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049A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049A
KR20230167049A KR1020237035598A KR20237035598A KR20230167049A KR 20230167049 A KR20230167049 A KR 20230167049A KR 1020237035598 A KR1020237035598 A KR 1020237035598A KR 20237035598 A KR20237035598 A KR 20237035598A KR 20230167049 A KR20230167049 A KR 2023016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re housing
housing
fitting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니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고주파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컨택트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케이블 커넥터(10)는 상대측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하여 전기적 도통을 확립하는 접촉부(420)을 가지는 통 모양의 컨택트(410)와, 해당 컨택트(410)의 연재 방향을 따라서, 상기 컨택트(410)의 주위를 포위하는 통 모양의 코어 하우징(210)과, 상기 컨택트(410)가 상기 코어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상기 컨택트(410)가 상기 코어 하우징(21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빠짐 방지 구조는 상기 컨택트(410)의 상기 접촉부(420)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감합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커넥터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에 적합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원통 모양의 외부 컨택트를 접속하고, 이 외부 컨택트를 외부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에 삽입하고, 외부 컨택트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장출(張出)하도록 형성된 플랜지를,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랜스의 걸림 클로에 거는 것과 아울러, 외부 하우징에 장착되는 리테이너에 의해서 락(lock)하는 것에 의해, 외부 컨택트가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9-153464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는, 외부 컨택트를 외부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서, 외부 컨택트에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종래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는, 외부 컨택트에 랜스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 플랜지나 랜스를 외부 하우징의 단자 수용실 내에 대응하여 형성한 단차(段差)에 걸고 있었다. 그렇지만, 플랜지나 랜스를 형성했을 경우, 외부 컨택트의 지름 방향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고, 또한, 외부 하우징과의 사이에도 공간이나 단차가 생겨, 결과적으로 고주파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컨택트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하여 전기적 도통을 확립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컨택트와,
해당 컨택트의 연재(延在) 방향을 따라서, 상기 컨택트의 주위를 포위하는 통 모양의 코어 하우징과,
상기 컨택트가 상기 코어 하우징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상기 컨택트가 상기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빠짐 방지 구조가, 상기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감합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구조는 상기 코어 하우징에 형성된 랜스, 및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 클로와, 상기 랜스 및 상기 걸림 클로에 대응하여 상기 컨택트에 형성된 피걸림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 부재는 상기 컨택트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 모양 부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부재는 원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피걸림 부재의, 상기 감합측과는 반대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합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캔틸레버 모양으로 연출(延出)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외부 하우징을 더 가지며, 해당 외부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코어 하우징이 수용되는 수용실을 가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고주파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컨택트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컨택트가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감합 방향측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피걸림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컨택트를, 코어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 방향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어느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라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컨택트를 코어 하우징에 걸리게 하기 위한 피걸림 부재를, 컨택트의 접촉부보다도 감합측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걸림 부재가 고주파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컨택트와 코어 하우징의 조립체를 외부 하우징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케이블 커넥터를 용이하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암형(雌型)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주요 구성 부분으로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암 하우징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암 하우징 조립체를 감합 방향 전후 및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는 평면에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를 분해하여 감합 방향 전후 및 상하로 펼쳐지는 평면에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코어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상면도, 도 4의 (B)는 측면도, 도 4의 (C)는 저면도, 도 4의 (D)는 도 4의 (A)의 IVD-IVD선으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 도 4의 (E)는 코어 하우징을 감합 방향 전방에서 후방을 본 경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중심 컨택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외측 컨택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제조 중의 외측 컨택트가 스트립 캐리어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B)는 도 7의 (A)의 상면도, 도 7의 (C)는 측면도, 도 7의 (D)는 저면도, 도 7의 (E)는 도 7의 (B)의 VIIE-VIIE선으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구성하는 페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9의 (A)는 동축 케이블을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에 