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283A -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 Google Patents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283A
KR20230164283A KR1020220063823A KR20220063823A KR20230164283A KR 20230164283 A KR20230164283 A KR 20230164283A KR 1020220063823 A KR1020220063823 A KR 1020220063823A KR 20220063823 A KR20220063823 A KR 20220063823A KR 20230164283 A KR20230164283 A KR 2023016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liminary
tab
fixture
alveolar bone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훈
Original Assignee
이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훈 filed Critical 이광훈
Priority to KR102022006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283A/ko
Publication of KR2023016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2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기 전에 치조골에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동시에 x-레이 촬영을 통해 적절한 픽스쳐 식립 위치인지 확인할 수 있고, 픽스쳐 식립시 시술자가 예비 구멍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Preliminary punching marker for identifying fixture implanting position}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치아 보철(prosthesis or crown)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 또는 이러한 치과 시술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가장 중요한 부재는 인공 치근의 역할을 하는 픽스쳐(fixture)로 치조골과의 융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나사부를 구비하여 치조골에 나사체결되어 고정결합된다.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6908호(2022.04.13 공고)에서 이러한 픽스쳐를 치조골에 식립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픽스쳐를 치조골에서 제거할 수 있는 픽스쳐 식립 및 제거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런데, 치조골의 형상 및 폭은 일정하지 않고 사람마다 제각각이고, 치아가 손실될 경우 변형이 되는데, 치조골을 치은(잇몸)이 덮고 있어 육안으로 치조골 형상 및 폭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픽스쳐를 치조골에 식립하기 전에 x-레이 촬영을 통해 치조골의 형상 및 폭을 확인한다.
x-레이 촬영을 통해 치조골의 형상 및 폭을 확인한 후 픽스쳐를 치조골에 식립하더라도 시술시에는 치조골의 형상 및 폭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하는 것은 쉽지 않다. 만약,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하지 못하고 잘못 식립하면 최악이 경우 치조골이 손상되어 치아를 임플란트할 수 없는 의료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기 전에 치조골에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동시에 x-레이 촬영을 통해 적절한 픽스쳐 식립 위치인지 확인할 수 있고, 픽스쳐 식립시 시술자가 예비 구멍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86908호(2022.04.13 공고)
본 발명은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기 전에 치조골에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동시에 x-레이 촬영을 통해 적절한 픽스쳐 식립 위치인지 확인할 수 있고, 픽스쳐 식립시 시술자가 예비 구멍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가 치조골에 픽스쳐(Fixture) 식립 구경보다 작은 구경의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스크류(Screw)가 일단에 형성되는 탭(Tap)과; 탭의 타단에 형성되되, 시술자가 손으로 잡아 회전시킴으로써 탭의 일단에 형성되는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헤더(Header)와; 탭과 헤더 사이에 형성되되, 탭의 스크류에 의해 치조골에 천공된 예비 구멍 위치 식별을 위한 상처를 치은에 낙인하는 마커(Marker)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가 스크류 회전에 의해 탭이 치조골을 관통하면서 예비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치은에 접촉하여 압박을 가함으로써 예비 구멍 주위로 상처를 낙인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가 탭과 헤더 사이에 형성되는 원판과;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치조골에 예비 구멍이 형성될 때 치은에 접촉하여 압박을 가함으로써 예비 구멍 주위로 상처를 낙인하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헤더는 시술자의 손이 접촉하는 외연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외연에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돌기 구조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헤더가 탭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회전 공구 삽입을 위한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헤더가 탭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 보다 구경이 큰 공구 안내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가 헤더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기 전에 치조골에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동시에 x-레이 촬영을 통해 적절한 픽스쳐 식립 위치인지 확인할 수 있고, 픽스쳐 식립시 시술자가 예비 구멍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픽스쳐 식립시 치조골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치아 임플란트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에 의해 치은에 천공된 예비 구멍 및 이를 식별하기 위한 낙인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100)는 탭(Tap)(110)과, 헤더(Header)(120)와, 마커(Marker)(130)를 포함한다.
탭(Tap)(110)은 치조골에 픽스쳐(Fixture) 식립 구경보다 작은 구경의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스크류(Screw)(111)가 일단에 형성된다. 예비 구멍은 픽스쳐가 식립되기 전에 예비로 천공되는 것이므로, 탭의 최대 직경이 픽스쳐(Fixture) 식립 구경보다 작아야 한다.
예컨대, 탭이 테이퍼 탭(Taper Tap)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테이퍼(Taper)는 한쪽 지름은 크고 한쪽 지름은 작은 원뿔 형상으로 가공되는 것이고, 탭(Tap)은 암나사를 깎는 공구를 지칭하므로, 테이퍼 탭은 치조골에 접촉되는 부분의 지름이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원뿔 형상을 가지되, 외연에 스크류(111)가 형성되어 치조골에 암나사 방식으로 예비 구멍이 천공되도록 한다.
