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679A -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679A
KR20230163679A KR1020220063264A KR20220063264A KR20230163679A KR 20230163679 A KR20230163679 A KR 20230163679A KR 1020220063264 A KR1020220063264 A KR 1020220063264A KR 20220063264 A KR20220063264 A KR 20220063264A KR 20230163679 A KR20230163679 A KR 2023016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unit
visually impaired
fire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수
Original Assignee
유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수 filed Critical 유지수
Priority to KR102022006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679A/ko
Publication of KR2023016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6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mechan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내부에 대피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제공하여 일반인과 시각장애인 모두가 화재현장을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고, 특히, 시각장애인이 화재발생지점으로 이동하려고 할 경우 억제력을 부여하여, 화재발생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은, 벽체에 설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돌출가이드홀이 복도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인출입가이드부; 상기 돌출가이드홀에 각각 수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될 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이루면서 일정영역이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람을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인출입가이드부에 설치되고, 비상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가이드부를 소정각도로 회전작동시키되, 상기 가이드부가 비상상황이 발생된 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회전작동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인과 시각장애인 모두가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현장을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고, 특히, 시각장애인이 화재발생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 설치되는 비상구 유도등은 화재 등의 비상시를 대비하여 지하철이나 지하도, 학교, 병원, 백화점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각종 건물에는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각종 건물의 출입구나 비상구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비상구 유도등은 상자형 케이스의 전방에 아크릴판으로 된 표시판이 부착되고 아크릴 표시판에는 화살표나 문자, 도형 등으로 비상구를 표시한 표시판에 인쇄되어 있으며, 함체의 내부에서 광원으로서 램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비상구 유도등은 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램프가 점등되고 램프의 점등에 의해 표시판에 인쇄된 문자나 도형('비상구', '->' 등)이 환하게 나타나게 되어, 화재 등의 비상시에 있어서 사람들에게 출입구의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외부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구 유도등은 케이스와 표시판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화재가 발생하여 불길이 접근하면 합성수지로 제작된 케이스 및 표시판이 열에 의해 녹거나 불에 타버리게 되어 비상구 유도등으로서의 기능을 수 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비상구 유도등은 대부분 건물의 벽이나 출입구의 문 위쪽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건물 내에서 화 재가 발생하게 되면 고온의 연기는 건물내의 공간에서 위쪽부터 차게 되고, 산소는 아래쪽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대피자들은 건물의 바닥면에 엎드리거나 밀착하여 대피하게 된다.
이 경우 연기나 화염에 의해 위급한 상황에 처한 상태에서 대피자들은 벽이나 높은 문 위에 부착된 유도등을 볼 수 없는 상황이 되어, 비상구 유도등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구나 화재에 의해 탁한 연기와 유독 가스로 인해 시 야와 정신이 흐려진 상태에 처하게 되는 대피자들은 유도등의 식별이 더욱 곤란하게 되어 유도등의 안내 표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비상구 유도등은 불빛에 의한 표시만으로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되어 있어, 연기가 가득 찬 상태에서는 유도등의 표시를 제대로 인지할 수 가 없으며, 특히 시각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유도등의 불빛을 볼 수가 없으므로 유도등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32700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의 내부에 대피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제공하여 일반인과 시각장애인 모두가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현장을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고, 시각장애인이 화재발생지점으로 이동하려고 할 경우 억제력을 부여하여, 화재발생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 사람과 가깝게 이동시켜 주어, 화재현장을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대피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비상상황 발생 시 가이드의 위치를 물리적, 청각적으로 알려주어, 시각장애인이 혼동 없이 가이드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아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대피로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은, 벽체에 설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돌출가이드홀이 복도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인출입가이드부; 상기 돌출가이드홀에 각각 수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될 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이루면서 일정영역이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람을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인출입가이드부에 설치되고, 비상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가이드부를 소정각도로 회전작동시키되, 상기 가이드부가 비상상황이 발생된 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회전작동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가 구동에 필요한 화재발생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복도를 향해 노출되며 비상상황발생시 신체부위로 접촉하게 되는 노출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화재지점에 따라, 상기 노출면부가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노출면부가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노출면부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정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되, 평면적 관점에서 수직 걸림면을 형성하는 제1 걸림면부; 및 상기 노출면부의 타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1 걸림면부의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되, 평면적 관점에서 수직 걸림면을 형성하는 제2 