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154A -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154A
KR20230162154A KR1020237040069A KR20237040069A KR20230162154A KR 20230162154 A KR20230162154 A KR 20230162154A KR 1020237040069 A KR1020237040069 A KR 1020237040069A KR 20237040069 A KR20237040069 A KR 20237040069A KR 20230162154 A KR20230162154 A KR 20230162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aerosol
reservoir
control unit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콧 조지 보햄
스티브 휴스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6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1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Nozzl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카트리지(2; 200) 및 제어 유닛(4)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위한 카트리지(2; 200)로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 200)는 카트리지(2; 200)를 위한 공기 입구(5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60)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및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31)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을 더 포함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윤곽 표면(300)과 광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207)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카트리지(2; 200)의 표면(301; 302)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윤곽 표면(30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AEROSOL PROVISIONS SYSTEMS}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이를 테면 니코틴 전달 시스템들(예컨대, 전자 시가렛들 등)에 관한 것이다.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이를 테면 전자 시가렛들(e-시가렛들)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이를 테면, 전형적으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제를 보유하는 소스 액체의 저장소, 또는 담배 기반 제품과 같은 고체 재료 ― 그로부터, 예컨대 열 증발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에어로졸이 생성됨 ― 를 보유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통해 공기 채널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전구체 재료의 일부를 증발시키도록 배열된 증발기, 예컨대 가열 요소를 포함할 것이다.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흡입하고 전력이 증발기에 공급됨에 따라, 공기는 하나 이상의 입구 홀들을 통해 그리고 공기 채널을 따라 에어로졸 생성 구역으로 디바이스 내로 흡인되며, 여기서 공기는 증발된 전구체 재료와 혼합되며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흡인된 공기는 공기 채널을 따라 마우스피스 개구로 계속되고, 마우스피스와 함께 에어로졸의 일부를 운송하고,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개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간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이 종종 2개의 주요 기능 부분들, 즉 제어 유닛 및 일회용/교체 가능 카트리지 부분을 갖는 모듈식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형적으로, 카트리지 부분은 소모성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및 증발기(아토마이저)를 포함할 것이지만, 제어 유닛 부분은 보다 장수명의 아이템들, 이를 테면 재충전 가능 배터리, 디바이스 제어 회로부, 활성화 센서들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피처들을 포함할 것이다. 제어 유닛은 또한, 재사용 가능 부분 또는 배터리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고, 그리고 교체 가능 카트리지는 또한, 일회용 부분 또는 카토마이저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 유닛 및 카트리지는, 예컨대 스크루 나사산(screw thread), 베요넷(bayonet), 래치 결합(latched), 또는 마찰 끼워맞춤(friction fit) 고정구를 사용하여 사용하기 위한 계면에서 함께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카트리지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가 고갈되거나 사용자가 상이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가진 상이한 카트리지로 전환하고자 할 때, 카트리지는 제어 유닛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그 자리에서 디바이스에 교체 카트리지가 부착될 수 있다.
액체 에어로졸 전구체(e-액체)를 보유하는 카트리지들에 대한 잠재적인 단점들은 누설의 위험이다. e-시가렛 카트리지는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저장소로부터,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출구로 연결되는 공기 경로/채널에 위치된 증발기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흡인하기 위한 기구, 예컨대 모세관 심지(capillary wick)를 가질 것이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저장소로부터 카트리지를 통한 개방 공기 채널로의 유체 운송 경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카트리지로부터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누설의 대응 위험이 존재한다. 누설은, 사용자들의 손 또는 다른 아이템들 상에 e-액체를 얻는 것을 당연히 원하지 않는 최종 사용자의 관점 및 신뢰성 관점 둘 모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데, 이는 제어 유닛에 연결된 카트리지의 단부로부터의 누설이 예를 들어, 부식으로 인해 제어 유닛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누설 위험을 줄이기 위한 일부 접근 방식은 예를 들어, 공기 채널로 들어가는 심지를 단단히 클램핑함으로써 증발기로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흐름을 제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적인 사용시에, 심지에 의해 흡수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는 증발기를 냉각시키기에 충분하지만 (즉, 이상적인 동작 온도에서), 흡수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불충분할 때 (예를 들어, 저장소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부족할 때), 이는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과열 및 바람직하지 않은 향미들을 유발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문제들 중 일부를 해결하거나 완화하는 것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들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용 카트리지가 제공되며,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로부터의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제어 유닛은 카트리지를 제어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시키도록 카트리지와 협동적으로 맞물리게 배열된 계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수용 섹션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부 및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특정 조합들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고 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분리된 것으로 도시됨)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구성요소들의 분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하우징 부분의 다양한 단면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분할 벽 요소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탄성 플러그의 2개의 사시도들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카트리지의 최하부 캡의 사시도 및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수정된 카트리지의 개개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수정된 카트리지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2 수정된 카트리지의 개개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3 수정된 카트리지의 개개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a 및 10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4 수정된 카트리지의 개개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c 내지 도 10e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5 수정된 카트리지의 개개의 정면도, 제1 측면 사시도 및 제2 측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0f 내지 도 10h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6 수정된 카트리지의 개개의 정면도, 제1 측면 사시도 및 제2 측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7 수정된 카트리지의 개개의 단면도 및 제1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c는 제7 수정된 카트리지의 제2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a 및 12b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8 수정된 카트리지의 개개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간결함을 위해 상세하게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장치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e-시가렛들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비-가연성(non-combustible) 증기 제공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비-가연성(non-combustible)"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또는 그의 구성요소)의 구성성분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연소시키거나(combusted) 태우지(burned) 않는 시스템이다. 본원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또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는, 예컨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가열, 조사 또는 에너자이징된 경우에,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재료이다.
다음의 설명 전체에 걸쳐, "e-시가렛" 또는 "전자 시가렛"이라는 용어가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 용어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디바이스 및 전자 에어로졸 시스템/디바이스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전자 시가렛은 또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에서의 니코틴의 존재가 요구조건이 아니라는 것이 주목되지만, 베핑 디바이스(vaping device) 또는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END)으로 또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하나 또는 복수가 가열될 수 있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또는 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및 고체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포함한다. 고체 에어로졸 가능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자체적으로 포함하는 물품들이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가연성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물품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 (또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 (또는 증발기), 에어로졸 생성 영역, 마우스피스, 및/또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와 상호 작용하여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부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물질들을 방출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가열기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는, 가열 없이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진동, 기계적, 가압 또는 정전기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열을 가하지 않고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달될 물질은 활성 구성성분, 캐리어 구성성분,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일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사용자의 생리학적 및/또는 후각적 반응을 달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가능 재료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및/또는 후각적 활성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건강기능식품(nutraceuticals), 노로트로픽(nootropics), 및 향정신성물질(physactives)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합성으로 획득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니코틴, 카페인, 타우린, 테인, B6 또는 B12 또는 C와 같은 비타민, 멜라토닌, 카나비노이드, 또는 성분,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구성성분은, 담배 또는 다른 식물의 구성성분, 유도체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구성성분은 생리학적으로 활성인 구성성분이고, 그리고 니코틴, 니코틴 염들(예컨대, 니코틴 디타르트레이트/니코틴 비타르트레이트), 니코틴이 없는 담배 대체물들(nicotine-free tobacco substitutes), 다른 알칼로이드들, 이를 테면 카페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구성성분은 후각 활성 구성성분이며, 그리고 "향미(flavour)" 및/또는 "향미제(flavourant)"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향미제"는, 지역적 규제들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를 위한 제품에서 원하는 맛(taste), 향(aroma), 또는 다른 체성 감각적 감각(somatosensorial sensation)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그러한 구성성분들은 향미들, 향미제들, 감열제들, 발열제들, 및/또는 감미제들로 지칭될 수 있다. 이들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향미 재료들, 식물성 물질들, 식물성 물질들의 추출물들, 합성적으로 획득된 재료들, 또는 이들(예컨대, 담배, 대마초, 감초, 수국, 유제놀(eugenol), 일본 흰 껍질 목련 잎, 카모마일, 호로파, 정향, 단풍나무, 말차, 멘톨, 일본 민트, 아니스열매(아니스), 시나몬, 강황, 인도 향신료, 아시아 향신료, 허브, 노루발풀, 체리, 베리, 레드베리 , 크랜베리, 복숭아, 사과, 오렌지, 망고, 귤, 레몬, 라임, 열대 과일, 파파야, 대황, 포도, 두리안, 용과, 오이, 블루베리, 오디(mulberry), 감귤류(citrus fruits), 드람뷔(drambuie), 버번, 스카치 위스키, 위스키, 진, 데킬라, 럼주, 스피아민트, 페퍼민트, 라벤더, 알로에 베라, 카다몬, 샐러리, 카스카라야, 육두구, 백단유, 베르가못, 제라늄, 카트차(khat), 나스와르(naswar), 베텔(betel), 시샤(shisha), 소나무, 허니 에센스, 로즈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 오렌지 꽃, 벚꽃, 계수나무, 캐러웨이, 코냑, 자스민, 일랑-일랑, 세이지, 회향, 와사비, 피망, 생강, 고수, 커피, 마, 멘타속의 임의의 종들로부터의 민트 오일, 유칼립투스, 스타 아니스 , 코코아, 레몬그라스, 루이보스, 아마, 은행, 헤이즐, 히비스커스, 월계수, 마테, 오렌지 껍질, 장미, 차, 이를테면 녹차 또는 홍차, 타임(thyme), 향나무(juniper), 엘더플라워(elderflower), 바질, 월계수 잎, 커민, 오레가노, 파프리카, 로즈마리, 사프란, 레몬 껍질, 민트, 자소엽(beefsteak plant), 강황, 고수, 머틀, 카시스, 발레리안, 피멘토(pimento), 메이스, 데미안, 마조람, 올리브, 레몬 밤, 레몬 바질, 골파(chive), 카르비, 버베나, 타라곤, 리모넨, 티몰, 캄펜)의 조합들, 향미 증강제들(flavour enhancers), 쓴맛 수용체 부위 차단제들(bitterness receptor site blockers), 감각 수용체 부위 활성화제(sensorial receptor site activators) 또는 자극제들(stimulators), 당류 및/또는 당 대물품들(예를 들어, 수크랄로스(sucralose),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스파탐(aspartame), 사카린(saccharine), 사이클라메이트들(cyclamates), 락토오스(lactose), 자당(sucrose),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소르비톨(sorbitol) 또는 만니톨(mannitol)) 및 차콜(charcoal), 엽록소, 미네랄들, 식물생약들(botanicals) 또는 입냄새 제거제들(breath freshening agents)과 같은 다른 첨가제들을 포함한다. 이들은 인조(imitation), 합성 또는 천연 구성성분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이들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오일과 같은 액체, 분말과 같은 고체, 또는 가스, 하나 이상의 추출물들(예를 들어, 감초, 수국, 일본 흰 껍질 목련 잎(Japanese white bark magnolia leaf), 카모마일(chamomile), 호로파(fenugreek), 정향(clove), 멘톨(menthol), 일본 민트(Japanese mint), 아니스열매(aniseed), 시나몬(cinnamon), 허브(herb), 노루발풀(wintergreen), 체리(cherry), 베리(berry), 복숭아, 사과, 드람뷔(drambuie), 버번(bourbon), 스카치(scotch), 위스키(whiskey), 스피아민트(spearmint), 페퍼민트(peppermint), 라벤더(lavender), 카다몬(cardamom), 샐러리(celery), 카스카라야(cascarilla), 육두구(nutmeg), 백단유(sandalwood), 베르가못(bergamot), 제라늄(geranium), 허니 에센스(honey essence), 로즈 오일(rose oil), 바닐라(vanilla), 레몬 오일(lemon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계수나무(cassia), 캐러웨이(caraway), 코냑(cognac), 자스민(jasmine), 일랑-일랑(ylang-ylang), 세이지(sage), 회향(fennel), 피망, 생강, 아니스, 고수, 커피, 또는 멘타속(genus Mentha)의 임의의 종들로부터의 민트 오일), 향미 증강제들(flavour enhancers), 쓴맛 수용체 부위 차단제들(bitterness receptor site blockers), 감각 수용체 부위 활성화제(sensorial receptor site activators) 또는 자극제들(stimulators), 당류 및/또는 당 대물품들(예를 들어, 수크랄로스(sucralose),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potassium), 아스파탐(aspartame), 사카린(saccharine), 사이클라메이트들(cyclamates), 락토오스(lactose), 자당(sucrose),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소르비톨(sorbitol) 또는 만니톨(mannitol)) 및 차콜(charcoal), 엽록소, 미네랄들, 식물생약들(botanicals) 또는 입냄새 제거제들(breath freshening agents)과 같은 다른 첨가제들일 수 있다. 이들은 인조(imitation), 합성 또는 천연 구성성분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이들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오일, 액체, 또는 분말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멘톨, 스피아민트 및/또는 페퍼민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오이, 블루베리, 감귤류 및/또는 레드베리의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유제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담배로부터 추출된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향 또는 미각 신경들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제5 뇌신경(삼차 신경)의 자극에 의해 통상적으로 화학적으로 유도되고 인지되는 체지각적 감각을 달성하도록 의도된 감각물(sensat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발열, 감열, 아린감(tingling), 감각마비(numbing) 효과를 제공하는 작용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발열 효과제는 바닐릴 에틸 에테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적합한 감열제는 유칼립톨(eucalyptol), WS-3일 수 있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캐리어 구성성분은,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캐리어 구성성분은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리트리톨, 메소-에리트리톨, 에틸 바닐라테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에틸 서브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디아세틴 혼합물, 벤질 벤조에이트, 벤질 페닐 아세테이트, 트리부티린, 라우릴 아세테이트,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구성성분들은 pH 조절제들, 착색제들, 보존제들, 결합제들, 충전제들, 안정화제들, 및/또는 산화 방지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e-시가렛들)은 종종, 재사용 가능 부분(제어 유닛) 및 교체 가능(일회용) 카트리지 부분 둘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식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2-부분 모듈식 구성을 따르는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2-부분 디바이스들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시가렛들이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 것이 또한 일반적이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서, 본원에 설명된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일회용 카트리지들을 이용하는 이러한 종류의 일반적으로 세장형 2-부분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본 원리들은 다른 전자 시가렛 구성들, 예컨대, 2개 초과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모듈식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보다 박스형 형상을 갖는 소위 박스-모드 고성능 디바이스들에 기반하는 다른 전체 형상들에 일치하는 디바이스들에 대해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디바이스(e-시가렛)(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전자 시가렛의 다양한 양태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용어들(예컨대, 상부, 하부, 위, 아래, 최상부, 최하부 등의 용어들)은 (문맥이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 시가렛의 배향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는 순전히 설명의 용이함을 위한 것일 뿐이며, 사용시 전자 시가렛에 대해 임의의 요구되는 배향이 있음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e-시가렛(1)은 2개의 주요 구성요소들, 즉 카트리지(2) 및 제어 유닛(4)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4) 및 카트리지(2)는 도 1에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사용할 때 함께 커플링된다.
