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511A -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511A
KR20230168511A KR1020220069064A KR20220069064A KR20230168511A KR 20230168511 A KR20230168511 A KR 20230168511A KR 1020220069064 A KR1020220069064 A KR 1020220069064A KR 20220069064 A KR20220069064 A KR 20220069064A KR 20230168511 A KR20230168511 A KR 20230168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part
housing
pressing
support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택
공정수
오제훈
남주현
김동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9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511A/ko
Publication of KR20230168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4Spanners; Wrenches of the chuc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58Jaw 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하이동을 하고,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누름부; 누름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누름부의 하강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고 누름부의 상승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복수의 소켓죠(JAW); 하우징의 벽면에 마련되어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되는 지지고정부; 및 누름부와 연결되고, 누름부의 하강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지지고정부를 하우징 내측으로 밀어내어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측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 소켓이 소개된다.

Description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VARIABLE SOCKET AND SIZ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소켓을 통하여 다양한 하드웨어 규격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드웨어 사이즈별 가변 메커니즘이 구비된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조립시 부품의 결속 작업은 필수적이며, 대표적인 부품 결속 방법으로서 주로 용접, 체결, 접착 및 끼움 등의 방법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차량 조립 작업 중에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체결 작업이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체결 작업시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는 국제 표준으로 정해진 규격에 맞추어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차량의 조립 순서에 맞게 다양한 부품이 하나의 공정에서 조립되도록 편성되며, 다양한 부품 조립시 볼트와 너트는 하나의 공정 사이에서도 다양한 사이즈가 요구되어 볼트와 너트 조립에 적용되는 소켓 또한 각 사이즈별로 필요하다.
하지만, 하나의 공정 내에서도 차량 조립을 위하여 다양한 사이즈별로 소켓이 요구된다면, 작업자는 부품의 조립 완료시마다 다른 소켓으로 교체해가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공구 준비 비용/시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의 저하 등 생산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2021-0001557 A
본 발명은, 하나의 소켓을 통하여 다양한 하드웨어 규격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드웨어 사이즈별 가변 메커니즘이 구비된 구조를 통하여 비용과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레이아웃 상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하이동을 하고,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누름부; 누름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누름부의 하강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고 누름부의 상승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복수의 소켓죠(JAW); 하우징의 벽면에 마련되어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되는 지지고정부; 및 누름부와 연결되고, 누름부의 하강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지지고정부를 하우징 내측으로 밀어내어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측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 소켓을 구성한다.
하우징은 중앙부가 관통된 원통 구조로서 상하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는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누름부의 상하이동에 따라 지지고정부가 누름부의 경사면을 미끄러지며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누름부는 외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누름부의 하강시 측방지지부는 지지고정부가 고정홈에 체결되도록 하여 누름부가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홈은 누름부의 외측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고정부는 하우징의 벽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지지고정부는 하우징의 벽면에 높이별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마련되고, 복수의 소켓죠(JAW)는 누름부가 하강시 지지고정부와 걸리는 높이가 낮아지면서 수평방향으로 점점 모이도록 할 수 있다.
측방지지부와 누름부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여 측방지지부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측방지지부는 누름부의 하강시 지지스프링을 통해 인장력을 받으면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측방지지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누름부의 하강시 누름부와 함께 움직이고 누름부의 상승시 누름부와 별개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복원고정부;을 더 포함하고, 복원고정부는 누름부가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경우, 누름부와 결합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함께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누름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복원고정부와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하여 지지고정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볼라쳇;을 더 포함하고, 복원고정부는 누름부의 볼라쳇과 고정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누름부와 함께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복원고정부는 누름부의 볼라쳇과 고정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누름부와 함께 상승하여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한 경우, 복원고정부는 누름부의 볼라쳇과 해제되고 복수의 소켓죠(JAW)는 수평방향으로 최대로 벌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경우, 복수의 소켓죠(JAW)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아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누름부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하이동을 하는 단계; 복수의 소켓죠(JAW)는 누름부의 하강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고 누름부의 상승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단계; 지지고정부는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단계; 및 측방지지부는 누름부의 하강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지지고정부를 하우징 내측으로 밀어내어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소켓의 크기 조절 방법을 포함한다.
