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116A -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 - Google Patents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116A
KR20230166116A KR1020237037732A KR20237037732A KR20230166116A KR 20230166116 A KR20230166116 A KR 20230166116A KR 1020237037732 A KR1020237037732 A KR 1020237037732A KR 20237037732 A KR20237037732 A KR 20237037732A KR 20230166116 A KR20230166116 A KR 20230166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housing
instrument
extension tub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건 쉬리치
웨스턴 에프. 하딩
저스틴 쥐. 홀틴
조나단 칼 벌크홀츠
바트 디. 피터슨
Original Assignee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3016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3Mechanical advancing means, e.g. cathet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6Holding accessories for holding infusion needles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7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an infusion line after insertion into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77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external means for receiving guide wires, wires or stiffening members, e.g. loops, clamps or later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vascular access, e.g. blood stream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9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medical instruments into the body, e.g. endoscope, surgical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94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having a specific shape matching the shape of a tool to be inserted therein, e.g. for easy introduction, for sealing purposes,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77Adapters, e.g. couplings adapting a connector to one or several othe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기구 전진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되는 연장 튜브(extension tube);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원호-형상 채널(arc-shaped channel)을 포함하는, 웨지(wedge); 상기 연장 튜브를 집도록(pinch) 구성된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pinch member)들로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 상기 원호-형상 채널을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로서, 기구의 제1 단부는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이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원위로(distally)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이 상기 웨지를 원위로 밀며, 상기 웨지가 제1 거리만큼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기구의 제2 단부가 제2 거리만큼 원위로 전진하도록 구성되는, 기구; 및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 배치되고, 상기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 요소 또는 압축가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2021.04.02.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인 미국 가출원 제63/170,389호에 기초한 우선권주장을 수반하는바, 상기 문헌의 전부는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카테터(catheter)는 다양한 주입 치료를 위하여 흔히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는 보통의 생리 식염수, 다양한 약품, 또는 종합 비경구 영양제와 같은 유체를 환자에게 주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카테터는 환자로부터 혈액을 인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흔한 유형의 말초 정맥(peripheral intravenous: "IV") 카테터 장치는 오버-더-니들(over-the-needle) 형태의 카테터를 포함한다. 그 명칭이 내포하듯, 오버-더-니들 형태의 카테터는 예리한 원위 팁을 구비한 도입 바늘(introducer needle) 위로 장착될 수 있다. IV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 어댑터(catheter adapter)를 포함할 수 있고, 카테터는 카테터 어댑터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며, 도입 바늘은 카테터를 통하여 연장된다. 카테터와 도입 바늘은, 바늘의 경사부(bevel)가 환자의 피부로부터 멀리 향하는 채로 도입 바늘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을 지나서 연장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카테터 및 도입 바늘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통해 얕은 각도로 환자의 혈관계 내로 삽입된다.
도입 바늘 및/또는 카테터의 혈관 내 적절한 배치를 검증하기 위하여, 의료인은 일반적으로 카테터 조립체의 플래쉬백 챔버(flashback chamber) 안에서 혈액의 "플래쉬백(flashback)"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일단 바늘의 배치가 확인된 후에는, 의료인이 혈관계 내의 유동을 임시적으로 막을 수 있으며, 카테터를 향후의 혈액 인출 또는 유체 주입을 위한 위치에 둔 채로 바늘을 제거할 수 있다.
카테터를 사용한 주입 및 혈액 인출은 몇가지 다수의 이유로 인하여 어려울 수 있는데, 특히 카테터의 내재하는(indwelling) 시간이 증가하는 때에 그러하다. 카테터 조립체의 내부 표면, 카테터 조립체의 외부 표면, 또는 카테터의 원위 팁 가까이에 있는 혈관계 내에서 피브린 쉬스(fibrin sheath) 또는 혈전이 형성될 수 있다. 피브린 쉬스 또는 혈전은 카테터를 통하는 유체 경로를 막거나 좁힐 수 있는바, 이것은 주입 및/또는 고품질의 혈액 샘플의 수집을 저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청구되는 청구대상은 예로서 전술된 환경에서만 작동하거나 전술된 단점들을 해결하는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본 배경기술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일부 구현예가 실시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분야를 제시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IV 카테터 내에서 기구의 전진 및/또는 후퇴를 용이하게 하는 기구 전진 장치, 이와 관련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되는 연장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하우징 내에 배치된 웨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는 원호-형상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연장 튜브를 집도록 구성된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은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과 함께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원호-형상 채널을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의 제1 단부는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이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이 웨지를 원위로 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웨지가 원위로 제1 거리만큼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기구의 제2 단부가 원위로 제2 거리만큼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적어도 두 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 지지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가 상기 지지 요소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요소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의 제1 단부는 제1 구멍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의 제2 단부는 제2 구멍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다른 지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웨지 또는 연장 튜브는, 상기 웨지가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와 접촉하고 지지 요소를 원위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상기 웨지와 지지 요소 사이에서 연장되는 테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는 상기 웨지 및/또는 지지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요소는 지지 요소를 통하여 연장되는 통공을 포함할 수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는 상기 통공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웨지는 지지 요소를 움직이지 않고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웨지는 웨지를 통하여 연장되는 다른 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테더는 상기 다른 통공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의 원위 단부는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원위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테더의 근위 단부은 상기 웨지에 대해 근위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이 근위 방향으로 후퇴함에 따라서 상기 포획부가 상기 지지 요소 및 상기 다른 지지 요소들을 근위로 당기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테더는 상기 다른 지지 요소들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테더의 원위 단부는 상기 다른 지지 요소들에 대해 원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웨지에 대해 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상기 연장 튜브를 집도록 구성된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웨지의 원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과 함께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이 연장 튜브를 따라서 근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은 웨지를 근위로 밀 수 있고, 상기 기구는 근위로 후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이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 및/또는 상기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이 상기 하우징 및 연장 튜브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튜브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루멘을 통해서는 혈액 수집 경로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 전진 장치 및/또는 연장 튜브는 혈액 수집을 