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880A - 위치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880A
KR20230162880A KR1020220062292A KR20220062292A KR20230162880A KR 20230162880 A KR20230162880 A KR 20230162880A KR 1020220062292 A KR1020220062292 A KR 1020220062292A KR 20220062292 A KR20220062292 A KR 20220062292A KR 20230162880 A KR20230162880 A KR 2023016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opening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김태원
이영식
박양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2006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880A/ko
Publication of KR2023016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01C3/06Use of electric means to obtain final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8943D imaging with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ime-of-flight at a 2D array of receiver pixels, e.g. time-of-flight cameras or flash lid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위치 측정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기판을 물리적으로 차단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하는 제1 격벽과 상기 제1 영역을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로 분리하는 제2 격벽을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수광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광원을 구비하는 플래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영역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광 소자는 제2 영역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위치 측정 장치{POSITION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위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리 측정 모듈과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위치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 주행 기술이나 차량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의 기술 발달로 인해, 목표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표적 탐지 및 추적 시스템 등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목표물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모듈과 TOF(time of flight) 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에 대한 촬영 동작을 수행할 때, 부족된 휘도를 보충하기 위해 카메라는 촬영 모듈뿐만 아니라 플래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플래시 모듈은 피사체 쪽으로 조사되는 조명광을 출력하는 광원뿐만 아니라 광원 동작 시 발생하는 플리커 노이즈(flicker noise)를 감지하기 위한 플리커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7849호(공개일자: 2020년 11월 11일, 발명의 명칭: ToF(time-of-flight) 깊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ToF 카메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8801호(공고일자: 2006년 11월 23일, 발명의 명칭: 플리커 방지용 이미지 촬영장치 및 플리커 저감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위치 측정 장치의 기능을 다양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기능을 추가하면서도 위치 측정 장치의 크기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위치 측정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기판을 물리적으로 차단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하는 제1 격벽과 상기 제1 영역을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로 분리하는 제2 격벽을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수광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광원을 구비하는 플래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영역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광 소자는 제2 영역부에 위치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 소자를 노출하는 제1 개구부, 상기 수광 소자를 노출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광원을 노출하는 제3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위치 측정 장치는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서 출력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제1 렌즈부,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로 입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수광 소자로 출력하는 제2 렌즈부 및 상기 제3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부의 측면은 상기 제1 격벽의 측면과 동일한 수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에서부터 상기 발광부와 상기 플래시부 사이로 연장되어 대면하고 있는 기판의 상부면에 접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에서부터 대면하고 있는 수광부의 상부면 및 대면하고 있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로 연장하여, 대면하고 있는 상기 수광부의 상부면과 대면하고 있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접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격벽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위치 측정 장치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플래시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플리커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플리커 감지부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목표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모듈과 피사체의 촬영 시 조명광을 출력하는 플래시 모듈을 하나의 모듈로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모듈이 하나로 제조되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거리 측정 모듈과 플래시 모듈을 각각 제작할 때보다 제작된 모듈의 크기 역시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한 위치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위치 측정 장치를 IV-IV 선을 따라 잘라 획득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위치 측정 장치는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으로 나눠져 있는 기판(10), 기판(10) 위에 위치하고 있는 하우징(20), 기판(10)의 제1 영역(AR1)에 위치하고 있는 거리 측정 모듈 및 기판(10)의 제2 영역(AR2)에 위치하고 있는 플래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거리 측정 모듈은 발광 소자(31)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30) 및 발광부(30)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수광 소자(41)를 구비하고 있는 수광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래시 모듈은 광원(51)을 구비하고 있는 플래시부(50) 및 플래시부(50)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플리커 센서(61)를 구비하고 있는 플리커 감지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기판(10)은 직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는 평탄한 판 형상을 구비할 수 있고, 경성 회로기판(10)일 수 있다.
