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896A - 동익 분리 장치, 및 동익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동익 분리 장치, 및 동익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896A
KR20230160896A KR1020237036545A KR20237036545A KR20230160896A KR 20230160896 A KR20230160896 A KR 20230160896A KR 1020237036545 A KR1020237036545 A KR 1020237036545A KR 20237036545 A KR20237036545 A KR 20237036545A KR 20230160896 A KR20230160896 A KR 20230160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lade
base
contact
axis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카즈 사카구치
리쿠 우에사토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0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89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4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engines
    • B23P19/045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engines for assembling valve cotters and retainers of engin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70Disassembly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동익 분리 장치는, 압출 기구와, 상기 압출 기구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압출 기구는, 동익에 접촉 가능한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제1 베이스 단부로부터 제1 높이 측으로 뻗는 반력 수용부와, 상기 베이스의 제2 베이스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높이 측을 향하여, 디스크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한 외주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반력 수용부는, 제2 이동 측을 향하여, 디스크의 제1 단면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가압 수용부는, 제1 이동 측을 향하고, 상기 구동 기구에서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는 기구 단면과 접촉 가능한 기구 접촉면을 갖는다.

Description

동익 분리 장치, 및 동익 분리 방법
본 발명은, 축류 회전 기계에 있어서의 동익(動翼)의 분리 장치, 및, 동익의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5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21-088264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축류 회전 기계의 일종인 축류 압축기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로터와, 이 로터를 덮는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는, 로터축과, 이 로터축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렬을 갖는다. 각 동익렬은,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동익렬은, 모두, 축선에 대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동익을 갖는다. 또한, 이하의 설명의 편의상,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일방 측을 축선 상류 측, 타방 측을 축선 하류 측으로 한다.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축류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축류 압축기의 로터축은, 복수의 동익렬마다의 디스크를 갖는다. 복수의 디스크는, 모두,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원판상을 이루고 있다. 로터축은, 복수의 디스크가 축선 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각 디스크는, 외주면과, 전단면(前端面)과, 후단면(後端面)과, 복수의 익근(翼根) 홈을 갖는다. 전단면은, 외주면의 축선 상류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 내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후단면은, 외주면의 축선 하류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복수의 익근 홈은, 모두,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고, 후단면으로부터 축선 방향에 대한 비틀림 방향을 향하여 뻗어 전단면까지 관통하고 있다. 복수의 동익은, 모두, 직경 방향으로 뻗는 익체(翼體)와, 이 익체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고, 익근 홈에 끼워져 있는 익근을 갖는다.
특허문헌 1에는, 또한, 디스크에 장착되어 있는 동익의 분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분리 장치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는 펀치를 갖는다. 작업자는, 이 분리 장치를 동익의 축선 하류 측에 배치한 후, 이 분리 장치의 지지부를, 축선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디스크의 사이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2개의 디스크 중, 축선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류 측 디스크의 후단면과, 축선 하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하류 측 디스크의 전단면의 사이에, 지지부를 배치한다. 이 결과, 지지부는, 각 디스크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 펀치의 선단은, 상류 측 디스크에 끼워져 있는 익근의 단면에 접촉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펀치를 구동하고, 펀치로, 익근을 축선 상류 측으로 이동시킨다.
익근을 축선 상류 측으로 이동시킬 때, 펀치 및 지지부에는, 익근으로부터 축선 하류 측의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힘에 대하여, 지지부에는, 하류 측 디스크의 전단면으로부터 반력이 작용하여, 축선 방향으로의 지지부의 이동이 규제된다. 따라서, 지지부 내에서 가장 축선 하류 측에 위치하고, 축선 하류 측을 향하는 면이 반력 수용면을 이룬다. 이와 같이, 이 분리 장치의 반력 수용면은, 분리 대상의 날개보다, 축선 하류 측에 위치한다.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2015/0218948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익의 분리 장치에서는, 상류 측 디스크의 후단면과 하류 측 디스크의 전단면의 사이에 지지부를 배치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상류 측 디스크의 후단면과 하류 측 디스크의 전단면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이상 길어야 한다. 이 때문에, 상류 측 디스크의 후단면과 하류 측 디스크의 전단면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동익의 분리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본 개시는, 상류 측 디스크의 후단면과 하류 측 디스크의 전단면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서도, 디스크로부터 동익을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관한 일 양태로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디스크로부터 동익을 분리하는 동익 분리 장치이다. 상기 디스크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외주면과, 상기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축선 제1 측을 향하는 제1 단면과, 상기 축선 제1 측과는 반대 측의 축선 제2 측을 향하는 제2 단면과, 익근 홈을 갖는다. 상기 제1 단면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축선 제1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확장된다. 상기 제2 단면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축선 제2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확장된다. 상기 익근 홈은,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고, 상기 제2 단면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하여 비틀린 홈 관통 방향을 향하여 뻗어 상기 제1 단면까지 관통한다. 상기 동익은,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에 수직인 단면(斷面)이 익형(翼形)을 이루고, 상기 직경 방향으로 뻗는 익체와, 상기 익체의 상기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익근 홈에 끼워져 있는 익근을 갖는다.
상기 동익 분리 장치는, 압출 기구와, 상기 압출 기구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동익에 접촉 가능한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이동 측의 단부(端部)인 제1 베이스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과 상이한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높이 측으로 뻗는 반력 수용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이동 측과는 반대 측의 제2 이동 측의 단부인 제2 베이스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높이 측을 향하여, 상기 외주면에 접촉 가능한 외주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반력 수용부는, 상기 외주 접촉면의 상기 제1 이동 측의 단(端)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으로 뻗고,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단면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가압 수용부는, 상기 제1 이동 측을 향하고, 상기 구동 기구에서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는 기구 단면과 접촉 가능한 기구 접촉면을 갖는다.
본 양태에서는, 동익을 제1 이동 측으로 이동시킬 때, 동익으로부터 제2 이동 측에 대한 힘이 작용하는 프레임에 대하여, 디스크로부터 제1 이동 측에 대한 반력을 작용시켜, 제2 이동 측에 대한 프레임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프레임의 반력 수용부는, 분리 대상의 동익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의 반력을 받는다. 본 양태에서는, 동익의 제2 이동 측에 접촉단을 배치하지만, 분리 대상의 동익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 수용부가 베이스의 제1 이동 측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양태에서는, 동익 분리 장치 모두를 분리 대상의 동익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에 배치하는 경우보다, 본 양태의 동익 분리 장치 중에서 분리 대상의 동익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분리 대상의 동익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의 제2 단면과, 이 디스크의 축선 제2 측에 인접하고 있는 다른 디스크의 제1 단면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서도, 분리 대상의 동익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에 동익 분리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관한 일 양태로서의 동익 분리 방법은, 디스크로부터 동익을 분리하는 동익 분리 방법이다. 상기 디스크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외주면과, 상기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축선 제1 측을 향하는 제1 단면과, 상기 축선 제1 측과는 반대 측의 축선 제2 측을 향하는 제2 단면과, 익근 홈을 갖는다. 상기 제1 단면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축선 제1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확장된다. 상기 제2 단면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축선 제2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확장된다. 상기 익근 홈은,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고, 상기 제2 단면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하여 비틀린 홈 관통 방향을 향하여 뻗어 상기 제1 단면까지 관통한다. 상기 동익은,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에 수직인 단면(斷面)이 익형(翼形)을 이루고, 상기 직경 방향으로 뻗는 익체와, 상기 익체의 상기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익근 홈에 끼워져 있는 익근을 갖는다.
상기 동익 분리 방법에서는, 동익 분리 장치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동익 분리 장치를 상기 디스크에 배치하는 장치 배치 공정과, 상기 동익 분리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디스크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동익을 이동시키는 동익 이동 공정을 실행한다. 상기 준비 공정에서 준비하는 상기 동익 분리 장치는, 압출 기구와, 상기 압출 기구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한다.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동익에 접촉 가능한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이동 측의 단부(端部)인 제1 베이스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과 상이한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높이 측으로 뻗는 반력 수용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이동 측과는 반대 측의 제2 이동 측의 단부인 제2 베이스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높이 측을 향하여, 상기 외주면에 접촉 가능한 외주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반력 수용부는, 상기 외주 접촉면의 상기 제1 이동 측의 단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으로 뻗고,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단면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가압 수용부는, 상기 제1 이동 측을 향하고, 상기 구동 기구에서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는 기구 단면과 접촉 가능한 기구 접촉면을 갖는다. 상기 장치 배치 공정에서는, 상기 홈 관통 방향에 상기 접촉단의 상기 이동 방향을 맞추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외주 접촉면을 상기 외주면에 접촉시키며, 상기 반력 수용부의 단 접촉면을 상기 제1 단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접촉단을 상기 동익의 상기 제2 이동 측에 배치하여, 상기 접촉단과 상기 동익을 상기 이동 방향에서 대향시킨다. 상기 동익 이동 공정에서는,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시켜, 상기 접촉단을 상기 제1 이동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동익을 상기 제1 이동 측으로 이동시킨다.
