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910A -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 Google Patents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910A
KR20230167910A KR1020220068143A KR20220068143A KR20230167910A KR 20230167910 A KR20230167910 A KR 20230167910A KR 1020220068143 A KR1020220068143 A KR 1020220068143A KR 20220068143 A KR20220068143 A KR 20220068143A KR 20230167910 A KR20230167910 A KR 2023016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e
tone
fixture
percussion instrumen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광혁
Original Assignee
우광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혁 filed Critical 우광혁
Priority to KR102022006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910A/ko
Publication of KR2023016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3/00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Details or accessories therefor
    • G10D13/01General design of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 G10D13/08Multi-toned musical instruments with sonorous bars, blocks, forks, gongs, plates, rods or tee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1/00Means for the representation of music
    • G10G1/02Chord or note indicators, fixed or adjustable, for keyboard of fingerbo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 G10K1/06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striking a resonating body, e.g. bells, chimes or gongs the resonating devices having the shape of a bell, plate, rod, or tu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상면, 측면, 바닥면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복수개의 음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의 상면에는 오선지가 형성되어 있고, 오선지의 각각의 음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음건 구멍이 형성된다. 몸체의 바닥면에는 제1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 내부에 상면 및 바닥면 사이에 기판이 배치되고, 기판에는 제2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음건은 그 일단이 음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음건 구멍으로 돌출한다.

Description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Percussive instrument integrated with musical paper}
본 발명은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에 관한 것으로서, 타악기의 상면에 오선지가 일체화되어 쉽게 연주할 수 있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칼림바와 같은 타악기는 공명 상자 상면에 금속이나 대나무 등으로 만든 막대 형태의 음건이 복수개 병렬 설치되어, 음건을 위 또는 아래로 튕겨 연주하는 악기로서, 리듬과 선율 연주를 동시에 할 수 있다. 이때, 음높이는 음건의 길이가 짧을수록 높아지고 길수록 낮아지는데, 음건은 중앙이 가장 길고 중앙을 중심으로 좌우로 점차 짧아지도록 되어, 중앙이 도음이라면 왼쪽이 레음이고 오른쪽이 미음, 다음 왼쪽이 파음, 다음 오른쪽이 솔음이 되는 식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칼림바는 연주자가 칼림바를 양 손으로 잡고 좌우 손으로 음건을 번갈아 튕겨 악보의 음계에 따라 음을 내면서 연주하게 되는데, 종래 오선 악보의 경우 음표를 보고 음을 읽기도 힘들고 더욱이 초보자의 경우에 칼림바의 음건에서 좌우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음인지 쉽게 파악할 수 없어 숙련된 연주자가 아니면 종래 오선 악보를 보고 연주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음건을 도형 형태로 표시하는 타브 악보나 특허출원공개 10-2022-0019465호에서와 같이 별도의 연주 악보 등이 개발되었으나, 음건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종래 오선 악보와 많은 차이가 있어서, 오선 악보에서 제공하는 음 길이나 쉼표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데 불편하였다. 또한, 이러한 타브 악보 또는 전용 악보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또한, 칼림바는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 연주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출원공개 10-2022-0019465호(2022.2.17) 칼림바 연주 악보 및 이의 자동 생성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타브 악보나 전용의 연주 악보 없이 기존의 오선 악보를 보고도 쉽게 리듬과 선율을 연주할 수 있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역대가 넓고 연주하기 쉬운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 배열된 음건에 의한 음높이가 위쪽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건을 조율할 필요성이 적어 관리가 용이한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주되는 음의 여운이 오래가고, 풍부한 표현이 가능한 오선 일체형 타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상면, 측면, 바닥면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와 복수개의 음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몸체의 상면에는 오선지가 형성되어 있고, 오선지의 각각의 음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음건 구멍이 형성된다. 몸체의 바닥면에는 제1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 내부에 상면 및 바닥면 사이에 기판이 배치되고, 기판에는 제2 사운드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음건은 기판 상에 고정되는 음건 고정 부재에 의하여, 그 일단이 음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음건 구멍으로 돌출한다. 복수 개의 음건은 각각 길이가 다르며, 바람직하게 오선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진다.
바람직하게, 상면에 형성된 오선지 위쪽 또는 아래쪽에 덧줄이 형성되고, 이러한 덧줄의 각각의 음에 해당하는 위치에 음건 구멍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면에 형성된 오선지의 일측에는 음자리표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음자리표는 높은음자리표, 낮은음자리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음건 구멍은 상면의 오선지에서 일렬로 정렬된다.
이때, 음건을 튕겨 나는 소리는 온음계 또는 반음계에 해당하는 음이다.
