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45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454A
KR20230167454A KR1020220066218A KR20220066218A KR20230167454A KR 20230167454 A KR20230167454 A KR 20230167454A KR 1020220066218 A KR1020220066218 A KR 1020220066218A KR 20220066218 A KR20220066218 A KR 20220066218A KR 20230167454 A KR20230167454 A KR 2023016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display device
adhesive layer
folding
crossli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도
최서현
김무현
류한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6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7454A/ko
Priority to US18/144,080 priority patent/US20230383152A1/en
Priority to CN202310522390.8A priority patent/CN117153044A/zh
Publication of KR2023016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03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28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 C08F220/281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no aromatic rings in the alcohol moiety and containing only one oxygen, e.g. furfuryl (meth)acrylate or 2-methoxy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use of ir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Abstract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윈도우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된 하우징, 및 윈도우와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을 포함하고, 보호층 접착층은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 함하고, 가교부들은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고,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분리되며, 용이한 재작업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에 의해 접착력이 조절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부재를 구비하여 폴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표시면을 보호하기 위해 보호층이 적용되고 있으며, 최외곽의 보호층 손상 시 용이하게 재작업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폴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서는 폴딩 특성 개선을 위해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접착층의 응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작업성이 우수한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 영역에서의 접착력을 감소시킨 접착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된 하우징;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 접착층은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교부들은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을 통해 상기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고, 상기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Retro-Diels-Alder)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교 결합들은 상기 가교부들에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을 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교 결합들은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하우징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접착층은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외선이 제공된 상태에서 유리 기판을 피착제로 한 상기 보호층 접착층의 제1 접착력은, 상기 제1 자외선이 제공된 상태에서 유리 기판을 피착제로 한 상기 보호층 접착층의 제2 접착력의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가교부들 중 이웃하는 두 개의 가교부들은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광이량체를 형성하고, 상기 광이량체는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광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교부들 각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광이량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분자 주쇄는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의 중합 반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폴딩 지지부, 및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비폴딩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접착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비폴딩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폴딩 접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폴딩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폴딩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접착층,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접착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접착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제2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접착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제2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고,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되고,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을 포함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된 상부 접착층,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된 하부 접착층을 포함하는 하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 접착층, 상기 상부 접착층, 및 상기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교부들은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상기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고, 상기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교 결합들은 상기 가교부들에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을 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교 결합들은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착층 및 상기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제2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고,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되고,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을 포함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된 상부 접착층,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된 하부 접착층을 포함하는 하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 접착층, 상기 상부 접착층, 및 상기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교부들 중 이웃하는 두 개의 가교부들은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광이량체를 형성하고, 상기 광이량체는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광분리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교부들 각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광이량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분자 주쇄는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의 중합 반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착층 및 상기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제2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자외선의 파장 영역에 따라 가교 반응이 가역적으로 진행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재작업이 필요한 부분에서 접착층의 접착력을 용이하게 감소시켜 재작업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접착력을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접착력보다 감소시켜, 폴딩 동작시 표시 장치 구성들의 굴곡 변형을 저감시킴으로써 우수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c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아웃-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접착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에 포함된 고분자 화합물에서의 가교 반응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보호층 접착층을 이용한 보호층 탈착 방법의 일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b는 보호층 접착층을 이용한 보호층 탈착 방법의 일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요소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재의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ED)는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표시 장치(ED)가 휴대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WM), 윈도우(WM)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PL), 보호층(PL) 하측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AP-P), 표시 모듈(DM) 하측에 배치된 하우징(HA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는 표시 모듈(DM)과 하우징(HAU) 사이에 배치된 하우징 접착층(AP-H)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는 액티브 영역(F-AA)을 통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F-AA)은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F-AA)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의 적어도 일 측으로부터 벤딩된 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는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액티브 영역(F-AA)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액티브 영역(F-AA)은 상기 평면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액티브 영역(F-AA)은 상기 평면의 적어도 2개 이상, 예를 들어 4 개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4개의 곡면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는 다양한 형상의 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1 및 이하 도면들에서는 제1 방향축(DR1) 내지 제3 방향축(DR3)을 도시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제1 내지 제3 방향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은 서로 직교하고, 제3 방향축(DR3)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대한 법선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장치(ED)의 두께 방향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에 대한 법선 방향인 제3 방향축(DR3)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시 장치(ED)를 구성하는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 또는 상측)과 배면(또는 하면, 또는 하측)은 제3 방향축(DR3)을 기준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에 포함된 표시 모듈(DM)은 영상을 생성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입력 센서(I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모듈(DM)은 입력 센서(IS) 상에 배치된 광학층(R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실질적으로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 패널, 무기발광 표시 패널, 퀀텀닷 표시 패널, 마이크로 엘이디 표시 패널, 또는 나노 엘이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층으로 지칭될 수 있다
입력 센서(IS)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센서(IS)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센서(IS)는 연속된 공정을 통해 표시 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센서(IS)는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입력 센서(IS)와 표시 패널(DP) 사이에 제3 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입력 센서(IS)와 표시 패널(DP) 사이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입력 센서(IS)는 표시 패널(DP)과 접착 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RCL)은 입력 센서(I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RCL)은 표시 모듈(DM)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에 의한 반사율을 감소시키는 반사 방지층일 수 있다. 광학층(RCL)은 연속된 공정을 통해 입력 센서(IS)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광학층(RCL)은 편광판을 포함하거나 또는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광학층(RCL)은 안료 또는 염료 등을 포함하여 특정 파장 영역의 광을 흡수하는 것일 수 있다. 광학층(RCL)이 컬러 필터층을 포함하는 경우 컬러 필터층은 소정 배열로 배치된 복수의 컬러 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들은 표시 패널(DP)에 포함된 화소들의 발광 컬러들을 고려하여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광학층(RCL)은 표시 패널(DP)의 화소 등을 구분하는 분할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할 패턴은 블랙의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학층(RCL)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ED)는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의 외측 전체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에서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유리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강화 처리된 강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는 윈도우 접착층(AP-W)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접착층(AP-W)은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접착층(AP-W)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접착층(AP-W)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PL)은 윈도우(WM)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윈도우(WM)를 보호할 수 있다. 보호층(PL)은 투명한 것으로 보호층(PL)이 배치된 경우에도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층(PL)은 표시 장치(ED)의 최상부면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표시 장치(ED)의 사용에 따라 보호층(PL)은 손상될 수 있다.