본 양태의 동익 분리 방법에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와 동일하게, 분리 대상의 동익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의 제2 단면과, 이 디스크의 축선 제2 측에 인접하고 있는 다른 디스크의 제1 단면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서도, 분리 대상의 동익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에 동익 분리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류 측 디스크의 후단면과 하류 측 디스크의 전단면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서도, 디스크로부터 동익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관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 터빈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II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I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에 관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의 수순을 나타내는 플로 차트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관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회전 공정 후의 로터의 요부(要部)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치 배치 공정 후의 로터의 요부 및 동익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치 배치 공정 후의 로터의 요부 및 동익 분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이동 공정 중의 로터의 요부 및 동익 분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에 관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후의 로터의 요부 및 동익 분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관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장치 배치 공정 후의 로터의 요부 및 동익 분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축류 회전 기계의 실시형태>
먼저, 동익 분리 장치 및 동익 분리 방법이 적용되는 축류 회전 기계에 대하여, 도 1~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익 분리 장치 및 동익 분리 방법이 적용되는 축류 회전 기계는, 가스 터빈의 압축기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스 터빈(1)은, 공기(A)를 압축하는 압축기(30)와, 압축기(30)로 압축된 공기(A) 중에서 연료(F)를 연소시켜 연소 가스(G)를 생성하는 연소기(20)와, 연소 가스(G)에 의하여 구동되는 터빈(10)을 구비하고 있다.
압축기(30)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압축기 로터(31)와, 압축기 로터(31)를 덮는 압축기 케이싱(35)과, 복수의 정익렬(37)을 갖는다. 터빈(10)은,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터빈 로터(11)와, 터빈 로터(11)를 덮는 터빈 케이싱(15)과, 복수의 정익렬(17)을 갖는다. 여기에서, 축선(Ar)이 뻗는 방향을 축선 방향(Da), 이 축선(Ar)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을 간단히 둘레 방향(Dc)으로 하고, 축선(Ar)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직경 방향(Dr)으로 한다. 또, 축선 방향(Da)의 양측 중, 일방 측을 축선 상류 측(Dau), 그 반대 측을 축선 하류 측(Dad)으로 한다. 또한, 직경 방향(Dr)에서 축선(Ar)에 가까워지는 측을 직경 방향 내측(Dri), 그 반대 측을 직경 방향 외측(Dro)으로 한다.
압축기(30)는, 터빈(10)의 축선 상류 측(Dau)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 로터(31)와 터빈 로터(11)는, 동일 축선(Ar) 상에 위치하고, 서로 접속되어 가스 터빈 로터(2)를 이룬다. 이 가스 터빈 로터(2)에는, 예를 들면, 발전기(GEN)의 로터가 접속된다. 가스 터빈(1)은, 중간 케이싱(6)을 더 구비한다. 이 중간 케이싱(6)은, 축선 방향으로, 압축기 케이싱(35)과 터빈 케이싱(1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소기(20)는, 이 중간 케이싱(6)에 장착되어 있다. 압축기 케이싱(35), 중간 케이싱(6) 및 터빈 케이싱(15)은, 서로 접속되어 가스 터빈 케이싱(5)을 이룬다.
터빈 로터(11)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 방향(Da)으로 뻗는 로터축(12)과, 이 로터축(12)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렬(13)을 갖는다. 복수의 동익렬(13)은, 축선 방향(Da)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동익렬(13)은, 모두,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동익렬(13)의 각 축선 상류 측(Dau)에는, 복수의 정익렬(17) 중 어느 하나의 정익렬(17)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정익렬(17)은, 터빈 케이싱(15)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정익렬(17)은, 모두,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정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 로터(31)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축선 방향(Da)으로 뻗는 로터축(32)과, 이 로터축(32)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렬(33)을 갖는다. 복수의 동익렬(33)은, 축선 방향(Da)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동익렬(33)은, 모두,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동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동익렬(33)의 각 축선 하류 측(Dad)에는, 복수의 정익렬(37) 중 어느 하나의 정익렬(37)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정익렬(37)은, 압축기 케이싱(35)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정익렬(37)은, 모두, 둘레 방향(Dc)으로 나열되어 있는 복수의 정익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30)의 로터축(32)은, 복수의 동익렬(33)마다의 디스크(40)를 갖는다. 복수의 디스크(4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두,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원판상을 이루고 있다. 로터축(32)은, 복수의 디스크(40)가 축선 방향(Da)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동익렬(33)을 구성하는 복수의 동익(50)은, 모두, 직경 방향(Dr)으로 뻗고, 이 직경 방향(Dr)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 형상이 익형을 이루는 익체(51)와, 익체(51)의 직경 방향 내측(Dri)에 마련되어 있는 익근(52)을 갖는다. 익근(52)은, 축선 상류 측(Dau)을 향하는 익근 전단면(53f)과, 축선 하류 측(Dad)을 향하는 익근 후단면(53b)을 갖는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복수의 동익렬(33) 중, 가장 축선 상류 측(Dau)의 초단(初段) 동익렬(33f)과, 이 초단 동익렬(33f)이 장착되어 있는 초단 디스크(40f)와, 초단 동익렬(33f)의 축선 하류 측(Dad)에 인접하는 제2 단 동익렬(33s)과, 이 제2 단 동익렬(33s)이 장착되어 있는 제2 단 디스크(40s)가 그려져 있다.
원판상의 디스크(40)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한 원판상의 몸통부(41)와, 몸통부(41)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동익 장착부(43)를 갖는다. 몸통부(41)는, 축선 상류 측(Dau)을 향하는 내측 전단면(42f)과, 축선 하류 측(Dad)을 향하는 내측 후단면(42b)을 갖는다. 내측 후단면(42b)은, 내측 전단면(42f)과 서로 맞대는 관계이다. 디스크(40)의 내측 후단면(42b)은, 이 디스크(40)의 축선 하류 측(Dad)에 인접하고 있는 다른 디스크(40)의 내측 전단면(42f)과 접촉하고 있다. 동익 장착부(43)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Dc)으로 확장되어 있는 외주면(44)과, 축선 상류 측(Dau)을 향하는 외측 전단면(45f)과, 축선 하류 측(Dad)을 향하는 외측 후단면(45b)과, 익근 홈(46)을 갖는다. 외측 전단면(45f)은, 외주면(44)의 축선 상류 측(Dau)의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Dri)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 외측 전단면(45f)은, 내측 전단면(42f)보다, 축선 하류 측(Dad)에 위치한다. 외측 후단면(45b)은, 외주면(44)의 축선 하류 측(Dad)의 가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Dri)으로 확장되어 있다. 이 외측 후단면(45b)은, 내측 후단면(42b)보다, 축선 상류 측(Dau)에 위치한다. 따라서,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외측 전단면(45f)과 외측 후단면(45b)의 사이의 거리는,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내측 전단면(42f)과 내측 후단면(42b)의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익근 홈(46)은, 외주면(44)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Dri)을 향하여 오목하다. 이 익근 홈(46)은, 축선 방향(Da)에 대하여 비틀린 홈 관통 방향(Dp)을 향하여 뻗고, 동익 장착부(43)를 관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익근 홈(46)은, 외측 후단면(45b)에서 개구되어 있는 후단 개구(47b)와, 외측 전단면(45f)에서 개구되어 있는 전단 개구(47f)를 갖는다. 동익(50)의 익근(52)은, 이 익근 홈(46)에 끼워져 있다.
<동익 분리 장치의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동익 분리 장치(60)는, 압출 기구(61)와, 압출 기구(61)가 장착되는 프레임(70)과, 복수의 스페이서(90)와, 걸림구(91, 95)를 구비한다.
압출 기구(61)는, 동익(50)에 접촉 가능한 접촉단(62)과, 접촉단(62)을 이동 방향(Dm)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로서의 유압 실린더(65)를 갖는다. 여기에서, 이동 방향(Dm)에 있어서의 양측 중, 일방 측을 제1 이동 측(Dm1), 타방 측을 제2 이동 측(Dm2)으로 한다. 또, 이동 방향(Dm)에 수직인 방향을 높이 방향(Dh), 이동 방향(Dm) 및 높이 방향(Dh)에 수직인 방향을 폭 방향(Dw)으로 한다. 또한, 높이 방향(Dh)의 양측 중, 일방 측을 제1 높이 측(Dh1)으로 하고, 타방 측을 제2 높이 측(Dh2)으로 한다. 유압 실린더(65)는, 접촉단(62)으로부터 제2 이동 측(Dm2)으로 뻗는 피스톤 로드(66)와, 피스톤 로드(66)의 제2 이동 측(Dm2)의 단에 마련되어 있는 피스톤(67)과, 피스톤(67)이 이동 방향(Dm)으로 이동 가능하게 피스톤(67)을 덮는 실린더 케이싱(68)을 갖는다. 이 실린더 케이싱(68)은, 실린더 케이싱(68) 중에서 가장 제2 이동 측(Dm2)에 위치하고, 제2 이동 측(Dm2)을 향하는 케이싱 바닥면(69)을 갖는다. 이 케이싱 바닥면(69)은, 유압 실린더(65)인 구동 기구의 기구 단면(69)이다.
프레임(70)은, 베이스(71)와, 베이스 연결부(79)와, 반력 수용부(81)와, 가압 수용부(85)를 갖는다.
베이스(71)는, 이동 방향(Dm)으로 뻗는 제1 베이스(71f) 및 제2 베이스(71s)를 갖는다. 제2 베이스(71s)는, 제1 베이스(71f)로부터 폭 방향(Dw)으로 떨어져 배치된다. 제1 베이스(71f) 및 제2 베이스(71s)는, 모두, 제1 이동 측(Dm1)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73)와, 제2 이동 측(Dm2)의 단부인 제2 베이스 단부(74)와, 제1 베이스 단부(73)와 제2 베이스 단부(74)의 사이의 베이스 중간부(75)를 갖는다. 베이스 중간부(75)는, 제1 높이 측(Dh1)을 향하여 디스크(40)의 외주면(44)에 접촉 가능한 외주 접촉면(76)을 갖는다.