카트리지(2) 및 제어 유닛(4)은, 이들 사이에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을 설정함으로써 커플링된다.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이 설정되는 특정 방식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일차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며, 그리고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예컨대, 나사산, 베요넷, 래치 결합 또는 마찰-끼워맞춤식 기계적 고정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고, 적절하게, 2개의 부분들 사이의 전기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전기 접촉부들/전극들을 적절하게 배열한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전자 시가렛(1)에서, 카트리지는 마우스피스 단부(52) 및 계면 단부(54)를 포함하고,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의 계면 단부 부분(6)을 대응하는 제어 유닛의 리셉터클(8)/수용 섹션에 삽입함으로써 제어 유닛에 커플링된다.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 부분(6)은 리셉터클(8)에 있도록 밀착(close fit)되고, 그리고 돌출부들(56)을 포함하며, 돌출부들(56)은 리셉터클(8)을 규정하는 리셉터클 벽(12)의 내부 표면 내의 대응하는 멈춤쇠들(detents)과 맞물림하여 카트리지와 제어 유닛 사이에 해제 가능한 기계적 맞물림을 제공한다. 카트리지의 최하부 상의 한 쌍의 전기 접촉부들(도 1에 도시되지 않음) 및 리셉터클(8)의 베이스에 있는 대응하는 스프링 접촉 핀들(도 1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어 유닛과 카트리지 사이에 전기 연결이 설정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기 연결이 설정되는 특정 방식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으며, 실제로 일부 구현들은 카트리지와 제어 유닛 사이에 전기 연결을 전혀 갖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재사용 가능 부분으로부터 카트리지로의 전력 전달이 무선일 수 있기(예컨대, 전자기 유도 기술들에 기반함) 때문이다.
전자 시가렛(1)은 길이 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카트리지가 제어 유닛에 커플링될 때, 이 예에서(길이방향 축을 따라) 전자 시가렛의 전체 길이는 약 12.5cm이다. 제어 유닛의 전체 길이는 약 9cm이고, 카트리지의 전체 길이는 약 5cm이다(즉,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 부분(6)과 제어 유닛의 리셉터클(8) 사이에는 이들이 함께 커플링될 때 약 1.5cm의 중첩이 존재함). 전자 시가렛은 일반적으로 타원형이고 단면이, 전자 시가렛의 중간 주위에서 가장 크고 단부들을 향하는 만곡된 방식으로 테이퍼링되는 단면을 갖는다. 전자 시가렛의 중간 주위의 단면은 약 2.5cm의 폭 및 약 1.7cm의 두께를 갖는다. 카트리지의 단부는 약 2cm의 폭 및 약 0.6mm의 두께를 갖는 반면, 전자 시가렛의 다른 단부는 약 2cm의 폭 및 약 1.2cm의 두께를 갖는다. 이 예에서 전자 시가렛의 외부 하우징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전자 시가렛 및 전자 시가렛으로 제조되는 재료의 특정 크기 및 형상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일차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며, 상이한 구현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은 상이한 크기들, 형상들 및/또는 재료들을 갖는 전자 시가렛들에 대해 동일하게 채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유닛(4)은 그 기능성 및 일반적인 구성 기술들의 관점에서 광범위하게 통상적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제어 유닛(4)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8)을 규정하는 리셉터클 벽(12)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외부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제어 유닛(4)의 외부 하우징(10)은, 2개의 부분들 사이의 매끄러운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이들의 계면에서 카트리지(2)의 형상 및 크기에 일치하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카트리지(2)의 단부 부분(6) 및 리셉터클(8)은 180°회전될 때 대칭적이어서, 카트리지는 2개의 상이한 배향들로 제어 유닛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리셉터클 벽(12)은, 2개의 제어 유닛 공기 입구 개구들(14)(즉, 벽의 홀들)을 포함한다. 이들 개구들(14)은, 카트리지가 제어 유닛에 커플링될 때,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50)와 정렬되도록 위치결정된다. 개구들(14) 중 상이한 하나는 상이한 배향들로 카트리지의 공기 입구(50)와 정렬된다. 일부 구현들은, 카트리지가 단지 하나의 배향으로만 제어 유닛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임의의 정도의 회전 대칭을 갖지 않을 수 있는 한편, 다른 구현들은 카트리지가 더 많은 배향으로 제어 유닛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더 높은 정도의 회전 대칭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어 유닛은, 전자 시가렛을 위한 동작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16), 전자 시가렛의 동작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회로부(18), 사용자 입력 버튼(20), 표시 등(22), 및 충전 포트(24)를 더 포함한다.
이 예에서 배터리(16)는 재충전가능하고, 그리고 예를 들어, 비교적 짧은 기간들에 걸쳐 비교적 높은 전류들의 제공을 필요로하는 전자 시가렛들 및 다른 적용분야들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통상적인 유형일 수 있다. 배터리(16)는, 예컨대 USB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는 충전 포트(24)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입력 버튼(20)은 예를 들어, 하부 회로부에서 전기 접촉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스프링 장착식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종래의 기계식 버튼이다. 이와 관련하여, 입력 버튼은, 예컨대 에어로졸 생성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로 고려될 수 있고, 그리고 버튼이 구현되는 특정 방식은 중요하지 않다. 예컨대, (예컨대, 용량성 또는 광학 감지 기술들에 기반한) 기계식 버튼 또는 터치-감응 버튼의 다른 형태들이 다른 구현들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버튼이 없을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퍼프 검출기(puff detector)에 의존할 수 있다.
표시 등(22)은, 전자 시가렛과 연관된 다양한 특성들의 시각적 표시, 예컨대 동작 상태(예컨대, 온/오프/대기), 및 다른 특성들, 이를 테면 배터리 수명 또는 결함 상태들의 표시를 사용자에게 부여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이한 특성들은, 예컨대,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상이한 컬러들 및/또는 상이한 플래시 시퀀스들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18)는 전자 시가렛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된 기술들에 따라 종래의 동작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자 시가렛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적절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된다. 제어 회로부(프로세서 회로부)(18)는 전자 시가렛의 동작의 상이한 양태들과 연관된 다양한 서브-유닛들/회로부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상이한 구현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성에 따라, 제어 회로부(18)는,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배터리/전원으로부터 카트리지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공급 제어 회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구성 설정들(예컨대, 사용자-규정된 전력 설정들)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프로그래밍 회로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설명된 원리들 및 전자 시가렛들의 종래의 동작 양태들에 따른 다른 기능 유닛들/회로부 관련 기능들, 이를 테면 표시 등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부 및 사용자 입력 검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18)의 기능은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 ― 예를 들어, 원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칩(들)/칩셋(들)을 사용함 ― 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길이 방향 축(L)을 따라 분해된) 카트리지(2)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카트리지(2)는 하우징 부분(32), 공기 채널 밀봉부(34), 분할 벽 요소(36), 출구 튜브(38), 증발기/가열 요소(40),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42), 플러그(44), 및 접촉 전극들(46)을 갖는 단부 캡(48)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은 이들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더 상세히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a는 하우징 부분(32)이 가장 얇은, 길이 방향 축(L)을 통한 하우징 부분(32)의 개략적인 절취도이다. 도 3b는 하우징 부분(32)이 가장 넓은, 길이 방향 축(L)을 통한 하우징 부분(32)의 개략적인 절취도이다. 도 3c는 계면 단부(54)로부터의 길이 방향 축(L)을 따른 (즉, 도 3a 및 도 3b의 배향으로 아래에서부터 본) 하우징 부분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아래에서부터 본 분할 벽 요소(36)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b는 아래에서부터 본 분할 벽 요소(36)의 상부 부분을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위로부터의 플러그(44)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아래로부터의 플러그(44)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c는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52)로부터 본(즉, 도 1 및 도 2에서의 배향에 대해 위에서부터 본) 길이 방향 축(L)을 따른 플러그(44)의 개략도이다.
도 6a는 위로부터의 단부 캡(48)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b는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52)로부터 본(즉, 위로부터 본) 길이 방향 축(L)을 따른 단부 캡(48)의 개략도이다.
