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640A - 혈전을 통해 연장되는 기구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혈전을 통해 연장되는 기구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640A
KR20220151640A KR1020227034249A KR20227034249A KR20220151640A KR 20220151640 A KR20220151640 A KR 20220151640A KR 1020227034249 A KR1020227034249 A KR 1020227034249A KR 20227034249 A KR20227034249 A KR 20227034249A KR 20220151640 A KR20220151640 A KR 2022015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distal
housing
cathete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핑 마
조던 시실리아노
조나단 칼 버크홀츠
Original Assignee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2015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992Blood sampling from a fluid line external to a patient, such as a catheter line, combined with an infusion line; blood sampling from indwelling needle sets, e.g. sealable ports, luer couplings,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3Source of blood for venous or arterial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43Collection vessels for collecting blood samples from the skin surface, e.g. test tubes, cuv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 A61B5/154Devices using pre-evacuat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13Mechanical advancing means, e.g. catheter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93Flashback cha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방법은 제1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카테터 조립체는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하는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 장치는 제1 관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형 기구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제1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제1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결합해제된 후 제2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달 장치는 제2 관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형 기구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제2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Description

혈전을 통해 연장되는 기구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혈관구조(vasculature)에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카테터는 생리 식염수(normal saline solution), 다양한 약물(medicament) 또는 완전 비경구 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을 주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는 또한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는 오버 더 니들(over-the-needle) 말초 정맥(peripheral intravenous, "IV")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카테터는 날카로운 원위 팁을 구비하는 유도 바늘(introducer needle)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카테터 및 유도 바늘은, 바늘의 경사면(bevel)이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격하여 지향하는 상태로 유도 바늘의 원위 팁이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연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카테터 및 유도 바늘은 일반적으로 피부를 통해 환자의 혈관구조에 얕은 각도로 삽입된다.
혈관 내 카테터 및/또는 유도 바늘의 적절한 배치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의(clinician)는 일반적으로 카테터 조립체의 플래시백 챔버 내에 혈액의 "플래시백(flashback)"이 있는지 확인한다. 바늘의 위치가 확인되면, 임상의는 혈관구조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 바늘을 제거하여, 향후 혈액 채취 또는 유체 주입을 위해 카테터를 제자리에 남겨둘 수 있다.
카테터를 사용한 혈액 채취는 여러 가지 이유, 특히 혈관구조 내에서 카테터의 체류 시간이 하루 이상인 경우에 어려울 수 있다. 카테터가 장기간 환자 내에 삽입된 상태로 남겨진 경우, 카테터 또는 정맥이 좁아지거나, 붕괴되거나, 꼬이거나, 잔해들(예를 들어, 피브린(fibrin) 또는 혈소판 응고)에 의해 막히거나, 혈관구조에 카테터의 팁이 부착되기 쉽다. 이로 인해, 카테터들은 카테터 배치 시에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해 종종 사용되지만, 카테터 체류 기간 동안 혈액 샘플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덜 빈번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혈액 샘플이 필요한 경우 혈액 수집을 위한 정맥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바늘 막대가 종종 요구되며, 이는 환자에게 고통을 줄 수 있고 더 높은 재료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추가적인 바늘 막대를 피하기 위해, 관형 기구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통해 환자의 혈관구조에 접근할 수 있다. 관형 기구는 카테터를 통해 혈관구조로 삽입되어 카테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추가적인 바늘 막대 없이 카테터를 통해 혈액을 채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청구되는 청구 대상은 임의의 단점들을 해결하거나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환경에서만 작동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 배경은 여기에서 설명된 일부 구현예들이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기술 영역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혈관구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전달 장치, 뿐만 아니라 관련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각각 카테터를 통해 관형 기구를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는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서 카테터의 체류 기간의 증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혈액 채취를 막을 수 있는 카테터 내부 또는 주위의 혈전, 판막 및/또는 피브린 피막(fibrin sheath)과 같은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카테터가 손상되거나 그 수명이 거의 다했을 때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및/또는 카테터 내로 관형 기구를 전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혈관구조 내에 존재하는 카테터 체류를 이용함으로써 혈액 수집, 유체 전달, 환자 또는 장치 모니터링, 또는 다른 임상적 요구를 위해 환자의 혈관구조에 관형 기구의 무바늘-전달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의 관형 기구는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더 긴 관형 기구를 구비한 전달 장치는 더 짧은 관형 기구를 구비한 전달 장치 이후에 사용되어 관형 기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가 증가할 수 있는 혈전을 통과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하는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제1 관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1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lumen)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1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 및 제1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가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제1 거리에 카테터의 원위 팁에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는 원위 위치에 있는 제1 관형 기구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에 대해 완전히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를 통해 제1 체적의 혈액을 제1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고 관형 기구를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본 방법은 제1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제1 전달 장치를 결합해제한 후, 본 방법은 제2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는 제2 하우징 및 제2 관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2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2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 및 제2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는 원위 위치에 있는 제2 관형 기구에 대응하여 제2 하우징에 대해 완전히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가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2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제2 