위한 복수의 루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웨지 및 상기 기구는 제2 루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 전진 장치는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서 상기 웨지에 대한 원위에 배치된 압축가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웨지가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웨지는 상기 압축가능 요소에 접촉하여 압축가능 요소를 압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는 상기 기구의 제1 단부와 상기 기구의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부는 압축가능 요소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부는 압축가능 요소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서 웨지의 원위에 배치된 다른 압축가능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의 제1 단부는 압축가능 요소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구의 제2 단부는 상기 다른 압축가능 요소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푸쉬 탭 및/또는 제2 푸쉬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원위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튜브의 원위 단부은 원위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원위 커넥터는 중앙 삽입 특징부 및 상기 중앙 삽입 특징부의 대향되는 측부들에 배치된 두 개의 레버 아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삽입 특징부는 루어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 각각의 근위 단부는 정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진 요소는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진 요소는 루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연장 세트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 표면과 손잡이 사이 그리고 상기 포켓 내에 배치된 병진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표면을 따라서 제1 거리만큼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전진 요소는 상기 루멘 내에서 원위로 제1 거리만큼 움직이며, 상기 기구의 제2 단부는 제2 거리만큼 원위로 전진한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하는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들과 수단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실시예들은 조합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청구범위에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구조적인 변화들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이해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하기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기구 전진 장치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원위 단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예시적인 하우징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기구 전진 장치를 통하여 연장되는 예시적인 연장 튜브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후퇴 위치에 있는 예시적인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b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후퇴 위치에 있는 다른 예시적인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c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웨지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b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c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지의 다른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d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지지 요소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e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지 요소의 근위 단부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복수의 지지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8a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예시적인 테더가 도시되어 있다.
도 8b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지 요소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테더를 위한 예시적인 통공이 도시되어 있다.
도 8c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지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테더를 위한 다른 예시적인 통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a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예시적인 압축가능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9b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압축가능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9c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압축가능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9d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는 압축가능 요소 및 다른 예시적인 압축가능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하우징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원위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어 있다.
도 12b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의 상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기구 전진 장치는 다른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어 있다.
도 13a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기구 전진 장치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b 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른 기구 전진 장치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4 를 참조하면, 여기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하우징(12) 및 하우징(12)을 통하여 연장된 연장 튜브(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강성, 반강성(semi-rigid), 또는 유연성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연장 튜브(14)에 강직성(stiffness)을 추가하기 위하여, 공압출된 가이드와이어(coextruded guidewire)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다중-루멘 연장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기구(16)를 포함할 수 있는바, 기구(16)는 가이드와이어, 기구, 튜브, 또는 다른 적합한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가시성 증대를 위한 색상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는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전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윤활 또는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튜브인 상기 기구는 연성 또는 강직성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는 혈액 유동을 위한 폐쇄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카테터 조립체에서의 약물 흡수로 인한 혈액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스프링 또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는 가이드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또는 코일은 스프링 또는 코일의 길이를 따라서 변화하는 피치(pitch)를 가진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 팁에 대해 근위에 있는 또는 카테터 팁의 상류측에 있는 스프링 또는 코일의 피치는 더 많은 혈액 유동을 용이하게 하고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카테터 팁 가까이에 있는 스프링 또는 코일의 피치는 카테터 팁을 통하여 혈액이 여전히 유동함을 허용하면서도 혈액 엉김물이 카테터 팁에 진입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는 로드(ro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는 스프링 또는 코일의 중앙 부분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이드와이어는 로드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 또는 코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카테터는 피프린 시스, 혈전, 또는 정맥 벽 또는 정맥 판막의 존재로 인하여 카테터 팁에서 막힐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카테터의 막힘을 뚫고 그리고/또는 카테터의 막힘을 저해하기 위하여,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서 그리고/또는 카테터 조립체 안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정맥 내에서 또는 카테터 조립체 주위 또는 내부에서 혈전 및 피브린 쉬스를 해결할 수 있는바, 만일 그렇지 않다면 주입 또는 혈액 인출이 저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혈관계에 대한 외상을 저감시키면서도, 유체 전달, 혈액 수집, 환자 또는 장치의 모니터링, 또는 다른 의료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용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혈액 노출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카테터 조립체를 통하여 원위로 그리고 환자의 혈관계 안으로 전진하도록 구성된 혈관 접근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의 원위 단부는 원위 커넥터(18) 또는 다른 적합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18)는 원위 커넥터(18)가 결합되는 때에 환자의 혈관계 내에 이미 존재 또는 내재하고 있을 수 있는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카테터 어댑터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의 원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단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는 카테터 어댑터의 원위 단부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에는 말초 정맥 카테터, 미드라인(midline) 카테터, 또는 말초 삽입식 중앙 카테터(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도입 바늘을 포함할 수 있는바, 도입 바늘은 카테터를 통하여 연장되어, 피부 및 혈관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여, 카테터를 환자 안에 삽입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가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기 전에, 도입 바늘이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직선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와 