음건 지지 부재는 복수개의 음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대; 및 복수개의 음건의 일단을 눌러서 고정하는 제2 고정대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대 또는 제2 고정대에는 각각의 음건을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대와 제2 고정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판의 한 변과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음건 지지 부재는 복수개의 음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대; 복수개의 음건의 일단을 눌러서 고정하고, 복수개의 음건과는 다른 복수개의 음건을 지지하는 제2 고정대; 및 다른 복수개의 음건을 일단을 눌러서 고정하는 제3 고정대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이 돌출하는 음건 구멍은 상면의 오선지에서 일렬로 정렬되고, 제2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이 돌출하는 음건 구멍은 제1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이 돌출하는 음건 구멍과는 이격되어 다른 일렬로 정렬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제1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을 튕겨 나는 소리는 온음계 음에 해당하고, 제2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을 튕겨 나는 소리는 반음계 음에 해당한다.
바람직하게, 기판의 저면에는 소정 길이의 스프링의 양측단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음건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여, 음건 구멍으로 돌출되는 음건의 끝은 ㄱ자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별도로 제작된 타브 악보나 전용의 연주 악보 없이 기존의 오선 악보를 보고도 쉽게 리듬과 선율을 연주할 수 있다. 즉, 타악기의 상면에 오선지와, 오선지의 각 음에 대응하는 음건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오선보와 악기가 하나가 되어 악보를 하나의 그림처럼 보면서 그 그림대로 음건을 튕기면 연주가 되므로, 연주하기가 매우 쉽다. 따라서, 어린이와 노인에 이르기까지 별다른 어려움이 없이 연주할 수 있고, 소리가 작고 예뻐서 개인적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이용하여 오선 기보법에 친숙하게 되면 악보 읽는 법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오선지의 덧줄을 따라 음역대를 넓힐 수 있고, 높은음자리나 낮은음자리를 사용하여 음역대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더욱이, 온음계용 음뿐 아니라 반음계용 음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악보를 쉽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일렬 또는 2개의 열로 정렬된 음건을 악기의 일측에서 한 손만을 사용하여 연주할 수 있고, 복수개 정렬된 음건을 튕길 때 생성된 음이 한쪽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거나 낮아지기 때문에 연주하기가 쉽다.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복수개의 음건이 머리부만을 제외하고는 몸체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음높이가 달라질 위험성이 적고, 따라서 조율할 필요성이 크게 줄어들어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기판의 저면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연주되는 음의 여운이 오래가서 악기의 표현이 풍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의 기판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의 기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에서 각 음건을 튕길 때 나는 소리의 음높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에서 각 음건을 튕길 때 나는 소리의 음높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의 기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기판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기판과 음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1)는 크게 몸체(100)와 복수개의 음건(200)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상면(110), 측면(130), 바닥면(140)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몸체(100)의 상면(110)에는 오선지(118)가 형성되어 있고, 오선지(118)의 일측, 좌측에는 음자리표(119)가 도시되어 있고, 음자리표(119)는 높은음자리표나 낮은음자리표를 포함하는 음자리표로서, 오선지(118)의 각 위치의 음높이의 기준이 된다. 도 1 내지 도 2의 음자리표(119)는 높은음자리표가 예시되어 있고, 이러한 높은음자리표에 해당하는 오선지(118)의 각각의 음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음건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00)의 상면(110)에는, 음자리표(119)에 따른 오선지(118)의 각각의 음높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음건 구멍(111)이 형성된다. 몸체(100)의 바닥면(140)에는 제1 사운드 홀(14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의 좌측에 음자리표(119)가 형성되고, 몸체(100)의 우측에 음건 구멍(111)이 형성되어, 연주자의 오른손으로 음건(200)을 튕길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왼손 연주자를 위하여 몸체(100)의 우측에 음자리표가 형성되고, 몸체(100)의 좌측에 음건 구멍(11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오선지(118)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덧줄(118')이 형성되고, 이러한 덧줄의 각각의 음에 해당하는 위치에 음건 구멍(111)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1)는 오선지(118) 내의 음높이 이외에도 덧줄(118')에 따른 음까지 음역을 확대할 수 있다.
