 위치에 있을 때,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흐름 경로를 형성하도록 세척 장치를 배열함으로써, 세척 장치는 외측면을 씻기 위해 세척액이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상기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로 흐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특히,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덮고 그 사이로 세척액을 흐르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주행으로 인한 바람과 같은, 바람에 의해 세척액이 의도치 않게 날아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다란 관 또는 갈라진 형상의 공동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흐름 경로를 통해 외측면에 세척액을 공급함으로써, 실제로 세척될 외측면에 비교적 많은 세척액이 도달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는데, 이는 종종 분무 시스템(예를 들어 자동차의 앞유리에 앞유리 워셔액을 분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무 시스템 또는 자동차의 지붕에 장착된 카메라를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분무 시스템)과는 다른 점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흐름 경로, 특히 커버와 세척될 외측면 사이의 작은 슬롯형 공간을 통해 외측면에 세척액을 공급함으로써, 세척액은 비교적 긴 거리에 걸쳐 상기 외측면에 대해 가압될 수 있고, 세척액의 경로를 따라 다양한 위치에 있는 먼지에 힘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액은 종래의 카메라 분무 시스템의 경우처럼 외측면과 처음 접촉하는 단일 위치에 있는 먼지에만 힘을 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비교적 적은 양의 세척액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한편, 또한 예를 들어 종래의 카메라 분무 시스템에 비해 비교적 효과적인 세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높은 변동률을 갖는 펄스 흐름을 제공함으로써, 효과 및/또는 효율성이 훨씬 더 증가할 수 있다.
커버, 특히 상기 커버가 상기 외측면을 덮고 있을 때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향하는 커버의 후면이 대체로 사전 정의된 흐름 경로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그리고 특히 압축 방식으로 세척액을 상기 대체로 사전 정의된 흐름 경로를 통해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분부 위로 흐르게 함으로써, 세척액이 외측면에 비교적 잘 분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및/또는 세척액이 외측면 상에 존재하는 먼지에 비교적 높은 힘 및/또는 전단 응력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커버의 후면 상의 세척액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은 특히 외측면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직선 또는 곡선 경로와 같은,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경로와 상이해지도록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액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은 상기 흐름의 경로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세척액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세척액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은 비교적 난류의 도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난류가 전단 응력을 가능하게 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을 비교적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의 후면에는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패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스터드(stud), 리브(rib)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는 커버의 후면이 커버링 위치 및 연속적인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후면에는 유체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후면은 스터드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를 포함하며, 이 흐름 차단 요소는 특히 외측면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직선 또는 단일 곡선 경로와 같은,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경로와는 상이해지도록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위치 또는 위치들에 있을 때, 커버의 후면은 바람직하게는 커버링 위치 및 연속적인 중간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을 때에도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후면이 스터드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위치에 커버가 있을 때,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광학기기의 외측면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즉, 상기 외측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와 세척될 외측면 사이의 흐름 경로, 특히 작은 슬롯형 공간은 커버의 후면과 세척될 외측면 사이의 최소 거리가 적어도 0.5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mm, 예를 들어 적어도 2mm가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커버의 후면에 스터드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최소 거리는 이러한 흐름 차단 요소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의 흐름 경로 형성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흐름 차단 요소는 적어도 0.1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2m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5mm, 예를 들어 적어도 1mm 또는 적어도 2mm의 거리에 걸쳐 광학기기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커버와 세척될 외측면 사이의 흐름 경로, 특히 작은 슬롯형 공간은 커버의 후면과 세척될 외측면 사이의 최소 거리가 제한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 아래로, 즉 상기 각각의 흐름 차단 요소와 세척될 외측면 사이로 너무 많은 세척액, 특히 세척 액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서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위치에 커버가 있을 때, 커버의 후면과 세척될 외측면 사이의 최소 거리는 최대 5mm, 바람직하게는 최대 2mm, 예를 들어 최대 1mm 또는 최대 0.5mm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커버의 후면과 세척될 외측면 사이의 최대 거리도 제한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커버의 후면과 상기 세척될 외측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흐름 경로를 채우는데 사용되는 세척액의 양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커버의 후면과 세척될 외측면 사이의 최대 거리는 예를 들어 최대 15mm, 바람직하게는 최대 10mm, 예를 들어 최대 5mm 또는 최대 2mm일 수 있다. 상기 최대 거리는 예를 들어 흐름 경로 차단 요소가 없는 커버 후면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최대 거리는 2개의 인접한 이격된 흐름 경로 차단 요소들 사이의 위치에서 찾을 수 있는 반면, 최소 거리는 흐름 경로 차단 요소가 제공된 위치에서 찾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세척 장치가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흐름 경로를 형성하는 위치에 커버가 있을 때, 커버의 후면과 세척될 광학기기의 외측면 사이의 최대 거리는 커버에 의해 덮인 세척될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길이의 최대 20%,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예를 들어 최대 10%일 수 있고, 상기 세척될 광학기기의 외측면의 길이는 상기 외측면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선 또는 단일 곡선으로, 및/또는 커버가 이동 가능한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및/또는 세척액이 실질적으로 흐르는 주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주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선(예를 들어, 세척될 외측면이 편평한 경우) 또는 단일 곡선(예를 들어, 세척될 외측면이 만곡된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은 세척액이 적어도 어느 정도 난류가 되는 방식으로 및/또는 상기 흐름의 경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세척액의 흐름에 영향을 주도록 배열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세척액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은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변할 