통합되어 있는 연장 튜브를 구비한 통합된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연장 세트(extension set)를 포함할 수 있는바, 연장 세트는 카테터 어댑터의 측부 포트에 통합되고 상기 측부 포트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18)는, 예컨데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단부 및/또는 니들리스 접근 커넥터(needleless access connector)와 같은 카테터 조립체의 일부분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니들리스 접근 커넥터는 연장 세트의 근위 단부, T-커넥터, 또는 다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니들리스 접근 커넥터는, 사용자에 의한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위 커넥터(18)에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하여 항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의 원위 단부는 원위 커넥터(18)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의 근위 단부는 근위 커넥터(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주입 또는 혈액 인출 동안 또는 그 전에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인출 또는 주입 완료 후 그리고 기구 전진 장치(10)를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사용자는 하우징(12)을 후방 또는 근위로 움직임으로써 기구(16)를 후퇴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혈액에 노출될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제1 루멘(22) 및 제2 루멘(24)를 포함할 수 있는바, 제2 루멘(24)은 연장 튜브(14)의 길이 전체를 따라서 제1 루멘(22)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경로는 제1 루멘(22)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제2 루멘(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루멘(24)의 직경은 제1 루멘(2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루멘(22)의 길이 및/또는 직경은 요망되는 유량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용혈 감소를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루멘(22) 및 제2 루멘(24)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재료들이 공압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루멘(22) 및 제2 루멘(24)은 상이한 재료들 또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이 연장 튜브(14)를 따라서 원위로 움직여짐에 따라서, 기구(16)가 제2 루멘(24) 내에서 원위로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이 연장 튜브(14)를 따라서 근위로 움직여짐에 따라서, 기구(16)가 제2 루멘(24) 내에서 근위로 후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원위 커넥터(18) 내에 배치된 격막(septum)(26)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격막(26)은 제2 루멘(24)을 시일하기 위하여 또는 제2 루멘(24)으로의 혈액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 혈액이 혈액 수집을 위하여 원위 커넥터(18)로부터 제1 루멘(22)을 통해서 유체 경로(28)를 따라서 근위로 유동할 수 있도록, 격막(26)이 제1 루멘(22)을 시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막(26)은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이 근위 방향으로 완전히 후퇴된 때에, 기구(16)의 원위 단부는 원위 커넥터(18)의 원위 단부의 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이 근위 방향으로 완전히 후퇴된 때에 기구(16)의 원위 단부는 격막(26) 근위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기구(16)는 연장 튜브(14) 내에서 시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캐뉼라(cannula)(30)를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캐뉼라(30)는 제1 루멘(22)의 원위 단부와 원위 커넥터(18)를 연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뉼라(30)는 뭉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경로(28)는 캐뉼라(30)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는바, 이것은 혈액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뉼라(30)는 스틸,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뉼라(30)는 원위 커넥터(18)에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원위 커넥터(18)와 함께 단일 유닛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막(26)은 제2 루멘(24)과 동심을 이루거나, 또는 적절한 벽 두께를 얻기 위하여 약간 오프셋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18)는 샤프트(38) 및 두 개의 레버 아암(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레버 아암(40)들은 니들리스 접근 커넥터에 대한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샤프트(38)는 윤활제로 윤활될 수 있는데, 이것은 카테터 조립체 안으로의 삽입의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 원위 커넥터(male distal connector)에는 수 루어(male luer), 수 루어 락(male luer lock), 수 슬립 루어(male slip luer), 루어, 또는 다른 적합한 커넥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격막(26)은 원위 커넥터(18)의 내측 루멘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막(26)은 제2 루멘(24)을 시일하거나 또는 제2 루멘(24) 안으로의 혈액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캐뉼라(30)는 제1 루멘(22)으로부터 격막(26)을 통하여 연장되어서, 이를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하우징(12) 내에 배치된 웨지(32) 및 연장 튜브(14)의 제2 루멘(2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연장 튜브(14)를 집도록(pinch) 구성된 한 쌍의 대향된 핀치 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된 핀치 부재(34a, 34b)는 하우징(12) 내에서 웨지(32) 근위에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12)과 함께 연장 튜브(14)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제2 루멘(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이 연장 튜브(14)를 따라서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a, 34b)가 웨지(32)를 원위로 밀 수 있으며, 기구(16)는 원위로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연장 튜브(14)를 집도록 구성된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c, 3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c, 34d)는 하우징 내부에서 웨지(32)의 원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2)과 함께 연장 튜브(14)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이 연장 튜브(14)를 따라서 근위로 움직여짐에 따라서, 상기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c, 34d)는 웨지(32)를 근위로 밀 수 있으며, 기구(16)는 근위로 후퇴될 수 있다.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a, 34b) 및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c, 34d)는 본원에서 집합적으로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로 호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이 연장 튜브(14)를 따라서 움직여짐에 따라서,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이 하우징(12) 및 연장 튜브(1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이 연장 튜브(14)를 따라서 움직여짐에 따라서, 상기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이 하우징(12) 및 연장 튜브(1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잇으며, 이것은 기구(16)를 회전시키고 카테터의 원위 팁을 방해되지 않게 멀리 움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의 내측 표면은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과 접촉하는 하나 이상의 범프(bump)(36)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이 회전함에 있어서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 및/또는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은 윤활제로 윤활될 수 있으며, 이것은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은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은 구형 볼들, 볼 베어링들, 바퀴들, 또는 원통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하우징(12)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은 바퀴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상기 바퀴들은 매끄럽거나 또는 바퀴들의 에지들을 따라서 발모양부들(feet)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마찰 감소를 위하여, 상기 바퀴들의 축들에는 윤활제가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은 하우징(12)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은 하우징(12)에 몰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은 웨지(32)의 형상에 따라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의 형상이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구성됨에 따라서, 기구 전진 장치(10)가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a, 34b) 및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c, 3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가 개뼈 형상(dog bone shape)을 가짐에 따라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단일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34), 예컨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a, 34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일 쌍은 상기 개뼈 형상의 중간부 또는 우묵부(depression)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원호-형상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원호-형상은 U자 형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호-형상 채널(42)의 반경은 기구(16)의 곡률반경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이와 일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호-형상 채널(42)은 웨지(32) 내에서 중심이 맞거나 편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가 연장되고 원호-형상 채널(42)을 통하여 움직여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제1 단부(44)는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제1 단부(44)는 원위 커넥터(18) 또는 연장 