보호층(PL)은 가시광 영역에서 90% 이상의 투과율을 갖고, 1% 미만의 헤이즈 값을 갖는 광학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보호층(PL)은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보호층(PL)은 고분자 필름을 베이스층으로 하고 베이스층 상에 하드코팅층, 지문방지 코팅층, 대전방지 코팅층 등과 같은 기능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에 사용되는 보호층(PL)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PL)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te,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에틸렌나프탈렌(Polyethylene Naphthalen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페닐렌에테르(modified polyphenylene ether, m-PPO),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설폰(Polysulfone, PSU),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이미드(Poluimide, PI),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 imide, PAI),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itc poly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보호층(PL)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필름일 수 있다. 또한, 보호층(PL)은 위상 지연이 없는 PET 필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에서 윈도우(WM)와 보호층(PL) 사이에는 보호층 접착층(AP-P)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AP-P)은 광학투명접착층(optically clear adhesive layer)일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AP-P)은 윈도우(WM)에 접착되고, 보호층(PL)을 윈도우(WM)에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 접착층(AP-P)은 고분자 주쇄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 접착층(AP-P)은 280nm 이하의 자외선 제공 시 접착력이 감소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층 접착층(AP-P)의 접착력을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도에 의하여 보호층(PL)을 표시 장치(ED)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는 280nm 이하의 자외선 제공 시 접착력이 감소되는 보호층 접착층(AP-P)을 포함하여 재작업성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HAU)은 표시 모듈(DM) 등을 수납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DM) 하부에 하우징 접착층(AP-H)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접착층(AP-H)은 표시 모듈(DM)을 하우징(HAU)에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 접착층(AP-P)은 고분자 주쇄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 접착층(AP-H)은 280nm 이하의 자외선 제공 시 접착력이 감소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 접착층(AP-H)의 접착력을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감소시킴으로써 표시 모듈(DM)과 하우징(HAU)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는 280nm 이하의 자외선 제공 시 접착력이 감소되는 하우징 접착층(AP-H)을 포함하여 재작업성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에 포함된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에 대하여는 이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3a 내지 도 5 등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표시 장치(ED)와 비교하여 폴딩 동작이 가능한 것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5 등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인-폴딩(inner-folding)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아웃-폴딩(outer-folding)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표시 장치(ED-a)가 폴딩된 형태로 변형되는 폴더블 표시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휘어지거나 롤링되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제1 방향축(DR1) 및 제1 방향축(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표시면(FS)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ED-a)는 표시면(FS)을 통해 이미지(IM)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FS)으로 제3 방향축(DR3) 방향을 향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의 표시면(FS)은 액티브 영역(F-AA) 및 주변 영역(F-NAA)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F-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액티브 영역(F-AA)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영역(F-AA)에서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F-NA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F-A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주변 영역(F-NA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다양한 형상의 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액티브 영역(F-AA)에는 센싱 영역(EMA)이 포함될 수 있다. 센싱 영역(EMA)에는 다양한 전자 모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카메라 모듈, 스피커, 광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영역(EMA)은 표시면(FS)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피사체를 감지하거나 표시면(FS)을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은 복수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센싱 영역(EMA)은 액티브 영역(F-AA) 및 주변 영역(F-NA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싱 영역(EMA)은 액티브 영역(F-AA)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 등에서는 하나의 센싱 영역(EMA)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싱 영역(EMA)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 영역(EMA)은 액티브 영역(F-AA)의 일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ED-a)는 센싱 영역(EMA)에서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센싱 영역(EMA)에 배치된 전자 모듈들이 비활성화될 때 센싱 영역(EMA)은 표시면으로서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의 배면(RS)은 표시면(FS)과 마주하는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면(RS)은 표시 장치(ED-a)의 외부면으로 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면(RS)은 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제2 표시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배면(RS)에 배치된 센싱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RS)에 배치된 센싱 영역에도 카메라, 스피커, 광 감지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ED-a)는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ED-a)는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폴딩 영역(FA)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하나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ED-a)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ED-a)에는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복수 개의 폴딩 축들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표시면(FS)의 일부가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으며, 폴딩축의 개수 및 이에 따른 비폴딩 영역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폴딩축(FX)은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으로 폴딩축(FX)은 표시 장치(ED-a)의 장변 방향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축(FX)의 연장 방향은 제2 방향축(DR2)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폴딩축(FX)은 표시면(FS) 상에서 제2 방향축(DR2)을 따라 연장되거나 배면(RS) 하부에서 제2 방향축(DR2)을 따라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서로 마주보고, 표시 장치(ED-a)는 표시면(F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배면(RS) 중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중첩하는 일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하는 타 영역이 서로 마주하는 아웃-폴딩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ED-a)는 펼침 동작으로부터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 동작이 상호 반복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ED-a)는 펼침 동작, 인-폴딩 동작, 및 아웃-폴딩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3c는 표시 장치(ED-a)의 장변과 나란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장치의 단변과 나란한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II-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표시 모듈(DM-a), 표시 모듈(DM-a) 상측에 배치된 상부 모듈(UM), 및 표시 모듈(DM-a) 하측에 배치된 하부 모듈(L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부 모듈(UM)은 보호 부재로 지칭될 수 있고, 하부 모듈(LM)은 지지 부재로 지칭될 수 있다.
