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347A -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 - Google Patents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347A
KR20230160347A KR1020237036100A KR20237036100A KR20230160347A KR 20230160347 A KR20230160347 A KR 20230160347A KR 1020237036100 A KR1020237036100 A KR 1020237036100A KR 20237036100 A KR20237036100 A KR 20237036100A KR 20230160347 A KR20230160347 A KR 20230160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s
slurry
seeds
grains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이치로 타카이
토루 아와즈
모토나리 아마노
마코토 지오우
유스케 세토
토시키 마츠모토
카츠야 토키나가
리쿠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카이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30160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착즙 장치는, 예컨대, 대두류를 조쇄(粗碎)하여 온수와 혼합한 1차 대두 슬러리(22)를, 온수와 함께 마쇄(磨碎)하여, 가온된 상태의 2차 대두 슬러리(18)를 얻는 마쇄 장치(3)와, 마쇄 장치(3)로부터 가온하는 일 없이 반송(搬送)된, 40℃ 이상의 2차 대두 슬러리(18)를 탈기(脫氣)하는 탈기 장치(6)와, 탈기된 2차 대두 슬러리(19)를 가열하여 가열 슬러리를 얻는 가열 장치(8)와, 가열 슬러리를 고액 분리(固液分離)하는 고액 분리 장치(9)를 가진다.

Description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
[0001] 본 발명은,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種實類)를 착즙하여, 음료나 기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하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일반적으로, 두유를 제조할 때에는, 대두를 마쇄(磨碎)함으로써 얻어진 대두 슬러리(생콩물이라고도 함)를 가열용 가마에 투입하고, 이것을 가열에 의해 익혀서, 대두 슬러리 중의 수용성 단백질의 추출이나, 단백질의 열변성을 촉진하고, 이후, 고액 분리(固液分離)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대두를 마쇄하는 공정, 및 마쇄에 의해 얻어진 대두 슬러리를 이송하는 공정에 있어서, 대두 슬러리는 기포를 포함하기 쉬우며, 기포를 포함한 대두 슬러리가 가마 내에서 가열되면, 많은 거품이 팽창되어 부상(浮上)하면서 끓어 넘친다. 그 때문에, 가마의 용적에 대해, 대두 슬러리의 투입량을 절반 이하 정도로 줄일 필요가 있어, 대두 슬러리를 끓이는 가마의 용적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0003] 또한, 대두 슬러리에 대량으로 포함된 기포는, 대두로의 열 전달을 방해하기 때문에,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곤란해져, 얻어지는 두유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나아가, 다량으로 거품이 발생한 대두 슬러리를 다음 공정의 장치로 이송할 때, 거품이 앞서 나가 버리거나, 캐비테이션(cavitation)을 일으켜 송액(送液)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어, 대두 슬러리를 이송하는 펌프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0004] 따라서, 종래부터, 가열용 가마로서 회분(batch)식 가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대두 슬러리를 가마로 보내기 전에 소포제(분말이나 액체)를 투입하는 방법이나, 가마에 소포제를 투입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건강을 지향하는 소비자의 성향이 강해지고 있어, 대두와 물과 응고제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신념에 의해, 소포제를 비롯한 식품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은 두부류 상품(유기농산물 가공 식품인 두부류를 포함함)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0005] 따라서, 특허문헌 1에서는, 기밀(氣密) 구조의 끓임(煮沸)용 캔과, 끓임용 캔 내의 기압을 감압하는 감압 수단과, 감압된 끓임용 캔 내에 콩액을 공급하는 콩액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두유 제조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소포제를 사용하는 일 없이, 콩액을 끓이는 동시에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0006]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306104호
[0007] 그러나, 연속적으로 가온하는 가마와 같이, 폐색(閉塞)된 경로로 2차 대두 슬러리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도중에 소포제를 사용하지 못하여, 거품을 분리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두유 제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끓임용 캔의 내부를 가열하는 수단, 또는 끓임용 캔의 바로 앞(直前)에 콩액을 끓이는 수단이 필요하여, 제조 공정이 증가하는 동시에, 가열부의 눌어 붙음이나 폐색으로 인해, 가열 조건이 변동되거나, 그 세정을 위한 비용이 들게 되어,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나아가,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콩액에 용존된 기체까지 탈기하는 것은 곤란하다.