몸체(100) 내부에 상면(110) 및 바닥면(140) 사이에는 음건(200)이 고정되는 기판(120)이 배치되고, 기판(120)에는 제2 사운드 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은 기판 유지부(150)에 의하여 상면(110)과 바닥면(140) 사이에서 유지된다. 도 2에는 기판 유지부(150)가 바닥면(140)으로부터 기판(120)을 소정 거리 유지시키기 위하여 바닥면(140)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된 턱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측면 중 일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3면의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기판(120)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1)는 상면(110), 측면(130), 바닥면(140) 및 기판(120)이 모두 연결 고정된다. 기판(120)은 사운드 홀(121)을 제외하고 몸체(100)의 측면(130)과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110) 역시 측면(13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 시에는 음건 구멍(111)을 제외하고는 기밀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1)는 음건 구멍(111), 제1 사운드 홀(141) 및 제2 사운드 홀(121)을 제외하고는 기밀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110)은 음건(200)의 조율을 위하여 측면(130)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나사를 사용하여 측면(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음건(200)은 폭이 좁은 막대형 금속판으로서, 복수개가 배치되며, 각각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음건(200)은 기판(120) 상에 고정되는 음건 고정 부재에 의하여, 그 일단이 음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은 머리부(209)로서 음건 구멍(111)으로 돌출한다. 음건 고정 부재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대(210)과 제2 고정대(220)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대(210)는 기판(120)에 고정되어 복수개의 음건(200)의 소정 부분을 아래쪽에서 받쳐서 머리부(209)가 위쪽으로 향하여 음건 구멍(111)에서 돌출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건(200)은 제1 굴곡부(207) 및 제2 굴곡부(208)에서 두 번 굴곡된 형상을 가지게 되어, 음건 구멍(111)으로 돌출되는 음건(200)의 머리부(209)는 대략 상면(1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ㄱ자형 머리부(209)가 대략 상면(110)과 평행하기 때문에, 연주자가 한 손(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손)으로 음건(200)을 튕기기 용이하다.
제1 굴곡부(207) 및 제2 굴곡부(208)를 가지는 음건(200)은 동일한 길이의 굴곡되지 않은 음건과 동일한 음높이를 낼 수 있으면서도 음건(200)이 배치되는 길이, 즉 타악기(1)의 전체적인 폭(도 4에서 좌우 방향 폭)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낮은 음에서 음건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음건(200)의 길이는 각각의 음건(200)이 돌출하는 음건 구멍(111)이 위치하는 오선지(118)의 음높이를 낼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6에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1)의 상면의 음건 구멍(111)에서 돌출한 각각의 음건(200)을 튕기면 생기는 음을 도시한다.
음건 고정 부재의 제1 고정대(2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ㄴ자 단면의 부재로서 기판(120)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제1 고정대(210)의 ㄴ자 단면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음건(200)을 음건 구멍(111)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기판(12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고정대(210)의 단면이 ㄴ자 단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고정대(2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ㄴ자 단면의 부재로서, 제1 고정대(210)과는 단면의 ㄴ자가 반대로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고정대(220)는 음건(200)의 꼬리쪽 일단을 눌러 고정하며, 역시 기판(120)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대(210)와 제2 고정대(220)의 형상과 나사 고정은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제1 고정대와 제2 고정대가 각각 하나의 부재로 복수개의 음건(200)을 한꺼번에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적절한 수의 분할된 고정대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각의 음건(200)을 받치는 제1 고정대와 제2 고정대가 각각의 음건을 고정하는 별개의 부재로서 음건의 수만큼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 제1 고정대(210) 또는 제2 고정대(220)에 각각의 음건(200)이 고정되는 위치에 음건의 폭보다 약간 큰 오목홈이 형성되어 음건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대(210)와 제2 고정대(2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기판(120)의 한 변과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음건(200)은 길이가 짧을수록 음이 높아지고 길이가 길수록 음이 낮아진다. 따라서, 음건(200)은 높은 음에서 길이가 짧고 낮은 음에서 길이가 길다. 즉,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고정대(210)와 제2 고정대(220)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은 음건(200)의 길이가 위쪽(높은 음)에서는 짧고 아래쪽(낮은 음)으로 갈수록 길이가 긴 특성에 맞추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음건(200)의 꼬리쪽 일단은, 경사지게 배치된 제1 고정대(210)과 제2 고정대(220)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음건(200)의 머리부(209)는 상면(110)에서 보았을 때 일렬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음건 구멍(111) 역시 상면(110)에서 일렬로 정렬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일렬로 정렬된 음건 구멍(111)에서 돌출된 음건(200)의 머리부(209)를 튕기기 위하여 손을 위아래로 움직이면 되므로 연주하기 쉽다. 또한, 일반적으로 흔히 알려져 있는 오선지 악보에 표시된 음에 해당하는 위치의 음건(200)을 튕기면 연주가 되므로, 누구나 쉽게 연주할 수 있다.