걸림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비상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버튼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제1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버튼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1 대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 및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예비전력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벽체에 매립되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인출입가이드부를 복도방향으로 전진시키고, 비화재시 상기 인출입가이드부를 후진시켜 벽체의 내부에 매립시키는 전,후진 구동부; 및 상기 인출입가이드부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입가이드부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되며, 화재발생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에게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인출입가이드부의 저면에 결합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진 구동부가 구동될 시 상기 인출입가이드부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되어 복도로 돌출되거나 벽체의 내부에 매립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할 시 복도방향으로 바람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 측 천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이 작동될 시 발생되는 바람에 날려 사람에게 닿을 수 있는 복수개의 접촉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위치를 청각적으로 알리는 소리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리발생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금속, 고무,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서포트; 상기 서포트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다수 채움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알맹이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스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되, 상기 케이스를 타격할 시 휘어지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금속,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타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은, 건축물의 내부에 대피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제공하여 일반인과 시각장애인 모두가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현장을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고, 시각장애인이 화재발생지점으로 이동하려고 할 경우 억제력을 부여하여, 화재발생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비상상황 발생 시 대피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를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 사람과 가깝게 이동시켜 주어, 화재현장을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상황 발생 시 가이드의 위치를 물리적, 청각적으로 알려주어, 시각장애인이 혼동 없이 가이드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아 대피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이 건물의 복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된 인출입가이드부와, 가이드부 및 회전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된 가이드부가 대피로로 가이드하기 위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된 전,후진 구동부 및 알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된 알림부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이 건물의 복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된 인출입가이드부와, 가이드부 및 회전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된 가이드부가 대피로로 가이드하기 위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은, 일반인과 시각장애인 모두가 화재나 지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현장을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고, 특히, 시각장애인이 화재발생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안전하게 대피하도록 가이드해줄 수 있는 제품이다.
이하에서는, 비상상황이 화재발생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은 인출입가이드부(10)와, 가이드부(20) 및 회전구동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인출입가이드부(10)는 건축물의 내부 복도에 마련된 벽체에 수평 설치될 수 있다.
인출입가이드부(10)는 대략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출입가이드부(10)는 복도를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돌출가이드홀(10a)이 수평방향, 즉 복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일 예로, 인출입가이드부(10)는 벽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복도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벽체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홈에 인출입가이드부(10)를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출입가이드부(10)를 매립하는 경우, 인출입가이드부(10)가 복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20)는 일종의 점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시각장애인에게 대피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이드부(20)는 돌출가이드홀(10a)에 각각 수용된다.
가이드부(20)는 후술되는 회전구동부(3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20)는 돌출가이드홀(10a)에 수용되었을 때, 복도를 향해 노출되는 노출면부(21)와, 노출면부(21)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고, 가이드부(20)가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시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1 걸림면 및 노출면부(21)의 타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제1 걸림면부(22)의 끝단과 연결되고, 가이드부(20)가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될 시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는 제2 걸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면부(22)는 가이드부(20)가 정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될 시, 평면적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 수직 걸림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2 걸림면부(23)도 가이드부(20)가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될 시, 평면적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 수직 걸림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 걸림면부(22)와 제2 걸림면부(23)는 가이드부(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만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어 수직 걸림면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가이드부(20)가 회전구동부(3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됨에 따라 노출면부(21)가 경사면을 형성하여 일반인과 시각장애인을 대피방향으로 가이드하게 된다.