[0008]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대두류뿐만 아니라,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2차 슬러리를 탈기하기 위한 특별한 끓임 수단이나 소포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를 익히는 가열 공정에 있어서 거품의 발생·팽창(끓어 넘침)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2차 슬러리에 용존된 기체를 용이하게 탈기할 수 있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0009]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은,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를 40℃ 이상의 온수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浸漬)하여 1차 슬러리를 얻는 침지 공정과,
상기 1차 슬러리를 온수와 함께 마쇄(磨碎)하여, 가온된 상태의 2차 슬러리를 얻는 마쇄 공정과,
상기 마쇄 공정으로부터 반송(搬送)된, 40℃ 이상의 상기 2차 슬러리를 탈기(脫氣)하는 탈기 공정과,
탈기된 상기 2차 슬러리를 가열하여 가열 슬러리를 얻는 가열 공정과,
상기 가열 슬러리를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 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은, 상기 마쇄 공정 전 또는 상기 마쇄 공정과 동시에, 상기 대두류 또는 상기 1차 슬러리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효소를 열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실활(失活, 활성 상실) 공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0011]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두류는, 예컨대, 통대두, 원료 대두를 거칠게 분쇄(粉碎)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쇄(粗碎) 대두, 원료 대두를 건식으로 쪼갬으로써 얻어지는 할쇄(割碎) 대두, 상기 할쇄 대두의 배축(胚軸, 씨눈줄기) 및 종피(種皮; 씨앗의 껍질)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탈피 탈배축 할쇄 대두 및 압편 대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할 수 있다.
[0012]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은, 상기 마쇄 공정과 상기 탈기 공정 사이에, 상승 온도(昇溫溫度)가 20℃ 이하가 되도록 상기 2차 슬러리를 가온하는 가온 공정, 또는 상기 2차 슬러리를 보온하는 보온 공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0013]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 슬러리는, 상기 마쇄 공정으로부터 가온되는 일 없이 상기 탈기 공정으로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4]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를 40℃ 이상의 온수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하여 1차 슬러리를 얻는 침지 장치와,
상기 1차 슬러리를 온수와 함께 마쇄하여, 가온된 상태의 2차 슬러리를 얻는 마쇄 장치와,
상기 마쇄 장치로부터 반송된, 40℃ 이상의 상기 2차 슬러리를 탈기하는 탈기 장치와,
탈기된 상기 2차 슬러리를 가열하여 가열 슬러리를 얻는 가열 장치와,
상기 가열 슬러리를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 장치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는, 상기 대두류 또는 상기 1차 슬러리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효소를 열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실활 장치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0016]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지 장치는, 상기 대두류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효소를 열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실활 공정을 겸하는 효소 실활 겸(兼) 침지 장치로 해도 된다.
[0017]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쇄 장치는, 상기 1차 슬러리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효소를 열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실활 공정을 겸하는 효소 실활 겸 마쇄 장치로 할 수 있다.
[0018]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는, 상기 마쇄 장치와 상기 탈기 장치 사이에, 20℃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2차 슬러리를 가온하는 가온 장치, 또는 상기 2차 슬러리를 보온하는 보온 장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9]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슬러리는, 상기 마쇄 장치로부터 가온되는 일 없이 상기 탈기 장치로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0]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두류는, 예컨대, 통대두, 원료 대두를 거칠게 분쇄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쇄 대두, 원료 대두를 건식으로 쪼갬으로써 얻어지는 할쇄 대두, 상기 할쇄 대두의 배축 및 종피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탈피 탈배축 할쇄 대두 및 압편 대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할 수 있다.
[0021]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는, 예컨대, 상기 마쇄 장치와, 상기 탈기 장치 사이에, 상기 2차 슬러리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시켜, 교반하는 슬러리 탱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0022]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는, 예컨대, 상기 마쇄 장치와, 상기 탈기 장치 사이에, 상기 2차 슬러리를 40℃ 이상인 상태로 상기 탈기 장치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0023]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용적식(容積式) 정량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0024]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는, 폐색된 분위기 내에서 상기 2차 슬러리를 단계적으로 가열하는 연속 가열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25]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쇄 장치는, 스테인리스강제(製)의 마쇄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26] 본 발명에 따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는, 대두류(통대두, 조쇄 대두, 할쇄 대두, 압편 대두 등), 곡물류 또는 종실류를, 40℃ 이상의 온수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하여 1차 슬러리를 얻고, 이것을 마쇄함으로써 가온 상태의 2차 슬러리를 얻는다. 이 2차 슬러리에는 공기가 많이 혼입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특별한 끓임 수단이나 소포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용존된 기체까지도 용이하게 탈기하여,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거품의 발생이나 팽창을 억제해서 균일하게 편차 없이 익히는(삶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無)소포제 제법을 고집하는 제품, 유기농산물 가공 식품 등의 차별화 상품의 제조에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 최소한의 소포제량으로 착즙할 수 있기 때문에, 원재료비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원가 삭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0027]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0028] 본 발명자들은, 특별한 온도 상승(昇溫) 수단이나 소포제를 이용하는 일 없이,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2차 슬러리 내에 마쇄 시에 말려 들어간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열심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2차 슬러리를 가열하여, 가열 슬러리를 얻는 공정보다 전에,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기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발견하였다. 단, 물의 온도와 수증기압의 관계로부터 선정되는 진공 발생 장치의 일반적인 사양 범위, 예컨대, 식품 공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봉식(水封式) 진공 펌프에서는, 공급되는 봉수(封水) 온도가 15℃∼20℃였을 경우, 봉수 온도에 있어서의 물의 포화 수증기압과 동등한 진공도로는 효율적으로 탈기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탈기 장치에 의해 2차 슬러리 내의 기포(용존 기체도 포함함)를 효율적으로 탈기하기 위해서는, 2차 슬러리가 40℃ 이상의 온도일 필요가 있다.