필요는 없고, 일부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흐름 경로일 수 있는 대체로 구불구불한 경로와 같은, 대체로 사전 정의된 경로 내로 흐르도록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를 안내 또는 지향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경로 형성 관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요소, 예컨대, 리브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적어도 외측면을 세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외측면의 일 부분과 적어도 상기 외측면을 일시적으로 덮기 위한 이동 가능한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형성된 흐름 경로 내로 세척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세척액은 상기 흐름 경로를 통해 상기 외측면 위로 흐른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단지 제한하지 않는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1c는 3개의 상이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2c는 상기 3개의 위치에 있는 도 1a-1c의 세척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a-2c의 세척 장치의 프레임 부분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a-2c의 세척 장치의 커버 부분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c 및 도 2c의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a-2c의 세척 장치의 개략적인 절개 평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양태 및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 또는 숫자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 1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세척 장치(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세척 장치(100)는 예를 들어 자율 또는 반자율 자동차일 수 있는 자동차 또는 트럭 등과 같은 자동차의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을 세척하기 위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학기기(200)는 예를 들어 적어도 주차를 보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는 자동차의 후방 카메라(rear view camera)와 같은 카메라일 수 있고,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메라는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방에 있는 후방 카메라 위치가 아닌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전방 시야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및/또는 자동차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는 "옴니 뷰(omni view)" 또는 "서라운드 뷰(surround view)" 기술의 일부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카메라는 후진용이거나 사이드 미러의 기능을 대체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광학기기(200)는 카메라 이외의 다른 요소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기기(200)는 거리 측정 및/또는 장애물 감지 및/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광학 센서 기기, 예를 들어 라이다(Lidar) 기기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광학기기(200)가 라이다 기기 및/또는 다른 센서 장치이거나 이를 포함하는 경우, 세척 장치(100)에 의해 세척될 외측면(211)은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창유리, 예컨대, 센서 부분을 덮는 창유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다른 실시예에서,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은 렌즈(210)에 의해 형성되며, 렌즈(210)는 그것이 파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2a 내지 도 2c에서 볼 수 있다. 그 자체로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을 형성할 수 있는 외측면을 갖는 렌즈(210)는 특히 예를 들어 후방 카메라용 카메라 렌즈일 수 있다. 상기 렌즈, 특히 상기 카메라 렌즈는 단일 광학 렌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서 광학 렌즈의 조립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렌즈(210)에 의해 형성되는 외측면(211)은 코팅된 외측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된 외측면은 스크래치 방지 코팅 및/또는 반사 방지 코팅인 코팅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세척 장치(100)는 예를 들어 그것이 비교적 무해하지만 비교적 효과적인 방식으로 그러한 렌즈를 세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코팅은 발수성 및/또는 소수성일 수 있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베이스로 할 수 있는 사용되는 세척액의 일부가 세척 후에도 의도하지 않게 외측면(211) 상에 남아 있을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예를 들어 일부 세척액 방울이 외측면에 남아 있는 경우에도, 발수성 및/또는 소수성 코팅은 예를 들어 주행으로 인한 바람 및/또는 여러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100) 및/또는 자동차에 포함될 수 있는 송풍 장치 또는 송풍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바람에 의해 상기 방울이 상기 표면으로부터 비교적 쉽게 날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광학기기(200)와 상기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100)는 여러 실시예에서 2개의 개별 장치 또는 기기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그러하듯이, 세척 장치(100) 또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는 광학기기(200)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여러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광학기기에 관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광학기기(200) 및 세척 장치(100)는 상기 광학기기 및 상기 세척 장치를 포함하는 조립체의 2개의 요소를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개의 요소 중 하나의 하나 이상의 부품은 상기 2개의 요소 중 다른 하나의 하나 이상의 부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내지 도 2c에 의해 제공되는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척 장치(100)는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일 세척액 공급부(500)가 제공되지만, 대안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세척액 공급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공급관(503)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세척액 공급부(500)는 예를 들어 펌프(어느 쪽도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세척액 저장소(도시되지 않음)와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및/또는 세척 장치(100)에는 전용의 유체 저장소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소 및/또는 그 안에 저장된 세척액은 또한 다른 목적으로, 예를 들어 앞유리, 뒷유리, 하나 이상의 헤드라이트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명 및/또는 자동차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품을 세척할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세척액은 임의의 적합한 유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앞유리 와셔액 또는 유사한 액체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러 실시예에서, 세척액은 물일 수 있거나 적어도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척액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세제, 용매 및/또는 알코올과 같은 동결 방지 성분과 같은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측면(211)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척액이 특히 세척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느 정도까지 가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세척 장치(100); 세척액 공급부(500); 및 세척액 저장소(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 그룹 중 하나 이상에는 세척액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세척액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면(211) 자체에, 그 내에, 또는 그 위에 및/또는 커버(400)에, 그 내에, 또는 그 위에 제공될 수 있다.