베이스 연결부(79)는, 폭 방향(Dw)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베이스(71f)와 제2 베이스(71s)를 연결한다. 이 베이스 연결부(79)에 있어서의 폭 방향(Dw)의 일방 측의 단부는, 볼트에 의하여, 제1 베이스(71f)의 제2 베이스 단부(74)에 연결되어 있다. 또, 이 베이스 연결부(79)에 있어서의 폭 방향(Dw)의 타방 측의 단부는, 볼트에 의하여, 제2 베이스(71s)의 제2 베이스 단부(74)에 연결되어 있다.
반력 수용부(81)는, 제1 반력 수용부(81f) 및 제2 반력 수용부(81s)를 갖는다. 제1 반력 수용부(81f)는, 제1 베이스(71f)의 제1 베이스 단부(73)로부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어 있다. 제2 반력 수용부(81s)는, 제2 베이스(71s)의 제1 베이스 단부(73)로부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어 있다. 제1 반력 수용부(81f)는, 제1 베이스(71f)에 있어서의 외주 접촉면(76)의 제1 이동 측(Dm1)의 단으로부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고, 제2 이동 측(Dm2)을 향하여, 디스크(40)의 외측 전단면(45f)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82)을 갖는다. 제2 반력 수용부(81s)는, 제2 베이스(71s)에 있어서의 외주 접촉면(76)의 제1 이동 측(Dm1)의 단으로부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고, 제2 이동 측(Dm2)을 향하여, 디스크(40)의 외측 전단면(45f)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82)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베이스(71f)와 제1 반력 수용부(81f)는, 일체(一體) 부재이지만, 제1 베이스(71f)와 제1 반력 수용부(81f)를 각각 별도 부재로 형성하고, 제1 베이스(71f)와 제1 반력 수용부(81f)와 볼트 등으로 연결해도 된다. 동일하게, 제2 베이스(71s)와 제2 반력 수용부(81s)를 각각 별도 부재로 형성하고, 제2 베이스(71s)와 제2 반력 수용부(81s)와 볼트 등으로 연결해도 된다.
가압 수용부(85)는, 상술한 베이스 연결부(79)보다 제1 이동 측(Dm1)에, 제1 베이스(71f)의 제2 베이스 단부(74) 및 제2 베이스(71s)의 제2 베이스 단부(74)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 가압 수용부(85)에 있어서의 폭 방향(Dw)의 일방 측의 단부는, 볼트에 의하여, 제1 베이스(71f)의 제2 베이스 단부(74)에 연결되어 있다. 또, 가압 수용부(85)에 있어서의 폭 방향(Dw)의 타방 측의 단부는, 볼트에 의하여, 제2 베이스(71s)의 제2 베이스 단부(74)에 연결되어 있다. 이 가압 수용부(85)는, 제1 이동 측(Dm1)을 향하고, 유압 실린더(65)에 있어서의 케이싱 바닥면(69)과 접촉 가능한 기구 접촉면(86)을 갖는다. 이 기구 접촉면(86)은, 폭 방향(Dw)에 있어서의 제1 베이스(71f)와 제2 베이스(71s)의 사이이며, 제1 베이스(71f)의 외주 접촉면(76) 및 제2 베이스(71s)의 외주 접촉면(76)보다, 제2 높이 측(Dh2)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의 가압 수용부(85)는, 베이스 연결부(79)에 대하여 독립적인 부재이다. 그러나, 가압 수용부(85)에 베이스 연결부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고, 가압 수용부(85)에 대하여 독립적인 베이스 연결부(79)를 생략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가압 수용부(85)는, 제1 베이스(71f) 및 제2 베이스(71s)에 대하여 독립적인 부재이지만, 가압 수용부(85)와 제1 베이스(71f)와 제2 베이스(71s)가 일체 부재여도 된다.
복수의 스페이서(90)는, 서로 두께가 상이한 판이다. 복수의 스페이서(90) 중, 제1 스페이서(90a)의 두께(t)는, 유압 실린더(65)의 스트로크, 바꾸어 말하면, 접촉단(62)의 이동거리보다, 약간 짧다. 복수의 스페이서(90) 중, 제2 스페이서(90b)의 두께(2t)는, 제1 스페이서(90a)의 두께(t)의 2배이다. 복수의 스페이서(90) 중, 제3 스페이서(90c)의 두께(3t)는, 제1 스페이서(90a)의 두께(t)의 3배이다. 각 스페이서(90)에는, 걸림구(91)가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구(91)는, 와이어(W)를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부(91h)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구(91)는, 예를 들면, 아이볼트이다. 이들 복수의 스페이서(9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 방향(Dm)에 있어서의 동익(50)과 접촉단(62)의 사이에 배치된다.
프레임(70)에는, 걸림구(9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걸림구(95)는, 와이어(W)를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부(95h)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구(95)는, 예를 들면, 볼트이다. 이 볼트가 프레임(70)의 가압 수용부(85)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볼트는, 육각 기둥 형상의 볼트 머리와, 이 볼트 머리에 접속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나사부를 갖는다. 걸림구(95)에 있어서의 걸림부(95h)는, 볼트에 있어서의 나사부의 볼트 머리부 측의 부분이다.
<동익 분리 방법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플로 차트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에서는, 준비 공정 S1, 디스크 회전 공정 S2, 장치 배치 공정 S3, 동익 이동 공정 S4를 실행한다. 여기에서는, 초단 디스크(40f)로부터 하나의 동익(50)을 분리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부품 준비 공정 S1을 실행한다. 이 준비 공정 S1에서는, 먼저 설명한 동익 분리 장치(60)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디스크 회전 공정 S2를 실행한다. 이 디스크 회전 공정 S2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디스크(40)를 회전시킨다. 이때, 분리 대상의 동익(50a)에 있어서의 익근 전단면(53f)의 적어도 일부가 축선(Ar)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 익근 전단면(53f)이 익근 후단면(53b)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이미, 분리 대상의 동익(50a)에 있어서의 익근 전단면(53f)의 적어도 일부가 축선(Ar)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 익근 전단면(53f)이 익근 후단면(53b)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디스크(40)를 회전시킬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장치 배치 공정 S3을 실행한다. 이 장치 배치 공정 S3에서는,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익 분리 장치(60)를 초단 디스크(40f)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이 장치 배치 공정 S3에서는, 이하의 a)~d)를 실행한다.
a) 제1 베이스(71f)와 제2 베이스(71s)의 사이에, 분리 대상의 동익(50a)이 위치하고, 이 동익(50a)이 끼워져 있는 익근 홈(46)의 홈 관통 방향(Dp)에 접촉단(62)의 이동 방향(Dm)이 맞도록, 프레임(70)을 배치한다.
b) 제1 베이스(71f)의 외주 접촉면(76) 및 제2 베이스(71s)의 외주 접촉면(76)을 초단 디스크(40f)의 외주면(44)에 접촉시킨다.
c) 제1 반력 수용부(81f)의 단 접촉면(82) 및 제2 반력 수용부(81s)의 단 접촉면(82)을 초단 디스크(40f)의 외측 전단면(45f)에 접촉시킨다.
d) 압출 기구(61)의 접촉단(62)을 분리 대상의 동익(50a)의 제2 이동 측(Dm2)에 배치하고, 접촉단(62)과 동익(50a)의 익체(51)를 이동 방향(Dm)에서 대향시킨다.
또, 장치 배치 공정 S3에서는, 필요에 따라, 이상의 a)~d)를 실행하기 전에, 동익 분리 장치(60)의 낙하 방지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동익 분리 장치(60)의 프레임(70)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구(95)에, 와이어(W)의 일단을 장착하고, 이 와이어(W)의 타단을 분리 대상의 동익(50a)보다 상측에 존재하는 고정 부재에 장착한다.
또한, 상술한 디스크 회전 공정 S2에서, 분리 대상의 동익(50a)에 있어서의 익근 전단면(53f)의 적어도 일부를 축선(Ar)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이 익근 전단면(53f)을 익근 후단면(53b)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것은, 이하의 이유 a) b)이다.
a) 분리 대상의 동익(50a)에 있어서의 익근 전단면(53f)의 적어도 일부가 축선(Ar)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초단 디스크(40f)의 외주면(44) 중에서 분리 대상의 동익(50a)에 인접하는 부분이, 연직 상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베이스(71)에 걸리는 중력에 의하여, 베이스(71)의 외주 접촉면(76)과, 초단 디스크(40f)의 외주면(44) 중에서 분리 대상의 동익(50a)에 인접하는 부분의 접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b) 익근 전단면(53f)이 익근 후단면(53b)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동익 분리 장치(60)를 초단 디스크(40f)에 배치했을 때, 동익 분리 장치(60)의 제2 이동 측(Dm2)의 부분이 제1 이동 측(Dm1)의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동익 분리 장치(60)에 걸리는 중력의 성분 중, 이동 방향(Dm)의 성분은, 제2 이동 측(Dm2)을 향하는 성분이 된다. 따라서, 동익 분리 장치(60)는, 중력에 의하여,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동익 분리 장치(60)가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동익 분리 장치(60)의 단 접촉면(82)이 초단 디스크(40f)의 외측 전단면(45f)에 접촉하고 있는 관계로, 동익 분리 장치(60)는,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할 수 없다.