측방지지부가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 누름부가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경우, 복원고정부는 누름부와 결합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함께 상승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소켓을 통하여 다양한 하드웨어 규격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드웨어 사이즈별 가변 메커니즘이 구비된 구조를 통하여 비용과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레이아웃 상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변 소켓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누름부가 하강시 측방지지부가 지지고정부를 하우징 내측으로 밀어내어 가변 소켓의 크기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누름부가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경우, 누름부를 한번 더 눌러 가변 소켓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복원스프링에 의해 누름부가 상승하면서 복수의 소켓죠(JAW)가 서로 벌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복원고정부가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한 경우, 누름부의 볼라쳇과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가변 소켓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 요소를 위주로 나타낸 것으로, 실제 가변 소켓 구현에 있어서는 이보다 더 적거나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은 복원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복원고정부(500)가 나타나고 우측은 크기조절 메커니즘이 나타난다. 도 1의 좌측과 우측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보는 각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나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소켓은 하우징(100), 누름부(200), 소켓죠(JAW, 400), 지지고정부(270) 및 측방지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100)은 상하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 형성된 내부공간은 중앙부가 관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통공간에 누름부(200)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여 누름부(200)를 통해 외부압력을 가하거나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가변 소켓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특수한 전기 구동원 없이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누름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하이동을 하고 상방으로 탄성지지될 수 있다. 누름부(200)는 누름부(200)의 하방에 마련된 복원스프링(300)을 통하여 탄성지지될 수 있으며, 스프링은 하방 중앙에서 누름부(20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프링은 누름부(200)가 외부압력을 통해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경우 다시 원위치로 복원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200)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부분은 측방지지부(250)와 지지스프링(26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누름부(200)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누름부(200)를 통해 외부압력을 가하거나 체결공구를 삽입하여 가변 소켓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누름부(200)가 하강시 측방지지부(250)가 지지고정부(270)를 하우징(100) 내측으로 밀어내어 가변 소켓의 크기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00)의 외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누름부(200)의 상하이동에 따라 지지고정부(270)가 누름부(200)의 경사면을 미끄러지며 하우징(10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누름부(200)의 외측면에서 지지고정부(270)가 하우징(10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하는 부분을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하여 누름부(200)를 통해 가변 소켓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 지지고정부(270)가 하우징(100) 외측면을 미끄러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름부(200)에 외부압력을 가하게 되면 누름부(200)가 하강하여 하우징(100)의 벽면에 마련된 지지고정부(270)는 누름부(200) 외측면을 미끄러져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수평이동되고, 반대로 복원 과정에서 누름부(200)가 상승하여 지지고정부(270)는 누름부(200) 외측면을 미끄러져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수평이동되게 된다.