상부 모듈(UM)은 표시 모듈(DM)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표시 모듈(DM)을 보호하는 보호부, 또는 외부광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거나, 광추출 효율을 높여주는 광학부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상부 모듈(UM)은 표시 모듈(DM-a)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WM-a), 윈도우(WM-a)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PL), 및 윈도우(WM-a)와 보호층(PL)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AP-P)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부 모듈(UM)은 윈도우(WM-a) 하측에 배치된 윈도우 접착층(AP-W)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접착층(AP-W)은 표시 모듈(DM-a)과 윈도우(WM-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접착층(AP-W)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접착층(AP-W)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표시 모듈(DM-a)과 하부 모듈(LM)을 수납하는 하우징(HAU-a)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AU-a)은 윈도우(WM-a)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HAU-a)은 폴딩 또는 벤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구조물은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하우징 접착층(AP-H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 접착층(AP-Ha)은 하부 모듈(LM)을 하우징(HAU-a)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하우징 접착층(AP-Ha)은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폴딩 접착부(H-L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대응하는 비폴딩 접착부(H-HA)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접착층(AP-Ha)은 하부 모듈(LM)과 하우징(HAU-a)을 결합시키는 접착 부재이며, 전자파 차폐층 또는 방열층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WM-a)는 윈도우 폴딩부(FA-WM) 및 윈도우 비폴딩부(NFA1-WM, NFA2-WM)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윈도우 폴딩부(FA-WM)는 폴딩부로 지칭되고, 윈도우 비폴딩부(NFA1-WM, NFA2-WM)는 비폴딩부로 지칭될 수 있다. 윈도우(WM-a)의 제1 비폴딩부(NFA1-WM)와 제2 비폴딩부(NFA2-WM)는 폴딩부(FA-WM)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폴딩부(FA-WM)는 폴딩 영역(FA, 도 3a)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비폴딩부(NFA1-WM, NFA2-WM)는 비폴딩 영역(NFA1, NFA2, 도 3a)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윈도우(WM-a)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유리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일 수 있다. 또한, 보호층(PL)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PL)은 윈도우(WM-a)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윈도우(WM-a)를 보호할 수 있다. 윈도우(WM-a)와 보호층(PL) 사이에는 보호층 접착층(AP-P)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AP-P)은 광학투명접착층(optically clear adhesive laye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 접착층(AP-P)은 고분자 주쇄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층 접착층(AP-P)은 280nm 이하의 자외선 제공 시 접착력이 감소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층 접착층(AP-P)의 접착력을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감소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도에 의하여 보호층(PL)을 표시 장치(ED-a)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280nm 이하의 자외선 제공 시 접착력이 감소되는 보호층 접착층(AP-P)을 포함하여 재작업성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에서 표시 모듈(DM-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a)은 표시 영역(DP-DA) 및 비표시 영역(DP-ND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P-DA)은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출사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P-NDA)은 표시 영역(DP-DA)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DP-NDA)은 표시 영역(DP-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DP-NDA)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DM-a)의 표시 영역(DP-DA)은 액티브 영역(F-AA, 도 3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에서 표시 모듈(DM-a)은 폴딩 표시부(FA-D) 및 비폴딩 표시부(NFA1-D, NFA2-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표시부(FA-D)는 폴딩 영역(FA, 도 3a)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비폴딩 표시부(NFA1-D, NFA2-D)는 비폴딩 영역(NFA1, NFA2, 도 3a)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폴딩 표시부(FA-D)는 폴딩축(FX, 도 3a)을 기준으로 폴딩되거나 벤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a)은 제1 비폴딩 표시부(NFA1-D) 및 제2 비폴딩 표시부(NFA2-D)를 포함하고, 폴딩 표시부(FA-D)를 사이에 두고 제1 비폴딩 표시부(NFA1-D) 및 제2 비폴딩 표시부(NFA2-D)는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I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표시 소자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소자층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양자점 발광 소자, 또는 액정 소자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표시 모듈(DM)은 광학층(R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층(RCL)은 입력 센서(IS)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RCL)은 외부광에 의한 반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층(RCL)은 편광층, 또는 컬러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이거나, 또는 안료/염료 등을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층(RCL)은 입력 센서(IS) 상에 직접 배치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센서(IS)와 광학층(RCL) 사이에 별도의 접착 부재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표시 모듈(DM-a)과 하부 모듈(LM) 사이에 배치된 모듈 접착층(AP-D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접착층(AP-DM)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에서 하부 모듈(LM)은 지지 플레이트(MP)및 지지 플레이트(MP)의 상측 및 하측에 배치된 접착층들(AP-U1, AP-U2, AP-D)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부 모듈(LM)은 지지부(SP1, SP2), 충전부(SAP), 모듈 보호층(PF), 및 완충층(CPN)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표시 모듈(DM-a) 하측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MP), 지지 플레이트(MP)와 표시 모듈(DM-a) 사이에 배치된 모듈 보호층(PF)과 완충층(CPN), 및 지지 플레이트(MP) 하측에 배치된 지지부(SP1, SP2)와 충전부(SA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MP)는 표시 모듈(DM-a) 하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MP)는 폴딩 지지부(FA-MP) 및 비폴딩 지지부(NFA1-MP, NFA2-MP)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폴딩 지지부(FA-MP)는 폴딩부로 지칭되고, 비폴딩 지지부(NFA1-MP, NFA2-MP)는 비폴딩부로 지칭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MP)의 제1 비폴딩부(NFA1-MP)와 제2 비폴딩부(NFA2-MP)는 폴딩부(FA-MP)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폴딩부(FA-MP)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비폴딩부(NFA1-MP, NFA2-MP)는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MP)는 금속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MP)는 스테인레스스틸,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지지 플레이트(MP)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등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플레이트(MP)는 비금속 물질, 플라스틱,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유리를 포함 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MP)에는 복수 개의 개구부들(OP)이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들(OP)은 폴딩 영역(FA)에 대응하여 정의된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a)과 지지 플레이트(MP) 사이에는 모듈 보호층(PF)이 배치될 수 있다. 