이때, 가이드부(20)는 일반 사람도 사용할 수 있도록 야광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재발생으로 인해 정전이 될 시, 일반 사람이 어두운 복도에서 용이하게 가이드부(20)를 찾아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회전구동부(30)는 돌출가이드홀(10a)의 내부에 각각 배치된다.
회전구동부(30)는 모터(644)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644) 또는 DC모터(644)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30)는 가이드부(20)와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모터(644)축이 가이드부(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구동부(30)의 저면에는 회전축이 수직 설치될 수 있고, 회전축에는 피동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구동부(30)의 모터(644)축에는 회전축의 피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구동부(30)는 가이드부(2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구동부(30)는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이드부(20)가 복도에 위치한 일반 사람이나 시각장애인을 화재지점의 반대방향으로 가이드 하도록 회전작동 시킨다.
이를 위해 감지부(40)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복도의 천장면이나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당연히 A구역의 출입구를 통해 대피하지 못하고, B 구역의 출입구를 통해 대피하여야 한다.
따라서, A 구역의 감지부(40)가 화재를 감지하고, B 구역의 감지부(40)가 화재를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 회전구동부(30)는 가이드부(20)가 일반 사람이나 시각장애인에게 B 구역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게 작동시킨다.
그리고, B 구역의 감지부(40)가 화재를 감지하고, A 구역의 감지부(40)가 화재를 감지하지 아니한 경우, 회전구동부(30)는 가이드부(20)가 일반 사람이나 시각장애인에게 A 구역으로 대피하도록 안내할 수 있게 작동시킨다.
일 예로, 회전구동부(30)는 지진이나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여 건물에서 탈출해야 할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도 일반인이나 시각장애인이 가이드부(2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원격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지진, 해일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가 대피방향을 파악한 다음, 회전구동부(30)를 작동시켜 가이드부(20)가 대피방향을 향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감지부(40)는 화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회전구동부(30)에 구동에 필요한 화재발생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연소반응으로 인해 불꽃이 발생하게 된다.
불꽃감지센서는 불꽃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광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불꽃을 감지한다.
따라서, 불꽃감지센서는 복도에 발생하는 불꽃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불꽃감지센서는 화재가 발생할 시 발생되는 화원에 의한 자외선의 파장 영역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 및 적외선의 파장 영역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불꽃감지센서가 자외선 센서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자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자외선의 파장 영역에 대한 감지정보와,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의 파장영역에 대한 감지정보가 제어부(미도시)로 전송될 수 있다.
불꽃감지센서는 감지각도가 넓어짐과 동시에 보다 많은 광을 집광 및 증폭시킬 수 있도록 렌즈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연기감지센서는 복도에 발생되는 연기를 감지한다.
일 예로, 연기감지센서는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센서에서 수광센서로 수광되는 빛의 세기에 따라 복도 내의 연기밀도를 감지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다른 일 예로, 연기감지센서는 화재로 인해 복도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등과 같은 유독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온도센서는 복도 내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온도센서로부터 전송된 온도와 기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화재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한편, 회전구동부(30)는 감지부(40)가 감지한 화재지점에 따라, 노출면부(21)가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가이드부(20)를 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거나 또는, 노출면부(21)가 상기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가이드부(20)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1)의 작동 및 특유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복도에는 좌측(B 구역)과 우측(A 구역)에 출입구 및 감지부(40)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을 기준으로 A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A 구역에 설치된 감지부(40)가 화재를 감지하게 된다. A 구역에 설치된 감지부(40)는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에 화재사실을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모든 회전구동부(30)들을 작동시켜 모든 가이드부(20)를 정방향으로 소정각도(약 30도 내지 50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노출면부(21)들이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되어, 가이드부(20)들이 비화재구역인 B 구역으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 사람이 신체부위 중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경사진 상태로 셋팅된 노출면부(21)들을 순차적으로 만지고 지나가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B 구역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시각장애인이 방향을 잡지 못해 A 구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제1 걸림면부(22)에 걸리게 되어, 시각장애인에게 대피방향이 반대방향이라는 것을 인지시켜 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1을 기준으로 B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B 구역에 설치된 감지부(40)가 화재를 감지하게 된다. B 구역에 설치된 감지부(40)는 화재를 감지할 경우 제어부에 화재사실을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모든 회전구동부(30)들을 작동시켜 모든 가이드부(20)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약 30도 내지 50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모든 노출면부(21)들이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되어, 도 3의 가이드부(20)와 반대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20)들은 비화재구역인 A 구역으로 대피를 유도하게 된다.