[0029] 따라서, 본 발명은, 탈기하는 공정 전에, 예컨대, 대두류를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공정이나, 효소의 불활성화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를 온수에 침지시켜 팽윤시키는 공정을 실시한다. 이후, 소정의 온도(적어도 40℃) 이상이 된 2차 슬러리를 이용함으로써, 탈기하기 위한 가열을 행하는 일 없이, 효율적으로 탈기할 수 있다.
[0030]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소포제 제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포제를 필요 최소한으로 사용하는 제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보다 소포제 첨가량을 저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수온이 60℃ 이하여도 소포 작용이 얻어지는 액체계 소포제를, 필요 최소한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생대두 1kg당, 0.1∼3.0g의 매우 소량의 사용으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두유 농도 12∼20%Brix(생대두 1kg당 물 2.0∼5kg, 가수(加水) 배율 2.0∼5배)의 농후한 2차 대두 슬러리(콩액)라 하더라도, 탈기 장치에 의한 탈기 효과와 상승적(相乘的)으로 작용하여, 탈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0031] 또한, 탈기 공정에 있어서 2차 슬러리가 40℃ 이상이 되도록,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침지 온도를 조정하여, 마쇄 공정으로부터 가온하는 일 없이, 2차 슬러리가 탈기 공정으로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2차 슬러리의 반송 중에, 2차 슬러리를 보온하는 보온 공정이나, 온도를 유지시키거나, 상승 온도가 20℃ 이하가 되도록, 2차 슬러리를 가온하는 가온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0032]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0033]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제1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의 제1 실시형태로서, 대두류의 착즙 방법(두유의 제조 방법) 및 착즙 장치(두유 제조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34]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1)는, 할쇄 대두(17)를, 소정 온도 및 소정 시간으로 침지하여 1차 대두 슬러리(1차 슬러리)(22)를 얻는 침지 장치(2)와, 상기 1차 대두 슬러리(22)를 온수와 함께 마쇄하여, 가온된 상태의 2차 대두 슬러리(2차 슬러리)(18)를 얻는 마쇄 장치(3)와, 얻어진 2차 대두 슬러리(18)를 일시적으로 저류시켜, 교반하는 슬러리 탱크(4)와, 슬러리 탱크(4) 내의 2차 대두 슬러리(18)를 다음 공정인 탈기 장치(6)로 반송하는 제1 펌프(반송 장치)(5)와, 2차 대두 슬러리(18)를 탈기하는 탈기 장치(6)와, 탈기된 2차 대두 슬러리(19)를 반송하는 제2 펌프(7)와, 이를 가열하여 끓인 콩물을 얻는 가열 장치(8)와, 얻어진 끓인 콩물을 비지와 두유로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 장치(착즙기)(9)를 가진다.
[0035] 이와 같이 구성된 두유 제조 장치(1)를 이용하여, 두유를 제조할 때에는, 우선, 침지 장치(2) 내에 있어서, 할쇄 대두(17)가 소정의 온도(예컨대 40℃) 이상으로 가온된 온수와 혼합되어, 예컨대 1초∼3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분∼1시간 동안, 침지됨으로써, 1차 대두 슬러리(22)가 얻어진다(침지 공정). 다음으로, 팽윤된 1차 대두 슬러리(22)가 마쇄 장치(3)에 공급되어 온수와 함께 마쇄됨으로써, 2차 대두 슬러리(18)(이른바 생콩물)가 얻어진다(마쇄 공정). 마쇄 장치(3)로서는, 스테인리스강제(製)의 스크린 밀식(해머 밀식), 스테인리스강제 또는 소결 지립(砥粒, abrasive grain)제의 맷돌식 등의 일반적인 마쇄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단, 지립이 결락(缺落)되어 이물질이 될 우려나, 그 지립이 기계를 손상시켜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지립의 결락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리스강제의 마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쇄 장치는, 마쇄 시에 혼입 공기가 적은 액중(液中) 마쇄식이어도 되지만, 본 발명은 마쇄 시에 공기도 많이 혼입되는 상기의 일반적인 마쇄 방식이어도 된다. 그 2차 대두 슬러리(생콩물)는 공기를 포함하는 관계로, 비중이 1.00 이하이고 0.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중이 1.00보다 많은 경우는, 탈기의 필요성은 적고, 0.50 미만이면, 펌프 송액에 지장을 초래한다.