이 예에서 하우징 부분(32)은 하우징 외부 벽(64) 및 하우징 내부 튜브(62)를 포함하며, 이 예에서, 하우징 외부 벽(64) 및 하우징 내부 튜브(62)는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몰딩으로 형성된다. 하우징 외부 벽(64)은 카트리지(2)의 외관을 규정하고, 하우징 내부 튜브(62)는 카트리지를 통하는 공기 채널의 일부를 규정한다. 하우징 부분은, 하우징 내부 튜브(62)와 유체 연통하는 마우스피스 개구/에어로졸 출구(60)를 제외하고,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54)에서 개방되고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52)에서 폐쇄된다. 하우징 부분(32)은,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50)를 제공하는 개구를 측벽에 포함한다. 이 예에서 공기 입구(50)는 약 2㎟의 면적을 갖는다.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의 외부 표면은, 카트리지와 제어 유닛 사이에 해제 가능한 기계적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리셉터클(8)을 규정하는 리셉터클 벽(12)의 내부 표면 내의 대응하는 멈춤쇠들과 맞물리는 위에서 논의된 돌출부들(56)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의 외부 벽(64)의 내부 표면은,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길이 방향 축(L)을 따라 분할 벽 요소(36)를 위치시키기 위한 맞닿음 정지부(abutment stop)를 제공하도록 작용하는 추가의 돌출부들(66)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은,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단부 캡이 하우징 부분이 되도록 고정하기 위해 단부 캡에 대응하는 래치 돌출부들(70)을 수용하도록 배열된 래치 오목부들(68)을 제공하는 홀들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은 공기 입구(50)와 유체 연통하는 갭(76)을 규정하는 이중-벽식 섹션(74)을 포함한다. 갭(76)은 카트리지를 통하는 공기 채널의 일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예에서, 하우징 부분(32)의 이중-벽식 섹션(74)은, 갭이 대략 3㎟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의 단면을 갖는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하우징의 외부 벽(64) 내에서 이어진 공기 채널을 규정하도록 배열된다. 하우징 부분의 이중-벽식 섹션에 의해 규정된 공기 채널(76)의 갭/부분은 하우징 부분(32)의 개방 단부까지 아래로 연장된다.
공기 채널 밀봉부(34)는 일반적으로 관통 홀(80)을 갖는 튜브의 형태인 실리콘 몰딩이다.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외부 벽은 원주 방향 리지들(84) 및 상부 칼라(82)를 포함한다.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내부 벽은 또한 원주 방향 리지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도 2에서 보이지 않는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공기 채널 밀봉부(34)는 하우징 내부 튜브(62)에 장착되며, 하우징 내부 튜브(62)의 단부는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관통 홀(80)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공기 채널 밀봉부 내의 관통 홀(80)은 이완된 상태에서 약 5.8mm의 직경을 갖는 반면, 하우징 내부 튜브(62)의 단부는 약 6.2mm의 직경을 가져서, 공기 채널 밀봉부(34)가 하우징 내부 튜브(62)를 수용하기 위해 신장될 때 밀봉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부는,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내부 표면 상의 리지들(ridges)에 의해 가능해진다.
출구 튜브(38)는 예를 들어, 약 8.6mm의 내부 직경 및 약 0.2mm의 벽 두께를 갖는, ANSI 304 스테인리스 강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튜브형 섹션을 포함한다. 출구 튜브(38)의 최하부 단부는 각각의 슬롯의 단부가 반원형 오목부(90)를 갖는 한 쌍의 정반대의 슬롯들(88)을 포함한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출구 튜브(38)는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외부 표면에 장착된다. 공기 채널 밀봉부의 외부 직경은 그의 이완된 상태에서 약 9.0mm이고, 그에 따라, 공기 채널 밀봉부(34)가 출구 튜브(38) 내부에 끼워맞춤되도록 압축될 때 밀봉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부는, 공기 채널 밀봉부(34)의 외부 표면 상의 리지들(84)에 의해 가능해진다. 공기 채널 밀봉부(34) 상의 칼라(80)는 출구 튜브(38)를 위한 정지부를 제공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42)는 모세관 심지를 포함하고, 증발기(40)는 모세관 심지 주위에 권선된 저항 와이어 가열기를 포함한다. 모세관 심지 주위에 권선된 저항 와이어의 부분에 부가하여, 증발기는 전기 리드들(41)을 포함하며, 전기 리드들(41)은 플러그(44)의 홀들을 통해 단부 캡(54)에 장착된 접촉 전극들(46)로 전달되어 카트리지가 제어 유닛에 연결될 때 설정되는 전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증발기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증발기 리드들(41)은 모세관 심지 주위에 권선된 저항 와이어와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모세관 심지 주위에 권선된 저항 와이어에 연결된 상이한 재료(예컨대, 더 낮은-저항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가열기 코일(40)은 니켈 철 합금 와이어를 포함하고, 심지(42)는 유리 섬유 다발을 포함한다. 증발기 및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는 임의의 종래의 기술들에 따라 제공될 수 있고, 상이한 형태들 및/또는 상이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현들에서, 심지는 섬유성 또는 고체 세라믹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기는 상이한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가열기 및 심지는, 예컨대 다공성 및 저항성 재료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특정 성질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 및 증발기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심지(42)는 출구 튜브(38)의 반원형 오목부들(90)에 수용되어, 가열 코일이 권선되는 심지의 중앙 부분이 저장소 내부측에 있는 한편, 심지의 단부 부분들은 출구 튜브(38) 외부측에 있다.
이 예에서 플러그(44)는 실리콘의 단일 몰딩을 포함하며, 탄성적일 수 있다. 플러그는 베이스 부분(100)을 포함하며, 베이스 부분(100)으로부터 상방으로 (즉,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를 향해) 외부 벽(102)이 연장된다. 플러그는, 베이스 부분(10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부분(100)을 관통하는 관통 홀(106)을 둘러싸는 내부 벽(104)을 더 포함한다.
플러그(44)의 외부 벽(102)은,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플러그(44)가 하우징 부분(32)과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하우징 부분(32)의 내부 표면과 일치한다. 플러그(44)의 내부 벽(104)은, 출구 튜브(38)의 내부 표면과 일치하고, 그에 따라,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플러그(44)가 또한 출구 튜브(38)와 밀봉부를 형성한다. 내부 벽(104)은, 각각의 슬롯의 단부가 반원형 오목부(110)를 갖는, 정반대 슬롯들(108)의 쌍을 포함한다. 내부 벽(104)의 각각의 슬롯의 최하부로부터 외측방으로(즉,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은,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42)의 섹션을 수용하도록 형상이 정해진 크래들 섹션(cradle section)(112)이다. 플러그(44)의 내부 벽에 의해 제공되는 슬롯들(108) 및 반원형 오목부들(110), 그리고 출구 튜브(38)의 슬롯들(88) 및 반원형 오목부들(90)은, 출구 튜브(38)의 슬롯들(88)이 홀들 ― 이 홀들을 통해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통과함 ― 을 규정하도록 협력하는 출구 튜브 및 플러그의 개개의 반원형 오목부들과 함께 크래들들(112) 중 개개의 크래들을 수용하도록 정렬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통과하는 반원형 오목부들에 의해 제공되는 홀들의 크기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크기 및 형상에 밀접하게 대응하지만, 약간 더 작으므로, 플러그(44)의 탄성에 의해 어느 정도의 압축이 제공된다. 이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이송되지 않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개구들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를 제한하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모세관 작용에 의해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를 따라 운송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플러그(44)는 베이스 부분(100)에 추가의 개구들(114)을 포함하며,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증발기를 위한 접촉 리드들(41)이 그 개구들(114)을 통해 통과한다. 플러그의 베이스 부분의 최하부는, 베이스 부분의 최하부의 나머지 표면과 단부 캡(48) 사이의 오프셋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들(116)을 포함한다. 이들 스페이서들(116)은 개구들(114)을 포함하며, 개구들(114)을 통해 증발기를 위한 전기 접촉 리드들(41)이 통과한다.
단부 캡(48)은 내부에 장착된 한 쌍의 금-도금된 구리 전극 포스트들(46)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몰딩을 포함한다.
단부 캡의 최하부 측면 상의 전극 포스트들(46)의 단부들은, 단부 캡(48)에 의해 제공되는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54)와 동일 평면에 가깝다. 이들은, 카트리지가 조립되어 제어 유닛에 연결될 때 제어 유닛 내에서 대응하게 정렬된 스프링식 접촉부들이 연결되는 전극들의 부분들이다. 카트리지의 내부측 상의 전극 포스트들의 단부들은 단부 캡(48)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플러그(44)의 홀들(114) 내로 연장되며, 이를 통해 접촉 리드들(41)이 통과한다. 전극 포스트들은 홀들(114)에 비해 약간 오버사이즈되고, 플러그에 의해 증발기를 위한 접촉 리드들과 가압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플러그의 홀들(114) 내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들의 상부 단부들에 챔퍼를 포함한다.
단부 캡은, 베이스 섹션(124) 및 하우징 부분(32)의 내부 표면에 일치하는 직립 벽(120)을 갖는다. 단부 캡(48)의 직립 벽(120)은 하우징 부분(32) 내로 삽입되어, 래치 돌출부들(70)이,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하우징 부분에 단부 캡(48)을 스냅-끼워맞춤(snap-fit)하기 위해, 하우징 부분(32)의 래치 오목부들(68)과 맞물린다. 단부 캡(48)의 직립 벽(120)의 최상부는 플러그(44)의 주변 부분과 접하고, 플러그 상의 스페이서들(116)의 하부면은 또한, 플러그의 베이스 섹션(124)과 접하며, 그에 따라 단부 캡(48)이 하우징 부분에 부착될 때, 단부 캡은 탄성 부분(44)에 대해 가압되어 단부 캡을 약간의 압축 상태로 유지한다.
단부 캡(48)의 베이스 부분(124)은,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에서 하우징 부분의 외부 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직립 벽(120)의 베이스를 넘어 주변 립(peripheral lip)(126)을 포함한다. 또한, 단부 캡은, 플러그의 대응하는 로케이팅 홀(128)과 정렬되는 직립 로케이팅 핀(122)을 포함하여, 조립 동안 이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정하는 것을 돕는다.
