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132A -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 Google Patents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132A
KR20230168132A KR1020230062417A KR20230062417A KR20230168132A KR 20230168132 A KR20230168132 A KR 20230168132A KR 1020230062417 A KR1020230062417 A KR 1020230062417A KR 20230062417 A KR20230062417 A KR 20230062417A KR 20230168132 A KR20230168132 A KR 20230168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opening
amenity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우일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우일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우일학원
Publication of KR20230168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65D47/203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the element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e.g. screw cap closing container sl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9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specifically formed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7Lower closure of the 47-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본체를 누름에 따라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개폐밸브의 절개 홀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본체의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용기 본체의 하부에 거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를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INVERTED AMENITY BOTTLE WITH AUTO CAP}
본 발명은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용기 본체를 누러 가압함에 따라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개폐밸브의 절개 홀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본체 보관시 용기 본체의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이나 모텔에서는 일회용품을 지급하는데, 이러한 1회용품은 화장품이나 세안용품을 비롯하여 샴푸, 비누, 치약 등의 목욕 용품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러한 투숙시설에서 사용되는 1회 용품을 통상적으로 어메니티(amenity)라 하는바, 일회용 용량만을 담은 비닐 팩이나 플라스틱병으로 지급되는 경우도 많지만 샴푸나 바디워시는 공용으로 제공되는 경우도 많다.
어메니티 용기는 내용물(샴푸 또는 린스 등)이 충전되는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개구부(입구부)에 밀폐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뚜껑이나 캡)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어메니티 용기는, 용기 본체로부터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의 입구부(개구부)에 덮개가 결합하는데, 용기 본체를 거꾸로 세워두고 보관할 때에 그 덮개가 지면에 닿는 접촉면이 작아서 용기 본체가 쓰러지거나 작은 외부충격에도 용기 본체의 내용물이 쉽게 누액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421098호(2022.07.1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용기 본체를 눌러 가압함에 따라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개폐밸브의 절개 홀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본체의 보관시 용기 본체를 거꾸로 안전하게 거치함과 동시에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용기 본체의 하부에 거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를 거꾸로 세워 보관할 때에 쓰러지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는 플렉시블하고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용물 공간부를 가지며, 일측에 버텀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내용물 토출홀을 갖는 입구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vessel body); 상기 입구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 외부에 내용물 차단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토출 슬릿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내캡(inner cap); 플렉시블하고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용물 공간부를 가지며, 하측에 버텀부(buttom portion)를 구비하고 상측에 내용물 토출홀을 갖는 입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부 내주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외주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vessel body); 상기 입구부의 암나사부에 결합하도록 하측 외주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측 중심부에 내용물 차단돌기가 형성되며, 측면에 내용물 토출 슬릿홀이 형성되는 내캡(inner cap); 상기 내캡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절개 홀(cutting hole)이 형성되는 개폐밸브(opening and closing valve); 상기 내캡의 수나사부에 결합하도록 하측 내주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측 중심부에 내용물 토출홀이 형성되는 외캡(outer cap); 및 상기 용기 본체를 거꾸로 보관하기 위한 거치 플레이트(support plate); 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를 누름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의 절개 홀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용기 본체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 하강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의 절개 홀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캡을 풀거나 조여서 상기 내용물 차단돌기가 상기 내용물 토출홀을 개방하거나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상기 외캡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용기 본체를 눌러 가압함에 따라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개폐밸브의 절개 홀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본체의 보관시 용기 본체의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용기 본체의 하부에 거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를 거꾸로 세워 보관할 때에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셋째, 외캡을 풀거나 조여서 내용물 차단돌기가 내용물 토출홀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캡을 풀거나 조이는 정도를 조절하여 내용물의 토출량을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top view)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buttom view)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도시한 분리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도시한 결합 종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top view)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도시한 결합사시도(buttom view)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도시한 분리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를 도시한 결합 종단면도이다.
위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샴푸 또는 린스 등)을 저장하는 용기 본체(110);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3)에 결합하는 내캡(120); 내캡(120) 내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130);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3)에 결합하는 외캡(140); 및 용기 본체(110)를 거꾸로 보관하기 위한 거치 플레이트(1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100)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용기 본체(110)는 플렉시블하고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합성수지 또는 러버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용물 공간부(S)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 본체(110)의 일측에는 버텀부(111)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내용물 토출홀(H1)을 갖는 입구부(113)가 형성된다.
버텀부(111)는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버텀부(111)의 조립구조는 나사체결 방식이나 억지끼움 방식 등이 가능하다.
상기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3)에는 내캡(120)이 일체로 형성되며, 그 내캡(120)의 상측 외주에는 수나사부(120b)가 형성되고 중심 외부에 내용물 차단돌기(121)가 형성되며,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토출 슬릿홀(H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130)는 내캡(120)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절개 홀(131)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밸브(130)는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합성수지 또는 러버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절개 홀(131)은 십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개방되거나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용기 본체(110)를 누름에 따라,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개폐밸브(130)의 절개 홀(131)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110)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본체(110)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고,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 하강에 따라 개폐밸브(130)의 절개 홀(131)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캡(140)은 내캡(120)의 수나사부(110b)에 결합하도록 일측 내주에 암나사부(140a)가 형성되고 타측 중심부에 내용물 토출홀(H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캡(140)을 풀거나 조여서 내용물 차단돌기(121)가 내용물 토출홀(H3)을 개방하거나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외캡(140)을 풀거나 조이는 정도를 조절하여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150)는 용기 본체(110)를 거꾸로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거치 플레이트(150)의 중심부에는 외캡(1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1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 본체(110)로부터 버텀부(111)를 분리한 내용물 공간부(S) 안에 내용물을 저장한 후, 버텀부(111)를 다시 닫아 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용기 본체(110)의 보관시, 거치 플레이트(150)의 안착홈(151) 안에 외캡(14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110)를 거꾸로 세워 보관한다. 이때, 안착홈(151) 안에 외캡(140)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용기 본체(110)가 쓰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보관되고 내용물이 누액되지 않도록 한다.
용기 본체(110)의 내용물을 토출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외캡(140)을 풀어서 내용물 차단돌기(121)가 내용물 토출홀(H3)을 개방하도록 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10)를 손으로 눌러 가압하면,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개폐밸브(130)의 절개 홀(131)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110)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상기 외캡(140)을 풀거나 조이는 정도를 조절하여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용기 본체를 눌러 가압함에 따라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개폐밸브의 절개 홀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용기 본체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 본체의 보관시 용기 본체의 내용물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용기 본체의 하부에 거치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용기 본체를 거꾸로 세워 보관할 때에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셋째, 외캡을 풀거나 조여서 내용물 차단돌기가 내용물 토출홀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외캡을 풀거나 조이는 정도를 조절하여 내용물의 토출량을 적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110: 용기 본체
111: 버텀부
113: 입구부
120: 내캡
120b: 수나사부
121: 내용물 차단돌기
130: 개폐밸브
131: 절개 홀
140: 외캡
140a: 암나사부
150: 거치 플레이트
151: 안착홈
H1: 내용물 토출홀
H2: 내용물 토출 슬릿홀
H3: 내용물 토출홀
S: 내용물 공간부