[0036] 이후, 2차 대두 슬러리(18)는, 슬러리 탱크(4) 내에서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동시에, 교반기(10)에 의해 교반되어, 온수와 대두류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제1 펌프(5)에 의해 유량 조정 밸브(11)를 통해 탈기 장치(6)로 반송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펌프(5)로서, 로터리 펌프를 사용하고 있지만, 고액을 송액할 수 있는 용적식 펌프라면, 펌프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기어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플런저 펌프,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모노펌프(등록상표))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적식 정량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0037] 탈기 장치(6)에는 진공 펌프(14)가 접속되어 있으며, 이 진공 펌프(14)에 의해 탈기 장치(6) 내부를 감압할 수 있다. 또한, 감압의 타이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진공 펌프(14)에 의해 미리 탈기 장치(6) 내부를 소정의 압력으로 조정하여 대기압 이하로 감압한 상태에서, 노즐(12)로부터 탈기 장치(6) 내부에 40℃ 이상의 2차 대두 슬러리(18)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탈기 장치의 캔체 내부 압력을 조정하는 진공 조정 밸브를 구비해도 된다.
탈기된 2차 대두 슬러리(19)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8)가 연속식인 경우는, 미리 탈기 장치(6) 내부를 감압한 상태에서, 노즐(12)로부터 탈기 장치(6) 내에 2차 대두 슬러리(18)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38] 탈기 장치(6) 내부가 감압된 상태에서, 탈기 장치(6) 내에 2차 대두 슬러리(18)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었을 경우에는, 탈기 장치(6) 내에 공급된 2차 대두 슬러리(18)는, 노즐(12)에 의해 탈기 장치(6)의 내벽을 향해 살포된다. 2차 대두 슬러리(18)는, 감압된 탈기 장치(6) 내에 공급되는 동시에 끓어오르고, 이에 따라, 2차 대두 슬러리(18)에 포함되어 있던 공기는 제거되며, 탈기 장치의 내벽에 충돌한 후, 내벽을 따라 흘러내린다. 2차 대두 슬러리(18)가 내벽에 충돌하였을 때, 그 충격으로 새로운 거품이 발생하는데, 탈기 장치(6)의 외주면 상에는 냉각 재킷(jacket)(13)이 설치되어 있고, 거품을 형성하는 기체는 수증기이기 때문에, 냉각 재킷(13)의 내측에서 흘러내릴 때 캔 벽에 의해 차가워져, 충돌 시에 발생한 수증기의 거품은 응축되어 소멸한다(탈기 공정).
[0039] 2차 대두 슬러리의 유입 온도에 있어서의 포화 수증기압(예컨대 일본기계학회의 「증기표(蒸氣表)」 참조. 40℃: 7.375kPa, 50℃: 12.335kPa, 60℃: 19.92kPa, 70℃: 31.162kPa, 80℃: 47.36kPa, 90℃: 70.109kPa, 100℃: 101.325kPa)으로부터, 물이 순식간에 끓어올랐다가, 탈기 장치의 관내(管內) 압력에 있어서의 온도까지 2차 대두 슬러리의 온도가 저하되는 동시에, 용존 공기도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탈기 장치(6)의 외주면 상에는 냉각 재킷(1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거품이 발생하여 부상된 채 잔존하는 수증기의 대부분의 거품은 냉각되어, 응축 또는 수축된다(탈기 공정).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는, 탈기 장치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연속식 탈기 장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0040] 이후, 탈기 장치(6)의 내부는 감압된 채, 캔체 내의 2차 대두 슬러리는 제2 펌프(7)에 의해 연속적으로 꺼내지고, 탈기된 2차 대두 슬러리(19)가 가열 장치(8)로 반송된다. 가열 장치(8)에서는, 단계적으로 증기 등에 의해 가열되는데, 이때, 2차 대두 슬러리(19)는 기포의 발생이나 팽창이 없기 때문에, 편차 없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수용성 단백질의 추출 및 단백질의 열변성이 균질하게 행해지는 동시에, 슬러리 상태의 끓인 콩물(가열 슬러리)이 얻어진다(가열 공정). 탈기 장치(6)에 대한 2차 대두 슬러리의 공급, 배출은 회분식 조작이어도 되지만, 연속적인 조작으로 함으로써, 안정된 감압 조작을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후, 고액 분리 장치(9)로부터 끓인 콩물이 고액 분리되어, 비지와 두유가 얻어진다(고액 분리 공정).
