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825A - 음식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825A
KR20230166825A KR1020220112828A KR20220112828A KR20230166825A KR 20230166825 A KR20230166825 A KR 20230166825A KR 1020220112828 A KR1020220112828 A KR 1020220112828A KR 20220112828 A KR20220112828 A KR 20220112828A KR 20230166825 A KR20230166825 A KR 20230166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oupling
main body
body coupling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광열
우영민
유용희
임동욱
정자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3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having a waste receptacle withdrawn upon opening of the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20Temperature sens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에 마련된 볼커플링과 결합되는 본체커플링을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있어서,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에 결합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볼커플링을 회전시키되, 상기 볼커플링 및 상기 본체커플링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하여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물처리기 {FOOD WAST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처리 가능한 음식물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음식물쓰레기는 분리수거를 위해 음식물쓰레기 저장통에 일정기간 소정의 양만큼 모아두었다가 배출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함에도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고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이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 따라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등장하였지만, 대부분 부피가 크고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아 실생활에까지는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56076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44110호 등에서는 음식물처리기를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의 형태로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식물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bowl)과, 볼 내부의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하는 날개와, 볼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가열장치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볼수납부에 볼(bowl)을 삽입하여 장착할 때, 본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과 볼에 마련된 볼커플링은 서로 이물림 결합되어야 하나,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이 서로 맞물리지 못한 경우, 볼수납부에 볼이 끝까지 진입하지 못하여 제위치에 안착하지 못하게 되어, 볼수납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닫을 수 없고 또 볼수납부 내 날개를 구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 볼수납부에 볼이 제위치에 안착하지 못하여 도어가 닫히지 않았을 때 사용자입력에 의해 사전적으로 본체커플링을 소정의 회전수만큼 회전시켜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였으나, 여전히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필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1-0056076 A1 KR 10-2016-0044110 A1
본 발명은, 볼수납부에 볼을 장착시킬 때 본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과 볼에 마련된 볼커플링이 서로 맞물리지 않더라도 사전 동작 없이 볼수납부에 볼을 제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에 마련된 볼커플링과 결합되는 본체커플링을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있어서,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에 결합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볼커플링을 회전시키되, 상기 볼커플링 및 상기 본체커플링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하여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커플링과 상기 볼커플링은, 서로 이물림 결합하되, 상기 본체커플링과 상기 볼커플링이 서로 맞물리지 않더라도 상기 볼은 상기 볼수납부 내에 삽입 장착되어 도어에 의해 상기 볼수납부는 폐쇄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볼수납부는 상방으로 개구 형성되어, 상기 볼은 상기 볼수납부의 상부에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커플링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커플링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되,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은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구동축에 겹쳐지도록 축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축은, 상기 본체커플링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커플링은, 내주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개재되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축은, 상기 본체커플링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본체커플링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구동축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커플링은, 내주면에 상기 제2 가이드돌기가 개재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볼이 미장착시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커플링은 열전도성을 가진 부재로서, 접촉된 피측정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접촉식 온도센서의 접촉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 이후,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커플링과 상기 볼커플링 간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수납부에 볼을 장착시킬 때 본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과 볼에 마련된 볼커플링이 서로 맞물리지 않더라도 사전 동작 없이 볼수납부에 볼을 제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이 서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본체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수납부의 내측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이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이 맞물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축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유닛"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어가 개방된 음식물처리기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내부에 볼(bowl)(50)이 수납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마련되어 본체(10) 내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50)은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볼(50) 내부에 피처리물을 담은 다음, 볼(50)을 본체(10) 내 볼수납부(12)에 장착시키면, 음식물처리기(1)는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건조하거나, 분쇄 및/또는 교반시킴으로써 처리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체(10)는 음식물처리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볼(50)이 수용되는 볼수납부(12)와,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방측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본체(10)의 도어(20)가 마련된 방향을 상방으로, 그리고 도어(20)에 의해 열리는 방향을 전방으로,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20)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볼수납부(12)를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20) 개방시 볼수납부(1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볼(50)을 볼수납부(12)에 장착한 다음, 도어(20)를 폐쇄함으로써 음식물처리기(1)에 의해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처리케할 수 있다.
여기서, 볼수납부(12)는 도어(20) 폐쇄시 외부와 격리되어, 피처리물을 처리할 때 볼(50) 내부의 피처리물로부터 유발되는 악취 등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10)와 도어(20)가 마주 접하는 부분에는 씰링부재(미도시)가 마련되어, 도어(20) 폐쇄시 볼수납부(12)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10)의 내부에는 볼수납부(12)를 형성하는 볼수용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볼(50)이 볼수납부(12)에 장착시 볼수용하우징은 도어(20)와 함께 볼(50)을 감쌀 수 있다.
