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178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178A
KR20230168178A KR1020237027316A KR20237027316A KR20230168178A KR 20230168178 A KR20230168178 A KR 20230168178A KR 1020237027316 A KR1020237027316 A KR 1020237027316A KR 20237027316 A KR20237027316 A KR 20237027316A KR 20230168178 A KR20230168178 A KR 2023016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water storage
cov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쥬 중
리앙동 리우
Original Assignee
닝보 탈러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361760.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823664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360417.5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42355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10602864.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013923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346811.3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42354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346607.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42353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381943.X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54103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221346483.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7423567U/zh
Application filed by 닝보 탈러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닝보 탈러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기술 분야에 속하며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청정 모듈, 에어 진입 모듈, 지지 모듈이 상호 독립적이면서 상대적으로 탈부착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가습 기능을 구비하면서 급수와 지수(Water stop)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기술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특히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주로 모터, 팬, 공기 필터망 등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작동 원리는 모터가 팬을 구동해 회전시키면 실내 공기가 순환 및 유동되고, 오염된 공기는 필터망을 통한 후 각종 오염물이 걸러지거나 흡착되고, 필터된 깨끗한 공기가 기계 밖으로 다시 배출되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고 정화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저마다 장점을 구비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일부 단점 또한 존재한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를 모듈화하는 개선된 특징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여, 본 발명은 주로 이러한 문제 및 기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존재하는 상술한 문제에 착안하여 공기 청정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 기술 방안을 통해 실현되며,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필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기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순서대로 씌움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층을 포함하고, 각 상기 필터층은 모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을 이루고; 여기에서, 가장 외측에 있는 상기 필터층의 측부 외주면에는 에어 진입 통로가 형성되고, 가장 내측에 있는 상기 필터층의 중공 내부에는 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하나의 청정 모듈;
공기가 상기 에어 진입 통로에서부터 유입되며, 순서대로 각각의 상기 필터층을 거쳐 유동된 후 상기 에어 배출 통로에서 배출되되 에어 배출구가 포함되고,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상기 에어 배출 통로에 연통되는 하나의 에어 진입 모듈;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하나의 지지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에어 진입 모듈, 상기 청정 모듈, 상기 지지 모듈 간에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서, 상기 지지 모듈은 바닥 시트;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바닥 시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되는 지지 부재; 및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바닥 시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동되는 지지 부재;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 시트의 변화에 상대되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놓일 경우,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상태에 놓일 경우,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바닥 시트 밖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수용 홈을 포함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에어 배출구에 장착되는 에어 가이드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 가이드 덮개는,
내부에 제2 에어 슈트(air chute)가 한정되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에 상대되게 회전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단부에는 에어 진입측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에는 에어 배출측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진입측에는 상기 에어 배출구가 연통되는 덮개체;
상기 덮개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단부에 상이한 에어 배출 방향이 형성되는 신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덮개는,
내부에 수납 홈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체는 상기 신축 어셈블리의 연동 하에서의 극한 상태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가 상기 극한 상태일 때, 상기 덮개체와 상기 신축 어셈블리가 모두 상기 수납 홈 내부에 수납되는 하나의 수납 시트; 및
이동하여 상기 수납 홈을 커버하는 하나의 커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 어셈블리는 힌지 연결 시트;
상기 덮개체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힌지 연결 시트에 장착되면서, 상기 덮개체 간에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회전 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 진입 모듈은, 상기 에어 배출구가 연통되고, 상기 에어 배출구를 경유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하나의 가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소자에는 관통되는 에어 관통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관통 통로에는 상기 에어 배출구가 연통되고, 상기 발열 소자는 에어 배출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어 배출구를 덮는다.
두번째,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필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기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순서대로 씌움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층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필터층은 모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을 이루고; 여기에서, 가장 외측에 있는 상기 필터층의 측부 외주면에는 에어 진입 통로가 형성되고, 가장 내측에 있는 상기 필터층의 중공 내부에는 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하나의 청정 모듈;
공기를 상기 에어 진입 통로에서부터 유입시키며, 순서대로 각각의 상기 필터층을 경유한 후 상기 에어 배출 통로에서 배출되고, 상기 에어 진입 모듈이 에어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상기 에어 배출 통로에 연통되는 하나의 에어 진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정 모듈은,
하나의 가습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 기구는,
내부에 물저장 캐비티가 형성되는 물탱크;
상기 에어 진입 통로와 상기 에어 배출 통로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 에어 슈트(air chute)가 설치되고, 공기는 상기 제1 에어 슈트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내부 저수(storage of water)에 의해 습기가 더해지는 저수 부재; 및,
상기 물저장 캐비티와 상기 저수 부재가 연통되고, 상기 물저장 캐비티 내부에 있는 물이 상기 저수 부재로 통하도록 만드는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구는 하나의 급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는 급수구;
상기 급수구 및 상기 물저장 캐비티와 연통되는 저수 캐비티;
이동하여 상기 급수구를 커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고,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급수구 크기에 매칭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하방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급수구를 향하는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두 개의 리브(rib)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기 리브부 사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급수구 사이에 힌지 연결 및 장착되어 힌지 연결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체가 상기 힌지 연결 구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급수구에 장착되고, 상기 힌지 연결 구조는 힌지 연결 홈과 힌지 연결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와 상기 급수구 중 하나에는 상기 힌지 연결 홈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힌지 연결 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 연결 홈에는 갭이 설치되고, 상기 갭의 크기는 상기 힌지 연결 기둥의 직경보다 다소 작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구는 하나의 지수(Water stop)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수 어셈블리는,
상기 물저장 캐비티 내부에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물저장 캐비티 내부의 수위를 따라 이동되는 서보(servo) 부재;
상기 서보 부재에 전동 연결되는 하나의 지수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지수 부재는 상기 서보 부재의 연동 하에 있는 제1 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수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지수 부재가 상기 급수 어셈블리와 상기 물저장 캐비티 사이의 연통을 차단시키고;
상기 서보 부재는 하나의 플로팅 부재이며, 상기 플로팅 부재는 항시 수면에 떠 있는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지수 부재에는 상기 서보 부재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서보 부재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는 직선 가이드 부재가 설치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지수 어셈블리는 상기 서보 부재가 지수 부재와 전동 연결될 수 있도록 만들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전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서보 부재가 상기 제1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단부가 힌지 연결 및 장착되고, 상기 지수 부재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장착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지수 어셈블리는 상기 서보 부재가 지수 부재와 전동 연결될 수 있도록 만들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전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서보 부재가 상기 제1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동 부재의 중간부가 힌지 연결 및 장착되고, 상기 지수 부재가 상기 제2 단부에 장착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구는,
상기 저수 부재와 상기 물저장 캐비티가 연통되고, 상기 저수 부재 내부에 있는 여분의 수분이 상기 물저장 캐비티로 되돌아가게 하는 환수(return water)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구는, 상기 구동 부재의 출력단 및 상기 저수 부재가 연통되고, 상기 물저장 캐비티 내부에 있는 물이 상기 저수 부재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하나의 물 배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청정 모듈, 에어 진입 모듈, 지지 모듈이 상호 독립적이면서 상대적을 탈부착 가능한 기능을 구비하고;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가습 기능을 구비하면서 급수와 지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공기 청정기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A-A 방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B-B 방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가습 기구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물 배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환수(return water)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급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체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지수(Water stop)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지수 어셈블리의 다른 하나의 형식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 진입 모듈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 가이드 덮개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모듈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시트를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래치(latch)형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발열 소자와 에어 배출구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발열 소자와 에어 배출구의 다른 하나의 형식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하기는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기술 특징과 장점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더 쉽게 본 출원의 장점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어,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명확하게 획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 내용 중 전문 용어인 "상", "하", "좌", "우", "내", "외" 등 같은 지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나타난 방향 또는 위치 관계에 기인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을 편리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가리키는 상기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한 방향 및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조작되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한정해서 이해하지 않는다.