거리에 카테터의 원위 팁에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를 통해 제2 체적의 혈액을 제2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고 제2 관형 기구를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본 방법은 제2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제2 전달 장치를 결합해제한 후, 본 방법은 제3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는 제3 하우징 및 제3 관형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3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3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3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 및 제3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는 원위 위치에 있는 제3 관형 기구에 대응하여 제3 하우징에 대해 완전히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가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3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3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제3 거리에 카테터의 원위 팁에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를 통해 제3 체적의 혈액을 제3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고 제3 관형 기구를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본 방법은 제3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는 0.5인치(inch)일 수 있으며, 이는 카테터의 원위 팁 근처에 형성될 수 있는 혈전을 통한 연장 및 카테터 조립체를 통한 유체 경로의 확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혈전의 크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1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후 제2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때 혈전을 통과하는 가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는 1인치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는 1.5인치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거리는 2인치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는 0.25인치, 0.33인치, 0.75인치, 1인치, 또는 다른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는 0.25인치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는 제1 일에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전달 장치는 제1 일에 후속할 수 있는 제2 일에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일은 제1 일 바로 다음에 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와 제3 거리 사이의 차이는 0.5인치일 수 있으며, 이는 카테터의 원위 팁 근처에 형성될 수 있는 혈전을 통한 연장 및 카테터 조립체를 통한 유체 경로의 확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혈전의 크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2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된 후 발생할 수 있는 제3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때 혈전을 통과하는 가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제3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와 제3 거리 사이의 차이는 0.25인치, 0.33인치, 0.75인치, 1인치, 또는 다른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와 제3 거리 사이의 차이는 0.25인치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는 제2 일에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고, 제3 전달 장치는 제2 일에 후속할 수 있는 제3 일에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일은 제2 일 바로 다음에 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체적의 혈액은 제1 일에 제1 관형 기구를 통해 제1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체적의 혈액은 제2 일에 제2 관형 기구를 통해 제2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체적의 혈액은 제3 일에 제3 관형 기구를 통해 제3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체적의 혈액, 제2 체적의 혈액 및 제3 체적의 혈액 중 하나 이상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 제2 관형 기구 및 제3 관형 기구 중 하나 이상의 원위 단부는 하나 이상의 측 홀(side hole)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혈전에 인접한 카테터로의 혈액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 제2 관형 기구 및 제3 관형 기구 중 하나 이상의 원위 단부는 폐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슬릿(slit)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 제2 관형 기구 및 제3 관형 기구 중 하나 이상은, 슬릿이 폐쇄될 수 있고 혈액이 정상적인 생리학적 압력 하의 대응하는 관형 기구 내로 확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폐색(occlusion) 및 혈전에 저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 및 제2 거리와 제3 거리 사이의 차이는 혈전을 통한 연장 및 카테터 조립체를 통한 유체 경로의 확립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 제2 전달 장치 및 제3 전달 장치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특정 전달 장치는 환자로부터 카테터를 제거하지 않고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류하는 카테터를 통해 삽입되는 특정 관형 기구는 점점 더 길어질 수 있고, 이는 카테터 조립체를 통해 유체 경로의 확립의 가능성을 증가시켜 혈액을 채취하도록 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혈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는 제1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는 제2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는 제3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마킹, 제2 마킹 및 제3 마킹 중 하나 이상은 대응하는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킹은 "1일(Day 1)" 또는 "제1 혈액 채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마킹은 "2일" 또는 "제2 혈액 채취"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 제3 마킹은 "3일" 또는 "제3 혈액 채취"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마킹, 제2 마킹 및/또는 제3 마킹은 서로에 대해 대응하는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는 다른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는 제1 관형 기구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더(slid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는 카테터의 원위 팁과 동일 평면인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에 대응하여 다른 마킹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마킹은 원위 방향으로 제1 관형 기구의 추가 전진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가 원위 팁으로 멀리 연장될 것임을 임상의에게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는 다른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는 제2 관형 기구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는 카테터의 원위 팁과 동일 평면인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에 대응하여 다른 마킹과 정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는 다른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는 제3 관형 기구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는 카테터의 원위 팁과 동일 평면인 제3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에 대응하여 다른 마킹과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고, 카테터 어댑터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의 원위 단부 및 카테터 어댑터의 근위 단부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는 카테터 어댑터 내에 고정될 수 있는 카테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원위 단부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고, 커넥터는 카테터 어댑터의 커넥터에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전달 장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은 제1 마킹, 제2 마킹, 제3 마킹 및 슬롯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마킹은 제2 마킹에 인접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는 관형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관형 기구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는 관형 