또한, 볼수납부(12)의 저면에는 히팅플레이트(13)가 마련될 수 있다.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전기를 이용하여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50) 및/또는 그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하는 방식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히팅플레이트(13)는 피가열물을 전기히터 따위의 발열체를 이용한 하이라이트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고, 유도가열을 이용한 인덕션방식으로 피가열물을 가열할 수도 있다.
히팅플레이트(13)에 의해 가해진 열에 의해, 볼수납부(12)에 장착된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은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0)은 피처리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본체(51)와, 용기본체(51)가 볼수납부(12)에 장착될 때 볼수납부(12)에 걸쳐질 수 있도록 용기본체(51)의 상측에는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볼플랜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51)는 내부에 피처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으로서, 본 발명은 그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원통형일 수 있다. 즉, 피처리물은 용기본체(51)의 일측에 개구 형성된 볼개구부(50a)를 통해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또한, 피처리물이 인출입되는 용기본체(51)의 볼개구부(50a)를 덮어 용기본체(51)의 내부를 폐쇄하기 위한 용기뚜껑(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용기뚜껑은 본체용기(51)의 개구부(50a)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용기(51)의 개구부(50a)에 용기뚜껑이 안착 또는 결합되어 덮어짐으로써, 용기본체(51) 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풍기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용기본체(51)의 볼개구부(50a)와 이를 덮는 용기뚜껑 사이에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용기본체(51)의 볼개구부(50a)와 용기뚜껑의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볼(50) 또는 용기본체(51)를 용이하게 옮기거나 본체(10)에 탈장착할 수 있도록 볼(50) 또는 용기본체(51)의 일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파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볼손잡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용기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 내부에 중심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부(57)와, 상기 회전부(57)의 외주면에 바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58a~58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57)는 볼커플링(56)과 상호 연동하도록 마련되어, 본체(10)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은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56)을 매개로, 회전부(57)에 전달될 수 있다.
이 이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를 포함할 수 있다(도 8 및 9 참조).
결국,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가동날개(58a~58c)와, 용기본체(51)의 내측벽에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상호 작용에 의해, 볼(50) 내부에 수용된 피처리물을 분쇄 및/또는 교반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도록 적층 형성된 복수의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격 형성된 복수의 날개들 사이로 회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날개(58a~58c)가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와 가동날개(58a~58c) 사이에 개재된 피처리물은 파쇄 및/또는 교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가동날개(58a~58c)와, 제1 및 제2 고정날개(59a, 59b)의 형상이나 개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50) 또는 용기본체(51)는, 저면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볼커플링(56)은, 날개와 결합되어, 볼커플링(56)의 회전시 날개 역시 회전함으로써, 볼수납부(12) 내 피처리물은 회동하는 날개에 의해 분쇄 및/또는 교반될 수 있다.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도록 마련된 볼커플링(56)은, 본체(10)의 볼수납부(12) 저면에 마련된 본체커플링(31)과 직간접적으로 결합 가능하며, 본체(10)의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33)의 회전 구동에 따라 이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을 매개로 볼커플링(56)은 회전 구동될 수 있다.
본체(10)의 구동장치와 구동축(33) 사이에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33)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사이의 결합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 대향하는 면에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함몰 형성된 함몰부가 교번 배치되어,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은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자전하는 회전 구동력은 볼커플링(56)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커플링(5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대략 원통형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저면에는 오목하게 움푹 패인 오목홈부(56a)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오목홈부(56a)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함볼부가 교번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볼커플링(56)의 저면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깊이 방향(또는 축 방향)으로 함몰부와 돌출부가 교번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상응하여, 본체커플링(3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커플링(56)의 상기 오목홈부(56a)에 끼워져 이물림 결합하기 위해 소정의 다각형이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부(311)를 가질 수 있다. 즉, 본체커플링(31)의 결합돌기부(311)는 볼커플링(56)의 오목홈부(56a)에 맞물리도록 끼워져 결합돌기부(311)의 외주면은 오목홈부(56a)의 내주면에 이물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결합될 때 본체커플링(31)의 중심과 볼커플링(56)의 중심이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정렬될 수 있도록,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각각의 중심에는 오목 형성된 중심오목홈부(312)와 돌출 형성된 중심돌기부(56b)가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서로 결합될 때 중심오목홈부(312)와 돌출 형성된 중심돌기부(56b)는 서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볼(50)의 볼커플링(56)은 용기본체(51)의 저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볼(50)이 싱크대 상판 등의 위에 안착될 때 돌출된 볼커플링(56)에 의해 전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본체커플링(31)의 상부면이 볼커플링(56)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에 맞물리지 않고,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서로 이물림 결합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가 서로 맞물리지 못하는 경우, 종래에는 볼(50)이 볼수납부(12)에 완전히 진입하지 못하여 도어가 닫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입력에 의해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서로 정합하도록 구동장치(미도시)가 소정 각도 및/또는 소정 횟수만큼 구동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1)는, 본체커플링(31) 및 볼커플링(56)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향하여 탄성 가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 경우에도 탄성부재(34)의 신축으로 볼(50)은 볼수납부(12) 내에 삽입 장착되어 도어(20)가 본체(10)에 닫힐 수 있다.