Claims (4)

  1. 플렉시블하고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용물 공간부(S)를 가지며, 일측에 버텀부(111)를 구비하고 타측에 내용물 토출홀(H1)을 갖는 입구부(113)가 형성되는 용기 본체(110);
    상기 입구부(113)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 외부에 내용물 차단돌기(121)가 형성되고 측면에 다수의 내용물 토출 슬릿홀(H2)이 형성되며 외주에 수나사부(120b)가 형성되는 내캡(120);
    상기 내캡(120) 내부에 설치되고 중심부에 절개 홀(131)이 형성되는 개폐밸브(130);
    상기 내캡(120)의 수나사부(120b)에 결합하도록 일측 내주에 암나사부(140a)가 형성되고 타측 중심부에 내용물 토출홀(H3)이 형성되는 외캡(140); 및
    상기 용기 본체(110)를 거꾸로 보관하기 위한 거치 플레이트(150); 를 포함하는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10)를 누름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130)의 절개 홀(131)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용물을 손쉽게 토출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용기 본체(110)의 탄성 복원력에 따라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이 하강하고, 상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 압력 하강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120)의 절개 홀(131)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캡(140)을 풀거나 조여서 상기 내용물 차단돌기(121)가 상기 내용물 토출홀(H3)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150)의 중심부에는 상기 외캡(140)의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홈(1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KR1020230062417A 2022-06-03 2023-05-15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KR202301681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937 2022-06-03
KR20220067937 2022-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132A true KR20230168132A (ko) 2023-12-12

Family

ID=8915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417A KR20230168132A (ko) 2022-06-03 2023-05-15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1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098B1 (ko) 2021-03-10 2022-07-15 (주)아이엠피 도난 방지용 욕실 어매니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098B1 (ko) 2021-03-10 2022-07-15 (주)아이엠피 도난 방지용 욕실 어매니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5687A (en) Base end dispensing container with travel cap
KR101774175B1 (ko) 단일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ES2281189T3 (es) Recipiente y cierre con valvula dispensadora y sello interno, separado y liberable para el transporte.
US5626262A (en) Dispensing container with drainage passages
JP6973908B2 (ja) 積層剥離容器
KR20000048949A (ko) 삽입 형상을 가진 콘택트 렌즈 팩키지
KR20070019291A (ko) 파우더 토출용 화장품 케이스
JP6125887B2 (ja) 二重容器
KR20230168132A (ko) 역립형 자동개폐 어메니티 용기
JP7094083B2 (ja) 二重容器
JP6858451B2 (ja) 吐出容器
US6578744B2 (en) Watertight tube closure
RU2594858C2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KR200485155Y1 (ko) 용기
KR101622732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JP6929598B2 (ja) 二重容器
AU2017371544C1 (en) Receptacle closure
KR101311949B1 (ko) 스트로우를 구비한 음료 용기
KR200262120Y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KR200367789Y1 (ko)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KR200495074Y1 (ko) 주출구 주변의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용기 마개
JP2005160543A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兼用液剤容器
KR200471450Y1 (ko) 절약형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