즉,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나 일반 사람이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경사진 상태로 셋팅된 노출면부(21)들을 순차적으로 만지고 지나가면서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A 구역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시각장애인이 방향을 잡지 못해 B 구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제2 걸림면부(23)에 걸리게 되어, 시각장애인에게 대피방향이 반대방향이라는 것을 인지시켜 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이 화재발생구역으로 잘못 대피하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결국, 눈이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이라 하더라도 짧은 시간 안에 대피방향을 정확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이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최소한으로 흡입하도록 할 수 있고,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소중한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은 화재가 아닌 지진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회전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비상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버튼부는 관리자나 일반인이 회전구동부(3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지진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가이드부(20)가 시각장애인에게 대피방향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가이드부(20)가 제1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회전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1 버튼부(70) 및 가이드부(20)가 제1 대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회전구동부(30)를 제어하는 제2 버튼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대피방향은 A구역이고, 제2 대피방향은 B구역일 수 있다.
제1 버튼부(70) 및 제2 버튼부(80)는 회전구동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버튼부(70)를 누르면 모든 회전구동부(30)들의 모터축이 정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모든 가이드부(20)가 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모든 노출면부(21)들이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되어, 가이드부(20)들이 제2 대피방향인 B구역으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 버튼부(80)를 누르면 모든 회전구동부(30)들의 모터축이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모든 가이드부(20)가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모든 노출면부(21)들이 돌출가이드홀(10a)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가 되어, 가이드부(20)들이 제1 대피방향인 A구역으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제1 버튼부(70) 및 제2 버튼부(80)는 관리자 또는 복도에 위치한 일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시각장애인이 제1 대피방향인 A구역과 가깝게 위치한 경우에는 제2 버튼부(80)를 눌러 A구역의 출입구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이 제2 대피방향인 B구역과 가깝게 위치한 경우에는 제1 버튼부(70)를 눌러 B구역의 출입구를 통해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전,후진 구동부(50) 및 알림부(60)가 적용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된 전,후진 구동부 및 알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에 적용된 알림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후진 구동부(50)는 벽체에 매립된다. 즉, 벽체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홈에 전,후진 구동부(50)를 매립하면 된다.
전,후진 구동부(50)는 유압이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
인출입가이드부(10)가 길게 형성되어 복도를 따라 설치됨으로, 전,후진 구동부(50)는 인출입가이드부(10)를 안정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전,후진 구동부(50)는 벽체의 내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그 피스톤이 인출입가이드부(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전,후진 구동부(50)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할 시 인출입가이드부(10)를 복도방향으로 전진시키고, 비화재시 인출입가이드부(10)를 후진시켜 벽체의 내부에 매립시킨다.
즉, A 구역 또는 B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해당 구역의 감지부(40)가 화재사실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는 전,후진 구동부(50) 및 회전구동부(30)를 각각 작동시키게 된다.
전,후진 구동부(50)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될 시 인출입구동부를 벽체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전진시킨다.