또한, 누름부(200)의 외측면에는 지지고정부(270)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60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600)은 누름부(200)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동시에 형성될 수 있고, 누름부(200)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고 고정홈(600)만 형성될 수 있다. 측방지지부(250)의 내측 하방에 경사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누름부(200) 하강시 측방지지부(250)는 지지고정부(270)가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수평이동하여 고정홈(600)에 체결되게 된다. 고정홈(600)이 형성되지 않고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에는 지지고정부(270)는 누름부(200) 하강시 누름부(200)의 외측면을 미끄러져 하우징(100) 내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측방지지부(250)와 누름부(200) 사이에서 힘을 받아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고정홈(600)이 누름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경우 지지고정부(270)는 누름부(200) 하강시 측방지지부(250)의 경사면을 미끄러져 하우징(100) 내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측방지지부(250)와 누름부(200) 사이에서 힘을 받아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에 걸리는 동시에 고정홈(600)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홈(600)의 형상은 지지고정부(27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00)의 외측면에 지지고정부(270)의 형상인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지지고정부(270), 측방지지부(250) 및 가변 소켓의 크기 조절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지지고정부(270)는 하우징(100)의 벽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지지고정부(270)는 소켓죠(JAW, 400)가 모이고 벌어지는 크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 구조인 하우징(100)의 형상에 맞추어 원주 방향으로 60도 간격으로 지지고정부(27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고정부(270)는 복수의 소켓죠(JAW, 400)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거나 벌어지는 크기에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지고정부(270)는 볼트의 크기가 M6, M8, M10로 하여 하우징(100)의 벽면에 설계될 수 있지만, M6, M8, M10 총 3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크기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최초의 위치는 M10의 위치이고, M10의 위치는 하우징(100)과 누름부(200)가 맞닿는 구조로 인하여 자동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고정부(270)는 하우징(100)의 벽면에 높이별로 M8과 M6 위치 총 2개소에6개씩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200)가 외부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높이가 M10 에서 M8, M8에서 M6로 갈수록 복수의 소켓죠(JAW, 400)는 수평방향으로 점점 모여 좁아지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소켓죠(JAW, 400)는 누름부(200)의 하부에 결합되어 누름부(200)의 하강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고 누름부(200)의 상승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벌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00)의 하부에서 스프링과 연결된 구조물(미표시)은 내측면이 외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고, 이 구조물이 복수의 소켓죠(JAW, 400)와 연결된다. 구조물이 수직방향으로 하강시 복수의 소켓죠(JAW, 400)를 내측으로 밀어내어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게 하고, 구조물이 수직방향으로 상승시 복수의 소켓죠(JAW, 400)를 외측으로 당기도록 하여 수평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할 수 있다.
측방지지부(250)는 누름부(200)와 연결되고, 누름부(200)의 하강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지지고정부(270)를 하우징(100) 내측으로 밀어내어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측방지지부(250)는 누름부(200)와 상하방향으로 연결하여 측방지지부(250)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26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200)를 누르면 누름부(200)가 밀려 내려가며 하강하게 되고 측방지지부(250)는 하방으로 천천히 내려오게 된다. 측방지지부(250)는 M10의 지지고정부(270)에 걸려 내려가지 못하지만, 지지고정부(270)가 누름부(200)를 통해 하우징(100) 내측으로 수평이동하면서 밀려 들어가므로 측방지지부(250)가 지지스프링(260)을 통한 인장력을 받으면서 천천히 내려올 수 있는 것이다.
즉, 누름부(200)가 내려감에 따라 M8 위치의 지지고정부(270) 내측으로 공간이 생기게 되고, 측방지지부(250)는 지지고정부(270)를 하우징(100) 내측으로 밀게 되어 지지고정부(270)는 하우징(100) 내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누름부(200)가 M8 위치에 도달한 직후 도 2에서와 같이 지지고정부(270)는 누름부(200)와 측방지지부(250)에 의해 상하방이 모두 규제되어 어느 방향으로도 밀릴 수 없으며, 이때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따라서 M8에 위치한 가변 소켓의 크기에서 소켓죠(JAW, 400)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아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M8 위치에서 M6 위치로 한번 더 가변하고자 할때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누름부(200)를 다시 한번 누르게 되면 누름부(200)는 다시 하강하고, 측방지지부(250)와 연결된 지지스프링(260)이 인장력을 받으면서 측방지지부(250)는 누름부(200)를 따라 천천히 내려오게 된다.
이하에서는 가변 소켓의 크기 복원 메커니즘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누름부(200)가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경우, 누름부(200)를 한번 더 눌러 가변 소켓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복원스프링(300)에 의해 누름부(200)가 상승하면서 복수의 소켓죠(JAW, 400)가 서로 벌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가변 소켓의 크기를 복원하려면 복원고정부(500)가 필요하다. 복원고정부(500)는 측방지지부(250)의 하방에 마련되며 누름부(200)의 하강시 누름부(200)와 함께 움직이고 누름부(200)의 상승시 누름부(200)와 별개로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원고정부(500)는 60도의 위상차가 있는 상태로 누름부(200)와 끼움 결합되어 누름부(200)의 하강 또는 상승에 따라 다르게 동작하게 된다.