삽입하고, 케이블 외피를 제거하여 편조(編組) 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9의 (B)는 편조 도체 주위에 페룰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9의 (C)는 편조 도체를 페룰 주위로 되접어 꺾은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9의 (D)는 심선에 중심 컨택트를 압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9의 (E)는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를 동축 케이블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0의 (A)는 코어 하우징을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감합 방향 전방에서 후방을 본 경우의 정면도, 도 10의 (C)는 도 10의 (B)의 XC-XC선으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 도 10의 (D)는 코어 하우징을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에 장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10의 (E)는 도 10의 (D)의 감합 방향 전방에서 후방을 본 경우의 정면도, 도 10의 (F)는 도 10의 (E)의 XF-XF선으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 도 10의 (G)는 코어 하우징을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에 장착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10의 (H)는 도 10의 (G)의 감합 방향 전방에서 후방을 본 경우의 정면도, 도 10의 (I)는 도 10의 (H)의 XI-XI선으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 도 10의 (J)는 도 10의 (I)의 XJ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암 동축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1의 (A)는 외부 하우징에 도 10의 (G)의 조립체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상태를 감합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는 평면에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 도 11의 (C)는 외부 하우징에 도 10의 (G)의 조립체를 삽입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의 (D)는 도 11의 (C)의 상태를 감합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는 평면에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 도 11의 (E)는 외부 하우징에 리테이너를 완전하게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의 (F)는 도 11의 (E)의 상태를 감합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펼쳐지는 평면에서 절단하여 측방에서 본 경우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로서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를 예시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다른 형태의 케이블 커넥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는, 암 하우징 조립체(100),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 암 중심 컨택트(300),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 페룰(500)을 포함하며, 이것들은 후술하는 공정을 따라서 조립되고, 동축 케이블(R)에 접속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축 케이블(R)이 연재하는 방향을 「감합 방향」 혹은 「전후 방향」이라고 부르고, 이것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즉 도 1의 (A), 도 1의 (B)에서의 지면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부르며, 감합 방향과 상하 방향 양방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특히, 감합 방향 중, 상대측 커넥터로 향하는 방향, 즉 도 1의 (A), 도 1의 (B)에서의 지면 좌하로 향하는 방향을 「감합 방향 전방」, 상대측 커넥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도 1의 (A), 도 1의 (B)에서의 지면 우상으로 향하는 방향을 「감합 방향 후방」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커넥터를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에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암형의 커넥터로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에 설명하는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의 주요부의 구성에 대응하는 숫형(雄型)의 커넥터에 적용한 것이어도 된다.
도 2의 (A), 도 2의 (B)를 참조하여, 암 하우징 조립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암 하우징 조립체(100)는 외부 하우징(110)과, 리테이너(130)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실을 가지며, 이 수용실에는, 후술하는 코어 하우징(210)이 수용된다. 외부 하우징(110)은 내부가 중공으로 된 통 모양의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판(111), 저판(112), 측판(113, 114)을 가진다. 상판(111), 저판(112), 측판(113, 114)으로 사방이 둘러싸인 내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수용실인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은 외부 하우징(110)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에는 후술하는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가 수용된다.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의 감합 방향 전방측은 감합단(116), 감합 방향 후방측은 와이어 삽입단(117)으로 되어 있다.
상판(111)에는 락 암(lock arm)(118)이 연결부(119)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락 암(118)은 연결부(119)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락 암(118)은,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가 도시하지 않은 상대방 커넥터에 접속되었을 때에, 대응하여 형성된 걸림 돌기에 맞물리고, 이것에 의해서 상대방 커넥터와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된다.
저판(112)에는, 폭 방향 2개소에 리테이너 삽입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고,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저판(112)에는, 2개의 리테이너 삽입구에 끼인 중간 부분에 하우징 랜스(120)가 마련된다. 하우징 랜스(120)는 와이어 삽입단(117)측에서 저판(112)과 일체로 접속되고, 감합단(116) 방향을 향하여 저판(112)으로부터 캔틸레버형으로 연장되고, 2개의 리테이너 삽입구 사이의 부분을 선단 부분으로 하고, 이 선단 부분에 상방을 향하여 돌기된 걸림 클로(121)가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130)는 베이스부(131)와, 이 베이스부(131)의 폭 방향 외단 부분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 다리부(132, 133)를 가지고 있다. 걸림 다리부(132, 133)는 외부 하우징(110)의 리테이너 삽입구에 삽입할 수 있고, 후술하는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를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의 내부에 건다. 걸림 다리부(132, 133)는, 리테이너(130)가, 리테이너 삽입구에, 후술하는 완전 락 상태까지 삽입되면,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의 고리 모양 홈부에 삽입되어,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의,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 내에서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저지한다.