다음으로, 동익 이동 공정 S4를 실행한다. 이 동익 이동 공정 S4는, 제1 이동 공정 S5, 판단 공정 S6, 제2 이동 공정 S7,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을 포함한다.
제1 이동 공정 S5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65)를 구동시켜, 접촉단(62)으로 동익(50a)의 익체(51)를 제1 이동 방향(Dm1)으로 눌러, 접촉단(62)과 함께 동익(50a)을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킨다.
유압 실린더(65)를 구동시켜, 동익(50a)을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킬 때, 이 유압 실린더(65)를 지지하는 프레임(70)에는, 동익(50a)으로부터 제2 이동 측(Dm2)의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힘에 대하여, 프레임(70)의 반력 수용부(81)에는, 초단 디스크(40f)의 외측 전단면(45f)으로부터 반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압 실린더(65)를 구동시켜, 동익(50a)을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동안이더라도, 동익 분리 장치(60)는,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판단 공정 S6에서는, 제1 이동 공정 S5에서의 동익(50a)의 이동의 결과, 동익(50a)의 익근(52)이 익근 홈(46)으로부터 빠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판단 공정 S6에서, 동익(50a)의 익근(52)이 익근 홈(46)으로부터 빠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이동 공정 S7을 실행한다. 이 제2 이동 공정 S7에서는, 유압 실린더(65)를 구동시켜 접촉단(62)을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시킨다. 즉, 접촉단(62)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이동 공정 S7의 실행으로, 동익(50a)과 접촉단(6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90) 중, 어느 하나의 스페이서(90)를 배치한다. 이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동익(50a)과 접촉단(62)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스페이서(90)를 배치하기 전에, 필요에 따라, 이 스페이서(90)의 낙하 방지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서(90)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구(91)에, 와이어(W)의 일단을 장착하고, 이 와이어(W)의 타단을 동익(50a)보다 상측에 존재하는 고정 부재에 장착한다.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이 종료되면, 제1 이동 공정 S5를 재차 실행한다. 이하, 판단 공정 S6에서, 동익(50a)의 익근(52)이 익근 홈(46)으로부터 빠졌다고 판단될 때까지, 제1 이동 공정 S5, 판단 공정 S6, 제2 이동 공정 S7,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상으로, 초단 디스크(40f)로부터의 동익(50a)의 분리가 종료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을 6회 실행한다. 제1회째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복수의 스페이서(90) 중, 두께가 가장 얇은 제1 스페이서(90a)를 이용한다. 제2회째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제1 스페이서(90a)를 제외하고 나서, 제1 스페이서(90a)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2 스페이서(90b)를 이용한다. 제3회째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제2 스페이서(90b)를 제외하고 나서, 제2 스페이서(90b)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3 스페이서(90c)를 이용한다. 제4회째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제3 스페이서(90c)와 접촉단(62)의 사이에 제1 스페이서(90a)를 배치한다. 즉, 제4회째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제3 스페이서(90c)와 제1 스페이서(90a)를 이용한다. 제5회째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제1 스페이서(90a)만을 제외하고 나서, 제3 스페이서(90c)와 접촉단(62)의 사이에, 제2 스페이서(90b)를 배치한다. 즉, 제5회째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제3 스페이서(90c)와 제2 스페이서(90b)를 이용한다. 마지막의 제6회째의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에서는, 제3 스페이서(90c)와 제2 스페이서(90b)와 제1 스페이서(90a)를 이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익(50a)을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킬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익(50a)으로부터 제2 이동 측(Dm2)에 대한 힘이 작용하는 프레임(70)에 대하여, 초단 디스크(40f)로부터 제1 이동 측(Dm1)에 대한 반력을 작용시켜, 제2 이동 측(Dm2)에 대한 프레임(70)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프레임(70)의 반력 수용부(81)는, 분리 대상의 동익(50a)이 장착되어 있는 초단 디스크(40f)로부터의 반력을 받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익(50a)의 제2 이동 측(Dm2)에 접촉단(62)을 배치하지만, 분리 대상의 동익(50a)이 장착되어 있는 초단 디스크(40f)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 수용부(81)가 베이스(71)의 제1 이동 측(Dm1)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73)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익 분리 장치 모두를 분리 대상의 동익(50a)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배치하는 경우보다, 본 실시형태의 동익 분리 장치(60) 중에서, 분리 대상의 동익(50a)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위치하는 부분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90)를 이용함으로써, 유압 실린더(65)의 스트로크를 짧게 하고 있으므로, 분리 대상의 동익(50a)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65)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Dm)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 대상의 동익(50a)이 장착되어 있는 초단 디스크(40f)의 외측 후단면(45b)과, 이 초단 디스크(40f)의 축선 하류 측(Dad)에 인접하고 있는 제2 단 디스크(40s)의 외측 전단면(45f)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서도, 본 실시형태의 동익 분리 장치(60)를 초단 디스크(40f)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수용부(85)의 기구 접촉면(86)이, 베이스(71)의 외주 접촉면(76)보다 제2 높이 측(Dh2)에 위치하고, 유압 실린더(65)의 케이싱 바닥면(69)이 이 기구 접촉면(86)에 접하도록 유압 실린더(65)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동익 분리 장치(60)를 디스크(40)에 배치했을 때, 유압 실린더(65) 및 가압 수용부(85)는, 디스크(40)의 외주면(44)보다 직경 방향 외측(Dro)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리 대상의 동익(50a)이 장착되어 있는 초단 디스크(40f)의 외측 후단면(45b)과, 이 초단 디스크(40f)의 축선 하류 측(Dad)에 인접하고 있는 제2 단 디스크(40s)의 외측 전단면(45f)의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없는 경우에서도, 본 실시형태의 동익 분리 장치(60)를 초단 디스크(40f)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초단 디스크(40f)에 장착되어 있는 동익(50a)을 분리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크(40)에 장착되어 있는 동익(50)의 제1 이동 측(Dm1)에, 이 동익(50)의 배치 스페이스가 있는 경우에는, 다른 단(段)의 디스크(40)에 장착되어 있는 동익(50)을 분리 대상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최종단의 디스크(40)에 장착되어 있는 동익(50)을 분리 대상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동 측(Dm1)이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Dau)에 대응하고, 제2 이동 측(Dm2)이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하류 측(Dad)에 대응한다. 그러나, 최종단의 디스크(40)에 장착되어 있는 동익(50)을 분리 대상으로 하는 경우, 제1 이동 측(Dm1)이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하류 측(Dad)에 대응하고, 제2 이동 측(Dm2)이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Dau)에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이동 측(Dm1)이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Dau)에 대응하고, 제2 이동 측(Dm2)이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하류 측(Dad)에 대응할 필요성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상류 측(Dau)이 축선 제1 측이며, 축선 하류 측(Dad)이 축선 제2 측이지만, 축선 상류 측(Dau)이 축선 제2 측이고, 축선 하류 측(Dad)이 축선 제1 측이어도 된다.
<동익 분리 장치의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는, 복수의 디스크(40)가 상호 연결되어 있을 때, 초단 디스크(40f)에 마련되어 있는 동익(50)을 분리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a)는, 복수의 디스크(40)의 상호 연결이 해제되었을 때에, 어느 하나의 디스크(40)에 마련되어 있는 동익(50)을 분리하는 경우에 유효한 장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a)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와 동일하게, 압출 기구(61)와, 압출 기구(61)가 장착되는 프레임(70a)과, 복수의 스페이서(90)와, 걸림구(91, 95)를 구비한다.
압출 기구(61)는, 제1 실시형태의 압출 기구(61)와 동일하게, 접촉단(62)과, 유압 실린더(65)를 갖는다.