또한, 2차 대두 슬러리(19)를 가열 장치(8)로 반송하는 제2 펌프(7)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펌프(5)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004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온수와 대두류(통대두, 조쇄 대두, 할쇄 대두, 압편 대두 등)를 혼합하여 침지하는 침지 공정을 가지며, 이 침지 공정에 의해 얻어진 1차 대두 슬러리(22)를, 물, 온수 또는 뜨거운 물과 함께 마쇄하는 마쇄 공정에 의해, 이미 가온된 2차 대두 슬러리(18)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마쇄 공정으로부터 가온하는 일 없이, 2차 대두 슬러리(18)는, 40℃ 이상인 상태로, 탈기 장치(6)의 최저 기압 7.375kPa(40℃의 수증기압)까지, 바람직하게는 반송된 2차 대두 슬러리의 온도로부터 2∼3℃ 낮은 온도의 수증기압치(値)로 내압 설정된 캔체 내에 반송할 수 있다. 반송된 2차 대두 슬러리는, 유량 조정 밸브(11)를 지나, 노즐(12)을 통해 관 내벽을 타고 낙하하는 과정에서, 물이 급속히 증발하며, 이와 함께 기화열을 빼앗겨, 2차 대두 슬러리의 온도가 내려가는 동시에, 미소한 기포나 용존 기체도 제거된다. 그 결과, 용이하게 2차 대두 슬러리(18)에 포함된 기포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0042]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끓인 콩물을 얻는 가열 공정에 있어서 소포제를 이용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가열 공정에 있어서의 거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열 공정에 사용하는 가열 장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폐색된 분위기 내에서, 탈기된 2차 대두 슬러리(19)를 단계적으로 가열하는 연속 가열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 가열 장치는, 일반적으로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의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연속 가열 장치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적식 정량 펌프에 의해 액체계 소포제 등을 주입할 수도 있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소포제를, 원료 품질의 변동을 보충하는 품질 개량 효과가 얻어지는 필요 최소한의 첨가량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0043] 탈기 장치(6)에 의해 2차 대두 슬러리(18)에 포함된 기포를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탈기 장치(6)로 반송될 때의 2차 대두 슬러리(18)의 온도는, 40℃ 이상으로 하는데, 70℃ 이상으로 함으로써 효소 실활 효과가 얻어지므로, 두유 음료 등의 잡미가 적은 두유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다. 또한, 탈기 장치(6)로 반송될 때의 2차 대두 슬러리(18)의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1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전 작업상, 9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44]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가온된 상태의 2차 대두 슬러리(18)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할쇄 대두(17)를 온수에 침지하는 방법 외에, 통대두를 온수에 침지하는 방법이나, 이하의 제2 실시형태로서 나타내는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대두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대두, 원료 대두를 거칠게 분쇄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쇄 대두, 원료 대두를 건식으로 쪼갬으로써 얻어지는 할쇄 대두(17), 이 할쇄 대두(17)의 배축 및 종피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탈피 탈배축 할쇄 대두 및 압편 대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압편 대두는, 예컨대, 건식으로 압편하는(눌러서 편평하게 만드는) 수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0045]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두유는, 음료로서 이용해도 되고, 두부나, 두유를 사용하는 이차 제품, 예컨대, 유부, 설튀김 비단 두부 등에 이용해도 된다.
두유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대두 등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가열을 이용함으로써, 가온된 상태의 2차 대두 슬러리를 얻을 수도 있다.
[0046] <제2 실시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로서, 대두류의 착즙 방법(두유의 제조 방법) 및 착즙 장치(두유 제조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 및 두유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0047]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 제조 장치(착즙 장치)(21)는, 마쇄 장치(3) 이전에, 대두(20)를 수증기, 뜨거운 물, 열풍, 과열 수증기 등의 열매체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소정의 시간 동안 가열하는 효소 실활 장치(효소 실활 겸 침지 장치)(15)를 가진다. 이때, 건조한 건열(乾熱)보다, 살수 공급되어 습해진 열(濕熱)에 의한 가열이, 효소 실활과 동시에 침지 장치를 겸한 형태가 되어, 효율적이며 수율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마쇄 장치(3)와 탈기 장치(6) 사이에, 2차 대두 슬러리(18)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슬러리 탱크(4)와, 이 슬러리 탱크(4) 내의 2차 대두 슬러리(18)를 탈기 장치로 반송하는 제1 펌프(5)를 가지고 있었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는, 슬러리 탱크(4) 및 제1 펌프(5) 대신에,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모노펌프(등록상표))(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하는 펌프는 상기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에 한정되지 않고, 로터리 펌프, 기어 펌프, 다이어프램 펌프, 플런저 펌프 등의 용적식 정량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0048] 이와 같이 구성된 두유 제조 장치(21)를 이용하여, 두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우선, 대두(20)를 효소 실활 장치(15) 내에 공급한다. 또한, 대두(20)를 온수에 침지시킴으로써 얻어진 1차 대두 슬러리를 효소 실활 장치(15) 내에 공급해도 된다. 효소 실활 장치(15)는, 물과 대두(20)(또는 1차 대두 슬러리(22))를 증기 등에 의해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공급된 물 및 대두(20)(또는 1차 대두 슬러리(22))를 소정의 조건(예컨대 70∼100℃로, 1초∼600초간)으로, 가열한다(효소 실활 공정). 또한, 80℃ 이상의 효소 실활 공정에 의해, 대두(20)(또는 1차 대두 슬러리(22))에 부착된 잡균을 살균할 수도 있다. 또한, 효소 실활 공정 후에, 침지 공정이 순차적으로 실시되어도 된다.