세척 장치(100)는 광학기기(200)의 적어도 외측면(211)을 일시적으로 덮는 커버(40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400)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예컨대, 광학기기(2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및/또는 차량이 사용되지 않을 때, 예컨대, 차량이 주차되어 있을 때 광학기기(20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커버(400)는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및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400)는 커버가 실질적으로 위아래로 피벗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기 외측면(211)에 대해 회전 또는 피봇 가능할 수 있다(도 1a-1c 및 도 2a-2c 참조). 예를 들어, 커버(400)는 프레임 부분(300)에 이동 가능하게, 특히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부분(300)은 광학기기(200)의 일부일 수도 있고 및/또는 상기 광학기기(200)를 위한 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척 장치(100)는 커버(4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 장치(140)는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여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복수의 기어(143)를 포함할 수 있는 구동 트레인(142)을 통해 커버(400)를 구동할 수 있는 전기 모터(141) 또는 다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41) 및/또는 구동 트레인(142)과 같은 구동 장치(140)의 다른 부분은 일부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분(30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도 3 및 도 5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140)가 모터 구동될 수 있지만, 커버(400)는 대안의 실시예에서 대안의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액 및/또는 세척액의 유체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커버(140)를 이동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커버를 제1 방향(예컨대 커버가 커버의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커버(140)를 제2의 반대 방향, 예를 들어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고, 이 스프링은 세척액 및/또는 펌프가 커버(140)를 제1 방향으로 밀 때 로딩(load)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세척액 및/또는 펌프는 커버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압 시스템, 유압 시스템 및/또는 솔레노이드 밸브, 형상 기억 금속 또는 합금 등을 포함하는 메커니즘과 같은, 예컨대 폐쇄 및/또는 개방하도록 커버(4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다른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분(300)을 도시하는 도 3 및 커버(400)를 형성하는 부분을 도시하는 도 4에서 비교적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부분(300) 및 상기 커버(400)는 상기 프레임 부분(300)에 커버(400)를 힌지 방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협력하는 힌지 부분(390, 49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커버 및 프레임 부분 중 하나, 바람직하게는 커버(400)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힌지 샤프트(4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힌지 샤프트는 상기 커버 및 상기 프레임 부분 중 다른 하나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장착 캐비티(399)에 장착, 바람직하게는 클릭 또는 스냅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런-온 표면(391)을 포함하는 스내핑 수단이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커버(400)가 다른 방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실제로, 커버가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에 대해 회전 가능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대안의 실시예에서, 커버(400)는 병진 운동 가능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위쪽 방향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미끄러짐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커버(400)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세척 장치(100)는 커버(400)가 외측면(211)을 덮는 커버링 위치(도 1c, 도 2c 및 도 5 참조)와 도 1a 및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면(211)이 덮이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는, 커버(400)가 외측면(211)을 덮지 않는 릴리징 위치 사이에서 커버(400)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커버링 위치에서 릴리징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때, 커버(400)는 커버(400)가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각각의 제1 부분(211A)을 덮고 도 1b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면(211)의 각각의 제2 부분(211B)을 덮지 않는 연속적인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커버(400)가 그것의 커버링 위치 또는 소위 폐쇄 위치로 이동하면, 이미 덮힌 제1 부분(211A)은 더 커질 것이고, 반면 아직 덮이지 않은 제2 부분(211B)은 더 작아질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한편, 커버가 그것의 릴리징 위치 또는 소위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면, 제1 부분(211A)의 크기는 줄어들 것이고 제2 부분(211B)은 더 커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 장치(100)는 커버링 위치 및 연속적인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들 중 복수의 위치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들 중 각각 및 모든 위치에서, 세척 장치(100)가 커버(400)의 적어도 일부분과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흐름 경로(600)를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이와 같이, 세척 장치(100)는 외측면(211)을 씻기 위해 커버(400)의 적어도 일 부분과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세척액이 흐르게 할 수 있다.