또한, 전문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가리키는 기술 특징의 중요성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설명 내용에서 따로 명확하게 밝힌 규정과 한정을 제외하고, 전문 용어인 "장착", "서로 연결". "연결"은 광범위한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 착탈식 연결, 또는 일체로 연결, 직접적인 연결, 중간 매개물을 통한 간접 연결, 두개의 소자 내에서의 연결 등이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해 상기 전문용어가 본 발명 내용에서 쓰인 구체적인 의미로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청정 모듈, 에어 진입 모듈, 지지 모듈을 조합하여 전체 기계를 형성하여, 각 기능 모듈이 단독으로 분리되어 교체 또는 유지보수를 진행하기에 용이하고, 다른 기능 모듈을 추가 조립하기에도 편리하여, 공기 청정기의 기능 또는 구조를 더 확장시킨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필터 기구(210)를 포함하고, 필터 기구(210)는 내부에서 외부로 순서대로 씌움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층을 포함하고, 각각의 필터층은 모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을 이루고; 여기에서, 가장 외측에 있는 필터층의 측부 외주면에는 에어 진입 통로가 형성되고, 가장 내측에 있는 필터층의 측부 내주면에는 제1 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고, 가장 내측에 있는 필터층의 중공 내부에는 제2 에어 배출 통로(214)가 형성되는 청정 모듈(20);
공기에 동력을 형성하여 공기를 에어 진입 통로에서부터 유입시키며, 순서대로 각각의 필터층을 경유한 후 제1 에어 배출 통로에서 제2 에어 배출 통로(214)로 배출시키고고; 하나의 에어 배출구(36)를 더 포함하고, 에어 배출구(36)는 제2 에어 배출 통로(214)와 연통되는 에어 진입 모듈(30);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지지 모듈(10);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에어 진입 모듈(30), 청정 모듈(20), 지지 모듈(10) 사이가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고, 에어 진입 모듈(30)이 공기에 순환 동력을 형성하여, 공기가 청정 모듈(20)의 필터 기구(210)를 경유하도록 하고, 필터 기구(210)는 공기 중 오염물을 거르거나 흡착하며, 필터된 깨끗한 공기는 에어 배출구(36)에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진입 구조, 청정 구조, 지지 구조는 각각 개별적인 기능 모듈을 형성하되 각 모듈 간에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일 방면에서, 각 기능 모듈을 단독으로 분리하기 용이하고 후속 교체 또는 유지보수에 편리하며; 다른 일 방면에서, 기타 부가적인 모듈을 추가 장착시키기 편리하므로, 공기 청정기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필터 기구(210)는 복수 개의 링형인 필터층이 내부에서 외부로 순서대로 중첩되게 구성되며, 복수 개의 필터층은 각각 상이한 필터 매개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필터층은 공기 중에 있는 상이한 오염물을 처리할 수 있고, 또는 복수 개의 필터층이 공기에 대한 계단식 처리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정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공기는 링형인 필터층의 측부 외주면에서부터 유입되고, 폐쇄 공간 내부에 있는 공기는 필터층 외주면의 각 방향에서 유입되어, 에어 유입량이 증가되는 한편, 기류가 더 균일하게 필터 기구(210) 내부로 유입되고; 종래의 편형 필터망 구조와 달리, 상술한 링형의 필터층 구조는 필터 처리 면적을 동시에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필터층의 링형 구조는 원형 링일 수 있고, 사각 링, 타원 링일 수도 있으며, 기타 폐쇄된 링형체일 수도 있어, 본 출원의 기술 효과를 구현하는 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필터층을 예시로 설명하며, 필터 기구(210)넌 외부에서 내부로 순서대로 제1 필터층(212)과 제2 필터층(213)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1 필터층(212)은 HEPA 필터망일 수 있고, HEPA 필터망은 공기 중에 있는 부유 입자를 거를 수 있고; 제2 필터층(213)은 활성탄 필터망일 수 있고, 활성탄 필터망이 공기 중에 있는 유해 가스를 흡착할 수 있고, 상술한 두 개의 필터층의 조합을 통해 실내 공기를 충분히 정화시킨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청정 모듈(20)은 하나의 링형인 보호 재킷(jacket)(21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보호 재킷(211)이 필터 기구(210)의 외곽에 설치되어 필터 기구(210)에 보호를 형성되고, 보호 재킷(211)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통풍구(미도시)가 균일하게 설치됨으로써, 보호 재킷(211) 외측에 있는 공기가 통풍구를 통해 보호 재킷(211)으로 유입될 수 있고; 동시에, 합리적인 통풍구의 홀 직경을 설정함으로써, 보호 재킷(211)은 초기 단계 필터링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공기 중에서 비교적 큰 입경을 지닌 불순물이 보호 재킷(211)의 외곽에 억류되어, 필터층을 막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필터층(212)의 측부 외주면에는 에어 진입 통로가 형성되고, 에어 진입 통로에는 통풍구가 연통되어 제1 필터층(212) 외측에 있는 공기를 필터 기구(210)로 유입시킬 수 있고, 제2 필터층(213)의 측부 내주면에는 제1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어, 두 단계를 거쳐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가 제1 에어 배출 통로에서 배출되고, 제2 필터층(213)의 중공 내부에는 제2 에어 배출 통로(214)가 형성되고, 제2 에어 배출 통로(214)가 X방향을 따라 깨끗한 공기를 배출시킨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청정 모듈(20)은 가습 기구(220)를 더 포함하고; 가습 기구(220)는 물탱크(221), 저수 부재(222), 제2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물탱크(221)의 내부에는 물저장 캐비티(2211)가 형성되고, 저수 부재(222)는 에어 진입 통로와 제2 에어 배출 통로(214) 사이에 설치되고, 저수 부재(222)는 저수 기능을 구비하고, 저수 부재(222) 내부에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 에어 슈트(air chute)가 설치되고, 제2 구동 부재는 물저장 캐비티(2211)와 저수 부재(222)가 연통되고, 제2 구동 부재가 동력을 제공하여 물탱크(221) 내부에 있는 물을 저수 부재(222)로 이송시키고, 저수 부재(222)가 공기의 유통 통로에 배치되고, 공기가 저수 부재(222)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이의 내부 저수에 의해 습기가 더해지므로, 공기의 가습 기능이 구현된다.