본 예에서, 기판(10)은, 한 예로, 길이 방향(X 방향, 예 가로 방향)과 폭 방향(Y 방향, 예,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어,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로 길이는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길이보다 훨씬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기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광부(40), 발광부(30), 플래시부(50) 및 플리커 감지부(60)가 일렬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기판(10)의 상부면의 가장자리 위에 위치하고 있는 측면 및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면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의 하부에 위치한 기판(10), 측면 및 상부면에 의해 에워싸여진 공간 내에 발광부(30), 수광부(40), 플래시부(50) 및 플리커 감지부(6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의 상부면은 발광부(30)의 상부에 위치하여 발광 소자(31)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부(OP11), 수광부(40)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광 소자(41)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부(OP12), 플래시부(50)의 상부에 위치하여 광원(51)을 노출시키는 제3 개구부(OP13), 기판(10)의 상부면을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으로 분리하기 위한 제1 격벽(P21), 그리고 제1 영역(AR1)을 다시 제1 영역부(AR21)와 제2 영역부(AR22)로 분리하기 위한 제1 격벽(P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1)와 제2 개구부(OP12)는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0)의 발광 소자(31)에서 출력되는 빛은 제1 개구부(OP11)를 통과하여 외부로 출력된 후 목표물(예, 피사체)로 조사될 수 있고, 목표물에 의해 반사된 발광부(30)의 반사광은 제2 개구부(OP12)를 통과하여 수광 소자(41)에 위해 수광부(40)로 입사될 수 있다.
제3 개구부(OP13)는 제1 개구부(OP11) 및 제2 개구부(OP12)보다 큰 평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구부(OP12)는 일 예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제3 개구부(OP13)의 지름은 제1 개구부(OP11)와 제2 개구부(OP12)의 최대 폭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개구부(OP13)는 플래시부(50) 상부에 위치하고 있고, 플래시부(50)의 광원(51)에서 출력되는 조명광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3 개구부(OP13)는 광원(51) 뿐만 아니라 플래시부(50)에 인접하게 위치한 플리커 감지부(60)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을 분리하는 제1 격벽(P2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20)의 상부 내부면(즉, 상부면의 내측에 위치한 면)에서부터 발광부(30)와 플래시부(50) 사이로 연장되어 대면하고 있는 기판(10)의 상부면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격벽(P21)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가로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히 인접해 있는 발광부(30)와 플래시부(50) 사이에 위치하여 발광부(30)와 플래시부(50) 사이를 완전히 가로막고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1 격벽(P21)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기판(10) 쪽으로의 연장 길이를 갖는 사각형 형상의 판 형태일 수 있고, 기판(10)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을 완전히 막고 있다.
따라서, 제1 격벽(P21)에 의해 기판(10)의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은 제1 격벽(P21)으로 인해 완전히 차단되므로, 제1 영역(AR1)과 제2 영역(AR2)에 각각 위치하고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빛을 출력하는 발광 소자(31)와 광원(51) 역시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격벽(P21)에 의해, 제1 영역(AR1)에 위치하고 있는 발광 소자(31)에서 출력되는 빛이 인접해 있는 플래시부(5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제2 영역(AR2)에 위치하고 있는 플래시부(50)의 광원(51)에서 출력되는 빛이 인접해 있는 발광부(3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격벽(P21)의 양 측면 중에서, 플래시부(50) 쪽에 인접해 있는 측면(예, 제1 측면)은 제3 개구부(OP13)의 측면(즉 제3 개구부(OP13)의 해당 부분과 접해 있는 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격벽(P21)의 제1 측면과 이 제1 측면에 인접한 제3 개구부(OP13)의 측면의 부분은 끊김없이 이어지고 있고 동일한 수직면(즉, 설치면과 수직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래시부(50)의 광원(51)에서 출력되는 조명광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제3 개구부(OP13)는 크기가 크면 클수록 목표물로 출력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3 개구부(OP13)의 