프레임(70a)은, 제1 실시형태의 프레임(70)과 동일하게, 베이스와, 베이스 연결부(79)와, 반력 수용부(81)와, 가압 수용부(85)를 갖는다. 베이스는, 제1 실시형태의 베이스(71)와 동일하게, 제1 베이스(71fa) 및 제2 베이스(71sa)를 갖는다. 제1 베이스(71fa) 및 제2 베이스(71sa)는, 제1 이동 측(Dm1)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73)와, 제2 이동 측(Dm2)의 단부인 제2 베이스 단부(74)와, 제1 베이스 단부(73)와 제2 베이스 단부(74)의 사이의 베이스 중간부(75)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제1 베이스(71fa) 및 제2 베이스(71sa)는, 베이스 중간부(75)의 제2 이동 측(Dm2)의 단부로부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는 시프트부(77)를 더 갖는다. 제2 베이스 단부(74)는, 이 시프트부(77)의 제1 높이 측(Dh1)의 단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베이스 단부(74)에 마련되는 가압 수용부(85)가 갖는 기구 접촉면(86)은, 베이스에 있어서의 외주 접촉면(76)보다 제1 높이 측(Dh1)에 위치하게 된다. 이 관계에서, 이 기구 접촉면(86)에 접하는 유압 실린더(65)의 거의 전부 및 접촉단(62)의 거의 모두가 베이스에 있어서의 외주 접촉면(76)보다 제1 높이 측(Dh1)에 위치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도 6의 플로 차트에 나타내는 수순으로, 디스크(40)로부터 동익(50)을 분리한다. 단, 도 6의 플로 차트 중의 장치 배치 공정 S3에서는, 접촉단(62)과 동익(50)의 익근(52)을 이동 방향(Dm)에서 대향시킨다. 그리고, 제1 이동 공정 S5에서는, 유압 실린더(65)를 구동시켜, 접촉단(62)으로 동익(50)의 익근(52)을 제1 이동 방향(Dm1)으로 눌러, 접촉단(62)과 함께 동익(50)을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동익 분리 장치(60)와 동일하게, 동익 분리 장치 모두를 분리 대상의 동익(50a)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배치하는 경우보다, 본 실시형태의 동익 분리 장치(60a) 중에서 분리 대상의 동익(50a)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위치하는 부분을 적게 할 수 있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 수용부(85)의 기구 접촉면(86)이, 베이스의 외주 접촉면(76)보다 제1 높이 측(Dh1)에 위치하고, 유압 실린더(65)의 케이싱 바닥면(69)이 이 기구 접촉면(86)에 접하도록 유압 실린더(65)가 배치된다. 이 때문에, 동익 분리 장치(60a)를 디스크(40)에 배치했을 때, 유압 실린더(65) 및 가압 수용부(85)는, 디스크(40)의 외주면(44)보다 직경 방향 내측(Dri)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분리 대상의 동익(50a)이 장착되어 있는 초단 디스크(40f)의 외측 후단면(45b)과, 이 초단 디스크(40f)의 축선 하류 측(Dad)에 인접하고 있는 제2 단 디스크(40s)의 외측 전단면(45f)의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없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익(50)을 분리할 때, 접촉단(62)으로 동익(50)의 익근(52)을 제1 이동 측(Dm1)으로 누르므로, 동익(50)의 익체(5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측(Dm1)이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상류 측(Dau)에 대응하고, 제2 이동 측(Dm2)이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축선 하류 측(Dad)에 대응할 필요성은 없다. 즉, 동익(50)을 분리할 때, 이 동익(50)을 축선 하류 측(Dad)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상류 측(Dau)이 축선 제1 측이며, 축선 하류 측(Dad)이 축선 제2 측이지만,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선 상류 측(Dau)이 축선 제2 측이며, 축선 하류 측(Dad)이 축선 제1 측이어도 된다.
<변형예>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기구는, 유압 실린더(65)이다. 그러나, 구동 기구는, 유압 실린더(65)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공기압 실린더나, 전자 액추에이터 등, 다른 액추에이터여도 된다.
이상의 각 실시형태는, 모두, 가스 터빈의 압축기(30)에 있어서의 동익(50)을 분리하는 예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분리 대상은, 가스 터빈의 압축기(30)에 있어서의 동익(50)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축류 회전 기계의 동익을 분리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규정된 내용 및 그 균등물로부터 도출되는 본 발명의 개념적인 사상과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추가, 변경, 치환, 부분적 삭제 등이 가능하다.
<부기(付記)>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 제1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디스크(40)로부터 동익(50)을 분리하는 동익 분리 장치(60, 60a)이다. 상기 디스크(40)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Dc)으로 확장되어 있는 외주면(44)과, 상기 축선(Ar)이 뻗는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양측 중 축선 제1 측(Dau)(or Dad)을 향하는 제1 단면(45f)(or 45b)과, 상기 축선 제1 측(Dau)(or Dad)과는 반대 측의 축선 제2 측(Dad)(or Dau)을 향하는 제2 단면(45b)(or 45f)과, 익근 홈(46)을 갖는다. 상기 제1 단면(45f)(or 45b)은, 상기 외주면(44)의 상기 축선 제1 측(Dau)(or Dad)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선(Ar)에 대한 직경 방향 내측(Dri)을 향하여 확장된다. 상기 제2 단면(45b)(or 45f)은, 상기 외주면(44)의 상기 축선 제2 측(Dad)(or Dau)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Dri)을 향하여 확장된다. 상기 익근 홈(46)은, 상기 외주면(44)으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Dri)을 향하여 오목하고, 상기 제2 단면(45b)(or 45f)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Da)에 대하여 비틀린 홈 관통 방향(Dp)을 향하여 뻗어 상기 제1 단면(45f)(or 45b)까지 관통한다. 상기 동익(50)은, 상기 축선(Ar)에 대한 직경 방향(Dr)에 수직인 단면이 익형을 이루고, 상기 직경 방향(Dr)으로 뻗는 익체(51)와, 상기 익체(51)의 상기 직경 방향 내측(Dri)에 마련되어, 상기 익근 홈(46)에 끼워져 있는 익근(52)을 갖는다.
상기 동익 분리 장치(60, 60a)는, 압출 기구(61)와, 상기 압출 기구(61)가 장착되는 프레임(70, 70a)을 구비한다. 상기 압출 기구(61)는, 상기 동익(50)에 접촉 가능한 접촉단(62)과, 상기 접촉단(62)을 이동 방향(Dm)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65)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70, 70a)은, 상기 이동 방향(Dm)으로 뻗는 베이스(71, 71a)와, 상기 베이스(71, 71a)의 상기 이동 방향(Dm)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이동 측(Dm1)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73)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Dm)과 상이한 높이 방향(Dh)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높이 측(Dh1)으로 뻗는 반력 수용부(81)와, 상기 베이스(71, 71a)의 상기 제1 이동 측(Dm1)과는 반대 측의 제2 이동 측(Dm2)의 단부인 제2 베이스 단부(74)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 수용부(85)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71, 71a)는, 상기 제1 높이 측(Dh1)을 향하여, 상기 외주면(44)에 접촉 가능한 외주 접촉면(76)을 갖는다. 상기 반력 수용부(81)는, 상기 외주 접촉면(76)의 상기 제1 이동 측(Dm1)의 단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고, 상기 제2 이동 측(Dm2)을 향하여, 상기 제1 단면(45f)(or 45b)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82)을 갖는다. 상기 가압 수용부(85)는, 상기 제1 이동 측(Dm1)을 향하고, 상기 구동 기구(65)에서 상기 제2 이동 측(Dm2)을 향하는 기구 단면(69)과 접촉 가능한 기구 접촉면(86)을 갖는다.
본 양태에서는, 동익(50)을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킬 때, 동익(50)으로부터 제2 이동 측(Dm2)에 대한 힘이 작용하는 프레임(70, 70a)에 대하여, 디스크(40)로부터 제1 이동 측(Dm1)에 대한 반력을 작용시켜, 제2 이동 측(Dm2)에 대한 프레임(70, 70a)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프레임(70, 70a)의 반력 수용부(81)는, 분리 대상의 동익(50a)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로부터의 반력을 받는다. 본 양태에서는, 동익(50)의 제2 이동 측(Dm2)에 접촉단(62)을 배치하지만,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로부터의 반력을 받는 반력 수용부(81)가 베이스(71, 71a)의 제1 이동 측(Dm1)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73)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양태에서는, 동익 분리 장치 모두를 분리 대상의 동익(50)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배치하는 경우보다, 본 양태의 동익 분리 장치(60, 60a) 중에서 분리 대상의 동익(50)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위치하는 부분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의 제2 단면(45b)(or 45f)과, 이 디스크(40)의 축선 제2 측(Dad)(or Dau)에 인접하고 있는 다른 디스크(40)의 제1 단면(45f)(or 45b)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서도,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에 동익 분리 장치(60, 60a)를 배치할 수 있다.
(2) 제2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 60a)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65)는, 상기 접촉단(62)으로부터 상기 제2 이동 측(Dm2)으로 뻗는 피스톤 로드(66)와, 상기 피스톤 로드(66)의 상기 제2 이동 측(Dm2)의 단에 마련되어 있는 피스톤(67)과, 상기 피스톤(67)이 상기 이동 방향(Dm)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피스톤(67)을 덮는 실린더 케이싱(68)을 갖는 유체압 실린더이다. 상기 기구 단면(69)은, 상기 실린더 케이싱(68)에서 상기 제2 이동 측(Dm2)을 향하는 케이싱 바닥면(69)이다.
(3) 제3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접촉면(86)은, 상기 외주 접촉면(7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높이 측(Dh1)과는 반대 측의 제2 높이 측(Dh2)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71)의 상기 외주 접촉면(76)을 상기 외주면(44)에 접촉시켰을 때, 상기 접촉단(62)은, 상기 익체(51)의 상기 제2 이동 측(Dm2)의 가장자리에, 상기 이동 방향(Dm)에서 대향한다.
본 양태의 기구 접촉면(86)은, 외주 접촉면(76)을 기준으로 하여, 제2 높이 측(Dh2)에 위치한다. 또, 본 양태에서는, 베이스(71)의 외주 접촉면(76)을 디스크(40)의 외주면(44)에 접촉시켰을 때, 접촉단(62)은, 익체(51)의 제2 이동 측(Dm2)의 가장자리에, 이동 방향(Dm)에서 대향한다. 이 때문에, 본 양태에서는, 동익 분리 장치(60)를 디스크(40)에 배치했을 때, 구동 기구(65) 및 가압 수용부(85)가, 디스크(40)의 외주면(44)보다 직경 방향 외측(Dro)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양태에서는,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의 제2 단면(45b)(or 45f)과, 이 디스크(40)의 축선 제2 측(Dad)(or Dau)에 인접하고 있는 다른 디스크(40)의 제1 단면(45f)(or 45b)의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없는 경우에서도,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에 동익 분리 장치(60)를 배치할 수 있다.