기구에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의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는 관형 기구를 전진 및/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임상의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전진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1 마킹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1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2 마킹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2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원위 단부 너머의 제2 거리는 하우징의 원위 단부 너머의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3 마킹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3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원위 단부 너머의 제3 거리는 하우징의 원위 단부 너머의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 및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된 배열 및 관형 기구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이 반드시 축척에 맞추어져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들은 결합될 수 있거나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청구되지 않는다면 구조적 변경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추가적으로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근위 위치의 예시적인 관형 기구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카테터 조립체와 결합되는 예시적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원위 위치의 관형 기구를 도시하는, 카테터 조립체와 결합되는 도 1a의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근위 위치의 예시적인 제1 관형 기구를 도시하는, 제1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근위 위치의 예시적인 제2 관형 기구를 도시하는, 제2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근위 위치의 예시적인 제3 관형 기구를 도시하는, 제3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원위 위치의 제1 관형 기구를 도시하는, 도 2a의 제1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원위 위치의 제2 관형 기구를 도시하는, 도 2b의 제2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원위 위치의 제3 관형 기구를 도시하는, 도 2c의 제3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장형 전달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이제 도 1a 내지 도 1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12)를 카테터(14)로 전달하는 전달 장치(10)는 카테터(14)의 체류 기간 증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달 장치(10)는 카테터(14)가 손상되거나 그 수명이 거의 다했을 때 혈액 채취 또는 유체 주입을 위해 카테터(14)의 원위 팁(16)을 넘어 및/또는 카테터(14) 내로 관형 기구(12)를 전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10)는 카테터 어댑터(19)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1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10)는 관형 기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10)는 임의의 적합한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형 기구(12)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전달 장치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2018년 7월 17일에 출원된 제목이 "정맥 카테터 또는 프로브를 수용하는 연장"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037,246, 2019년 4월 18일에 출원된 제목이 "회전 요소를 구비하는 기구 전달 장치"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388,650, 2018년 7월 17일에 출원된 제목이 "다직경 카테터 및 관련된 장치 및 방법"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037,319, 2019년 7월 3일에 출원된 제목이 "혈관 접근 기구를 위한 전달 장치"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502,541, 2019년 11월 21일에 출원된 제목이 "혈관 접근 기구를 위한 주사기-기초의 전달 장치"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691,217, 2020년 1월 14일에 출원된 제목이 " 카테터 전달 장치 및 관련된 시스템 및 방법"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742,013, 2020년 4월 2일에 출원된 제목이 "유체 투과 구조를 구비하는 혈관 접근 기구 및 관련된 장치 및 방법"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6/838,831에 추가로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 각각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12)가 하우징(18)에 대해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전달 장치(10)는 관형 기구(12)를 카테터(14) 및 카테터 어댑터(19)를 포함할 수 있는 카테터 조립체(20) 내로 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12)가 카테터 조립체(20) 내로 도입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12)는 카테터 조립체(20)의 유체 경로에 접근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관형 기구(12)는 환자의 혈관구조에 접근하도록 카테터 조립체(2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20)는 예를 들어 BD NEXIVA™ Closed IV 카테터 시스템, BD CATHENA™ 카테터 시스템, BD VENFLON™ Pro Safely Shielded IV 카테터 시스템, BD NEOFLON™ IV 카눌라 시스템, BD INSYTE™ AUTOGUARD™ BC Shielded IV 카테터 시스템 또는 다른 적절한 카테터 조립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카테터 조립체를 포함하거나 이에 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20)는 통합된 연장 튜브(22)와 통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카테터 조립체(20)는 비-일체형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는 말초 정맥 카테터(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PIVC), 말초 삽입 중심 카테터(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PICC), 또는 정중선 카테터(midline cathete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는 카테터 어댑터(19) 내에 고정되고 카테터 어댑터(19)로부터 멀리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 어댑터(19)는 원위 단부(24), 근위 단부(26) 및 원위 단부(24)와 근위 단부(26) 사이 및/또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2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septum)은 카테터 어댑터(19)의 루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12)는 격벽을 통해 또는 격벽에 인접하여 혈관구조에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10)는 근위 단부(26) 또는 예를 들어 Y-어댑터와 같은 카테터 조립체(20)의 다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는 커넥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30)는 슬립 또는 스레드(thread) 또는 클립 수 루어(clip male lure)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30)는 슬립 또는 스레드 또는 클립 암 루어(clip female lure)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넥터(30)는 카테터 어댑터(19)의 근위 단부(26)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유도기(introducer) 또는 카눌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18)은 원위 단부(32) 및 근위 단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32)는 커넥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10)는 혈액 수집 장치(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36)는 혈액 수집 용기를 포함하거나 이에 상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용기는 주사기(syringe), 비워진 혈액 수집 튜브(38), 소형 샘플 수집 장치 또는 임의의 다른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36)는 원위 방향으로 관형 기구(12)의 전진 후에 전달 장치(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는 혈액 수집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바늘(40)을 포함할 수 있는 바늘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늘(40)의 근위 팁은 탄성 시스(elastomeric sheat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용기가 탄성 시스를 멀리 미는 것에 대응하여, 바늘(40)은 탄성 시스를 관통하고 혈액 수집 용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용기는 비워진 혈액 수집 튜브(3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는 비워진 혈액 수집 튜브(38)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홀더(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 수집 장치는 뉴저지 프랭클린 레이크의 