개구 크기는 클수록 좋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예의 경우, 플래시부(5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플래시부(50)의 장착 위치를 한정하는 제1 격벽(P21)의 제1 측면과 이 제1 격벽(P21)의 제1 측면에 인접해 있는 제3 개구부(OP13)의 측면이 동일한 수직면 상에 위치하므로, 기판(10)의 연장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제3 개구부(OP13)의 크기를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제3 개구부(OP13)의 크기 증가로 인한 위치 측정 장치의 크기 증가가 방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제1 격벽(P22)은 기판(10)의 제1 영역(AR1)에서 발광 소자(31)와 수광 소자(41)를 서로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발광 소자(31)에서 출력되는 빛과 수광 소자(41)로 입사되는 빛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발광 소자(31)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30)와 수광 소자(41)를 구비하고 있는 수광부(40)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고, 수광부(40)의 연장 길이(예, 가로 길이)가 발광부(30)의 연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0)와 수광부(40) 사이의 노출된 기판(1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제1 격벽(P22)이 위치하여, 발광부(30)와 수광부(40) 사이를 차단할 경우, 상부 내부면에서 제1 격벽(P21)과 제1 격벽(P22)의 위치 간격이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격벽(P21)과 제1 격벽(P22)에 인가되는 부하량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격벽(P21)과의 이격 간격을 균등화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제1 격벽(P22)은 수광부(40)의 해당 상부면과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격벽(P22)은 하우징(20)의 상부 내부면에서부터 대면하고 있는 수광부(40)의 상부면 및 대면하고 있는 기판(10)의 상부면로 연장하여, 대면하고 있는 수광부(40)의 상부면과 대면하고 있는 기판(10)의 상부면에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격벽(P22)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발광부(30)의 상부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연장 길이(즉, 가로 길이)의 대략 1/2 부분에서 제1 영역(AR1)을 다시 발광 소자(31)가 위치하는 제1 영역부(AR21)와 수광 소자(41)가 위치하는 제2 영역부(AR22)로 나눠 완전히 물리적으로 제1 영역부(AR21)와 제2 영역부(AR22)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격벽(P22)에 의해 발광 소자(31)에서 출력되는 빛과 수광 소자(41)로 입사되는 빛을 완전히 분리될 수 있으므로 서로 섞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격벽(P22)은, 제1 격벽(P21)과 달리, 기판(10)의 노출된 상부면뿐만 아니라 해당 부분의 수광부(40)의 상부면과 접해 있으므로, 하우징(20)의 해당 상부 내부면과 이에 대응하는 수광부(40)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부분(P221) 및 하우징(20)의 해당 상부 내부면과 이에 대응하는 기판(10)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2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격벽(P22)의 제1 부분(P221)과 제2 부분(P222)을 끊김없이 연결될 수 있고, 제1 부분(P221)과 동일선을 따라 기판(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해당 공간을 완전히 두 개로 분할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P221)과 제2 부분(P222)의 기판(10) 쪽으로의 연장 길이는 서로 상이하여 수광부(40)에 위치하는 제1 부분(P221)의 연장 길이가 기판(10)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2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격벽(P22)은 수광부(40)가 위치하고 대략 사각형 형상을 갖는 홈을 대략 가운데에 구비하고 있는 판 형태일 수 있다.
발광부(30)는 목표물과의 거리 측정을 위해 이용되는 빛을 목표물로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30)는 광 신호를 출력하는 발광 소자(31), 발광 소자(31)를 구동하기 위한 발광 구동부(32) 및 렌즈부(예, 제1 렌즈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발광 소자(31)는 발광 구동부(32)의 제어에 따라 정해진 영역의 빛을 출력할 수 있고, 발광 소자(31)에서 출력되는 빛을 렌즈부(33)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목표물 쪽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31)에서 출력되는 빛은 정해진 펄스 폭을 갖는 펄스 형태의 광 신호일 수 있고, 적외선(infrared)이나 근적외선(near infrared) 영역의 광 신호일 수 있다.
발광 소자(31)는, 일 예로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일 수 있다.
발광 구동부(32)는 전원, 펄스 발생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펄스 발생기는 전원을 이용하여 정해진 펄스 폭을 갖는 펄스 신호를 생성한 후 발광 소자(31)로 출력하여 발광 소자(31)를 구동할 수 있다.