효소 실활 장치(15)에 의해 대두류 내재성 효소의 열에 의한 불활성화가 행해진 대두(20)(또는 1차 대두 슬러리(22))가 마쇄 장치(3)에 의해 마쇄됨으로써,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온수와 잘게 마쇄된 대두가 혼합된 2차 대두 슬러리(18)가 얻어진다(마쇄 공정).
[0049] 얻어진 2차 대두 슬러리(18)는,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16)에 의해 반송된다.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16)는, 온수와 생콩물을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2차 대두 슬러리(18)를 반송하는 기능을 가지며, 폐색된 비개방 환경에서 마쇄 장치(3)로부터 탈기 장치(6)까지 2차 대두 슬러리(18)가 반송된다. 탈기 장치(6)에 있어서의 탈기 공정 및 그 후의 공정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0050]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효소 실활 장치(15)에 의해 70℃ 이상으로 가열된 대두(또는 1차 대두 슬러리)가, 물, 온수 등과 함께 마쇄됨으로써 2차 대두 슬러리(18)가 되고, 이것이 가온되는 일 없이, 적어도 40℃ 이상, 100℃ 이하의 온도로 탈기 장치(6)에 반송되기 때문에, 소포제나 탈기를 위한 가열 장치를 사용하는 일 없이, 비교적 용이하게 2차 대두 슬러리(18) 내의 기포를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차 대두 슬러리(18)가 가온되는 일 없이 탈기 장치(6)에 반송되었지만, 마쇄 장치(3)와 탈기 장치(6) 사이에 보온 장치를 배치하여, 2차 대두 슬러리(18)의 반송 중에 있어서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 마쇄 장치(3)와 탈기 장치(6) 사이에 가온 장치를 배치하여, 상승 온도가 20℃ 이하가 되도록, 2차 슬러리를 가온해도 된다.
[0051]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효소 실활 장치(15)는 마쇄 장치(3)보다 이전에 설치되어 있지만, 효소 실활 장치(15)가 설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침지 후의 1차 대두 슬러리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효소 실활 장치(15)를 겸한 마쇄 장치(효소 실활 겸 마쇄 장치)(3)를 사용하여, 가열하면서 마쇄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효소 실활 장치로부터 가온하는 일 없이, 2차 대두 슬러리(18)가 70∼100℃로 탈기 장치(6)에 반송되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게 2차 대두 슬러리(18) 내의 기포를 배출시킬 수 있다.
[0052]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에 기재된 슬러리 탱크(4) 및 제1 펌프(5) 대신에,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16)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이, 폐색된 환경에서 마쇄 장치(3)로부터 탈기 장치(6)까지 2차 대두 슬러리(18)를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였을 때,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러리 탱크(4)는 개방형이기 때문에, 슬러리 탱크(4)로부터 2차 대두 슬러리(18)가 흘러 넘치지 않도록 감시할 필요가 있다.
[0053] 한편,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16)는, 마쇄 장치(3)로부터 공급되는 양보다 반송하는 체적을 크게 설정하여, 바깥 공기(外氣)를 흡입하면서 탈기 장치(6)로 2차 대두 슬러리(18)를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깥 공기를 흡입하면서 2차 대두 슬러리(18)를 반송한 경우에는, 2차 대두 슬러리(18)에 많은 기포가 포함되게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열 장치(8)에 2차 대두 슬러리(18)가 반송되기 전에, 탈기 장치(6)에 의해 기포가 배출되기 때문에,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16)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16)에 공급되는 양보다, 반송하는 체적을 크게 설정함으로써, 펌프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감시도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펌프의 종류를 선택하면 된다.