벡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로부터 이용가능한 VACUTAINER® 일회용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36)는 관형 기구(12)의 근위 단부(43)에 결합되고, 이와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36)는 바늘(40) 및 관형 기구(12)를 통해 연장되는 유체 경로를 통해 관형 기구(12)의 근위 단부(43)에 결합되고, 이와 유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액 수집 장치(36)는 통합, 루어 연결 등을 통한 경우와 같은 임의의 수의 적절한 방식으로 관형 기구(12)의 근위 단부(43)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10)는 전진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진 요소는 관형 기구(12)를 원위 방향으로 전진시키고, 그리고/또는 관형 기구(12)를 근위 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해 임상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탭 또는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진 요소는 관형 기구(12)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진 요소는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진 요소는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8) 내에 배치된 슬롯(45)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는 슬라이더(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12)는 하우징(18)의 근위 단부(26)를 통해 연장되고 이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혈관구조 내의 상당한 체류 시간에 대응하여, 카테터 조립체(20)의 카테터(14)는 좁아지거나, 붕괴되거나, 꼬이거나, 잔해들(예를 들어, 피브린 또는 혈소판 응고)에 의해 막히거나, 혈관구조에 카테터(14)의 원위 팁(16)이 부착되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14)를 이용한 혈액 채취가 어려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12)는 임의의 추가적인 바늘 막대 없이 환자의 혈관구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카테터를 포함하거나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12)는 무바늘 혈액 수집 및/또는 유체 주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2a 및 도 3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44)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44)는 하나 이상의 포함된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도 1a 내지 도 1b의 전달 장치(10)와 각각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는 제1 전달 장치(44)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카테터(14)는 제1 전달 장치(44)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되기 전에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44)는 제1 하우징(46) 및 제1 관형 기구(4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46) 및 제1 관형 기구(48)는 하나 이상의 포함된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도 1a 내지 도 1b의 하우징(18) 및 관형 기구(12)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는 원위 단부(50), 근위 단부(43), 및 제1 관형 기구(48)의 원위 단부(50)와 제1 관형 기구(48)의 근위 단부(43)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루멘은 원위 단부(50) 및 근위 단부(43)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의 근위 단부(43)는 제1 하우징(46)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는 카테터 조립체(20) 및 제1 하우징(46)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가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48)는 카테터 조립체(20)에 인접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1 관형 기구(48)의 원위 단부(50) 또는 제1 관형 기구(48)의 원위 표면(56)은 카테터 조립체(20)에 인접하거나 그리고/또는 제1 하우징(46)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48)의 원위 단부(50)의 원위 표면(56)은 카테터(14)의 원위 팁(16)을 넘어 제1 거리에 카테터(14)의 원위 팁(16)에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표면(56)은 원위 단부(50)의 최원위(distal-most)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는 원위 위치에 있는 제1 관형 기구(48)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46)에 대해 완전히 전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41)는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슬롯(45)의 원위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를 통해 제1 체적의 혈액을 제1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고 제1 관형 기구(48)를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제1 전달 장치(44)는 카테터 조립체(20)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이제 도 2b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44)를 카테터 조립체(20)로부터 결합해제한 후에, 제2 전달 장치(58)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58)는 하나 이상의 포함된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도 1a 내지 도 1b의 전달 장치(10)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는 제2 전달 장치(58)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할 수 있고 혈관구조 내로 삽입된 이후 환자로부터 제거되지 않았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는 제2 전달 장치(58)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되기 전에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58)는 제2 하우징(60) 및 제2 관형 기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60) 및 제2 관형 기구(62)는 하나 이상의 포함된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도 1a 내지 도 1b의 하우징(18) 및 관형 기구(12)와 각각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는 원위 단부(50), 근위 단부(43) 및 제2 관형 기구(62)의 원위 단부(50)와 제2 관형 기구(62)의 근위 단부(43)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루멘은 원위 단부(50) 및 근위 단부(43)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의 근위 단부(43)는 제2 하우징(6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는 카테터 조립체(20) 및 제2 하우징(60)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는 원위 위치에 있는 제2 관형 기구(62)에 대응하여 제2 하우징(60)에 대해 완전히 전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41)는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슬롯(45)의 원위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가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2 관형 기구(62)는 카테터 조립체(20)에 인접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2 관형 기구(62)의 원위 단부(50) 또는 제2 관형 기구(62)의 원위 표면(56)은 카테터 조립체(20)에 인접하거나 그리고/또는 제2 하우징(60)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2 관형 기구(62)의 원위 단부(50)의 원위 표면(56)은 카테터(14)의 원위 팁(16)을 넘어 제2 거리에 카테터(14)의 원위 팁(16)에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표면(56)은 원위 단부(50)의 최원위(distal-most)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를 통해 제2 체적의 혈액을 제2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고 제2 관형 기구(62)를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제2 전달 장치(58)는 카테터 조립체(20)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는 0.5인치일 수 있으며, 이는 카테터(14)의 원위 팁(16) 근처에 형성될 수 있는 혈전을 통한 연장 및 카테터 조립체(20)를 통한 유체 경로의 확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혈전의 크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1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된 후 제2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혈전을 통과하는 제2 관형 기구(62)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는 1인치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는 1.5인치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는 0.25인치, 0.33인치, 0.75인치, 1인치, 또는 다른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는 0.25인치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는 제1 일에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전달 장치는 제1 일에 후속할 수 있는 제2 일에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일은 제1 일 바로 다음에 올 수 있다.