한편, 음건(200)의 조율을 위하여 상면(110)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110)은 측면(130)과 억지 끼워맞춤으로 기밀하게 유지되거나 나사 고정으로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1)는 음건(200)이 조율된 상태에서 상면(110)을 포함하는 몸체(100)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종래의 칼림바에 비하여 조율의 필요성이 현저히 낮아진다. 즉, 종래의 칼림바는 음건이 전체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고 음건 고정부도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칼림바 몸체나 음건이 외부 충격을 받는 경우, 음건의 고정 위치가 바뀌어 음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1)는 음건 구멍(111)으로 음건(200)의 머리부(209)만이 노출될 뿐 음건 고정 부재나 음건(200)의 대부분이 몸체(100) 내에서 보호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외부 충격을 받을 위험이 적다. 따라서, 한번 조율한 상태로 계속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도 3을 참조하면 기판(120)의 저면에는 소정 길이의 코일 스프링(300)의 양측단이 고정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3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300)에 의하여 소리의 여운이 오래가도록 하는 효과를 준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의 실시예는 반음계까지 연주할 수 있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이다. 즉, 도 1의 실시예는 온음계를 연주할 수 있는 실시예인 반면에, 도 7의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의 온음계용의 음건 구멍(111) 사이에 반음계용의 음건 구멍(112)을 더 형성하고, 음건 역시 반음계용 음을 낼 수 있는 길이의 반음계용 음건(202)을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음계용 음건(202)은 도 7의 오른쪽의 오선보에서 표시되는 반음계용 음을 낼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도 7에는 올림표(샤프)를 사용하여 표시하였으나 내림표(플랫)을 사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온음계에 해당하는 음건(200) 및 음건 구멍(111)과, 반음계에 해당하는 반음계용 음건(202)과 반음계용 음건 구멍(112)이 각각 다른 일렬로 정렬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건 지지 부재는 복수개의 온음계용 음건(200)을 지지하는 제1 고정대(210)와, 온음계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음건(200)의 일단을 눌러서 고정하고, 반음계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반음계용 음건(202)을 지지하는 제2 고정대(220)와, 반음계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반음계용 음건(202)을 일단을 눌러서 고정하는 제3 고정대(230)로 이루어진다. 제1 고정대(210)에서 지지되는 온음계용 음건(200)이 돌출하는 온음계용 음건 구멍(111)은 상면(110)의 오선지(118)에서 일렬로 정렬되고, 제2 고정대(220)에서 지지되는 반음계용 음건(202)이 돌출하는 반음계용 음건 구멍(112)은 온음계용 음건 구멍(111)과는 상면에서 볼 때 좌 또는 우로 이격되어 다른 일렬로 정렬된다. 도 9에서는 반음계용 음건 구멍(112)은 온음계용 음건 구멍(111)에 대하여 좌측으로 이격된 일렬로 정렬된다.
제1 고정대(2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ㄴ자 단면의 부재로서 기판(120)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제1 고정대(210)의 ㄴ자 단면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음건(200)을 음건 구멍(111)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기판(12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고정대(210)의 단면이 ㄴ자 단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고정대(2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ㄴ자 단면의 부재로서, 온음계용 음건(200)의 꼬리쪽 일단을 눌러 고정하면서, 반음계용 음건(202)을 지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반음계용 음건(202)을 음건 구멍(112)으로 돌출시키기 위하여 기판(12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3 고정대(230)는 반음계용 음건(202)의 꼬리쪽 일단을 눌러 고정하기 위하여 역시 기판(120)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대(210), 제2 고정대(220), 제3 고정대(230)의 형상과 나사 고정은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제1 고정대(210), 제2 고정대(220) 및 제3 고정대(23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에 음건의 폭보다 약간 큰 오목홈이 형성되고 음건이 이러한 오목홈에서 지지되어 음건의 좌우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제1 고정대(210)에서 지지되는 음건(200)을 튕겨 나는 소리는 온음계 음에 해당하고, 제2 고정대(220)에서 지지되는 음건(202)을 튕겨 나는 소리는 반음계 음에 해당한다.