튜브(1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제1 단부(44)가 원위 커넥터(18)의 내측 표면 및/또는 연장 튜브(14)의 내측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부(44)는 자유로운 단부일 수 있는 기구(16)의 제2 단부(46)에 대해 전체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가 제1 거리만큼 움직임에 따라서, 기구(16)의 제2 단부(46)가 원위로 제2 거리만큼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의 두 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의 두 배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 기구(16)는 복수의 U자 형상들 또는 다른 원호-형상들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c 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웨지(32)가 원위로 전진됨에 따라서 좌굴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좌굴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 지지 요소(48)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48)는 제2 루멘(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는, 하우징(12)이 후퇴 위치에 있는 때에, 원위 커넥터(18)와 웨지(32)의 대략적인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는 좌굴에 용이한 기구(16)의 영역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지지 요소(48)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는 제1 구멍(50) 및 제2 구멍(5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제1 단부(44)는 제1 구멍(50)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제2 단부(46)는 제2 구멍(52)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근위 커넥터(20)가 혈액 수집 장치(54)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54)에는 주사기, BD VACUTAINER® 일회용 홀더(뉴저지, 플랭클린 레이크스(Franklin Lakes, New Jersey)의 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Becton, Dickinson and Company)사로부터 입수가능), BD VACUTAINER® LUER-LOK™ 접근 장치(뉴저지, 플랭클린 레이크스의 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사로부터 입수가능), 또는 흡입을 제공하는 다른 적합한 혈액 수집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54)는, 뉴저지, 플랭클린 레이크스의 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사로부터 입수가능한 BD VACUTAINER® 혈액 수집 튜브 또는 테스트 튜브와 같은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는 홀더(58)에 의해 둘러싸인 예리한 캐뉼라(5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예리한 캐뉼라(56)는 엘라스토머 쉬스(elastomeric sheath)(60)에 의하여 덮일 수 있고, 상기 엘라스토머 쉬스(60)는 상기 BD VACUTAINER® 혈액 수집 튜브 또는 테스트 튜브의 시일(seal)을 통한 상기 예리한 캐뉼라(56)의 삽입 동안에 예리한 캐뉼라(56)에 의하여 뚫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 및/또는 근위 커넥터(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구성은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12) 및/또는 근위 커넥터(2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2) 및/또는 근위 커넥터(20)는 계란형, 원형, 정사각형,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근위 커넥터(20) 및/또는 원위 커넥터(18)의 형상은, 연장 튜브(14)의 휘어짐에 반하는 파지 위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하우징(12)을 근위로 그리고/또는 원위로 슬라이딩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의 외측 표면 및/또는 근위 커넥터(20)의 외측 표면에는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에는 범프, 링, 또는 다른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루멘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루멘의 장 직경(major diameter) 및 단 직경(minor diameter)보다 작은 장 직경 및 단 직경을 가진 계란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원호-형상 채널(42)에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장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기구(16)와 연장 튜브(14)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하나 이상의 측부에서 상대적으로 큰 장 직경을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웨지(32)가 연장 튜브(14)에 대하여 회전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의 길이는 내부에서 웨지(32)가 슬라이딩하는 루멘의 장 직경보다 더 클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웨지(32)의 회전이 방지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커넥터(18)는 샤프트(38) 및 상기 샤프트(38)의 대향되는 측부들에 배치된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샤프트(38)는 원통형일 수 있는 뭉퉁한 캐뉼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휨 지점(62)에서 원위 커넥터(18)의 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후크 부재(hook member)(64)는, 예를 들어 도 5a 내지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이 이완 위치(relaxed position)에 있는 때에, 카테터 조립체의 홈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홈은 고리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휨 지점(62)의 근위에 있는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근위 단부는 내향으로 눌려질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원위 단부는 외향으로 편향되고, 후크 부재(64)를 상기 홈으로부터 해제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원위 단부는,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근위 단부가 해제되거나 또는 내향으로 눌리지 않음에 따라서, 상기 편향된 위치로부터 이완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근위 단부는 정지 돌출부(66)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지 돌출부(66)는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이 파손 또는 파괴되기에 충분히 멀리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이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정지 돌출부(66)는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대신에 근위 커넥터(20)의 몸체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지 돌출부(66)는, 경질의 정지부를 제공함으로써,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이 눌릴 수 있는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뭉툭한 캐뉼라는 루어 형상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루어 형상부에는 루어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루어 형상부는 고리형 단차 표면(annular steppe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루어 형상부는 예를 들어 뉴저지, 플랭클린 레이크스의 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사로부터 입수가능한 BD Q-SYTE™ 니들-프리(needle-free) 커넥터와 같은 장치들과의 시일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루어 형상부는 (뉴저지, 플랭클린 레이크스의 벡톤, 디킨슨 앤 컴퍼니사로부터 입수가능한) BD Q-SYTE™ 또는 BD SMARTSITE™ 니들-프리 커넥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의 격막에 대한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뭉툭한 캐뉼라가 분리됨에 따라서 상기 격막이 변위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 6a 내지 도 6c 를 참조하면, 여기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웨지(32) 내의 원호-형상 채널(42)이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6d 내지 6e 를 참조하면, 여기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지 요소(48)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는 제1 구멍(50) 및 제2 구멍(5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은 이들을 통과하는 기구(16)를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기구(16)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 7 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지지 요소(68)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연장 튜브(14)의 루멘 내에, 예컨데 제2 루멘(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지지 요소(68)들은 하나 이상의 특징들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지지 요소(48)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 및 지지 요소(68)들은 연장 튜브(14) 내에서 웨지(32)에 대해 원위에서 균등하게 떨어져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지지 요소(68)들 각각은 관통하여 연장된 제1 구멍(50) 및 제2 구멍(5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지지 요소(68)들 중 하나 이상은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 및/또는 다른 지지 요소(68)들의 제1 구멍(50) 및/또는 제2 구멍(52)은 마찰 감소를 위하여 윤활될 수 있으며, 제1 구멍(50) 및/또는 제2 구멍(52)을 통한 기구(16)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가 원위로 전진됨에 따라서 그리고 근위로 후퇴되는 때에, 지지 요소(48) 및/또는 다른 지지 요소(68)들은 기구(16)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 및/또는 다른 지지 요소(68)들은 원통형 또는 계란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요소의 길이 및/또는 상기 다른 지지 요소(68)들의 길이는 예컨데 제2 루멘(24)과 같은 루멘의 내측 직경보다 클 수 있는바, 이와 같은 구성은 지지 요소(48) 및/또는 다른 지지 요소(68)들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구멍(50) 및/또는 제2 구멍(52)은 기구(16)를 지지할 수 있는, 외측 에지로부터 연장된 홈들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구멍(50) 및/또는 제2 구멍(52)은 원형, 반원형, 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 및/또는 다른 지지 요소(68)들은 기구(16)의 유효 길이(effective length)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하기 등식에 따른 좌굴 부하(buckling load)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등식에서 PE 는 임계 좌굴 부하이고, E 는 영률(Young's modulus)이며, I 는 좌굴 방향에 저항하는 관성 모멘트(moment of inertia)이고, L 은 기구(16)의 길이이다.