세척 장치(100)는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적어도 일 부분 위로, 특히 실질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세척액이 흐르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세척액은 세척될 외측면(211)의 상단, 그 근처 및/또는 그 위의 위치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세척액 공급부(500)는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그리고 도 2a, 도 2c 및 도 3에서 비교적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척 장치(100)에 의해 세척될 외측면(211)의 상단에, 그 근처에 및/또는 위에, 바람직하게는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 위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50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 장치(100)는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적어도 일 부분 위로 실질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세척액을 흐르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지만, 대안의 실시예에서 세척액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측방향, 실질적으로 대각선 방향 및/또는 실질적으로 위쪽 방향과 같은 다른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다.
흐름 방향은 외측면(211)의 상기 적어도 일부에 걸쳐 일정할 필요가 없으며, 흐름 방향은 예를 들어 그 경로를 따라 곡선 방식으로 및/또는 실질적으로 구불구불한 방식으로 변할 수 있는데,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430)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고(이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될 것임), 이는 사용 중에 비교적으로 직선적이거나 직접적인 흐름을 방지할 수 있고 흐름을 지향 또는 안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특히 흐름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세척액 공급관(503)이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는 세척액 공급부(500)와 관련하여, 상기 공급관(503)의 적어도 일부(350)는 프레임 부분(3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공급관(503) 또는 그것의 적어도 일부(850)는 예를 들어 공급 튜브(800)와 같은 다른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 개구가 복수인 경우, 하나 또는 복수의 개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배출 개구 각각은 세척 장치(100)에 의해 세척될 광학기기의 외측면(211)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 또는 복수의 배출 개구 중 하나 이상은 다른 위치, 예를 들어 상기 외측면(211)의 측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도, 세척 장치(100)는 흐름 경로(600) 내로 공급되어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을 가로질러 흘렀던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를 수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장치(100)는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하단부에, 그 근처에 또는 그 아래의 위치에서 상기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를 수거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세척 장치(100)에는 사용된, 특히 오염된 세척액을 수용 및/또는 수거하기 위한 세척액 수거 장치(70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거 장치(700)는 예를 들어 유체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 표면(710)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수거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깔때기 또는 깔때기 형상 부분(720)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거 표면(710) 및/또는 상기 깔대기 또는 깔대기 형상 부분(720)은 예를 들어 거기에 연결된 배액 튜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형성된 배액관과 유체 연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깔때기 또는 깔때기 형상 부분(720)의 일부일 수 있는 수거 표면(710)은 하우징 부분(900), 특히 광학기기(200)용 하우징(320)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는 프레임 부분(300)이 도 1a-1c 및 도 2a-2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하우징 부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분(9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수거 표면(710)은 커버(400)가 그것의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 이동 가능한 커버(40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910)를 겸하는 상기 하우징 부분의 일 부분(9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흐름 경로(600)를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을 따라 세척액을 안내할 수 있는 커버(400)가 세척액을 세척액 수거 장치(700) 쪽으로, 예를 들어 그것의 수거 표면(710) 및/또는 깔때기 또는 깔때기 형상 부분(720) 쪽으로 안내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세척 장치(100)는 수거된 세척액을, 바람직하게는 외측면에서 세척된 먼지 및/또는 부스러기와 함께, 예를 들어 수거 표면(710) 및/또는 깔때기 또는 깔때기 형상 부분(720) 아래에 제공될 수 있는 및/또는 그것과 및/또는 배액 튜브 또는 다른 배액관과 유체 연통할 수 있는, 저장 용기(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저장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요소(200)의 외측면(211)은 만곡될 수 있고, 특히 볼록할 수 있고, 더욱 특히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 영역 또는 구면 표면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외측면(211)이 라이다 기기, 특히 그것의 보호 창유리에 의해 형성된 경우, 외측면(211)은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과 같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외측면(211)이 실질적으로 원통형 또는 실질적으로 구형으로 만곡된 것과 같은 만곡된 실시예에서, 커버(400)가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에서, 커버링 위치 및 연속적인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을 향하는, 커버(400)의 후면(410)은 실질적으로 오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만곡될 수 있다. 특히, 커버(400)의 후면(410)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구형 표면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링 위치 또는 소위 폐쇄 위치에서, 커버(400)의 상기 후면(410)은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면(21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에서, 세척될 외측면(211)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에서 본 흐름 경로(600)는 일정한 깊이(660)를 가질 수 있고, 깊이가 변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작을 수 있는, 예컨대, 세척될 외측면(212)의 길이 또는 높이(212)보다 작을 수 있는, 및/또는 상기 외측면(212)의 폭(213)보다 작을 수 있는 최대 깊이(660)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깊이 또는 최대 깊이(660)는 상기 길이 또는 높이(212) 및/또는 상기 폭(213)의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일 수 있다. 