예시적으로, 상술한 저수 부재(222)는 탈지면 또는 망체와 같이 수분을 흡수시킬 수 있는 다공성 재료일 수 있고, 다공성 구조는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 에어 슈트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구동 부재는 물펌프일 수 있고, 물펌프는 물탱크(221)의 바닥부에 장착될 수 있고, 물펌프의 출력단이 파이프 라인을 통해 저수 부재(222)에 연통되고, 물펌프는 물탱크(221) 내부에 있는 물을 펌핑하여 저수 부재(222) 내부로 유입시키고, 공기가 저수 부재(222)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이의 내부 저수를 통해 가습이 구현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저수 부재(222)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을 이룰 수 있고, 저수 부재(222)는 제2 필터층(213)의 내측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공기가 제1 필터층(212), 제2 필터층(213)을 거쳐 필터된 후, 저수 부재(222)의 측부 외주면에서 유입되고, 다시 이의 측부 내주면에서 배출되고, 이 과정에서 저수 부재(222) 내부에 있는 저수와 충분히 접촉되어 가습이 구현된다.
일부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가습 기구(220)는 제2 구동 부재의 출력단 및 저수 부재(222)와 연통되며, 물저장 캐비티(2211) 내부에 있는 물을 저수 부재(222)의 각 부위에 균일하게 배치시키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물 배치 어셈블리(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물 배치 어셈블리(223)는 저수 부재(222)의 상단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저수 부재(222)가 삽입되는 장착홈(2231)이 설치되고, 하나의 링형의 물 배치 캐비티(2232)를 구비하고, 장착홈(2231)에 가까운 물 배치 캐비티(2232)의 측벽에는 복수 개의 물 배치 홀(2233)이 균일하게 설치되고, 물 배치 홀(2233)은 저수 부재(222)와 연통되고, 물 배치 캐비티(2232)는 파이프 라인을 통해 제2 구동 부재의 출력단과 연통되고, 제2 구동 부재는 물저장 캐비티(2211) 내부에 있는 물을 물 배치 캐비티(2232)로 이송시킨 후, 각 물 배치 홀(2233)을 통해 균일하게 저수 부재(222)로 통하고, 상술한 방식을 통해, 저수 부재(222)로 균일하게 물이 분포시킨다.
일부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가습 기구(220)는, 저수 부재(222)와 물저장 캐비티(2211)가 연통되고, 저수 부재(222) 내부에 있는 여분의 물을 순환시켜 물저장 캐비티(2211)로 되돌아가게 하는 하나의 환수(return water) 어셈블리(224)를 더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환수 어셈블리(224)는 저수 부재(222)의 바닥부에 설치되면서 물탱크(221)의 꼭대기부에 형성될 수 있는 환수 홈(2241)을 포함할 수 있고, 환수 홈(2241)은 저수 부재(222)의 하부를 삽입 장착시키고, 장착홈(2231)과 환수 홈(2241)이 축 방향에서 저수 부재(222)의 고정 장착을 공동으로 구현하고, 환수 홈(2241)의 바닥부에는 복수 개의 환수 홀(2242)이 개설될 수 있고, 환수 홀(2242)은 저수 부재(222) 및 물저장 캐비티(2211)와 연통되고, 저수 부재(222) 내부에 있는 여분의 수분이 환수 홀(2242)을 거쳐 물저장 캐비티(2211) 내부로 리턴해 흘러 물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탱크(221)의 급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 기구(220)는 탈부착 가능하게 상기 공기 청정기에 장착되고, 물저장 캐비티(2211)와 연통되어 물저장 캐비티(2211)로의 급수를 구현하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와 달리, 본 출원 실시예의 공기 청정기는 물탱크(221)를 빈번하게 탈부착할 필요없이 급수할 수 있는 하나의 급수 어셈블리(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 어셈블리(225)는 하나의 급수 챔버(2251)와 하나의 커버체(225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급수 챔버(2251)에는 급수구(22511)가 설치되고, 급수 챔버(2251)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급수구(22511)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급수 챔버(2251)의 내부에는 저수 캐비티(22512)가 형성되고, 저수 캐비티(22512)는 급수구(22511) 및 물저장 캐비티(2211)와 연통되고; 커버체(2252)는 이동되게 급수구(22511)를 커버한다.
상술한 방식을 통해, 급수구(22511)가 공기 청정기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며, 수동으로 급수구(22511)를 통해 저수 캐비티(22512) 내부에 급수하기에 편리하고, 저수 캐비티(22512)는 파이프 라인을 통해 물저장 캐비티(2211)에 연통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저수 캐비티(22512)가 물저장 캐비티(2211)의 상방에 설치될 수 있고, 저수 캐비티(22512)의 바닥부는 낙수 파이프(226)를 통해 물저장 캐비티(2211)와 연통되고, 저수 캐비티(22512) 내부에 있는 물이 중력 작용 하에 낙수 파이프(226)를 통해 순조롭게 물저장 캐비티(2211)까지 유통되기 편리하고; 커버체(2252)가 이동되게 급수구(22511)를 커버하고, 급수하지 않을 때 불순물이 물탱크(221) 내부로 유입되어 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급수 어셈블리(225)가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공기 청정기의 상방 위치에 장착되어, 사용자는 급수구(22511)를 통해 급수할 때 몸을 구부릴 필요가 없다.
