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934A - 해양 구조물 - Google Patents

해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934A
KR20230164934A KR1020220064690A KR20220064690A KR20230164934A KR 20230164934 A KR20230164934 A KR 20230164934A KR 1020220064690 A KR1020220064690 A KR 1020220064690A KR 20220064690 A KR20220064690 A KR 20220064690A KR 20230164934 A KR20230164934 A KR 20230164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walking
base portion
hull
marin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건
박수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934A/ko
Publication of KR2023016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7/143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63B2027/141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telescopically exten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은, 선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맞닿는 제1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선외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보행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행부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이웃한 타 구조물에 놓인다. 본 발명은, 선외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보행부를 포함하여 선외에서 보행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해양 구조물{Offshore platform}
본 발명은 해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양 구조물은 해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다. 해양 구조물은 기능, 구조, 계류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해양 구조물은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FPU(Floating Production Unit),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해양 구조물이 있다.
한편, 해양 구조물은 선외에서 접근하기 위해 헬리콥터를 이용하거나, 서비스 보트와 같은 선박이 접안하는데, 접근이 용이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외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해양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양 구조물의 일 면(aspect)은, 선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맞닿는 제1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선외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보행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행부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이웃한 타 구조물에 놓인다.
상기 선체는 탑사이드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선체에 마련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부는, 일단이 상기 크레인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배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보행부는, 중첩되는 영역의 조절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발판 부재, 및 타단에 마련되어 권취량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발판 부재를 내리거나 올리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 부재는, 타단이 일단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되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축소되거나, 타단이 일단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되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행부에는 상기 타 구조물과의 접촉 또는 기설정 범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거나 상기 발판 부재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은, 선외 방향으로 회전하는 보행부가 마련되어, 선외로 작업자가 보행하거나 선외에서 해양 구조물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보행부가 제2 위치에 배치되되 발판 부재의 길이가 최소화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발판 부재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보행부가 베이스부 내부에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보행부가 제2 위치에 배치되되 발판 부재의 길이가 최소화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발판 부재가 연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0)은, 선체(110), 베이스부(120), 보행부(130) 및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양 구조물(100)은,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U(Floating Production Unit),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해양 구조물일 수 있으며, 이외에 해상에 부유하는 다양한 구조물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해양 구조물(100)은, 선외에서 접근이 용이하며, 특히 해양 구조물(100)에 마련되는 크레인(페디스틀 크레인(Pedestal Crane)일 수 있음)을 이용하여, 최소의 구성 추가만으로 작업자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언급되는 선체(110)는 탑사이드 플랫폼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선체(110)는 해상에 배치되는 플랫폼일 수 있다. 선체(110)가 탑사이드 플랫폼으로 제공되면, 탑사이드 플랫폼에는 탑사이드 모듈이 마련될 수 있다. 탑사이드 모듈은 오일 또는 가스의 생산, 정제 및 저장을 위한 장비 및 설비 등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선체(110)는 다수의 층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층에는 각종 장비 및 의장품이 마련될 수 있다. 선체(110)는 층간 이동을 위한 다수의 사다리(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사다리는 베이스부(1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도 있어, 작업자가 선외에서 보행부(130)로 접근하여, 보행부(130)를 경유한 이후 선체(110)의 사다리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선외로 이동하기 위해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보행부(130)로 이동할 수도 있다.
더불어 선체(110)에는 베이스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20)는 선체(110)에 마련되는 크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베이스부(120)는 기둥형의 몸체가 형성되는 페디스틀 크레인(Pedestal Crane)일 수 있다.
페디스틀 크레인은, 사용되지 않을 때 붐대가 선체(110)인 탑사이드 모듈의 일측에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체(110)에는 페디스틀 크레인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장치인 붐 레스트 서포트(Boom Rest Support)(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선체(110)는 해양 구조물(100)의 운행을 위한 각종 장비 및 의장품이 마련되고, 페디스틀 크레인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구조가 단순화되도록 페디스틀 크레인이 보행부(130)가 설치되는 기본 구조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라 보행부(130)는 베이스부(120)의 내측에 보관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보행부(130)는 작업자가 선외로 보행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발판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보행부(130)는 작업자의 보행시에는 선외 방향으로 배치되고, 평시에는 베이스부(120)와 평행한 방향에 배치되게, 베이스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부(130)는, 베이스부(120)에 맞닿는 제1 위치에 배치되거나, 베이스부(120)를 기준으로 선외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행부(130)가,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이웃한 타 구조물(10)(타 선박일 수 있음)에 놓일 수 있어, 타 구조물(10)로의 이동 또한 용이할 수 있다.
보행부(130)는, 일단이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부(120)에 힌지(131H)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부(120)에 연결되되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배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보행부(130)는 발판 부재(131) 및 와이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 부재(131)는 작업자의 보행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중첩되는 영역의 조절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로 발판 부재(131)는 텔레스콥 구조와 같이 내부 방향으로 수용되거나(도 2 참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이루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발판 부재(131)는 스토퍼가 마련되어 발판 부재(131)의 길이가 기설정 범위 이상 연장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복수의 발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판 부재(131)는 예를 들어 일단이 선체(110)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선체(110)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타단이 회전에 따라 일단보다 하부에 위치되거나 일단보다 높게 올려져 발판 부재(131)의 자중에 의한 슬라이딩으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판 부재(131)가 타 구조물(10)로 내려지면 발판 부재(131)의 타단이 일단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어(도 1 참조), 중첩된 발판 부재(131)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발판 부재(131)가 제1 위치로 들어 올려지면, 타단이 일단을 기준으로 상부로 배치되어 발판 부재(131)의 자중에 의해 타단이 일단 방향인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판 부재(131)의 길이 조절은 일단을 기준으로 타단의 위치가 상부에 위치되거나 하부에 위치되어 자중에 의한 슬라이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다른 예로, 발판 부재(131)는 유압, 공압에 의한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더불어 발판 부재(131)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핸드레일(131G)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핸드레일(131G)은 발판 부재(131)에 고정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레일이 마련되어 슬라이딩에 따라 위치가 변동될 수도 있고, 또는 착탈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핸드레일(131G)은 다수의 바(bar) 또는 봉이 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핸드레일(131G)은 작업자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밧줄이나 체인과 같이 낙하 방지를 이룰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와이어(132)는 윈치(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권취 장치에 의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보행부(130)의 타단에 와이어(132)의 단부가 연결되어 와이어(132)의 권취량에 따라 와이어(132)의 길이가 조절되어 발판 부재(131)를 제1 위치로 올리거나, 제2 위치로 내릴 수 있다. 여기서 윈치는 베이스부(120)에서 발판 부재(131)의 일단의 상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센서(133)는 보행부(130)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고, 타 구조물(10)과의 접촉 또는 기설정 범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와이어(132) 또는 발판 부재(131)의 길이가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센서(133)의 신호에 따라, 와이어(132)의 길이가 조절되거나 발판 부재(13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변형예를 설명하도록 하며,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보행부가 베이스부 내부에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해양 구조물(100)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선체(110), 베이스부(120), 보행부(130) 및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보행부(130)가 베이스부(120)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보행부(130)의 일단의 힌지(131H)는 선외 방향과 베이스부(120) 내부 방향 사이를 슬라이딩하여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행부(130) 일단의 힌지(131H)는 이동형 박스 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고, 박스 구조는 랙기어, 피니언 기어와 같은 기어 모듈 및 피니언 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형 박스 구조가 베이스부(120)에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면서도,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져, 박스 구조에 연결되는 힌지(131H)가 박스 구조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보행부(130)의 일단의 위치가 베이스부(120)의 내측에 마련되거나 베이스부(120)의 외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보행부(130)가 베이스부(120)의 내부에 보관되도록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해양 구조물(100)은, 선외 방향으로 회전하는 보행부(130)가 마련되어, 선외로 작업자가 보행하거나 선외에서 해양 구조물로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해양 구조물 110: 선체
120: 베이스부 130: 보행부
133: 센서