흐름 경로(600)가 비교적 얕은 깊이를 가지는 결과로서, 비교적 적은 양의 세척액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비교적 얕은 또는 표면적인 흐름 경로(600)는 그것을 통해 흐르는 세척액이 비교적 높은 속도 및/또는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는 세척 효과에 유리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커버(400)의 후면(410)에는 세척액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420)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면(410)은 예를 들어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매끄러운 표면이 아닐 수 있다. 상기 후면(410)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4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430)는 사용 중에 자유로운 흐름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세척액을 안내할 수 있고, 따라서 특히 세척액이 비교적 난류의 코스로 흐르도록 영향을 받는 방식으로 커버(400)의 적어도 일부와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흐름 경로(600)를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예를 들어 후면(410)에, 그 내에 또는 그 위에 제공된 차단 요소(430)는 예를 들어 벌브 또는 스터드(430)와 같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흐름 차단 요소(430)는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리브 또는 스플라인과 같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형상의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외측면(211)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직선 또는 곡선 경로와 같은,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경로와 상이해지도록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체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420)이 바람직하게는 세척액이 비교적 난류 방식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흐름 경로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방식으로 흐르게 할 수 있으나, 세척액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420)은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변할 필요는 없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흐름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대체로 구불구불한 경로와 같은 대체로 사전 정의된 경로로 흐르도록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를 안내 또는 지향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경로 형성 관 및/또는 홈 또는 리브(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는 커버(400)에 의해 형성되고 일부는 세척될 외측면(211)에 의해 형성된 흐름 경로(600)가 도 2a-2c의 도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인,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며, 이 폭은 적어도 세척될 외측면(211)의 폭만큼 실질적으로 넓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광학기기(200)의 적어도 외측면(211)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세척 장치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는 상기 방법에서, 세척액은 외측면(211)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적어도 상기 외측면(211)을 일시적으로 덮기 위한 이동 가능한 커버(400)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형성된 흐름 경로(600)로 공급되며, 공급된 세척액은 상기 흐름 경로(600)를 통해 그리고 상기 외측면(211) 위로 흐른다.
유리하게는, 자동차가 가만히 정지해 있을 때, 예를 들어 자동차가 주차되어 있을 때 및/또는 세척 장치(100)가 자동차의 주차 모드에 대응할 수 있는 주차 모드에 있을 때, 커버(400)는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을 덮어 예를 들어 강수, 먼지 등으로부터 그것을 보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면(211)의 세척은 자동차가 주행을 시작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 예를 들어 소킹(soaking) 단계는 커버(400)가 계속해서 상기 커버(400)가 외측면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덮고 있는 그것의 커버링 위치에 있을 때 커버(400)와 외측면(211) 사이에 제1 양의 세척액이 흐르게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는 상기 외측면(211) 상에 존재하는 먼지를 적시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방법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2 양의 세척액이 흐름 경로(600)로 공급되는 제2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양은 제1 양의 세척액이 공급될 때보다 더 긴 시간 동안 및/또는 더 높은 압력 및/또는 더 높은 유량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긴 시간 및/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유량 및/또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의 결과로서 먼지 또는 부스러기는 비교적 효과적으로 씻겨질 수 있는 반면, 제1 단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및/또는 낮은 유량 및/또는 비교적 적은 압력의 결과로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척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먼지 또는 부스러기를 적시기 위해, 세척액은 비교적 짧은 순간 동안만 외측면(211) 위로 흐를 수 있는 반면, 예를 들어, 비교적 많은 먼지 또는 부스러기를 씻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젖은 먼지 또는 부스러기가 상기 외측면(211)으로부터 씻겨져야 하는 제2 단계는 더 오래 걸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헹굼 단계일 수 있는 제2 단계는 커버(400)가 계속해서 실질적으로 완전히 닫혀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제2 단계는 커버(400)가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각각의 제1 부분(211A)을 덮고 상기 외측면(211)의 각각의 제2 부분(211B)을 덮지 않는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계는 커버(400)가 개방된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먼지 또는 부스러기를 적시기 위해, 제1 단계에서 제1 양의 세척액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 또는 세척 사이클의 소킹 파트는 또한 특히 제2 단계가 실행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추가 양의 세척액이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소킹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나 이상의 추가 소킹 단계는 제1 단계와 제2 단계 사이에서 실행되는 중간 단계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간 단계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또한 하나 이상의 추가 헹굼 단계가 이 방법 또는 세척 사이클 내에서 가능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헹굼 단계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러한 추가 헹굼 단계 각각에서 각각의 추가 양의 세척액이 공급될 수 있다. 