모듈 보호층(PF)은 표시 모듈(DM-a) 하측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a)의 배면을 보호하는 층일 수 있다. 모듈 보호층(PF)은 표시 모듈(DM-a) 전체와 중첩하는 것일 수 있다. 모듈 보호층(PF)은 고분자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보호층(PF)은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모듈 보호층(PF)의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지지부(SP1, SP2) 및 충전부(SA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부(SP1, SP2)는 표시 모듈(DM-a)의 대부분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부(SP1, SP2)의 외측에 배치되고 표시 모듈(DM-a)의 외곽에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부(SP1, SP2)는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서브지지부(SP1) 및 제2 서브지지부(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지지부(SP1) 및 제2 서브지지부(SP2)는 폴딩축(FX, 도 3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지지부(SP1, SP2)는 폴딩 영역(FA)에서 서로 이격되어 제1 서브지지부(SP1) 및 제2 서브지지부(SP2)로 제공됨으로써 표시 장치(ED-a)의 폴딩 또는 벤딩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모듈(LM)은 지지부(SP1, SP2)의 상측 또는 하측에 적층된 쿠션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층(미도시)은 폴딩축(FX, 도 3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서로 분리된 서브 쿠션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P1, SP2)와 쿠션층(미도시) 사이에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부분의 접착력이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대응하는 부분의 접착력 보다 작은 하부 접착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접착층은 고분자 주쇄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쿠션층(미도시)은 외부의 충격 및 힘에 의한 지지 플레이트(MP)의 눌림 현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쿠션층(미도시)은 스펀지, 발포폼, 또는 우레탄 수지와 같은 탄성 중합체(elastom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션층(미도시)은 아크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및 이미드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쿠션층(미도시)은 지지 플레이트(MP)의 하측 또는 하부 지지 플레이트(미도시)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부(SP1, SP2)의 외곽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 플레이트(MP)와 하우징(HAU-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 플레이트(MP)와 하우징(HAU-a)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지지 플레이트(MP)를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는 하부 모듈(LM)에 완충층(CPN)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층(CPN)은 표시 모듈(DM-a) 하측의 두께를 보상하는 두께 보상층, 또는 표시 모듈(DM-a)을 지지하는 지지층의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된 것과 달리 일 실시예에서 완충층(CPN)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에서 하부 모듈(LM)에 포함된 구성의 조합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거나 설명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표시 장치(ED-a)의 크기, 형상, 또는 표시 장치(ED-a)의 동작 특성 등에 따라 그 조합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모듈(LM)은 추가의 지지 플레이트, 쿠션 부재, 접착층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하거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하부 모듈(LM)의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ED-a)에서 하부 모듈(LM)은 지지 플레이트(MP)의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접착층(AP-U1, AP-U2), 및 지지 플레이트(MP)의 하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접착층(AP-D)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부 모듈(LM)에 포함된 접착층들(AP-U1, AP-U2, AP-D)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부 모듈(LM)에 포함된 접착층들(AP-U1, AP-U2, AP-D) 중 적어도 하나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접착력이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대응하는 부분에서의 접착력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상기의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층들(AP-U1, AP-U2, AP-D)은 280nm 이하의 자외선 제공에 의해 접착력이 감소된 부분을 포함하여 폴딩 동작 시 굴곡 변형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280nm 이하의 자외선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의 접착력은 유지되어 인접하는 부재들의 접착 강도가 접착층들(AP-U1, AP-U2, AP-D)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접착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하부 모듈에 포함된 하부 접착층(AP-D)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접착층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표시 장치(ED-a)에서 상부 접착층(AP-U1, AP-U2) 및 하우징 접착층(AP-H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접착층(AP-D)은 비폴딩 영역(NFA1, NFA2)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HAR), 및 폴딩 영역(FA)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LAR)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접착층(AP-D)은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가교부들은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을 통해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가교부들이 형성한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Retro-Diels-Alder)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하부 접착층(AP-D)은 딜스-알더와 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가역적으로 가교 반응이 일어나는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접착층(AP-D)에 포함된 가교부들은 서로 다른 파장 영역의 자외선에 의해 딜스-알더 반응 및 역 딜스-알더 반응이 가역적으로 수행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에 포함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서의 가교 반응의 메커니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분자 화합물은 고분자 주쇄(BBC) 및 복수의 가교부들(CLC)을 포함할 수 있다. 가교부들(CLC)의 일 측은 고분자 주쇄(BBC)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고분자 주쇄(BBC)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의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모노머의 중합 반응은 열 또는 자외선 광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분자 주쇄(BBC)는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ydroxybutyl acrylate, 4-HBA) 모노머,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BA) 모노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의 중합 반응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에서 복수의 가교부들(CLC) 중 이웃하는 가교부들(CLC)은 제1 자외선(UV1)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고분자 주쇄들(BBC) 사이를 연결하는 가교 결합부(LK)를 형성할 수 있다. 가교 결합부(LK)는 이웃하는 가교부들(CLC)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가교 결합(CL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교 결합(CLS)은 제2 자외선(UV2)에 의해 다시 분리될 수 있으며, 가교 결합(CLS)이 분리되어 가교 결합부(LK)는 서로 분리된 가교부들(CLC)로 변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자외선(UV1)은 280nm 초과 파장 영역의 광이고, 제2 자외선(UV2)은 28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일 수 있다. 즉, 제1 자외선(UV1)은 UVA 또는 UVB 영역의 자외선이고, 제2 자외선(UV2)은 UVC 영역의 자외선에 해당한다. 제1 자외선(UV1)은 315nm 이상 38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인 UVA 광, 또는 280nm 초과 315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인 UVB 광일 수 있다. 