분할 벽 요소(36)는 폴리프로필렌의 단일 몰딩을 포함하고, 분할 벽(130), 및 분할 벽(130)으로부터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된 칼라(132)를 포함한다. 분할 벽 요소(36)는 출구 튜브(38)가 통과하는 중앙 개구(134)를 갖는다(즉, 분할 벽이 출구 튜브(38) 주위에 배열됨).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할 벽 요소(36)는 출구 튜브(3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플러그(44)의 외부 벽(102)의 상부 표면은 분할 벽(130)의 하부 표면과 맞물리고, 분할 벽(130)의 상부 표면은 차례대로,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의 내부 표면 상의 돌출부들(66)과 맞물린다. 따라서, 분할 벽(130)은 플러그가 하우징 부분(32) 내로 너무 멀리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즉, 분할 벽(130)은 하우징 부분의 돌출부들(66)에 의해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고정적으로 위치되고, 그에 따라 밀어내기 위한 고정된 표면을 갖는 플러그를 제공한다. 분할 벽으로부터의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된 칼라(132)는, 플러그(44)의 외부 벽(102)의 내부 표면 상의 대응하는 오목부들과 맞물리는 제1 쌍의 대향 돌출부들/설형부들(tongues)(134)을 포함한다. 분할 벽(130)으로부터의 돌출부들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통과하는 개구를 추가로 규정하기 위해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플러그(44) 내의 크래들 섹션들(112) 중 대응하는 것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한 쌍의 크래들 섹션들(136)을 더 제공한다.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공기 입구(50)로부터 카트리지를 통해 에어로졸 출구(60)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이 형성된다. 하우징 부분(32)의 측벽의 공기 입구(50)로부터 시작하여, 하우징 부분(32)의 외부 벽(64)에 이중 벽식 섹션(74)에 의해 형성된 갭(76)에 의해 공기 채널의 제1 섹션이 제공되고, 그리고 공기 입구(50)로부터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54)를 향해 플러그(44)를 지나 연장된다. 공기 채널의 제2 부분은 플러그(44)의 베이스와 단부 캡(48) 사이의 갭에 의해 제공된다. 공기 채널의 제3 부분은 플러그(44)를 통해 홀(106)에 의해 제공된다. 공기 채널의 제4 부분은, 증발기(40) 주위의 출구 튜브 및 플러그의 내부 벽(104) 내의 구역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공기 채널의 이러한 제4 부분은 에어로졸/에어로졸 생성 구역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 동안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1차 구역이다. 공기 입구(5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으로의 공기 채널은, 공기 채널의 공기 입구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공기 채널의 제5 부분은 출구 튜브(38)의 나머지에 의해 제공된다. 공기 채널의 제6 부분은 공기 채널을 에어로졸 출구(60)에 연결하는 외부 하우징 내부 튜브(62)에 의해 제공된다. 에어로졸 출구가 될 에어로졸 생성 구역으로부터의 공기 채널은, 공기 채널의 에어로졸 출구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위한 저장소(31)가 공기 채널 외부측 그리고 하우징 부분(32) 내부측 공간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제조 동안, 예컨대 충전 홀(filling hole) ― 이는 그런 다음 밀봉됨 ― 을 통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특정 성질은, 예컨대 그 조성의 관점에서, 본원에서 설명되는 원리들에 대해 일차적으로 중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전자 시가렛들에서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의 임의의 종래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서 액체를 언급할 수 있으며, 이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적인 e-액체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은 유동 능력이 있고 액체, 겔 또는 고체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에 적용되며, 여기서, 고체의 경우 복수의 고체 입자들은 벌크(bulk)로서 고려될 때 유동 능력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저장소는 플러그(44)에 의해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에서 폐쇄된다. 저장소는, 플러그의 외부 벽과 공기 채널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분할 벽(130) 위의 제1 구역 및 분할 벽(130) 아래의 제2 구역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모세관 심지)(42)는 플러그(44) 및 출구 튜브(38)의 반원형 오목부들(108, 90) 및 플러그(44) 및 분할 벽 요소(36)의 크래들 섹션들(112, 136) ― 이들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림 ― 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채널의 벽의 개구들을 통과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단부들은 저장소의 제2 구역 내로 연장되고, 그 저장소의 제2 구역으로부터, 이들은 후속적인 증발을 위해 공기 채널의 개구들을 통해 증발기(40)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흡인한다.
정상적인 사용시에, 카트리지(2)는 단부 캡(48) 내의 접촉 전극들(46)을 통해 카트리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활성화된 제어 유닛 및 제어 유닛(4)에 커플링된다. 그런 다음, 전력은 연결 리드들(41)을 통해 증발기(40)로 전달된다. 따라서, 증발기는 전기적으로 가열되어 증발기 부근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로부터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일부를 증발시킨다. 이는 공기 경로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로부터 증발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저장소로부터 흡인된 더 많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 대체된다. 증발기가 활성화되는 동안, 사용자는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52)를 흡입한다. 이는, 제어 유닛 공기 입구(14)가 카트리지의 공기 입구(50)와 정렬되는 어느 쪽이든 공기가 흡인되게 한다(이는 카트리지가 제어 유닛 리셉터클(8) 내에 삽입된 배향에 의존할 것이다). 그런 다음, 공기는 공기 입구(50)를 통해 카트리지에 진입하고, 하우징 부분(32)의 이중 벽식 섹션(74)에서 갭(76)을 따라 통과하고, 플러그(44)의 베이스 부분(100)에 있는 홀(106)을 통해 증발기(40)를 둘러싸는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 진입하기 전에 플러그(44)와 단부 캡(48) 사이를 통과한다. 유입 공기는 증발기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과 혼합되어 응축 에어로졸을 형성하고, 이는 그런 다음, 사용자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출구/에어로졸 출구(60)를 통해 빠져 나가기 전에 출구 튜브(38) 및 하우징 내부 튜브(62)를 따라 흡인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4)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수정된 카트리지(200)의 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카트리지(200)는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카트리지(2)의 구성에 기초하고, 그리고 도 2의 세트들 둘 모두에 공통인 참조 번호들에 의해 제시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카트리지(200)는 에어로졸 출구 튜브(38) 주위로 연장되는 저장소(31)를 규정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장소(31)는 환형(annular)일 수 있고,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장소(31)는 카트리지(200)의 에어로졸 출구(60)에 근접한 제1 단부(31A), 및 증발기(40)에 근접한 제2 단부(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리지는 카트리지(200)의 길이 방향 축(L)에 수직 일 수 있는 타원형 단면(206)을 포함할 수 있다(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단면(206)은 카트리지(200)의 길이 방향 축(L)에 수직일 수 있는 축들인 장축(major axis) 및 단축(minor axis)을 규정한다.
도 7에 도시된 카트리지(200)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카트리지(2)에 대한 제1 수정은,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aerosolisable-material-level observation means)(205)의 도입이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이제 설명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카트리지(200)의 부분(20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부분(208)은 저장소(31)를 보기 위한 윈도우(210)를 포함한다. 그러한 윈도우는 도 7b에서 가장 잘 도시되며, 여기서, 윈도우(210)는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부분(208) 및/또는 윈도우(210)는 반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부분(208)을 위한 가능한 재료는 플라스틱, 이를 테면 폴리 프로필렌이다.
카트리지의 부분(208)은 카트리지(200)의 임의의 부분 또는 부분들의 조합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그러한 부분들이 서로 나란히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위치되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함).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200)의 부분(208)은 카트리지(200)의 임의의 가시적인 표면(들) 및/또는 가시적인 에지(들)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200)의 부분(208)은 제1 전방 표면(209A); 전방 표면(209A)에 대향하는 제2 후방 표면(209B); 및/또는 전방 표면(209A)과 후방 표면(209B) 사이에 위치된 카트리지(200)의 측면(들)(209C; 209D)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의 조합에 위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부분(208)은 부가적으로/대안적으로, 카트리지(200)로부터의 에지(들), 예를 들어, 장축 및/또는 단축과 타원형 단면(206)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교차부들에 위치되는 것과 같이 제1 표면(209A)과 제2 표면(209B) 사이에 위치된 제1 에지(211A) 및/또는 제2 에지(211B)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의 조합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의 부분(208)은 감소된 두께로 저장소(31)의 제1 벽 부분(2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제1 벽 부분(212)은 3.5mm; 3.0mm; 2.5mm; 2.0mm; 1.5mm; 또는 1mm 중 어느 하나 이하인 최대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감소된 두께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저장소는 제2 벽 부분(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벽 부분(212)은 제2 벽 부분(214)의 개개의 투명도/반투명도보다 더 투명/반투명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200)의 부분(208) 및 제1 벽 부분(212)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을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제1 벽 부분(212) 및 제2 벽 부분(214)의 형상/구조의 관점에서, 각각의 벽 부분이 카트리지(200)의 임의의 부분, 또는 부분들의 조합에 걸쳐있을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그러한 부분들은 서로 옆에 위치될 수 있거나 위치되지 않을 수 있음에 유의함).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벽 부분(212; 214)은 장축과 타원형 단면(206)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교차부들에 위치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및/또는 제2 벽 부분(212; 214)은 단축과 타원형 단면(206)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교차부들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벽 부분(212)은 카트리지(200)의 외부측 표면(222) 상에 오목부(220)를 규정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벽 부분(212)은 저장소(31) 내부측에 오목부(224)를 규정할 수 있다. 그 실시예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 부분(212)은 제2 벽 부분(214)의 최대 두께보다 더 작은 최대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1 벽 부분(212)의 두께는 벽 부분(212) 전체에 걸쳐 일관된 투명도/반투명도를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제1 벽 부분(212)의 범위에 걸쳐 균일하다.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200)의 부분을 더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카트리지의 이 부분의 착색(pigmentation) 레벨을 변경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카트리지들의 실시예들을 예로서 사용하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벽 부분(212)은 제1 유색 안료 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벽 부분(214)은 제2 유색 안료 농도를 포함하고, 제1 농도는 제2 농도 미만이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제1 벽 부분(212)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달성하기 위해 제2 벽 부분(214)보다 반드시 더 얇을 필요는 없는데, 이는 그것이 제1 벽 부분에 사용되는 감소된 레벨의 안료를 통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유색 안료 농도는 제1 벽 부분의 1kg 당 안료 1g 이하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1g 값은 0.9g 또는 0.85g일 수 있다. 제1 벽 부분(212) 내의 이러한 감소된 레벨들의 안료는, 우수한 가시성 특성들을 갖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을 제공하는 놀랍게도 효과적인 레벨들의 안료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감소된 레벨들의 안료 농도를 통해 제1 벽 부분(212)에 제공되는 가시성 레벨들과의 대조를 돕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2 벽 부분(214)의 제2 유색 안료 농도는 제2 벽 부분 1kg당 안료 1g 초과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 제2 벽 부분(214)과 관련된 1g 값은 1.3g 또는 1.6g일 수 있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요구되는 가시성 특성들을 각각의 그러한 부분에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임의의 특정 안료(들)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하나의 매우 특정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안료는 카트리지의 부분의 가시성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들, 및/또는 불투명 재료(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는 망간 페라이트 흑색 안료(CAS No. 68186-94-7)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에서 사용되는 재료들의 관점에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벽 부분(212) 및/또는 제2 벽 부분(214)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고/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벽 부분(212)은 제2 벽 부분(214)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적절한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이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카트리지(200)의 수정된 버전이 도 8a 및 도 8b의 카트리지(200)에 도시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의 일부 실시예들은 저장소(31)로의 광을 허용하기 위한 제2 윈도우(240)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a의 형상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윈도우(240)는 제1 윈도우(210)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예컨대, 원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심미적인 관점으로부터, 제2 윈도우(240)는 일부에서는 구현들에서 제1 윈도우(21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실제로, 각각의 윈도우의 형상은 여러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윈도우(210)는 세장형일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저장소(31) 내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양이 카트리지(200)의 사용시에 감소함에 따라, 매우 다양한 상이한 레벨들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제1 윈도우(210)를 통해 관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윈도우(210)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가 제2 윈도우(240)를 불투명하게하는 것을 더 양호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윈도우(210)는 저장소(31)의 제1 측(242)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윈도우(240)는 저장소(31)의 제1 측(242)에 대향하는 제2 측(24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윈도우들을 갖는 것은 제2 윈도우(242)를 통해 저장소(31) 내로 통과한 다음, 예컨대 제1 윈도우로부터 사용자의 눈으로 나가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카트리지(200)에 진입하는 임의의 광이 제1 윈도우(210)를 빠져 나가기 전에 저장소(31)의 벽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윈도우들(210; 240)이 오프셋되는 경우와 비교될 수 있다. 제1 윈도우(210)를 빠져 나가는 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검출하는 사용자의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각각의 윈도우의 치수들은 카트리지(200)의 적용 및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윈도우(210) 및/또는 제2 윈도우(240)는 3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의 최대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치수라는 문구는, 개개의 윈도우의 최대 길이(Lmax)/폭(Wmax)/두께(Tmax) 중 어느 것도 밀리미터 단위로 인용된 양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트리지(200)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카트리지(200)의 버전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는 사용자에 의해 카트리지(20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252)의 가시성을 억제하기 위한 커버링 수단(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버링 수단(250)은 카트리지의 표면에 부착된 재료의 불투명 시트(들), 이를 테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벨(25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커버링 수단은, 카트리지의 부분을 형성하는 불투명 재료, 이를 테면 불투명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링 수단(250)의 제공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이 관찰될 수 있게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에 사용자의 비전을 집중시킨다. 이에 따라, 커버링 수단(250)의 제공은,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보다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에 사용자의 비전을 포커싱하기 위한 커버링 수단(250)의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커버링 수단(250)은 카트리지(200)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252)의 가시성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분(252)은 증발기(40); 에어로졸 생성 구역; 및/또는 공기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00)의 추가의 수정된 버전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사용자가 이러한 복수의 마킹들(256)에 대하여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200) 상의 복수의 마킹들(256)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마킹들(256)은 카트리지(200)에 적합한 임의의 요구되는 형상/크기를 취할 수 있고, 그리고 카트리지(200)의 외부 및/또는 내부 표면(이를 테면, 표면들(209A; 209B; 209C; 209D) 중 임의의 표면) 또는 에지(이를 테면, 전방 표면(209A)과 후방 표면(209B) 사이의 에지들(211A; 211B)) 상에, 이를 테면 카트리지(200)의 부분(208)으로부터 또한 보이는 저장소(31) 내부측의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복수의 마킹들(256)은 출구 튜브(38; 62)의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마킹들은 복수의 평행 라인들(258)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킹들(256)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마킹들은 투명하고 그리고/또는 반투명한 카트리지(200)의 부분(208)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복수의 마킹들은 불투명할 수 있다.