또한, 전체 급수 어셈블리(225)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공기 청정기에 장착되고, 물탱크(221)에 급수구(22511)를 직접적으로 개설하는 것과 비교하면, 개별적인 급수 어셈블리(225)를 설치하는 것이 일 방면에서 커버체(2252)가 직접적으로 물탱크(221)에 힘을 가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물탱크(221)의 구조 강도를 보장할 수 있고; 다른 일 방면에서 급수 어셈블리(225)가 공기 청정기의 구조 배치에 따라, 공기 청정기에 적합한 위치에 적절하게 장착되어, 물탱크(221)의 구체적인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더 사람에게 맞춤화된 급수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체(2252)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급수구(22511)에 장착된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체(2252)는 커버부(22521), 가이드부(22522), 리브부(22523)을 포함할 수 있고, 커버부(22521)는 급수구 크기와 매칭되어 급수구(22511)를 커버하는 데 사용되고; 가이드부(22522)는 커버부(22521)의 하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부(22522)가 급수구(22511) 내부에 삽입되어 커버부(22521)가 급수구(22511)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며, 커버부(22521)가 급수구(22511)를 커버할 때, 가이드부(22522)가 저수 캐비티(22512)의 내벽에 접합되어, 커버체(2252)와 급수구(22511)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키고; 리브부(22523)의 수량은 두 개이고, 두 개의 리브부(22523)는 각각 커버부(22521)의 양측에 설치되고, 리브부(22523)가 커버부(22521)의 꼭대기부에서 가이드부(22522)의 바닥부까지 연장되고, 두 개의 리브부(22523)는 커버부(22521) 및 가이드부(22522)와 매칭되어 커버체(2252)의 내측에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급수 시, 수류가 가이드 홈의 가이드 하에 저수 캐비티(225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구(22511)의 양측 벽에는 힌지 연결 기둥(22513)이 설치될 수 있고, 두 개의 리브부(22523)의 측벽에는 힌지 연결 홈(22524)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힌지 연결 홈(22524)에는 갭(123)이 개설되고, 갭(123)의 크기는 힌지 연결 기둥(22513)의 직경보다 다소 작아, 힌지 연결 기둥(22513)이 갭(123)을 압착함으로써 이를 변형시켜 힌지 연결 홈(22524)에 장착시킬 수 있고, 커버체(2252)는 힌지 연결 기둥(22513)을 둘러싸는 회전을 통해 이동되게 급수구(22511)를 커버한다.
더 나아가서, 급수구(22511)의 양측 벽에는 위치제한 블록(22514)이 더 설치될 수 있고, 두 개의 리브부(22523)의 측벽에는 위치제한 홈(22525)이 대응되게 설치되고, 커버부(22521)가 완전히 급수구(22511)를 커버할 때, 상술한 위치제한 블록(22514)이 위치제한 홈(22525) 내부에 끼움 설치되어 커버부(22521)의 커버를 위치제한시킨다.
일부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부(22521)가 급수구(22511)를 커버할 때, 공기 청정기의 외부 표면과 나란해지고, 급수 챔버(2251)는 공기 청정기 내부에 안보이게 장착되므로, 급수 어셈블리(225)의 장착이 더 숨겨지고 미관상 더 우수해지며; 커버체(2252)에는 하나의 개폐 핸들(22526)이 설치될 수 있고, 사용될 때, 상술한 개폐 핸들(22526)을 통해 편리하게 커버체(2252)를 개폐를 조작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습 기구(220)는 물탱크(221)와 급수 어셈블리(225) 사이에 설치되어, 물탱크(221) 내부 수위가 설정 값에 도달될 때 자동으로 물탱크(221)와 급수 어셈블리(225) 사이의 연통을 차단시키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지수(Water stop)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지수 어셈블리(227)는 서보(servo) 부재와 지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서보 부재가 물저장 캐비티(2211) 내부에 이동되게 장착되고, 서보 부재가 물저장 캐비티(2211) 내부의 수위를 따라 이동되고, 물저장 캐비티(2211) 내부 수위 변화에 따라 플로팅되거나 가라앉고; 지수 부재와 서보 부재는 전동 연결되고, 지수 부재는 서보 부재의 연동 하에 제1 위치를 구비하고, 지수 부재가 제1 위치에 놓일 경우, 지수 부재가 급수 어셈블리(225)와 물저장 캐비티(2211) 사이의 연통을 차단시켜 물탱크(221)의 물이 가득찰 때 자동 중지 기능이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1을 참조하면, 서보 부재는 하나의 플로트(float)판(2271)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트판(2271)의 밀도는 물보다 작고, 플로트판(2271)의 제1 단부가 물탱크(221) 내부에 힌지 연결 및 장착되고, 제2 단부가 제1 단부를 둘러싸고 상하로 스윙하되 항시 수면에 떠 있고; 지수 부재는 하나의 실링 기둥(2272)을 포함하고, 실링 기둥(2272)이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장착되고, 제2 단부가 수위 변화에 따라 플로팅되거나 가라앉으면서 실링 기둥(2272)을 연동시켜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게 하고, 물탱크(221) 내부의 수위가 일정한 위치까지 상승될 때, 제2 단부는 지수 부재를 연동시켜 제1 위치로 움직이고, 실링 기둥(2272)은 위를 향하게 물탱크(221)의 물 유입구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급수 어셈블리(225)와 물저장 캐비티(2211) 사이의 연통을 차단시키고, 급수 어셈블리(225)는 물저장 캐비티(2211) 내부로 급수하는 것을 중지한다.