(4) 제4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양태 또는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a)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접촉면(86)은, 상기 외주 접촉면(7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높이 측(Dh1)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의 상기 외주 접촉면(76)을 상기 외주면(44)에 접촉시켰을 때, 상기 접촉단(62)은, 상기 익근(52)의 상기 제2 이동 측(Dm2)의 가장자리에, 상기 이동 방향(Dm)에서 대향한다.
본 양태에서는, 구동 기구(65)를 구동시킴으로써, 접촉단(62)으로 동익(50)의 익근(52)을 제1 이동 측(Dm1)으로 누를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양태에서는, 동익(50)을 분리할 때, 이 동익(50)의 익체(5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5) 제5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양태 내지 상기 제4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 60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71, 71a)는, 상기 이동 방향(Dm)으로 뻗는 제1 베이스(71f, 71fa) 및 제2 베이스(71s, 71sa)를 갖는다. 상기 반력 수용부(81)는, 상기 제1 베이스(71f, 71fa)의 상기 제1 이동 측(Dm1)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73)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는 제1 반력 수용부(81f)와, 상기 제2 베이스(71s, 71sa)의 상기 제1 이동 측(Dm1)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73)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는 제2 반력 수용부(81s)를 갖는다. 상기 제1 베이스(71f, 71fa) 및 상기 제2 베이스(71s, 71sa)의 각각은, 상기 외주 접촉면(76)을 갖는다. 상기 제1 반력 수용부(81f) 및 상기 제2 반력 수용부(81s)의 각각은, 상기 단 접촉면(82)을 갖는다. 상기 높이 방향(Dh)은, 상기 이동 방향(Dm)에 수직인 방향이며, 상기 높이 방향(Dh) 및 상기 이동 방향(Dm)에 수직인 방향이 폭 방향(Dw)이다. 상기 제2 베이스(71s, 71sa)는, 상기 제1 베이스(71f, 71fa)로부터 상기 폭 방향(Dw)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출 기구(61)는, 상기 제1 베이스(71f, 71fa)와 상기 제2 베이스(71s, 71s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 수용부(85)는, 상기 기구 접촉면(86)이 상기 제1 베이스(71f, 71fa)와 상기 제2 베이스(71s, 71sa)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71f, 71fa)의 상기 제2 이동 측(Dm2)의 단인 제2 베이스 단부(74) 및 상기 제2 베이스(71s, 71sa)의 상기 제2 이동 측(Dm2)의 제2 베이스 단부(74)에 마련되어 있다.
(6) 제6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제5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 60a)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0, 70a)은, 상기 제1 베이스(71f, 71fa) 및 상기 제2 베이스(71s, 71sa)에 대한 상기 제2 이동 측(Dm2)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71f, 71fa)와 상기 제2 베이스(71s, 71sa)를 연결하는 베이스 연결부(79)를 더 갖는다.
(7) 제7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양태 내지 상기 제6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 60a)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0, 70a)에 마련되고, 와이어(W)를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부(95h)를 갖는 걸림구(95)를 더 구비한다.
본 양태에서는, 와이어(W)의 일단을 걸림구(95)에 장착하고, 이 와이어(W)의 타단을 분리 대상의 동익(50)보다 상측에 존재하는 고정 부재에 장착함으로써, 프레임(70, 70a)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8) 제8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제1 양태 내지 상기 제7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 60a)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Dm)에서, 상기 동익(50)과 상기 접촉단(62)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90)를, 더 구비한다.
본 양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90)를 이용함으로써, 이동 방향(Dm)에 있어서의 구동 기구(65)의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양태에서는, 분리 대상의 동익(50)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배치되는 구동 기구(65)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Dm)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9) 제9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제8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 60a)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90)에 마련되고, 와이어(W)를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부(91h)를 갖는 걸림구(91)를 더 구비한다.
본 양태에서는, 와이어(W)의 일단을 걸림구(91)에 장착하고, 이 와이어(W)의 타단을 분리 대상의 동익(50)보다 상측에 존재하는 고정 부재에 장착함으로써, 스페이서(9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10) 제10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은, 디스크(40)로부터 동익(50)을 분리하는 동익 분리 방법이다. 상기 디스크(40)는,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Dc)으로 확장되어 있는 외주면(44)과, 상기 축선(Ar)이 뻗는 축선 방향(Da)에 있어서의 양측 중 축선 제1 측(Dau)(or Dad)을 향하는 제1 단면(45f)(or 45b)과, 상기 축선 제1 측(Dau)(or Dad)과는 반대 측의 축선 제2 측(Dad)(or Dau)을 향하는 제2 단면(45b)(or 45f)과, 익근 홈(46)을 갖는다. 상기 제1 단면(45f)(or 45b)은, 상기 외주면(44)의 상기 축선 제1 측(Dau)(or Dad)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선(Ar)에 대한 직경 방향 내측(Dri)을 향하여 확장된다. 상기 제2 단면(45b)(or 45f)은, 상기 외주면(44)의 상기 축선 제2 측(Dad)(or Dau)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Dri)을 향하여 확장된다. 상기 익근 홈(46)은, 상기 외주면(44)으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Dri)을 향하여 오목하고, 상기 제2 단면(45b)(or 45f)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Da)에 대하여 비틀린 홈 관통 방향(Dp)을 향하여 뻗어 상기 제1 단면(45f)(or 45b)까지 관통한다. 상기 동익(50)은, 상기 축선(Ar)에 대한 직경 방향(Dr)에 수직인 단면이 익형을 이루고, 상기 직경 방향(Dr)으로 뻗는 익체(51)와, 상기 익체(51)의 상기 직경 방향 내측(Dri)에 마련되어, 상기 익근 홈(46)에 끼워져 있는 익근(52)을 갖는다.
상기 동익 분리 방법에서는, 동익 분리 장치(60, 60a)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 S1과, 상기 동익 분리 장치(60, 60a)를 상기 디스크(40)에 배치하는 장치 배치 공정 S3과, 상기 동익 분리 장치(60, 60a)를 동작시켜, 상기 디스크(40)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동익(50)을 이동시키는 동익 이동 공정 S4를 실행한다. 상기 준비 공정 S1에서 준비하는 상기 동익 분리 장치(60, 60a)는, 압출 기구(61)와, 상기 압출 기구(61)가 장착되는 프레임(70, 70a)을 구비한다. 상기 압출 기구(61)는, 상기 동익(50)에 접촉 가능한 접촉단(62)과, 상기 접촉단(62)을 이동 방향(Dm)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65)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70, 70a)은, 상기 이동 방향(Dm)으로 뻗는 베이스(71, 71a)와, 상기 베이스(71, 71a)의 상기 이동 방향(Dm)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이동 측(Dm1)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73)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Dm)과 상이한 높이 방향(Dh)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높이 측(Dh1)으로 뻗는 반력 수용부(81)와, 상기 베이스(71, 71a)의 상기 제1 이동 측(Dm1)과는 반대 측의 제2 이동 측(Dm2)의 단부인 제2 베이스 단부(74)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 수용부(85)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71, 71a)는, 상기 제1 높이 측(Dh1)을 향하여, 상기 외주면(44)에 접촉 가능한 외주 접촉면(76)을 갖는다. 상기 반력 수용부(81)는, 상기 외주 접촉면(76)의 상기 제1 이동 측(Dm1)의 단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Dh1)으로 뻗고, 상기 제2 이동 측(Dm2)을 향하여, 상기 제1 단면(45f)(or 45b)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82)을 갖는다. 상기 가압 수용부(85)는, 상기 제1 이동 측(Dm1)을 향하고, 상기 구동 기구(65)에서 상기 제2 이동 측(Dm2)을 향하는 기구 단면(69)과 접촉 가능한 기구 접촉면(86)을 갖는다. 상기 장치 배치 공정 S3에서는, 상기 홈 관통 방향(Dp)에 상기 접촉단(62)의 상기 이동 방향(Dm)을 맞추고, 상기 베이스(71, 71a)의 상기 외주 접촉면(76)을 상기 외주면(44)에 접촉시키며, 상기 반력 수용부(81)의 단 접촉면(82)을 상기 제1 단면(45f)(or 45b)에 접촉시키고, 상기 접촉단(62)을 상기 동익(50)의 상기 제2 이동 측(Dm2)에 배치하여, 상기 접촉단(62)과 상기 동익(50)을 상기 이동 방향(Dm)에서 대향시킨다. 상기 동익 이동 공정 S4에서는, 상기 구동 기구(65)를 구동시켜, 상기 접촉단(62)을 상기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켜, 상기 동익(50)을 상기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킨다.
본 양태의 동익 분리 방법에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와 동일하게,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의 제2 단면(45b)(or 45f)과, 이 디스크(40)의 축선 제2 측(Dad)(or Dau)에 인접하고 있는 다른 디스크(40)의 제1 단면(45f)(or 45b)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서도,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에 동익 분리 장치(60, 60a)를 배치할 수 있다.