이제 도 8a 내지 8c 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웨지(32)가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지지 요소(48)와 접촉하고 또한 지지 요소(48)를 원위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지지 요소(48)와 유사한 상기 다른 지지 요소(68)들과 접촉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지지 요소(48)들을 움직일 수 있다 (예컨데 도 7 참조).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웨지(32)와 지지 요소(48) 사이에서 연장되는 테더(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70)는 예컨데 가압 끼움(press fit), 접착제, 용착,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웨지(32) 및 지지 요소(48)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서, 웨지(32)의 근위 방향으로의 후퇴는, 테더(70)에 의한 당김으로 인하여 지지 요소(48)의 후퇴를 유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70)는 강성 또는 유연성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8)는 이를 관통하는 통공(7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70)는 통공(72)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웨지(32)는 지지 요소(48)를 움직이지 않고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이를 관통하는 다른 통공(74)을 포함할 수 있고, 테더(70)는 상기 다른 통공(74)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공(72)은 지지 요소(48) 내에서 중심이 맞거나 또는 편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통공(74)은 웨지(32) 내에서 중심이 맞거나 또는 편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를 위한 제1 구멍(50) 및/또는 제2 구멍(52)은 테더(70)를 위한 통공(72) 및/또는 다른 통공(74)을 수용하도록 중심이 맞춰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를 위한 제1 구멍(50) 및/또는 제2 구멍(52)은 테더(70)를 위한 통공(72) 및/또는 다른 통공(74)을 수용하도록 편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70)의 원위 단부은 지지 요소(48)에 대해 원위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포획부(7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70)의 근위 단부은 웨지(32)에 대해 근위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포획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획부(76)의 외측 직경은 통공(72)의 직경보다 클 수 있고 그리고/또는 다른 포획부(78)의 외측 직경은 다른 통공(74)의 외측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가 근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포획부(76)는 지지 요소(48)의 원단에 접촉할 수 있고, 다른 포획부(78)는 웨지(32)의 근위 단부에 접촉하여, 지지 요소(48)를 근위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제 도 9a 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웨지(32)에 대한 원위에서 연장 튜브(14)의 루멘, 예컨데 제2 루멘(24) 내에 배치된 압축가능 요소(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가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웨지(32)가 압축가능 요소(80)와 접촉하여 압축가능 요소(80)를 압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에는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신축(telescoping) 장치, 튜브, 또는 다른 압축가능 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은 원형, 계란형, 정사각형, 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는 원위-근위 방향 및/또는 근위-원위 방향으로 압축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의 길이는 웨지(32) 또는 하우징(12)으로부터 원위 커넥터(18)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는 웨지(32) 또는 하우징(12)과 원위 커넥터(18)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좌굴이 용이한 지점들이 커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는, 예를 들어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이 후퇴 위치에 있는 때에 원위 커넥터(18)와 웨지(32)의 대략적인 중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는 좌굴이 용이한 기구(16)의 영역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는, 스프링이 압축된 때에 스프링이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a, 34b) 및/또는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34c, 34d)과 연장 튜브(14) 사이의 마찰력 또는 법선력(normal force)을 극복하지 못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우징(12)이 근위 방향으로 반동(springing back)함에 대해 우려할 필요가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는 좌굴 감소를 위하여 기구(16)를 지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는 기구(16)의 제1 단부(44)와 기구(16)의 제2 단부(4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가능 요소(80)는 기구(16)의 좌굴 감소를 위하여 제1 단부(44)와 제2 단부(46)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다.