또는,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12를 참조하면, 서보 부재는 하나의 플로트 블록(2273)을 포함하고, 지수 부재는 하나의 실링 커버(2274)를 포함하고, 플로트 블록(2273)과 실링 커버(2274) 사이는 전동 로드(2275)를 통해 전동 연결되고, 전동 로드(2275)의 중간부가 힌지 연결 및 장착되고, 플로트 블록(2273)과 실링 커버(2274) 각각이 전동 로드(2275)의 양단에 설치되고, 플로트 블록(2273)은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플로팅되되 항시 수면에 떠 있으며, 실링 커버(2274)를 연동시켜 역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고; 실링 커버(2274)가 낙수 파이프(226)의 내부까지 연장되고, 낙수 파이프(226)의 출구 지점에는 하나의 실링면(2261)이 설치되고, 물탱크(221) 내부 수위가 비교적 낮을 경우, 플로트 블록이 낮은 위치에 놓이고, 전동 로드(2275)가 실링 커버(2274)를 낙수 파이프(226) 내부의 비교적 높은 위치에 놓이게 하면, 물은 실링 커버(2274)와 낙수 파이프(226) 사이의 틈에서 흘러나오고, 물탱크(221) 내부 수위가 일정값까지 높아지면, 플로트 블록(2273)이 플로팅되며, 실링 커버(2274)가 전동 로드(2275)의 연동 하에 아래로 이동되고, 실링 커버(2274)는 상술한 실링면(2261)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낙수 파이프(226)와 물탱크(221) 사이의 연통을 차단시킬 수 있어 유입되는 물을 자동 중지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가습 기구(220)는 실시간으로 물탱크(221) 내부의 수위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물탱크(221) 내부에 있는 물의 양을 관찰하기에 편리하여 적절한 때에 급수하도록 하는 하나의 액위(liquid level) 디스플레이 장치(2212)를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액위 디스플레이 장치(2212)는 물탱크(221) 외벽면에 설치되는 액위계 또는 디지털 장치일 수 있다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탱크(221) 내부에는 자외선 살균 램프가 설치되거나, 은이온(silver ion) 살균 장치가 설치되고, 또는 두 개가 모두 설치되어 물을 살균시키는 데 사용된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4와 도 13을 참조하면, 에어 진입 모듈(30)은 제1 구동 부재(34)와 로터(33)를 포함하고; 로터(33)에는 제1 구동 부재(34)의 출력단이 고정 연결되고; 제1 구동 부재(34)가 로터(33)를 구동해 회전시켜 부압이 형성되고, 제2 에어 배출 통로(214)에서 배출되는 깨끗한 공기를 흡입하고 에어 배출구(36)에 의해 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에어 배출구(36)의 그리드(grid)가 회전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그리드를 회전시켜 에어 배출구(36)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 진입 모듈(30)이 X방향을 따르는 청정 모듈(20)의 상방에 장착되고, 에어 배출구(36)가 에어 진입 모듈(30)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가 보호 재킷(211)의 측면l 여러 방향에서 유입된 후, 다시 에어 배출구(36)를 통해 상방으로 배출된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어 진입 모듈(30)은 하나의 하우징(3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 바디(31) 내부에 수용 공간(311)이 형성되고, 상술한 제1 구동 부재(34)와 로터(33)가 모두 수용 공간(311) 내부에 장착되고, 수용 공간(311) 내부에는 하나의 케이스(35)가 설치되고, 케이스(35)의 내부에는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고, 제1 구동 부재(34)가 상술한 실링 공간 내부에 장착되고, 케이스(35)의 측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37)로 연장되고, 연결 부재(37)는 케이스(35)를 하우징 바디(31)의 내벽에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고, 제1 구동 부재(34)의 출력단이 아래를 향해 케이스(35)로 연장되어 로터(33)와 연결될 수 있고, 로터(33)의 하부에는 에어 유입구(32)가 형성되고, 에어 유입구(32)는 제2 에어 배출 통로(214)와 연통되고, 로터(33)가 회전되어 부압이 형성되고, 청정 공기가 에어 유입구(32)에서 흡입된 후 에어 배출구(36)에 의해 배출된다.
케이스(35) 내부에는 컨트롤러가 실링 장착되어 공기 청정기의 각 구동 부재를 구동 및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제1 구동 부재(34)와 컨트롤러 등 전기적 성질의 소자를 케이스(35) 내부에 실링 장착시켜 전기적 성질의 소자를 보호함으로써 전기적 성질의 소자는 물 또는 불순물의 유입으로 인한 파손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다.
도 13을 참조하면, 에어 유입구(32)에는 보호 부재(38)가 더 장착될 수 있어, 수동 조작 시 손가락이 에어 유입구(32) 내부로 손가락이 잘못 들어가 로터(33)와 부딪혀 부상당하기 어렵고, 예시적으로, 보호 부재(38)는 그리드 또는 메쉬판일 수 있다.
에어 유입구(32)의 하방에는 에어 가이드 구조가 더 설치되고, 에어 가이드 구조는 에어 유입구(32)가 아래로 연장되되 점차 커지는 나팔형 구조일 수 있고, 에어 가이드 구조는 제2 에어 배출 통로(214)의 공기가 에어 유입구(32) 내부로 들어가도록 구현하고, 예시적으로, 에어 가이드 구조는 매끄럽게 전이되는 아치형 표면을 구비하여 공기 유동 과정 중의 운동에너지 손실 및 유동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어 진입 모듈(30)은 상기 에어 배출구(36)를 경유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하나의 가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어셈블리를 추가 설치함으로써, 공기 청정기는 온풍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추운 날씨에 사용할 수 있고, 실내 온도를 높여 냉풍으로 인해 인체가 느끼는 불쾌감을 피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공기 청정기는 난방 기능 또한 구비할 수 있으므로 사용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가열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 소자(39)를 포함할 수 있고, 발열 소자(39)에는 에어 관통 통로(미도시)가 관통 설치되고, 에어 관통 통로는 에어 유입구(32) 및 에어 배출구(36)와 연통되고, 공기가 에어 진입 모듈(30)로 유입된 후, 상술한 에어 관통 통로를 경유하고, 발열 소자(39)가 경유하는 공기를 가열하면 온풍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발열 소자(39)가 에어 유입구(32)와 에어 배출구(36)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발열 소자(39)가 에어 배출구(36) 위치에 장착되고, 에어 배출 방향에서 에어 배출구(36)를 전부 덮어, 에어 배출구(36)에서 배출된 공기가 전부 에어 관통 통로를 경유하고, 이러한 배치 방식은 가열면이 더 넓으면서 균일하여 바람직한 가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발열 소자(39)가 외부와 연통된 에어 배출구(36)의 일측에 장착되고, 발열 소자(39)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에어 배출구(36)에 장착되어 편리하게 발열 소자(39)를 유지보수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시, 발열 소자(39)를 분리하면 발열 소자(39)의 소모를 줄여 이의 사용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용 공간(311) 내부에 케이스(35)가 설치되어, 케이스(35)에 대응되는 에어 배출구(36)의 일부 구역의 기류가 차단되어 유량이 비교적 작고, 이때 발열 소자(39)가 에어 배출구(36)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면, 에너지 소모가 낭비되므로, 발열 소자(39)는 에어 배출구(36)를 커버하는 동시에, 상술한 기류 차단 구역은 피한다.