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382A -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382A
KR20230168382A KR1020220068770A KR20220068770A KR20230168382A KR 20230168382 A KR20230168382 A KR 20230168382A KR 1020220068770 A KR1020220068770 A KR 1020220068770A KR 20220068770 A KR20220068770 A KR 20220068770A KR 20230168382 A KR20230168382 A KR 20230168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phase
signal
detection sensor
dischar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규
김용주
이기덕
이진
이진한
김병승
이영현
Original Assignee
(주)오앤엠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앤엠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오앤엠 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6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382A/ko
Publication of KR2023016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01R23/1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by converting frequency into phase shi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01R23/15Indicating that frequency of pulses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by making use of non-linear or digital elements (indicating that pulse width is above or below a certain lim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165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using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01R25/04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involving adjustment of a phase shifter to produce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e.g. zero differ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3상 고전압 전력기기의 부분방전을 상별로 검출할 수 있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는, 전력기기의 외부에 부착되어 비접촉식으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 상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는 밴드패스필터; 상기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미리 설정된 위상값을 적용하여 상별 부분방전 신호를 분리 검출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hase-by-phase Partial Discharge of 3-phase High-voltage Power Equipment using Non-contact Partial Discharge Sensor}
본 발명은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발전기 등의 3상 고전압 전력기기의 내부 절연열화로 인한 부분방전을 검출하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 또는 변압기 등의 고압 전력기기의 경우, 운전 중 부분방전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고, 이를 통해 권선 절연의 열화 정도를 확인하여 이상 발생시 조기에 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고압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259496호의 부분방전 진단 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전력기기의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검출 신호를 획득하는 UHF(Ultra High Frequency) 센서; 상기 UHF 센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UHF 센서로부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상기 검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UHF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로부터 위상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여 부분방전을 검출하고, 부분방전 진단 결과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부분방전 검출부; 및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로부터 무선 전송된 부분방전 진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분방전 검출부는 상기 UHF 센서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하여 부분방전 신호와 상기 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분리부; 상기 주파수 분리부로부터의 상기 위상 신호에 동기화되어 상기 부분방전 신호를 분석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에 의해 분석된 부분방전 진단 결과를 상기 HMI부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파수 분리부는 상기 UHF 센서로부터의 상기 검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고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상기 부분방전 신호를 출력하는 하이 패스 필터; 및 상기 UHF 센서로부터의 상기 검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저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상기 위상 신호를 출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로우 패스 필터로부터의 상기 위상 신호에 동기화하여 상기 하이 패스 필터로부터의 상기 부분방전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원인별로 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3상 전력기기에서 권선 절연의 열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분방전을 측정하려면 3개의 부분방전 센서를 각 상의 고압 권선에 직접 연결해야 하고, 이 때문에 고가의 고압 부분방전 센서를 각 상별로 설치하게 됨에 따른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더해 고압 부분방전 센서의 설치를 위해 3상 전력기기의 운전이 장시간 중지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단점 보완을 위하여 권선 절연의 열화 정도를 간이적 방법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3개의 고압 부분방전 센서를 고압 권선에 직접 연결 설치하는 대신 1개의 비접촉 부분방전 센서를 설치하는 측정 기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경우 3상 부분방전이 동시에 측정되어서 과도한 부분방전 발생으로 이상 징후를 보인 고압 권선의 상별 검출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1개의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부분방전 검출 장치 및 그 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259496 B1 (2021. 05. 27.) KR 10-1417897 B1 (2014. 07. 03.) KR 10-1290294 B1 (2013. 07. 22.) KR 10-2008-0076328 A (2008. 08. 