각각의 추가량은 예를 들어 제2 단계의 양에 대응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각각의 추가량은 제1 단계 및/또는 존재한다면 중간 단계에서 사용된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실제로, 커버(400)와 세척될 외측면(211) 사이의 흐름 경로(600)를 통해 일정량의 세척액이 흐르게 하면서, 예를 들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커버(400)를 이동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커버(400)의 이동은 세척액이 비교적 난류의 방식으로 상기 외측면(211) 위로 흐르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예를 들어 커버(400)의 후면(410)이 예를 들어 그 위에 제공된 유체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420)으로 인해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비교적 유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흐름 경로는 커버(400)의 이동으로 인해 외측면(21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측면이 비교적 효과적인 방식으로 헹굼 및/또는 세척될 수 있게 하는 시간 동안 그 흐름 경로가 변하는 세척액에 외측면(410)이 노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이 흐름 경로(600)를 통해 흐르는 동안 커버(40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커버(400)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면(211)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외측면(211)에 대해 이동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커버(400) 이동의 결과로서, 세척액이 공급되고 및/또는 상기 흐름 경로(600)를 통해 흐르는 동안 흐름 경로(600)의 길이, 형상 및/또는 위치가 변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언급된 제1 및 제2 단계에 더하여, 이 방법 또는 단일 세척 사이클은 하나 이상의 추가 양의 세척액이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 방법 또는 세척 사이클은 하나 이상의 소킹 단계, 바람직하게는 제1 양의 세척액 또는 일 펄스의 세척액이 제공되는 하나의 소킹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헹굼 단계, 바람직하게는 세척액의 후속 양의 세척액 또는 펄스의 세척액이 제공되는 복수의 헹굼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 또는 세척 사이클은 반드시 하나 이상의 소킹 단계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이 방법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헹굼 단계만을 포함하고 및/또는 임의의 선행하는 전용의 소킹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세척은 자동차가 주행 모드 또는 상태가 되기 전, 도중 또는 직후에 반드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가 사용 중 및/또는 주행 모드에 있을 때 수행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주행 중에 외측면(211)이 세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측면(211)은 자동차를 운전하는 동안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폐쇄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외측면(211)은 운전 중에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또는 심지어 대부분의 시간 동안 덮이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외측면(211)이 주행 중 세척되는 경우, 외측면(211)은 초기에는 커버(400)에 의해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면(211)이 덮이는 시간 및/또는 광학기기(200)의 시야가 차단되는 시간을 비교적 짧게 유지하기 위해, 세척액은 커버(400)의 폐쇄 동안 및/또는 커버(400)의 후속 개방 동안 외측면 위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비교적 난류를 촉진하기 위해, 외측면(211)에 대해 커버(400)를 이동시키는 동안 세척액을 커버(400) 위로 흐르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에 비추어 보면, 커버(400)는 외측면(211)을 세척하는 동안 예를 들어 커버를 위아래로 여러 번 이동시킴으로써, 또는 예를 들어 세척 장치(100)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된 경우, 임의의 다른 적절한 움직임에 의해 여러 번 폐쇄되고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놀랍게도 커버(400)가 외측면(211)을 완전히 덮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외측면(211)의 적어도 절반, 적어도 3분의 1 또는 심지어 적어도 4분의 1만을 덮는 경우에도, 외측면(211)의 덮힌 제1 부분(211A) 위로 흐르는 커버(400)와 외측면(211) 사이에 공급된 세척액의 대부분은 그것이 에지에서, 특히 외측면(211)을 완전히 덮지 않는 커버(400)의 하부 에지에서 커버(400) 아래로부터 흐를 때, 계속해서 외측면(211)을 따라 상기 외측면(211)의 제2 부분(211B) 위로 흐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특히 외측면이 비교적 매끄러운 경우,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만곡된 경우, 특히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구형과 같이 특히 실질적으로 볼록한 경우 및/또는 외측면(211)이 실질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놀랍게도, 상기 외측면(211)을 따라, 특히 볼록하게 만곡된 외측면을 따라 및/또는 사용한 세척액을 수거하기 위한 선택사항의 수거 장치(700)를 향하도록 세척액을 지향하기 위해 세척될 외측면(211)이 커버(400)에 의해 완전히 덮일 필요가 없다.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척액은 다양한 공급원에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는 교대하는 방식으로 세척액이 공급되고 이어서 세척액이 공급되지 않고 이어서 세척액의 추가 공급이 다시 공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세척액은 펄스 방식으로, 예를 들어 교류 펄스의 세척액이 공급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흐름 경로(600)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동안 유량 및/또는 압력이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세척액이 펄스 방식으로 흐름 경로로 공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세척액을 교대로 공급함으로써 및/또는 유량 및/또는 압력 및/또는 흐름 경로의 방향을 변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커버(400)를 이동시킴으로써, 외측면(211)은 예를 들어 비교적 난류이고 및/또는 변동하는 흐름으로 인해 비교적 효율적인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수거된 세척액을 바람직하게는 외측면으로부터 씻겨진 먼지와 함께, 저장 용기 내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흐름 경로(600) 내로 공급되어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 위로 흘렀던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를 수거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사용된 세척액이 환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대기 오염 및/또는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수거는 예를 들어 세척 중에 세척액이 실질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외측면(211)의 