도 7 또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반음계 음이 있는 악보를 보고 연주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별도로 제작된 타브 악보나 전용의 연주 악보 없이 기존의 오선 악보를 보고도 쉽게 리듬과 선율을 연주할 수 있어서, 누구나 쉽게 연주할 수 있고, 소리가 작고 예뻐서 개인적으로 음악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를 이용하여 오선 기보법에 친숙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악보 읽는 법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오선지의 덧줄을 따라 음역대를 넓힐 수 있고, 높은음자리나 낮은음자리를 사용하여 음역대를 더욱 넓힐 수 있다. 더욱이, 온음계 음뿐 아니라 반음계 음을 낼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악보를 쉽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일렬 또는 2개의 열로 정렬된 음건을 악기의 일측에서 한 손만을 사용하여 연주할 수 있고, 복수개 정렬된 음건을 튕길 때 생성된 음높이가 한쪽 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거나 낮아지기 때문에 연주하기가 쉽다.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복수개의 음건이 머리부만을 제외하고는 몸체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음이 달라질 위험성이 적고, 따라서 조율할 필요성이 크게 줄어들어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는 기판의 저면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음의 여운이 오래가서 악기의 표현이 풍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1: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100: 몸체
110: 상면
111, 112: 음건 구멍
118: 오선지
119: 음자리표
120: 음건 고정판
121: 제2 사운드 홀
130: 측면
140: 바닥면
141: 제1 사운드 홀
150: 기판 유지부
200, 202: 음건
209: 머리부
210: 제1 고정대
220: 제2 고정대
230: 제3 고정대
300: 코일 스프링

Claims (12)

  1.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로서,
    상면, 측면, 바닥면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몸체로서, 상기 상면에는 오선지가 형성되며, 상기 오선지의 각각의 음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음건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는 제1 사운드 홀이 된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상면 및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사운드 홀이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고정되는 음건 고정 부재;
    일단이 상기 음건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음건 구멍으로 돌출하며, 각각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음건;
    을 포함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 형성된 오선지의 일측에는 음자리표가 도시되어 있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음건 구멍은 상기 상면의 오선지에서 일렬로 정렬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건을 튕겨 나는 소리는 온음계 또는 반음계에 해당하는 음인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건 지지 부재는
    복수개의 음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대; 및
    상기 복수개의 음건의 일단을 눌러서 고정하는 제2 고정대
    를 포함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대와 제2 고정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기판의 한 변과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대 또는 제2 고정대에는 상기 각각의 음건을 고정 또는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오목홈이 형성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건 지지 부재는
    복수개의 음건을 지지하는 제1 고정대;
    상기 복수개의 음건의 일단을 눌러서 고정하고, 상기 복수개의 음건과는 다른 복수개의 음건을 지지하는 제2 고정대; 및
    상기 다른 복수개의 음건을 일단을 눌러서 고정하는 제3 고정대
    를 포함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을 튕겨 나는 소리는 온음계 음에 해당하고,
    상기 제2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을 튕겨 나는 소리는 반음계 음에 해당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이 돌출하는 음건 구멍은 상기 상면의 오선지에서 일렬로 정렬되고,
    상기 제2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이 돌출하는 음건 구멍은 상기 제1 고정대에서 지지되는 음건이 돌출하는 음건 구멍과는 이격되어 다른 일렬로 정렬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저면에는 소정 길이의 스프링의 양측단이 고정되어 있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건은 적어도 하나의 굴곡부를 포함하는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KR1020220068143A 2022-06-03 2022-06-03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KR20230167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143A KR20230167910A (ko) 2022-06-03 2022-06-03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143A KR20230167910A (ko) 2022-06-03 2022-06-03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910A true KR20230167910A (ko) 2023-12-12

Family

ID=8915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143A KR20230167910A (ko) 2022-06-03 2022-06-03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79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65A (ko) 2020-08-10 2022-02-17 김경선 칼림바 연주 악보 및 이의 자동 생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465A (ko) 2020-08-10 2022-02-17 김경선 칼림바 연주 악보 및 이의 자동 생성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40319A (en) Electric guitars
US4483233A (en) Combined guitar and bass guitar having eight strings
US11694661B1 (en) Melodic bend harmonica
US59456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sical training
KR20230167910A (ko) 오선지 일체형 타악기
JP7399250B1 (ja) 鍵盤楽器練習用補助具
US11417299B1 (en) String instrument for educational use
EP0108783B1 (en) A string instrument of guitar type
US8188352B2 (en) Sliding mechanism for chorded zither
US3736830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O2022068283A1 (zh) 一种拇指琴
US6365808B1 (en) Method of constructing stringed instruments
KR102619868B1 (ko) 피아노 타입 타인 적층형 칼림바
US5710385A (en) Celestial chime box
US8841532B2 (en) Piano key system
US7227067B2 (en) Tarpin, a string musical instrument
KR102501956B1 (ko) 온음 및 반음 연주가 용이한 현악기
US9064478B1 (en) Piano key system
KR100290552B1 (ko) 연습용 현악기
US4126074A (en) Violin harp
US5078038A (en) Auto harp five finger system
CN219066411U (zh) 一种五弦尤克里里
US970845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1726311A (en) Violin-guitar
JP3110503U (ja) 音盤組み替え式打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