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1개의 비접촉식 부분방전 센서를 이용하여 3상 고전압 전력기기의 부분방전을 상별로 검출할 수 있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는, 전력기기의 외부에 부착되어 비접촉식으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 상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는 밴드패스필터; 상기 밴드패스필터를 통과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 및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미리 설정된 위상값을 적용하여 상별 부분방전 신호를 분리 검출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된 모니터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A/D 컨버터에 연결되면서 상기 A/D 컨버터를 통해 처리되는 신호의 영점을 검출하는 영점 검출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방법은,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로부터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 단계; 상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 단계에서 검출된 신호를 설정된 주파수 대역대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 단계; 및 상기 신호처리 단계를 통해 처리된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위상값에 따라 부분방전 신호를 시간차를 두고 검출하여,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를 분리 검출하여 모니터링 하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 및 모니터링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신호처리 단계에서 입력되는 신호의 영점을 설정하는 영점처리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 및 모니터링 단계는 설정된 영점을 시작으로 60Hz 파형기준 16.8msec 시간 간격을 두고 30 ~ 60° 또는 210 ~ 240° 위상값을 적용하여 해당 위치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고, 120°씩 스위칭하여 검출되는 신호를 1상부터 3상까지 시간 순서대로 구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비접촉식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전력기기로부터 검출되는 3상의 신호 중, 부분방전 신호가 섞여서 검출되더라도 해당 부분방전 신호가 어느 상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고, 그 결과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비접촉식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설치하는 비용이 감소되고, 이와 동시에 비접촉식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전력기기에 설치하는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방법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검출신호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로 부터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위상 분포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장치를 통해 시간차 및 위상차를 두고 검출 신호를 상별로 분리하여 분석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1개의 비접촉식 부분방전 센서를 이용하여 3상 고전압 전력기기의 부분방전을 상별로 검출할 수 있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부분방전 검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 밴드패스필터(20), A/D 컨버터(30) 및 모니터링장치(40)로 이루어진다.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는 발전기 또는 변압기 등의 고압 전력기기의 외부에 설치되어 내부 권선의 절연 열화 정도에 따라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저면에 위치되는 소정 두께의 제1 절연판(12)과, 상기 제1 절연판(12)의 저면에 부착되는 소정 두께의 제1 전도체(13)와, 상기 제1 전도체(13)의 저면에 부착되는 소정 두께의 간격유지부재(14)와, 상기 간격유지부재(14)의 저면에 부착되는 소정 두께의 제2 전도체(15)와, 상기 제2 전도체(15)의 저면에 부착되는 소정 두께의 제2 절연판(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절연판(12)과 하우징(11) 사이 및 상기 제2 절연판(16)의 저면에는 소정 두께의 부착부재(17)가 설치되고, 이러한 부착부재(17)를 통해 제1 절연판(12)과 제2 절연판(16)이 각각 하우징(11)과 전력기기의 외측면에 강건하게 부착되게 된다.
또한, 제1 전도체(13)에는 접지선(도시하지 않음)의 일단이 연결되고, 제2 전도체(15)에는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의 일단이 연결되며, 이러한 접지선과 신호선의 타단은 하우징(11)의 내부로 삽입되어 후술되는 밴드패스필터(20)와 연결되게 된다.
한편, 하우징(11)의 저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영구자석(18)이 설치되고, 이러한 영구자석(18)을 통해 전력기기의 외측면에 하우징(11)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하우징(11) 저면에 부착된 제2 열연판(16)의 부착부재(17)가 전력기기의 외측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는데,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18)의 높이와 부착부재(17)의 높이 사이에 소정의 높이차(H)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영구자석(18)이 자력에 의해 전력기기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 자연스럽게 부착부재(17)가 소정 폭 눌린 상태로 전력기기에 부착되게 되면서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를 통해 검출되는 신호의 정확성이 담보되게 된다.
밴드패스필터(20)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인가받아 설정된 주파수대역대의 주파수를 출력하고, 그 이상의 주파수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밴드패스필터(20)는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D 컨버터(30)는 밴드패스필터(20)를 통과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A/D 컨버터(30)를 통해 후술되는 모니터링장치(40)에서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부분방전 신호의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A/D 컨버터(30)에는 모니터링장치(40)로 처리된 신호가 전송되기에 앞서 처리되는 신호의 영점을 검출하는 영점 검출기(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점 검출기(50)는 비교기를 통해 기준전압보다 높은 신호는 양의 값으로, 기준전압보다 낮은 신호는 음의 값으로 구분하여 출력되도록 한 다음, 음과 양의 신호가 전환되는 기점을 파악하여 영점을 검출하고, 이러한 영점을 기준으로 신호가 처리되도록 하여 모니터링장치(40)의 알고리즘을 통해 영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위상값과 시간차를 두고 부분방전 신호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모니터링장치(40)는 A/D 컨버터(30)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별 부분방전 신호를 분리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으로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모니터링장치(40)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에서 검출되는 신호가 실시간으로 출력되게 된다.
또한, 모니터링장치(40)에서는 A/D 컨버터(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신호로부터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이용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기기에 부착된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로부터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고(S10), 검출된 신호를 밴드패스필터(20)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대로 필터링한 다음 필터링된 아날로그신호를 A/D 컨버터(30)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며(S20), 이때 변환되는 신호의 영점이 검출되게 된다(S21).