저장소(200)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측정/계량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마킹들은 저장소(200)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텍스트 표시기들(260)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마킹들이 카트리지(200)의 적용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텍스트 표시자들은: 0% 내지 100%의 복수의 퍼센트 양들; 0과 1 사이의/로부터의 복수의 분율들; 야드-파운드법 단위(imperial units)의 복수의 부피량들; 및/또는 미터법 단위들의 복수의 부피량들(예시된 양들(V1ml… V9ml)을 참조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음)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마킹들은 카트리지(200)의 표면 내로 리세싱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마킹들(256)은 저장소(3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저장소(31)로 돌출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복수의 마킹들(256)은 저장소(31)의 제1 벽 부분(212)에 위치되고, 복수의 마킹들(256)은 저장소(31) 내로 돌출된다.
복수의 마킹들(256)의 치수들은 카트리지(200)의 적용 및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마킹들(256)은 3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의 결합된 최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최대 치수라는 문구는 복수의 마킹들(256)의 최대 길이/폭/두께가 밀리미터 단위로 인용된 양보다 커야 함을 의미한다.
복수의 마킹들(256)의 배향과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마킹들 및/또는 텍스트 표시기들(260)은 카트리지(200)가, 사용자가 이러한 복수의 마킹/텍스트 표시기들에 대해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측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1 배향 ― 제1 배향에서 카트리지(200)는 정상 사용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됨 ― 으로부터 제2 배향 ― 제2 배향은 제1 배향과 상이함 ―으로 반전/회전되어야 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카트리지의 그러한 실시예는 도 10c 내지 도 10e의 카트리지에 도시되며; 도 10f 내지 도 10h에 도시된 카트리지에 도시되며, 여기서,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텍스트 표시기들(260)에 대해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측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1 배향으로부터 제2 배향 ― 제2 배향은 업사이드 제1 방향으로부터 거꾸로되어 있음 ―으로 반전되어야 한다. 도 10c 내지 도 10e에 도시된 카트리지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의 부분(208)은 카트리지(2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표면(들)(209C; 209D)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면 표면들(209C; 209D)은 출구(60)를 향해 경사질 수 있다. 도 10c 내지 도 10e 및 도 10f 내지 도 10h에서, 부분(208)은 2개의 측면 표면들(209C; 209D) 상에 위치되고, 이들 각각은 카트리지(200)의 제1 전방 표면(209A)과 전방 표면(209A)에 대향하는 제2 후방 표면(209B) 사이에 위치된다. 도 10c 내지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서의 카트리지의 부분(208)은 제1 벽 부분(212)을 형성하고, 저장소(31) 내로의 관찰을 위한 한 쌍의 윈도우들(210), 이를 테면 측면 표면들(209C; 209D) 각각 상의 하나의 윈도우(210)를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200)의 부분(208)/각각의 윈도우(210)는 출구(60)에 근접한 제1 포지션으로부터 증발기(40)에 근접한 제2 포지션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0c 내지 도 10e 및 도 10f 내지 도 10h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마킹들(256) 및 텍스트 표시기들(260)은 저장소(31)의 제1 벽 부분(212) 상에 위치된다. 출구(60)에 근접하게 부분(208)/윈도우(210)를 위치시킴으로써, 이는, 카트리지(200)가 출구(60)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향될 때,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잔류 레벨들을 더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한다(예컨대, 그러한 카트리지들(200)이 출구(60)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향될 때 그리고 저장소(31)에 남아 있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L1)의 잔류 레벨이 있을 때 가시적인, 도 10d 및 도 10g에 예시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L1)의 예시적인 잔류 레벨을 참조).
카트리지(200)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10a에 도시된 카트리지로 돌아가면,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저장소(31)의 내용물들을 조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2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260)은 저장소에 위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저장소(31)의 벽에 부착될 수 있다. 광원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전력을 공급 받고,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카트리지(200)가 제어 유닛(4)에 (예컨대, 접촉 전극들(46)을 통해) 커플링될 때, 제어 유닛(4)의 전력 공급부(16)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카트리지(200)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카트리지(200)의 버전으로 돌아 가면, 카트리지(200)의 부분(208) 또는 제1 벽 부분(212)의 광학 특성은 카트리지(200)의 사용자에 의해 변화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카트리지(200)의 부분(208; 212)의 광학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200)의 부분의 광학 특성은 카트리지(200)의 부분으로 전류가(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접촉 전극들(46)을 통해) 공급될 때 변화되고 그리고/또는 전기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의 부분의 광학 특성은 버튼 또는 스위치(262)의 누름(pressing)에 대한 응답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 이를 테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전기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카트리지(200)가 (예컨대, 접촉 전극들(46)을 통해) 제어 유닛(4)에 커플링될 때, 제어 유닛(4)의 전력 공급부(16)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변화될 수 있는 광학 특성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200)의 부분(208; 212)의 반투명도 및/또는 투명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시적인 동작에서, 카트리지(200)의 부분은, 제1 상태 ― 제1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관찰할 수 없음 ― 및 제2 상태(예를 들어, 부분(208; 212)이 제1 상태에 있을 때보다 부분(208; 212)이 더 투명/반투명한 구성에 있음) ― 제2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음 ― 사이에서 변화/전환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의 부분(208; 212)을 위한 가능한 재료는 일렉트로크로믹 재료(electrochromic material)(260)이며, 이는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일렉트로크로믹 유리; 일렉트로크로믹 플라스틱; 및/또는 일렉트로크로믹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의 경우, 도 11c는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관찰할 수 없는 제1 상태의 카트리지의 부분(208; 212)을 예시하는 한편, 도 11b는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는 제2 상태의 카트리지의 부분(208; 212)을 예시한다.
카트리지(200)의 다른 수정된 버전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카트리지(200)의 표면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윤곽 표면(30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예컨대, 제1 전방 표면(209A); 전방 표면(209A)에 대향하는 제2 후방 표면(209B); 및/또는 전방 표면(209A)과 후방 표면(209B) 사이에 위치된 카트리지(200)의 측면 표면(들)(209C; 209D)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음). 피처가 없거나/평활하지 않은 표면인 윤곽 표면(300)의 기능은, 윤곽 표면과 광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207)의 가시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윤곽 표면(301)이 저장소(31)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 표면은 평활하지 않고, 피처가 없는 것이 아니며, 저장소(31)의 제1 단부(31A)로부터 저장소(31)의 제1 단부(31A)에 대향하는 제2 단부(31B)까지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윤곽 표면(301)은 저장소(31)의 원주 전체를 따라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윤곽 표면(301)은 저장소(31)의 원주의 절반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저장소(31)가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는 타원형 단면(206)을 포함하는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저장소(31)에 위치된 제1 윤곽 표면(301)은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장축과 타원형 단면(206)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교차부들에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윤곽 표면(301)은 단축과 타원형 단면(206)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교차부들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윤곽 표면(302)은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00)의 최외측 표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최외측 표면 상의 윤곽 표면(302)의 존재는, 카트리지(200)를 보다 양호하게 홀딩하기 위한 파지 수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뿐만 아니라, 최외측 표면이 불투명하지 않을 때, 윤곽 표면(302)과의 광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207)의 가시성을 개선한다. 요구되는 바와 같이, 윤곽 표면(302)은 일부 실시예들에서(도 12a의 경우에서와 같이)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카트리지(200)의 최외측 표면의 전체 둘레 주위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윤곽 표면(302)은 카트리지(200)의 최외측 표면의 원주의 절반 주위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윤곽 표면(301; 302)의 형상/윤곽들에 관하여,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윤곽 표면들(301; 302) 중 하나 이상은 복수의 표면 피처들, 이를 테면 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윤곽 표면들(301; 302) 중 하나 이상은 돌출부들 및/또는 오목부들(303)의 형태로 복수의 표면 피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윤곽 표면들(301; 302)로부터의 표면 피처들은 윤곽 표면과의 광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207)의 가시성을 개선한다.
윤곽 표면들(301; 302)과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윤곽 표면(301; 302) 각각은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폭) 방향보다 제1 (길이) 방향으로 더 길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윤곽 표면의 제1 방향은 카트리지(200)의 길이 방향 축(L)에 평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카트리지(200)의 표면 상에 위치된 평활한 표면(304), 이를 테면 저장소(31)에 위치된 표면 및/또는 카트리지(200)로부터 최외측 표면에 위치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이러한 평활한 표면들은 연마될 수 있다.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서, 평활한 표면(304)은 저장소(31)의 제1 측에 위치될 수 있고, 윤곽 표면(301)은 저장소(31)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위치된다. 도 12a는 카트리지(200)의 그러한 특정 실시예를 예시한다. 그 실시예에서, 2개의 대향하는 윤곽/평활한 표면들(301; 304)은 2개의 표면들(301; 304)과의 광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207)의 가시성을 추가로 개선할 수 있다. 더욱이, 저장소의 측면들 전체가 윤곽 표면들인 것과 대조적으로, 윤곽 표면들인 저장소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만을 갖는 것은 카트리지(200)의 툴링 및 제조를 더 용이하게 한다.