이제 도 2c 및 도 3c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58)를 카테터 조립체(20)로부터 결합해제한 후에, 제3 전달 장치(64)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64)는 하나 이상의 포함된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도 1a 내지 도 1b의 전달 장치(10)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는 제3 전달 장치(64)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할 수 있고 혈관구조 내로 삽입된 이후 환자로부터 제거되지 않았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는 제2 전달 장치(58)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되기 전에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64)는 제3 하우징(66) 및 제3 관형 기구(6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하우징(66) 및 제3 관형 기구(68)는 하나 이상의 포함된 특징 및/또는 작동의 관점에서 도 1a 내지 도 1b의 하우징(18) 및 관형 기구(12)와 각각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68)는 원위 단부(50), 근위 단부(43) 및 원위 단부(50)와 근위 단부(43)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루멘은 원위 단부(50) 및 근위 단부(43)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68)의 근위 단부(43)는 제3 하우징(6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68)는 카테터 조립체(20) 및 제3 하우징(66)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68)는 원위 위치에 있는 제3 관형 기구(68)에 대응하여 제3 하우징(66)에 대해 완전히 전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41)는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는 슬롯(45)의 원위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68)가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3 관형 기구(68)는 카테터 조립체(20)에 인접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제3 관형 기구(68)의 원위 단부(50) 또는 제3 관형 기구(68)의 원위 표면(56)은 카테터 조립체(20)에 인접하거나 그리고/또는 제3 하우징(66)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68)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3 관형 기구(68)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56)은 카테터(14)의 원위 팁(16)을 넘어 제3 거리에 카테터(14)의 원위 팁(16)에 멀리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표면(56)은 원위 단부(50)의 최원위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68)를 통해 제3 체적의 혈액을 제3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고 제3 관형 기구(68)를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제3 전달 장치(64)는 카테터 조립체(20)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거리는 2인치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와 제3 거리 사이의 차이는 0.5인치일 수 있으며, 이는 카테터의 원위 팁 근처에 형성될 수 있는 혈전을 통한 연장 및 카테터 조립체(20)를 통한 유체 경로의 확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혈전의 크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제2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된 후 발생할 수 있는 제3 전달 장치가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때 혈전을 통과하는 제3 관형 기구(68)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제3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와 제3 거리 사이의 차이는 0.25인치, 0.33인치, 0.75인치, 1인치, 또는 다른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거리와 제3 거리 사이의 차이는 0.25인치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58)는 제2 일에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고, 제3 전달 장치(64)는 제2 일에 후속할 수 있는 제3 일에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일은 제2 일 바로 다음에 올 수 있다.
이제 도 2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체적의 혈액이 제1 일에 제1 관형 기구(48)를 통해 제1 혈액 수집 용기(70a)로 이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체적의 혈액은 제2 일에 제2 관형 기구(62)를 통해 제2 혈액 수집 용기(70b)로 이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체적의 혈액은 제3 일에 제3 관형 기구(68)를 통해 제3 혈액 수집 용기(70c)로 이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체적의 혈액, 제2 체적의 혈액 및 제3 체적의 혈액 중 하나 이상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혈액 수집 용기(70a), 제2 혈액 수집 용기(70b) 및 제3 혈액 수집 용기(70c) 중 하나 이상은 동일한 혈액 수집 용기 또는 상이한 혈액 수집 용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체적의 혈액은 제1 혈액 수집 용기(70a)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혈액 수집 용기에 수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체적의 혈액은 제2 혈액 수집 용기(70b)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혈액 수집 용기에 수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체적의 혈액은 제3 혈액 수집 용기(70c)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혈액 수집 용기에 수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 제2 관형 기구(62) 및 제3 관형 기구(68) 중 하나 이상의 원위 단부(50)는 하나 이상의 측 홀(72)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혈전에 인접한 카테터(14)로의 혈액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 제2 관형 기구(62) 및 제3 관형 기구(68) 중 하나 이상의 원위 단부(50)는 폐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의 측 홀(72)은 제1 거리 또는 원위 팁(16)이 카테터(14)를 넘어 연장되는 특정 거리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의 측 홀(72)은 제2 거리 또는 원위 팁(16)이 카테터(14)를 넘어 연장되는 특정 거리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관형 기구(68)의 측 홀(72)은 제2 거리 또는 원위 팁(16)이 카테터(14)를 넘어 연장되는 특정 거리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형 기구(48), 제2 관형 기구(62) 및 제3 관형 기구(68) 중 하나 이상은, 슬릿이 폐쇄될 수 있고 혈액이 정상적인 생리학적 압력 하의 대응하는 관형 기구 내로 확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폐색 및 혈전에 저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원위 단부(50)는 원위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 및 제2 거리와 제3 거리 사이의 차이는 혈전을 통한 연장 및 카테터 조립체(20)를 통한 유체 경로의 확립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44), 제2 전달 장치(58) 및 제3 전달 장치(64)에 더하여 하나 이상의 특정 전달 장치는 환자로부터 카테터(14)를 제거하지 않고 카테터 조립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류하는 카테터(14)를 통해 삽입되는 특정 관형 기구는 점점 더 길어질 수 있고, 이는 카테터 조립체(20)를 통해 유체 경로의 확립의 가능성을 증가시켜 혈액을 채취하도록 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혈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44)는 제1 하우징(46)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제1 마킹(74a)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는 제2 하우징(60)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제2 