그런 다음, 영점이 검출된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위상값에 따라 부분방전신호를 시간차를 두고 검출하고, 이를 통해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가 분리 검출되게 된다(S30).
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검출된 신호상의 부분방전 신호의 분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상에 집중되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해당 위상범위 내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것만으로 해당 상의 부분방전 신호를 충분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상별로 검출되는 신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의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각 상별로 검출되는 신호가 1개의 부분방전 신호검출센서(10)를 통해 연속된 하나의 신호로 검출되더라도 영점을 기준으로 위상차를 적용하면 각 상의 검출신호를 상별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즉, 부분방전 신호가 상별로 중복되지 않는 특정 위상에서 부분방전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을 두고 검출하게 되면, 3상 중 특정된 어느 한 상의 부분방전 신호만이 검출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영점을 기준으로 16.8msec 시간 간격(60Hz 파형기준)을 두고 30 ~ 60° 또는 210 ~ 240°상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게 되면,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가 중첩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영점을 기준으로 최초 30 ~ 60° 또는 210 ~ 240°상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1상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로 판단하게 되고, 이후 16.8msec 시간 간격이 경과되고 나면, 120°를 스위칭 한 다음 두 번째 30 ~ 60° 또는 210 ~ 240°상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2상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또 다시 16.8msec 시간 간격이 경과되고 나면, 120°를 스위칭 한 다음 세 번째 30 ~ 60° 또는 210 ~ 240°상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3상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그런 다음, 또 다시 16.8msec 시간 간격이 경과되고 나면, 120°를 스위칭 한 다음 네 번째 30 ~ 60° 또는 210 ~ 240°상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를 1상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로 판단하게 되고, 이후 위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즉, 모니터링장치(40)는 설정된 영점을 시작으로 60Hz 파형기준 16.8msec 시간 간격을 두고 30 ~ 60° 또는 210 ~ 240° 위상값을 적용하여 해당 위치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고, 120°씩 스위칭하여 검출되는 신호를 1상부터 3상까지 시간 순서대로 구분하고, 이를 반복하는 것으로 연속된 하나의 신호로부터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60Hz 파형기준 16.8msec 시간 간격을 두고 120°씩 스위칭하여 30 ~ 60° 또는 210 ~ 240° 위상값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함에 있어서, 다른 상의 부분방전 신호가 일부 섞여서 검출될 수 있는데, 이렇게 다른 상의 부분방전 신호가 섞이게 되는 경우에는 해당 상의 위상값에서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호가 검출되는 시간이 짧고, 신호의 세기가 약한 특징이 있다.
따라서 다른 상의 부분방전 신호가 섞여서 검출되는 경우라도 검출되는 부분방전 신호의 검출 시간과 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으로 검출되면, 다른 상의 부분방전 신호가 일부 섞인 것이라 하더라도 해당 상에도 부분방전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다른 상의 부분방전 신호가 섞여서 검출되는 경우라도 16.8msec 시간 간격을 두고 120°씩 스위칭하여 30 ~ 60° 또는 210 ~ 240° 위상값의 부분방전 신호를 3회 이상 반복하여 검출함에 따라 부분방전 신호의 검출시간과 신호의 세기가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 되는 상(실제로 부분방전이 발생한 상)을 특정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각 상별로 부분방전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비접촉식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하여 전력기기로부터 검출되는 3상의 신호 중, 부분방전 신호가 섞여서 검출되더라도 해당 부분방전 신호가 어느 상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고, 그 결과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의 비접촉식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설치하는 비용이 감소되고, 이와 동시에 비접촉식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전력기기에 설치하는 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 11: 하우징
12: 제1 절연판 13: 제1 전도체
14: 간격유지부재 15: 제2 전도체
16: 제2 절연판 17: 부착부재
18: 영구자석 20: 밴드패스필터
30: A/D 컨버터 40: 모니터링장치
50: 영점 검출기 H: 높이차

Claims (5)

  1. 전력기기의 외부에 부착되어 비접촉식으로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
    상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는 밴드패스필터(20);
    상기 밴드패스필터(20)를 통과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30); 및
    상기 A/D 컨버터(30)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미리 설정된 위상값을 적용하여 상별 부분방전 신호를 분리 검출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된 모니터링장치(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D 컨버터(30)에 연결되면서 상기 A/D 컨버터(30)를 통해 처리되는 신호의 영점을 검출하는 영점 검출기(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3. 청구항 1에 따른 부분방전 검출장치를 이용한 부분방전 검출방법에 있어서,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10)로부터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 단계(S10);
    상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 단계(S10)에서 검출된 신호를 설정된 주파수 대역대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 단계(S20); 및
    상기 신호처리 단계(S20)를 통해 처리된 신호로부터 미리 설정된 위상값에 따라 부분방전 신호를 시간차를 두고 검출하여, 각 상별로 부분방전 신호를 분리 검출하여 모니터링 하는 부분방전 신호 검출 및 모니터링 단계(S3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 단계(S20)에서는,
    입력되는 신호의 영점을 설정하는 영점처리 단계(S2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분방전 신호 검출 및 모니터링 단계(S30)에서는,
    설정된 영점을 시작으로 60Hz 파형기준 16.8msec 시간 간격을 두고 30 ~ 60° 또는 210 ~ 240° 위상값을 적용하여 해당 위치의 부분방전 신호를 검출하고, 120°씩 스위칭하여 검출되는 신호를 1상부터 3상까지 시간 순서대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방법.