다음으로, 도 3의 (A), 도 3의 (B), 도 4의 (A)~도 4의 (E)를 참조하여,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는 코어 하우징(210), 와이어 씰 캡(230), 와이어 씰(240), 감합측 씰(250)을 포함한다.
도 4의 (A)~도 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하우징(210)은, 후술하는 외측 컨택트(410)의 연재 방향을 따라서, 외측 컨택트(410)의 지름 방향 주위를 개구 없게 포위하는 통 모양의 부재이다. 코어 하우징(210), 감합단(212), 와이어 삽입단(213)을 가지는 수지제에 의해 통 모양으로 형성된 코어 하우징 본체(211)를 가진다. 즉, 코어 하우징 본체(211)는 감합단(212)부터 와이어 삽입단(213)까지의 사이에 구멍이나 개구가 없는 구조이다.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를 수용하는 컨택트 수용 공간(214)이 감합단(212)부터 와이어 삽입단(213)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컨택트 수용 공간(214)의 형상, 즉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내측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이다.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외표면에는, 감합 방향 중앙 부분에, 고리 모양 홈부(215)가 외주면(外周面)을 따라서 지름 방향 내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고리 모양 홈부(215)에는, 외부 하우징(110)의 하우징 랜스(120)의 걸림 클로(121)가 걸리는 것과 아울러, 리테이너(130)의 걸림 다리부(132, 133)가 삽입되어, 코어 하우징(210)이 외부 하우징(110)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고리 모양 홈부(215)보다도 감합단(212)측에는,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우묵하게 들어간 감합측 홈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고리 모양 홈부(215)보다도 와이어 삽입단(213)측에는,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우묵하게 들어간 삽입단측 홈부(217)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측 홈부(216)에는, 후술하는 감합측 씰(250)이 끼워 맞춰지고, 삽입단측 홈부(217)에는 후술하는 와이어 씰 캡(230)의 걸림 클로가 걸린다. 따라서,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가 외부 하우징(110)에 대해서 조립되었을 때에, 코어 하우징(210)의 코어 하우징 본체(211)는,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의 내부에서, 감합측 씰(250)을 넘어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있게 된다.
코어 하우징(210)의 감합단(212)측에는, 랜스(218), 및 이 랜스(218)의 감합측의 선단부에, 코어 하우징(210)의 지름 중심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걸림 클로(219), 및 코어 하우징(210)의 감합단(212)에 형성된 고리 모양부(220)가 마련된다. 랜스(218)는 감합측 홈부(216) 부근에서 코어 하우징 본체(211)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곳으로부터 캔틸레버형으로 감합 방향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감합단(212)에 이르지 않는 위치에서, 고리 모양부(220)로부터 떨어진 선단부를 가지고, 이 선단부에 걸림 클로(219)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코어 하우징(210)의 컨택트 수용 공간(214)에는, 삽입단측 홈부(217)의 내면측에 내측으로 지름이 축소된 장출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컨택트 수용 공간(214)을 와이어 삽입단(213)과 이격하고 있다. 장출부(221)보다도 와이어 삽입단(213)측의 공간은 와이어 수용부(222)로 되어 있다.
와이어 씰 캡(230)은, 도 3의 (A),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하우징(210)의 와이어 삽입단(213)측의 외주 부분에 끼워넣어지는 것이다. 와이어 씰 캡(230)은, 원통 형상이고, 코어 하우징(210)의 와이어 삽입단(213)과 삽입단측 홈부(217)와의 사이의 주위를 덮는 것이 가능한 길이의 몸통부(231), 코어 하우징(210)의 와이어 삽입단(213)의, 동축 케이블 삽통(揷通) 부분을 제외한 단면(端面) 부분을 덮는 단면(232), 감합측 단부에서 지름 방향 내측을 향하여 고리 모양으로 돌기된 걸림 클로(233)를 가진다.