마킹(74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64)는 제3 하우징(66)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제3 마킹(74c)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마킹(74a), 제2 마킹(74b) 및 제3 마킹(74c)은 선, 들여쓰기, 그루브, 텍스트, 색상 또는 다른 적절한 마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마킹(74a), 제2 마킹(74b) 및 제3 마킹(74c) 중 하나 이상은 대응하는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마킹(74a)은 "1일(Day 1)" 또는 "제1 혈액 채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마킹(74b)은 "2일" 또는 "제2 혈액 채취"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 제3 마킹(74c)은 "3일" 또는 "제3 혈액 채취"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마킹(74a), 제2 마킹(74b) 및/또는 제3 마킹(74c)은 서로에 대해 대응하는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46)은 다른 마킹(76a)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전달 장치(44)는 제1 관형 기구(48)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더(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는 카테터(14)의 원위 팁(16a)과 동일 평면인 제1 관형 기구(48)의 원위 표면(56)에 대응하여 다른 마킹(76a)과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마킹(76a)은 원위 방향으로 제1 관형 기구(48)의 추가 전진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48)가 카테터(14)의 원위 팁(16)으로 멀리 연장될 것임을 임상의에게 나타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60)은 다른 마킹(76b)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전달 장치(58)는 제2 관형 기구(62)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더(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는 카테터(14)의 원위 팁(16)과 동일 평면인 제2 관형 기구(62)의 원위 표면(56)에 대응하여 다른 마킹(76b)과 정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64)는 다른 마킹(76c)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전달 장치는 제3 관형 기구(68)에 결합될 수 있는 슬라이더(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는 카테터(14)의 원위 팁(16)과 동일 평면인 제3 관형 기구(68)의 원위 표면(56)에 대응하여 다른 마킹(76c)과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하우징(66)은 제1 하우징(46)보다 더 길 수 있는 제2 하우징(60)보다 더 길 수 있다. 따라서, 제2 관형 기구(62) 및 제1 관형 기구(48)보다 길 수 있는 제3 관형 기구(68)는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기 전에 제3 하우징(66)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관형 기구(62)는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기 전에 제2 하우징(6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제1 관형 기구(48)는 원위 방향으로 전진하기 전에 제1 하우징(46)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80)는 하우징(82) 및 관형 기구(8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82)은 제1 마킹(86), 제2 마킹(88), 제3 마킹(90) 및 슬롯(4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마킹(86), 제2 마킹(88) 및 제3 마킹(90)은 선, 들여쓰기, 그루브, 텍스트, 색상 또는 다른 적절한 마킹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마킹(86)은 제2 마킹(88)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달 장치(80)는 원위 단부(50), 근위 단부(43) 및 루멘을 포함할 수 있는 관형 기구(8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하우징(8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는 관형 기구(84)에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82)의 슬롯(45)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는 관형 기구를 전진 및/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임상의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전진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1 마킹(86)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84)의 원위 단부(50)의 원위 표면(56)은 하우징(82)의 원위 단부(32)를 넘어 제1 거리에 또는 카테터(14)의 원위 팁(16)을 넘어 제1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2 마킹(88)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50)의 원위 표면(56)은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2 거리에 또는 카테터(14)의 원위 팁(16)을 넘어 제2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82)의 원위 단부(50) 너머의 제2 거리는 하우징(82)의 원위 단부(32) 너머의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의 원위 팁(16) 너머의 제2 거리는 카테터(14)의 원위 팁(16) 너머의 제1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3 마킹(90)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84)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56)은 하우징(82)의 원위 단부(32)를 넘어 제3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우징(82)의 원위 단부(32) 너머의 제3 거리는 하우징(82)의 원위 단부(32) 너머의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14)의 원위 팁(16) 너머의 제3 거리는 카테터(14)의 원위 팁(16) 너머의 제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이한 혈액 수집 용기 또는 동일한 혈액 수집 용기가 사용되어 전달 장치(80) 또는 본 개시의 임의의 다른 전달 장치를 통해 혈액을 수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는 제1 혈액 채취를 위한 제1 지속 시간에 근위 위치로부터 제1 마킹(86)으로 멀리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는 제1 지속 시간보다 늦은 제2 지속 시간에 제1 마킹(86)으로부터 제2 마킹(88)으로 멀리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1)는 제2 지속 시간보다 늦은 제3 지속 시간에 제2 마킹(88)으로부터 제3 마킹(90)으로 멀리 전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지속 시간은 약 1일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지속 시간 및 제3 지속 시간은 각각 약 2일 및 약 3일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지속 시간, 제2 지속 시간 및 제3 지속 시간은 카테터(14)의 삽입으로부터 혈관 구조까지의 임의의 적절한 기간에 대응할 수 있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예시 및 조건부 언어는 발명자가 기술을 발전시키도록 기여한 개념 및 본 발명을 독자가 이해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교육적 목적을 위해 의도되고, 이러한 구체적으로 인용된 예시 및 조건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대안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10: 전달 장치
12: 관형 기구
14: 카테터
18: 하우징
20: 카테터 조립체
44: 제1 전달 장치
48: 제1 관형 기구
58: 제2 전달 장치
62: 제2 관형 기구
64: 제3 전달 장치
68: 제3 관형 기구

Claims (20)