제2 자외선(UV2)은 100nm 이상 280nm 이하 파장 영역의 광인 UVC 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1 자외선(UV1)은 365nm의 중심 파장을 갖는 것이고, 제2 자외선(UV2)은 280nm의 중심 파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자외선(UV1) 조사 후 가교 결합(CLS)이 형성된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접착층의 접착력은, 제1 자외선(UV1) 조사 전의 가교부(CLC)를 포함하는 접착층의 접착력 보다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가교 결합(CLS)이 형성된 고분자 화합물에 제2 자외선(UV2)을 조사하여 가교 전의 고분자 화합물로 변경될 경우 접착층의 접착력이 제1 자외선(UV1) 조사 후의 접착층의 접착력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접착층(AP-D)은 제1 자외선(UV1) 및 제2 자외선(UV2)에 따라 접착력이 조절되어 접착력이 서로 상이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부 접착층(AP-D)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착부(HAR)는 제1 자외선(UV1)에 의해 형성된 가교 결합부들(LK)을 포함하는 부분이고, 제2 접착부(LAR)는 제2 자외선(UV2)에 의해 가교 결합부들(LK)이 분리된 상태를 포함하는 부분일 수 있다. 가교 결합부들(LK)을 포함하는 제1 접착부(HAR)에 포함된 고분자 화합물은 제2 접착부(LAR)에 포함된 고분자 화합물에 비하여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접착부(HAR)는 제2 접착부(LAR)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착부(LAR)의 제2 접착력은 제1 접착부(HAR)의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력은 약 10gf/inch 이고, 제1 접착력은 약 400gf/inch 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접착층들의 접착력을 피착재를 유리 기판으로 하고 180° 탈착 시험(Peel test) 조건에서의 접착력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 도 5)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접착부(LAR)는 낮은 접착력을 가지며, 이에 따라 폴딩 영역(FA, 도 5)에 대응하여 배치된 폴딩 지지부(FA-MP, 도 4)와 하부 접착층(AP-D)의 접착력이 감소될 수 있다. 낮은 접착력에 의해 하부 접착층(AP-D)으로 서로 결합되는 하부 모듈(LM) 구성 요소들의 폴딩 영역에서의 접착 강도가 감소되며, 이에 따라 폴딩 동작시 하부 접착층(AP-D), 지지 플레이트(MP, 도 5), 및 그 외 하부 모듈(LM, 도 5)에 전달되는 응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동작 시 표시 장치에서의 굴곡 변형이 저감될 수 있으며,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접착력이 감소된 하부 접착층(AP-D)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우수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에 포함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에서의 가교 반응의 메커니즘은 상술하였던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하여 설명한 표시 장치(ED)에 포함된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은 고분자 주쇄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교부들은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가교부들이 형성한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은 딜스-알더와 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가역적으로 가교 반응이 일어나는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은 280nm 초과 파장 영역의 제1 자외선에 의해 가교 결합을 형성하고, 280nm 이하 파장 영역의 제2 자외선에 의해 가교 결합이 분리되는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 전체 또는 선택된 일부 영역에 제2 자외선을 제공하여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의 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자외선 조사 전의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의 제1 접착력과 비교하여, 제2 자외선 조사 후의 보호층 접착층(AP-P) 및 하우징 접착층(AP-H)의 제2 접착력은 제1 접착력의 10%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에 포함된 보호층 접착층(AP-P)에 대하여도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도 6의 제2 접착부(LAR)의 일 부분인 "AA" 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도 6의 제1 접착부(HAR)의 일 부분인 "BB" 영역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동일한 단위 면적에서의 제2 접착부(LAR) 및 제1 접착부(HAR)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동일한 단위 면적에서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높은 제1 접착부의 일 부분인 "BB" 영역에서의 가교 결합(CLS)의 개수는,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낮은 제2 접착부의 일 부분인 "AA" 영역에서의 가교 결합(CLS)의 개수보다 많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8a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일 실시예에서 제2 접착부의 전체 영역에서 가교 결합(CLS)이 포함되지 않으며, 제2 접착부에서 가교부들(CLC)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b 등에서 도시하여 설명한 하부 접착층(AP-D)에 대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에서 상부 접착층들(AP-U1, AP-U2) 및 하우징 접착층(AP-H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b 등을 참조할 때, 상부 접착층들(AP-U1, AP-U2)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가교부들은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고,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상부 접착층들(AP-U1, AP-U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자외선(UV1)에 의해 형성된 가교 결합부들(LK)을 형성한 상태를 포함하는 제1 접착부 및, 제2 자외선(UV2)에 의해 가교 결합부들(LK)이 분리된 상태를 포함하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착부는 제2 접착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착부의 제2 접착력은 제1 접착부의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일 수 있다. 상부 접착층들(AP-U1, AP-U2)은 자외선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력이 조절되어 접착력이 감소된 제2 접착부를 포함함으로써, 폴딩 동작시 응력이 감소되어 표시 장치(ED-a)에서의 굴곡 변형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접착력이 감소된 상부 접착층들(AP-U1, AP-U2)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우수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b 등을 참조할 때, 하우징 접착층(AP-Ha)은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가교부들은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고,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하우징 접착층(AP-Ha)은 제1 자외선(UV1)에 의해 형성된 가교 결합부들(LK)을 형성한 상태를 포함하는 비폴딩 접착부(H-HA) 및, 제2 자외선(UV2)에 의해 가교 결합부들(LK)이 분리된 상태를 포함하는 폴딩 접착부(H-LA)를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 접착부(H-HA)는 폴딩 접착부(H-LA)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폴딩 접착부(H-LA)의 제2 접착력은 비폴딩 접착부(H-HA)의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는 자외선에 의해 용이하게 접착력이 조절되어 접착력이 감소된 폴딩 접착부(H-LA)를 포함함으로써, 하우징 접착층(AP-Ha)에 의해 결합되는 하우징(HAU-a)과 하부 모듈(LM) 간의 폴딩 영역에서의 접착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접착층(AP-Ha)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ED-a)에서, 폴딩 동작시 하우징 접착층(AP-Ha), 하부 모듈(LM), 및 하우징(HAU-a)에 전달되는 응력이 감소되어 표시 장치에서의 굴곡 변형이 저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의 접착력이 감소된 하우징 접착층(AP-Ha)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우수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7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에 포함된 일 실시예에 다른 고분자 화합물에 포함된 가교부들(CLC)은 공액 디엔부(conjugated diene) 및 친디엔부(dienophile)를 포함하며, 공액 디엔부 및 친디엔부가 서로 결합을 공유하며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교부들(CLC)은 딜스-알더 반응에 의해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하여 고분자 화합물에서 가교 결합(CLS)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친디엔부는 알켄(alkene)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딜스-알더 반응에 의해 가교부들(CLC)로 형성된 탄화수소 고리는 포화탄화수소고리 또는 불포화탄화수소고리 일 수 있다. 또한, 탄화수소 고리의 고리 형성 탄소 원자 중 적어도 하나는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 것일 수도 있다.