와이어 씰(240)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하우징(210)의 와이어 수용부(222)에 배치되고, 코어 하우징 본체(211)와 여기에 삽입되는 동축 케이블(R)의 외면과의 사이에 배치되며,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내면과 동축 케이블(R)과의 사이를 씰(seal)한다. 와이어 씰(240)은 수지제이고 전후 방향으로 소정폭을 가지며, 또한 지름 방향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 모양의 부재로서, 내면 외면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은,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가 조립되었을 때에, 동축 케이블(R)의 외면, 및 코어 하우징(210)의 내면 양방에 밀접(密接)한다.
감합측 씰(250)은 코어 하우징(210)의 감합측 홈부(216)의 주위에 끼워넣어지는 수지제의 고리 모양 부재이다. 감합측 씰(250)은, 코어 하우징(210)의 감합단(212)측에서, 코어 하우징 본체(211)와 외부 하우징(110)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코어 하우징 본체(211)와, 외부 하우징(110)의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의 내면, 및 코어 하우징(210) 주위에 감합되는 상대측 커넥터의 부재와의 사이를 씰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암 중심 컨택트(300)에 대해 설명한다. 암 중심 컨택트(300)는, 금속제이고, 동축 케이블(R)의 중심 도체에 압착 접속되는 파지부(301)를 가지는 기단부(基端部)(302)와, 이 기단부(302)로부터 감합 방향 전방으로 연장되는 통 모양의 컨택트부(303)를 가진다. 통 모양의 컨택트부(303)의 감합 방향 전방 부분은, 감합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복수의 슬릿(304)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컨택트 편(片)(305)으로 분할되어 있다. 컨택트 편(305)의 중심 부분에, 상대측 커넥터의 핀 모양의 중심 컨택트가 삽입되면 전기적 도통이 성립된다.
다음으로, 도 6, 도 7의 (A)~도 7의 (E)를 참조하여,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에 대해 설명한다.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는, 통 모양의 컨택트인 외측 컨택트(410)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절연체(430)를 포함한다.
도 7의 (A)~도 7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컨택트(41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통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부재이고, 본체 몸통부(411), 케이블 삽입단측에 형성된 외피 압착부(412), 외측 도체 접속부(413), 감합측 단부에 형성된 컨택트 편(414), 및 감합측 단부에 형성된 고리 모양 부재(415)를 포함한다. 외측 컨택트(410)의 외측 형상은,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컨택트 수용 공간(214)의 내측 형상에 대응한 통 모양이며, 바람직하게는 원통 형상이다.
본체 몸통부(411)는, 금속 평판을, 전후 방향으로 연재하는 원통형이 되도록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특히, 지름 방향 외측 및 지름 방향 내측 양방을 향하여 요철이 없는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본체 몸통부(411)의 외면은, 차양이나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외피 압착부(412)는 베이스부로부터 원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외피 파지편(416)을 가지고, 여기에 동축 케이블(R)의 외피 부분이 삽입되어 압착된다.
외측 도체 접속부(413)는 본체 몸통부(411)와 외피 압착부(412)의 사이에 있고, 외피 압착부(412)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로부터 원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외측 도체 파지편(417)을 가지고, 여기에, 후술하는 페룰(500)의 주위로 되접어 꺾인 동축 케이블(R)의 편조 도체가 삽입되어 압착된다.
컨택트 편(414)은, 본체 몸통부(411)의 감합 방향 전방측으로서, 고리 모양 부재(415)의 감합 방향 후방측의 위치에, 본체 몸통부(411)와 하나로 연속되어 형성된다. 컨택트 편(414)은 U자 형상의 슬릿(418)에 의해서 고리 모양 부재(415) 및 후술하는 접속 빔(419)과 이격되어 있고, 감합 방향 후방측으로부터, 즉 본체 몸통부(411)의 감합 방향 전방측의 단부로부터, 감합 방향 전방을 향하여 캔틸레버 모양으로 연출(延出)되어 있고, 지름 방향으로 탄성을 가진다. 컨택트 편(414)의, 감합 방향 전방의 선단 부분에는, 약간 지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접촉점(420)이 마련된다. 컨택트 편(414)의 접촉점(420)은,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가 상대측 커넥터와 감합되었을 때에, 상대측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하여 전기적 도통을 확립하는 접촉부가 된다.