또한, 볼수납부(12) 내 볼(50)이 수용되었을 때,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본체커플링(31)이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 탄성부재(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은 자연스럽게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4)는 본체커플링(31)의 하부에 위치하여 탄성복원력에 의해 본체커플링(31)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볼수납부(12)는 상방으로 개구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볼(50)은 볼수납부(12)의 상부 개구부에서 진입하여 볼수납부(12) 내 삽입 장착될 수 있다.
본체커플링(31)은 구동장치의 구동축(33)에 결합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실린더 형태의 본체커플링(31)은 피스톤 형태의 구동축(33)에 겹쳐지도록 축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본체커플링(31)이 구동축(33)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하되, 또 본체커플링(31)은 구동축(33)의 회전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부재(34)는 구동축(33)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되, 본체커플링(31)의 하부에서 상방 지지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본체커플링(31)는 탄성부재(34)에 의해 볼커플링(56)을 향하여 상방 가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커플링(31)은 탄성부재(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플랜지부(313)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커플링(31)은 볼수납부(12) 내 볼(50)의 미장착시, 상단부가 볼수납부(12)의 저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커플링(31)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히팅플레이트(13)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부를 통과하여 볼수납부(12)로 노출될 수 있다. 미설명도면부호 131은 히팅코일을 가리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이 맞물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대향 배치되어 마주한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은 서로 대향하는 면이 이물림 결합할 수 있고, 이때, 탄성부재(34)는 신장되어 본체커플링(31)를 상방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본체커플링(31)이 볼커플링(56)과 이물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커플링과 볼커플링이 맞물리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대향 배치되어 마주한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은 서로 대향하는 면이 이물림 결합되지 않고 맞물리지 않을 수 있으며, 볼(50)이 볼수납부(12) 내 삽입 장착될 때, 탄성부재(34)는 신축되어, 도어(20)의 폐쇄시 본체커플링(31)이 간섭이 일으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커플링(31)은 구동축(33)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때 탄성부재(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 방향으로 가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은 자연스럽게 서로 이물림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구동축(33)에 결합된 본체커플링(31)은, 구동축(33)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야 하고, 구동축(33)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구동력을 본체커플링(31)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축(33)은,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커플링(3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외주면에 축 방향(또는 상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홈(313a, 31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본체커플링(31)은 내주면에 제1 가이드홈(313a, 313b)에 개재되어 제1 가이드홈(313a, 313b)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린더 형태의 본체커플링(31)이 피스톤 형태의 구동축(33)에 결합될 때, 구동축(33)의 제1 가이드홈(313a, 313b)에 본체커플링(31)의 제1 가이드돌기가 끼움 결합되어, 본체커플링(31)이 구동축(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구동축(33)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본체커플링(31)의 제1 가이드돌기가 구동축(33)의 제1 가이드홈(313a, 313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여, 구동축(33)의 회전구동력이 본체커플링(31)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축(33)은,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커플링(3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돌기(314a, 3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본체커플링(31)은 내주면에 상기 제2 가이드돌기(314a, 314b)가 개재될 수 있도록 축 방향(또는 상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실린더 형태의 본체커플링(31)이 피스톤 형태의 구동축(33)에 결합될 때, 구동축(33)의 제2 가이드돌기(314a, 314b)가 본체커플링(31)의 제2 가이드홈에 끼움 결합되어, 본체커플링(31)이 구동축(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그 이동을 가이드함으로써, 구동축(33)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구동축(33)의 제2 가이드돌기가 본체커플링(31)의 제2 가이드홈(314a, 314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여, 구동축(33)의 회전구동력이 본체커플링(31)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커플링(31)은 열전도성을 가진 부재로서, 접촉된 피측정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접촉식 온도센서의 접촉부일 수 있다.