도 9b 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부(44)는 압축가능 요소(80)를 통해 연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단부(44)의 좌굴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 도 9c 를 참조하면, 제2 단부(46)는 압축가능 요소(80)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제2 단부(46)의 좌굴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 도 9d 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0)는 연장 튜브(14)의 루멘, 예컨데 제2 루멘(24) 내에서 웨지(32)에 대한 원위에 배치된 다른 압축가능 요소(8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압축가능 요소(82)는 한 가지 이상의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압축가능 요소(8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제1 단부(44)는 압축가능 요소(80)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제2 단부(46)는 다른 압축가능 요소(82)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제 도 10 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84)은 제1 푸쉬 탭(86) 및/또는 제2 푸쉬 탭(8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84)은 한 가지 이상의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도 1 내지 9 의 하우징(12)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푸쉬 탭(86) 및 제2 푸쉬 탭(88)은 의료인이 자신의 손 위치를 재배치하지 않고서 기구(16)를 원위 방향으로 전진시킴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구성이 아니라면, 하우징(84)은 평균적인 손 크기의 한 번 밈에 의하여 하우징(84)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정도보다 원위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슬라이딩될 필요가 있을 것이고, 의료인은 연속하여 하우징(84)을 원위 방향으로 밀기 위하여 자신의 손을 재배치해야 할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를 후퇴 위치로부터 전진 위치로 전진시키기 위해서, 의료인이 자신의 손가락을 재배치할 수 있으나, 제1 푸쉬 탭(86) 및 제2 푸쉬 탭(88)으로 인하여 자신의 손 파지(hand grip)를 재배치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84)은 둘 이상의 푸쉬 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푸쉬 탭들은 하우징(84)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푸쉬 탭(86)은 제2 푸쉬 탭(88)에 대해 원위에 있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하우징(84)의 원위 단부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푸쉬 탭(88)은 하우징(84)의 근위 단부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푸쉬 탭(86) 및 제2 푸쉬 탭(88)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것은 의료인의 손가락의 보호를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푸쉬 탭(86) 및 제2 푸쉬 탭(88)은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푸쉬 탭(86)이 제2 푸쉬 탭(88)보다 더 높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손가락이 제1 푸쉬 탭(86)과 제2 푸쉬 탭(88) 사이에 끼워질 수 없는 경우에 하우징(84)의 상측 표면에 대한 밈(push)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84)은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되고 연장 튜브(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구(9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푸쉬 탭(86) 및 제2 푸쉬 탭(88)은 의료인에 의한 기구(16)의 한 손에 의한 전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제 도 11 을 참조하면, 여기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원위 커넥터(18)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근위 단부는 정지 돌출부(66)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이 파손 또는 파괴되기에 충분히 멀리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이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휨 지점(62)에서 원위 커넥터(18)의 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후크 부재(64)는 카테터 조립체의 일부분을 움켜쥐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각각의 정지 돌출부(66)는 두 개의 레버 아암들(40a, 40b) 대신에 원위 커넥터(18)의 몸체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제 도 12a 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12)는 카테터 어댑터(94) 및 카테터 어댑터(94)의 원위 단부으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카테터(9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94)는 측부 포트(99)를 포함할 수 있고, 카테터 조립체(92)는 측부 포트(99)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튜브(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92)는 예컨데 T-커넥터와 같은 커넥터(10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커넥터(102)는 연장 튜브(100)의 근위 단부 및 연장 튜브(104)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92)는 니들리스 접근 커넥터(106)를 포함할 수 있고, 니들리스 접근 커넥터(106)는 커넥터(102)의 근위 단부 및 원위 커넥터(1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테터 조립체(92)는 측부 포트(99)와 통합된 연장 튜브(100)를 구비하여, 통합된 카테터 조립체로 호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특정 하우징이 원위 방향으로 전진됨에 따라서, 카테터(96) 및 측부 포트(99)를 통하여 삽입될 것이다.
이제 도 12b 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100)는 예컨데 T-커넥터와 같은 커넥터(102) 및 커넥터(102)에 결합된 연장 튜브(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108)는 기구 전진 장치(10) 및 커넥터(102)에 결합된 니들리스 접근 커넥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102)는 카테터 조립체(100)의 카테터 어댑터(110)의 근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100)는 카테터 어댑터(110)의 원위 단부으로부터 원위로 연장되는 카테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테터 조립체(108)는 직선형인 것으로 일컬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특정 하우징이 원위 방향으로 전진됨에 따라서, 카테터(96) 및 카테터 어댑터(110)의 근위 단부를 통하여 삽입될 것이다.
이제 도 13a 내지 13b 를 참조하면, 여기에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기구 전진 장치(119)가 도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한 가지 이상의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도 1 내지 12 중 하나 이상의 기구 전진 장치(10)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우묵부(depression) 또는 포켓(pocket)(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켓(120)은 원호-형상 채널(4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연장 튜브(14)의 루멘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 루멘에는 제2 루멘(24)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원호-형상 채널(42)을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1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카테터의 내재 시간에 걸쳐서 혈액 획득 뿐만 아니라 의약물 및 유체의 전달을 위한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의 개방도(patency)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가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때에 카테터가 환자의 혈관계 내에 삽입 또는 내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혈액 수집 동안에 혈액의 유동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흐름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난 조작과 관련된 카테터 문제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부(46)에는 로드(rod), 코일, 또는 혈관계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혈전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코일이 로드를 둘러쌀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부(46)의 최원위 부분은, 혈관계 손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뭉툭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부(46)는 이를 통한 혈액 유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공성(porous)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부(44)는 연장 튜브(14)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44)는 접착, 접합,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방식으로 연장 튜브(1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부(46)는, 하우징(12)이 제2 거리만큼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원위로 제1 거리만큼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는 제2 거리의 적어도 두 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의 움직임은 기구(16)가 하우징(12)과 접촉하지 않고도 수행될 수 있는데, 이것은 기구(16)의 박테리아 오염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포켓(120) 내에서 연장 튜브(14)의 외측 표면과 하우징(12) 사이에 배치된 병진 특징부(translation feature)(122)를 포함할 수 있는바, 이로써 하우징(12)이 연장 튜브(14)의 외측 표면을 따라서 제1 거리만큼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웨지(32)가 루멘(18) 내에서 제1 거리만큼 원위로 움직여질 수 있으며 또한 기구(16)의 제2 단부(46)가 원위로 제2 거리만큼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병진 특징부(122)는 볼, 바퀴, 롤러 베어링, 또는 연장 튜브(14)의 국부적인 압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임의이 다른 적합한 구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병진 특징부(122)는 하우징(12)의 일부분이고 그리고/또는 하우징(12)과 함께 단일 유닛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유연성 재료, 