  1. 제1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로서, 카테터 조립체는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체류하는 카테터를 포함하고, 제1 전달 장치는 제1 하우징; 및 제1 관형 기구;를 포함하며, 제1 관형 기구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1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고, 제1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1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제1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 및 제1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되고, 제1 관형 기구가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에 인접하고, 제1 관형 기구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을 넘어 제1 거리에 카테터의 원위 팁에 멀리 배치되는, 단계;
    제1 관형 기구를 통해 제1 체적의 혈액을 제1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고 관형 기구를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제1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단계;
    카테터 조립체로부터 제1 전달 장치를 결합해제한 후 제2 전달 장치를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하는 단계로서, 제2 전달 장치는 제2 하우징; 및 제2 관형 기구;를 포함하며, 제2관형 기구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2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고, 제2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2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제2 관형 기구는 카테터 및 제2 하우징에 대해 다른 근위 위치로부터 다른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되고, 제2 관형 기구가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2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에 인접하고, 제2 관형 기구가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으로부터 제2 거리에 카테터의 원위 팁에 멀리 배치되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단계; 및
    제2 관형 기구를 통해 제2 체적의 혈액을 제2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고 제2 관형 기구를 원위 위치로부터 근위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제2 전달 장치를 카테터로부터 결합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 사이의 차이는 0.5인치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거리는 1인치 이하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2 거리는 1.5인치 이하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체적의 혈액을 제1 일에 제1 관형 기구를 통해 제1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체적의 혈액을 제2 일에 제2 관형 기구를 통해 제2 혈액 수집 용기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2 관형 기구 및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는 폐쇄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 및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는 복수 개의 측 홀을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제3 전달 장치를 환자의 혈관구조 내에 배치된 카테터에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3 전달 장치는 제3 하우징; 및 제3 관형 기구;를 포함하며, 제3 관형 기구는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3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3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고, 제3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3 하우징 내에 고정되며, 제3 관형 기구는 카테터 및 제3 하우징에 대해 다른 근위 위치로부터 다른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되고, 제3 관형 기구가 다른 근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3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에 인접하며, 제3 관형 기구가 다른 원위 위치에 있는 것에 대응하여 제3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으로부터 제3 거리에 카테터의 원위 팁에 멀리 배치되고, 제3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3 거리는 2.0인치 이하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거리와 제3 거리의 차이는 0.5인치인, 방법.
  11. 제1 전달 장치 및 제2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혈액 채취 키트로서,
    제1 전달 장치는,
    제1 하우징으로서 제1 하우징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도록 되는 제1 어댑터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및
    제1 관형 기구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1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고, 제1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1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제1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 및 제1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되며, 제1 관형 기구가 제1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제1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1 거리에 배치되는, 제1 관형 기구;를 포함하며,
    제2 전달 장치는,
    제2 하우징으로서 제2 하우징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도록 되는 제2 어댑터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및
    제2 관형 기구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2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고, 제2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2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제2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 및 제2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되며, 제2 관형 기구가 제2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제2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2 거리에 배치되고,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제2 관형 기구;를 포함하는, 혈액 채취 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관형 기구 및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는 폐쇄되는, 혈액 채취 키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제1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 및 제2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는 복수 개의 측 홀을 포함하는, 혈액 채취 키트.
  14. 제11항에 있어서,
    제3 전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3 전달 장치는,
    제3 하우징으로서 제3 하우징의 원위 단부는 카테터 조립체에 결합되도록 되는 제3 어댑터를 포함하는, 제3 하우징; 및
    제3 관형 기구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제3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제1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고, 제3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제3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제3 관형 기구는 카테터 조립체 및 제3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도록 되며, 제3 관형 기구가 제3 하우징에 대해 근위 위치로부터 원위 위치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제3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제3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3 거리에 배치되고, 제3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큰, 제3 관형 기구;를 포함하는, 혈액 채취 키트.