Claims (5)

  1. 선체에 마련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맞닿는 제1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선외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보행부를 포함하여,
    상기 보행부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이웃한 타 구조물에 놓이는, 해양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탑사이드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선체에 마련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보행부는, 일단이 상기 크레인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배치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해양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부는,
    중첩되는 영역의 조절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발판 부재; 및
    타단에 마련되어 권취량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발판 부재를 내리거나 올리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 부재는,
    타단이 일단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되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축소되거나, 타단이 일단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도록 회전되어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연장되는, 해양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부에는 상기 타 구조물과의 접촉 또는 기설정 범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길이가 조절되거나 상기 발판 부재의 길이가 조절되는, 해양 구조물.
KR1020220064690A 2022-05-26 2022-05-26 해양 구조물 KR20230164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690A KR20230164934A (ko) 2022-05-26 2022-05-26 해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690A KR20230164934A (ko) 2022-05-26 2022-05-26 해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34A true KR20230164934A (ko) 2023-12-05

Family

ID=89157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90A KR20230164934A (ko) 2022-05-26 2022-05-26 해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9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7417B1 (en) Offshor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an offshore vessel
KR20010013637A (ko) 관형 시추 장비용 보관 샤프트를 구비하는 반잠수식 가동시추선
GB2170240A (en) Riser tensioning system
EP1781536B1 (en) Access method between marine structures and apparatus
KR101487296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US20160201285A1 (en) Floating Deep Draft Semi-Submersible Offshore Platfor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Deploying Same
KR20230164934A (ko) 해양 구조물
KR20170043934A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WO2018177886A1 (en) A lifting device
EP1682406B1 (en) Access method between marine structures and apparatus
KR101592922B1 (ko) 승하선 사다리의 전기식 텔레스코픽 시스템
KR20180052210A (ko) 구난용 선박
JP2004314890A (ja) 舷梯装置
US20180099843A1 (en) Drilling, plug, abandonment, and decommissioning
WO2016140577A1 (en) Extendable pedestal with personnel passageway
CN113784887B (zh) 用于执行海底钻井孔相关活动的海上系统、船和方法
WO2017050336A1 (en) Offshore drilling vessel
KR101458618B1 (ko) 시추설비 보관용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FI70183C (fi) Anordning pao fartyg foer att lyfta oeverbord och ombord bojstationer eller andra liknande apparater eller apparatkombinationer
US9759021B2 (en) Riser handling on a drilling rig and a flip and service machine for riser handling on a drilling rig
US20200108899A1 (en) Boat transfer system
KR101797616B1 (ko) 분출방지장치 테스트 장비를 보관하는 하부갑판을 갖는 시추선
KR101540379B1 (ko) 유지보수 구조를 구비한 헬리데크
GB2183710A (en) Ship's lad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