예컨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PELLETHAN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하우징(12)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고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윤활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유연성 재료는 병진 특징부(122)에 의한 연장 튜브(14)의 압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유연성 재료, 강성 재료, 및 반강성(semi-rigid) 재료 중 한 가지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예컨데 기구(16) 및/또는 웨지(32)와 같은 내부의 구성물 및/또는 그 구성물 상에 있는 마킹(markings)의 가시성 증진을 위하여 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병진 특징부(122)는 연장 튜브(14)를 압축시킬 수 있고, 이로써 연장 튜브(14)는 포켓(120) 안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를 포켓(120) 안으로 압축시키는 병진 특징부(122)는 하우징(12)에 의한 웨지(32)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 병진 특징부(1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병진 특징부(124)들은 병진 특징부(122)로부터 카테터 조립체(12)의 반대측에서 하우징(12)과 연장 튜브(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병진 특징부(122) 및/또는 추가적 병진 특징부(124)들은 연장 튜브(14)가 하우징(12)과 접촉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하우징(12)이 적은 마찰로 연장 튜브(14)의 종축을 따라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적 병진 특징부(124)들 각각은 롤러 볼, 바퀴, 베어링, 또는 다른 적합한 구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병진 특징부(122) 및/또는 추가적 병진 특징부(124)들은 하우징(12) 내의 우묵부(126)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우묵부(126)들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소형 돌출부(128)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들은 병진 특징부(122) 및/또는 추가적 병진 특징부(124)들과 접촉하는 하우징(12)의 표면 면적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우묵부(126)들은, 구형일 수 있는 병진 특징부(122) 및/또는 추가적 병진 특징부(124)들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켓(120) 반대측에 있는 웨지(32)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범프(bump)(130)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범프(130)들은 하우징(12)과 접촉하는 웨지(32)의 표면 면적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웨지(32)가 적은 마찰로 연장 튜브(14)에 대해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웨지(32)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이거나 3지점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장 튜브(14)는 제1 루멘(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루멘(22)은 연장 튜브(14)의 원위 단부(13) 및 연장 튜브(14)의 근위 단부(17)을 통해 연장될 수 있고, 이들을 통한 유체 유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루멘(22)의 폭 및/또는 길이는, 혈액 수집 동안에 용혈을 감소시키면서도 혈액 수집 시간을 감소시키는 혈액 유량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의 1x 전진에 따른 기구(16)의 2x(2배) 전진 또는 그 이상의 전진으로 인하여, 혈액 수집을 위해 사용되는 제1 루멘(22) 및 연장 튜브(14)가 짧아짐이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루멘(22) 내의 혈액 체적이 적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격막(26)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격막(26)은 연장 튜브(14)의 원위 단부 또는 원위 커넥터(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는 격막(26)을 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막(26)은 제1 루멘(22) 안으로의 원위 방향 유체 유동은 허용하면서도 제2 루멘(24) 안으로의 원위 방향 유체 유동은 방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루멘(24)의 근위 단부은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루멘(24)의 근위 단부 내에 격막 또는 시일(seal)이 배치되거나 또는 연장 튜브(14)에 의하여 폐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루멘(24)은 제1 루멘(22)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루멘(22)은 연장 튜브(14)를 따라서 중앙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가 제2 루멘(24) 내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16)가 완전히 후퇴된 위치에 있고 그리고/또는 하우징(12)이 근위 위치에 있는 때에, 기구(16)의 제2 단부(46)는 격막(26)의 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구(16)가 완전히 후퇴된 위치에 있고 그리고/또는 하우징(12)이 근위 위치에 있는 때에, 기구(16)가 격막(26)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되, 제2 단부(46)는 원위 커넥터(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도 5c 의 지지 요소(48) 및/또는 도 7 의 다른 지지 요소(6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도 8a 의 테더(70) 및/또는 도 9a 내지 9d 의 압축가능 요소(8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70)는 몰딩된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구 전진 장치(119)는 도 9d 의 다른 압축가능 요소(8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모든 예시적이고 조건적인 표현은 기술을 심화시키도록 발명자에 의해 기여되는 발명 및 개념을 독자가 이해함을 도우려는 교육적인 목적을 위해 의도된 것이며, 또한 그렇게 상세하게 기재된 예 및 조건들에 대한 제한은 없는 것으로 추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대체,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기구 전진 장치로서, 상기 기구 전진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되는 연장 튜브(extension tube);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원호-형상 채널(arc-shaped channel)을 포함하는, 웨지(wedge);
    상기 연장 튜브를 집도록(pinch) 구성된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pinch member)들로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과 함께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
    상기 원호-형상 채널을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로서, 기구의 제1 단부는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이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원위로(distally)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이 상기 웨지를 원위로 밀며, 상기 웨지가 제1 거리만큼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기구의 제2 단부가 제2 거리만큼 원위로 전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적어도 두 배인, 기구; 및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 배치되고, 상기 기구의 좌굴(buckling)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지지 요소로서, 상기 기구가 지지 요소를 통하여 연장되는,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기구 전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제1 구멍 또는 홈 및 제2 구멍 또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기구의 제1 단부는 제1 구멍 또는 홈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기구의 제2 단부는 제2 구멍 또는 홈을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 전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전진 장치는,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lumen) 내에 배치된 복수의 다른 지지 요소들을 더 포함하는, 기구 전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또는 상기 연장 튜브는, 상기 웨지가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지지 부재와 접촉하고 또한 지지 요소를 원위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기구 전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전진 장치는, 상기 웨지와 상기 지지 요소 사이에서 연장되는 테더(tether)를 더 포함하는, 기구 전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웨지 및 상기 지지 요소에 고정되는, 기구 전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지지 요소를 통해 연장되는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테더는 상기 통공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에지는 상기 지지 요소를 움직이지 않고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기구 전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는 웨지를 통하여 연장되는 다른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테더는 상기 다른 통공을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 전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의 원위 단부는 상기 지지 요소에 대해 원위에 있고 포획부(catch)를 포함하며, 상기 테더의 근위 단부(proximal end)는 상기 웨지에 대해 근위에 있고 다른 포획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근위 방향으로 후퇴함에 따라서 상기 포획부가 상기 지지 요소를 근위로 당기도록 구성되는, 기구 전진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웨지의 근위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 튜브를 집도록 구성된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다른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웨지의 원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과 함께 연장 튜브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이 연장 튜브를 따라서 근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은 상기 웨지를 근위로 밀고 상기 기구는 근위로 후퇴되는, 기구 전진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튜브는 제1 루멘 및 제2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루멘을 통하여는 혈액 수집 경로(blood collection pathway)가 연장되며, 상기 제2 루멘 내에는 상기 웨지 및 상기 기구가 배치되는, 기구 전진 장치.