위의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카트리지(200)에서 사용되는 재료들의 관점에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벽 부분(212) 및/또는 제2 벽 부분(214)은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고/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벽 부분(212)은 제2 벽 부분(214)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은 2-샷 몰딩 기법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상이한 재료들 각각은 2-샷 몰딩 기법의 원 샷이다. 이는 비용, 제조 복잡성, 및/또는 사용되는 재료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원하는 특성들을 갖는 적절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을 형성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적절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들은 제1 벽 부분(212) 및 제2 벽 부분(214)에 대해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은 원샷 몰딩 기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장소(31) 및/또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이들 부분들을 위한 플라스틱의 제공은 카트리지(200)를 경량이고 제조하기 쉽게 만든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는 일반적으로 마우스피스 단부 및 계면 단부를 갖는 하우징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피스 단부는 카트리지를 위한 에어로졸 출구를 포함하고, 계면 단부는 카트리지를 제어 유닛에 커플링시키기 위한 계면을 포함한다. 공기 채널 벽(이는 카트리지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은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증발기 근처의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에어로졸 출구까지 연장된다. 카트리지는 에어로졸화(aerosolisation)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는 하우징 부분 내에 저장소를 갖는다. 저장소는 공기 채널 외부측에 있는 하우징 부분 내의 구역에 의해 규정되고, 하우징 부분의 계면 단부에서의 저장소의 단부는 베이스 부분 및 외부 벽을 포함하는 탄성 플러그에 의해 밀봉되고, 탄성 플러그의 외부 벽은 하우징 부분의 내부 표면과 밀봉부를 형성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개개의 단부들은, 저장소로부터 증발기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전달하기 위해, 공기 채널 내의 개구를 통해 또는 저장소 내로 통과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일부 특정 카트리지 구성의 일 양태는, 탄성 플러그(44)가 하우징 부분(32)에 밀봉부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특히,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 따르면, 하우징 부분(32)의 내부 표면에 밀봉되어 에어로졸 가능 재료 저장소의 단부를 형성하는 탄성 플러그(44)의 외부 벽(102)은,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증발기보다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로부터 더 멀리있는 포지션으로 연장된다. 즉,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단부들은 탄성 플러그의 외부 밀봉 벽에 의해 둘러싸인 구역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저장소 내로 연장된다. 이는, 저장소를 누설로부터 밀봉하는 것을 도울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에 공급하는 구역 내의 저장소의 기하학적 구조가 탄성 플러그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지배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이 구역에서의 저장소의 반경 방향 두께는 공기 채널을 따라 다른 길이 방향 포지션들에서 반경 방향 두께보다 더 작게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부근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포획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그에 의해 사용 동안 카트리지의 상이한 배향들에 대해 건조되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탄성 플러그의 외부 벽은, 예컨대, 계면 단부로부터 마우스피스 단부로 연장되는 (즉,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평행) 방향으로 적어도 5mm, 6mm, 7mm, 8mm, 9mm 및 10mm의 거리에 걸친 위치들에서 하우징 부분의 내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다. 탄성 플러그의 외부 벽은 이러한 거리의 대부분에 걸쳐 하우징의 내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거나, 또는 탄성 플러그의 외부 벽은 밀봉을 개선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수의(예컨대, 4 개의) 원주 방향 리지들(14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플러그는, 약간의 압축으로 편향되도록 하우징 부분의 개구에 대해 약간 오버사이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구현의 경우, 탄성 플러그가 이 도면의 평면에 삽입되는 하우징 부분의 내부 폭은 약 17.5mm인 반면, 탄성 플러그의 대응하는 폭은 약 18mm이고, 그에 의해, 하우징 부분 내로 삽입될 때 탄성 플러그를 압축되게 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우징 부분의 외부 단면은 180° 회전 하에서 대칭인 반면, 탄성 플러그(44)는 동일한 대칭을 갖지 않는데, 이는 왜냐하면 하우징 부분의 이중벽식 섹션(74)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채널 갭(76)을 수용하기 위해 일측면 상에 평탄부(142)를 포함하기 때문이다(즉, 탄성 플러그는 하우징 부분의 이중벽식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인 평면에 비대칭임).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저장소 내로 연장되는 환형 구역의 저장소의 반경 방향 크기/폭의 관점에서, 공기 채널 벽과 이 구역의 탄성 플러그의 외부 벽 사이의 거리는, 예컨대 3mm 내지 8mm의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타원형 하우징 부분 및 일반적으로 원형 공기 채널을 갖는 위에서 논의된 예시적인 카트리지에서, 저장소의 두께는 공기 채널 주위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상이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는, 축 방향으로 가장 넓은 구역의 저장소 내로, 즉 공기 채널 주위의 타원형 저장소의 "로브들(lobes)" 내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저장소 내로 연장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부분들은, 예컨대, 공기 채널 벽의 내부로부터 측정될 때, 2mm 내지 8mm의 범위, 예컨대 3mm 내지 7mm의 범위 또는 4mm 내지 6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그리고 구성의 다른 양태들에 대한) 특정 기하학적 구조는, 원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속도, 예컨대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의 모세관 강도 및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점도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고, 그리고 모델링 또는 경험적 테스트를 통해 주어진 카트리지 설계에 대해 확립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일부 특정 카트리지 구성들의 다른 양태는, 공기 채널이 카트리지를 통해, 그리고 특히, 공기 입구로부터 증발기의 부근(에어로졸 생성 구역)으로 라우팅되는 방식이다. 특히, 종래의 카트리지들에서, 통상적으로 공기 입구가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에 제공되는 반면,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는 저장소의 단부를 밀봉하는 탄성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보다 계면 단부로부터 더 멀리 있는 포지션에서 하우징 부분의 측벽에 위치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내의 공기 채널은 초기에, 공기 입구로부터 계면 단부쪽으로 라우팅되고, 그리고 방향을 변경하고 탄성 플러그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챔버에 진입하기 전에 탄성 플러그를 우회한다. 이는, 증발기에 가장 근접한 계면 단부에서 카트리지의 외부 표면이 폐쇄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예컨대, 포화/교반으로 인해) 공기 채널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에 의해 유지되지 않는 공기 채널의 개구들을 통해 들어오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또는 증발되었지만 사용 동안 공기 채널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로 다시 응축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둘 모두의 관점에서, 카트리지로부터의 누설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공기 입구로부터 하우징 부분의 계면 단부까지의 거리는 적어도 5mm, 6mm, 7mm, 8mm, 9mm 또는 10mm일 수 있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흡수성 요소, 예컨대, 스펀지 재료의 부분 또는 모세관 트랩을 형성하는 일련의 채널들이 공기 입구와 에어로졸 생성 챔버 사이에, 예컨대 탄성 플러그 및 단부 캡 사이에 공기 채널이 형성되는 구역에 제공될 수 있어, 공기 채널 내에 형성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흡수함으로써 누설의 위험을 추가로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공기 입구를 통해 또는 에어로졸 출구를 향해 공기 채널 주위로 에어로졸 가능 재료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에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출구로의 공기 채널은 탄성 플러그의 홀(106)을 통과하는 공기 통로의 가장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 플러그의 홀은 주로, 전자 시가렛에 대한 전체 흡인 저항(resistance to draw)을 제어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일부 특정 카트리지 구성의 다른 양태는, 분할 벽 요소가 공기 저장소를 2개의 구역들, 즉 분할 벽 위의(즉,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를 향한) 메인 구역 및 분리 벽 아래의(즉,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가 증발기로부터 저장소 내로 연장되는 곳과 동일한 분할 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공급 구역으로 분할하는 방식이다. 분할 벽은, 메인 구역 상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공급 구역으로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개구들을 포함한다. 분할 벽은, 예컨대, 전자 시가렛이 다양한 배향들을 통해 기울어질 때, 저장소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공급 구역에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이는 건조를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분할 벽은, 편리하게는, 탄성 플러그가 조립 동안 탄성 플러그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그리고 카트리지가 조립될 때 분할 벽과 단부 캡 사이에서 약간의 압축으로 탄성 플러그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탄성 플러그를 맞닿음/가압시키기 위한 기계적 정지부를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예에서, 분할 벽은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별개의 요소로서 형성되며, 하우징 부분의 내부 표면은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분할 벽에 위치하도록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와 대면하는 분할 벽의 측면과 접촉하게 배열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분할 벽은 하우징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예에서, 분할 벽은 공기 채널 주위에 환형 밴드의 형태이고, 밴드의 개개의 사분면들에 위치된 4개의 유체 연통 개구들(150)을 포함한다. 그러나, 분할 벽을 통해 더 많거나 더 적은 개구들이 상이한 구현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개별적인 개구들은, 예컨대, 4 ㎟ 내지 15 ㎟의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저장소 구역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공급 구역에 노출되는 분할 벽의 총 면적의 분율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들에 대한 결합된 면적은, 예컨대 20% 내지 80%; 30% 내지 70% 또는 40% 내지 60%일 수 있다.
위의 설명이 다수의 상이한 피처들을 포함하는 일부 특정 카트리지 구성들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리지들은 이러한 피처들을 모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일부 구현들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논의된 종류의 공기 경로, 즉, 카트리지의 측벽에 있고 증발기보다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 단부에 더 가까운 공기 입구를 갖는 공기 경로가 카트리지에 제공될 수 있고, 카트리지는 증발기 주위로 연장되는 외부 밀봉 벽을 갖는 탄성 플러그를 포함하지 않고 그리고/또는 위에서 논의된 종류의 분할 벽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증발기 주위로 연장되는 외부 밀봉 벽을 갖는 탄성 플러그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에 있고, 측벽에 있지 않으며, 또한, 위에서 논의된 종류의 분할 벽 요소를 갖지 않을 수 있는 카트리지 내로의 공기 입구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분할 벽 요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탄성 플러그를 위한 연장된 외부 밀봉 벽 및/또는 증발기보다 카트리지의 계면 단부로부터 더 멀리 위치된 공기 입구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가 설명되었으며,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카트리지(200) 및 제어 유닛(4)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200)가 또한 설명되었다. 카트리지(200)는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및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31)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저장소(31)로부터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증발기(40)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카트리지(200)의 표면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윤곽 표면(300), 이를 테면 저장소(31)에 위치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윤곽 표면(300)은, 윤곽 표면(300)과의 광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의 가시성을 개선한다.
카트리지(2; 200) 및 제어 유닛(4)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위한 카트리지(2; 200)가 또한 설명되며, 여기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 200)는 카트리지(2; 200)를 위한 공기 입구(5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60)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및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31)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207)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을 더 포함한다.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은, 윤곽 표면(300)과 광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저장소(31)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207)의 가시성을 개선하기 위해, 카트리지(2; 200)의 표면(301; 302)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윤곽 표면(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마지막에 있는 항목들에 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이 일부 특정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 대해 동일한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사용되는 증발기 또는 증발기 기술의 기저 형태의 관점에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양태들이 기능하는 특정 방식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들의 기초가 되는 원리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
그러한 점에서, 본원에 설명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증발기(40)가 카트리지에 위치된 다수의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증발기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제어 유닛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원의 교시들, 이를 테면,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및 윤곽 표면(300); 부분(208); 윈도우(210); 및/또는 광원(260)과 같은 그의 임의의 보다 특징적인 피처들)은 또한 카트리지(2; 200) 및 제어 유닛(4)을 명시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다른 형태들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또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본원에 제공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205)의 피처들 중 임의의 피처들, 이를 테면, 이는 윤곽 표면(300); 부분(208); 윈도우(210)는 구체적으로 카트리지(2; 200)의 일부로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당해 기술을 진전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보여준다. 개시내용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이며, 총망라하지 않으며, 그리고/또는 배타적이지 않다. 이들은 단지 이해를 돕고, 그리고 청구된 발명(들)을 교시하도록 제시된다. 본 개시의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대한 제한들로서, 또는 청구범위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과 다른 것들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고, 따라서 종속 청구항들/항목들의 특징들은 청구항들/항목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다른 조합들로 독립 청구항들/항목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는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추후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실상, 한 세트의 항목/청구항의 특징(들)의 임의의 조합은 나머지 세트의 항목/청구항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개별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세트의 항목들
1.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용 카트리지로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2. 항목 1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카트리지의 부분을 포함한다.
3. 항목 2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제1 측면 표면 및 제2 측면 표면을 포함하며, 측면 표면들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위치된다.
4. 항목 3에 있어서, 제1 측면 표면 및 제2 측면 표면은 출구를 향해 경사진다.
5. 항목 3 또는 항목 4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측면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위치된다.
6. 항목 5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양 측면 표면들 상에 위치된다.
7. 항목 3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제1 표면 상에 위치된다.
8. 항목 3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제2 표면 상에 위치된다.
9. 항목 2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출구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10. 항목 2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저장소 내를 보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한다.
11. 항목 2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반투명하다.
12. 항목 2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투명하다.
13. 항목 2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저장소의 제1 벽 부분을 형성하고, 제1 벽 부분은 1mm 이하의 최대 두께를 갖는다.
14. 항목 2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저장소의 제1 벽 부분을 형성하고, 저장소는 제2 벽 부분을 더 포함한다.
15. 항목 13 또는 항목 14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저장소 내부측의 제1 오목부를 규정한다.
16. 항목 13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상기 제1 벽 부분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측 표면 상의 제2 오목부를 규정한다.
17. 항목 14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2 벽 부분의 투명도보다 더 투명하다.
18. 항목 14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2 벽 부분의 반투명도보다 더 반투명하다.
19. 항목 14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1 유색 안료 농도를 포함하고, 제2 벽 부분은 제2 유색 안료 농도를 포함하며, 제1 농도는 제2 농도 미만이다.