공액 디엔부 및 친디엔부는 하나의 분자 내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한 이와 달리 각각이 서로 다른 화합물로 구분되어 포함될 수 있다. 즉, 가교부(CLC)는 공액 디엔부 및 친디엔부를 모두 포함하는 하나의 화합물 분자이거나, 또는 이와 달리 가교부(CLC)는 디엔부를 포함하는 제1 화합물 분자와 친디엔부를 포함하는 제2 화합물 분자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교부(CLC)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나의 화합물 분자로 가교부(CLC)의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고, -*는 고분자 주쇄(BBC)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에서 n은 1 이상 10 이하의 정수이고, 구체적으로 n은 6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화학식 1에서 표시된 안트라센 유도체의 6각 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 원자 중 적어도 하나는 중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노기, 실릴기, 옥시기, 티오기, 설피닐기, 설포닐기, 카보닐기, 붕소기, 포스핀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탄화수소 고리기, 또는 헤테로고리기 등으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한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 가교부(CLC)에서 아래 표시한 바와 같이 9번 및 10번 위치에서의 디엔의 결합 부분이 인접하는 안트라센 유도체 가교부(CLC)의 9번 및 10번 위치에서의 디엔의 결합 부분과 고리화 반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이웃하는 두 개의 안트라센 유도체 가교부(CLC)들이 서로 결합하여 이량체를 형성할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부들 중 이웃하는 두 개의 가교부들은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광이량체를 형성하고, 형성된 광이량체는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광분리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부들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광이량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교부(CLC)는 화학식 D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D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공액 디엔부를 포함하는 화학식 D1의 화합물과 친디엔부를 포함하는 화학식 D2의 화합물은 제1 자외선(UV1)에 의해 딜스-알더 반응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결합되어 고리를 형성한 화학식 D1의 화합물과 화학식 D2의 화합물은 제2 자외선(UV2)에 의해 역 딜스-알더 반응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자외선(UV1)은 280nm 초과의 UVA 또는 UVB의 광이고, 제2 자외선(UV2)은 280nm 이하의 UVC의 광일 수 있다.
화학식 D1의 화합물과 화학식 D2의 화합물이 분리된 상태의 가교부(CLC)를 포함하는 경우의 접착층의 접착력은 딜스-알더 반응으로 화학식 D1의 화합물과 화학식 D2의 화합물이 서로 결합하여 탄화수소 고리를 형성한 경우의 가교부(CLC)를 포함하는 접착층의 접착력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학식 D1의 화합물과 화학식 D2의 화합물은 각각 딜스-알더 반응이 가역적으로 일어나는 공액 디엔부 화합물 및 친디엔부 화합물에 해당하는 예시 화합물에 해당한다. 일 실시예의 접착층에 포함된 가교부(CLC)는 상술한 화합물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자외선(UV1)에 의해 딜스-알더 반응이 일어나 가교 결합이 형성되고, 제2 자외선(UV2)에 의해 역 딜스-알더 반응이 일어나 가교 결합이 분리되는 반응 메커니즘을 갖는 공액 디엔부 및 친디엔부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접착층은 하기 예시된 것과 같이 가역적인 딜스-알더 반응이 가능한 화합물들을 가교부들로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가교부들은 아래와 같이 디엔(diene) 부분을 포함하는 디엔부, 및 알켄(alkene)을 포함하는 친디엔부를 동시에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가교부들에서 디엔부로 포함되는 화합물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가교부들에서 친디엔부로 포함되는 화합물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상기의 화학식 D1-a, D1-c, D2-b에서 "EDG"는 전자공여부(Electron donating group)이고, 상기의 화학식 D1-b, D1-d, D2-a에서 "EWG"는 전자수용부(Electron withdrawing group)에 해당한다. 화학식 D1-a 내지 D1-d 및 D2-a와 D2-b에서 사용되는 전자공여부와 전자수용부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D1-a 내지 D1-d 및 D2-a와 D2-b에서 "-*"는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즉, 일 실시예에서 가교부(CLC)는 D1-a 내지 D1-d 중에서 선택되는 디엔부 및 D2-a 또는 D2-b 중에서 선택되는 친디엔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선택되는 디엔부가 전자공여부를 포함하는 것인 경우 이와 같이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친디엔부는 전자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이와 달리 선택되는 디엔부가 전자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인 경우 이와 같이 사용되도록 선택되는 친디엔부는 전자공여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1-a 내지 D1-d 중에서 선택되는 디엔부의 화합물과 D2-a 또는 D2-b 중에서 선택되는 친디엔부의 화합물은 제1 자외선(UV1)에 의해 딜스-알더 반응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결합되어 고리를 형성한 디엔부 화합물과 친디엔부 화합물은 제2 자외선(UV2)에 의해 역 딜스-알더 반응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자외선(UV1)은 280nm 초과의 UVA 또는 UVB의 광이고, 제2 자외선(UV2)은 280nm 이하의 UVC의 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딜스-알더 반응과 역 딜스-알더 반응은 아래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반응식들에서 EDG와 EWG 위치에서 각각 고분자 주쇄에 결합될 수 있다.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접착층에 포함된 일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화합물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가교부를 포함하는 경우에서의 반응 메커니즘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9에서는 가교부(CLC)가 안트라센 유도체인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를 참조하면, 고분자 화합물은 고분자 주쇄(BBC) 및 복수의 가교부들(CLC)을 포함하며, 복수의 가교부들(CLC)은 각각 고분자 주쇄(BBC)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가교부들(CLC)은 고분자 주쇄(BBC)에 측쇄 형태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안트라센 유도체를 측쇄로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들의 경우 하기 화학식 B1 또는 화학식 B2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의 라디칼 중합 또는 축합 중합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서 "경화 전" 상태로 도시된 부분에서 가교부들(CLC) 각각은 고분자 주쇄(BBC)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가교부들(CLC)은 서로 결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경화 전" 상태는 제1 자외선(UV1)이 조사되기 전의 상태, 또는 제2 자외선(UV2)이 조사된 이후의 상태일 수 있다. "경화 후" 상태로 도시된 부분에서 가교 결합부(LK)는 가교 결합(CLS)으로 서로 결합된 형태의 광이량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경화 후" 상태에서 가교부들(CLC)은 광이량체를 형성하고, "경화 전" 상태에서 광이량체는 광분리되며 결합되지 않은 가교부들(CLC)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은 고분자 주쇄들을 형성하는 모노머,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가교부들, 및 개시제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분자 화합물은 70~80wt%의 모노머, 5~20wt%의 가교부, 및 0.1~1wt%의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중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은 전체 중량 100wt%를 기준으로 5~20wt%의 가교부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접착력과 내구성을 나타내며, 또한 UVC광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화합물에서 고분자 주쇄는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모노머, 부틸아크릴레이트(BA) 모노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의 중합 반응으로 형성된 아크릴레이트계 고분자일 수 있다. 가교부들은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일 수 있으며, 개시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의 광개시제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표 1에서는 도 9에서 "경화 후" 상태에 해당하는 접착층과 "경화 전" 상태에 해당하는 접착층에서의 물성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표 1에서 "경화 후"는 365nm의 자외선이 조사된 이후의 접착층에 해당하고, "경화 전"은 "경화 후"의 접착층에 280nm의 자외선이 조사된 이후의 접착층에 해당한다.