하단부에, 그 근처에 또는 그 아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자동차의 광학기기(200)의 적어도 외측면(211)을 세척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기 방법(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세척 사이클, 특히 단일 세척 사이클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음)이 임의의 적절한 순간에 수행되거나 실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세척 장치(100), 자동차 및/또는 광학기기(200)는 특정 순간에, 예를 들어 자동차 및/또는 광학기기(200)가 꺼지거나 꺼질 예정일 때 및/또는 그것의 전원을 끄라는 입력이 수신된 때, 예를 들어 자동차가 주차된 때, 예를 들어 자동으로 이 방법을 시작하거나 수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세척 장치(100), 자동차 및/또는 광학기기(200)는 자동차 및/또는 광학기기(200)가 시작된 때 또는 시작되어야 한다는 입력을 수신했을 때 이 방법을 시작하거나 수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 또는 세척 사이클은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 이유로 및/또는 다른 순간에 시작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방법 또는 세척 단계는 예를 들어 광학기기(200)에 속하거나 관련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예를 들어 외측면(211) 상의 부스러기 또는 먼지를 검출함으로써, 세척 사이클이 필요하다는 것을 자동차 및/또는 자동차의 광학기기(200)가 감지한 때, 생성되는 입력에 응답하여 수행되거나 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세척 사이클 또는 세척 방법은 다른 입력, 예를 들어 자동차의 운전자가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의 입력에 기초하여 시작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광학기기(200)의 외측면(211)의 세척 또는 소위 와싱(washing)에 사용되는 커버(400)는 여러 목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커버(400)는 또한 예를 들어 광학기기(2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예를 들어 자동차가 주차된 때 상기 외측면(211)을 일시적으로 보호하거나 덮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명료함 및 간결한 설명을 위해, 특징들이 동일한 또는 별개의 실시예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징의 전부 또는 일부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아래의 청구범위에 공식화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20)

  1.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는 세척 장치로서,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 장치는 적어도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을 일시적으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커버가 상기 외측면을 덮는 커버링 위치와 상기 커버가 상기 외측면을 덮지 않는 릴리징 위치 사이에서 상기 커버를 이동시키도록 배열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링 위치에서 상기 릴리징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때 상기 커버가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의 각각의 제1 부분을 덮고, 상기 외측면의 각각의 제2 부분을 덮지 않는 연속적인 중간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커버링 위치 및 상기 연속적인 중간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들의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세척 장치가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과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흐름 경로를 형성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커버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과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의 상기 적어도 일 부분 사이로 세척액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 위로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세척액이 흐르게 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공급부는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 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배출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카메라이거나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은 렌즈, 특히 카메라 렌즈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에 의해 형성된 상기 외측면은, 바람직하게는 긁힘 방지 및/또는 반사 방지 코팅에 의해 코팅된, 코팅된 외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흐름 경로로 공급되어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 위로 흐르는 상기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를 수거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은 만곡되고, 특히 볼록하고 더욱 특히 실질적으로 원통형 표면 영역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구형 표면 영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면은 상기 커버링 위치 및 상기 연속적인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을 향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후면은 실질적으로 만곡되고, 특히 실질적으로 오목하고, 더욱 특히 실질적으로 구형 표면 영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라이다 기기이거나 라이다 기기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은 실질적으로 편평할 수 있고, 더욱 특히 상기 외측면은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과 같은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후면은 상기 커버링 위치 및 상기 연속적인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을 향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후면에는 유체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이 제공되어 있고, 특히 상기 후면은 매끄러운 표면이 아니며, 상기 후면은 상기 흐름 경로가 상기 외측면을 가로지르는 실질적으로 직선 또는 곡선 경로와 같은 실질적으로 직접적인 경로와 상이해지도록 상기 흐름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를 들어 스터드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복수의 흐름 차단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흐름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패턴은 상기 세척액이 적어도 어느 정도 난류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및/또는 상기 흐름의 경로가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세척액의 흐름에 영향을 주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 장치는 상기 커버링 위치 및 상기 연속적인 중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의 각 부분을 덮는 상기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외측면의 상기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 장치.