(11) 제11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은,
상기 제10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익 분리 장치(60, 60a)는, 상기 이동 방향(Dm)으로, 상기 동익(50)과 상기 접촉단(62)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9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동익 이동 공정 S4는, 상기 구동 기구(65)를 구동시켜 상기 접촉단(62)과 함께 상기 동익(50)을 상기 제1 이동 측(Dm1)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공정 S5와, 상기 제1 이동 공정 S5에서의 상기 동익(50)의 이동의 결과, 상기 동익(50)의 상기 익근(52)이 상기 익근 홈(46)으로부터 빠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공정 S6과, 상기 판단 공정 S6에서, 상기 동익(50)의 상기 익근(52)이 상기 익근 홈(46)으로부터 빠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기구(65)를 구동시켜 상기 접촉단(62)을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공정 S7과, 상기 제2 이동 공정 S7 후에, 상기 동익(50)과 상기 접촉단(62)의 사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90) 중, 어느 하나의 스페이서(90)를 배치하는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을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 후에, 상기 제1 이동 공정 S5 및 상기 판단 공정 S6을 실행한다. 상기 판단 공정 S6에서, 상기 동익(50)의 상기 익근(52)이 상기 익근 홈(46)으로부터 빠졌다고 판단될 때까지, 상기 제1 이동 공정 S5, 상기 판단 공정 S6, 상기 제2 이동 공정 S7, 상기 스페이서 배치 공정 S8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본 양태에서는, 동익 이동 공정 S4 중에,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90)를 이용함으로써, 제8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 60a)와 동일하게, 이동 방향(Dm)에 있어서의 구동 기구(65)의 스트로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에서도, 분리 대상의 동익(50a)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이동 측(Dm2)에 배치되는 구동 기구(65)에 있어서의 이동 방향(Dm)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12) 제12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은,
상기 제10 양태 또는 상기 제11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배치 공정 S3 전에, 상기 디스크(40)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공정 S2를 실행한다. 상기 디스크 회전 공정 S2에서는, 상기 익근 홈(46)에 끼워져 있는 상기 익근(52)의 표면 중에서, 상기 제1 이동 측(Dm1)을 향하고 있는 제1 익근 단면(53f)(or 53b)과 상기 제2 이동 측(Dm2)을 향하고 있는 제2 익근 단면(53b)(or 53f) 중, 상기 제1 익근 단면(53f)(or 53b)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선(Ar)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익근 단면(53b)(or 53f)보다 상측이 되도록, 상기 축선(Ar)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디스크(40)를 회전시킨다.
분리 대상의 동익(50)에 있어서의 제1 익근 단면(53f)(or 53b)이 적어도 일부를 축선(Ar)보다 상측에 위치시킨 경우, 디스크(40)의 외주면(44) 중에서 이 동익(50)에 인접하는 부분이, 연직 상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양태에서는, 베이스(71, 71a)에 걸리는 중력에 의하여, 베이스(71, 71a)의 외주 접촉면(76)과, 디스크(40)의 외주면(44) 중에서 이 익근(52)에 인접하는 부분의 접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제1 익근 단면(53f)(or 53b)을 제2 익근 단면(53b)(or 53f)보다 상측에 위치시킨 경우, 동익 분리 장치(60, 60a)를 디스크(40)에 배치했을 때, 동익 분리 장치(60, 60a)의 제2 이동 측(Dm2)의 부분이 제1 이동 측(Dm1)의 부분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동익 분리 장치(60, 60a)에 걸리는 중력의 성분 중, 이동 방향(Dm)의 성분은, 제2 이동 측(Dm2)을 향하는 성분이 된다. 따라서, 동익 분리 장치(60, 60a)는, 중력에 의하여,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동익 분리 장치(60, 60a)가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동익 분리 장치(60, 60a)의 단 접촉면(82)이 디스크(40)의 제1 단면(45f)(or 45b)에 접촉하고 있는 관계로, 동익 분리 장치(60, 60a)는, 제2 이동 측(Dm2)으로 이동할 수 없다.
(13) 제13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은,
상기 제10 양태 내지 상기 제12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익 분리 장치(60)에 있어서의 상기 기구 접촉면(86)은, 상기 외주 접촉면(7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높이 측(Dh1)과는 반대 측의 제2 높이 측(Dh2)에 위치한다. 상기 장치 배치 공정 S3에서는, 상기 접촉단(62)과 상기 동익(50)의 상기 익체(51)를 상기 이동 방향(Dm)에서 대향시킨다.
본 양태에서는, 제3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와 동일하게,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의 제2 단면(45b)(or 45f)과, 이 디스크(40)의 축선 제2 측(Dad)(or Dau)에 인접하고 있는 다른 디스크(40)의 제1 단면(45f)(or 45b)의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없는 경우에서도, 분리 대상의 동익(50)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40)에 동익 분리 장치(60)를 배치할 수 있다.
(14) 제14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은,
상기 제10 양태 내지 상기 제12 양태 중 어느 일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익 분리 장치(60a)에 있어서의 상기 기구 접촉면(86)은, 상기 외주 접촉면(76)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높이 측(Dh1)에 위치한다. 상기 장치 배치 공정 S3에서는, 상기 접촉단(62)과 상기 동익(50)의 상기 익근(52)을 상기 이동 방향(Dm)에서 대향시킨다.
본 양태에서는, 제4 양태에 있어서의 동익 분리 장치(60a)와 동일하게, 동익(50)을 분리할 때, 이 동익(50)의 익체(51)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상류 측 디스크의 후단면과 하류 측 디스크의 전단면의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에서도, 디스크로부터 동익을 분리할 수 있다.
1: 가스 터빈
2: 가스 터빈 로터
5: 가스 터빈 케이싱
6: 중간 케이싱
10: 터빈
11: 터빈 로터
12: 로터축
13: 동익렬
15: 터빈 케이싱
17: 정익렬
20: 연소기
30: 압축기
31: 압축기 로터
32: 로터축
33: 동익렬
33f: 초단 동익렬
33s: 제2 단 동익렬
35: 압축기 케이싱
37: 정익렬
40: 디스크
40f: 초단 디스크
40s: 제2 단 디스크
41: 몸통부
42f: 내측 전단면
42b: 내측 후단면
43: 동익 장착부
44: 외주면
45f: 외측 전단면
45b: 외측 후단면
46: 익근 홈
47f: 전단 개구
47b: 후단 개구
50: 동익
50a: 분리 대상의 동익
51: 익체
52: 익근
53f: 익근 전단면(제1 익근 단면)
53b: 익근 후단면(제2 익근 단면)
60, 60a: 동익 분리 장치
61: 압출 기구
62: 접촉단
65: 유압 실린더(구동 기구)
66: 피스톤 로드
67: 피스톤
68: 실린더 케이싱
69: 케이싱 바닥면(기구 단면)
70, 70a: 프레임
71, 71a: 베이스
71f, 71fa: 제1 베이스
71s, 71sa: 제2 베이스
73: 제1 베이스 단부
74: 제2 베이스 단부
75: 베이스 중간부
76: 외주 접촉면
77: 시프트부
79: 베이스 연결부
81: 반력 수용부
81f: 제1 반력 수용부
81s: 제2 반력 수용부
82: 단 접촉면
85: 가압 수용부
86: 기구 접촉면
90: 스페이서
90a: 제1 스페이서
90b: 제2 스페이서
90c: 제3 스페이서
91: 걸림구
91h: 걸림부
95: 걸림구
95h: 걸림부
A: 공기
F: 연료
W: 와이어
Da: 축선 방향
Dau: 축선 상류 측(축선 제1 측)
Dad: 축선 하류 측(축선 제2 측)
Dc: 둘레 방향
Dr: 직경 방향
Dri: 직경 방향 내측
Dro: 직경 방향 외측
Dm: 이동 방향
Dm1: 제1 이동 측
Dm2: 제2 이동 측
Dh: 높이 방향
Dh1: 제1 높이 측
Dh2: 제2 높이 측
Dw: 폭 방향
Dp: 홈 관통 방향

Claims (14)

  1. 디스크로부터 동익을 분리하는 동익 분리 장치로서,
    상기 디스크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외주면과, 상기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축선 제1 측을 향하는 제1 단면과, 상기 축선 제1 측과는 반대 측의 축선 제2 측을 향하는 제2 단면과, 익근 홈을 갖고,
    상기 제1 단면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축선 제1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확장되며,
    상기 제2 단면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축선 제2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확장되고,
    상기 익근 홈은,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며, 상기 제2 단면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하여 비틀린 홈 관통 방향을 향하여 뻗어 상기 제1 단면까지 관통하고,
    상기 동익은,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익형을 이루며, 상기 직경 방향으로 뻗는 익체와, 상기 익체의 상기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익근 홈에 끼워져 있는 익근을 갖는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압출 기구와,
    상기 압출 기구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동익에 접촉 가능한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갖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이동 측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과 상이한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높이 측으로 뻗는 반력 수용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이동 측과는 반대 측의 제2 이동 측의 단부인 제2 베이스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높이 측을 향하여, 상기 외주면에 접촉 가능한 외주 접촉면을 갖고,
    상기 반력 수용부는, 상기 외주 접촉면의 상기 제1 이동 측의 단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으로 뻗으며,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단면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을 갖고,
    상기 가압 수용부는, 상기 제1 이동 측을 향하며, 상기 구동 기구에서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는 기구 단면과 접촉 가능한 기구 접촉면을 갖는, 동익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기재된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접촉단으로부터 상기 제2 이동 측으로 뻗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상기 제2 이동 측의 단에 마련되어 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을 덮는 실린더 케이싱을 갖는 유체압 실린더이며,
    상기 기구 단면은, 상기 실린더 케이싱에서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는 케이싱 바닥면인, 동익 분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접촉면은, 상기 외주 접촉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높이 측과는 반대 측의 제2 높이 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외주 접촉면을 상기 외주면에 접촉시켰을 때, 상기 접촉단은, 상기 익체의 상기 제2 이동 측의 가장자리에, 상기 이동 방향에서 대향하는, 동익 분리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구 접촉면은, 상기 외주 접촉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높이 측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외주 접촉면을 상기 외주면에 접촉시켰을 때, 상기 접촉단은, 상기 익근의 상기 제2 이동 측의 가장자리에, 상기 이동 방향에서 대향하는, 동익 분리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는 제1 베이스 및 제2 베이스를 갖고,
    상기 반력 수용부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상기 제1 이동 측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으로 뻗는 제1 반력 수용부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상기 제1 이동 측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으로 뻗는 제2 반력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각각은, 상기 외주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제1 반력 수용부 및 상기 제2 반력 수용부의 각각은, 상기 단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높이 방향은, 상기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고, 상기 높이 방향 및 상기 이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이 폭 방향이며,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제1 베이스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고,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압 수용부는, 상기 기구 접촉면이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베이스의 상기 제2 이동 측의 단인 제2 베이스 단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의 상기 제2 이동 측의 제2 베이스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동익 분리 장치.