표 1에서, 투과율은 가시광 영역에서의 접착층의 투과율이고, 저장 탄성율은 상온(room temperature)에서의 값이고, 접착력은 유리 기판을 피착재로 한 접착층의 접착력에 해당한다.
구분 경화 후 경화 전
투과율(%) 90 ND
저장 탄성율 (MPa) 0.05 ND
접착력 (gf/inch) 400 10
표 1을 참조하면, 경화 후 상태에서의 접착층은 90%의 높은 투과율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접착력도 400gf/inch의 큰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280nm의 자외선이 조사된 이후의 경화 전 상태의 경우 투과율과 저장 탄성율의 측정이 어려웠으며, 접착력은 10gf/inch의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즉, 표 1의 결과로부터 자외선의 제공에 따라 접착층의 접착력 조절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보호층 접착층의 접착력 조정을 이용한 보호층 탈착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표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a에서는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윈도우(WM), 보호층 접착층(AP-P), 및 보호층(PL)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10b에서는 윈도우(WM) 및 보호층(PL)이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보호층 접착층(AP-P)에 의해 보호층(PL)이 윈도우(WM)에 부착될 수 있다. 보호층(PL)과 윈도우(WM)가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의 보호층 접착층(AP-P)은 도 9에 도시된 "경화 후" 상태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보호층(PL) 측 또는 윈도우(WM) 측에서 UVC 광인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으며, 이때 보호층 접착층(AP-P)은 도 9에 도시된 "경화 전" 상태에 대응하는 탈착 접착층(AP-PA)으로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보호층 접착층(AP-P)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윈도우(WM) 및 보호층(PL)은 UVC 광원에 의해 보호층 접착층(AP-P)의 접착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보호층 접착층(AP-P)의 접착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 또는 표시 장치 제조 공정 시의 필요에 따라 기존 보호층(PL)의 분리 및 신규 보호층의 추가 등의 보호층 재작업 공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재작업 가능한 접착층의 구성은 도 2 또는 도 4 등에서 제시된 하우징 접착층(AP-H, AP-H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 광을 이용하여 하우징 접착층(AP-H, AP-Ha)의 접착력을 조절함으로써, 표시 장치 제조 공정 시 필요에 따라 하우징(HAU)과 표시 모듈(DM) 사이, 또는 하우징(HAU-a)과 또는 하부 모듈(LM) 사이를 분리하여 재작업 공정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선택적 영역에서의 접착력을 감소시킨 하부 접착층의 제조 방법의 일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비폴딩 지지부(NFA1-MP, NFA2-MP) 및 폴딩 지지부(FA-MP)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MP), 및 지지 플레이트(MP) 하부에 배치된 예비 접착층(P-PSA)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예비 접착층(P-PSA) 상태에서는 폴딩 지지부(FA-MP)에 대응하는 부분 및 비폴딩 지지부(NFA1-MP, NFA2-MP)에 대응하는 부분 전체적으로 접착력이 균일한 수준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 11b는 폴딩 영역(FA)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UVC 광을 조사하여 제1 접착부(HAR) 및 제2 접착부(LAR)의 접착력이 상이하게 조절된 하부 접착층(AP-D)의 제조 단계를 도시하였다. 예비 접착층(P-PSA) 상태에서 마스크(MSK)를 이용하여 선택된 영역에만 UVC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UVC광이 조사된 영역에서의 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착부(LAR)는 제1 접착부(HAR) 보다 작은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착부(LAR)의 제2 접착력은 제1 접착부(HAR)의 제1 접착력의 10%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폴딩 지지부(FA-MP)에 대응하여 배치된 제2 접착부(LAR)의 접착력이 국부적으로 감소되어 폴딩 지지부(FA-MP)와 하부 접착층(AP-D)의 굴곡 변형이 저감될 수 있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에서 도시된 방법과 달리, 지지 플레이트(MP)에 부착되지 않은 예비 접착층(P-PSA) 상태에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선택적 영역에서 접착력을 감소시킨 하부 접착층(AP-D)을 우선 제조하고, 이후 제조된 하부 접착층(AP-D)을 지지 플레이트(MP)에 부착하는 단계로 표시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접착력이 낮은 제2 접착부(LAR)가 폴딩 지지부(FA-MP)에 부착되고, 제2 접착부(LAR) 보다 큰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HAR)가 비폴딩 지지부(NFA1-MP, NFA2-MP)에 부착되도록 하부 접착층(AP-D)을 지지 플레이트(MP)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하부 접착층(AP-D)의 접착력을 조절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접착력 조절 방법은 국부적으로 접착력 조절이 필요한 다른 접착층들의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ED-a)에서 상부 접착층들(AP-U1, AP-U2) 및 하우징 접착부(AP-Ha)의 제조에도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을 통해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고, 형성된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Retro-Diels-Alder)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보호층 접착층, 및 보호층 접착층에 의해 부착되는 보호층을 포함하며, 이러한 보호층 접착층의 접착력을 자외선을 이용한 딜스-알더 반응/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보호층의 재작업성이 개선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을 포함하며, 폴딩 영역에 대응하여 접착력이 감소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폴딩 영역에서의 표시 장치 부재들의 굴곡 변형이 저감되어 우수한 폴딩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에 대응한 부분에서의 접착력이 감소된 접착층을 자외선을 이용한 딜스-알더 반응/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용이하게 제공함으로써, 부분적인 접착력 감소를 위해 접착력 저감층 도입 또는 폴딩 영역에서의 접착층 제거 등의 추가적인 공정 없이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폴딩 특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 제조가 가능하여,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D, ED-a : 표시 장치 WM, WM-a : 보호층
DM, DM-a : 표시 모듈 PL : 보호층
AP-P : 보호층 접착층 AP-U1, AP-U2 : 상부 접착층
AP-D : 하부 접착층 AP-H, AP-Ha : 하우징 접착층

Claims (26)

  1.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측에 배치된 보호층;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된 하우징;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 접착층은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교부들은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을 통해 상기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고, 상기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Retro-Diels-Alder)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결합들은 상기 가교부들에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을 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교 결합들은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분리되는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하우징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접착층은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외선이 제공된 상태에서 유리 기판을 피착제로 한 상기 보호층 접착층의 제1 접착력은, 상기 제1 자외선이 제공된 상태에서 유리 기판을 피착제로 한 상기 보호층 접착층의 제2 접착력의 10% 이하인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들 중 이웃하는 두 개의 가교부들은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광이량체를 형성하고, 상기 광이량체는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광분리되는 표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들 