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도 20을 참조하면, 케이스(35)의 상단부가 에어 배출구(36) 밖으로 연장될 수 있어, 상술한 기류 차단 구역이 생성되는 것을 피하고, 에어 배출구(36)가 케이스(35)의 단부를 둘러싸게 배치되며, 발열 소자(39)는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발열 소자(39)가 접합되어 에어 배출구(36)를 커버할 수 있다. 발열 소자(39)는 복수 개가 접합 연결되게 설치되어 발열 소자(39)의 가공 난이도를 낮추고 생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는 탈착 가능한 방향으로 상기 에어 배출구(36)에 장착되고, 에어 배출구(36)의 에어 배출 방향을 변경시켜 상이한 환경에서의 사용 수요를 충족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의 에어가이드 덮개(40)를 더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에어 가이드 덮개(40)는 덮개체(41)와 신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덮개체(41) 내부에는 제2 에어 슈트(air chute)가 한정되고, 덮개체(41)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덮개체(41)의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에 상대되게 회전될 수 있고; 덮개체(41)의 제1 단부에는 에어 진입측이 형성되면서, 에어 배출구(36)와 연통되고, 덮개체(41)의 제2 단부에는 에어 배출측이 형성되고; 신축 어셈블리가 덮개체(41)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장착되고, 신축 어셈블리를 통해 덮개체(41)의 제2 단부와 제1 단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제2 단부에 상이한 에어 배출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덮개체(41)가 신축 어셈블리를 통해 이동 및 신축되고, 덮개체(41)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덮개체(41)의 제2 단부에 상이한 에어 배출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신축 어셈블리는 두 개의 힌지 연결 시트(43)와 복수 개의 회전 로드(44)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회전 로드(44)가 덮개체(41)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이격 설치되고, 회전 로드(44)의 양단 각각이 두 개의 힌지 연결 시트(43)에 힌지 연결되고, 회전 로드(44)와 덮개체(41) 사이가 고정 연결되며, 복수 개의 회전 로드(44)의 회전을 통해, 덮개체(41)의 신축 조절을 구현하고, 에어 가이드 덮개(40)는 더 나아가 하나의 장착 시트(42)를 더 포함하고, 장착 시트(42)의 내부 중공에는 제1 수용 홈(421)이 형성되고, 힌지 연결 시트(43)가 상기 제1 수용 홈(421) 내부에 장착되고, 회전 로드(44)는 힌지 연결 시트(43)를 둘러싼 회전을 통해 덮개체(41)를 수축 도는 확장시키고, 덮개체(41)가 수축된 상태일 때, 덮개체(41)와 복수 개의 회전 로드(44)는 모두 상술한 제1 수용 홈(421) 내부에 수용되고, 덮개체(41)의 제2 단부에는 커버판(411)이 설치되고, 커버판(411)은 덮개체(41)가 제1 수용 홈(421)에 수용될 때, 제1 수용 홈(421)의 개구 지점을 커버하여 수용 및 보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 로드(44)는 도어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덮개체(41) 내부에는 절반이 둘러싸인 구조인 제2 에어 슈트(air chute)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장착 시트(42)에는 연결 구조(422)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연결 구조(422)를 통해 에어 가이드 덮개(40)와 에어 배출구(36) 사이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술한 연결 구조(422)는 베이스(42) 바닥부에 설치되는 장착 끼움 홈 또는 래치(latch)일 수 있고, 에어 가이드 덮개(40)는 장착 끼움 홈을 통해 에어 배출구(36)에 끼움 설치되고, 또한 래치를 통해 에어 배출구(36)의 그리드 구조에 끼움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모듈(10)이 공기 청정기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공기 청정기 바닥부 지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 모듈(10)은 바닥 시트(11), 복수 개의 고정되는 지지 부재(12), 복수 개의 이동되는 지지 부재(12)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서, 고정되는 지지 부재(12)와 이동되는 지지 부재(12)가 모두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바닥 시트(11)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고정되는 지지 부재(12) 또는 이동되는 지지 부재(12)가 바닥 시트(11)에 장착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바닥 시트(11)는 고정되는 지지 부재(12)와 연결됨으로써 공기 청정기를 고정 배치시킬 수 있다. 바닥 시트(11)는 이동되는 지지 부재(12)와 연결됨으로써, 공기 청정기의 이동 장착을 구현할 수 있고, 바닥 시트(11)에 이동되는 지지 부재(12)가 연결될 때, 공기 청정기는 이동되는 지지 부재(12)를 통해 실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되는 지지 부재(12)는 다리지지 구조일 수 있고; 바닥 시트(11)에는 제1 접합부가 설치되고, 고정되는 지지 부재(12)에는 제2 접합부가 대응 설치되며, 제1 접합부와 제2 접합부의 분해 및 접합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 부재(12)와 바닥 시트(11)를 탈부착 및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접합부는 링형의 장착 홈(111)일 수 있고, 장착 홈(111)의 측벽이 적어도 하나의 위치제한 로드(112) 밖으로 연장되고, 고정되는 지지 부재(12)는 지지부(121)를 포함하고, 지지부(121)의 상단부에는 상기 장착 홈(111)과 서로 매칭되는 링형 플랜지(122)가 설치되고, 링형 플랜지(122)에는 갭(123) 및 상기 갭(123)에 연통되는 슬라이딩 홈(124)이 설치되고, 고정되는 지지 부재(12)가 상기 플랜지를 통해 장착 홈(111) 내부에 끼워지고, 위치제한 로드(112)는 갭(123)을 통해 슬라이딩 홈(124) 내부에 끼워지고, 지지 부재(12)를 회전시켜, 위치제한 로드(112)가 슬라이딩 홈(124) 내부에서 회전되어 상술한 갭(123)과 엇갈리게 되어 고정되는 지지 부재(12)와 바닥 시트(11) 사이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동되는 지지 부재(12)는 풀리(pulley)를 포함하고, 풀리는 볼트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바닥 시트(11)에 장착될 수 있다.
일부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되는 지지 부재(12)와 고정되는 지지 부재(12)는 동시에 바닥 시트(11)에 장착될 수 있고, 도 17을 참조하면, 바닥 시트(11)에는 제2 수용 홈이 설치될 수 있고, 이동되는 지지 부재(12)는 이동 장착되되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포함하고, 이동되는 지지 부재(12)가 제1 상태일 때, 이동되는 지지 부재(12)가 제2 수용 홈 내부에 수용되고, 이때 공기 청정기는 고정되는 지지 부재(12)를 통해 고정 지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동되는 지지 부재(12)가 제2 상태일 때, 이동되는 지지 부재(12)가 제2 수용 홈 밖으로 연장되고, 이때 고정되는 지지 부재(12)를 분리하고, 이동되는 지지 부재(12) 통해 공기 청정기에 이동 지지가 형성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이동되는 지지 부재(12)가 볼트를 통해 바닥 시트(11)에 있는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볼트를 회전시킴으로써 풀리가 바닥 시트(11)를 향해 이동되어 제1 상태가 형성되고, 풀리 제2 수용 홈 내부로 들어가고; 볼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풀리가 바닥 시트(11)에 등을 지고 이동되어 제2 상태가 형성되고, 풀리가 제2 수용 홈 밖까지 연장된다.