  13. 카메라 및/또는 라이다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하는 광학기기를 구비한 자동차로서,
    상기 자동차는 상기 광학기기의 외측면을 세척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척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 장치 및 상기 광학기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4. 자동차의 광학기기의 적어도 외측면을 세척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측면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적어도 상기 외측면을 일시적으로 덮기 위한 이동 가능한 커버의 적어도 일 부분 사이에 형성된 흐름 경로 내로 세척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세척액은 상기 흐름 경로를 통해 상기 외측면 위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세척 장치 및/또는 제13항의 자동차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이 상기 흐름 경로로 공급되는 동안 및/또는 상기 세척액이 상기 흐름 경로를 통해 흐르는 동안, 상기 커버는 상기 외측면에 대해, 특히 상기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은 상기 흐름 경로 내로 펄스 방식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외측면 상의 먼지를 적시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가 상기 외측면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덮는 커버링 위치에 상기 커버가 있을 때, 제1 양의 세척액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경로 내로 제2 양의 세척액을 공급하는 후속 단계,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양의 세척액이 공급되었던 것보다 더 긴 기간 동안 및/또는 더 높은 압력으로 및/또는 더 높은 유량으로 상기 제2 양의 세척액을 공급하는 후속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경로 내로 공급되어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 위를 흐르는 상기 세척액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기기의 상기 외측면의 하단부에, 그 근처에 또는 그 아래에서 수거되어, 특히 수거된 세척액을,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면으로부터 씻겨진 먼지와 함께, 저장 용기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37030009A 2021-02-22 2022-02-22 세척 장치, 자동차 및 방법 KR202301690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27610 2021-02-22
NL2027610A NL2027610B1 (en) 2021-02-22 2021-02-22 Cleaning device, motor vehicle and method
PCT/NL2022/050094 WO2022177437A1 (en) 2021-02-22 2022-02-22 Cleaning device, motor vehicle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080A true KR20230169080A (ko) 2023-12-15

Family

ID=7615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009A KR20230169080A (ko) 2021-02-22 2022-02-22 세척 장치, 자동차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34023A1 (ko)
EP (1) EP4294682A1 (ko)
JP (1) JP2024507205A (ko)
KR (1) KR20230169080A (ko)
CN (1) CN117062736A (ko)
NL (1) NL2027610B1 (ko)
WO (1) WO202217743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8670A1 (de) * 2015-10-30 2017-05-0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Kamera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FR3056528B1 (fr) * 2016-09-29 2019-06-21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nettoyage d'un capteur optique, systeme d'assistance a la conduite et procede de nettoyage associes
US10549723B2 (en) * 2018-05-04 2020-0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object-detection sens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4682A1 (en) 2023-12-27
NL2027610A (en) 2022-09-19
JP2024507205A (ja) 2024-02-16
WO2022177437A1 (en) 2022-08-25
NL2027610B1 (en) 2022-09-19
US20240134023A1 (en) 2024-04-25
CN117062736A (zh) 202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5733B2 (en) Wiping device for an optical device and a rear view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same
US20210237694A1 (en) Roof module for forming a vehicle roof
CN105480202B (zh) 用于擦拭玻璃的机动车辆表面的风挡擦拭器、系统和方法
CN111417886B (zh) 用于环境感测的装置和用于清洁这样的装置的覆盖件的方法
CN103359070B (zh) 一种风挡玻璃清洗装置
JP7311616B2 (ja) 自動車を自動的または半自動的に運転するためのセンサシステムと、ルーフ開放システムおよび/またはソリッドルーフ要素とを含むルーフモジュール
RU2455177C2 (ru) Оболочка бортового оптического сенсо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бортового оптического сенсора
KR20200040013A (ko) 센서 직접세척 장치 및 자율주행차량
KR20220038751A (ko) 자율 또는 부분 자율 차량 작동용 환경 센서를 가진 루프 모듈
KR102312411B1 (ko) 차량용 무빙 카메라의 렌즈 이물질 세척 장치
KR20230169080A (ko) 세척 장치, 자동차 및 방법
KR20150004210U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및 사이드윈도우 빗물제거기능을 갖는 사이드미러
CN112141047A (zh) 用于保护传感器窗的装置和调节该装置部件位置的方法
CN116262486A (zh) 用于清洁传感器的喷射结构及其控制方法
WO2014096616A1 (fr) Balai d'essuyage avec separateur de jet
KR20180102460A (ko)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클리닝 장치
JP7423201B2 (ja) 光学素子を洗浄するためのモジュール、又は光学素子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する運転支援システム
KR200402832Y1 (ko) 빗물 제거 기능이 구비된 자동차 사이드미러
CN111891070A (zh) 天窗清洁机构及具有其的车辆
CN220127001U (zh) 一种无人驾驶车辆传感器自清洁装置
WO2008006982A1 (fr) Essuie-glace pour l'essuyage d'un pare-brise panoramique pourvu de surfaces laterales, systeme d'essuyage correspondant et son utilisation
CA2127758A1 (en) Windscreen cleaning
CN215475008U (zh) 无人驾驶汽车影像采集器清洁装置
CN102642524A (zh) 后视镜气压净镜装置
WO2024121428A1 (en) Wiper blade having a spray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