[0054]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두유의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는, 대두류를 가공하여 두유를 제조하는 경우의 방법 및 장치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두유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로 치환하여(대체하여), 대두류 이외의 곡물류(팥, 완두콩, 그린피스, 잠두콩, 풋콩 등의 두류(豆類))나, 종실류(땅콩, 아몬드, 캐슈넛, 헤이즐넛, 마카다미아, 피스타치오, 피칸, 호두, 코코넛 등의 너트류, 대마씨(hempseed), 호박씨, 해바라기씨, 잣, 참깨 등의 유분이나 단백질이 많은 종실류, 진주조, 향모(香茅), 수수, 조, 피 등의 잡곡류(밀릿(millet)), 퀴노아, 치아시드, 아마란스 등의 의곡류(유사곡류))를 원료로 한 식물성 밀크의 제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원료는, 대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분쇄나 할쇄, 효소 실활 가열 등의 전처리 공정, 침지 공정, 가수 공정, 마쇄 공정, 탈기 공정, 분리 공정, 가열 공정 등을 적절히 이용하여, 두유와 같은 식물성 밀크를 제조할 수 있다. 피넛, 대마씨, 해바라기씨 등과 같이, 원료에 따라서는 풋내나는 풍미가 나오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는, 사전에 원료를 볶거나 건열·습열 등의 가열(70∼100℃)에 의한 효소 실활 처리나 탈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풍미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팥, 완두콩, 그린피스, 잠두콩, 풋콩, 설익은 대두 등의 전분질이 많은 두류에 대해서는, 본원의 침지 장치나 효소 실활 장치를, 효소 반응 당화(糖化) 장치로서 치환하여(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효소 반응 당화 장치에 있어서는, 50∼80℃, 바람직하게는 55∼75℃의 온도에서, β 아밀레이스 등의 내재성 당화 효소를 작용시킴으로써, 맥아당 등을 생성시켜, 단맛(甘味)을 증가시킬 수 있다.
[0055]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것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해낼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러한 예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해도 된다.
[0056] 또한, 본 출원은, 2021년 8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특원 제2021-139260호)에 근거한 것이며, 그 내용은 본 출원 중에 참조로서 원용된다.
[0057] 1, 21 : 두유 제조 장치
2 : 침지 장치
3 : 마쇄 장치
4 : 슬러리 탱크
5 : 제1 펌프
6 : 탈기 장치
7 : 제2 펌프
8 : 가열 장치
9 : 고액 분리 장치
14 : 진공 펌프
15 : 효소 실활 장치
16 : 회전용적식 1축 편심 나사 펌프
17 : 할쇄 대두
18 : 2차 대두 슬러리
20 : 대두
22 : 1차 대두 슬러리

Claims (17)

  1.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種實類)를 40℃ 이상의 온수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浸漬)하여 1차 슬러리를 얻는 침지 공정과,
    상기 1차 슬러리를 온수와 함께 마쇄(磨碎)하여, 가온된 상태의 2차 슬러리를 얻는 마쇄 공정과,
    상기 마쇄 공정으로부터 반송(搬送)된, 40℃ 이상의 상기 2차 슬러리를 탈기(脫氣)하는 탈기 공정과,
    탈기된 상기 2차 슬러리를 가열하여 가열 슬러리를 얻는 가열 공정과,
    상기 가열 슬러리를 고액 분리(固液分離)하는 고액 분리 공정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 공정 전 또는 상기 마쇄 공정과 동시에, 상기 대두류 또는 상기 1차 슬러리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효소를 열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실활(失活) 공정을 가지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류는, 통대두, 원료 대두를 거칠게 분쇄(粉碎)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쇄(粗碎) 대두, 원료 대두를 건식으로 쪼갬으로써 얻어지는 할쇄(割碎) 대두, 상기 할쇄 대두의 배축(胚軸) 및 종피(種皮)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탈피 탈배축 할쇄 대두 및 압편 대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 공정과 상기 탈기 공정 사이에, 상승 온도가 20℃ 이하가 되도록 상기 2차 슬러리를 가온하는 가온 공정, 또는 상기 2차 슬러리를 보온하는 보온 공정을 가지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슬러리는, 상기 마쇄 공정으로부터 가온되는 일 없이 상기 탈기 공정으로 반송되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6.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를 40℃ 이상의 온수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하여 1차 슬러리를 얻는 침지 장치와,
    상기 1차 슬러리를 온수와 함께 마쇄하여, 가온된 상태의 2차 슬러리를 얻는 마쇄 장치와,
    상기 마쇄 장치로부터 반송된, 40℃ 이상의 상기 2차 슬러리를 탈기하는 탈기 장치와,
    탈기된 상기 2차 슬러리를 가열하여 가열 슬러리를 얻는 가열 장치와,
    상기 가열 슬러리를 고액 분리하는 고액 분리 장치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류 또는 상기 1차 슬러리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효소를 열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실활 장치를 가지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 장치는, 상기 대두류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효소를 열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실활 공정을 겸하는 효소 실활 겸(兼) 침지 장치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 장치는, 상기 1차 슬러리를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효소를 열에 의해 불활성화시키는 효소 실활 공정을 겸하는 효소 실활 겸 마쇄 장치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 장치와 상기 탈기 장치 사이에, 20℃ 이하의 범위에서 상기 2차 슬러리를 가온하는 가온 장치, 또는 상기 2차 슬러리를 보온하는 보온 장치를 가지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슬러리는, 상기 마쇄 장치로부터 가온되는 일 없이 상기 탈기 장치로 반송되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류는, 통대두, 원료 대두를 거칠게 분쇄함으로써 얻어지는 조쇄 대두, 원료 대두를 건식으로 쪼갬으로써 얻어지는 할쇄 대두, 상기 할쇄 대두의 배축 및 종피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탈피 탈배축 할쇄 대두 및 압편 대두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 장치와, 상기 탈기 장치 사이에, 상기 2차 슬러리를 일시적으로 저류(貯留)시켜, 교반하는 슬러리 탱크를 가지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14.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 장치와, 상기 탈기 장치 사이에, 상기 2차 슬러리를 40℃ 이상인 상태로 상기 탈기 장치에 공급하는 반송 장치를 가지는,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용적식(容積式) 정량 펌프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16. 제6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장치는, 폐색된 분위기 내에서 상기 2차 슬러리를 단계적으로 가열하는 연속 가열 장치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17. 제6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쇄 장치는, 스테인리스강제(製)의 마쇄 장치인,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장치.