고리 모양 부재(415)는, 외측 컨택트(410)의 감합 방향 전단에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외측 컨택트(410)가 코어 하우징(210)의 컨택트 수용 공간(214)에 삽입되었을 때에, 외측 컨택트(410)가 코어 하우징(21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피걸림 부재가 된다. 고리 모양 부재(415)는, 본체 몸통부(411)와는 접속 빔(419)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는 것에 대해, 컨택트 편(414)과는 슬릿(418)에 의해서 이격되어 있다. 고리 모양 부재(415)의 형상은, 감합 방향 전방에서 후방을 본 경우에 원형이지만, 정사각형이나 정팔각형 등의 다각 형상이어도 된다.
절연체(43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통형의 부재이며, 절연 본체(431)와 그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 컨택트 수용로(432)를 가진다. 절연 본체(431)의 외경은 외측 컨택트(410)의 본체 몸통부(411)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고, 중심 컨택트 수용로(432)의 내경은 암 중심 컨택트(300)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체(430)는 중심 컨택트 수용로(432) 내에 암 중심 컨택트(300)를 유지하고, 절연 본체(431)의 외주가 외측 컨택트(410)에 의해서 유지된다.
또한, 절연체(430)의 감합 방향의 길이는, 이 절연체(430)가, 암 중심 컨택트(300)의 지름 방향 주위와, 동축 케이블(R)의, 후술하는 페룰(500)이 끼워 맞춰진 부위로부터 노출되는 절연체의 지름 방향 주위를 포위하는 길이이며, 또한 이 길이는, 외측 컨택트(410)의 본체 몸통부(411), 컨택트 편(414), 및 고리 모양 부재(415)의 내부로 연재하는 길이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페룰(5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룰(500)은 금속제에 의해 원통형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페룰(500)의 내경은, 동축 케이블(R)의 편조 도체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다. 페룰(500)은 동축 케이블(R)의 외피를 벗긴 후에 노출되는 편조 도체의 주위에 끼워넣어진다. 또한, 이 편조 도체의, 페룰(500)로부터 감합 방향 전방측으로 노출된 편조 도체가, 페룰(500)의 외표면 상에 감합 방향 후방을 향하여 되접어 꺾이고, 외측 컨택트(410)의 외측 도체 파지편(417)의 사이에 삽입되어 파지되고, 페룰(500)과의 사이에 압착 접속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는, 외측 컨택트(410)가 코어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외측 컨택트(410)가 코어 하우징(210)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 빠짐 방지 구조는, 코어 하우징(210)에 형성된 랜스(218), 및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 클로(219)와, 이 랜스(218) 및 걸림 클로(219)에 대응하여 외측 컨택트(410)에 형성된 피걸림 부재를 포함한다. 이 피걸림 부재는, 외측 컨택트(410)의 감합측 단부에 형성된 고리 모양 부재(415)이다.
이 빠짐 방지 구조는, 외측 컨택트(410)의 컨택트 편(414)에 형성되는 접촉점(420)보다도 상대측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감합측, 즉 감합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조립 방법]
다음으로, 도 9의 (A)-도 9의 (E), 도 10의 (A)-도 10의 (J), 도 11의 (A)-도 11의 (F)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동축 케이블(R)을 절단한 후,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에 삽입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축 케이블(R)의 선단을, 와이어 씰 캡(230)과 코어 하우징(210)에, 와이어 삽입단(213)으로부터 컨택트 수용 공간(214)으로 삽입하고, 감합단(212)으로부터 인출한다. 이어서,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R)의 외피를 소정 길이 제거하여, 편조 도체를 노출시킨다. 노출되는 편조 도체의 길이는, 페룰(500)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도록 된다.