  6. 청구항 5에 기재된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에 대한 상기 제2 이동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를 연결하는 베이스 연결부를 더 갖는, 동익 분리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와이어를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부를 갖는 걸림구를 더 구비하는, 동익 분리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동익과 상기 접촉단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는, 동익 분리 장치.
  9. 청구항 8에 기재된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에 마련되고, 와이어를 거는 것이 가능한 걸림부를 갖는 걸림구를 더 구비하는, 동익 분리 장치.
  10. 디스크로부터 동익을 분리하는 동익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크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확장되어 있는 외주면과, 상기 축선이 뻗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축선 제1 측을 향하는 제1 단면과, 상기 축선 제1 측과는 반대 측의 축선 제2 측을 향하는 제2 단면과, 익근 홈을 갖고,
    상기 제1 단면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축선 제1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확장되며,
    상기 제2 단면은, 상기 외주면의 상기 축선 제2 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확장되고,
    상기 익근 홈은,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며, 상기 제2 단면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하여 비틀린 홈 관통 방향을 향하여 뻗어 상기 제1 단면까지 관통하고,
    상기 동익은,
    상기 축선에 대한 직경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익형을 이루며, 상기 직경 방향으로 뻗는 익체와, 상기 익체의 상기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고, 상기 익근 홈에 끼워져 있는 익근을 갖는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동익 분리 장치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동익 분리 장치를 상기 디스크에 배치하는 장치 배치 공정과,
    상기 동익 분리 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디스크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동익을 이동시키는 동익 이동 공정을 실행하며,
    상기 준비 공정에서 준비하는 상기 동익 분리 장치는,
    압출 기구와,
    상기 압출 기구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압출 기구는, 상기 동익에 접촉 가능한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이동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이동 측의 단부인 제1 베이스 단부로부터, 상기 이동 방향과 상이한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중 제1 높이 측으로 뻗는 반력 수용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이동 측과는 반대 측의 제2 이동 측의 단부인 제2 베이스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압 수용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높이 측을 향하여, 상기 외주면에 접촉 가능한 외주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반력 수용부는, 상기 외주 접촉면의 상기 제1 이동 측의 단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 측으로 뻗으며,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여, 상기 제1 단면에 접촉 가능한 단 접촉면을 갖고,
    상기 가압 수용부는, 상기 제1 이동 측을 향하고, 상기 구동 기구에서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는 기구 단면과 접촉 가능한 기구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장치 배치 공정에서는, 상기 홈 관통 방향에 상기 접촉단의 상기 이동 방향을 맞추고, 상기 베이스의 상기 외주 접촉면을 상기 외주면에 접촉시키며, 상기 반력 수용부의 단 접촉면을 상기 제1 단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접촉단을 상기 동익의 상기 제2 이동 측에 배치하여, 상기 접촉단과 상기 동익을 상기 이동 방향에서 대향시키며,
    상기 동익 이동 공정에서는,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시켜, 상기 접촉단을 상기 제1 이동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동익을 상기 제1 이동 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익 분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기재된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익 분리 장치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상기 동익과 상기 접촉단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익 이동 공정은,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시켜 상기 접촉단과 함께 상기 동익을 상기 제1 이동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공정과,
    상기 제1 이동 공정에서의 상기 동익의 이동의 결과, 상기 동익의 상기 익근이 상기 익근 홈으로부터 빠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판단 공정과,
    상기 판단 공정에서, 상기 동익의 상기 익근이 상기 익근 홈으로부터 빠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시켜 상기 접촉단을 제2 이동 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 공정과,
    상기 제2 이동 공정 후에, 상기 동익과 상기 접촉단의 사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의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스페이서 배치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 배치 공정 후에, 상기 제1 이동 공정 및 상기 판단 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판단 공정에서, 상기 동익의 상기 익근이 상기 익근 홈으로부터 빠졌다고 판단될 때까지, 상기 제1 이동 공정, 상기 판단 공정, 상기 제2 이동 공정, 상기 스페이서 배치 공정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동익 분리 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기재된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장치 배치 공정 전에,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회전 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디스크 회전 공정에서는, 상기 익근 홈에 끼워져 있는 상기 익근의 표면 중에서, 상기 제1 이동 측을 향하고 있는 제1 익근 단면과 상기 제2 이동 측을 향하고 있는 제2 익근 단면 중, 상기 제1 익근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선보다 상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제2 익근 단면보다 상측이 되도록,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동익 분리 방법.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기구 접촉면은, 상기 외주 접촉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높이 측과는 반대 측의 제2 높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치 배치 공정에서는, 상기 접촉단과 상기 동익의 상기 익체를 상기 이동 방향에서 대향시키는, 동익 분리 방법.
  14.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동익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익 분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기구 접촉면은, 상기 외주 접촉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 높이 측에 위치하고,
    상기 장치 배치 공정은, 상기 접촉단과 상기 동익의 상기 익근을 상기 이동 방향에서 대향시키는, 동익 분리 방법.
KR1020237036545A 2021-05-26 2022-05-24 동익 분리 장치, 및 동익 분리 방법 KR20230160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8264A JP2022181354A (ja) 2021-05-26 2021-05-26 動翼取外装置、及び動翼取外方法
JPJP-P-2021-088264 2021-05-26
PCT/JP2022/021198 WO2022250039A1 (ja) 2021-05-26 2022-05-24 動翼取外装置、及び動翼取外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896A true KR20230160896A (ko) 2023-11-24

Family

ID=8422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545A KR20230160896A (ko) 2021-05-26 2022-05-24 동익 분리 장치, 및 동익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98465A1 (ko)
JP (1) JP2022181354A (ko)
KR (1) KR20230160896A (ko)
CN (1) CN117203435A (ko)
WO (1) WO20222500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5730A (en) * 1982-08-30 1984-06-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Turbine blade extractor
EP1614856B1 (de) * 2004-07-09 2010-06-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Ausbauen von Schaufeln einer Turbine oder eines Verdichters
US7934302B2 (en) * 2008-12-31 2011-05-0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compressor blades
US20150128417A1 (en) * 2013-11-13 2015-05-14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Americas, Inc. Turbine blade removal tool and method thereof
US9494040B2 (en) * 2014-02-06 2016-11-15 Siemens Energy, Inc. Turbine engine blade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JP6641654B2 (ja) * 2016-01-08 2020-02-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動翼の取外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取外装置、この取外装置を備えるロータ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0039A1 (ja) 2022-12-01
JP2022181354A (ja) 2022-12-08
US20240198465A1 (en) 2024-06-20
CN117203435A (zh)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3370C2 (ru) Амортизатор для лопаток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ротор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варианты), компрессор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варианты) и газотурбинный двигатель (варианты)
US6761538B2 (en) Continual radial loading device for steam turbine reaction type buckets and related method
KR101650977B1 (ko) 댐핑 장치를 구비하고 언튠드 블레이드를 갖춘 터빈 휠
KR102136527B1 (ko) 동익의 분리 방법,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분리 장치, 이 분리 장치를 구비하는 로터 세트
KR20100021420A (ko) 유체 기계용 프레임
EP1757772A2 (en) Stacked steampath for steam turbines
EP1703080A1 (de) Rotierende Maschine
US10047615B2 (en) Method of mounting rotor blades on a rotor disk, and clamping device for performing such a method
KR20140066730A (ko) 링크 기구 및 이를 구비한 가변 정익 구동 장치
KR20230160896A (ko) 동익 분리 장치, 및 동익 분리 방법
US8262359B2 (en) Diaphragm for turbomachines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1664123A (zh) 一种静子结构及其加工、装配方法
DE10203579A1 (de) Gasansaugvorrichtung für Hubkolbenverdichter
CN1629451A (zh) 流体机械的叶片组的固定方法和固定装置
JP5457147B2 (ja) 水平分割型ターボ機械用ケーシング
JP6720995B2 (ja) 圧縮機
EP1733124A1 (de) Strömungsmaschine und rotor für eine strömungsmaschine
EP1253293A2 (de) Befestigung einer Laufschaufel am Rotor einer Turbomaschine
US6786699B2 (en) Methods of assembling airfoils to turbine components and assemblies thereof
DE60002781T2 (de) Nabe-Achse Verbindung
DE102006054154B4 (de) Abgasturbolader
EP3015654A1 (en) Turbine assembly
CN216751469U (zh) 一种电机转子轴承开关压入装置
US20160245089A1 (en) Bladed disc
KR20040083900A (ko) 브레이크 액추에이터 및 그 조립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