헤더(Header)(120)는 탭(110)의 타단에 형성되되, 시술자가 손으로 잡아 회전시킴으로써 탭(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스크류(111)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 때, 헤더(120)는 시술자의 손이 접촉하는 외연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외연에 다수의 돌기(121)들이 형성되는 돌기 구조를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마커(Marker)(130)는 탭(110)과 헤더(120) 사이에 형성되되, 탭(110)의 스크류(111)에 의해 치조골에 천공된 예비 구멍 위치 식별을 위한 상처를 치은에 낙인한다.
예컨대, 마커(130)가 스크류(111) 회전에 의해 탭(110)이 치조골을 관통하면서 예비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치은에 접촉하여 압박을 가함으로써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구멍 주위로 상처를 낙인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에 의해 치은에 천공된 예비 구멍 및 이를 식별하기 위한 낙인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해 보면, 탭(110)의 스크류(111)에 의해 치조골에 천공된 예비 구멍(200)을 중심으로 환형의 상처(210)가 낙인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기 전에 x-레이 촬영을 통해 피시술자의 치조골 형상 및 폭을 확인한 후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100)의 탭(110) 종단부를 픽스쳐 식립할 위치의 치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시술자가 손으로 헤더(120) 잡아 회전시키면, 탭(110)의 스크류(111)가 회전되면서 픽스쳐 식립할 위치의 치조골에 암나사 형상의 예비 구멍이 천공되고, 마커(Marker)(130)가 치은에 접촉되어 압박을 가하면서 예비 구멍을 중심으로 치은에 환형의 상처가 낙인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한번 x-레이 촬영을 하면,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100)가 박힌 x-레이 촬영 영상을 얻을 수 있고, 시술자는 x-레이 촬영 영상으로부터 피시술자의 치조골 형상 및 폭과,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100)가 박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예비 구멍 위치에 픽스쳐 식립을 위한 구멍을 뚫을 경우 피시술자의 치조골이 손상될지 여부를 알 수 있어 적절한 픽스쳐 식립 위치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100)를 제거하면,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 구멍을 중심으로 피시술자의 치은에 환형의 상처가 낙인된 것을 피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픽스쳐 식립을 위한 구멍을 뚫을 정확한 위치를 시술자가 알 수 있으므로,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기 전에 치조골에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동시에 x-레이 촬영을 통해 적절한 픽스쳐 식립 위치인지 확인할 수 있고, 픽스쳐 식립시 시술자가 예비 구멍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픽스쳐 식립시 치조골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치아 임플란트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마커(130)가 원판(131)과, 환형 돌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원판(131)은 탭(110)과 헤더(120) 사이에 형성된다. 환형 돌출부(132)는 원판(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치조골에 예비 구멍이 형성될 때 치은에 접촉하여 압박을 가함으로써 예비 구멍 주위로 상처를 낙인한다. 이 때, 환형 돌출부(132)의 직경은 임플란트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를 참조해 보면, 탭(110)과 헤더(120) 사이에 원판(131)이 형성되고, 원판(1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환형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때, 환형 돌출부(132)가 치은에 접촉하는 종단 부위가 다른 부위에 비해 협소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100)의 탭(110) 종단부를 픽스쳐 식립할 위치의 치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시술자가 손으로 헤더(120) 잡아 회전시키면, 탭(110)의 스크류(111)가 회전되면서 픽스쳐 식립할 위치의 치조골에 암나사 형상의 예비 구멍이 천공되고, 마커(Marker)(130)의 원판(131)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 돌출부(132) 종단이 치은에 접촉되어 압박을 가하면서 예비 구멍을 중심으로 치은에 환형의 상처가 낙인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시술자의 치은에 예비 구멍을 중심으로 낙인된 환형이 상처를 통해 픽스쳐 식립시 시술자가 예비 구멍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헤더(120)가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122)을 구비할 수 있다.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122)은 탭(110)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회전 공구(도면 도시 생략) 종단이 삽입된다.
예컨대, 사각 또는 육각 형상의 결합 돌기가 종단에 형성되는 기역자형 렌치(wrench)의 결합 돌기를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122)에 결합한 상태에서 시술자가 렌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탭(110)의 스크류(111)를 회전시킴으로써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예비 구멍을 천공하거나, 시술자가 렌치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탭(110)의 스크류(111)를 회전시킴으로써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100)를 피시술자의 치조골로부터 제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시술자가 손으로 헤더(120)를 잡아 회전시키는 대신 렌치 등과 같은 회전 공구를 사용해 헤더(120)를 회전시켜 탭(110)의 스크류(111)를 회전시키도록 한 실시예이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헤더(120)가 공구 안내홈(1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공구 안내홈(123)은 탭(110)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122) 보다 구경으로 형성된다.