가변 소켓의 크기 복원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누름부(200)가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인 M6 위치에서 누름부(200)를 한번 더 누르게 되면 누름부(200)는 복원고정부(50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누름부(200)와 복원고정부(500)는 누름부(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볼라쳇(550)을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복원고정부(500)는 하우징(100) 하단에 형성된 하우징스토퍼(150)로 인하여 더이상 하강할 수 없기 때문에 누름부(200)만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볼라쳇(550)이 복원고정부(500)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것이다. 복원고정부(500)와 누름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복원스프링(300)에 의하여 누름부(200)와 복원고정부(500)가 모두 밀려 올라가며 상승하게 된다. 복원고정부(500)가 밀려 올라가기 때문에, 복원고정부(500)의 상부에 위치한 측방지지부(250) 또한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서 함께 상승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볼라쳇(550)이 지지고정부(270)가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복원고정부(500)와 누름부(200)를 결합시키고, 이로 인해 지지고정부(270)가 하우징(100)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복원스프링(300)에 의해 복원고정부(500), 누름부(200) 및 측방지지부(250)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복원고정부(500)가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한 경우, 누름부(200)의 볼라쳇(550)과 해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원력에 의해 복원고정부(500)가 누름부(200)와 함께 상승하여 최대 상승 위치인 초기 위치(M10)에 도달한 경우, 복원고정부(500)에 형성된 홈이 누름부(200)의 볼라쳇(550)과 해제되어 지지고정부(270) 내측으로 공간이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고정부(270)는 하우징(100) 내측으로 수평이동되어 초기 상태와 같이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M10)에 걸리기 때문에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이때 복수의 소켓죠(JAW, 400)는 수평방향으로 최대로 벌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은, 누름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서 상하이동을 하는 단계; 복수의 소켓죠(JAW, 400)는 누름부(200)의 하강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고 누름부(200)의 상승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단계; 지지고정부(270)는 하우징(10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단계; 및 측방지지부(250)는 누름부(200)의 하강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지지고정부(270)를 하우징(100) 내측으로 밀어내어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소켓의 크기 조절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소켓의 크기 조절 방법의 각 단계에서의 세부적인 기술적 특징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소켓에서의 각 구성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측방지지부(250)가 누름부(200)가 지지고정부(270)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에는 누름부(200)가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경우, 복원고정부(500)는 누름부(200)와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서 함께 상승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소켓을 통하여 다양한 하드웨어 규격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하드웨어 사이즈별 가변 메커니즘이 구비된 구조를 통하여 비용과 생산성 측면에서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레이아웃 상의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50 : 하우징스토퍼
200 : 누름부
250 : 측방지지부
260 : 지지스프링
270 : 지지고정부
300 : 복원스프링
400 : 복수의 소켓죠(JAW)
500 : 복원고정부
550 : 볼라쳇
600 : 고정홈(라운드 형상)

Claims (14)

  1. 상하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마련되어 상하이동을 하고, 상방으로 탄성지지되는 누름부;
    누름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누름부의 하강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고 누름부의 상승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복수의 소켓죠(JAW);
    하우징의 벽면에 마련되어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되는 지지고정부; 및
    누름부와 연결되고, 누름부의 하강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지지고정부를 하우징 내측으로 밀어내어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측방지지부;를 포함하는 가변 소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은 중앙부가 관통된 원통 구조로서 상하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누름부는 외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누름부의 상하이동에 따라 지지고정부가 누름부의 경사면을 미끄러지며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누름부는 외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누름부의 하강시 측방지지부는 지지고정부가 고정홈에 체결되도록 하여 누름부가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고정홈은 누름부의 외측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고정부는 하우징의 벽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7. 청구항 6에 있어서,