상술한 방식을 통해, 고정되는 지지 부재(12)를 사용할 경우, 이동되는 지지 부재(12)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 탈부착 단계가 줄어들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되는 지지 부재(12)도 상술한 제2 수용 홈 내부에 장착되므로 바닥 시트(11)의 구조가 더 합리적이다.
일부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에어 진입 모듈(30)과 청정 모듈(20) 사이는 제1 연결 어셈블리(5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청정 모듈(20)과 바닥 시트(11) 모듈 사이는 제2 연결 어셈블리(6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연결 어셈블리(50) 및/또는 제2 연결 어셈블리(60)는 래치형 구조(70)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래치형 구조(70)는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연결부(71)와 제2 연결부(72)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71) 및 제2 연결부(72)의 결합 또는 분해를 통해 각 모듈의 연결 또는 분해를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연결부(71)는 제1 기판(711)을 포함하고, 제1 기판(711)에서 후크(hook)(713)와 누름 블록(712) 밖으로 연장되고; 제2 연결부(72)는 제2 기판(721)과 제3 기판(722)을 포함하고, 제2 기판(721)과 제3 기판(722) 사이에는 슬라이딩 이동홈(723)이 형성되고, 제3 기판(722)에는 누름 홀(724)과 후크(713) 홀이 개설되고, 제1 연결부(71)는 슬라이딩 이동홈(723)의 개구를 통해 슬라이딩 이동홈(723)으로 삽입된 후, 후크(713)가 후크(713) 홀 밖으로 연장되어, 제1 연결부(71)와 제2 연결부(72)가 고정 연결될 수 있고; 누름 블록(712)이 누름 홀(724) 밖으로 연장되고, 탈부착될 때, 상술한 누름 블록(712)을 누르면, 제1 기판(711)이 제2 기판(721)으로 이동되고, 후크(713)를 연동시켜 상술한 후크(713) 홀에서 이탈되게 하여, 제1 연결부(71)가 슬라이딩 이동홈(723)에서 빼내어져 제1 연결부(71) 및 제2 연결부(72)가 분해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연결부(71)와 제2 연결부(72) 중 하나는 청정 모듈(20)/에어 진입 모듈(30)/바닥 시트(11) 모듈 중 하나에 고정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이와 인접한 모듈에 고정 연결되고, 래치형 구조(70)를 통해 두 개의 인접한 모듈 사이는 빠르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부 실시예", "예시적으로", "예시적", "바람직하게는", "더 나아가서" 등의 서술은 상기 실시예 또는 예시적인 서술을 결합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징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전문 용어에 대한 도식화된 설명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지칭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서술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을 이용하여 진행한 등가 구조 또는 등가 절차 변환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기타 관련 기술 분야에 적용되며, 모두 동일한 이치로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5)

  1.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필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기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순서대로 씌움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층을 포함하고, 각 상기 필터층은 모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을 이루고; 여기에서, 가장 외측에 있는 상기 필터층의 측부 외주면에는 에어 진입 통로가 형성되고, 가장 내측에 있는 상기 필터층의 중공 내부에는 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하나의 청정 모듈;
    공기가 상기 에어 진입 통로에서부터 유입되며, 순서대로 각각의 상기 필터층을 거쳐 유동된 후 상기 에어 배출 통로에서 배출되되 에어 배출구가 포함되고,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상기 에어 배출 통로에 연통되는 하나의 에어 진입 모듈;
    상기 공기 청정기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하나의 지지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에어 진입 모듈, 상기 청정 모듈, 상기 지지 모듈 간에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은 바닥 시트;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바닥 시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고정되는 지지 부재; 및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바닥 시트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동되는 지지 부재;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는 상기 바닥 시트의 변화에 상대되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가 상기 제1 상태에 놓일 경우,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가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가 상기 제2 상태에 놓일 경우, 상기 이동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바닥 시트 밖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수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기는 탈부착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에어 배출구에 장착되는 에어 가이드 덮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에어 가이드 덮개는,
    내부에 제2 에어 슈트(air chute)가 한정되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제1 단부에 상대되게 회전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단부에는 에어 진입측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단부에는 에어 배출측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 진입측에는 상기 에어 배출구가 연통되는 덮개체;
    상기 덮개체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2 단부에 상이한 에어 배출 방향이 형성되는 신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 덮개는,
    내부에 수납 홈이 형성되되 상기 덮개체는 상기 신축 어셈블리의 연동하에서의 극한 상태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체가 상기 극한 상태일 때, 상기 덮개체와 상기 신축 어셈블리가 모두 상기 수납 홈 내부에 수납되는 하나의 수납 시트; 및
    이동하여 상기 수납 홈을 커버하는 하나의 커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축 어셈블리는 힌지 연결 시트;
    상기 덮개체의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이격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힌지 연결 시트에 장착되면서, 상기 덮개체 간에 고정 연결되는 복수 개의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진입 모듈은,
    상기 에어 배출구가 연통되고, 상기 에어 배출구를 경유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하나의 가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발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소자에는 관통되는 에어 관통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 관통 통로에는 상기 에어 배출구가 연통되고, 상기 발열 소자는 에어 배출 방향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에어 배출구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필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기구는 내부에서 외부로 순서대로 씌움 설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층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필터층은 모두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링형을 이루고; 여기에서, 가장 외측에 있는 상기 필터층의 측부 외주면에는 에어 진입 통로가 형성되고, 가장 내측에 있는 상기 필터층의 중공 내부에는 에어 배출 통로가 형성되는 하나의 청정 모듈;
    공기를 상기 에어 진입 통로에서부터 유입시키며, 순서대로 각각의 상기 필터층을 경유한 후 상기 에어 배출 통로에서 배출되고, 상기 에어 진입 모듈이 에어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상기 에어 배출 통로에 연통되는 하나의 에어 진입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청정 모듈은,
    하나의 가습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 기구는,
    내부에 물저장 캐비티가 형성되는 물탱크;