공구 안내홈(123)은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122)에 렌치 등과 같은 회전 공구 종단의 겹합 돌기 결합시 회전 공구를 안내하는 동시에 공구 안내홈(123)에 삽입 결합되는 회전 공구 부위에 의해 회전 공구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헤더(120)의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122)에 결합되는 회전 공구의 결합 높이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자의 회전 공구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마커(130)가 헤더(12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 때, 마커(130)와 탭(110)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마커(130)와 헤더(120) 접촉면에 착탈 부재를 형성하여 헤더(110)로부터 마커(130)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착탈 부재는 다각 형상의 결합돌기 및 결합홈, 볼트 및 너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 의 (a)를 참조해 보면, 헤더(120) 저부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마커(130) 상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마커(130)가 헤더(12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4 의 (b)를 참조해 보면, 도 4 의 (a)와는 반대로 헤더(120) 저부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마커(130) 상부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마커(130)가 헤더(120)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피시술자들 마다 치아 크기가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직경의 마커(130)들을 다수개 구비하고, 피시술자의 치아 크기(임플란트 직경)에 적당한 직경의 마커(130)를 선택해 헤더(120)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마커(130)를 헤더(120)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한다.
이와 같이 구현함에 의해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치조골에 예비 구멍 천공시 피시술자의 치아 크기에 적응적인 마커(130)를 선택하여 예비 구멍 위치 식별을 위한 상처를 치은에 낙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기 전에 치조골에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동시에 x-레이 촬영을 통해 적절한 픽스쳐 식립 위치인지 확인할 수 있고, 픽스쳐 식립시 시술자가 예비 구멍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픽스쳐를 치조골의 안전한 위치에 식립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픽스쳐 식립시 치조골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치아 임플란트 의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 관련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0 :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110 : 탭
111 : 스크류
120 : 헤더
121 : 돌기
122 : 공구 삽입홈
123 : 공구 안내홈
130 : 마커
131 : 원판
132 : 환형 돌출부

Claims (7)

  1. 치조골에 픽스쳐(Fixture) 식립 구경보다 작은 구경의 예비 구멍을 천공하는 스크류(Screw)가 일단에 형성되는 탭(Tap)과;
    탭의 타단에 형성되되, 시술자가 손으로 잡아 회전시킴으로써 탭의 일단에 형성되는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헤더(Header)와;
    탭과 헤더 사이에 형성되되, 탭의 스크류에 의해 치조골에 천공된 예비 구멍 위치 식별을 위한 상처를 치은에 낙인하는 마커(Marker)를;
    포함하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마커가:
    스크류 회전에 의해 탭이 치조골을 관통하면서 예비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치은에 접촉하여 압박을 가함으로써 예비 구멍 주위로 상처를 낙인하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마커가:
    탭과 헤더 사이에 형성되는 원판과;
    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치조골에 예비 구멍이 형성될 때 치은에 접촉하여 압박을 가함으로써 예비 구멍 주위로 상처를 낙인하는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헤더는:
    시술자의 손이 접촉하는 외연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외연에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돌기 구조를 가지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헤더가:
    탭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회전 공구 삽입을 위한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을;
    구비하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헤더가:
    탭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다각 형상의 공구 삽입홈 보다 구경이 큰 공구 안내홈을;
    더 구비하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커가:
    헤더와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KR1020220063823A 2022-05-25 2022-05-25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KR20230164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823A KR20230164283A (ko) 2022-05-25 2022-05-25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823A KR20230164283A (ko) 2022-05-25 2022-05-25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283A true KR20230164283A (ko) 2023-12-04

Family

ID=8916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823A KR20230164283A (ko) 2022-05-25 2022-05-25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2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908B1 (ko) 2018-07-18 2022-04-13 이광훈 픽스쳐 식립 및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908B1 (ko) 2018-07-18 2022-04-13 이광훈 픽스쳐 식립 및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5857C (en) An implant drill
EP2237739B1 (en) Drill for sinus membrane lift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US20080167653A1 (en) Drill bit assembly for bone tissue including depth limiting feature
KR101005952B1 (ko) 천공 깊이 조절 가능한 골 천공 드릴
KR20090004951A (ko) 임플란트 삽입 장치
KR101610341B1 (ko)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GB2416996A (en) Dental implants
US11730573B2 (en) Fixation pin
US20210015496A1 (en) Drill bit for dental implant surgery
US10357332B2 (en) Depth adjustable surgical pin
US20110256500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implantation sites to be provided in dental surgery, and a method to be performed with such apparatus
US11399921B2 (en) Dental flattening drill
KR20230164283A (ko) 픽스쳐 식립 위치 식별용 예비 천공 마커 장치
KR101977127B1 (ko) 치조골용 트리밍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키트
KR20190072157A (ko)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1020935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279149B1 (ko) 치근형 임플란트 식립 시스템
KR101963696B1 (ko) 치과 시술용 가이드링
KR101935504B1 (ko) 일정 토크값을 갖는 임플란트 스크류
KR102576600B1 (ko) 임플란트용 밀링 버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홀 형성방법
KR200487737Y1 (ko) 치아용 플래트닝 드릴
KR101295821B1 (ko) 치과용 드릴의 절삭깊이 제한장치 및 그 보관대
RU2758244C1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набор инструментов для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KR102408160B1 (ko) 임플란트 식립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