    지지고정부는 하우징의 벽면에 높이별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마련되고,
    복수의 소켓죠(JAW)는 누름부가 하강시 지지고정부와 걸리는 높이가 낮아지면서 수평방향으로 점점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8.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방지지부와 누름부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하여 측방지지부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측방지지부는 누름부의 하강시 지지스프링을 통해 인장력을 받으면서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9.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방지지부의 하방에 마련되며, 누름부의 하강시 누름부와 함께 움직이고 누름부의 상승시 누름부와 별개로 움직이도록 형성된 복원고정부;을 더 포함하고,
    복원고정부는 누름부가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경우, 누름부와 결합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함께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누름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복원고정부와 고정 또는 해제되도록 하여 지지고정부가 하우징의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볼라쳇;을 더 포함하고,
    복원고정부는 누름부의 볼라쳇과 고정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누름부와 함께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복원고정부는 누름부의 볼라쳇과 고정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누름부와 함께 상승하여 최대 상승 위치에 도달한 경우,
    복원고정부는 누름부의 볼라쳇과 해제되고 복수의 소켓죠(JAW)는 수평방향으로 최대로 벌어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는 경우,
    복수의 소켓죠(JAW)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아진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
  13. 누름부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상하이동을 하는 단계;
    복수의 소켓죠(JAW)는 누름부의 하강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모이고 누름부의 상승시 수평방향으로 서로 벌어지는 단계;
    지지고정부는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수평이동하는 단계; 및
    측방지지부는 누름부의 하강시 하방으로 이동되며 지지고정부를 하우징 내측으로 밀어내어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변 소켓의 크기 조절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측방지지부가 누름부가 지지고정부에 걸려 상방으로 이동이 저지되도록 하는 단계 이후,
    누름부가 하강하여 최대 하강 위치에 도달한 경우, 복원고정부는 누름부와 결합되어 하우징의 내부공간에서 함께 상승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소켓의 크기 조절 방법.

KR1020220069064A 2022-06-07 2022-06-07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 KR20230168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64A KR20230168511A (ko) 2022-06-07 2022-06-07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064A KR20230168511A (ko) 2022-06-07 2022-06-07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511A true KR20230168511A (ko) 2023-12-14

Family

ID=8916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064A KR20230168511A (ko) 2022-06-07 2022-06-07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51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57U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변형 소켓 공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557U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변형 소켓 공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810152T2 (de) Beleuchtungsvorrichtung mit abnehmbaren tragarmen
CA2748068A1 (en) Assembling an auxiliary lifting unit on a mobile crane
KR20230168511A (ko)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
CN110303286A (zh) 一种用于箱体焊接的快调式无损夹具及其使用方法
CN205465865U (zh) 一种抗扭拉杆的装配工装
KR20180086719A (ko) 방충망 또는 안전망 고정장치
KR20230165464A (ko) 가변 소켓 및 그를 위한 크기 조절 방법
DE102005053122B4 (de) Haltevorrichtung für eine Lichtquelle in einer Fassung
KR20210039806A (ko) 시트 백커버용 압착 제조장치
KR20240024541A (ko) 엔드 이펙터의 설치 및 정렬이 용이한 이송 로봇
CN211102578U (zh) 自动压灯罩治具
KR102273929B1 (ko) 멀티 체결이 가능한 클램프 조립 자동화 장치
CN109176598A (zh) 一种汽车发动机装配用辅助型机械手
CN211713257U (zh) 一种晶种安装装置
CN115802982A (zh) 种植体组件
CN208099095U (zh) 一种便于拆卸的组合式端子压接座
CN110977390A (zh) 一种停放缸的鼓形弹簧压配工装
DE19816364C2 (de) Lampengehäuse, insbesondere Scheinwerfergehäuse
US4635334A (en) Automatic transmission rebuilding tool
CN210398551U (zh) 一种拼接式隧道照明灯
CN218721104U (zh) 一种组装式灯体壳结构
CN210555264U (zh) 悬架总成装配设备
CN212777224U (zh) 一种led灯具安装支架
KR101171286B1 (ko) 자동차 엔진용 밸브 리테이너 자동조립장치
CN210232739U (zh) 面板装配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