    상기 에어 진입 통로와 상기 에어 배출 통로 사이에 설치되고, 공기를 유통시키는 제1 에어 슈트(air chute)가 설치되고, 공기는 상기 제1 에어 슈트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내부 저수(storage of water)에 의해 습기가 더해지는 저수 부재; 및,
    상기 물저장 캐비티와 상기 저수 부재가 연통되고, 상기 물저장 캐비티 내부에 있는 물이 상기 저수 부재로 통하도록 만드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구는 하나의 급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급수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외부 표면에 설치되는 급수구;
    상기 급수구 및 상기 물저장 캐비티와 연통되는 저수 캐비티;
    이동하여 상기 급수구를 커버하는 커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는,
    상기 급수구 크기에 매칭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하방에 설치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급수구를 향하는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두 개의 리브(rib)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기 리브부 사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가 상기 급수구 사이에 힌지 연결 및 장착되어 힌지 연결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체가 상기 힌지 연결 구조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상기 급수구에 장착되고, 상기 힌지 연결 구조는 힌지 연결 홈과 힌지 연결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체와 상기 급수구 중 하나에는 상기 힌지 연결 홈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힌지 연결 기둥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 연결 홈에는 갭이 설치되고, 상기 갭의 크기는 상기 힌지 연결 기둥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구는 하나의 지수(Water stop)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수 어셈블리는,
    상기 물저장 캐비티 내부에 이동되게 장착되고, 상기 물저장 캐비티 내부의 수위를 따라 이동되는 서보(servo) 부재;
    상기 서보 부재에 전동 연결되는 하나의 지수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지수 부재는 상기 서보 부재의 연동 하에 있는 제1 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지수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지수 부재가 상기 급수 어셈블리와 상기 물저장 캐비티 사이의 연통을 차단시키고;
    상기 서보 부재는 하나의 플로팅 부재이며, 상기 플로팅 부재는 항시 수면에 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부재에는 상기 서보 부재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서보 부재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는 직선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어셈블리는 상기 서보 부재가 지수 부재와 전동 연결될 수 있도록 만들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전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서보 부재가 상기 제1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단부가 힌지 연결 및 장착되고, 상기 지수 부재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어셈블리는 상기 서보 부재가 지수 부재와 전동 연결될 수 있도록 만들고,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전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서보 부재가 상기 제1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동 부재의 중간부가 힌지 연결 및 장착되고, 상기 지수 부재가 상기 제2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구는,
    상기 저수 부재와 상기 물저장 캐비티가 연통되고, 상기 저수 부재 내부에 있는 여분의 수분이 상기 물저장 캐비티로 되돌아가게 하는 환수(return water)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기구는,
    상기 구동 부재의 출력단 및 상기 저수 부재가 연통되고, 상기 물저장 캐비티 내부에 있는 물이 상기 저수 부재에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하나의 물 배치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237027316A 2022-05-30 2023-05-29 공기 청정기 KR202301681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1346483.7 2022-05-30
CN202221346607.1 2022-05-30
CN202221361760.1U CN218236644U (zh) 2022-05-30 2022-05-30 一种支撑机构及应用其的空气净化器
CN202221360417.5U CN217423555U (zh) 2022-05-30 2022-05-30 一种出风加热机构及应用其的空气净化器
CN202210602864.5A CN115013923A (zh) 2022-05-30 2022-05-30 一种空气净化器
CN202221346811.3 2022-05-30
CN202221361760.1 2022-05-30
CN202221346811.3U CN217423545U (zh) 2022-05-30 2022-05-30 一种加水机构及应用其的空气净化器
CN202210602864.5 2022-05-30
CN202221360417.5 2022-05-30
CN202221346607.1U CN217423532U (zh) 2022-05-30 2022-05-30 一种自动止水机构及应用其的空气净化器
CN202221381943.X 2022-05-30
CN202221381943.XU CN217541038U (zh) 2022-05-30 2022-05-30 一种出风罩及应用其的空气净化器
CN202221346483.7U CN217423567U (zh) 2022-05-30 2022-05-30 一种自动止水机构及应用其的空气净化器
PCT/CN2023/096758 WO2023231947A1 (zh) 2022-05-30 2023-05-29 一种空气净化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178A true KR20230168178A (ko) 2023-12-12

Family

ID=89026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7316A KR20230168178A (ko) 2022-05-30 2023-05-29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8178A (ko)
WO (1) WO2023231947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531205U (zh) * 2017-02-22 2017-09-29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空气净化装置
KR102357040B1 (ko) * 2019-12-19 2022-01-28 주식회사 크리자인 발열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CN212644877U (zh) * 2020-05-28 2021-03-02 宁波天瑞电器有限公司 一种模块化空气净化器
CN216557528U (zh) * 2021-11-11 2022-05-17 宁波天瑞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出风变向上盖的空气净化器
CN217540947U (zh) * 2022-03-02 2022-10-04 宁波天瑞电器有限公司 一种模块化空气净化加湿器
CN114413402B (zh) * 2022-03-03 2023-07-18 宁波天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空气净化器的移动机构
CN114526534B (zh) * 2022-04-01 2024-02-13 宁波天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CN115013923A (zh) * 2022-05-30 2022-09-06 宁波天瑞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1947A1 (zh)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04605B (zh) 空气处理装置和具有其的立式空调器
KR101250062B1 (ko) 환기장치
CN104110814B (zh) 冷风扇
CN106246566A (zh) 空调室内机附着用自主发电式复合功能气流扩散风扇
CN206430312U (zh) 新风净化器及空气净化装置
CN108291737A (zh) 通风并生物净化环境内外空气的模块及相关方法
CN205174677U (zh) 新风机
CN206001608U (zh) 一种厨房空气净化装置
CN108087985B (zh) 空调柜机和具有其的空调器
KR20230168178A (ko) 공기 청정기
CN115013923A (zh) 一种空气净化器
CN207962866U (zh) 空调柜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107894056B (zh) 一种双向新风净化器
CN205878391U (zh) 一种净化暖风一体机
CN214701142U (zh) 一种家用多功能空气净化器
CN108006837B (zh) 空调柜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207146601U (zh) 用于空调器的空气处理装置、空调室内机及空调室外机
CN205878389U (zh) 一种净化暖风一体机
CN207146568U (zh) 空调室内机及其空气处理装置、空调器
CN206330234U (zh) 室内新风净化系统
CN212457307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KR20200086164A (ko) 가습청정기
CN220601703U (zh) 一种集成房屋的新风装置
KR20200002647U (ko) 조명겸용 공기청정기
CN213514142U (zh) 空气处理装置及空调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