  15.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를 통해 관형 기구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로서,
    전달 장치는,
    제1 마킹, 제2 마킹 및 슬롯을 포함하고, 제1 마킹은 제2 마킹에 인접하는, 하우징;
    관형 기구로서 원위 단부, 근위 단부 및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와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루멘을 포함하고, 관형 기구의 근위 단부는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관형 기구; 및
    슬라이더로서 관형 기구에 결합되고 하우징의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며, 슬라이더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1 마킹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1 거리에 배치되고, 슬라이더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2 마킹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2 거리에 배치되며, 제2 거리는 제1 거리보다 큰,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를 통해 관형 기구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거리와 제2 거리의 차이는 0.5인치인,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를 통해 관형 기구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제1 거리는 1인치 이하인,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를 통해 관형 기구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제2 거리는 1.5인치 이하인,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를 통해 관형 기구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제2 마킹에 대해 원위의 제3 마킹을 포함하고,
    슬라이더가 근위 위치로부터 제3 마킹으로 멀리 전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의 원위 단부의 원위 표면은 하우징의 원위 단부를 넘어 제3 거리에 배치되며,
    제3 거리는 제2 거리보다 큰,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를 통해 관형 기구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슬라이더가 하우징 상의 제1 마킹, 제2 마킹, 제3 마킹 또는 다른 마킹과 정렬되는 것에 대응하여 관형 기구의 원위 표면은 카테터의 원위 팁과 동일 평면인, 카테터 조립체의 카테터를 통해 관형 기구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


KR1020227034249A 2020-03-09 2021-02-26 혈전을 통해 연장되는 기구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1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2987231P 2020-03-09 2020-03-09
US62/987,231 2020-03-09
US17/183,098 US20210275069A1 (en) 2020-03-09 2021-02-23 Instrument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o extend through a thrombus
US17/183,098 2021-02-23
PCT/US2021/020059 WO2021183307A1 (en) 2020-03-09 2021-02-26 Instrument delivery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o extend through a thromb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640A true KR20220151640A (ko) 2022-11-15

Family

ID=7755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249A KR20220151640A (ko) 2020-03-09 2021-02-26 혈전을 통해 연장되는 기구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10275069A1 (ko)
EP (1) EP4117522A1 (ko)
JP (1) JP2023517087A (ko)
KR (1) KR20220151640A (ko)
CN (2) CN115279266A (ko)
AU (1) AU2021232873A1 (ko)
BR (1) BR112022017914A2 (ko)
CA (1) CA3170431A1 (ko)
MX (1) MX2022011084A (ko)
WO (1) WO2021183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1003A1 (en) 2020-11-26 2022-05-26 Avia Vascular, Llc Bloo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230210421A1 (en) * 2022-01-06 2023-07-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tegrated Catheter System for Blood Draw at the Time of Placement and with Enabling Feature for Blood Draw During Indwel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90326A1 (en) * 2010-02-17 2011-08-25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Access system for femoral vasculature catheterization and related method
US8366685B2 (en) * 2011-04-26 2013-02-05 Creative Vascular,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hlebotomy through a peripheral IV catheter
CN110430914B (zh) * 2017-03-21 2022-03-01 威蓝诺血管股份有限公司 通过已放置的外周静脉导管进行流体输送的装置
US11969247B2 (en) * 2017-07-19 2024-04-30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Extension housing a probe or intravenous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70431A1 (en) 2021-09-16
US20210275069A1 (en) 2021-09-09
AU2021232873A1 (en) 2022-09-29
MX2022011084A (es) 2022-10-03
WO2021183307A1 (en) 2021-09-16
BR112022017914A2 (pt) 2022-11-01
CN215687872U (zh) 2022-02-01
JP2023517087A (ja) 2023-04-21
CN115279266A (zh) 2022-11-01
EP4117522A1 (en)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6795B2 (en) Delivery device for a vascular access instrument
US11969247B2 (en) Extension housing a probe or intravenous catheter
JP7459098B2 (ja) 血管アクセス器具のためのシリンジベースの送達装置
KR20210150484A (ko) 유체 투과성 구조를 가진 혈관 접근 기구 및 관련된 장치
US11931531B2 (en) Plunger-based delivery device to facilitate vascular access
CN215690853U (zh) 递送装置
KR102664621B1 (ko) 회전 요소를 갖는 기구 전달 장치
EP4087482A1 (en) Extension set for improving patency of a vascular access device
KR20220151640A (ko) 혈전을 통해 연장되는 기구 전달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00408A1 (en) Blood Collectio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30255529A1 (en) Point of Care Collection and Transfer Device with Luer Lock Access Device and Syringe Compatibility
KR20230166116A (ko) 좌굴방지 특징부를 구비한 기구 전진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