다음으로, 도 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된 편조 도체의 주위에 페룰(500)을 끼워 맞춘다. 이때, 페룰(500)의 감합 방향 후방측의 단부가 동축 케이블(R)의 외피의 감합 방향 전방측의 단부에 이르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9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룰(500)의 감합 방향 전단으로부터 노출된 편조 도체를, 감합 방향 후방을 향하여 되접어 꺾고, 페룰(500)의 주위에 씌운다.
다음으로, 되접어 꺾은 편조 도체의 지름 방향 내측으로부터 감합 방향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유전체를, 소정 길이 제거하여 중심 도체를 노출시킨다. 또한, 도 9의 (A), 도 9의 (B)에서는, 처음부터 중심 도체가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시와 같이, 편조 도체 및 유전체를 각각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중심 도체를 노출시키는 공정을, 동축 케이블(R)을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에 삽입하기 전에 행해도 된다. 이어서, 도 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출된 중심 도체에 암 중심 컨택트(300)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중심 도체를 기단부(302)에 삽입하고, 파지부(301)를, 중심 도체가 사이에 개재한 상태에서 기단부(302)를 향하여 압착한다.
이어서, 도 9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를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컨택트(410)의 본체 몸통부(411)의 내부에 절연체(430)를 수용한 상태에서, 도 9의 (D)의 상태의 동축 케이블(R) 및 암 중심 컨택트(300)를 삽입한다. 이때, 동축 케이블(R)의 외피가 외피 압착부(412)의 내측에 재치되고, 페룰(500)의 주위로 되접어 꺾인 편조 도체가 외측 도체 접속부(413)의 내측에 재치된다. 또한, 암 중심 컨택트(300)는 절연체(430)의 중심 컨택트 수용로(432)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외피 압착부(412)를 동축 케이블(R)의 외피에 대해서 외주 방향으로부터 압착한다. 마찬가지로, 외측 도체 접속부(413)를 동축 케이블(R)의 페룰(500) 주위로 되접어 꺾인 편조 도체에 대해서 외주 방향으로부터 압착한다.
이어서, 도 10의 (A)-도 10의 (J)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컨택트(410)가 장착된 동축 케이블(R)을 감합 방향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것에 의해,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를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 내에 장착한다. 도 10의 (A)-도 10의 (C)는, 외측 컨택트(410)가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D)-도 10의 (J)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컨택트(410)의 본체 몸통부(411), 외피 압착부(412), 외측 도체 접속부(413)는, 코어 하우징(210)의 컨택트 수용 공간(214)에 감합 방향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되어 간다. 이때, 외측 컨택트(410)의 고리 모양 부재(415)가 코어 하우징(210)의 걸림 클로(219)에 접촉하여, 랜스(218)를 지름 방향 외측으로 변형시킨다.
도 10의 (I), 도 10의 (J)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 모양 부재(415)가 코어 하우징(210)의 걸림 클로(219)를 감합 방향 후방으로 통과하면, 랜스(218)에 가해지고 있던 압력이 해방되어 랜스(218)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때, 걸림 클로(219)는 외측 컨택트(410)의 고리 모양 부재(415)의 감합 방향 전단 부분에 걸리고, 외측 컨택트(410)가 코어 하우징(210)으로부터 감합 방향 전방을 향하여 탈락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이때, 외측 컨택트(410)의 외피 파지편(416)의 감합 방향 후방의 단부가 코어 하우징(210)의 컨택트 수용 공간(214)의 장출부(221)에 도달하여 맞닿고, 외측 컨택트(410)가 코어 하우징(210) 내에서 감합 방향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도 제한된다.
또한, 와이어 씰(240)이, 코어 하우징(210)의 와이어 수용부(222)의 내면과, 여기에 삽입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R)의 외피와의 사이를 씰하여, 컨택트 수용 공간(214)으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 11의 (A)-도 11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를, 암 하우징 조립체(100)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200)를, 외부 하우징(110)의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에, 와이어 삽입단(117)측으로부터 감합 방향 전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코어 하우징 본체(211)를 외부 하우징(110)의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으로 삽입하여 나가면,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외면이, 저판(112)에 형성된 하우징 랜스(120)의 선단의 걸림 클로(121)에 접촉하고, 하우징 랜스(120)는 외측, 즉 하방을 향하여 변형된다.