일 예로, 전,후진 구동부(50)는 인출입가이드부(10)를 복도의 중앙까지 전진시키거나 또는, 인출입가이드부(10)가 벽체로부터 약 30cm 내지 50cm 정도 이격되도록 전진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복도에 위치한 시각장애인이 벽체까지 이동하지 아니하고도 가이드부(20)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가이드부(20)가 설치된 벽체와 마주하는 반대편 벽체에 위치한 시각장애인도 복도로 돌출된 가이드부(20)에 빠르게 도달하여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은
화재발생으로 정전이 발생할 경우, 회동구동부 및 감지부에 각각 예비전력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전원부는 회동구동부 및 감지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화재발생이나 기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정전이 발생할 경우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회동구동부(30) 및 감지부(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비상전원부는 정전이 발생할 경우에도 회동구동부(30) 및 감지부(40)에 각각 예비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감지부(40)가 화재를 감지하도록 하고, 회동구동부(30)가 가이드부(20)를 회전작동시켜 대피방향을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알림부(60)는 화재발생시 복도에 위치한 사람에게 인출입가이드부(10)의 위치를 물리적으로 알리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알림부(60)는 하우징(61)과, 송풍팬(62) 및 접촉부(6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은 벽체에 매립된다. 즉, 벽체에 일정 깊이의 홈을 형성하고, 홈에 하우징(61)을 매립하면 된다.
하우징(61)은 대략 직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1)은 복도를 향하는 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하우징(61)은 인출입가이드부(10)의 저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61)은 전,후진 구동부(50)가 인출입가이드부(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시, 인출입가이드부(10)와 함께 전진 또는 후진된다.
하우징(61)은 전진될 시 복도로 돌출되고, 후진될 시에는 벽체의 내부에 매립된다.
하우징(61)은 원활하게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도록 그 저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 구름 이동가능한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62)은 하우징(61)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
송풍팬(62)은 복도의 여러 곳에 바람을 발생시키도록 다수개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송풍팬(62)은 하우징(61)의 내부에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바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송풍팬(62)은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할 시 작동되어 바람을 발생시키고, 비화재시 그 작동이 정지된다.
즉, A 구역 또는 B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해당 구역의 감지부(40)가 화재사실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는 전,후진 구동부(50)와, 회전구동부(30) 및 송풍팬(62)을 각각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시각장애인에게 화재발생시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이드부(20)에 도달할 수 있고, 가이드부(20)를 이용한 대피방법을 설명해 놓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여 송풍팬(62)이 작동하면, 시각장애인이 바람이 부는 방향을 통해 가이드부(2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찾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도의 창문이 열려 있을 경우, 외기가 복도로 유입됨으로, 시각장애인이 송풍팬(62)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과 외기를 구분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촉부(63)가 적용된다.
접촉부(63)는 하우징(61)의 개구부 측 천장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된다.
접촉부(63)는 송풍팬(62)이 작동될 시 발생되는 바람에 날려 하우징(6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비닐, 헝겊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63)는 송풍팬(62)이 작동될 시 발생되는 바람에 날려 하우징(61)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하우징(61)에 가까워지면 접촉부(63)가 시각장애인에게 접촉된다.
이때, 시각장애인에게 화재발생시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접촉부(63)가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이드부(20)에 도달했다는 사실을 설명해 놓으면 될 것이다.
이러한 송풍팬(62) 및 접촉부(63)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화재현장에서 침착하고 신속하게 찾아서 대피하도록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알림부(60)는 가이드부(20)의 위치를 청각적으로도 알리기 위한 소리발생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리발생부(64)는 하우징(6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며, 금속, 고무,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서포트(641), 서포트(641)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소음을 발생시키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 케이스(642), 케이스(642)의 내부공간에 다수 채움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알맹이부(643), 케이스(642)의 상부에 위치되는 모터(644), 모터(644)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되면서 케이스(642)를 반복적으로 타격하되, 케이스(642)를 타격할 시 휘어지면서 통과할 수 있도록 금속, 합성수지, 플라스틱 등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타격부(645)를 포함할 수 있다.
소리발생부(64)를 구성하는 모터(644)는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할 시 작동되어 바람을 발생시키고, 비화재시 그 작동이 정지된다.
즉, A 구역 또는 B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할 시, 해당 구역의 감지부(40)가 화재사실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는 전,후진 구동부(50)와, 회전구동부(30)와, 송풍팬(62) 및 모터(644)를 각각 작동시키게 된다.