20. 항목 19에 있어서, 제1 유색 안료 농도는 제1 벽 부분의 1kg 당 안료 1g 이하이다.
21. 항목 19 또는 항목 20에 있어서, 제1 유색 안료 농도는 제1 벽 부분의 1kg 당 안료 0.9g 이하이다.
22. 항목 19 내지 항목 2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유색 안료 농도는 제1 벽 부분의 1kg 당 안료 0.85g 이하이다.
23. 항목 19 내지 항목 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유색 안료 농도는 제2 벽 부분의 1kg 당 안료 1g 초과이다.
24. 항목 19 내지 항목 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유색 안료 농도는 제2 벽 부분의 1kg 당 안료 1.3g 초과이다.
25. 항목 19 내지 항목 2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유색 안료 농도는 제2 벽 부분의 1kg 당 안료 1.6g 초과이다.
26. 항목 13 내지 항목 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27. 항목 14 내지 항목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2 벽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28. 항목 14 내지 항목 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2 벽 부분의 최대 두께보다 더 작은 최대 두께를 갖는다.
29. 항목 14 내지 항목 2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2 벽 부분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30. 항목 1 내지 항목 2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에어로졸 출구 사이를 연장하며 에어로졸 생성 구역과 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지향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출구 튜브를 더 포함한다.
31. 항목 30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 출구 튜브 주위로 연장된다.
32. 항목 1 내지 항목 3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환형이다.
33. 항목 1 내지 항목 3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한다.
34. 항목 1 내지 항목 3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증발기가 카트리지에 위치된다.
35. 항목 1 내지 항목 34 중 어느 한 항목의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어 유닛은 카트리지를 제어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시키도록 카트리지와 협동적으로 맞물리게 배열된 계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수용 섹션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부 및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36. 항목 35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협동적으로 맞물리는 계면들을 통해 카트리지에 위치된 증발기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2 세트의 항목들
1.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용 카트리지로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2. 항목 1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사용자에 의한 카트리지의 일부의 가시성을 억제하기 위한 커버링 수단을 더 포함한다.
3. 항목 2에 있어서, 커버링 수단은, 카트리지의 표면에 부착된 불투명 재료 시트를 포함한다.
4. 항목 3에 있어서, 재료 시트는 라벨이다.
5. 항목 2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커버링 수단은 카트리지의 불투명 재료 형성 부분을 포함한다.
6. 항목 5에 있어서, 불투명 재료는 불투명 플라스틱이다.
7. 항목 2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분은 증발기를 포함한다.
8. 항목 2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분은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포함한다.
9. 항목 2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부분은 공기 채널을 포함한다.
10. 항목 1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11. 항목 1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카트리지의 부분을 더 포함한다.
12. 항목 11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반투명하다.
13. 항목 11 또는 항목 12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투명하다.
14. 항목 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에어로졸 출구 사이를 연장하며 에어로졸 생성 구역과 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지향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출구 튜브를 더 포함한다.
15. 항목 14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 출구 튜브 주위로 연장된다.
16. 항목 1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환형이다.
17.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한다.
18. 항목 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증발기가 카트리지에 위치된다.
19. 항목 1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의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어 유닛은 카트리지를 제어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시키도록 카트리지와 협동적으로 맞물리게 배열된 계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수용 섹션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부 및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20. 항목 19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협동적으로 맞물리는 계면들을 통해 카트리지에 위치된 증발기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3 세트의 항목들
1.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용 카트리지로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2. 항목 1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카트리지의 부분을 포함한다.
3. 항목 2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저장소 내를 보기 위한 윈도우를 포함한다.
4. 항목 2 또는 항목 3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의 광학 특성은 카트리지의 사용자에 의해 변화되도록 동작 가능하다.
5. 항목 2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의 광학 특성은 카트리지의 부분으로의 전류의 공급시에 변화되도록 동작 가능하다.
6. 항목 4 또는 항목 5에 있어서, 광학 특성은 카트리지의 부분의 반투명도이다.
7. 항목 4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광학 특성은 카트리지의 부분의 투명도이다.
8. 항목 4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의 광학 특성은 전기 신호에 응답하여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9. 항목 4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의 광학 특성은 버튼 또는 스위치의 누름(pressing)에 대한 응답으로 변화되도록 구성된다.
10. 항목 9에 있어서, 버튼 또는 스위치가 카트리지 상에 위치된다.
*11. 항목 2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를 포함한다.
12. 항목 11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는 일렉트로크로믹 유리를 포함한다.
13. 항목 11 또는 항목 12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는 일렉트로크로믹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14. 항목 1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는 일렉트로크로믹 잉크를 포함한다.
15. 항목 1 내지 항목 1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에어로졸 출구 사이를 연장하며 에어로졸 생성 구역과 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지향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출구 튜브를 더 포함한다.
16. 항목 15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 출구 튜브 주위로 연장된다.
17. 항목 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환형이다.
18. 항목 1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한다.
19. 항목 1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증발기가 카트리지에 위치된다.
20. 항목 1 내지 항목 19 중 어느 한 항목의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어 유닛은 카트리지를 제어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시키도록 카트리지와 협동적으로 맞물리게 배열된 계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수용 섹션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부 및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21. 항목 20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협동적으로 맞물리는 계면들을 통해 카트리지에 위치된 증발기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22. 항목 20 또는 항목 21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카트리지가 제어 유닛에 커플링될 때 제어 유닛의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제4 세트의 항목들
1.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용 카트리지로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2. 항목 1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카트리지의 부분을 포함한다.
3. 항목 2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저장소 내를 보기 위한 제1 윈도우를 포함한다.
4. 항목 3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저장소 내로 광을 허용하기 위한 제2 윈도우를 포함한다.
5. 항목 4에 있어서, 제2 윈도우는 제1 윈도우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6. 항목 4 또는 항목 5에 있어서, 제1 윈도우는 저장소의 제1 측면 상에 위치되고, 제2 윈도우는 저장소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 상에 위치된다.
7. 항목 3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각각의 윈도우는 3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의 최대 치수를 갖는다.
8. 항목 3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윈도우는 세장형이다.
9. 항목 2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반투명하다.
10. 항목 2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투명하다.
11. 항목 2 내지 항목 1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저장소의 제1 벽 부분을 형성하고, 제1 벽 부분은 1mm 이하의 최대 두께를 갖는다.
12. 항목 2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저장소의 제1 벽 부분을 형성하고, 저장소는 제2 벽 부분을 더 포함한다.
13. 항목 11 또는 항목 12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저장소 내부측의 제1 오목부를 규정한다.
14. 항목 1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카트리지의 외부측 표면 상의 제2 오목부를 규정한다.
15. 항목 12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2 벽 부분의 투명도보다 더 투명하다.
16. 항목 12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2 벽 부분의 반투명도보다 더 반투명하다.
17. 항목 12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2 벽 부분의 최대 두께보다 더 작은 최대 두께를 갖는다.
18. 항목 12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벽 부분은 제2 벽 부분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를 포함한다.
19. 항목 1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에어로졸 출구 사이를 연장하며 에어로졸 생성 구역과 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지향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출구 튜브를 더 포함한다.
20. 항목 19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 출구 튜브 주위로 연장된다.
21. 항목 1 내지 항목 2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환형이다.
22. 항목 1 내지 항목 2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한다.
23. 항목 1 내지 항목 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증발기가 카트리지에 위치된다.
24. 항목 1 내지 항목 23 중 어느 한 항목의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어 유닛은 카트리지를 제어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시키도록 카트리지와 협동적으로 맞물리게 배열된 계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수용 섹션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부 및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25. 항목 24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협동적으로 맞물리는 계면들을 통해 카트리지에 위치된 증발기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5 세트의 항목들
1.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용 카트리지로서,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를 포함하고;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더 포함한다.
2. 항목 1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저장소의 벽 상에 위치된다.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사용자가 복수의 마킹들에 대하여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카트리지 상에 이들 복수의 마킹들을 포함한다.
4. 항목 3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들은 복수의 평행 라인들을 포함한다.
5. 항목 3 또는 항목 4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들은 카트리지의 표면 내로 리세스된다(recessed).
6. 항목 3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은 카트리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7. 항목 3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은 저장소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8. 항목 3 내지 항목 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들은 불투명하다.
9. 항목 3 내지 항목 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들은 투명한 카트리지의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다.
10. 항목 3 내지 항목 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들은 반투명한 카트리지의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다.
11. 항목 9 또는 항목 10에 있어서, 카트리지의 부분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12. 항목 3 내지 항목 11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들은 저장소의 제1 벽 부분에 위치되고, 복수의 마킹들은 저장소 내로 돌출된다.
13. 항목 2 내지 항목 1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들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텍스트 표시자들을 포함한다.
14. 항목 13에 있어서, 텍스트 표시자들은 0% 내지 100%의 복수의 퍼센트 양들을 포함한다.
15. 항목 13 또는 항목 14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표시자들은 0과 1 사이의 복수의 분율들을 포함한다.
16. 항목 13 내지 항목 1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텍스트 표시자들은 야드-파운드법 단위들(imperial units)의 복수의 부피량들을 포함한다.
17. 항목 13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텍스트 표시자들은 미터법 단위들(metric units)의 복수의 부피량들을 포함한다.
18. 항목 2 내지 항목 1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복수의 마킹들은 30mm 이하의 결합된 최대 치수를 갖는다.
19. 항목 1 내지 항목 18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한다.
20. 항목 1 내지 항목 19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저장소의 내용물들을 조명하기 위한 광원을 포함한다.
21. 항목 20에 있어서, 광원은 전기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22. 항목 20항 또는 항목 21에 있어서, 광원은 저장소에 위치된다.
23. 항목 20 내지 항목 22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광원은 저장소의 벽에 부착된다.
24. 항목 1 내지 항목 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에어로졸 출구 사이를 연장하며 에어로졸 생성 구역과 출구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지향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출구 튜브를 더 포함한다.
25. 항목 24에 있어서, 저장소는 에어로졸 출구 튜브 주위로 연장된다.
26. 항목 1 내지 항목 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저장소는 환형이다.
27. 항목 1 내지 항목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증발기가 카트리지에 위치된다.
28. 항목 1 내지 항목 27 중 어느 한 항목의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어 유닛은 카트리지를 제어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시키도록 카트리지와 협동적으로 맞물리게 배열된 계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수용 섹션을 포함하며,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부 및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한다.
29. 항목 28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협동적으로 맞물리는 계면들을 통해 카트리지에 위치된 증발기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30. 항목 28 또는 항목 29에 있어서,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카트리지가 제어 유닛에 커플링될 때 제어 유닛의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31. 항목 28 내지 항목 30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항목 20 내지 항목 23 중 어느 한 항목에 더 의존하는 경우, 광원은, 카트리지가 제어 유닛에 커플링될 때 제어 유닛의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32.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로부터 저장소 내부측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하는 방법으로서,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출구;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에어로졸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 및
사용자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하기 위해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33. 항목 32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는 하우징 부분 내의 저장소; 및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저장소로부터 증발기로 운송하기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를 포함하며;
방법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 운송 요소를 통해 저장소로부터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통과시키는 단계, 및 증발기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구역 내부측에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Claims (37)

  1.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용 카트리지로서,
    상기 시스템은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를 위한 공기 입구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구역을 통해 출구로 연장되는 공기 채널(air channel);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기 위한 저장소(reservoir)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소 내부측의 에어로졸 가능 재료의 레벨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aerosolisable-material-level observation means)을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표면 상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윤곽 표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제1 측면 표면 및 제2 측면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표면들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측면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측면 표면들 둘 모두 상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6. 제3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제1 표면 상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7. 제3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제2 표면 상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8. 제2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출구 근처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9. 제2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저장소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장축 및 단축을 포함하는 타원형 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장축과 상기 타원형 단면의 교차점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단축과 상기 타원형 단면의 교차점에 위치되지 않는,
    카트리지.