코어 하우징 본체(211)를 감합 방향 전방으로 더 이동시키면,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고리 모양 홈부(215)가 걸림 클로(121)의 위치까지 도달하고, 하우징 랜스(120)의 변형이 해제되어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 걸림 클로(121)가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고리 모양 홈부(215) 내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코어 하우징(210)의, 외부 하우징(110)의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 내에서의 감합 방향 전후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때, 감합측 씰(250)은 코어 하우징(210)의 감합측 홈부(216)에 끼워 맞춰져 있고, 코어 하우징(210)의 감합단(212)부터 감합측 홈부(216)에 걸친 부위가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부분과 감합되었을 때에, 해당 상대측 커넥터의 감합 부분과 코어 하우징(210)의 사이를 씰하여, 감합 부분으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11의 (C), 도 11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130)의 걸림 다리부(132, 133)를, 외부 하우징(110)의 저판(112)에 형성된 리테이너 삽입구에 삽입하여, 프리 세트 상태로 한다.
또한, 도 11의 (E), 도 11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130)의 걸림 다리부(132, 133)를 리테이너 삽입구에 완전히 삽입하여 완전 세트 상태로 하면, 리테이너(130)의 걸림 다리부(132, 133)는, 코어 하우징(210)의 고리 모양 홈부(215)의, 폭 방향 외측 부분에 삽통된 상태가 되어, 코어 하우징(210)을 감합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감합측 씰(250)부터 와이어 씰(240)이 장착되는 와이어 수용부(222)까지를 단일의 수지 부재인 코어 하우징(210)으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코어 하우징(210) 내부에 수용되는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 및 암 중심 컨택트를 외부로부터 방수할 수 있고, 또한, 씰 부재의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코어 하우징(210)의 컨택트 수용 공간(214)의 형상은 원통형이며, 그 내부에 수용되는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의 외형도 원통형이다. 따라서,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400)는 코어 하우징(210)의 컨택트 수용 공간(214) 내부에서 감합 방향 전후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코어 하우징(210)의 코어 하우징 본체(211)의 외측 형상의 원통형이며, 이것을 수용하는 외부 하우징(110)의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의 내측 형상도 원통 형상이기 때문에, 코어 하우징(210)을,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115) 내부에서 감합 방향 전후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0)를, 조립한 후에, 커넥터의 방향을 케이블의 꼬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심선이 끊어지기 쉬운 케이블이어도, 컨택트 조립 시에, 컨택트가 감합 방향 전후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와 같은 방향성을 고려하지 않고 암 중심 컨택트에 압착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외측 컨택트(410)는, 코어 하우징(210)에 대해서, 코어 하우징(210)의 감합단(212)측 부분에서 걸려 있다. 즉, 외측 컨택트(410)는 컨택트 편(414)의 접촉점(420)보다도 감합 방향 전방측에서 고리 모양 부재(415)가 걸림 클로(219)에 걸림으로써 코어 하우징(210) 내에 유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외측 컨택트(410)의, 전류가 주로 흐르는 영역을 요철이 없는 원통 모양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고주파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축 케이블(R)이 감합 방향 전방으로 밀렸을 경우라도, 외측 컨택트(410)가 코어 하우징(210)의 감합단(212)으로부터 탈락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코어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을 별체(別體)로 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코어 하우징과 외부 하우징이 일체화한 케이블 커넥터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케이블 커넥터를, 방수 기능을 가지는 커넥터로 하여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비(非)방수의 케이블 커넥터여도 된다.