KR1020220068770A 2022-06-07 2022-06-07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230168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70A KR20230168382A (ko) 2022-06-07 2022-06-07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70A KR20230168382A (ko) 2022-06-07 2022-06-07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382A true KR20230168382A (ko) 2023-12-14

Family

ID=8916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770A KR20230168382A (ko) 2022-06-07 2022-06-07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38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328A (ko)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효성 주파수/위상 스펙트럼을 이용한 전력기기용 원격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290294B1 (ko) 2011-10-31 2013-07-26 주식회사 효성 비접촉 위상측정센서를 이용한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KR101417897B1 (ko) 2012-12-28 2014-08-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부분방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2259496B1 (ko) 2019-10-14 2021-06-0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부분 방전 진단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328A (ko)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효성 주파수/위상 스펙트럼을 이용한 전력기기용 원격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290294B1 (ko) 2011-10-31 2013-07-26 주식회사 효성 비접촉 위상측정센서를 이용한 전력기기의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KR101417897B1 (ko) 2012-12-28 2014-08-13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부분방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2259496B1 (ko) 2019-10-14 2021-06-0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부분 방전 진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00019B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частичных разрядов в электрическом силовом трансформаторе
CN101915884B (zh) 三相不接地系统中接地故障相鉴别方法及鉴别装置
US20150054524A1 (en)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JP2011215067A (ja) 絶縁診断方法、絶縁診断システムおよび回転電機
KR101617117B1 (ko) 보호 계전 장치의 동작 시험 시스템
KR20160025068A (ko) 부분방전 검출 시스템
KR200401675Y1 (ko) 저압 전로의 활선 절연감시장치
KR20100029338A (ko) 초음파를 이용한 변압기 진단 시스템
KR102314148B1 (ko) 전력설비의 절연열화상태 측정장치
KR100584020B1 (ko) 피씨 기반의 가변 주파수 인버터형 고출력 접지저항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JP5622670B2 (ja) 絶縁劣化診断装置
KR20230168382A (ko) 비접촉 부분방전 신호 검출센서를 이용한 3상 고압 전력기기의 상별 부분방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538999B1 (ko) 부분방전 진단장치
JP2010230497A (ja) 高圧受電設備の絶縁劣化診断装置
JPH09127181A (ja) 電力設備のコロナ放電検出装置
CN216209617U (zh) 一种电弧检测装置及电能表
JPH0945537A (ja) 高電圧機器の絶縁状態監視装置
JP4663846B2 (ja) パターン認識型部分放電検知器
KR101165298B1 (ko) 극저주파 내압기와 고주파 변류기의 부분방전 진단 장비를 사용하는 원자력발전소 고압케이블 부분방전 측정 방법
KR102343931B1 (ko) 지중전력 케이블 활선 회선 탐사 장치 및 방법
KR102259496B1 (ko) 부분 방전 진단 장치
KR100765449B1 (ko) 고압전기설비의 부분방전 감시시스템에 있어서의 노이즈제거방법 및 장치
CN113064037A (zh) 一种采用多通道射频扫描方式的局部放电信号检测装置
CN112600526A (zh) 用于漏电电流的补偿装置
CZ2008647A3 (cs) Zpusob a zarízení pro detekci poruchy vysokonapetového závesného izolovaného vod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