즉, 본체커플링(31)은 접촉식 온도센서의 온도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피측정물과 접촉하는 접촉식 온도센서의 접촉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커플링(31)은 볼커플링(56)과 서로 대향배치되되, 경우에 따라 서로 맞물리거나 맞물리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상호 결합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결합시킬 수 있지만, 예외적인 경우 등에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간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접촉식 온도센서의 접촉부로서 본체커플링(31)을 이용함으로써, 구동축(33)의 회전 구동 이후,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 간의 결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음식물처리기(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음식물처리기(1)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음식물처리기(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각종 신호나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볼(50) 내부의 피처리물을 가열시키는 등 다양한 구현예에 따라 음식물처리기(1)의 각종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서로 결합되어, 구동축(33)의 회전 구동으로 동력이 전달될 때, 본체커플링(31)에 접촉된 피측정물에 대하여 측정된 온도는 히팅플래이트(13)에 의해 가열된 볼(50)의 표면 온도가 전달되어 높은 온도를 가질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서로 결합되지 않아 이격되었을 때, 본체커플링(31)을 통해 측정된 온도는 히팅플래이트(13)에 의해 가열된 볼(50)의 표면 온도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본체커플링(31)을 접촉부로 갖는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을 이용하여 임계치를 기준으로 임계치 이상의 온도가 측정되면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결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임계치 미만의온도가 측정되면 본체커플링(31)과 볼커플링(56)이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음식물처리기 10: 본체
12: 볼수납부 13: 히팅플레이트
131: 히팅코일 20: 도어
31: 본체커플링 311: 결합돌기부
312: 중심오목홈부 313: 플랜지부
33: 구동축 34: 탄성부재
50: 볼 50a: 볼개구부
51: 용기본체 52: 볼플랜지부
56: 볼커플링 56a: 오목홈부
56b: 중심돌기부 57: 회전부
58: 가동날개 59a: 제1 고정날개
59b: 제2 고정날개

Claims (11)

  1. 피처리물을 수용하는 볼이 내부의 볼수납부에 장착되는 본체와, 상기 볼수납부에 마련되어, 상기 볼에 마련된 볼커플링과 결합되는 본체커플링을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에 있어서,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에 결합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상기 볼커플링을 회전시키되,
    상기 볼커플링 및 상기 본체커플링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하여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플링과 상기 볼커플링은, 서로 이물림 결합하되,
    상기 본체커플링과 상기 볼커플링이 서로 맞물리지 않더라도 상기 볼은 상기 볼수납부 내에 삽입 장착되어 도어에 의해 상기 볼수납부는 폐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수납부는 상방으로 개구 형성되어, 상기 볼은 상기 볼수납부의 상부에서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플링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커플링을 상방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되,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이동은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구동축에 겹쳐지도록 축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본체커플링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외주면에 상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커플링은, 내주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에 개재되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본체커플링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본체커플링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구동축은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커플링은, 내주면에 상기 제2 가이드돌기가 개재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플링은, 상기 볼이 미장착시 상기 볼수납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플링은 열전도성을 가진 부재로서, 접촉된 피측정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접촉식 온도센서의 접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 이후,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커플링과 상기 볼커플링 간의 결합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처리기.
KR1020220112828A 2022-05-30 2022-09-06 음식물처리기 KR20230166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6084 2022-05-30
KR1020220066084 202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825A true KR20230166825A (ko) 2023-12-07

Family

ID=8916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828A KR20230166825A (ko) 2022-05-30 2022-09-06 음식물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82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76A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44110A (ko) 2014-10-14 2016-04-25 주식회사 스마트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62761B1 (en) Control method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EP2962775B1 (en) Garbage disposal unit
KR101684972B1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음식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375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79815B1 (ko) 음식물 처리기
CN103565301A (zh) 电动食物加工机
KR101701463B1 (ko) 음식물찌꺼기 살균건조처리장치
KR101469100B1 (ko) 믹서기의 회전칼날 장착용 회전샤프트 뭉치
KR20230166825A (ko) 음식물처리기
KR200482103Y1 (ko) 동일축상에서 정회전, 역회전이 동시에 실행되는 분쇄날과 uv모듈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190000244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541753B1 (ko) 음식 쓰레기 처리기
US11590544B2 (en) Waste disposer
KR10263839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JP2010069425A (ja) 生ごみ処理機
KR101941620B1 (ko) 간헐 건조 방식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98559B1 (ko) 분할 덮개를 가지는 회전 조리기
KR200485526Y1 (ko) 자성체를 이용하여 동작이 제어되는 요리 기기
KR102224082B1 (ko) 디스크 타입 건조기의 실링 장치
KR20150136878A (ko) 전기압력밥솥의 자동 잠금장치
KR20230143633A (ko) 음식물쓰레기 중량 측정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101460082A (zh) 家电设备和/或厨用附件用的安全旋转加工组件
KR20200116817A (ko) 음식물 처리기의 덮개 장치
KR20240048177A (ko) 도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160023256A (ko) 음식물 처리기 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