10 : 암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 100 : 암 하우징 조립체
110 : 외부 하우징 111 : 상판
112 : 저판 113, 114 : 측판
115 : 코어 하우징 수용 공간 116 : 감합단
117 : 와이어 삽입단 118 : 락 암
119 : 연결부 120 : 하우징 랜스
121 : 걸림 클로 130 : 리테이너
131 : 베이스부 132, 133 : 걸림 다리부
200 : 암 코어 하우징 조립체 210 : 코어 하우징
211 : 코어 하우징 본체 212 : 감합단
213 : 와이어 삽입단 214 : 컨택트 수용 공간
215 : 고리 모양 홈부 216 : 감합측 홈부
217 : 삽입단측 홈부 218 : 랜스
219 : 걸림 클로 220 : 고리 모양부
221 : 장출부 222 : 와이어 수용부
230 : 와이어 씰 캡 231 : 몸통부
232 : 단면 233 : 걸림 클로
240 : 와이어 씰 250 : 감합측 씰
300 : 암 중심 컨택트 301 : 파지부
302 : 기단부 303 : 컨택트부
304 : 슬릿 305 : 컨택트 편
400 : 암 외측 컨택트 조립체 410 : 외측 컨택트
411 : 본체 몸통부 412 : 외피 압착부
413 : 외측 도체 접속부 414 : 컨택트 편
415 : 고리 모양 부재 416 : 외피 파지편
417 : 외측 도체 파지편 418 : 슬릿
419 : 접속 빔 420 : 접촉점
430 : 절연체 431 : 절연 본체
432 : 중심 컨택트 수용로 500 : 페룰

Claims (6)

  1. 상대측 커넥터의 컨택트와 접촉하여 전기적 도통을 확립하는 접촉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의 연재 방향을 따라서, 상기 컨택트의 주위를 포위하는 통 모양의 코어 하우징과,
    상기 컨택트가 상기 코어 하우징 내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상기 컨택트가 상기 코어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빠짐 방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빠짐 방지 구조가, 상기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보다도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컨택트와의 감합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구조는 상기 코어 하우징에 형성된 랜스, 및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 클로와, 상기 랜스 및 상기 걸림 클로에 대응하여 상기 컨택트에 형성된 피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 부재가, 상기 컨택트의 상기 감합측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 모양 부재인 케이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부재가 원형인 케이블 커넥터.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의 상기 접촉부가, 상기 피걸림 부재의, 상기 감합측과는 반대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감합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감합측을 향하여 캔틸레버 모양으로 연출(延出)되어 있는 케이블 커넥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을 더 가지며, 상기 외부 하우징은 내부에 수용실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실에는 상기 코어 하우징이 수용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237035598A 2021-06-28 2022-03-15 케이블 커넥터 KR20230167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6477A JP2023004646A (ja) 2021-06-28 2021-06-28 ケーブルコネクタ
JPJP-P-2021-106477 2021-06-28
PCT/JP2022/011491 WO2023276313A1 (ja) 2021-06-28 2022-03-15 ケーブル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049A true KR20230167049A (ko) 2023-12-07

Family

ID=8469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598A KR20230167049A (ko) 2021-06-28 2022-03-15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04646A (ko)
KR (1) KR20230167049A (ko)
WO (1) WO202327631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3464A (ja) 2018-03-02 2019-09-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0167U (ko) * 1980-03-24 1981-10-23
US9537231B2 (en) * 2014-11-12 2017-01-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10128607B2 (en) * 2017-02-23 2018-11-13 Te Connectivity Corporation Sealed connecto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3464A (ja) 2018-03-02 2019-09-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76313A1 (ja) 2023-01-05
JP2023004646A (ja)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9155B1 (ko) 동축 커넥터 조립체
JP4148345B2 (ja) 直角型同軸電気コネクタ
JP4262095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5595499A (en) Coaxial connector having improved locking mechanism
EP000170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erminating coaxial cable
US10741957B2 (en) Terminal module and connector
EP1528637B1 (en) Cable connector having a retainer for retaining the contact and clamping the cable
JP2019114489A (ja) コネクタ
EP3159970A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CN111711038A (zh) 同轴连接器组件
US7070440B1 (en) Coaxial c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JP3731791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US20180205175A1 (en) Plug connector
KR100910713B1 (ko) 동축 케이블 콘택트
US6305980B2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US11799236B2 (en) Cable connector having a fitting protrusion for insertion into a mating connector
JP5019469B2 (ja) シールド電線付きコネクタ端子
US6371806B1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JP2000113946A (ja) 金属外筒体付電気コネクタ
KR20230167049A (ko) 케이블 커넥터
KR20230167048A (ko) 케이블 커넥터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EP1580848A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ng system comprising such a connector
JP2006024499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EP3336970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ical connector to a c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