각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량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주쇄는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의 중합 반응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폴딩 지지부, 및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는 비폴딩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접착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비폴딩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폴딩 접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접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폴딩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폴딩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은 표시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접착층,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접착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 접착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제2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은 표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인 표시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 접착층은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제2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은 표시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인 표시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설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릴레이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7.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되고,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을 포함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된 상부 접착층,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된 하부 접착층을 포함하는 하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 접착층, 상기 상부 접착층, 및 상기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교부들은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상기 고분자 주쇄들 사이에 복수의 가교 결합들을 형성하고, 상기 가교 결합들은 역 딜스-알더 반응을 통해 분리되는 표시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결합들은 상기 가교부들에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을 제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가교 결합들은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분리되는 표시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착층 및 상기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제2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은 표시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인 표시 장치.
  21.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되고, 윈도우,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 및 상기 윈도우와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 접착층을 포함하는 상부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하측에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된 상부 접착층,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하측에 배치된 하부 접착층을 포함하는 하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 접착층, 상기 상부 접착층, 및 상기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고분자 주쇄들 및 복수의 가교부들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교부들 중 이웃하는 두 개의 가교부들은 280nm 초과의 제1 자외선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광이량체를 형성하고, 상기 광이량체는 280nm 이하의 제2 자외선에 의해 광분리되는 표시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들 각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이상 20 이하의 정수이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량체는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고,
    -*는 상기 고분자 주쇄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주쇄는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부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의 모노머의 중합 반응으로 형성된 표시 장치.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착층 및 상기 하부 접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제1 접착력을 갖는 제1 접착부, 및 상기 폴딩 영역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접착력 보다 작은 제2 접착력을 갖는 제2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가 상기 제2 접착부에서의 상기 가교 결합들의 개수 보다 많은 표시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력은 상기 제1 접착력의 10% 이하인 표시 장치.
KR1020220066218A 2022-05-30 2022-05-30 표시 장치 KR20230167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218A KR20230167454A (ko) 2022-05-30 2022-05-30 표시 장치
US18/144,080 US20230383152A1 (en) 2022-05-30 2023-05-05 Display device
CN202310522390.8A CN117153044A (zh) 2022-05-30 2023-05-10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218A KR20230167454A (ko) 2022-05-30 2022-05-30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454A true KR20230167454A (ko) 2023-12-11

Family

ID=88877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218A KR20230167454A (ko) 2022-05-30 2022-05-3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83152A1 (ko)
KR (1) KR20230167454A (ko)
CN (1) CN117153044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53044A (zh) 2023-12-01
US20230383152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327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249906B1 (ko) 화상 표시 장치
KR10181633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을 접합하기 위한 열 활성화 광학 투명 접착제
TWI791068B (zh) 圓偏光板及顯示裝置
KR101953367B1 (ko)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부재의 제조 방법
TWI767086B (zh) 圓偏光板及顯示裝置
KR20190063306A (ko) 광학표시장치의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4266623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TW202024277A (zh) 附邊框之影像顯示面板及影像顯示裝置
KR20210039224A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13167931A (zh) 层叠体和使用它的图像显示装置
US20240006265A1 (en) Display device
KR1014746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9558028B (zh) 触摸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20230167454A (ko) 표시 장치
US20220135724A1 (en) Adhesive film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35296A (ko) 표시 장치
KR10214699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370052B1 (ko) 광학표시장치의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4144823B (zh) 光学层叠体及其制造方法
KR20190036085A (ko)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389290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167771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1196576A (ja) 円偏光板、光学積層体、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表示パネル、画像表示装置
KR102024265B1 (ko) 비산방지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