렌즈부(33)는 발광 소자(31)에서 출력되는 빛을 확산시켜 목표물 쪽으로 균일하게 빛의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렌즈부(33)는 오목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수광부(40)는 발광부(30)에서 출력되어 목표물에 반사된 후 되돌아오는 광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광 신호의 비행 시간이나 위상차를 이용하여 거리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수광부(40)는 빛의 수광 여부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41), 수광 소자(4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신호 처리부(42) 및 렌즈부(예, 제2 렌즈부)(4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수광 소자(41)는 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소자일 수 있고, 일 예로 SPAD(single-photon avalanche diode) 일 수 있다.
따라서, 목표물에서 반사되는 빛을 렌즈부(43)를 통해 하우징(20) 내부로 입사된 후, 수광 소자(41) 쪽으로 입사되어 수광 소자(4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신호 처리부(42)는 수광 소자(4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목표물과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를 이용하여 목표물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여, 목표물에 대한 3차원 영상 데이터 등을 생성할 수 있다.
렌즈부(43)는 목표물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수광 소자(41)로 손실없이 입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록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30)와 수광부(40)를 구비한 본 예의 거리 측정 모듈은 TOF(time of flight) 모듈을 구성할 수 있고, 일 예로 dTOF(direct TOF) 모듈일 수 있다.
플래시부(50)는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위해 플래시 광을 출력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광원(51) 및 광원(51)으로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광원 구동부(5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51)은 광원 구동부(52)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신호에 의해 피사체에 대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때 발광하여 조명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조명광을 출력하는 광원(51)을 먼지와 수분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광원(51)이 노출되는 제3 개구부(OP13)에는 투명한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보호창(53)이 위치할 수 있다.
플리커 감지부(60)는 플래시부(50)의 동작에 의해 플래시가 발광할 때 발생하는 플리커 노이즈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플리커 노이즈는 상용 교류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광원(51)(예, 형광등)의 조명 상태에서 카메라 등의 촬영 모듈(미도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실시할 때 발생하는 일종의 주파수 불일치에 의한 노이즈로서, 광원(51)의 휘도 변화 주기(예, 휘도 변화 주파수)와 촬영 모듈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주기(예, 수직 동기 주파수)의 차이로 인해 출력된 영상 데이터에 시간적인 명암의 변화가 발생하는 노이즈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플리커 노이즈는 이웃한 화소간, 이웃한 화소행 또는 이웃한 프레임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검출하거나, FFT(Fast Fourier Transform)나 켑스트럼(Cepstrum)과 같은 변환 동작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리커 감지부(60)는 이러한 플리커 노이즈를 감지하는 플리커 센서(61) 및 플리커 센서(61)와 연결되어 플리커 센서(6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플리커 노이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여, 플리커 노이즈가 발생한 상태일 때, 영당 데이터의 보정 동작을 통해 플리커 노이즈를 감소시키거나 삭제하기 위한 플리커 노이즈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플리커 노이즈 처리부는 플리커 센서(6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플리커 노이즈가 발생된 상태로 판단되면, 촬영 모듈의 이미지 센서(예, CCD 이미지 센서나 CMOS 이미지 센서)의 노출 시간을 조절하여 플리커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의 노출 시간은 광원(51)의 전원 주파수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예의 위치 측정 장치는 목표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 모듈과 피사체의 촬영 시 조명광을 출력하는 플래시 모듈을 하나의 모듈로 설계하여 제작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거리 측정 모듈과 플래시 모듈을 각각 제작할 때보다 제작된 모듈의 크기는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기판 20: 하우징
30: 발광부 31: 발광 소자
40: 수광부 41: 수광 소자
50: 플래시부 51: 광원
60: 플리커 감지부 61: 플리커 센서
OP11: 제1 개구부 OP12: 제2 개구부
OP13: 제3 개구부 33: 제1 렌즈부
44: 제2 렌즈부 53: 보호창
P21: 제1 격벽 P22: 제1 격벽
P221: 제1 부분 P222: 제2 부분
AR1: 제1 영역 AR2: 제2 영역
AR21: 제1 영역부 AR22: 제2 영역부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기판을 물리적으로 차단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분리하는 제1 격벽과 상기 제1 영역을 제1 영역부와 제2 영역부로 분리하는 제2 격벽을 구비하고 있는 하우징;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수광부; 및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고 있고 광원을 구비하는 플래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제1 영역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광 소자는 제2 영역부에 위치하는 위치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광 소자를 노출하는 제1 개구부;