모터(644)가 작동하면 타격부(645)가 제자리 회전되면서 케이스(642)를 반복적으로 타격하게 되고, 서포트(641)는 타격부(645)의 타격방향으로 휘어졌다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그 과정에서 알맹이부(643)가 서로 충돌하거나 또는 알맹이부(643)가 케이스(642)의 내벽면에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이 화재발생시 바람과 소음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부(20)를 용이하게 찾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인출입가이드부 10a : 돌출가이드홀
20 : 가이드부 21 : 노출면
22 : 제1 걸림면부 23 : 제2 걸림면부
30 : 회전구동부 40 : 감지부
50 : 전,후진 구동부 60 : 알림부
61 : 하우징 62 : 송풍팬
63 : 접촉부 64 : 소리발생부
641 : 서포트 642 : 케이스
643 : 알맹이부 644 : 모터
645 : 타격부 70 : 비상버튼

Claims (5)

  1. 벽체에 설치되며, 복도를 향하는 면에 다수개의 돌출가이드홀이 복도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인출입가이드부;
    상기 돌출가이드홀에 각각 수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될 시,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이루면서 일정영역이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람을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부; 및
    상기 인출입가이드부에 설치되고, 비상상황 발생신호를 수신할 시 상기 가이드부를 소정각도로 회전작동시키되, 상기 가이드부가 비상상황이 발생된 지점의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회전작동 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가 구동에 필요한 화재발생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불꽃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및 온도감지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복도를 향해 노출되며 비상상황발생시 신체부위로 접촉하게 되는 노출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화재지점에 따라, 상기 노출면부가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노출면부가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그 경사각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상기 가이드부를 역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 시키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노출면부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정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되, 평면적 관점에서 수직 걸림면을 형성하는 제1 걸림면부; 및
    상기 노출면부의 타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1 걸림면부의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역방향으로 소정각도로 회전될 시 상기 돌출가이드홀의 외부로 돌출되되, 평면적 관점에서 수직 걸림면을 형성하는 제2 걸림면부를 더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비상버튼부; 및
    상기 회전구동부 및 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예비전력을 공급하는 비상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상버튼부는 상기 가이드부가 제1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버튼부 및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제1 대피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2 대피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 버튼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KR1020220063264A 2022-05-24 2022-05-24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KR20230163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64A KR20230163679A (ko) 2022-05-24 2022-05-24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64A KR20230163679A (ko) 2022-05-24 2022-05-24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679A true KR20230163679A (ko) 2023-12-01

Family

ID=8912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264A KR20230163679A (ko) 2022-05-24 2022-05-24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36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04B1 (ko) 2021-03-19 2021-11-16 대한민국 시각장애인을 위한 실내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004B1 (ko) 2021-03-19 2021-11-16 대한민국 시각장애인을 위한 실내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안내하는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US7940010B2 (en) Emergency lighting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EP2366176B1 (en) Route guidance system
US5309863A (en) Fire safety window and interior door marker
US20120092183A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Projected Directional Indication
JP6139793B2 (ja) 避難誘導報知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90066522A1 (en) Emergency guidance lamp system for guiding to nearest exit in the event of fire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493709Y1 (ko) 시각경보장치를 구비한 거실용 입체형 피난구 유도등
US20070120699A1 (en) Threshold having safety lights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CA2699171A1 (en) Light sensing pull station
KR20050035202A (ko) 비상구 유도등
KR20200023840A (ko) 비상구 안내등
KR200437697Y1 (ko) 피난 유도 체험장
KR20230163679A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KR200320784Y1 (ko) 움직이는 대피로유도표시 생성 레이저유도등
KR10210279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비상구 알림장치
KR102540491B1 (ko) 건축물의 비상 대피장치
KR102150895B1 (ko) 비상상황에서의 대피유도시스템
KR102540487B1 (ko) 건축물 복도용 대피 시스템
KR102540492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대피가이드 시스템
US20060248762A1 (en) Tactile guidance means
JP6501335B2 (ja) 透明体領域の情報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