  12. 기구 전진 장치로서, 상기 기구 전진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되는 연장 튜브;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원호-형상 채널을 포함하는, 웨지;
    상기 연장 튜브를 집도록 구성된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로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과 함께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
    상기 원호-형상 채널을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로서, 기구의 제1 단부는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이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이 상기 웨지를 원위로 밀며, 상기 웨지가 제1 거리만큼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기구의 제2 단부가 제2 거리만큼 원위로 전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거리는 상기 제1 거리의 적어도 두 배인, 기구; 및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서 상기 웨지에 대해 원위에 배치되는 압축가능 요소(compressible element)로서, 상기 웨지가 원위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웨지는 상기 압축가능 요소에 접촉하여 압축가능 요소를 압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축가능 요소;를 포함하는, 기구 전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요소는 스프링인, 기구 전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능 요소는 상기 기구의 제1 단부와 상기 기구의 제2 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기구 전진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압축가능 요소를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 전진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압축가능 요소를 통하여 연장되는, 기구 전진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전진 장치는 상기 연장 튜브의 루멘 내에서 상기 웨지의 원위에 배치되는 다른 압축가능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압축가능 요소를 통해 연장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다른 압축가능 요소를 통해 연장되는, 기구 전진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연장 튜브를 따라서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대향되는 핀치 부재들이 상기 연장 튜브 및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하는, 기구 전진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푸쉬 탭(first push tab) 및 제2 푸쉬 탭을 포함하는, 기구 전진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전진 장치은 원위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튜브의 원위 단부는 상기 원위 커넥터에 결합되며, 상기 원위 단부는 원위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위 커넥터는, 중앙 삽입 특징부(central insertion feature) 및 상기 중앙 삽입 특징부의 대향되는 측부들에 배치된 두 개의 레버 아암(lever arm)들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삽입 특징부는 루어 형상부(luer shape)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레버 아암들 각각의 근위 단부는 정지 돌출부(stop protrusion)를 포함하는, 기구 전진 장치.
KR1020237037732A 2021-04-02 2022-03-31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 KR20230166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70389P 2021-04-02 2021-04-02
US63/170,389 2021-04-02
PCT/US2022/022752 WO2022212649A1 (en) 2021-04-02 2022-03-31 Instrument advancement device having an anti-buckling fea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116A true KR20230166116A (ko) 2023-12-06

Family

ID=8326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7732A KR20230166116A (ko) 2021-04-02 2022-03-31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323737A1 (ko)
EP (1) EP4312842A1 (ko)
JP (1) JP2024512759A (ko)
KR (1) KR20230166116A (ko)
CN (2) CN115192017A (ko)
AU (1) AU2022249086A1 (ko)
BR (1) BR112023020063A2 (ko)
CA (1) CA3214063A1 (ko)
WO (1) WO20222126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9481B1 (en) * 1996-09-04 2005-08-16 Immersion Medical, Inc.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interfacing instruments to medical procedure simulation systems
US9668690B1 (en) * 2001-05-01 2017-06-06 Intrapace, Inc. Submucosal gastric implant device and method
US8585713B2 (en) * 2007-10-17 2013-11-19 Covidien Lp Expandable tip assembly for thrombus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7447802U (zh) 2022-09-20
AU2022249086A1 (en) 2023-10-26
CA3214063A1 (en) 2022-10-06
BR112023020063A2 (pt) 2023-11-14
JP2024512759A (ja) 2024-03-19
CN115192017A (zh) 2022-10-18
US20220323737A1 (en) 2022-10-13
EP4312842A1 (en) 2024-02-07
WO2022212649A1 (en)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4975B2 (ja) 末梢ivカテーテルによる静脈採血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664621B1 (ko) 회전 요소를 갖는 기구 전달 장치
JP7459098B2 (ja) 血管アクセス器具のためのシリンジベースの送達装置
CN217067263U (zh) 血管通路器械推进装置
US20210213245A1 (en) Multi-lumen extension system
KR20210057728A (ko) 카테터 안정화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1640A (ko) 혈전을 통해 연장되는 기구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66116A (ko)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
CA3125979A1 (en) Needleless access connector facilitating instrument delivery to a catheter assembly
CN218900531U (zh) 脉管通路装置
CN218784432U (zh) 器械推进装置
US20220313958A1 (en) Instrument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CN218458132U (zh) 器械推进装置
US20220379087A1 (en) Catheter Extension Set Having a Patency or Monitoring Instrument
JP2024520446A (ja) 開存性を有するカテーテル延長セットまたは監視機器
JP2024513171A (ja) 器具の座屈を低減する血管アクセス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