    상기 수광 소자를 노출하는 제2 개구부; 및
    상기 광원을 노출하는 제3 개구부
    를 더 포함하는 위치 측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발광 소자에서 출력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제1 렌즈부;
    상기 제2 개구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구부로 입사되는 빛을 집광하여 상기 수광 소자로 출력하는 제2 렌즈부; 및
    상기 제3 개구부에 위치하여 상기 광원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창
    을 더 포함하는 위치 측정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부의 측면은 상기 제1 격벽의 측면과 동일한 수직면에 위치하는 위치 측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에서부터 상기 발광부와 상기 플래시부 사이로 연장되어 대면하고 있는 기판의 상부면에 접해 있는 위치 측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내부면에서부터 대면하고 있는 수광부의 상부면 및 대면하고 있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로 연장하여, 대면하고 있는 상기 수광부의 상부면과 대면하고 있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접해 있는 위치 측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연장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격벽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연장 길이를 갖는 위치 측정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플래시부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플리커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위치 측정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플리커 감지부의 일부를 노출하는 위치 측정 장치.
KR1020220062292A 2022-05-20 2022-05-20 위치 측정 장치 KR20230162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292A KR20230162880A (ko) 2022-05-20 2022-05-20 위치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292A KR20230162880A (ko) 2022-05-20 2022-05-20 위치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880A true KR20230162880A (ko) 2023-11-29

Family

ID=8896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292A KR20230162880A (ko) 2022-05-20 2022-05-20 위치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8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801B1 (ko) 2005-07-19 2006-11-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플리커 방지용 이미지 촬영장치 및 플리커 저감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801B1 (ko) 2005-07-19 2006-11-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플리커 방지용 이미지 촬영장치 및 플리커 저감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27849호(공개일자: 2020년 11월 11일, 발명의 명칭: ToF(time-of-flight) 깊이 측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ToF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94672A1 (en) Apparatus and method
EP2451150B1 (en) Color sensor insensitive to distance variations
US20200041618A1 (en) Matrix Light Source and Detector Device for Solid-State Lidar
KR101695821B1 (ko) 깊이 영상 획득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167121B2 (en) Lighting unit and image scanner using same
CN107845627B (zh) 多接近度检测光传感器
CN110708445B (zh) 用于减少内部反射的摄像机外壳
US6796502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CN112918372B (zh) 用于机动车头灯的照明设备
US20190098194A1 (en) Method and optoelectronic lighting device for lighting a face of a person, camera, and mobile terminal
US10551035B2 (en)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object detection device
US10469770B2 (en) Camera having infrared ray reflector
US20210208251A1 (en) Lidar system including scanning field of illumination
CN110763202B (zh) 导航装置及其照明系统和光束整形元件
US11942462B2 (en) Optical navigation module capable of performing lateral detection
US9489085B2 (en) Optical touch panel system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KR20230162880A (ko) 위치 측정 장치
US11892750B2 (en) Multiple LED arrays with non-overlapping segmentation
US20170054918A1 (en) Imaging and lighting apparatus
US20050206883A1 (en) Single source, single camera inspection system
TWI823002B (zh) 用於一維陣列偵測器之成像光學器件
JP2021014996A (ja) 対象物検出装置
CN219003785U (zh) 图像采集装置及分拣设备
KR20100103983A (ko) 투명창과 조명기를 갖는 콤팩트 촬상장치
US20240098860A1 (en) Optoelectronic component, method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segment of an opto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rrangement of at least two optoelectronic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