KR1020237036100A 2021-08-27 2022-08-26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 KR20230160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39260A JP2023032896A (ja) 2021-08-27 2021-08-27 大豆類、穀物類又は種実類の搾汁方法、及び搾汁装置
JPJP-P-2021-139260 2021-08-27
PCT/JP2022/032229 WO2023027176A1 (ja) 2021-08-27 2022-08-26 大豆類、穀物類又は種実類の搾汁方法、及び搾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347A true KR20230160347A (ko) 2023-11-23

Family

ID=8532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100A KR20230160347A (ko) 2021-08-27 2022-08-26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032896A (ko)
KR (1) KR20230160347A (ko)
WO (1) WO2023027176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6161A (ja) * 1984-03-15 1985-10-04 Mase Bankin Seisakusho:Kk 原豆乳の製造方法
JPH0257157A (ja) * 1988-08-20 1990-02-26 Koji Kusaka 豆乳及び豆腐の製造方法
JP3871575B2 (ja) * 2001-02-09 2007-01-24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乳製造装置及び豆乳製造方法
JP3978350B2 (ja) * 2002-02-25 2007-09-19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脱気装置を使用した気泡液化方法
KR101181263B1 (ko) * 2006-12-28 2012-09-10 타카이 토후 앤 소이 밀크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두유 제조 방법 및 두유 제조 장치
JP5038390B2 (ja) * 2007-02-23 2012-10-03 株式会社高井製作所 豆乳製造方法及び豆乳製造装置
JP6449574B2 (ja) * 2014-07-08 2019-01-09 株式会社高井製作所 砥石および磨砕装置
KR102004753B1 (ko) * 2017-12-27 2019-07-29 주식회사 태진지엔에스 압력 조절 방식을 이용한 두유 및 두부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32896A (ja) 2023-03-09
WO2023027176A1 (ja)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867B2 (en) Process for producing soymilk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oymilk
US7147886B2 (en) Production method for processed soybean food products and apparatus for thermal deaeration of soybean slurry
JP6660639B2 (ja) 呉液の加熱方法及び呉液の加熱装置
CN104814156A (zh) 一种豆浆及其干法制备方法
CN103931775B (zh) 豆奶及其制备方法
CN102138591A (zh) 高浓豆浆的制备方法
CN103749708A (zh) 一种豆浆及其微压煮浆制备方法
CN112971040A (zh) 制备豆乳的方法、得到的豆乳及其在食品中的应用
CN102232426B (zh) 一种方便豆腐脑粉的生产方法
JP2002306104A (ja) 豆乳製造装置
KR20230160347A (ko) 대두류, 곡물류 또는 종실류의 착즙 방법, 및 착즙 장치
CN107258914A (zh) 一种生浆冷磨的豆奶加工工艺
JP2006015206A (ja) 液中磨砕装置用付属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液中磨砕装置、液中磨砕システム、液中磨砕方法
CN109642191B (zh) 用于生产啤酒的方法和相应装置
CN112167351A (zh) 一种优质豆乳的加工方法
CN111447839A (zh) 利用压力调节方式的豆浆以及豆腐的制造方法
GB2598528A (en) A method of preparing a re-boiled soy milk
EP2022341B1 (en) A process for milling soya beans
CN107361148A (zh) 一种熟浆热磨的豆奶加工工艺
US6805892B2 (en) Production of liquid foods without off-flavors
FR2587590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e lait de soja
JP2003245503A (ja) 脱気装置及びその脱気装置を使用した気泡液化方法
JPS5820252B2 (ja) 脱苦渋味の豆類加工品の製法及び装置
JP5044901B2 (ja) 水溶性多糖類の製造方法
GB1585456A (en) Soybean beverages