  12. 제2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저장소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저장소의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로 연장되는,
    카트리지.
  13. 제2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저장소의 둘레의 전체 주위로 연장되지 않는,
    카트리지.
  14. 제2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카트리지의 최외측 표면 상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카트리지의 최외측 표면의 원주 전체 둘레로 연장되지 않는,
    카트리지.
  16. 제2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복수의 홈들(grooves)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17. 제2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 표면은 복수의 돌출부들 및/또는 오목부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18. 제1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표면 상에 위치된 평활한 표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한 표면은 상기 저장소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20.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한 표면은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최외측 표면 상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21. 제1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상기 저장소 내부측의 평활한 표면, 및 상기 저장소 내부측의 윤곽 표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한 표면은 상기 저장소의 제1 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윤곽 표면은 상기 저장소의 제1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측면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23. 제18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한 표면은 연마되는,
    카트리지.
  24. 제1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카트리지.
  25. 제1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카트리지.
  26. 제1 항 내지 제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가능 재료 레벨 관찰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의 부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부분은 반투명한,
    카트리지.
  28. 제26 항 또는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부분은 투명한,
    카트리지.
  29. 제1 항 내지 제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구역과 상기 출구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에어로졸 생성 구역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상기 출구로 지향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출구 튜브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상기 에어로졸 출구 튜브 주위로 연장되는,
    카트리지.
  31. 제1 항 내지 제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환형(annular)인,
    카트리지.
  32. 제1 항 내지 제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상기 카트리지의 출구에 근접한 제1 단부, 및 상기 증발기에 근접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33. 제1 항 내지 제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타원형 단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34. 제1 항 내지 제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에어로졸화를 위한 에어로졸 가능 재료를 보유하는,
    카트리지.
  35. 제1 항 내지 제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카트리지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36. 제1 항 내지 제35 항 중 어느 한 항의 카트리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제어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시키도록 상기 카트리지와 협동적으로 맞물리게 배열된 계면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수용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전력 공급부 및 제어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37. 제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부는,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협동적으로 맞물리는 계면들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에 위치된 상기 증발기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1020237040069A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202301621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912477.5A GB201912477D0 (en) 2019-08-30 2019-08-30 Aerosol provision systems
GB1912477.5 2019-08-30
PCT/GB2020/051928 WO2021038189A1 (en) 2019-08-30 2020-08-13 Aerosol provision systems
KR1020227006487A KR20220038756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487A Division KR20220038756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154A true KR20230162154A (ko) 2023-11-28

Family

ID=6820710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491A KR20220038757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1020237037528A KR20230154115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1020227006487A KR20220038756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1020237037529A KR20230155606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1020237040069A KR20230162154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491A KR20220038757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1020237037528A KR20230154115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1020227006487A KR20220038756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1020237037529A KR20230155606A (ko) 2019-08-30 2020-08-13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5) US20220295884A1 (ko)
EP (5) EP3849353B1 (ko)
JP (4) JP7468854B2 (ko)
KR (5) KR20220038757A (ko)
CN (5) CN114554886A (ko)
AU (3) AU2020338836B2 (ko)
BR (2) BR112022003990A2 (ko)
CA (2) CA3152832A1 (ko)
CL (2) CL2022000446A1 (ko)
CO (2) CO2022001629A2 (ko)
DE (1) DE202020005553U1 (ko)
ES (2) ES2951530T3 (ko)
FI (2) FI3849353T3 (ko)
GB (6) GB201912477D0 (ko)
HU (2) HUE062676T2 (ko)
IL (2) IL290522A (ko)
MX (2) MX2022002494A (ko)
NZ (1) NZ775041A (ko)
PL (2) PL3849353T3 (ko)
WO (2) WO2021038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2477D0 (en) 2019-08-30 2019-10-16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s
GB201914831D0 (en) * 2019-10-14 2019-11-27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s
JP7314473B2 (ja) 2019-11-06 2023-07-26 株式会社東京精密 相関関係生成方法、測定力調整方法及び表面性状測定装置
US20230123567A1 (en) * 2021-09-24 2023-04-20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Aerosol provis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110Y1 (ko) * 2011-03-24 2011-06-15 윤성훈 전자담배
US8528569B1 (en) 2011-06-28 2013-09-10 Kyle D. Newton Electronic cigarette with liquid reservoir
CN203341009U (zh) * 2013-06-18 2013-12-18 刘志宾 一种电子烟雾化器
US10980273B2 (en) * 2013-11-12 2021-04-20 VMR Products, LLC Vaporizer, charger and methods of use
WO2015070532A1 (zh) * 2013-11-18 2015-05-21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雾化器及电子烟
US10058129B2 (en) *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CN106413440B (zh) * 2014-04-14 2019-05-17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
WO2016015246A1 (zh) * 2014-07-30 2016-02-0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多个雾化组件的电子烟
US10246223B2 (en) 2014-07-31 2019-04-02 Kessler Containers, Ltd. Blow molded container having a protruding view stripe
CN204169060U (zh) * 2014-09-30 2015-02-25 惠州威健锂能电子有限公司 一种透明管一体化一次性雾化器
CN204232301U (zh) * 2014-11-13 2015-04-0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雾化器及电子烟
CN204306042U (zh) * 2014-11-14 2015-05-06 深圳市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吸入器及其雾化组件
WO2016109942A1 (zh) * 2015-01-06 2016-07-14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一种雾化组件及电子烟
KR20160086118A (ko) * 2015-01-09 2016-07-19 오재호 하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전자담배
CN104738816A (zh) * 2015-02-04 2015-07-0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雾化器和电子烟以及适于更换的储液器件
WO2016123781A1 (zh) * 2015-02-05 2016-08-11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雾化组件及电子烟
US10602774B2 (en) * 2015-04-22 2020-03-31 Altria Client Services Llc E-vapor devices including pre-sealed cartridges
US10064432B2 (en) * 2015-04-22 2018-09-04 Altria Client Services Llc Pod assembly, dispensing body, and E-vapor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7024478A1 (zh) * 2015-08-10 2017-02-16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深圳分公司 一种雾化组件
US10092036B2 (en) * 2015-12-28 2018-10-09 Rai Strategic Holdings, Inc.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housing and a coupler
US10051894B2 (en) 2016-08-01 2018-08-21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and e-vaping device with serpentine heater
WO2018048813A1 (en) * 2016-09-06 2018-03-15 Juul Labs, Inc. Vaporizer apparatus
CN106263041B (zh) * 2016-09-19 2019-03-29 林光榕 方便加液的电子烟雾化器
US20200046024A1 (en) 2016-10-26 2020-02-13 Shenzhen Smoore Technology Limited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core thereof and atomizer thereof
CN110325060B (zh) 2016-12-27 2022-11-08 尤尔实验室有限公司 用于电子蒸发器的热芯吸部
US10015991B1 (en) 2016-12-29 2018-07-10 Altria Client Services Llc Hybrid E-vaping cartridge, E-vaping device including a hybrid E-vaping cartridge,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7072322B (zh) * 2017-02-06 2020-01-10 东莞市爱华实业有限公司 一种电子烟
JP7169998B2 (ja) 2017-06-02 2022-11-11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交換可能なアトマイザーを備える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CN207341176U (zh) * 2017-07-07 2018-05-11 珠海优德科技有限公司 一种隐藏式进气的电子烟雾化器
GB201720849D0 (en) * 2017-12-17 2018-01-31 Nicoventures Holdings Ltd Vapour provision systems
RU2764430C1 (ru) 2018-01-29 2022-01-17 Филип Моррис Продактс С.А. Блок подсветки для систем, генерирующих аэрозоль
CN111970937A (zh) * 2018-02-27 2020-11-20 尤尔实验室有限公司 质量输出受控的蒸发器
EP3871545A4 (en) * 2018-10-26 2022-11-16 Changzhou Patent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CARTRIDGE AND ELECTRONIC CIGARETTE
WO2020088602A1 (zh) * 2018-11-02 2020-05-07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电子烟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烟
CN109757777B (zh) * 2018-11-06 2022-03-29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雾化器及其外壳的成型模具
CN109330038B (zh) * 2018-12-24 2021-05-11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雾化器及电子烟
CN109717519B (zh) * 2019-03-13 2021-07-27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电子烟
GB201910509D0 (en) * 2019-07-23 2019-09-04 Nicoventures Holdings Ltd Porpus element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912477D0 (en) 2019-08-30 2019-10-16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623206A (en) 2024-04-10
JP7248224B2 (ja) 2023-03-29
GB2618693B (en) 2024-05-08
GB2615850A (en) 2023-08-23
AU2020339775B2 (en) 2023-05-25
GB2600275B (en) 2022-12-21
JP2024052740A (ja) 2024-04-12
MX2022002494A (es) 2022-03-22
US20240049804A1 (en) 2024-02-15
CN117243415A (zh) 2023-12-19
US20220295884A1 (en) 2022-09-22
CN117297179A (zh) 2023-12-29
JP2022546263A (ja) 2022-11-04
WO2021038189A1 (en) 2021-03-04
CN117378817A (zh) 2024-01-12
CN114554886A (zh) 2022-05-27
HUE062676T2 (hu) 2023-11-28
FI3849352T3 (fi) 2023-07-26
MX2022002493A (es) 2022-03-22
KR20230154115A (ko) 2023-11-07
US20240081426A1 (en) 2024-03-14
KR20220038757A (ko) 2022-03-29
CO2022002063A2 (es) 2022-04-08
AU2020339775A1 (en) 2022-03-24
US20220287379A1 (en) 2022-09-15
GB202310275D0 (en) 2023-08-16
DE202020005553U1 (de) 2021-08-17
EP4295715A3 (en) 2024-03-06
EP3849353B1 (en) 2023-06-07
GB202216140D0 (en) 2022-12-14
IL290621A (en) 2022-04-01
JP2024045304A (ja) 2024-04-02
EP4356766A2 (en) 2024-04-24
GB202317503D0 (en) 2023-12-27
GB2592332A (en) 2021-08-25
BR112022004004A2 (pt) 2022-05-31
IL290522A (en) 2022-04-01
CN114554885A (zh) 2022-05-27
CA3152832A1 (en) 2021-03-04
US20240049805A1 (en) 2024-02-15
EP4215070A1 (en) 2023-07-26
AU2020338836B2 (en) 2023-06-29
FI3849353T3 (fi) 2023-07-25
PL3849352T3 (pl) 2023-10-23
JP7468854B2 (ja) 2024-04-16
GB2592332B (en) 2022-03-30
ES2951530T3 (es) 2023-10-23
AU2020338836A1 (en) 2022-03-24
CA3152695A1 (en) 2021-03-04
EP3849352A1 (en) 2021-07-21
NZ775041A (en) 2024-03-22
CL2022000501A1 (es) 2022-10-21
EP4295715A2 (en) 2023-12-27
GB201912477D0 (en) 2019-10-16
KR20220038756A (ko) 2022-03-29
PL3849353T3 (pl) 2023-09-04
JP2022546244A (ja) 2022-11-04
HUE062600T2 (hu) 2023-11-28
GB2618693A (en) 2023-11-15
GB202108221D0 (en) 2021-07-21
ES2951529T3 (es) 2023-10-23
KR20230155606A (ko) 2023-11-10
CL2022000446A1 (es) 2023-02-10
CO2022001629A2 (es) 2022-03-18
BR112022003990A2 (pt) 2022-05-31
EP3849352B1 (en) 2023-06-07
GB2615850B (en) 2024-04-17
EP3849353A1 (en) 2021-07-21
GB2600275A (en) 2022-04-27
WO2021038192A1 (en) 2021-03-04
AU2023216783A1 (en) 2023-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5657B1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KR20230162154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
EP3968795B1 (en) Aerosol provision systems
KR20240067110A (ko)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